KR19980058639U - 다목적 운동구 - Google Patents

다목적 운동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8639U
KR19980058639U KR2019970003083U KR19970003083U KR19980058639U KR 19980058639 U KR19980058639 U KR 19980058639U KR 2019970003083 U KR2019970003083 U KR 2019970003083U KR 19970003083 U KR19970003083 U KR 19970003083U KR 19980058639 U KR19980058639 U KR 199800586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exercise
present
handles
exercise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30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0098Y1 (ko
Inventor
최정삼
Original Assignee
최정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삼 filed Critical 최정삼
Priority to KR20199700030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098Y1/ko
Publication of KR199800586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6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0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0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목적 운동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 사무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악력기나 완력기, 엑스밴드 등을 구입하여 사무실 등에서 틈틈히 시간을 내어 운동을 하므로서 몸의 근육을 풀어주거나 근육을 발달시키도록 하는 것인데, 악력기는 손아귀의 힘만을 키우는데 사용하는 단조로운 운동구이고, 완력기나 엑스밴드는 악력기보다는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으나 앉은 자리에서는 제대로 할 수가 없어 일어서거나 자리를 옮겨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한쌍의 손잡이(10a)(10b) 일측에는 다수개의 삽지공(22)이 형성된 지지부(20)를 일체로 형성하여 서로 마주보게 한 상태에서 상기 삽지공(22)에 스프링(30)을 삽지하고, 상기 스프링(30)은 지지부(20)를 관통하는 스크류(40)로써 체결되게 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한개의 운동구로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으면서도 앉은 자리에서도 손쉽게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다목적 운동구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차량으로 이동하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운동량이 극히 부족하여 노화현상이나 각종 성인병 등이 쉽게 발병하며, 특히 사무직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은 출근한 후에도 활동범위가 극히 제한되어 몸에 근육경직이 자주 발생도고,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되므로 근무의욕이 저하되어 근무능률이 떨어지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정기적인 운동을 통해서만이 몸의 노화현상이나 근육경직 현상, 각종 성인병을 조금이라도 예방할 수가 있는 것인데, 주로 집이나 사무실 근처의 체육관이나 헬스클럽 등을 이용하거나 가정에 헬스 운동기구를 직접 갖춰놓은 방법을 이용하나 전자의 경우에는 시간을 별도로 내어서 운동을 해야함은 물론 시간을 맞추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에도 바쁜 출근시간에 쫓기다보면 시간을 할애하기가 힘든 것은 물론 구입가격이 비싸고 중량과 부피가 크기 때문에 좁은 실내공간에서의 설치 및 사용하기가 어려운점이 있었다.
또한 헬스기구보다 간단한 구조의 운동기구로서 악력기, 완력기, 엑스밴드 등이 있는데, 이중 악력기는 탄발스프링의 하방 양단에 손잡이를 형성토록 하여 손바닥으로 감싸 쥐고 힘을 가해 쥐었다 놓았다하면서 운동하는 것으로 주로 손아귀의 힘을 키우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상부에 형성된 탄발스프링의 강도에 따라 여러규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완력기와 엑스밴드는 일정길이의 스프링 양단부에 각각 스프링을 고착시킨 구조로 사용자가 양 손잡이를 잡고, 스프링을 강제 절곡시키고, 절곡후 복귀된 스프링을 반복적으로 절곡시킴으로서 팔이나 가슴의 근력운동을 하게되는 운동기구이다.
따라서 사무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악력기나 완력기, 엑스밴드 등을 구입하여 사무실 등에서 틈틈히 시간을 내어 운동을 하므로서 몸의 근육을 풀어주거나 근육을 발달시키도록 하는 것인데, 상기의 운동기구들은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악력기는 보관이 쉽고, 앉은 자리에서 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손아귀의 힘만을 단력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운동되는 부위가 한정되어 신체를 전체적으로 균형있게 단력시키지 못할 뿐더러 동작의 연결성이 없고, 한가지의 간단한 운동으로 끝나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쉽게 싫증을 느끼게 하였다.
그리고 완력기나 엑스밴드는 악력기 보다는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으나 앉은 자리에서는 운동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일어서거나 공간이 넓은 장소로 이동하여야 하는데, 일어설 경우에는 옆사람에게 불편을 주는 것은 물론 보기에도 별도 좋지 않는 것이고, 장소를 옮길 경우에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앉은 자리에서 손쉽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하고, 하나의 운동구로 여러 가지의 다른 운동을 하도록 하여 신체부위를 골고루 발달시키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로 하여금 싫증을 느끼지 않도록 한 다목적 운동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한쌍의 손잡이 일측에 다수개의 삽지공이 형성된 지지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서로 마주보게 한 상태에서 상기 삽지공에 스프링을 삽지하고, 상기 스프링은 지지부를 관통하는 스크류로써 체결되게 하므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운동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운동구를 사용하기 위하여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1의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10b:손잡이20:지지부
22:삽지공30:스프링
40:스크류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별첨의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운동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운동구를 사용하기 위하여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1의 평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한쌍의 손잡이(10a)(10b) 일측에 다수개의 삽지공(22)이 형성된 지지부(20)를 일체로 형성하여 서로 마주보게 한 상태에서 상기 삽지공(22)에 스프링(30)을 삽지하고, 상기 스프링(20)은 지지부(20)를 관통하는 스크류(40)로써 체결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사용하고자 할때에는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손잡이(10a)(10b)를 파지한 후 손잡이(10a)(10b)를 안쪽으로 오므려서 스프링(30)이 내측으로 절곡 되도록 한 후 다시 원위치시켜 손잡이(10a)(10b)가 일직선상에 위치되어 스프링(30)이 수평을 이루도록 하고, 다시 반대로 손잡이(10a)(10b)를 바깥쪽으로 오므려서 스프링(30)이 외측으로 접어지도록 한 후 다시 손잡이(10a)(10b)를 일직선상으로 놓여지도록 하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10a)(10b) 일측에 형성된 지지부(20)의 삽지공(22)에 끼워지는 스프링(30)은 스크류(40)로써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즉, 스크류(40)를 먼저 지지부(20)의 일측면에 관통시키고 이후 관통된 스크류(40)가 삽지공(22)을 통과하면서 상기 삽지공(22)에 삽지된 스프링(30)을 관통한 후 지지부(20)의 타측면에 체결되는 방식을 채택하였기 때문에 사용도중 스프링(30)이 지지부(20)의 삽지공(22) 내에서 이탈될 우려가 전혀 없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운동구는 상기에서 언급한 운동 이외에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10a)(10b)를 서로 비틀어서 즉, 일측손잡이(10a)는 그대로 두고 타측 손잡이(10b)만 비틀어서 스프링(30)이 서로 엇갈리도록 하고, 다시 원위치시킨 후 반대로 타측 손잡이(10b)는 그대로 두고 일측 손잡이(10a)만 비틀어서 스프링(30)이 엇갈리도록 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또한 이와는 다르게 양 손잡이(10a)(10b)를 동시에 다시말하면 일측 손잡이(10a)는 안쪽으로 타측 손잡이(10b)는 바깥쪽으로 밀어내어 스프링(30)이 서로 엇갈리도록 한 후 다시 원위치하고, 반대로 일측손잡이(10a)을 바깥쪽으로 타측 손잡이(10b)를 안쪽으로 한 후 원위치 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운동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다른 방법을 설명하면 손잡이(10a)(10b)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리를 약간 벌린 후 손등이 무릎의 안족으로 위치되도록 한 후 무릎에 힘을 가하여 무릎과 무릎이 서로 좁혀지도록 한 후 다시 무릎과 무릎 사이가 넓혀지도록 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운동을 할 수도 있다.
좀더 상세히 언급하면 무릎이 밀고 들어오는 힘이 손등에 가해질때 사용자는 손잡이(10a)(10b)의 방향을 약간 돌려주게 되면 즉, 한번은 손잡이(10a)(10b)가 안쪽으로 오므라들면서 스프링(30)이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한 후 다리를 벌려주고 다시 한번은 손잡이(10a)(10b)를 바깥쪽으로 하여 스프링(30)이 외측으로 절곡되도록 한 후 다리를 벌려주어 원위치시키는 동작을 반복 할 수도 있다.
상기 본 고안은 손잡이(10a)(10b)를 파지한 상태에서 머리 뒤쪽으로 위치되도록 한 후 앞에서 언급한 방법으로 운동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운동구로서 여러 가지 운동을 수행할 수가 있어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싫증이 나지 않도록 하여 하나의 운동구만을 구입하면 보관하면 되므로 비용이 저렴하고 보관공간을 크게 차지하지 않는 동시에 앉은 자리에서도 손쉽게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다목적 운동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앉은 자리에서 간편하게 운동을 할 수 있고, 한개의 운동구로 여러가지 운동을 병행하므로서 신체를 골고루 발달시키는 것은 물론 사용자로 하여금 쉽게 싫증을 느끼지 않도록 한 다목적 운동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Claims (1)

  1. 한쌍의 손잡이(10a)(10b) 일측에는 다수개의 삽지공(22)이 형성된 지지부(20)를 일체로 형성하여 서로 마주보게 한 상태에서 상기 삽지공(22)에 스프링(30)을 삽지하고, 상기 스프링(30)은 지지부(20)를 관통하는 스크류(40)로써 체결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동구.
KR2019970003083U 1997-02-25 1997-02-25 다목적 운동구 KR2001600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083U KR200160098Y1 (ko) 1997-02-25 1997-02-25 다목적 운동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083U KR200160098Y1 (ko) 1997-02-25 1997-02-25 다목적 운동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639U true KR19980058639U (ko) 1998-10-26
KR200160098Y1 KR200160098Y1 (ko) 1999-11-01

Family

ID=19496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3083U KR200160098Y1 (ko) 1997-02-25 1997-02-25 다목적 운동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0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804B1 (ko) * 2006-08-31 2007-03-02 이종길 팔 비틀기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804B1 (ko) * 2006-08-31 2007-03-02 이종길 팔 비틀기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0098Y1 (ko) 199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2901A (en) Exerciser
US8128541B2 (en) Exercise grip device
US6090021A (en) Toy exercise bench
US8951174B2 (en) Core muscle group training equipment and its method of use
US20060052223A1 (en) Personal exercise system
US20060211551A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s
US3884464A (en) Exerciser
US20040077468A1 (en) AB crunch machine
US6932750B1 (en) Exercise stand
US5248287A (en) Exercise device
US5776037A (en) Isometric exercise device
US20090197742A1 (en) Exercise Grip Device
KR101905367B1 (ko) 스쿼트 운동 기구
US6544151B2 (en) Exercise apparatus
US9278253B2 (en) Abdomen exercise bench
WO2016046632A2 (en) Exercise apparatus kit and method
US6843759B2 (en) Exercise device for exercising of the abdominal muscles
US5472400A (en) Push-up exercise apparatus
US20050170939A1 (en) Yoga balance trainer
US20120208683A1 (en) Exercise Grip Device
US6048294A (en) Exercise apparatus
US5993361A (en) Multi-configurable exercise apparatus
WO2020125563A1 (zh) 一种简易型多功能训练器
KR19980058639U (ko) 다목적 운동구
CN209752072U (zh) 深蹲健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