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2821A - 베이킹 오븐 및 이를 위한 봉형 베이킹틀 - Google Patents

베이킹 오븐 및 이를 위한 봉형 베이킹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2821A
KR20130062821A KR1020110129292A KR20110129292A KR20130062821A KR 20130062821 A KR20130062821 A KR 20130062821A KR 1020110129292 A KR1020110129292 A KR 1020110129292A KR 20110129292 A KR20110129292 A KR 20110129292A KR 20130062821 A KR20130062821 A KR 20130062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king
rotating shaft
rod
casing
winding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보윤
Original Assignee
허보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보윤 filed Critical 허보윤
Priority to KR1020110129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2821A/ko
Publication of KR20130062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8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42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baking surfaces moving during the baking
    • A21B1/44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baking surfaces moving during the baking with surfaces rotating in a horizont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13Baking-tins; Baking forms
    • A21B3/131Baking-tins; Baking forms removable, foldable or disposable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13Baking-tins; Baking forms
    • A21B3/133Baking-tins; Baking forms for making bread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13Baking-tins; Baking forms
    • A21B3/135Accessories, e.g. covers, han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형 베이킹틀에 권취된 반죽에 고가열 및 저가열이 반복적으로 이뤄지게 하여 베이킹이 완료된 식품이 특유의 질감을 갖도록 할 수 있는 베이킹 오븐 및 봉형 베이킹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베이킹 오븐은, 회전축봉 및 상기 회전축봉의 중앙측에 동축상으로 고정된 반죽권취롤을 포함하여 구성된 봉형의 베이킹틀; 일측부가 개방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베이킹틀이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지지수단, 상기 회전지지수단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베이킹틀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케이싱; 및 상기 회전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베이킹틀의 반죽권취롤 일측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베이킹열을 가하는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베이킹 오븐 및 이를 위한 봉형 베이킹틀{Baking Oven and Rod-shaped Accessory therefor}
본 발명은 베이킹 오븐 및 봉형 베이킹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봉형 베이킹틀에 권취된 반죽에 고가열 및 저가열이 반복적으로 이뤄지게 하여 베이킹이 완료된 식품이 특유의 질감을 갖도록 할 수 있는 베이킹 오븐 및 봉형 베이킹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다양한 피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기구로서, 열과 함께 피조리물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오븐 속에 가둔 상태에서 고온으로 가열하여 조리함으로써 불로 직접 익히는 다른 식품처럼 강한 열로 인해 타거나 수축하여 굳어지는 일이 없이 식품의 구미와 풍미가 좋은 요리를 만들 수 있도록 한다.
오븐의 가열방식은 크게 가스식과 전기식으로 나뉘는데, 가스식은 하부에서 가열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상부에서도 추가로 열을 가하는 방식이 있으며, 전기식은 보통 상·하부에 각각 히터가 배치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오븐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피조리물 재치대가 평판 고정식으로 되어 피조리물 역시 정지된 상태로 가열되기 때문에 열원에서 가까운 부위와 먼 부위의 가열정도에 차이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조리물 재치대의 바닥면과 접촉되어 있는 피조리물 접촉부위에는 비교적 열전달이 적게 이뤄짐에 따라 피조리물이 균일하게 가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9784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회전판(40) 사이에 복수의 재치부(54)를 설치하여 이들이 일정속도로 회전되는 동안 피조리물이 조리될 수 있도록 한 오븐에 대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회전방식 오븐은, 피조리물과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망체(54b) 내에 피조리물을 넣고 조리하는 방식이므로 옥수수, 고구마, 육류 등과 같은 고형의 피조리물의 조리는 가능하지만, 반죽과 같은 반고형의 피조리물 조리는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재치부(54)의 분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조리가 완료된 조리물을 꺼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손을 직접 오븐의 내부로 넣고 꺼내야 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화상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봉형 베이킹틀에 권취된 반죽에 고가열 및 저가열이 반복적으로 이뤄지게 하여 베이킹이 완료된 식품이 특유의 질감을 갖도록 할 수 있는 베이킹 오븐 및 봉형 베이킹틀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베이킹 오븐은, 회전축봉 및 상기 회전축봉의 중앙측에 동축상으로 고정된 반죽권취롤을 포함하여 구성된 봉형의 베이킹틀; 일측부가 개방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베이킹틀이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지지수단, 상기 회전지지수단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베이킹틀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케이싱; 및 상기 회전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베이킹틀의 반죽권취롤 일측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베이킹열을 가하는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킹틀의 반죽권취롤은, 일측의 반경이 타측의 반경보다 작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킹틀의 반죽권취롤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외주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축봉의 일단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지지수단은, 상기 회전축봉의 양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일측 지지부는 상기 회전축봉의 일단부가 안내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일측벽에 형성된 개방슬롯 및 상기 개방슬롯의 단부에 형성된 지지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타측 지지부는 상기 회전축봉의 타단부가 삽탈가능하게 고정지지되는 고정홈이 구비된 고정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과 고정결합되어 상기 케이싱의 타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고정블록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구비된 제1스프라켓, 상기 제1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된 제2스프라켓, 상기 제2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축봉의 타단부는 단면이 다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의 고정홈은 상기 회전축봉의 타단부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킹틀이 복수개가 구비되고, 각 베이킹틀의 회전축봉 양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복수의 회전지지수단이 구성되되, 일측 지지부는 상기 회전축봉의 일단부가 안내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일측벽에 형성된 개방슬롯 및 상기 개방슬롯의 단부에 형성된 지지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타측 지지부는 상기 회전축봉의 타단부가 삽탈가능하게 고정지지되는 고정홈이 구비된 고정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과 고정결합되어 상기 케이싱의 타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고정블록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각 회전축의 단부에 구비된 제1스프라켓, 상기 각 제1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된 제2스프라켓, 상기 제2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봉형 베이킹틀은, 회전축봉 및 상기 회전축봉의 중앙측에 동축상으로 고정된 반죽권취롤을 포함하여 봉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반죽권취롤의 외표면에 반죽이 감겨진 상태로 발효 또는 베이킹이 이뤄지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반죽권취롤은, 일측의 반경이 타측의 반경보다 작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킹틀의 반죽권취롤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외주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축봉의 일단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봉형 베이킹틀에 권취된 반죽에 고가열 및 저가열이 반복적으로 이뤄지게 하여 베이킹이 완료된 식품이 특유의 질감을 갖도록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봉형 베이킹틀의 반죽권취롤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베이킹이 완료된 식품을 쉽게 빼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봉의 일단부에는 단열재료로 이뤄진 손잡이가 구비되어 화상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봉형 베이킹틀을 이용하여 복수의 반죽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오븐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킹 오븐의 도어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킹 오븐의 도어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킹 오븐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킹 오븐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킹 오븐을 구성하는 봉형 베이킹틀이 고정블록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7a,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킹 오븐을 구성하는 봉형 베이킹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킹 오븐을 구성하는 봉형 베이킹틀에 반죽이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킹 오븐의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킹 오븐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킹 오븐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형 베이킹틀(100), 케이싱(200) 및 히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봉형 베이킹틀(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봉형 베이킹틀(100)은, 도 7a, 도7b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로 형성된 회전축봉(110) 및 상기 회전축봉(110)의 중앙측에 동축상으로 고정된 반죽권취롤(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봉(110)의 일단부에는 손잡이(112)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봉(110)의 타단부는 단면이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봉(110)의 타단부는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112)는 상기 회전축봉(110)을 통해 전달되는 열이 차단될 수 있는 단열재료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죽권취롤(120)은 상기 회전축봉(110)의 양단에서 이격된 중앙측에 상기 회전축봉(110)과 동축상으로 고정된 부분으로서, 나무 재질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반죽권취롤(120)의 외표면에는, 도 8의 (a)와 같이 평평한 형태의 반죽(A)이 감겨 부착되거나 (b)와 같이 가래떡 형태의 반죽(A)이 권취되어 부착된다.
한편, 상기 반죽권취롤(120)은 일측의 반경이 타측의 반경보다 작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테이퍼 형상에 의하여 베이킹이 완료된 식품을 반경이 작은 측으로 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반죽권취롤(120)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외주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7a의 (a)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b)와 같이 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도 7b의 (c)와 같이 십이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b의 (d)와 같이 일측은 육각형 타측은 십이각형으로 형성되어 트위스트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싱(200) 및 히터(3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케이싱(2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되어 상기 봉형 베이킹틀(100)이 수용되는 제1실(S)과 구동수단(230) 및 제어부(240)가 수용되는 제2실(S')로 이뤄진다.
상기 케이싱(200)의 제1실(S)은 전면이 개방되어 상기 봉형 베이킹틀(100)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10)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210)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제1실(S)의 폐쇄시 내부공간을 볼 수 있는 유리재질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싱(200)은 상기 봉형 베이킹틀(100)이 상기 제1실(S)의 내부공간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지지수단(220)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지지수단(220)은, 상기 회전축봉(110)의 양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222, 2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측 지지부(2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봉(110)의 일단부가 안내되도록 상기 케이싱(200)의 제1실(S)의 일측벽(w1)에 형성된 개방슬롯(222a) 및 상기 개방슬롯(222a)의 단부에 형성된 지지걸림턱(222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타측 지지부(224)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봉(110)의 타단부가 삽탈가능하게 고정지지되는 고정홈(h1)이 구비된 고정블록(224a) 및 상기 고정블록(224a)과 고정결합되어 상기 케이싱(200)의 제1실(S)의 타측벽(w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수단(23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고정블록(224a)을 회전시키는 회전축(224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224c)는 상기 케이싱(200)의 제1실(S)의 타측벽(w2)에 구비된 베어링(B)에 축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싱(200)의 제2실(S')은 상기 제1실(S)과 이웃하여 형성되며, 상기 회전지지수단(220)을 구성하는 회전축(224c)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봉형 베이킹틀(100)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230) 및 상기 구동수단(2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4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204)는, 예를 들어, 제2실(S')의 일측벽(w3)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수단(230)은, 상기 회전축(224c)의 단부에 구비된 제1스프라켓(224b), 상기 제1스프라켓(224b)과 체인으로 연결된 제2스프라켓(232), 상기 제2스프라켓(232)을 회전시키기 위해 제2실(S')의 저면에 구비된 구동모터(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실(S')의 전면에는 베이킹 오븐의 동작을 위해 상기 제어부(240)와 연동하는 다수의 조작버튼(204)과 베이킹 오븐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0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블록(224a)의 고정홈(h1)은 상기 회전축봉(110)의 타단부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상기 회전축봉(110)의 타단부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224a)의 고정홈(h1)은 상기 회전축봉(110)의 타단부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봉(110)의 타단부와 상기 고정블록(224a)의 고정홈(h1)의 사이에는 약간의 유격을 두어 상기 회전축봉(110)의 타단부가 상기 고정블록(224a)의 고정홈(h1)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300)는, 상기 회전지지수단(220)에 의해 지지된 봉형 베이킹틀(100)의 반죽권취롤(120) 일측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케이싱(20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베이킹열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히터(300)는 상기 케이싱(200)의 제1실(S)의 타측벽(w2)으로부터 상기 제1실(S)의 내부 후면에 근접하도록 연장형성된 열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봉형 베이킹틀(100), 케이싱(200) 및 히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베이킹 오븐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형 베이킹틀(100)의 반죽권취롤(120) 외주면에 반죽(A)을 부착한 상태에서, 발효기(미도시)이 넣어 일정시간 발효를 시킨다.
상기 발효기는 일반적인 공지의 발효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본 발명의 베이킹 오븐에 구비된 회전지지수단(220)과 같이 상기 발효기 내에 상기 봉형 베이킹틀의 회전축봉(110) 양단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수단 또는 지지프레임을 두어 상기 봉형 베이킹틀(100)에 부착된 반죽(A)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효가 완료된 후, 상기 봉형 베이킹틀(100)의 회전축봉(110) 일단부에 구비된 손잡이(112)를 잡고 상기 회전축봉(110)의 타단부가 상기 고정블록(224a)에 삽입함과 함께 상기 회전축봉(110)의 일단부가 상기 케이싱(200)의 제1실(S)의 일측벽(w1)에 형성된 개방슬롯(222a)을 통해 지지걸림턱(222b)에 걸리도록 위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200)의 제2실(S') 전면에 구비된 다수의 조작버튼(204)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모터(230)가 회전하도록 조작한다. 이때, 상기 다수의 조작버튼을 통해 가열온도, 동작시간, 회전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제1실(S)의 가열온도가 일정값으로 설정된 경우에, 상기 케이싱(200)의 제1실(S) 내에 구비된 온도센서(s1)에 의해 감지된 제1실(S)의 온도에 따라 상기 일정값으로 설정된 제1실(S)의 가열온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히터(3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240)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제1실(S)의 온도를 전달받아 상기 설정된 일정 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히터(300)를 온오프제어하거나 상기 히터(300)의 가열정도를 제어함에 따라 설정된 온도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죽권취롤(120)의 외주면에 반죽(A)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봉(110)이 회전함에 따라 반죽(A)의 베이킹이 이뤄진다.
이때, 상기 반죽권취롤(120)의 외주면에 부착된 반죽(A)은 상기 히터(300)에 근접하여 위치하여 순간적으로 고열을 받는 고가열상태와 상기 히터(300)에서 멀어져 상기 고가열상태에 비해 다소 낮은 열을 받는 저가열상태를 반복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반죽권취롤(120)의 외주면에 부착된 반죽(A)이 고가열상태와 저가열상태를 반복함에 따라 베이킹이 완료된 식품이 특유의 질감을 갖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복수의 봉형 베이킹틀(100)이 구비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봉형 베이킹틀(100), 케이싱(200), 히터(300)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경우와 동일하므로, 복수의 봉형 베이킹틀(100)을 구비하여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하나의 케이싱(200) 내에 복수의 봉형 베이킹틀(100)이 각각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각 봉형 베이킹틀(100)의 회전축봉(110)은 각각의 회전지지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개의 봉형 베이킹틀(100)이 세로 2열, 가로 5열로 배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히터(300)는 세로 2열을 구성하는 봉형 베이킹틀(100)의 사이마다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각 봉형 베이킹틀(100)을 지지하는 각 회전지지수단의 회전축 단부에 구비된 복수의 제1스프라켓(224b)은 구동모터(230)의 제2스프라켓(232)과 체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해 제2스프라켓(232)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체인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1스프라켓(224b)이 회전하게 되어 복수의 봉형 베이킹틀(100)이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가로배열된 봉형 베이킹틀(100)의 수보다 세로배열된 봉형 베이킹틀(100)의 수가 많은 세로형태의 오븐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세로배열된 봉형 베이킹틀(100)의 수보다 가로배열된 봉형 베이킹틀(100)의 수가 많은 가로형태의 오븐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Claims (12)

  1. 회전축봉 및 상기 회전축봉의 중앙측에 동축상으로 고정된 반죽권취롤을 포함하여 구성된 봉형의 베이킹틀;
    일측부가 개방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베이킹틀이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지지수단, 상기 회전지지수단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베이킹틀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케이싱; 및
    상기 회전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베이킹틀의 반죽권취롤 일측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베이킹열을 가하는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오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킹틀의 반죽권취롤은, 일측의 반경이 타측의 반경보다 작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오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킹틀의 반죽권취롤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외주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오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봉의 일단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오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수단은, 상기 회전축봉의 양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일측 지지부는 상기 회전축봉의 일단부가 안내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일측벽에 형성된 개방슬롯 및 상기 개방슬롯의 단부에 형성된 지지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타측 지지부는 상기 회전축봉의 타단부가 삽탈가능하게 고정지지되는 고정홈이 구비된 고정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과 고정결합되어 상기 케이싱의 타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고정블록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오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구비된 제1스프라켓, 상기 제1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된 제2스프라켓, 상기 제2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오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봉의 타단부는 단면이 다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의 고정홈은 상기 회전축봉의 타단부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오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킹틀이 복수개가 구비되고, 각 베이킹틀의 회전축봉 양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복수의 회전지지수단이 구성되되,
    일측 지지부는 상기 회전축봉의 일단부가 안내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일측벽에 형성된 개방슬롯 및 상기 개방슬롯의 단부에 형성된 지지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타측 지지부는 상기 회전축봉의 타단부가 삽탈가능하게 고정지지되는 고정홈이 구비된 고정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과 고정결합되어 상기 케이싱의 타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고정블록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각 회전축의 단부에 구비된 제1스프라켓, 상기 각 제1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된 제2스프라켓, 상기 제2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오븐.
  9. 회전축봉 및 상기 회전축봉의 중앙측에 동축상으로 고정된 반죽권취롤을 포함하여 봉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반죽권취롤의 외표면에 반죽이 감겨진 상태로 발효 또는 베이킹이 이뤄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권취롤은, 일측의 반경이 타측의 반경보다 작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킹틀의 반죽권취롤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외주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틀.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봉의 일단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틀.
KR1020110129292A 2011-12-05 2011-12-05 베이킹 오븐 및 이를 위한 봉형 베이킹틀 KR201300628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292A KR20130062821A (ko) 2011-12-05 2011-12-05 베이킹 오븐 및 이를 위한 봉형 베이킹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292A KR20130062821A (ko) 2011-12-05 2011-12-05 베이킹 오븐 및 이를 위한 봉형 베이킹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821A true KR20130062821A (ko) 2013-06-13

Family

ID=48860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292A KR20130062821A (ko) 2011-12-05 2011-12-05 베이킹 오븐 및 이를 위한 봉형 베이킹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282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76761A (zh) * 2014-04-04 2015-10-14 昆山好烤克食品机械有限公司 隧道式热交换装置
CN105165929A (zh) * 2015-06-26 2015-12-23 常州大学 一种红薯电烘烤装置
CN105211138A (zh) * 2015-10-26 2016-01-06 新疆沃尔汗环保科技有限公司 新型烤炉
CN106665711A (zh) * 2017-03-17 2017-05-17 张彬彬 试管壮馍烘烤炉
CN112693822A (zh) * 2020-12-14 2021-04-23 广东智源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循环上料模块、自动上料机及自动烹饪设备
KR102437539B1 (ko) * 2021-08-09 2022-08-29 양재원 핫도그 제조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76761A (zh) * 2014-04-04 2015-10-14 昆山好烤克食品机械有限公司 隧道式热交换装置
CN105165929A (zh) * 2015-06-26 2015-12-23 常州大学 一种红薯电烘烤装置
CN105211138A (zh) * 2015-10-26 2016-01-06 新疆沃尔汗环保科技有限公司 新型烤炉
CN106665711A (zh) * 2017-03-17 2017-05-17 张彬彬 试管壮馍烘烤炉
CN112693822A (zh) * 2020-12-14 2021-04-23 广东智源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循环上料模块、自动上料机及自动烹饪设备
KR102437539B1 (ko) * 2021-08-09 2022-08-29 양재원 핫도그 제조장치
WO2023018100A1 (ko) * 2021-08-09 2023-02-16 양재원 핫도그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45528B1 (en)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KR20130062821A (ko) 베이킹 오븐 및 이를 위한 봉형 베이킹틀
US20180125293A1 (en) Air frying systems and methods
US5590583A (en) Appliance for making bread and for cooking bagels
KR20090017608A (ko) 상부 가열수단이 상대적으로 작은 수평 토스트 장치
US20140245897A1 (en) Rotisserie convection oven with rotatable cooking drum and method of use
KR101937050B1 (ko) 꼬치구이기
US20090308262A1 (en) Marshmallow Roaster
KR101645564B1 (ko) 회전 드럼식 조리기
KR200169888Y1 (ko) 회전식 고기구이기
KR200433842Y1 (ko) 음식물 구이기
KR101325598B1 (ko) 다목적 회전식 구이기
KR100610271B1 (ko) 회전식 숯불 구이기
KR20160003168U (ko) 누드 군밤 제조장치
JP5965869B2 (ja) 加熱調理器
CN215650623U (zh) 一种食品支撑组件及食品煎烤装置
KR20120007809U (ko) 회전 구이기
JPH07291A (ja) 串刺し食品の焼き上げ装置
JP3074082U (ja) 焼き肉製造装置
KR200242500Y1 (ko) 식품 구이기
KR200374786Y1 (ko) 회전식 숯불 구이기
KR200240862Y1 (ko) 전기 구이기
JP2022132884A (ja) 加熱調理器
JP6736166B2 (ja) 焼きイモ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US20090293738A1 (en) Food Elevator for a Toaster or Gri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