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0907A - 전기차량 및 이의 구동축 진동 저감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차량 및 이의 구동축 진동 저감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0907A
KR20130060907A KR1020110127215A KR20110127215A KR20130060907A KR 20130060907 A KR20130060907 A KR 20130060907A KR 1020110127215 A KR1020110127215 A KR 1020110127215A KR 20110127215 A KR20110127215 A KR 20110127215A KR 20130060907 A KR20130060907 A KR 20130060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orque
motor speed
torque
motor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9221B1 (ko
Inventor
김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27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221B1/ko
Publication of KR20130060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electric machines
    • B60L2240/421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electric machines
    • B60L2240/423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electric machines
    • B60L2240/42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10Emission reduction
    • B60L2270/14Emission reduction of noise
    • B60L2270/145Structure borne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량 및 이의 구동축 진동 저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구동축 진동 저감 제어를 위한 전기차량을 제공한다. 상기 전기차량은, 모터로 제공하기 위한 입력 토크를 생성하는 입력토크 생성부와, 참조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생성된 입력 토크에 대응하는 이상적인 모터 속도를 결정하는 이상적인 모터 속도 결정부와, 상기 결정된 이상적인 모터 속도와 실제 모터 속도를 기반으로 모터 속도 차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모터 속도 차이에 대응하는 보정 토크를 생성하는 보정토크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보정 토크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 토크를 보정하는 입력토크 보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차량 및 이의 구동축 진동 저감 제어 방법{ELECTRIC VEHICLE AND VIBRATION REDUCTION CONTROL METHOD IN DRIVE SHAFT THEREOF}
본 발명은 전기차량 및 이의 구동축 진동 저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량은 내연기관(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순수한 전기 동력에 의존하여 구동되는 차량으로서, 배터리 전력으로 구동되는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력을 얻는 차량을 의미한다.
상기 전기차량에서는 모터의 회전속도 완충 요소(예를 들어, 토크 컨버터) 부재 등 여러 가지 이유로 구동축 진동이 발생한다. 상기 전기차량에서 모터의 회전속도 완충 요소가 배제된 이유는 전기에너지의 손실을 줄이기 위함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빠른 속도를 위해 가속 페달을 강하게 밟는 경우, 이는 모터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지만, 회전속도 완충 요소가 존재하지 않아 모터의 회전속도는 구동축에 그대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모터의 빠른 회전속도를 구동축이 따라오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축이 비틀려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전기차량의 구동축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제어 방안이 요구된다.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전기차량 및 이의 구동축 진동 저감 제어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태양은, 구동축 진동 저감 제어를 위한 전기차량을 제공한다. 상기 전기차량은, 모터로 제공하기 위한 입력 토크를 생성하는 입력토크 생성부와, 참조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생성된 입력 토크에 대응하는 이상적인 모터 속도를 결정하는 이상적인 모터 속도 결정부와, 상기 결정된 이상적인 모터 속도와 실제 모터 속도를 기반으로 모터 속도 차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모터 속도 차이에 대응하는 보정 토크를 생성하는 보정토크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보정 토크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 토크를 보정하는 입력토크 보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은, 전기차량의 구동축 진동 저감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구동축 진동 저감 제어 방법은, 모터로 제공하기 위한 입력 토크를 생성하는 과정과, 참조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생성된 입력 토크에 대응하는 이상적인 모터 속도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이상적인 모터 속도와 실제 모터 속도를 기반으로 모터 속도 차이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모터 속도 차이에 대응하는 보정 토크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보정 토크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 토크를 보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기차량 및 이의 구동축 진동 저감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차량의 제어 구성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차량의 구동축 진동 저감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참조 모델의 입력 토크 변화에 따른 반응성을 도시한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적용하였을 경우 시간에 따른 이상적인 모터 속도와 실제 모터 속도 간 차이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전기차량 및 이의 구동축 진동 저감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은 원하는 이상적인 반응성을 보이는 참조 모델을 설정하여 실제 차량의 반응성이 참조 모델을 따라가도록 제어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차량의 제어 구성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차량은, 입력토크 생성부(100), 이상적인 모터속도 결정부(110), 실제 모터속도 결정부(120), 보정토크 생성부(130), 입력토크 보정부(140), 인버터(150), 모터(160)를 포함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입력토크 생성부(100)는 모터(160)로 제공하기 위한 입력 토크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입력 토크를 이상적인 모터속도 결정부(110)와 입력토크 보정부(140)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 토크는, 가속(accelerator) 정보, 제동(brake) 정보, 차량 상태 정보 등을 기반으로 차량제어모듈(VCM: Vehicle Control Module)에 의해 생성된 참조 토크에, 차량을 움직이기 위한 최소한의 기동 토크를 가감함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상태 정보는, 차량 속도, 배터리 잔량, 배터리 전압, 배터리 온도, 모터 온도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이상적인 모터속도 결정부(110)는 참조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생성된 입력 토크에 대응하는 이상적인 모터 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이상적인 모터 속도를 보정토크 생성부(130)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참조 모델은 입력 토크 변화에 대하여 원하는 이상적인 반응성을 보이는 모델로서, 도 3과 같이, 급가속 또는 급제동 등에 의해 입력 토크가 급하게 변하더라도 목표 모터 속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구동축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는 모델로 선정한다.
상기 실제 모터속도 결정부(120)는 상기 입력토크 생성부(100)에 의해 생성된 입력 토크가 입력토크 보정부(140), 인버터(150)를 거쳐 모터(160)로 제공됨에 따라 상기 모터(160)에서 발생하게 되는 실제 모터 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실제 모터 속도를 보정토크 생성부(130)로 제공한다.
상기 보정토크 생성부(130)는 상기 결정된 이상적인 모터 속도와 실제 모터 속도를 기반으로 모터 속도 차이를 결정하고, 이와 같은 모터 속도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모터 속도 차이에 대응하는 보정 토크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보정 토크를 입력토크 보정부(140)로 제공한다.
상기 입력토크 보정부(140)는 상기 생성된 보정 토크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 토크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입력 토크를 인버터(150)로 제공한다.
상기 인버터(150)는 상기 보정된 입력 토크에 대응하는 전류를 발생하여 모터(160)로 제공한다.
상기 모터(160)는 상기 발생된 전류에 의해 구동되어, 전기차량을 구동시키는 동력을 발생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차량의 구동축 진동 저감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전기차량은 201단계에서 모터로 제공하기 위한 입력 토크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 토크는, 가속(accelerator) 정보, 제동(brake) 정보, 차량 상태 정보 등을 기반으로 차량제어모듈(VCM: Vehicle Control Module)에 의해 생성된 참조 토크에, 차량을 움직이기 위한 최소한의 기동 토크를 가감함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상태 정보는, 차량 속도, 배터리 잔량, 배터리 전압, 배터리 온도, 모터 온도 등을 포함한다.
이후, 상기 전기차량은 203단계에서 참조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생성된 입력 토크에 대응하는 이상적인 모터 속도를 결정한다.
이후, 상기 전기차량은 205단계에서 상기 결정된 이상적인 모터 속도와 실제 모터 속도를 기반으로 모터 속도 차이를 결정한다. 즉, 상기 결정된 이상적인 모터 속도와 실제 모터 속도의 차이를 결정한다.
이후, 상기 전기차량은 207단계에서 이상적인 모터 속도와 실제 모터 속도 간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모터 속도 차이에 대응하는 보정 토크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전기차량은 모터 속도 차이별 보정 토크가 정의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결정된 모터 속도 차이에 대응하는 보정 토크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기차량은 209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보정 토크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 토크를 보정한다. 즉, 상기 입력 토크에 보정 토크를 가감함으로써, 상기 입력 토크를 보정한다.
이후, 상기 전기차량은 211단계에서 상기 보정된 입력 토크에 대응하는 전류를 발생한다.
이후, 상기 전기차량은 213단계에서 상기 발생된 전류로 모터를 구동한다.
이후, 상기 전기차량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적용하였을 경우 시간에 따른 이상적인 모터 속도와 실제 모터 속도 간 차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과 같이 참조 모델을 기반으로 모터로 제공되는 입력 토크를 보정하였을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상적인 모터 속도와 실제 모터 속도 간 차이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참조 모델과 실제 차량이 동일한 모터 속도를 출력하게 됨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실제 차량은, 참조 모델과 같이, 입력 토크가 급하게 변하더라도 목표 모터 속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구동축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는 모터 속도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하는 이상적인 반응성을 보이는 참조 모델을 설정하여 실제 차량의 반응성이 참조 모델을 따라가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외란(disturbance) 및 차량 질량 변화에 강인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입력토크 생성부
110: 이상적인 모터속도 결정부
120: 실제 모터속도 결정부
130: 보정토크 생성부
140: 입력토크 보정부
150: 인버터
160: 모터

Claims (6)

  1. 모터로 제공하기 위한 입력 토크를 생성하는 입력토크 생성부와,
    참조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생성된 입력 토크에 대응하는 이상적인 모터 속도를 결정하는 이상적인 모터 속도 결정부와,
    상기 결정된 이상적인 모터 속도와 실제 모터 속도를 기반으로 모터 속도 차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모터 속도 차이에 대응하는 보정 토크를 생성하는 보정토크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보정 토크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 토크를 보정하는 입력토크 보정부를 포함하는 전기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된 입력 토크에 대응하는 전류를 발생하여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토크는, 가속(accelerator) 정보, 제동(brake) 정보, 차량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생성하는 전기차량.
  4. 모터로 제공하기 위한 입력 토크를 생성하는 과정과,
    참조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생성된 입력 토크에 대응하는 이상적인 모터 속도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이상적인 모터 속도와 실제 모터 속도를 기반으로 모터 속도 차이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모터 속도 차이에 대응하는 보정 토크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보정 토크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 토크를 보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기차량의 구동축 진동 저감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된 입력 토크에 대응하는 전류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발생된 전류로 모터를 구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전기차량의 구동축 진동 저감 제어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토크는, 가속(accelerator) 정보, 제동(brake) 정보, 차량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생성하는 전기차량의 구동축 진동 저감 제어 방법.
KR1020110127215A 2011-11-30 2011-11-30 전기차량 및 이의 구동축 진동 저감 제어 방법 KR101289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215A KR101289221B1 (ko) 2011-11-30 2011-11-30 전기차량 및 이의 구동축 진동 저감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215A KR101289221B1 (ko) 2011-11-30 2011-11-30 전기차량 및 이의 구동축 진동 저감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907A true KR20130060907A (ko) 2013-06-10
KR101289221B1 KR101289221B1 (ko) 2013-07-29

Family

ID=48859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215A KR101289221B1 (ko) 2011-11-30 2011-11-30 전기차량 및 이의 구동축 진동 저감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922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6489B2 (en) 2013-10-10 2016-04-05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otor of environmentally-friendly vehicle
US9925891B2 (en) 2015-08-12 2018-03-27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reducing drive shaft vibration of eco-friendly vehicle
CN108032768A (zh) * 2017-10-16 2018-05-15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抑制车身抖动的控制方法、系统及汽车
KR20200000068A (ko) * 2018-06-22 2020-01-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자동차의 구동 토크 지령 생성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591B1 (ko) * 2014-11-26 2016-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토크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65741A (ko) * 2016-12-08 2018-06-18 주식회사 앤앤씨모터스 고성능 네트워크 차량의 vcu를 이용한 연산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7302A (ko) * 2005-09-06 2007-03-09 이현식 모델 기반 비례적분 제어기를 이용한 직류모터의 속도제어방법
KR20080091530A (ko) * 2007-04-09 2008-10-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주행 제어 방법
KR101091484B1 (ko) * 2009-09-25 2011-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충격 개선 장치 및 방법
KR101117970B1 (ko) * 2009-11-06 2012-02-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안티 저크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6489B2 (en) 2013-10-10 2016-04-05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otor of environmentally-friendly vehicle
US9925891B2 (en) 2015-08-12 2018-03-27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reducing drive shaft vibration of eco-friendly vehicle
CN108032768A (zh) * 2017-10-16 2018-05-15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抑制车身抖动的控制方法、系统及汽车
KR20200000068A (ko) * 2018-06-22 2020-01-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자동차의 구동 토크 지령 생성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9221B1 (ko) 2013-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221B1 (ko) 전기차량 및 이의 구동축 진동 저감 제어 방법
JP5310940B1 (ja) ハイブリッドシステムの制御装置
KR101588790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 제어 장치
WO2015059784A1 (ja) モータ制御装置およびモータ制御方法
JP3830371B2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エネルギー制御方法
JP4587121B2 (ja) 補機付きの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003284207A (ja) トルク変動制御装置及びトルク変動制御プログラム
KR100494919B1 (ko) 병렬형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모터 제어방법 및 그제어장치
JPWO2012105042A1 (ja) ハイブリッド車両
US20150088355A1 (en) Method for shutting of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1565591B2 (en) Method of generating virtual vibration effect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electric vehicle
JP3748397B2 (ja) 電気自動車の制御装置
JP5571183B2 (ja) 少なくとも1つの駆動機構を調整する方法
KR101461909B1 (ko) 친환경 자동차의 모터 제어 시스템
JP2003333710A (ja)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KR101171831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pid 피드백 제어 시스템
JP2007126968A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CN110155033B (zh) 混合动力车辆的控制装置以及控制方法
JP6036292B2 (ja) 車両用制御装置
JP7052257B2 (ja) 車両の制御装置
KR101664704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클러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10011437A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pid 피드백 제어 신호 보정 방법 및 시스템
JP6341135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2006033969A (ja) ハイブリッド車の制御装置
JP7356400B2 (ja) 車両用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