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326A -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326A
KR20130057326A KR1020110123174A KR20110123174A KR20130057326A KR 20130057326 A KR20130057326 A KR 20130057326A KR 1020110123174 A KR1020110123174 A KR 1020110123174A KR 20110123174 A KR20110123174 A KR 20110123174A KR 20130057326 A KR20130057326 A KR 20130057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drum
charging roller
contact
separating member
develop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5967B1 (ko
Inventor
김종인
김성기
안동철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3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967B1/ko
Priority to US13/478,216 priority patent/US8706006B2/en
Priority to CN201210482744.2A priority patent/CN103135406B/zh
Publication of KR20130057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 G03G15/02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by bringing a charg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member to be charged, e.g. roller, brush charg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4Details of parts of process cartridge, e.g. for charging, transfer, cleaning, develop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현상기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되는 현상기로서, 감광드럼과, 감광드럼에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감광드럼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와, 대전롤러를 감광드럼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위치와 대전롤러를 감광드럼에 접촉시키는 제2위치로 회동되는 분리부재를 포함한다. 분리부재는 대전롤러의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몸체와,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감광드럼의 표면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접촉부에는 고무로 된 마찰부재가 마련된다.

Description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감광체에 토너를 공급하여 현상시키는 현상롤러를 구비하는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체에 조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키고, 이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여 정착시킴으로써 기록매체에 화상을 인쇄한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토너가 수용된 현상기를 구비한다.
토너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카트리지를 '현상기'라 한다. 현상기는 내부에 수용된 토너가 모두 소비된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탈거되고, 새로운 현상기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다.
현상기에는 감광체를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롤러가 마련된다. 대전롤러는 감광체에 접촉된다.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기 전 또는 현상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기 전에 대전롤러가 감광체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면, 대전롤러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또한, 도전성 고무로 된 대전롤러의 변질로 인하여 감광체의 감광층이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감광체와 대전롤러를 선택적으로 접촉/이격시킬 수 있는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취급과정에서의 충격에 의하여 대전롤러가 감광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접촉된 위치로 전환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감광체의 회전에 의하여 대전롤러가 용이하게 감광체로부터 이격된 위치로부터 감광체에 접촉된 위치로 전환될 수 있는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현상기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되는 현상기로서, 감광드럼; 상기 감광드럼에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 상기 대전롤러를 상기 감광드럼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위치와 상기 대전롤러를 상기 감광드럼에 접촉시키는 제2위치로 회동되는 분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대전롤러의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에 접촉되어 상기 대전롤러를 상기 감광드럼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에는 고무로 된 마찰부재가 마련된다.
상기 마찰부재의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과의 접촉되는 면은 오목한 곡면일 수 있다.
상기 현상기는, 상기 대전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축지지부재; 상기 대전롤러가 상기 감광드럼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축지지부재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축지지부재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축지지부재에 의하여 상기 대전롤러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현상기는 상기 축지지부재의 상기 가압력의 반대방향으로의 후퇴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축지지부재의 상기 가압력의 반대방향의 단부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와 상기 축지지부재와의 단부와의 간격은 상기 대전롤러의 회전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마찰부재의 최대 반경과 최소 반경의 차이에 0.5mm를 더한 값 이내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된 레버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현상기의 하우징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레버부를 조작하여 상기 분리부재를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로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버부에 액세스할 수 있는 조작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레버부는 상기 분리부재가 상기 제1,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현상기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되는 현상기로서, 감광드럼; 상기 감광드럼에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 상기 대전롤러를 상기 감광드럼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위치와 상기 대전롤러를 상기 감광드럼에 접촉시키는 제2위치로 회전되는 분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대전롤러의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에 접촉되어 상기 대전롤러를 상기 감광드럼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접촉부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된 레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기의 하우징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레버부를 조작하여 상기 분리부재를 상기 제2위치로부터 상기 제1위치로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버부에 액세스할 수 있는 조작홈이 마련된다.
상기 현상기의 하우징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레버부를 조작하여 상기 분리부재를 상기 제2위치로부터 상기 제1위치로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버부에 액세스할 수 있는 조작홈이 마련된 현상기.
상기 레버부는 상기 분리부재가 상기 제1,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현상기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되는 현상기로서, 감광드럼; 상기 감광드럼에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 상기 대전롤러를 상기 감광드럼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위치와 상기 대전롤러를 상기 감광드럼에 접촉시키는 제2위치로 회동되는 분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대전롤러의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에 접촉되어 상기 대전롤러를 상기 감광드럼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에는 마찰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마찰부재의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과의 접촉되는 면은 오목한 곡면이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상술한 현상기를 포함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인쇄한다.
상술한 현상기 및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감광드럼과 분리부재와의 접촉위치에 고무로 된 마찰부재를 배치함으로써 현상기의 취급 과정에서 충격에 의하여 분리부재의 위치가 전환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현상기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때에는 감광드럼이 회전됨에 따라 분리부재가 용이하게 회전되어 대전롤러가 감광드럼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둘째, 현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조작 홈을 통하여 분리부재의 레버부를 조작하여 대전롤러를 감광드럼에/으로부터 접촉/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검사 공정 후에 대전롤러를 감광드럼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하여 현상기를 분해할 필요가 없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3은 대전롤러와 감광드럼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대전롤러와 감광드럼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분리부재가 대전롤러를 감광드럼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분리부재가 대전롤러를 감광드럼에 접촉시키는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분리부재의 접촉부의 상세도.
이하, 도면들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 및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된 현상기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현상기(100)는 감광드럼(1)과 현상롤러(3)를 구비하는 현상기이다.
도 2를 보면, 감광드럼(1)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로서, 원통형 금속 파이프의 외주에 광도전성을 가지는 감광층이 형성된 것이다. 대전롤러(2)는 감광드럼(1)의 그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2)에는 대전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대전롤러(2) 대신에 코로나 대전기(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다. 현상롤러(3)는 토너를 감광드럼(1)의 표면에 형성되는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현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현상롤러(3)에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되면 현상롤러(3)의 표면으로부터 토너가 감광드럼(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되어 부착된다. 현상롤러(3)는 감광드럼(1)에 접촉되어 현상닙을 형성하거나 또는 감광드럼(1)과 현상갭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현상기(100)에는 토너를 현상롤러(3)에 부착시키기 위한 공급롤러(4)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공급롤러(4)에는 토너를 현상롤러(3)로 부착시키기 위하여 공급바이어스가 인가될 수 있다. 참조부호 5는 현상롤러(3)의 표면에 부착되는 토너의 양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재를 표시한다. 규제부재(5)는 예를 들어 그 선단이 현상롤러(3)에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되는 규제 블레이드일 수 있다. 참조부호 6은 대전 전에 감광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잔류토너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부재를 표시한다. 클리닝 부재(6)는 예를 들어 그 선단이 감광드럼(1)의 표면에 접촉되는 클리닝 블레이드일 수 있다. 이하에서, 감광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을 폐토너로 지칭한다.
현상기(100)는 토너 수용부(10)와 폐토너 수용부(11)를 구비한다. 폐토너 수용부(11)에는 감광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폐토너가 수용된다. 토너 수용부(10)에는 토너가 수용된다. 토너 수용부(10)에는 교반기(7)가 설치된다. 교반기(7)는 토너를 현상롤러(3)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교반기(7)는 토너를 휘저어 토너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도 2에는 하나의 교반기(7)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토너 수용부(10)의 용적이나 형태를 감안하여 효과적으로 토너를 현상롤러(3)로 공급하기 위하여 토너 수용부(10)에는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수의 교반기(7)가 설치될 수 있다. 교반기(7)의 형태는 회전축에 하나 또는 다수의 유연한 필름 형태의 교반날개가 마련된 형태일 수 있다. 또,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교반기(7)는 나선형 교반날개를 구비하는 오거(auger)일 수도 있다. 교반기(7)는 토너를 현상롤러(3)로 이송시키는 한편, 토너를 교반하여 토너를 마찰대전시킨다.
하우징(90)은 토너 수용부(10)와 폐토너 수용부(11)를 형성하며, 감광체(1), 대전롤러(2), 현상롤러(3), 공급롤러(4), 교반기(7) 등 현상기(100)를 구성하는 부재들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역할을 한다. 감광드럼(1)은 개구(95)를 통하여 그 외주의 일부가 하우징(90) 외부로 노출된다.
하우징(90)은 제1, 제2프레임(91)(9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91)에는 감광드럼(1), 대전롤러(2), 및 클리닝 부재(6)가 지지되며, 폐토너 수용부(11)가 마련된다. 제2프레임(92)에는 현상롤러(3), 공급롤러(4), 규제부재(5), 및 교반기(7)가 지지되며, 토너 수용부(10)가 마련된다. 제1프레임(91)의 하부벽(93)과 제2프레임(92)의 상부벽(94)은 서로 이격되며, 그 사이로 감광드럼(1)을 노광시키기 위하여 노광기(도 1의 200)로부터 주사되는 광(L)이 입사되는 광로(12)가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현상기(100)는 도어(701)를 통하여 화상형성장치 본체(700)에 장착된다. 현상기(100)가 본체(700)에 장착되면, 본체(700)에 마련된 구동수단(미도시)은 현상기(100)와 연결되어, 감광체(1), 대전롤러(2), 현상롤러(3), 공급롤러(4), 교반기(7) 등 현상기(100)를 구성하는 부재들을 회전시킨다.
노광기(200)는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드럼(1)의 표면에 주사한다. 노광기(200)로서, 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폴리곤미러를 이용하여 주주사방향으로 편향시켜 감광드럼(1)에 주사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채용될 수 있다.
전사롤러(300)는 감광드럼(1)의 표면과 대면되게 위치되어 전사닙을 형성하는 전사기의 일 예이다. 전사롤러(300)에는 감광드럼(1)의 표면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전사롤러(300)대신에 코로나 전사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전사롤러(300)에 의하여 기록매체(P)의 표면으로 전사된 토너화상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기록매체(P)의 표면에 유지된다. 정착기(400)는 토너화상이 열과 압력을 가하여 기록매체(P)에 정착시킴으로써 기록매체(P)에 영구적인 인쇄화상을 형성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화상형성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대전롤러(2)에 대전바이어스가 인가되고, 감광드럼(1)은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노광기(200)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현상기(100)에 마련된 광로(12)을 통하여 감광드럼(1)으로 주사하여, 감광드럼(1)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토너는 교반기(7)에 의하여 공급롤러(4) 쪽으로 이송되며, 공급롤러(4)는 토너를 현상롤러(3)의 표면에 부착시킨다. 규제부재(5)는 현상롤러(3)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의 토너층을 형성시킨다. 현상롤러(3)에는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된다. 현상롤러(3)가 회전됨에 따라 현상닙(D)으로 운반된 토너는 현상바이어스에 의하여 감광드럼(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되어 부착되어 감광드럼(1)의 표면에는 가시적인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픽업롤러(502)에 의하여 적재수단(501)으로부터 인출된 기록매체(P)는 이송롤러(503)에 의하여 전사롤러(300)와 감광드럼(1)이 대면된 전사닙으로 이송된다. 전사롤러(300)에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되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토너화상은 기록매체(P)로 전사된다. 기록매체(P)로 전사된 토너화상이 정착기(400)로부터 열과 압력을 받아 기록매체(P)에 정착됨으로써 인쇄가 완료된다. 기록매체(P)는 배출롤러(504)에 의하여 배출된다. 기록매체(P)로 전사되지 않고 감광드럼(1)의 표면에 잔류되는 토너는 클리닝 부재(6)에 의하여 제거되어, 폐토너 수용부(11)에 수용된다.
대전롤러(2)는 감광드럼(1)에 접촉되어 회전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대전롤러(2)는 예를 들어 금속으로 된 회전축(21)과 이 회전축(21)의 외주에 마련되는 도전성 고무층(22)을 포함할 수 있다. 감광드럼(1)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바이어스 전압은 회전축(21)을 통하여 인가될 수 있다. 회전축(21)의 양단부에는 축지지부재(31)가 결합된다. 축지지부재(31)는 예를 들어 몰드 베어링 또는 오일이 함유된 소결베어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32)는 대전롤러(2)가 감광드럼(1)에 접촉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축지지부재(31)에 가한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32)는 일단과 타단이 각각 하우징(90)과 축지지부재(31)에 지지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축지지부재(31)는 예를 들어 하우징(90)에 마련된 지지부(41)에 의하여 안내될 수 있다. 축지지부재(31)가 지지부(41)에 의하여 안내되어 탄성부재(32)의 탄성력에 의하여 감광드럼(1)을 향하여 슬라이딩됨으로써, 대전롤러(2)가 감광드럼(1)에 접촉될 수 있다.
현상기(100)는 소모품으로서 화상형성장치와는 별도로 포장되거나 또는 화상형성장치와 함꼐 포장되어 유통된다. 이때 대전롤러(2)와 감광드럼(1)이 접촉되어 있으면, 탄성부재(32)의 가압력에 의하여 대전롤러(2)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대전롤러(2)를 구성하는 도전성 고무층(22)이 변질되면서 감광드럼(1) 표면의 감광층을 손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감광층이 손상되면 인쇄된 화상에 가로 방향의 줄무늬가 생기는 인쇄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통 과정에서 대전롤러(2)를 감광드럼(1)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대전롤러(2)와 감광드럼(1)을 이격시키는 분리부재(50)가 도시되어 있다. 분리부재(50)는 대전롤러(2)의 회전축(21)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통공(52)을 구비하는 몸체(51)와, 상기 몸체(51)로부터 연장된 접촉부(53)를 구비한다. 접촉부(53)에는 마찰부재(54)가 마련될 수 있다. 마찰부재(54)는 예를 들어 고무(rubber)일 수 있다. 몸체(51)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마찰부재(54)는 몸체(51)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부재(50)는 축지지부재(31)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회전축(21)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분리부재(50)가 회전축(21)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축지지부재(31)가 분리부재(50)의 회전축(21)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부재(50)가 마찰부재(54)가 감광드럼(1)의 표면에 접촉된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는, 탄성부재(32)가 압축되면서 대전롤러(2)는 감광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현상기(100)를 화상형성장치 본체(700)에 장착하고, 화상형성을 위하여 감광드럼(1)이 회전되면, 마찰부재(54)와 감광드럼(1)의 표면의 마찰력에 의하여 분리부재(50)가 대전롤러(2)의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2위치로 전환된다. 마찰부재(54)와 감광드럼(1)과의 접촉이 종료되면 대전롤러(2)는 탄성부재(32)의 탄성력에 의하여 밀려 감광드럼(1)에 접촉된다.
현상기(100)가 포장된 상태에서 유통되는 과정에서 충격을 받을 수 있다. 이 충격에 의하여 분리부재(50)가 제2위치로 전환되면 대전롤러(2)가 감광드럼(1)과 접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현상기(100)에 따르면, 분리부재(50)가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감광드럼(1)과 대면되는 접촉부(53)에 고무로 된 마찰부재(54)가 마련된다. 고무의 마찰력은 분리부재(50)의 재료가 되는 플라스틱의 마찰력보다 크다. 그러므로, 다소간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분리부재(50)가 용이하게 제2위치로 전환되지 않으며, 제1위치로 유지될 수 있다.
현상기(100)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분리부재(50)가 제2위치로 전환되지 않더라도, 탄성부재(32)가 다소간 압축되었다가 다시 회복될 때에 분리부재(50)가 감광드럼(1)에 충격을 가할 수 있는데, 고무로 된 마찰부재(54)는 탄성이 있어 감광드럼(1)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이는 완충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감광드럼(1)의 표면에 형성된 감광층의 충격에 의한 손상위험을 줄일 수 있다.
고무로 된 마찰부재(54)는 마찰력이 크므로 감광드럼(1)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감광드럼(1)이 회전되면 용이하게 감광드럼(1)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고무로 된 마찰부재(54)는 현상기(100)가 화상형성장치 본체(700)에 장착되어 감광드럼(1)이 회전될 때에 분리부재(50)가 용이하게 제2위치로 전환되는데에도 도움이 된다.
감광드럼(1)의 표면에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마찰부재(54)의 감광드럼(1)의 표면과 대향하는 면은 오목한 곡면일 수 있으며, 감광드럼(1)의 표면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일 수 있다.
현상기(100)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분리부재(50)가 제2위치로 전환되는 위험을 더욱 줄이기 위하여, 축지지부재(31)의 탄성부재(32)의 가압력의 반대방향으로의 후퇴거리를 제한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90), 상세하게는 지지부(41)에 스토퍼(42)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42)는 축지지부재(31)의 가압력의 반대방향의 단부(33)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축지지부재(31)의 단부(33)와 스토퍼(42)의 간격(G)은 분리부재(50)가 충격에 의하여 회전되어 제2위치로 전환되지 않도록 하고 또 감광드럼(1)이 회전될 때에 분리부재(50)가 용이하게 제2위치로 전환되도록 하기 위한 적절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간격(G)가 지나치게 크면 충격에 의한 분리부재(50)의 회전을 방지하기 어려우며 지나치게 작으면 감광드럼(1)이 회전될 때에 분리부재(50)가 제2위치로 전환되기 어렵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간격(G)은 대전롤러(2)의 회전축(21)의 중심(C)을 기준으로 하여 마찰부재(54)의 최대 반경(R2)와 최소 반경(R1)과의 차이에 약 0.5mm를 더한 값 이내로 설정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분리부재(50)에는 몸체(51)로부터 연장된 레버부(55)가 마련될 수 있다. 레버부(55)는 분리부재(51)를 수동으로 제1, 제2위치로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현상기(100)의 제조 공정에는 현상기(100)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공정이 포함된다. 검사 공정에서는 대전롤러(2)를 감광드럼(1)에 접촉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90)에는 레버부(55)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개구된 조작홈(96)이 마련될 수 있다. 조작홈(96)은 예를 들어 제1프레임(91)의 상부벽으로부터 내부로 몰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레버부(55)는 조작홈(96)의 내부에 위치된다. 작업자는 검사 공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레버부(55)를 조작하여 분리부재(50)를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다. 물론, 검사를 위하여 감광드럼(1)을 회전시키면 분리부재(50)가 제2위치로 전환되기 때문에 수동으로 분리부재(50)를 제2위치로 전환시키지 않아도 된다. 검사 공정이 완료되면 포장하기 전에 대전롤러(2)를 제1위치로 전환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조작홈(96)을 통하여 레버부(55)를 조작하여 분리부재(50)를 제1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레버부(55)와 이에 액세스할 수 있는 조작홈(96)을 마련함으로써, 검사 공정 후에 대전롤러(2)를 감광드럼(1)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하여 현상기(100)의 일부를 분해할 필요가 없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생산 공정, 포장 공장 등에서 비의도적으로 분리부재(50)의 위치가 전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분리부재(50)가 제1,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분리부재(50)의 레버부(55)는 하우징(9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레버부(55)는 조작 홈(96)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현상기(100)를 구비하는 단색 화상형성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를 수용한 4개의 현상기(100)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감광드럼 2...대전롤러
21...회전축 22...도전성 고무층
3...현상롤러 4...공급롤러
5...규제부재 6...클리닝 부재
7...교반기 10...토너 수용부
11...폐토너 수용부 12...광로
31...축지지부재 32...탄성부재
41...지지부 42...스토퍼
50...분리부재 51...몸체
54...마찰부재 55...레버부
90...하우징 91...제1프레임
92...제2프레임 96...조작 홈
100...현상기 200...노광기
300...전사롤러 400...정착기
700...본체 701...도어

Claims (14)

  1.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되는 현상기로서,
    감광드럼;
    상기 감광드럼에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
    상기 대전롤러를 상기 감광드럼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위치와 상기 대전롤러를 상기 감광드럼에 접촉시키는 제2위치로 회동되는 분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대전롤러의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에 접촉되어 상기 대전롤러를 상기 감광드럼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에는 고무로 된 마찰부재가 마련된 현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의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과의 접촉되는 면은 오목한 곡면인 현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축지지부재;
    상기 대전롤러가 상기 감광드럼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축지지부재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축지지부재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축지지부재에 의하여 상기 대전롤러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 현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부재의 상기 가압력의 반대방향으로의 후퇴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현상기.
  5. 제4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축지지부재의 상기 가압력의 반대방향의 단부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는 현상기.
  6. 제5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와 상기 축지지부재와의 단부와의 간격은 상기 대전롤러의 회전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마찰부재의 최대 반경과 최소 반경의 차이에 0.5mm를 더한 값 이내로 설정되는 현상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된 레버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현상기의 하우징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레버부를 조작하여 상기 분리부재를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로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버부에 액세스할 수 있는 조작홈이 마련된 현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분리부재가 상기 제1,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현상기.
  9.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되는 현상기로서,
    감광드럼;
    상기 감광드럼에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
    상기 대전롤러를 상기 감광드럼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위치와 상기 대전롤러를 상기 감광드럼에 접촉시키는 제2위치로 회전되는 분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대전롤러의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에 접촉되어 상기 대전롤러를 상기 감광드럼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접촉부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된 레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기의 하우징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레버부를 조작하여 상기 분리부재를 상기 제2위치로부터 상기 제1위치로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버부에 액세스할 수 있는 조작홈이 마련된 현상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분리부재가 상기 제1,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현상기.
  11.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되는 현상기로서,
    감광드럼;
    상기 감광드럼에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
    상기 대전롤러를 상기 감광드럼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위치와 상기 대전롤러를 상기 감광드럼에 접촉시키는 제2위치로 회동되는 분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대전롤러의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에 접촉되어 상기 대전롤러를 상기 감광드럼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에는 마찰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마찰부재의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과의 접촉되는 면은 오목한 곡면인 현상기.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기;를 포함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재에는 레버부가 마련되며,
    상기 현상기의 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레버부를 조작하여 상기 분리부재를 상기 제1, 제2위치로부터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레버부에 액세스할 수 있는 조작홈이 마련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분리부재가 상기 제1,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20110123174A 2011-11-23 2011-11-23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KR101385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174A KR101385967B1 (ko) 2011-11-23 2011-11-23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13/478,216 US8706006B2 (en) 2011-11-23 2012-05-23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201210482744.2A CN103135406B (zh) 2011-11-23 2012-11-23 显影装置以及包括该显影装置的图像形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174A KR101385967B1 (ko) 2011-11-23 2011-11-23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326A true KR20130057326A (ko) 2013-05-31
KR101385967B1 KR101385967B1 (ko) 2014-04-17

Family

ID=48427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174A KR101385967B1 (ko) 2011-11-23 2011-11-23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06006B2 (ko)
KR (1) KR101385967B1 (ko)
CN (1) CN1031354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7675A (ko) * 2008-10-29 2010-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피대전체용 대전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
JP6465667B2 (ja) * 2015-01-22 2019-02-06 キヤノン株式会社 感光体ユニット
US9760059B2 (en) * 2015-01-22 2017-09-12 Canon Kabushiki Kaisha Photosensitive member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6634761B2 (ja) * 2015-09-25 2020-01-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帯電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282586B2 (ja) * 2019-04-25 2023-05-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392347B2 (ja) * 2019-09-24 2023-12-0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349875B2 (ja) * 2019-10-16 2023-09-25 シャープ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3097634A (ja) * 2021-12-28 2023-07-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3987A (ja) * 1993-03-23 1994-09-30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280809B2 (ja) * 1994-03-14 2002-05-1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KR0163809B1 (ko) * 1994-09-01 1999-03-20 켄지 히루마 화상형성장치
US5666608A (en) * 1996-05-02 1997-09-09 Hewlett-Packard Company Charging member and image forming member spacer apparatus
JP2001117467A (ja) * 1999-10-14 2001-04-2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および組立て体
US6665507B1 (en) * 2002-08-14 2003-12-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s and devices for spacing components of a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4040636B2 (ja) * 2005-03-24 2008-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20060116327A (ko) * 2005-05-09 2006-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US20070138732A1 (en) * 2005-12-21 2007-06-21 Hackney Gary N Roller separator for printers
KR20090053275A (ko) * 2007-11-23 2009-05-27 한국후지제록스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롤러 이격장치
US8322872B2 (en) * 2009-08-20 2012-12-04 Lexmark International, Inc. Linear light diffusing structure for document scanners
KR101698392B1 (ko) 2009-09-18 2017-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5967B1 (ko) 2014-04-17
CN103135406B (zh) 2015-05-13
US20130129385A1 (en) 2013-05-23
US8706006B2 (en) 2014-04-22
CN103135406A (zh)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967B1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11327431B2 (en) Toner cartridge having a positioning boss
CN103324072B (zh) 处理盒、显影设备和成像装置
KR101588218B1 (ko)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닙제어방법, 및 화상형성장치의 포장방법
US8929780B2 (en) Toner container, image forming apparatus, toner container producing method and toner container recycling method
US802385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ower supplying path
JP200430194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85830A (ja) 画像形成装置
JP5984502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127532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process cartridge that includes a developing device
JP7454098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4010233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3235237A (ja) 画像形成装置
US9158271B2 (en) Photosensitive member cartridge
US8923736B2 (en)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JP2006235656A (ja) 画像形成装置
US20110150536A1 (en) Ton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532123B1 (ko)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11150070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783036B2 (ja) 感光体と現像ローラの位置決め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525639B2 (ja) 画像形成装置に着脱可能なカートリッジ
JP2004191677A (ja) 画像形成装置
KR100677556B1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JPH10239930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KR20080074503A (ko)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