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7675A - 피대전체용 대전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 - Google Patents

피대전체용 대전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7675A
KR20100047675A KR1020080106668A KR20080106668A KR20100047675A KR 20100047675 A KR20100047675 A KR 20100047675A KR 1020080106668 A KR1020080106668 A KR 1020080106668A KR 20080106668 A KR20080106668 A KR 20080106668A KR 20100047675 A KR20100047675 A KR 20100047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harging member
bending part
cleaning member
memb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지원
유미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6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7675A/ko
Priority to US12/508,135 priority patent/US8559848B2/en
Publication of KR20100047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76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9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cleaning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cleaning unit

Abstract

본 발명은 대전부재의 지지구조가 개선된 대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전장치는 피대전체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부재, 클리닝부재를 지지하는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 및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과 일체로 형성되며, 피대전체의 표면을 소정 전위로 대전하는 대전부재를 포함하는 피대전체용 클리닝 조립체를 포함한다. 또는 대전부재는 강성이 좋은 금속재로 형성된 지지대로 지지될 수 있다.
대전부재, 감광체, 대전전압, 지지브라켓, 지지홀더

Description

피대전체용 대전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Charging member usable with a body to be charged and charging apparatus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전부재를 지지하는 구조의 강성을 개선한 대전장치를 포함하는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대전부재로 소정 전위로 감광체의 표면을 대전하고,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장치를 이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인쇄매체에 바로 전사되거나 중간전사유닛을 거쳐 인쇄매체에 전사되고, 인쇄매체로 전사된 화상은 정착과정을 통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종래의 현상장치는 감광체로 공급되는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수용실과, 현상제수용실의 일측에 마련되는 현상제 공급부재 및 현상부재를 구비한다. 이때, 현상제 공급부재는 현상제수용실에 저장된 현상제를 현상부재에 공급하고, 현상부재는 정전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체의 표면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감광체와 같은 피대전체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이 개선된 피대전체용 대전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피대전체; 상기 피대전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피대전체의 표면을 전위적으로 대전하는 대전부재; 상기 피대전체의 표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청소하는 클리닝부재; 및 상기 클리닝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대전부재는 상기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전부재의 양단은 좌측 대전부재 지지홀더와 우측 대전부재 지지홀더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대전부재 지지홀더는 상기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은, 상기 클리닝부재를 지지하는 클리닝부재 지지부; 상기 클리닝부재 지지부에서 상기 클리닝부재와 반대쪽으로 연장되며 벤딩된 제1벤딩부; 및 상기 제1벤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클리닝부재 지지부의 상측으로 벤딩된 제2벤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대전부재 지지홀더는 상기 제2벤딩부의 좌측 및 우측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은, 상기 제2벤딩부의 좌측단과 우측단에서 각각 연장되며 직각으로 벤딩된 좌측 벤딩부과 우측 벤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의 제2벤딩부는 상기 좌측 및 우측 대전부재 지지홀더를 지지하는 부분을 제외한 중앙부분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의 제1벤딩부와 상기 좌측 및 우측 대전부재 지지홀더 사이에는 각각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측 및 우측 대전부재 지지홀더는, 각각 상기 대전부재를 지지하며, 일단이 개방된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전부재 지지홀더의 만곡부는 복수 개의 얇은 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얇은 판은 서로 평행하게 일정 거리 떨어져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전부재 지지홀더의 만곡부에는 부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및 우측 대전부재 지지홀더는, 각각 대전부재 클리닝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만곡부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은 금속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피대전체; 상기 피대전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피대전체의 표면을 전위적으로 대전하며, 양단에 강체부위를 포함하는 대전부재; 및 상기 대전부재의 강체부위를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강체로 형성된 지지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며 벤딩된 제1벤딩부; 상기 제1벤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으로 벤딩된 제2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벤딩부의 좌측단부와 우측 단부에는 각각 상기 대전부재의 양단을 지지하는 좌측 대전부재 지지홀더와 우측 대전부재 지지홀더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2벤딩부의 좌측단과 우측단에서 각각 연장되며 직각으로 벤딩된 좌측 벤딩부과 우측 벤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피대전체의 일측으로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피대전체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부재; 상기 피대전체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부재; 상기 대전부재의 양단을 지지하는 좌측 및 우측 대전부재 지지홀더; 상기 클리닝부재와 상기 좌측 및 우측 대전부재 지지홀더를 지지하며, 상기 대전장치에 설치되는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피대전체용 대전부재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은, 상기 클리닝부재를 지지하는 클리닝부 재 지지부; 상기 클리닝부재 지지부에서 상기 클리닝부재와 반대쪽으로 연장되며 벤딩된 제1벤딩부; 및 상기 제1벤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클리닝부재 지지부의 상측으로 벤딩된 제2벤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대전부재 지지홀더는 상기 제2벤딩부의 좌측 및 우측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전장치를 포함하는 현상장치가 설치된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본체(10), 인쇄매체 공급유닛(20), 광주사유닛(30), 현상유닛(40), 전사유닛(50), 정착유닛(60) 및 인쇄매체 배출유닛(7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화상형성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인쇄매체 공급유닛(20)은 인쇄매체(S)가 보관되는 카세트(21)와, 카세트(21)에 보관된 인쇄매체(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와, 픽업된 인쇄매체(S)를 전사유닛(5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주사유닛(30)은 옐로우(Yellow,Y), 마젠타(Magenta,M), 시안(Cyan,C), 블랙(Black,K)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인쇄 신호에 따라 후술되는 현상장치(40Y, 40M, 40C, 40K)들의 각 감광체(44Y, 44M, 44C, 44K)에 주사하는 4개의 광 주사기(30Y, 30M, 30C, 30K)를 포함한다. 4개의 광주사기(30Y, 30M, 30C, 30K)에 의해 주사된 광에 따라 각각의 감광체(44Y, 44M, 44C, 44K)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유닛(40)은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 예를 들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장치(40Y, 40M, 40C, 40K)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 옐로우(Y) 색상이 수용되는 현상장치(40Y)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내용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다른 3개의 현상장치(40M, 40C, 40K)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현상장치(40Y)는 하우징(41Y), 현상제 수용실(110), 현상제 공급부재(42Y), 현상부재(43Y), 감광체(44Y), 및 피대전체용 대전부재 조립체(200)를 구비한다.
현상제 수용실(110)은 하우징(41Y)의 내부에 형성되며, 감광체(44Y)로 공급될 현상제가 저장된다. 현상제 공급부재(42Y)는 하우징(41Y)에 설치되며, 현상제 수용실(110)에 저장된 현상제를 현상부재(43Y)에 공급한다. 현상부재(43Y)는 광주사유닛(30Y)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체(44Y)의 표면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킨다. 현상제 수용실(110)에는 현상제를 현상제 공급부재(42Y)로 이송하는 현상제 이송장치(130)가 설치된다. 감광체(44Y)는 하우징(41Y)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현상부재(43Y)로부터 현상제를 공급받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체(44Y)가 현상장치(40Y)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감광체(44Y)는 현상장치(40Y)와 별도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피대전체 용 대전부재 조립체(200)는 피대전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것으로서, 피대전체와 함께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피대전체로서 감광체(44Y)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피대전체용 대전부재 조립체(200)를 감광체용 대전부재 조립체로 칭하여 설명한다. 감광체용 대전부재 조립체(200)는 감광체(44Y)의 표면을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고, 감광체(44Y)의 표면에 잔류하는 폐토너와 같은 이물질 또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사유닛(50)은 감광체(44Y)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인쇄매체로 전사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인쇄매체 이송벨트(51), 이송벨트 구동롤러(52, 53), 및 복수 개의 전사롤러(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쇄매체 이송벨트(51)는 인쇄매체 공급유닛(20)에서 공급된 인쇄매체를 복수 개의 감광체(44Y, 44M, 44C, 44K)로 이송한다.
이송벨트 구동롤러(52, 53)는 인쇄매체 이송벨트(51)의 내측으로 그 양단에 설치되며, 인쇄매체 이송벨트(51)가 무한궤도로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복수 개의 전사롤러(54)는 인쇄매체 이송벨트(51)를 사이에 두고 감광체(44Y, 44M, 44C, 44K)들과 마주하며, 감광체(44Y, 44M, 44C, 44K)들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인쇄매체 이송벨트(51)에 의해 이송되는 인쇄매체로 전사되도록 한다.
정착유닛(60)은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61)와, 가열롤러(6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가압롤러(62)를 구비한다. 인쇄매체가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를 통과할 때, 가열롤러(61)로부터 전달되는 열과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 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전사된 화상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인쇄매체 배출유닛(70)은 배지롤러(71)와 배지백업롤러(72)를 구비하여 정착유닛(60)을 통과한 인쇄매체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한다.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1)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40Y)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장치(40Y)의 현상제 수용실(110)은 격벽(120)에 의해 제1현상제 수용실(111)과 제2현상제 수용실(112)로 구획되며, 제1현상제 수용실(111)과 제2현상제 수용실(112)은 격벽(120)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미도시)를 통해 서로 연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40Y)는 제1현상제 수용실(111)에 설치되는 현상제 이송장치(130)와, 제2현상제 수용실(112)에 격벽(120) 근처에 마련되는 중간이송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이송장치(130)는 현상제 이송벨트(131)와, 현상제 이송벨트(131)를 구동하는 한 쌍의 구동축(132, 133), 즉 제1 및 제2구동축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구동축(132)은 현상제 이송벨트(131)를 회전시키고, 제2구동축(133)은 현상제 이송벨트(131)를 따라 회전하며, 현상제 이송벨트(131)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구동축(132)을 현상제 이송벨트(131)를 회전시키는 구동축으로 하고, 제2구동축(133)을 현상제 이송벨트(131)에 따라 회전하는 피동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현상제 이송장치(130)는 제1현상제 수용실(111)에 설치되며, 제1현상제 수용 실(111)에 저장된 현상제를 교반시킬 뿐만 아니라 제1현상제 수용실(111)에 저장된 현상제 중 일부의 현상제를 제2현상제 수용실(112) 쪽으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현상제 이송벨트(131)는 현상제 이송장치(130)의 각 구동축(132, 133)과 결합하기 위한 복수 개의 구동 구멍(131-1)을 구비할 수 있다. 제1구동축(132)의 외주면에는 현상제 이송벨트(131)의 복수 개의 구동 구멍(13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구동 돌기(132-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구동축(133)의 외주면에도 현상제 이송벨트(131)의 복수 개의 구동 구멍(13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구동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구동축(132,133)은 현상제 수용실(110)에 저장된 현상제를 교반할 수 있도록 교반기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두 구동축(132,133) 중 제2현상제 수용실(112)에 더 가깝게 위치한 제1구동축(132)의 복수 개의 구동 돌기(132-1)가 형성된 부분의 지름이 제2현상제 수용실(112)에서 멀리 위치한 제2구동축(133)의 복수 개의 구동돌기가 형성된 부분의 지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현상제 수용실(112)에 더 가까운 제1구동축(132)의 회전중심(132C)은 제2현상제 수용실(112)에서 더 멀게 위치한 제2구동축(133)의 회전중심(133C)보다 중력방향으로 더 상측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구동축(132)의 회전중심(132C)이 제2구동축(133)의 회전중심(133C)보다 하우징(41Y)의 바닥(41a)으로부터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그럴 경우 현상제의 효과적인 공급량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현상제 이송장치(130)에 현상제 이송벨트(131)을 사용하는 이유를 부연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종래 기술에 의한 현상장치는 복수 개의 교반기(Agitator)를 현상제 공급부재(42Y) 방향으로 거의 수평하게 배열하여 현상제를 현상제 공급부재(42Y) 쪽으로 공급하였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복수 개의 현상장치(40Y, 40M, 40C, 40K)가 거의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칼라화상형성장치에 있어, 화상형성장치(1)의 높이를 낮추기 위해서는 각 현상장치(40Y, 40M, 40C, 40K)의 높이를 낮추어야 한다. 이와 같이 현상장치(40Y, 40M, 40C, 40K)의 높이를 낮추면, 현상장치(40Y, 40M, 40C, 40K)의 내측에 설치되는 교반기의 회전반경이 줄어들게 된다. 그러나, 교반기의 회전반경이 줄어들면 교반기에 의해 이송될 수 있는 현상제의 이송 가능한 영역 또한 줄어들게 된다. 즉, 현상장치(40Y, 40M, 40C, 40K)의 높이가 낮아질수록 교반기의 회전반경은 줄어들고, 이에 따라 교반기에 의해 이송되는 현상제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현상제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서는 충분한 개수의 교반기를 현상장치(40Y, 40M, 40C, 40K)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교반기의 개수가 많아지면, 현상제가 많은 수의 교반기를 거치면서 공급되기 때문에 현상제가 받는 스트레스가 심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교반기의 개수가 많아지면 현상장치(40Y, 40M, 40C, 40K)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교반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부위 역시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런데, 본 발명과 같이 현상제 이송벨트(131)를 이용하여 현상제를 공급하는 경우, 현상장치(40Y, 40M, 40C, 40K)의 높이가 낮더라도 회전 가능한 한 쌍의 구동축(132,133)만 있으면 현상제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40Y, 40M, 40C, 40K)에 의하면, 복수 개의 교반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또한 복잡한 구동력 전달부위의 구성이 불필요하며, 현상제의 스트레스 역시 줄어들게 된다.
또한 현상장치(40Y, 40M, 40C, 40K)에 구비된 현상제 수용실(110)의 경우 일반적으로 직접적으로 현상과정을 수행하는 제2현상제 수용실(112)에 비해 현상제를 저장하고 있는 제1현상제 수용실(111)의 크기가 더 크다. 따라서 지나치게 많은 현상제가 제1현상제 수용실(111)에서 제2현상제 수용실(112)로 공급될 경우, 제2현상제 수용실(112)의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교반기(Agitator)대신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해 벨트 형상의 현상제 이송벨트(131)를 사용하면 현상제 공급량의 효과적인 조절이 가능하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현상제의 공급량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축(132)의 회전중심(132C)이 제2구동축(133)의 회전중심(113C)보다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더 상측에 위치하도록 현상장치(40Y)를 본체(1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감광체(44Y) 쪽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현상장치(40Y)를 본체(10)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중력에 의해 제1현상제 수용실(111)의 현상제가 제2현상제 수용실(112)로 이동되는 것은 차단되고, 현상제 이송벨트(131)의 이송력에 의해서만 현상제가 공급되게 되므로 현상제 공급량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구동축(132)은 기능상 제2구동축(133)과는 다소 차이점이 있다. 제2구동축(133)의 경우는 후방의 현상제를 제1구동축(132) 쪽으로 공급만 해주면 충분 하다. 따라서 적은 회전반경을 가져도 되며, 그 회전중심(133C)이 현상장치(40Y)의 후방 하측에 위치하면 적은 회전반경으로도 현상제 공급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1구동축(132)의 경우, 제1현상제 수용실(111)의 현상제를 제2현상제 수용실(112) 쪽으로 이송할 뿐만 아니라, 제2현상제 수용실(112)의 현상제를 제1현상제 수용실(111) 쪽으로 회수하는 기능도 담당해야 한다. 따라서 제1구동축(132)은 제2구동축(133)보다 큰 회전반경을 가지고 있어야 공급 및 회수되는 현상제의 량을 감당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현상제 수용실(111)과 제2현상제 수용실(112)을 구분하는 격벽(120)에 설치되는 유입구(미도시)는 사각형 혹은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유입구 근처에 현상제 이송장치(130)에 의해 공급된 현상제를 제2현상제 수용실(112)로 공급할 수 있는 오거(Auger)나 기타 공급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만일 공급 오거가 아닌 교반기나 이송부재의 경우, 즉 오거형태가 아닌 현상제를 섞어주는 교반기나 현상제 공급을 위한 공급기능을 가진 이송부재를 설치한 경우는 유입구가 격벽(120)의 한측에만 형성되거나 혹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릿(Slit)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혹은 복수 개의 슬릿이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된 구조 역시 적용이 가능하다. 만일 오거형태의 공급부재가 설치되는 경우는 오거에 의해 이동되는 현상제의 이동방향으로 끝단에 유입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상장치(40Y)는 유입구를 밀폐하는 차폐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현상장치(40Y)의 일측에서 차폐부재를 잡아 당겨 유입구를 개 방시킬 수 있도록 차폐부재를 구성할 수 있다. 혹은 현상장치(40Y)가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된 경우나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된 현상장치(40Y)가 구동되면 유입구가 개방되도록 차폐부재를 형성할 수도 있다. 혹은 차폐부재는 주위에 설치된 회전하는 회전장치(예를 들면 공급오거나 순환오거 등)에 연동하여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차폐부재에는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차폐부재가 탄성적으로 개방 혹은 폐쇄가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또한 격벽(120)에는 차폐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차폐부재의 근처에 현상제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차폐부재가 설치되는 경우는 그 목적상 차폐부재의 크기가 유입구보다는 커야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40Y)는 이와 같은 차폐부재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중간이송부재(150)는 오거 형태나 교반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 혹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2현상제 수용실(112)에 2개의 중간이송부재(151,152)가 설치되어 있다. 제1현상제 수용실(111)에 설치된 현상제 이송장치(130)에 의해 제2현상제 수용실(112)로 이송된 현상제는 중간이송부재(150)에 의해 근처에 위치한 현상제 공급부재(42Y)와 현상부재(43Y) 쪽으로 순차적으로 공급이 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공급부재(42Y)나 현상부재(43Y)를 실린더 형상의 롤러 타입으로 형성하였다. 롤러 형태의 현상제 공급부재(42Y)나 현상부재(43Y)의 중심에는 도전성 샤프트가 있고, 그 주위에는 도전성 고무 재질의 롤러부가 구성된 다. 그러나 현상제 공급부재(42Y)나 현상부재(43Y)가 롤러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벨트 타입이나 혹은 브러쉬 타입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현상제 공급부재(42Y)와 현상부재(43Y)는 서로 대향하며 닙(X)을 형성하면서 회전하고, 닙(X) 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면, 마찰 대전력에 의해 현상제가 마찰 대전되어 현상부재(43Y)로 이송된다. 물론 마찰 대전력 뿐만 아니라 현상제 공급부재(42Y) 및 현상부재(43Y)에는 각각 적절한 전원을 인가하여 현상제가 현상부재(43Y)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직류전원이 인가되는 경우는 현상부재(43Y)에 인가되는 전원의 절대값이 현상제 공급부재(42Y)에 인가되는 전원의 절대값보다 적은 값이 되어야 현상제의 전기적인 이송이 용이해진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감광체용 대전부재 조립체(200)의 클리닝부재(205)와 대전부재(201)에 대해 설명한다.
클리닝부재(205)는 감광체(44Y) 상에 잔류하는 폐현상제를 기계적인 마찰력에 의해 긁어내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클리닝 블레이드(cleaning blade)로 형성된다. 클리닝 블레이드(205)는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210)에 의해 지지되며,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210)은 현상장치(40Y)의 하우징(41Y)에 설치된다. 클리닝 블레이드(205)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과 같이 내마모성이 강한 재질로, 통상적으로 1.5mm 내지 3mm 사이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클리닝부재(205)에 의한 클리닝 과정 이후에 감광체(44Y)는 그 표면을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해 대전과정을 거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대전부재(201) 는 현상제와 같은 극성의 고전압을 인가하는 대전롤러로 구성된다. 대전롤러(201)는 금속 도전성 샤프트(201-1)와 샤프트(201-1)의 외주면에 반도전성 고무재질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롤러부(201-2)를 포함한다. 고무재질로는 주로 NBR, EPDM, 실리콘 등의 재질이 단일 혹은 복합적으로 사용된다. 대전롤러(201)의 롤러부(201-2)를 스펀지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 폴리우레탄 재질이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혹은 다른 재질과 결합하여 사용되고, 필요에 따라서 스펀지 층 상에 다시 고무 등의 반도전성 재질로 튜빙하여 롤러부(201-2)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대전롤러(201)는, 대전롤러(201)에 의해 대전되는 피대전체로서 한 실시예인 감광체(44Y)와 접촉하여 대전하는 기능을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감광체(44Y)와 비접촉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대전롤러(201)가 감광체(44Y)와 일정한 간격 또는 갭(gap)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감광체(44Y)나 대전롤러(201) 상에 일정한 갭을 유지할 수 있는 스페이서(spacer)를 부착할 수 있다. 또는, 축간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대전롤러(201)의 샤프트(201-1)와 감광체(44Y)의 샤프트 양단에 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다.
대전롤러(201)가 감광체(44Y)와 접촉하거나 혹은 갭을 갖도록 설치되더라도, 대전롤러(201)는 감광체(44Y)에 근접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감광체(44Y) 표면에 잔류하는 폐토너와 같은 오염물질에 의해 대전롤러(201)가 오염 될 수 있다. 따라서 대전롤러(201) 표면을 클리닝하기 위해 대전부재 클리닝부재(203)가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전롤러(201)와 같은 롤러 타입의 대전부재 클리 닝부재(203)를 사용하였으며, 그 외경은 대전롤러(201)와 비슷하거나 다소 적은 치수를 가진다. 그리고 대전부재 클리닝부재(203)는 주로 대전롤러(201)와의 마찰에 의해 대전롤러(201) 상의 오염물질을 제거해야 하므로, 대전롤러(201)와 대전부재 클리닝부재(203)가 접촉하는 지점에서 일정한 속도 차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부재 클리닝부재(203)는 본 실시예와 같이 회전하는 롤러 타입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전부재 클리닝부재(203)는 필요에 따라 필름(film)이나 판 형상 혹은, 퍼(Fur) 타입이나 브러쉬(Brush) 타입을 사용할 수있다. 또한, 대전부재 클리닝부재(203)는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거나,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만일 대전롤러(201)가 감광체(44Y)와의 접촉닙 혹은 갭을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할 경우 감광체(44Y) 표면의 대전 전위에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대전롤러(201)에는 전원이 인가되며, 대전롤러(201)에 인가되는 전원으로는 직류전원 혹은 직류와 교류가 혼합된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대전롤러(201)는 대전롤러 샤프트(201-1)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대전롤러(201) 표면에서부터 방전현상이 발생하며, 이 방전현상에 따라 대전롤러(201)와 인접한 감광체(44Y) 표면이 대전되어 일정한 전위를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대전롤러 샤프트(201-1)에 현상제와 동극성인 -1400volt의 직류전압을 인가한 경우, 감광체(44Y)의 표면은 -800volt로 대전될 수 있다.
그러나 대전롤러(201) 표면과 감광체(44Y) 표면 사이의 닙 또는 갭이 일정하지 않을 경우, 감광체(44Y) 표면은 -800volt의 일정한 대전전압을 가지게 되는 것 이 아니다. 예를 들면, 대전롤러(201)의 표면과 감광체(44Y) 표면 사이의 갭이나 접촉압력이 달라지는 것과 같이 대전조건이 부분적으로 변경될 경우 감광체(44Y) 표면은 -800volt를 중심으로 ±50volt 정도까지 표면전위의 차이를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대전된 감광체(44Y)의 표면전위가 -750volt인 부분의 현상제에 의해 현상된 화상은, 주위의 -800volt로 대전된 부분의 화상보다 높은 현상농도를 가지게 된다. 반대로 만일 표면전위가 -850volt로 대전된 부분의 현상제에 의해 현상된 화상의 경우, 주위의 -800volt로 대전된 부분의 화상보다 더 낮은 현상농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감광체(44Y) 표면에서 전체적인 화상의 농도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대전롤러(201)와 감광체(44Y)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의 하나가 대전롤러(201)의 샤프트(201-1)와 감광체(44Y) 샤프트간의 거리이다. 감광체(44Y)의 경우 샤프트를 중심으로 금속 파이프 형태의 실린더형 형상이고, 현상과정이나 전사과정 등에서 다른 주위 요소들과 일정한 관계 및 접촉압력을 가지므로 감광체(44Y) 샤프트의 중심위치가 쉽게 변하지 않는다. 특히 감광체(44Y) 샤프트의 양단에 베어링등을 설치하여 감광체(44Y) 샤프트의 중심위치의 변화를 최대한 막음으로써, 감광체(44Y)가 안정적인 화상품질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하지만 대전롤러(201)의 경우, 그 설치위치가 제한적이므로 대전롤러 샤프트(201-1)를 베어링을 사용하여 지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더욱이 대전롤러 샤프트(201-1)의 양단까지 베어링을 사용하여 지지하는 것은 현상장치(40Y)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화상품질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대전롤러 샤프트(201-1)의 위치가 변화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도 3과 같이 플라스틱 몰드물로 지지 베이스(11)를 형성하고, 지지 베이스(11) 상에 대전롤러 지지홀더(13)를 설치하여, 대전롤러 지지홀더(13)가 대전롤러 샤프트(201-1)를 지지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지지 베이스(11)는 현상장치(40Y)의 하우징(41Y)에 고정된다.
대전롤러 지지홀더(13)의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홈(14)이 지지 베이스(11)의 가이드 돌기(12)에 삽입되어 있어, 대전롤러 지지홀더(13)가 지지 베이스(11)에 대해 미끄럼 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베이스(11)와 대전롤러 지지홀더(13) 사이에는 가압 가능한 탄성부재로서의 스프링(15)이 설치된다. 스프링(15)에 의해 대전롤러 지지홀더(13)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므로, 감광체(44Y)와 대전롤러(201)의 사이의 접촉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대전롤러 지지구조는 대전롤러 지지홀더(13) 자체가 플라스틱 몰드물인 지지 베이스(11)에 설치되며, 대전롤러 지지홀더(13) 역시 플라스틱 몰드물이라 충격이나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또한 감광체(44Y)와 접촉하면서 대전롤러 샤프트(201-1)의 회전 중심축이 유동하는 경우, 그 유동은 탄성부재인 스프링(15)에 의해 흡수된다. 그러나, 스프링(15)이 대전롤러(201)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유동을 완전히 흡수하는 것은 아니므로, 충격의 일부분이 플라스틱 몰드물인 지지 베이스(11) 쪽으로 전이되어 지지 베이스(11)의 형상이 변하게 된다. 지지 베이스(11)의 형상이 변화하면, 지지 베이스(11)에 의해 지지되는 대전 롤러(201)의 위치가 미세하게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대전롤러(201)와 감광체(44Y) 간의 접촉압력이나 갭이 미세하게 변하게 되고, 이는 감광체(44Y) 표면의 대전전위를 부분적으로 변경시켜 화상의 농도편차를 만드는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전부재(201)를 강성이 있는 금속재료로 형성한 금속 구조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금속 구조물을 클리닝부재(205)를 고정하는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210)과 일체화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전롤러(201)를 지지하는 금속 구조물을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210)과 일체화시키면 금속 구조물의 변형이 최대한 억제되므로어 대전과정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광체용 대전부재 조립체(2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감광체용 클리닝 조립체(200)가 현상장치(40Y)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클리닝부재(205), 즉 클리닝 블레이드는 금속재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210)에 조립된다. 그리고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210)은 클리닝 블레이드(205)가 설치되는 클리닝부재 지지부(210a)와, 강도 보완을 위한 제1벤딩부(211)가 있고, 추가로 강도 보강 및 대전롤러(201) 지지를 위한 제2벤딩부(212)가 있다. 제1벤딩부(2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닝부재 지지부(210a)에서 클리닝 블레이드(205)가 설치되는 쪽과 반대되는 쪽으로 연장되며, 대략 90도 정도로 벤딩된다. 제1벤딩부(211)의 벤딩 각도는 필요한 강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제2벤딩부(2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벤딩부(211)에서 클리닝부재 지지부(210a)와 반대 쪽으로 연장되며, 클리닝부재 지지부(210a)의 상측으로 벤딩된다. 제2벤딩부(212)는 대전부재 지지홀더(220)를 지지하며, 대전부재 지지홀더(220)가 감광체(44Y) 쪽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전부재 지지홀더(220)가 감광체(44Y)의 회전중심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화살표 A)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한다. 제2벤딩부(2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부재 지지홀더(220)가 설치되는 좌측단 부근(212a) 및 우측단 부근(212b)을 제외한 중앙부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벤딩부(212)의 중앙부를 제거하면,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210)의 중량을 줄일 수 있고, 대전부재(201)의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210)의 제2벤딩부(212)에는 제3벤딩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3벤딩부(213)는 도 4에 도시된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210)의 제2벤딩부(212)의 좌측단과 우측단에서 각각 연장되며 클리닝 블레이드(205) 쪽으로 직각으로 벤딩된 좌측 벤딩부과 우측 벤딩부를 포함한다. 제3벤딩부(213)는 좌측 및 우측 대전롤러 지지홀더(220)가 대전롤러(201)의 길이방향(화살표 B)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대전부재 지지홀더(220)는 플라스틱 몰드물로 형성되며,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210)의 제2 및 제3 벤딩부(212,213)에 의해 그 조립위치 및 움직임 위치가 규제되도록 형성된다. 대전부재 지지홀더(220)는 필요에 따라 대전롤러(201)만 지지하는 것이 아니고 주위의 다른 구조물을 더불어 지지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부재(201)를 클리닝하는 대전부재 클리닝부재(203)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홈(223)을 포함한다.
대전부재 지지홀더(220)의 일단에는 대전롤러(201)의 샤프트(201-1)를 지지하기 위한 만곡부(221)가 설치되며, 만곡부(22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롤러 샤프트(201-1)와 유사한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대전부재 지지홀더(220)의 만곡부(22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얇은 판(221a)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만곡부(221)가 대전롤러(201)의 샤프트(201-1)와 접촉할 때, 접촉면적이 커질 경우는 마찰력에 의해 대전부재 지지홀더(220)의 만곡부(221)의 접촉면이 마모될 수 있다. 따라서 만곡부(221)의 접촉면적을 최소화 하는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반대로 대전부재 지지홀더(220)의 만곡부(221)의 접촉면적이 넓을 수록 대전롤러(20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하기 위해 만곡부(221)는 대전롤러 샤프트(201-1)의 외경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된 복수 개의 얇은 판(221a)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얇은 판(221a)은 소정 거리 떨어져서 서로 평행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2개의 얇은 판(221a)으로 만곡부(221)를 형성하였다. 또한 필요에 따라 만곡부(221)의 접촉면과 대전롤러(201)의 샤프트(201-1) 사이에 윤활제를 도포하여 대전부재 지지홀더(220)의 마모를 최소화 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대전부재 지지홀더(220)의 만곡부(221)가 바로 대전롤러(201)의 샤프트(201-1)를 지지하기 위해 접촉하는 것이 아니고, 도 7과 같이 만곡부(221)와 대전롤러 샤프트(201-1) 사이에 부싱(bushing)(227)이 추가될수 있다. 이때 부싱(227)은 대전롤러(201)의 샤프트(201-1)와 접촉하여 대전롤러(201)의 샤 프트(201-1)를 지지하며, 부싱(227)과 대전부재 지지홀더(220) 사이에는 탄성부재로서 스프링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대전부재 지지홀더(220)의 만곡부(221)가 아닌 부싱(227)이 대전롤러(201_의 샤프트(201-1)와 접촉하므로, 접촉에 의한 마찰저항 감소 및 충분한 지지력의 유지를 위해 부싱(227)을 만곡부(221)와 동일하게 얇은 판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대전부재 지지홀더(220)와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210) 사이에 탄성부재(225)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대전롤러(201)와 감광체(44Y)가 일정한 간격 또는 갭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탄성부재(225)로는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대전롤러(201), 대전부재 클리닝부재(203), 클리닝 블레이드(205)가 일체로 설치된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210)은 감광체(44Y)를 지지하는 현상장치(40Y)의 하우징(41Y)에 설치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에서는 금속재로 형성된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210)이 대전롤러(201)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었으나, 또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210)이 아닌 별도의 금속물로서 대전롤러(201)를 지지하는 지지대(21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지지대(210')는 클리닝 블레이드(205)가 설치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210)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지대(210')는 상기 하우징(41Y)에 고정되는 베이스부(210a')와, 강도 보완을 위한 제1벤딩부(211) 및 추가 로 강도 보강 및 대전부재 지지를 위한 제2벤딩부(212)가 있다. 제1벤딩부(211)는 베이스부(210a')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베이스부(210a')에 대해 대략 90도로 벤딩된다. 제2벤딩부(212)는 제1벤딩부(211)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베이스부(210a')의 상측으로 소정 각도로 벤딩된다. 제2벤딩부(212)는 회전하는 대전롤러(201)의 샤프트(201-1)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해 좌측 및 우측 대전부재 지지홀더(220)가 설치된다. 또한, 제2벤딩부(212)의 좌측단과 우측단에는 제2벤딩부(212)에서 각각 연장되며 베이스부(210a') 쪽으로 직각으로 벤딩된 좌측 벤딩부(213)과 우측 벤딩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금속재료로 형성된 지지대(210')는 강체의 성질을 가진 것으로서, 외력에 의해 자체변형이 최소화되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대전롤러(201)의 샤프트(201-1) 역시 강체이므로 외력에 의한 자체변형이 역시 최소화된다. 또한, 대전부재 지지홀더(220)가 직접적으로 대전롤러 샤프트(201-1)와 접촉이 되면 마찰 및 마모가 발생하므로 접촉면에 윤활유나 윤활제를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좌측 및 우측 대전부재 지지홀더(220)의 구조 및 작동은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대전부재(201)로 실린더형으로 회전하는 롤러로 구성된 대전롤러를 사용하였으나, 대전부재(201)로서 대전롤러가 아닌 다른 타입의 대전부재 적용도 가능하다. 단 대전부재(201)는 고정형이 아닌 회전 등의 이동을 하는 이동형인 경우에 본 발명의 사상에 적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피대전체용 대전부 재 조립체(200) 및 이를 구비한 대전장치를 사용하면, 감광체(44Y)의 대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므로, 화상품질이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전장치를 포함하는 현상장치가 설치된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한 대전장치를 포함하는 현상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대전부재 지지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피대전체용 대전부재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피대전체용 대전부재 조립체가 설치된 대전장치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피대전체용 대전부재 조립체를 선 6-6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피대전체용 대전부재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피대전체용 대전부재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화상형성장치 10; 본체
20; 인쇄매체 공급유닛 30; 광주사유닛
40; 현상유닛; 40Y,40M,40C,40K; 현상기
41Y; 하우징 42Y; 현상제 공급장치
43Y; 현상장치 44Y; 감광체
50; 전사유닛 60; 정착유닛
70; 인쇄매체 배출유닛 110; 현상제 수용실
111; 제1현상제 수용실 112; 제2현상제 수용실
120; 격벽 130; 현상제 이송장치
200; 감광체용 클리닝 조립체 201; 대전부재(대전롤러)
203; 대전부재 클리닝부재 205; 클리닝부재(클리닝 블레이드)
210;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 211; 제1벤딩부
212; 제2벤딩부 213; 제3벤딩부
220; 대전부재 지지홀더 221; 만곡부
210'; 지지대

Claims (21)

  1. 피대전체;
    상기 피대전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피대전체의 표면을 전위적으로 대전하는 대전부재;
    상기 피대전체의 표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청소하는 클리닝부재; 및
    상기 클리닝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대전부재는 상기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재의 양단은 좌측 대전부재 지지홀더와 우측 대전부재 지지홀더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대전부재 지지홀더는 상기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은,
    상기 클리닝부재를 지지하는 클리닝부재 지지부;
    상기 클리닝부재 지지부에서 상기 클리닝부재와 반대쪽으로 연장되며 벤딩된 제1벤딩부; 및
    상기 제1벤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클리닝부재 지지부의 상측으로 벤딩된 제2벤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대전부재 지지홀더는 상기 제2벤딩부의 좌측 및 우측 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은,
    상기 제2벤딩부의 좌측단과 우측단에서 각각 연장되며 직각으로 벤딩된 좌측 벤딩부과 우측 벤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지응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의 제2벤딩부는 상기 좌측 및 우측 대전부재 지지홀더를 지지하는 부분을 제외한 중앙부분이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의 제1벤딩부와 상기 좌측 및 우측 대전부재 지 지홀더 사이에는 각각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대전부재 지지홀더는, 각각
    상기 대전부재를 지지하며, 일단이 개방된 만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재 지지홀더의 만곡부는 복수 개의 얇은 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얇은 판은 서로 평행하게 일정 거리 떨어져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재 지지홀더의 만곡부에는 부싱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대전부재 지지홀더는, 각각
    대전부재 클리닝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만곡부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은 금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
  12. 피대전체;
    상기 피대전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피대전체의 표면을 전위적으로 대전하며, 양단에 강체부위를 포함하는 대전부재; 및
    상기 대전부재의 강체부위를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강체로 형성된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며 벤딩된 제1벤딩부;
    상기 제1벤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으로 벤딩된 제2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벤딩부의 좌측단부와 우측 단부에는 각각 상기 대전부재의 양단을 지지하는 좌측 대전부재 지지홀더와 우측 대전부재 지지홀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2벤딩부의 좌측단과 우측단에서 각각 연장되며 직각으로 벤딩된 좌측 벤딩부과 우측 벤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
  16. 피대전체의 일측으로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피대전체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부재;
    상기 피대전체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부재;
    상기 대전부재의 양단을 지지하는 좌측 및 우측 대전부재 지지홀더;
    상기 클리닝부재와 상기 좌측 및 우측 대전부재 지지홀더를 지지하며, 상기 대전장치에 설치되는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대전체용 대전부재 조립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은,
    상기 클리닝부재를 지지하는 클리닝부재 지지부;
    상기 클리닝부재 지지부에서 상기 클리닝부재와 반대쪽으로 연장되며 벤딩된 제1벤딩부; 및
    상기 제1벤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클리닝부재 지지부의 상측으로 벤딩된 제2벤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대전부재 지지홀더는 상기 제2벤딩부의 좌측 및 우측 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대전체용 대전부재 조립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은,
    상기 제2벤딩부의 좌측단과 우측단에서 각각 연장되며 직각으로 벤딩된 좌측 벤딩부과 우측 벤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대전체용 대전부재 조립체.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재 지지브라켓의 제1벤딩부와 상기 좌측 및 우측 대전부재 지지홀더 사이에는 각각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대전체용 대전부재 조립체.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대전부재 지지홀더는, 각각
    상기 대전부재를 지지하며, 일단이 개방된 만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대전체용 대전부재 조립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재 지지홀더의 만곡부는 복수 개의 얇은 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얇은 판은 서로 평행하게 일정 거리 떨어져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대전체용 대전부재 조립체.
KR1020080106668A 2008-10-29 2008-10-29 피대전체용 대전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 KR2010004767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668A KR20100047675A (ko) 2008-10-29 2008-10-29 피대전체용 대전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
US12/508,135 US8559848B2 (en) 2008-10-29 2009-07-23 Charging member assembly usable with body to be charged and charging apparatus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668A KR20100047675A (ko) 2008-10-29 2008-10-29 피대전체용 대전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675A true KR20100047675A (ko) 2010-05-10

Family

ID=42117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668A KR20100047675A (ko) 2008-10-29 2008-10-29 피대전체용 대전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59848B2 (ko)
KR (1) KR2010004767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0012A1 (en) * 2011-06-07 2012-12-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paratus, printers, and charge roller assemblies
JP6056166B2 (ja) * 2012-03-26 2017-01-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帯電器、像形成構造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135438B2 (ja) * 2013-10-08 2017-05-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帯電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9207555B1 (en) * 2014-05-28 2015-12-08 Lexmark International, Inc. Charge roll mounting assembly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JP6488670B2 (ja) * 2014-11-26 2019-03-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回転体の軸受部材、これを備えた感光体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
JP6686621B2 (ja) * 2016-03-29 2020-04-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帯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115006B2 (ja) * 2018-04-11 2022-08-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帯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354622B2 (ja) * 2019-07-04 2023-10-0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帯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210488238U (zh) * 2019-09-12 2020-05-08 珠海联合天润打印耗材有限公司 处理盒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2851B2 (en) * 2001-02-20 2003-02-18 Lexmark International, Inc. Multi-function cleaner blade assembly
JP2005156655A (ja) * 2003-11-21 2005-06-16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5189769A (ja) * 2003-12-26 2005-07-14 Canon Inc プロセス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477862B2 (en) * 2004-02-09 2009-01-13 Ricoh Company, Ltd. Charged device, 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toner, and image-forming device that uses these
KR100705384B1 (ko) * 2005-08-16 2007-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JP4501842B2 (ja) * 2005-11-02 2010-07-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62831B2 (ja) * 2006-02-01 2013-03-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809115B2 (ja) * 2006-02-10 2011-11-09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860428B2 (en) * 2006-05-16 2010-12-28 Fuji Xerox Co., Ltd. Detachable holding portions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4957086B2 (ja) * 2006-06-12 2012-06-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070621B1 (ko) * 2007-01-31 2011-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698392B1 (ko) * 2009-09-18 2017-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JP5637449B2 (ja) * 2010-03-17 2014-12-1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8369740B2 (en) * 2010-04-02 2013-02-05 Wazana Brothers International, Inc Remanufactured toner cartridge with added cleaning roller for the primary charge roller, and methods
US8380106B2 (en) * 2010-06-30 2013-02-19 Lexmark International, Inc. Center-referenced photoconductor bearing plate and assembly for electro-photographic cartridge
KR101580841B1 (ko) * 2011-11-17 2015-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1385967B1 (ko) * 2011-11-23 2014-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04320A1 (en) 2010-04-29
US8559848B2 (en) 201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7675A (ko) 피대전체용 대전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용 대전장치
JP6127780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155142A (ja) 現像剤搬送装置、現像剤収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545841B1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US8019259B2 (en) Development device,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724568B2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7676183B2 (en) Toner supply device and developing unit using the same for use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image formation with toner
US20080080901A1 (en) Toner conveying device, ton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se
KR101580841B1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8326203B2 (en) Toner conveyance device,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8116260A (ja) 現像装置、現像剤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980639B2 (ja) 現像装置、並びにこれを用いる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3724567B2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101818206B1 (ko)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600866B1 (ko) 화상형성장치
JP2014123065A (ja) 粉体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598058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168290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50110224A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17191331A (ja) 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5536532B2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1002525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601635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00046521A (ko) 현상기용 현상제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EP2458446A1 (en) Photosensitive Body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