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6107A -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56107A KR20130056107A KR1020110121864A KR20110121864A KR20130056107A KR 20130056107 A KR20130056107 A KR 20130056107A KR 1020110121864 A KR1020110121864 A KR 1020110121864A KR 20110121864 A KR20110121864 A KR 20110121864A KR 20130056107 A KR20130056107 A KR 201300561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ow glass
- panel body
- vehicle
- closing device
- carri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abstract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8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 E05F15/68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by cables or rop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품수가 절감되고, 제작공정이 단순화되며, 조립이 용이하며, 차량 중행 중에 발생되는 진동이 개폐장치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윈도우 글라스를 지지하는 캐리어와, 캐리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패널본체와, 패널본체에 설치되는 액추에이터와,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을 캐리어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동력전달부와, 패널본체를 도어플레이트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윈도우 글라스를 지지하는 캐리어와, 캐리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패널본체와, 패널본체에 설치되는 액추에이터와,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을 캐리어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동력전달부와, 패널본체를 도어플레이트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품수가 절감되고, 제작공정이 단순화되며, 조립이 용이하며, 차량 중행 중에 발생되는 진동이 개폐장치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윈도우 레귤레이터 장치는 차량의 프레임에 장착되어, 윈도우에 사용자나 모터에 의해 가해진 구동력을 전달하여 윈도우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장치이다.
윈도우 레귤레이터 장치는 차량용 프레임에 장착된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레일 상을 슬라이딩 이동하고 윈도우에 부착된 윈도우 캐리어와, 가이드 레일에 장착된 드럼과, 드럼을 작동시키는 모터와, 드럼과 가이드 레일사이에 배치된 케이블을 포함한다.
윈도우 레귤레이터 장치는, 가이드 레일에 장착 고정된 모터 마운팅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드럼과 모터는 모터 마운팅 플레이트에 장착된다.
윈도우 레귤레이터 장치는, 모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풀리면서, 윈도우 캐리어가 움직이게 되고, 윈도우가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1725호(2010년 2월 3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윈도우 레귤레이터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는 글라스를 승강시키기 위한 장치가 도어패널에 각각 개별적으로 장착되기 때문에 각각의 장치를 도어패널에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 또는 체결부가 각각 제작되어 개별적으로 조립되므로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제작공정이 복잡하고, 조립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는 글라스를 승강시키는 개폐장치가 도어플레이트에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차량 주행 중에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개폐장치가 오작동 되거나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부품수가 절감되고, 제작공정이 단순화되며, 조립이 용이하며, 차량 중행 중에 발생되는 진동이 개폐장치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윈도우 글라스를 지지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패널본체; 상기 패널본체에 설치되는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을 상기 캐리어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패널본체를 도어플레이트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패널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리브; 및 상기 연결리브에 형성되는 관통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홀부에는 체결부재가 유동 가능하게 관통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에는 다수 개의 유동홈부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리브와 상기 패널본체 사이에는, 상기 패널본체가 차량 내부 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본체에는, 상기 캐리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동력전달부의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착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의 와이어를 당기는 간섭방지부와, 도어플레이트의 풀 핸들(Pull Handle)이 지지되는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는 캐리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동력전달부의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착부와,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안내하는 간섭방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가이드레일, 안착부, 간섭방지부 및 돌출부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 부품수가 절감되고, 각각의 부품을 조립하는 공정이 생략되어 개폐장치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는 연결리브에 삽입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차량 주행 중에 발생되는 진동이 개폐장치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패널본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안착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간섭방지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돌출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패널본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지지축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패널본체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연결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캐리어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제1캐리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제1캐리어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제2캐리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제2캐리어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패널본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안착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간섭방지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돌출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패널본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지지축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패널본체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연결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캐리어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제1캐리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제1캐리어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제2캐리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제2캐리어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패널본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안착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간섭방지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돌출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는 윈도우 글라스를 지지하는 캐리어(30)와, 캐리어(3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52)이 일체로 형성되고 도어 플레이트(10)에 결합되는 패널본체(50)와, 패널본체(50)에 설치되는 액추에이터(78)와,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을 캐리어(30)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동력전달부(70)와, 동력전달부(70)를 패널본체(50)에 연결하도록 패널본체(5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부(54, 80)와, 패널본체(50)를 도어플레이트(10)에 연결하는 연결부(90)와, 패널본체(50)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50a)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노브(14)를 조작하여 윈도우의 개폐를 행하면 액추에이터(78)가 구동되어 동력전달부(70)를 작동시키고, 동력전달부(70)의 작동에 의해 캐리어(30)가 가이드레일(52)을 따라 승강되어 윈도우 글라스를 승강시킨다.
이렇게 캐리어(30)에 의해 승강되는 윈도우 글라스는 도어 플레이트(1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출몰되면서 윈도우를 개폐한다.
패널본체(50)의 양측 단부에는 가이드레일(52)이 일체로 형성되므로 가이드레일(52)을 별도로 제작하는 공정이 생략되어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부품수가 절감되고, 제작공정이 감소된다.
가이드레일(52)은 패널본체(50)의 양측 단부로부터 절곡되는 수직부(52a)와, 수직부(52a)의 단부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수평부(52b)와, 패널본체(50)와 수직부(52a) 사이의 절곡부위에 형성되는 보강부(52c)를 포함한다.
캐리어(30)는 가이드레일(52)의 수평부(52b)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패널본체(50)의 전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리어(30)와 패널본체(50) 사이에 수직부(52a) 길이만큼의 간격이 생성되어 동력전달부(70)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캐리어(30)와 패널본체(50)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부(52c)는 수직부(52a)를 따라 길게 형성되므로 캐리어(30)가 수평부(52b) 및 수직부(52a)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작동이 장기간 반복되어 발생되는 피로에 의해 수직부(52a)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수직부(52a) 및 수평부(52b)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캐리어(30)의 일부분이 보강부(52c)에 의해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므로 캐리어(30)가 안정된 승강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동력전달부(70)는 액추에이터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패널본체(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72)과, 드럼(72)에 감기고 캐리어(30)에 연결되는 와이어(74)와, 와이어(74)의 진행방향을 전환시켜 드럼(72)의 회전운동을 캐리어(3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가이드롤러(76)를 포함한다.
가이드롤러(76)는 사각형과 유사하게 형성되는 패널본체(50)의 네 개의 모서리부분에 설치되고, 와이어(74)는 네 개의 가이드롤러(76)의 둘레면에 감기어 폐곡선을 이루며 중앙에서 꼬이는 '' 모양으로 권취된다.
와이어(74)가 꼬이는 중앙부분에는 드럼(72)이 설치되고, 와이어(74)가 드럼(72)의 둘레면에 1회 또는 다수 회 권취되므로 드럼(72)이 회전되면 와이어(74)는 드럼(72)의 둘레면을 따라 권취되면서 이동된다.
폐곡선을 이루며 ''모양으로 꼬인 와이어(74)의 양측면에 한 쌍의 캐리어(30)가 고정되므로 드럼(72)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면 한 쌍의 캐리어(30)가 동시에 상승되고, 드럼(72)이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면 한 쌍의 캐리어(30)가 동시에 하강된다.
따라서 캐리어(30)에 의해 지지되는 윈도우 글라스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게 된다.
패널본체(50)에는 드럼(7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착부(54)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드럼(72)을 패널본체(50)에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하우징이 요구되지 않아 부품수가 절감되고,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제작공정이 감소된다.
안착부(54)는 패널본체(50)의 중앙부위에서 일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드럼(72)이 삽입되고, 안착부(54)의 중앙에는 회전축(54a)이 형성되어 드럼(72)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안착부(54)의 둘레면 일부분은 절개되어 개구부(54b)가 형성되므로 안착부(54)에 삽입되는 드럼(72)의 일부분이 전면패널(50)의 타측으로 노출되고, 이렇게 노출된 드럼(72)의 둘레면에 와이어(74)가 감기게 된다.
안착부(54)의 주위에는 액추에이터가 설치되는 다수 개의 장착홀부(54c)가 형성되므로 액추에이터의 출력축이 드럼(72)의 회전축에 연결된다.
간섭방지부(56)는 패널본체(5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보스부(56b)와, 보스부(56b)에 형성되는 걸림고리(56a)를 포함한다.
패널본체(50)의 중앙부에서 꼬이게 배치되는 와이어(74)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74)는 걸림고리(56a)에 걸리게 배치되어 패널본체(50) 측으로 당겨지게 되므로 와이어(74)가 꼬이는 부분에서 와이어(74) 사이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윈도우 글라스가 장기간 승강될 때에 와이어(74) 사이의 간섭이 방지되므로 와이어(74)의 변형이나 끊김에 의해 발생되는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스부(56b) 및 걸림고리(56a)로 이루어지는 간섭방지부(56)가 패널본체(50)에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부품수가 절감되고, 걸림고리(56a)를 별도로 제작하는 공정이 생략된다.
패널본체(50)에는 도어 플레이트(10)의 풀 핸들(Pull Handle : 12)이 지지되는 돌출부(58)가 일체로 형성되고, 도어 플레이트(10)와 패널본체(50)가 결합될 때에 풀 핸들(12)과 돌출부(58)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므로 탑승자가 풀 핸들(12)을 잡고 도어를 닫을 때에 풀 핸들(12)에 작용하는 힘의 지지대 역할을 행하게 된다.
또한, 돌출부(58)가 패널본체(50)에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풀 핸들(12)과 패널본체(50)를 연결하는 브래킷을 별도로 제작하는 공정이 생략되어 부품수가 절감되고,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를 제작하는 공정이 감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패널본체(50)는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므로 한 번의 사출금형작업에 의해 가이드레일(52), 안착부(54), 간섭방지부(56) 및 돌출부(58)가 일체로 형성되는 패널본체(50)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패널본체와 비교하여 사출금형작업에 의해 제작되는 패널본체(50)는 수직부(52a), 수평부(52b) 및 보강부(52c)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레일(52)의 형상과, 개구부(54b)가 형성되는 안착부(54)의 형상과, 간섭방지부(56)의 형상과, 돌출부(58) 및 리브(58a)의 형상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제품의 무게가 가벼워지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패널본체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지지축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패널본체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연결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캐리어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결합부(54, 80)는, 드럼(7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패널본체(50)에 일체로 형성되는 안착부(54)와, 가이드롤러(76)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패널본체(50)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축(80)을 포함한다.
전술된 안착부(54) 및 지지축(80)은 동력전달부(70)의 드럼(72)과 가이드롤러(76)를 패널본체(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부재이며, 패널본체(50)에 일체로 형성된다.
지지축(80)은, 패널본체(50)의 모서리 측에 설치되는 지지홀부(84)에 설치되고, 지지홀부(84)의 배면에는 보강리브(86)가 형성된다.
보강리브(86)는 지지홀부(84)의 주변에 방사형 및 원형, 곡면 형상으로 다수 개가 복잡하게 연성되므로 가이드롤러(76)에 전달되는 와이어(74)의 장력에 의해 지지축(80) 또는 지지홀부(84)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지지축(80)의 일측 단부에는 가이드롤러(76)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지지축(80)의 차측 단부에는 중공부(82)가 형성된다.
지지부의 단부 및 중공부(82)의 단부는 지지홀부(84)와 비교하여 지름이 크게 형성되므로 지지축(80)이 지지홀부(84)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중공부(82)는 지지축(80)을 지지홀부(84)에 설치할 때에 지지축(80)을 지지홀부(84)에 삽입한 후에 중공부(82)의 단부를 리벳 모양으로 성형하면 중동부의 단부가 쉽게 외측으로 변형되면서 리벳 이음구조가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축(80)도 배면패널에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연결부(90)는, 패널본체(50)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리브(92)와, 연결리브(92)에 형성되는 관통홀부(94)를 포함한다.
연결리브(92)는 패널본체(50)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고, 연결리브(92)와 다른 부재가 간섭되지 않도록 연결리브(92)는 'V'모양 또는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고, 연결리브(92)의 양측부에는 각각 관통홀부(94)가 형성된다.
관통홀부(94)에는 체결부재가 유동 가능하게 관통되는 탄성부재(96)가 설치되므로 차량 주행 중에 발생되는 진동이 패널본체(50)를 따라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도니다.
탄성부재(96)에는 다수 개의 유동홈부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부재(96)는 링 모양으로 형성되고, 관통홀부(94)에 끼워지므로 탄성부재(96)를 통해 삽입되는 체결부재가 도어플레이트(10)에 결합되면 패널본체(50)를 도어플레이트(10)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탄성부재(96)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유동홈부는 차량의 진동이 탄성부재(96)에 전달될 때에 압축 또는 팽창을 반복하면서 진동을 상쇄시키는 작동을 행하게 된다.
연결리브(92)와 패널본체(50) 사이에는, 패널본체(50)가 차량 내부 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턱부(98)가 형성되므로 패널본체(50)와 도어플레이트(1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고, 패널본체(50)와 도어플레이트(10)에 의해 형성되는 밀폐공간 내부에 액추에이터(78)가 구비된다.
따라서 윈도우 글라스를 승강시킬 때 발생되는 소음이 패널본체(50) 외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변형방지부(50a)는, 와이어(74)가 대향되는 패널본체(50)가 차량 내부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보강돌출부(50b)를 포함한다.
와이어(74)는 패널본체(50)의 모서리 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76)에 권취되며, 패널본체(50)의 중앙부, 즉 안착부(54)에 설치되는 드럼(72)에 감기게 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78)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74)가 이동되면 패널본체(50)에 장력이 전달되는데, 본 실시예의 패널본체(50)에는 패널본체(50)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50a)가 구비되므로 윈도우 글라스 개폐작동에 의해 패널본체(50)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보강돌출부(50b)는 차량의 내부로 돌출되고, 와이어(74)에 대향되도록 '×'모양으로 돌출되므로 패널본체(50)의 중앙부에서 꼬이게 권취되는 와이어(74)에 의해 패널본체(50)의 모서리로부터 대각선 모서리 방향으로 장력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패널본체(50)에는 패널본체(50)의 대각선 방향으로 '×'모양을 이루는 보강돌출부(50b)에 의해 패널본체(50)가 대각선 방향의 외력에 의해 변형되거나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제1캐리어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제1캐리어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제2캐리어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제2캐리어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캐리어(30)는, 패널본체(5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5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캐리어(32)와, 패널본체(5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5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캐리어(34)를 포함한다.
제1캐리어(32)는 가이드레일(5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슬라이딩부(32a)와, 제1슬라이딩부(32a)에 연결되고 상기 패널본체(50)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부재(32b)와, 상기 제1연결부재(32b)에 결합되고 윈도우 글라스가 삽입되는 제1지지부재(32c)를 포함한다.
제1슬라이딩부(32a)의 외측 단부에는 제1고리부(32f)가 형성되므로 가이드레일(52)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제1슬라이딩부(32a)의 내측 단부에는 와이어(74)가 통과되는 제1연결홀부(32d)가 형성된다.
제1연결홀부(32d) 내부에는 제1연결홀부(32d)에 삽입되는 와이어(74)가 일측으로 가압되어 슬립되지 않도록 하는 제1굴곡부(32e)가 형성되므로 제1연결홀부(32d)를 통과하여 가이드롤러(76)에 권취되는 와이어(74)에 의해 제1슬라이딩부(32a)가 승강되는 작동을 행하게 된다.
제1슬라이딩부(32a)의 하측 단부에는 완충부재(36)가 설치되므로 제1슬라이딩부(32a)가 최저점까지 하강할 때에 제1슬라이딩부(32a)가 다른 부재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2캐리어(34)는 가이드레일(5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슬라이딩부(34a)와, 제2슬라이딩부(34a)에 연결되고 상기 패널본체(50)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부재(34b)와, 상기 제2연결부재(34b)에 결합되고 윈도우 글라스가 삽입되는 제2지지부재(34c)를 포함한다.
제2슬라이딩부(34a)의 외측 단부에는 제2고리부(34f)가 형성되므로 가이드레일(52)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제2슬라이딩부(34a)의 내측 단부에는 와이어(74)가 통과되는 제2연결홀부(34d)가 형성된다.
제2연결홀부(34d) 내부에는 제2연결홀부(34d)에 삽입되는 와이어(74)가 일측으로 가압되어 슬립되지 않도록 하는 제2굴곡부(34e)가 형성되므로 제2연결홀부(34d)를 통과하여 가이드롤러(76)에 권취되는 와이어(74)에 의해 제2슬라이딩부(34a)가 승강되는 작동을 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패널본체(50)를 제작할 때에는 한 번의 사출금형작업에 의해 가이드레일(52), 안착부(54), 간섭방지부(56) 및 돌출부(58)가 일체로 형성되는 합성수지재질의 패널본체(50)를 제작한다.
이렇게 제작된 패널본체(50)의 안착부(54)에는 드럼(72)을 설치하고, 지지축의 머리부(88)에 가이드롤러(76)를 설치한다.
이후에, 패널본체(50)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네 개의 지지홀부(84)에 지지축(80)을 삽입한 후에 중공부(82)의 단부를 가압하여 리벳 연결을 행하여 지지축(80)을 설치한다.
이때, 캐리어(30) 설치를 위한 별도의 가이드레일(52)과, 드럼(72)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하우징과, 간섭방지부(56)와, 돌출부(58)가 별도로 제작되지 않으므로 부품수가 절감되고 제작공정이 감소된다.
이렇게 조립된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는 관통홀부(94)에 설치되는 탄성부재(96)에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도어 플레이트(10)에 결합하므로 패널본체(50)의 조립을 완료하는데, 도어 플레이트(10)의 풀 핸들(12)은 돌출부(58)에 조립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된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는 탑승자가 노브(14)를 조작하여 액추에이터(78)를 구동시키면 드럼(72)이 회전되면서 와이어(74)를 이동시키고, 이동되는 와이어(74)를 따라 승강되는 캐리어(30)에 의해 윈도우 글라스가 승강되어 창문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드럼(72)에 의해 이동되는 와이어(74)는 꼬이게 배치되는 패널본체(50)의 중앙부위에서 어느 하나의 와이어(74)가 걸림고리(56a)에 의해 패널본체(50) 측으로 당겨지게 되므로 와이어(74)가 꼬이는 부분에서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윈도우 글라스의 승강작동이 장기간 이루어져도 와이어(74) 사이의 간섭에 의해 발생되는 오작동 파손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부품수가 절감되고, 제작공정이 단순화되며, 조립이 용이한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차량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도어플레이트 12 : 풀 핸들
14 : 노브 30 : 캐리어
32 : 제1캐리어 34 : 제2캐리어
36 : 완충부재 50 : 패널본체
52 : 가이드레일 54 : 안착부
56 : 간섭방지부 58 : 돌출부
70 : 동력전달부 72 : 드럼
74 : 와이어 76 : 가이드롤러
80 : 지지축 82 : 중공부
84 : 지지홀부 86 : 보강리브
90 : 연결부 92 : 연결리브
94 : 관통홀부 96 : 탄성부재
98 : 턱부
14 : 노브 30 : 캐리어
32 : 제1캐리어 34 : 제2캐리어
36 : 완충부재 50 : 패널본체
52 : 가이드레일 54 : 안착부
56 : 간섭방지부 58 : 돌출부
70 : 동력전달부 72 : 드럼
74 : 와이어 76 : 가이드롤러
80 : 지지축 82 : 중공부
84 : 지지홀부 86 : 보강리브
90 : 연결부 92 : 연결리브
94 : 관통홀부 96 : 탄성부재
98 : 턱부
Claims (6)
- 윈도우 글라스를 지지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패널본체;
상기 패널본체에 설치되는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을 상기 캐리어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패널본체를 도어플레이트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패널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리브; 및
상기 연결리브에 형성되는 관통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부에는 체결부재가 유동 가능하게 관통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에는 다수 개의 유동홈부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리브와 상기 패널본체 사이에는, 상기 패널본체가 차량 내부 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본체에는, 상기 캐리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동력전달부의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착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의 와이어를 당기는 간섭방지부와, 도어플레이트의 풀 핸들(Pull Handle)이 지지되는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1864A KR101302355B1 (ko) | 2011-11-21 | 2011-11-21 |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1864A KR101302355B1 (ko) | 2011-11-21 | 2011-11-21 |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6107A true KR20130056107A (ko) | 2013-05-29 |
KR101302355B1 KR101302355B1 (ko) | 2013-09-06 |
Family
ID=48664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21864A KR101302355B1 (ko) | 2011-11-21 | 2011-11-21 |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235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2396B1 (ko) | 2020-06-26 | 2022-02-15 |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 윈도우 레귤레이터용 캐리어 플레이트의 케이블 조립 구조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73100B2 (ja) * | 2004-09-27 | 2010-11-04 | マツダ株式会社 | 自動車のドア構造 |
KR20110012553A (ko) * | 2009-07-30 | 2011-02-09 | 평화정공 주식회사 |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 |
-
2011
- 2011-11-21 KR KR1020110121864A patent/KR101302355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02355B1 (ko) | 2013-09-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04644B2 (ja) | 車のドアの内側パネルと、この内側パネルに固定された窓ガラス昇降機構とを備えるアセンブリ | |
JPWO2013062060A1 (ja) |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 |
WO2015198849A1 (ja) | 昇降装置 | |
US10166846B2 (en) | Vehicle door module | |
US20140237900A1 (en) | Window Regulator | |
KR101302355B1 (ko) |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 | |
KR101302354B1 (ko) |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 | |
KR101302356B1 (ko) |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 | |
KR20110012553A (ko) |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 | |
KR101708187B1 (ko) | 자동차용 윈도우 글래스의 캐리어 플레이트 조립 구조 | |
JP2013217082A (ja) |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 |
JP2012218897A (ja) | エレベータ | |
JP3792529B2 (ja) | ワイヤ式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 | |
CN114423923B (zh) | 驱动装置及窗玻璃升降装置 | |
WO2012011593A1 (ja) | 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 | |
KR20100011725A (ko) | 윈도우 레귤레이터 장치 | |
JP2013513516A (ja) | ドアフレームアセンブリおよび方法 | |
JP2013513516A5 (ko) | ||
JP2012062720A (ja) | 自動ドア用取付装置 | |
JP2019190229A (ja) | 対象物移動装置及び窓ガラス昇降装置 | |
KR102717944B1 (ko) |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용 케이블 슬라이더 | |
US11408217B2 (en) | Cable routing structure and window-glass lifting device using same | |
JP3626039B2 (ja) | ドアガラス昇降装置 | |
JP5064961B2 (ja) |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装置 | |
KR101975376B1 (ko) | 모듈 판넬의 마운팅부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