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5662A -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5662A
KR20130055662A KR1020137007040A KR20137007040A KR20130055662A KR 20130055662 A KR20130055662 A KR 20130055662A KR 1020137007040 A KR1020137007040 A KR 1020137007040A KR 20137007040 A KR20137007040 A KR 20137007040A KR 20130055662 A KR20130055662 A KR 20130055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odules
movement
processing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7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5552B1 (ko
Inventor
양 리우
Original Assignee
차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차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55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5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바, 상기 방법에는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모듈 X와 이동 방향을 확정하는 단계 A; 이동 방향을 따라 모듈 X를 하나의 단위만큼 이동시키고 모듈 X와 다른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면 모듈 X와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 모듈을 저지 모듈로 확정하고 모듈 X를 원위치로 복귀시킨 후 모듈 X와 저지 모듈의 위치를 교환하며, 모듈 X와 저지 모듈을 제외한 다른 모든 모듈이 제대로 배치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있으면 배치된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없으면 단계 C를 수행하는 단계 B; 및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계속하여 이동할 수 없으면 이동에 실패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면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하나의 단위만큼 이동시키고 모듈 X를 제외한 다른 모든 모듈이 제대로 배치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있으면 배치된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없으면 단계 C를 중복 수행하는 단계 C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안을 응용하면 그래픽 객체에 대한 이동의 성공률을 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MOVEMENT OF IMAGE OBJECT}
본 출원은, 2010년 08월 20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 번호 제201010259856.2호,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및 장치"를 발명 명칭으로 하는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출원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에서의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을 비롯한 이동 단말에는 통상적으로 하나의 소정 사이즈의 표시 화면이 구비되고 상기 표시 화면에 대응되는 영역을 표시 영역이라 하며 통상적으로 직사각형이다. 표시 영역에는 여러 가지 응용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아이콘, 위젯(Widget) 또는 단순 이미지 등)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그래픽 객체에 대한 클릭을 통해 바로 그에 대응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기존의 스마트 폰을 비롯한 이동 단말은 사용자더러 수요에 따라 각 그래픽 객체에 대해 드래그 동작 즉 그래픽 객체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허용한다. 만약 표시 영역 내의 그래픽 객체가 비교적 적으면 문제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으나, 만약 그래픽 객체가 비교적 많으면(이와 상응하게 아이들(idle) 영역이 상대적으로 적어짐), 상이한 그래픽 객체의 중첩을 초래할 수 있어 그래픽 객체의 이동에 실패하게 되며, 더 나아가 사용자의 사용에 불편을 가져다주어 사용자 체험을 줄 된다.
이를 감안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을 제공하여 그래픽 객체에 대한 이동의 성공률을 제고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래픽 객체 이동 장치를 제공하여 그래픽 객체에 대한 이동의 성공률을 제고시키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안은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에 있어서,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모듈 X와 이동 방향을 확정하는 단계 A;
이동 방향을 따라 모듈 X를 하나의 단위만큼 이동시키고 모듈 X와 다른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면 모듈 X와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 모듈을 저지 모듈로 확정하고 모듈 X를 원위치로 복귀시킨 후 모듈 X와 저지 모듈의 위치를 교환하며, 모듈 X와 저지 모듈을 제외한 다른 모든 모듈이 제대로 배치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있으면 배치된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없으면 단계 C를 수행하는 단계 B; 및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계속하여 이동할 수 없으면 이동에 실패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면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하나의 단위만큼 이동시키고 모듈 X를 제외한 다른 모든 모듈이 제대로 배치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있으면 배치된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없으면 단계 C를 중복 수행하는 단계 C가 포함된다.
그래픽 객체 이동 장치에 있어서, 제1 처리 수단, 제2 처리 수단 및 제3 처리 수단이 포함되며,
상기 제1 처리 수단은,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모듈 X와 이동 방향을 확정하며,
상기 제2 처리 수단은, 이동 방향을 따라 모듈 X를 하나의 단위만큼 이동시키고 모듈 X와 다른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면 모듈 X와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 모듈을 저지 모듈로 확정하고 모듈 X를 원위치로 복귀시킨 후 모듈 X와 저지 모듈의 위치를 교환하며, 모듈 X와 저지 모듈을 제외한 다른 모든 모듈이 제대로 배치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있으면 배치된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없으면 상기 제3 처리 수단으로 하여금 자신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통지하며,
상기 제3 처리 수단은,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없으면 이동에 실패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면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하나의 단위만큼 이동시키고, 모듈 X를 제외한 다른 모든 모듈이 제대로 배치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있으면 배치된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없으면 자신의 기능을 중복 수행한다.
보다시피, 본 발명의 기술안을 채용하여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모듈 X를 이동시켜, 만약 다른 모듈과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며, 만약 다른 모듈과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면 모듈 X와 저지 모듈의 위치를 교환시키고, 위치 교환 후 모듈 X와 저지 모듈을 제외한 다른 모든 모듈이 제대로 배치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대로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배치된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제대로 배치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며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계속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정될 경우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하나의 단위만큼 더 이동시키고, 모듈 X와 저지 모듈을 제외한 다른 모든 모듈이 제대로 배치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듈 X를 제대로 배치할 때까지 상기 과정을 중복함으로써, 상이한 그래픽 객체 사이에 발생되는 중첩을 방지하고 그래픽 객체에 대한 이동 성공률을 제고하게 되어 사용자의 사용에 편의를 가져다주며 사용자 체험을 제고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기술안의 확장성이 아주 훌륭하여 상이한 표시 영역 크기의 이동 단말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기술안은 그 구현이 간단하고 실행이 신뢰 가능하며 운영 체제 플랫폼과 프로그래밍 언어 등의 제한을 받지 않아 보급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중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실시예의 흐름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중 방법 실시예에서의 마스크 테이블(mask table)의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중 방법 실시예에서의 표시 영역의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중 방법 실시예에서의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모듈이 이동 방향상에서 하나의 단위만큼 이동된 후의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중 방법 실시예에서의 확정된 최소 경계 직사각형(MBR: Minimum Bounding Rectangle) 영역의 예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중 방법 실시예에서의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에 대한 미러링(mirroring) 후의 예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중 그래픽 객체 이동 장치 실시예의 구성 구조 예시도.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완전히 새로운 그래픽 객체 이동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상이한 그래픽 객체 사이의 중첩을 방지하여 사용자 체험을 제고시킬 수 있다. 상기 그래픽 객체는 아이콘, 위젯(Widget) 또는 단순 이미지 등을 포함하며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안이 보다 명확하고 명백하도록 하기 위해, 도면을 참조하고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술안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면 아래와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중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단계가 포함된다.
단계 11: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모듈 X와 이동 방향을 확정한다.
상이한 제조 업체 및 상이한 모델의 이동 단말에 있어서, 그 표시 영역의 크기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20*240 즉 표시 영역의 길이와 너비가 각각 320개 단위와 240개 단위일 수 있고, 800*480 또는 다른 크기일 수도 있다. 각 그래픽 객체를 놓고 볼 때, 모두 소정 크기의 영역(그 길이와 너비가 표시 영역의 길이와 너비보다 작거나 같아야 함)을 차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에 의해 차지되는 영역을 모듈 X라 하고, 여기서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단순 이미지와 같은 규칙적인 형상의 그래픽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규칙적인 위젯과 같은 비규칙적인 그래픽일 수도 있다.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이 규칙적인 형상일 경우, 직사각형 및 정사각형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직사각형을 예로 들어 상기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의 길이와 너비가 각각 20과 10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에 의해 차지되는 영역의 크기가 20*10이다.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이 비규칙적인 형상일 경우 그에 의해 차지되는 영역의 크기는 수평 방향상에서의 상기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의 최대 길이와 수직 방향상에서의 상기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의 최대 길이의 곱셈값이며, 수평 방향상에서의 상기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의 최대 길이가 30이고 수직 방향상에서의 최대 길이가 20인 것을 예로 들면, 상기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에 의해 차지되는 영역의 크기는 30*20이다.
설명상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가 직사각형의 단순 이미지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모듈 X와 이동 방향을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커서를 통해 그래픽 객체 1을 선택하고 아래 방향 키를 클릭하면, 그래픽 객체 1에 의해 차지되는 영역이 모듈 X로 확정되고 아래 방향이 이동 방향으로 확정된다. 물론, 여기서 단지 예를 들어 설명한 것뿐이며, 구체적인 구현 방식에 대해서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12: 이동 방향을 따라 모듈 X를 하나의 단위만큼 이동시킨다.
실제 응용에서는, 각 단위의 크기를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의 크기를 4*4로 가정하면, 즉 수평 방향상에서의 표시 영역의 최대 길이를 4개 그리드(grid)로, 수직 방향상에서의 최대 길이도 4개 그리드로 가정하면, 각 단위를 적어도 하나의 그리드로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이동 방향이 아래 방향이고 각 단위를 2개 그리드로 설정하면, 이동 방향을 따라 모듈 X를 하나의 단위만큼 이동시키는바 즉 수직 방향을 따라 모듈 X를 2개 그리드만큼 이동시킨다.
단계 13: 모듈 X와 다른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14를 수행하며,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면 단계 15를 수행한다.
실제 응용에서는 표시 영역을 위해 하나의 2차원 구성의 어레이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마스크 테이블이라 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실시예에서의 마스크 테이블 예시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의 크기를 4*4로 가정하면 마스크 테이블 내의 각 요소는 두 가지 내용을 기록하도록 구성되며, 그 중 한 가지는 그에 대응되는 그리드가 차지되었는지 여부를 기록하는바 만약 차지되었으면 1로 기록되고 만약 차지되지 않았으면 0으로 기록되며, 다른 한 가지는 그리드를 차지한 모듈의 메모리 주소(각 모듈의 메모리 주소는 모두 유일함)를 기록하는바 만약 그리드가 차지되지 않은 경우 NULL로 기록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그리드가 차지되었고 이 4개의 그리드를 차지한 모듈의 메모리 주소는 0*100이다.
이로써, 마스크 테이블에 대한 검색을 통해, 이동된 후의 모듈 X와 다른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바로 확정할 수 있으며 어느 모듈과의 중첩이 발생하는지를 알 수 있다.
단계 14: 이동된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15: 모듈 X와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 모듈을 저지 모듈로 확정하고 모듈 X를 원위치로 복귀시킨 후 모듈 X와 저지 모듈의 위치를 교환한다.
본 단계에서는, 모듈 X를 원위치로 복귀시킨 후 우선 모듈 X 및 저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체 영역의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을 확정한 다음 상기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 내에서 모듈 X의 이동 방향과 평행되는 두 변의 중점(midpoint)의 연결선을 축으로, 상기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에 대한 미러링을 수행함으로써 모듈 X와 저지 모듈의 위치 교환을 실현한다. 추가 설명해야 할 점은, 저지 모듈의 전체 영역은 저지 모듈에 의해 차지된 영역이고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은 모듈 X에 의해 차지된 영역과 저지 모듈에 의해 차지된 영역의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이다.
구체적인 실예를 들어 단계 11 내지 단계 15에 대해 더 깊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실시예에서의 표시 영역 예시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의 크기를 4*4로 가정하고, 여기에 모두 4개 모듈이 포함되며 각각 모듈 1, 모듈 2, 모듈 3 및 모듈 4이며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모듈을 모듈 2로 가정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실시예에서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모듈을 이동 방향에 따라 하나의 단위(즉 하나의 그리드)만큼 이동시킨 후의 예시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된 후의 모듈 2와 모듈 4 사이에는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므로 모듈 4가 바로 저지 모듈(실제 응용에서는 저지 모듈의 개수가 여러 개일 수 있으며 여기서는 한 개를 예로 듬)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실시예에서 확정되는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의 예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실시예에서 미러링된 후의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의 예시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4와 모듈 2의 위치의 상호 교환이 실현된다. (다른 모듈은 생략됨)
단계 16: 모듈 X와 저지 모듈을 제외한 다른 모든 모듈이 제대로 배치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있으면 단계 17을 수행하고,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없으면 단계 18을 수행한다.
본 단계에서는, 모듈 X와 저지 모듈에 의해 차지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즉 도6에 도시된 공백 영역)에 다른 모든 모듈이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임의의 두 모듈 사이에 중첩된 부분이 모두 존재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다른 모든 모듈이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임의의 두 모듈 사이에 중첩된 부분이 모두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17을 수행하고, 만약 그렇지 않으면 단계 18을 수행한다.
단계 17: 배치된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한 다음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18: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없으면 이동에 실패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면 단계 19를 수행한다.
본 단계에서는, 미러링된 후의 결과에 대해 처리를 진행한다. 만약 계속하여 이동시키면 표시 영역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모듈 X를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없으며 이동 실패를 의미한다.
단계 19: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하나의 단위만큼 이동시킨다.
단계 110: 모듈 X를 제외한 다른 모든 모듈이 제대로 배치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있으면 단계 17을 수행하며,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없으면 단계 18을 중복하여 수행한다.
본 단계에서는, 모듈 X에 의해 차지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다른 모든 모듈을 모두 배치할 수 있는 동시에 또한 임의의 두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모두 존재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다른 모든 모듈을 모두 배치할 수 있는 동시에 또한 임의의 두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모두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17을 수행하며, 만약 그렇지 않으면 단계 18을 중복하여 수행하는바 즉모듈 X를 이동할 수 없을 때까지 계속하여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모듈을 배치함에 있어서 예정된 원칙을 따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 X의 이동 방향에서의 각 모듈의 수직 방향상의 좌표를 될수록 변화시키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할 경우 만약 다른 모든 모듈에 대한 여러 가지 배치 방식이 존재하면, 우선 모듈 X의 이동 방향에서의 각 모듈의 수직 방향상의 좌표를 변화시키지 않을 수 있는 방식이 그 중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그 중에 존재하면 상기 방식에 따라 다른 모든 모듈에 대한 배치를 수행하며, 만약 그 중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모듈 X의 이동 방향에서의 각 모듈의 수직 방향상의 좌표에 대한 변화가 가장 작은 방식을 선택하여 다른 모든 모듈에 대한 배치를 진행한다.
또한, 실제 응용에서는, 우선 순위의 내림 차순으로 각 모듈을 배열하여 우선적으로 우선 순위가 높은 모듈을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 X의 이동 방향상에서의 각 모듈의 길이의 내림 차순에 따라 각 모듈을 배열하고, 모듈 X의 이동 방향상에서의 길이가 같은 모듈의 경우, 모듈 X의 이동방향에서의 수직 방향상의 길이의 내림 차순에 따라 배열한다.
여기까지 바로 도1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에 관한 설명이 완성된다. 만약 사용자가 후속적으로 계속하여 그래픽 객체의 이동을 원한다면, 상기 과정을 중복하면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또한 그래픽 객체 이동 장치를 제공한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한 그래픽 객체 이동 장치의 구성 구조 예시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처리 수단(71), 제2 처리 수단(72) 및 제3 처리 수단(73)이 포함된다.
제1 처리 수단(71)은,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모듈 X와 이동 방향을 확정한다.
제2 처리 수단(72)은, 이동 방향을 따라 모듈 X를 하나의 단위만큼 이동시키고 모듈 X와 다른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면 모듈 X와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 모듈을 저지 모듈로 확정하고 모듈 X를 원위치로 복귀시킨 후 모듈 X와 저지 모듈의 위치를 교환하며, 모듈 X와 저지 모듈을 제외한 다른 모든 모듈이 제대로 배치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있으면 배치된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없으면 상기 제3 처리 수단으로 하여금 자신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통지한다.
제3 처리 수단(73)은,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없으면 이동에 실패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면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하나의 단위만큼 이동시키고, 모듈 X를 제외한 다른 모든 모듈이 제대로 배치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있으면 배치된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없으면 자신의 기능을 중복 수행한다.
여기서, 제2 처리 수단(72)에는 구체적으로 제1 처리 서브 수단과 제2 처리 서브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도면을 간소화하기 위해 도시하지 않았음)
제1 처리 서브 수단은, 이동 방향을 따라 모듈 X를 하나의 단위만큼 이동시켜, 모듈 X와 다른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제2 처리 서브 수단은,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면 이동 방향을 따라 하나의 단위만큼 이동된 후의 모듈 X와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 모듈을 저지 모듈로 확정하고 모듈 X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며, 모듈 X와 저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체 영역의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을 확정하여 상기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 내에서 모듈 X의 이동 방향과 평행되는 두 변의 중점의 연결선을 축으로, 상기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에 대한 미러링을 수행하며, 모듈 X와 저지 모듈에 차지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모듈 X와 저지 모듈을 제외한 다른 모든 모듈이 모두 배치될 수 있는 동시에 또한 임의의 두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모두 존재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있으면 배치된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없으면 제3 처리 수단(73)을 트리거한다.
제3 처리 수단(73)에는 구체적으로 제3 처리 서브 수단과 제4 처리 서브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도면을 간소화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았음)
제3 처리 서브 수단은, 모듈 X와 저지 모듈을 제외한 다른 모든 모듈을 제대로 배치할 수 없을 경우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계속하여 이동할 수 없으면 이동에 실패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계속하여 이동할 수 있으면 제4 처리 서브 수단으로 하여금 자신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통지한다.
제4 처리 서브 수단은,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계속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제3 처리 서브 수단에서 판단되면,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하나의 단위만큼 이동시키고, 모듈 X에 의해 차지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모듈 X를 제외한 다른 모든 모듈을 모두 배치할 수 있는 동시에 또한 임의의 두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모두 존재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제대로 배치할 수 있으면 배치된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제대로 배치할 수 없으면 제3 처리 서브 수단을 트리거한다.
도7에 도시된 장치 실시예의 구체적인 동작 흐름에 대해, 도1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에 대한 상기 설명을 참조하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총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안을 채용하면 그래픽 객체에 대한 이동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어 사용자 체험을 제고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완전 하드웨어적인 실시예, 완전 소프트웨어적인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결합 실시예의 형식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사용 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포함되는 컴퓨터 사용 가능 저장 매체(디스크 메모리, CD-ROM 및 광학 메모리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식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한 방법, 장치(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지령을 통해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각 절차 및/블록과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절차 및/또는 블록의 결합을 실현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지령을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삽입식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하여 하나의 머신을 생성함으로써,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지령을 통해, 흐름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절차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서 지정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지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를 특정된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컴퓨터 독출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됨으로써 상기 컴퓨터 독출 가능한 메모리 내에 저장된 지령을 통해 지령 장치를 포함하는 제조품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지령 장치는 흐름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절차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구현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지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장착함으로써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장치상에서 일련의 조작 단계를 실행하여 컴퓨터적으로 구현되는 처리를 생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장치상에서 실행되는 지령은 흐름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절차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단계를 제공한다.
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상기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기본적인 진보성 개념을 알기만 하면 이러한 실시예에 대한 다른 변경과 변형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경과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을 의도로 한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사상과 원칙 내에서 진행되는 임의의 변경, 균등물에 의한 치환 및 개진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모듈 X와 이동 방향을 확정하는 단계 A;
    이동 방향을 따라 모듈 X를 하나의 단위만큼 이동시키고 모듈 X와 다른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면 모듈 X와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 모듈을 저지 모듈로 확정하고 모듈 X를 원위치로 복귀시킨 후 모듈 X와 저지 모듈의 위치를 교환하며, 모듈 X와 저지 모듈을 제외한 다른 모든 모듈이 제대로 배치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있으면 배치된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없으면 단계 C를 수행하는 단계 B; 및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계속하여 이동할 수 없으면 이동에 실패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면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하나의 단위만큼 이동시키고 모듈 X를 제외한 다른 모든 모듈이 제대로 배치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있으면 배치된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없으면 단계 C를 중복 수행하는 단계 C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X를 원위치로 복귀시킨 후 모듈 X와 저지 모듈의 위치를 교환하는 것은,
    모듈 X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모듈 X 및 저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체 영역의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을 확정하며,
    상기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 내에서 모듈 X의 이동 방향과 평행되는 두 변의 중점의 연결선을 축으로, 상기상기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에 대한 미러링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X와 저지 모듈을 제외한 다른 모든 모듈이 제대로 배치되는 것은,
    모듈 X 및 저지 모듈에 의해 차지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다른 모든 모듈이 모두 배치되는 동시에 또한 임의의 두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 X를 제외한 다른 모든 모듈이 제대로 배치되는 것은,
    모듈 X에 의해 차지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다른 모든 모듈이 모두 배치되는 동시에 또한 임의의 두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만약 두 가지 이상의 배치 방식이 존재하면, 모듈 X의 이동 방향에서의 각 모듈의 수직 방향상의 좌표를 변화시키지 않을 수 있는 방식이 상기 두 가지 이상의 배치 방식 중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상기 모듈 X의 이동 방향에서의 각 모듈의 수직 방향상의 좌표를 변화시키지 않을 수 있는 방식이 상기 두 가지 이상의 배치 방식 중에 존재하면 상기 모듈 X의 이동 방향에서의 각 모듈의 수직 방향상의 좌표를 변화시키지 않을 수 있는 방식에 따라 다른 모든 모듈에 대한 배치를 수행하며, 만약 상기 모듈 X의 이동 방향에서의 각 모듈의 수직 방향상의 좌표를 변화시키지 않을 수 있는 방식이 상기 두 가지 이상의 배치 방식 중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모듈 X의 이동 방향에서의 각 모듈의 수직 방향상의 좌표에 대한 변화가 가장 작은 방식을 선택하여 다른 모든 모듈에 대한 배치를 수행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모든 모듈을 배치하는 것은,
    우선 순위의 내림 차순에 따라 각 모듈을 배열하여 우선 순위가 높은 모듈을 우선적으로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의 내림 차순에 따라 각 모듈을 배열하는 것은,
    모듈 X의 이동 방향상에서의 각 모듈의 길이의 내림 차순에 따라 각 모듈을 배열하고, 모듈 X의 이동 방향상에서의 길이가 같은 모듈의 경우, 모듈 X의 이동방향에서의 수직 방향상의 길이의 내림 차순에 따라 배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7.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모듈 X와 이동 방향을 확정하기 위한 제1 처리 수단;
    이동 방향을 따라 모듈 X를 하나의 단위만큼 이동시키고 모듈 X와 다른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면 모듈 X와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 모듈을 저지 모듈로 확정하고 모듈 X를 원위치로 복귀시킨 후 모듈 X와 저지 모듈의 위치를 교환하며, 모듈 X와 저지 모듈을 제외한 다른 모든 모듈이 제대로 배치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있으면 배치된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기 위한 제2 처리 수단; 및
    모듈 X와 저지 모듈을 제외한 다른 모든 모듈이 제대로 배치될 수 없을 경우,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없으면 이동에 실패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면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하나의 단위만큼 이동시키고, 모듈 X를 제외한 다른 모든 모듈이 제대로 배치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있으면 배치된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없으면 중복 수행을 하기 위한 제3 처리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객체 이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처리 수단에는 제1 처리 서브 수단과 제2 처리 서브 수단이 포함되며,
    상기 제1 처리 서브 수단은, 이동 방향을 따라 모듈 X를 하나의 단위만큼 이동시키고, 모듈 X와 다른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제2 처리 서브 수단은,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면 이동 방향을 따라 하나의 단위만큼 이동된 후의 모듈 X와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 모듈을 저지 모듈로 확정하고 모듈 X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며, 모듈 X와 저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체 영역의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을 확정하여 상기상기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 내에서 모듈 X의 이동 방향과 평행되는 두 변의 중점의 연결선을 축으로, 상기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에 대한 미러링을 수행하며, 모듈 X와 저지 모듈에 차지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모듈 X와 저지 모듈을 제외한 다른 모든 모듈이 모두 배치될 수 있는 동시에 또한 임의의 두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모두 존재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있으면 배치된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제대로 배치될 수 없으면 제3 처리 수단을 트리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객체 이동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제3 처리 수단에는 제3 처리 서브 수단과 제4 처리 서브 수단이 포함되며,
    상기 제3 처리 서브 수단은, 모듈 X와 저지 모듈을 제외한 다른 모든 모듈을 제대로 배치할 수 없을 경우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계속하여 이동할 수 없으면 이동에 실패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상기 제4 처리 서브 수단은,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계속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제3 처리 서브 수단에서 판단되면,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하나의 단위만큼 이동시키고, 모듈 X에 의해 차지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모듈 X를 제외한 다른 모든 모듈을 모두 배치할 수 있는 동시에 또한 임의의 두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모두 존재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제대로 배치할 수 있으면 배치된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제대로 배치할 수 없으면 제3 처리 서브 수단을 트리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객체 이동 장치.
KR1020137007040A 2010-08-20 2011-08-09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및 장치 KR1014555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10259856.2 2010-08-20
CN2010102598562A CN102375665B (zh) 2010-08-20 2010-08-20 一种图标移动方法和装置
PCT/CN2011/078148 WO2012022229A1 (zh) 2010-08-20 2011-08-09 一种图形对象移动方法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662A true KR20130055662A (ko) 2013-05-28
KR101455552B1 KR101455552B1 (ko) 2014-10-28

Family

ID=45604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7040A KR101455552B1 (ko) 2010-08-20 2011-08-09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71346B2 (ko)
EP (1) EP2608004B1 (ko)
JP (1) JP5623645B2 (ko)
KR (1) KR101455552B1 (ko)
CN (1) CN102375665B (ko)
WO (1) WO20120222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1538B2 (ja) * 2013-02-20 2016-09-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D780792S1 (en) 2013-02-27 2017-03-07 Fujifilm Corporation Display screen for image-editing apparatus
CN111026313B (zh) * 2019-12-16 2021-01-22 深圳介子云图空间科技有限公司 一种可视化列表排序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24371A1 (de) * 2003-05-28 2004-12-23 Siemens Ag Verfahren zur Darstellung eines Grafikobjekts und Kommunikationsgerät
US8127248B2 (en) * 2003-06-20 2012-02-28 Apple Inc. Computer interface having a virtual single-layer mode for viewing overlapping objects
US20050125742A1 (en) * 2003-12-09 2005-06-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on-overlapping graphical user interface workspace
KR100672478B1 (ko) * 2005-04-26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와 메뉴 동작 제어 방법
JP2007041944A (ja) 2005-08-04 2007-02-15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KR100791287B1 (ko) 2005-10-26 200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픽 객체의 3차원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US7509588B2 (en) * 2005-12-30 2009-03-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US20070265930A1 (en) * 2006-04-26 2007-11-15 Julia Mohr Usability by offering the possibility to change viewing order in a navigation panel
CN101110011A (zh) * 2006-07-19 2008-01-2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家用电器显示屏上的按钮图标再排列装置及其再排列方法
US20080115081A1 (en) * 2006-11-09 2008-05-15 Microsoft Corporation Enhanced windows management feature
JP4342578B2 (ja) * 2007-07-24 2009-10-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619038B2 (en) * 2007-09-04 2013-12-31 Apple Inc. Editing interface
KR20090112440A (ko) * 2008-04-24 2009-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JP5253936B2 (ja) * 2008-09-08 2013-07-3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402381B2 (en) * 2008-09-23 2013-03-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ally arranging widgets of a model within a canvas using iterative region based widget relative adjustments
CN101770331B (zh) * 2009-01-05 2012-12-1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计算机图标排列管理方法及管理装置
JP5317800B2 (ja) * 2009-03-31 2013-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161384B2 (en) * 2009-04-23 2012-04-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rranging graphic objects on a page with text
KR20110059009A (ko) * 2009-11-27 2011-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메뉴 설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2279695B (zh) * 2010-06-09 2012-10-31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显示区域中图标的移动方法及相关装置
KR101716893B1 (ko) * 2010-07-05 2017-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552B1 (ko) 2014-10-28
WO2012022229A1 (zh) 2012-02-23
CN102375665B (zh) 2013-04-24
JP2013539575A (ja) 2013-10-24
US9171346B2 (en) 2015-10-27
JP5623645B2 (ja) 2014-11-12
EP2608004B1 (en) 2017-12-06
EP2608004A1 (en) 2013-06-26
US20130169691A1 (en) 2013-07-04
CN102375665A (zh) 2012-03-14
EP2608004A4 (en)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3406B2 (ja) タイルの配列
JP6265451B2 (ja) オブジェクト管理装置、思考支援装置、オブジェクト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698599B2 (en) Connecting graphical shapes using gestures
KR102265126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구성 기법
JP5973679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インタフェース移動の制御方法、その制御装置及び、端末デバイス、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1124391A (zh) 一种桌面端软件挂件视窗管理方法和系统
CN107608609A (zh) 一种事件对象发送方法与装置
KR20130055662A (ko)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및 장치
KR101390467B1 (ko)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및 장치
CN107111418A (zh) 具有最小破坏性的图标位移
KR20160031397A (ko) 어플리케이션 선택 화면을 통해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02866883A (zh) 确定图形状之间的相等间隔向导的显示
US201202870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objects of electronic device
KR20150019064A (ko) 계층정보 표시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계층정보 표시장치
US10754524B2 (en) Resizing of images with respect to a single point of convergence or divergence during zooming operations in a user interface
US20200341608A1 (en) Method of panning image
CN104423866A (zh) 一种基于触控屏的控制方法及具备触控屏的电子终端
CN111273826A (zh) 桌面图标管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180335931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US1080267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7496900B2 (ja) アイコン配列方法、装置、ユーザ端末及び記憶媒体
KR101386493B1 (ko) 폴더 생성 기술
KR101574606B1 (ko) 터치 디스플레이 지능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JP2009140002A (ja) セルデータの検証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6909445A (zh) 一种创建移动终端桌面文件夹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