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3365A - 화상 형성 장치, 피조작 장치 및 인체 검지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피조작 장치 및 인체 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3365A
KR20130053365A KR1020120061929A KR20120061929A KR20130053365A KR 20130053365 A KR20130053365 A KR 20130053365A KR 1020120061929 A KR1020120061929 A KR 1020120061929A KR 20120061929 A KR20120061929 A KR 20120061929A KR 20130053365 A KR20130053365 A KR 20130053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
human body
image forming
unit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2976B1 (ko
Inventor
모토후미 바바
가즈히코 나루시마
겐타 오가타
마사후미 오노
게이코 시라이시
겐지 구로이시
고우이치 아즈마
히데노리 호리에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3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75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 G03G15/5091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for user-identification or authorisation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사람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와; 미리 정해진 제 1 범위에서 사람을 검지하는 제 1 검지 수단과; 상방에서 본 경우에, 상기 제 1 범위와는 별개이며 또는 일부가 상기 제 1 범위와 겹치고 또한 상기 제 1 범위보다 작은 제 2 범위에서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 제 2 검지 수단과; 제 1 전력량을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소비하는 제 1 상태와, 상기 제 1 전력량보다 적은 제 2 전력량을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소비하는 제 2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은, 상기 제 2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보다 작고; 상기 제 1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상기 제 2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이, 상기 제 2 검지 수단에 공급되고; 상기 제 1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제 2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상태로 전환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피조작 장치 및 인체 검지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OPERATED DEVICE AND HUMAN DETECTION DEVICE}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피조작 장치, 인체 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에너지 절감을 실현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될 때의 소비 전력량보다 적은 소비 전력 상태에서 대기하고, 사람이 접근한 것을 센서에서 검지하면 대기 상태로부터 복귀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04-178207호 공보에는, 조작 키를 배치한 단일의 기판을 샤프트를 축으로 하여 각각 쌍을 이루는 키 스위치 승강용 편심 캠으로 지지하고, 각 조작 키의 상면에 지압부로서 키 탄성 부재를 조작부 외장에 대하여 약간 돌출시켜서 각각 배치하고, 키 스위치 승강용 편심 캠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기판을 상승시켜서 키 탄성 부재를 조작 외장부 표면으로부터 돌출시키는 조작 패널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2006-126229호 공보에는, 인체가 발하는 특정 파장의 적외선을 검출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영역 내에 있어서의 사람의 존재를 검지하는 인체 존재 검출부와, 초음파를 발하고, 그 반사파를 검지함으로써, 인체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사람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인체 위치 검출부와, 인체 존재 검출부 및 인체 위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사람의 존재 위치로부터 그 사람의 눈의 위치를 추정하는 눈 위치 추정부와, 눈 위치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눈의 위치에 의거하여, 장치에 대해 표시의 시인성(視認性)을 향상시키는 조정을 행하는 밝기 변경 제어부, 문자 사이즈 변경 제어부, 및 콘트라스트 변경 제어부를 표시부에 구비하는 표시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사람의 존재를 검지하는 인체 검지 수단을 설치하고, 인체 검지 수단이 사람을 검지했을 때에 절전 모드 등의 제 2 전력 상태로부터 통상 모드 등의 제 1 전력 상태로 전환되는 장치로서, 보다 소비 전력량이 낮은 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방안에 의하면,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사람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와, 미리 정해진 제 1 범위에서 사람을 검지하는 제 1 검지 수단과, 상방에서 본 경우에, 상기 제 1 범위와는 별개이며 또는 일부가 상기 제 1 범위와 겹치고 또한 상기 제 1 범위보다 작은 제 2 범위에서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 제 2 검지 수단과, 제 1 전력량을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소비하는 제 1 상태와, 상기 제 1 전력량보다 적은 제 2 전력량을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소비하는 제 2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은, 상기 제 2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보다 작고, 상기 제 1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상기 제 2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이, 상기 제 2 검지 수단에 공급되고, 상기 제 1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제 2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상태로 전환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방안에 의하면, 상기 제 1 전력량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의 기구부를 구동시키는데 충분하다.
본 발명의 제 3 방안에 의하면, 상기 전환 수단이 상기 전력의 공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정지함으로써, 상기 제 1 상태를 상기 제 2 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제 4 방안에 의하면, 상기 제 1 검지 수단은, 상방에서 본 경우에, 장치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부측에 배치되며, 다른 단부측을 당해 제 1 검지 수단의 제 1 범위로는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 5 방안에 의하면, 상기 제 2 검지 수단은, 상기 조작부의 직하(直下)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 6 방안에 의하면, 상기 제 2 검지 수단은, 복수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 7 방안에 의하면, 사람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와, 미리 정해진 제 1 범위에서 사람을 검지하는 제 1 검지 수단과, 상방에서 본 경우에, 상기 제 1 범위와는 별개이며 또는 일부가 상기 제 1 범위와 겹치고 또한 상기 제 1 범위보다 작은 제 2 범위에서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 제 2 검지 수단과, 제 1 전력량을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소비하는 제 1 상태와, 상기 제 1 전력량보다 적은 제 2 전력량을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소비하는 제 2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구비한 피조작 장치로서, 상기 제 1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은, 상기 제 2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보다 작고, 상기 제 1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상기 제 2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이, 상기 제 2 검지 수단에 공급되고, 상기 제 1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제 2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상태로 전환하는 피조작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8 방안에 의하면,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전력의 공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정지함으로써, 상기 제 1 상태를 상기 제 2 상태로 전환한다.
본 발명의 제 9 방안에 의하면, 상기 제 1 검지 수단은, 상방에서 본 경우에, 상기 조작부를 사이에 두고, 제 1 검지 수단과 대향하는 위치를 상기 제 1 범위로는 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 10 방안에 의하면, 미리 정해진 제 1 범위에서 사람을 검지하는 제 1 검지 수단과, 상방에서 본 경우에, 상기 제 1 범위와는 별개이며 또는 일부가 상기 제 1 범위와 겹치고 또한 상기 제 1 범위보다 작은 제 2 범위에서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 제 2 검지 수단을 구비한 인체 검지 장치로서, 상기 제 1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은, 상기 제 2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보다 작고, 상기 제 1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상기 제 2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이, 상기 제 2 검지 수단에 공급되고, 상기 제 2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상기 제 2 검지 수단은, 상기 사람이 검지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인체 검지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방안에 의하면, 소비 전력이 보다 낮은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방안에 의하면,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 3 방안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전력량을 바꿀 수 있다.
상기 제 4 방안에 의하면, 본 방안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화상이 형성된 기록재를 꺼내러 올 뿐인 사람을 보다 검지하기 어렵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5 방안에 의하면, 본 방안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오(誤) 검지를 억제하면서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 6 방안에 의하면, 본 방안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오검지가 더욱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상기 제 7 방안에 의하면, 인체 검지 수단이 사람을 검지했을 때에 절전 모드 등의 제 2 전력 상태로부터 통상 모드 등의 제 1 전력 상태로 전환되는 장치로서, 보다 소비 전력량이 낮은 것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8 방안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전력량을 바꿀 수 있다.
상기 제 9 방안에 의하면, 본 방안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조작부를 조작할 의사가 있는 사람을 보다 높은 정확도로 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0 방안에 의하면, 제 2 전력 상태 중에 사람을 검지 가능한 상태에서 복수의 인체 검지 수단을 기동시켜두는 경우와 비교하여, 소비 전력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외관도.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프런트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지지부 커버의 이면측을 나타내는 도면.
도 5의 (a)는 도 1의 VA부에 있어서의 확대도, 도 5의 (b)는 도 5의 (a)의 VB-VB부의 단면도, 도 5의 (c)는 도 5의 (a)의 VC-VC부의 단면도.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의 인체 검지 장치의 검지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 2 인체 검지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투과 부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인체 검지 장치의 블럭도.
도 10은 상방에서 본 경우에 제 2 범위가 제 1 범위와 겹치지 않는 범위로 함과 함께, 제 2 인체 검지부를 복수 설치한 경우를 설명한 도면.
도 11의 (a)는 반사형 센서의 발광부(發光部)가 광을 발광하는 영역과 수광부(受光部)가 광을 수광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의 (b)는 발광부의 발광 강도 분포, 도 11의 (c)는 수광부의 수광 강도 분포.
도 12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유저와, 제 1 적재 트레이 혹은 제 2 적재 트레이에 적재된 용지를 꺼내는 유저가 위치할 것으로 상정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CPU가 행하는 절전 모드 해제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4는 CPU가 행하는 절전 모드로의 이행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5는 CPU가 행하는 다른 형태의 절전 모드로의 이행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6은 다른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의 외관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1)는, 원고의 화상을 읽어내는 화상 판독 장치(100)와, 기록재(이하, 대표로서 「용지」로 기재하는 경우도 있음) 상에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기록 장치(20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는, CPU, ROM, RAM 등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가지며,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300)와, 터치 패널 등에 의해 구성되며 유저로부터 받은 지시를 제어 장치(300)에 출력함과 함께 제어 장치(300)로부터의 정보를 유저에게 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I)(400)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판독 장치(100)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상부에 배치되고, 화상 기록 장치(200)는 화상 판독 장치(100)의 하측에 배치되며 제어 장치(300)를 내장하고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400)는 사람이 조작하는 조작부의 일례로서 기능하며, 화상 형성 장치(1) 상부의 앞쪽, 즉 화상 판독 장치(100)의 후술하는 화상 판독부(110)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우선, 화상 판독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상 판독 장치(100)는, 원고의 화상을 읽어내는 화상 판독부(110)와, 이 화상 판독부(110)에 원고를 반송하는 원고 반송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원고 반송부(120)는 화상 판독 장치(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화상 판독부(110)는 화상 판독 장치(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원고 반송부(120)는, 원고를 수용하는 원고 수용부(121)와, 이 원고 수용부(121)로부터 반송된 원고가 배출되는 원고 배출부(122)를 가지며, 원고 수용부(121)로부터 원고 배출부(122)로 원고를 반송한다.
화상 판독부(110)는, 플래튼 글래스(111)와, 광을 원고의 피판독면(화상면)에 조사하는 광 조사 유닛(112)과, 광 조사 유닛(112)에서 원고의 피판독면으로 광(L)이 조사되어 원고의 피판독면에서 반사한 반사광(L)을 유도하는 도광(導光) 유닛(113)과, 도광 유닛(113)에 의해 유도된 광(L)의 광학 상(像)을 결상(結像)하는 결상 렌즈(11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화상 판독부(110)는, 결상 렌즈(114)에 의해 결상된 광(L)을 광전(光電)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 등의 광전 변환 소자로 구성되며 결상된 광학 상을 검출하는 검출부(115)와, 검출부(11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검출부(115)에 의해 얻어진 전기 신호가 보내지는 화상 처리부(116)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판독부(110)는 원고 반송부(120)에 의해 반송되는 원고의 화상 및 플래튼 글래스(111)에 얹어진 원고의 화상을 읽어낸다.
이어서 화상 기록 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상 기록 장치(200)는, 용지(P)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의 일례로서의 화상 형성부(20)와, 화상 형성부(20)에 대하여 용지(P)를 공급하는 용지 공급부(60)와, 화상 형성부(20)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용지(P)를 배출하는 용지 배출부(70)와, 화상 형성부(20)에 의해 한쪽의 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P)의 표리(表裏)를 반전시켜서 재차 화상 형성부(20)를 향하여 반송하는 반전 반송부(80)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형성부(2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색(K)의 4개의 화상 형성 유닛(21Y, 21M, 21C, 21K)을 구비하고 있다. 각 화상 형성 유닛(21)은, 감광체 드럼(22)과, 감광체 드럼(22)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帶電)하는 대전기(23)와, 후술하는 광학계 유닛(50)에 의한 레이저 조사에 의해 형성된 정전 잠상(潛像)을 미리 정해진 색 성분 토너로 현상하여 가시화하는 현상기(2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화상 형성부(20)에는, 화상 형성 유닛(21Y, 21M, 21C, 21K)의 현상기(24)에 대하여 각 색의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29Y, 29M, 29C, 29K)가 설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부(20)는, 화상 형성 유닛(21Y, 21M, 21C, 21K)의 하방에, 화상 형성 유닛(21Y, 21M, 21C, 21K)의 감광체 드럼(22)에 대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광학계 유닛(50)을 구비하고 있다. 광학계 유닛(50)은, 도시하지 않은 반도체 레이저, 변조기 이외에도,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을 편향 주사하는 폴리곤 미러(도시 생략)와, 레이저광을 통과하는 유리제의 윈도(도시 생략)와, 각 구성 부재를 밀폐하기 위한 프레임(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화상 형성부(20)는, 화상 형성 유닛(21Y, 21M, 21C, 21K)의 감광체 드럼(22)에 형성된 각 색의 토너 상(像)을 중간 전사 벨트(31) 상에 다중 전사시키는 중간 전사 유닛(30)과, 중간 전사 유닛(30) 상에 중첩되어 형성된 토너 상을 용지(P)에 전사하는 이차 전사 유닛(40)과, 용지(P) 상에 형성된 토너 상을 가열 및 가압해서 정착하는 정착 장치(45)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전사 유닛(30)은, 중간 전사 벨트(31)와, 이 중간 전사 벨트(31)를 구동하는 드라이브 롤러(32)와, 중간 전사 벨트(31)에 일정한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 롤러(3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중간 전사 유닛(30)은, 각 감광체 드럼(22)과 중간 전사 벨트(31)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감광체 드럼(22) 상에 형성된 토너 상을 중간 전사 벨트(31) 상에 전사하기 위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일차 전사 롤러(34)와, 중간 전사 벨트(31)를 통해서 후술하는 이차 전사 롤러(41)와 대향하는 백업 롤러(35)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전사 벨트(31)는, 드라이브 롤러(32), 텐션 롤러(33), 복수의 일차 전사 롤러(34), 백업 롤러(35) 및 종동(從動) 롤러(36) 등의 복수의 회전 부재에 팽팽하게 걸려 있다. 그리고, 중간 전사 벨트(31)는, 구동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드라이브 롤러(32)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속도로 순환 구동된다. 이 중간 전사 벨트(31)는 예를 들면 고무 또는 수지에 의해 성형된 것이 사용된다.
또한 중간 전사 유닛(30)은, 중간 전사 벨트(31) 상에 존재하는 잔류 토너 등을 제거하는 클리닝 장치(37)를 구비하고 있다. 클리닝 장치(37)는, 토너 상의 전사 공정이 종료된 후의 중간 전사 벨트(31)의 표면으로부터 잔류 토너나 지분(紙粉) 등을 제거한다.
이차 전사 유닛(40)은, 이차 전사 위치에 설치되어 중간 전사 벨트(31)를 통해서 백업 롤러(35)를 압압(押壓)하여, 용지(P) 상에 화상을 이차 전사하는 이차 전사 롤러(41)를 구비하고 있다. 이차 전사 롤러(41)와, 중간 전사 벨트(31)를 통해서 이차 전사 롤러(41)와 대향하는 백업 롤러(35)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1)에 전사된 토너 화상이 용지(P)에 전사되는 이차 전사 위치가 구성된다.
정착 장치(45)는, 중간 전사 유닛(30)에 의해 이차 전사된 용지(P) 상의 화상(토너 상)을, 가열 정착 롤러(46)와 가압 롤러(47)에 의해, 열 및 압력을 이용해서 용지(P)에 정착시킨다.
용지 공급부(60)는, 화상이 기록되는 용지를 수용하는 용지 수용부(61)와, 용지 수용부(61)의 각각에 수용된 용지(P)를 송출하는 송출 롤(62)과, 송출 롤(62)에 의해 송출된 용지(P)가 반송되는 반송로(63)와, 반송로(63)를 따라 배치되어 송출 롤(62)에 의해 송출된 용지(P)를 이차 전사 위치로 반송하는 반송 롤(64, 65, 66)을 구비하고 있다.
용지 배출부(70)는, 화상 형성부(20)의 상방에 설치되어 화상 형성부(20)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적재하는 적재부의 일례인 제 1 적재 트레이(71)와, 이 제 1 적재 트레이(71)와 화상 판독 장치(100) 사이에 설치되며 마찬가지로 적재부의 일례인 제 2 적재 트레이(72)를 구비하고 있다.
용지 배출부(70)는, 정착 장치(45)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 설치되어 토너 화상이 정착된 용지(P)를 반송하는 반송 롤(75)과, 이 반송 롤(75)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설치되어 용지(P)의 반송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 게이트(7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용지 배출부(70)는, 전환 게이트(76)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전환 게이트(76)에 의해 전환된 반송 방향의 일방측(도 2에 있어서의 우측)으로 반송되는 용지(P)를 제 1 적재 트레이(71)로 배출하는 제 1 배출롤(7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용지 배출부(70)는, 전환 게이트(76)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전환 게이트(76)에 의해 전환된 반송 방향의 타방측(도 2에 있어서의 상측)으로 반송되는 용지(P)를 반송하는 반송 롤(78)과, 반송 롤(78)에 의해 반송되는 용지(P)를 제 2 적재 트레이(72)로 배출하는 제 2 배출롤(79)을 구비하고 있다.
반전 반송부(80)는, 정착 장치(45)의 측방에, 반송 롤(78)을 제 2 적재 트레이(72)로 용지(P)를 배출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반전된 용지(P)가 반송되는 반전 반송로(8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반전 반송로(81)에는, 반전 반송로(81)를 따라 복수의 반송 롤(82)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반송 롤(82)에 의해 반송된 용지(P)는 반송 롤(82)에 의해 재차 이차 전사 위치로 보내진다.
또한 화상 기록 장치(200)는, 화상 형성부(20), 용지 공급부(60), 용지 배출부(70), 반전 반송부(80) 및 제어 장치(300)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장치 본체 프레임(11)과, 이 장치 본체 프레임(11)에 부착되어 화상 형성 장치(1)의 외면을 형성하는 장치 케이싱(12)을 구비하고 있다.
장치 본체 프레임(11)은, 화상 형성 장치(1)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의 한쪽의 단부측의 내부에, 전환 게이트(76), 제 1 배출롤(77), 반송 롤(78) 및 제 2 배출롤(79) 등을 구비함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화상 판독 장치(100)를 지지하는 판독 장치 지지부(13)를 구비하고 있다. 판독 장치 지지부(13)는 장치 본체 프레임(11)에 있어서의 안쪽의 부위와 협동하여 화상 판독 장치(100)를 지지한다.
또한 화상 기록 장치(200)는, 장치 케이싱(12)의 일부로서 화상 형성부(20)의 앞쪽에 설치됨과 함께, 장치 본체 프레임(11)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런트 커버(15)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은 프런트 커버(15)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유저는, 프런트 커버(15)를 개방함으로써, 화상 형성부(20)의 중간 전사 유닛(30)이나 토너 카트리지(29Y, 29M, 29C, 29K)를 새것으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1)는 이하와 같이 작용한다.
화상 판독 장치(100)에 의해 읽어내어진 원고의 화상이나, 퍼스널 컴퓨터(도시 생략) 등에서 수신한 화상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화상 처리가 실시되고, 화상 처리가 실시된 화상 데이터는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색(K)의 4색의 색재 계조(階調) 데이터로 변환되어 광학계 유닛(50)에 출력된다.
광학계 유닛(50)은, 입력된 색재 계조 데이터에 따라, 반도체 레이저(도시 생략)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을, f-θ 렌즈(도시 생략)를 통하여 폴리곤 미러에 출사한다. 폴리곤 미러에서는, 입사된 레이저광을 각 색의 계조 데이터에 따라 변조하여 편향 주사하고, 도시하지 않은 결상 렌즈 및 복수 매의 미러를 통하여 화상 형성 유닛(21Y, 21M, 21C, 21K)의 감광체 드럼(22)에 조사한다.
화상 형성 유닛(21Y, 21M, 21C, 21K)의 감광체 드럼(22)에서는, 대전기(23)에 의해 대전된 표면이 주사 노광되어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형성된 정전 잠상은, 각각의 화상 형성 유닛(21Y, 21M, 21C, 21K)에 의해,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색(K)의 각 색의 토너 상으로서 현상된다. 화상 형성 유닛(21Y, 21M, 21C, 21K)의 감광체 드럼(22) 상에 형성된 토너 상은, 중간 전사체인 중간 전사 벨트(31) 상에 다중 전사된다.
한편, 용지 공급부(60)에서는, 화상 형성의 타이밍에 맞춰서 송출 롤(62)이 회전해서 용지 수용부(61)에 수용되어 있는 용지(P)가 들어올려지고, 반송로(63)를 통하여 반송 롤(64, 65)에 의해 반송된다. 그 후, 토너 상이 형성된 중간 전사 벨트(31)의 이동 타이밍에 맞춰서 반송 롤(66)이 회전하고, 용지(P)는 백업 롤러(35)및 이차 전사 롤러(41)에 의해 형성되는 이차 전사 위치에 반송된다. 이차 전사 위치에서,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반송되는 용지(P)에는, 압접력(壓接力) 및 미리 정해진 전계(電界)를 이용하여, 4색이 다중되어 있는 토너 상이 부(副)주사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전사된다. 그리고, 각 색의 토너 상이 전사된 용지(P)는, 정착 장치(45)에 의해 열 및 압력으로 정착 처리를 받은 후에 배출되어 제 1 적재 트레이(71) 혹은 제 2 적재 트레이(72)에 적재된다.
양면 인쇄의 요구가 있었을 경우에는, 한쪽의 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P)는, 반전 반송부(80)에서 표리가 반전하도록 반송되어 재차 이차 전사 위치에 보내진다. 그리고, 이차 전사 위치에서, 용지(P)의 다른 쪽의 면에 토너 상이 전사되고, 정착 장치(45)에서 전사된 화상이 정착된다. 그 후, 양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P)는, 배출되어 제 1 적재 트레이(71) 혹은 제 2 적재 트레이(72)에 적재된다.
이어서 화상 형성 장치(1)의 전력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는, 소비 전력이 상이한 복수의 전력 모드(동작 모드)를 가진다. 이 전력 모드의 예로서는, 전원 스위치가 온(on)이 되어 화상 형성 장치(1)의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의 웜업(warm up) 모드와, 발생한 잡(job)을 실행하는 런(run) 모드와, 잡의 발생에 대비하여 대기하는 스탠바이(stand by) 모드와, 소비 전력량을 저감하기 위한 절전 모드가 있다. 이하, 런 모드를 통상의 동작 상태에서 동작하는 모드로서의 통상 모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스탠바이 모드 및 절전 모드에 있어서는, 화상 형성부(20) 등에 공급하는 전력을 정지 또는 통상 모드에 있어서의 전력량보다 저하시킨다. 이것에 의해 절전 모드의 소비 전력량은 통상 모드의 소비 전력량보다 낮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가, 유저를 인증하는 IC 카드 리더 등의 인증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인증 장치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면 된다.
제어 장치(300)는, 미리 정해진 복귀 조건이 성립되었을 때에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복귀한다. 이 복귀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 외부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취득), 후술하는 인체 검지 장치(2)의 제 2 인체 검지부(700)로부터의 사람을 검지한 취지의 신호의 수신(취득)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장치(300)는, 미리 정해진 절전 조건이 성립되었을 때에 통상 모드로부터 절전 모드로 이행한다. 이 절전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취득)한 데이터에 관한 작업의 완료, 인체 검지 장치(2)의 제 2 인체 검지부(700)로부터의 사람을 검지하지 못한 취지의 신호(비검지 신호)의 수신(취득), 상기 제 2 인체 검지부(700)로부터 비검지 신호를 수신(취득)한 뒤 미리 정해진 기간의 경과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장치(300)는, 제 1 전력 상태로서의 통상 모드와, 제 2 전력 상태로서의 절전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의 일례로서 기능한다.
이어서 사람(인체)을 검지하여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복귀하는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는, 사람(인체)을 검지하는 인체 검지 장치(2)(도 1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인체 검지 장치(2)는, 절전 모드에서도 항상 전력이 공급되며, 미리 정해진 영역 내에 사람이 들어온 것을 검지하는 제 1 인체 검지 수단의 일례로서의 제 1 인체 검지부(600)와,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사람의 진입을 검지했을 경우에 전력이 공급되며, 미리 정해진 영역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을 검지하는 제 2 인체 검지 수단의 일례로서의 제 2 인체 검지부(70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미리 정해진 영역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 제어 장치(300)에 대하여 검지한 취지의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화상 형성 장치(1)는, 판독 장치 지지부(13)의 앞쪽에, 이 판독 장치 지지부(13)의 전면(前面)을 덮는 지지부 커버(500)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 커버(500)는, 장치 케이싱(12)의 일부이며, 유저 인터페이스(400)를 조작하는 사람이 위치할 것으로 상정되는 장치 앞쪽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면 형성 부재로서 기능한다. 지지부 커버(500)는 판 형상의 부재이며 장치 본체 프레임(11)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 커버(500)의 이면측에 인체 검지 장치(2)의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저 인터페이스(400)에 인접하는 위치인 유저 인터페이스(400)의 직하에 인체 검지 장치(2)의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장착되어 있다.
우선은 제 1 인체 검지부(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인체 검지부(600)는, 사람이 발하는 특정 파장의 적외선을 초전(焦電) 효과를 이용하여 검지하는 것에 의해 미리 정해진 영역(미리 정해진 제 1 범위, 도 6에 나타내는 검지 범위(A1)) 내에 사람이 들어온 것을 검출한다. 제 1 인체 검지부(600)는, 초전 소자, 렌즈, IC, 프린트 기판 등을 구비하며, 사람이 움직일 때에 발생하는 적외선의 변화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변화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상회했을 경우에, 미리 정해진 영역 내에 사람이 들어온 것을 검지하는 초전형 센서(610)와, 초전형 센서(610)를 실장(實裝)하는 프린트 기판인 제 1 기판(630)을 구비하고 있다.
초전형 센서(610)는 제 1 기판(630)에 실장되며, 미리 정해진 영역 내에 사람이 들어온 것을 검지했을 때에, 그 취지의 신호를 출력한다.
도 4는 지지부 커버(500)의 이면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기판(630)은, 지지부 커버(500)의 이면측에 볼트(64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기판(630)의 앞쪽에 실장된 초전형 센서(610)가 장치 본체 프레임(11)에 간접적으로 고정된다.
도 5의 (a)는 도 1의 VA부에 있어서의 확대도이다, 도 5의 (b)는 도 5의 (a)의 VB-VB부의 단면도이다. 도 5의 (c)는 도 5의 (a)의 VC-VC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에 있어서의 인체 검지 장치(2)의 검지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화상 형성 장치(1)를 앞쪽에서 본 도면, 도 6의 (b)은 화상 형성 장치(1)를 상방에서 본 도면, 도 6의 (c)는 화상 형성 장치(1)를 가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지지부 커버(500)는, 고정 틀과 이 고정 틀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가동 틀을 이용하여 성형되며, 고정 틀에 대한 가동 틀의 상대 이동 방향이 안쪽에서 앞쪽을 향한 수평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 되도록 장치 본체 프레임(11)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 커버(500)에는, 제 1 기판(630)을 체결하는 볼트(640)가 나사끼움되는 암 나사부(501)가, 그 중심선 방향이 고정 틀에 대한 가동 틀의 상대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 되도록 지향되어 있다.
초전형 센서(610)는, 그 중심선 방향이 암 나사부(501)의 중심선 방향, 환원하면 안쪽에서 앞쪽을 향한 수평 방향이 되도록 제 1 기판(630)을 통하여 지지부 커버(500)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초전형 센서(610)의 검지 범위는, 중심 방향에 대하여 모든 방향에서 좌우 대칭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도 5, 도 6에서는 각도(α)로 표시) 범위가 된다. 즉, 검지면이 지향된 방향을 중심 방향으로 했을 경우에, 중심 방향에 대하여 모든 방향 각도(α)의 각도 범위가 초전형 센서(610)의 검지 범위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 초전형 센서(610)의 검지 범위를, 초전형 센서(610)의 앞쪽에 지지부 커버(500)를 배치함으로써, 도 6에서 사선으로 나타낸 범위로 한정하고, 상기 범위를 제 1 인체 검지부(600)의 검지 범위(A1)로 하고 있다.
즉, 초전형 센서(610)의 앞쪽에 지지부 커버(500)를 배치하고, 상하 방향에 관해서는, 그 지지부 커버(500)에 있어서의, 초전형 센서(610)의 중심위치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에만 내외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의 일례로서의 개구부(502)를 형성하고, 그 부위 이외는 초전형 센서(610)를 가린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를 설치한 바닥면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 장치(1)의 전면으로부터의, 안쪽에서 앞쪽을 향한 수평 방향의 거리가 규정 거리(L1)가 되도록, 초전형 센서(610)에 대한 개구부(502)의 위치를 정한다. 규정 거리(L1)로서는, 예를 들면 0.8m ∼ 1.3m(800㎜ ∼ 1300㎜) 정도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 커버(500)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본 경우에,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 하방 안쪽으로 경사진 경사부(503)를 설치하고, 개구부(502)를, 이 경사부(503)에 형성한다.
가로 방향의 검지 범위에 관해서는, 개구부(502)의 가로 방향 양단부의 위치를, 초전형 센서(610)의 검지면이 지향된 중심 방향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도 5, 도 6에서는 각도(α)로 표시)의 각도 범위를 가로막지 않는 위치로 설정하고 있다. 단, 개구부(502)의 가로 방향의 복수의 부위에는, 그 개구부(502)의 상측 벽과 하측 벽을 연결하는 리브(502a)를 복수 설치하고 있다.
이것들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에 있어서의 제 1 인체 검지부(600)의 검지 범위(A1)를, 도 6에 사선으로 나타낸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 하방의 영역으로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초전형 센서(610)의 앞쪽에 지지부 커버(500)를 배치하여 초전형 센서(610)의 검지 범위의 일부를 가려서, 초전형 센서(610)가 설치된 위치로부터 경사 하방만을 검지 가능한 범위로 함으로써, 제 1 인체 검지부(600)의 검지 범위(A1)가 광범위해지는 것에 기인하여, 화상 형성 장치(1)를 사용할 예정이 없는, 예를 들면 통행하는 사람을 검지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개구부(502)는, 지지부 커버(500)에 설치된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 하방 안쪽으로 경사진 경사부(503)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개구부(502) 및 초전형 센서(610)를 유저가 보기 어렵게 되어 있어, 개구부(502)가 존재하는 것에 기인하여 화상 형성 장치(1) 외관의 미관이 훼손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제 1 인체 검지부(600)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앞쪽의 영역을 검지 범위(A1)로 하고, 제 1 적재 트레이(71) 및 제 2 적재 트레이(72)를 검지 범위로 하지 않으므로,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이들 적재 트레이(71, 72)를 향하여 배출되는 용지(P)를 검지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초전형 센서(610)를, 그 중심 방향이 안쪽에서 앞쪽을 향한 수평선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하고 있으므로, 중심 방향이 수평선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설치하는 구성과 비교하면, 지지부 커버(500)에, 초전형 센서(610) 및 제 1 기판(630)을 쉽게 조립할 수 있음과 함께, 지지부 커버(500)의 형상을 성형 용이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어서 제 2 인체 검지부(7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 인체 검지부(700)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가지는 적외선 반사형의 반사형 센서(710)와, 반사형 센서(71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730)를 구비하고 있다.
반사형 센서(710)는, 발광 소자로서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711)와, 수광 소자로서 포토 다이오드를 이용한 수광부(712)와, 발광부(711) 및 수광부(712)를 지지하는 케이싱(713)과, 발광부(711) 및 수광부(712)에 대한 급전, 및 수광부(712)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전송하는 하니스(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사형 센서(710)는, 지지 부재(730)에 부착되며, 지지 부재(730)가 유저 인터페이스(400)의 직하에 볼트(73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 2 인체 검지부(700)는, 반사형 센서(71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의거하여 사람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740)(도 9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판단부(740)는,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전압을 증폭한 전압이어도 좋음)과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을 상회했을 경우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부(740)는, 사람이 존재하는 취지의 신호를 제어 장치(300)에 대하여 출력한다. 부가하여, 판단부(740)로부터의 사람이 존재하는 취지의 신호를 기초로, 반사형 센서(710), 후술하는 통지부(751)에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판단부(740)는 제 1 기판(630)에 설치되며,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사람의 진입을 검지했을 경우에 전력이 공급된다.
제 2 인체 검지부(700)는, 판단부(740)에서 반사형 센서(710)가 사람을 검지한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에 발광함으로써 사람을 검지한 취지를 유저에 대하여 통지하는 통지부(751)와, 통지부(751)가 발광한 광을 균일하게 면 발광시키는 판인 도광판(752)(도 8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통지부(751)는, 발광하는 반도체 소자인 발광 다이오드(LED)(751a)와, 이 발광 다이오드(751a)를 실장하는 제어 기판인 통지부 기판(751b)을 가지며, 유저 인터페이스(400)의 직하에 볼트(753)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에 장착된다.
또한 제 2 인체 검지부(700)는, 반사형 센서(710)의 앞쪽에 반사형 센서(710)가 수/발광하는 적외선을 투과하는 투과 부재(760)를 구비하고 있다.
도 8은 투과 부재(76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투과 부재(760)는, 사람의 눈으로는 반사형 센서(710)의 발광부(711) 및 수광부(712)를 보기 어렵게 하는 흑색의 부재이며, 폴리카보네이트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또한 투과 부재(760)는, 판 형상의 부재이며, 앞쪽의 면이 장치 케이싱(12)(도 1 참조)의 표면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장치 케이싱(12)에 부착되어 있다.
도 6에서는 반사형 센서(710)의 검지 범위(A2)(미리 정해진 제 2 범위)도 나타내고 있다.
반사형 센서(710)는, 발광부(711)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의 유저 인터페이스(400) 앞쪽의 미리 정해진 영역을 향하여 적외선 광을 조사하고, 그 반사광을 수광부(712)에 의해 수광한다. 그리고, 반사형 센서(710)의 검지 범위(A2)는, 유저 인터페이스(400)를 조작하는 사람이 위치할 것으로 상정되는 상정 범위에 존재하는 사람을 검지하는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방에서 본 경우에, 이 반사형 센서(710)의 검지 범위(A2)는, 그 일부가 전술한 제 1 인체 검지부(600)의 검지 범위(A1) 내의 영역과 겹치는 범위로 되어 있다(도 6의 (b) 참조). 즉, 반사형 센서(710)는, 발광부(711)가 발광하는 광 및 수광부(712)가 수광하는 광의 광축이, 안쪽에서 앞쪽을 향한 수평선에 대하여, 검지 범위(A1) 측으로 경사지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인체 검지부(700)(반사형 센서(710))의 검지 범위(A2)는, 검지 범위(A1)보다 좁은 범위이며, 화상 형성 장치(1)의 전면으로부터의, 안쪽에서 앞쪽을 향한 수평 방향의 거리가 규정 거리(L2)(도 6 참조)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규정 거리(L2)로서는, 0.3m ∼ 0.5m(300㎜ ∼ 500㎜) 정도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인체 검지부(700)를 설치하는 높이로서는, 반사형 센서(710)가 반응하지 않는 경우이더라도, 손으로 반사형 센서(710)의 전면을 가로 막아서 검지시키거나, 휠체어 이용을 상정하여 앉은 자세에서 검지시키거나 하는 것을 고려한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점에서, 유저 인터페이스(400)는, 유저(사람)가 조작하기에 적절한 높이에 배치되어 있어, 유저 인터페이스(400)의 직하에 제 2 인체 검지부(700)를 배치하는 것은, 보다 바람직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규정 거리(L2)를,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에 설치된 버튼을 조작하는 것 등에 의해 변경 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휠체어 이용자의 경우에는, 화상 형성 장치(1)에 대하여 정면 방향이 아닌, 정면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몸을 향하여 조작을 행하는 자세가 된다. 이때 반사형 센서(710)의 검지 범위(A2)로부터 벗어남으로써, 휠체어 이용자가 반사형 센서(710)에 의해 검지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반사형 센서(710)의 규정 거리(L2)를 길게 하는 것이 유효하다. 예를 들면 규정 거리(L2)가 최초에 0.3m로 설정되어 있었던 경우, 이것을 0.6m(600㎜)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휠체어 이용자의 경우에도 반사형 센서(710)에 의해 보다 쉽게 검지된다. 단, 휠체어 이용자의 경우에는, 이와 같이 하여도 원고 세트나 유저 인터페이스(400)를 조작하는 등의 조작 위치가 검지 범위(A2)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반사형 센서(710)의 규정 거리(L2)를 길게 하고 있으므로, 앞으로 손으로 뻗음으로써 용이하게 반사형 센서(710)에 의해 검지되어, 조작 위치를 바꾸지 않고 작업할 수 있다. 또한 넓은 오피스 공간에 있어서는, 반사형 센서(710)의 규정 거리(L2)를 상기한 바와 같이 길게 함으로써, 유저(사람)가 급격하게 화상 형성 장치(1)에 액세스해 온 경우이더라도, 보다 빠르게 반사형 센서(710)에 의해 검지된다. 따라서 유저(사람)는 유저 인터페이스(400)를 보다 양호한 응답성으로 조작할 수 있다.
도 9는 인체 검지 장치(2)의 블럭도이다.
제 1 기판(630)과 반사형 센서 기판(720)은, 제 1 기판(630)로부터 반사형 센서(710)로의 급전, 및 반사형 센서(710)로부터 제 1 기판(630)에 설치된 판단부(740)로의 출력을 전송하는 전선(하니스)(도시 생략)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1 기판(630)과 통지부 기판(751b)은, 제 1 기판(630)으로부터 통지부(751)로의 급전을 담당하는 전선(하니스)(도시 생략)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제 1 기판(630)에는, 초전형 센서(610)로부터 출력된 인체를 검지한 취지의 신호를 취득했을 경우에, 미리 정해진 기간(T1) 동안, 반사형 센서(710) 및 판단부(740)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허용하는 전력 공급 허용부(65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전력 공급 허용부(650)는, 초전형 센서(610)로부터의 인체를 검지한 취지의 신호의 기동 에지에 동기하여 기동함과 함께, 미리 정해진 기간(T1) 동안, 하이 레벨을 유지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안정(單安定) 멀티바이브레이터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정해진 기간(T1)으로서는 30초간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기판(630)에는 초전형 센서(610) 및 판단부(740)가 구비되어 있다. 판단부(740)는,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과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어느 쪽이 큰지에 따라 출력이 전환되는 소자인 콤퍼레이터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판단부(740)는,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에 의거하여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 즉 반사형 센서(710)가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사람이 존재하는 취지의 신호를 제어 장치(300)에 대하여 출력한다. 부가하여, 판단부(740)로부터의 사람이 존재하는 취지의 신호를 기초로, 반사형 센서(710), 통지부(751), 및 자신에게 전력이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1)에 있어서는,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사람을 검지하면, 전력 공급 허용부(650)가 미리 정해진 기간(T1) 동안,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반사형 센서(710) 및 판단부(740)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허용한다. 그리고,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미리 정해진 기간(T1) 내에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 즉, 판단부(740)가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을 상회하여 사람이 존재한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에는, 제어 장치(300)에 대하여 사람을 검지한 취지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어 장치(300)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가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복귀한다. 부가하여,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반사형 센서(710) 및 판단부(740)에, 전술한 미리 정해진 기간(T1)을 초과하여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통지부(751)에 전력이 공급된다.
한편,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미리 정해진 기간(T1) 내에 사람을 검지하지 못한 경우에는,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반사형 센서(710) 및 판단부(740)에 대한 전력의 공급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에 있어서는, 절전 모드 중에도 제 1 인체 검지부(600)의 초전형 센서(610)의 전원을 온(on)으로 하고(초전형 센서(610)에 전력을 공급하고),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전원을 온으로 한다(반사형 센서(710) 등에 전력을 공급한다). 그리고,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사람을 검지한 후 미리 정해진 기간(T1) 내에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했을 때에 제어 장치(300)에 그 취지의 신호를 출력하여,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복귀한다. 한편, 기간(T1) 내에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전원을 오프(off)로 한다.
여기에서, 제 1 인체 검지부(600)와 제 2 인체 검지부(700)를 비교한다.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반사형 센서(710)의 소비 전력이 0.255W인 것에 반하여, 제 1 인체 검지부(600)의 초전형 센서(610)의 소비 전력은 0.006W이며 반사형 센서(710)의 소비 전력의 1/128이다. 전원이 오프인 상태에서 전력이 공급되어 인체를 검지 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은, 반사형 센서(710)가 2, 3초인 것도 있고 1초 이하인 것도 있는 것에 반하여, 초전형 센서(610)는 약 30초 정도이며 반사형 센서(710)와 비교해서 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인체 검지부(600)의 초전형 센서(610)는, 사람이 움직일 때에 발생하는 적외선의 변화량에 의거하여 검지 범위(A1) 내에 사람이 들어온 것을 검지하는 센서이며, 사람이 정지해 있는 경우에는, 그 정지 위치가 검지 범위(A1) 내이더라도 검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인체 검지부(600)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유저 인터페이스(400)의 앞쪽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더라도 정지하고 있으면 그 사람을 검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반사형 센서(710)는, 유저 인터페이스(400)의 앞쪽을 검지 범위(A2)로 하며, 그 검지 범위(A2)에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사람이 정지해 있더라도 검지한다.
이들 제 1 인체 검지부(600)의 초전형 센서(610)와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반사형 센서(710)의 특성의 차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는 이하에 기술하는 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와 같이, 절전 모드 중에 항상 전원 온(on)으로 된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전원을 온으로 하고,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전원을 절전 모드 중 항상 온으로 하는 구성과 비교하면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는, 검지 범위가 넓은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사람을 검지한 것을 계기로 하여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장치와 비교하면, 사용할 예정이 없는 사람이나 개 등을 잘못 검지하여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소위 오(誤)검지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는, 검지 범위가 넓은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전원을 온으로 하고, 검지 범위가 좁은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오검지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1)를 사용할 의사가 있는 사람을 보다 높은 정확도로 검지하여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반사형 센서(710)는, 전원 오프인 상태에서 전력이 공급되어 인체를 검지 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이, 예를 들면 1초 이하로 짧으므로, 예를 들면 유저 인터페이스(400) 내, 혹은 유저 인터페이스(400)의 근방에 설치된 절전 해제 버튼을 누름으로써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보다 빠르게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절전 해제 버튼을 누르는 수고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에 의하면, 유저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져서 상품성이 증대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에 있어서는, 제 1 인체 검지부(600)를, 판독 장치 지지부(13)에 있어서의 앞쪽의 외면을 형성하는 지지부 커버(500)에 장착하고 있다. 여기에서 화상 형성 장치(1)에 있어서의 앞쪽의 부위에는, 프런트 커버(15)가 존재하므로, 이것에 인체 검지 장치(2)를 장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프런트 커버(15)는, 장치 케이싱(12) 내에 수납된, 예를 들면 토너 카트리지(29Y, 29M, 29C, 29K) 등을 착탈하기 위해서 개폐된다. 따라서, 장치 케이싱(12) 내에 장착된 부품의 착탈 경로와 간섭되지 않도록 프런트 커버(15)에 장착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프런트 커버(15)가 개방된 상태를 고려하면 하니스의 길이가 길어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사정들에 의해, 인체 검지 장치(2)를 판독 장치 지지부(13)에 배치함으로써, 유저 인터페이스(400)나 프런트 커버(15)에 배치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장치 구성의 간략화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인체 검지부(700)를 유저 인터페이스(400)에 인접하는 위치에 장착하고 있다. 이 위치는, 작은 스페이스이지만 제 2 인체 검지부(700)를 배치할 정도의 여유는 존재한다. 그리고 제 2 인체 검지부(700)를 이 위치에 장착함으로써, 유저 인터페이스(400)를 조작하기 위해 접근하는 유저(사람)를 보다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를 사용할 의사가 있는 사람을 보다 높은 정확도로 검지하여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상 설명한 예에서는, 예를 들면 도 6과 같이,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검지 범위인 검지 범위(A2)는, 제 1 인체 검지부(600)의 검지 범위인 검지 범위(A1)와 상방에서 본 경우에 일부가 겹쳐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방에서 본 경우에 검지 범위(A2)가 검지 범위(A1)와 겹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이상 설명한 예에서는, 제 2 인체 검지부(700)는, 1개소에 설치되며 검지 범위(A2)도 1개소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복수이어도 된다.
도 10은, 상방에서 본 경우에 제 2 범위인 검지 범위(A2)가 제 1 범위인 검지 범위(A1)와 겹치지 않는 범위로 함과 함께, 제 2 인체 검지부(700)를 복수 설치한 경우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0에 있어서, 제 2 인체 검지부(700)는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즉,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유저 인터페이스(400)에 인접하는 위치와, 유저 인터페이스(400)를 사이에 두고, 제 1 인체 검지부(600)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검지 범위(A2)는, 2개소로 되어 있다. 도 10에서는, 이 2개소의 검지 범위를 편의상 검지 범위(A21) 및 검지 범위(A22)로 하여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검지 범위(A2)가 1개소이었던 경우에 반하여, 유저 인터페이스(400)를 조작하기 위해 접근하는 유저(사람)를 더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에 있어서는,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반사형 센서(710)의 발광부(711)와 수광부(712)를 상하 방향으로 나열하는 것에 의해, 이하에 기술한 이점이 있다.
도 11의 (a)는 반사형 센서(710)의 발광부(711)가 광을 발광하는 영역과 수광부(712)가 광을 수광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b)는 발광부(711)의 발광 강도 분포이다. 도 11의 (c)는 수광부(712)의 수광 강도 분포이다.
반사형 센서(710)의 발광부(711)의 발광 영역은 광축을 중심으로 한 ±5°의 영역이고, 수광부(712)의 수광 영역은 광축을 중심으로 한 ±5°의 영역이다. 또한 발광부(711)의 발광 강도 분포는,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축을 중심으로 하는 중앙 부분의 발광 강도가 크고,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갈수록 발광 강도가 점차 감쇠하는 분포가 된다. 마찬가지로 수광부(712)의 수광 강도 분포는, 도 1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축을 중심으로 하는 중앙 부분의 수광 강도가 크고,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갈수록 수광 강도가 점차 감쇠하는 분포가 된다.
따라서, 발광부(711)와 수광부(712)가 나열되는 방향에 있어서, 발광 영역이지만 수광 영역이 아닌 영역이 존재하며(예를 들면 도 11의 (a)의 A점), 이러한 영역에서는, 발광부(711)가 발광하는 광이 비춰지고는 있지만 수광부(712)가 광을 수광하기 어려우므로 사람을 검지하기 어려워진다. 마찬가지로, 수광 영역이지만 발광 영역이 아닌 영역이 존재하며(예를 들면 도 11의 (a)의 B점), 이러한 영역에서는, 수광부(712)가 광을 수광하지만 발광부(711)가 발광하는 광이 비춰지기 어려우므로 사람을 검지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발광부(711)의 발광 강도는 크지만 수광부(712)의 수광 강도가 작은 영역(예를 들면 도 11의 (a)의 C점)에서는, 수광부(712)의 수광 강도가 작으므로 광을 수광하기 어려워 사람을 검지하기 어려워진다. 마찬가지로, 수광부(712)의 수광 강도는 크지만 발광부(711)의 발광 강도가 작은 영역(예를 들면 도 11의 (a)의 D점)에서는, 발광부(711)의 발광 강도가 작으므로 사람을 검지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반하여 발광부(711)와 수광부(712)의 나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관해서는, 발광부(711)의 광축과 수광부(712)의 광축은 기본적으로 같은 직선상에 있으므로, 이 방향의 발광 영역과 수광 영역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발광 강도 및 수광 강도의 강도 분포도 기본적으로는 동일해진다.
상기한 바에 의해, 반사형 센서(710)는, 발광부(711)와 수광부(712)의 나열 방향보다 발광부(711)와 수광부(712)의 나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쪽이 보다 넓은 범위에서 높은 정확도로 사람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1)의 사용형태에 관하여 고려하면, 유저는 통상, 화상 형성 장치(1)의 가로 방향으로 이동해 와서, 혹은 앞쪽에서 접근해 와서 유저 인터페이스(400)의 앞에 위치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유저가, 화상 형성 장치(1)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해 오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다.
이러한 사항들을 감안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에 있어서는, 반사형 센서(710)를, 발광부(711)와 수광부(712)의 나열 방향이 상하 방향이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반사형 센서(710)를, 발광부(711)와 수광부(712)의 나열 방향이 가로 방향이 되도록 배치하는 경우보다, 가로 방향으로 이동해 와서 유저 인터페이스(400)의 앞에 위치하려고 하는 유저를, 보다 빠르게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에 있어서는,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통지부(751)를 점등하는 것에 의해 이하에 기술하는 이점이 있다.
유저는, 통지부(751)가 점등되어 있는 것을 보고, 화상 형성 장치(1)의 절전 모드가 해제되어 절전 모드보다 소비 전력량이 큰 상태인 것을 인식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했을 때에 통지부(751)를 점등함으로써, 유저에 대하여, 어느 위치에 존재하면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검지하여 절전 모드가 해제되는지를 학습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그 결과, 유저에 대하여, 제 1 적재 트레이(71) 혹은 제 2 적재 트레이(72)에 적재된 용지(P)를 꺼내러 올 뿐인 경우에, 제 2 인체 검지부(700)에 검지되지 않도록 이동하는 것을 촉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2는, 유저 인터페이스(400)를 조작하는 유저와, 제 1 적재 트레이(71) 혹은 제 2 적재 트레이(72)에 적재된 용지(P)를 꺼내는 유저가 위치할 것으로 상정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에 있어서는, 제 1 인체 검지부(600)는, 유저(사람)가 유저 인터페이스(400)에 접근해 있을 때에는 검지하기 쉽고, 유저(사람)가 가로 방향에서 제 1 적재 트레이(71) 혹은 제 2 적재 트레이(72)에 적재된 용지(P)를 꺼낼 때에는 검지하기 어려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적재 트레이(71, 72)에 적재된 용지(P)를 꺼내러 올 뿐인 유저가, 제 1 인체 검지부(600)에 검지되지 않도록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는, 제 1 적재 트레이(71) 및 제 2 적재 트레이(72)가 화상 형성부(20)와 화상 판독 장치(100)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배출롤(77) 및 제 2 배출롤(79)은,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어느 한쪽의 단부측(도 1에서는 좌측)에 배치된 판독 장치 지지부(13)에 있어서의 적재 트레이(71, 72) 측에 설치되어 이들 적재 트레이(71, 72)를 향해서 용지(P)를 배출한다. 그리고, 제 1 인체 검지부(600)는,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한쪽의 단부측(도 1에서는 좌측)에 배치되며, 배치된 단부측의 앞쪽의 영역을 검지 범위(A1)로 한다. 그리고 제 1 인체 검지부(600)는, 다른 단부측을 제 1 인체 검지부(600)의 검지 범위로는 하지 않는다. 즉 제 1 인체 검지부(600)는, 상방에서 본 경우에, 유저 인터페이스(40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를 검지 범위(A1)로는 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제 1 인체 검지부(600)는, 상방에서 본 경우에, 적재 트레이(71, 72)에 인접하는 위치를 검지 범위(A1)로는 하지 않도록 설치된다고 환언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는, 상기와 같은 배치 구성이므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적재 트레이(71) 혹은 제 2 적재 트레이(72)에 적재된 용지(P)를 꺼내러 올 뿐인 유저가, 제 1 인체 검지부(600)에 검지되지 않고 행동하는 것을 기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적재 트레이(71, 72)에 적재된 용지(P)를 꺼내러 올 뿐인 유저를 검지하게 되어, 반사형 센서(710) 등의 전원을 온으로 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부가하여, 제 1 인체 검지부(600)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앞쪽의 영역을 검지 범위(A1)로 하고, 제 1 적재 트레이(71) 및 제 2 적재 트레이(72)를 검지 범위로 하지 않으므로,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이들 적재 트레이(71, 72)를 향하여 배출되는 용지(P)를 검지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적재 트레이(71, 72)를 향하여 배출되는 용지(P)를 검지하게 되어 반사형 센서(710) 등의 전원을 온으로 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는, 유저(사람)가 가로 방향에서 제 1 적재 트레이(71) 혹은 제 2 적재 트레이(72)에 적재된 용지(P)를 꺼낼 때에, 유저(사람)가 검지 범위(A2)의 영역에 들어오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것은, 도 10의 경우와 같이, 검지 범위(A2)가 검지 범위(A1)와 겹치지 않도록 할 때나, 제 2 인체 검지부(700)를 복수 설치함으로써, 검지 범위(A2)가 복수가 되었을 때에 특히 발생하기 쉽다.
단, 제 2 인체 검지부(700)는,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사람을 검지하지 못하면, 전원이 온으로 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유저(사람)가 검지 범위(A1)의 영역에 들어오지 않으면,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온이 되는 경우는 없으므로, 유저(사람)가 검지 범위(A2)의 영역에 들어오더라도, 화상 형성 장치(1)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판단부(740), 전력 공급 허용부(650)를 하드웨어로 구성했을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반드시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와 같은 동작을 하는 것이 가능하면, 어떠한 구성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메모리에 의해 구성되며 소프트웨어에 의해 동작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CPU와 메모리에는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면 된다.
판단부(740) 및 전력 공급 허용부(650)를 CPU와 메모리로 구성했을 경우의 절전 모드 해제 처리의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CPU가 행하는 절전 모드 해제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사람을 검지하면 CPU에 전력이 공급되어 전원 온이 되고, CPU는 전원 온이 되면 상기 절전 모드 해제 처리를 실행한다.
CPU는 우선, 미리 정해진 기간(T1)을 타이머 세트하고(스텝(이하, 간단히 「S」로 기재함)101), 반사형 센서(710)에 전력을 공급 개시한다(S102). 그 후,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을 상회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103). 그리고,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을 상회했을 경우(S103에서 예), 제어 장치(300)에 대하여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한 취지의 신호를 출력한다(S104). 이것에 의해 절전 모드가 해제되어 화상 형성 장치(1)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한다. 또한 통지부(751)에 전력을 공급하여 통지부(751)를 점등한다(S105).
한편,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을 상회하고 있지 않을 경우(S103에서 아니오), 기간(T1)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106). 그리고, 기간(T1)이 경과했을 경우(S106에서 예), 반사형 센서(71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고(S107), CPU 자신에 대한 전력 공급도 정지한다(S108). 한편 기간(T1)이 경과하지 않았을 경우(S106에서 아니오), S103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도 14는 CPU가 행하는 절전 모드로의 이행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CPU는 전술한 절전 모드 해제 처리에 의해 절전 모드가 해제된 후, 즉, S104에서 제어 장치(300)에 대하여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한 취지의 신호를 출력한 후, 이 처리를 미리 정한 기간마다 반복 실행한다.
CPU는 우선,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이하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201). 그리고,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 이하가 되었을 경우(S201에서 예), 제어 장치(300)에 대하여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하지 못한 취지의 신호(비검지 신호)를 출력한다(S202). 이것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가 절전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통지부(751)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고, 통지부(751)를 소등한다(S203). 또한 반사형 센서(71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고(S204), CPU 자신에 대한 전력 공급도 정지한다(S205).
또한 도 14의 플로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 절전 모드로의 이행 처리와는 달리,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하지 않게 된 후, 미리 정해진 기간(T2)경과 후에 절전 모드로 이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도 15는 CPU가 행하는 다른 형태의 절전 모드로의 이행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CPU는 우선,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이하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301). 그리고,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가 되었을 경우(S301에서 예),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통지부(751)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여 통지부(751)를 소등하고(S302), 기간(T2)을 타이머 세트한다(S303). 그 후, 기간(T2)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304). 그리고, 기간(T2)이 경과했을 경우(S304에서 예), 제어 장치(300)에 대하여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하지 못한 취지의 신호를 출력한다(S305). 이것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가 절전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반사형 센서(71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고(S306), CPU 자신에 대한 전력 공급도 정지한다(S307).
한편, 기간(T2)이 경과하지 않았을 경우(S304에서 아니오),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을 상회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308). 그리고,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을 상회했을 경우(S308에서 예), 통지부(751)에 전력을 공급하여 통지부(751)를 점등하고(S309), 기간(T2)의 타이머를 리셋한다(S310). 한편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을 상회하고 있지 않은 경우(S308에서 아니오), S304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도 15의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 절전 모드로의 이행 처리에 있어서는, CPU는,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가 된 후, 기간(T2)이 경과한 후에 제어 장치(300)에 대하여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하지 못한 취지의 신호를 출력하고 있지만 특별히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CPU는,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가 되었을 경우(S301에서 예), 제어 장치(300)에 대하여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하지 못한 취지의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 장치(300)는, 그 취지의 신호를 수신한 후, 스스로 기간(T2)을 계측하고, 기간(T2) 내에 재차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한 취지의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절전 모드로 이행하여도 된다.
도 16은, 다른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1)가, 바닥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된 유저 인터페이스(400)에 부가하여, 바닥면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배치된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450)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이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450)를, 인체 검지 장치(2)가 유저 인터페이스(400)와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450) 사이에 배치되도록 배치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인체 검지부(600)에 의해, 유저 인터페이스(400)에 접근하려는 사람과,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450)에 접근하려는 사람의 양쪽을 높은 정확도로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2 인체 검지부(700)에 의해, 유저 인터페이스(400)를 조작하고자 하는 사람과,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450)를 조작하고자 하는 사람의 양쪽을 높은 정확도로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반사형 센서(710)의 발광부(711) 및 수광부(712)가 수/발광하는 광의 광축이, 안쪽에서 앞쪽을 향한 수평선에 대하여 검지 범위(A1) 측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검지 범위(A2)가, 유저 인터페이스(400)의 앞쪽의 영역과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450)의 앞쪽의 영역 사이의 영역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저 인터페이스(400)를 조작하고자 하는 사람과,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450)를 조작하고자 하는 사람의 양쪽을 높은 정확도로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인체 검지 장치(2)가, 검지 범위 및 소비 전력이 상이한 복수의 인체 검지부를 구비했을 경우, 예를 들면, 검지 범위가 상이한 3개의 인체 검지부를 구비하고, 검지 범위가 가장 넓은 인체 검지부가 사람을 검지한 것을 계기로 하여 검지 범위가 2번째로 넓은 인체 검지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인체를 검지할 수 있는 상태로 하고, 상기 검지 범위가 2번째로 넓은 인체 검지부가 사람을 검지한 것을 계기로 하여 검지 범위가 가장 좁은 인체 검지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인체를 검지할 수 있는 상태로 하여도 된다. 그리고, 검지 범위가 가장 좁은 인체 검지부가 사람을 검지하면 제어 장치(300)에 그 취지를 출력하여, 화상 형성 장치(1)를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 경우, 검지 범위가 가장 좁은 인체 검지부의 소비 전력량이 그 밖의 인체 검지부의 소비 전력량보다 크면, 절전 모드일 때에 검지 범위가 가장 좁은 인체 검지부에 항상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에 비하여 소비 전력량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인체 검지 장치(2)에 있어서는, 제 2 인체 검지부(700)에 전력을 공급하는 계기로서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사람을 검지하는 것을 이용하고 있지만, 특별히 이러한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검지 범위(A2)에 사람이 접근하고 있는 것을 검지하는 기기로서, 제 1 인체 검지부(600)를 대신하여,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검지 범위(A2)보다 넓은 범위에 있어서의 진동을 검지함과 함께 소비 전력량이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소비 전력량보다 작은 진동 검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 검지 센서가, 사람이 접근할 때의 진동을 검지하면 제 2 인체 검지부(70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제 1 인체 검지부(600)를 대신하여, 온도가 변화함으로써 사람이 접근한 것을 검지하는 온도 센서, 형광등 등이 점등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의 주위가 밝아진 것을 검지하는 밝기 센서 등을 이용하여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인체 검지부(600)와, 제 1 인체 검지부(600)의 검지 범위(A1)보다 좁은 범위에 있어서 사람을 검지하는 제 2 인체 검지부(700)를 구비하는 인체 검지 장치(2)이며,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은,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보다 작고, 제 2 인체 검지부(700)는,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사람을 검지한 것을 계기로 하여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어 사람을 검지 가능한 상태가 되며,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검지한 취지의 신호를 출력하는 인체 검지 장치(2)를, 화상 판독 장치(100)와 화상 기록 장치(200)를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1)에 설치하고 있지만, 화상 형성 장치(1)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인체 검지 장치(2)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사용할 때에 비하여 소비 전력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치의 어느 것에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프린터, 스캐너, 팩시밀리 등의 화상 형성 장치 혹은 화상 출력 장치, 자동판매기, 자동 개찰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오피스, 공장, 창고, 점포, 호텔, 역, 비행장, 항구, 주차장, 노변, 통로, 시장, 감광 시설, 이벤트 회장, 학교, 도서관, 관청, 그 밖의 공공 시설 등,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이 이 장치 부근을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 장소에 설치된 장치에, 상기 인체 검지 장치(2)를 설치하는 것이 적합하다.
즉, 인체 검지 장치(2)를, 사용할 때에는 충분한 전력을 필요로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사용할 때보다 소비 전력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치이며, 이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과 사용하지 않고 이 장치의 부근을 통과하는 사람이 혼재하는 장소에 설치되는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들 장소에 설치된 장치에 이 인체 검지 장치(2)를 설치함으로써, 소비 전력의 저감과,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인체 검지 장치(2)를, 화상 형성 장치(1) 등의 상기 장치에 설치할 때에는, 반드시 장치에 내장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인체 검지 장치(2)를, 상기 장치와는 별체의 장치로서 구성하고, 예를 들면 하니스 등에 의해 접속하여도 된다. 또한 인체 검지 장치(2)의 일부의 부품, 예를 들면 제 1 인체 검지부(600)를 상기 장치에 내장하고, 다른 부품을 상기 장치와는 별체의 장치로 하여도 된다. 또한, 인체 검지 장치(2)가 상기 장치와는 별체의 장치로서 구성되었을 경우에 있어서의 인체 검지 장치(2)와 상기 장치의 접속 형태는, 인체 검지 장치(2)가 사람을 검지한 취지를 전달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이더라도 되며, 유선 혹은 무선이어도 된다.
1 - 화상 형성 장치 2 - 인체 검지 장치
11 - 장치 본체 프레임 12 - 장치 케이싱
13 - 판독 장치 지지부 15 - 프런트 커버
20 - 화상 형성부 30 - 중간 전사 유닛
40 - 이차 전사 유닛 45 - 정착 장치
50 - 광학계 유닛 60 - 용지 공급부
70 - 용지 배출부 80 - 반전 반송부
100 - 화상 판독 장치 200 - 화상 기록 장치
300 - 제어 장치 400, 450 - 유저 인터페이스(UI)
500 - 지지부 커버 600 - 제 1 인체 검지부
700 - 제 2 인체 검지부

Claims (11)

  1.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사람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와,
    미리 정해진 제 1 범위에서 사람을 검지하는 제 1 검지 수단과,
    상방에서 본 경우에, 상기 제 1 범위와는 별개이며 또는 일부가 상기 제 1 범위와 겹치고 또한 상기 제 1 범위보다 작은 제 2 범위에서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 제 2 검지 수단과,
    제 1 전력량을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소비하는 제 1 상태와, 상기 제 1 전력량보다 적은 제 2 전력량을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소비하는 제 2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은, 상기 제 2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보다 작고,
    상기 제 1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상기 제 2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이, 상기 제 2 검지 수단에 공급되고,
    상기 제 1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제 2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상태로 전환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량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의 기구부를 구동시키는데 충분한 화상 형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수단이 상기 전력의 공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정지함으로써, 상기 제 1 상태를 상기 제 2 상태로 전환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검지 수단은, 상방에서 본 경우에, 장치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부측에 배치되며, 다른 단부측을 당해 제 1 검지 수단의 제 1 범위로는 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검지 수단은 상기 조작부의 직하(直下)에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검지 수단은 상기 조작부의 직하에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검지 수단은 복수 설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8. 사람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와,
    미리 정해진 제 1 범위에서 사람을 검지하는 제 1 검지 수단과,
    상방에서 본 경우에, 상기 제 1 범위와는 별개이며 또는 일부가 상기 제 1 범위와 겹치고 또한 상기 제 1 범위보다 작은 제 2 범위에서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 제 2 검지 수단과,
    제 1 전력량을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소비하는 제 1 상태와, 상기 제 1 전력량보다 적은 제 2 전력량을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소비하는 제 2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은, 상기 제 2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보다 작고,
    상기 제 1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상기 제 2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이, 상기 제 2 검지 수단에 공급되고,
    상기 제 1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제 2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상태로 전환하는 피조작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전력의 공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정지함으로써, 상기 제 1 상태를 상기 제 2 상태로 전환하는 피조작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검지 수단은, 상방에서 본 경우에, 상기 조작부를 사이에 두고, 제 1 검지 수단과 대향하는 위치를 상기 제 1 범위로는 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피조작 장치.
  11. 미리 정해진 제 1 범위에서 사람을 검지하는 제 1 검지 수단과,
    상방에서 본 경우에, 상기 제 1 범위와는 별개이며 또는 일부가 상기 제 1 범위와 겹치고 또한 상기 제 1 범위보다 작은 제 2 범위에서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 제 2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은, 상기 제 2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보다 작고,
    상기 제 1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상기 제 2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이, 상기 제 2 검지 수단에 공급되고,
    상기 제 2 검지 수단이 상기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상기 제 2 검지 수단은, 상기 사람이 검지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인체 검지 장치.
KR1020120061929A 2011-11-15 2012-06-11 화상 형성 장치, 피조작 장치 및 인체 검지 장치 KR101682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49368 2011-11-15
JP2011249368A JP2013103423A (ja) 2011-11-15 2011-11-15 画像形成装置、被操作装置および人検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365A true KR20130053365A (ko) 2013-05-23
KR101682976B1 KR101682976B1 (ko) 2016-12-06

Family

ID=48280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929A KR101682976B1 (ko) 2011-11-15 2012-06-11 화상 형성 장치, 피조작 장치 및 인체 검지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47267B2 (ko)
JP (1) JP2013103423A (ko)
KR (1) KR101682976B1 (ko)
CN (1) CN103105756A (ko)
AU (1) AU20122031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3447B1 (ja) * 2011-06-27 2012-11-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用の人検知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用の制御装置
EP2713213B1 (en) * 2012-09-03 2022-01-19 Konica Minolta, Inc. Image forming apparatus, power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7861607B (zh) 2012-12-05 2020-10-20 佳能株式会社 图像形成装置及图像形成装置的控制方法
JP2015041323A (ja) * 2013-08-23 2015-03-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処理装置
JP5880506B2 (ja) * 2013-09-19 2016-03-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処理装置
JP5899178B2 (ja) 2013-09-27 2016-04-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
US9317789B2 (en) * 2013-12-10 2016-04-19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modes in printers, photocopiers, and multi-function devices
JP5682772B1 (ja) * 2014-01-15 2015-03-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25388B2 (ja) 2014-02-18 2018-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78469B2 (ja) * 2014-03-14 2019-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22524B2 (ja) * 2014-11-21 2016-11-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
EP3115850B1 (en) * 2015-07-09 2022-03-16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human sensor, warming-up proces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70094069A1 (en) * 2015-09-24 2017-03-30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6672866B2 (ja) * 2016-02-15 2020-03-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494593B2 (ja) * 2016-12-26 2019-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6643276B2 (ja) * 2017-05-08 2020-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90009568A (ko) * 2017-07-19 2019-01-29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EP3757680B1 (en) * 2018-02-23 2023-11-08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mage formation device
JP2019169954A (ja) * 2019-05-07 2019-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2179918A (ja) * 2021-05-24 2022-12-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9282A (ja) * 1991-01-14 1992-11-26 Hamamatsu Photonics Kk 物体検知装置
JPH06242226A (ja) * 1993-02-20 1994-09-02 Ricoh Co Ltd オペレータ検出方法,オペレータ検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0282134A (ja) * 2009-06-08 2010-12-16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節電方法
JP2011197222A (ja) * 2010-03-18 2011-10-0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操作部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用操作部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6944A (ja) * 1992-08-13 1994-03-1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6189048A (ja) * 1992-09-14 1994-07-08 Ricoh Co Ltd 操作表示用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電源投入用制御装置
JPH06342348A (ja) 1993-03-10 1994-12-13 Minolta Camera Co Ltd プリンタ制御装置
JP2000241560A (ja) * 1999-02-18 2000-09-08 Nippon Signal Co Ltd:The センサユニット
JP4067947B2 (ja) 2002-11-26 2008-03-26 シャープ株式会社 操作パネル装置
JP4077440B2 (ja) 2004-10-26 2008-04-16 京セラミタ株式会社 表示装置、画像形成装置
JP4234715B2 (ja) * 2005-12-13 2009-03-04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の操作システム
JP2008012773A (ja) * 2006-07-05 2008-01-2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制御方法並びに印刷制御プログラム
JP4617347B2 (ja) 2007-12-11 2011-01-26 シャープ株式会社 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8072650B1 (en) * 2008-01-11 2011-12-06 Google Inc. Automated focus adjustment using a varying light pattern
US20100086234A1 (en) * 2008-10-03 2010-04-08 Bitnik,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serving editing history in an in-browser photo-editing application
JP2012522241A (ja) 2009-03-31 2012-09-2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自動存在検出のためのセンサのエネルギ効率の良いカスケード接続
US8421846B2 (en) * 2009-04-06 2013-04-16 J. Roy Nelson System and apparatus for 3D image capture and processing
JP4949453B2 (ja) * 2009-11-12 2012-06-0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5163761B2 (ja) * 2011-02-09 2013-03-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力供給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
JP2013007981A (ja) * 2011-06-27 2013-01-1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5083447B1 (ja) * 2011-06-27 2012-11-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用の人検知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用の制御装置
JP5045840B1 (ja) * 2011-09-06 2012-10-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力供給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
JP5870795B2 (ja) * 2012-03-21 2016-03-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移動体検出装置、電力供給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
JP5645885B2 (ja) * 2012-06-29 2014-12-2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28781B2 (ja) * 2012-09-06 2017-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US9065955B2 (en) * 2012-10-15 2015-06-23 Fuji Xerox Co., Ltd.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JP5998830B2 (ja) * 2012-10-15 2016-09-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力供給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
JP6119435B2 (ja) * 2013-06-04 2017-04-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表示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9282A (ja) * 1991-01-14 1992-11-26 Hamamatsu Photonics Kk 物体検知装置
JPH06242226A (ja) * 1993-02-20 1994-09-02 Ricoh Co Ltd オペレータ検出方法,オペレータ検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0282134A (ja) * 2009-06-08 2010-12-16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節電方法
JP2011197222A (ja) * 2010-03-18 2011-10-0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操作部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用操作部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03423A (ja) 2013-05-30
US9547267B2 (en) 2017-01-17
KR101682976B1 (ko) 2016-12-06
CN103105756A (zh) 2013-05-15
US20130120779A1 (en) 2013-05-16
AU2012203125A1 (en) 201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3447B1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用の人検知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用の制御装置
KR20130053365A (ko) 화상 형성 장치, 피조작 장치 및 인체 검지 장치
US906931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detecting a human using a human detecting device
JP5793994B2 (ja) 画像形成装置
JP5278583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用の人検知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用の制御装置
US906595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682772B1 (ja) 画像形成装置
JP647151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6134103A (ja) 監視システム
JP6090417B2 (ja) 装置、画像形成装置
JP6056257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950103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6134101A (ja) 画像形成装置
JP6398342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6134102A (ja) 監視装置
JP6492687B2 (ja) 監視装置および監視システム
JP201613490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