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2027A - 캠 로크 버클 - Google Patents

캠 로크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2027A
KR20130052027A KR1020137009326A KR20137009326A KR20130052027A KR 20130052027 A KR20130052027 A KR 20130052027A KR 1020137009326 A KR1020137009326 A KR 1020137009326A KR 20137009326 A KR20137009326 A KR 20137009326A KR 20130052027 A KR20130052027 A KR 20130052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fitting support
movable member
main body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9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7299B1 (ko
Inventor
히토시 가네코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2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06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with strap tigh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4Combined diverse multipart fasteners
    • Y10T24/3401Buckle
    • Y10T24/3423Buckle and separable fastening means for attached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4Combined diverse multipart fasteners
    • Y10T24/3401Buckle
    • Y10T24/3423Buckle and separable fastening means for attached fastener
    • Y10T24/3424Snap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10T24/4002Harness
    • Y10T24/4012Clamping
    • Y10T24/4016Pivoted part or le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10T24/4072Pivoted lever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10)와, 본체의 저부(11) 사이에 벨트를 삽입관통하는 공간을 사이에 두고 본체에 유지되는 동시에, 저부와의 사이에 벨트를 끼워 지지하는 끼움 지지부(33)를 갖는 가동 부재(30)와, 긴 구멍(41) 및 긴 구멍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축부(42)를 갖고, 긴 구멍의 일단부 부근에 축부가 위치하는 제1 위치와 긴 구멍의 타단부 부근에 축부가 위치하는 제2 위치에 가동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슬라이드 기구(40)를 구비하고, 가동 부재가 제1 위치로 슬라이드된 상태에 있어서 끼움 지지부와 저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보다도, 가동 부재가 제2 위치로 슬라이드된 상태에 있어서 끼움 지지부와 저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작게 형성된 캠 로크 버클에 관한 것이다. 끼움 지지부 및 이것에 대향하는 저부의 어느 한쪽에는 오목 홈(35)이 형성되고, 다른쪽에는 벨트의 일부를 오목 홈 내에 압입하는 볼록조(22)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캠 로크 버클{CAM LOCK BUCKLE}
본 발명은 벨트를 길이 방향의 일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서 위치 조정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위치에서 로크할 수 있는 캠 로크 버클에 관한 것이다.
평평한 띠 형상의 벨트를 길이 방향의 일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서 위치 조정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위치에서 로크할 수 있는 캠 로크 버클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저부의 폭 방향 양측에 기립 벽부를 갖는 단면 U자 형상의 본체와, 이 본체의 기립 벽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고 또한 기복 가능하게 장착된 체결 부재와, 이 체결 부재를 본체의 저부를 향해서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를 구비한 캠 로크 버클이 기재되어 있다.
슬라이드 기구는 본체의 기립 벽부에 본체의 일단부를 향함에 따라 저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형성된 긴 구멍과, 체결 부재의 일단부측에 설치되어 긴 구멍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축부로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는, 양단부가 축부를 선회한 뒤 본체의 기립 벽부에 걸림 지지되고, 중앙부가 체결 부재를 본체의 저부를 향해서 가압하는 스프링 선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기구의 축부 근방에 있어서, 본체의 저부와 체결 부재와의 대향면에는 삼각 형상의 돌기가 병렬한 치형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벨트를 본체의 저부와 체결 부재 사이에 삽입관통하면, 벨트는 스프링 부재에 의해 가압된 체결 부재에 의해 본체의 저부에 압박된다. 그러면, 벨트와 체결 부재가 치형부를 통해서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마찰 저항이 높은 상태에 있으므로, 이 상태에 있어서, 벨트를 본체의 일단부측(긴 구멍이 경사지는 하방측)으로 당기면, 벨트의 움직임에 연동해서 체결 부재도 함께 슬라이드된다. 즉, 체결 부재의 축부가 본체의 긴 구멍에 따라 경사 방향 하방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본체의 저부와 체결 부재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본체의 저부와 체결 부재 사이에 벨트가 로크된다.
미국 특허 제5,161,351호 명세서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기재의 캠 로크 버클에서는, 벨트를 본체의 일단부측(긴 구멍이 경사지는 하방측)으로 당겼을 때, 벨트의 움직임에 연동해서 체결 부재도 함께 슬라이드시키기 때문에, 스프링 부재가 필요해진다. 즉, 스프링 부재가 없으면, 체결 부재는 상방으로 릴리프되어 버리기 때문에, 스프링 부재에 의해 체결 부재를 본체의 저면에 가압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스프링 부재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부품 개수가 증가한다.
또한, 스프링 부재에 의해 체결 부재를 본체의 저부에 압박하고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벨트를 위치 조정하는 데는, 스프링 부재를 체결 부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일으킨 뒤, 체결 부재도 본체의 저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일으키고, 이 상태에 있어서, 벨트를 본체의 타단부측 방향(위치 조정 방향)으로 당겨 위치 조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
만약에 체결 부재가 스프링 부재에 의해 본체의 저부에 압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벨트를 위치 조정 방향으로 당기면, 스프링 부재의 압박력이 체결 부재를 통해서 벨트에도 걸리고 있기 때문에, 당기기 어렵고, 즉, 벨트의 위치 조정이 하기 어렵고, 경우에 따라서는, 벨트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는 동시에, 벨트의 손상도 적고, 벨트의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캠 로크 버클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캠 로크 버클은, 저부의 폭 방향 양측에 기립 벽부를 갖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의 저부 사이에 벨트를 삽입관통하는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부재로 유지되는 동시에, 상기 저부와의 사이에 벨트를 끼워 지지하는 끼움 지지부를 갖는 제2 부재와, 상기 기립 벽부 및 상기 제2 부재의 어느 한쪽에 설치된 긴 구멍 및 상기 기립 벽부 및 상기 제2 부재의 다른쪽에 설치되어 상기 긴 구멍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축부를 갖고, 상기 긴 구멍의 일단부 부근에 상기 축부가 위치하는 제1 위치와 상기 긴 구멍의 타단부 부근에 상기 축부가 위치하는 제2 위치에 상기 제2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로 슬라이드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끼움 지지부와 상기 저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보다도,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제2 위치로 슬라이드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끼움 지지부와 상기 저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작게 형성된 캠 로크 버클에 있어서, 상기 끼움 지지부 및 이 끼움 지지부에 대향하는 상기 저부의 어느 한쪽에는, 오목부가 상기 벨트의 삽입관통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끼움 지지부 및 이 끼움 지지부에 대향하는 상기 저부의 다른쪽에는, 상기 벨트의 일부를 상기 오목부내에 압입하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벨트의 일부를 상기 오목부내에 압입하는 볼록부"란, 오목부내에 볼록부가 들어가는 것을 요건으로 하는 것이 아니며, 벨트의 일부가 오목부의 개구면에서 내부에 들어가 있으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긴 구멍의 일단부 부근에 축부가 위치하는 제1 위치에 제2 부재가 슬라이드된 상태에서는, 제2 부재의 끼움 지지부와 제1 부재의 저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도 크게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를 제2 부재나 제1 부재에 대하여 저항이 적은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2 부재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슬라이드하는 방향(로크 방향)으로 벨트를 당긴다. 이때, 벨트의 일부는, 끼움 지지부 및 저부의 어느 한쪽에 형성된 오목부와 다른쪽에 형성된 볼록부에 의해 끼워져 있어 있기 때문에, 벨트의 움직임에 연동해서 제2 부재도 함께 제2 위치로 슬라이드된다. 그러면, 제2 위치에서는, 끼움 지지부와 저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사이에 벨트가 로크된다.
반대로, 제2 부재가 제1 위치로 슬라이드하는 방향(로크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벨트를 당기면, 벨트의 움직임에 연동해서 제2 부재도 함께 제1 위치로 슬라이드된다. 그러면, 제1 위치에서는, 끼움 지지부와 저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의 로크 상태가 해제되어, 벨트를 슬라이드시키면서 위치 조정할 수 있다. 즉, 제1 부재나 제2 부재에 대하여 저항이 적은 상태에서 슬라이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움직임도 편안하고, 또한 벨트의 파손 등의 문제도 발생하는 경우가 적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끼움 지지부 및 이것에 대향하는 저부의 어느 한쪽에 오목부를, 다른쪽에 벨트의 일부를 오목부내에 압입하는 볼록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와 볼록부에 의해, 벨트의 당김 동작에 연동시켜서 제2 부재를 로크 방향과 반 로크 방향, 즉 위치 조정가능한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했으므로, 스프링 부재 등의 부품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제2 부재가 제1 위치로 슬라이드한 상태에서는, 제2 부재의 끼움 지지부와 제1 부재의 저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도 크게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의 손상도 적고, 벨트의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벨트의 삽입관통 방향을 따라 연속된 볼록조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볼록부가 벨트의 삽입관통 방향을 따라 연속된 볼록조로서 형성되어 있으면, 제2 부재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슬라이드할 때, 끼움 지지부 및 저부의 어느 한쪽에 형성된 오목부가 볼록조에 항상 대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벨트의 일부를 항상 오목부내에 압입한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벨트의 움직임에 연동시켜서 제2 부재를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볼록조는, 상기 제2 부재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슬라이드하는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폭 치수가 점차 넓게 또는 상기 끼움 지지부와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볼록조의 형상이, 제2 부재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슬라이드하는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폭 치수가 점차 넓게, 또는 끼움 지지부와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제2 부재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슬라이드했을 때, 오목부와 볼록조와의 간극이 점차 좁아지기 때문에, 그 사이에 끼워져 있었던 벨트가 더욱 체결될 수 있다. 그로 인해, 벨트를 확실하게 로크할 수 있는 동시에, 두께의 다른 벨트에도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끼움 지지부에 대향하는 상기 저부는, 상기 제2 부재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슬라이드하는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 끼움 지지부에 접근하는 방향에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끼움 지지부에 대향하는 저부가, 제2 부재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슬라이드하는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끼움 지지부에 접근하는 방향에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기구의 긴 구멍을 경사가 없거나, 또는 경사 각도를 작게 해도, 제2 부재가 제2 위치로 슬라이드된 상태에 있어서 끼움 지지부와 저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긴 구멍을 경사가 없게 해도 좋기 때문에, 또는 긴 구멍의 경사 각도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부재의 슬라이드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1 부재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축부를 지지점으로 해서 기립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립 방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립 방지 기구에 의해, 제2 부재가 축부를 지지점으로 해서 기립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제2 부재를 제1 부재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로 벨트를 슬라이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캠 로크 버클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형태의 캠 로크 버클의 평면도.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동 부재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동 부재를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동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동 부재를 뒤집은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동 부재가 제1 위치로 슬라이드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도 8의 IX-IX선 단면도.
도 10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동 부재가 제2 위치로 슬라이드된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XI-XI선 단면도.
도 12a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오목부와 볼록부와의 변형예 1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b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오목부와 볼록부와의 변형예 2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체의 저부를 편평하게 한 변형예를 도시하는 본체의 단면도.
도 14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긴 구멍을 벨트 삽입관통 방향과 평행하게 한 변형예를 도시하는 본체의 단면도.
도 15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체의 벨트 장착부를 버클로 한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의 구성>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캠 로크 버클은, 합성 수지제의 제1 부재로서의 본체(10)와, 이 본체(10)의 저부(11) 사이에 제1 벨트(1)를 삽입관통하는 공간을 사이에 두고 본체(10)에 유지되는 동시에 저부(11)와의 사이에 제1 벨트(1)를 끼워 지지하는 끼움 지지부(33)를 갖는 합성 수지제의 제2 부재로서의 가동 부재(30)와, 본체(10)와 가동 부재(30) 사이에 마련되는 가동 부재(30)를 본체(10)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거나 기복 가능하게 유지하는 슬라이드 기구(40)와, 본체(10)와 가동 부재(30) 사이에 마련된 가동 부재(30)의 기립을 방지하는 기립 방지 기구(50)를 구비한다.
또한, 벨트(1)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의 탄성(강성)이 있는 재질, 예를 들어 섬유를 접어서 띠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지만, 재질에 대해서는 상관없다. 또한, 본체(10) 및 가동 부재(30)의 재질에 대해서도, 합성 수지제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제이어도 좋다.
여기서, 도 4에 있어서, A, B 방향을 벨트(1)의 삽입관통 방향, C, D 방향을 벨트(1)의 표리 방향, 도 3에 있어서, E 방향을 폭 방향이라고 한다.
본체(1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판형상의 저부(11)와, 이 저부(11)의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직각으로 또한 일체적으로 기립된 기립 벽부(12)를 갖는다.
저부(11)의 일단부측에는 제2 벨트(2)를 장착하는 벨트 장착부(13)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저부(11)의 타단부는 벨트 받침부(21)로서 형성되어 있다. 벨트 장착부(13)는, 저부(11)의 일단부측에 제1 벨트(1)의 삽입관통 방향에 간격을 사이에 두고 양측의 기립 벽부(12) 사이에 걸쳐진 제1 연결 레버(14) 및 제2 연결 레버(15)와, 이들의 제1, 제2 연결 레버(14, 15)의 사이에 형성된 제1 벨트 삽입관통 구멍(16)과, 제2 연결 레버(15)와 벨트 받침부(21) 사이에 형성된 제2 벨트 삽입관통 구멍(17)을 포함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벨트(2)의 선단을 저부(11)의 이면측으로부터 제2 연결 레버(15)를 선회시켜서 저부(11)의 표면측으로 인출하고, 제1 벨트 삽입관통 구멍(16)으로부터 저부(11)의 이면측으로 인출한 뒤, 제2 벨트(2)에 고정함으로써, 제2 벨트(2)가 벨트 장착부(13)에 고정된다. 또한, 벨트 받침부(21)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가동 부재(30)는, 도 3, 도 4,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치수가 본체(10)의 기립 벽부(12) 사이에 수습되는 치수로 길이 치수가 본체(10)의 길이 치수보다 약간 짧은 치수의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된 커버부(31)와, 이 커버부(31)의 일단부에 형성된 조작부(32)와, 커버부(31)의 타단부에 커버부(31)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일체 성형된 끼움 지지부(33)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조작부(32)는, 가동 부재(30)가 본체(10)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일 때(도 1의 상태), 폭 방향 중앙 부분이 본체(10)의 제1 연결 레버(14)의 윤곽 형상보다도 외측에 돌출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커버부(31)보다도 상방으로 약간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끼움 지지부(33)의 선단면에는, 제1 벨트(1)에 물려 들어가기 위한 치형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치형부(34)는, 단면이 대략 삼각 형상으로 폭 방향에 연속하는 돌조가 폭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기구(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양측의 기립 벽부(12)에 설치된 긴 구멍(41)과, 가동 부재(30)의 끼움 지지부(33)의 기단부 양측에 일체적으로 돌출 형성되어 긴 구멍(41)에 슬라이드 가능 또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축부(42)를 포함해서 구성되고, 긴 구멍(41)의 일단부 부근(도 4 중 좌측)에 축부(42)가 위치하는 제1 위치와 긴 구멍(41)의 타단부 부근(도 4 중 우측)에 축부(42)가 위치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가동 부재(3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긴 구멍(41)은, 기립 벽부(12)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는 일단부측에 대하여, 타단부측이 본체(10)의 저부(11)에 접근하는 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가동 부재(30)가 제1 위치로 슬라이드된 상태에 있어서, 끼움 지지부(33)와 저부(11)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도 8의 H1)보다도, 가동 부재(30)가 제2 위치로 슬라이드된 상태에 있어서, 끼움 지지부(33)와 저부(11)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도 10의 H2)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긴 구멍(41)보다 상방의 기립 벽부(12)에는, 기립 벽부(12)의 내면으로부터 상면을 향해 외측으로 확대 개방하는 경사면(43)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동 부재(30)의 축부(42)를 경사면(43)을 이용해서 긴 구멍(41) 내에 무리없이 유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기립 방지 기구(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부재(30)를 본체(10)에 대하여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가동 부재(30)가 축부(42)를 지지점으로 해서 기립하는, 즉, 가동 부재(30)가 본체(10)에 대하여 대략 직각 상태에 기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본체(10)의 기립 벽부(12)의 내측에 설치된 결합부(51)와, 가동 부재(30)의 커버부(31)의 양측에 설치되어 결합부(51)에 결합되는 피결합부(52)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결합부(51)는, 기립 벽부(12)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향함에 따라 기립 벽부(12)의 내측으로 점차 돌출한 후, 저부(11)와 평행한 걸림면을 갖는 돌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피결합부(52)는, 커버부(31)의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향함에 따라 커버부(31)의 외측으로 점차 돌출한 후, 커버부(31)와 평행한 걸림면을 갖는 돌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10)에 대하여 가동 부재(30)를 폐쇄하면, 피결합부(52)가 결합부(51)에 접촉한다. 또한, 가동 부재(30)가 폐쇄하는 방향으로 압입하면, 피결합부(52)가 결합부(51)를 타고 넘어서 결합부(51)의 걸림면에서 걸림 지지됨으로써, 가동 부재(30)의 기립이 방지된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부재(30)의 끼움 지지부(33) 및 이것에 대향하는 본체(10)의 저부(11), 즉 벨트 받침부(21)의 어느 한쪽에는 오목부가, 끼움 지지부(33) 및 이것에 대향하는 벨트 받침부(21)의 다른쪽에는 제1 벨트(1)의 일부를 오목부내에 압입하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끼움 지지부(33)에는 오목부로서의 오목 홈(35)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벨트 받침부(21)에는 제1 벨트(1)의 일부를 오목 홈(35) 내에 압입하는 볼록부로서의 볼록조(22)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 홈(35)은, 단면 직사각형 형상으로, 끼움 지지부(33)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 사이에 두고 또한 제1 벨트(1)의 삽입관통 방향을 따라 관통해서 2개 형성되어 있다.
볼록조(22)는, 2개의 오목 홈(35)에 대향하는 벨트 받침부(21)에, 제1 벨트(1)의 삽입관통 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2개 형성되어 있다. 볼록조(22)의 단면 형상은, 일단부측에서는 선단이 뾰족한 삼각 형상으로, 가동 부재(3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슬라이드하는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폭 치수가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된 후, 그 폭이 넓은 치수가 유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볼록조(22)의 높이 치수는 제1 벨트(1)의 일부를 오목 홈(35) 내에 압입할 수 있는 높이를 갖고 있으면 좋고, 가동 부재(30)가 제1 위치로 슬라이드한 상태에 있어서도, 오목 홈(35) 내에 볼록조(22)의 선단이 들어갈 필요는 없다. 즉, 제1 벨트(1)의 일부가 오목 홈(35)의 개구측 코너부를 연결하는 선보다 오목 홈(35) 내로 들어가는 상태를 확보할 수 있으면 좋다.
또한, 볼록조(22)가 형성된 본체(10)의 저부(11), 즉 가동 부재(30)의 끼움 지지부(33)에 대향하는 벨트 받침부(21)는 제1 벨트(1)의 삽입관통 방향의 양단부가 상방으로 만곡한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가동 부재(3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슬라이드하는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끼움 지지부(3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벨트의 위치 조정 조작 및 로크 조작>
기립 방지 기구(50)에 의해 가동 부재(30)가 본체(10)에 대하여 폐쇄되고, 또한 가동 부재(30)가 제1 위치로 슬라이드된 상태, 즉 긴 구멍(41)의 일단부 부근에 축부(42)가 위치하는 제1 위치에 가동 부재(30)가 슬라이드된 상태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부재(30)의 끼움 지지부(33)와 본체(10)의 벨트 받침부(21)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H1)도 크게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벨트(1)를 가동 부재(30)나 본체(10)에 대하여 저항이 적은 상태에서 길이 방향의 일방향(체결 방향 A)으로 슬라이드시키면서, 체결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벨트(1)의 일부는, 본체(10)의 벨트 받침부(21)에 형성된 볼록조(22)에 의해 끼움 지지부(33)에 형성된 오목 홈(35) 내에 압입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로부터, 제1 벨트(1)를 길이 방향의 타 방향(로크 방향 B)으로 당기면, 제1 벨트(1)의 움직임에 연동해서 가동 부재(30)도 함께 슬라이드된다. 즉, 가동 부재(30)의 축부(42)가 긴 구멍(41)의 타단부 부근으로 이동되고, 가동 부재(30)가 제2 위치로 슬라이드된다(도 10 참조). 그러면, 제2 위치에서는, 끼움 지지부(33)와 벨트 받침부(21)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H2)이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사이에 제1 벨트(1)가 로크된다(도 11 참조).
도 10의 상태로부터, 제1 벨트(1)를 체결 방향 A로 당기면, 제1 벨트(1)의 움직임에 연동해서 가동 부재(30)도 함께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슬라이드된다. 그러면, 제1 위치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움 지지부(33)와 벨트 받침부(21)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H1)이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벨트(1)의 로크 상태가 해제되어, 제1 벨트(1)를 체결 방향 A로 슬라이드시키면서, 체결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부재(30)를 본체(10)에 대하여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제1 벨트(1)를 체결 방향 A로 슬라이드시키면, 제1 벨트(1)를 본체(10)나 가동 부재(30)에 대하여 저항이 적은 상태에서 슬라이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벨트의 파손 등의 문제도 발생하는 것이 적고, 체결 상태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상태에 있어서, 제1 벨트(1)를 로크 방향 B로 당기면, 제1 벨트(1)를 로크할 수 있기 때문에, 로크 조작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벨트(1)를 느슨해지는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는 데는, 가동 부재(30)의 조작부(32)를 본체(10)에 대하여 들어올린다. 그러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부재(30)는 축부(42)를 지지점으로 해서 기립하기 때문에, 가동 부재(30)의 끼움 지지부(33)가 벨트 받침부(21)로부터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는, 본체(10)의 벨트 받침부(21)와 가동 부재(30) 사이의 간극이 크게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벨트(1)를 도 4의 B 방향으로 당겨서 자유롭게 길이 조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동 부재(30)의 끼움 지지부(33)에 오목 홈(35)을 형성하고, 본체(10)에 제1 벨트(1)의 일부를 오목 홈(35) 내에 압입하는 볼록조(22)를 형성하고, 이 오목 홈(35)과 볼록조(22)에 의해, 제1 벨트(1)의 당김 동작에 연동시켜서 가동 부재(30)를 로크 방향과 체결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했으므로, 스프링 부재 등의 부품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가동 부재(30)가 제1 위치로 슬라이드한 상태에서는, 가동 부재(30)의 끼움 지지부(33)와 본체(10)의 벨트 받침부(21)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H1)도 크게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벨트(1)의 손상도 적고, 제1 벨트(1)의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볼록조가 제1 벨트(1)의 삽입관통 방향을 따라 연속된 볼록조(22)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동 부재(30)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슬라이드할 때, 끼움 지지부(33)에 형성된 오목 홈(35)을 볼록조(22)에 항상 대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벨트(1)의 일부를 항상 오목 홈(35) 내에 압입한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벨트(1)의 움직임에 연동시켜서 가동 부재(30)를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또한, 볼록조(22)의 형상이, 가동 부재(3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슬라이드하는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점차 광폭으로 또한 끼움 지지부(33)와의 간극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동 부재(3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슬라이드했을 때, 오목 홈(35)과 볼록조(22)와의 간극이 점차 좁아지기 때문에, 그 사이에 끼워져 있었던 제1 벨트(1)를 다시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벨트(1)를 확실하게 로크할 수 있는 동시에, 두께가 다른 벨트에도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끼움 지지부(33)에 대향하는 벨트 받침부(21)가, 중앙 부분으로부터 제1 벨트(1)의 삽입관통 방향(도 4에서 좌우 방향)의 양단부가 상방을 향해서 만곡하고 있기 때문에, 즉, 도 4 중 우측 절반에 대해서는, 가동 부재(3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슬라이드하는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끼움 지지부(3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기구(40)의 긴 구멍(41)을 경사가 없거나, 또는, 긴 구멍(41)의 경사 각도를 작게 해도, 가동 부재(30)가 제2 위치로 슬라이드된 상태에 있어서 끼움 지지부(33)와 벨트 받침부(21)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긴 구멍(41)의 경사 각도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 부재(30)의 슬라이드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벨트 받침부(21)의 중, 도 4중 좌측 절반[벨트 받침부(21)의 중앙 위치로부터 일단부측이 상방을 향해 만곡]에 대해서도, 제1 벨트(1)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 받침부(21)의 좌측 단부와 끼움 지지부(33)를 연결하는 선을 따라 연장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끼움 지지부(33)의 달라붙음 효과가 높고, 따라서 로크시에 유지력이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기립 방지 기구(5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기립 방지 기구(50)에 의해, 가동 부재(30)가 축부(42)를 지지점으로 해서 기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부재(30)를 본체(10)에 대하여 폐쇄한 상태에서, 제1 벨트(1)를 슬라이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부품 개수로서는, 본체(10)와 가동 부재(30)와의 2 부품으로 구성했으므로, 부품의 제작 비용 및 조립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변형예>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부재(30)의 끼움 지지부(33)에 오목부로서의 2개의 오목 홈(35)을, 본체(10)의 벨트 받침부(21)에 볼록부로서의 2개의 볼록조(22)를 형성했지만, 이들은 거꾸로라도 좋다. 즉, 가동 부재(30)의 끼움 지지부(33)에 볼록부로서의 2개의 볼록조(22)를, 본체(10)의 벨트 받침부(21)에 오목부로서의 2개의 오목 홈(35)을 형성해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오목 홈(35) 및 볼록조(22)의 개수도 2개로 한정되지 않고, 1개라도 좋고, 또는 3개 이상이라도 좋다.
또한, 오목 홈(35)의 단면 형상과 볼록조(22)와의 단면 형상에 대해서도, 상기 실시형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 홈(35)도 볼록조(22)도 함께 직사각형 형상이어도 좋고, 또는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조(22)에 대해서는 산형으로 융기된 볼록조이어도 좋다.
또한, 볼록조(22)도, 제1 벨트(1)의 삽입관통 방향을 따라 연속하는 형상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볼록조(22)를 제1 벨트(1)의 삽입관통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분단하고, 볼록부가 일정 간격마다 배열된 구성, 또는 1개의 볼록부가 1개소에 설치된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체(10)의 벨트 받침부(21)를 만곡면으로서 형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벨트 받침부(21)를 편평한 벨트 받침부(21)로서도 좋다. 이 경우, 가동 부재(30)가 제2 위치로 슬라이드했을 때, 가동 부재(30)의 끼움 지지부(33)와 벨트 받침부(2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좁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긴 구멍(41)의 경사 각도를 크게 하면 좋다.
반대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구멍(41)을 경사지게 하지 않고, 제1 벨트(1)의 삽입관통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하고, 벨트 받침부(21)를 만곡면이나 경사면으로 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체(10)에 결합부(51)를 설치하는 동시에, 가동 부재(30)에 피결합부(52)를 설치하고, 이들에 의해 기립 방지 기구(50)를 구성했지만, 이것에 대해서는 없어도 좋다. 예를 들어, 가동 부재(30)의 내부에 제1 벨트(1)를 통하도록 하면, 제1 벨트(1)에 의해 가동 부재(30)의 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 기구(40)를, 본체(10)의 기립 벽부(12)에 형성한 긴 구멍(41)과, 가동 부재(30)의 형성한 축부(42)로 구성했지만, 이들은 거꾸로라도 좋다. 즉, 본체(10)의 기립 벽부(12)에 축부(42)를 형성하고, 가동 부재(30)에 긴 구멍(41)을 형성하도록 해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긴 구멍(41)은 관통 구멍에 한정되지 않고, 멈춤 구멍(오목부)이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체(10)에 벨트 장착부(13)를 형성해서 제2 벨트(2)를 설치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61)와 이 플러그(61)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소켓(63)으로 이루어지는 버클(60) 중 어느 한쪽, 예를 들어 플러그(61)를 본체(10)에 일체적으로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플러그(61)는 한 쌍의 다리부(62)를 갖고, 소켓(63)은 다리부(62)가 삽입해서 결합하는 결합부(64)와 제2 벨트(2)를 설치하는 벨트 장착부(65)를 갖고 있기 때문에, 플러그(61)를 소켓(63)에 결합시키면, 본체(10)에 제2 벨트(2)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벨트 장착부(13)를 없애고, 본체(10)를 가방 등의 고착체에 직접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은, 벨트를 길이 방향의 일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서 위치 조정할 수 있고, 또한 그 위치에서 로크 가능한 캠 로크 버클로서 이용할 수 있다.
1 : 제1 벨트
10 : 본체(제1 부재)
11 : 저부
12 : 기립 벽부
21 : 벨트 받침부
22 : 볼록조(볼록부)
30 : 가동 부재(제2 부재)
33 : 끼움 지지부
35 : 오목 홈(오목부)
41 : 긴 구멍
42 : 축부
50 : 기립 방지 기구

Claims (5)

  1. 저부(11)의 폭 방향 양측에 기립 벽부(12)를 갖는 제1 부재(10)와,
    상기 제1 부재(10)의 저부(11)와의 사이에 벨트(1)를 삽입관통하는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부재(10)에 유지되는 동시에, 상기 저부(11)와의 사이에 벨트(1)를 끼워 지지하는 끼움 지지부(33)를 갖는 제2 부재(30)와,
    상기 기립 벽부(12) 및 상기 제2 부재(30)의 어느 한쪽에 설치된 긴 구멍(41) 및 상기 기립 벽부(12) 및 상기 제2 부재(30)의 다른쪽에 설치되어 상기 긴 구멍(4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축부(42)를 갖고, 상기 긴 구멍(41)의 일단부 부근에 상기 축부(42)가 위치하는 제1 위치와 상기 긴 구멍(41)의 타단부 부근에 상기 축부(42)가 위치하는 제2 위치에 상기 제2 부재(3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슬라이드 기구(40)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부재(30)가 상기 제1 위치로 슬라이드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끼움 지지부(33)와 상기 저부(11)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H1)보다도, 상기 가동 부재(30)가 상기 제2 위치로 슬라이드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끼움 지지부(33)와 상기 저부(11)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H2)이 작게 형성된 캠 로크 버클에 있어서,
    상기 끼움 지지부(33) 및 이 끼움 지지부(33)에 대향하는 상기 저부(11)의 어느 한쪽에는, 오목부가 상기 벨트(1)의 삽입관통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끼움 지지부(33) 및 이 끼움 지지부(33)에 대향하는 상기 저부(11)의 다른쪽에는, 상기 벨트(1)의 일부를 상기 오목부내에 압입하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로크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벨트(1)의 삽입관통 방향을 따라 연속된 볼록조(22)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로크 버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조(22)는, 상기 제2 부재(3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슬라이드하는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폭 치수가 점차 넓게 또는 상기 끼움 지지부(33)와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로크 버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지지부(33)에 대향하는 상기 저부(11)는, 상기 제2 부재(3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슬라이드하는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 끼움 지지부(33)에 접근하는 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로크 버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30)가 상기 제1 부재(10)에 대하여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30)가 상기 축부(42)를 지지점으로 해서 기립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립 방지 기구(5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로크 버클.
KR1020137009326A 2010-10-13 2010-10-13 캠 로크 버클 KR101437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67917 WO2012049739A1 (ja) 2010-10-13 2010-10-13 カムロックバック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027A true KR20130052027A (ko) 2013-05-21
KR101437299B1 KR101437299B1 (ko) 2014-09-03

Family

ID=45937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9326A KR101437299B1 (ko) 2010-10-13 2010-10-13 캠 로크 버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35833B2 (ko)
JP (1) JP5544019B2 (ko)
KR (1) KR101437299B1 (ko)
CN (1) CN103153113B (ko)
DE (1) DE112010005937B4 (ko)
TW (1) TWI457087B (ko)
WO (1) WO20120497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690B1 (ko) * 2021-04-27 2021-12-01 이상권 반려견용 입마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1331A (en) * 2012-04-20 2013-10-23 Dg Int Holdings Ltd A suitcase with expansion panels
DE102012022278A1 (de) * 2012-11-14 2014-05-1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icherheitsgurteinrichtung in einem Fahrzeug
JP6073129B2 (ja) * 2012-12-28 2017-02-01 信▲頼▼ 別所 ベルトのバックル
US9856079B2 (en) * 2013-04-09 2018-01-02 Grigooris MANSSOURIAN Retainer mechanism
US20150158615A1 (en) * 2013-12-11 2015-06-11 Ken Downs Bag Binder
CN103989547B (zh) * 2013-12-26 2017-01-25 孙雁群 一种用于外固定治疗骨折的中医小夹板装置
TWI539909B (zh) * 2014-12-08 2016-07-01 啟碁科技股份有限公司 吊帶組件及其扣環單元
JP6407698B2 (ja) * 2014-12-17 2018-10-17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ックル及び車載用空気清浄機
CA2922193A1 (en) 2015-03-02 2016-09-02 Grigooris Manssourian Retainer mechanism
EP3288515B1 (en) * 2015-05-01 2020-03-11 Fast Rescue Solutions, LLC Emergency rescue stretcher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WO2017059475A1 (en) * 2015-10-05 2017-04-13 Miller Peter Damian Locking device for maintaining seat belt tension on a child car seat
US10736384B2 (en) 2016-09-19 2020-08-11 Duraflex Hong Kong Ltd. Tension release fastener
JP6867004B2 (ja) * 2016-11-25 2021-04-28 信▲頼▼ 別所 衣服ベルト用バックル
US10918169B2 (en) * 2018-03-02 2021-02-16 Illinois Tool Works Inc. Locking position adjustment device
JP7090322B2 (ja) * 2018-05-24 2022-06-24 信▲頼▼ 別所 衣服ベルト用バックル
CN110623373A (zh) * 2018-06-25 2019-12-31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织物调整夹具、系统及方法
US11096452B2 (en) * 2018-06-25 2021-08-24 Illinois Tool Works Inc. Web-adjustment clamp, system and method
USD947716S1 (en) * 2019-02-19 2022-04-05 Woojin Plastic Co., Ltd. Buckle for bag
US10874177B2 (en) * 2019-03-09 2020-12-29 Jezekiel Ben-Arie Belt ratcheting device III
KR101999513B1 (ko) * 2019-03-22 2019-07-11 최광용 버클
US11246379B2 (en) 2019-07-02 2022-02-15 Intertek Industrial Corporation Adjustable connectors for use with webbing of patient harness systems and other types of safety belt systems
US10897964B1 (en) * 2019-07-02 2021-01-26 Intertek Industrial Corporation Adjustable connectors for use with webbing of patient harness systems and other types of safety belt systems
CN110507037B (zh) * 2019-09-09 2024-05-10 佛山市拓润精密五金科技有限公司 一种皮带扣
US10897939B1 (en) * 2020-01-16 2021-01-26 DC Invents, LLC Strap assembly for connecting protective sleeves for work with high-voltage electricity
US11234489B2 (en) * 2020-02-17 2022-02-01 Jezekiel Ben-Arie Spring lace ratcheting device
USD949667S1 (en) 2020-04-07 2022-04-26 Intelligent Designs 2000 Corp. Double loop swivel hook
JP2021180800A (ja) * 2020-05-20 2021-11-25 株式会社エムアンドケイヨコヤ 調節具
AT524761B1 (de) * 2021-02-15 2022-10-15 Aba Hoertnagl Gmbh Schnallenbauteil
US20220279881A1 (en) * 2021-03-03 2022-09-08 Nancy Cavallaro Coat carrying straps
CN115777568A (zh) * 2021-09-10 2023-03-14 深圳拍拍科技有限公司 宠物绑带扣及宠物绑带
US11827138B1 (en) * 2022-07-08 2023-11-28 Hoch Brands Llc Adjustable fastener
US11950661B1 (en) 2023-04-05 2024-04-09 Jayson Dumenigo Securement and release device for webbing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9481A (en) * 1955-11-14 1960-01-05 Gentex Corp Adjustable buckle
US2862268A (en) * 1956-07-26 1958-12-02 Pacific Scient Aeroproducts Safety belt buckle
US3249386A (en) * 1963-04-17 1966-05-03 Richard G Board Retractable safety belts
US3131446A (en) * 1963-05-28 1964-05-05 Frank L Davis Seat belt buckle
US3255502A (en) * 1964-05-28 1966-06-14 Jesse R Hollins Quick release buckle
FR1435078A (fr) * 1965-03-02 1966-04-15 Aiglon L Ceinture de sécurité
US3344486A (en) * 1965-06-15 1967-10-03 Irving M Golden Buckle having a pressure member connected to slotted pivotally related frame members
SE357665B (ko) * 1968-03-21 1973-07-09 Bengtsson Sigurd W
US3678542A (en) * 1970-06-17 1972-07-25 Ancra Corp Cam buckle
SE357664B (ko) * 1971-11-29 1973-07-09 Bengtsson Sigurd W
US3775813A (en) * 1971-12-17 1973-12-04 N Higuchi Safety buckle
JPS5997605U (ja) 1982-12-21 1984-07-02 関口 治三 バツクル
AT391982B (de) * 1983-12-05 1990-12-27 Fildan Gerhard Schnalle
JPS60175107U (ja) * 1984-04-27 1985-11-20 関口 治三 バツクル
US4726625A (en) * 1986-07-07 1988-02-23 Indiana Mills & Manufacturing, Inc. Belt retraction cam lock
JPH059845Y2 (ko) * 1987-08-11 1993-03-11
US4937923A (en) * 1988-08-11 1990-07-03 Gentex Corporation Positive-lock quick-release buckle
US5161351A (en) 1991-01-09 1992-11-10 Woodruff Dale K Animal harness safety buckling
USD377155S (en) * 1992-07-21 1997-01-07 Takigen Manufacturing Co., Ltd. Buckle for cargo straps
US5311653A (en) * 1993-03-11 1994-05-17 Indiana Mills & Manufacturing, Inc. Web adjuster for plastic coated web
US5431365A (en) * 1994-03-30 1995-07-11 Fastening Solutions, Inc. Apparatus for securing equipment from the effects of vibrations
US5661877A (en) * 1995-10-16 1997-09-02 Bloomer; Ronald D. Belt or webbing buckle having plural independently operable securement and release mechanisms
US5732448A (en) * 1996-12-31 1998-03-31 Shields; Robert L. Stirrup buckle
JP4039468B2 (ja) 1997-01-14 2008-01-30 寛美 日詰 帯状物用固定具
JP3078238U (ja) * 2000-03-15 2001-06-29 台灣扣具工業股▲ふん▼有限公司 織帯用バックル
FR2813767A1 (fr) * 2000-08-22 2002-03-15 Dominique Denis Step Morazzani Boucle de ceinture de plongee
US6665913B2 (en) * 2001-09-04 2003-12-23 Bodypoint Designs, Inc. End-fitting webbing buckle
US6877189B2 (en) * 2003-02-21 2005-04-12 Eric Simonson Roller cam buckle
TWM240109U (en) * 2003-04-08 2004-08-11 Taiwan Ind Fastener Corp Improved structure of snap-action buckle
TWM276474U (en) * 2005-02-22 2005-10-01 Pronix Ind Inc Non-stage buckle
JP4764205B2 (ja) * 2006-02-28 2011-08-31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WO2011039856A1 (ja) 2009-09-30 2011-04-07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690B1 (ko) * 2021-04-27 2021-12-01 이상권 반려견용 입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0005937T5 (de) 2013-08-08
JPWO2012049739A1 (ja) 2014-02-24
KR101437299B1 (ko) 2014-09-03
CN103153113B (zh) 2015-09-30
TWI457087B (zh) 2014-10-21
JP5544019B2 (ja) 2014-07-09
US8935833B2 (en) 2015-01-20
CN103153113A (zh) 2013-06-12
TW201223476A (en) 2012-06-16
DE112010005937B4 (de) 2017-10-26
WO2012049739A1 (ja) 2012-04-19
US20130185902A1 (en) 201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2027A (ko) 캠 로크 버클
US8601652B2 (en) Side release buckle
US7650676B2 (en) Buckle
JP5666400B2 (ja) クリップ
US3844000A (en) Clasp
WO2011077551A1 (ja) サイドリリースバックルおよびそのロック部材
WO2011039857A1 (ja) サイドリリースバックル
EP0943253A2 (en) Buckle
KR101413400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US7361035B1 (en) Card connector capable of preventing electronic card from accidental disengagement therefrom
TWI603688B (zh) buckle
US9936771B2 (en) Buckle
US6995319B2 (en) Cord end cover
JP5957082B2 (ja) ベルトアジャスタ
JP5552534B2 (ja) フロントリリースバックル
CN209862501U (zh) 一种双保险连接扣
JP5628585B2 (ja) バックル
CN109219365B (zh) 绳扣
WO2014038068A1 (ja) ベルトアジャスター
CN112401413B (zh) 具有线调整部的带扣
US10292458B2 (en) Buckle
JP4790687B2 (ja) 樹脂製クリップ
CN111355102B (zh) 连接器
KR102191891B1 (ko) 이탈 방지용 클립 및 이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JP3151275U (ja) シート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