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6005A - 조립형 난간 - Google Patents

조립형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6005A
KR20130046005A KR1020110110290A KR20110110290A KR20130046005A KR 20130046005 A KR20130046005 A KR 20130046005A KR 1020110110290 A KR1020110110290 A KR 1020110110290A KR 20110110290 A KR20110110290 A KR 20110110290A KR 20130046005 A KR20130046005 A KR 20130046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upport
subrail
pattern plat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5098B1 (ko
Inventor
유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리텍
유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리텍, 유문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리텍
Priority to KR1020110110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098B1/ko
Publication of KR20130046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8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rails being attached to the top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04H17/165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using panels with rigid filling an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형 난간에 관한 것으로서, 난간의 조립식 구조를 이루어 현장설치 및 시공은 물론 부분 파손 발생시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레일(10) 및 하부레일(20)과, 상기 상,하부레일(10,20)의 지지를 위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지주(40)와, 상기 상부레일(10)과 하부레일(20) 사이에 설치되는 무늬판(50)으로 구성되는 난간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10)에는 지주(40)의 상단부에 삽입 결합되어지는 결합부(11)가 돌출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하부레일(20)은 양단부가 지주(40)의 하단부에 피스결합되어지고; 상기 하부레일(20) 상면에는 무늬판(50)의 하부가 삽입 지지되어질 수 있는 하부지지홈(21)이 형성되며; 상기 지주(40)는 앵커박스(60)의 상면에 지지되어지되, 상기 앵커박스(60) 상면에는 지주(40)의 슬라이딩 유동이 가능하도록 양측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61)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형 난간{ASSEMBLY TYPE GUARD RAIL}
본 발명은 난간에 관한 것으로서, 교량이나 도로변에 설치되는 난간의 결합구조를 조립형으로 개선하여 설치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립형 난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와 인도 사이에 설치되거나 언덕길에 설치되어 교통사고나 추락사고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난간은 대부분 철재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난간의 지주 및 난간대는 통상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으므로 설치현장에서의 작업공수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용접기 및 전기를 사용하여야 했었으므로 행인의 통행에 지장을 주게 되고, 각종 설비를 설치현장까지 운반하여야 했으며 부대적인 소요비용이 추가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난간은 구조적으로도 각 부분이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었으므로 용접한 후의 후처리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하자보수시에도 많은 애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난간 결합구조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난간을 이루는 각 구조물간에 조립식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결합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시공이 용이하며 부분 파손시 해당 부위의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과, 상기 상,하부레일의 지지를 위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지주와, 상기 상부레일과 하부레일 사이에 설치되는 무늬판으로 구성되는 난간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에는 지주의 상단부에 삽입 결합되어지는 결합부가 돌출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하부레일은 양단부가 지주의 하단부에 피스결합되어지고; 상기 하부레일 상면에는 무늬판의 하부가 삽입 지지되어질 수 있는 하부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주는 앵커박스의 상면에 지지되어지되, 상기 앵커박스 상면에는 지주의 슬라이딩 유동이 가능하도록 양측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난간의 조립식 구조를 이루어 현장설치 및 시공은 물론 부분 파손 발생시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러한 부분 수리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무늬판이 피스나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끼움 결합에 의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시공작업에서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간 설치상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난간의 상세도 및 부분 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도 2의 B부 확대도.
도 5는 도 2의 C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 난간의 지주부 단면 구조도.
도 7은 도 6의 D부 확대도.
도 8은 도 6의 E부 확대도.
도 9는 도 6의 F부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난간의 정면도 및 부분 투시도.
도 11은 도 10의 G부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 난간의 지주부 단면 구조도.
도 13은 도 12의 H부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에서의 무늬판 분리도.
도 15는 본 발명 무늬판의 지지상태 단면 상세도.
도 16은 본 발명 무늬판의 분해상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난간의 구조를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살펴보면, 상부레일(10)과 하부레일(20)이 수평방향으로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며, 이러한 상,하부레일(10,20)의 지지를 위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지주(40)는 지면에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앵커박스(60)에 지지되어지고, 상부레일(10)과 하부레일(20) 사이에 설치되는 무늬판(50)이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상부레일(10)에는 지주(40)의 상단부에 삽입 결합되어지는 결합부(11)가 돌출 구성되어져 있는데, 이러한 결합부(11) 내부에는 자체 강도보강을 위한 보강대(11a)가 양측에 일정 각도의 경사를 이루어 대칭형태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하부레일(20)은 양단부가 지주(40)의 하단부에 피스결합되어지고, 하부레일(20) 상면에는 무늬판(50)의 하부가 삽입 지지되어질 수 있는 하부지지홈(21)이 형성되는 조립식 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앵커박스(60) 상면에는 지주(40)의 슬라이딩 유동이 가능하도록 양측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61)가 구성되어지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무늬판(50)의 상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서브레일(30)이 수평방향으로 더 구성되어지되, 상기 서브레일(30)은 양측이 지주(40)의 상부에 피스결합되어지고, 상기 서브레일(30) 하부에는 서브레일커버(32)가 구성되어지며, 상기 서브레일커버(32)에는 무늬판(50)의 상부가 삽입 지지되어질 수 있는 상부지지홈(33)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 조립식 난간의 설치 및 시공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난간은 상부레일(10)과 하부레일(20), 서브레일(30), 지주(40), 무늬판(50) 및 앵커박스(60)가 현장에서 조립 설치가 가능한 조립형 구조를 이룸으로서 시공 및 시설물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지면에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앵커박스(60)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한 후 가이드부(61) 사이에 지주(40)를 수직으로 세워서 안착시키고, 지주(40) 상부에는 상부레일(10)에 구비된 결합부(11)를 끼워서 피스로 고정시킴으로서 상호간에 지지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하부레일(20)을 역시 피스로 고정시킨 후 하부레일(20)에 형성된 하부지지홈(21)에 일정 문양이 형성된 무늬판(50)을 끼워서 결합시킨 후 상부에는 서브레일(30)을 결합시킴으로서 무늬판(50)의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서브레일(30) 하부에 결합된 서브레일커버(32)에는 상부지지홈(33)이 형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무늬판(50)이 끼워지게 되며, 서브레일(30)의 양 단부는 도 4에서와 같이 앵커프레임(34)에 의해 지주(40)와 피스 고정이 이루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난간은 각 부품간 결합이 조립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은 물론, 시설물 파손시 해당 부위의 부품 교체가 가능하게 됨으로 수리 및 관리 비용을 절감시키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난간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무늬판(50)의 상부 지지를 위한 별도의 서브레일을 구성시키지 않고, 상부레일(10) 하부에 상부레일커버(12)를 구성시킴에 있어, 상기 상부레일커버(12)에는 무늬판(50)의 상단부가 삽입 지지되어질 수 있는 상부지지홈(13)을 형성시킨 것이다.
특히, 무늬판(50)은 투명유리판(51)이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투명유리판(51)의 보호를 위해 양측에 알루미늄 재질의 금속판(52)이 각각 구비되는 3층 구조를 이루되, 상부지지홈(13) 및 하부지지홈(21)은 각각 투명유리판(51)이 끼워지는 끼움홈(13a,21a)의 양측에 금속판(52)이 안착되는 안착홈(13b,21b)이 높이를 달리하는 계단형태로 형성시킨 것이다.
또한, 금속판(52)에는 일정 문양을 형성시키기 위한 통공(52a)이 구비됨으로서 통공(52a) 부위를 통해 주변 경관을 볼 수 있음과 함께 투명유리판(51)에 의해 추락 사고 발생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레일(10)에 무늬판(50)의 상부 지지를 위한 상부레일커버(12)를 구성시키게 되면, 무늬판(50)의 상부 지지를 위한 별도의 서브레일이 필요치 않게 되어 부품수 절감에 따른 시공 비용을 절감시킴과 함께 보다 신속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무늬판(50)의 지지를 위한 상부지지홈(13)과 하부지지홈(21)이 계단식 지지 구조를 이루게 됨으로, 별도의 피스나 볼트 등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무늬판(50)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난간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10 : 상부레일 11 : 결합부
11a: 보강대 12 : 상부레일커버
20 : 하부레일 21 : 하부지지홈
30 : 서브레일 32 : 서브레일커버
33 : 상부지지홈 34 : 앵커프레임
40 : 지주 41 : 서브지주
50 : 무늬판 51 : 투명유리판
52 : 금속판 52a: 통공
60 : 앵커박스 61 : 가이드부

Claims (5)

  1.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레일(10) 및 하부레일(20)과, 상기 상,하부레일(10,20)의 지지를 위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지주(40)와, 상기 상부레일(10)과 하부레일(20) 사이에 설치되는 무늬판(50)으로 구성되는 난간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10)에는 지주(40)의 상단부에 삽입 결합되어지는 결합부(11)가 돌출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하부레일(20)은 양단부가 지주(40)의 하단부에 피스결합되어지고;
    상기 하부레일(20) 상면에는 무늬판(50)의 하부가 삽입 지지되어질 수 있는 하부지지홈(21)이 형성되며;
    상기 지주(40)는 앵커박스(60)의 상면에 지지되어지되, 상기 앵커박스(60) 상면에는 지주(40)의 슬라이딩 유동이 가능하도록 양측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61)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난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늬판(50)의 상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서브레일(30)이 더 구성되어지되, 상기 서브레일(30)은 양측이 지주(40)의 상부에 피스결합되어지고, 상기 서브레일(30) 하부에는 서브레일커버(32)가 구성되어지며, 상기 서브레일커버(32)에는 무늬판(50)의 상부가 삽입 지지되어질 수 있는 상부지지홈(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난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1) 내부에는 자체 강도보강을 위한 보강대(11a)가 양측에 일정 각도의 경사를 이루어 대칭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난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10) 하부에는 상부레일커버(12)가 구성되어지며, 상기 상부레일커버(12)에는 무늬판(50)의 상단부가 삽입 지지되어질 수 있는 상부지지홈(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난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무늬판(50)은 투명유리판(51)이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투명유리판(51)의 보호를 위해 양측에 금속판(52)이 각각 구비되는 3층 구조를 이루되, 상부지지홈(13) 및 하부지지홈(21)은 각각 투명유리판(51)이 끼워지는 끼움홈(13a,21a)의 양측에 금속판(52)이 안착되는 안착홈(13b,21b)이 높이를 달리하는 계단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난간.
KR1020110110290A 2011-10-27 2011-10-27 조립형 난간 KR101265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290A KR101265098B1 (ko) 2011-10-27 2011-10-27 조립형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290A KR101265098B1 (ko) 2011-10-27 2011-10-27 조립형 난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005A true KR20130046005A (ko) 2013-05-07
KR101265098B1 KR101265098B1 (ko) 2013-05-16

Family

ID=48657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290A KR101265098B1 (ko) 2011-10-27 2011-10-27 조립형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0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163B1 (ko) * 2021-06-29 2022-07-05 (주)케이앤에스테크 외부충격보호 기능을 갖는 혼합형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633B1 (ko) * 2014-05-12 2014-11-07 주식회사 이진 높낮이 조절 및 경사로에 대응되는 틸팅기능을 갖는 보도용 난간
KR102066048B1 (ko) 2019-07-26 2020-01-14 주식회사 리더스산업 수직 및 수평하중 보강형 난간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709B1 (ko) 2006-11-22 2007-08-22 박종섭 조립식 난간의 마감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163B1 (ko) * 2021-06-29 2022-07-05 (주)케이앤에스테크 외부충격보호 기능을 갖는 혼합형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5098B1 (ko)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330B1 (ko) 앵글 조립식 교량점검통로
KR101275100B1 (ko) 조립식 난간
KR101018637B1 (ko) 둑을 쌓아 올린 도로나 제방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설인도
KR101116740B1 (ko) 공동구를 구비한 교측보도교
KR102221132B1 (ko) 절토부 비탈면 점검로 및 그 시공방법
KR102157134B1 (ko) 조립식 난간구조물
KR200441895Y1 (ko) 목재난간 조립구조
KR101265098B1 (ko) 조립형 난간
KR100876098B1 (ko) 목재난간 조립구조
KR200439417Y1 (ko) 조립식 난간
CN203684061U (zh) 快速拆装的钢结构人行天桥
CN202337942U (zh) 移动式过街天桥
CN206015531U (zh) 快速装配式梯笼
KR101168205B1 (ko)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및 그 시공 방법
KR100977482B1 (ko) 기존 도로 법면부에 설치가 용이한 보도교
KR101077823B1 (ko) 건설현장의 가림판 설치구조
CN203742205U (zh) 临时看台
KR101045828B1 (ko) 교량점검통로
KR101111581B1 (ko) 난간
KR101073527B1 (ko) 인도 확장장치
KR200490448Y1 (ko)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
KR102026260B1 (ko) 시공성 및 보수 편의성이 향상된 난간 구조물
CN211639872U (zh) 一种多规格pc构件的摆放架
CN210712524U (zh) 一种预制组合型钢结构天桥
KR20150001118A (ko) 구조적 안정성 및 보수관리가 용이한 개선형 보도육교용 시공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