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5221A -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5221A
KR20130045221A KR20120118939A KR20120118939A KR20130045221A KR 20130045221 A KR20130045221 A KR 20130045221A KR 20120118939 A KR20120118939 A KR 20120118939A KR 20120118939 A KR20120118939 A KR 20120118939A KR 20130045221 A KR20130045221 A KR 20130045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urrent collector
secondary battery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18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0586B1 (ko
Inventor
권요한
정동섭
우상욱
김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PCT/KR2012/00882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062334A1/ko
Priority to CN201280052717.XA priority patent/CN103891012B/zh
Priority to JP2014537003A priority patent/JP5788105B2/ja
Publication of KR20130045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221A/ko
Priority to US14/187,765 priority patent/US900581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3Selection of materials containing carbon or carbonaceous materials as conductive part, e.g. graphite, carbon fib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5Composites
    • H01M4/667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s, e.g.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8Composites of electroconductive material and synthetic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75Wires, rods or str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78Shapes other than plane or cylindrical, e.g. hel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8Posi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형 집전체; 상기 와이어형 집전체의 표면에 형성되며, 금속계 활물질을 포함하는 금속계 음극활물질층; 및 상기 금속계 음극활물질층의 표면에 형성되며, 흑연계 활물질, 도전재 및 제1 고분자 바인더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흑연계 음극합제층;을 구비하는 이차전지용 음극에 관한 것이다.
금속계 음극활물질층과 흑연계 음극합제층을 모두 구비하는 음극인 본 발명은 완충역할을 하는 흑연계 음극합제층을 포함하므로 충방전시에 진행되는 극심한 부피팽창에 의한 금속계 활물질의 고립화 또는 탈리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흑연계 음극합제층은 유기 전해액과이 친화성이 우수하므로, 유기 전해액과의 낮은 친화성을 갖는 금속계 음극활물질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An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적합한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금속계 음극활물질층과 흑연계 음극합제층을 구비하는 음극에 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외부의 전기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의 형태로 바꾸어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에 전기를 만들어 내는 장치를 말한다. 여러 번 충전할 수 있다는 뜻으로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라는 명칭도 쓰인다. 흔히 쓰이는 이차전지로는 납 축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NiCd), 니켈 수소 축전지(NiMH), 리튬 이온 전지(Li-ion),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Li-ion polymer)가 있다. 이차 전지는 한 번 쓰고 버리는 일차 전지에 비해 경제적인 이점과 환경적인 이점을 모두 제공한다.
이차 전지는 현재 낮은 전력을 사용하는 곳에 쓰인다. 이를테면 자동차의 시동을 돕는 기기, 휴대용 장치, 도구, 무정전 전원 장치를 들 수 있다. 최근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은 휴대용 장치의 대중화를 주도하고 있으며, 종래의 많은 종류의 장치들을 무선화하는 경향도 있어,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폭발하고 있다. 또한, 환경오염 등의 방지 측면에서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가 실용화되고 있는데, 이들 차세대 자동차들은 이차전지를 사용하여 값과 무게를 줄이고 수명을 늘리는 기술을 채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원통형, 각형 또는 파우치형의 전지가 대부분이다. 이는 이차전지는 음극, 양극 및 분리막으로 구성된 전극조립체를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캔이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 내부에 장착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에 전해질을 주입시켜 제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차전지 장착을 위한 일정한 공간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이러한 이차전지의 원통형, 각형 또는 파우치형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장치의 개발에 대한 제약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다양한 형태가 가능한 신규한 형태의 이차전지가 요구되며, 가요성이 우수한 단면적 직경에 대하여 길이의 비가 매우 큰 전지인 선형전지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가요성이 요구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는 구조적 특성상 이차전지가 꺽이는 경우와 같은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므로 사용에 의한 단선의 우려가 높으며, 또한 Si 또는 Sn과 같은 음극활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에 반복된 충방전에 의한 전극의 팽창과 수축에 의하여 활물질이 탈리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량의 증대를 위해서 금속으로 이루어진 음극활물질층을 두껍게 하는 경우에는 음극활물질층 내부로 리튬이온의 확산이 어려워져 오히려 전지의 용량 구현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기화학적 반응성이 우수하고, 전지 내부의 스트레스 및 압력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다층의 음극활물질층을 구비하는 이차전지용 음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와이어형 집전체; 상기 와이어형 집전체의 표면에 형성되며, 금속계 활물질을 포함하는 금속계 음극활물질층; 및 상기 금속계 음극활물질층의 표면에 형성되며, 흑연계 활물질, 도전재 및 제1 고분자 바인더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흑연계 음극합제층;을 구비하는 이차전지용 음극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차전지용 음극은 상기 흑연계 음극합제층의 외면을 둘러싸면 형성되며 탄소입자와 제2 고분자 바인더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도전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형 집전체로는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탄소, 구리; 카본, 니켈, 티탄 또는 은으로 표면처리한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카드뮴합금; 도전재로 표면처리된 비전도성 고분자 또는 전도성 고분자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재로는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폴리설퍼니트리드, ITO(Indum Thin Oxide), 구리, 은, 팔라듐 및 니켈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폴리설퍼니트리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금속계 활물질로는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Si, Sn, Li, Zn, Mg, Cd, Ce, Ni 또는 Fe인 금속류(Me); 상기 금속류(Me)로 구성된 합금류; 상기 금속류(Me)의 산화물(MeOx); 및 상기 금속류(Me)와 탄소와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활물질 입자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흑연계 활물질로는 그 종류를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천연흑연, 인조흑연, 연화탄소(soft carbon) 및 경화탄소(hard carbon)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흑연계 음극합제층에 사용되는 도전재로는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카본블랙, 아세틸렌블랙, 케첸블랙, 덴카블랙 및 탄소섬유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흑연계 음극합제층에 사용되는 상기 제1 고분자 바인더로는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eth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polybutyl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olyvinylacetate),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플루란 (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cyanoethyl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cyanoethyl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cyanoethylsucrose), 플루란 (pullulan),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tyrene-butadiene rubber) 및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carboxyl methyl 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바인더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전층에 사용하는 상기 탄소입자로는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아세틸렌블랙, 케첸블랙, 덴카블랙 및 탄소섬유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전층에 사용하는 제2 고분자 바인더로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eth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polybutyl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olyvinylacetate),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플루란 (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cyanoethyl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cyanoethyl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cyanoethylsucrose), 플루란 (pullulan),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tyrene-butadiene rubber) 및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carboxyl methyl 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바인더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와이어형 집전체와 상기 와이어형 집전체의 표면에 형성되며 금속계 활물질을 포함하는 금속계 음극활물질층을 구비하는 적어도 2 이상의 와이어형 음극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나선형으로 꼬여있는 나선음극; 및 상기 나선음극을 둘러싸며 형성되며, 흑연계 활물질, 도전재 및 제1 고분자 바인더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흑연계 음극합제층;을 구비하는 이차전지용 음극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차전지용 음극은 상기 흑연계 음극합제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되며 탄소입자와 제2 고분자 바인더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도전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양극, 상기 음극 및 분리층을 사용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며, 또한 이러한 이차전지용 음극을 적어도 1개 이상 포함하는 내부전극; 상기 내부전극을 둘러싸며 충진된, 이온의 통로가 되는 분리층; 상기 분리층의 외면을 둘러싸고, 양극활물질층과 양극집전체를 구비하는 양극인 외부전극 및 상기 외부전극의 둘레에 배치되는 보호피복을 구비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일 수 있다.
상기 분리층은 전해질층 또는 세퍼레이터일 수 있다.
금속계 음극활물질층과 흑연계 음극합제층을 모두 구비하는 음극인 본 발명은 완충역할을 하는 흑연계 음극합제층을 포함하므로 충방전시에 진행되는 극심한 부피팽창에 의한 금속계 활물질의 고립화 또는 탈리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흑연계 음극합제층은 유기 전해액과이 친화성이 우수하므로, 유기 전해액과의 낮은 친화성을 갖는 금속계 음극활물질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극은 표면에 도전층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전층의 존재로 인하여 음극활물질의 고립화 및 신규의 표면 생성을 억제하여 전해액과의 부반응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층을 더 구비하는 음극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음극을 구비하는 음극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음극을 구비하며, 도전층을 더 구비하는 음극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을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음극을 구비하는 음극을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음극을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나선음극을 구비하는 음극을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반쪽전지(half cell) 시험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완전전지(full cell) 시험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계 음극활물질층과 흑연계 음극합제층을 모두 구비하는 음극의 일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극(100)은 와이어형 집전체(110); 상기 와이어형 집전체(110)의 표면에 형성되며, 금속계 활물질을 포함하는 금속계 음극활물질층(120); 및 상기 금속계 음극활물질층(120)의 표면에 형성되며, 흑연계 활물질, 도전재 및 제1 고분자 바인더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흑연계 음극합제층(130);을 구비한다.
고용량의 음극 소재인 Si나 Sn 계열들의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들의 경우에는 이들 소재의 특성상 Li이온이 합금(alloying)/탈합금(dealloying) 과정을 통해 전기화학적 특성이 구현되기 때문에, 부피팽창에 의한 체적 변화가 크고, 이러한 체적의 변화가 더욱 심화되면 구조가 붕괴된다. 그러면, 금속 활물질 간의 전자적 접촉이 나빠지므로, 이들 음극활물질의 금속층 내부로의 Li이온의 이동이 저해되어 사이클의 열화가 일어나고, 전지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음극(100)은 금속계 음극활물질층(120)의 표면에 흑연계 음극합제층(130)을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흑연계 음극합제층(130)이 금속 활물질의 고립화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완충역할을 하여, 사이클의 열화 및 전지저항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계 음극활물질층(120)은 흑연계 활물질에 대비하여 반응전위가 상당히 높기 때문에, 전지의 방전 프로파일의 반응전위가 낮으므로 흑연계 활물질을 사용한 전지에 비하여 에너지 밀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음극(100)은 금속계 음극활물질층(120)의 표면에 흑연계 음극합제층(130)을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있으므로, 전지의 반응전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에너지 밀도가 높은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계 음극활물질층(120)은 유기 전해액과의 낮은 친화성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금속계 음극활물질층은 기공이 존재하지 않고, 유기 전해액을 함유할 수 있는 바인더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내부로의 유기 전해액의 유입이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전지의 용량구현이 저하되고 저항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반면에 본 발명의 흑연계 음극합제층(130)은 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인더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금속계 음극활물질층(120)으로 유기 전해액을 용이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극(200)은 표면에 도전층(240)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층(240)의 존재로 인하여 음극활물질의 고립화 및 신규의 표면 생성을 억제하여 전해액과의 부반응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도전층(240)도 형성되어 있으며, 바인더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금속계 음극활물질층(220)으로 유기 전해액을 용이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와이어형 집전체(110)는,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탄소, 구리; 카본, 니켈, 티탄 또는 은으로 표면처리한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카드뮴합금; 도전재로 표면처리된 비전도성 고분자 또는 전도성 고분자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전제로는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폴리설퍼니트리드, ITO(Indum Thin Oxide), 구리, 은, 팔라듐 및 니켈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폴리설퍼니트리드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속계 음극활물질층(120)은 Si, Sn, Li, Zn, Mg, Cd, Ce, Ni 또는 Fe인 금속류(Me); 상기 금속류(Me)로 구성된 합금류; 상기 금속류(Me)의 산화물(MeOx); 및 상기 금속류(Me)와 탄소와의 복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극은 집전체의 외면에 전기도금법 또는 양극산화 처리방법 등을 이용하여 다공성의 금속계 음극활물질층이 형성된 음극을 사용할 수 있다. 전기도금법을 이용하여 집전체의 표면에 금속계 음극활물질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수소기체가 발생하게 되는 데 이러한 수소의 발생량 및 발생하는 수소 기포의 크기를 조절하여 원하는 기공크기를 가지는 3차원적인 기공구조의 금속계 음극활물질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양극산화 처리방법을 이용하여 집전체의 표면에 금속 산화물 계열의 금속계 음극활물질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양극산화 조건 하에서 발생하는 산소 기체량 및 기포 크기를 조절하여 1차원적인 채널(channel) 형태를 가지는 기공구조의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금속계 음극활물질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흑연계 음극합제층은 흑연계 활물질, 도전재 및 제1 고분자 바인더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이들 흑연계 활물질, 도전재 및 제1 고분자 바인더를 용매에 혼합하여 흑연계 음극합제층 슬러리를 형성하여, 상기 금속계 음극활물질층의 표면에 코팅하여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흑연계 음극합제층 슬러리를 딥코팅(dip coating) 또는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코팅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흑연계 활물질로는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천연흑연 또는 인조흑연, 연화탄소 또는 경화탄소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흑연계 음극합제층에 사용되는 도전재로는 카본블랙, 아세틸렌블랙, 케첸블랙, 덴카블랙 및 탄소섬유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흑연계 음극합제층에 사용되는 상기 제1 고분자 바인더로는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eth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polybutyl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olyvinylacetate),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플루란 (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cyanoethyl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cyanoethyl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cyanoethylsucrose), 플루란 (pullulan),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tyrene-butadiene rubber) 및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carboxyl methyl 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바인더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극(200)은 선택적으로 도전층(240)을 추가적으로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도전층(240)은 탄소입자와 제2 고분자 바인더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도전층에 사용하는 상기 탄소입자로는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아세틸렌블랙, 케첸블랙, 덴카블랙 및 탄소섬유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전층에 사용하는 제2 고분자 바인더로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eth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polybutyl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olyvinylacetate),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플루란 (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cyanoethyl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cyanoethyl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cyanoethylsucrose), 플루란 (pullulan),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tyrene-butadiene rubber) 및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carboxyl methyl 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바인더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극(300)은 와이어형 집전체(310)와 상기 와이어형 집전체(310)의 표면에 형성되며 금속계 활물질을 포함하는 금속계 음극활물질층(320)을 구비하는 적어도 2 이상의 와이어형 음극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나선형으로 꼬여있는 나선음극; 및 상기 나선음극을 둘러싸며 형성되며, 흑연계 활물질, 도전재 및 제1 고분자 바인더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흑연계 음극합제층(33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극(300)은 나선음극을 사용하여, 충방전 과정에서의 Li이온과의 반응표면적이 증가하여 전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계 음극활물질층(320)이 얇은 음극을 사용하여 전지의 레이트(rate)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나선음극 내부의 여러 가닥의 음극들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여 충방전 시에 수반되는 금속계 음극활물질층의 부피팽창과 같은 전지 내부의 스트레스 및 압력에 대한 완충작용이 가능하여 전지의 변형을 방지하고 안정성의 확보가 가능하여 전지의 수명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토한 바와 같이 흑연계 음극합제층(330)을 구비하므로, 충방전시에 진행되는 극심한 부피팽창에 의한 금속계 활물질의 고립화 또는 탈리를 방지할 수 있고, 유기 전해액과의 낮은 친화성을 갖는 금속계 음극활물질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고하면, 나선음극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음극(400)은 도전층(440)을 더 구비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도전층(440)의 존재로 인하여 음극활물질의 고립화 및 신규의 표면 생성을 억제하여 전해액과의 부반응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음극은 양극과 결합하여 전극구조체를 이루고 분리층을 구비하여 리튬 이차전지로 제조된다. 전극 구조체를 이루는 양극 및 전해질은 리튬 이차전지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던 것들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리층은 전해질층 또는 세퍼레이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음극을 구비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살펴본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케이블형 이차전지(500)은 와이어형 집전체(510), 금속계 음극활물질층(520) 및 흑연계 음극합제층(530)을 구비하는 음극을 포함하는 내부전극; 상기 내부전극을 둘러싸며 충진된, 이온의 통로가 되는 분리층(550); 상기 분리층의 외면을 둘러싸고, 양극활물질층과 양극집전체를 구비하는 양극인 외부전극; 및 상기 외부전극의 둘레에 배치되는 보호피복(58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분리층은 전해질층 또는 세퍼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전해질로는 PEO, PVdF, PVdF-HFP, PMMA, PAN 또는 PVAC를 사용한 겔형 고분자 전해질; 또는 PEO, PPO(polypropylene oxide), PEI(polyethylene imine), PES(polyethylene sulphide) 또는 PVAc(polyvinyl acetate)를 사용한 고체 전해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해질로는 에틸렌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카보네이트(PC), 부틸렌카보네이트(BC), 비닐렌카보네이트(VC), 디에틸카보네이트(DEC), 디메틸카보네이트(DM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메틸포르메이트(MF), 감마-부티로락톤(γ-BL;butyrolactone), 설포레인(sulfolane), 메틸아세테이트(MA; methylacetate), 또는 메틸프로피오네이트(MP; methylpropionate)를 사용한 비수전해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해질은 리튬염을 더 포함할 수 있는 데, 이러한 리튬염은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3Li, (CF3SO2)2NLi, 클로로보란리튬, 저급지방족카르본산리튬 및 테트라페닐붕산리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로는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에틸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기재; 폴리에스테르,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페닐렌설파이트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기재; 또는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 고분자의 혼합물로 형성된 다공성 기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리튬이온 공급 코어부의 리튬이온이 외부전극에도 쉽게 전달되기 위해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페닐렌설파이트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기재에 해당하는 부직포 재질의 세퍼레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외부전극인 양극은 양극집전체(570)에 양극활물질(560)이 도포되어 있는 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리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활물질층과 상기 양극활물질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집전체를 구비하거나, 상기 분리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집전체와 상기 양극집전체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활물질층을 구비하거나, 상기 분리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집전체와 상기 양극집전체의 외면을 둘러싸며 상기 분리층과 접촉하도록 형성된 양극활물질층을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분리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활물질층, 및 상기 양극활물질층 내에 피복되어 있고, 상기 분리층의 외면을 이격된 상태로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집전체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극집전체로는 그 형태를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파이프형 집전체, 권선된 와이어형 집전체, 권선된 시트형 집전체, 또는 메쉬형 집전체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극집전체는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탄소, 구리; 카본, 니켈, 티탄 또는 은으로 표면처리된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카드뮴합금; 도전재로 표면처리된 비전도성 고분자; 전도성 고분자; Ni, Al, Au, Ag, Al, Pd/Ag, Cr, Ta, Cu, Ba 또는 ITO인 금속분말을 포함하는 금속 페이스트; 또는 흑연, 카본블랙 또는 탄소나노튜브인 탄소분말을 포함하는 탄소 페이스트;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양극활물질로는 리튬함유 전이금속 산화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LiCoO2, LiNiO2, LiMnO2, LiMn2O4, Li(NiaCobMnc)O2(0<a<1, 0<b<1, 0<c<1, a+b+c=1), LiNi1 - yCoyO2, LiCo1 - yMnyO2, LiNi1 -yMnyO2(O≤y<1), Li(NiaCobMnc)O4(0<a<2, 0<b<2, 0<c<2, a+b+c=2), LiMn2 - zNizO4, LiMn2 -zCozO4(0<z<2), LiCoPO4 및 LiFePO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산화물(oxide) 외에 황화물(sulfide), 셀렌화물(selenide) 및 할로겐화물(halide)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외부전극은 외부전극 활물질 및 외부집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부전극 활물질층을 외부집전체에 미리 형성시킨 다음에 이를 분리층 위에 적용하여 외부전극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권선된 시트형 집전체의 경우, 시트형 집전체 상에 외부전극 활물질층을 형성시키고, 이를 소정의 폭을 갖도록 절단하여 시트형 외부전극을 준비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외부전극 활물질층이 분리층에 접하도록, 준비된 시트형 외부전극을 분리층의 외면을 권선하여 외부전극을 분리층 상에 형성할 수 있다.
다르게는, 외부전극의 형성시에, 분리층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외부집전체를 먼저 형성하고, 상기 외부집전체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외부전극 활물질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전극이 상기 분리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외부집전체와 상기 외부집전체의 외면을 둘러싸며 상기 분리층과 접촉하도록 형성된 외부전극 활물질층을 구비는 구조인 경우, 먼저 상기 분리층의 외면에 예를 들어, 와이어형 또는 시트형의 외부집전체를 감는다. 감는 방법을 특별히 한정하는 것을 아니지만, 와어어형의 외부집전체의 경우에는 권선기를 응용하여 분리층의 외면에 감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권선된 와어어형 또는 시트형의 외부집전체의 외면에 외부전극 활물질층을 코팅하여 형성한다. 이러한 외부전극 활물질층은 권선된 와이어형의 외부집전체를 감싸며 분리막층과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외부전극이 상기 분리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외부전극 활물질층, 및 상기 외부전극 활물질층 내에 피복되어 있고, 상기 분리층의 외면을 이격된 상태로 둘러싸며 형성된 외부집전체를 구비하는 구조인 경우에는, 먼저 상기 분리층의 외면에 최종적으로 얻고자 하는 외부전극 활물질층 중 일부를 먼저 형성하고, 그 상부에 외부집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하고, 다시 상기 외부집전체 상에 외부전극 활물질층을 추가로 형성하여 상기 외부집전체를 완전히 피복시킨다. 이때, 외부집전체는 분리층과 이격된 상태로, 외부전극 활물질층의 내부에 존재하게 되므로 집전체와 활물질 간의 전기접점(electric contact)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전지의 특성향상에 기여한다.
음극 활물질 또는 양극 활물질인 전극 활물질은 바인더 및 도전재를 포함하며 집전체와 결합하여 전극을 구성할 수 있다. 전극이 외부의 힘에 의해서 접히거나 심하게 구부러지는 등의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전극 활물질의 탈리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전극 활물질의 탈리로 인하여 전지의 성능 및 전지 용량의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권선된 와이어형 집전체가 탄성을 가지므로 외부의 힘에 따른 변형시에 힘을 분산하는 역할을 하므로 활물질층에 대한 변형이 적게 일어나고 따라서 활물질의 탈리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양극은 양극활물질을 포함하는 전극슬러리를 압출기를 통하여 양극집전체에 압출코팅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음극을 내부전극으로 하여 내부전극의 외부를 분리층(550)으로 코팅하거나 분리층(550)에 내부전극을 삽입하는 공정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전극과 분리층(550)을 형성하고 그 외면에 외부전극(560,570) 및 보호피복(580)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분리층(550)을 포함하는 외부전극(560,570) 및 보호피복(580)을 형성한 후에 분리층(550)에 내부전극을 삽입하여 제조하거나, 외부전극(560,570) 및 보호피복(580)을 형성한 후에 내부전극을 삽입하고 분리층(550)을 채워 넣어 제조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보호피복은 절연체로서 공기 중의 수분 및 외부충격에 대하여 전극을 보호하기 위해 전지의 외면에 형성한다. 보호피복으로는 통상의 고분자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PVC, HDPE 또는 에폭시 수지가 사용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케이블형 이차전지(600)는금속계 음극활물질층(620)이 와이어형 집전체(610)의 표면에 형성된 와이어형 음극이 나선형으로 꼬여있는 나선음극 및 흑연계 음극합제층(630)을 구비하는 음극을 포함하는 내부전극; 상기 내부전극을 둘러싸며 충진된, 이온의 통로가 되는 분리층(650); 상기 분리층의 외면을 둘러싸고 양극활물질층(660)과 양극집전체(670)를 구비하는 양극인 외부전극; 및 상기 외부전극의 둘레에 배치되는 보호피복(680)을 구비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음극을 여러 개 구비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살펴본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케이블형 이차전지(700)는 와이어형 집전체(710), 금속계 음극활물질층(720) 및 흑연계 음극합제층(730)을 구비하는 음극을 여러 개 사용할 수도 있다. 복수개의 내부전극을 구비하여 접촉면적이 증가하므로 높은 전지 레이트를 갖으며, 내부전극의 개수를 조절하여 내부전극과 외부전극과의 용량 밸런스의 조절이 용이하다.
도 8을 참조하면, 마찬가지로 나선음극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케이블형 이차전지(800)는 금속계 음극활물질층(820)이 표면에 형성된 와이어형 음극 집전체(810)를 구비하고 나선형으로 꼬여있는 나선음극 및 흑연계 음극합제층(830)을 구비하는 음극을 여러 개 사용할 수도 있다. 복수개의 내부전극을 구비하여 접촉면적이 증가하므로 높은 전지 레이트를 갖으며, 내부전극의 개수를 조절하여 내부전극과 외부전극과의 용량 밸런스의 조절이 용이하다.
도 7 및 도 8에 따른 복수의 전극으로 이루어진 내부전극을 구비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전극은, 상기 분리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 활물질층과 상기 양극 활물질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집전체를 구비하는 구조 이외에도, 상기 분리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집전체와 상기 양극집전체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 활물질층을 구비하는 구조; 상기 분리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집전체와 상기 양극집전체의 외면을 둘러싸며 상기 분리층과 접촉하도록 형성된 양극 활물질층을 구비하는 구조; 또는 상기 분리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 활물질층, 및 상기 양극 활물질층 내에 피복되어 있고, 상기 분리층의 외면을 이격된 상태로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집전체를 구비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흑연계 음극합제층을 구비하는 음극
지름이 150 ㎛인 와이어 형태의 Cu 집전체의 표면에 Sn-Ni를 2.5 ㎛의 두께로 전기 도금하여 음극활물질층을 코팅한 음극을 제조하였다. 이후에 상기 음극을 3 가닥을 준비하여 나선형으로 꼬아 나선음극을 제조하였다.
흑연, 덴카블랙과 PVdF를 79: 1: 20의 중량비가 되도록 혼합하여 NMP를 용매로 사용하여 흑연계 음극 합제층 용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된 흑연계 음극 합제층 용액을 사용하여 상기 나선음극의 외면을 코팅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흑연계 음극합제층을 구비하지 않는 음극
지름이 150 ㎛인 와이어 형태의 Cu 집전체의 표면에 Sn-Ni를 2.5 ㎛의 두께로 전기 도금하여 음극활물질층을 코팅한 음극을 제조하였다. 이후에 상기 음극을 3 가닥을 준비하여 나선형으로 꼬아 음극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코인형 반쪽 전지의 제조
양극으로는 금속 리튬 호일을 사용하였으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음극을 사용하였다.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폴리에틸렌 분리막을 개재하여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전극 조립체를 전지 케이스에 삽입하고, 에틸렌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 1:2(부피비)로 혼합된 비수 용매에 1M LiPF6가 첨가된 전해액을 주입하여 코인형 반쪽 전지를 제조하였다.
전지의 충방전 특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음극을 사용하여 제조한 전지를 0.1C의 전류밀도로 5mV까지 정전류 충전 후에, 정전압으로 5mV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전류밀도가 0.005C가 되면 충전을 종료하였다. 방전시 0.1C의 전류밀도로 1.5V까지 CC모드로 방전을 완료하였다. 동일한 조건으로 충방전을 30회 반복하여 전지의 충방전 특성을 측정하여 정규화하여 도 9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LCO를 사용한 양극을 적용하는 경우에 예측될 완전 전지의 방전 프로파일을 시뮬레이션하여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난 반쪽전지의 시험결과에 따르면, 실시예 1의 경우에는 음극 방전 프로파일이 흑연계 음극합제층에 의해 초반에 나타나는 방전 반응 전위가 낮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시험결과를 완전전지인 경우로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나타낸 도 10에 따르면, 완전전지의 방전 전위가 상승하여 흑연계 음극 합제층의 도입을 통하여 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100,200,300,400: 음극
500,600,700,800: 케이블형 이차전지
110,210,310,410: 와이어형 집전체
120,220,320,420: 금속계 음극활물질층
130,230,330,430: 흑연계 음극합제층
240,440: 도전층
550,650,750,850: 분리층
560,660,760,860: 양극활물질층
570,670,770,870: 양극집전체
580,680,780,880: 보호피복

Claims (24)

  1. 와이어형 집전체;
    상기 와이어형 집전체의 표면에 형성되며, 금속계 활물질을 포함하는 금속계 음극활물질층; 및
    상기 금속계 음극활물질층의 표면에 형성되며, 흑연계 활물질, 도전재 및 제1 고분자 바인더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흑연계 음극합제층;을 구비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용 음극은 상기 흑연계 음극합제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되며 탄소입자와 제2 고분자 바인더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도전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형 집전체는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탄소, 구리; 카본, 니켈, 티탄 또는 은으로 표면처리한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카드뮴합금; 도전재로 표면처리된 비전도성 고분자 또는 전도성 고분자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재는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폴리설퍼니트리드, ITO(Indum Thin Oxide), 구리, 은, 팔라듐 및 니켈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폴리설퍼니트리드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계 활물질은 Si, Sn, Li, Zn, Mg, Cd, Ce, Ni 또는 Fe인 금속류(Me); 상기 금속류(Me)로 구성된 합금류; 상기 금속류(Me)의 산화물(MeOx); 및 상기 금속류(Me)와 탄소와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활물질 입자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흑연계 활물질은 천연흑연, 인조흑연, 연화탄소 및 경화탄소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재는 카본블랙, 아세틸렌블랙, 케첸블랙, 덴카블랙 및 탄소섬유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분자 바인더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eth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polybutyl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olyvinylacetate),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alcohol),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플루란 (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cyanoethyl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cyanoethyl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cyanoethylsucrose), 플루란 (pullulan),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tyrene-butadiene rubber) 및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carboxyl methyl 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바인더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입자는 카본블랙, 아세틸렌블랙, 케첸블랙, 덴카블랙 및 탄소섬유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분자 바인더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eth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polybutyl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olyvinylacetate),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플루란 (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cyanoethyl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cyanoethyl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cyanoethylsucrose), 플루란 (pullulan),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tyrene-butadiene rubber) 및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carboxyl methyl 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바인더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12. 와이어형 집전체와 상기 와이어형 집전체의 표면에 형성되며 금속계 활물질을 포함하는 금속계 음극활물질층을 구비하는 적어도 2 이상의 와이어형 음극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나선형으로 꼬여있는 나선음극; 및
    상기 나선음극을 둘러싸며 형성되며, 흑연계 활물질, 도전재 및 제1 고분자 바인더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흑연계 음극합제층;을 구비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용 음극은 상기 흑연계 음극합제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되며 탄소입자와 제2 고분자 바인더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도전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14. 양극, 음극 및 분리층을 구비하는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음극은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이차전지용 음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층은 전해질층 또는 세퍼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6.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이차전지용 음극을 적어도 1개 이상 포함하는 내부전극;
    상기 내부전극을 둘러싸며 충진된, 이온의 통로가 되는 분리층;
    상기 분리층의 외면을 둘러싸고, 양극활물질층과 양극집전체를 구비하는 양극인 외부전극;및
    상기 외부전극의 둘레에 배치되는 보호피복을 구비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층은 전해질층 또는 세퍼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은 PEO, PVdF, PVdF-HFP, PMMA, PAN 또는 PVAC를 사용한 겔형 고분자 전해질; 또는 PEO, PPO(polypropylene oxide), PEI(polyethylene imine), PES(polyethylene sulphide) 또는 PVAc(polyvinyl acetate)를 사용한 고체 전해질; 중에서 선택된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은 리튬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은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3Li, (CF3SO2)2NLi, 클로로보란리튬, 저급지방족카르본산리튬 및 테트라페닐붕산리튬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에틸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기재; 폴리에스테르,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페닐렌설파이트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기재; 또는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 고분자의 혼합물로 형성된 다공성 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전극은, 상기 분리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활물질층과 상기 양극활물질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집전체를 구비하거나,
    상기 분리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집전체와 상기 양극집전체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활물질층을 구비하거나,
    상기 분리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집전체와 상기 양극집전체의 외면을 둘러싸며 상기 분리층과 접촉하도록 형성된 양극활물질층을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분리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활물질층, 및 상기 양극활물질층 내에 피복되어 있고, 상기 분리층의 외면을 이격된 상태로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집전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집전체는 파이프형 집전체, 권선된 와이어형 집전체, 권선된 시트형 집전체 또는 메쉬형 집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집전체는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탄소, 구리; 카본, 니켈, 티탄 또는 은으로 표면처리된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카드뮴합금; 도전재로 표면처리된 비전도성 고분자; 전도성 고분자; Ni, Al, Au, Ag, Al, Pd/Ag, Cr, Ta, Cu, Ba 또는 ITO인 금속분말을 포함하는 금속 페이스트; 또는 흑연, 카본블랙 또는 탄소나노튜브인 탄소분말을 포함하는 탄소 페이스트;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20120118939A 2011-10-25 2012-10-25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KR101380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8821 WO2013062334A1 (ko) 2011-10-25 2012-10-25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CN201280052717.XA CN103891012B (zh) 2011-10-25 2012-10-25 二次电池用负极和具有所述负极的二次电池
JP2014537003A JP5788105B2 (ja) 2011-10-25 2012-10-25 二次電池用負極、及びそれを備える二次電池
US14/187,765 US9005819B2 (en) 2011-10-25 2014-02-24 An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561 2011-10-25
KR20110109561 2011-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221A true KR20130045221A (ko) 2013-05-03
KR101380586B1 KR101380586B1 (ko) 2014-04-01

Family

ID=48657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939A KR101380586B1 (ko) 2011-10-25 2012-10-25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05819B2 (ko)
EP (1) EP2772965B1 (ko)
JP (1) JP5788105B2 (ko)
KR (1) KR101380586B1 (ko)
CN (1) CN103891012B (ko)
WO (1) WO2013062334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77619A1 (en) * 2013-05-07 2014-12-25 Lg Chem, Ltd.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preparation thereof, and secondary battery an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N104466191A (zh) * 2013-05-07 2015-03-25 株式会社Lg化学 二次电池用电极、其制备、以及包含其的二次电池和线缆型二次电池
EP2846381A4 (en) * 2013-05-07 2016-02-10 Lg Chemical Ltd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PRODUCTION THEREOF AND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OF THE CABLE TYPE THEREWITH
WO2016068516A1 (ko) * 2014-10-31 2016-05-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음극, 이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이차전지
US9755267B2 (en) 2013-05-07 2017-09-05 Lg Chem, Lt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KR20180135700A (ko) * 2017-06-13 2018-1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전압 불량 조기 검출용 세퍼레이터,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저전압 불량 조기 검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8590A1 (ko) 2013-04-29 2014-1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패키징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4182063A1 (ko) 2013-05-07 2014-1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전극, 그의 제조방법,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케이블형 이차전지
JP6038298B2 (ja) 2013-05-07 2016-12-07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ケーブル型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466233B (zh) 2013-05-07 2017-04-12 株式会社Lg化学 线缆型二次电池
CN104134780A (zh) * 2014-07-18 2014-11-05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极片及其制备方法
DE102014217727A1 (de) * 2014-09-04 2016-03-10 Wacker Chemie Ag Polymerzusammensetzung als Bindersystem für Lithiumionenbatterien
KR101556857B1 (ko) * 2014-09-29 2015-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케이블형 2차 전지의 음극 제조 시스템
EP3139426B1 (en) * 2014-10-31 2019-04-24 LG Chem, Ltd.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an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DE102015212182A1 (de) * 2015-06-30 2017-01-05 Robert Bosch Gmbh Anode für eine Batteriezell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node und Batteriezelle
US10199655B2 (en) 2015-11-30 2019-02-05 Nissan North America, Inc. Electrode structure having structured conductive buffer layer
US10038195B2 (en) 2015-11-30 2018-07-31 Nissan North America, Inc. Electrode structure having structured conductive buffer layer
US10103386B2 (en) 2015-12-15 2018-10-16 Nissan North America, Inc. Electrode with modified current collector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319987B2 (en) 2015-12-21 2019-06-11 Nissan North America, Inc. Active material with expansion structure for use in lithium ion batteries
US9728786B2 (en) 2015-12-21 2017-08-08 Nissan North America, Inc. Electrode having active material encased in conductive net
CN105449180B (zh) * 2015-12-30 2017-12-22 湘潭大学 一种铝/铜/锡/石墨多层结构锂离子电池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05609729B (zh) * 2015-12-30 2018-02-13 湖南永盛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铝/铜/CNTs‑锡/石墨多层结构锂离子电池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05489872B (zh) * 2015-12-30 2018-02-23 湘潭大学 一种铜/CNTs‑锡/石墨多层结构锂离子电池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05470487B (zh) * 2015-12-30 2018-02-16 湘潭大学 一种铜/锡/石墨多层结构锂离子电池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038070B1 (ko) * 2016-07-12 2019-10-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전극용 바인더,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전극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KR101986626B1 (ko) * 2016-08-26 2019-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255126B1 (ko) * 2016-11-29 2021-05-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CN107591559B (zh) * 2017-09-29 2019-10-11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纤维状结构的锂离子电池及制备方法
KR102261501B1 (ko) 2017-09-29 2021-06-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합제의 제조 방법 및 전극 합제
CN108598361A (zh) * 2018-05-17 2018-09-28 河南电池研究院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负极片及其制备方法、锂离子电池
KR102666367B1 (ko) * 2018-08-28 2024-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전지
CN110265233B (zh) * 2019-05-06 2021-03-02 铜陵市启动电子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低电阻电容器隔膜及其制备方法
CN110265665B (zh) * 2019-05-24 2020-11-17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正极集流体、正极极片及电化学装置
US20240105961A1 (en) * 2020-05-08 2024-03-28 Lg Energy Solution, Ltd.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nd lithium free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2414A (ja) * 1996-09-11 1998-04-10 Matsushita Denchi Kogyo Kk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2001110445A (ja) * 1999-10-12 2001-04-20 Sony Corp コード型バッテリ
JP3520921B2 (ja) * 2001-03-27 2004-04-19 日本電気株式会社 二次電池用負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
JP4997674B2 (ja) * 2001-09-03 2012-08-08 日本電気株式会社 二次電池用負極および二次電池
JP2005293960A (ja) * 2004-03-31 2005-10-20 Jfe Chemical Corp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0625892B1 (ko) * 2004-04-12 2006-09-2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실형태의 가변형 전지
KR100738054B1 (ko) * 2004-12-18 2007-07-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 활물질,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음극과 리튬전지
JP4740753B2 (ja) * 2005-01-28 2011-08-03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充放電するリチウム電池、及び充放電するリチウム電池の負極に含まれる負極活物質の製造方法
KR100742739B1 (ko) * 2005-07-15 2007-07-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직조가 쉬운 실 형태의 가변형 전지
KR100745733B1 (ko) * 2005-09-23 2007-08-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JP2008277156A (ja) * 2007-04-27 2008-11-13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負極
KR20090009598A (ko) * 2007-07-20 2009-01-2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충전용 선형 전지
CN104466085B (zh) 2008-02-22 2018-03-16 科罗拉多州立大学研究基金会 锂‑离子电池
JP2010073533A (ja) * 2008-09-19 2010-04-02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充放電可能な電池
US8580432B2 (en) * 2008-12-04 2013-11-12 Nanotek Instruments, Inc. Nano graphene reinforced nanocomposite particles for lithium battery electrodes
KR101078781B1 (ko) * 2010-02-01 2011-11-01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3차원 형상 검사방법
EP2533340B1 (en) * 2010-02-01 2018-12-05 LG Chem, Lt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KR101283488B1 (ko) * 2010-02-01 2013-07-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1279409B1 (ko) 2010-02-01 2013-06-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1115922B1 (ko) * 2010-02-02 2012-0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77619A1 (en) * 2013-05-07 2014-12-25 Lg Chem, Ltd.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preparation thereof, and secondary battery an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N104466191A (zh) * 2013-05-07 2015-03-25 株式会社Lg化学 二次电池用电极、其制备、以及包含其的二次电池和线缆型二次电池
EP2846381A4 (en) * 2013-05-07 2016-02-10 Lg Chemical Ltd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PRODUCTION THEREOF AND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OF THE CABLE TYPE THEREWITH
US9660289B2 (en) * 2013-05-07 2017-05-23 Lg Chem, Ltd.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preparation thereof, and secondary battery an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US9755267B2 (en) 2013-05-07 2017-09-05 Lg Chem, Lt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WO2016068516A1 (ko) * 2014-10-31 2016-05-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음극, 이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이차전지
US10424788B2 (en) 2014-10-31 2019-09-24 Lg Chem, Ltd. Negative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same, and secondary battery
KR20180135700A (ko) * 2017-06-13 2018-1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전압 불량 조기 검출용 세퍼레이터,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저전압 불량 조기 검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88105B2 (ja) 2015-09-30
JP2014531120A (ja) 2014-11-20
KR101380586B1 (ko) 2014-04-01
EP2772965A1 (en) 2014-09-03
US20140170454A1 (en) 2014-06-19
CN103891012A (zh) 2014-06-25
US9005819B2 (en) 2015-04-14
EP2772965B1 (en) 2016-04-20
EP2772965A4 (en) 2014-12-24
CN103891012B (zh) 2015-12-09
WO2013062334A1 (ko) 201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0586B1 (ko)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KR101440940B1 (ko)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US9300005B2 (en) Cable-type secondary battery
JP6203220B2 (ja) ケーブル型二次電池
JP5793565B2 (ja) ケーブル型二次電池用負極及びこれを備えるケーブル型二次電池
US9306237B2 (en) Cable-type secondary battery
US9356308B2 (en) Cable-type secondary battery
KR101542098B1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JP2015097203A (ja) ケーブル型二次電池
KR20130040159A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2125394B1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2012863B1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KR20170056310A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1813679B1 (ko)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KR101644819B1 (ko)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US9537154B2 (en) An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KR20130040759A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