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1901A -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 - Google Patents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1901A
KR20130041901A KR1020137000970A KR20137000970A KR20130041901A KR 20130041901 A KR20130041901 A KR 20130041901A KR 1020137000970 A KR1020137000970 A KR 1020137000970A KR 20137000970 A KR20137000970 A KR 20137000970A KR 20130041901 A KR20130041901 A KR 20130041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wer
power supply
detection resul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0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8341B1 (ko
Inventor
히데토 긴조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1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5Pl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15096Cpu controls power supply on I-O modu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5P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25289Energy saving, brown out, standby, sleep, powerdown modus for microcomput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5P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25291Set module, component to sleep if no event or no other module needs 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Abstract

간단한 조작으로 전력 절약 운전을 실현하기 위해서, PLC 시스템은 단자마다 전원을 공급/공급 정지하는 전원 회로 제어부(204, 304, 504)와, 단자(203, 303, 503)가 사용 상태인지의 여부를 단자마다 검출하는 입출력 회로(202, 302, 502)와, 전력 절약 모드와 통상 모드와의 사이에서 전원 모드를 전환하는 스위치 수단(103)과, 입출력 회로에 의한 검출 결과인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가 격납되는 기억부(102)와, 전원 모드가 통상 모드일 때, 모든 단자에 전원을 공급시키는 것과 동시에, 모든 단자에 관한 입출력 회로에 의한 검출 결과를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로서 기억부(102)에 격납하고, 전원 모드가 전력 절약 모드일 때, 전원 회로 제어부에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에 미사용 상태로서 기록되어 있는 단자로의 전원을 공급 정지시키는 제1 제어부(101), 제2 제어부(201, 301, 50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PROGRAMMABL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산업용의 피제어(被制御)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이후, 간단히 PLC)는 피제어 장치와의 사이에서 입출력을 행하기 위한 단자(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부터, PLC에 관해서, 배선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커넥터나 전원이 오프로 되어 있는 피제어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커넥터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정지하고자 하는 요망이 있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외부 배선의 커넥터 빠짐을 검출하고, 커넥터를 통하여 접속하는 전자 기기의 주변 디바이스 제어 회로의 공급 전력을 오프로 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 6-266480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커넥터의 유무만으로 공급 전력을 오프로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 기기를 휴지(休止) 상태로 하는 경우, 유저는 그때마다 대상의 전자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 커넥터를 떼지 않으면 공급 전력을 오프로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간단한 조작으로 전력 절약 운전을 실현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외부 기기를 접속하는 복수의 단자와, 단자마다 전원을 공급/공급 정지하는 전원 공급 회로와, 상기 단자가 전원 온 상태의 외부 기기가 물리적이고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사용 상태인지의 여부를 단자마다 검출하는 입출력 회로와, 사용 상태인 단자만 전원 공급하는 전력 절약 모드와 모든 단자에 전원 공급하는 통상 모드와의 사이에서 전원 모드를 전환하는 스위치 수단과, 상기 입출력 회로에 의한 검출 결과가 격납되는 검출 결과 기억부와, 전원 모드가 통상 모드일 때,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 모든 단자에 전원을 공급시키는 것과 동시에, 모든 단자에 관한 상기 입출력 회로에 의한 검출 결과를 상기 검출 결과 기억부에 격납하고, 전원 모드가 전력 절약 모드일 때,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 상기 검출 결과 기억부에 격납되어 있는 검출 결과에 의해 사용 상태는 아니라고 특정되는 단자로의 전원을 공급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은 통상 운전 모드에서 배선 상태를 변경한 후, 스위치 수단으로 전력 절약 모드로 전환하면, 변경 후의 배선 상태에 있어서 사용 상태가 아닌 단자에 공급하는 전원을 정지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조작으로 전력 절약 운전을 실현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PLC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PLC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상태 천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PLC 시스템)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PLC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PLC 시스템은 PLC(1)와 통신자국(通信子局)(2)이 접속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PLC(1)는 전원 유닛(400), CPU 유닛(100), I/O 유닛(200) 및 통신 유닛(300)이 접속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PLC(1)를 구성하는 이러한 유닛은 예를 들어 베이스 유닛에 각각 장착되어 서로 접속된다.
전원 유닛(400)은 PLC(1)를 구동하는 내부 전원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내부에 구비하는 내부 전원 생성 회로(410)에 의해 내부 전원을 생성한다. I/O 유닛(200)은 피제어 장치로서의 부하(3)가 접속되는 복수 점수(点數)(여기서는 4점)의 단자(203)를 구비하고 있고, 단자(203)에 접속되어 있는 부하(3)와의 사이에서 제어 신호의 입출력을 행한다. 통신 유닛(300)은 PLC(1)에 통신 기능을 갖게 하기 위한 확장 유닛으로서, 필요에 따라서 장착된다. 통신 유닛(300)은 통신선(40)이 접속되는 단자(303)를 구비하고 있고, 당해 단자(303)에 접속된 통신선(40)을 통하여 통신자국(2)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한다. 통신자국(2)은 부하(3)가 접속되는 복수 점수(여기서는 4점)의 단자(503)를 구비하고 있고, 단자(503)에 접속되는 부하(3)와의 사이에서 입출력을 행한다. CPU 유닛(100)은 I/O 유닛(200), 통신 유닛(300), 통신자국(2)에 대해서 마스터로서 기능하는 제어 유닛으로서, 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I/O 유닛(200), 통신 유닛(300), 및 통신자국(2)의 제어, 및 단자(203, 503)에 접속된 부하(3)에 대한 입출력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PLC 시스템은 단자(203, 503) 중 미사용 상태의 단자를 1점 단위로 검출하고, 검출한 단자에 공급되고 있는 전력을 정지한다. 또, 단자(303)가 미사용 상태일 때, 당해 미사용 상태를 검출하고, 단자(303)에 공급되고 있던 전력을 정지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미사용 상태는 단자에 접속처의 기기(I/O 유닛(200), 통신자국(2)의 경우는 부하(3)를 나타내고, 통신 유닛(300)의 경우는 통신자국(2)을 나타냄)가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 외에, 기기가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지만, 접속 배선의 단선(斷線)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나, 접속처의 기기의 전원이 오프로 되어 있는 상태를 포함한다. 또한, 미사용 상태가 아닌 상태, 즉 단자에 전원 온 상태의 기기가 물리적이고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사용 상태로 하는 것으로 한다.
CPU 유닛(100)은 제1 제어부(101), 기억부(102), 스위치 수단(103), 및 전원 제어부(104)를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 수단(103)은 제어 시스템의 전원 모드를 통상 모드와 전력 절약 모드와의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전력 절약 모드에 있어서는 단자(203, 303, 503) 중 미사용 상태로서 검출된 단자로의 공급 전력이 정지된 상태로 된다. 또한, 여기서는 스위치 수단(103)이 온 상태일 때의 전원 모드를 전력 절약 모드, 스위치 수단(103)이 오프 상태의 전원 모드를 통상 모드로 한다.
제1 제어부(101)는 내부 전원 생성 회로(410)가 생성한 내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후술하는 제2 제어부(201, 301, 501)와 협동해서 PLC 시스템의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제1 제어부(101)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제1 제어부(101)는 단자(203, 303, 503)에 대해서 미사용 상태인지의 여부를 단자마다 기술한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를 기억부(102)에 격납하고, 미사용 상태의 단자를 지정하여 당해 지정 단자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는 취지의 버스 신호를 버스(10)를 통하여 대응하는 제2 제어부(201, 301, 501)에 발행한다. 또, 제1 제어부(101)는 기억부(102)에 격납되어 있는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에 기초하여 단자마다의 사용 상태/미사용 상태(이후, 간단히 배선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고, 배선 상태로 변화가 있는 경우, 이상(異常) 처리 또는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의 갱신을 행한다. 이상 처리는 예를 들어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나 프로그래밍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경보를 표시하거나 소리에 의한 통지를 행하는 것이 해당한다.
기억부(102)는 예를 들어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개서 가능인 기억 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상술한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가 격납된다. 또, 기억부(102)에는 유저가 통상 모드 동작 시에 배선을 조작하는 경우에 유저에 의해 소프트웨어 등에서 미리 입력되는 외부 배선 변경 통지(106)가 격납된다. 또한,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 외부 배선 변경 통지(106)가 격납되는 기억 장치는 동일한 기억 장치가 아니어도 좋다.
전원 제어부(104)는 내부 전원 생성 회로(410)가 생성한 내부 전원을 전원 공급선(20)을 통하여 I/O 유닛(200) 및 통신 유닛(300)에 공급한다.
I/O 유닛(300)은 4개의 단자(203)와, 각각의 단자(203) 중 하나에 1대1로 접속되고, 접속되어 있는 단자(203)의 배선 상태의 검출을 행하는 4개의 입출력 회로(202)와, 각각의 입출력 회로(202) 중 하나에 1대1로 접속되고, 접속되어 있는 입출력 회로(202) 및 단자(203)로의 전원을 개별적으로 공급/공급 정지하는 4개의 전원 회로 제어부(204)와, 제2 제어부(201)를 구비하고 있다. 입출력 회로(202)는 자신에게 전원이 공급되고 있을 때, 당해 전원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단자(203)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는 것에 의해 당해 단자(203)의 배선 상태의 검출을 행한다. 제2 제어부(201)는 제1 제어부(101)와의 사이에서 버스(10)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제1 제어부(101)로부터 미사용 상태의 단자(203)를 정지한다는 취지의 버스 신호를 수신하면, 당해 버스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단자(203)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 제어부(204)에 공급 전원 정지 신호(30)를 발행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공급 전원 정지 신호(30)는 4개의 전원 회로 제어부(204)에 분기 접속되어 있도록 묘화(描畵)되어 있지만, 공급 전원 정지 신호(30)는 실제로는 4개의 전원 회로 제어부(204)의 각각과 1대1로 접속되어 있다. 공급 전원 정지 신호(30)가 발행된다는 것은 대상의 단자(203)에 접속되어 있는 공급 전원 정지 신호(30)가 어서트(assert)되는 것을 가리킨다.
전원 회로 제어부(204)는 전원 제어부(104)로부터 전원 공급되고(전원 회로 제어부(204)에 도달하는 전원 공급선은 도시하지 않음), 각각 대응하는 입출력 회로(202) 및 단자(203)에 전원 공급한다. 또, 전원 회로 제어부(204)는 공급 전원 정지 신호(30)가 발행되면, 대응하는 입출력 회로(202) 및 단자(203)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정지한다.
입출력 회로(202)는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단자(203)의 배선 상태를 검출한다. 검출 결과는 대응하는 전원 회로 제어부(204)를 통하여 제2 제어부(201)에 보내진다. 제2 제어부(201)는 단자(203)마다의 배선 상태를 제1 제어부(101)에 송신한다.
통신 유닛(300)은 통신선(40)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303) 외에, 제2 제어부(301), 입출력 회로(302), 및 전원 회로 제어부(304)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제어부(301), 입출력 회로(302), 전원 회로 제어부(304)의 기능은 제2 제어부(201), 입출력 회로(202), 전원 회로 제어부(204)로 각각 동일하다. 즉, 제2 제어부(301)는 제1 제어부(101)와의 사이에서 버스(10)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제1 제어부(101)로부터 미사용 상태의 단자(303)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는 취지의 버스 신호를 수신하면, 지정된 단자(303)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 제어부(304)에 공급 전원 정지 신호(30)를 발행한다. 전원 회로 제어부(304)는 입출력 회로(302) 및 단자(303)에 전원 공급한다. 또, 전원 회로 제어부(304)는 공급 전원 정지 신호(30)가 발행되면, 입출력 회로(302) 및 단자(303)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정지한다. 입출력 회로(302)는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단자(303)의 배선 상태를 검출한다. 검출 결과는 전원 회로 제어부(304)를 통하여 제2 제어부(301)에 보내진다. 제2 제어부(301)는 단자(303)의 배선 상태를 제1 제어부(101)에 송신한다.
통신자국(2)은 PLC(1)와 독립한 내부 전원 생성 회로(510), 통신선(40)이 접속되는 단자(505) 및 단자(505)를 통하여 입출력을 행하는 입출력 회로(506)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 I/O 유닛(200)과 동일한 내부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자국(2)은 부하(3)가 접속되는 4개의 단자(503) 외에, 각각의 단자(503) 중 하나에 1대1로 접속되고, 접속되어 있는 단자(503)의 배선 상태의 검출을 행하는 4개의 입출력 회로(502)와, 각각의 입출력 회로(502) 중 하나에 1대1로 접속되고, 접속되어 있는 입출력 회로(502) 및 단자(503)로의 전원을 공급/공급 정지하는 4개의 전원 회로 제어부(504)와, 제2 제어부(501)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제어부(501)는 제1 제어부(101)로부터 버스(10), 통신선(40)을 통하여 미사용 상태의 단자(503)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는 취지의 버스 신호를 수신하면, 지정된 단자(503)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 제어부(504)에 공급 전원 정지 신호(30)를 발행한다. 또한, 제2 제어부(501)는 내부 전원 생성 회로(510)로부터 전원 공급선(20)을 통하여 공급되는 내부 전원에 의해 구동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PLC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상태 천이도이다. 우선, PLC(1)가 전원 온으로 되면(단계 S1), 상태 1(단계 S2)로 천이한다. 상태 1에서, 스위치 수단(103)은 오프 상태로 되어 있고, 전원 모드가 통상 모드로 되어 있다. 즉, 단자(203, 303, 503)의 모두에 전원 공급이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입출력 회로(202)의 각각은 대응하는 단자(203)의 배선 상태를 계속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제2 제어부(201)에 계속 입력한다. 또, 입출력 회로(302)는 단자(303)의 배선 상태를 계속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제2 제어부(301)에 계속 입력한다. 또, 입출력 회로(502)의 각각은 대응하는 단자(503)의 배선 상태를 계속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제2 제어부(501)에 계속 입력한다.
상태 1에서 스위치 수단(103)이 온으로 되면, 제1 제어부(101)는 제2 제어부(201), 제2 제어부(301), 제2 제어부(501)로부터 보내져 온 스위치 수단(103)이 온으로 된 시점에서의 각 단자의 배선 상태의 검출 결과를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로서 기억부(102)에 격납하고(단계 S3), PLC 시스템 상태는 상태 2(단계 S4)로 된다. 또한, I/O 유닛(200), 통신 유닛(300), 통신자국(2)이 각각 구비하는 제2 제어부, 전원 제어 회로, 입출력 회로, 단자에 관한 동작은 각각 동일하기 때문에, 이후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I/O 유닛(200), 통신 유닛(300), 통신자국(2)의 구성요소의 동작의 설명을 I/O 유닛(200)의 구성요소의 동작의 설명으로 대표시킨다.
상태 2로 천이했을 때, 제1 제어부(101)는 제2 제어부(201)에 미사용 상태로서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에 기록되어 있는 단자(203)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시킨다는 취지의 버스 신호를 송신하고, 당해 버스 신호를 수신한 제2 제어부(201)는 전원 공급을 정지하는 대상의 단자(203)에 대응하는 전원 회로 제어부(204)에 공급 전원 정지 신호(30)를 발행한다. 따라서, 상태 2에서는 미사용 상태로서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에 기록되어 있는 단자(203) 및 대응하는 입출력 회로(202)로의 전원 공급은 정지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전원 모드는 전력 절약 모드로 된다.
상태 2에 있어서는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에 사용 상태인 것으로 하여 기록되어 있는 단자(203) 및 대응하는 입출력 회로(202)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진다.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는 입출력 회로(202)는 대응하는 단자(203)의 배선 상태를 계속 검출한다. 상태 2에 있어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는 단자(203)에 접속되어 있는 부하(3)의 전원이 오프로 된 경우, 및 배선이 뽑아 내지거나 또는 단선된 경우에는,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단자(203)에 관한 검출 결과가 사용 상태로부터 미사용 상태로 변화한다. 제1 제어부(101)는 제2 제어부(201)로부터 보내져 오는 검출 결과와 기억부(102)에 격납되어 있는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를 정기적으로 비교한다. 단자(203) 상태의 변화가 일어났을 때, 검출 결과와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와의 사이에 어긋남(齟齬)이 발생한다. 제1 제어부(101)는 당해 어긋남을 인식했을 때, 단자(203)의 배선 상태가 변화한 것을 검출한다(단계 S5).
여기서, 유저가 배선을 변경하기 위한 1개의 방법으로서, 미리 외부 배선 변경 통지(106)를 입력해 두는 방법이 있다. 제1 제어부(101)는 단계 S5에서 단자(203)의 배선 상태의 변화를 검출한 후, 기억부(102)를 확인하여 당해 외부 배선 변경 통지(106)가 미리 입력되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6), 외부 배선 변경 통지(106)가 입력되어 있었던 경우, 기억부(102)에 격납되어 있는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를 소거하고(단계 S7), 단계 S3으로 이행한다.
즉, 유저는 외부 배선 변경 통지(106)를 미리 입력해 두는 것에 의해, 전원 모드가 전력 절약 모드로 되어 있는 경우에 후술하는 이상 처리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활선(活線) 뽑기나 부하(3)의 전원 오프를 행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배선의 변경에 의해 미사용 상태로 된 단자(203)에 공급되고 있던 전원을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또, 유저가 배선을 변경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배선 변경 시에 스위치 수단(103)을 오프로 하는 방법이 있다. 상태 2에 있어서 스위치 수단(103)이 오프로 되면, 상태 3(단계 S8)으로 이행한다. 상태 3으로 이행했을 때, 제1 제어부(101)는 제2 제어부(201)에 모든 단자에 전원을 공급한다는 취지의 버스 신호를 송신하고, 당해 버스 신호를 수신한 제2 제어부(201)는 공급 전원 정지 신호(30)를 해제해서 모든 단자(203) 및 입출력 회로(202)에 전원을 공급한다. 즉 상태 3에서, 전원 모드는 통상 모드로 된다.
상태 3에 있어서, 모든 입출력 회로(202)는 단자(203)의 배선 상태를 계속 검출한다. 단자(203)의 배선 상태가 변화한 경우, 제1 제어부(101)는 제2 제어부(201)를 통하여 수신하는 검출 결과와 기억부(102)에 격납되어 있는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배선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고,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를 소거한다(단계 S7). 그리고, 단계 S3, 단계 S4를 거쳐서 다시 상태 3(단계 S8)으로 이행한다. 상태 3에 있어서 스위치 수단(103)이 온으로 되면, 상태 2(단계 S4)로 이행한다.
즉, 유저는 스위치 수단(103)을 오프로 하여 활선 삽발(活線 揷拔)이나 부하(3)의 전원의 온/오프를 실행한 후, 스위치 수단(103)을 온으로 하면, 배선 변경 후의 시점에서 미사용 상태로 되어 있는 단자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정지할 수 있다.
단계 S6의 판정에 있어서, 외부 배선 변경의 통지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제1 제어부(101)는 이상 처리를 실행하고(단계 S9), 상태 4(단계 S10)로 이행한다.
즉, 전력 절약 모드로 되어 있을 때 단선이 발생한 경우, 및 유저가 외부 배선 변경 통지(106)를 입력하지 않고, 또한 스위치 수단(103)을 오프로 하지 않고 배선 상태를 변경한 경우, 이상 처리가 실행된다.
상태 4에 있어서, 전원 모드는 여전히 전력 절약 모드로 되어 있다. 제1 제어부(101)는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단자(203)의 상태를 감시하고, 이상이 해소됐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11), 이상이 해소되고 있지 않는 경우, 단계 S10으로 이행한다. 제1 제어부(101)는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단자(203)에 관한 검출 결과가 모두 사용 상태로 된 경우, 이상이 해소됐다고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선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단선을 수복(修復)했을 때, 이상이 해소된다. 또, 유저가 외부 배선 변경 통지(106)를 입력하지 않고, 또한 스위치 수단(103)을 오프로 하지 않고 배선 상태를 변경한 경우, 당해 변경을 원래대로 되돌리면, 이상이 해소된다. 제1 제어부(101)는 이상이 해소됐다고 판정하면, 기억부(102)에 격납되어 있는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를 소거하고(단계 S12), 단계 S2로 이행해서 상태가 상태 1로 천이한다.
도 2에서 말한 동작을 추가로 구체적인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스위치 수단(103)은 PLC(1)의 RUN 스위치와 겸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유저는 부하(3)의 배선, 부하(3)의 전원 온이라고 하는 시작 수순을 완료한 후, RUN 스위치(스위치 수단(103))를 온으로 하는 것에 의해, 유저 프로그램의 실행이 개시되는 것과 동시에, 미사용 상태의 단자(203)로의 공급 전력이 정지되고, 전원 모드가 전력 절약 모드로 된다(단계 S1 ~ 단계 S4). 기억부(102)에는 전원 온 상태의 부하(3)가 접속되어 있는 단자(203)가 사용 상태이며, 전원 오프 상태의 부하(3)가 접속되어 있는 단자(203) 및 부하(3)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단자(203)가 미사용 상태라는 취지의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가 격납된다(단계 S3).
전력 절약 모드에서 유저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단자(203)의 배선의 뽑기나 부하(3)의 전원의 오프를 행하면, 해당하는 단자(203)의 배선 상태의 변경이 검출된다. 이 때, 사전에 외부 배선 변경 통지(106)가 입력되고, 기억부(102)에 격납되어 있는 경우, 이상 처리는 행해지지 않고,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의 갱신 및 배선 상태가 변경된 단자(203)로의 공급 전력의 정지가 행해진다(단계 S5, 단계 S6, 단계 S7, 단계 S3, 단계 S4). 외부 배선 변경 통지(106)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상 처리가 실행된다(단계 S9). 유저가 이상 처리를 받아서 배선 상태가 변경된 단자(203)의 배선 상태를 복구하면, 전력 절약 모드에서의 유저 프로그램의 실행이 재개된다(단계 S10 ~ 12, 단계 S2 ~ 4).
전력 절약 모드에서 유저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RUN 스위치를 오프로 하면, 유저 프로그램이 정지되고, 전원 모드가 통상 모드로 이행한다(단계 S8). 그 상태에 있어서 유저가 단자(203)의 활선 삽발이나 부하(3)의 전원의 온/오프를 행하면, 당해 배선 상태의 변경은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에 반영된다(단계 S7, 단계 S3, 단계 S4, 단계 S8). 그리고, 유저가 당해 배선 상태의 변경을 실행 후, RUN 스위치를 온으로 하면, 유저 프로그램의 실행이 재개되는 것과 동시에,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에 기초하여, 조작 반영 후의 배선 상태에서 미사용 상태의 단자(203)에 대한 전원 공급이 정지된다.
또한, 상술한 구체적인 예에서, 스위치 수단(103)은 RUN 스위치와 겸한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스위치 수단(103)은 타이머에 의해 자동적으로 온/오프가 전환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스위치 수단(103)은 그 자체 독립한 하드웨어 스위치(또는 소프트웨어 스위치)이어도 좋다. 스위치 수단(103)을 독립시키면, 유저 프로그램을 정지하는 일 없이 배선의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단자마다 전원을 공급/공급 정지하는 전원 회로 제어부(전원 공급 회로)(204, 304, 504)와, 단자(203, 303, 503)에 전원 온 상태의 외부 기기가 물리적이고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사용 상태인지의 여부를 단자마다 검출하는 입출력 회로(202, 302, 502)와, 사용 상태인 단자만 전원 공급하는 전력 절약 모드와 모든 단자에 전원 공급하는 통상 모드와의 사이에서 전원 모드를 전환하는 스위치 수단(103)과, 입출력 회로에 의한 검출 결과인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가 격납되는 기억부(102)(검출 결과 기억부)와, 전원 모드가 통상 모드일 때, 모든 단자에 전원을 공급시키는 것과 동시에, 모든 단자에 관한 입출력 회로에 의한 검출 결과를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로서 기억부(102)에 격납하고, 전원 모드가 전력 절약 모드일 때, 전원 회로 제어부에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에 의해 미사용 상태라고 특정되는 단자로의 전원을 공급 정지시키는 제어부(제1 제어부(101), 제2 제어부(201, 301, 501))를 구비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스위치 수단(103)을 오프로 하여 배선 상태를 변경한 후, 스위치 수단(103)을 온으로 하면, 변경 후의 배선 상태에 있어서 미사용 상태의 단자에 공급하는 전원을 정지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조작으로 전력 절약 운전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 제어부(제1 제어부(101), 제2 제어부(201, 301, 501))는 전원 모드가 전력 절약 모드일 때, 입출력 회로에 의한 검출 결과를 감시하고, 입출력 회로에 의한 검출 결과와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가 상위한 경우, 이상을 통지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전력 절약 모드에서 운전 시에 단선, 외부 기기의 의도하지 않은 전원 오프, 배선의 빠짐이 발생했을 때, 유저는 이러한 의도하지 않은 배선 상태의 변화를 알 수 있다.
또, 유저에 의해 입력되는 외부 배선 변경 통지(106)를 격납하는 기억부(102)를 구비하고, 제어부(제1 제어부(101), 제2 제어부(201, 301, 501))는 입출력 회로에 의한 검출 결과와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가 상위한 경우에 있어서, 외부 배선 변경 통지(106)가 기억부(102)에 격납되어 있을 때,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를 상기 입출력 회로에 의한 검출 결과로 갱신하고, 외부 배선 변경 통지(106)가 기억부(102)에 격납되어 있지 않을 때, 이상을 통지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유저는 미리 외부 배선 변경 통지(106)를 입력해 두는 것에 의해 전원 모드가 전력 절약 모드로 되어 있는 경우에 이상 처리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활선 뽑기나 외부 기기의 전원 오프를 행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배선의 변경에 의해 미사용 상태로 된 단자에 공급되고 있던 전원을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 설명한 I/O 유닛(200), 통신 유닛(300) 및 통신자국(2)에 공통되는 단자, 입출력 회로, 전원 회로 제어부, 및 제2 제어부의 구성은 외부 기기가 접속되는 단자를 가지고, 또한 CPU 유닛(100)에 대해서 슬레이브로서 동작하는 유닛이면 어떠한 유닛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보 앰프가 접속되는 모션 컨트롤러 유닛, 온도 센서나 사이리스터가 접속되는 온도 조절 유닛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 전원 제어부(104)는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에 사용 상태로서 기록되어 있는 단자가 없는 유닛이 있는 경우, 전력 절약 모드 시에 있어서 당해 유닛에 공급하는 전원을 정지하도록 해도 좋다.
또,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는 프로그래밍 장치나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로부터 편집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태 3에 있어서, 제1 제어부(101)는 배선 상태의 변화를 자동으로 검출해서 외부 배선 상태 정보(105)를 갱신하는 것이 아니라, 유저가 수동으로 편집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은 산업용의 피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에 적용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1 PLC
2 통신자국
3 부하
10 버스
20 전원 공급선
30 공급 전원 정지 신호
40 통신선
100 CPU 유닛
101 제1 제어부
102 기억부
103 스위치 수단
104 전원 제어부
105 외부 배선 상태 정보
106 외부 배선 변경 통지
200 I/O 유닛
201 제2 제어부
202 입출력 회로
203 단자
204 전원 회로 제어부
300 통신 유닛
301 제2 제어부
302 입출력 회로
303 단자
304 전원 회로 제어부
400 전원 유닛
410 내부 전원 생성 회로
501 제2 제어부
502 입출력 회로
503 단자
504 전원 회로 제어부
505 단자
506 입출력 회로
510 내부 전원 생성 회로

Claims (4)

  1. 외부 기기를 접속하는 복수의 단자와,
    단자마다 전원을 공급/공급 정지하는 전원 공급 회로와,
    상기 단자가 전원 온 상태의 외부 기기가 물리적이고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사용 상태인지의 여부를 단자마다 검출하는 입출력 회로와,
    사용 상태인 단자만 전원 공급하는 전력 절약 모드와 모든 단자에 전원 공급하는 통상 모드와의 사이에서 전원 모드를 전환하는 스위치 수단과,
    상기 입출력 회로에 의한 검출 결과가 격납되는 검출 결과 기억부와,
    전원 모드가 통상 모드일 때,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 모든 단자에 전원을 공급시키는 것과 동시에, 모든 단자에 관한 상기 입출력 회로에 의한 검출 결과를 상기 검출 결과 기억부에 격납하고, 전원 모드가 전력 절약 모드일 때,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 상기 검출 결과 기억부에 격납되어 있는 검출 결과에 의해 사용 상태가 아니라고 특정되는 단자로의 전원을 공급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 모드가 전력 절약 모드일 때, 상기 입출력 회로에 의한 검출 결과를 감시하고, 상기 입출력 회로에 의한 검출 결과와 상기 검출 결과 기억부에 격납되어 있는 검출 결과가 상위한 경우, 이상(異常)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입력되는 배선 변경 통지를 격납하는 통지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력 회로에 의한 검출 결과와 상기 검출 결과 기억부에 격납되어 있는 검출 결과가 상위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배선 변경 통지가 상기 통지 기억부에 격납되어 있을 때, 상기 검출 결과 기억부에 격납되어 있는 검출 결과를 상기 입출력 회로에 의한 검출 결과로 갱신하고, 상기 배선 변경 통지가 상기 통지 기억부에 격납되어 있지 않을 때, 이상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회로는 단자마다 구비되고, 단자에 공급되고 있는 전원을 이용하여 당해 단자가 사용 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
KR1020137000970A 2010-09-27 2010-09-27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 KR1014383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66723 WO2012042588A1 (ja) 2010-09-27 2010-09-27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901A true KR20130041901A (ko) 2013-04-25
KR101438341B1 KR101438341B1 (ko) 2014-09-05

Family

ID=45892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0970A KR101438341B1 (ko) 2010-09-27 2010-09-27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173080A1 (ko)
EP (1) EP2624085A1 (ko)
JP (1) JP5452725B2 (ko)
KR (1) KR101438341B1 (ko)
CN (1) CN103124937A (ko)
TW (1) TWI437392B (ko)
WO (1) WO20120425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55158B2 (ja) * 2018-12-14 2023-04-11 株式会社ノーリツ 給湯装置
WO2021240720A1 (ja) * 2020-05-28 2021-12-02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及び電力供給方法
JP2023132717A (ja) * 2022-03-11 2023-09-22 オムロン株式会社 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2669B2 (ja) * 1995-06-20 2002-10-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US6128104A (en) * 1996-04-23 2000-10-03 Ricoh Company, Ltd.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n energy saving capability
US6822764B1 (en) * 1996-04-23 2004-11-23 Ricoh Company, Ltd.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n energy saving capability
KR100553184B1 (ko) * 2001-04-24 2006-02-21 현대 이미지퀘스트(주) 모니터의 전력절감장치 및 방법
JP3851855B2 (ja) * 2002-08-30 2006-11-29 山形カシオ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部品搭載装置、及びその電気接続方法
JP2005063357A (ja) * 2003-08-20 2005-03-10 Yaskawa Electric Corp ケーブル断線検出方法
JP4391277B2 (ja) * 2004-03-17 2009-12-24 株式会社リコー 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7263569B1 (en) * 2004-09-30 2007-08-28 Emc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power in a computer system
KR100609498B1 (ko) * 2004-11-10 2006-08-09 주식회사 잉카솔루션 대기전력 제어장치
KR100657326B1 (ko) * 2005-07-07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장치의 전력관리 모드에 따라 네트워크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키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07080244A (ja) * 2005-08-19 2007-03-29 Ricoh Co Ltd データ転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005138A (ja) * 2006-06-21 2008-01-10 Nec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及び信号処理システム
JP2008204335A (ja) * 2007-02-22 2008-09-04 Fuji Xerox Co Ltd 半導体ストレージ装置
CN100544150C (zh) * 2007-08-22 2009-09-23 董右云 智能化电能管理系统总装置
CN201084002Y (zh) * 2007-09-30 2008-07-09 沈之柱 Plc数字量输入接口电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37392B (zh) 2014-05-11
JP5452725B2 (ja) 2014-03-26
WO2012042588A1 (ja) 2012-04-05
TW201214071A (en) 2012-04-01
KR101438341B1 (ko) 2014-09-05
CN103124937A (zh) 2013-05-29
US20130173080A1 (en) 2013-07-04
JPWO2012042588A1 (ja) 2014-02-03
EP2624085A1 (en)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099151A (ja) ラックおよびラックの電力制御方法
KR20130041901A (ko)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
JP2017167997A (ja) 工作機械
JP6477554B2 (ja) 中継装置、中継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WO2008069230A1 (ja) 表示システム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031778A (ja) セーフティコントロー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ステム
JP5445572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待機電力削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550292B2 (ja) 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
US20160142001A1 (en) Motor control device and motor control system
CN107231038B (zh) 电子设备以及电子设备的电力供给控制方法
JP5353624B2 (ja) ロボット制御装置およびロボット制御方法
US10768601B2 (en) Programmable controller
US11444564B2 (en) Actuator control device
CN110908493A (zh) 一种电源控制方法和装置
CN105045138B (zh) 切换顺序程序时输出切换预告信号的控制装置
TWI482395B (zh) 機櫃與其電源控制方法
JP2008052619A (ja) 複数のロボット制御装置用電源装置からなる電源システム
KR101032253B1 (ko) Plc 시스템에서 cpu 모듈의 이중화방법
CN112421759A (zh) 电源切换装置
CN113406903A (zh) 数据采集系统、方法和装置、电子设备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6680119A (zh) 一种开机异常处理方法、控制器、计算设备及pcb
JP2010184467A (ja) 情報処理装置
JPH11305825A (ja) 監視制御装置
JP2015207162A (ja) 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H09186800A (ja) 複合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