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1196A - 이어폰 조립체 - Google Patents

이어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1196A
KR20130041196A KR1020137003344A KR20137003344A KR20130041196A KR 20130041196 A KR20130041196 A KR 20130041196A KR 1020137003344 A KR1020137003344 A KR 1020137003344A KR 20137003344 A KR20137003344 A KR 20137003344A KR 20130041196 A KR20130041196 A KR 20130041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assembly
spout
inner housing
earphon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3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9419B1 (ko
Inventor
마이클 조셉 알위커
존 피. 데블린
마크 부이 브랜만
Original Assignee
슈레 애쿼지션 홀딩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레 애쿼지션 홀딩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슈레 애쿼지션 홀딩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41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1/00Transducers of moving-armature or moving-core type
    • H04R11/02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5Determination of the acoustic seal of ear moulds or ear tips of hear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57Sound device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인 이어 리스닝(in-ear listening) 디바이스용 이어폰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어폰 조립체는 사용자의 귀(ear)에 배치하기 위한 슬리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노즐및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내부 하우징을 갖는다.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 조립체는 내부 하우징과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 조립체 사이에 음향 밀봉(acoustical seal)을 형성하도록 내부 하우징에 장착된다. 이어폰 조립체는 또한 내부 하우징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외부 하우징을 포함한다. 내부 하우징은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 조립체의 패들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외부 하우징에는 사용자의 이도(ear carnal) 내로의 배치를 위한 슬리브를 수용하기 위한 노즐이 형성될 수 있고, 내부 하우징은 외부 하우징의 리세스에 수납되는 스파우트(spout)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어폰 조립체 {EARPHONE ASSEMBLY}
본 출원은 사운드 재생(sound reproduction) 분야, 보다 자세하게는, 이어폰을 사용하는 사운드 재생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양태들은 보청기(hearing aids)로부터 고품질 오디오 리스닝 디바이스들, 소비자 리스닝 디바이스들 범위의 인이어(in-ear) 리스닝 디바이스들용의 이어폰들에 관한 것이다.
개인을 위한 "인-이어(in-ear)" 모니터링 시스템들은, 무대(stage) 또는 레코딩 스튜디오(recording studio)에서의 퍼포먼스(performance)들을 모니터하기 위해서 음악가들, 레코딩 스튜디오 엔지니어들, 및 라이브 사운드 엔지니어들에 의해서 사용된다. 인-이어 시스템들은 다른 무대 또는 스튜디오의 사운드들과의 경쟁없이 음악가들 또는 엔지니어들의 귀(ear)에 직접적으로 뮤직 믹스(music mix)를 전달한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기구(instrument)들 및 트랙(track)들의 밸런스 및 볼륨에 대한 증가된 제어를 음악가 또는 엔지니어에게 제공하여, 저음(lower volume) 셋팅에서 보다 양호한 음질(sound quality)을 통해 음악가 또는 엔지니어의 히어링(hearing)을 보호하도록 작동한다. 인-이어 모니터링 시스템들은 종래의 플로어 웨지(floor wedge)들 또는 스피커들에 대한 개선된 대안을 제공하여, 그 결과, 무대 및 스튜디오에서의 음악가들 및 사운드 엔지니어들의 작업 방식을 상당히 변화시켰다.
게다가, 많은 소비자들은, 그들이 음악, DVD 사운드트랙들, 팟캐스트들 또는 핸드폰 대화들을 듣는지 간에 고품질의 오디오 사운드를 소망한다. 사용자들은 사용자들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주변(background ambient) 사운드들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소형의 이어폰들을 소망할 것이다.
보청기(hearing aid)들, 인-이어 시스템들 및 소비자 리스닝 디바이스들은 전형적으로 리스너의 귀의 내부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이어폰들을 사용한다. 전형적인 이어폰들은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드라이버들 또는 밸런스드 아마추어들을 갖는다. 전형적으로, 원통형 사운드 포트 또는 노즐을 통해 드라이버(들)의 출력으로부터 사운드가 전달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보청기들, 인-이어 모니터들(in-ear monitors)(IEMs), 청력(audiometric) 도구들 및 소비자 이어폰들에 사용되는 종래 기술의 밸런스드 아마추어 드라이버(10)를 도시한다. 금속 케이스(12)(예컨대, 뮤 합금(mu-metal))가 아마추어의 모터(50), 패들(52), 및 다이어프램 지지부(54)를 차폐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부 컵 또는 덮개(14) 및 저부 컵 또는 캔(16)이 금속 케이스(12)를 함께 형성한다. 당업계에서 알고 있는 적용분야들에서, 사운드 유입 튜브(18)는 어떠한 음향 누설(acoustic leak)들 없이 2차 또는 다중 출구 경로들(최종적으로는 귀에 도달함)에 부착되어야만 한다. 음향 누설들은 특히 저주파수에서 음질의 저하를 유발한다. 사운드 유입 튜브의 2차 출구 경로들에의 밀봉 방법들은, 전형적으로 튜브들, 탄성체 몰드들, 접착제들, 포론(Poron)(압축가능한 점탄성 망상 발포체(compressible visco-elastic reticulated foam)) 또는 이들의 조합물들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게다가, 저부 컵 또는 캔(16)은, 상기 모든 구성요소들이 그 안에 넣어지도록 조립체의 베이스 부분으로서 작용한다. 이는 실현 가능한 제조 방법이며 본 출원과 함께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형식의 베이스 부품(개방 상부를 갖는 박스)을 위한 구성요소들을 조립하기 위한 "개방 처리 표면" 또는 영역들이 적다. "개방 처리 표면"을 가짐으로써, 사람의 눈 또는 카메라를 통해 정합 특징부들의 들어맞음(fit) 및 정렬을 체크하는 시선(line of sight)이 더욱 실현가능해진다.
종래 기술의 이어폰 조립체(100)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제 1 커버 부분(102A) 및 제 2 커버 부분(102B)은 이어폰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위한 하우징을 형성한다. 하우징은 케이블(116)을 수용하기 위한 커플링(118), 제 1 밸런스드 아마추어 드라이버(104A), 제 2 밸런스드 아마추어 드라이버(104B) 및 노즐(112)을 포함한다. 노즐(112)은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슬리브(114)와 정합한다. 케이블(116)은 사운드를 생성하여 노즐(112) 내로 사운드를 출력하는 드라이버(104A, 104B)들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한다. 노즐(112)은 사용자의 이도(ear canal) 내로 사운드를 직접 전달한다.
밸런스드 아마추어 드라이버(104A, 104B)들은 제 2 커버 부분(102B)에 위치된 일 세트의 리브(106)들, 포론 시일(110), 및 사출된 열경화성 엘라스토머(TPE)시일(108)에 의해 제 1 커버 부분(102A) 및 제 2 커버 부분(102B) 내측에서 제 위치에 유지된다. 리브(106)들은 포론 시일(110) 및 TPE 시일(108)에 대해 드라이버(104A, 104B)들을 가압하도록 작용한다. 포론 시일(110) 및 TPE 시일(108)은 노즐(112)과 드라이버(104A, 104B)들 사이에 음향 밀봉을 제공한다.
본 출원은 이어폰 드라이버 조립체들을 구현한다. 이하, 일부 양태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본 출원을 단순화시켜 요약한다. 이는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거나 본 발명의 핵심 또는 중요한 요소들을 식별하고자 의도된 것은 아니다. 이하의 요약은 단지 하기에 제공된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론으로서 본 출원의 일부 컨셉들이 단순화된 형태로 존재한다. 예컨대, 본 출원은 인용에 의해 전체 내용이 본 발명에 병합된, "이어폰 드라이버 및 제조 방법(Earphone Driver and Method of Manufacture)" 이란 발명의 명칭을 가지며 미국 변호사 사건 수임 번호 제010886.01321호 및 "트랜스듀서용 구동 핀 형성 방법 및 조립체(Drive Pin Forming Method and Assembly for a Transducer)" 이란 발명의 명칭을 가지며 미국 변호사 사건 수임 번호 제010886.01328호에 개시된 이어폰 조립체들, 드라이버들 및 방법들로 구현되거나 이들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이어폰 조립체는 사용자의 귀(ear)에 배치하기 위한 슬리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노즐 및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내부 하우징을 갖는다.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 조립체는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 조립체 사이에 음향 밀봉을 형성하도록 내부 하우징에 장착된다. 이어폰 조립체는 또한 내부 하우징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며, 내부 하우징의 노즐은 외부 하우징을 통해 연장한다. 내부 하우징은 패들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 및 폴 피스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노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하우징은 노즐 베이스 및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노즐 베이스 또는 커버 중 하나는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 조립체를 수납하는 캐비티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 조립체는 아마추어, 상부 자석 및 하부 자석을 포함하는 폴 피스, 코일에 의해 둘러싸이는 보빈, 상기 보빈에 장착되는 플렉스 보드 및 구동 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핀은 패들에 작동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이어폰 조립체는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내부 하우징 및 사용자의 귀 안에 배치하기 위한 슬리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노즐을 갖는 외부 하우징을 포함한다. 내부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 하우징과 함께 일체로 형성된다. 내부 하우징은 외부 하우징과 함께 형성된 베이스 부분 및 상기 외부 하우징과 함께 형성된 내부 커버 부분 양자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내부 하우징은 상기 외부 하우징과 함께 형성된 내부 하우징의 일부분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덮개(lid)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이어폰 조립체는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 조립체를 갖는 내부 하우징을 포함한다.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 조립체는 패들을 포함하고, 상기 패들은 내부 하우징 내부측에 음향 밀봉된다. 내부 하우징은 사운드 출구를 갖는 스파우트를 포함한다. 이어폰 조립체는 또한 사운드를 전달하기 위한 노즐을 갖는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며, 내부 리세스는 노즐에 근접한다.
노즐은 사용자의 이도 내로의 배치를 위해 구성된 슬리브를 수용하며, 상기 내부 리세스는 스파우트와 노즐 사이에 음향 밀봉을 형성하도록 내부 하우징의 스파우트를 수용한다. 상기 내부 하우징 상의 스파우트는 O 링을 수용하는 리세스형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 리세스는 상기 스파우트 및 상기 O 링을 수용하기 위한 카운터보어(counterbor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파우트 및 O 링이 상기 노즐 내의 내부 리세스에 배치될 때, 반경 방향힘들이 O 링에 작용하여 상기 스파우트와 외부 하우징 사이에 음향 밀봉을 유지한다. 상기 스파우트 및 노즐은 사용자의 이도(ear canal)로의 연속적으로 음향 밀봉된 사운드 통로를 형성한다.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이어폰 조립체를 형성하는 방법은,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스파우트를 갖는 스파우트 베이스 부분과 내부 커버 부분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스파우트 베이스 부분의 스파우트 상에 O 링을 배치하는 단계, 적어도 스파우트의 부분과 O 링을 주 케이스 부분의 리세스 내로 배치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주 케이스 부분은 상기 리세스로부터 연장하는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O 링은 스파우트와 노즐 사이에 음향 밀봉을 형성하는, 주 케이스 부분의 리세스 내로 배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내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외부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상기 주 케이스 부분 상에 외부 커버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은 내부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리세스형 부분을 갖는 스파우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리세스형 부분에 O 링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내부 하우징의 스파우트 베이스 부분에 패들을 음향 밀봉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이도 내로의 배치를 위해 상기 노즐 상에 슬리브를 배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은 예시로서 설명되며 첨부 도면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는 종래 기술의 밸런스드 아마추어 드라이버 조립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도 1a의 종래 기술의 밸런스드 아마추어 드라이버 조립체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이어폰 조립체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 조립체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 조립체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이어폰 조립체의 실시예의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전방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a는 이어폰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0b는 추가의 구성요소들을 갖는 도 10a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0c는 도 10b에 도시된 실시예의 조립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이어폰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모터 조립체 없이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a는 이어폰 조립체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6b는 도 16a에 도시된 이어폰 조립체의 예시적 실시예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이어폰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8a는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8b는 도 18a의 일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의 일부분의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일부분의 전방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도 17에 도시된 조립체의 일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2는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의 일부분의 후방 저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3은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의 일부분의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4는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의 일부분의 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5는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의 일부분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6은 이어폰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27a 및 도 27b는 이어폰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도들을 도시한다.
도 28은 이어폰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도를 도시하며,
도 29는 이어폰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도를 도시하며,
도 30은 이어폰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31a는 도 30에 도시된 실시예의 조립도를 도시한다.
도 31b는 도 31a에 도시된 실시예의 일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에는, 일반적으로, 아마추어(156), 상부 및 하부 자석(158A, 158B)들, 폴 피스(160), 보빈(162), 코일(164), 구동 핀(174), 및 플렉스 보드(167)로 구성된 밸런스드 아마추어(balanced armature) 모터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자석(158A, 158B)들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글루 도트(glue dot)(182)들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는 동안, 자석(158A, 158B)들은 자석(158A, 158B)들과 폴 피스(160) 사이에서 만들어진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용접물들에 의해 폴 피스(160)에 고정될 수 있다. 플렉스 보드(167)는 보빈(162)에 장착하는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이며, 코일(164)을 형성하는 와이어의 자유 단부들이 플렉스 보드(167)에 고정된다.
아마추어(156)는 위에서부터 볼 때 일반적으로 E자 형상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아마추어(156)는 U자 형상 또는 임의의 다른 공지된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마추어는 상부 및 하부 자석(158A, 158B)들 사이에서 보빈(162) 및 코일(164)을 통해 연장하는 가요성 금속 리드(reed)(166)를 갖는다. 또한, 아마추어(156)는,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하여 놓여지며 연결 부품(170)에 의해 일단부에서 상호 연결되는 2 개의 아우터 레그(168A, 168B)들을 갖는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리드(166)는 자석(158A, 158B)들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 갭(172) 내에 위치된다. 2 개의 아우터 아마추어 레그(168A, 168B)들은 보빈(162), 코일(164) 및 폴 피스(160)를 따라 외부측에 포개진다(extend along). 2 개의 아우터 아마추어 레그(168A, 168)들은 폴 피스(160)에 부착된다. 리드(166)는 구동 핀(174)을 사용하여 본원에 논의된 임의의 패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패들(252)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 핀(174)은 스테인리스강 와이어 또는 임의의 다른 공지된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전기 입력 신호는 2 개의 도전체들이 포함된 신호 케이블을 경유하여 플렉스 보드(167)로 라우팅된다. 각각의 도전체는 플렉스 보드(167) 상에서 도전체의 각각의 패드에서 납땜된 연결부를 통해 끝이난다. 이들 패드들 각각은 코일(164)의 각각의 단부 상에서 대응하는 리드(lead)에 전기 접속된다. 신호 전류가 신호 케이블을 통해 코일(164)의 권선들 내로 흐를 때, 자속(magnetic flux)이 연질의 자기 리드(soft magnetic reed)(166) 내로 유도되며, 리드(reed) 둘레에 코일(164)이 권선된다. 신호 전류의 극성(polarity)은 리드(166)에 유도된 자속의 극성을 결정한다. 리드(reed)의 자유 단부는 2 개의 영구 자석(158A, 158B)들 사이에 떠있다(suspend). 이러한 2 개의 영구 자석들의 자기 축(axe)들 양자는 리드(166)의 세로축에 수직하게 배열된다. 상부 자석(158A)의 하부면은 자기 남극(magnetic south pole)으로서 작용하는 한편, 하부 자석(158B)의 상부면은 자기 북극(magnetic north pole)으로서 작용한다.
입력 신호 전류가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발진(oscillate)함에 따라, 리드(166)의 자유 단부는, 각각 자기 북극과 자기 남극의 자유 단부 사이에서 그의 거동을 발진한다. 자기 북극으로서 작용할 때, 리드(166)의 자유 단부는 하부 자석의 북극면으로부터 반발되며, 상부 자석(158A)의 남극면으로 끌리게 된다. 리드의 자유 단부가 북극과 남극 거동 사이에서 발진함에 따라, 에어 갭(172)에서의 리드의 물리적 위치가 동일하게(in kind) 발진하며, 이로써 전기 입력 신호의 파형을 미러링(mirroring)한다. 리드(166)의 모션 자체는 리드의 정면 및 후면 사이의 음향 밀봉의 부족 및 리드의 최소 표면에 기인하여 극도로 비효율적인(extremely inefficient) 음향 방사체(acoustic radiator)로서 기능한다. 모터의 음향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서, 리드(166)의 자유 단부의 기계적 모션을 상당히 큰 표면적의 음향 밀봉된 경량 패들(152)에 연결하도록 구동 핀(174)이 사용된다. 얻어진 음향 체적 속도는 이후 이어폰 노즐(212)을 통해 최종적으로는 사용자의 이도(ear canal) 내로 전달되며, 이로써 사용자에 의해 검지되는 음향 에너지로의 전기 입력 신호의 변환(transduction)을 완료한다.
도 5 내지 도 9는 노즐 조립체(200) 내에 만들어지거나 노즐 조립체에 일체로 형성된 밸런스드 아마추어 드라이버 모터의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 조립체(150)는 노즐 베이스(201) 내에 만들어진다. 노즐 베이스(201)는 사출 재료로 형성되며, 이 재료는 강성 또는 다소 탄성이 있을 수 있다. 노즐 베이스(201)는 노즐 베이스와 정합하는 패들(252) 및 모터 조립체(150)와 같은 후속하는 서브 조립체들을 위한 위치결정, 정합 및 받침(resting) 특징부들을 제공한다. 노즐(212)은 노즐 베이스(201)에 일체로 형성되어 노즐 베이스로부터 돌출한다. 상기 논의된 구성요소들에 의해 모터 조립체(150)는 노즐 베이스(201)의 쉘프(shelf)(202)에 장착된다. 노즐 베이스(201)의 외부 림(208)은 내부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출 재료로 또한 형성되는 커버(210)를 수용한다. 이후, 내부 하우징은 외부 하우징(도시 생략)에 의해 덮여질 수 있다. 커버(210)는클립들, 스크류들, 정합 부품들 또는 스냅 핏 등에 의해 기계적 체결되는 아교접착(gluing)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공지 방법을 사용하여 외부 림(208)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베이스(201)에는 패들(252)을 수용하는 컷아웃부 또는 리저보어(234)가 형성되며, 폴 피스(160) 및 아마추어(156)를 위한 정합(mating) 특징부들을 갖는다. 리세스 내측에서, 노즐 베이스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패널을 포함한다. 캐비티(235)는 트랜스듀서의 전방 음향 캐비티 부분을 형성한다. 추가로, 커버(210)의 하부측은 트랜스듀서의 후방 음향 캐비티를 형성한다. 구동 핀(174)을 통한 리드(166)의 발진(oscillation)은 패들(252)이 진동하여 사운드(sound)를 발생시키는 것을 유발하며, 이 사운드는 노즐 베이스(201)에 있는 도 6에 도시된 포트(219)를 통해 이동한다. 이후, 노즐(212)은 노즐의 단부에 있는 사운드 포트 또는 개구를 통해 사용자의 이도(ear canal)로 사운드를 전달(project)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조립체(300)의 베이스 부품으로서 작용하는 박스형상의 하우징 베이스(310) 내에 직접 끼워지는(built into) 모터 조립체(150)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조립체(300)는 사용자의 귀에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노즐(312)을 갖는 노즐 커버(301)를 포함한다. 노즐 커버(301)는 사출 재료로 형성되며, 패들(352)에 인접한 부분(303)을 갖는다. 패들(352) 및 외부 림 부분(308)은 베이스(310)의 대응하는 형상의 리세스(307)에 장착된다. 베이스(310) 및 외부 림 부분(308)은 임의의 공지된 체결 방법을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310)는 사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방 부분에 플렉스 보드(167)를 수용하기 위한 컷아웃부(336)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커버(301) 및 베이스(310)는 상기 논의된 구성요소들을 갖는 밸런스드 아마추어 드라이버 모터 조립체(150)를 위한 엔클로저(enclosure) 또는 내부 하우징을 형성한다. 노즐 커버(301) 및 베이스(310)는 사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b 및 도 10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커버(302A) 및 주 케이스 부분(302B)은 임의의 공지된 체결 방법을 사용하여 조립되어 노즐 커버(301) 및 베이스(310)에 의해 형성된 내부 하우징을 둘러싸는 외부 하우징(302)을 형성하여 이어폰 조립체를 형성한다. 신호 케이블(도시 생략)용의 플라스틱 덮개(sheath) 구성요소(313)가 외부 커버(302A)와 주 케이스 부분(302B)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발포체, 실리콘, 또는 다른 공지된 적절한 재료들로 형성된 슬리브(도시 생략)가 노즐(3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슬리브는 사용중 노즐(312)과 리스너의 귀 사이에 밀봉(seal)을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5는 노즐 조립체(400) 내에 직접 끼워지며 일체형인 밸런스드 아마추어 드라이버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조립체(400)는 일체형 노즐(412)을 갖는 노즐 베이스(401)를 포함하며, 일체형 노즐은 사출 재료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귀에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이도 내로 배치하기 위한 슬리브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노즐 베이스(401)는 노즐 베이스(401)에 정합하는 패들(452) 및 모터 조립체(150)와 같은 후속의 서브 조립체들을 위한 위치결정(locating), 정합(mating) 및 받침(resting) 특징부들을 제공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베이스(401)는 또한 패들(452)을 수용하기 위한 정합 특징부들을 갖는 리세스(434) 및, 노즐 베이스(401)에 모터 조립체(150)의 폴 피스(160)을 위치결정하고 장착하기 위한 노치 부분(414)을 갖는다. 립(rip) 또는 림(rim)(408)은 커버(41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립(408) 및 커버(410)는 임의의 공지된 체결 방법을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커버(410) 및 노즐 베이스(401)는 외부 하우징(도시 생략)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는 내부 하우징을 형성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베이스(401)에는 패들(452)을 수용하기 위한 컷아웃부 또는 리저보어(434)가 형성된다. 추가의 캐비티(도시 생략, 그러나 도 6의 캐비티(235)와 유사함)가 패들(452) 아래에 형성되며, 트랜스듀서의 전방 음향 캐비티의 부분을 형성한다. 커버(410)는 트랜스듀서의 후방 음향 캐비티를 형성한다. 또한, 노즐 베이스(401)에는 후방 부분에 플렉스 보드(167)를 수용하기 위한 컷아웃부(436)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의 약간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어폰 조립체(500)는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갖는다(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도면 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도시함). 조립체(500)는 슬리브를 수용하고 사용자에게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일체형 노즐(512)을 갖는 노즐 베이스(501)를 포함한다. 노즐 베이스(501) 및 커버(510)는 모터 조립체를 위한 엔클로저 또는 내부 하우징을 형성하며, 임의의 공지된 체결 방법을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노즐 베이스(501) 및 커버(510)는 또한 사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노즐 베이스(501)는, 정렬 및 조립의 목적으로 외부 커버(502A)의 돌출부(projection)(505)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503)를 추가로 포함한다. 외부 커버(502A) 및 주 케이스 부분(502B)은 정합하여 노즐 베이스(501) 및 커버(51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하우징을 둘러싸는 외부 하우징(502)을 형성하여 이어폰 조립체를 형성한다. 외부 커버(502A) 및 주 케이스 부분(502B)은 임의의 공지된 체결 방법을 사용하여 노즐 베이스(501) 및 커버(510)와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동일한 부품 내 전부에서 일체형 노즐 내의 내부 특징부들을 구성하는 기하학적 체적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패들 아래에 있는 노즐 베이스의 리세스 체적을 구성하는 전방 음향 캐비티는, 음향 캐비티로부터 유래된 일관된 기하학적 형상 및 주파수 응답의 이익을 갖는다. 이는, 또한 단순화된 설계를 초래하는 음향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서 음향 누설(leaking)의 감소 및 구성요소들의 개수 감소를 보조한다.
도 17 내지 도 25는 대안의 실시예의 이어폰 조립체(600)를 도시한다. 조립체는 외부 커버(602A) 및 주 케이스 부분(602B)을 포함하며, 이들은 임의의 공지된 체결 방법에 의해 함께 연결될 때, 이어폰 조립체(600)를 위한 외부 하우징(602)을 형성한다. 외부 하우징(602) 내에는, 본원의 다른 실시예들을 참조로 기재된 모터 조립체들(동일한 도면 부호들은 이들의 동일한 구성요소를 도시함)과 유사한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 조립체(150)를 포함하는 내부 하우징(604)이 존재한다. 내부 하우징(604)이 내부 커버 부분(604A) 및 스파우트(spout) 베이스 부분(604B)에 형성된다. 조립 중, 내부 커버 부분(604A) 및 스파우트 베이스 부분(604B)은 임의의 공지된 체결 방법을 사용하여 함께 밀봉된다. 내부 하우징(604)은 모터 조립체(150)를 둘러싼다.
스파우트 베이스 부분(604B)은 O-링(624)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형 부분(622)을 갖는 스파우트(620)를 포함한다. 도 2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우트 베이스 부분(604B)은 또한 패들(652)을 위치결정하고 수용하는 내부 리세스(626)를 포함한다. 추가로, 스파우트 베이스 부분(604B)은 또한 모터 조립체(150)의 폴 피스(160)를 노즐 베이스(604B)에 위치결정하고 장착하는 노치 부분(614)을 갖는다. 조립중, 패들(152)이 스파우트 베이스 부분(604B)에 음향 밀봉된다.
주 케이스 부분(602B)은 또한 일체형 노즐(612)을 포함한다. 노즐(612)의 내부 부분은 스파우트(620) 및 O 링(624)을 수용하기 위한 카운터보어(counterbore) 형상의 컬렉터 또는 내부 리세스(628)를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602) 및 내부 하우징(604)이 연결될 때의 양자의 횡단면이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되어 있다.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O 링(624)과 함께 스파우트는 외부 하우징(602)의 리세스(628) 내에 음향 밀봉을 형성한다. O 링(624)이 외부 하우징(602)의 리세스(628)에 접촉 배치될 때, 반경 방향 힘들이 스파우트(620)와 외부 하우징(602) 사이의 음향 밀봉을 유지하도록 스파우트(620)에 작용한다. 선택적으로, 외부 하우징(602)은 스파우트(620)가 노즐(612)과의 스파우트의 음향 밀봉을 유지하게 되도록 내부 하우징(604) 상에서 축방향 힘들을 추가로 부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파우트(620) 및 노즐(612)은 사용자의 이도로의 연속적인 사운드 통로를 형성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케이스 부분(602B)은 또한 신호 케이블(도시 생략)을 수용하기 위한 커플링(618)을 포함한다.
노즐(612)은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노즐(612)의 단부 위에 배치되는 슬리브(도시 생략)와 정합된다. 모터 조립체(150)가 신호를 수신하면, 모터 조립체는 차례로, 사운드를 만들고 스파우트(620) 내로 사운드를 출력한다. 스파우트가 노즐(612) 내의 리세스(628)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운드는 사용자의 이도 내로 사운드를 전달하는 노즐(612) 내로 스파우트로부터 직접 이동한다.
폴 피스(160), 보빈(162) 및 코일(164)은 모터 조립체(150)를 스파우트 베이스 부분(604B)에 조립하기 위한 위치결정 및 지지 기구로서 작용한다. 보빈의 센터 포스트와 함께 폴 피스(160)는 지지 브래킷으로서 작용하며, 이 지지 브래킷은 전체 모터 조립체(150)를 위한 장착 및 지지 기구로서 기능하여 스파우트 베이스 부분(604B)의 위치 결정 특징부들과 정합한다.
좌측 및 우측의 특정 하우징들 및 구성들을 필요로하는 다른 실시예들과 달리, 스파우트 O 링 구성은 대칭인 "논 핸디드(non-handed)" 설계를 제공하여 제조시 보다 높은 품질 및 정확성을 제공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외부 하우징(602)은 좌이(left ear) 하우징 또는 우이(right ear) 하우징 중 어느 한쪽으로 특별히 제조되어야만 하지만, 내부 하우징(604)은 범용(universal)이며 "좌수형(left handed)" 외부 하우징(602) 또는 "우수형(right handed)" 외부 하우징(602) 중 어느 하나의 내부측에 장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또한 개선된 모터 하우징에 배치된 내부 힘들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모터 조립체 상에서 전체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개선된 충격 흡수를 유도한다. 이는, 또한 보다 컴팩트한 드라이버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설계는 또한 플랫폼가능하며(platformable) 다른 이어폰 설계들 및 장치들에 사용될 수 있다.
스파우트 O 링 밀봉 방법은, 드라이버 상에 임의의 예압(preload)들 없이 완벽한 시일을 유지한다. 도 1의 종래 기술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버들은 음향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서 외부 하우징(102)의 리브(106)들에 대해 예압이 가해진다. 특히, 리브(106)들은 포론(Poron) 시일(110), TPE 시일(108) 및 노즐(112)에 대해 아마추어(104A, 104B)들을 가압함으로써 음향 밀봉을 유지하기 위해서 아마추어(104A, 104B)들 상에 압축력(compressive force)을 제공한다. 이 방법이 이어폰에 음향 밀봉을 제공하는데 효과적이고 본원에 개시된 방법들 및 접근법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설계들에서, 정합 이어폰 쉘들 사이에서 누설없이 음향 밀봉을 유지하는 것은, 이들 설계가 시일을 생성하기 위해서 보다 복잡한 수단(즉, 축방향으로 인가되는 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보다 어려워질 것이다. 스파우트 O 링 구성에서, 외부 하우징 상의 리브들은 노즐에 의해 음향 밀봉되는 아마추어를 유지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두번째로, 이러한 접근법 요구들의 "리얼 에스테이트(real estate)"의 양은 감소되어, 작은 O 링 및 정합 카운터 보어형상 컬렉터가 전체 조립체의 크기를 작게 취할 수 있다.
스파우트 O 링 설계는 또한 전체 이어폰 트랜스듀서 설계의 부품 분리(part break up)를 최적화한다. 설계 방식이 하위(sub) 조립체들 및 부품들을 분리하기 때문에, 개방 처리 표면들을 최대화하고, 필수 부품들의 개수를 최소화하며, 공차(tolerance) 스택업 및 소망하지 않는 부품 상호작용들을 최소화한다. 이는 제조시 조립 중 강건한(robust) 방식으로 트랜스듀서 내에서 위치되어 함께 끼움장착되는 부품들을 최적화함으로써 제품 품질을 향상시키고, 트랜스듀서 내의 전방 및 후방 음향 캐비티들 사이의 음향 누설의 가능성(likelihood)을 감소시킨다. 또한, 특징부들이 위치결정되는 베이스 부분을 가짐으로써, 제조시 스파우트식(spouted) 베이스 부분에 정합하는 서브 조립체들의 Z 축 "픽업 앤 플레이스(pick and place)" 자동화를 가능하게 한다. 예컨대, 제조중, 패들, 모터 조립체 및 커버 부품들과 같은 추가의 서브 조립체들이 로봇의 진공 아암들에 의해 픽업 앤 플레이스될 수 있는 조립 라인을 통해 이동하는 홀딩 캐리어 내에, 노즐 베이스들이 배치될 수 있다. Z 축 "픽업 앤 플레이스"는 추가의 홀드 다운 기구들에 대한 요구 없이 부품들을 부품들의 안착(seated) 위치 내로 떨어뜨리는데 중력이 작용함을 의미한다.
게다가, 정합 서브 조립체들이 제조 환경에서 트랜스듀서 조립 중에 홀딩 고정부로부터 베이스 부분을 제거하지 않고 스파우트 베이스 부분에 추가될 수 있어, 제조중 작업 부품들의 취급 및 재배향이 적어진다.
이러한 설계는, 또한 스파우트 및 카운터보어형 콜렉터의 리세스 또는 그루브로 구성된 0 링 동심(concentric) 밀봉 계면(interface)을 사용함으로써 주 케이스 부분에 대한 스파우트 베이스 부분 사이의 정합 인터페이스를 단순화한다. 게다가, 스파우트는 "핸디드"가 아닌데, 이에 의해 좌측 이어폰 및 우측 이어폰 양쪽에서 트랜스듀서 조립체가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6은 대안의 실시예의 이어폰 조립체(700)를 도시한다. 조립체(700)는 도 17 내지 도 25에 도시된 조립체(600)와 유사하지만, 스파우트 베이스 부분(604B)을 갖는 것 대신에, 베이스 부분(704B)이 노즐(712)을 갖는 주 케이스 부분(702B)에 일체로 형성된다. 내부 하우징은 내부 커버 부분(704A)과 베이스 부분(704B)으로 형성되며, 밸런스드 아마추어 드라이버 모터 조립체(150)를 포함한다. 조립중, 내부 커버 부분(704A) 및 베이스 부분(704B)은 임의의 공지된 체결 방법을 사용하여 함께 밀봉되며, 외부 커버(702A)는 내부 커버 부분(704A) 및 베이스 부분(704B)에 의해 형성된 내부 하우징을 둘러싼다.
도 27a 및 도 27b는 대안의 실시예의 이어폰 조립체(800)를 도시한다. 조립체(800)는 도 17 내지 도 25에 도시된 조립체(600)와 유사하지만, 스파우트 베이스 부분(604B)을 갖는 것 대신에, 베이스 부분(804B)이 노즐(812)을 갖는 주 케이스 부분(802B)에 일체로 형성된다. 게다가, 내부 커버 부분(604A)이 외부 커버(602A)로부터 분리되는 것 대신에, 내부 커버 부분(804A)이 외부 커버(802A)에 일체로 형성된다. 조립중, 모터 조립체(150)는 내부 커버 부분(804A)에 장착된다. 조립중, 모터 조립체(150)는 내부 커버 부분(804A)에 장착된다. 내부 커버 부분(804A) 및 베이스 부분(804B)은 임의의 공지된 체결 방법을 사용하여 외부 커버 부분(802A) 및 주 케이스 부분(802B)과 함께 밀봉되어 조립체(800)를 형성한다.
도 28은 대안의 실시예의 이어폰 조립체(900)를 도시한다. 조립체(900)는 도 17 내지 도 25에 도시된 조립체(600)와 유사하지만, 스파우트 베이스 부분(604B)을 갖는 것 대신에, 베이스 부분(904B)에는 주 케이스 부분(902B)에 있는 구멍(903)을 통해서 연장하는 일체형 노즐(912)이 형성된다. 이로써, 노즐(912)은 주 케이스 부분(902B) 보다는 오히려 베이스 부분(904B)의 일부이다. 밸런스드 아마추어 드라이버 모터(150)는 베이스 부분(904B)에 고정되고, 내부 커버 부분(904A)은 임의의 공지된 체결 방법을 사용하여 베이스 부분(904B)에 고정된다. 이후, 노즐(912)이 구멍(903)을 통해 연장하도록, 베이스 부분(904B)이 주 케이스 부분(902B)에 고정될 수 있다. 외부 커버(902A)는 주 케이스 부분(902B)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9는 대안의 실시예의 이어폰 조립체(1000)를 도시한다. 조립체(1000)는 도 17 내지 도 25에 도시된 조립체(600)와 유사하지만, 스파우트 베이스 부분(604B)을 갖는 것 대신에, 베이스 부분(1004B)이 노즐(1012)을 갖는 주 케이스 부분(1002B)에 일체로 형성된다. 게다가, 내부 하우징은 내부 덮개(lid) 부분(1004A) 및 베이스 부분(1004B)을 포함하며, 이는 밸런스드 아마추어 드라이버 모터 조립체(15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 덮개 부분(1004)은 비교적 평탄하다. 조립중, 내부 덮개 부분(1004A) 및 베이스 부분(1004B)은 임의의 공지된 체결 방법을 사용하여 함께 밀봉되고, 외부 커버(1002A)는 내부 덮개 부분(1004A) 및 베이스 부분(1004B)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하우징을 둘러싼다.
도 30 내지 도 31b는 대안의 실시예의 이어폰 조립체(1100)를 도시한다. 조립체(1100)는 도 17 내지 도 25에 도시된 조립체(600)와 유사하지만, 스파우트(1120)는 스파우트(1120) 상에 반경 방향 힘을 생성하기 위해 O 링(1124)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형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오히려, 도 3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O 링(1124)은 스파우트(1120)의 외부로 테이퍼진 림 부분과 리세스(1128) 근처의 주 케이스 부분(1102B)의 상부 부분 사이에 삽입된다. 조립체는 슬리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노즐(1112)을 갖는 주 케이스 부분(1102B) 및 외부 커버(1102A)를 포함한다. 주 케이스 부분(1102B) 및 외부 커버(1102A)는 이어폰 조립체(1100)를 위한 외부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임의의 공지된 체결 방법에 의해 함께 결합된다. 내부 하우징은 내부 커버 부분(1104A) 및 스파우트 베이스 부분(1104B)으로 형성되며, 외부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본원의 다른 실시예들을 참조로 설명된 모터 조립체와 유사한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 조립체(150)를 포함한다. 조립중, 내부 커버 부분(1104A) 및 스파우트 베이스 부분(1104B)은 임의의 공지된 체결 방법을 사용하여 함께 밀봉되며, 내부 하우징은 모터 조립체(150)를 둘러싼다. 이후, 스파우트 베이스 부분(1104B) 상의 스파우트(1120)는 O 링(1124) 에 접촉 배치되며, 이 O 오링이 내부 하우징 상에 축력(axial force)을 생성하기 위해 리세스(1128) 내에 삽입됨으로써, 내부 하우징 구성요소(내부 커버 부분(1104A), 스파우트 베이스 부분(1104B))들과 외부 하우징 구성요소(외부 커버(1102A), 주 케이스 부분(1102B))들 사이에 음향 밀봉이 형성되고 내부 하우징이 제 위치에 유지된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관점에서 설명되어 있다. 전체 명세서를 검토함으로써, 개시된 발명의 범주 및 사상 내에 있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 수정예들 및 변형예들이 당업자들에 의해 이루어질 것이다. 예컨대, 당업자는 예시적 도면들에서 예시된 단계들이 인용된 순서 이외의 다른 순서로 실행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예시된 단계들이 본 명세서의 양태들에 따라서 선택적일 수 있음을 예상할 것이다.

Claims (22)

  1.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balanced armature motor) 조립체를 포함하며 사운드 출구(outlet)를 갖는 스파우트(spout)를 포함하는 내부 하우징, 및
    사운드를 전달하기 위한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에 근접한 내부 리세스를 포함하는 외부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내부 리세스는 상기 스파우트와 노즐 사이에 음향 밀봉(acoustical seal)을 형성하도록 상기 스파우트를 수용하는,
    이어폰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는 O 링을 더 포함하는,
    이어폰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는 리세스형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리세스형 부분은 상기 O 링을 수용하는,
    이어폰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리세스는 상기 스파우트 및 상기 O 링을 수용하기 위한 카운터보어(counterbore)를 포함하는,
    이어폰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및 O 링이 상기 노즐의 내부 리세스에 배치될 때, 상기 스파우트와 상기 외부 하우징 사이에 음향 밀봉을 유지하기 위해서 반경 방향 힘들이 O 링에 작용하는,
    이어폰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 조립체는 패들을 포함하며,
    상기 패들은 내부 하우징 내부측에서 음향 밀봉되는,
    이어폰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 조립체는 가요성 리드(reed)를 갖는 아마추어, 상부 자석 및 하부 자석을 포함하는 폴 피스, 아마추어, 코일에 의해 둘러싸이는 보빈, 상기 보빈에 장착되는 플렉스 보드 및 구동 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 핀은 상기 리드와 상기 패들 사이에서 작동식으로 연결되는,
    이어폰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및 노즐은 사용자의 이도(ear canal)로의 연속적으로 음향 밀봉된 사운드 통로를 형성하는,
    이어폰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사용자의 이도 내로의 배치를 위해 구성된 슬리브를 수용하는,
    이어폰 조립체.
  10.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 조립체를 수납하기 위한 내부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스파우트를 갖는 스파우트 베이스 부분과 내부 커버 부분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스파우트 베이스 부분의 스파우트 상에 O 링을 배치하는 단계,
    적어도 스파우트의 일부분과 O 링을 주 케이스 부분의 리세스 내에 배치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주 케이스 부분은 상기 리세스로부터 연장하는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O 링은 상기 스파우트와 노즐 사이에 음향 밀봉을 형성하는, 주 케이스 부분의 리세스 내로 배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내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외부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상기 주 케이스 부분 상에 외부 커버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어폰 조립체를 형성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리세스형 부분을 갖는 스파우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리세스형 부분에 O 링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어폰 조립체를 형성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의 스파우트 베이스 부분에 패들을 음향 밀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어폰 조립체를 형성하는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이도 내로의 배치를 위해 상기 노즐 상에 슬리브를 배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어폰 조립체를 형성하는 방법.
  14. 사용자의 귀(ear)에 배치하기 위한 슬리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노즐 및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내부 하우징, 및
    상기 내부 하우징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 조립체는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이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 조립체 사이에 음향 밀봉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부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내부 하우징의 노즐은 상기 외부 하우징을 통해 연장하는,
    이어폰 조립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은 서로 상호 연결되는 노즐 베이스 및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은 상기 노즐 베이스로부터 연장하는,
    이어폰 조립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베이스 또는 커버 중 하나는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 조립체를 수납하는 캐비티(cavity)를 포함하는,
    이어폰 조립체.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 조립체는 아마추어, 상부 자석 및 하부 자석을 포함하는 폴 피스, 코일에 의해 둘러싸이는 보빈, 상기 보빈에 장착되는 플렉스 보드 및 구동 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 핀은 패들에 작동식으로 연결되는,
    이어폰 조립체.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은 패들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포함하는,
    이어폰 조립체.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은 폴 피스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노치 부분을 포함하는,
    이어폰 조립체.
  20.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내부 하우징, 및
    사용자의 귀에 배치하기 위한 슬리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노즐을 갖는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 조립체는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터 조립체 사이에 음향 밀봉을 형성하도록 내부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내부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외부 하우징과 함께 일체로 형성되는,
    이어폰 조립체.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외부 하우징과 함께 형성된 베이스 부분 및 상기 외부 하우징과 함께 형성된 내부 커버 부분을 포함하는,
    이어폰 조립체.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외부 하우징과 함께 형성된 내부 하우징의 일부분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덮개(lid)를 포함하는,
    이어폰 조립체.
KR1020137003344A 2010-07-09 2011-06-30 이어폰 조립체 KR101829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33,651 2010-07-09
US12/833,651 US8548186B2 (en) 2010-07-09 2010-07-09 Earphone assembly
PCT/US2011/042575 WO2012006211A1 (en) 2010-07-09 2011-06-30 Earphone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196A true KR20130041196A (ko) 2013-04-24
KR101829419B1 KR101829419B1 (ko) 2018-02-19

Family

ID=44532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3344A KR101829419B1 (ko) 2010-07-09 2011-06-30 이어폰 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548186B2 (ko)
EP (1) EP2591612B1 (ko)
JP (1) JP5793566B2 (ko)
KR (1) KR101829419B1 (ko)
CN (1) CN102986245B (ko)
SG (1) SG186794A1 (ko)
TW (1) TWI468028B (ko)
WO (1) WO20120062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5287B2 (en) 2016-02-01 2022-09-13 Sony Corporation Sound output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49287B2 (en) 2010-08-16 2012-08-21 Bose Corporation Earpiece positioning and retaining
US8897463B2 (en) * 2010-05-26 2014-11-25 Jerry Harvey Dual high frequency driver canalphone system
US8538061B2 (en) * 2010-07-09 2013-09-17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Earphone drive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737669B2 (en) 2011-07-28 2014-05-27 Bose Corporation Earpiece passive noise attenuating
US9210497B2 (en) * 2012-09-06 2015-12-08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Electrostatic earphone
JP5907274B2 (ja) * 2012-09-11 2016-04-26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イヤホン装置
US9426558B2 (en) 2012-09-14 2016-08-23 Puma SE Earphone with chassis enclosure
US9055366B2 (en) 2013-01-22 2015-06-09 Apple Inc. Multi-driver earbud
USD752026S1 (en) * 2014-12-30 2016-03-22 Shenzhen Soundsoul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Headphone
US10154331B2 (en) 2015-02-10 2018-12-11 Phazon Inc. Wireless earbud
US9706290B2 (en) 2015-02-27 2017-07-11 Apple Inc. Balanced armature based valve
USD777710S1 (en) * 2015-07-22 2017-01-31 Doppler Labs, Inc. Ear piece
JP2017059988A (ja) * 2015-09-16 2017-03-2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発音装置
USD797079S1 (en) 2015-10-20 2017-09-12 Phazon Inc. Wireless earbud
US9774941B2 (en) 2016-01-19 2017-09-26 Apple Inc. In-ear speaker hybrid audio transparency system
US10091576B2 (en) * 2016-02-16 2018-10-02 Campfire Audio Llc In-ear monitor
USD801951S1 (en) * 2016-04-20 2017-11-07 Shenzhen Aerospace Golden Shine Technology Co., Ltd Earphone
FR3054766B1 (fr) * 2016-07-29 2019-07-12 Custom Art - Piotr Granicki Ensemble a haut-parleur a armature equilibree ameliore
US10469940B2 (en) 2016-09-23 2019-11-05 Apple Inc. Valve for acoustic port
US11012786B2 (en) 2016-10-17 2021-05-18 Knowles Electronics, Llc Armature-based acoustic receiver having improved output and method
USD806687S1 (en) * 2016-11-11 2018-01-02 Tunes, LLC Headphones
US9860645B1 (en) 2017-01-05 2018-01-02 Ryan C. Tsui Multi-driver air-tube earphone
KR101901408B1 (ko) * 2017-04-20 2018-09-28 주식회사 이엠텍 개선된 후방 구조를 가지는 아마추어 스피커
CN107071666A (zh) * 2017-05-08 2017-08-18 佛山市川东磁电股份有限公司 一种直线移动双位稳态电磁开关
USD852782S1 (en) * 2017-06-26 2019-07-02 Kanoa Inc. Ear bud headset
US11582558B2 (en) 2017-07-14 2023-02-14 Knowles Electronics, Llc Acoustic receiver and method of making same
DE102018221577A1 (de) 2017-12-30 2019-07-04 Knowles Electronics, Llc Elektroakustischer wandler mit verbessertem stoss-schutz
USD868750S1 (en) * 2018-05-07 2019-12-03 Bin Zheng Wireless earphone
USD864167S1 (en) * 2018-07-02 2019-10-22 Shenzhen Meilianfa Technology Co., Ltd. Earphone
TWI687105B (zh) * 2018-12-20 2020-03-01 英屬開曼群島商康而富控股股份有限公司 利用金屬料帶成型的內模組件
US11076247B2 (en) * 2018-12-31 2021-07-27 Knowles Electronics, Llc Acoustic receiver with b-stage sea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10924838B1 (en) * 2019-09-11 2021-02-16 Bose Corporation Audio device
US11159890B2 (en) 2019-10-18 2021-10-26 Knowles Electronics, Llc Acoustic receiver
KR102203295B1 (ko) * 2019-12-11 2021-01-14 부전전자 주식회사 그릴 일체형 로우패스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피커
USD975685S1 (en) * 2021-08-05 2023-01-17 Dreamus Company Earphone
US11659337B1 (en) 2021-12-29 2023-05-23 Knowles Electronics, Llc Balanced armature receiver having improved shock performance
USD1025007S1 (en) * 2022-06-16 2024-04-30 Audiolineout Llc Pair of earphones

Family Cites Families (1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5590A (en) 1940-05-11 1943-08-03 Sonotone Corp Earphone
US2430229A (en) 1943-10-23 1947-11-04 Zenith Radio Corp Hearing aid earpiece
US2521414A (en) 1947-12-01 1950-09-05 Mayer B A Schier Adjustable auditory insert
US2808468A (en) 1952-02-07 1957-10-01 Sonotone Corp Magnetic insert earphone and inserts therefor
US2971065A (en) 1956-10-10 1961-02-07 Sonotone Corp Ear insert hearing aid
US3068954A (en) 1958-02-10 1962-12-18 Charles W Strzalkowski Hearing aid apparatus and method
US3265819A (en) 1963-05-15 1966-08-09 Sonotone Corp Ear insert hearing aid
USRE26258E (en) 1964-04-02 1967-08-29 In-the-ear hearing aid
GB1119445A (en) 1965-03-26 1968-07-10 Danavox Internat A S Hearing aid
US3374318A (en) 1965-04-01 1968-03-19 Dahlberg Electronics Wax guard for hearing aids
US3312789A (en) 1966-02-03 1967-04-04 Dahlberg Electronics Ear canal hearing aid
NL7613904A (en) 1976-12-15 1978-06-19 Harmen Broersma Transducer with electromagnetic converter for miniature hearing aid - has chamber with partition partly of foil with hole for push rod and damping
US4311206A (en) 1978-05-15 1982-01-19 Johnson Rubein V Hearing aid ear mold with improved discrimination
DE2923865C2 (de) 1979-06-13 1981-09-17 Thyssen Edelstahlwerke AG, 4000 Düsseldorf Verfahren zum Zusammensetzen der Einzelteile eines streufeldarmen Dauermagnetsystems für Lautsprecher
US4295066A (en) 1980-01-11 1981-10-13 Cts Corporation Electromagnetic actuator
US4375016A (en) 1980-04-28 1983-02-22 Qualitone Hearing Aids Inc. Vented ear tip for hearing aid and adapter coupler therefore
DE3023871A1 (de) 1980-06-26 1982-01-14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Hoergeraet
US4407389A (en) 1981-01-19 1983-10-04 Johnson Rubein V Vented acoustic ear mold for hearing aids
US4443668A (en) 1981-03-23 1984-04-17 Warren James C Earplug mounting device with audio passageway
JPH0312000Y2 (ko) * 1981-04-20 1991-03-22
US4420657A (en) 1981-10-29 1983-12-13 Acs Communications, Inc. Adjustable headset
US4473722B1 (en) 1982-06-07 1995-06-20 Knowles Electronics Co Electroacoustic transducers
US4592370A (en) 1982-09-27 1986-06-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ar canal electrode for auditory testing
US4532649A (en) 1983-07-03 1985-07-30 Gaspare Bellafiore Hearing aid
US4520236A (en) 1983-11-30 1985-05-28 Nu-Bar Electronics Sound transfer from a hearing aid to the human ear drum
GB2155276B (en) 1984-03-02 1987-10-21 Beltone Electronics Corp Hearing aid ear piece with wax guard
AT380762B (de) 1984-08-06 1986-07-10 Viennatone Gmbh Hoergeraet
IT209301Z2 (it) 1984-12-15 1988-09-20 Siemens Ag Protesi uditiva.
DE3540579A1 (de) 1985-11-15 1987-05-27 Toepholm & Westermann Im-ohr-hoergeraet
US4870688A (en) 1986-05-27 1989-09-26 Barry Voroba Mass production auditory canal hearing aid
US4677408A (en) 1986-07-28 1987-06-30 G. General Electro-Components, Inc. Solenoid coil connection
DE3723275A1 (de) 1986-09-25 1988-03-31 Temco Japan Ohrmikrofon
US5002151A (en) 1986-12-05 1991-03-2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ar piece having disposable, compressible polymeric foam sleeve
US4870689A (en) 1987-04-13 1989-09-26 Beltone Electronics Corporation Ear wax barrier for a hearing aid
DE8713369U1 (ko) 1987-10-05 1989-02-09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De
US5131128A (en) 1987-10-14 1992-07-21 Gn Danavox A/S Protection element for all-in-the-ear hearing aid and tool for use in the replacement hereof
US4867267A (en) 1987-10-14 1989-09-19 Industrial Research Products, Inc. Hearing aid transducer
US4969534A (en) 1988-08-08 1990-11-1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earing aid employing a viscoelastic material to adhere components to the casing
JP2546271Y2 (ja) 1988-12-12 1997-08-27 ソニー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
US4956868A (en) 1989-10-26 1990-09-11 Industrial Research Products, Inc. Magnetically shielded electromagnetic acoustic transducer
GB8928899D0 (en) 1989-12-21 1990-02-28 Knowles Electronics Co Coil assemblies
WO1994025957A1 (en) 1990-04-05 1994-11-10 Intelex, Inc., Dba Race Link Communications Systems, Inc. Voice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high ambient noise conditions
US5068901A (en) 1990-05-01 1991-11-26 Knowles Electronics, Inc. Dual outlet passage hearing aid transducer
US5319163A (en) 1990-06-07 1994-06-07 Scott Robert T Waterproof earmold-to-earphone adapter
DE69233156T2 (de) 1991-01-17 2004-07-08 Adelman, Roger A. Verbessertes hörgerät
US5193116A (en) 1991-09-13 1993-03-09 Knowles Electronics, Inc. Hearing and output transducer with self contained amplifier
US5682020A (en) 1991-12-09 1997-10-28 Oliveira; Robert J. Sealing of hearing aid to ear canal
US5220612A (en) 1991-12-20 1993-06-15 Tibbetts Industries, Inc. Non-occludable transducers for in-the-ear applications
US5299176A (en) 1991-12-20 1994-03-29 Tibbetts Industries, Inc. Balanced armature transducers with transverse gap
US5887070A (en) 1992-05-08 1999-03-23 Etymotic Research, Inc. High fidelity insert earphon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DK170012B1 (da) 1992-09-10 1995-04-24 Peer Kuhlmann Øremikrofon til indsætning i øre i forbindelse med mobiltelefoner og mobilradio
US5647013C1 (en) 1992-10-29 2001-05-08 Knowles Electronics Co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D360691S (en) 1993-09-01 1995-07-25 Knowles Electronics, Inc. Hearing aid receiver
USD360949S (en) 1993-09-01 1995-08-01 Knowles Electronics, Inc. Hearing aid receiver
USD360948S (en) 1993-09-01 1995-08-01 Knowles Electronics, Inc. Hearing aid receiver
US5655026A (en) 1993-12-23 1997-08-05 Otto Engineering, Inc. Ear receiver
US5692059A (en) 1995-02-24 1997-11-25 Kruger; Frederick M. Two active element in-the-ear microphone system
US5661420A (en) 1995-03-08 1997-08-26 Etymotic Research, Inc. Mounting configuration for monolithic integrated circuit
US5721783A (en) 1995-06-07 1998-02-24 Anderson; James C. Hearing aid with wireless remote processor
DE19525865A1 (de) 1995-07-15 1997-01-16 Sennheiser Electronic Hörhilfe mit einem elektrodynamischen Schallwandler
NL1000878C2 (nl) 1995-07-24 1997-01-28 Microtronic Nederland Bv Transducer.
NL1000880C2 (nl) 1995-07-24 1997-01-28 Microtronic Nederland Bv Transducer.
USD377796S (en) 1995-09-13 1997-02-04 Sony Corporation Earphone combined with microphone
US5753870A (en) 1995-10-23 1998-05-19 Schlaegel; Norman D. Continuous flow earmold tubing connector with a filter
US5687244A (en) 1996-03-28 1997-11-11 Stanton Magnetics, Inc. Bone conduction speaker and mounting system
NL1004877C2 (nl) 1996-12-23 1998-08-03 Microtronic Nederland Bv Elektroakoestische transducent.
US6041131A (en) 1997-07-09 2000-03-21 Knowles Electronics, Inc. Shock resistant electroacoustic transducer
JP3314149B2 (ja) * 1997-11-12 2002-08-12 リオン株式会社 内装型イヤホンの取付構造
US6205227B1 (en) 1998-01-31 2001-03-20 Sarnoff Corporation Peritympanic hearing instrument
US5960093A (en) 1998-03-30 1999-09-28 Knowles Electronics, Inc. Miniature transducer
DE19821860A1 (de) 1998-05-15 1999-11-18 Nokia Deutschland Gmbh Treiber für flaches Klangpaneel
US6137889A (en) 1998-05-27 2000-10-24 Insonus Medical, Inc. Direct tympanic membrane excitation via vibrationally conductive assembly
NL1011733C1 (nl) 1999-04-06 2000-10-09 Microtronic Nederland Bv Elektroakoestische transducent met een membraan en werkwijze voor het bevestigen van een membraan in een dergelijke transducent.
USD468299S1 (en) 1999-05-10 2003-01-07 Peter V. Boesen Communication device
US6658134B1 (en) 1999-08-16 2003-12-02 Sonionmicrotronic Nederland B.V. Shock improvement for an electroacoustic transducer
WO2001026413A2 (en) 1999-10-07 2001-04-12 Knowles Electronics, Llc Electro-acoustic transducer with resistance to shock-waves
DE19954880C1 (de) 1999-11-15 2001-01-25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Elektromagnetischer Wandler zur Schallerzeugung in Hörhilfen, insbesondere miniaturisierten elektronischen Hörgeräten
US7164776B2 (en) 2000-01-07 2007-01-16 Knowles Electronics, Llc. Vibration balanced receiver
JP4260333B2 (ja) 2000-03-16 2009-04-30 スター精密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
EP1302092A2 (en) 2000-05-24 2003-04-16 Sonionmicrotronic Nederland B.V. An assembly comprising an electrical element
US7050602B2 (en) 2000-08-14 2006-05-23 Knowles Electronics Llc. Low capacitance receiver coil
USD453119S1 (en) 2000-11-14 2002-01-29 Star Micronics Co., Ltd. Audible signal for alarms
US7103196B2 (en) 2001-03-12 2006-09-05 Knowles Electronics, Llc. Method for reducing distortion in a receiver
JP2002300698A (ja) 2001-04-02 2002-10-11 Star Micronics Co Ltd レシーバおよび携帯用通信機器
EP1248496A3 (en) 2001-04-04 2005-11-02 Sonionmicrotronic Nederland B.V. Aucoustic receiver having improved mechanical suspension
US6727789B2 (en) * 2001-06-12 2004-04-27 Tibbetts Industries, Inc. Magnetic transducers of improved resistance to arbitrary mechanical shock
USD468300S1 (en) 2001-06-26 2003-01-07 Peter V. Boesen Communication device
USD468301S1 (en) 2001-08-09 2003-01-07 Star Micronics Co., Ltd. Earphone
JP3768431B2 (ja) 2001-10-31 2006-04-19 スター精密株式会社 挿入型イヤホン
US7190803B2 (en) 2002-04-09 2007-03-13 Sonion Nederland Bv Acoustic transducer having reduced thickness
US7206425B2 (en) 2003-01-23 2007-04-17 Adaptive Technologies, Inc. Actuator for an active noise control system
USD490399S1 (en) 2003-02-14 2004-05-25 Star Micronics Co., Ltd. Earphone with microphone
CN1771762A (zh) * 2003-03-03 2006-05-10 舒尔.阿奎西什控股公司 具有隔音入耳式驱动器的头戴式通信送受话器
US7415125B2 (en) 2003-05-09 2008-08-19 Knowles Electronic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coustic energy in a receiver assembly with improved diaphragms-linkage arrangement
US7024010B2 (en) 2003-05-19 2006-04-04 Adaptive Technologies, Inc. Electronic earplug for monitoring and reducing wideband noise at the tympanic membrane
TWM245708U (en) * 2003-11-26 2004-10-01 Wintecronics Ltd Plug-in speakerphon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the plug-in speakerphone
US7321664B2 (en) 2004-01-13 2008-01-22 Sonionmicrotronic Nederland B.V. Receiver having an improved bobbin
JP2005278015A (ja) 2004-03-26 2005-10-06 Star Micronics Co Ltd イヤホン
US7362878B2 (en) 2004-06-14 2008-04-22 Knowles Electronics, Llc. Magnetic assembly for a transducer
JP2006033417A (ja) * 2004-07-16 2006-02-02 Rion Co Ltd 内装型イヤホンの取付構造
US7242788B2 (en) 2004-08-16 2007-07-10 Hpv Technologies, Llc Securing magnets in high-efficiency planar magnetic transducers
US7317806B2 (en) 2004-12-22 2008-01-08 Ultimate Ears, Llc Sound tube tuned multi-driver earpiece
US7194103B2 (en) 2004-12-22 2007-03-20 Ultimate Ears, Llc In-ear monitor with hybrid diaphragm and armature design
US7194102B2 (en) 2004-12-22 2007-03-20 Ultimate Ears, Llc In-ear monitor with hybrid dual diaphragm and single armature design
US7263195B2 (en) 2004-12-22 2007-08-28 Ultimate Ears, Llc In-ear monitor with shaped dual bore
US7529379B2 (en) 2005-01-04 2009-05-05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in-ear acoustic response for confirming the identity of a user
ATE515897T1 (de) 2005-01-10 2011-07-15 Sonion Nederland Bv Hörgerät mit miniaturlautsprecher
EP1878305B1 (en) 2005-03-28 2012-10-03 Knowles Electronics, LLC Acoustic assembly for a transducer
US7489794B2 (en) 2005-09-07 2009-02-10 Ultimate Ears, Llc Earpiece with acoustic vent for driver response optimization
JP4210677B2 (ja) * 2005-09-08 2009-01-21 リオン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及びこれを用いた補聴器
US20070104340A1 (en) 2005-09-28 2007-05-10 Knowles Electron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Transducer Module
WO2007089845A2 (en) 2006-01-30 2007-08-09 Etymotic Research, Inc. Insert earphone using a moving coil driver
US8031900B2 (en) 2006-02-27 2011-10-04 Logitech International, S.A. Earphone ambient eartip
US8208674B2 (en) 2006-05-23 2012-06-26 Rh Lyon Corp Squeeze-stretch driver for earphone and the like
US8170249B2 (en) 2006-06-19 2012-05-01 Sonion Nederland B.V. Hearing aid having two receivers each amplifying a different frequency range
USD567217S1 (en) 2006-08-18 2008-04-22 Star Micronics Co., Ltd. Earphone
JP4921197B2 (ja) * 2007-02-06 2012-04-25 スター精密株式会社 挿入型イヤホン
US8194911B2 (en) 2007-03-27 2012-06-05 Logitech International, S.A. Earphone integrated eartip
JP5167355B2 (ja) 2007-07-23 2013-03-21 エイシアス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ダイアフォニック音響変換連結器およびイヤホン
US8135163B2 (en) 2007-08-30 2012-03-13 Klipsch Group, Inc. Balanced armature with acoustic low pass filter
DE102008049932A1 (de) 2007-10-02 2009-05-28 Phitek Systems Ltd. Bauteil für Kopfhörer mit Geräuschunterdrückung
JP2009153103A (ja) * 2007-10-02 2009-07-09 Phitek Systems Ltd ノイズ低減イヤホン用の構成部分
US8447059B2 (en) 2007-10-31 2013-05-21 Thx Ltd Earphone device
US8238596B2 (en) 2007-12-10 2012-08-07 Klipsch Group, Inc. In-ear headphones
EP2101512B1 (en) 2008-03-12 2012-07-18 AKG Acoustics GmbH In-ear earphone with multiple transducers
US20090296971A1 (en) * 2008-05-29 2009-12-03 Siemens Hearing Instruments, Inc. Hearing Instrument Receiver With Improved Low-Frequency Efficienc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5287B2 (en) 2016-02-01 2022-09-13 Sony Corporation Sound out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08400A (en) 2012-02-16
CN102986245A (zh) 2013-03-20
KR101829419B1 (ko) 2018-02-19
JP2013534115A (ja) 2013-08-29
TWI468028B (zh) 2015-01-01
JP5793566B2 (ja) 2015-10-14
WO2012006211A1 (en) 2012-01-12
SG186794A1 (en) 2013-02-28
US20120008814A1 (en) 2012-01-12
US8548186B2 (en) 2013-10-01
EP2591612A1 (en) 2013-05-15
CN102986245B (zh) 2016-06-01
EP2591612B1 (en)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419B1 (ko) 이어폰 조립체
US7822218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mounting in shells of hearing prostheses
US200701043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Transducer Module
US20230100866A1 (en) Bone conduction acoustic device, method for assembling bone conduction acoustic device and bone conduction earphone
JP5886126B2 (ja) イヤホンとそれを用いた聴取装置
JP2001313989A (ja) 骨導振動子及びこれを利用した骨導スピーカヘッドセット
JP2012085097A (ja) イヤホン、音響変換装置
US11570534B2 (en) Speaker device
JP5700704B2 (ja) スピーカ装置
JP2010519854A (ja) スピーカ磁束収集システム
WO2000027166A9 (en) Transducer concepts for hearing aids and other devices
CN114257912A (zh) 具有用于驱动器的固定支架的混合接收器
KR101222416B1 (ko) 듀얼 서스펜션 스피커
US20080190688A1 (en) Speaker Embodying A Stereo Sound
KR101503821B1 (ko) 양방향 스피커
KR102453587B1 (ko) 마이크 일체형 리시버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어폰
WO2013079930A2 (en) Transducer
JPH08195994A (ja) 骨伝導イヤホンマイク
KR20050080117A (ko) 피로 감소를 위한 소형 스피커 유닛
KR20020070475A (ko) 청각보조기
KR100418487B1 (ko) 두 채널 일체형 박형 스피커
CN220776077U (zh) 传音组件、耳机装置和核磁共振设备
US20130028455A1 (en) Hearing apparatus having a special sound channel
US11696077B2 (en) Speaker device
CN219876001U (zh) 声学模块以及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