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0475A - 청각보조기 - Google Patents

청각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0475A
KR20020070475A KR1020027008977A KR20027008977A KR20020070475A KR 20020070475 A KR20020070475 A KR 20020070475A KR 1020027008977 A KR1020027008977 A KR 1020027008977A KR 20027008977 A KR20027008977 A KR 20027008977A KR 20020070475 A KR20020070475 A KR 20020070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hearing aid
diaphragm
yok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2979B1 (ko
Inventor
타케시타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템코 재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템코 재팬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템코 재팬
Publication of KR20020070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9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02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adapted to be supported entirely by e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0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comprising pocket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1/00Transducers of moving-armature or moving-core type
    • H04R11/02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41Adaptation of stereophonic signal reproduc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Adornment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난청자가 회화를 하거나 텔레비를 볼 때, 주로 필요한 음만을 청취하는데 적절한 청각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에 있어서, 마이크와 앰프 및 구동용 배터리를 구비한 본체부와, 이에 접속되는 활전도 스피커로 구성된 스피커부로 이루어진다. 이에 이용되는 활전도스피커로서는, 보이스코일을 권장하는 중앙자극을 갖는 요크를 설치하고, 상기 요크를 4방향으로 연장하여 그의 연장부분내의 대향하는 2부분에 각각 마그네트를 배치함과 함께, 다른 2부분에 진동판 고정부를 설치하며, 상기 진동판 고정부에 진동판을 고정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청각보조기{AURAL AID}
종래, 난청자가 회화를 하거나 텔레비를 볼 경우, 청각보조기구로서는 보청기 밖에 없었다.
이 보청기는 일반적으로, 기도식인 것에 있어서, 귀에 부착되어 사용되어진다. 따라서, 텔레비음 청취라던가, 특정인과의 회화와 같이, 필요한 음만을 청취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에는 적당하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난청자가 회화를 하거나 텔레비를 볼 경우 중요하고 필요한 음만을 청취하는데 적절한 청각보조기구가 없었기 때문에 본 발명은 그와 같은 용도에 적합한 청각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콤팩트하고 고성능이어서 강도적으로도 충분한 활전도 스피커를 이용한 청각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청각보조기, 보다 상세하게는, 난청자가 회화를 하거나 텔레비를 볼 경우, 잡음 상황하에서 회화를 하는 경우 등에 청각보조를 위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콤팩트하고 고성능의 활전도 스피커를 이용한 청각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청각보조기의 전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피커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피커부의 또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이용되기 적합한 활전도 스피커를 하우징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이용되기 적합한 활전도 스피커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이용되기에 적합한 활전도 스피커의 도 5의 경우와 직각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이용되기에 적합한 활전도 스피커의 진동판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이용되기에 적합한 활전도 스피커의 진동판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마이크와 앰프 및 구동용 배터리를 구비한 본체와, 이에 접속되는 활전도 스피커로 구성되는 스피커부로 이루어지는 청각보조기로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여기에 이용되는 활전도 스피커로서는, 보이스코일을 권장하는 중앙 자극을 갖는 요크를 설치하고, 상기 요크를 4방향으로 연장하여 그의 연장부분내의 대향하는 2부분에 각각 마그네트를 배치함과 함께 다른 2부분에 진동판 고정부를 설치하여 상기 진동판 고정부에 진동판을 고정하여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청각보조기는, 본체부(1)와, 본체부(1)에 접속되는 스피커부(2)로 이루어진다.
본체부(1)는 마이크(3), 전선스위치(4) 및 음량조정부(5)를 구비한다.
또한, 앰프와 이를 구동하는 배터리가 내장된다.
본체부(1)의 측면에는, 스피커 케이블 접속단자(6)가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오디오 케이블 접속단자(7)가 설치된다(도 3참조).
스피커(2)는 활전도 스피커(8)와, 그의 일측면에 돌설된 적지부(9)와, 케이블(10)로 이루어지며, 케이블(10)의 콘넥터(11)를 본체부(1)의 스피커 케이블 접속단자(6)에 꽂아 본체부(1)에 접속한다.
오디오 케이블 접속단자(7)에 접속되는 오디오케이블의 타단은, 음향출력장치의 음성출력단자에 접속된다.
오디오 케이블은, 음향출력장치로부터의 음향신호를 본체부(1)에 입력하는 입력수단이다.
음향 출력장치에는, 텔레비젼, CD플레이어, 라디오수신기 등의 음성신호와 오디오 신호 등의 음향신호를 음성출력단자로부터 출력하는 것이 포함된다.
상기 스피커부(2)는 적지부(9)를 손으로 잡아 사용하는 타입의 것이지만, 이를 헤드밴드를 이용하여 밴드 프리로 사용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일단에 꽂음구(14)를 설치한 헤드밴드(13)를 설치하고, 그의 꽂음구(14)에 적지부(9)의 축부(9a)를 꽂도록 한다(도 2참조).
또한, 스피커부(2)는, 후두부로 이동되는 변곡재(15)의 양단에 귀걸이부(16)를 취부하고, 그의 일방 또는 쌍방의 귀걸이부(16)에 활전도스피커(8)를 설치한 헤드셋(17)으로 구성할 수 있다(도 3참조).
그리고 스피커부(2)를 안경다리(통상 다리의 단부이지만, 중간부이어도 가능)에 취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스피커부(2)를 다리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4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이용되기에 적합한 활전도 스피커(8)에 대하여 설명한다.
활전도 스피커(8)는 중심자극(22)을 갖는 요크(21)와, 중심자극(22)을 휘어감는 도나츠형의 보이스코일(23)의 외측에 배치되는 분할 마그네트(24)와, 요크(21)의 진동고정부(26)에 취부되는 진동판(25)으로 구성된다.
요크(21)는, 보이스코일(23)보다 좀 크므로 4방향에 연장부분을 갖는다.
연장부분내의 대향하는 2개는 마그네트 설치부(27)이고, 다른 2개는 진동판 고정부설립부(28)이다.
마그네트 설치부(27)에는 각각 보이스코일(23)에 접하는 직방체형의 마그네트(24)가 고정된다.
마그네트(24)는 보이스코일(23)에 연하여 변곡하는 형상의 것이어도 좋다.
진동판 고정부(26)는 요크(21)의 진동판고정부입설부(28)에 보통 일체적으로 입설되는 것으로, 중심부에 진동판(25)을 고정하기 위한 구멍(29)를 갖는다.
진동판(25)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21)와 동일의 4방이 돌출한 형상으로, 도 8의 상하돌출부에 구멍(29)에 대응하는 구멍(30)을 갖고, 또한 도 8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중앙개구(31)를 갖는다.
진동판(25)은 스페이스(32)를 매개하여 진동판 고정부(26)상에 나사로 고정하지 않고 비스로 고정한다.
진동판(25)에는 플레이트 요크(33)가 취부된다.
플레이트 요크(33)는 중앙개구(31)에 연하여 늘어나고, 그의 중앙개구(31)내에 위치하는 부분은 두꺼우며, 보통 그의 상면과 진동판(25)이 한면이 되도록 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양단의 얇은 부분이 진동판(25)의 배면에 납땜 등에 의해 고정된다.
즉, 플레이트 요크(33)는 양단의 얇은 부분만이 진동판(25)에 고정되며, 중간의 두꺼운 부분은 중앙개구(31)에서 진동하는 상태로 된다.
플레이트 요크(33)의 중간두꺼운부위에는 통렬 2개의 구멍(34)이 형성되며, 하우징(35)으로의 결합시 그에 나사(36)를 끼우며, 스피커(37)전체가 하우징(35)에 취부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35)은 상하로 2분할 가능하다.
조립시 활전도 스피커(37)는 플레이트요크(33)를 매개하여 하우징(35)내에 부상한 상태로 취부되어진다.
음성 또는 오디오입력신호의 인가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하우징(35)에 유효하게 전달되기 위하여 효율 좋은 활전도 스피커(37)의 실현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마그네트(24)가 분할되어 (종래의 것은 원형으로, 그의 외측을 케이스가 휘어감는다), 동심원형으로 배치되어 그 이상으로 늘어나지 않도록 콤팩트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은 청각보조기를 회화에 이용할 때, 말하는 상대방에게 본체부(1)를 건네고, 그의 마이크(3)에 향하여 말하게 하고, 본인은 적지부(9)를 잡고 활전도 스피커(8)를 관자놀이 부근의 몇개소에 가볍게 눌러 닿게하여 가장 잘 들리는 개소를 선택한다.
음량은 본체부(1)의 음량조정부(5)를 돌려 조정한다.
텔레비를 볼 때 사용하는 경우에는 오디오 케이블의 일단을 오디오 케이블 접속단자(7)에 접속하고, 그의 타단을 통상 텔레비의 배면에 있는 음성출력단자에 접속하며, 상기와 같이하여, 또는 헤드밴드(13), 헤드셋, 안경다리 등을 매개하여 활전도 스피커(8)를 두부에 당접시킨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난청자가 회화를 하거나 텔레비를 볼 경우, 정상적인 청각인들이 잡음상황하에서 회화를 할 경우에 이용하기에 바람직하다.

Claims (10)

  1. 마이크와 앰프와 구동용 배터리를 구비한 본체와, 이에 접속되어 활전도 스피커로 구성되는 스피커부로 이루어지는 청각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오디오케이블 접속단자를 갖는 청각보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가, 활전도 스피커에 적지부를 돌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보조기.
  4. 제 1항에 있어서, 헤드밴드의 일단에 활전도 스피커를 취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보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가, 변곡재의 양단에 귀걸이부를 설치하고, 그의 일방 또는 쌍방에 활전도 스피커를 취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보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가, 안경다리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보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전도 스피커가, 보이스코일을 권장하는 중앙자극을 갖는 요크를 설치하고, 상기 요크를 4방향으로 연장하여, 그의 연장부분 내의 대향하는 2부분에 각각 마그네트를 배치함과 함께 다른 2부분에 진동판 고정부를 입설하여 상기 진동판 고정부에 진동판을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보조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활전도 스피커에서,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진동판 고정부가 동일 원주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보조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활전도 스피커에서, 상기 진동판이 중앙부에 횡장의 개구를 갖고, 상기 진동판에 고정된 플레이트 요크가 상기 중앙개구내에서 진동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보조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활전도 스피커에서, 하우징내 조립시, 상기 플레이트 요크가 상기 하우징 상면에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보조기.
KR1020027008977A 2000-11-22 2001-11-16 청각보조기 KR1007429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56508 2000-11-22
JP2000356508A JP3476764B2 (ja) 2000-11-22 2000-11-22 聴覚補助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475A true KR20020070475A (ko) 2002-09-09
KR100742979B1 KR100742979B1 (ko) 2007-07-26

Family

ID=18828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977A KR100742979B1 (ko) 2000-11-22 2001-11-16 청각보조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244333B1 (ko)
JP (1) JP3476764B2 (ko)
KR (1) KR100742979B1 (ko)
CN (1) CN1197434C (ko)
AT (1) ATE419726T1 (ko)
AU (1) AU784096B2 (ko)
CA (1) CA2398321A1 (ko)
DE (1) DE60137194D1 (ko)
WO (1) WO20020434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27889B3 (de) * 2003-06-20 2004-09-16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s Hörhilfegerätes sowie Hörhilfegerät mit einem Mikrofonsystem, bei dem unterschiedliche Richtcharakteristiken einstellbar sind und Programmiergerät dafür
WO2005096664A1 (ja) * 2004-03-31 2005-10-13 Temco Japan Co., Ltd. ハイブリッドスピーカ及びハイブリッドスピーカユニット
US7555136B2 (en) 2004-06-25 2009-06-30 Victorion Technology Co., Ltd. Nasal bone conduction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tting device
US8867765B2 (en) 2008-02-06 2014-10-21 Starkey Laboratories, Inc. Antenna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conductors for an audio transducer
EP2302951B1 (en) * 2009-09-24 2012-07-11 Oticon Medical A/S Method of determining a gain setting of a bone-anchored hearing aid
CN109863756B (zh) * 2016-10-28 2020-11-17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骨传导扬声器及骨传导头戴式耳机装置
IT201700096334A1 (it) * 2017-08-25 2019-02-25 Mandala Marco Sistema di stimolazione elettromeccanico per il trattamento del disturbo da tinnitu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0500A (en) * 1939-01-14 1941-02-04 E A Myers & Sons Bone conduction receiver
GB761169A (en) * 1954-05-11 1956-11-14 Fortiphone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earing aids
US3030456A (en) * 1958-12-08 1962-04-17 William F Knauert Bone-conduction all-in-one transistor amplifier hearing aid
JPS5588497A (en) * 1978-12-25 1980-07-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ar receiver
US4791673A (en) * 1986-12-04 1988-12-13 Schreiber Simeon B Bone conduction audio listening device and method
DE69738884D1 (de) * 1996-02-15 2008-09-18 Armand P Neukermans Verbesserte biokompatible wandler
JP2000286945A (ja) * 1999-03-31 2000-10-13 Risoo:Kk 骨導式補聴器のアダプ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165297A (ja) 2002-06-07
EP1244333A4 (en) 2006-09-13
EP1244333B1 (en) 2008-12-31
CN1395811A (zh) 2003-02-05
AU784096B2 (en) 2006-02-02
CN1197434C (zh) 2005-04-13
CA2398321A1 (en) 2002-05-30
WO2002043436A1 (fr) 2002-05-30
ATE419726T1 (de) 2009-01-15
KR100742979B1 (ko) 2007-07-26
JP3476764B2 (ja) 2003-12-10
DE60137194D1 (de) 2009-02-12
EP1244333A1 (en) 2002-09-25
AU1430102A (en) 200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9103B2 (ja) 振動板を用いた超小型骨導スピーカーおよびこれを備えた移動電話機
KR101135396B1 (ko) 다기능 초소형 스피커
US20230100866A1 (en) Bone conduction acoustic device, method for assembling bone conduction acoustic device and bone conduction earphone
JP2005534238A (ja) 電気音響変換器、変換器において使用されるコイルシステムおよび、コイルシステム製造方法
US20230087039A1 (en) Bone conduction earphone and method for assembling bone conduction earphone
CN214125513U (zh) 骨传导耳机
US20070223762A1 (en) External sound outputting device
WO2021063112A1 (zh) 骨传导扬声器、骨传导耳机及骨传导助听器
CN110677760A (zh) 耳机
KR20020070475A (ko) 청각보조기
JP5625928B2 (ja) テレビ番組出演用イヤホン
KR20010079380A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용 양방향 스피커
KR101503821B1 (ko) 양방향 스피커
US20030095677A1 (en) Aural aid
JPS6251040B2 (ko)
KR102625408B1 (ko) 스피커유닛 및 스피커 만곡진동판
JPH08195994A (ja) 骨伝導イヤホンマイク
KR20010008806A (ko) 접촉형 스피커
KR100612217B1 (ko) 체감음향, 골 전도 및 진동모터 특성을 보유한 다기능 양방향 마이크로스피커
CN210469688U (zh) 耳机
KR200295399Y1 (ko) 떨판을 이용한 초소형 골도 스피커 및 이를 구비한 이동전화기
KR101419491B1 (ko) 다채널 출력용 진동 이어폰
CN210491187U (zh) 骨传导扬声器、骨传导耳机及骨传导助听器
CN110100452B (zh) 耳机装置
JPH012501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