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9491B1 - 다채널 출력용 진동 이어폰 - Google Patents

다채널 출력용 진동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491B1
KR101419491B1 KR1020130148310A KR20130148310A KR101419491B1 KR 101419491 B1 KR101419491 B1 KR 101419491B1 KR 1020130148310 A KR1020130148310 A KR 1020130148310A KR 20130148310 A KR20130148310 A KR 20130148310A KR 101419491 B1 KR101419491 B1 KR 101419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upper cover
transmitted
sound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이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이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이디텍
Priority to KR1020130148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9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채널을 통해 입체감 있는 다중 스테레오를 구현할 수 있는 다채널 출력용 진동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진동부재를 내장할 수 있도록 내측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U'자 형상의 베이스 커버;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부재; 상기 진동부재와 내면이 결합되고 외부 가장자리의 하단이 베이스 커버의 상단과 결합되되, 중앙부에 상기 진동부재로부터의 진동을 출력할 수 있도록 진동 출력홀이 형성되어 있고, 일면에 소리 출력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커버 및 상기 상부커버의 진동 출력홀에 구비되고 하부에 구비된 돌기를 통해 상기 진동부재에 삽입 및 결합되어 상기 진동부재로부터의 진동을 전달하는 마스토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진동부재로부터 출력되는 진동이, 상기 마스토이드를 통해 귓바퀴 안쪽의 피부 내면에 전달되고, 상기 소리 출력홀을 통해 귀속 구멍에 전달되며, 상기 베이스 커버 및 상부커버가 결합되어 구성된 몸체부 자체를 통해 귓바퀴 안쪽의 내부 둘레면에 전달되기 때문에, 다채널을 통해 고음질의 입체감 있는 고서라운드 및 다중 스테레오로 영화 및 게임 등을 체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채널 출력용 진동 이어폰{VIBRATIVE TYPE EAR PHONE FOR OUTPUTTING SOUND IN MULTIPLE CHANNEL}
본 발명은 다채널 출력용 진동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 이어폰의 몸체부 내부에 구비된 진동부재를 통한 진동을 귓바퀴의 내면, 귓속 구멍 및 귓바퀴의 내부 둘레면에 다채널로 전달하여 다중 스테레오를 구현할 수 있는 다채널 출력용 진동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귀에 들리는 소리는 파동의 형태로 전달되며, 인간의 귀에 전달된 파동 형태의 소리는 공기 분자를 움직여 사람의 고막을 진동시킴에 따라 사람이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파동 형태의 소리는 인간의 외이도인 귓속 구멍 통해서 들어와 고막을 진동시킴으로써 고막 안쪽의 내이의 세포들이 뇌로 진동을 전달하게 되고 사람은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람이 귀를 통해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방법에는 크게 공기 전도 방식과 골 전도 방식이 있는 데,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전도 방식은 이어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소리가 고막을 통해 내이로 전달되는 방식으로서, 공기로 전해지는 소리의 진동은 귀속의 고막으로 전달되고, 고막 속에 자리 잡고 있는 망치뼈, 모루뼈 및 등자뼈와 같은 3개의 뼈를 통하여 진동이 달팽이관에 전달되는데, 이 달팽이관에는 린바액이라는 액체가 차 있고 이 액체의 진동이 전기신호로 바뀌면서 청각 신경에 전달되어 사람의 뇌가 소리를 인식하게 되는 방식이다.
한편, 골 전도 방식은 두개골을 통한 소리가 달팽이관에 전달되고, 청각 신경을 거쳐 뇌로 전달되는 방식으로서, 소리 인식 메커니즘에서 진동이 고막과 고막 속에 자리 잡고 있는 3개의 뼈를 경유하는 과정을 생략한 방식이다.
즉, 귀 주변의 피부 표면에 가해지는 음향 진동이 두개골을 통하여 직접 달팽이관에 전달됨으로써 고막이나 이소골(耳小骨)에 이상이 있는 난청자라도, 달팽이관이나 청각 신경이 정상이라면 피부를 통한 골 전도로 확실하게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람이 귀를 통해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해주는 기기인 이어폰은 소형의 스피커를 귀에 삽입하여 스피커의 음향이 사용자의 귓속에 직접 방출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적은 출력으로도 음의 청취가 가능하고 음을 청취하는 과정에서 주위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는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휴대전화,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음향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청취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어폰의 용도가 일반적인 음악을 청취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고음질의 영화나 게임 등을 현실감 있게 즐기는 추세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진동형 이어폰이나 골전도 이어폰과 같은 체감형 이어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예로서, 종래기술에 따른 골전도 이어폰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7-0122088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골전도 이어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골전도 이어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골전도 이어폰(100)은 원판 형태의 하부 커버(110)와, 상기 하부 커버(110)에 결합되며 상하부 방향으로 개방된 원통 형태의 케이스(120)와, 상기 케이스(120) 내측으로서 하부 커버(110) 위에 안착되는 철심(130)과, 상기 철심(130)의 외측에 위치되어 전기 신호를 진동 신호로 변환하는 보이스 코일(140)과, 상기 보이스 코일(140)의 바깥에 결합되어 진동 신호를 증폭하는 마그네트(150)와, 상기 마그네트(150)의 상부로서 상기 보이스 코일(140)의 바깥에 결합되는 진동 금속링(160)과, 상기 보이스 코일(140)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 마스토이드(170)와, 상기 하부 마스토이드(170) 위에 결합되는 진동판(180)과, 상기 하부마스토이드(170) 및 진동판(180)에 결합되는 상부 마스토이드(190)로 구성되어, 외부의 전기적 신호가 보이스 코일(140)에 전달되면, 상기 보이스 코일(140)이 마그네트(150)와의 인력 또는 척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며, 이러한 진동은 금속링(160)에 의해 더욱 증폭되어 상기 하부 마스토이드(170)에 전달되고, 상기 하부 마스토이드(170)의 진동은 진동판(180)에 의해 가장 크게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게 되어서, 결국 상부 마스토이드(190)를 통하여 인체의 두개골에 고음을 출력하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7-0122088호(명칭 : 골전도 스피커, 출원인 : 필스전자 주식회사 외 1인, 공개일 : 2007, 12, 28)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골전도 이어폰은, 진동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고음대역의 음향이 이어폰의 중앙으로만 출력되기 때문에, 이어폰의 중앙을 통해 외이도로 출력되는 음향은 잘 들을 수 있지만, 귓바퀴 안쪽의 피부 내면 및 귓바퀴 안쪽의 내부 둘레면으로는 진동을 통한 음향을 거의 전달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골전도 이어폰은, 진동부재에 의한 진동이 하나의 채널을 통해서만 음향으로 출력되기 때문에, 이어폰 사용자는 서라운드없이 둔탁한 고역대의 음향만을 귓속으로 전달받게 되며, 고음질의 영화나 게임 등을 입체감있게 고서라운드로 즐기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어폰 몸체부 내의 진동부재로부터 출력되는 진동을, 몸체부 상부에 구비된 마스토이드를 통해 귓바퀴 안쪽의 피부 내면에 중고역대로 전달하고, 상기 몸체부 상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연장되고 소리 출력홀이 형성된 귓속 삽입부를 통해 귓속 구멍에 고역대로 전달하며, 상부커버 및 베이스 커버로 구성된 몸체부 자체를 통해 귓바퀴 안쪽의 내부 둘레에 중저역대로 전달함으로써, 다채널을 통해 입체감 있는 다중 스테레오를 구현할 수 있는 다채널 출력용 진동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목적 및 다른 추가적인 목적들이, 첨부되는 청구항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들에게 명백히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출력용 진동 이어폰은, 진동부재(220)를 내장할 수 있도록 내측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U'자 형상의 베이스 커버(210);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부재(220); 상기 진동부재(220)와 내면이 결합되고 외부 가장자리의 하단이 베이스 커버(210)의 상단과 결합되되, 중앙부에 상기 진동부재(220)로부터의 진동을 출력할 수 있도록 진동 출력홀(232)이 형성되어 있고, 일면에 소리 출력홀(234)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커버(230) 및 상기 상부커버(230)의 진동 출력홀(232)에 구비되고 하부에 구비된 돌기(251)를 통해 상기 진동부재(220)에 삽입 및 결합되어 상기 진동부재(220)로부터의 진동을 전달하는 마스토이드(250)를 포함하되, 상기 진동부재(220)로부터 출력되는 진동은, 상기 마스토이드(250)를 통해 귓바퀴 안쪽의 피부 내면에 전달되고, 상기 소리 출력홀(234)을 통해 귀속 구멍에 전달되며, 상기 베이스 커버(210) 및 상부커버(230)가 결합되어 구성된 몸체부(215) 자체를 통해 귓바퀴 안쪽의 내부 둘레면에 전달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커버(230)의 상부 일면에는 상부로 돌출 연장되면서 상기 소리 출력홀(234)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진동부재(22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할 수 있도록 귓속 구멍에 삽입되는 귓속 삽입부(235)가 형성되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커버(230)의 진동 출력홀(232)은 외주면을 따라 단턱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단턱이 형성된 진동 출력홀(232) 상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커버(230)와 마스토이드(250)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쿠션판(240)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진동부재(220)는, 전기적인 진동을 상기 마스토이드(250), 소리 출력홀(234) 및 몸체부(215)를 통해 전달하는 요소를 수납하는 유닛 프레임(221); 상기 유닛 프레임(221)의 내부에 안착 및 접착된 후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음향에 대한 전기적인 진동신호를 인가받아 자력을 발생시키는 보이스 코일(222); 일측면에 구비된 마그넷(224)을 통해 형성된 자기장을 모아서 상기 보이스 코일(222)에 전달하는 요크 플레이트(223); 상기 보이스 코일(222)에서 발생되는 자력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물리적으로 진동하도록 자성을 갖는 마그넷(224); 상기 보이스 코일(222)과 마그넷(224)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자력을 한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마그넷(224)의 하부에 구비된 방자판(225); 상기 보이스 코일(222)로부터 발생되는 음향 신호를 진동으로 변환시키도록 상기 방자판(225)의 하부 중심부에 형성된 돌기부와 결합되는 텐션 플레이트(226) 및 상기 보이스 코일(222)과 도선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진동부재(220)의 진동을 통해 음향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PCB 기판(227)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커버(210)의 하단에는 이어폰 잭이 말단에 구비된 케이블을 수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케이블 삽입구(211)가 형성된 케이블 수납부재(212)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출력용 진동 이어폰에 따르면, 이어폰 몸체부 내의 진동부재로부터 출력되는 진동을, 몸체부 상부에 구비된 마스토이드를 통해 귓바퀴 안쪽의 피부 내면에 전달하고, 상기 몸체부 상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연장되고 소리 출력홀이 형성된 귓속 삽입부를 통해 귓속 구멍(외이도)에 전달하며, 상기 진동부재를 내장하고 있는 몸체부 자체를 통해 귓바퀴 안쪽의 내부 둘레에 전달함으로써, 다채널을 통해 고음질의 입체감 있는 고서라운드 및 다중 스테레오로 영화 및 게임 등을 체감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귓바퀴의 안쪽의 피부 내면에 중고역대의 진동을 출력하고, 외이도인 귓속 구멍에 고역대의 진동 신호를 출력하며, 귓바퀴 안쪽의 내부 둘레에 중저역대의 진동을 출력함으로써, 저역, 중역 및 고역대의 진동에 따른 청명한 음향을 다채널로 구현하여 음향의 출력효율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들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히 될 것이다.
도 1은 공기 전도 방식과 골 전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람의 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골전도 이어폰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골전도 이어폰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출력용 진동 이어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출력용 진동 이어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출력용 진동 이어폰의 부분 절개도.
도 7은 상기 도 5 및 도 6의 외면에 이어러버가 결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출력용 진동 이어폰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면들 중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며,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후술하는 실시예 및 실시 형태들은 예시로서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여기에 주어진 상세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및 동등물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로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출력용 진동 이어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출력용 진동 이어폰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출력용 진동 이어폰의 부분 절개도이며, 도 7은 상기 도 5 및 도 6의 외면에 이어러버가 결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출력용 진동 이어폰은, 베이스 커버(210), 진동부재(220), 상부커버(230), 쿠션판(240) 및 마스토이드(2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커버(210)는 상기 진동부재(220)를 내장하여 보호할 수 있도록 내측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U'자 형상을 갖고서 상기 진동부재(220)로부터 전달되는 중저역대의 진동을 귓바퀴 안쪽의 내부 둘레에 전달하는 실리콘 재질의 후방 케이스로서, 상기 베이스 커버(210)의 하단에는 이어폰 잭이 말단에 구비된 케이블을 수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케이블 삽입구(211)가 형성된 케이블 수납부재(212)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진동부재(220)는 전기적인 진동을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원통형의 진동자로서, 유닛 프레임(221), 보이스 코일(222), 요크 플레이트(223), 마그넷(224), 방자판(225), 텐션 플레이트(226) 및 PCB 기판(227)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유닛 프레임(221)은 상기 진동부재(220)의 전기적인 진동에 따른 음향을 이어폰 사용자의 귓속 및 귓벽에 전달하는 원통형의 케이스로서, 상단 중앙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후술하는 마스토이드의 돌기에 전기적인 진동을 전달한다.
상기 보이스 코일(222)은 원통형의 형상으로 권선된 구조를 갖되, 상기 유닛 프레임(221)의 내부에 안착된 후 내열성 강력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후술하는 PCB 기판의 +, - 인출도선(도시 생략)을 통해 전달되는 음향에 대한 전기적인 진동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진동부재(220)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보이스 코일(222)은 PCB 기판으로부터의 진동에 대한 전류의 세기 및 후술하는 마그넷의 자성에 의해 소정의 주파수 대역으로 진동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요크 플레이트(223)는 후술하는 마그넷을 통해 형성된 자기장을 모아서 상기 보이스 코일(222)에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중심과 가까운 외연부에 도넛 형상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요크 플레이트의 중앙부와 외부 가장자리부가 서로 이격되어 분리되는 구조로 구성되되, 상기 원통형상으로 권선된 보이스 코일(222)이 상기 요크 플레이트(223)의 중앙부와 외부 가장자리부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상기 도넛 형상의 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그넷(224)은 자성을 가지고서 상기 보이스 코일(222)에서 발생되는 자력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물리적으로 진동하도록, 금속 재질의 상기 요크 플레이트(223)와는 자력에 의해 부착되거나 본딩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마그넷(224)은 상기 요크 플레이트(223)와 동일한 형상, 즉 중심과 가까운 외연부에 도넛 형상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마그넷의 중앙부와 외부 가장자리부가 서로 이격되어 분리되는 구조로 구성되되, 상기 원통형상으로 권선된 보이스 코일(222)이 상기 요크 플레이트(223)를 관통하여 상기 마그넷(224)의 중앙부와 외부 가장자리부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상기 도넛 형상의 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자판(225)은 상기 보이스 코일(222)과 마그넷(224)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음의 일차적인 감쇄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자력을 한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마그넷(224)의 하부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거나 본딩에 의해 결합되며, 중앙부와 외부 가장자리부가 서로 분리된 마그넷(224)을 하부에서 지지할 있도록 원판형상을 이루되, 원판형상의 하부 중심부에 형성된 돌기부가 후술하는 텐션 플레이트의 중앙 홀에 삽입 및 고정되도록 전체적으로 'ㅜ'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텐션 플레이트(226)는 중앙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방자판(225)의 하부 중심부에 형성된 돌기부와 결합되며, 상기 보이스 코일(222)로부터 발생되는 음향 신호를 부드러운 진동으로 변환시키는 진동용 판 스프링이다.
상기 PCB 기판(227)은 상기 진동부재(220)의 진동을 통해 음향이 출력될 수 있도록 전자부품이 실장되며, +, - 인출선(도시 생략)을 통해 상기 보이스 코일(222)과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가 개방된 상기 유닛 프레임(221)의 하단 외연부에 본딩에 의해 결합되되 중앙부에 홀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전체적으로 도넛 형성을 이루되, 상기 텐션 플레이트(226)로부터의 진동을 감쇄시키지 않도록 상기 텐션 플레이트(226)와는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상부커버(230)는 내면이 상기 진동부재(220)의 유닛 프레임(221)의 상부 및 외주면과 본딩에 의해 접착되고, 외부 가장자리의 하단이 상기 'U'자 형상을 갖는 베이스 커버(210)의 상단과 본딩에 의해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출력용 진동 이어폰의 몸체부(215)를 이루도록 구성된 실리콘 재질의 상부 케이스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커버(230)의 중앙부에는 상기 진동부재(220)로부터의 중고역대의 진동을 출력하는 마스토이드(25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단턱이 형성된 진동 출력홀(2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의 일면에는 상부로 돌출 연장되면서 소리 출력홀(234)이 형성되어 상기 진동부재(220)를 통해 전달되는 고역대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귓속에 삽입되는 귓속 삽입부(235)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커버(230)의 상부의 일면에 상부로 돌출 연장되면서 소리 출력홀(234)이 형성된 귓속 삽입부(235)가 설명되어 있지만, 진동부재(220)를 통해 고역대의 소리를 귓속 구멍에 출력할 수 있기만 하면, 상기 돌출 연장된 귓속 삽입부(235) 없이 상부커버(230)의 일면에 소리 출력홀(234)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한편, 상기 쿠션판(240)은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단턱이 형성된 진동 출력홀(232) 상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커버(230)와 마스토이드(250)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진동부재(220)로부터 마스토이드를 통해 전달되는 강한 임팩트한 진동을 완충시킨다.
여기서, 상기 쿠션판(240)은 상기 상부커버(230)와 마스토이드(250) 사이에 구비되어 직접 접촉 방지 및 완충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만 하면, 기름종이, 스펀지, 필름지, 부직포 중 어느 하나와 같이 탄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마스토이드(250)는 상기 쿠션판(240) 및 진동부재(220)를 관통하여 삽입 및 결합되는 돌기(251)를 구비하고서 상기 진동부재(22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귓바퀴 안쪽의 피부 내면에 전달한다.
즉, 상기 마스토이드(250)는 하측면의 중앙부에서 돌기(251)가 돌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ㅜ'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돌기(251)가 상기 진동부재(220)의 유닛 프레임(221)의 중앙부에 형성된 홀에 삽입 및 결합되어, 상기 진동부재(220)로부터 전달되는 중고역대의 진동을 출력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출력용 진동 이어폰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15), 즉 베이스 커버(210)와 상부 커버(230)가 결합된 구성에서 상기 베이스 커버(210)의 일부와 상기 상부 커버(230)의 진동 출력홀(232) 및 소리 출력홀(234)을 제외한 전체를 고무재질의 이어러버(260)로 감싸서, 진동 이어폰이 귓속에 삽입시 착용감을 증대시키면서 몸체부(215)를 통한 진동이 귓바퀴 안쪽의 내부 둘레면에 부드럽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어러버(260)는 상기 몸체부(215)에 밀착력있게 씌워질 수도 있고, 귓바퀴 안쪽의 내부 둘레면에 보다 부드러운 진동이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커버(230)의 귓속 삽입부(235)의 반대측의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몸체부(215)의 외주면을 따라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외부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출력용 진동 이어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진동부재(220)의 PCB 기판(227)에 있는 +, - 인출선을 통해 스마트폰, CD 플레이어 및 MP3와 같은 휴대용 기기로부터의 전기적인 음향신호가 보이스 코일(222)에 인가된다.
다음에, 상기 보이스 코일(222)에서 자체에서 발생되는 자력과, 방자판(225)을 통해 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마그넷(224)의 자계가 마그넷 상에 구비된 요크 플레이트(223)를 통해 모아지면서 상호 작용하여, 흡입 및 반발하는 물리적인 진동력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보이스 코일(222)과 마그넷(224)이 상하 진동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보이스 코일(222)에서는 음향에 따른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방자판(225)의 하부 돌기부와 결합된 텐션 플레이트(226)가 상기 보이스 코일(222)로부터 발생되는 진동과 마그넷(224)의 자력에 의해 부드럽게 떨리면서 진동하게 되고, 상기 보이스 코일(222)과 결합된 유닛 프레임(221)도 진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부재(220)로부터의 진동은 사용자의 귓바퀴 안쪽의 피부 내면과 밀접촉하는 마스토이드(250)를 통해 대략 60% 정도의 중고역대로 전달되고, 몸체부(215)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소리 출력홀(234)이 형성된 귓속 삽입부(235)를 통해 외이도인 귓속 구멍에 대략 10% 정도의 고역대로 전달되며, 상기 진동부재(220)와 결합된 상부커버(230) 및 상기 상부커버(230)와 결합되어 구성된 몸체부(215) 자체를 통해 사용자의 귓바퀴 안쪽의 내부 둘레면에 대략 30% 정도의 중저역대로 전달되어, 입체감있는 고서라운드 음향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210 : 베이스 커버 215 : 몸체부
220 : 진동부재 221 : 유닛 프레임
222 : 보이스 코일 223 : 요크 플레이트
224 : 마그넷 225 : 방자판
226 : 텐션 플레이트 227 : PCB 기판
230 : 상부커버 240 : 쿠션판
250 : 마스토이드 260 : 이어러버

Claims (5)

  1. 진동을 음향으로 변환하여 다채널을 통해 출력하는 진동 이어폰으로서,
    진동부재(220)를 내장할 수 있도록 내측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U'자 형상을 갖고서, 진동부재(220)로부터 전달되는 중저역대의 진동을 귓바퀴 안쪽의 내부 둘레면에 전달하는 베이스 커버(210);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부재(220);
    상기 진동부재(220)와 내면이 결합되고 외부 가장자리의 하단이 베이스 커버(210)의 상단과 결합되되, 중앙부에 상기 진동부재(220)로부터의 진동을 출력할 수 있도록 진동 출력홀(232)이 형성되어 있고, 일면에 소리 출력홀(234)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커버(230); 및
    상기 상부커버(230)의 진동 출력홀(232) 상에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하부에 구비된 돌기(251)를 통해 상기 진동부재(220)에 삽입 및 결합되어 상기 진동부재(220)로부터 전달되는 중고역대의 진동을 귓바퀴 안쪽의 피부 내면과 밀접촉하여 전달하는 마스토이드(250)를 포함하되,
    상기 진동부재(220)로부터 출력되는 진동은, 귓바퀴 안쪽의 피부 내면과 밀접촉하는 상기 마스토이드(250)를 통해 귓바퀴 안쪽의 피부 내면에 전달되고, 상기 소리 출력홀(234)을 통해 귀속 구멍에 전달되며, 상기 베이스 커버(210) 및 상부커버(230)가 결합되어 구성된 몸체부(215) 자체를 통해 귓바퀴 안쪽의 내부 둘레면에 전달되고,
    상기 상부커버(230)의 상부 일면에는 상부로 돌출 연장되면서 상기 소리 출력홀(234)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진동부재(220)를 통해 전달되는 고역대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할 수 있도록 귓속 구멍에 삽입되는 귓속 삽입부(23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커버(230)의 진동 출력홀(232)은 외주면을 따라 단턱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단턱이 형성된 진동 출력홀(232) 상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커버(230)와 마스토이드(250)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진동부재(220)로부터 마스토이드(250)를 통해 전달되는 강한 임팩트한 진동을 완충시키는 쿠션판(240)을 더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커버(210)와 상부 커버(230)가 결합된 몸체부(215)의, 상기 상부 커버(230)의 귓속 삽입부(235)의 반대측의 소정의 위치에는 상기 몸체부(215)의 외주면을 따라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외부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이어러버(260)가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215)가 귓속에 삽입시 착용감을 증대시키면서 상기 몸체부(215)를 통한 진동이 귓바퀴 안쪽의 내부 둘레면에 부드럽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출력용 진동 이어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220)는,
    전기적인 진동을 상기 마스토이드(250), 소리 출력홀(234) 및 몸체부(215)를 통해 전달하는 요소를 수납하는 유닛 프레임(221);
    상기 유닛 프레임(221)의 내부에 안착 및 접착된 후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음향에 대한 전기적인 진동신호를 인가받아 자력을 발생시키는 보이스 코일(222);
    일측면에 구비된 마그넷(224)을 통해 형성된 자기장을 모아서 상기 보이스 코일(222)에 전달하는 요크 플레이트(223);
    상기 보이스 코일(222)에서 발생되는 자력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물리적으로 진동하도록 자성을 갖는 마그넷(224);
    상기 보이스 코일(222)과 마그넷(224)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자력을 한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마그넷(224)의 하부에 구비된 방자판(225);
    상기 보이스 코일(222)로부터 발생되는 음향 신호를 진동으로 변환시키도록 상기 방자판(225)의 하부 중심부에 형성된 돌기부와 결합되는 텐션 플레이트(226); 및
    상기 보이스 코일(222)과 도선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진동부재(220)의 진동을 통해 음향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PCB 기판(22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출력용 진동 이어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커버(210)의 하단에는 이어폰 잭이 말단에 구비된 케이블을 수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케이블 삽입구(211)가 형성된 케이블 수납부재(212)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출력용 진동 이어폰.
KR1020130148310A 2013-12-02 2013-12-02 다채널 출력용 진동 이어폰 KR101419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310A KR101419491B1 (ko) 2013-12-02 2013-12-02 다채널 출력용 진동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310A KR101419491B1 (ko) 2013-12-02 2013-12-02 다채널 출력용 진동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9491B1 true KR101419491B1 (ko) 2014-07-14

Family

ID=51742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310A KR101419491B1 (ko) 2013-12-02 2013-12-02 다채널 출력용 진동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94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2043A (zh) * 2019-10-11 2019-12-17 重庆市灵龙电子有限公司 一种扬声器及其动子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2999A (ko) * 2008-01-29 2009-08-03 김성호 이중프레임 및 이중마그네트 구조의 골전도 스피커
KR100934273B1 (ko) * 2009-06-10 2009-12-28 (주)바이브비에스 진동형 이어폰
KR101122126B1 (ko) * 2010-10-25 2012-03-16 주식회사 에코쉘 커널형 이어폰
KR101328390B1 (ko) * 2013-06-14 2013-11-13 (주)엔텍 진동타입 이어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2999A (ko) * 2008-01-29 2009-08-03 김성호 이중프레임 및 이중마그네트 구조의 골전도 스피커
KR100934273B1 (ko) * 2009-06-10 2009-12-28 (주)바이브비에스 진동형 이어폰
KR101122126B1 (ko) * 2010-10-25 2012-03-16 주식회사 에코쉘 커널형 이어폰
KR101328390B1 (ko) * 2013-06-14 2013-11-13 (주)엔텍 진동타입 이어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2043A (zh) * 2019-10-11 2019-12-17 重庆市灵龙电子有限公司 一种扬声器及其动子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827B1 (ko) 오디오 장치
US8447061B2 (en) Dual earphone using both bone conduction and air conduction
US9930436B2 (en) Bone conduction speaker
US20170111728A1 (en) Bone conduction speaker module and bone conduction earphones having bone conduction speaker modules
KR100934273B1 (ko) 진동형 이어폰
CN114615602A (zh) 一种骨传导扬声器
JP2007505540A6 (ja) オーディオ装置
CN109068248B (zh) 骨传导扬声器
JP2009543421A (ja) 多機能マイクロスピーカー
JPS6113440B2 (ko)
WO2008123667A1 (en) Headphone with vibration speaker
JP2011119913A (ja) ハイブリッド型スピーカーユニットおよびハイブリッド型スピーカー
KR100770590B1 (ko) 이어폰용 스피커 및 이어폰
KR101419491B1 (ko) 다채널 출력용 진동 이어폰
JP7222352B2 (ja) 骨伝導音響伝達装置
KR101328390B1 (ko) 진동타입 이어폰
JP5855561B2 (ja) スピーカ装置
KR20100097869A (ko) 골전도 헤드셋용 스피커부
CN214544732U (zh) 一种多传声模式耳机
KR20160031179A (ko) 진동식 음향 출력장치
CN115988397A (zh) 电磁振动器及骨锚式听力装置
CN117296336A (zh) 振子以及听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