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0919A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0919A
KR20130040919A KR1020127033283A KR20127033283A KR20130040919A KR 20130040919 A KR20130040919 A KR 20130040919A KR 1020127033283 A KR1020127033283 A KR 1020127033283A KR 20127033283 A KR20127033283 A KR 20127033283A KR 20130040919 A KR20130040919 A KR 20130040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cleaning tank
washing
washing tank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3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아키 미야세
히로유키 나카노
기요야스 신카이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40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9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drawer-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6Details of the tu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Abstract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된 세정조(29)를 저부 구성 부재(41)와 세정조 부재(40)로 구성하고, 저부 구성 부재(41)에 일체 형성되는 부분 분할 경로(56a)와, 세정조 부재(40)에 일체 형성되는 상부 분할 경로(56b)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송풍 경로(56)를 마련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송풍 경로(56)에 세정수가 침입하여도 접합부에 세정수가 닿는 일이 없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한 경우라도, 송풍 경로(56)에 침입하는 세정수가 세정조(29)의 외부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WASHER}
본 발명은 세정수의 분사에 의해 식기 등의 세정을 실행하는 빌트인 타입의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7에 있어서,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시스템 키친에 수용되어, 하우징(1)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저부와 측면부가 일체로 형성된 세정조(2)는, 상방에 개구부(3)를 마련하고, 내부에 식기류(4)를 수납하는 식기 바구니(5)를 배치하고 있다. 식기 바구니(5)의 하방에는 세정 노즐(6)을 회전 가능하게 마련하고 있으며, 세정조(2) 내에 저류된 세정수를 세정 펌프(7)에 의해서 가압 순환시켜, 세정 노즐(6)로부터 분사하여 식기류(4)를 세정한다. 또한, 세정조(2)의 하방에는 레일(8)을 고정하고, 전후 방향으로 평행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식기류(4)의 출납을 실행할 때, 하우징(1) 내에 격납되어 있는 세정조(2)를 전방으로 인출하여, 개구부(3)로부터 식기류(4)를 수용한다.
이와 같은 세정조(2)를 하우징(1)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하여 상방의 개구부(3)로부터 식기류(4)를 출납하는 빌트인 타입의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는, 건조 공정시에 외기를 송풍구(62)로부터 세정조(2) 내에 송입하는 송풍 경로(60)를 세정조(2)의 외벽 외측에, 게다가 한정된 공간 내에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송풍 경로(60)는, 기밀성은 당연하며, 송풍 팬 등의 송풍 장치(61)에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수밀성도 필요하게 되어, 더욱 세정조(2) 내의 세정수가 송풍구(62)로부터 침입하는 것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의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조(2)의 외벽 외측에는 세정조(2)와는 별체로 하여 구성되는 흡기 커버 부재(59)를 배치하고, 세정조(2)의 측벽과 흡기 커버 부재(59)로 관로 형상의 송풍 경로(60)를 소형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송풍 장치(61)에 의해서, 송풍 경로(60)를 거쳐서 세정조(2)에 마련된 송풍구(62)보다, 세정조(2) 내에 외기를 송풍하여, 식기류(4)의 건조를 실행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흡기 커버 부재(59)는 세정조(2)에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시일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고착되며, 누수나 누풍을 방지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세정 중 및 세정 후에 송풍구(62)의 상방으로부터 낙하하는 세정수가 송풍 경로(60)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여, 송풍구(62)의 상방에 세정조(2)와는 별체인 송풍 커버(63)를 장착한 구성의 식기 세척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세정조(2)는 저부와 측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관로 형상의 송풍 경로(60)를 구성하려면, 흡기 커버 부재(59)를 세정조(2)의 외측에 마련하고 있다. 또한, 송풍 커버(63)에서 상방으로부터 낙하하는 세정수의 대부분은 송풍 경로(60)에 침입하지 않으며, 세정조(2)의 저부로 회수된다. 그렇지만, 소량의 세정수는 세정조(2)와 송풍 커버(63)의 간극 등으로부터, 송풍 경로(60)로 침입하기 때문에, 세정조(2)와 흡기 커버 부재(59)의 접합부(64)는 수봉성(水封性)이 필요하다. 그 때문에, 세정조(2)와 흡기 커버 부재(59)를 시일 부재를 거쳐서 고착하거나 용착하거나 하여 수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세정조(2)와 송풍 커버(63)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세정조(2)의 저부와 측면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금형을 구성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또한, 시일 부재 등을 이용하여 송풍 커버(63)와 세정조(2)를 수밀하게 접합했다고 해도, 세정조(2)의 인출 조작시 등의 진동에 의해, 세정수가 송풍 커버(63)의 하방으로부터 침입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역시, 흡기 커버 부재(59)와 세정조(2)는 수밀하게 접합할 필요가 있다.
장기적인 사용을 생각했을 경우, 용착 불량 및 열 사이클이나 세제·기름 등에 의한 재료의 열화 등에 의해, 세정조(2)와 흡기 커버 부재(59)의 접합부(64)의 수밀성이 손상되어 누수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 이것은 흡기 커버 부재(59)를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시일 부재를 이용하여 수봉했을 경우라도 마찬가지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325714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180602 호 공보
본 발명은, 전방에 개구부를 갖는 식기 세척기 본체와, 개구부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세정조를 갖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장기간 사용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전방에 개구부를 갖는 식기 세척기 본체와, 개구부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마련된 세정조와, 세정조 내에 송풍 경로를 거쳐서 송풍구로부터 외기를 공급하는 송풍 장치를 구비한다. 그리고, 세정조는, 저부를 구성하는 저부 구성 부재와, 세정조의 적어도 측면을 구성하는 세정조 부재를 결합하여 구성된다. 또한, 송풍 경로는 세정조의 외벽 외측에 위치하며, 저부 구성 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분할 경로와, 세정조 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분할 경로를 결합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송풍구로부터 송풍 경로에 침입한 세정수가 용착부 등의 접합부에 접하는 일은 없어지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누수의 발생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빌트인 타입의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장기간 사용했을 경우라도, 누수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세정조의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3-3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세정조의 전방에서 본 중요부 단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5-5선에 있어서의 중요부 단면도,
도 6은 도 4의 6-6선에 있어서의 중요부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실시형태에 의해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의 세정조의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3-3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의 세정조의 전방에서 본 중요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5-5선에 있어서의 중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6-6선에 있어서의 중요부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시스템 키친에 수용된 하우징(27)은, 식기류(28)를 수용하여 세정하는 세정조(29)를 내부에 마련하고 있다. 세정조(29)는, 그 하부에서 하우징(27)의 양측면의 내측에 거의 수평 방향으로 가설된 1조의 레일(30)을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하고 있다. 또한, 세정조(29)의 내부에는 식기류(28)를 수용하는 식기 바구니(31)를 배치하고, 식기 바구니(31)의 하방으로 세정조(29)의 저부에 세정 노즐(32)을 회전 가능하게 마련하고 있다. 세정조(29)의 내부에는, 저류된 세정수를 가열하는 히터 등의 가열 장치(33)와, 세정조(29)의 저부에 배수구(34)를 마련하고 있다.
세정조(29)의 저부 외측에는, 배수구(34)에 저류하는 세정수를 가압하여 세정 노즐(32)에 이송하는 세정 펌프(35)를 배치하고 있다. 배수구(34)에 저류하는 세정수를 세정 펌프(35)에 의해 가압하고 순환시켜, 세정 노즐(32)의 분사 구멍(48)으로부터 세정조(29) 내에 분사하여 식기류(28)를 세정한다.
또한, 세정조(29)의 저부에는 송풍 팬 등으로 이루어지는 송풍 장치(55)를 배치하고, 세정조(29)의 전방측 외벽 하부에 구성되는 송풍 경로(56)를 거쳐서, 송풍구(57)로부터 세정조(29) 내로 외기를 송풍함으로써, 식기류(28)의 건조를 실행한다. 또한, 송풍구(57)의 상부에는, 단부를 하방으로 굴곡시킨 우산 형상부(56c)가 세정조(29) 내에 거의 수평 후방으로 돌출시켜 구성되어, 세정조(29)의 상방으로부터 직접 및 내벽을 타고 낙하하는 세정수가 송풍 경로(56)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동시에, 우산 형상부(56c)는, 단부를 하방으로 굴곡 시킨 것 등에 의해, 송풍 장치(55)로부터 이송되는 외기를 송풍구(57)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가열 장치(33)를 향하여 정류하여, 효율적으로 외기를 가열할 수 있다.
세정조(29) 내에 저류되는 세정수는 수도 배관으로부터 급수 호스 및 급수 밸브(모두 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공급된다. 세정조(29)에 연통한 수위 검지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소정의 세정 수위(47)까지 세정수가 공급된 것을 검지하면, 제어 장치에 의해서 급수 밸브를 닫아 세정조(29)로의 세정수 공급을 정지한다.
또한, 하우징(27)의 상방에는, 세정조(29)의 개구부(36)를 폐색하기 위한 덮개체(37)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전후 한쌍의 링크를 포함하는 좌우 한쌍의 평행 링크 기구(38)에 의해 상하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세정조(29)의 개구부(36)를 시일하는 고무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제 1 시일 부재(39)가 고정되어, 세정조(29)를 인출했을 때, 제 1 시일 부재(39)가 세정조(29)의 전후의 이동에 간섭하지 않도록 상방으로 변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세정조(29) 및 송풍 경로(56)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세정조(29)는, 상방에 개구부(36)를 갖고, 측면을 구성하는 수지제의 세정조 부재(40)와 저부를 구성하는 수지제의 저부 구성 부재(41)로 구성된다.
저부 구성 부재(41)는 바닥을 갖는 트레이 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외주 상단부에는, 고무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제 2 시일 부재(42)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저부 구성 부재(41)에는 제 2 시일 부재(42)를 보지하기 위한 상방에 개구된 홈부(43)가 환상으로 구성된다. 저부 구성 부재(41)의 전방, 또한, 환상으로 구성되는 홈부(43)보다 내측에, 송풍 경로(56)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 분할 경로(56a)가 저부 구성 부재(41)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저부 구성 부재(41)에는, 레일(30)의 가동 레일부, 세정 노즐(32), 가열 장치(33), 세정 펌프(35), 펌프 모터, 송풍 장치(55), 수위 검지 장치, 온도 센서 등, 식기 세척기의 동작 제어에 필요한 전장 부품 및 기구 부품의 대부분을 탑재하여 유닛화 하고 있다. 저부 구성 부재(41)의 전방 저부에 고착하여 배치되는 송풍 장치(55)는, 외기를 취입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상방을 향하여 개구하는 개구(55a)를 갖고 있다. 또한, 환상으로 구성되는 홈부(43)는 하부 분할 경로(56a)의 외측 또한, 송풍 장치(55)의 개구(55a)의 내측에 구성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조 부재(40)의 전후 좌우의 외주 하단부에는, 제 2 시일 부재(42)를 상방으로부터 억제하고, 저부 구성 부재(41)의 홈부(43)와 공동 작용하여 수밀성을 발휘하는 시일 리브(44)가 각각 마련되며, 그 내측쪽에 차단 리브(45)를 하수시켜 마련하고 있다. 세정조(29)의 양측면부의 차단 리브(45)는 세정조 부재(40)의 측면 내벽(40a)과 단차없이 마련되어 있다.
세정조 부재(40)의 전방 또한 시일 리브(44)보다 내측에는 송풍 경로(56)의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 분할 경로(56b)가 세정조 부재(40)와 일체로 구성된다. 또한, 세정조 부재(40)의 하단부에는, 상부 분할 경로(56b)와 연통한 상태로 우산 형상부(56c)가 세정조 부재(40)와 일체로 구성된다.
상부 분할 경로(56b)의 상단 근방은 전면에 개구를 갖고 있다. 이 전면의 개구는 상부 분할 경로(56b)의 형상을 형성할 때에, 금형 구성상, 필요하며, 덮개(58)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닫히고, 덮개(58)의 하방이 개구부(58a)에 의해서 개구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금형의 구조를 복잡화함으로써, 덮개(58)도 세정조 부재(40)와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저부 구성 부재(41)의 외주 상단부와 세정조 부재(40)의 외주 하단부와는 상하 방향으로 접합되어 있다. 이 접합부에는, 홈부(43), 시일 리브(44) 및 제 2 시일 부재(42)로 구성되는 시일부(54)를 마련하여, 수밀하게 시일하고 있다. 그리고, 차단 리브(45)와 홈부(43) 사이는 세정수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빨아 올릴 수 없을 정도의 회수 공간(46)을 세정조(29) 전체 둘레에 연통하도록 마련하여, 상기 시일부(54)에 세정수가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차단 리브(45) 선단은, 저부 구성 부재(41)와의 간극 즉 회수 공간(46)의 입구(46a)의 치수가 상방의 회수 공간(46)의 주 공간(46b)의 폭 치수보다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차단 리브(45) 선단은, 규정의 세정 수위(47)보다 상방, 또한, 세정 노즐(32)에 복수 개 마련된 분사 구멍(48)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저부 구성 부재(41)의 저면부로부터의 세정수의 반동 수류(splashing water flow)가 도달되지 않는 위치에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차단 리브(45) 선단은, 세정조(29)의 전체 둘레에 저부 구성 부재(41)의 측벽부(49)보다 외측에 위치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에서는 전용 세제를 물에 용해시켜 식기류(28)의 세정을 실행하여, 세제에 포함되는 계면 활성제 등의 성분에 의해 세정조(29) 표면의 젖음성이 현격히 올라간다. 젖음성이 올라가면 모세관 현상이 매우 강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회수 공간(46)[주 공간(46b)]의 폭은 통상의 물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넓게 구성하고 있다. 회수 공간(46)은 전체 둘레에 연통한 형상, 즉, 도 5에 도시하는 단면 형상을, 식기 바구니 지지부(53)를 제외한 세정조(29)의 전체 둘레에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저부 구성 부재(41)와 세정조 부재(40)를 접합하여 세정조(29)를 형성할 때는, 하부 분할 경로(56a)와 상부 분할 경로(56b)에 의해서, 세정조(29)의 전방측의 외벽 외측에 송풍 경로(56)가 구성된다. 그것과 동시에 송풍 장치(55)의 개구(55a)와 덮개(58)의 개구부(58a)가 접합되어, 송풍 경로(56)와 송풍 장치(55)의 결합 접속이 실행된다. 또한, 하부 분할 경로(56a)는 상부 분할 경로(56b)의 형상에 맞추어, 볼록 형상으로 하고, 송풍 경로(56)의 단면을 거의 동일 면적으로 함으로써, 송풍시의 압력 손실을 줄이고 있다.
이 하부 분할 경로(56a)와 상부 분할 경로(56b)에 의한 송풍 경로(56)의 형성에, 하부 분할 경로(56a)의 외주부와, 상부 분할 경로(56b)의 개구부(58a)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외주부에 시일부(54)가 형성되어, 볼록부(51)와 결합 구멍(52a)의 결합에 의해 양자가 접합된다. 이 시일부(54)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저부 구성 부재(41)의 외주 상단부와 세정조 부재(40)의 외주 하단부의 접합부에 형성되는 시일부(54)와 동일한 구성의 것이다. 또한, 이 부분의 시일부(54)의 높이 위치는, 저부 구성 부재(41)의 외주 상단부와 세정조 부재(40)의 외주 하단부 사이의 시일부(54)와 거의 동일한 높이 위치이다.
송풍 경로(56)를 통과하여 세정조(29) 내에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구(57)도, 하부 분할 경로(56a)와 상부 분할 경로(56b)의 접합에 의한 송풍 경로(56)의 형성에 따라 형성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풍구(57)는, 정면에서 보아 우측 하향하도록 형성한 하부 분할 경로(56a)의 우측 단부의 최하면(56e)과 마찬가지로 정면에서 보아 우측 하향하도록 형성한 상부 분할 경로(56b)의 우측 단부에 형성한 우산 형상부(56c)의 상면(56f) 및 좌우 측면(56g, 56h)에 의해서 형성된다. 여기서, 저부 구성 부재(41)의 상단인 시일부(54)는 송풍구(57)보다 상방에 위치시켜, 송풍구(57)로부터 세정수가 침입했다고 해도, 접합부인 시일부(54)에 세정수가 닿는 일이 없다.
송풍 장치(55)의 개구(55a)의 내측에, 저부 구성 부재(41)와 세정조 부재(40)의 시일부(54)가 배치된다. 또한, 송풍 경로(56) 내의 상단부(56d)를 송풍구(57)보다 높은 위치에 구성하여, 부엌용 일반 세제의 오 사용에 의해 거품이 다량으로 발생했을 경우라도, 송풍 장치(55) 측에 거품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조(29) 내의 저부의 좌우 측벽 근방에는 식기 바구니(31)를 탑재하여 지지하는 식기 바구니 지지부(53)가, 좌우 각 수 개소 마련되어 있다. 이 식기 바구니 지지부(53)는, 저부 구성 부재(41)에 마련한 지지부 하부(53a)와, 세정조 부재(40)에 마련한 지지부 상부(53b)에 분할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정조 부재(40)와 저부 구성 부재(41)가 접합되는 것에 의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 상부(53b)가 지지부 하부(53a)의 상방에 대향되어 식기 바구니 지지부(53)가 형성된다. 또한, 그 분할면인 지지부 상부(53b)의 하면(53c)의 높이 위치는 세정조 부재(40)의 차단 리브(45)의 하단과 거의 동일 높이이다.
또한, 저부 구성 부재(41)의 양측면에는 세정조(29)의 중량을 지지하는 레일 받이부(50)를 측벽부(49)보다 외측에서 홈부(43)의 거의 바로 아래에 구성하고 있다. 레일 받이부(50)의 외단부에는, 레일(30)의 가동 레일부를 상방 및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리브(50a)를 하방을 향하여 연장하여, 레일 받이부(50)의 기계적 강도를 증강하고 있다. 또한, 덮개체(37)로부터 세정조 부재(40)의 외벽에 적하(滴下)한 세정수가 레일(30)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세정조 부재(40)의 전후 좌우의 외주부 하단에 마련된 시일 리브(44)의 외측에는 결합부(52)를 리브 형상으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저부 구성 부재(41)의 홈부(43)의 외주에는 수 개소의 볼록부(51)가 마련되며, 세정조 부재(40)의 결합부(52)에는 볼록부(51)에 대응한 위치에 결합 구멍(52a)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정조 부재(40)를 저부 구성 부재(41)의 상방으로부터 장착 삽입함으로써, 결합부(52)가 탄성 변형하여 볼록부(51)가 결합 구멍(52a)에 결합하고 세정조 부재(40)와 저부 구성 부재(41)가 접합된다. 이 접합된 상태에서, 좌우 양측면부의 결합부(52)의 하단은 레일 받이부(50)의 상면에 접촉한다.
세정조 부재(40)와 저부 구성 부재(41)의 접합부를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양자를 접합할 수 있는 동시에, 덮개체(37)로부터 세정조 부재(40)의 외벽에 적하한 세정수가 제 2 시일 부재(42)의 부분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일(30)의 고정 레일부의 단면 형상을, 가동 기구부(30a)의 외측에 융기부(30b)를 마련하고, 또한 그 외측을 한단 낮은 홈부(30c)로 하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저부 구성 부재(41)의 레일 받이부(50)의 외단부에 마련한 리브(50a)의 하단 외측을, 융기부(30b)의 바로 위 혹은 외측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덮개체(37)로부터 세정조 부재(40)의 외벽을 경유하여 리브(50a)의 하단 외측에 직하한 세정수를 홈부(30c)로 인도하여 레일(30)의 가동 기구부(30a)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가동 기구부(30a)와 홈부(30c) 중 어느 하나의 후방부에 관통 구멍을 마련하여, 직하하여 인도된 세정수를 하우징(27) 중저부에 낙하시켜, 그 근방에 배설한 누수 검지 센서에 의해서 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식기 세척기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 작용을 설명한다. 세정조(29)는, 세정조 부재(40)를 제 2 시일 부재(42)를 세트한 저부 구성 부재(41)의 상방보다 삽입 장착함으로써, 결합부(52)가 스스로의 탄성으로 일시적으로 변형한다. 그 결과, 결합 구멍(52a)이 저부 구성 부재(41)에 마련한 볼록부(51)에 결합하여, 상하 방향의 규제가 되고, 세정조 부재(40)와 저부 구성 부재(41)가 결합되어 일체화 형성된다. 그 때, 세정조 부재(40)의 시일 리브(44)가 제 2 시일 부재(42)를 상방으로부터 가압하여 규정의 합계 위치까지 변형시켜, 접합부를 수봉하고 있다. 세정조(29)를 일체함으로써, 세정조 부재(40)에 마련한 차단 리브(45)와 저부 구성 부재(41)의 홈부(43)에서 회수 공간(46)이 구성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제 2 시일 부재(42)를 탄성체로서 구성하고 있지만, 실리콘 접착제와 동일한 것으로 수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세정조 부재(40)와 저부 구성 부재(41)의 결합 일체화에 의해서, 하부 분할 경로(56a)와 상부 분할 경로(56b)도 결합 일체화된다. 그리고, 송풍 경로(56)의 형성, 송풍 경로(56) 주변의 시일부(54)의 형성, 송풍구(57)의 형성 및 송풍 경로(56)와 송풍 장치(55)의 결합 접속이 실행된다.
홈부(43)의 내측쪽에 마련된 차단 리브(45)는 회수 공간(46)의 입구(46a)의 치수가 상방의 회수 공간(46)의 주 공간(46b)의 폭 치수보다 작아지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수 공간(46)으로의 물의 침입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차단 리브(45)의 하단은 규정의 세정 수위(47)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식기류(28)로부터 씻겨 내려간 이물이나 기름 등이 회수 공간(46)에 퇴적하는 일이 없어서, 세정수의 회수를 방해하는 일이 없다. 또한, 이취(異臭)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차단 리브(45)의 하단은 세정 노즐(32)의 분사 구멍(48)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분사 구멍(48)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는 차단 리브(45)에 의해 확실히 차단된다. 따라서, 회수 공간(46)의 입구(46a)에는 세정조(29)의 상방으로부터 낙하하는 힘이 적은 세정수만이 접촉하게 되어, 압력을 가진 수류가 홈부(43)에 도달하는 일이 없어진다.
분사 구멍(48)으로부터 분사된 세정수는 식기류(28)에 부딪쳐 그대로 낙하하거나, 세정조 부재(40)의 측면을 따라서 흘러 떨어져 차단 리브(45) 하단으로 흐른다. 이 때, 차단 리브(45) 선단은 세정조(29)의 전체 둘레에 저부 구성 부재(41)의 측벽부(49)보다 외측에 위치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차단 리브(45)를 따라서 흘러 떨어지는 세정수는, 회수 공간(46)에 침입하는 일 없이, 저부 구성 부재(41)의 저면으로 회수된다.
또한, 세정조(29)의 양측면의 차단 리브(45)는 세정조 부재(40)의 내벽(40a)과 단차 없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단차가 없어서, 세정수의 회수 속도를 저하시키는 일이 없으며, 또한 디자인성도 향상한다.
또한, 저부 구성 부재(41)와 세정조 부재(40)의 접합과 동시에, 그 접합부를 수봉하는 시일부(54) 및 회수 공간(46)이 형성되므로, 접합 작업 및 시일부(54) 및 회수 공간(46)의 형성이 간단하고 쉽게 되어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했을 경우라도, 회수 공간(46)[주 공간(46b)]의 간극를 좁게 구성해 버리면, 회수 공간(46)의 입구(46a)에 닿은 세정수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빨아 올려져 홈부(43)에 도달하여 버린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단 리브(45)와 홈부(43) 사이의 회수 공간(46)을 세정수가 모세관 현상으로 빨아 올릴 수 없을 정도의 간극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회수 공간(46)의 입구(46a)에 세정수가 접촉하여도, 홈부(43)로 세정수를 빨아 올릴 수 있는 일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세정 노즐(32)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가 홈부(43)에 도달하는 일은 없으며, 가령 제 2 시일 부재(2)가 없는 구성으로 했을 경우라도, 접합부에서 누수하지 않는다. 단, 세정수가 가열되면, 증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홈부(43) 부근으로 결로하여, 소량의 물이 세정조(29)의 외부로 새어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제 2 시일 부재(42)를 회수 공간(46)의 외측 상방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제 2 시일 부재(42)가 없어도 누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간의 사용에 의한 제 2 시일 부재(42)의 열화나, 인출 조작에 의한 진동이나 힘이 반복하여 홈부(43)에 가해지는 것에 의한 시일성의 저하가 일어나도, 누수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회수 공간(46)은 세정조(29) 전체 둘레에 연통한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세게 세정조(29)를 인출하여 조작했을 경우 등에, 규정의 세정 수위(47)보다 상방까지 세정수가 도달한다. 그리고, 회수 공간(46)에 세정수가 침입하여도, 연통한 회수 공간(46)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세정수가 빠져나가는 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홈부(43)까지 도달하는 세정수를 큰 폭으로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세정수가 홈부(43)까지 도달했을 경우라도 제 2 시일 부재(42)에 의해 수봉되어 있기 때문에, 누수에 도달하는 일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저부 구성 부재(41)의 상단부와 세정조 부재(40)의 하단부로 구성되는 접합부를 수봉하기 위한 시일부(54)를 구성하고, 시일부(54)를 수봉하는 제 2 시일 부재(42)를 구비한다. 그리고, 세정조 부재(40)에는 시일부(54)의 내측쪽에 차단 리브(45)를 마련하여, 시일부(54)와 차단 리브(45) 사이에, 세정수가 모세관 현상으로 상승하여 시일부(54)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수 공간(46)을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통상의 사용에서 세정수가 시일부(54)까지 도달하는 일이 없어져, 인출 조작 시나 장기간의 사용으로 제 2 시일 부재(42)의 시일성이 저하했을 경우라도, 누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세정조에서는, 식기 바구니 지지부(53)를 저부 구성 부재(41)로 일체 형성하여 상방으로 시동하도록 구성하면, 도 6에 적용시키면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식기 바구니 지지부(53)와 차단 리브(45) 사이에 상방에 개구된 간극이 생긴다. 따라서, 분사된 세정수가 이 간극으로부터 입구(46a)를 통과하여 회수 공간(46)에 침입하기 쉬웠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식기 바구니 지지부(53)는, 저부 구성 부재(41)에 마련한 지지부 하부(53a)와, 지지부 하부(53a)의 상방에 대향시켜 세정조 부재(40)에 마련한 지지부 상부(53b)로 분할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그 분할면의 높이 위치를 세정조 부재(40)의 차단 리브(45)의 하단과 거의 동일 높이로 한 것에 의해, 저부 구성 부재(41)에 마련한 지지부 하부(53a)와 세정조 부재(40)에 마련한 지지부 상부(53b) 사이의 간극이 거의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간극에 분사된 세정수가 침입하기 어렵고, 또한 침입한 세정수가 세정조(29)측에 적하하여 되돌아오는 것을 기대할 수 있어서, 세정수가 식기 바구니 지지부(53)로부터 회수 공간(46)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정조 부재(40)와 저부 구성 부재(41)의 결합 일체화에 의해서, 저부 구성 부재(41)에 일체 형성된 하부 분할 경로(56a)와 세정조 부재(40)에 일체 형성된 상부 분할 경로(56b)도 결합 일체화된다. 이것에 의해 송풍 경로(56)가 형성되므로, 송풍 경로(56)에 침입한 세정수는, 용착부나 접합부에 접하는 일 없이, 세정조(29) 내에 회수된다. 따라서, 장기의 사용에서도, 송풍 경로(56)에 침입하는 세정수가 세정조(29)의 외부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송풍구(57)도, 하부 분할 경로(56a)와 상부 분할 경로(56b)를 결합함으로써 형성되므로, 송풍구(57)와 송풍 경로(56)의 접합부를 없앨 수 있어서, 거기로부터의 세정수의 세정조(29) 외부로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세정조 부재(40)와 저부 구성 부재(41)를 접합하여 구성되는 송풍 경로(56)의 송풍구(57)는 가열 장치(33)를 향하여 송풍하는 구성(도 1 참조)으로 함으로써, 외기를 가열하여 식기류(28)를 건조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건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송풍 장치(55)로부터 이송되는 외기는, 우산 형상부(56c)에 의해, 정류된 상태로, 가열 장치(33)로 이송된다. 따라서, 외기를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송풍 경로(56) 내를 흐르는 외기의 흐름에 맞추어, 하부 분할 경로(56a), 상부 분할 경로(56b), 우산 형상부(56c)에 리브 등의 구조를 마련하고, 가열 장치(33)로의 흐름을 조정하면, 더욱 효율적으로 과열할 수 있다. 또한, 우산 형상부(56c)는 세정조 부재(4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간극이 없으며, 세정조(29)의 상방으로부터 낙하하는 세정수가 송풍 경로(56)에 인입할 걱정이 없다.
송풍구(57)보다 상방에 저부 구성 부재(41)의 상단은 구성되기 때문에, 송풍구(57)로부터 침입한 세정수가, 접합부에 직접 닿는 일이 없으며, 장기의 사용에서도 누수를 없앨 수 있다.
저부 구성 부재(41)와 세정조 부재(40)의 시일부(54)는 송풍 경로(56)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식재나 세제에 의해 세정조(29) 내에 거품이 발생했을 경우에, 송풍구(57)보다 거품이 침입했다고 해도,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송풍 장치(55)의 개구(55a)의 내측에 저부 구성 부재(41)와 세정조 부재(40)의 시일부(54)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세정수가 송풍 장치(55)에 인입하는 일은 없다.
또한, 송풍 경로(56) 내의 상단부(56d)를 송풍구(57)보다 높은 위치에 구성함으로써, 부엌용 일반 세제의 오 사용에 의해, 거품이 다량으로 발생했을 경우라도, 송풍 장치(55)측에 거품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하 접합 구성으로 한 세정조(29)의 하측 부재인 저부 구성 부재(41)의 양측면에 세정조(29)의 중량을 지지하는 레일 받이부(50)를 구성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세정조(29) 및 그 이외의 부품의 중량이 시일부(54)를 갈라 놓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일이 없이, 장기적으로 제 2 시일 부재(42)의 시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부 구성 부재(41)를 전장 부품 및 기구 부품의 대부분을 탑재하여 유닛화 한 것에 의해, 세정조 부재(40)의 시일부(54)보다 상방의 부분을 대형, 소형화함으로써, 저부 구성 부재(41)를 단일의 것을 사용하여도, 용량이 다른 세정조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세정조 용량이 다른 식기 세척기의 생산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어서,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정조(29) 내 저부에 회전 가능한 세정 노즐(32)만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세정조(29)의 내측부에 또 다른 세정 노즐을 구비한 것이어도, 본 발명에 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본 발명으로부터 제외되는 것은 아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빌트인 타입의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장기간 사용했을 경우에서도, 송풍 경로에 세정수가 침입했다고 하여도 송풍 경로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세정수의 분사에 의해 식기류의 세정을 실행하는 식기 세척기 등으로서 유용하다.
27 : 하우징(식기 세척기 본체) 29 : 세정조
30 : 레일 32 : 세정 노즐
40 : 세정조 부재 41 : 저부 구성 부재
50 : 레일 받이부 51 : 볼록부
52 : 결합부 52a : 결합 구멍
54 : 시일부 55 : 송풍 장치
55a : 개구 56 : 송풍 경로
56a : 하부 분할 경로 56b : 상부 분할 경로
56c : 우산 형상부 57 : 송풍구
58 : 덮개체 58a : 개구부

Claims (5)

  1. 전방에 개구부를 갖는 식기 세척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마련된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 내에 송풍 경로를 거쳐서 송풍구로부터 외기를 공급하는 송풍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세정조는,
    저부를 구성하는 저부 구성 부재와, 상기 세정조의 적어도 측면을 구성하는 세정조 부재를 결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송풍 경로는,
    상기 세정조의 외벽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저부 구성 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분할 경로와, 상기 세정조 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분할 경로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구는,
    상기 하부 분할 경로와, 상기 상부 분할 경로를 결합함으로써 형성되는
    식기 세척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 구성 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세정조 부재의 하단부로 구성되는 접합부를 수봉하는 시일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시일부는 상기 송풍 경로의 외측에 구성되는
    식기 세척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구의 상방에 우산 형상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우산 형상부는 상기 세정조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식기 세척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 구성 부재의 외면 상부 및 상기 하부 분할 경로에 외측으로의 볼록부를 마련하고,
    상기 세정조 부재 및 상기 상부 분할 경로에는, 상기 볼록부의 위치에 맞추어 결합 구멍을 마련하고,
    상기 결합 구멍과 상기 볼록부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저부 구성 부재를 상기 세정조 부재에 접합하고,
    상기 하부 분할 경로를 상기 상부 분할 경로에 접합하며,
    이들 접합부를 수봉하는 시일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식기 세척기.
KR1020127033283A 2010-06-21 2011-03-18 식기 세척기 KR201300409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40096 2010-06-21
JP2010140096A JP5257410B2 (ja) 2010-06-21 2010-06-21 食器洗い機
PCT/JP2011/001601 WO2011161853A1 (ja) 2010-06-21 2011-03-18 食器洗い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919A true KR20130040919A (ko) 2013-04-24

Family

ID=45371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3283A KR20130040919A (ko) 2010-06-21 2011-03-18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583612A4 (ko)
JP (1) JP5257410B2 (ko)
KR (1) KR20130040919A (ko)
CN (1) CN102946783B (ko)
TW (1) TWI501746B (ko)
WO (1) WO20111618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781A1 (ko) * 2022-09-26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컵세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0054B2 (ja) * 2012-09-04 2014-12-10 リンナイ株式会社 食器洗浄機
EP2774527B1 (en) * 2013-03-05 2016-02-03 Vestel Beyaz Esya Sanayi Ve Ticaret A.S. A fixation element and a washer/dryer device
JP7471244B2 (ja) 2021-01-18 2024-04-19 リンナイ株式会社 食器洗浄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1434A (ja) * 1985-02-08 1986-08-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2002143070A (ja) * 2000-08-31 2002-05-21 Toto Ltd 食器洗い機
CN1370468A (zh) * 2001-02-21 2002-09-25 焦柏忠 茶氨酸制品
JP2002325714A (ja) 2001-03-01 2002-11-12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い乾燥機
JP2003180602A (ja) * 2001-12-20 2003-07-02 Hitachi Ltd 食器洗い機
JP2005334360A (ja) * 2004-05-27 2005-12-08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機
EP2124700B1 (en) * 2006-12-29 2013-06-05 Arçelik Anonim Sirketi A dishwash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781A1 (ko) * 2022-09-26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컵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46783A (zh) 2013-02-27
EP2583612A1 (en) 2013-04-24
TWI501746B (zh) 2015-10-01
JP5257410B2 (ja) 2013-08-07
JP2012000356A (ja) 2012-01-05
CN102946783B (zh) 2015-03-18
EP2583612A4 (en) 2017-10-11
TW201206383A (en) 2012-02-16
WO2011161853A1 (ja) 201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0919A (ko) 식기 세척기
US11744435B2 (en) Dishwasher
KR100658845B1 (ko) 식기 세척기의 노즐 가이드 체결 구조
KR102046052B1 (ko)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TWI505804B (zh) Tableware Cleaning Machine (1)
JP4869166B2 (ja) 食器洗浄機
JP2005334360A (ja) 食器洗浄機
US9493901B2 (en) Rinsing arrangement for a domestic appliance for the care of laundry items, and domestic appliance for the care of laundry items
KR101297017B1 (ko) 식기 세척기
US20070272284A1 (en) Dishwasher
JP5126188B2 (ja) 食器洗い機
KR100662156B1 (ko) 식기 세척기의 워터 가이드 결합 구조
KR101257522B1 (ko) 식기 세척기
JP2001046305A (ja) 食器洗い機
KR102461270B1 (ko) 식기세척기
KR102662674B1 (ko) 식기세척기
KR102447805B1 (ko) 식기세척기
KR20110123588A (ko) 식기세척기
KR101290357B1 (ko) 식기 세척기
KR101268816B1 (ko) 식기 세척기의 워터 가이드 체결구조
KR20070113637A (ko) 식기 세척기
JP2023036108A (ja) 食器洗浄乾燥機
KR20130035133A (ko) 식기 세척기
JP2010187961A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