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3588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3588A
KR20110123588A KR1020100043145A KR20100043145A KR20110123588A KR 20110123588 A KR20110123588 A KR 20110123588A KR 1020100043145 A KR1020100043145 A KR 1020100043145A KR 20100043145 A KR20100043145 A KR 20100043145A KR 20110123588 A KR20110123588 A KR 20110123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ir
exhaust duct
discharge
dish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5357B1 (ko
Inventor
한정엽
이태희
정문기
이종민
정민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3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357B1/ko
Publication of KR20110123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1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by a boiling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와, 세척조를 개폐하는 도어와, 세척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배기덕트 및, 일단이 배기덕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도어의 하단에 노출되어 배기덕트로 배출되는 공기가 도어가 열리는 방향인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노즐은 도어의 하단에 노출되고 상측부가 하측부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 후 노즐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도어가 열리는 방향인 전방으로 직진하게 하고, 도어의 하단에서 응축수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하여, 식기표면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가 세척되도록 하는 가전기기이다.
식기세척기는 일반적으로 세척조가 형성되는 터브와, 터브 저면에 장착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섬프 내부에 장착된 세척 펌프의 펌핑 작용에 의하여 세척수가 분사노즐로 이동되고, 분사노즐로 이동된 세척수는 분사노즐 끝단부에 형성된 분사구를 통하여 고압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고압으로 분사되는 세척수가 식기 표면에 부딪혀서, 식기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과 같은 오물이 터브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식기세척기의 내부의 고온의 증기를 처리하는 방식으로는 배기식 건조 방식와 순환식 건조 방식이 있다. 배기식 건조 방식은 건조팬이 터브 내부의 습한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응축식 건조 방식은 터브 내부에 응축 수단이 있고, 배출되는 습증기가 상기 응축 수단을 통과하면서 응축이 일어나도록 한 뒤 다시 터브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배기식 건조 방식에 따라 터브 내부의 습한 공기가 배기덕트를 통해 배기될 때, 배기덕트의 내부에서 습한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의 응축이 일어나며, 응축수가 배기되는 공기와 함께 배기덕트로 배출되면, 식기세척기의 하부가 응축수에 의해 오염되며, 식기세척기의 주위가 응축수에 의해 더러워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배기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에 따라 식기세척기의 외관을 오염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배기덕트의 내부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할 필요성이 있으며, 배기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여, 식기세척기의 외관을 오염시키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건조 후 노즐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도어가 열리는 방향인 전방으로 직진하게 하고, 도어의 하단에서 응축수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배기덕트; 및 일단이 상기 배기덕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도어의 하단에 노출되어 상기 배기덕트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도어가 열리는 방향인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노즐; 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도어의 하단에 노출되고 상측부가 하측부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배출부의 상측부에 도달한 공기는 배출부의 상측부에 의해 안내되어 상측부를 따라 직진하여 전방으로 배출되며, 공기가 전방으로 배출됨에 따라 로어 커버 등에 공기가 유동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및 수증기 등이 로어 커버를 오염시키는 문제를 방지하게 된다.
둘째, 상측부가 하측부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도어의 하단부를 상측부가 차폐하도록 하여, 공기의 직진성을 유지하고 도어의 하단부에서 수증기가 응축되는 것을 방지한다.
셋째, 노즐의 배출부의 상측부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만곡부의 내부가 만곡을 그리며 휘어져 형성됨에 따라, 몸체부에서 유동된 공기가 만곡을 이루며 구부러져 유동된 후 상측부로 안내되도록 한다.
넷째, 상판만곡부가 도어의 하단 모서리 지점에서 도어쪽으로 만곡을 그리며 구부러져 형성되고 도어의 하단 모서리 지점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됨에 따라, 공기의 유동이 전방쪽으로 바로 향하도록 하지 않고 하판만곡부쪽으로 유동되도록 한다.
다섯째, 상판만곡부와 하판만곡부가 형성하는 만곡부가 도어의 하단 모서리 지점에서 소정거리 후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됨에 따라, 유동된 공기가 바로 배출구로 향하지 않게 되어 배출부의 하측부에서 확산되는 공기의 양을 줄여 공기가 직진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여섯째, 하판만곡부의 끝나는 지점은 하판만곡부에서 유동된 공기가 상측부로 안내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됨에 따라, 배출부의 하측부에서 공기의 확산 각도를 줄이고 상측부로 안내되도록 하여 공기가 직진하여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일곱째, 배출부의 상측부와 하측부는 내부에 평행한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측부와 하측부가 평행하게 배치됨에 따라, 만곡부를 통과하여 상측부로 안내된 공기가 배출부의 상측부 의해 전방으로 직진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여덟째,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하측부에서 로어 커버로 확산될 때, 로어 커버와 배출부의 하측부가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로어 커버에 간섭되지 않고 직진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홉째, 배출부의 상측부와 하측부가 평행하게 배치되어 공기가 전방으로 직진하여 배출됨에 따라, 배출구의 하측부에서 로어 커버 쪽으로 확산되는 공기의 양을 줄여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기타 수증기 등에 의해 로어 커버가 오염되는 것이 방지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외관을 제거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전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배기덕트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A부분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A부분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반대편에서 바라본 측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5의 B부분을 확대한 노즐 하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따른 식기세척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외관을 제거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외관을 이루고 전면이 개방되는 케이스(1)와, 케이스(1)의 개방된 전면을 개페하는 도어(2)와, 도어(2)의 전방에 구비되는 프런트커버(4)와, 케이스(1)의 전방 중 하부에 구비되는 로어 커버(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는 식기세척기의 외관을 이루며, 식기세척기의 부품이 수용되는 틀을 제공한다. 케이스(1)는 전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전면을 통해 사용자가 식기를 반입한다.
케이스(1)의 내부에는 세척수가 수용되는 세척조(20)가 구비된다. 세척조(20)에서 식기가 세척되며, 케이스(1)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세척조(20) 내부로 사용자가 식기를 반입한다.
도어(2)는 케이스(1)의 전면을 개폐하고, 세척조(20) 내부에서 식기가 세척되는 동안 세척조(20)를 밀폐한다. 도어(2)는 케이스(1)의 일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스(1)의 전면을 개페할 수 있도록 한다.
도어(2)의 전면에는 프런트커버(4)가 구비된다. 프런트커버(4)는 도어(2)의 전면에서 식기세척기의 외관을 수려하게 한다.
케이스(1)의 전방에는 로어 커버(3)가 구비된다. 로어 커버(3)는 케이스(1)의 전면 하단부에 구비되어, 프런트커버(4)와 함께 식기세척기의 외관을 수려하게 한다.
도어(2)의 내부에는 세척조(2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세척조(2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팬 어셈블리(300)와, 팬 어셈블리(300)에서 흡입된 세척조(20)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100)와, 배기덕트(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도어(2)가 열리는 방향인 전방으로 팬 어셈블리(300)에서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노즐(200)이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며, 도 4는 식기세척기의 전면도이고, 도 5는 식기세척기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케이스(1)의 내부에 세척수가 수용되는 세척조(20)와, 세척조(20)의 하부에 마련되어 세척조(20)로 분사된 세척수가 집수되는 섬프(30)가 구비된다. 섬프(30)에는 섬프(30)로 유입되는 세척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 조립체(50)가 설치된다.
세척조(20)의 내부에는 상하로 분리되어 식기가 수용되는 상부 및 하부 랙(21,22)과, 상부 및 하부 랙(21,22)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 하부 노즐 (23,24)이 설치된다.
세척조(20)의 내부에는 섬프(30)에 집수된 세척수가 세척조(20)에 설치되는 상, 하부 노즐(23,24)로 공급되도록 상, 하부 유로(27,28)가 구비된다.
또한, 세척조(20)에는 외부의 수원을 연결하여 물이 세척조(20) 내부로 급수되도록 하는 급수유로(41)와, 오염된 세척수가 식기 세척기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유로(42)가 구비된다.
배수유로(42) 상에는 섬프(30)에 집수된 세척수가 식기세척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펌프(70)가 구비된다. 배수유로(42)는 고무나 플렉시블관(flexible pipe)과 같이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댐핑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조(20)의 하부에는 섬프(30)에 집수된 세척수를 세척조(20)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유로(31)가 구비되고, 공급유로(31) 상에는 상, 하부 노즐(23,24)로 물을 공급하는 세척펌프(35)가 구비된다.
공급유로(31)는 섬프(30)와 세척펌프(35)를 연결하는 흡입관(36)과, 세척펌프(35)와 상, 하부 유로(27,28)를 연결하는 토출관(37)을 포함한다. 그리고, 공급유로(31)는 고무나 플렉시블관(flexible pipe)과 같이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댐핑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2)의 내부에는 상술한 세척조(2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세척조(2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팬 어셈블리(300)와, 팬 어셈블리(300)에서 흡입된 세척조(20)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100)와, 배기덕트(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도어(2)가 열리는 방향인 전방으로 팬 어셈블리(300)에서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노즐(200)이 구비된다.
팬 어셈블리(300)는 도어(2)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조(20)에서 식기가 세척 및 건조된 후 건조된 공기를 배기덕트(100)롤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이때, 배기덕트(100)의 내부에는 세척조(20)에서 배기되는 공기가 배기덕트(100)의 내부에서 이슬점온도 이하로 떨어져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다.
응축수가 배기되는 공기와 함께 배기덕트(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노즐(200)로 배출되면, 로어 커버(3)가 응축수에 의해 오염되며, 식기세척기의 주위가 응축수에 의해 더러워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후술하는 회수구(110) 및 복수개의 리브(120)가 배기덕트(100)에 형성된다. 회수구(110) 및 복수개의 리브(120)에 대하여는 도 6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배기덕트(100)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7은 A부분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8은 A부분의 측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반대편에서 바라본 측면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20)와, 세척조(20)를 개폐하는 도어(2)와, 세척조(20) 내부의 공기를 도어(2)의 하측으로 배출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배기덕트(100)와, 배기덕트(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배기덕트(100) 내부에서 응축되는 응축수를 세척조(20)로 회수하는 회수구(110) 및, 배기덕트(100)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응측수를 회수구(110)로 안내하는 복수개의 리브(1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개의 리브(120)는 각 리브(120)가 이루는 직선이 다른 리브(120)와 서로 다른 평면상에 존재하여, 회수구(110)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에서 응축수를 회수구(110)로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배기덕트(100)의 일측에는 배기덕트(100)의 내부에서 응축되는 응축수를 세척조(20)로 회수하는 회수구(110)가 형성된다. 회수구(110)는 배출되는 공기가 배기덕트(100)의 내부에서 이슬점온도 이하로 온도가 하강하여 배기덕트(100) 내부에 형성된 응축수가 세척조(20)로 배출되도록 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며, 배기덕트(100)의 일측면에 개구되어 형성된다. 회수구(110)에는 호스(미도시) 등이 세척조(20)와 연결되어, 회수구(110)에서 회수된 응축수를 세척조(20)로 전달한다.
배기덕트(100)의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리브(12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복수개의 리브(120)는 배기덕트(100)의 내측면에 대하여 응축수를 회수구(110)로 안내할 수 있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각각의 리브(120)는 배기덕트(100)의 내측면에 응축된 응축수를 포집하여 회수구(110)로 안내하도록 한다.
복수개의 리브(120)는 회수구(110)보다 상부에 형성된다. 즉, 배기덕트(100)의 상부에서 하부로 공기가 유동할 때, 배기덕트(100)의 상부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복수개의 리브(120)가 포집하고, 복수개의 리브(120)의 하부에 위치한 회수구(110)에서 응축수를 세척조(20)로 회수한다.
각각 리브(120)에 대하여 하나의 직선으로 취급할 때, 각 리브(120)가 이루는 직선은 다른 리브(120)와 서로 다른 평면상에 존재하도록 형성된다. 즉, 각각의 리브(120)가 지면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를 이루어 배기덕트(100)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각각의 리브(120)는 지면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어 형성되며, 배기덕트(100)의 내측면에 해당하는 전면, 배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형성된 각각의 리브(120)는 서로 다른 평면상에 존재하도록, 지면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배기덕트(100)의 좌측면에 형성된 회수구(110)를 시작점으로 하여 배기덕트(100)의 내측면 중 전면에 형성된 리브(120)는 지면과 교각을 이루며 형성되고, 다시 전면에 형성된 리브(120)가 끝나는 지점에서 배기덕트(100)의 우측면에 형성된 리브(120)는 전면에 형성된 리브(120)에서 연장되어 전면에 형성된 리브(120)와 소정각도를 이루어 형성된다. 이때, 전면에 형성된 리브(120)와 우측면에 형성된 리브(120)는 서로 다른 평면상에 존재한다.
다시, 우측면에 형성된 리브(120)가 끝나는 지점의 배기덕트(100)의 배면에 형성된 리브(120)는 우측면에 형성된 리브(120)와 소정각도를 이루어 형성되며, 전면에 형성된 리브(120)와도 평행하지 않게 소정의 각도를 이루어 형성된다. 즉, 전면과 배면 및 우측면에 형성된 리브(120)는 각각 서로 소정각도를 형성하며, 회수구(110)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에서 응축수를 회수구(110)로 안내한다. 또한, 이와 같은 복수개의 리브(120)는 지면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존재하여 서로 다른 평면상에 존재한다.
배기덕트(100)의 내측면에 응축되어 각각의 리브(120)에 포집된 응축수는 배기덕트(100)의 내측면에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고 서로 다른 평면상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리브(120)에 의해, 회수구(110) 쪽으로 응축수의 유동이 교착되지 않고 안내되어, 회수구(110)에서 응축수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응축수가 회수구(110)로 배출되면, 로어 커버(3)가 응축수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식기세척기의 주위 바닦이 응축수에 의해 더러워지는 문제점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복수개의 리브(12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복수개의 리브(120) 중 배기덕트(100)의 제1면(101)에는 제1리브(121)가 형성되고, 배기덕트(100)의 제2면(103)에는 제2리브(123)가 형성된다. 제1면(101)은 배기덕트(100) 내측면의 전면 또는 배면 중 어느 하나이며, 제2면(103)은 제1면(101)이 아닌 배기덕트(100)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이다.
이것은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배기덕트(100)의 전면 또는 배면 또는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 적어도 전면 및 배면에 리브(120)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술한 것과 같이 지면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된 제1리브(121)와 제2리브(123)는 서로 다른 평면상에 존재하도록 형성된다.
제1리브(121)와 제2리브(123)는 응축수가 제1리브(121)와 제2리브(123)에 형성된 각도를 따라 회수구(110)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에서 회수구(110)로 안내되도록 하여, 응축수가 리브(120)를 따라 유동되는 중에 교착이나 경사에 의해 리브(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회수구(110)의 인접주위에는 제1리브(121)와 제2리브(123)로부터 안내되는 응축수를 회수구(110)로 안내하는 보조리브(125)가 형성된다. 회수구(110)는 배기덕트(100)의 내측면 중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제1리브(121)와 제2리브(123)는 내측면 중 전면 또는 배면에 형성된다. 이때, 제1리브(121) 및/또는 제2리브(123)와 회수구(110)를 이어주기 위한 보조리브(125)가 회수구(110)의 인접주위에 형성되어, 제1리브(121) 및/또는 제2리브(123)에서 포집된 응축수를 보조리브(125)를 통하여 회수구(110)로 안내한다.
보조리브(125)가 회수구(110)의 인접주위에 형성됨에 따라, 제1리브(121) 및/또는 제2리브(123)에서 포집된 응축수를 리브(120)에서 이탈되지 않게 회수구(110)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배기덕트의 측면(105)에는 제1리브(121)의 일단과 제2리브(123)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리브(127)가 형성된다. 배기덕트(100)의 보조리브(125)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측면에 연결리브(127)가 형성되어, 제1리브(121)의 일단과 제2리브(123)의 일단을 연결한다. 실시예에 따라, 회수구(110)가 좌측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우측면에 연결리브(127)가 형성되고, 회수구(110)가 우측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좌측면에 연결리브(127)가 형성된다.
연결리브(127)는 제1리브(121)의 일단과 제2리브(123)의 일단을 연결하여, 제1리브(121) 및/또는 제2리브(123)에서 포집된 응축수를 안내하여 응축수의 유동이 끊기지 않도록 한다. 또한 연결리브(127)가 형성된 측면은 포집된 응측수가 리브(120)에서 이탈되어 노즐(200)로 배출되지 않도록, 연결리브(127)에서 응축수가 포집되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라, 회수구(110)의 인접주위에는 배기덕트의 측면(107)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단차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113)는 배기덕트(100)의 내측면에서 더욱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배기덕트(100)의 외부에서 볼 경우 배기덕트(100)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 경우, 제1리브(121)와 제2리브(123)를 연결하는 보조리브(125)는 단차부(113)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리브(125)가 단차부(113)에 형성되어 제1리브(121) 및/또는 제2리브(123)에서 포집된 응축수를 회수구(110)로 안내하여, 단차부(113)에서 응축수가 리브(120)에서 이탈되어 노즐(20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0은 도 5의 B부분을 확대한 노즐(200) 하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20)와, 세척조(20)를 개폐하는 도어(2)와, 세척조(2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배기덕트(100) 및, 일단이 배기덕트(100)에 결합되고 타단이 도어(2)의 하단에 노출되어 배기덕트(100)로 배출되는 공기가 도어(2)가 열리는 방향인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노즐(200)을 포함한다.
노즐(200)은 일단이 배기덕트(100)와 결합되어, 배기덕트(100)에 배출되는 공기가 노즐(200)을 통해 유동된다. 노즐(200)의 타단은 도어(2)의 하단에 노출되며, 노출된 타단에세 배출되는 공기는 도어(2)가 열리는 방향인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하에서 전방은 도어(2)가 열리는 방향을 가리키도록 한다.
노즐(200)은 배기턱트와 결합되는 몸체부(210)와, 도어(2)의 하단에 노출되고 상측부(231)가 하측부(233)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배출부(230)와, 몸체부(210)와 배출부(230)를 구부러진 만곡을 형성하며 연결하고 배기덕트(100)에서 배출된 공기가 배출구의 상측부(231)로 유동되도록 하는 만곡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기덕트(100)와 결합되는 노즐(200)의 일단은 노즐(200)의 몸체부(210)로써, 몸체부(210)가 배기덕트(100)와 결합되어, 배기덕트(10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전달 받는다. 몸체부(210)는 배기덕트(10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도어(2)의 하단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즉 배기덕트(100)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몸체부(210)에 형성된 유로에 의해 도어(2)의 하단으로 유동되도록 한다.
몸체부(210)를 통과한 공기는 다시 만곡부(220)를 통과하여 배출부(230)로 유동되며, 만곡부(220) 내에서 유동된 공기가 배출부(230)의 상측에 도달하고, 이때, 배출부(230)의 상측부(231)가 하측부(233)보다 더 길게 형성됨에 따라 배출부(230)의 상측부(231)에 의해 유동이 안내된다.
즉, 배출부(230)의 상측부(231)에 도달한 공기는 배출부(230)의 상측부(231)에 의해 안내되어, 상측부(231)를 따라 직진하여 전방으로 배출되며, 공기가 전방으로 배출됨에 따라 로어 커버(3) 등에 공기가 유동되어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 및 수증기 등이 로어 커버(3)를 오염시키는 문제를 방지하게 된다.
배출부(230)의 상측부(231)와 하측부(233)는 내부에 형성된 유로가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측부(231)와 하측부(233)가 평행하게 배치됨에 따라 형성되는 배출부(230) 내부의 평행한 유로는 만곡부(220)를 통과하여 상측부(231)로 안내된 공기가 배출부(230)의 상측부(231) 의해 전방으로 직진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배출부(230)의 상측부(231)는 상측부(231)의 길이가 하측부(233)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도어(2)의 하단을 차폐한다. 배기덕트(100)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일차적으로 상술한 리브(120)에서 응축수가 포집되어 회수구(110)로 회수되나, 배출되는 공기중에 아직 남아 있는 수증기가 노즐(200)의 내부에서 응축될 수 있다. 이때,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소량의 수증기가 노즐(200)의 끝부분과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도어(2)에 의해 도어(2)의 하단부 사이에서 응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응축된 응축수는 도어(2)의 하단부를 오염시키고, 도어(2)의 하단부에서 낙하하여 식기세척기의 주위를 오염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상측부(231)가 하측부(233)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도어(2)의 하단부를 상측부(231)가 차폐하도록 하여 공기의 직진성을 유지하고, 도어(2)의 하단부에서 수증기가 응축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어(2)의 하부에는 로어 커버(3)가 이격되어 구비된다. 로어 커버(3)는 상술한 것과 같이 식기세척기의 외관을 수려하게 한다. 이때, 노즐(200)의 배출부(230)의 하측부(233)는 로어 커버(3)의 내측에서 로어 커버(3)와 이격되어 구비된다. 로어 커버(3)와 배출부(230)의 하측부(233)가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배출부(23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하측부(233)에서 확산된다 하더라도, 로어 커버(3)에 간섭되지 않고 직진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만곡부(220)의 형상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만곡부(220)는 몸체부(210)와 배출부(230)를 연결하며 만곡부(220) 내부에서 유동된 공기가 상측부(231)로 유동되도록 만곡되어 형성된다. 즉 몸체부(210)를 통과한 공기는 지면쪽을 향하여 유동되고, 만곡부(220)에 형성된 유선형의 만곡에 의해 다시 전방쪽 유동되어 노즐(200)의 배출부(230)로 안내된다. 이때, 노즐(200)의 배출부(230)의 상측부(231)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만곡부(220)의 내부가 만곡을 그리며 휘어져 형성된다. 만곡부(220) 내부의 형상에 의해 몸체부(210)에서 유동된 공기는 만곡을 이루며 구부러져 유동된 후 상측부(231)로 안내되고, 다시 상측부(231)에 의해 전방으로 안내된다.
만곡부(220)는 도어(2)의 하단 모서리(5) 지점에서, 도어(2)의 하단 모서리(5)와 이격되며 도어(2)의 전방쪽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상판만곡부(221) 및, 상판만곡부(221)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도어(2)의 전방쪽으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배출부(230)쪽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하판만곡부(2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판만곡부(221)는 도어(2)쪽에 인접하여 형성된 만곡부(220)로써, 도어(2)의 하단 모서리(5) 지점에서 도어(2)쪽으로 만곡을 그리며, 구부러져 형성된다. 이때, 도어(2)의 하단 모서리(5) 지점과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이러한 형상은 공기의 유동이 전방쪽으로 바로 향하도록 하지 않고 하판만곡부(223)쪽으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판만곡부(223)는 상판만곡부(22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만곡부(220)로써, 도어(2)의 하단 모서리(5) 저점에서 도어(2)쪽으로 만곡을 그리며 형성되고, 상판만곡부(221)와 함께 만곡된 유로를 형성한다. 하판만곡부(223)는 상판만곡부(221)와 함께 만곡된 유로를 형성하며, 배기덕트(10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하판만곡부(223)를 따라 유동되어 배출부(230)쪽으로 향하게 한다.
하판만곡부(223)쪽으로 안내된 공기는 상판만곡부(221)와 하판만곡부(223)가 형성하는 만곡부(220)가 도어(2)의 하단 모서리(5) 지점에서 소정거리 후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됨에 따라, 바로 배출구로 향하지 않게 되어 배출부(230)의 하측부(233)에서 확산되는 공기의 양을 줄이게 되고 공기가 직진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하판만곡부(223)가 끝나는 지점은 배출부(230)의 상측부(231)를 향하도록 구부러져 형성되어, 하판만곡부(223)를 통과한 공기가 상측부(231)로 안내되도록 한다. 하판만곡부(223)를 통과하는 공기는 하판만곡부(223)가 끝나는 지점에서 다시 상방으로 유동되어 배출구의 상측부(231)로 유동되도록, 하판만곡부(223)의 끝나는 지점(225)에 다시 소정의 절곡부가 형성된다.
즉, 하판만곡부(223)의 끝나는 지점(225)은 그 끝점의 진행 방향에 따른 백터가 상측부(231)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공기가 상승되어 유동되도록 구부러져 형성된다. 공기는 이 백터를 따라 만곡이 끝나는 지점(255)에서 상측으로 상승되는 것으로, 하판만곡부(223)의 끝나는 지점(225)에서 상측부(231)로 유동된다.
하판만곡부(223)의 끝나는 지점(225)이 상측부(231)로 안내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됨에 따라, 배출부(230)의 하측부(233)에서 공기의 확산 각도를 줄이고 상측부(231)로 안내되어 공기가 직진하여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만곡이 끝나는 지점(225)에서 상승되어 배출구의 상측부(231)로 안내된 공기는 상측부(231)에 의해 전방으로 안내되고, 다시 상측부(231)를 따라 전방으로 직진하여 배출된다. 상측부(231)는 만곡이 끝나는 지점에 상승되어 유동된 공기를 상측부(231)를 따라 전방으로 직진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배출부(230)의 상측부(231)와 하측부(233)가 평행하게 배치되어 공기가 전방으로 직진하여 배출됨에 따라, 배출구의 하측부(233)에서 로어 커버(3) 쪽으로 확산되는 공기의 양을 줄여,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기타 수증기 등에 의해 로어 커버(3)가 오염되는 것이 방지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 케이스 2 : 도어
3 : 로어 커버 4 : 프런트 커버
5 : 도어의 하단 모서리 21 : 상부랙
23 : 상부 노즐 22 : 하부랙
24 : 하부 노즐 28 : 하부유로
50 : 필터 조립체 30 : 섬프
20 : 세척조 300 : 팬 어셈블리
100 : 배기덕트 200 : 노즐
110 : 회수구 120 : 리브
101 : 제1면 121 : 제1리브
103 : 제2면 123 : 제2리브
125 : 보조리브 127 : 연결리브
113 : 단차부 210 : 몸체부
230 : 배출부 231 : 상측부
233 : 하측부 220 : 만곡부
221 : 상판만곡부 223 : 하판만곡부

Claims (14)

  1.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배기덕트; 및
    일단이 상기 배기덕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도어의 하단에 노출되어 상기 배기덕트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도어가 열리는 방향인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노즐;
    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도어의 하단에 노출되고 상측부가 하측부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배기턱트와 결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배출부를 구부러진 만곡을 형성하며 연결하고, 상기 배기덕트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 배출부의 상측부로 유동되도록 하는 만곡부;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상측부로 안내된 후, 상기 배출부의 상측부에 의해 전방으로 안내되는 식기세척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도어의 하단 모서리 지점에서, 상기 도어의 하단 모서리와 이격되며 상기 도어의 전방쪽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상판만곡부; 및
    상기 상판만곡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도어의 전방쪽으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쪽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하판만곡부;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만곡부가 끝나는 지점은 상기 배출부의 상측부를 향하도록 구부러져 형성되어, 상기 하판만곡부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상측부로 안내되도록 하는 식기세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상측부는 상기 도어의 하단을 차폐하여, 상기 배기덕트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상기 도어의 하단에서 응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식기세척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하부에 구비되는 로어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의 하측부는 상기 로어 커버의 내측에서 상기 로어 커버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상측부와 하측부는 상기 배기덕트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직진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식기세척기.
  9.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배기덕트; 및
    일단이 상기 배기덕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도어의 하단에 노출되어 상기 배기덕트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도어가 열리는 방향인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노즐;
    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배기덕트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도어의 하단으로 유동된 후, 만곡을 이루어 구부러져 유동되며, 만곡이 끝나는 지점에서 상승되어 유동된 후, 전방으로 직진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식기세척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배기덕트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도어의 하단으로 유동되는 통로가 형성된 몸체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도어의 하단 모서리 지점에서 구부러진 만곡을 형성하는 상판만곡부; 및
    상기 상판만곡부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상판만곡부와 함께 상기 공기가 만곡을 이루며 구부러져 유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하판만곡부;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만곡부가 끝나는 지점은 상기 공기가 상승되어 유동되도록 구부러져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측부가 하측부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만곡이 끝나는 지점에서 상승되어 유동된 공기가 상측부에 의해 전방으로 안내되는 식기세척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상측부와 하측부는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상측부로 안내된 공기가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100043145A 2010-05-07 2010-05-07 식기세척기 KR101685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145A KR101685357B1 (ko) 2010-05-07 2010-05-07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145A KR101685357B1 (ko) 2010-05-07 2010-05-07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588A true KR20110123588A (ko) 2011-11-15
KR101685357B1 KR101685357B1 (ko) 2016-12-12

Family

ID=45393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145A KR101685357B1 (ko) 2010-05-07 2010-05-07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3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1300A1 (ko) * 2016-03-28 2017-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CN107752944A (zh) * 2017-11-24 2018-03-06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水槽式洗碗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9488A (en) * 1986-08-06 1987-12-01 Whirlpool Corporation Venturi air vent for dishwasher
KR20090022950A (ko) * 2007-08-31 2009-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9488A (en) * 1986-08-06 1987-12-01 Whirlpool Corporation Venturi air vent for dishwasher
KR20090022950A (ko) * 2007-08-31 2009-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1300A1 (ko) * 2016-03-28 2017-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US10980395B2 (en) 2016-03-28 2021-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washer
CN107752944A (zh) * 2017-11-24 2018-03-06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水槽式洗碗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5357B1 (ko) 2016-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8151B1 (ko) 식기 세척기
KR101356512B1 (ko) 식기세척기
KR102384522B1 (ko) 식기세척기
KR20130033812A (ko) 식기세척기
KR101356513B1 (ko) 식기세척기
KR20100000205A (ko) 식기세척기
KR20110123588A (ko) 식기세척기
KR20070065969A (ko) 식기 세척기
KR100630974B1 (ko) 식기세척기
KR20110123589A (ko) 식기세척기
KR20090030987A (ko) 식기세척기
KR101241458B1 (ko) 식기 세척기의 노즐 홀더 결합 구조
KR20070105046A (ko) 식기 세척기
CA2775831A1 (en) A dishwasher comprising a microfilter
US20080163901A1 (en) Sump of Dish Washer
KR101054193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덕트 구조
KR101293234B1 (ko) 식기세척기
KR20070078127A (ko) 식기 세척기
KR20080090178A (ko) 식기세척기
KR101268821B1 (ko) 식기 세척기
KR20070078128A (ko) 식기 세척기
KR20070105058A (ko) 식기 세척기의 응축 장치
KR101204568B1 (ko) 식기 세척기
KR101178688B1 (ko) 식기 세척기의 응축 시스템
KR20120022424A (ko) 식기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