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052B1 -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052B1
KR102046052B1 KR1020130134273A KR20130134273A KR102046052B1 KR 102046052 B1 KR102046052 B1 KR 102046052B1 KR 1020130134273 A KR1020130134273 A KR 1020130134273A KR 20130134273 A KR20130134273 A KR 20130134273A KR 102046052 B1 KR102046052 B1 KR 102046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astic
opening
washing tank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4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2610A (ko
Inventor
서영수
김공수
주재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4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052B1/ko
Priority to US14/532,217 priority patent/US10478041B2/en
Publication of KR20150052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2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3Door seal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생산성이 향상된 실링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개시한다.
식기세척기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 전면에 개구가 형성된 세척조와,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세척조와 도어 사이를 밀폐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실링부재는, 도어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로부터 세척조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세척조의 내면과 접촉하는 실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SEALING MEMBER AND DISH WASH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세척조와 도어 사이를 밀폐하는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식기의 세척을 보다 용이하고 위생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세제와 세척수를 이용하여 그릇과 수저 및 각종 조리 도구 등(이하 '식기')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를 자동으로 세척하는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본체, 본체 내부에 마련되며 식기가 보관되는 세척조, 세척조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포함한다. 도어에는 실링부재가 마련되고, 실링부재는 도어와 세척조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여 Tub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습증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종래에는 실링부재를 도어에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 브라켓 등이 필요하여 재료비 증가의 원인이 되고, 실링부재를 고정 브라켓을 이용하여 도어에 결합시키는 과정이 복잡하여 생산효율을 저하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어가 세척조를 닫은 상태에서 실링부재와 세척조의 사이의 특정 공간으로 유입된 이물질이 원활하게 세척되지 않고 세척조에 쌓이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생산성이 향상된 실링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실링부재와 세척조 사이의 공간에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개선된 실링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 전면에 개구가 형성된 세척조;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세척조와 상기 도어 사이를 밀폐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도어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세척조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세척조의 내면과 접촉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의 경도와 상기 실링부는 경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실링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도가 클 수 있다.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실링부재와 상기 세척조의 하면 사이에는 세척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세척수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실링부의 굽힘 변형을 유도하는 굽힘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굽힘유도부는 상기 세척조의 전방을 향하여 만곡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세척조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하는 제1탄성변형부 및 제2탄성변형부와, 상기 제1탄성변형부 및 상기 제2탄성변형부를 연결하고, 상기 세척조의 내면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변형부 및 상기 제2탄성변형부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탄성변형부는 상기 제2탄성변형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굽힘유도부는 상기 제1탄성변형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변형부와 제2탄성변형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세척조의 전방을 향하여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증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실링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세척조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세척조의 하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는 그 일단으로부터 상기 세척조의 전방을 향하여 절곡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개구를 덮도록 형성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체결돌기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가지며,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돌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1프레임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세척조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실링부재의 강도를 보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도보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도보강리브의 단부는 상기 제1프레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개구를 형성하는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되는 하면프레임을 가지는 세척조;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며, 상기 개구를 덮도록 형성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프레임을 가지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전면프레임의 내면과 접촉하여, 상기 세척조와 상기 도어 사이를 밀폐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제1경도를 가지는 제1탄성부;와 상기 제1경도보다 작은 제2경도를 가지며 상기 제1탄성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2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탄성부의 일단은 상기 제1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제1탄성부의 타단은 상기 제2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는 상기 제1탄성부로부터 상기 전면프레임을 향하여 만곡된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면프레임의 내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탄성부는 제1방향으로 굽힘 변형된 후,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굽힘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의 일단은 상기 제2탄성부가 상기 제2방향으로 굽힘 변형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탄성부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탄성부는 상기 제1방향으로 굽힘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탄성부와 상기 전면프레임 사이의 공간은 점차 줄어들 수 있다.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제2탄성부와 상기 하면프레임 사이에는 세척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세척수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실링부재는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세척조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세척조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실링부재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제1탄성부;와, 상기 제1탄성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세척조의 내면과 접촉하는 제2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세척조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탄성부는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굽힘 변형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세척조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탄성부는 상기 제1방향으로 굽힘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가 상기 세척조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탄성부는 상기 제2탄성부가 상기 제1방향으로 굽힘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탄성부를 가압할 수 있다.
간편한 방법으로 실링부재를 직접 도어에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실링부재와 세척조의 하면프레임 사이로 세척수가 유입되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실링부재의 일부분이 세척조의 전면프레임과 접촉하여 도어와 세척조 사이를 밀폐하므로, 실링부재와 세척조 사이의 공간에 이물질이 쌓이는 현상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세척조, 도어와 실링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어와 실링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실링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1에서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도어가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실링부재 및 실링부재 주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어가 개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실링부재 및 실링부재 주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어가 개구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실링부재의 형상이 변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어가 개구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실링부재의 형상이 변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세척조, 도어와 실링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식기세척기(1)는 본체(10)와, 본체(10)와 내부에 마련되어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20)와, 세척조(20)의 하부에 마련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30)와, 세척조(20)의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은 세척조(20)에 식기를 수납하거나 세척조(20)로부터 식기를 인출할 수 있도록 개방된다.
세척조(20)는 본체(10)의 개방된 전면과 연통되는 개구(21)와, 개구(21)를 형성하는 전면프레임(22)과, 전면프레임(22)의 하측에 연결되는 하면프레임(23)과, 전면프레임(22) 및 하면프레임(23)에 연결되는 측면프레임(24)과, 전면프레임(22) 및 측면프레임(24)을 덮는 상면프레임(25)을 포함한다.
세척조(20)에는 식기가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기바구니(26)와, 적어도 하나의 식기바구니(26)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랙(27)과, 세척수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28)이 마련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28)은 탑노즐(28a)과 상부노즐(28b), 하부노즐(28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세척조(20)에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35)와 히터 설치홈(36)이 형성된다. 세척조(20)의 하면프레임(23)에는 히터 설치홈(36)이 마련되고, 히터 설치홈(36)에 히터(35)가 설치된다.
섬프(30)는 세척조(20)의 하면프레임(23)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모아서 펌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섬프(30)는 세척수를 고압으로 펌핑하는 세척펌프(31)와, 세척펌프(31)를 구동하는 펌프모터(32)를 포함한다. 세척펌프(31)는 제1공급관(33a)을 통하여 탑노즐(28a)과 상부노즐(28b)로 세척수를 펌핑하고, 제2공급관(33b)을 통하여 하부노즐(28c)로 세척수를 펌핑한다.
섬프(30)는 세척수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탁도센서(34)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의 제어부(미도시)는 탁도센서(34)를 이용하여 세척수의 오염도를 검출하고, 세척 단계 또는 헹굼 단계의 진행 횟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오염도가 높은 경우 세척 또는 헹굼 단계를 증가시키고, 오염도가 낮은 경우 세척 또는 헹굼 단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섬프(30)의 하부에는 오염된 세척수를 식기세척기(1)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50) 및 배수호스(52)가 마련된다.
도어(40)는 개구(21)를 개폐하도록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어(40)의 양측에는 도어(40)와 본체(10)를 연결하는 힌지부재들(19a, 19b)이 마련된다. 도어(40)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프레임(41)과, 외측프레임(41)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프레임(42)을 포함한다. 내측프레임(42)은 개구(21)를 덮도록 형성되는 제1프레임(43)과 제1프레임(43)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프레임(44)을 포함한다. 제1프레임(43)은 그 하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지지돌기(43a)와 지지돌기(43a)의 끝단에 형성되는 수용홈(43b)을 포함한다(도 3 및 도 5 참조). 제2프레임(44)은 그 하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돌기(44a)를 포함한다(도 3 및 도 5 참조).
도어(40)의 하부에는 세척조(20)와 도어(40) 사이를 밀폐하는 실링부재(100)가 마련된다.
도 3은 도어와 실링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실링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도어가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실링부재 및 실링부재 주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어가 개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실링부재 및 실링부재 주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재(100)는 도어(40)의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도어(40)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부(110)와, 세척조(20)의 내면과 접촉하여 도어(40)와 세척조(20) 사이를 밀폐하는 실링부(120)를 포함한다.
고정부(110)는 실링부(120)를 지지하는 지지부(112)와, 지지부(112)의 양단에 형성되는 제1체결부(114) 및 제2체결부(116)를 포함한다.
제1체결부(114)는 지지부(112)의 상단으로부터 세척조(20)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제2체결부(116)는 지지부(112)의 하단으로부터 세척조(20)의 하면프레임(23)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제1체결부(114)의 일단에는 고정홈(114a)이 마련된다. 고정홈(114a)에는 제2프레임(44)의 삽입돌기(44a)가 삽입된다. 삽입돌기(44a)는 고정홈(114a)에 삽입되어 고정부(110)를 A방향 및 A방향과 수직한 B방향으로 지지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정홈(114a) 및 삽입돌기(44a)는 도어(40)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2체결부(116)는 그 일단으로부터 세척조(20)의 전방을 향하여 절곡 형성되는 체결돌기(116a)를 포함한다. 체결돌기(116a)는 제1프레임(43)의 수용홈(43b)에 수용된다. 제2체결부(116)는 제1프레임(43)의 하단 전면과 접촉하여 제1프레임(43)의 하단 전면에 의해 A방향과 반대되는 C방향으로 지지되고, 체결돌기(116a)는 제1프레임(43)의 지지돌기(43a)에 의해 A방향과 수직한 B방향으로 지지된다.
이와 같이, 실링부재(100)는 고정부(110)를 통해 도어(40)에 직접 고정되므로 실링부재(100)를 도어(40)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불필요하므로 재료비가 절감되고, 또한 볼트, 리벳 등의 체결요소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실링부(120)가 마련되는 지지부의 일면(112a)과 반대되는 지지부의 타면(112b)에는 지지부(112)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강도보강리브(118)가 마련된다. 강도보강리브(118)는 지지부의 타면(112b)으로부터 세척조(20)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강도보강리브(118)의 단부(118a)는 제1프레임(43)의 하단 전면과 접촉하여 제1프레임(43)의 하단 전면에 의해 지지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강도보강리브(118)는 도어(40)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실링부(120)는 고정부(110)의 지지부(112)로부터 세척조(20)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도어(40)가 개구(21)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하는 제1탄성변형부(122) 및 제2탄성변형부(124)와, 제1탄성변형부(122) 및 제2탄성변형부(124)를 연결하고 세척조(20)의 전면프레임(22)의 내면(22a)과 접촉하는 접촉부(126)를 포함한다.
제1탄성변형부(122)와 제2탄성변형부(124)는 지지부(112)로부터 세척조(20)의 전방을 향하여 만곡되는 형상으로 연장되며, 도어(40)가 개구(21)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실링부(120)의 형상 변형이 용이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 접촉부(126)는 도어(40)가 개구(21)를 폐쇄한 상태에서 전면프레임(22)의 내면(22a)과 접촉하여 도어(40)와 세척조(20) 사이를 밀폐한다.
제1탄성변형부(122)의 끝단은 상향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며, 제1탄성변형부(122)와 제2탄성변형부(124) 사이의 간격(G1)은 상기 세척조의 전방을 향하여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증가한다. 따라서 도어(40)가 개구(21)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실링부(120)가 제1방향(C1)으로 자연스럽게 굽힘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이 제공된다.
제1탄성변형부(122)는 굽힘유도부(123)를 포함한다. 굽힘유도부(123)는 세척조(20)의 전방을 향하여 만곡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도어(40)가 개구(21)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과정에서 실링부(120)는 굽힘유도부(123)를 중심으로 제1방향(C1)으로 자연스럽게 굽힘 변형될 수 있다.
도어(40)가 개구(21)를 폐쇄한 상태에서 제2탄성변형부(124)와 세척조(20)의 하면프레임(23)의 내면(23a) 사이에는 세척수유로(130)가 형성된다. 세척수유로(130)로 유입된 세척수는 실링부(120)와 세척조(20) 사이의 구석진 공간에 위치한 이물질을 세척한 후, 다시 세척수유로(130)를 통해 유출된다. 따라서, 실링부(120)와 세척조(20) 사이의 구석진 공간에 이물질이 쌓이는 현상이 방지된다.
고정부(110)와 실링부(120)는 고무, 플라스틱 등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10)는 실링부재(100)를 도어(40)에 단단히 고정시킴과 동시에 도어(4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그 형상 변형이 억제될 수 있도록 위해 경도가 높은 경질의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링부(120)는 도어(4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도어(40)와 세척조(20) 사이의 공간에서 그 형상이 자연스럽게 변형될 수 있도록 고정부(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연질의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110)와 실링부(120)는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고정부(110)와 실링부(120)를 각각 제1탄성부 및 제2탄성부로 볼 수 있다.
고정부(110)와 실링부(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10)와 실링부(120)는 일체로 형성하기 위해 압출 공법을 사용할 수 있다. 고정부(110)의 형상과 실링부(120)의 형상을 포함하는 실링부재(100)의 형상에 대응하는 압출금형에 고정부(110)를 형성하는 재료와 실링부(120)를 형성하는 재료를 동시에 압출금형으로 밀어 넣어 뽑아냄으로써, 고정부(110)와 실링부(120)는 일체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어(40)가 개구(21)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실링부재(20)의 형상이 변형되는 과정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도어가 개구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실링부재의 형상이 변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어가 개구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실링부재의 형상이 변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0)가 회전하여 세척조(20)의 개구(21)를 개방하기 시작하면, 실링부재(100)의 고정부(110)와 세척조(20)의 전면프레임(22) 사이의 간격(G2)이 점차 작아진다. 실링부재(100)의 고정부(110)와 세척조(20)의 전면프레임(22) 사이의 간격(G2)이 점차 줄어듦에 따라, 실링부(120)의 접촉부(126)가 전면프레임(22)의 내면(22a)에 접촉한 상태로 실링부(120)는 굽힘유도부(123)를 중심으로 제1방향(C1)으로 굽힘 변형된다. 굽힘유도부(123) 주위에서 제1탄성변형부(122)와 제2탄성변형부(124) 사이의 간격(G1)은 점차 줄어든다.
도어(40)의 개방각(α)이 54ㅀ가 되면, 실링부(120)의 굽힘 변형량이 증가하여, 굽힘유도부(123) 주위에서 제1탄성변형부(122)와 제2탄성변형부(124)가 서로 접촉하게 되고, 접촉부(126)는 전면프레임(22)의 내면(22a) 및 제1탄성변형부(122)와 접촉하게 된다. 또한, 고정부(110)의 체결돌기(116a)는 제2탄성변형부(124)와 접촉하여 실링부(120)를 지지한다.
도어(40)의 개방각(α)이 72ㅀ가 되면, 체결돌기(116a)가 실링부(120)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약해지면서 실링부(120)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에 가까운 형상으로 복원되고, 이 과정에서 제1탄성변형부(122)와 제2탄성변형부(124)가 서로 분리되고, 접촉부(126)를 포함한 실링부(120)의 일 부분은 고정부(110)와 세척조(20)의 전면프레임(22)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도어(40)의 개방각(α)이 72ㅀ를 넘게 되면, 고정부(110)의 체결돌기(116a)는 제2탄성변형부(124)와 접촉한 상태로 실링부(120)를 가압하게 되고, 실링부(120)는 체결돌기(116a)에 의해 가압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제1방향(C1)과 반대되는 제2방향(C2)으로 굽힘 변형된다.
도어(40)가 개구(21)를 완전히 개방하여 도어(40)의 개방각(α)이 90ㅀ가 되면, 제1탄성변형부(122)와 제2탄성변형부(124)는 체결돌기(116a)에 의해 가압되는 지점 주위에서 다시 서로 접촉하고, 실링부(120)의 일 부분은 고정부(110)의 체결돌기(116a)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고정부(110)와 세척조(20)의 전면프레임(22) 사이의 공간 외측에 위치하게 되고, 실링부(120)의 다른 부분은 고정부(110)와 세척조(20)의 전면프레임(2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도어(40)가 회전하여 세척조(20)의 개구(21)를 개방할 때, 실링부(120)가 굽힘 변형되면서 도어(40)와 세척조(20) 사이의 밀폐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부(110)와 세척조(20)의 전면프레임(22) 사이의 공간이 점차 줄어들게 됨에 따라, 실링부(120)의 일 부분이 고정부(110)와 세척조(20)의 전면프레임(22)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이탈함으로써, 도어(40)의 개방 동작이 실링부재(100)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자연스럽게 진행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0)가 회전하여 세척조(20)의 개구(21)를 폐쇄하기 시작하면, 실링부재(100)의 고정부(110)와 세척조(20)의 전면프레임(22) 사이의 간격(G2)은 점차 커진다. 고정부(110)의 체결돌기(116a)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탄성변형부(122)와 제2탄성변형부(124)는 서로 분리된다.
도어(40)의 개방각(α)이 작아짐에 따라, 고정부(110)의 체결돌기(116a)는 다시 실링부(120)를 제1방향(C1)으로 가압하게 되고, 또한 제1방향(C1)으로 탄성복원력도 작용하게 되므로, 실링부(120)는 굽힘유도부(123)를 중심으로 제1방향(C1)으로 굽힘 변형되면서 점차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 간다.
도어(40)가 개구(21)를 완전히 폐쇄하여 도어(40)의 개방각이 0ㅀ가 되면, 실링부(120)는 완전히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어 다시 고정부(110)와 세척조(20)의 전면프레임(2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되고, 실링부(120)의 접촉부(126)는 전면프레임(22)의 내면(22a)과 접촉하여 도어(40)와 세척조(20) 사이를 밀폐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40)가 회전하여 세척조(20)의 개구(21)를 폐쇄할 때, 실링부(120)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도어(40)와 세척조(20) 사이의 밀폐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부(110)와 세척조(20)의 전면프레임(22) 사이의 공간이 점차 늘어들게 됨에 따라, 실링부(120)가 고정부(110)와 세척조(20)의 전면프레임(2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함으로써, 도어(40)의 폐쇄 동작이 실링부재(100)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자연스럽게 진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실링부재(100)가 식기세척기에 적용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의류 건조기, 세탁기 등의 도어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 : 세탁기 10 : 본체
20 : 세척조 30 : 섬프
40 : 도어 100 : 실링부재
110 : 고정부 112 : 지지부
114 : 제1체결부 116 : 제2체결부
120 : 실링부 122 : 제1탄성변형부
124 : 제2탄성변형부 126 : 접촉부
130 : 세척수유로.

Claims (26)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 전면에 개구가 형성된 세척조;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세척조와 상기 도어 사이를 밀폐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도어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세척조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세척조의 내면과 접촉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실링부의 굽힘 변형을 유도하고, 상기 세척조의 전방을 향하여 만곡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굽힘유도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세척조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하는 제1탄성변형부; 및 제2탄성변형부;와,
    상기 제1탄성변형부 및 상기 제2탄성변형부를 연결하고, 상기 세척조의 내면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변형부 및 상기 제2탄성변형부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탄성 변형부는 상기 제2탄성변형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굽힘유도부는 상기 제1탄성 변형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경도와 상기 실링부는 경도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실링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도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실링부재와 상기 세척조의 하면 사이에는 세척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세척수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변형부와 제2탄성변형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세척조의 전방을 향하여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실링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세척조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세척조의 하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부는 그 일단으로부터 상기 세척조의 전방을 향하여 절곡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개구를 덮도록 형성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체결돌기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가지며,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1프레임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세척조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실링부재의 강도를 보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도보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리브의 단부는 상기 제1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7.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개구를 형성하는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되는 하면프레임을 가지는 세척조;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며, 상기 개구를 덮도록 형성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프레임을 가지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전면프레임의 내면과 접촉하여, 상기 세척조와 상기 도어 사이를 밀폐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제1경도를 가지는 제1탄성부;와
    상기 제1경도보다 작은 제2경도를 가지며 상기 제1탄성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2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의 일단은 상기 제1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제1탄성부의 타단은 상기 제2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는 상기 제1탄성부로부터 상기 전면프레임을 향하여 만곡된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면프레임의 내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탄성부는 제1방향으로 굽힘 변형된 후,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굽힘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의 일단은 상기 제2탄성부가 상기 제2방향으로 굽힘 변형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탄성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탄성부는 상기 제1방향으로 굽힘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탄성부와 상기 전면프레임 사이의 공간은 점차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제2탄성부와 상기 하면프레임 사이에는 세척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세척수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5.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세척조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세척조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실링부재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제1탄성부;와,
    상기 제1탄성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세척조의 내면과 접촉하는 제2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세척조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탄성부는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굽힘 변형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세척조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탄성부는 상기 제1방향으로 굽힘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부재.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세척조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탄성부는 상기 제2탄성부가 상기 제1방향으로 굽힘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탄성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부재.
KR1020130134273A 2013-11-06 2013-11-06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2046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273A KR102046052B1 (ko) 2013-11-06 2013-11-06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US14/532,217 US10478041B2 (en) 2013-11-06 2014-11-04 Sealing member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273A KR102046052B1 (ko) 2013-11-06 2013-11-06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610A KR20150052610A (ko) 2015-05-14
KR102046052B1 true KR102046052B1 (ko) 2019-11-18

Family

ID=53006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4273A KR102046052B1 (ko) 2013-11-06 2013-11-06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78041B2 (ko)
KR (1) KR1020460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13325B1 (en) * 2018-08-07 2024-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washer
KR102662674B1 (ko) * 2019-02-01 2024-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IT201900002209A1 (it) * 2019-02-15 2020-08-15 Ilpea Ind Spa Guarnizione per lavastoviglie, lavastoviglie comprendente tale guarnizione e metodo di assemblaggio associato
KR20210026166A (ko) * 2019-08-29 2021-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N110960175A (zh) * 2019-12-27 2020-04-07 深圳市金合联供应链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洗碗机的密封机构
WO2024005414A1 (ko) * 2022-06-30 2024-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082Y1 (ko) 1998-10-21 2001-03-02 윤홍구 식기세척기용 도어실패킹구조
KR100926146B1 (ko) 2008-04-21 2009-11-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문 패킹 구조체
KR101054115B1 (ko) * 2004-05-20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도어 실링 개스킷 구조
KR101287531B1 (ko) 2007-01-30 201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3035A (en) * 1969-05-01 1971-09-07 Maytag Co Dishwasher door seal
KR19980082399A (ko) * 1997-05-06 1998-12-05 윤종용 식기세척기의 소음누설 차단장치
KR19980082339A (ko) 1997-05-06 1998-12-05 윤종용 반도체 제조설비의 도어 기밀유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082Y1 (ko) 1998-10-21 2001-03-02 윤홍구 식기세척기용 도어실패킹구조
KR101054115B1 (ko) * 2004-05-20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도어 실링 개스킷 구조
KR101287531B1 (ko) 2007-01-30 201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0926146B1 (ko) 2008-04-21 2009-11-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문 패킹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78041B2 (en) 2019-11-19
US20150123524A1 (en) 2015-05-07
KR20150052610A (ko) 2015-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6052B1 (ko)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1634172B1 (ko) 식기세척기
US9476157B2 (en) Drain hose and washer having the same
US10568488B2 (en) Spray arm and dishwasher
KR101054115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실링 개스킷 구조
JP2005334360A (ja) 食器洗浄機
WO2011093048A1 (ja) 食器洗い機
KR102662674B1 (ko) 식기세척기
TWI501746B (zh) Tableware Washing Machine (2)
US20110127891A1 (en) Appliance and lid assembly
KR200397408Y1 (ko) 식기 세척기의 히터 결합 구조
CN111050624B (zh) 洗碗机
US7415984B2 (en) Tub lip alignment system for a dishwasher
US20070272284A1 (en) Dishwasher
KR102058074B1 (ko) 식기세척기
JP5578135B2 (ja) 食器洗い機
KR100662156B1 (ko) 식기 세척기의 워터 가이드 결합 구조
WO2011093047A1 (ja) 食器洗い機
KR101235956B1 (ko) 식기 세척기
KR101290357B1 (ko) 식기 세척기
JP2012019974A (ja) 食器洗い機
KR20100031907A (ko) 식기세척기
JP4349212B2 (ja) 食器洗い機
KR20070014712A (ko) 세탁기의 배수용 벨로우즈관
EP2432365A1 (en) A dishwa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