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05414A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05414A1
WO2024005414A1 PCT/KR2023/008349 KR2023008349W WO2024005414A1 WO 2024005414 A1 WO2024005414 A1 WO 2024005414A1 KR 2023008349 W KR2023008349 W KR 2023008349W WO 2024005414 A1 WO2024005414 A1 WO 202400541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ishwasher
door
tub
bent
suppor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834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규하
김진훈
심재원
현홍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3603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40002885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400541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0541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Definitions

  • a dishwasher In general, a dishwasher is a device that sprays washing water at high pressure on stored dishes to wash them and then dry them.
  • the dishwasher sprays washing water inside the tub where the dishes are stored, and the sprayed washing water touches the dishes to wash away foreign substances such as food residue on the surface of the dishes.
  • a dishwasher consists of a main body, a tub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to form a washing space, a door located in front of the tub that opens and closes the tub, a sump that supplies, collects, circulates, and drains washing water, and a spray device that sprays washing water into the tub. may include.
  •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sealing member that prevents water leakage between a tub and a door.
  •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sealing member with improved durability.
  • the fixing body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disposed to face the bent portion, and the bent portion may be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eating portion.
  • the bent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rotrusion extending toward the seating portion.
  • the support protrusion includes an end in the one direction
  • the seating portion may include a seating surface provid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 the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may include a plane.
  • the support protrusion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rotrusion and a second support protrusion disposed between the bent end and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 the thickness of the bent end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protrusion.
  •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portion may become smaller as it moves from the bent end toward the contact portion.
  • the seating portion may include a seating protrusion extending toward the bent portion.
  • the sealing body may include a hole, and the hole may have a closed loop shape.
  • the through hole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ating portion.
  • a dishwasher includes a tub forming a washing chamber, a doo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tub, and a sealing member provided to seal between the tub and the door.
  • the sealing member may include a fixed body coupled to the tub and a sealing body extending from the fixed body toward the door.
  • the fixing body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disposed to face the door.
  • the sealing body may include a contact part provided to contact the door, a support part connecting the fixing body and the contact part, and a bending part supported by the seating part.
  • the bent portion may include a bent end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 the bent portion may include a support protrusion extending toward the seating portion.
  • the seating portion may include a seating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protrusion, and the seating surface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 the bent portion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 and the bent end, and the thickness of the extended portion may increase toward the bent end.
  • the thickness of the bent end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protrusion.
  • the effect of preventing water leakage between the tub and the door can be improv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part of the structure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ure 4.
  •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ssurized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dishwasher 1 may include a main body 10.
  • the main body 10 may form the appearance of the dishwasher 1.
  • the dishwasher 1 may include a tub 12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 the tub 12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box shape.
  • One side of the tub 12 may be open. That is, the tub 12 may have an opening 12a.
  • the front of the tub 12 may be open.
  • the tub 12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12c, a lower surface 12b, and a rear surface 12f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12a.
  • the tub 12 may include a first side 12d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12c and the lower surface 12b and a second side 12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side 12d.
  • the first side 12d and/or the second side 12e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side 12f.
  • the dishwasher 1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container provided inside the tub 12 to store dishes.
  • the storage contain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baskets (51, 52, 53).
  • the storage container may include a middle basket 52 located in the middl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ishwasher 1 and a lower basket 51 located below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ishwasher 1.
  • the middle basket 52 may be provided to be supported on the middle guide rack 13b.
  • the lower basket 51 may be provided to be supported on the lower guide rack 13a.
  • the middle guide rack 13b and the lower guide rack 13a may be installed on the sides 12d and 12e of the tub 12 so that they can slide toward the opening 12a of the tub 12.
  • the dishwasher 1 may include a washing chamber C, which is a space formed inside the tub 12.
  • the washing room (C) may be defined as the inner space of the tub (12).
  • the washing room C may refer to a space where dishes placed in the baskets 51, 52, and 53 can be washed and dried with washing water.
  • Each of the plurality of spray units 41, 42, and 43 may be provided to spray washing water while rotating.
  • Each of the first injection unit 41, the second injection unit 42, and the third injection unit 43 may be provided to spray washing water while rotating.
  • Dishwasher 1 may include a sump assembly 70.
  • the sump assembly 70 may be provided to receive wash water.
  • the sump assembly 70 can collect the wash water from the wash chamber (C).
  • the lower surface 12b of the tub 12 may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ump assembly 70.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chamber (C) may flow along the slope of the lower surface (12b) of the tub (12) and smoothly flow into the sump assembly (70).
  • Dishwasher 1 may include a filter assembly 60.
  • the filter assembly 60 may be provided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sh water flowing into the sump assembly 70.
  • the filter assembly 60 may be removably mounted on the sump assembly 70.
  • the fine filter 61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12b of the tub 12.
  • the fine filter 61 may include a horizontal plate shape.
  • the dishwasher 1 may include a machine room L, which is a space provided below the tub 12.
  • the machine room (L) may be a place where a device for circulating washing water is placed.
  • the sump assembly 70 may be disposed in the machine room (L). Most of the sump assembly 70 may be placed in the machine room (L). That is, the area of the sump assembly 70 located in the washing room (C) may b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sump assembly 70 located in the machine room (L). By reducing the area of the sump assembly 70 occupying the washing room C, the area of the washing room C can be secured. As a result, the capacity of the washing room C can be increased, and dish storage capacity can be improved.
  • the door 20 may include an outer door 21 that forms the front exterior of the dishwasher 1 and an inner door 22 that faces the tub 12.
  • the inner door 22 may be provided to be located inside the tub 12 when the door 20 closes the tub 12.
  • the sealing member 100 may be coupled to the tub 12.
  • the tub 12 may include a coupling groove 17 to which the sealing member 100 is coupled.
  • the coupling groove 17 may be formed by the first coupling wall 15 and the second coupling wall 16.
  • the sealing member 100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7.
  • the sealing member 100 may extend in one direction (X).
  • the sealing body 110 may be arranged to protrude from the coupling groove 17.
  • the sealing body 110 may protrude from the first coupling wall 15 toward the door 20 .
  • the fixing body 160 may include an insertion portion 170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7.
  • the insertion portion 170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coupling wall 15 and/or the second coupling wall 16.
  • the insertion portion 17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insertion portion 17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circular or polygonal.
  • the insertion portion 170 may include an insertion protrusion 171 extending toward the first coupling wall 15 and/or the second coupling wall 16.
  • a plurality of insertion protrusions 171 may be provided.
  • the insertion protrusion 171 may be provided to contact the first coupling wall 15 and/or the second coupling wall 16.
  • the fixing body 160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180 disposed to face the door 20 .
  • the seating portion 180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170.
  • the seating portion 180 may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170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7.
  • the contact portion 120 may include a contact surface 121 that is in contact with the door 20 .
  • the door 20 can press the contact surface 121 in one direction.
  • the contact surface 121 may be inclined toward the door 20 as it approaches the first coupling wall 15.
  • the contact surface 121 may be inclined downward toward one direction (X) as it approaches the second coupling wall 16.
  • the contact surface 121 may include a protrusion 122 that protrudes toward the door 20 .
  • the protrusion 122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contact surface 121 facing the inside of the tub 12.
  • the support portion 13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oupling wall 16.
  • the support part 130 may be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upling wall 16.
  • the bent portion 140 may be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eating portion 180.
  • the bent portion 140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ating portion 180 and supported by the seating portion 180 by the pressure of the door 20 .
  • the bent portion 140 may include a surface facing the seating portion 180.
  • the bent portion 140 may include a bent end 141 disposed at an end.
  • the bent end 141 may be one end of the bent portion 140.
  • the bent end 141 may be a portion where the bent portion 14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130.
  • the bent end 141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130.
  • the bent end 141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xed body 160.
  • the bent end 14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ating portion 180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130.
  • the bent portion 140 When the door 20 presses the sealing member 100, the bent portion 140 may be bent toward one direction (X) from the bent end 141. At this time, since the bent end 141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130, the strain applied to the bent end 141 can be reduced.
  • the force resulting from the door 20 pressing the sealing member 100 may be distributed throughout the bent portion 140. That is, the deformation caused by bending can be distributed throughout the bent portion 140. Accordingly, since the strain applied to the entire bent portion 140 including the bent end 141 is reduced, the shape restoration of the sealing member 100 can be improved. That is, the durability of the sealing member 100 can be improved.
  • the bent end 141 may be arranged to face the second coupling wall 16.
  • the bent end 141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130 adjacent to the second coupling wall 16.
  • the bent portion 140 may include a support protrusion 145.
  • the support protrusion 145 may extend toward the seating portion 180.
  • the support protrusion 145 may extend along one direction (X) in which the door 20 presses.
  • the support protrusion 145 may include an end 146 in one direction (X). The end 146 of the support protrusion 145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ating portion 180.
  • the seating portion 180 may apply force to the support protrusion 145. That is, the sealing member 100 may apply a repulsive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X) in which the door 20 presses. Therefore, the sealing member 100 applies a certain level of repulsive force to the door 20, thereby maintaining the sealing force of the door 20.
  • the end 146 of the support protrusion 145 may include a flat surface.
  • the end 146 of the support protrusion 145 may extend along a straight line.
  • the cross-section of the support protrusion 145 has a substantially trapezoidal shape and the end portion 146 includes a plane,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is.
  • the cross-section of the support protrusion 145 may have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hape, and the end portion 146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 the seating portion 180 may include a seating surface 181 that can be contacted with the bent portion 140.
  • the seating surface 181 may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protrusion 145.
  • the seating surface 181 may be provid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d 146 of the support protrusion 145.
  • the seating surface 181 may include a flat surface.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eating surface 181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 the seating surface 181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 the seating surface 181 may be inclined toward one direction (X) in which the door 20 presses the contact portion 120 as it approaches the center of the tub 12 .
  • the seating surface 181 may be inclined toward the rear surface 12f of the tub 12 as it moves toward the inside of the tub 12.
  • the bent portion 140 can be bent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ating surface 181 is inclined. That is, the bending angle of the bent portion 140 can be increased. Specifically, the support protrusion 145 may move toward the rear surface 12f of the tub 12.
  • the inclined angle f of the seating surface 181 may be approximately 20 to 40 degrees, and in this drawing, it is shown as an example of approximately 30 degrees,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 the bent portion 140 may include an extension portion 148 extending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 145 and the bent end 141.
  • the thickness e of the extension portion 148 may increase as it moves toward the bent end 141. That is, by providing a large thickness a of the bent end 141, the bent portion 140 can be stably bent from the bent end 141.
  • the thickness (a) of the bent end 141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c) of the support protrusion 145.
  • the thickness (a) of the bent end 141 may be about 1.0 to 2.5 mm. In this drawing, the thickness is shown as an example of about 2.0 mm,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is.
  • the thickness (c) of the support protrusion 145 may be about 0.5 to 3.0 mm. In this drawing, the thickness is shown as an example of about 1.5 mm,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is.
  • the length d of the end 146 of the bent end 141 is shown as an example of about 1 mm,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is.
  •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portion 141 may become smaller as it moves from the bent end 141 toward the contact portion 120.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bent end 141 may be sufficiently large.
  • the thickness (a) of the bent end 141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b) at which the bent end 141 is spaced from the seating portion 180. That is, the separation distance (b) between the bent end 141 and the seating part 180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a) of the bent end 141, so that the bent part 140 is stably separated from the bent end 141. It can bend.
  • the separation distance (b) between the bent end 141 and the seating portion 180 may be 4.0 mm or less.
  •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is.
  • the length (W) of the contact portion 120 may be about 10.0 mm.
  • the length L1 of the sealing body 110 may be about 8.5 mm.
  • the length L2 of the sealing member 100 may be about 22.5 mm.
  • the separation distance (G) between the bending portion 140 and the seating portion 180 may be about 2.5 mm.
  •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is.
  • the bent end 141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130 to form a hole 111 in the sealing body 110.
  • the sealing body 110 can prevent deformation of the door 20 due to pressure by including the through hole 111.
  • the sealing body 110 may be easily manufactured by including the through hole 111.
  • the through hole 111 may have a closed loop shap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caught.
  • the through hole 11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xed body 160.
  • the through hole 11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ating portion 180 toward the door 20 . That is, the bent portion 148 provided to form the through hole 111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130, and the bent portion 148 is spaced apart from the seating portion 180, so the through hole 111 is connected to the seating portion 180. ) can be placed away from the
  •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support protrusion 145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rotrusion 145a and a second support protrusion 145b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45b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ent end 141 and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45a.
  • the repulsive force of the sealing member 100 against the door 20 can be increased.
  •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45a may be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45b.
  •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S. 8 to 10 can be combined with the embodiments of FIGS. 1 to 7 .

Landscapes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식기 세척기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및 상기 터브와 상기 도어 사이를 밀봉하도록 마련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터브에 결합되는 고정바디 및 상기 고정바디로부터 상기 도어를 향해 연장되는 실링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바디는, 상기 도어와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접촉부, 상기 고정바디와 상기 접촉부를 연결하는 지지부 및 상기 도어가 상기 접촉부를 가압할 때 상기 고정바디를 향하여 굽혀지는 굽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굽힘부는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굽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식기 세척기의 실링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수납된 식기에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세척한 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식기 세척기는 식기가 수납되는 터브 내부에 세척수가 분사되고, 분사되는 세척수가 식기에 닿아서 식기 표면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세척되도록 작동한다.
식기 세척기는 본체,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터브의 전방에 위치하여 터브를 개폐하는 도어, 세척수를 공급, 집수, 순환, 배수하는 섬프와, 터브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터브와 도어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는 실링부재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내구성이 향상된 실링부재를 제공한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및 상기 터브와 상기 도어 사이를 밀봉하도록 마련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터브에 결합되는 고정바디 및 상기 고정바디로부터 상기 도어를 향해 연장되는 실링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바디는, 상기 도어와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접촉부, 상기 고정바디와 상기 접촉부를 연결하는 지지부 및 상기 도어가 상기 접촉부를 가압할 때 상기 고정바디를 향하여 굽혀지는 굽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굽힘부는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굽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는, 상기 굽힘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굽힘부는 상기 안착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굽힘부는 상기 안착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접촉부를 일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일방향에 대한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지지돌기의 상기 단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안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면은 상기 터브의 중심에 인접해질수록 상기 일방향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의 상기 단부는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는, 제1 지지돌기 및 상기 굽힘단과 상기 제1 지지돌기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굽힘부는 상기 지지돌기와 상기 굽힘단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굽힘단을 향할수록 두께가 커질 수 있다.
상기 굽힘단의 두께는 상기 지지돌기의 두께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굽힘단의 두께는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굽힘단이 이격된 거리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굽힘단에서 상기 접촉부를 향할수록 두께가 작아질 수 있다.
상기 터브는, 상기 고정바디가 결합되도록 상기 세척실에 인접한 제1 결합벽 및 상기 제1 결합벽과 마주보는 제2 결합벽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굽힘부는, 상기 굽힘단이 상기 제2 결합벽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굽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안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바디는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통공은 폐루프(closed loop)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통공은 상기 안착부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및 상기 터브와 상기 도어 사이를 밀봉하도록 마련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터브에 결합되는 고정바디 및 상기 고정바디로부터 상기 도어를 향해 연장되는 실링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는, 상기 도어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바디는, 상기 도어와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접촉부, 상기 고정바디와 상기 접촉부를 연결하는 지지부 및 상기 안착부에 지지되는 굽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굽힘부는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굽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굽힘부는 상기 안착부를 향해 연장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지지돌기와 접촉되는 안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면은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굽힘부는 상기 지지돌기와 상기 굽힘단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굽힘단을 향할수록 두께가 커질 수 있다.
상기 굽힘단의 두께는 상기 지지돌기의 두께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실링바디는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통공은 상기 안착부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터브와 도어 사이의 누수 방지 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실링부재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구성의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가 가압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상부", "하부", "좌측" 및 "우측"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식기 세척기(1)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식기 세척기(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1)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12)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12)는 대략 박스(box)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터브(12)의 일 측은 개방될 수 있다. 즉, 터브(12)는 개구(12a)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터브(12)의 전면은 개방될 수 있다.
터브(12)는 상면(12c), 하면(12b), 개구(12a)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후면(12f)을 포함할 수 있다. 터브(12)는 상면(12c)과 하면(12b)을 연결하는 제1 측면(12d) 및 제1 측면(12d)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 측면(12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12d) 및/또는 제2 측면(12e)은 후면(12f)과 연결될 수 있다.
식기 세척기(1)는 식기가 수납되도록 터브(12)의 내부에 마련되는 수납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납용기는 복수의 바스켓(51, 52, 53)을 포함할 수 있다.
수납용기는, 식기 세척기(1)의 높이 방향으로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 바스켓(52)과, 식기 세척기(1)의 높이 방향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바스켓(51)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바스켓(52)은 중간 가이드랙(13b)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부 바스켓(51)은 하부 가이드랙(13a)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중간 가이드랙(13b) 및 하부 가이드랙(13a)은 터브(12)의 개구(12a)를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터브(12)의 측면(12d, 12e)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바스켓(51, 52, 53)에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바스켓(51, 52, 53)에 수납되는 식기의 종류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식기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복수의 바스켓(51, 52, 53)에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식기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식기 또한 수납될 수 있다.
수납용기는 식기 세척기(1)의 높이 방향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바스켓(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바스켓(53)은 랙 어셈블리(rack assembly) 형태로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바스켓(53)에는 국자, 칼, 뒤집개 등과 같은 조리 도구 내지 커트러리(cutlery)가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랙 어셈블리에는 에스프레소 잔과 같은 작은 컵이 수납될 수도 있다. 다만, 상부 바스켓(53)에 수납되는 식기의 종류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부 바스켓(53)은 상부 가이드랙(13c)에 의해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부 가이드랙(13c)은 터브(12)의 측면(12d)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바스켓(53)은 상부 가이드랙(13c)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며, 세척실(C)로 인입되거나 세척실(C)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식기 세척기(1)는 터브(12)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인 세척실(C)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실(C)은 터브(12)의 내측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세척실(C)은 세척수에 의해 바스켓(51, 52, 53)에 거치된 식기가 세척되고 건조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1)는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 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 장치(40)는 후술할 섬프 어셈블리(7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분사 장치(40)는 복수의 분사 유닛(41, 42, 4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분사 유닛(41, 42, 43)은, 식기 세척기(1)의 높이 방향으로 하부 바스켓(51)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분사 유닛(41)과, 식기 세척기(1)의 높이 방향으로 중간 바스켓(5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분사 유닛(42)과, 식기 세척기(1)의 높이 방향으로 상부 바스켓(53)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3 분사 유닛(4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분사 유닛(41, 42, 43) 각각은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분사 유닛(41), 제2 분사 유닛(42), 제3 분사 유닛(43) 각각은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식기 세척기(1)는 보조 분사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분사 장치(30)는 세척실(C)의 하부 일측에 배치되어 일부 영역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보조 분사 장치(30)는 분사 장치(40)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압인 물을 분사하도록 설계되어 오염이 심한 식기를 집중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1)는 섬프 어셈블리(70)를 포함할 수 있다. 섬프 어셈블리(70)는 세척수를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섬프 어셈블리(70)는 세척실(C)의 세척수를 집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섬프 어셈블리(70)의 원활한 집수를 위해 터브(12)의 하면(12b)은 섬프 어셈블리(7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세척실(C)의 세척수는, 터브(12)의 하면(12b)의 경사를 타고 흘러 섬프 어셈블리(70)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섬프 어셈블리(70)는 섬프 어셈블리(70)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 장치(40)로 펌핑하는 순환 펌프(72)를 포함할 수 있다. 섬프 어셈블리(70)는 섬프 어셈블리(70)에 남아 있는 세척수와 이물질(예를 들어, 음식물 찌꺼기 등)을 배수하는 배수 펌프(81)를 포함할 수 있다.
섬프 어셈블리(70)는 집수된 세척수를 펌핑하여 분사 장치(40)로 제공할 수 있다. 섬프 어셈블리(70)는 분사 장치(40)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분사 장치(40)와 연결되는 연결 포트(9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포트(90)는 제1 분사 유닛(41)과 연결되는 제1 연결 포트(91), 제2 분사 유닛(42)과 연결되는 제2 연결 포트(92), 제3 분사 유닛(43)과 연결되는 제3 연결 포트(93), 보조 분사 장치(30)와 연결되는 제4 연결 포트(94)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1)는 필터 어셈블리(6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60)는 섬프 어셈블리(70)로 유입되는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60)는 섬프 어셈블리(7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60)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어셈블리(60)는 파인 필터(fine filter)(61), 코스 필터(coarse filter)(미도시), 마이크로 필터(micro filter)(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인 필터(61)는 터브(12)의 하면(12b)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인 필터(61)는 수평한 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60)를 통해 필터링된 세척수는, 순환 펌프(500)에 의해 펌핑되어, 분사 장치(40)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세척수는 분사 장치(40)를 통해 세척실(C)로 분사될 수 있다.
식기 세척기(1)는 터브(12)의 아래에 마련되는 공간인 기계실(L)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L)은 세척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구성이 배치되는 곳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섬프 어셈블리(70)의 적어도 일부는 기계실(L)에 배치될 수 있다. 섬프 어셈블리(70)의 대부분은 기계실(L)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섬프 어셈블리(70)의 면적 중 세척실(C)에 위치하는 면적은, 섬프 어셈블리(70)의 면적 중 기계실(L)에 위치하는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세척실(C)을 차지하는 섬프 어셈블리(70)의 면적을 줄임으로써, 세척실(C)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세척실(C)의 용량이 증가되어, 식기 수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식기 세척기(1)는 터브(12)의 개구(12a)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터브(12)의 개구(12a)를 개폐하도록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20)는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20)는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어(20)는 식기 세척기(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도어(21) 및 터브(12)를 향하도록 마련되는 이너 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도어(22)는 도어(20)가 터브(12)를 닫을 때, 터브(1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아우터 도어(21)와 이너 도어(22)는 결합될 수 있다. 이너 도어(22)는 아우터 도어(21)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아우터 도어(21)와 이너 도어(2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식기 세척기(1)는 세척수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터브(12) 및 도어(20)의 사이에 마련되는 실링부재(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100)는 터브(12) 및 도어(20) 사이의 갭(gap)을 차단할 수 있다.
실링부재(10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부재(100)는 고무, 실리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의 구성의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실링부재(100)는 터브(12)의 제1 측면(12d), 상면(12c), 제2 측면(12e)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실링부재(100)는 터브(12)에 결합될 수 있다. 터브(12)는 실링부재(100)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홈(17)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17)은 제1 결합벽(15) 및 제2 결합벽(16)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7)은 터브(12)의 개구(12a)에서 후면(12f)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7)은 도어(20)가 실링부재(100)를 가압하는 일방향(X)으로 함몰될 수 있다.
제1 결합벽(15)은 터브 브라켓일 수 있다. 터브 브라켓(15)은 터브(12)의 상면(12c) 및/또는 측면(12d, 12e)에 체결될 수 있다. 터브 브라켓(15)은 터브(12)의 측면(12d, 12e)을 따라 연장되어 상면(12c)을 향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제2 결합벽(16)은 터브(12)의 상면(12c) 및/또는 측면(12d, 12e)일 수 있다. 제2 결합벽(16)은 도어(2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벽(15)은 세척실(C)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벽(15)은 제2 결합벽(16)보다 터브(12)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100)는 결합홈(17)에 결합될 수 있다. 실링부재(100)는 일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링부재(100)는 터브(12)에 결합되는 고정바디(16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바디(160)는 결합홈(17)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바디(160)는 터브(12)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바디(160)는 제1 결합벽(15) 및/또는 제2 결합벽(16)과 접촉될 수 있다.
실링부재(100)는 고정바디(160)로부터 도어(20)를 향해 연장되는 실링바디(11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바디(110)는 도어(20)를 향하도록 돌출되어 도어(20)와 접촉될 수 있다. 고정바디(160)는 실링바디(110)로부터 일방향(X)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내부 도어(22)는 실링바디(110)를 일방향(X)으로 가압할 수 있다.
실링바디(110)는 결합홈(17)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링바디(110)는 제1 결합벽(15)으로부터 도어(20)를 향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가 가압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고정바디(160)는 결합홈(17)에 삽입되는 삽입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70)는 제1 결합벽(15) 및/또는 제2 결합벽(16)과 접촉될 수 있다.
삽입부(170)는 대략 직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삽입부(170)는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부(170)는 제1 결합벽(15) 및/또는 제2 결합벽(16)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삽입돌기(171)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돌기(171)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삽입돌기(171)는 제1 결합벽(15) 및/또는 제2 결합벽(16)과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정바디(160)는 도어(20)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안착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80)는 삽입부(170)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안착부(180)는 결합홈(17)에 삽입되는 삽입부(170)의 하면과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실링바디(110)는 도어(20)와 접촉 가능한 접촉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120)는 도어(2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접촉부(120)는 실링바디(110)의 일단에 배치되어, 도어(2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접촉부(120)는 도어(20)와 접촉되는 접촉면(1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접촉면(121)을 일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접촉면(121)은 제1 결합벽(15)에 가까워질수록 도어(20)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접촉면(121)은 제2 결합벽(16)에 가까워질수록 일방향(X)을 향하도록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접촉면(121)은 도어(20)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22)는 터브(12)의 내측을 향하는 접촉면(121)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실링바디(110)는 접촉부(120)와 고정바디(160)를 연결하는 지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30)는 접촉부(120)가 고정바디(160)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130)는 접촉부와 안착부(180)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130)는 제2 결합벽(16)과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30)는 제2 결합벽(16)과 접촉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링바디(110)는 굽힘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굽힘부(140)는 도어(20)가 접촉부(120)를 가압할 때 굽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굽힘부(140)는 고정바디(160)를 향하여 굽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20)가 실링부재(100)를 일방향(X)으로 가압할 때, 굽힘부(140)는 일방향(X)으로 굽혀질 수 있다.
굽힘부(140)는 안착부(180)와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굽힘부(140)는 도어(20)의 가압에 의해 안착부(180)와 접촉되어 안착부(180)로부터 지지될 수 있다. 굽힘부(140)는 안착부(180)와 마주보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굽힘부(140)는 접촉부(120)와 지지부(130)를 연결할 수 있다. 굽힘부(140)는 접촉부(120)와 지지부(130)의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굽힘부(140)는 단부에 배치되는 굽힘단(141)을 포함할 수 있다. 굽힘단(141)은 굽힘부(140)의 일단일 수 있다. 굽힘단(141)은 굽힘부(140)가 지지부(130)와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굽힘단(141)은 지지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굽힘단(141)은 고정바디(16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굽힘단(141)은 안착부(180)로부터 이격되어 지지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도어(20)가 실링부재(100)를 가압할 때 굽힘부(140)는 굽힘단(141)으로부터 일방향(X)을 향해 휘어질 수 있다. 이 때 굽힘단(141)은 지지부(130)와 연결되므로, 굽힘단(141)에 가해지는 변형이 적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20)가 실링부재(100)를 가압함에 따른 힘이 굽힘부(140)의 전체에 분산될 수 있다. 즉, 굽힘에 의한 변형을 굽힘부(140) 전체에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굽힘단(141)을 포함한 굽힘부(140) 전체에 가해지는 변형이 적어지므로, 실링부재(100)의 형상 복원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실링부재(1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굽힘단(141)은 제2 결합벽(16)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굽힘단(141)은 제2 결합벽(16)에 인접한 지지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굽힘부(140)는 지지돌기(14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돌기(145)는 안착부(18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지지돌기(145)는 도어(20)가 가압하는 일방향(X)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지지돌기(145)는 일방향(X)에 대한 단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돌기(145)의 단부(146)는 안착부(180)와 접촉될 수 있다.
지지돌기(145)가 안착부(180)에 접촉됨에 따라 안착부(180)는 지지돌기(145)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즉, 실링부재(100)는 도어(20)가 가압하는 일방향(X)과 반대 방향을 향하여 반발력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실링부재(100)가 도어(20)에 일정 이상의 반발력을 가하게 됨으로써 도어(20)의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다.
지지돌기(145)의 단부(146)는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돌기(145)의 단부(146)는 직선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지지돌기(145)의 단면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고 단부(146)가 평면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지지돌기(145)의 단면은 대략 반원 형상을 가지고 단부(146)는 곡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안착부(180)는 굽힘부(140)와 접촉 가능한 안착면(181)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면(181)은 지지돌기(145)와 접촉될 수 있다.
안착면(181)은 지지돌기(145)의 단부(146)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안착면(181)은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안착면(181)은 곡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안착면(181)은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안착면(181)은 터브(12)의 중심에 인접해질수록 도어(20)가 접촉부(120)를 가압하는 일방향(X)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안착면(181)은 터브(12)의 내측을 향할수록 터브(12)의 후면(12f)을 향해 기울어질 수 있다.
안착면(181)이 경사짐으로써 굽힘부(140)는 안착면(181)이 기울어진 방향을 따라 굽혀질 수 있다. 즉, 굽힘부(140)의 굽혀지는 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돌기(145)는 터브(12)의 후면(12f)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안착면(181)이 경사진 각도(f)는 대략 20~40도일 수 있으며, 본 도면에서는 약 30도 정도인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굽힘부(140)는 지지돌기(145)와 굽힘단(141)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148)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48)는 굽힘단(141)을 향할수록 두께(e)가 커질 수 있다. 즉, 굽힘단(141)의 두께(a)가 크게 마련됨으로써, 굽힘부(140)는 굽힘단(141)으로부터 안정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
굽힘단(141)의 두께(a)는 지지돌기(145)의 두께(c)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굽힘단(141)의 두께(a)는 약 1.0~2.5mm일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약 2.0mm 정도인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돌기(145)의 두께(c)가 커질수록 도어(20)에 대한 반발력이 커질 수 있다. 지지돌기(145)의 두께(c)는 약 0.5~3.0mm일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약 1.5mm 정도인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도면에서는 굽힘단(141)의 단부(146)의 길이(d)가 약 1mm 정도인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부(141)는 굽힘단(141)에서 접촉부(120)를 향할수록 두께가 작아질 수 있다. 즉, 굽힘단(141)의 두께는 충분히 크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굽힘단(141)의 두께(a)는 안착부(180)로부터 굽힘단(141)이 이격된 거리(b)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즉, 굽힘단(141)과 안착부(180) 사이의 이격 거리(b)는 굽힘단(141)의 두께(a)보다 작게 마련됨으로써, 굽힘부(140)는 굽힘단(141)으로부터 안정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굽힘단(141)과 안착부(180) 사이의 이격 거리(b)는 4.0mm 이하일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촉부(120)의 길이(W)는 약 10.0mm일 수 있다. 실링바디(110)의 길이(L1)는 약 8.5mm일 수 있다. 실링부재(100)의 길이(L2)는 약 22.5mm일 수 있다. 굽힘부(140)와 안착부(180)의 이격 거리(G)는 약 2.5mm일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굽힘단(141)은 지지부(130)와 연결되어 실링바디(110)에 통공(111)을 형성할 수 있다. 실링바디(110)는 통공(111)을 포함함으로써 도어(20)의 가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바디(110)는 통공(111)을 포함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해질 수 있다.
통공(111)은 폐루프(closed loop)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다.
통공(111)은 고정바디(160)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통공(111)은 안착부(180)로부터 도어(20)를 향하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통공(111)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굽힘부(148)가 지지부(130)와 연결되고, 굽힘부(148)는 안착부(180)로부터 이격 배치되므로, 통공(111)은 안착부(180)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돌기(145)는 제1 지지돌기(145a) 및 제1 지지돌기와 이격 배치되는 제2 지지돌기(14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돌기(145b)는 굽힘단(141)과 제1 지지돌기(145a)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돌기(145a, 145b)는 복수로 마련됨으로써, 실링부재(100)의 도어(20)에 대한 반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방향(X)에 대하여, 제1 지지돌기(145a)의 길이는 제2 지지돌기(145b)의 길이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의 단면도이다.
지지돌기(145)는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돌기(145)는 굽힘부(140)의 하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돌기(145)는 굽힘단(141)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의 단면도이다.
안착부(180)는 굽힘부(140)를 향하여 연장되는 안착돌기(182)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돌기(182)는 도어(20)를 향하도록 안착부(18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안착돌기(182)는 굽힘부(140)와 접촉될 수 있다. 굽힘부(140)는 도어(20)의 가압에 의해 안착돌기(18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와 결합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세척실(C)을 형성하는 터브(12);
    상기 터브(12)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20); 및
    상기 터브(12)와 상기 도어(20) 사이를 밀봉하도록 마련되는 실링부재(100)로서, 상기 터브(12)에 결합되는 고정바디(160) 및 상기 고정바디(160)로부터 상기 도어(20)를 향해 연장되는 실링바디(110)를 포함하는 실링부재(100);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바디(110)는,
    상기 도어(20)와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접촉부(120);
    상기 고정바디(160)와 상기 접촉부(120)를 연결하는 지지부(130); 및
    상기 도어(20)가 상기 접촉부(120)를 가압할 때 상기 고정바디(160)를 향하여 굽혀지는 굽힘부(140)로서, 상기 지지부(130)에 연결되는 굽힘단(141)을 포함하는 굽힘부(140);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1).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디(160)는, 상기 굽힘부(14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안착부(180)를 포함하고, 상기 굽힘부(140)는 상기 안착부(180)와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식기 세척기(1).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부(140)는 상기 안착부(180)를 향하여 연장되는 지지돌기(145)를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1).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20)는 상기 접촉부(120)를 일방향(X)으로 가압하고,
    상기 지지돌기(145)는 상기 일방향(X)에 대한 단부(146)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180)는 상기 지지돌기(145)의 상기 단부(146)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안착면(181)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1).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181)은 상기 터브(12)의 중심에 인접해질수록 상기 일방향(X)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식기 세척기(1).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145)의 상기 단부(146)는 평면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1).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145)는,
    제1 지지돌기(145a); 및
    상기 굽힘단(141)과 상기 제1 지지돌기(145a)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지지돌기(145b);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1).
  8. 제3 항에 잇어서,
    상기 굽힘부(140)는 상기 지지돌기(145)와 상기 굽힘단(141)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148)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148)는 상기 굽힘단(141)을 향할수록 두께(e)가 커지는 식기 세척기(1).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단(141)의 두께(a)는 상기 지지돌기(145)의 두께(c)보다 크게 마련되는 식기 세척기(1).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단(141)의 두께(a)는 상기 안착부(180)로부터 상기 굽힘단(141)이 이격된 거리(b)보다 크게 마련되는 식기 세척기(1).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굽힘단(141)에서 상기 접촉부(120)를 향할수록 두께가 작아지는 식기 세척기(1).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12)는, 상기 고정바디(160)가 결합되도록 상기 세척실(C)에 인접한 제1 결합벽(15) 및 상기 제1 결합벽(15)과 마주보는 제2 결합벽(16)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홈(17);을 포함하고,
    상기 굽힘부(140)는, 상기 굽힘단(141)이 상기 제2 결합벽(16)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식기 세척기(1).
  1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80)는 상기 굽힘부(140)를 향하여 연장되는 안착돌기(182)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1).
  1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바디(110)는 통공(111)을 포함하고, 상기 통공(111)은 폐루프(closed loop) 형상을 가지는 식기 세척기(1).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111)은 상기 안착부(180)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식기 세척기(1).
PCT/KR2023/008349 2022-06-30 2023-06-16 식기 세척기 WO202400541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944 2022-06-30
KR20220080944 2022-06-30
KR10-2022-0136030 2022-10-20
KR1020220136030A KR20240002885A (ko) 2022-06-30 2022-10-20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05414A1 true WO2024005414A1 (ko) 2024-01-04

Family

ID=89380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8349 WO2024005414A1 (ko) 2022-06-30 2023-06-16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400541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811U (ko) * 1995-06-29 1997-01-24 키보드의 원고받침대
KR20050110922A (ko) * 2004-05-20 2005-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도어 실링 개스킷 구조
KR20150052610A (ko) * 2013-11-06 2015-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CN206338009U (zh) * 2016-12-05 2017-07-18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内胆用的密封结构及其洗碗机
KR20180060506A (ko) * 2016-11-29 2018-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811U (ko) * 1995-06-29 1997-01-24 키보드의 원고받침대
KR20050110922A (ko) * 2004-05-20 2005-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도어 실링 개스킷 구조
KR20150052610A (ko) * 2013-11-06 2015-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20180060506A (ko) * 2016-11-29 2018-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CN206338009U (zh) * 2016-12-05 2017-07-18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内胆用的密封结构及其洗碗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80035A1 (en) Supporting device and dish washer having the same
WO2017014534A1 (en) Dishwasher
WO2017003210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16126104A1 (en) Dish washer
WO2017022985A1 (en) Dishwasher
WO2017082673A1 (en) Dish washing machine
WO2021145496A1 (ko) 식기세척기
WO2024005414A1 (ko) 식기 세척기
WO2020101202A1 (ko) 랙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WO2020032389A1 (en) Dishwasher
WO2021054673A1 (ko) 식기세척기용 레일장치
WO2020159124A1 (ko) 식기세척기
WO2020122630A1 (en) Dishwasher
WO2024005415A1 (ko) 식기 세척기
AU2019317130A1 (en) Dishwasher
WO2019045211A1 (ko) 식기세척기
WO2020262924A1 (en) Dishwasher
WO2020171393A1 (ko) 식기세척기
WO2020032391A1 (en) Dish washer
WO2020171394A1 (ko) 식기세척기
WO2022010094A1 (ko) 식기세척기
WO2021040215A1 (ko) 식기세척기
WO2021251609A1 (ko) 식기세척기 및 가전기기
WO2023128312A1 (ko) 커트러리 바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WO2024005416A1 (ko)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3177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