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0868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0868A
KR20130040868A KR1020127028961A KR20127028961A KR20130040868A KR 20130040868 A KR20130040868 A KR 20130040868A KR 1020127028961 A KR1020127028961 A KR 1020127028961A KR 20127028961 A KR20127028961 A KR 20127028961A KR 20130040868 A KR20130040868 A KR 20130040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absorbent article
elastic member
circumference
body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0445B1 (ko
Inventor
히로토모 무카이
요시히사 와타베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76302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3004086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0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5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2013/150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 A61F2013/1512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for mild incontin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25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having multiple elastic strands
    • A61F2013/49026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having multiple elastic strands with variable spac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97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having decorations or indicia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 있어서, 가랑이 아래 영역(S20) 내에 있어서, 앞 몸통 둘레 영역(S10A)에 있어서 마련되어 있는 몸통 둘레 탄성 부재(100)와 뒤 몸통 둘레 영역(S10B)에 있어서 마련되어 있는 몸통 둘레 탄성 부재(91, 92)가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고, 앞 몸통 둘레 영역(S10A) 또는 뒤 몸통 둘레 영역(S10B)에 있어서, 흡수체 본체(2)가 마련되어 있는 제1 영역(X)에서는, 흡수성 물품(1)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부터만 시인 가능하고, 흡수체 본체(2)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제2 영역(Y)에서는, 흡수성 물품(1)의 피부 비접촉면측 및 피부 접촉면측의 양방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선형의 식별부(100)가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앞 몸통 둘레 영역과 뒤 몸통 둘레 영역과 가랑이 아래 영역을 갖는 섀시, 및, 가랑이 아래 영역으로부터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뒤 몸통 둘레 영역에 걸쳐 마련되어 있는 흡수체 본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구성은, 베이비용의 흡수성 물품 및 어른용의 흡수성 물품의 쌍방에 적용되고 있다.
이 중, 베이비용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외면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무늬가 부여되는 케이스가 자주 보인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표 제2003-501209호 공보
그러나, 출원인은, 전술한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 이하와 같은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어른용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그 외부 표면에, 캐릭터 도안 등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케이스가 많으며, 섀시 및 흡수체 본체가 동일한 색인 케이스도 보인다.
또한, 어른용의 흡수성 물품의 경우, 착용자는, 입욕 시 등에, 일단, 흡수성 물품을 벗은 후, 재차, 이러한 흡수성 물품을 착용한다고 하는 케이스도 상정된다.
이 때문에, 착용자는, 동일한 색의 섀시 및 흡수체 본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의 경우, 그 표면측 및 이면측을 식별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일단 벗은 흡수성 물품을 재차 착용할 때에, 이러한 흡수성 물품을 반대의 상태로 착용하여 버릴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가랑이 아래 영역(S20) 내에 있어서, 앞 몸통 둘레 영역(S10A)에 있어서 마련되어 있는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와 뒤 몸통 둘레 영역(S10B)에 있어서 마련되어 있는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경우, 착용자는, 도 1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러한 흡수성 물품을 정상적인 상태로 착용한 케이스와, 도 1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러한 흡수성 물품을 반대의 상태로 착용한 케이스에서, 장착감이 분명히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흡수성 물품을 반대의 상태로 착용한 것을 즉시 알아차릴 수 있다.
이에 대하여, 가랑이 아래 영역(S20) 내에 있어서, 앞 몸통 둘레 영역(S10A)에 있어서 마련되어 있는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와 뒤 몸통 둘레 영역(S10B)에 있어서 마련되어 있는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가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경우, 착용자는, 이러한 흡수성 물품을 정상적인 상태로 착용한 케이스와, 이러한 흡수성 물품을 반대의 상태로 착용한 케이스에서, 그다지 장착감이 다르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흡수성 물품을 반대의 상태로 착용한 것을 알아차릴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착용자가 용이하게 표면측 및 이면측을 식별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동일한 색의 섀시 및 흡수체 본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섀시는, 앞 몸통 둘레 영역과, 뒤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개재되는 가랑이 아래 영역을 가지고, 상기 흡수체 본체는, 상기 섀시보다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 접촉면측이며, 또한,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으로부터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에 걸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의 몸통 둘레 탄성 부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 내에 있어서,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마련되어 있는 몸통 둘레 탄성 부재와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마련되어 있는 몸통 둘레 탄성 부재가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또는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 본체가 마련되어 있는 제1 영역에서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부터만 시인 가능하며, 상기 흡수체 본체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제2 영역에서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 비접촉면측 및 피부 접촉면측의 양방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선형의 식별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식별부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자가 용이하게 표면측 및 이면측을 식별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전개도이다.
도 2의 (a),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표면을 전면측에서 본 외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표면을 후면측에서 본 외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이면을 전면측에서 본 외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이면을 후면측에서 본 외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의 (a), (b)는 본 발명의 변경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11의 (a), (b)는 본 발명의 변경예 2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변경예 3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전개도이다.
도 13의 (a), (b)는 종래의 흡수성 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은, 팬츠형 기저귀나 흡수 속옷 등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은, 동일한 색의 섀시(3) 및 흡수체 본체(2)를 갖는다. 여기서, 섀시(3) 및 흡수체 본체(2)에는, 일반적인 흡수성 물품(1)의 착용자의 시각에 있어서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색이 부여되어 있으면 되고, 정량적으로 색을 나타내는 값(예컨대, 휘도 등)이 엄밀하게 일치하는 색이 부여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서는, 섀시(3) 및 흡수체 본체(2)에는, 백색 기조의 색이 부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본체(2)는,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액체 투과성의 시트인 흡수체 본체측 톱시트(10)와, 흡수체 코어(20)와, 액체 불투과성의 시트인 흡수체 본체측 백시트(3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흡수체 본체측 톱시트(10)에는, 폴리올레핀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친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지며, 스펀 본드나 에어 스루 등의 제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흡수체 본체측 백시트(30)에는, 폴리에틸렌(PE) 등의 방수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흡수체 본체측 톱시트(10)는, 25 g/㎡의 에어 스루 부직포이며, 흡수체 본체측 백시트(30)는, 22 g/㎡의 투습성 폴리에틸렌 필름이다.
흡수체 코어(2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컨대, 분쇄된 펄프(예컨대, 200 g/㎡)나 고흡수성 폴리머(예컨대, 200 g/㎡)의 혼합체(20A)를 포장 시트(20B)로 포장함으로써 생성되는 것이다.
포장 시트(20B)에는, 폴리올레핀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친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지며, 스펀 본드나 에어 스루 등의 제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포장 시트(20B)는, 13 g/㎡의 SMS 부직포이다.
흡수체 본체측 톱시트(10)와 흡수체 본체측 백시트(30)와 포장 시트(20B) 사이는, 각각, 핫멜트 접착제(예컨대, 스파이럴 HMA)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예컨대, 핫멜트 접착제의 단위 중량은, 1.5~10 g/㎡이다. 또한, 핫멜트 접착제의 접합 방법으로서는, 스파이럴 외에, 슬롯 코트나 컨트롤 시임이나 비드나 커튼 코터 등이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흡수체 코어(20)는, 2.0 ㎜ 정도의 두께의 박형 흡수체이며, 그 표면에는 요철이 적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본체(2)의 길이 방향(L)의 양측부에는, 샘 방지벽(G)이 마련되어 있다. 즉, 샘 방지벽(G)은, 흡수체 본체측 백시트(30)의 폭 방향(W)의 양측부에 접합되어 있다.
이러한 샘 방지벽(G)은, 실형의 샘 방지벽용 탄성 부재(41)와, 방수 필름(42)과, 소수성 부직포(4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 방지벽(30)의 기립 지점측(즉, 폭 방향(W)의 내측)에서는, 방수 필름(42)의 단부의 위치 및 소수성 부직포(43)의 단부의 위치는, 거의 일치하고 있고, 샘 방지벽(G)의 자유단(즉, 폭 방향(W)의 외측의 단부)에서는, 소수성 부직포(43)가, 샘 방지벽용 탄성 부재(41)를 사이에 두도록 되접어 꺽여 있다. 또한, 방수 필름(42)은, 샘 방지벽(G)의 자유단까지는 도달하고 있지 않다.
소수성 부직포(43)에는, 폴리올레핀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소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스펀 본드 등의 제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소수성 부직포(43)는, 15 g/㎡의 소수성 SMS 부직포이다.
또한, 방수 필름(42)에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18 g/㎡의 투습성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샘 방지벽용 탄성 부재(41)는, 천연 고무나 합성 고무나 스판덱스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샘 방지벽용 탄성 부재(41)는, 좌우 2개씩의 620 tex의 스판덱스사이며, 2.2배의 신장 배율로 신장된 상태로, 소수성 부직포(43)에 슬릿 노즐 방식으로 코팅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섀시(3)는, 센터 시트(50)와, 앞 몸통 둘레 시트(60)와, 뒤 몸통 둘레 시트(7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도 2의 (a) 및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섀시(3)는, 앞 몸통 둘레 시트(60)에 대응하는 앞 몸통 둘레 영역(S10A)과, 뒤 몸통 둘레 시트(70)에 대응하는 뒤 몸통 둘레 영역(S10B)과, 앞 몸통 둘레 영역(S10A)과 뒤 몸통 둘레 영역(S10B) 사이에 개재되는 가랑이 아래 영역(S20)을 갖는다.
여기서, 흡수체 본체(2)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섀시(3)의 흡수성 물품(1)의 피부 접촉면측에, 가랑이 아래 영역(S20)으로부터 앞 몸통 둘레 영역(S10A) 및 뒤 몸통 둘레 영역(S10B)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2의 (a) 및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 몸통 둘레 영역(S10A) 및 뒤 몸통 둘레 영역(S10B)에서는, 흡수체 본체(2)는, 폭 방향(W)의 중앙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센터 시트(50)는, 앞 몸통 둘레 시트(60) 및 뒤 몸통 둘레 시트(70)의 피부 접촉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예컨대,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지는 15 g/㎡의 SMS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앞 몸통 둘레 시트(60)는, 앞 몸통 둘레 톱시트(61)와, 앞 몸통 둘레 백시트(6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앞 몸통 둘레 톱시트(61)와 앞 몸통 둘레 백시트(62) 사이에는, 허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0W1)나 앞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0F)나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가 신장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한, 앞 몸통 둘레 백시트(6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L)의 단부에 있어서, 길이 방향(L)의 내측을 향하여 되접어 꺽여 있고, 이러한 되접음 부분에 있어서의 앞 몸통 둘레 백시트(62)의 사이에, 허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0W1)가 신장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뒤 몸통 둘레 시트(70)는, 뒤 몸통 둘레 톱시트(71)와, 뒤 몸통 둘레 백시트(7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뒤 몸통 둘레 톱시트(71)와 뒤 몸통 둘레 백시트(72) 사이에는, 허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0W2)나 뒤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1)나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2)가 신장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한, 뒤 몸통 둘레 백시트(7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L)의 단부에 있어서, 길이 방향(L)의 내측을 향하여 되접어 꺽여 있고, 이러한 되접음 부분에 있어서의 뒤 몸통 둘레 백시트(72)의 사이에, 허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0W2)가 신장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앞 몸통 둘레 시트(60) 및 뒤 몸통 둘레 시트(70)에는, 폴리올레핀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소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지며, 스펀 본드나 에어 스루 등의 제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앞 몸통 둘레 톱시트(61)의 단위 중량, 앞 몸통 둘레 백시트(62)의 단위 중량, 뒤 몸통 둘레 톱시트(71)의 단위 중량 및 뒤 몸통 둘레 백시트(72)의 단위 중량은, 각각 13~30 g/㎡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앞 몸통 둘레 톱시트(61) 및 뒤 몸통 둘레 톱시트(71)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15 g/㎡의 SMS 부직포이며, 앞 몸통 둘레 백시트(62) 및 뒤 몸통 둘레 백시트(72)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17 g/㎡의 스펀 본드 부직포이다.
또한, 허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0W1, 90W2)나 앞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0F)나 뒤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1)에는, 천연 고무나 합성 고무나 스판덱스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신장 배율은, 1.3~4.0배가 바람직하다(스판덱스의 경우, 그 굵기는, 300~1300 dtex가 바람직함).
예컨대, 허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0W1, 90W2)의 신장 배율은, 3.0배(스판덱스의 경우의 굵기는, 940 dtex)이며, 앞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0F) 및 뒤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1)의 신장 배율은, 2.5배(스판덱스의 경우의 굵기는, 780 dtex)이다.
예컨대, 허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0W1, 90W2)의 개수는, 각각 5개이며, 앞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0F)의 개수는 8개이고, 뒤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1)의 개수는 11개이다.
또한,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2)는, 뒤 몸통 둘레 톱시트(71) 및 뒤 몸통 둘레 백시트(72)에 있어서, 폭 방향(W)의 한쪽의 단부로부터 다른쪽의 단부를 향하여, 길이 방향(L)의 내측의 단부(다리 둘레 개구부를 형성하는 영역)를 따라 굴곡하면서 도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컨대,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2)의 신장 배율은, 1.8배(스판덱스의 경우의 굵기는, 780 dtex)이다.
또한,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는, 앞 몸통 둘레 톱시트(61) 및 앞 몸통 둘레 백시트(62)에 있어서, 폭 방향(W)의 한쪽의 단부와 다른쪽의 단부 사이에서, 직선형으로 배치된다. 예컨대,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의 신장 배율은 2.0배(스판덱스의 경우의 굵기는, 780 dtex)이며,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의 개수는 4개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술한 센터 시트(50)나 앞 몸통 둘레 시트(60)나 뒤 몸통 둘레 시트(70)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는, 히트 시일이나 소닉 시일이나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앞 몸통 둘레 톱시트(61) 및 앞 몸통 둘레 백시트(62)는, 앞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0F)나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에 직접 코팅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고, 뒤 몸통 둘레 톱시트(71) 및 뒤 몸통 둘레 백시트(72)는, 뒤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1)에 직접 코팅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서는, 앞 몸통 둘레 톱시트(61) 및 앞 몸통 둘레 백시트(62)에는, 핫멜트 접착제는 코팅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앞 몸통 둘레 톱시트(61) 및 앞 몸통 둘레 백시트(62)의 부드러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뒤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1)가 접합되는 영역의 뒤 몸통 둘레 톱시트(71) 및 뒤 몸통 둘레 백시트(72)에는, 핫멜트 접착제는 코팅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이러한 영역의 뒤 몸통 둘레 톱시트(71) 및 뒤 몸통 둘레 백시트(72)의 부드러움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2)가 접합되는 영역의 뒤 몸통 둘레 백시트(72)에는,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2)의 패턴을 따라, 스파이럴에 의해 핫멜트 접착제가 코팅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전술한 탄성 부재의 간격이, 예컨대, 10 ㎜ 이상 비어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 스파이럴이나 컨트롤 시임 등의 코팅 방법에 의해 핫멜트 접착제가 코팅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핫멜트 접착제로서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이나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이나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무계의 것이나, 올레핀계의 것 등이 이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서는, 앞 몸통 둘레 영역(S10A) 및 뒤 몸통 둘레 영역(S10B)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W)을 따라 복수의 몸통 둘레 탄성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앞 몸통 둘레 영역(S10A)에는,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W)을 따라, 복수의 허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0W1)나, 복수의 앞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0F)나, 복수의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뒤 몸통 둘레 영역(S10B)에는,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W)을 따라, 복수의 허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0W2)나, 복수의 뒤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1)나, 복수의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2)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서는, 가랑이 아래 영역(S20) 내에 있어서, 앞 몸통 둘레 영역(S10A)에 있어서 마련되어 있는 몸통 둘레 탄성 부재(예컨대, 앞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0F)나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와 뒤 몸통 둘레 영역(S10B)에 있어서 마련되어 있는 몸통 둘레 탄성 부재(예컨대, 뒤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1)나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2))가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서는, 도 2의 (a) 및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 몸통 둘레 영역(S10A) 또는 뒤 몸통 둘레 영역(S10B)에 있어서, 흡수체 본체(2)가 마련되어 있는 제1 영역(X)에서는, 흡수성 물품(1)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부터만 시인 가능하고, 흡수체 본체(2)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제2 영역(Y)에서는, 흡수성 물품(1)의 피부 비접촉면측 및 피부 접촉면측의 양방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선형의 식별부가 마련되어 있다.
예컨대, 이러한 식별부는, 복수의 몸통 둘레 탄성 부재 중, 흡수체 본체(2)보다 흡수성 물품(1)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있어서 제1 영역(X) 및 제2 영역(Y)에 걸쳐 마련되어 있는 몸통 둘레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서는, 허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0W1, 90W2), 앞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0F), 뒤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1) 및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2)에는, 백색 기조의 색이 부여되어 있는 데 대하여,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에는, 청색 기조의 색이 부여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서는,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가, 전술한 식별부를 구성한다.
또한, 이러한 식별부를 구성하는 몸통 둘레 탄성 부재의 간격(삽입 피치)은, 이러한 식별부를 구성하지 않는 몸통 둘레 탄성 부재의 간격(삽입 피치)보다 좁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점,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서는, 이러한 식별부를 구성하는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의 삽입 피치(D100)는, 5 ㎜인 데 대하여, 이러한 식별부를 구성하지 않는 앞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0F)의 삽입 피치(D1)는, 15 ㎜이다.
또한, 이러한 구성과 같이,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의 간격(삽입 피치)을, 앞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0F)의 간격(삽입 피치)보다 좁게 함으로써, 앞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0F)와 비교하여,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를 눈에 띄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부를 구성하는 몸통 둘레 탄성 부재는, 이러한 식별부를 구성하지 않는 몸통 둘레 탄성 부재보다 굵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과 같이,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를, 앞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0F)보다 굵게 함으로써, 앞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0F)와 비교하여,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를 눈에 띄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의 표면을 전면측에서 본 외관을 나타내고,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의 표면을 후면측에서 본 외관을 나타내며,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의 이면을 전면측에서 본 외관을 나타내고,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의 이면을 후면측에서 본 외관을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이, 반대로 되어 있지 않은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착용자는, 제1 영역(X) 및 제2 영역(Y)의 양방에 있어서, 섀시(3)와 다른 색이 부여되어 있는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를 시인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이, 반대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착용자는,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의 일부를 시인할 수 없는, 즉, 제1 영역(X)에 있어서,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를 시인할 수 없다.
따라서, 착용자는, 제1 영역(X)에 있어서의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를 시인함으로써, 흡수성 물품(1)이 반대의 상태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자는, 흡수성 물품(1)의 표면을 전면측으로부터, 섀시(3)와 다른 색이 부여되어 있는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를 시인할 수 있지만, 흡수성 물품(1)의 표면을 후면측으로부터는,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를 시인할 수 없다.
따라서, 착용자는,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를 시인함으로써, 흡수성 물품(1)의 전면측 및 후면측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의 제조 방법의 일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9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방법에 대해서는, 기존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계 S101에 있어서, 섀시(3)를 생성한다. 여기서, 삽입하는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로서, 섀시(3) 및 흡수체 본체(2)와는 다른 색이 부여되어 있는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를 이용한다.
단계 S102에 있어서, 센터 시트(50)와 앞 몸통 둘레 시트(60)와 뒤 몸통 둘레 시트(70)를 한번에 소정 형상으로 컷트함으로써 다리 둘레 개구를 형성한다.
단계 S103에 있어서, 단계 S102에서 형성된 다리 둘레 개구의 사이에, 흡수체 본체(2)를 배치한다.
단계 S104에 있어서, 앞 몸통 둘레 시트(60)를 뒤 몸통 둘레 시트(70)를 향하여 접어 포갠 후, 앞 몸통 둘레 시트(60)와 뒤 몸통 둘레 시트(70)를 접합한다.
단계 S105에 있어서, 앞 몸통 둘레 시트(60)와 뒤 몸통 둘레 시트(70)의 접합 영역을 컷트함으로써, 흡수성 물품(1)을 생성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 따르면,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에, 섀시(3)(앞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0F)를 포함함) 및 흡수체 본체(2)에 부여되어 있는 색(예컨대, 백색 기조의 색)과는 다른 색(예컨대, 청색 기조의 색)을 부여함으로써,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를 눈에 띄게 할 수 있어, 착용자는, 제1 영역(X)에 있어서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를 시인할 수 있는 경우, 반대로 되어 있지 않은 정상적인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의 정면을 보고 있는 것을 알아차릴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 따르면, 흡수성 물품(1)으로서 기능하기 위해 필요한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를 식별부로서 이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으로서 기능하기 위해 필요하지 않은 부재를 이용하는 일없이, 저비용으로 흡수성 물품(1)을 제조할 수 있다.
(변경예 1)
도 10의 (a) 및 도 10의 (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경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본 변경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 대해서,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과의 상이점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도 10의 (a) 및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술한 식별부는, 앞 몸통 둘레 영역(S10A)에 마련되어 있는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A2) 대신에, 뒤 몸통 둘레 영역(S10B)에 마련되어 있는 뒤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A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변경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서는, 식별부를 구성하는 뒤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A1)에, 섀시(3)(뒤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1)를 포함함) 및 흡수체 본체(2)에 부여되어 있는 색(예컨대, 백색 기조의 색)과는 다른 색(예컨대, 청색 기조의 색)이 부여되어 있다.
즉, 본 변경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서는, 몸통 둘레 영역(S10B)에, 다른 색의 뒤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1) 및 뒤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A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변경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서는, 뒤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A1)의 간격(삽입 피치)이, 뒤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1)의 간격(삽입 피치)보다 좁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변경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서는, 뒤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A1)는, 뒤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1)보다 굵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변경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 있어서, 전술한 식별부는, 뒤 몸통 둘레 영역(S10B)에 마련되어 있는 뒤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100A1) 대신에, 다리 둘레 개구를 형성하는 영역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92)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변경예 2)
도 11의 (a) 및 도 11의 (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경예 2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본 변경예 2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 대해서,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과의 상이점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제1 실시형태 및 변경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서는, 전술한 식별부는, 앞 몸통 둘레 영역(S10A) 및 뒤 몸통 둘레 영역(S10B) 중 어느 쪽인가 한쪽에만 마련되어 있는 데 대하여, 본 변경예 2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서는, 도 11의 (a) 및 도 1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러한 식별부는, 앞 몸통 둘레 영역(S10A) 및 뒤 몸통 둘레 영역(S10B)의 양방에 마련되어 있다.
(변경예 3)
또한, 전술한 식별부는, 앞 몸통 둘레 시트(60)나 뒤 몸통 둘레 시트(70)에 대하여 컬러 인쇄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섀시(3) 및 흡수체 본체(2)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의 구성과 다른 구성이어도 좋다.
예컨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코어(20)의 흡수성 물품(1)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마련되어야 하는 샘방지 필름으로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 있어서 흡수체 본체(2) 내에 마련되어 있던 흡수체 본체측 백시트(30) 대신에, 섀시(3)측에, 샘방지 필름(31A~31C)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2의 예에서는, 앞 몸통 둘레 시트(60)는, 시트(60A)와 시트(60B)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뒤 몸통 둘레 시트(70)는, 시트(70A)와 시트(70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흡수성 물품(1)에서는, 흡수체 본체(2)는, 흡수체 코어(20)와, 흡수체 본체측 톱시트(1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섀시(3)와 흡수체 본체(2)가 일체화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의 흡수성 물품(1)에서는, 흡수체 본체(2)는, 흡수체 코어(20)에 의해 구성된다. 즉, 흡수체 본체(2)에는, 흡수체 본체측 톱시트(10) 및 흡수체 본체측 백시트(30)가 포함되지 않는다.
이상, 전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고 하는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수정 및 변경 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하여 아무런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10-088917호(2010년 4월 7일 출원)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자가 용이하게 표면측 및 이면측을 식별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1…흡수성 물품
S10A…앞 몸통 둘레 영역
S10B…뒤 몸통 둘레 영역
S20…가랑이 아래 영역
X…제1 영역
Y…제2 영역
2…흡수체 본체
3…섀시
90W1, 90W2…허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
90F…앞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
91…뒤 몸통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
92, 100, 100A2, 100B2…다리 둘레 개더용 탄성 부재

Claims (7)

  1. 동일한 색의 섀시 및 흡수체 본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섀시는, 앞 몸통 둘레 영역과, 뒤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개재되는 가랑이 아래 영역을 가지고,
    상기 흡수체 본체는, 상기 섀시보다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 접촉면측이며, 또한,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으로부터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에 걸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의 몸통 둘레 탄성 부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 내에 있어서,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마련되어 있는 몸통 둘레 탄성 부재와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마련되어 있는 몸통 둘레 탄성 부재가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또는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 본체가 마련되어 있는 제1 영역에서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부터만 시인 가능하며, 상기 흡수체 본체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제2 영역에서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 비접촉면측 및 피부 접촉면측의 양방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선형의 식별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식별부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복수의 몸통 둘레 탄성 부재 중, 상기 흡수체 본체보다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걸쳐 마련되어 있는 몸통 둘레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몸통 둘레 탄성 부재 중, 상기 식별부를 구성하는 몸통 둘레 탄성 부재의 간격은, 상기 식별부를 구성하지 않는 몸통 둘레 탄성 부재의 간격보다 좁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몸통 둘레 탄성 부재 중, 상기 식별부를 구성하는 몸통 둘레 탄성 부재는, 상기 식별부를 구성하지 않는 몸통 둘레 탄성 부재보다 굵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몸통 둘레 탄성 부재 중, 상기 식별부를 구성하는 상기 몸통 둘레 탄성 부재는, 다리 둘레 개구를 형성하는 영역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중 어느 쪽인가 한쪽에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무늬가 부여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127028961A 2010-04-07 2011-04-07 흡수성 물품 KR101770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88917 2010-04-07
JP2010088917A JP5135379B2 (ja) 2010-04-07 2010-04-07 吸収性物品
PCT/JP2011/058842 WO2011126088A1 (ja) 2010-04-07 2011-04-07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868A true KR20130040868A (ko) 2013-04-24
KR101770445B1 KR101770445B1 (ko) 2017-08-22

Family

ID=44763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961A KR101770445B1 (ko) 2010-04-07 2011-04-07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998872B2 (ko)
EP (1) EP2556809A4 (ko)
JP (1) JP5135379B2 (ko)
KR (1) KR101770445B1 (ko)
CN (1) CN102821727B (ko)
AU (1) AU2011236877B2 (ko)
MY (1) MY152344A (ko)
SG (1) SG183958A1 (ko)
WO (1) WO20111260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8132A (ko) * 2014-03-27 2016-12-02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322B1 (ko) 2009-07-01 2015-10-19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팬츠형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방법
BR112013016596B1 (pt) * 2010-12-28 2020-09-29 Kao Corporation Artigo de vestuário de puxar e método de produção do mesmo
JP5846881B2 (ja) * 2011-12-07 2016-01-20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BR112015019465B1 (pt) * 2013-03-08 2021-01-26 Unicharm Corporation fralda descartável do tipo puxar
JP6189628B2 (ja) * 2013-05-13 2017-08-30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5745576B2 (ja) * 2013-07-23 2015-07-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6029375A1 (en) 2014-08-27 2016-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WO2016029372A1 (en) 2014-08-27 2016-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WO2016029374A1 (en) * 2014-08-27 2016-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WO2016029370A1 (en) 2014-08-27 2016-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WO2016029377A1 (en) * 2014-08-27 2016-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WO2016029371A1 (en) * 2014-08-27 2016-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US10857040B2 (en) * 2014-12-11 2020-12-08 Attends Healthcare Products, Inc.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having elastic sheet material and elastic strands
WO2017044022A1 (en) * 2015-09-09 2017-03-16 Sca Hygiene Products Ab A disposable pant-type absorbent article with a leg cuff
JP6404201B2 (ja) * 2015-10-02 2018-10-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おむつ
RU2711679C1 (ru) * 2016-11-23 2020-01-21 Эссити Хайджин Энд Хелт Актиеболаг Комплект гендерно специфических впитывающих изделий
USD859648S1 (en) * 2018-02-22 2019-09-10 ACT Holding, LLC Diaper accessory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492B2 (ja) * 1988-06-15 1995-05-15 松下電工株式会社 偏波ダイバーシチ無線通信方式
DK0456885T3 (da) 1990-05-16 1995-04-03 Pope & Talbot Co Blebukser og fremgangsmåde til deres tilvirkning
JPH0984824A (ja) * 1995-09-26 1997-03-31 Oji Paper Co Ltd パンツ型使いすておむつ
JP3789197B2 (ja) * 1997-04-21 2006-06-21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US6307119B1 (en) 1999-06-15 2001-10-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having wetness indicating graphics incorporating a training zone
JP3810999B2 (ja) * 2000-11-24 2006-08-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US7291138B2 (en) * 2002-12-13 2007-11-06 Hakujuji Kabushiki Kaisha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US20050010188A1 (en) 2003-07-10 2005-01-13 Glaug Frank S. Efficiently manufacturable absorbent disposable undergar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bsorbent disposable article
WO2005014297A1 (en) 2003-07-11 2005-02-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featuring photoluminous graphics
JP4460878B2 (ja) * 2003-11-20 2010-05-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JP4349933B2 (ja) * 2004-02-27 2009-10-2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747051B2 (ja) 2006-07-31 2011-08-10 王子ネピア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及び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用外装体
US20080134487A1 (en) * 2006-12-07 2008-06-12 Julia Hartono Integral waistband for a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an article and a method of forming said article
JP5027525B2 (ja) * 2007-02-22 2012-09-19 白十字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5405761B2 (ja) 2008-03-27 2014-02-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8132A (ko) * 2014-03-27 2016-12-02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56809A4 (en) 2014-10-01
AU2011236877A1 (en) 2012-11-29
JP2011217899A (ja) 2011-11-04
AU2011236877B2 (en) 2015-09-17
US8998872B2 (en) 2015-04-07
WO2011126088A1 (ja) 2011-10-13
MY152344A (en) 2014-09-15
SG183958A1 (en) 2012-10-30
US20130060219A1 (en) 2013-03-07
CN102821727A (zh) 2012-12-12
CN102821727B (zh) 2014-01-29
KR101770445B1 (ko) 2017-08-22
EP2556809A1 (en) 2013-02-13
JP5135379B2 (ja)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0868A (ko) 흡수성 물품
JP4051208B2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3978363B2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AU2011243572B2 (en) Absorbent article
KR102236503B1 (ko) 착용 물품
CN106794077B (zh) 吸收性物品
JP5466072B2 (ja) 吸収性物品
KR20050100383A (ko)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
JP4057307B2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7270377B2 (ja) 裾口を伴う使い捨てパンツ式吸収性物品
JP5784851B1 (ja) 吸収性物品
AU2012305779A1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JP2004089342A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5745576B2 (ja) 吸収性物品
KR20180040528A (ko) 일회용 착용 물품
CN101106959B (zh) 一次性短裤型穿戴用品
CN113473954B (zh) 裤型可穿着制品
CN111225643A (zh) 吸收性物品
JP6468960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CN104093386A (zh) 具有弹性腿部开口区域的一次性吸收产品以及相关方法
JP2015147075A (ja) 吸収性物品
TW201822738A (zh) 平口褲型拋棄式尿布
KR20190104234A (ko) 연장된 다리 탄성체를 갖는 흡수 용품
JP2021104287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