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322B1 - 팬츠형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팬츠형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322B1
KR101558322B1 KR1020117030994A KR20117030994A KR101558322B1 KR 101558322 B1 KR101558322 B1 KR 101558322B1 KR 1020117030994 A KR1020117030994 A KR 1020117030994A KR 20117030994 A KR20117030994 A KR 20117030994A KR 101558322 B1 KR101558322 B1 KR 101558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side
absorbent article
stretchable
portions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0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0107A (ko
Inventor
켄지 코바야시
료이치 야마모토
켄지 안도
타쿠오 야나시마
아키오 모리타
Original Assignee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57273A external-priority patent/JP541516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88340A external-priority patent/JP54151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94366A external-priority patent/JP552390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94365A external-priority patent/JP553491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0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804Plant, e.g. involving several st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04H3/0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in rectilinear paths, e.g. crossing at right ang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62Prior to assembly

Abstract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 외장체(2A)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 외장체(2B)와, 배측 외장체 및 등측 외장체에 걸치도록 고정된 흡수성 본체(3)를 구비하고, 사이드 실부(4, 4)를 가지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1)으로서,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는 각각 흡수성 물품 세로방향의 길이가, 가로방향에 있어서 균일하면서 사이드 실부(4)의 길이보다 길고, 각각 상기 사이드 실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분(21a, 21b)을 가지고 있으며, 배측 외장체 및/또는 등측 외장체의 연장부분(21a, 21b)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3)의 양 측가장자리 각각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흡수성 물품의 가로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팬츠형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방법{PANTS TYPE ABSORPTIVE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등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부,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배치되는 가랑이부 및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부에 걸친 모래시계 형상의 외장체와, 상기 외장체의 내면측에 고정된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배측부에서의 외장체의 양 측가장자리부와 등측부에서의 외장체의 양 측가장자리부가 접합되어 웨이스트 개구부 및 한쌍의 레그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연속 생산할 때에는 외장체의 띠형상 원단에 레그 개구부 형성용 관통구멍이나 컷아웃(cutout)을 형성하고, 불필요한 부분을 트리밍(trimming)으로서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종래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외장체가,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 외장체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 외장체로 분할되어 있고, 흡수성 본체가 배측 외장체 및 등측 외장체에 걸치도록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배측 외장체 좌우의 양 측가장자리부와 등측 외장체 좌우의 양 측가장자리부가 접합되어, 배측 및 등측 외장체가 환(環)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그러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앞쪽 벨트부분 및 뒤쪽 벨트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환형상 탄성 벨트와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는 동시에, 뒤쪽 벨트부분(등측 외장체)의 세로방향의 길이를, 앞쪽 벨트부분(배측 외장체)의 세로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한 풀 온(pull-on) 의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특허문헌 2에는 배측 외장 시트와 등측 외장 시트로 형성된 통(筒)형상의 몸통둘레부와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등측 외장 시트가 등측 본체부와 그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등측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등측 연장부의 양측인 둔부 커버부에 마련된 제2 탄성 신축부재의 신장률을, 등측 본체부의 중간부 및 하단부에 마련된 제1 탄성 신축부재의 신장률보다 높게 한 팬츠형 종이 기저귀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외장체가 배측 외장체와 등측 외장체로 분할된 것은 아니지만, 특허문헌 3에는 외장체를 구성하는 외측 시트와 내측 시트 사이에 보조 탄성부재를 가지며, 상기 보조 탄성부재는 몸통둘레 측부의 측가장자리 근방에 고착된 양 단부와, 상기 양 단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외측 시트와 상기 내측 시트에 비(非)고착 중앙부를 가지는 착용 물품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외장체가 배측 외장체와 등측 외장체로 분할된 것은 아니지만, 특허문헌 4에는 앞길(front portion)에 있어서의 외형 시트(외장체)의 흡수체와 겹치는 부분에, 외형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 사이에 배치한 신축부재를 절단한 절단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절단영역의 폭을, 앞길의 웨이스트 개구부측의 단부에서 중간점까지는 점차 확대시키고, 상기 중간점부터 중앙쪽에서는 일정 폭으로 한 일회용 기저귀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앞서 흡수성 본체와 외장체(외포재)를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외장체의 몸통둘레부에 특정 구조의 복합 신축부로 형성된 몸통둘레 개더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제안하였다(특허문헌 5, 6 참조). 이 흡수성 물품들의 복합 신축부는 외층 시트 및 내층 시트가 복합 신축부의 신축방향 및 그것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간헐적인 접합부에 의해 서로 접합되고, 탄성부재가 상기 접합부를 지나지 않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탄성부재의 양 단부를 제외한 부분에 있어서 외층 시트 및 내층 시트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외층 시트 및 내층 시트 각각이 각각 복수개의 탄성부재에 걸쳐서 연속해서 연장되는 복수개의 주름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7에는 외장체를 구성하는 2장의 시트 사이가 접합된 엠보싱 접합부를 산점(散點)형상으로 가지며, 그 엠보싱 접합부 사이를 지나도록 탄성부재를 배치한 외장체를 가지는 팬츠형 물품이 기재되어 있고, 그 외장체에 있어서의, 레그 개구부의 둘레가장자리부를 형성하는 원호형상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엠보싱 접합부와는 별도로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가 고정된 탄성부재단 고정점을 마련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WO2006/017718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8-178682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3-38556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2-273808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8-132023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8-131968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8-161514호
외장체가,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 외장체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 외장체로 분할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외장체의 띠형상 원단에서 트리밍을 제거하는 것이 불필요하거나, 제거해야 할 트리밍의 소형화 등을 꾀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웨이스트 개구부 및/또는 레그 개구부의 조임력을 높이지 않으면 흘러내리기 쉬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의 풀 온 의류는 뒤쪽 벨트부분의 세로방향의 길이가 앞쪽 벨트부분(배측 외장체)의 동(同) 길이보다 긴 점으로 인해, 착용자의 둔부 피복성이 높아져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풀 온 의류도 웨이스트 개구부 및/또는 레그 개구부의 조임력을 높이지 않으면 흘러내리기 쉬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2의 팬츠형 종이 기저귀는 등측 외장 시트의 등측 연장부에 배치하는 탄성 신축부재의 신장률을 연구함으로써, 상기 등측 연장부에서의 불룩함이나 젖혀짐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배측 외장 시트에도 통형상의 몸통둘레부를 형성하는 배측 본체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배측 연장부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팬츠형 종이 기저귀의 연장부에서는, 가랑이측으로 근접함에 따라 외장 시트의 폭이 좁혀져 있고, 발생하는 트리밍을 완전히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은 가능하지 않았다.
본 발명(제1발명)은 외장체가,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 외장체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 외장체로 분할된 타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면서, 흘러내림 방지성이 뛰어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외장체가,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 외장체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 외장체로 분할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외장체의 띠형상 원단으로부터 트리밍을 제거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거나, 제거해야 할 트리밍의 소형화 등을 꾀할 수 있지만, 착용시에 훈도시(일본의 전통식 남성 속옷)와 같은 외관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 그러한 외관을 선호하지 않는 소비자도 많았다.
특허문헌 1의 풀 온 의류는 뒤쪽 벨트부분의 세로방향의 길이가, 앞쪽 벨트부분(배측 외장체)의 동 길이보다 긴 점으로 인해, 착용자의 둔부 피복성이 높아져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풀 온 의류도 특히 착용자의 앞쪽에서 본 외관은 바람직하지 않았다.
본 발명자들은 배측 외장체 및 등측 외장체 각각에, 상기 사이드 실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분을 형성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검토했지만, 단순히 연장부분을 형성하는 것만으로는, 훈도시와 같은 외관은 없어지지만 연장부분의 볼품이 그다지 좋지 않았다.
특허문헌 3도 외장체가 배측 외장체와 등측 외장체로 분할된 기저귀 등의 외관 개선을 전혀 시사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제2발명)은 외장체가,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 외장체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 외장체로 분할된 타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면서, 외관이 뛰어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외장체가,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 외장체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 외장체로 분할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외장체의 띠형상 원단으로부터 트리밍을 제거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거나, 제거해야 할 트리밍의 소형화 등을 꾀할 수 있지만, 가랑이부 부근의 외관이나 피트성의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특허문헌 1의 풀 온 의류도 마찬가지이다.
특허문헌 4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는 외장체가, 배측 외장체와 등측 외장체로 분할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 아니고, 또한 가랑이부 부근의 외관이나 피트성을 개선하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제3발명)은 외장체가,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 외장체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 외장체로 분할된 타입의 흡수성 물품이면서, 가랑이부 부근의 외관 및/또는 피트성이 개선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5 및 6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은 몸통둘레부에 상술한 특정 구조의 복합 신축부로 이루어지는 몸통둘레 개더를 가지는 것으로서, 특히 내층 시트로서 통기성 시트를 사용했을 경우, 외층 시트가 형성하는 주름과 내층 시트가 형성하는 주름으로 둘러싸인 중공부가 외장체 내에 형성됨으로써 뛰어난 짓무름 방지성도 얻어지는 것이었지만, 한층 더 짓무름 방지성을 향상시킨 흡수성 물품을 외관 좋게 안정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요망된다. 특허문헌 7의 팬츠형 물품은 탄성부재단 고정점을 적절한 위치에 마련하기 위한 높은 정밀도의 제어가 필요하다.
또한 외장체가,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 외장체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 외장체로 분할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외장체의 띠형상 원단으로부터 트리밍을 제거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거나, 제거해야 할 트리밍의 소형화 등을 꾀할 수 있지만, 종래의 것,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풀 온 의류는 짓무름 방지성의 관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관이 좋고, 짓무름 방지성 및 장착감이 뛰어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제1발명)은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 외장체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 외장체와, 배측 외장체 및 등측 외장체에 걸치도록 고정된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배측 외장체와 등측 외장체의 흡수성 물품 세로방향을 따르는 양 측가장자리부에, 배측 외장체와 등측 외장체를 접합해서 형성된 사이드 실부를 가지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배측 외장체 및 등측 외장체는 각각 흡수성 물품 세로방향의 길이가 상기 사이드 실부의 길이보다 길고, 각각 상기 사이드 실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배측 외장체 및/또는 등측 외장체의 상기 연장부분은 흡수성 물품의 가로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으로서, 배측 외장체 연속체와 등측 외장체 연속체를, 양자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연속 반송하면서, 배측 외장체 연속체와 등측 외장체 연속체에 흡수성 본체를 걸치도록 고정하여 기저귀 연속체를 얻는 공정과, 기저귀 연속체를 반으로 접는 공정과, 반으로 접은 기저귀 연속체에, 배측 외장체 연속체 및 등측 외장체 연속체 각각의 전체 폭에 걸치지 않도록 사이드 실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사이드 실부 형성 후의 기저귀 연속체를 낱개의 기저귀로 분단하는 공정을 구비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제2발명)은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 외장체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 외장체와, 배측 외장체 및 등측 외장체에 걸치도록 고정된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배측 외장체와 등측 외장체의 흡수성 물품 세로방향을 따르는 양 측가장자리부에, 배측 외장체와 등측 외장체를 접합해서 형성된 사이드 실부를 가지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배측 외장체 및 등측 외장체는 각각 흡수성 물품 세로방향의 길이가 상기 사이드 실부의 길이보다 길고, 각각 상기 사이드 실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배측 외장체의 상기 연장부분에서는 2장의 시트 사이에 탄성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그 탄성부재 중 1개 또는 복수개는 배측 외장체의 측가장자리부 또는 그 근방에 마련된 단부 고정부에서 상기 2장의 시트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단부 고정부 사이에서는 상기 2장의 시트 중 어느 것에도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배측 외장체의 상기 연장부분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와 겹치는 부분에, 상기 2장의 시트 사이가 접합된 선상 접합부가, 흡수성 물품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제3발명)은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 외장체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 외장체와, 배측 및 등측 외장체에 걸쳐서 고정된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배측 외장체와 등측 외장체가 환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배측 및/또는 등측 외장체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방향의 단부의 위치보다 가랑이부측에, 흡수성 물품의 가로방향으로 신축하는 제1 띠형상 신축영역 및 그보다 가랑이부측에 위치하며 흡수성 물품의 가로방향으로 신축하는 제2 띠형상 신축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제1 및 제2 띠형상 신축영역은 각각, 배측 또는 등측의 외장체를 구성하는 2장의 시트 사이에 탄성부재를 신장 상태로 배치해서 형성되면서, 또한 상기 흡수성 본체와 겹치는 부분에 상기 탄성부재의 절단에 의해 형성된 비신축부를 가지며 그 양측에 한쌍의 신축부를 가지고 있고, 제1 띠형상 신축영역의 비신축부와 제2 띠형상 신축영역의 비신축부에서, 흡수성 물품 가로방향의 길이가 다른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으로서, 배측 및 등측 외장체의 원단인 2장의 띠형상 시트를, 양자 사이에 탄성부재를 개재시킨 상태로 포개고, 포갠 양쪽 띠형상 시트를, 둘레면에 탄성부재 절단용 볼록부를 가지는 볼록 롤과 상기 볼록 롤에 대향 배치된 다른 롤 사이에 도입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배측 및 등측 외장체의 제1 및 제2 띠형상 신축영역의 비신축부에 대응하는 부위에서 절단하는 탄성부재 절단 공정, 및 탄성부재 절단 공정 후에 상기 양쪽 띠형상 시트를 배측 외장체 부분과 등측 외장체 부분으로 절단해서 분할하는 분할 공정을 구비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제4발명)은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 외장체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 외장체와, 배측 외장체 및 등측 외장체에 걸치도록 고정된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배측 외장체의 양 측가장자리부와 등측 외장체의 양 측가장자리부가 접합되어 한쌍의 사이드 실부가 형성되어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으로서, 2장의 띠형상 시트를, 복수개의 탄성부재를 개재시켜서 포개는 중합 공정, 포갠 2장의 띠형상 시트에, 진행방향(machine direction)으로 접합부가 직렬 상태로 나열된 3개 이상의 접합부열이 형성되는 동시에 복수개의 탄성부재 각각의 양측에 접합부열이 위치하도록, 접합부를 형성해서 양쪽 띠형상 시트가 부분적으로 접합된 복합 시트를 얻는 접합 공정, 복합 시트를, 하나의 접합부열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접합부 각각이 진행방향(machine direction)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2분되도록 분할하여 2개의 세폭(細幅) 띠형상 시트를 얻는 분할 공정, 2개의 세폭 띠형상 시트를, 양자 사이에 간격을 두고 연속 반송하면서, 2개의 세폭 띠형상 시트에 흡수성 본체를 걸치도록 고정해서 흡수성 물품 연속체를 얻는 흡수성 본체 고정 공정, 흡수성 물품 연속체를 그 폭방향으로 반으로 접는 반으로 접기 공정, 및 반으로 접은 흡수성 물품 연속체에 사이드 실부를 형성하고, 상기 흡수성 물품 연속체를 절단해서 낱개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얻는 절단 공정을 구비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관이 좋고, 짓무름 방지성 및 장착감이 뛰어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도 1(c)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사용 상태(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a)는 배측부측에서 본 도면, 도 1(b)는 옆에서 본 도면, 도 1(c)는 등측부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2는 도 1(a)~도 1(c)에 나타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 신장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 전개 신장 상태란, 사이드 실부를 떼어내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전개 상태로 하고 그 전개 상태의 흡수성 물품을 각 부의 탄성부재를 신장시켜서 설계 치수(탄성부재의 영향을 일절 배제한 상태에서 평면형상으로 펼쳤을 때의 치수와 같음)가 될 때까지 펼친 상태를 말한다.
도 3은 도 1(a)~도 1(c)에 나타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의 배측 또는 등측 외장체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확대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a)~도 1(c)에 나타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의 연장부분 신축부의 기저귀 가로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탄성부재(24)를 신장시켜서 주름을 없앤 상태, 도 4(b)는 탄성부재(24)가 수축해서 주름(29)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a)~도 1(c)에 나타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배측 외장체측에서 본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의 가랑이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의 등측 외장체 또는 배측 외장체의 연장부분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a)~도 1(c)에 나타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다른 바람직한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도 10(c)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사용 상태(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0(a)는 배측부측에서 본 도면, 도 10(b)는 옆에서 본 도면, 도 10(c)는 등측부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a)~도 10(c)에 나타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 신장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 전개 신장 상태란, 사이드 실부를 떼어내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전개 상태로 하고 그 전개 상태의 흡수성 물품을 각 부의 탄성부재를 신장시켜서 설계 치수(탄성부재의 영향을 일절 배제한 상태에서 평면형상으로 펼쳤을 때의 치수와 같음)가 될 때까지 펼친 상태를 말한다.
도 12는 도 10(a)~도 10(c)에 나타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배측부측을 기저귀 외면측에서 본 신장 상태의 일부 파단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0(a)~도 10(c)에 나타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등측부측을 기저귀 외면측에서 본 신장 상태의 일부 파단 확대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도 10(a)~도 10(c)에 나타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의 연장부분 신축부의 기저귀 가로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4(a)는 탄성부재(24)를 신장시켜서 주름을 없앤 상태, 도 14(b)는 탄성부재(24)가 수축해서 주름(29)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0(a)~도 10(c)에 나타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나타내는 도면(도 12 상당도)이다.
도 17(a)~도 17(c)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사용 상태(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7(a)는 배측부측에서 본 도면, 도 17(b)는 옆에서 본 도면, 도 17(c)는 등측부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a)~도 17(c)에 나타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 신장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개략 평면도이다. 전개 신장 상태란, 사이드 실부를 떼어내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전개 상태로 하고 그 전개 상태의 흡수성 물품을 각 부의 탄성부재를 신장시켜서 설계 치수(탄성부재의 영향을 일절 배제한 상태에서 평면형상으로 펼쳤을 때의 치수와 같음)가 될 때까지 펼친 상태를 말한다.
도 19는 도 17(a)~도 17(c)에 나타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배측부측을 기저귀 외면측에서 본 신장 상태의 일부 파단 확대도이다.
도 20은 도 17(a)~도 17(c)에 나타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등측부측을 기저귀 외면측에서 본 신장 상태의 일부 파단 확대도이다.
도 21은 도 17(a)~도 17(c)에 나타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의 등측 연장부 신축부의 기저귀 가로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1(a)는 탄성부재(24)를 신장시켜서 주름을 없앤 상태, 도 21(b)는 탄성부재(24)가 수축해서 주름(29)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0실시형태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나타내는 모식 전개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1실시형태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나타내는 모식 전개 평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2실시형태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나타내는 모식 전개 평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의 한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의 한 실시양태로 제조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의 배측 또는 등측 외장체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확대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의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분할 공정의 상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의 한 실시양태에서 얻어지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배측 외장체 또는 등측 외장체의 하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제1발명의 한 실시형태)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이하, 기저귀(1)라고도 함)는 도 1(a)~도 1(c)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 외장체(2A)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 외장체(2B)와,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에 걸치도록 고정된 흡수성 본체(3)를 구비하고, 배측 외장체(2A)의 측가장자리부(2a, 2a)와 등측 외장체(2B)의 측가장자리부(2b, 2b)가 접합되어 한쌍의 사이드 실부(4, 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는 각각 흡수성 물품 세로방향의 길이(La, Lb)가 사이드 실부(4)의 길이(L4)보다 길고, 각각 상기 사이드 실부(4)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분(21a, 21b)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배측 외장체(2A)의 상기 연장부분(21a)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3)의 양 측가장자리 각각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흡수성 물품의 가로방향(Y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흡수성 물품의 가로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진다는 것은 가로방향(Y방향)으로만 신축성을 가지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로방향(Y방향) 및 세로방향(X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평면 내의 전체 방향으로 신축하는 것이어도 된다.
기저귀(1)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저귀(1)는 도 1(a)~도 1(c)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시에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부(A)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부(B)와, 배측부(A)와 등측부(B) 사이에 위치하며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배치되는 가랑이부(C)를 가지고 있다. 기저귀(흡수성 물품)(1)의 세로방향은 기저귀(1)의 전개 신장 상태(도 2 참조)에서, 배측부(A)에서 가랑이부(C)를 지나 등측부(B)에 걸치는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도 2 중 X방향)이고, 기저귀(흡수성 물품)(1)의 가로방향은 그 세로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2 중 Y방향)이다.
기저귀(1)의 흡수성 본체(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31), 액불투과성 또는 발수성의 이면 시트(32), 및 양쪽 시트(31, 32) 사이에 개재 배치된 액보유성의 흡수성 코어(33)를 가지고 있으며, X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3)의 길이방향의 양 측부에는 액저항성 내지 발수성이면서 통기성의 소재로 구성된 측방 커프스(34, 34)가 형성되어 있다. 각 측방 커프스(34)의 자유단의 근방에는 측방 커프스 탄성부재(35)가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기저귀(1)를 착용시킬 때에는 측방 커프스 탄성부재(35)가 수축함으로써 측방 커프스(34)가 기립하여, 흡수성 본체(3)에서 폭방향 외측으로의 액 유출이 저지된다. 표면 시트(31), 이면 시트(32) 및 흡수성 코어(33)로서는 각각 이러한 종류의 흡수성 물품에 종래 사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흡수성 본체(3)의 외측에는 부직포나 필름 등의 외장 시트가 배치되어 있다. 외장 시트는 이면 시트(32)와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배측 외장체(2A)는 기저귀(1)의 전개 신장 상태(도 2 참조)에 있어서, 가로로 긴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있고, 기저귀 세로방향(X방향)을 따르는 좌우 한쌍의 측가장자리부(2a, 2a)와, 기저귀 가로방향(Y방향)을 따르는 상하 한쌍의 끝가장자리부(2c, 2d)를 가지고 있다. 등측 외장체(2B)도 마찬가지로, 가로로 긴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기저귀 세로방향(X방향)을 따르는 좌우 한쌍의 측가장자리부(2b, 2b)와, 기저귀 가로방향(Y방향)을 따르는 상하 한쌍의 끝가장자리부(2c, 2d)를 가지고 있다. 배측 외장체(2A)와 등측 외장체(2B)는 도 2와 같이 기저귀 세로방향(X방향)의 길이가 기저귀 가로방향(Y방향)에 있어서 균일하다.
그리고 배측 외장체(2A)의 측가장자리부(2a)의 일부(2a')와, 등측 외장체(2B)의 측가장자리부(2b)의 일부(2b')가 접합되어 있음으로써, 기저귀(1)에는 사이드 실부(4, 4), 웨이스트 개구부(5) 및 한쌍의 레그 개구부(6, 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합에는 예를 들면 히트 실, 고주파 실, 초음파 실, 접착제 등이 사용된다. 도 1(a)~도 1(c)에는 웨이스트 개구부(5)에 유아의 몸통부(7a), 레그 개구부(6, 6)에 유아의 다리부(7b, 7b)가 삽입 통과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3)는 길이방향의 일단측(배측 외장체(2A)와 겹쳐 있는 부분)이, 배측 외장체(2A)의 Y방향의 중앙부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되어 있고, 길이방향의 타단측(등측 외장체(2B)와 겹쳐 있는 부분)이, 등측 외장체(2B)의 Y방향의 중앙부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는, 신장 상태로 시트에 배치된 탄성부재(24)의 수축에 의해 개더를 형성하는 것에 대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24)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가로로 긴 직사각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후술하는 제3실시형태의 기저귀와 같이 실질적으로 비신장 상태에서 신장 가능한 부직포에 고정된 탄성 필라멘트 등에 의해 신축성을 발현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비신장 상태에서 가로로 긴 직사각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 필라멘트를 부직포 사이에 고정한 후, 서로 맞물리는 톱니 홈을 가지는 한쌍의 누름틀 사이에 물려넣어 신축성을 부여한 신축 시트 등의 신축 시트를 신장 상태하에 비신장성 시트와 접합하여, 양쪽 시트로 이루어지는 배측 외장체나 등측 외장체를 얻은 경우에는, 상기 신축 시트가 비신장성 시트에 의해 연신이 멈출 때까지 신장시킨 상태의 형상이, 가로로 긴 직사각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 실부(4)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 외장체(2A)의 길이(La) 및 등측 외장체(2B)의 길이(Lb)의 어느 것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고,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에는 각각, 사이드 실부(4)에서 아래쪽(착용시의 아래쪽, 도 1(a)~도 1(c)의 각 도면에서의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분(21a, 21b)이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1)에서의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는 모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의 외면을 이루는 외층 시트(22)와, 외층 시트(22)의 내면측에 배치된 내층 시트(23)와, 양쪽 시트(22, 23)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실형상의 탄성부재(24)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 웨이스트 신축부(G1), 몸통둘레 신축부(G2) 및 연장부분 신축부(G3)를 가지고 있다.
웨이스트 신축부(G1)는 기저귀(1)의 세로방향(X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3)의 길이방향의 단부(3a, 3b) 각각에서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연장부분 신축부(G3)는 배측 외장체(2A)의 연장부분(21a) 및 등측 외장체(2B)의 연장부분(21b)에 형성되어 있으며, 몸통둘레 신축부(G2)는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의 각각에 있어서, X방향에서의 웨이스트 신축부(G1)와 연장부분 신축부(G3)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몸통둘레 신축부(G2) 및 연장부분 신축부(G3)는 기저귀(1)의 가로방향(Y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흡수성 본체(3)의 길이방향의 양 측가장자리 각각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신축성을 발현한다. 한편 도 3에는 흡수성 본체(3)가 배치되는 위치를 2점 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웨이스트 신축부(G1), 몸통둘레 신축부(G2) 및 연장부분 신축부(G3)에서는 외층 시트(22)와 내층 시트(23) 사이가, 산점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접합부(26)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저귀(1)의 세로방향(X방향)에 접합부(26)가 간헐적으로 직렬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세로 접합부열이, 기저귀(1)의 가로방향(Y방향)으로 복수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세로 접합부열들에 있어서의 각 접합부의 X방향의 위치도 모든 세로 접합부열에 있어서 일치하고 있다.
그리고 신축부(G1~G3) 모두에 있어서, 복수개의 탄성부재(24)가 각각, 세로방향으로 인접하는 접합부(26) 사이를 지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탄성부재(24)는 후술하는 단부 고정부(27) 또는 흡수성 본체 측고정부(28)에 있어서 시트(22, 23)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그 이외의 부위에서는 어느 시트(22, 23)에도 고정되어 있지 않다.
배측 외장체(2A)의 웨이스트 신축부(G1)는 배측 외장체(2A)의 양 측가장자리부(2a, 2a)에, 외층 시트(22)와 내층 시트(23) 사이가 접착제를 통해 접합된 한쌍의 단부 고정부(27)를 가지고 있다(도 3 참조). 웨이스트 신축부(G1)에 배치된 탄성부재(24)는 한쌍의 단부 고정부(27) 각각에 있어서 시트(22, 23)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단부 고정부(27) 사이에서는 어느 시트(22, 23)에도 고정되어 있지 않다. 등측 외장체(2B)의 웨이스트 신축부(G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배측 외장체(2A)의 몸통둘레 신축부(G2) 및 연장부분 신축부(G3)는 모두, 배측 외장체(2A)의 한쪽 측가장자리부에, 외층 시트(22)와 내층 시트(23) 사이가 접착제를 통해 접합된 단부 고정부(27)를 가지고 있고, 또한 흡수성 본체(3)의 측가장자리(3c) 위치의 근방에, 외층 시트(22)와 내층 시트(23) 사이가 접착제를 통해 접합된 흡수성 본체 측고정부(28)를 가지고 있다. 몸통둘레 신축부(G2) 및 연장부분 신축부(G3)에 배치된 탄성부재(24)는 단부 고정부(27)와 흡수성 본체 측고정부(28)의 각각에 있어서 시트(22, 23)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단부 고정부(27)와 흡수성 본체 측고정부(28) 사이에서는 어느 시트(22, 23)에도 고정되어 있지 않다. 등측 외장체(2B)에 있어서의, 몸통둘레 신축부(G2) 및 연장부분 신축부(G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흡수성 본체 측고정부(28)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3)의 측가장자리(3c) 내외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그 전체가 흡수성 본체(3)와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 전체가 흡수성 본체(3)와 겹쳐 있는 양태에는, 흡수성 본체 측고정부(28)의 기저귀 가로방향 외측의 단부의 위치와 흡수성 본체(3)의 측가장자리(3c)의 위치가 일치하는 양태와, 흡수성 본체 측고정부(28)가, 흡수성 본체(3)의 측가장자리(3c)와의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양태의 양자가 포함된다.
또한 흡수성 본체 측고정부(28)를, 흡수성 본체(3)의 측가장자리(3c)에서 기저귀 가로방향의 외측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웨이스트 신축부(G1), 몸통둘레 신축부(G2) 및 연장부분 신축부(G3) 각각에 있어서는, 탄성부재(24)가 수축함으로써, 인접하는 세로 접합부열 사이의 시트(22 및 23)가 외측으로 부풀듯이 변형되어, 인접하는 세로 접합부열 사이에 시트(22) 또는 시트(23)로 이루어지는 주름(29)이 생기는 동시에, 양쪽 시트(22, 23) 사이에는 주름(29)과 주름(29)으로 주위를 둘러싸인 중공부(30)가 형성된다[도 4(b) 참조]. 주름(29)이나 중공부(30)가 형성됨으로써,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의 부드러움이 향상되어 촉감 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피부 접촉면측에 형성되는 주름(29) 사이를 공기가 드나들기 쉬워 짓무름 방지성도 뛰어나다. 특히 내층 시트(23)를 부직포 등의 통기성 시트로 형성했을 경우 등에는 기저귀(1) 내의 습기를 외부로 내보내기가 한층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서는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에 상술한 연장부분(21a, 21b)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저귀(1)를 착용했을 때에,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의 연장부분(21a, 21b)에 존재하는 측가장자리부(2a, 2b)가,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부방향과 등측부방향으로 갈라져서 역Y자형상으로 벌어져, 다리부(7b)의 다리둘레를 따른, 아래쪽을 향해 오목형상인 가장자리부를 형성한다. 게다가 배측 외장체(2A) 및/또는 등측 외장체(2B)의 연장부분(21a, 21b)에 연장부분 신축부(G3)가 위치하고, 상기 연장부분(21a, 21b)에 기저귀 가로방향의 신축성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연장부분(21a, 21b)의 가장자리부가 다리부(7b)의 상부에 유연하게 닿아, 기저귀(1)가 아래쪽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연장부분 신축부(G3)의 신축 응력이, 착용시에, 신체를 조이는 웨이스트 신축부(G1)나 몸통둘레 신축부(G2)의 신축 응력을 더욱 강화하도록 기능하여 신체에 대한 피트성이 높아진다.
그 때문에, 기저귀(1)에 의하면, 웨이스트 개구부(5)나 레그 개구부(6)의 조임력을 과도하게 높이거나 하지 않고 뛰어난 흘러내림 방지성이 얻어진다.
또한 연장부분(21a, 21b)이, 흡수성 본체(3)의 양 측가장자리에서 기저귀 가로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그 연장된 부분이 적당히 수축하여, 상기 가장자리부(2a, 2b)가,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3)와 함께 일체감이 있는 레그 개구부의 둘레가장자리부의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볼품도 좋고 또한 누설에 대한 불안감을 주지 않는다.
또한 기저귀(1)에서는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에 연장부분(21a, 21b)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실부(4)가 비교적 똑바른 상태를 유지하기 쉽기 때문에, 배측부(A)와 등측부(B)에 밸런스 좋게 균등한 조임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기저귀(1)에서는 배측 외장체(2A)의 연장부분(21a)뿐만 아니라, 등측 외장체(2B)의 연장부분(21b)에도 기저귀 가로방향의 신축성이 부여되어 있다. 그 때문에, 흘러내림 방지성이 한층 향상되어 있다.
또한 기저귀(1)에서는 연장부분 신축부(G3)에 있어서, 각 탄성부재(24)는 단부 고정부(27) 및 흡수성 본체 측고정부(28)에 있어서 시트(22, 23)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그 이외의 부위에서는 어느 시트(22, 23)에도 고정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탄성부재(24)의 신축력이 저해되지 않고 주름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단부 고정부(27)가 흡수성 본체측으로 끌어당겨져서,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부(7b)의 다리둘레를 따른, 아래쪽을 향한 오목형상의 가장자리부를, 탄성부재(24)의 신장률을 과도하게 증대시키지 않아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각 탄성부재(24)는 접합부(26)에서는 고정되어 있지 않아, 각 탄성부재(24)는 접합부(26)에서 구속되지 않고 그 길이방향의 넓은 범위에서 자유롭게 신축 가능하다. 또한 기저귀(1)의 세로방향(X방향)으로 인접하는 접합부(26, 26) 사이에서 기저귀 세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그 때문에, 기저귀(1) 장착 후의 배뇨 후에, 오줌 흡수에 의해 중량이 늘어난 흡수성 본체가 아래로 쳐졌을 경우에, 탄성부재(24)가 다소 비스듬히 경사진 상태가 되어, 허리방향으로 끌어올리는 힘을 발휘할 수 있다. 탄성부재(24)가 접합부(26, 26) 사이에서 기저귀 세로방향으로 이동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기저귀 세로방향으로 이웃하는 접합부 사이의 간격은 그 사이에 배치하는 탄성부재(24)의 기저귀 세로방향의 폭(탄성부재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에는 탄성부재의 직경)의 2~100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5~50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연장부분 신축부(G3)에 있어서의 탄성부재(24)는 단부 고정부(27) 및 흡수성 본체 측고정부(28)에 있어서 시트(22, 23) 사이에 고정하는 대신에, 한쌍의 단부 고정부(27, 27)에서만 시트(22, 23) 사이에 고정하고, 단부 고정부(27, 27)들 사이에서는 어느 시트(22, 23)에도 고정하지 않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연장부분(21a, 21b) 각각의 기저귀 가로방향의 신축성 정도는 전개 신장 상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 연장부분(21a, 21b) 각각의, 흡수성 본체(3)의 측가장자리부(3c)에서 기저귀 가로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100%로 했을 때, 수축 상태에서의 동 길이가 90~15%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20%가 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0~25%가 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술한 효과의 1 또는 2 이상이 한층 확실하게 발휘되도록 하는 관점에서,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는 각각 상기 연장부분(21a, 21b)의 연장길이(L5, L6)가 상기 사이드 실부(4)의 길이(L4)의 5~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25~7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같은 관점에서, 배측 외장체(2A)의 연장부분(21a)의 연장길이(L5)는 배측 외장체(2A) 길이(La)의 5~60%, 특히 20~40%인 것이 바람직하고, 등측 외장체(2B)의 연장부분(21b)의 연장길이(L6)는 등측 외장체(2B) 길이(Lb)의 5~60%, 특히 20~4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장부분(21a, 21b) 각각의 연장길이(L5, L6)는 1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아용 기저귀의 경우, 연장부분(21a, 21b) 각각의 연장길이(L5, L6)는 10~100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70mm이다. 성인용 기저귀의 경우, 연장부분(21a, 21b) 각각의 연장길이(L5, L6)는 10~150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100이다.
또한 배측 외장체(2A)와 등측 외장체(2B)는 착용자를 앞쪽에서 보았을 때에 보이는 피부의 노출부분을 줄여서 누설에 대한 불안감을 저감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연장부분(21a, 21b)의 연장길이(L5, L6)가 거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분(21a, 21b)의 연장길이(L5, L6)가 거의 같다는 것은, 배측 외장체(2A)의 연장부분(21a)의 연장길이(L5)와, 등측 외장체(2B)의 연장부분(21b)의 연장길이(L6)의 차이가 5mm 이하인 관계를 가지는 경우를 말한다.
한편,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의 양자에 연장부분(21a, 21b)을 형성하는 동시에 등측 외장체(2B)의 연장부분(21b)의 연장길이(L6)를, 배측 외장체(2A)의 연장부분(21a)의 연장길이(L5)보다 길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둔부를 피복해서 과도한 노출을 방지하면서, 착용자의 가랑이부 앞쪽도 어느 정도 덮을 수 있기 때문에, 외관이 뛰어난 기저귀가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연장길이(L6)는 상기 연장길이(L5)의 1.1~2.5배의 길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등측 외장체(2B)의 연장부분(21b)을 배측 외장체(2A)의 연장부분(21a)보다 길게 한 형태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는, 등측 외장체(2B)의 연장부분(21b)에만 신축성을 부여하는 것도, 착용자 뒤쪽의 피트성과 외관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외층 시트(22) 및 내층 시트(23)는 웨이스트 개구부의 개구둘레 가장자리단을 이루는 끝가장자리부(2d)에 있어서 내층 시트(23)측으로 접힌 연장 접힘부(22a, 23a)를 가지고 있으며, 연장 접힘부(22a, 23a)는 사이드 실부(4)에 있어서, 외층 시트(22) 및 내층 시트(23)가 졉혀 있지 않은 부분과 접합되어 있는 동시에, 흡수성 본체(3)의 길이방향과 겹치는 부분이, 접착제에 의해 상기 흡수성 본체(3)의 표면 시트측의 면에 접합되어 있다.
외층 시트(22) 및 내층 시트(23)로서는 이러한 종류의 물품에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각종 시트재를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데,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유연성 등의 관점에서 에어스루 부직포, 히트 롤 부직포, 스펀레이스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멜트블로운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부직포 또는 2층 이상의 적층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부직포들과 필름을 일체화한 시트여도 된다. 탄성부재(24)의 형성재료로서는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이용되는 각종 공지의 탄성재료를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탄성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부타디엔, 부타디엔, 이소프렌, 네오프렌 등의 합성 고무, 천연 고무, EVA, 신축성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등을 들 수 있다. 탄성부재의 형태로서는 단면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다각형상 등의 실형상(실고무 등) 혹은 끈형상(평고무 등)인 것, 또는 멀티 필라멘트 타입의 실형상인 것 등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양태의 제조방법은 기저귀(1)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이다.
본 실시양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층 시트의 원단인 폭이 넓은 띠형상 시트(122)와, 내층 시트의 원단인 폭이 넓은 띠형상 시트(123)를, 양자 사이에 탄성부재(24)를 신장 상태로 개재시킨 상태로 포갠다. 양쪽 띠형상 시트(122, 123)를 포개기 전에는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 도공기로, 띠형상 시트(122) 및/또는 띠형상 시트(123)에, 단부 고정부(27) 및 흡수성 본체 측고정부(28) 형성용 접착제를 간헐적으로 도공해 두고, 닙 롤(nip roller)(90)에 의한 가압에 의해, 탄성부재(24)가, 양쪽 고정부(27, 28)에 있어서 띠형상 시트(122, 123) 사이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포갠 양쪽 띠형상 시트(122, 123)를, 둘레면에 접합부(26) 형성용 볼록부 및 탄성부재(24) 절단용 볼록부가 형성된 가압 롤(91)과, 가압 롤(91)과 대향 배치된 앤빌 롤(92) 사이에 도입해서 부분적으로 가압 및 가열함으로써, 상술한 다수의 접합부(26)를 형성하는 동시에, 흡수성 본체(3)가 배치되는 부위의 탄성부재(24)를 절단한다.
다음으로 탄성부재(24)가 개재된 상태로 적층된 양쪽 띠형상 시트(122, 123)를 분할 수단(93)에 의해 2개의 띠형상 시트(102A, 102B)로 분할한다. 분할에 의해 생긴 2개의 띠형상 시트(102A, 102B)는 배측 외장체 연속체(102A) 및 등측 외장체 연속체(102B)로서 이용된다. 배측 외장체 연속체(102A)는 대략, 복수개분의 기저귀(1)의 배측 외장체(2A)가 연속된 구성을 가지며, 등측 외장체 연속체(102B)는 대략, 복수개분의 기저귀(1)의 등측 외장체(2B)가 연속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분할 수단으로서는, 시트를 연속적으로 절단할 수 있는 각종 공지의 절단장치를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시트의 진행방향의 상류측에 커터 날을 구비한 것이나, 둘레면 또는 둘레가장자리부에 환형상의 날을 가지는 원통 또는 원반형상의 커터, 레이저 커터, 고압 수류 커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분할 수단에 의해 분할하는 방법은 가압 롤(91) 등의 축길이 방향의 치수를 짧게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배측 외장체 연속체(102A)와 등측 외장체 연속체(102B)를, 양자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연속 반송하면서, 배측 외장체 연속체(102A)와 등측 외장체 연속체(102B)에 흡수성 본체(3)를 걸치도록 고정한다. 흡수성 본체(3)의 고정을 위해, 흡수성 본체(3)의 이면 시트측의 면 및/또는 양쪽 연속체(102A, 102B)의 대향면에 접착제를 도공해 둔다. 또한 본 실시양태에서는 배측 외장체 연속체(102A)와 등측 외장체 연속체(102B) 각각의 진행방향을 따르는 한쪽 측부(102A', 102B')를, 흡수성 본체(3)의 양 단부를 덮도록 접고, 접은 부분을 상기 양 단부에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해서 얻어진 기저귀 연속체(101)를 반으로 접고, 이어서 사이드 실부(4, 4)를 히트 실, 초음파 실, 고주파 실, 접착제 등, 또는 이 수단들을 조합해서 형성한다. 사이드 실부(4, 4)의 형성에는 한쌍의 실 롤을 구비한 실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기저귀 연속체(101)를 반으로 접는 것은 배측 외장체 연속체(102A)의 측부(102A') 접기 및 등측 외장체 연속체(102B)의 측부(102B') 접기에 의해 생긴 가장자리부(101')끼리 포개지도록 실시한다.
그리고 사이드 실부(4, 4) 형성 후에, 기저귀 연속체(101)를 공지의 절단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낱개의 기저귀(1) 치수로 절단한다. 이로 인해, 상술한 구성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가 얻어진다. 사이드 실부(4, 4)는 배측 외장체 연속체(102A) 및 등측 외장체 연속체(102B) 각각의 전체 폭에 걸치지 않도록 형성하고, 기저귀(1)의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에 상술한 연장부분(21a, 21b)이 형성되도록 한다.
본 실시양태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종래의 이른바 래터널 피드 방식(lateral feed system)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해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측 외장체 연속체(102A) 및 등측 외장체 연속체(102B)상에 배치하는 흡수성 본체(3)는 흡수성 본체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구성의 흡수성 본체 연속체(103)를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한 후, 이것을 기저귀 1개분의 치수로 절단해서 얻을 수 있다. 또한 얻어진 흡수성 본체(3)는 각각 90도 회전한 뒤에, 배측 외장체 연속체(102A) 및 등측 외장체 연속체(102B)상에 간헐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형태의 기저귀(1)는 이와 같이 외장체 형성용 띠형상 시트(122, 123)로, 레그 개구부 형성용 트리밍을 제거하지 않고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트리밍의 제거나 재이용에 필요한 공정이 불필요해, 효율적이고도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트리밍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환경에도 유리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및 제3실시형태(제1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및 제3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와의 상이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같은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제1실시형태와 동일하며, 제1실시형태에 관한 설명을 적절히 적용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실시형태의 기저귀의 각 구성요소 등에 부여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제2 및 제3실시형태의 대응하는 구성요소 등에 부여하였다.
제2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 각각에 있어서의, 웨이스트 신축부(G1), 몸통둘레 신축부(G2) 및 연장부분 신축부(G3)가 각각, 기저귀 외면을 이루는 외층 시트(22)와 그 내측에 배치된 내층 시트(23)가 전역에 있어서 접착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탄성부재(24)는 각 신축부의 전역에 있어서 양쪽 시트(22, 23)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탄성부재(24)는 기저귀 제조시에 신장 상태로 시트(22, 23) 사이에 고정된 것이다.
제2실시형태의 기저귀에서도 웨이스트 신축부(G1), 몸통둘레 신축부(G2) 및 연장부분 신축부(G3) 각각에, 탄성부재(24)의 수축에 의해 불규칙한 요철이 형성되지만, 제1실시형태와 같은 중공 구조는 형성되지 않는다.
제2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도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가, 사이드 실부(4)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연장부분(21a, 21b)을 가지고 있으며, 배측 외장체(2A)의 연장부분(21a)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3)와 겹쳐 있지 않은 부분이 기저귀 가로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제1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발휘된다.
제2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상술한 기저귀(1)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외층 시트의 원단인 폭이 넓은 띠형상 시트(122)와 내층 시트의 원단인 폭이 넓은 띠형상 시트(123)를 적층하기 전에, 흡수성 본체(3)를 포개는 부분 이외의 전역에 접착되도록, 띠형상 시트(122) 및/또는 띠형상 시트(123)에 접착제를 도공하는 동시에, 가압 롤(91)로서, 탄성부재(24) 절단용 볼록부만 형성된 것을 이용해서, 흡수성 본체(3)를 포개는 부분의 탄성부재를 절단하는 것 이외에는, 상술한 기저귀(1)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해서 제조할 수 있다.
제3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 각각이, 서로 교차하지 않고 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한 다수의 탄성 필라멘트가, 실질적으로 비신장 상태로, 그들의 전체 길이에 걸쳐, 신장 가능한 부직포에 접합되어 있는 신축 시트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신축 시트로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8-179128호에 기재된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신축 시트는 탄성 필라멘트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2장의 부직포 사이에 끼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 필라멘트는 실형상의 합성 고무실이나 천연 고무, 혹은 건식 방사(용융 방사)나 습식 방사에 의해 얻어진 것일 수 있다. 탄성 필라멘트는 이것을 일단 옮겨 감거나, 비축하거나 하지 않고 직접 용융 방사에 의해 얻어진 것이 부직포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 시트로서, 탄성 필라멘트가 장섬유상 또는 단섬유상으로서 랜덤하게 배향되어 있는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3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신축 시트는 제1 부직포 및 제2 부직포의 합계 2장의 부직포와, 양 부직포 사이에 끼인 다수의 탄성 필라멘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 등이 바람직하다. 제1 부직포와 제2 부직포는 동종이어도 되고, 혹은 이종이어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동종의 부직포란, 부직포의 제조 프로세스, 부직포의 구성 섬유의 종류, 구성 섬유의 섬유직경이나 길이, 부직포의 두께나 평량 등이 모두 같은 부직포들을 의미한다. 이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 경우에는 이종의 부직포이다. 각 부직포는 모두 신장 가능한 것이다. 신장 가능이란, (가)부직포의 구성 섬유 자체가 신장하는 경우와, (나)구성 섬유 자체는 신장하지 않더라도, 교점에서 결합해 있던 섬유끼리 떨어지거나, 섬유들의 결합 등에 의해 복수개의 섬유로 형성된 입체 구조가 구조적으로 변화되거나, 구성 섬유가 찢어지거나, 섬유의 처짐이 잡아당겨지거나 해서, 부직포 전체적으로 신장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각 부직포는 탄성 필라멘트와 접합되기 전의 원단의 상태에서 이미 신장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탄성 필라멘트와 접합되기 전의 원단의 상태에서는 신장 가능하지 않았지만, 탄성 필라멘트와 접합된 후에 신장 가능하도록 가공이 실시되어 신장 가능하게 된 것이어도 된다. 부직포를 신장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열처리, 롤 사이 연신, 톱니 홈이나 기어에 의한 물림 연신, 텐터(tenter)에 의한 인장 연신 등을 들 수 있다. 탄성 필라멘트를 부직포에 융착시킬 때의 상기 부직포의 반송성이 양호해지는 점에서, 부직포는 그 원단 상태에서는 신장 가능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3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도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가, 사이드 실부(4)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연장부분(21a, 21b)을 가지고 있으며, 배측 외장체(2A)의 연장부분(21a)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3)와 겹치지 않는 부분이 기저귀 가로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제1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발휘된다.
제3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술한 구성의 배측 외장체 연속체(102A) 및 등측 외장체 연속체(102B)를, 흡수성 본체(3)의 배치 고정부에 공급하는 대신에,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8-179128호 등에 기재된 신축 시트로 이루어지는 2개의 띠형상 시트를, 동 배치 고정부에 공급함으로써 얻어진다. 신축 시트는 탄성 필라멘트의 배향방향을 진행방향과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제6실시형태(제1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제6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와의 상이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같은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제1실시형태와 동일하며, 제1실시형태에 관한 설명을 적절히 적용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실시형태의 기저귀의 각 구성요소 등에 부여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제4~제6실시형태의 대응하는 구성요소 등에 부여하였다.
제4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배측 외장체의 연장부분(21a)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 외장체(2A)를 구성하는 2장의 시트(22, 23) 사이가, 단부 고정부(27), 흡수성 본체 측고정부(28) 및 산점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접합부(26)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연장부분 신축부(G3)에 있어서, 각 탄성부재(24)는 단부 고정부(27) 및 흡수성 본체 측고정부(28)에 있어서 양쪽 시트(22, 23)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단부 고정부(27)와 흡수성 본체 측고정부(28) 사이에서는 어느 시트(22, 23)에도 고정되어 있지 않다.
또한 배측 외장체의 연장부분(21a)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 측고정부(28)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전체가 흡수성 본체(3)와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고, 연장부분 신축부(G3)에 신장 상태로 배치된 탄성부재(24)가, 흡수성 본체(3)의 측부와 겹치는 부분에서도 배측 외장체(2A)를 구성하는 시트(22, 23)를 수축시킨다.
또한 각 탄성부재(24)는 접합부(26)에서 분단되는 일 없이, 그 길이방향의 넓은 범위가 일체적으로 신축 가능하다. 또한 각 탄성부재(24)는 접합부(26)에서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기저귀(1)의 세로방향(X방향)으로 인접하는 접합부(26, 26) 사이에서 기저귀 세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기저귀(1) 장착 후의 배뇨 후에, 오줌 흡수에 의해 중량이 늘어난 흡수성 본체가 아래로 쳐졌을 경우에, 탄성부재(24)가 다소 비스듬히 경사진 상태가 되어 허리방향으로 끌어올리는 힘을 발휘할 수 있다. 탄성부재(24)가, 기저귀 세로방향으로 이웃하는 접합부(26, 26)들 사이에서 기저귀 세로방향으로 이동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기저귀 세로방향으로 이웃하는 접합부들 사이의 간격은, 그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24)의 기저귀 세로방향의 폭(탄성부재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에는 탄성부재의 직경과 같음)의 2~100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5~50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흡수성 본체(3)에 있어서의, 배측 외장체의 연장부분(21a)과 겹치는 부분은, 흡수성 본체(3)의 폭방향 중앙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우의 흡수성 본체 측고정부(28) 사이에, 접착제 등에 의해 배측 외장체(2A)에 접합 고정되어 중앙 고정영역(3M)을 가지는 한편, 상기 중앙 고정영역(3M)의 양 측가장자리에서 외측은 배측 외장체(2A)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상기 배측 외장체(2A)로부터 이간 가능한 측부 비고정영역(3S, 3S)으로 되어 있다. 한편, 흡수성 본체(3)의 길이방향의 단부(3a) 부근에서는 흡수성 본체(3)는 그 폭 전체가 배측 외장체(2A)와 접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흡수성 본체(3)의 길이방향의 단부(3a)가 고정되는 부근의 내층 시트(23)에는, 흡수성 본체(3)의 폭보다 넓은 영역(E8)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그리고 흡수성 본체(3) 배치 후에, 웨이스트 개구부의 개구둘레 가장자리단을 이루는 끝가장자리부(2d)에 있어서, 외층 시트(22) 및 내층 시트(23)가 접힌 연장 접힘부(22a, 23a)에 의해 흡수성 본체(3)의 길이방향의 단부(3a)가 피복 및 접합된다. 도 6 중 E8 및 M8은 흡수성 본체(3)가 배측 외장체(2A)에 접합되어 있는 범위를 나타낸다.
연장부분 신축부(G3)가, 흡수성 본체(3)의 양 측부, 특히 상기 측부 비고정영역(3S)과 겹치는 부분에서도 수축하기 때문에, 외장체(2A)의 아래쪽이 흡수성 본체(3)의 폭방향 중앙측(흡수성 코어측)으로 보다 끌어당겨져 기저귀의 외관이 한층 양호해진다.
제4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배측 외장체(2A)와 등측 외장체(2B)에서 흡수성 본체(3)의 접합 양태가 다르며, 배측 외장체의 연장부분(21a)과 흡수성 본체(3)의 접합폭이, 등측 외장체의 연장부분(21b)과 상기 흡수체 본체의 접합폭보다 작게 되어 있다. 또한 배측 외장체의 연장부분(21a)과 흡수성 본체(3)와의 접합 면적은, 등측 외장체의 연장부분(21b)과 상기 흡수체 본체의 접합 면적보다 작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성 본체(3)는 배측 외장체(2A)의 연장부분(21a)에 대하여,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방향 중앙의 폭(W8)으로 나타내는 부분이 고정되어 있는 한편, 등측 외장체(2B)의 연장부분(21b)에 대해서는 상기 흡수성 본체(3)의 폭방향의 보다 넓은 부분, 예를 들면 흡수성 본체(3)의 길이방향의 측가장자리의 위치와 거의 같은 위치에 마련한 한쌍의 흡수성 본체 측고정부(도 3 참조)(28, 28) 사이의 영역 전역, 혹은 흡수성 본체(3)의 전체 폭이, 등측 외장체(2B)의 연장부분에 접합되어 있다. 한편 흡수성 본체(3)의 길이방향의 단부(3a) 부근에서는 배측과 마찬가지로 흡수성 본체(3)는 그 폭 전체가 등측 외장체와 접합되어 있다.
제4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배측 외장체의 연장부분(21a)과 흡수성 본체(3)의 접합폭이, 등측 외장체의 상기 연장부분(21b)과 상기 흡수체 본체(3)의 접합폭에 비해 작기 때문에, 제1실시형태의 기저귀와 동일한 효과가 발휘되고, 또한 등측 외장체의 연장부분(21b)에 대해서는 연장부분(21b)의 젖혀짐이나 둔부의 피복성 저하를 방지하면서, 배측 외장체의 연장부분(21a)에 대해서는 기저귀 가로방향(Y방향)으로 어느 정도 크게 수축시켜서, 다리둘레를 따른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어 피트성이 향상되고, 또한 신체와의 틈이 감소됨으로써 누설에 대한 불안감을 주지 않는다는 효과가 발휘된다.
제5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3)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흡수성 물품) 세로방향을 따르는 가장자리부에 탄성부재(136)가 배치되어 있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 외장체 및 등측 외장체의 연장부분(21a, 21b)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36)가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본체의 가장자리부와 배측 외장체(2A) 및/또는 등측 외장체(2B)가 접합되어 있지 않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5실시형태의 흡수성 본체(3)는 그 길이방향의 양 측부에, 흡수체(133)의 길이방향의 양 측가장자리 각각에서 외측에 위치하며, 가랑이부(C)에 측부 개더(134c, 134c)를 형성하는 측부 시트부(134, 134)를 가지고 있다.
측부 시트부(134)는 흡수성 본체(3)의 전체 길이에 걸쳐 존재하며,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 저항성 내지 발수성의 시트재(135) 및 상기 시트재(135)에 신장 상태로 고정된 탄성부재(136, 136)를 구비하고 있다. 탄성부재(136)는 흡수성 본체(3)의 측가장자리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측부 시트부(134)의 측단가장자리(134a) 근방에, 상기 측단가장자리(134a)를 따라 복수개(도시예는 2개) 배치되어 있다. 탄성부재(136)는 가랑이부(C) 및 배측 외장체(2A), 등측 외장체(2B)의 연장부분(21a, 21b)에 신장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며, 가랑이부(C) 및 상기 연장부분(21a, 21b)에 측부 개더(134c)를 형성하고 있다. 측부 개더(134c)는 측부 시트부(134)에 배치된 탄성부재(136)가 수축함으로써, 측부 시트부(134)를 구성하는 시트재(135)가 주름지거나 물결형상의 단면형상으로 변형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측부 개더(134c)는 기저귀의 자연 상태 및/또는 착용 상태에서 형성되면 된다. 측부 시트부(134)는 흡수성 본체(3)의 길이방향의 단부(3a, 3b) 부근에서는,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 각각에서의 사이드 실부(4, 4) 사이에 위치하는 배측 외장체 본체 및 등측 외장체 본체에는, 기저귀 폭방향의 외측으로 쓰러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한편, 배측 외장체 및 등측 외장체의 연장부분(21a, 21b)과 겹치는 부분에 형성된 측부 개더(134c)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분(21a, 21b)에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도 8의 8은 접착제이다.
제5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탄성부재(136)가 배치된 흡수성 본체(3)의 측가장자리부가, 배측 외장체 및 등측 외장체의 연장부분(21a, 21b)에 고정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제1실시형태의 기저귀와 동일한 효과가 발휘되며, 더욱 피트성이 향상되어 흘러내림 방지 효과가 한층 향상된다. 측부 개더(134c)는 기저귀(1) 착용시에 착용자의 다리둘레에 피트된다.
한편 제5실시형태의 흡수성 본체(3)는 그 길이방향의 양 측부에, 흡수성 본체(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쌍의 입체 개더 형성부(138)를 가지고 있다. 입체 개더 형성부(138)는 시트재(135)와, 상기 시트재(135)에 고정된 입체 개더 형성용 탄성부재(139)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입체 개더 형성부(138)는 적어도 가랑이부(C)에 입체 개더(138c)를 형성한다. 입체 개더(138c)는 기저귀(1)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해 기립하여, 흡수성 본체(3)에서 폭방향 외측으로 액이 유출되는 것을 저지한다. 입체 개더 형성부(138)는 사이드 실부(4, 4) 사이에 위치하는 배측 외장체 본체 및 등측 외장체 본체에는, 기저귀 폭방향의 안쪽으로 쓰러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선상 접합부(130)는 직사각형상의 흡수체(133)의 양 측가장자리부 각각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또한 흡수체(133) 및 흡수성 본체(3)의 X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선상 접합부(130)는 연속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점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선상 접합부(130)를 형성할 때의 접합방법으로는 히트 실, 초음파 실, 고주파 실, 접착제의 각종 공지의 접합방법이 이용된다. 제5실시형태에서의 흡수체(133)는 펄프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섬유 집합체 또는 이것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보유시켜서 이루어지는 흡수성 코어(33a) 및 상기 흡수성 코어(33a)를 피복하는 코어 랩 시트(33b, 33c)로 이루어지고, 흡수성 코어(33a) 및 코어 랩 시트(33b, 33c)의 형성 재료로서는 각각, 이러한 종류의 흡수성 물품에 종래 이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촉감 향상 등의 관점에서, 가랑이부(C)에서의 이면 시트(32)의 비피부 접촉면측에 외장 부직포를 포개서 마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제5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의 흡수성 본체의 구성 및 상기 흡수성 본체의 배측 외장체 및 등측 외장체에 대한 접착 양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적용할 수도 있으며, 그 경우에도 동일한 작용 효과가 발휘된다. 한쌍의 측부 시트부(134) 각각에 배치하는 탄성부재(136)는 2개 대신, 1개 또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측부 개더를 형성하는 탄성부재(136)는 흡수체(133)의 측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연장시킨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 제1발명의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제1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배측 외장체(2A)의 연장부분(21a) 및 등측 외장체(2B)의 연장부분(21b) 중 어느 한쪽만이, 흡수성 본체(3)의 양 측가장자리(3c, 3c) 각각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흡수성 물품의 가로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기저귀(1)의 제조방법에서는 외층 시트의 원단인 폭이 넓은 띠형상 시트(122)와, 내층 시트의 원단인 폭이 넓은 띠형상 시트(123)를 포갠 후 분할 수단(93)으로 분할하여, 배측 외장체 연속체(102A) 및 등측 외장체 연속체(102B)를 얻었지만, 그 대신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 외장체(2A)용 외층 시트(122A) 및 내층 시트(123A)와, 등측 외장체(2B)용 외층 시트(122B) 및 내층 시트(123B)를 따로따로 합류부에 공급하여, 배측 외장체 연속체(102A) 및 등측 외장체 연속체(102B)를 얻어도 된다. 그 경우의 외층 시트(122A) 및 외층 시트(122B)는 별도의 롤에서 풀려나온 것이어도 되고, 도시하지 않은 상류측에서 폭이 넓은 시트를 슬릿해서 얻은 것이어도 된다. 내층 시트(123A)와 내층 시트(123B)도 별도의 롤에서 풀려나온 것이어도 되고, 도시하지 않은 상류측에서 폭이 넓은 시트를 슬릿해서 얻은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제3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이용한 신축 시트를, 외층 시트 및/또는 내층 시트 중 어느 하나로서 이용하여, 외층 시트 및 내층 시트의 적층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를 가지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배측 외장체 연속체(102A) 및/또는 등측 외장체 연속체(102B)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행방향을 따르는 한쪽 측부(102A', 102B')가 접힌 것이어도 되고, 그러한 접기 공정을 거치지 않고 절단하여 배측 외장체(2A) 또는 등측 외장체(2B)가 되는 것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제1 및 제2발명의 한 실시형태)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A)(이하, 기저귀(1A)라고도 함)에 대하여 도 10~도 1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6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A)는 도 11에 나타내는 기본 구성을 가지며, 상기 기본 구성은 제1실시형태의 기저귀(1)와 같다. 단, 제2발명의 배측 외장체 및 등측 외장체는 흡수성 물품 세로방향의 길이가 가로방향에 있어서 균일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6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A)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와의 상이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같은 점에 대해서는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제1실시형태와 동일하며, 제1실시형태에 관한 설명을 적절히 적용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실시형태의 기저귀의 각 구성요소 등에 부여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제6실시형태의 대응하는 구성요소 등에 부여하였다.
제6실시형태의 기저귀(1A)도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 외장체(2A)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 외장체(2B)와,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에 걸치도록 고정된 흡수성 본체(3)를 구비하고, 배측 외장체(2A)와 등측 외장체(2B)의 양 측가장자리부(2a, 2b)에, 배측 외장체(2A)와 등측 외장체(2B)를 접합해서 형성된 사이드 실부(4)를 가지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가 각각, 사이드 실부(4)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분(21a, 21b)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저귀(흡수성 물품)(1A)의 세로방향은 배측부(A)에서 가랑이부(C)를 지나 등측부(B)에 걸친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도 11 중 X방향)이고, 기저귀(흡수성 물품)(1A)의 가로방향은 그 세로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11 중 Y방향)이다.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는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A)에서와 같이, 2장의 시트 사이에 신장 상태로 배치한 탄성부재(24)의 수축에 의해 탄성 신축성을 발현하는 것에 대해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24)를 신장시킨 상태로, 한쌍의 측가장자리부(2a, 2a)끼리, 및 한쌍의 측가장자리부(2b, 2b)끼리, 각각 서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는 탄성부재(24)를 신장시킨 상태로 가로로 긴 직사각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한쌍의 측가장자리부(2a, 2a)끼리 및 한쌍의 측가장자리부(2b, 2b)끼리는 각각 서로 평행한 대신에 비평행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배측 외장체(2A) 또는 등측 외장체(2B)의 끝가장자리부(2d)에서 끝가장자리부(2c)를 향해, 한쌍의 측가장자리부 사이의 거리가 확대되거나, 감소되거나, 일단 확대된 후에 감소되거나, 일단 감소된 후에 확대되거나 해도 된다.
기저귀(1A)에서의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는 모두,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의 외면을 이루는 외층 시트(22)와, 외층 시트(22)의 내면측에 배치된 내층 시트(23)와, 양쪽 시트(22, 23)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실형상의 탄성부재(24)를 구비하고 있고, 각각 웨이스트 신축부(G1), 몸통둘레 신축부(G2), 연장부분 신축부(G3, G4)를 가지고 있다.
웨이스트 신축부(G1)는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 각각에 있어서, 기저귀(1A)의 세로방향(X방향)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3)의 길이방향의 단부(3a, 3b)에서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몸통둘레 신축부(G2)는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 각각에 있어서, 기저귀(1A)의 세로방향(X방향)에 있어서의, 웨이스트 신축부(G1)와 연장부분(21a, 21b)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분 신축부(G3)는 배측 외장체(2A)의 상기 연장부분(21a)에 형성되어 있고, 연장부분 신축부(G4)는 등측 외장체(2B)의 상기 연장부분(21b)에 형성되어 있다. 이하, 배측 외장체(2A)에 형성된 연장부분 신축부(G3)를 배측 연장부분 신축부(G3)라고 하고, 등측 외장체(2B)에 형성된 연장부분 신축부(G4)를 등측 연장부분 신축부(G4)라고 한다.
몸통둘레 신축부(G2) 및 등측 연장부분 신축부(G4)는 도 12 또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3)와 겹치는 부분, 특히 흡수성 본체(3)의 폭방향 중앙부와 겹치는 부분에서 신축성을 발현하지 않도록, 기저귀(1A) 좌우로 분할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웨이스트 신축부(G1) 및 배측 연장부분 신축부(G3)는 도 12 또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 외장체(2A) 또는 등측 외장체(2B)에 있어서의, 후술하는 단부 고정부(27, 27) 사이의 전역에 걸쳐서 신축성을 발현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기저귀(1A)의 폭방향(Y방향)의 거의 전역에 걸쳐서 신축성을 발현한다.
웨이스트 신축부(G1), 몸통둘레 신축부(G2) 및 등측 연장부분 신축부(G4)에서는 외층 시트(22)와 내층 시트(23) 사이가, 산점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접합부(26)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든 신축부(G1, G2 및 G4)에 있어서, 기저귀(1A)의 가로방향(Y방향)으로 접합부(26)가 간헐적으로 직렬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접합부열이, 기저귀(1A)의 세로방향(X방향)으로 복수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접합부열들에 있어서의 각 접합부의 Y방향의 위치도 모든 접합부열에서 일치하고 있다. 또한 기저귀(1A)의 세로방향(X방향)으로 접합부(26)가 직렬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세로 접합부열도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로 접합부열은 기저귀(1A)의 가로방향(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모든 신축부(G1, G2 및 G4)에 있어서, 복수개의 탄성부재(24)가 각각, 세로방향으로 인접하는 접합부(26) 사이를 지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탄성부재(24)는 후술하는 단부 고정부(27) 또는 흡수성 본체 측고정부(28)에 있어서 시트(22, 23)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그 이외의 부위에서는 어느 시트(22, 23)에도 고정되어 있지 않다.
배측 외장체(2A)의 웨이스트 신축부(G1)는, 배측 외장체(2A)의 양 측가장자리부(2a, 2a)에, 외층 시트(22)와 내층 시트(23) 사이가 접착제를 통해 접합된 한쌍의 단부 고정부(27)를 가지고 있다(도 12 참조). 웨이스트 신축부(G1)에 배치된 탄성부재(24)는 한쌍의 단부 고정부(27) 각각에 있어서 시트(22, 23)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단부 고정부(27) 사이에서는 어느 시트(22, 23)에도 고정되어 있지 않다. 등측 외장체(2B)의 웨이스트 신축부(G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도 13 참조).
배측 외장체(2A)의 몸통둘레 신축부(G2)는 모두, 배측 외장체(2A)의 한쪽 측가장자리부에, 외층 시트(22)와 내층 시트(23) 사이가 접착제를 통해 접합된 단부 고정부(27)를 가지고 있고, 또한 흡수성 본체(3)의 측가장자리(3c) 위치 근방에, 외층 시트(22)와 내층 시트(23) 사이가 접착제를 통해 접합된 흡수성 본체 측고정부(28)를 가지고 있다(도 12 참조). 몸통둘레 신축부(G2)에 배치된 탄성부재(24)는 단부 고정부(27)와 흡수성 본체 측고정부(28)의 각각에 있어서 시트(22, 23)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단부 고정부(27)와 흡수성 본체 측고정부(28) 사이에서는 어느 시트(22, 23)에도 고정되어 있지 않다. 등측 외장체(2B)의 몸통둘레 신축부(G2), 및 등측 연장부분 신축부(G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도 13 참조).
제6실시형태의 기저귀(1A)에 있어서의 배측 연장부분 신축부(G3)는, 배측 외장체(2A)의 양 측가장자리부 각각에, 외층 시트(22)와 내층 시트(23) 사이가 접착제를 통해 접합된 단부 고정부(27, 27)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배측 연장부분 신축부(G3)에는 복수개의 탄성부재(24)가, 각 단부 고정부(27, 27)에서는 시트(22, 23) 사이에 고정되고, 그들 양 단부 고정부(27, 27) 사이에서는 어느 시트(22, 23)에도 고정되지 않는 양태로 배치되어 있다. 배측 연장부분 신축부(G3)에, 단부 고정부(27)에 위치하는 단부 또는 그 근방만 시트(22, 23) 사이에 고정된 양태로 배치되는 탄성부재(24)의 개수는 1~30개, 특히 5~15개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배측 연장부분 신축부(G3)는 흡수성 본체(3)와 겹치는 중앙부분(G31)과, 흡수성 본체(3)의 양 측가장자리(3c, 3c) 각각의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 부분(G32, G32)을 가진다. 도 12 및 도 13에는 배측 외장체(2A) 또는 등측 외장체(2B)를 기저귀 폭방향(Y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배측 연장부분 신축부(G3)의 상기 중앙부분(G31)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 폭방향(Y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개의 선상 접합부(129)가 형성되어 있다. 선상 접합부(129)는 시트(22, 23) 사이를 히트 실, 초음파 실, 고주파 실, 접착제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의 임의의 접합 수단으로 접합해서 형성한 것이며, 시트(22, 23)를 열융착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에는 선상 접합부(129)가 기저귀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6개 형성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선상 접합부(129)의 개수는 1개여도 복수개여도 된다. 1개만 마련하는 양태로서는, 예를 들면 부호 129a로 나타내는 가장 가랑이부(C)측의 1개의 선상 접합부(129)만 형성하는 양태를 들 수 있다. 선상 접합부(129)는 1~3개의 탄성부재(24)마다 1개 마련해도 되고, 1개의 탄성부재(24)마다 1개 마련해도 된다. 도시된 예에서의 선상 접합부(129)는 기저귀 세로방향으로, 탄성부재(24)와 선상 접합부(129)가 번갈아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각 탄성부재(24)를 사이에 끼고 그 위아래에 2개의 선상 접합부(129)가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탄성부재(24)는 선상 접합부(129)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인접하는 선상 접합부(129) 사이에 탄성부재(24)를 배치하는 경우에도, 인접하는 선상 접합부(129) 사이의 간격이 탄성부재(24)의 폭이나 굵기와의 관계상 지나치게 좁으면, 상기 탄성부재(24)가 시트(22, 23) 사이에 실질적으로 고정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탄성부재(24)와 시트(22, 23) 사이에 Y방향의 어긋남이 생길 수 있는 간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배측 연장부분 신축부(G3)의 상기 측부 부분(G32)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스트 신축부(G1)나 몸통둘레 신축부(G2)와 동일한 양태로 다수의 접합부(26)가 산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측 연장부분 신축부(G)의 측부 부분(G32)에도, 다수의 접합부(26)가, 기저귀(1A)의 가로방향(Y방향)으로 접합부(26)가 간헐적으로 직렬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접합부열이, 기저귀(1A)의 세로방향(X방향)으로 복수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저귀 세로방향으로 인접하는 접합부열 사이에 탄성부재(2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배측 연장부분 신축부(G3)의 측부 부분(G32)에는, 기저귀(1A)의 세로방향(X방향)으로 접합부(26)가 직렬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세로 접합부열도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로 접합부열은 기저귀(1A)의 가로방향(Y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열 형성되어 있다.
웨이스트 신축부(G1), 몸통둘레 신축부(G2), 등측 연장부분 신축부(G4), 및 배측 연장부분 신축부(G3)의 측부 부분(G32, G32) 각각에서는, 탄성부재(24)가 수축함으로써, 인접하는 세로 접합부열 사이의 시트(22 및 23)가 외측으로 부풀듯이 변형되어, 인접하는 세로 접합부열 사이에 시트(22) 또는 시트(23)로 이루어지는 주름(29)이 생기는 동시에, 양쪽 시트(22, 23) 사이에는 주름(29)과 주름(29)으로 주위를 둘러싸인 중공부(30)가 형성된다(도 14 참조).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A)에서는,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에 상술한 연장부분(21a, 21b)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저귀(1A)를 착용했을 때에,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의 연장부분(21a, 21b)에 존재하는 측가장자리부(2a, 2b)가,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부방향과 등측부방향으로 갈라져서 역Y자 형상으로 벌어진다.
게다가, 배측 외장체(2A)의 배측 연장부분 신축부(G3)에는 탄성부재(24), 특히 복수개의 탄성부재(24)가, 단부 고정부(27, 27) 사이의 전역에 걸쳐서 시트(22, 23) 사이에 고정되지 않는 양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 본체(3)의 양 측가장자리부 각각의 외측에만 탄성부재를 배치한 경우나, 탄성부재(24)를, 흡수성 본체 측고정부(28)로 시트(22, 23) 사이에 고정한 상태로 배치한 경우와는 달리, 탄성부재(24)가 그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수축함으로써 얻어지는 수축량(탄성부재가 짧아지는 길이)을, 선상 접합부(129)의 단부에서 외측, 특히 흡수성 본체(3)의 양 측가장자리부 각각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효과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배측 외장체(2A)의 연장부분(21a)에 있어서의, 선상 접합부(129)의 단부에서 기저귀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 특히 흡수성 본체(3)의 양 측가장자리부 각각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기저귀 폭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수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측부(A)측에서 보았을 때에, 훈도시와 같은 외관을 보이지 않는 데다가, 연장부분(21a)이 젖혀지거나 팔랑거리지 않고, 볼품도 좋고 또한 누설에 대한 불안감도 주기 어렵다.
또한 예를 들면 신장 응력이 작은 탄성부재에 의해서도 연장부분(21a)을 효과적으로 수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신장 응력이 작은 탄성부재를 이용해서 흡수성 본체(3)나 흡수성 코어(33)의 폭방향의 수축을 억제하면서, 연장부분(21a)을 효율적으로 수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A)에서는 배측 연장부분 신축부(G3)의 중앙부분(G31)에 선상 접합부(129)를 가지고 있어, 탄성부재(24)의 수축에 따라 생기는 외층 시트(22)의 들뜸(내층 시트(23)측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불룩해지는 것)을 선상 접합부(129)에 의해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들뜸에 의한 외관 악화, 외층 시트(22)의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본체(3)의 외장체측의 면에 캐릭터나 모양 등이 표시되어 있을 경우에, 그들이 들뜸으로 인해 외부에서 보기 힘들어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외층 시트(22)의 들뜸 방지, 외층 시트(22)의 찢어짐 방지 등의 관점에서, 선상 접합부(129)의 길이는 적어도 1개의 길이, 바람직하게는 복수개 각각의 길이가 1mm 이상, 특히 1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상 접합부(129)는 적어도 1개의 길이, 바람직하게는 그 복수개 각각의 길이가, 흡수성 본체(3)의 폭(기저귀 폭방향의 길이)을 100%로 했을 때에 150~5%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10%의 길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선상 접합부(129)의 폭(기저귀 세로방향의 치수)은 0.5~10mm, 특히 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선상 접합부(129)는 연속 선상이지만, 그 대신에 점선형상이어도 된다. 점선형상의 선상 접합부의 기저귀 폭방향의 길이는 선상 접합부 중에 있어서의 서로 인접하는 소(小)접합부간의 비접합부 부분도 포함시킨 길이(기저귀 폭방향에서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거리)로 한다.
한편 기저귀(1A)에 있어서의 배측 연장부분 신축부(G3)의 중앙부분(G31)은 내층 시트(23)측의 거의 전역이 접착제로 흡수성 본체(3)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연장부분(21a)의 중앙부분(G31)에 있어서, 내층 시트(23)와 외층 시트(22)는 선상 접합부(129) 이외에서는 접합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A)에서는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의 연장부분(21a, 21b)에 연장부분 신축부(G3, G4)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분(21a, 21b)에 기저귀 가로방향의 신축성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연장부분(21a, 21b)의 가장자리부가 다리부(7b)의 상부에 유연하게 닿아, 기저귀(1A)가 아래쪽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연장부분 신축부(G3, G4)의 신축 응력이 착용시에 신체를 조이는 웨이스트 신축부(G1)나 몸통둘레 신축부(G2)의 신축 응력을 더욱 강화하도록 기능하여 신체에 대한 피트성이 높아진다.
그 때문에, 기저귀(1A)에 의하면, 웨이스트 개구부(5)나 레그 개구부(6)의 조임력을 과도하게 높이거나 하지 않고 뛰어난 흘러내림 방지성이 얻어진다. 또한 등측 외장체(2B)의 연장부분(21b)에 의해 둔부도 적당히 가릴 수 있어, 둔부가 튀어나오는 데 따른 외관 악화를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기저귀(1A)에서는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에 연장부분(21a, 21b)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실부(4)가 비교적 똑바른 상태를 유지하기 쉽기 때문에, 배측부(A)와 등측부(B)에 밸런스 좋고 균등한 조임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기저귀(1A)에서는 배측 외장체(2A)의 연장부분(21a)뿐만 아니라 등측 외장체(2B)의 연장부분(21b)에도 상술한 구성의 연장부분 신축부(G4, G4)가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흘러내림 방지성이 한층 향상되어 있다.
또한 배측 연장부분 신축부(G3)와 연장부분 신축부(G4, G4)의 구성이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신장 응력이 같은 탄성부재를 동일한 신장률로 배치하였다고 해도, 배측 외장체(2A)의 연장부분(21a)과 등측 외장체(2B)의 연장부분(21b)에서의, 흡수성 본체(3)의 측가장자리 외측의 수축 정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선상 접합부(129)의 형성 및 단부 고정부(27, 27) 이외에서 고정되어 있지 않은 탄성부재(24)의 영향으로 인해, 배측 외장체(2A)의 연장부분(21a)의 신축성이 등측 외장체(2B)의 연장부분(21b)에 비해 크다.
연장부분(21a, 21b) 각각의 기저귀 가로방향의 신축성 정도는 전개 신장 상태의 기저귀(1A)에 있어서의, 연장부분(21a, 21b) 각각의, 흡수성 본체(3)의 측가장자리부(3c)에서 기저귀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100%로 했을 때, 수축 상태에서의 동 길이가 90~15%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20%가 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0~25%가 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술한 효과의 1 또는 2 이상이 한층 확실하게 발휘되도록 하는 관점에서,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는 각각 상기 연장부분(21a, 21b)의 연장길이(L5, L6)가 상기 사이드 실부(4)의 길이(L4)의 5~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25~7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같은 관점에서, 배측 외장체(2A)의 연장부분(21a)의 연장길이(L5)는 배측 외장체(2A)의 길이(La)의 5~60%, 특히 20~40%인 것이 바람직하고, 등측 외장체(2B)의 연장부분(21b)의 연장길이(L6)는 등측 외장체(2B)의 길이(Lb)의 5~60%, 특히 20~4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장부분(21a, 21b)의 바람직한 연장길이(L5, L6)나 그 이유, 흡수성 본체의 구성 등은 제1실시형태와 같다.
다음으로 제6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A)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 1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 제1실시형태의 기저귀의 제조방법과 같다.
본 실시양태의 제조방법에서도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층 시트의 원단인 폭이 넓은 띠형상 시트(122)와, 내층 시트의 원단인 폭이 넓은 띠형상 시트(123)를, 양자 사이에 탄성부재(24)를 신장 상태로 개재시킨 상태로 포갠다. 양쪽 띠형상 시트(122, 123)를 포개기 전에는,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 도공기로 띠형상 시트(122) 및/또는 띠형상 시트(123)에, 단부 고정부(27) 및 흡수성 본체 측고정부(28) 형성용 접착제를 간헐적으로 도공해 두고, 닙 롤(90)에 의한 가압에 의해 탄성부재(24)가 양쪽 고정부(27, 28)에 있어서 띠형상 시트(122, 123) 사이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포갠 양쪽 띠형상 시트(122, 123)를, 둘레면에 접합부(26) 형성용 볼록부, 선상 접합부(129) 형성용 볼록부 및 탄성부재(24) 절단용 볼록부가 형성된 가압 롤(91)과, 가압 롤(91)과 대향 배치된 앤빌 롤(92) 사이에 도입해서 부분적으로 가압 및 가열함으로써, 상술한 다수의 접합부(26) 및 선상 접합부(129)를 형성하는 동시에, 흡수성 본체(3)가 배치되는 부위의 탄성부재(24)를 절단한다. 한편 접합부(26)의 형성과, 선상 접합부(129)의 형성과, 탄성부재(24)의 절단은 각각 다른 가압 롤을 이용해서 실시할 수도 있고, 또한 접합부(26)의 형성과 탄성부재(24)의 절단을 동일한 가압 롤로 실시하는 한편, 선상 접합부(129)의 형성을 그것과는 다른 가압 롤로 실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탄성부재(24)가 개재된 상태로 적층된 양쪽 띠형상 시트(122, 123)를 분할 수단(93)에 의해 2개의 띠형상 시트(102A, 102B)로 분할한다.
이후의 조작은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 제1실시형태의 기저귀의 제조방법과 같다.
또한 제6실시형태의 기저귀(1A)도 이와 같이, 외장체 형성용 띠형상 시트(122, 123)로, 레그 개구부 형성용 트리밍을 제거하지 않고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트리밍의 제거나 재이용에 필요한 공정이 불필요해, 효율적이고도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트리밍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환경에도 유리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7 및 제8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7 및 제8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서는 제6실시형태와의 상이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같은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제1 및/또는 제6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및/또는 제6실시형태의 기저귀의 각 구성요소 등에 부여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제7 및 제8실시형태의 대응하는 구성요소 등에 부여하였다.
제7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B)에서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 연장부분 신축부(G3)의 중앙부분(G31)에 복수개의 선상 접합부(129)가 형성되어 있지만, 그 선상 접합부(129)의 길이가, 웨이스트 개구부(5)측에서 가랑이부(C)측을 향해 점차 짧아져 있다.
이 경우, 연장부분(21a)의 수축된 부분이 선상 접합부(129)의 단부 위치까지 이동하지만, 그 수축된 부분이 기저귀 폭방향 내측으로 들어가는 정도가, 웨이스트 개구부(5)측에서 가랑이부(C)측을 향해 커지기 때문에, 연장부분(21a)의 측가장자리부가, 웨이스트 개구부(5)측에서 가랑이부(C)측을 향해 기저귀 폭방향 내측으로 크게 들어가게 된다.
그 때문에, 배측부(A)측의 다리둘레의 외관을 하이 레그(high-cut leg)와 같은 외관으로 할 수 있다.
제8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제6실시형태의 기저귀(1A)에 있어서의 배측 연장부분 신축부(G3)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신축부를, 배측 외장체(2A)의 연장부분(21a) 및 등측 외장체(2B)의 연장부분(21b)의 쌍방에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제6~제8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그 실시형태들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배측 연장부분 신축부(G3)의 측부 부분(G32)에 있어서의 접합부(26)는 평면으로 봤을 때 지그재그 형상의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웨이스트 신축부(G1)나 몸통둘레 신축부(G2) 등은 전면적으로 접착된 2장의 시트 사이에 탄성부재가 고정되어 있는 것 등이어도 된다.
또한 등측 외장체(2B)의 연장부분은 제6실시형태의 기저귀(1A)와는 다른 구성에 의해, 기저귀 가로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기저귀 가로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진다는 것은, 가로방향(Y방향)으로만 신축성을 가지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로방향(Y방향) 및 세로방향(X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평면 내의 전체 방향으로 신축하는 것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9실시형태(제3발명의 한 실시형태)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D)(이하, 기저귀(1D)라고도 함)에 대하여 도 17~도 2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9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D)는 도 18에 나타내는 기본 구성을 가지며, 상기 기본 구성은 제1실시형태의 기저귀(1)와 같다. 단, 제3발명에서의 배측 외장체 및/또는 등측 외장체는 연장부분을 가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흡수성 물품 세로방향의 길이가 가로방향에 있어서 균일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9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D)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와의 상이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같은 점에 대해서는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제1실시형태와 동일하며, 제1실시형태에 관한 설명을 적절히 적용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실시형태의 기저귀의 각 구성요소 등에 부여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제9실시형태의 대응하는 구성요소 등에 부여하였다.
제9실시형태의 기저귀(1D)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 외장체(2A)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 외장체(2B)와,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에 걸쳐서 고정된 흡수성 본체(3)를 구비하고,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 외장체(2A)와 등측 외장체(2B)가 환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이다.
기저귀(1D)는 배측 외장체(2A)와 등측 외장체(2B)의 양 측가장자리부(2a, 2b)에, 배측 외장체(2A)와 등측 외장체(2B)를 접합해서 형성된 사이드 실부(4)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 외장체(2A)는 흡수성 물품 세로방향의 길이(La)가, 사이드 실부(4)의 동 방향의 길이(L4)보다 길고, 상기 사이드 실부(4)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배측 연장부(21a)를 가지고 있다. 또한 등측 외장체(2B)는 흡수성 물품 세로방향의 길이(Lb)가, 사이드 실부(4)의 길이(L4)보다 길고, 상기 사이드 실부(4)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등측 연장부(21b)를 가지고 있다.
또한 기저귀(1D)의 세로방향은 배측부(A)에서 가랑이부(C)를 지나 등측부(B)에 걸친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도 18 중 X방향)이고, 기저귀(흡수성 물품)(1D)의 가로방향은 그 세로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18 중 Y방향)이다.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24)를 신장시킨 상태로, 한쌍의 측가장자리부(2a, 2a)끼리, 및 한쌍의 측가장자리부(2b, 2b)끼리, 각각 서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는 탄성부재(24)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가로로 긴 직사각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한쌍의 측가장자리부(2b, 2b)끼리는 각각 서로 평행한 대신에 비평행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배측 외장체(2A) 또는 등측 외장체(2B)의 끝가장자리부(2d)에서 끝가장자리부(2c)를 향해, 한쌍의 측가장자리부 사이의 거리가 확대되거나, 감소되거나, 일단 확대된 후에 감소되거나, 일단 감소된 후에 확대되거나 해도 된다.
사이드 실부(4)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 외장체(2A)의 길이(La) 및 등측 외장체(2B)의 길이(Lb)의 어느 것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고,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에는 각각, 사이드 실부(4)에서 아래쪽(착용시에 있어서의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배측 연장부(21a) 및 등측 연장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1D)에 있어서의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는 모두,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의 외면을 이루는 외층 시트(22)와, 외층 시트(22)의 내면측에 배치된 내층 시트(23)와, 양쪽 시트(22, 23) 사이에, 기저귀 가로방향(Y방향)을 따라 신장 상태로 배치된 복수개의 실형상의 탄성부재(24)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 웨이스트 띠형상 신축영역(G10),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 및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을 가지고 있다.
웨이스트 띠형상 신축영역(G10)은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 각각에 있어서, 기저귀(1D)의 세로방향(X방향)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3)의 길이방향의 단부(3a, 3b)의 위치에서 외측(웨이스트 개구부의 개구단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 및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은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 각각에 있어서, 기저귀(1D)의 세로방향(X방향)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3)의 길이방향의 단부(3a, 3b)의 위치에서 가랑이부(C)측으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은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에서 가랑이부(C)측으로 위치하고 있다.
웨이스트 띠형상 신축영역(G10),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 및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은 모두 탄성부재(24)의 존재로 인해 기저귀(1D)의 가로방향(Y방향)으로 신축한다.
배측 외장체(2A)는 기저귀(1D)의 세로방향(X방향)을 따르는 양 측가장자리부(2a, 2a)에, 외층 시트(22)와 내층 시트(23) 사이가 접착제를 통해 접합된 한쌍의 단부 고정부(27)를 가지고 있다(도 19 참조). 또한 등측 외장체(2B)도 마찬가지로, 기저귀(1D)의 세로방향(X방향)을 따르는 양 측가장자리부(2b, 2b)에, 외층 시트(22)와 내층 시트(23) 사이가 접착제를 통해 접합된 한쌍의 단부 고정부(27)를 가지고 있다(도 20 참조).
또한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는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상기 단부 고정부(27, 27) 사이에, 외층 시트(22)와 내층 시트(23) 사이가 접착제를 통해 접합된 한쌍의 제1 본체 측고정부(28, 28) 및 한쌍의 제2 본체 측고정부(229, 229)를 가지고 있다. 한쌍의 제1 본체 측고정부(28, 28)는 주로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에 대응해서 마련되어 있고, 한쌍의 제2 본체 측고정부(229, 229)는 주로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에 대응해서 마련되어 있다. 제1 및 제2 본체 측고정부(28, 229)는 각각 기저귀(1D)의 폭방향에 있어서, 단부 고정부(27)에 비해서 흡수성 본체(3)측(Y방향 중앙부측)에 형성되어 있다.
배측 및 등측 외장체(2A, 2B)의 웨이스트 띠형상 신축영역(G10)은 모두 도 19 또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 외장체(2A) 또는 등측 외장체(2B)에 있어서의, 단부 고정부(27, 27) 사이의 전역에 걸쳐서 신축성을 발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웨이스트 띠형상 신축영역(G10)은 한쌍의 단부 고정부(27, 27) 사이에 걸쳐서 연속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24)를 가지고 있다. 웨이스트 띠형상 신축영역(G10)은 단부 고정부(27, 27) 사이에 걸쳐서 연속되는 탄성부재(24)와 함께, 한쌍의 제1 본체 측고정부(28, 28) 사이의 영역에서 절단되어 좌우로 분단된 탄성부재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배측 및 등측 외장체(2A, 2B)의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은 모두 도 19 또는 도 20의 좌우 각각에서의, 단부 고정부(27)와 제1 본체 측고정부(28) 사이가, 기저귀(1D)의 가로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부(G122, G122)로 되어 있다. 한편, 제1 본체 측고정부(28, 28) 사이는 탄성부재(24)의 절단에 의해 형성된 비신축부(G121)로 되어 있다.
배측 및 등측 외장체(2A, 2B)의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은 마찬가지로, 도 19 또는 도 20의 좌우 각각에서의, 단부 고정부(27)와 제2 본체 측고정부(229) 사이가, 기저귀(1D)의 가로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부(G132, G132)로 되어 있다. 한편, 제2 본체 측고정부(229, 229) 사이는 탄성부재(24)의 절단에 의해 형성된 비신축부(G131)로 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스트 띠형상 신축영역(G10),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 중의 신축부(G122, G122) 및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 중의 신축부(G132, G132)에서는 외층 시트(22)와 내층 시트(23) 사이가, 산점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접합부(26)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웨이스트 띠형상 신축영역(G10), 상기 신축부(G122, G122) 및 상기 신축부(G132, G132) 모두에 있어서, 기저귀(1D)의 가로방향(Y방향)으로 접합부(26)가 직렬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가로 접합부열이, 기저귀(1D)의 세로방향(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가로 접합부열들에 있어서의 각 접합부의 Y방향의 위치도 모든 접합부열에 있어서 일치하고 있다. 또한 기저귀(1D)의 세로방향(X방향)에 접합부(26)가 직렬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세로 접합부열도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로 접합부열은 기저귀(1D)의 가로방향(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웨이스트 띠형상 신축영역(G10), 상기 신축부(G122, G122) 및 상기 신축부(G132, G132) 모두에 있어서, 복수개의 탄성부재(24)가 각각, 기저귀(1D)의 세로방향(X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접합부(26) 사이를 지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웨이스트 띠형상 신축영역(G10), 상기 신축부(G122, G122) 및 상기 신축부(G132, G132)에 배치된 탄성부재(24)는 단부 고정부(27) 및 제1 및 제2 본체 측고정부(28, 229)에 있어서 시트(22, 23)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그 이외의 부위에서는 어느 시트(22, 23)에도 고정되어 있지 않다.
기저귀(1D)에 있어서의 웨이스트 띠형상 신축영역(G10), 상기 신축부(G122, G122) 및 상기 신축부(G132, G132) 각각에 있어서는, 탄성부재(24)가 수축함으로써, 인접하는 세로 접합부열 사이의 시트(22 및 23)가 외측으로 부풀듯이 변형되어, 인접하는 세로 접합부열 사이에 시트(22) 또는 시트(23)로 이루어지는 주름(29)이 생기는 동시에, 양쪽 시트(22, 23) 사이에는 주름(29)과 주름(29)으로 주위를 둘러싸인 중공부(30)가 형성된다(도 21 참조).
상기 신축부(G122, G122) 또는 상기 신축부(G132, G132)에 배치된 탄성부재(24)는 제1 또는 제2 본체 측고정부(28, 229)의 위치를 넘어, 비신축부(G121, G131) 안으로까지 들어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부재(24)가 신장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제1 또는 제2 본체 측고정부(28, 229)도 상기 신축부(G122, G122) 또는 상기 신축부(G132, G132)의 일부이다.
한편, 비신축부(G121, G131) 내에 들어가 있는 탄성부재는 제1 본체 측고정부(28, 28) 사이, 또는 제2 본체 측고정부(229, 229) 사이에서 적어도 1군데,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소에서 절단되어 있어, 비신축부(G121, G131)에 신축성을 부여하지 않고 있다. 비신축부(G121, G131)에 있어서의 탄성부재는 시트(22) 및/또는 시트(23)에, 신장 상태가 해제된 상태로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복수 개소에서 절단되어 생긴 절단편이, 시트(22 또는 23)에 약하게 접착된 상태로 수축되어 있어도 된다.
비신축부(G121, G131)에 있어서의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는 기저귀(1D)의 세로방향(X방향) 및 폭방향(Y방향)으로 분산된 다수의 개소에서 가압 및/또는 가열되어 절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성된 기저귀(1D)(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는 이와 같이 해서 탄성부재를 절단한 절단점(도시하지 않음)이 시트(22 및/또는 23)에 생긴, 구성 섬유끼리의 융착부, 압밀화부(壓密化部) 또는 미소한 끊김 등으로 남아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9실시형태의 기저귀(1D)에서는 배측 및 등측 외장체(2A, 2B)에 있어서의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은 모두 한쌍의 사이드 실부(4, 4) 사이에 위치하는 배측 외장체 본체(20a) 및 등측 외장체 본체(20b)에 형성되어 있고, 배측 및 등측 외장체(2A, 2B)에 있어서의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은 모두 사이드 실부(4, 4)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배측 연장부(21a) 및 등측 연장부(21b)에 형성되어 있다.
제9실시형태의 기저귀(1D)에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 외장체(2A)에서의,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의 비신축부(G121)와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의 비신축부(G131)에서, 기저귀(흡수성 물품) 가로방향(Y방향)의 길이(L1a, L2a)가 다르다. 또한 등측 외장체(2B)에서의,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의 비신축부(G121)와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의 비신축부(G131)에서, 기저귀(흡수성 물품) 가로방향(Y방향)의 길이(L1b, L2b)가 다르다.
제9실시형태의 기저귀(1D)에서와 같이, 배측 외장체(2A)에서 상기 길이(L1a)와 상기 길이(L2a)를 다르게 하거나, 및/또는 등측 외장체(2B)에서 상기 길이(L1b)와 상기 길이(L2b)를 다르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 및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 각각의 수축 정도나 수축 정도의 밸런스를 적절히 변화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착용자의 체중, 연령(유아 또는 성인 등), 성별 또는 그에 따른 체형 차이 등에 따라, 가랑이부 근방에 최적의 피트성이 얻어지도록,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 및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 각각의 수축 정도나,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과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의 수축 정도의 밸런스를 조정하거나, 가랑이부 근방에서의 기저귀의 외관을 최적으로 하기 위해,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 및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 각각의 수축 정도나,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과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의 수축 정도의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과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에 배치하는 탄성부재의 종류나 굵기 등을 다르게 해도 되지만, 종류나 굵기 등이 같은 탄성부재를 동일한 신장률로 시트(22, 23) 사이에 도입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착용자의 체중, 연령(유아 또는 성인 등), 성별 또는 그에 따른 체형 차이 등에 알맞은 설계로 할 수 있다.
제9실시형태의 기저귀(1D)에서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측 외장체(2B)에 있어서의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이 등측 연장부(21b)에 형성되어 있고, 그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의 비신축부(G131)의 기저귀 가로방향의 길이(L2b)가,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의 비신축부(G121)의 기저귀 가로방향의 길이(L1b)보다 길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에서는 Y방향으로 수축했을 때에 몸에 피트되어 기저귀(1D)의 삐뚤어짐을 억제하면서, 제2 띠형상영역(G30)에서는 등측 연장부(21b)가 Y방향으로 크게 수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등측 연장부(21b)의 젖혀짐을 방지하면서 뛰어난 둔부의 피복성을 얻을 수 있다.
제9실시형태의 기저귀(1D)에서 상기 길이(L2b)는 상기 길이(L1b)의 105~ 200%, 특히 110~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기 길이(L1b)가 흡수성 본체(3)의 폭과 거의 같은 한편, 상기 길이(L2b)가 흡수성 본체(3)의 폭보다 길게 되어 있다. 상기 길이(L2b)가 흡수성 본체(3)의 폭보다 길면, 흡수체가 Y방향으로 줄어드는 것을 더욱 억제하여 둔부측 가랑이부의 피복성을 얻을 수 있어, 취침시의 오줌 누설 방지 등이 양호해진다.
게다가 제9실시형태의 기저귀(1D)에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 외장체(2A)에 있어서의,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이 배측 연장부(21a)에 형성되어 있고, 그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의 비신축부(G131)의 기저귀 가로방향의 길이(L2a)가,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의 비신축부(G121)의 기저귀 가로방향의 길이(L1a)보다 짧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등측 연장부(21b)에 대해서는 연장부(21b)의 젖혀짐이나 둔부의 피복성 저하를 방지하면서, 배측 연장부(21a)에 대해서는 기저귀 가로방향(Y방향)으로 어느 정도 크게 수축시켜서, 배측 연장부(21a)를 도 17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다리둘레를 따른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어, 피트성이 향상되고 또한 신체와의 틈이 감소됨으로써 누설에 대한 불안감을 주지 않는다.
제9실시형태의 기저귀(1D)에서 상기 길이(L2a)는 상기 길이(L1a)의 5~95%, 특히 50~9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기 길이(L1a)가 흡수성 본체(3)의 폭과 거의 같다.
또한 기저귀(1D)에서는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에 상술한 배측 및 등측 연장부(21a, 21b)를 가지며, 배측 및 등측 연장부(21a, 21b)에 상술한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저귀(1D)를 착용했을 때에,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의 배측 및 등측 연장부(21a, 21b)에 존재하는 측가장자리부(2a, 2b)가,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부 방향과 등측부 방향으로 갈라져서 다리둘레를 따르도록 벌어지기 때문에 입기 쉬운 동시에, 다리둘레를 따른 하향 오목형상의 가장자리부가 형성되어 외관이나 피트감도 뛰어나다.
한편 본 발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배측 및/또는 등측 연장부(21a, 21b)를 가지지 않는 한편, 기저귀(1D)와 마찬가지로, 배측 및/또는 등측 외장체 본체(20a, 20b)에 제1 및 제2 띠형상 신축영역(G20, G30)을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그 경우에, 등측 외장체(2B)에서의 상기 길이(L2b)를 상기 길이(L1b)보다 길게 하거나, 또한 그것에 부가해서, 배측 외장체(2A)에서의 상기 길이(L2a)를 상기 길이(L1a)보다 짧게 하는 것에 따른 이점으로는, 체형에 추종됨으로써 피트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기저귀 장착시에 착용하기가 쉬워지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길이(L2a)는 상기 길이(L2b)보다 짧은 것이, 흡수성 본체(3)가 보다 가랑이부에 피트되어 흡수 성능이 향상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기저귀(1D)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3)는, 길이방향의 일단측(배측 외장체(2A)와 겹쳐 있는 부분)이, 배측 외장체(2A)의 Y방향의 중앙부 부근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되고, 길이방향의 타단측(등측 외장체(2B)와 겹쳐 있는 부분)이, 등측 외장체(2B)의 Y방향의 중앙부 부근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측 외장체(2A)의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과 흡수성 본체(3) 사이는, 제1 본체 측고정부(28, 28) 사이의 폭과 거의 동일 폭으로 도공된 접착제로 접합되어 있고, 배측 외장체(2A)의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과 흡수성 본체(3) 사이는, 제2 본체 측고정부(229, 229) 사이의 폭과 거의 동일 폭으로 도공된 접착제로 접합되어 있다.
등측 외장체(2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등측 외장체(2B)의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과 흡수성 본체(3) 사이는, 제1 본체 측고정부(28, 28) 사이의 폭과 거의 동일 폭으로 도공된 접착제로 접합되어 있고, 등측 외장체(2B)의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과 흡수성 본체(3) 사이는, 제2 본체 측고정부(229, 229) 사이의 폭과 거의 동일 폭으로 도공된 접착제로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배측 외장체(2A)에 있어서, 제1 및 제2 띠형상 신축영역(G20, G30)은 기저귀 가로방향(Y방향)에서의 비신축부(G121, G131)의 길이(L1a, L2a)의 대소관계와, 제1 또는 제2 띠형상 신축영역(G20, G30)과 흡수성 본체(3)의 접합부의, 기저귀 가로방향(Y방향)의 길이의 대소관계가 일치하고 있다.
또한 등측 외장체(2B)에 있어서, 제1 및 제2 띠형상 신축영역(G20, G30)은 기저귀 가로방향(Y방향)에서의 비신축부(G121, G131)의 길이(L1b, L2b)의 대소관계와, 제1 또는 제2 띠형상 신축영역(G20, G30)과 흡수성 본체(3)의 접합부의, 기저귀 가로방향(Y방향)의 길이의 대소관계가 일치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대소관계의 일치는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의 비신축부(G121)의 상기 길이(L1a(L1b))가,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의 비신축부(G131)의 상기 길이(L2a(또는 L2b))보다 길 경우에는,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과 흡수성 본체(3)의 접합부의 기저귀 가로방향(Y방향)의 길이가,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과 흡수성 본체(3)의 접합부의 기저귀 가로방향(Y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의 비신축부(G121)의 상기 길이(L1a(L1b))가,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의 비신축부(G131)의 상기 길이(L2a(또는 L2b))보다 짧을 경우에는,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과 흡수성 본체(3)의 접합부의 기저귀 가로방향(Y방향)의 길이가,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과 흡수성 본체(3)의 접합부의 기저귀 가로방향(Y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말한다.
기저귀(1D)에서는 이러한 양태로 흡수성 본체(3)와, 배측 외장체(2A) 및/또는 등측 외장체(2B) 사이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 및/또는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의 신축부(G122, G132)의 신축성이, 흡수성 본체(3)와 겹치는 부분에서도 저해되기 어려우므로, 상술한 것과 같은 각종 효과가 한층 확실하게 얻어진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제10~제12실시형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기저귀(1D)에서의 외층 시트(22) 및 내층 시트(23)는 웨이스트 개구부의 개구둘레단을 이루는 끝가장자리부(2d)에 있어서 내층 시트(23)측으로 접힌 연장 접힘부(22a, 23a)를 가지고 있으며, 연장 접힘부(22a, 23a)는 사이드 실부(4)에 있어서, 외층 시트(22) 및 내층 시트(23)가 접혀 있지 않은 부분과 접합되어 있는 동시에, 흡수성 본체(3)의 길이방향과 겹치는 부분이, 접착제에 의해 상기 흡수성 본체(3)의 표면 시트측의 면에 접합되어 있다.
도 22~도 24는 본 발명(제3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0~12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서는 제9실시형태와의 상이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같은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제9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도 22 및 도 24에는 제9실시형태의 기저귀의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22에 나타내는 제10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등측 외장체(2B)에 대해서는 제9실시형태의 기저귀(1D)와 마찬가지로,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의 비신축부(G131)의 기저귀 가로방향의 길이(L2b)가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의 비신축부(G121)의 기저귀 가로방향의 길이(L1b)보다 길게 되어 있는 한편, 배측 외장체(2A)에 있어서는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의 비신축부(G131)의 기저귀 가로방향의 길이(L2a)가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의 비신축부(G121)의 기저귀 가로방향의 길이(L1a)보다 길게 되어 있다.
제10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등측 연장부(21b)에 대해서는 연장부(21b)의 젖혀짐이나 둔부의 피복성 저하를 방지하고, 배측 연장부(21a)에 대해서는 기저귀 가로방향(Y방향)의 수축력이 저감되어 피부에 대한 고무 자국 등의 피부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고, 피트성, 착용의 용이성, 동작의 용이성이 향상된다. 또한 연장부가 크게 퍼져 있기 때문에 사이즈가 큰 사람에게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제10실시형태에서 상기 길이(L2b)는 상기 길이(L1b)의 105~200%, 특히 110~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길이(L2a)는 상기 길이(L1a)의 105~200%, 특히 110~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길이(L2a)는 상기 길이(L2b)보다 짧은 것이, 흡수성 본체(3)가 보다 가랑이부에 피트되어 흡수 성능이 향상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이, 배측 및 등측 연장부(21a, 21b)를 가지지 않고, 제1 및 제2 띠형상 신축영역(G20, G30)이 배측 및/또는 등측 외장체 본체(20a, 20b)에 존재할 경우에, 등측 외장체(2B)에서의 상기 길이(L2b)를 상기 길이(L1b)보다 길게 하는 동시에, 배측 외장체(2A)에서의 상기 길이(L2a)를 상기 길이(L1a)보다 길게 하는 것에 따른 이점으로는, 체형에 추종됨으로써 피트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기저귀 장착시에 착용하기 쉬워지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도 23에 나타내는 제11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등측 외장체(2B)에 대해서는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의 비신축부(G131)의 기저귀 가로방향의 길이(L2b)가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의 비신축부(G121)의 기저귀 가로방향의 길이(L1b)보다 짧게 되어 있는 한편, 배측 외장체(2A)에 대해서는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의 비신축부(G131)의 기저귀 가로방향의 길이(L2a)가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의 비신축부(G121)의 기저귀 가로방향의 길이(L1a)보다 길게 되어 있다.
제11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예를 들면 엉덩이 폭이 좁고, 넓적다리가 굵은 체형이라도 등측 연장부(21b)에 대해서는 연장부(21b)의 젖혀짐이나 둔부의 피복성 저하를 방지하고, 배측 연장부(21a)에 대해서는 기저귀 가로방향(Y방향)의 수축력이 저감되어, 피부에 대한 고무 자국 등의 피부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피트성, 착용의 용이성이 향상된다. 또한 배측의 연장부가 크게 퍼져 있기 때문에 움직이기 쉽다.
제11실시형태에서 상기 길이(L2b)는 상기 길이(L1b)의 5~95%, 특히 50~90%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길이(L2a)는 상기 길이(L1a)의 105~200%, 특히 110~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이 배측 및 등측 연장부(21a, 21b)를 가지지 않고, 제1 및 제2 띠형상 신축영역(G20, G30)이 배측 및/또는 등측 외장체 본체(20a, 20b)에 존재할 경우에, 등측 외장체(2B)에서의 상기 길이(L2b)를 상기 길이(L1b)보다 짧게 하는 동시에, 배측 외장체(2A)에서의 상기 길이(L2a)를 상기 길이(L1a)보다 길게 하는 것에 따른 이점으로는, 체형에 추종됨으로써 피트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기저귀 장착시에 착용하기 쉬워지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도 24에 나타내는 제12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등측 외장체(2B)에 대해서는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의 비신축부(G131)의 기저귀 가로방향의 길이(L2b)가,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의 비신축부(G121)의 기저귀 가로방향의 길이(L1b)보다 짧게 되어 있고, 배측 외장체(2A)에 대해서도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의 비신축부(G131)의 기저귀 가로방향의 길이(L2a)가,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의 비신축부(G121)의 기저귀 가로방향의 길이(L1a)보다 짧게 되어 있다.
제12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예를 들면 마른 체형이더라도 등측 연장부(21b)에 대해서는 연장부(21b)의 젖혀짐이나 둔부의 피복성 저하를 방지하고, 배측 연장부(21a)에 대해서는 기저귀 가로방향(Y방향)으로 어느 정도 크게 수축시켜서, 배측 연장부(21a)를 도 17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다리둘레를 따른 형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피트성이 향상되고, 또한 가랑이 아래의 틈이 감소됨으로써 누설에 대한 불안감을 주지 않는다.
제12실시형태에서 상기 길이(L2b)는 상기 길이(L1b)의 5~95%, 특히 50~90%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길이(L2a)는 상기 길이(L1a)의 5~95%, 특히 50~9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이 배측 및 등측 연장부(21a, 21b)를 가지지 않고, 제1 및 제2 띠형상 신축영역(G2, G3)이 배측 및/또는 등측 외장체 본체(20a, 20b)에 존재할 경우에, 등측 외장체(2B)에서의 상기 길이(L2b)를 상기 길이(L1b)보다 짧게 하고, 또한 배측 외장체(2A)에서의 상기 길이(L2a)를 상기 길이(L1a)보다 짧게 하는 것에 따른 이점으로는, 피트성이 향상되고 기저귀 삐뚤어짐 방지, 마른 체형에 맞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효과의 1 또는 2 이상이 보다 확실하게 발휘되도록 하는 관점 등에서,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의 기저귀 세로방향의 길이(L1')(도 19 참조)는 기저귀 세로방향(X방향)에 있어서의 배측 외장체(2A)의 길이(La) 또는 등측 외장체(2B)의 길이(Lb)(도 18 참조)의 5~95%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의 기저귀 세로방향의 길이(L2')(도 19 참조)는 상기 길이(La 또는 Lb)의 5~9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측 외장체(2A) 및/또는 등측 외장체(2B)에 배측 및/또는 등측 연장부(21a, 21b)를 마련할 경우, 배측 또는 등측 연장부(21a, 21b)의 연장길이(L5, L6)는 상기 사이드 실부(4)의 길이(L4)의 5~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25~7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같은 관점에서, 배측 연장부(21a)의 연장길이(L5)는 배측 외장체(2A)의 길이(La)의 5~60%, 특히 20~40%인 것이 바람직하고, 등측 외장체(2B)의 연장부(21b)의 연장길이(L6)는 등측 외장체(2B)의 길이(Lb)의 5~60%, 특히 20~4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장부(21a, 21b)(연장부분(21a, 21b))의 바람직한 연장길이(L5, L6)나 그 이유, 흡수성 본체의 구성 등은 제1실시형태와 같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대하여 도 2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양태의 제조방법에서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층 시트의 원단인 폭이 넓은 띠형상 시트(122)와, 내층 시트의 원단인 폭이 넓은 띠형상 시트(123)를, 양자 사이에 탄성부재(24)를 신장 상태로 개재시킨 상태로 포갠다. 양쪽 띠형상 시트(122, 123)를 포개기 전에는,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 도공기로 띠형상 시트(122) 및/또는 띠형상 시트(123)에, 단부 고정부(27) 그리고 제1 및 제2 본체 측고정부(28, 229) 형성용 접착제를 간헐적으로 도공해 두고, 닙 롤(90)에 의한 가압에 의해, 탄성부재(24)가 각 고정부(27, 28, 229)에 있어서 띠형상 시트(122, 123) 사이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포갠 양쪽 띠형상 시트(122, 123)를, 둘레면에 접합부(26) 형성용 볼록부가 형성된 가압 롤(91)과, 가압 롤(91)과 대향 배치된 앤빌 롤(92) 사이에 도입해서 부분적으로 가압 및 가열함으로써 상술한 다수의 접합부(26)를 형성한다. 또한 탄성부재(24)를 사이에 낀 상태의 양쪽 띠형상 시트(122, 123)를, 둘레면에 탄성부재(24) 절단용 볼록부가 형성된 볼록 롤(193)과, 볼록 롤(193)과 대향 배치된 앤빌 롤(92) 사이에 도입하여 부분적으로 가압 및/또는 가열함으로써, 배측 및 등측 외장체(2A, 2B)의 제1 및 제2 띠형상 신축영역(G10, G20)의 비신축부(G121, G131)에 대응하는 부위에서 탄성부재(24)를 절단한다.
이 탄성부재(24)의 절단 공정에서 이용하는 볼록 롤(193)은 배측 외장체(2A)의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의 비신축부(G121)를 형성하는 부분과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의 비신축부(G131)를 형성하는 부분에서, 롤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탄성부재(24) 절단용 상기 볼록부의 분포길이가 다르다. 또한 등측 외장체(2B)의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의 비신축부(G121)를 형성하는 부분과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의 비신축부(G131)를 형성하는 부분에서, 롤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탄성부재(24) 절단용 상기 볼록부의 분포길이(롤의 둘레방향을 따라 측정)가 다르다. 한편 접합부(26)의 형성과 탄성부재(24)의 절단은 같은 롤을 이용해서 실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탄성부재(24)가 개재된 상태로 적층된 양쪽 띠형상 시트(122, 123)를 분할 수단(93)에 의해 2개의 띠형상 시트(102A, 102B)로 분할한다. 이 분할시에는 양쪽 띠형상 시트(122, 123)를, 배측 외장체의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이 되는 부분과 등측 외장체의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이 되는 부분이 분할되도록 한다.
분할에 의해 생긴 2개의 띠형상 시트(102A, 102B)는 배측 외장체 연속체(102A) 및 등측 외장체 연속체(102B)로서 이용된다. 배측 외장체 연속체(102A)는 대략, 복수개분의 기저귀(1D)의 배측 외장체(2A)가 연속된 구성을 가지며, 등측 외장체 연속체(102B)는 대략, 복수개분의 기저귀(1D)의 등측 외장체(2B)가 연속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양쪽 띠형상 시트(122, 123)의 분할은 접합부(26)를 절단하지 않도록 해도 되지만, 양쪽 띠형상 시트(122, 123)의 진행방향(MD)으로 나열된 복수개의 접합부(26)가 각각, 상기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CD)으로 2분할되도록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접합부(26)의 2분할에 의해 생긴 소접합부가, 배측 및 등측 외장체(2A, 2B)의 가랑이부(C)측의 끝가장자리부(2c)에 나열됨으로써, 상기 끝가장자리부(2c)에 중공부(30)가 안정적으로 개구하게 되고, 중공부(30) 또는 주름(29) 사이의 오목부를 통해 공기의 유통성이 향상되어 짓무름 방지성이나 장착감이 향상된다. 접합부(26)의 2분할은 2등분이어도 되지만 2등분이 아니어도 된다. 또한 접합부(26)의 2분할은 분할에 의해 생긴 소접합부 각각의 CD방향의 길이가 0.5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mm 이상이 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할 수단으로서는, 시트를 연속적으로 절단할 수 있는 각종 공지의 절단장치를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시트의 진행방향의 상류측에 커터 날을 구비한 것이나, 둘레면 또는 둘레가장자리부에 환형상의 날을 가지는 원통 또는 원반형상의 커터, 레이저 커터, 고압 수류 커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분할 수단에 의해 분할하는 방법은 가압하고 나서 분할해서 연속체를 이간시키기 때문에, 분할하기 전에 이용하는 가압 롤(91) 등의 축길이 방향의 치수를 짧게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배측 외장체 연속체(102A)와 등측 외장체 연속체(102B)를, 양자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연속 반송하면서, 배측 외장체 연속체(102A)와 등측 외장체 연속체(102B)에 흡수성 본체(3)를 걸치도록 고정한다. 흡수성 본체(3)의 고정을 위해, 흡수성 본체(3)의 이면 시트측의 면 및/또는 양쪽 연속체(102A, 102B)의 대향면에 접착제를 도공해 둔다. 또한 본 실시양태에서는 배측 외장체 연속체(102A)와 등측 외장체 연속체(102B) 각각의 진행방향을 따르는 한쪽 측부(102A', 102B')를, 흡수성 본체(3)의 양 단부를 덮도록 접고, 접은 부분을 상기 양 단부에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해서 얻어진 기저귀 연속체(101)를 반으로 접고, 이어서 사이드 실부(4, 4)를 히트 실, 초음파 실, 고주파 실, 접착제 등, 또는 이 수단들을 조합해서 형성한다. 사이드 실부(4, 4)의 형성에는 한쌍의 실 롤을 구비한 실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기저귀 연속체(101)를 반으로 접을 때에는 배측 외장체 연속체(102A)의 측부(102A')의 접힘 및 등측 외장체 연속체(102B)의 측부(102B')의 접힘에 의해 생긴 가장자리부(101')끼리 포개지도록 실시한다.
그리고 사이드 실부(4, 4)의 형성 후에, 기저귀 연속체(101)를 공지의 절단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낱개의 기저귀(1D) 치수로 절단한다. 이로 인해, 상술한 구성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D)가 얻어진다. 사이드 실부(4, 4)는 배측 외장체 연속체(102A) 및 등측 외장체 연속체(102B) 각각의 전체 폭에 걸치지 않도록 형성하고, 기저귀(1D)의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에 상술한 배측 및 등측 연장부(21a, 21b)가 형성되도록 한다.
본 실시양태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종래의 이른바 래터널 피드 방식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해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측 외장체 연속체(102A) 및 등측 외장체 연속체(102B)상에 배치하는 흡수성 본체(3)는 흡수성 본체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구성의 흡수성 본체 연속체(103)를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한 후, 이것을 기저귀 1개분의 치수로 절단해서 얻을 수 있다. 또한 얻어진 흡수성 본체(3)는 각각 90도 회전한 뒤에, 배측 외장체 연속체(102A) 및 등측 외장체 연속체(102B)상에 간헐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양태의 방법에 따르면, 이와 같이 해서 배측 및/또는 등측 외장체(2A, 2B)에 있어서의,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의 비신축부(G121)의 길이와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의 비신축부(G131)의 길이가 다른 기저귀를 용이하고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양태의 방법에 따르면, 외장체 형성용 띠형상 시트(122, 123)로, 레그 개구부 형성용 트리밍을 제거하지 않고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트리밍의 제거나 재이용에 필요한 공정이 불필요해, 효율적이고도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트리밍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환경에도 유리하다.
제3발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배측 연장부 또는 등측 연장부를 가지지 않아도 되고, 배측 연장부 및 등측 연장부를 모두 가지지 않아도 된다.
또한 배측 외장체(2A) 또는 등측 외장체(2B)에, 비신축부(G121, G131)의 길이가 서로 다른 제1 및 제2 띠형상 신축영역(G20, G30)을 마련하는 한편, 등측 외장체(2B) 또는 배측 외장체(2A)에는 그러한 비신축부를 가지는 띠형상 신축영역을 마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배측 외장체(2A) 또는 등측 외장체(2B)에, 비신축부(G121, G131)의 길이가 서로 다른 제1 및 제2 띠형상 신축영역(G20, G30)을 마련하는 한편, 등측 외장체(2B) 또는 배측 외장체(2A)에는 기저귀 폭방향의 길이가 같은 비신축부를 가지는 띠형상 신축영역을, 기저귀 세로방향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3)의 길이방향의 단부에서 가랑이부측의 끝가장자리 사이의 전역에 걸쳐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웨이스트 띠형상 신축영역(G10), 제1 띠형상 신축영역(G20) 중의 신축부(G122, G122) 및 제2 띠형상 신축영역(G30) 중의 신축부(G132, G132) 등은 도 21과 같은 접합부(26)는 마련하지 않고, 전면적으로 접착된 외층 시트(22)와 내층 시트(23) 사이에 탄성부재(24)가 고정되어 있는 것 등이어도 된다. 또한 기저귀(1D)와 같이, 접합부(26)로 외층 시트(22)와 내층 시트(23) 사이를 접합할 경우, 접합부(26)는 평면으로 봤을 때 지그재그 형상의 패턴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양태는 제4발명의 한 실시양태이다.
본 실시양태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제1실시형태의 기저귀(1)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이다.
단, 본 실시양태로 제조하는 기저귀(1)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 외장체(2A) 및/또는 등측 외장체(2B)의 하단 부근의 구성이 도 3에 도시한 것과 약간 다르다.
또한 본 실시양태로 제조하는 기저귀(1)에서는 기저귀(1)의 세로방향(X방향)으로 접합부(26)가 간헐적으로 직렬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세로 접합부열이, 기저귀(1)의 가로방향(Y방향)으로 복수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세로 접합부열들에 있어서의 각 접합부의 X방향의 위치도 모든 세로 접합부열에서 일치하고 있다. 또한 기저귀(1)의 세로방향(X방향)으로 접합부(26)가 직렬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세로 접합부열도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세로 접합부열은 기저귀(1)의 가로방향(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양태의 제조방법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장의 띠형상 시트(122, 123)를, 복수개의 탄성부재(24)를 개재시켜 포개는 중합 공정,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갠 2장의 띠형상 시트(122, 123)에, 진행방향(MD)으로 접합부(26)가 직렬 상태로 나열된 3개 이상의 접합부열(L1~L7)이 형성되는 동시에 복수개의 탄성부재(24) 각각의 양측에 접합부열이 위치하도록, 접합부(26)를 형성해서 양쪽 띠형상 시트(122, 123)가 부분적으로 접합된 복합 시트(100)를 얻는 접합 공정,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합 시트(100)를, 하나의 접합부열(L4)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접합부(26c, 26c‥) 각각이 교차방향(CD)으로 2분되도록 분할하여 2개의 세폭 띠형상 시트(102A, 102B)를 얻는 분할 공정,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세폭 띠형상 시트(102A, 102B)를, 양자 사이에 간격을 두고 연속 반송하면서, 2개의 세폭 띠형상 시트(102A, 102B)에 흡수성 본체(3)를 걸치도록 고정해서 흡수성 물품 연속체(101)를 얻는 흡수성 본체 고정 공정, 흡수성 물품 연속체(101)를 반으로 접는 반으로 접기 공정, 및 반으로 접은 흡수성 물품 연속체(101)에 사이드 실부(4, 4)를 형성하고, 상기 흡수성 물품 연속체(101)를 절단해서 낱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를 얻는 절단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양태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 5 및 도 2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양태의 제조방법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층 시트의 원단인 폭이 넓은 띠형상 시트(122)와, 내층 시트의 원단인 폭이 넓은 띠형상 시트(123)를, 양자 사이에 복수개의 탄성부재(24)를 신장 상태로 개재시킨 상태로 포갠다(중합 공정). 양쪽 띠형상 시트(122, 123)를 포개기 전에는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 도공기로, 띠형상 시트(122) 및/또는 띠형상 시트(123)에, 단부 고정부(27) 및 흡수성 본체 측고정부(28) 형성용 접착제를 간헐적으로 도공해 두고, 닙 롤(90)에 의한 가압에 의해, 탄성부재(24)가 양쪽 고정부(27, 28)에 있어서 띠형상 시트(122, 123) 사이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포갠 양쪽 띠형상 시트(122, 123)를, 둘레면에 접합부(26) 형성용 볼록부 및 탄성부재(24) 절단용 볼록부가 형성된 가압 롤(91)과, 가압 롤(91)과 대향 배치된 앤빌 롤(92) 사이에 도입해서 부분적으로 가압 및 가열함으로써, 상술한 다수의 접합부(26)를 형성하는 동시에, 흡수성 본체(3)가 배치되는 부위의 탄성부재(24)를 절단한다.
접합부(26)의 형성에 의해 양쪽 띠형상 시트(122, 123)는 부분적으로 접합된다(접합 공정). 접합부(26)의 형성은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갠 2장의 띠형상 시트(122, 123)에, 진행방향(MD)으로 접합부(24)가 직렬 상태로 나열된 3개 이상의 접합부열이 형성되도록 실시한다. 도 27에는 후에 절단되는 절단선(CL) 부근에 형성된 7개의 접합부열(L1~L7)만 도시하였다. 또한 접합부(26)의 형성은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탄성부재(24) 각각의 양측에 접합부열이 위치하도록 실시한다. 예를 들면 도 2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탄성부재(24a)의 양측에는 접합부열(L3)과 접합부열(L4)을 형성하고, 탄성부재(24b)의 양측에는 접합부열(L4)과 접합부열(L5)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탄성부재(24)가 개재된 상태로 적층된 접합부(26)로 접합된 양쪽 띠형상 시트(122, 123)(복합 시트(100))를 분할 수단(93)에 의해, 2개의 세폭 띠형상 시트(102A, 102B)로 분할한다(분할 공정). 이러한 분할은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의 접합부열(L4)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접합부(26c, 26c‥) 각각이 교차방향(CD)으로 2분되도록 실시한다. 도 27에 나타내는 접합부(26a)와 접합부(26b)는 하나의 접합부(26c)가 2개로 분할되어 생긴 것이다. 접합부(26c)의 2분할은 2등분, 즉 CD방향의 길이가 같은 소접합부(26a), 소접합부(26b)가 형성되는 것이어도 좋지만, 이등분이 아니어도 된다. 접합부(26c)의 2분할은 분할에 의해 생긴 소접합부(26a), 접합부(26b) 각각의 CD방향의 길이가 0.5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mm 이상이 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합부(26c)의 2분할은 분할에 의해 생긴 소접합부(26a), 접합부(26b) 각각의 CD방향의 길이가, 분할 전의 접합부(26c)의 CD방향의 길이의 10~90%,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mm 이상이 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세폭 띠형상 시트의 세폭이란, 분할 전의 복합 시트(100)의 폭에 비해 가늘다는 의미이다.
2분할되는 접합부(26c)는 CD방향의 길이가, 분할되지 않는 다른 접합부와 동일해도 되고 짧아도 되지만, 분할되지 않는 다른 접합부보다 긴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면 분할되지 않는 다른 접합부의 길이의 1.5~10배 정도, 특히 2~5배 정도의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할에 의해 생긴 2개의 세폭 띠형상 시트(102A, 102B)는 배측 외장체 연속체(102A) 및 등측 외장체 연속체(102B)로 이용된다. 배측 외장체 연속체(102A)는 대략, 복수개분의 기저귀(1)의 배측 외장체(2A)가 연속된 구성을 가지며, 등측 외장체 연속체(102B)는 대략, 복수개분의 기저귀(1)의 등측 외장체(2B)가 연속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분할 수단(93)으로는 시트를 연속적으로 절단할 수 있는 각종 공지의 절단장치를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시트의 진행방향의 상류측에 커터 날을 구비한 것이나, 둘레면 또는 둘레가장자리부에 환형상의 날을 가지는 원통 또는 원반형상의 커터, 레이저 커터, 고압 수류 커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7에 나타내는 분할 수단(93)은 MD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는 원반형상의 커터이며, 둘레면에 예리한 날을 가지고 있다. 복합 시트(100)를 사이에 끼고 원반형상의 커터의 반대측에는 표면이 평활한 서포트 롤(support roller)이 배치되어 있다. 원반형상 커터나 서포트 롤은 모터 등에 의해 소정 속도로 회전 구동되는 것이어도 되고, 복합 시트(100)의 반송에 종속 동작해서 회전하는 것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배측 외장체 연속체(세폭 띠형상 시트)(102A)와 등측 외장체 연속체(세폭 띠형상 시트)(102B)를, 양자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연속 반송하면서, 배측 외장체 연속체(102A)와 등측 외장체 연속체(102B)에 흡수성 본체(3)를 걸치도록 고정한다(흡수성 본체 고정 공정).
흡수성 본체 고정 공정 및 상기 공정 이후의 공정은 상술한 기저귀(1)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한편 기저귀 연속체(101)의 절단은 사이드 실부(4, 4)의 형성과 동시에 실시할 수도 있다.
본 실시양태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적층 상태에 있는 띠형상 시트(122, 123)를 절단하여 2개의 세폭 띠형상 시트(102A, 102B)를 얻고 있으며, 그것으로부터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를 얻고 있기 때문에,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의 하단(가랑이부측의 끝)에 있어서, 외층 시트(22)의 끝가장자리와 내층 시트(23)의 끝가장자리가 일치하고 있고,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의 하단에,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층 시트(22)가 형성하는 주름(29)과 내층 시트(23)가 형성하는 주름(29)으로 둘러싸인 중공부(30)가 개구되어 있어 외관이 좋다. 또한 그 개구 상태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중공부(30) 또는 주름(29) 사이의 오목부를 통해 공기가 양호하게 유통되어 뛰어난 짓무름 방지성 및 장착감이 얻어진다. 짓무름 방지성은 내층 시트(23) 및 외층 시트(22)가 통기성 시트로 이루어질 경우에 한층 양호하다.
또한 본 실시양태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외장체 형성용 띠형상 시트(122, 123)로, 레그 개구부 형성용 트리밍을 제거하지 않고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트리밍의 제거나 재이용에 필요한 공정이 불필요해,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효율적이고도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트리밍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환경에도 유리하다.
본 발명(제4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기초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제4발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실시양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양태에서는 사이드 실부(4, 4)를 배측 외장체 연속체(102A) 및 등측 외장체 연속체(102B) 각각의 전체 폭에 걸치지 않도록 형성하고, 기저귀(1)의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에 사이드 실(4, 4)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분(21a, 21b)을 가지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를 제조했지만, 사이드 실부(4, 4)를, 배측 외장체 연속체(102A) 및 등측 외장체 연속체(102B) 각각의 전체 폭에 걸치도록 형성하고, 그러한 연장부분(21a, 21b)을 가지지 않는 배측 외장체(2A) 및 등측 외장체(2B)를 구비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양태에서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형상 시트(122, 123)에 형성한 접합부열(L1~L7)은 각 접합부(26)의 MD방향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었지만, 인접하는 접합부열(L1~L7)에서 접합부(26)의 위치를 반 피치만큼 차이나게 해서,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합부(26)를 형성할 수도 있다. 각각의 접합부(26)의 형상도 직사각형 외에, 장원형(長圓形), 타원형, 원형, 마름모꼴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배측 외장체 연속체(102A) 및/또는 등측 외장체 연속체(102B)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행방향을 따르는 한쪽 측부(102A', 102B')가 접히는 것이어도 되고, 그러한 접기 공정을 거치지 않고 절단되어 배측 외장체(2A) 또는 등측 외장체(2B)가 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방법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양태)에 기초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사이드 실부(4)는 외장체의 측가장자리부(2a, 2b)에 형성되는데, 사이드 실부(4)의 외측에 비접합 부분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즉, 배측 외장체(2A)의 측가장자리부(2a, 2a), 등측 외장체(2B)의 측가장자리부(2b, 2b)가 접합되어 형성된 사이드 실부(4)의 외측에, 배측 외장체(2A) 및/또는 등측 외장체(2B)가 비접합 상태로 존재하는 비접합 부분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기저귀(1, 1A, 1B, 1D) 등에서의 단부 고정부(27)는 배측 외장체(2A) 또는 등측 외장체(2B)의 기저귀 폭방향(Y방향)의 끝가장자리와의 사이에 어느 정도의 거리(예를 들면 0mm 초과 20mm 이하의 틈)를 두고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유아 또는 성인용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외에, 팬츠형 생리용 냅킨 등이어도 된다.
상술한 하나의 실시형태에서의 설명 생략부분 및 하나의 실시형태만 가지는 요건은 각각 다른 실시형태에 적절히 적용할 수 있고,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의 요건은 적절히 실시형태 사이에서 서로 치환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형태의 흡수성 본체를 제5실시형태 이외의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흡수성 본체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4발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을 이용해서, 제1실시형태 이외의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제1발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외장체가,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 외장체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 외장체로 분할된 타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면서, 외관이 좋고 흘러내림 방지성 및 장착감이 뛰어나다.
본 발명(제2발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 외장체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 외장체로 분할된 타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면서 외관이 뛰어나다.
본 발명(제3발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 외장체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 외장체로 분할된 타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면서, 가랑이부 부근의 외관 및/또는 피트성이 개선되어 있다.
본 발명(제4발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외관이 좋고 짓무름 방지성 및 장착감이 뛰어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Claims (21)

  1.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 외장체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 외장체와, 배측 외장체 및 등측 외장체에 걸치도록 고정된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배측 외장체와 등측 외장체의 흡수성 물품 세로방향을 따르는 양 측가장자리부에, 배측 외장체와 등측 외장체를 접합해서 형성된 사이드 실부를 가지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배측 외장체 및 등측 외장체는 각각 흡수성 물품 세로방향의 길이가 가로방향에 있어서 균일하면서, 흡수성 물품 세로방향의 길이가 상기 사이드 실부의 길이보다 길고, 각각 상기 사이드 실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배측 외장체 및/또는 등측 외장체의 상기 연장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본체의 양 측가장자리 각각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흡수성 물품의 가로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흡수성 본체에는, 흡수성 물품 세로방향을 따르는 가장자리부에 탄성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배측 외장체 및/또는 등측 외장체의 상기 연장부분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본체의 가장자리부와 배측 외장체 및/또는 등측 외장체는 접합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배측 외장체와 등측 외장체는 상기 연장부분의 연장 길이가 거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배측 외장체 및 등측 외장체는 각각, 외층 시트와 상기 외층 시트의 내면측에 배치된 내층 시트와, 양쪽 시트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연장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신축성을 가지는 신축부는, 외층 시트와 내층 시트 사이가 다수의 접합부로 접합되고, 상기 접합부에 의해, 흡수성 물품 세로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세로 접합부열이 복수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신축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탄성부재가, 각각 세로방향으로 이웃하는 접합부 사이를 지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배측 외장체의 상기 연장부분과 흡수성 본체의 접합폭이, 등측 외장체의 상기 연장부분과 상기 흡수성 본체의 접합폭에 비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배측 외장체 및 등측 외장체는 각각, 상기 연장부분의 연장 길이가 상기 사이드 실부의 길이의 5~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6. 배측 외장체 연속체와 등측 외장체 연속체를, 양자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연속 반송하면서, 배측 외장체 연속체와 등측 외장체 연속체에 흡수성 본체를 걸치도록 고정하여 기저귀 연속체를 얻는 공정과, 기저귀 연속체를 반으로 접는 공정과, 반으로 접은 기저귀 연속체에 배측 외장체 연속체 및 등측 외장체 연속체 각각의 전체 폭에 걸치지 않도록 사이드 실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사이드 실부 형성 후의 기저귀 연속체를 낱개의 기저귀로 분단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
  7.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 외장체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 외장체와, 배측 외장체 및 등측 외장체에 걸치도록 고정된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배측 외장체와 등측 외장체의 흡수성 물품 세로방향을 따르는 양 측가장자리부에, 배측 외장체와 등측 외장체를 접합해서 형성된 사이드 실부를 가지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배측 외장체 및 등측 외장체는 각각 흡수성 물품 세로방향의 길이가 상기 사이드 실부의 길이보다 길고, 각각 상기 사이드 실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배측 외장체의 상기 연장부분에서는 2장의 시트 사이에 탄성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그 탄성부재 중 1개 또는 복수개는 배측 외장체의 측가장자리부 또는 그 근방에 마련된 단부 고정부에서 상기 2장의 시트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단부 고정부 사이에서는 상기 2장의 시트 어느 것에도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배측 외장체의 상기 연장부분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와 겹치는 부분에, 상기 2장의 시트 사이가 접합된 선상 접합부가 흡수성 물품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상 접합부가, 흡수성 물품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9. 제8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선상 접합부는 착용시에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일수록, 흡수성 물품 가로방향의 길이가 짧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10.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 외장체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 외장체와, 배측 및 등측 외장체에 걸쳐서 고정된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배측 외장체와 등측 외장체가 환(環)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배측 및/또는 등측 외장체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방향의 단부의 위치보다 가랑이부측에, 흡수성 물품의 가로방향으로 신축하는 제1 띠형상 신축영역 및 그보다 가랑이부측에 위치하며 흡수성 물품의 가로방향으로 신축하는 제2 띠형상 신축영역을 가지고 있고,
    제1 및 제2 띠형상 신축영역은 각각, 배측 또는 등측의 외장체를 구성하는 2장의 시트 사이에 탄성부재를 신장 상태로 배치해서 형성되면서, 또한 상기 흡수성 본체와 겹치는 부분에 상기 탄성부재의 절단에 의해 형성된 비신축부를 가지며 그 양측에 한쌍의 신축부를 가지고 있고,
    제1 띠형상 신축영역의 비신축부와 제2 띠형상 신축영역의 비신축부에서, 흡수성 물품 가로방향의 길이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11. 제10항에 있어서,
    배측 외장체와 등측 외장체의, 흡수성 물품 세로방향을 따르는 양 측가장자리부끼리 접합되어 사이드 실부가 형성되어 있고, 배측 외장체 및 등측 외장체는 각각 흡수성 물품 세로방향의 길이가 상기 사이드 실부의 길이보다 길고, 각각 상기 사이드 실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 띠형상 신축영역은 상기 연장부분에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12. 제10항에 있어서,
    등측 외장체가 제1 및 제2 띠형상 신축영역을 가지고 있고, 등측 외장체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띠형상 신축영역의 비신축부의 흡수성 물품 가로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1 띠형상 신축영역의 비신축부의 흡수성 물품 가로방향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13. 제12항에 있어서,
    배측 외장체도 상기 제1 및 제2 띠형상 신축영역을 가지고 있고, 배측 외장체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띠형상 신축영역의 비신축부의 흡수성 물품 가로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1 띠형상 신축영역의 비신축부의 흡수성 물품 가로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14. 제12항에 있어서,
    배측 외장체도 상기 제1 및 제2 띠형상 신축영역을 가지고 있고, 배측 외장체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띠형상 신축영역의 비신축부의 흡수성 물품 가로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1 띠형상 신축영역의 비신축부의 흡수성 물품 가로방향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15. 제10항에 있어서,
    배측 및 등측 외장체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띠형상 신축영역을 가지고 있고, 등측 외장체에서는 제2 띠형상 신축영역의 비신축부의 흡수성 물품 가로방향의 길이가, 제1 띠형상 신축영역의 비신축부의 흡수성 물품 가로방향의 길이보다 짧고, 배측 외장체에서는 제2 띠형상 신축영역의 비신축부의 흡수성 물품 가로방향의 길이가, 제1 띠형상 신축영역의 비신축부의 흡수성 물품 가로방향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16. 제10항에 있어서,
    배측 및 등측 외장체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띠형상 신축영역을 가지고 있고, 배측 및 등측 외장체 각각에 있어서, 제2 띠형상 신축영역의 비신축부의 흡수성 물품 가로방향의 길이가, 제1 띠형상 신축영역의 비신축부의 흡수성 물품 가로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17. 제10항에 있어서,
    배측 및/또는 등측 외장체에 있어서, 제1 및 제2 띠형상 신축영역은 흡수성 물품 가로방향에 있어서의 비신축부의 길이의 대소관계와, 제1 또는 제2 띠형상 신축영역과 흡수성 본체의 접합부의, 흡수성 물품 가로방향의 길이의 대소관계가 일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18. 배측 및 등측 외장체의 원단인 2장의 띠형상 시트를, 양자 사이에 탄성부재를 개재시킨 상태로 포개고, 포갠 양쪽 띠형상 시트를, 둘레면에 탄성부재 절단용 볼록부를 가지는 볼록 롤과 상기 볼록 롤에 대향 배치된 다른 롤 사이에 도입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배측 및 등측 외장체의 제1 및 제2 띠형상 신축영역의 비신축부에 대응하는 부위에서 절단하는 탄성부재 절단 공정, 및 탄성부재 절단 공정 후에 상기 양쪽 띠형상 시트를 배측 외장체 부분과 등측 외장체 부분으로 절단해서 분할하는 분할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0항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
  19.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 외장체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 외장체와, 배측 외장체 및 등측 외장체에 걸치도록 고정된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배측 외장체의 양 측가장자리부와 등측 외장체의 양 측가장자리부가 접합되어 한쌍의 사이드 실부가 형성되어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으로서,
    2장의 띠형상 시트를 복수개의 탄성부재를 개재시켜서 포개는 중합 공정, 포갠 2장의 띠형상 시트에, 진행방향(machine direction)으로 접합부가 직렬 상태로 나열된 3개 이상의 접합부열이 형성되는 동시에 복수개의 탄성부재 각각의 양측에 접합부열이 위치하도록, 접합부를 형성해서 양쪽 띠형상 시트가 부분적으로 접합된 복합 시트를 얻는 접합 공정, 복합 시트를, 하나의 접합부열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접합부 각각이 진행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2분되도록 분할하여 2개의 세폭(細幅) 띠형상 시트를 얻는 분할 공정, 2개의 세폭 띠형상 시트를 양자 사이에 간격을 두고 연속 반송하면서, 2개의 세폭 띠형상 시트에 흡수성 본체를 걸치도록 고정해서 흡수성 물품 연속체를 얻는 흡수성 본체 고정 공정, 흡수성 물품 연속체를 그 폭방향으로 반으로 접는 반으로 접기 공정, 및 반으로 접은 흡수성 물품 연속체에 사이드 실부를 형성하고, 상기 흡수성 물품 연속체를 절단해서 낱개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얻는 절단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포갠 상기 2장의 띠형상 시트를 가압하여, 상기 흡수성 본체를 배치하는 부위에 배치된 탄성부재를 절단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
  21. 삭제
KR1020117030994A 2009-07-01 2010-06-28 팬츠형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558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57272 2009-07-01
JPJP-P-2009-157273 2009-07-01
JP2009157273A JP5415165B2 (ja) 2009-07-01 2009-07-01 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JP-P-2009-157272 2009-07-01
JPJP-P-2009-188340 2009-08-17
JP2009188340A JP5415178B2 (ja) 2009-08-17 2009-08-17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2010094366A JP5523909B2 (ja) 2010-04-15 2010-04-15 パンツ型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10-094365 2010-04-15
JP2010094365A JP5534914B2 (ja) 2009-07-01 2010-04-15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JP-P-2010-094366 2010-04-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107A KR20120030107A (ko) 2012-03-27
KR101558322B1 true KR101558322B1 (ko) 2015-10-19

Family

ID=44813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994A KR101558322B1 (ko) 2009-07-01 2010-06-28 팬츠형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11404B2 (ko)
EP (1) EP2450015B1 (ko)
KR (1) KR101558322B1 (ko)
CN (1) CN102448418B (ko)
RU (1) RU2538524C2 (ko)
TW (1) TWI510224B (ko)
WO (1) WO20110019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798B1 (ko) * 2010-12-27 2018-06-29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팬츠형 흡수성 물품
US9918881B2 (en) 2011-11-22 2018-03-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folding pant-like disposable absorbent garments in a trough
US10118754B2 (en) * 2011-11-22 2018-11-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folding pant-like disposable absorbent garments in a chute
US11123230B2 (en) 2011-11-22 2021-09-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folding pant-like disposable absorbent garments in a chute
US9028632B2 (en) 2012-03-30 2015-05-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aking absorbent articles
US20130255861A1 (en) * 2012-03-30 2013-10-03 Uwe Schneider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aking Absorbent Articles
US9039855B2 (en) * 2012-03-30 2015-05-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aking absorbent articles
US8440043B1 (en) 2012-03-30 2013-05-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process and apparatus for intermittently deactivating elastics in elastic laminates
US9050213B2 (en) * 2012-03-30 2015-06-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aking absorbent articles
WO2013168701A1 (ja) 2012-05-09 2013-11-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複合伸縮性材料
IN2014DN09010A (ko) 2012-05-15 2015-05-22 Procter & Gamble
EP2813347B1 (en) 2012-05-16 2018-07-25 Kao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fused sheets
JP6021447B2 (ja) * 2012-06-04 2016-11-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放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6050969B2 (ja) * 2012-06-22 2016-12-21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着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68117B2 (ja) 2012-06-26 2016-08-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CN103027791A (zh) * 2012-12-29 2013-04-10 福建恒安集团有限公司 一种一次性吸收物品
US9533067B2 (en) 2013-05-03 2017-0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stretch laminates
JP6189628B2 (ja) * 2013-05-13 2017-08-30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161029B2 (ja) * 2013-06-28 2017-07-12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着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766252B2 (ja) 2013-11-01 2015-08-19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着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540540A (ja) 2013-11-05 2016-12-2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ウエストバンドを有する吸収性物品
CN103690311A (zh) * 2014-01-11 2014-04-02 福建恒安集团有限公司 一种一次性吸收物品及其制备方法
JP6235363B2 (ja) * 2014-02-13 2017-11-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032683B2 (ja) * 2014-03-13 2016-11-30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により製造可能な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044802B2 (ja) 2014-03-31 2016-12-1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伸縮構造の製造方法
US10335323B2 (en) * 2014-06-26 2019-07-02 Zuiko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disposable worn article
US10792194B2 (en) 2014-08-26 2020-10-06 Curt G. Joa,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securing elastic to a carrier web
US10857040B2 (en) * 2014-12-11 2020-12-08 Attends Healthcare Products, Inc.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having elastic sheet material and elastic strands
JP6389113B2 (ja) * 2014-12-15 2018-09-12 花王株式会社 シート融着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6668351B2 (ja) * 2014-12-25 2020-03-1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弾性ベルトを有する着用可能物品
JP2018500992A (ja) 2014-12-25 2018-01-1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弾性ベルトを有する着用可能物品
ITUB20150478A1 (it) 2015-02-11 2015-05-11 Fameccanica Data Spa Struttura elastica per prodotti sanitari assorbenti, procedimento e apparecchiatura per la sua produzione
CN107405244B (zh) * 2015-03-18 2021-03-09 宝洁公司 具有腰衬圈元件和腿箍的吸收制品
ITUB20150513A1 (it) * 2015-05-12 2015-08-12 Fameccanica Data Spa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la produzione di prodotti sanitari assorbenti e prodotto sanitario assorbente
WO2016203602A1 (ja) * 2015-06-18 2016-12-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6183968B2 (ja) 2015-09-30 2017-08-23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CN108289768B (zh) * 2015-11-18 2019-06-11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可穿戴物品
WO2017085805A1 (ja) * 2015-11-18 2017-05-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JP6183975B2 (ja) 2016-01-28 2017-08-23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JP6646478B2 (ja) * 2016-03-07 2020-02-14 Jxtgエネルギー株式会社 シワを有する長繊維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6370344B2 (ja) * 2016-07-28 2018-08-08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CN109475439B (zh) 2016-08-12 2021-08-27 宝洁公司 用于装配吸收制品的方法和设备
WO2018031841A1 (en) 2016-08-12 2018-0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an ear portion
US11446186B2 (en) 2016-08-12 2022-09-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ear portion
US10485708B2 (en) * 2016-12-05 2019-11-26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Disposable pant-type absorbent article
US11642249B2 (en) 2016-12-20 2023-05-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king elastomeric laminates with elastic strands provided with a spin finish
CN110139632B (zh) * 2016-12-27 2022-10-28 尤妮佳股份有限公司 用于吸收性物品的片状构件的制造方法和制造设备
CN110325156B (zh) 2017-02-23 2022-05-17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的制造方法、制造装置及吸收性物品
WO2018154684A1 (ja) 2017-02-23 2018-08-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製造装置、及び吸収性物品
US10952910B2 (en) 2017-03-27 2021-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astomeric laminate with soft noncrimped spunbond fiber webs
BR112019021768B1 (pt) * 2017-04-28 2023-12-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aterial elastificado, e, artigo absorvente
GB2579975B (en) * 2017-08-31 2022-05-04 Kao Corp Pull-up absorbent article
US11147718B2 (en) 2017-09-01 2021-10-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amed elastomeric laminate structure, fit, and texture
EP3675785B1 (en) 2017-09-01 2021-1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king elastomeric laminates
US11925537B2 (en) 2017-09-01 2024-03-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amed elastomeric laminate structure, fit, and texture
CN111050716B (zh) * 2017-09-15 2022-06-24 株式会社瑞光 穿着物品的制造装置及制造方法
US11684522B2 (en) 2017-10-31 2023-06-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ic laminates with curved elastic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RU2733859C1 (ru) * 2017-10-31 2020-10-07 Кимберли-Кларк Ворлдвайд, Инк. Эластичные слоистые материалы с изогнутыми резинками и способы изготовления
CN111182866B (zh) * 2017-11-07 2022-06-07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的制造方法、制造装置以及吸收性物品
US11547613B2 (en) 2017-12-05 2023-0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etch laminate with beamed elastics and formed nonwoven layer
US10765565B2 (en) 2018-01-25 2020-09-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anufacturing topsheets for absorbent articles
EP3746021B1 (en) 2018-01-29 2024-01-31 Curt G. Joa, Inc.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astic composite structure for an absorbent sanitary product
JP7122849B2 (ja) 2018-04-06 2022-08-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衛生用品の製造方法及び衛生用品
CN112218606B (zh) * 2018-06-19 2022-05-27 宝洁公司 具有梁式弹性部件和成形非织造层的拉伸层合体
JP2022500222A (ja) 2018-09-27 2022-01-0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衣類様の吸収性物品
CN109758298A (zh) * 2018-12-20 2019-05-17 黄山富田精工制造有限公司 一种吸收性物品的制造方法
US11925538B2 (en) 2019-01-07 2024-03-12 Curt G. Joa, Inc.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astic composite structure for an absorbent sanitary product
WO2020164060A1 (en) * 2019-02-14 2020-08-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nt-type wearable article
JP7109393B2 (ja) * 2019-03-01 2022-07-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1819393B2 (en) 2019-06-19 2023-1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function-formed top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US11944522B2 (en) 2019-07-01 2024-04-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ear portion
CN110422666B (zh) * 2019-07-26 2024-03-26 河北万达轮胎有限公司 带束层胶片隔离膜卷取装置
US11173072B2 (en) 2019-09-05 2021-11-16 Curt G. Joa, Inc. Curved elastic with entrapment
JP6934500B2 (ja) * 2019-09-26 2021-09-15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7387364B2 (ja) * 2019-09-30 2023-11-28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217219B2 (ja) * 2019-11-11 2023-02-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1793685B2 (en) * 2019-11-15 2023-10-2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fastening system
US11801168B2 (en) 2019-11-15 2023-10-3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Tape-type absorbent article with belt structure
EP3865103A4 (en) * 2019-12-04 2022-10-26 Kao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CN111084694B (zh) * 2019-12-30 2021-10-29 瑞光(上海)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弹性复合体的一次性尿裤及其制造方法
CN115802992A (zh) * 2020-07-27 2023-03-14 宝洁公司 裤型可穿着制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9077A (ja) 2004-03-30 2005-10-13 Zuiko Corp パンツタイプ着用物品の製造方法
JP2008142341A (ja) 2006-12-11 2008-06-26 Kao Corp パンツ型吸収性物品
US20090143757A1 (en) 2007-11-21 2009-06-04 Fridmann Hornung Incontinence article in the form of pants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2069B2 (ja) 1986-02-21 1994-12-14 ト−ヨ−衛材株式会社 使い捨ておしめの製造方法
JPH0838546A (ja) 1994-07-29 1996-02-13 New Oji Paper Co Ltd 立体パンツ型使いすておむつ
JP3625000B2 (ja) 1996-11-15 2005-03-02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3557141B2 (ja) * 2000-01-06 2004-08-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20020007164A1 (en) * 2000-05-15 2002-01-17 Boggs Lavada Campbell Garment having gasket with integrated zone of elastic tension and/or stretch
JP3561477B2 (ja) 2001-03-16 2004-09-02 大王製紙株式会社 伸縮性シートの製造方法
JP4076744B2 (ja) 2001-07-31 2008-04-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US20040010241A1 (en) 2002-07-15 2004-01-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elasticized regions providing improved comfort
JP4116845B2 (ja) 2002-08-30 2008-07-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4205385B2 (ja) 2002-08-30 2009-01-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WO2004054490A1 (ja) 2002-12-18 2004-07-01 Zuiko Corporation 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US20050004549A1 (en) * 2003-07-01 2005-01-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pant-like undergarment
US20050107763A1 (en) 2003-11-19 2005-05-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pull-on garment
US7264686B2 (en) * 2003-12-12 2007-09-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forming a waist band on an absorbent article
CN100577129C (zh) 2004-08-05 2010-01-06 宝洁公司 一次性套穿衣服
JP4901436B2 (ja) 2006-11-27 2012-03-2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986585B2 (ja) 2006-11-27 2012-07-2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994027B2 (ja) 2006-12-28 2012-08-08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36793A (ja) 2006-12-05 2008-06-19 Kao Corp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EP2092922A4 (en) * 2006-12-07 2012-12-05 Uni Charm Corp ABSORBENT ARTICLE
JP5063315B2 (ja) 2006-12-28 2012-10-31 花王株式会社 伸縮シート
JP5053832B2 (ja) 2006-12-28 2012-10-24 大王製紙株式会社 紙おむつ
JP4908255B2 (ja) * 2007-02-09 2012-04-04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US8308706B2 (en) 2007-02-28 2012-11-13 Daio Paper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JP5363015B2 (ja) 2007-03-28 2013-12-11 花王株式会社 着用物品の製造方法
JP4818993B2 (ja) 2007-06-15 2011-11-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JP5008531B2 (ja) 2007-10-31 2012-08-22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CN101896149A (zh) * 2007-12-13 2010-11-24 宝洁公司 具有包括弹性材料的复合薄片的吸收制品
JP5006182B2 (ja) * 2007-12-27 2012-08-22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4659020B2 (ja) 2007-12-28 2011-03-30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09195647A (ja) 2008-02-25 2009-09-03 Kao Corp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本体保持カバー
AU2009233165B2 (en) 2008-03-31 2013-12-19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JP5534914B2 (ja) 2009-07-01 2014-07-02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4659109B2 (ja) 2009-07-31 2011-03-30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US20110098668A1 (en) 2009-10-23 2011-04-28 Thorson Russell E Disposable absorbent garments employing elastomeric film laminate body panels
DE102010007872A1 (de) 2010-02-13 2011-08-18 Paul Hartmann AG, 89522 Inkontinenzartikel in Höschenform
JP5135379B2 (ja) 2010-04-07 2013-02-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237323B2 (ja) 2010-04-23 2013-07-17 株式会社瑞光 パンツタイプ着用物品の製造方法
JP5530251B2 (ja) 2010-05-20 2014-06-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5930584B2 (ja) 2011-01-07 2016-06-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
US9289331B2 (en) 2011-12-23 2016-03-22 Sca Hygiene Products Ab Disposable absorbent product with elastic leg opening regions and rel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9077A (ja) 2004-03-30 2005-10-13 Zuiko Corp パンツタイプ着用物品の製造方法
JP2008142341A (ja) 2006-12-11 2008-06-26 Kao Corp パンツ型吸収性物品
US20090143757A1 (en) 2007-11-21 2009-06-04 Fridmann Hornung Incontinence article in the form of p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95429A1 (en) 2012-04-19
RU2538524C2 (ru) 2015-01-10
US9011404B2 (en) 2015-04-21
KR20120030107A (ko) 2012-03-27
CN102448418A (zh) 2012-05-09
EP2450015B1 (en) 2017-11-01
WO2011001944A1 (ja) 2011-01-06
EP2450015A4 (en) 2013-05-08
TWI510224B (zh) 2015-12-01
CN102448418B (zh) 2016-10-26
EP2450015A1 (en) 2012-05-09
RU2012102389A (ru) 2013-08-10
TW201103513A (en) 201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322B1 (ko) 팬츠형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방법
JP5534914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5523909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9301881B2 (en) Wearing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5537846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KR101445092B1 (ko) 착용 물품의 제조방법
JP4871237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4953730B2 (ja) 吸収性物品
WO2002074213A1 (fr) Couche en papier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feuille extensible utilisee dans la couche
JP2009297096A (ja) 吸収性物品
JP2009153841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2007105453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2008136794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5415178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2007312951A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6095211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979419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415165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2008023116A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5155827B2 (ja) 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68987A (ja) パンツ型使い捨て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4726673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916297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4912433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4749256B2 (ja) 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