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0747A - 진동 감쇠 장치 - Google Patents

진동 감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0747A
KR20130040747A KR1020120113775A KR20120113775A KR20130040747A KR 20130040747 A KR20130040747 A KR 20130040747A KR 1020120113775 A KR1020120113775 A KR 1020120113775A KR 20120113775 A KR20120113775 A KR 20120113775A KR 20130040747 A KR20130040747 A KR 20130040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iston
lock
outer diameter
equa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8240B1 (ko
Inventor
야스히로 이시까와
요시노리 효우도우
다이스께 나까하라
Original Assignee
유니프레스 가부시키가이샤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프레스 가부시키가이샤,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프레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0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3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 F16F15/133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21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with d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홀드 플레이트의 외경측의 강성 강도를 향상시킨다. 홀드 플레이트(3)와, 드리븐 플레이트(4)와, 홀드 플레이트(3)와 드리븐 플레이트(4)를 회전 방향에서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외경측 스프링(5)과, 외경측 스프링(5)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퀄라이저(7)를 구비하는 진동 감쇠 장치(1)에 있어서, 홀드 플레이트(3)에는 외경측 스프링(5)이 둘레 방향으로부터 접촉하는 접촉부(34)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회전 중심축(X) 주위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고, 접촉부(34)의 외주는 회전 중심축(X)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링 형상의 플랜지부(33)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고, 플랜지부(33)의 외주에는 회전 중심축(X)의 축 방향에서 로크 업 피스톤(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위벽부(33a)가 전체 둘레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Description

진동 감쇠 장치{VIBRATION DAMPING APPARATUS}
본 발명은, 토크 컨버터의 진동 감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는, 차량용의 토크 컨버터의 로크 업 진동 감쇠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9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진동 감쇠 장치(200)를 구비하는 토크 컨버터의 단면도이다.
진동 감쇠 장치(200)는 로크 업 피스톤(201)에 고정되어 엔진의 회전 구동력이 입력되는 홀드 플레이트(202)와, 토크 컨버터의 터빈에 연결되는 드리븐 플레이트(203)와, 홀드 플레이트(202)와 드리븐 플레이트(203)를 회전 방향에서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동시에, 회전 원주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외경측 스프링(204)과, 이퀄라이저(205)를 구비한다.
이퀄라이저(205)는, 외경측 스프링(204)의 원심력에 의한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설치된 원환상의 부재이고, 그 내주면(205b)은,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한 외경측 스프링(204)의 접촉면으로 되어 있다.
이퀄라이저(205)에는, 외경측 스프링(204)으로부터 받는 응력에 견딜 수 있을 만큼의 강성 강도가 요구된다. 그러나, 강성 강도를 높이기 위해 이퀄라이저(205)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진동 감쇠 장치(200)의 중량이 증가되므로, 차량의 연비의 악화 요인이 되어 버린다.
그로 인해, 연비의 악화 요인인 중량의 경감, 그리고 부품 개수의 삭감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 하에서, 품질을 떨어뜨리지 않고 중량을 경감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특허 문헌 1에서는, 이퀄라이저(205)의 로크 업 피스톤(201)과는 반대측을 직경 방향 내측으로 절곡하여 플랜지부(205c)로 함으로써, 이퀄라이저(205)의 본체부(205a)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고, 이퀄라이저(205)의 강성 강도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경우, 플랜지부(205c)를 외경측 스프링(204)과 간섭시키지 않고 설치하기 때문에, 이퀄라이저(205)의 축 방향의 길이 Wx가 길게 되어 버린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156270호 공보
또한, 홀드 플레이트(202)의 외경측에는, 회전 원주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외경측 스프링(204)이 둘레 방향으로부터 접촉하는 접촉부(202a)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접촉부(202a)의 선단측은, 이퀄라이저(205)의 로크 업 피스톤(201)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플랜지부(202b)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이퀄라이저(205)의 축 방향의 길이 Wx가 길게 되어 있으므로, 진동 감쇠 장치(200)의 축 방향의 길이가 한정된 상황 하에서는, 플랜지부(202b)는 필연적으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되어 버린다.
그로 인해, 홀드 플레이트(202)의 외경측의 둘레 방향의 비틀림에 대해, 충분한 강성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져, 외경측 스프링(204)을 통한 홀드 플레이트(202)로부터 드리븐 플레이트(203)로의 동력 전달이 행해질 때에, 홀드 플레이트(202)의 접촉부(202a)가, 외경측 스프링(204)으로부터 작용하는 스프링력에 의해 비틀림 회전하여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접촉부(202a)에 비틀림 회전이 발생하면, 토크의 전달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홀드 플레이트(202)의 접촉부(202a)가 비틀림 회전하여 변형되면, 접촉부(202a)에 의한 외경측 스프링(204) 보유 지지가 안정되지 않게 되어, 외경측 스프링(204)이 피스톤에 접촉하는 경우도 있고, 이점에 의해서도, 토크의 전달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홀드 플레이트의 외경측의 강성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토크 컨버터의 로크 업 피스톤에 고정되어, 로크 업 피스톤과 일체로 회전 중심축 주위로 회전하는 홀드 플레이트와,
토크 컨버터의 터빈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중심축 주위로 회전하는 드리븐 플레이트와,
상기 홀드 플레이트의 외주를 따라서 상기 회전 중심축 주위의 둘레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홀드 플레이트와 상기 드리븐 플레이트를 회전 방향에서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진동 감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드 플레이트에서는,
상기 스프링이 상기 둘레 방향으로부터 접촉하는 접촉부가, 상기 외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 중심축 주위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접촉부의 외주는, 상기 회전 중심축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링 형상의 연장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의 외주연에는, 상기 회전 중심축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위벽부가 전체 둘레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홀드 플레이트의 접촉부의 외주를 링 형상의 연장부에 의해 서로 접속함으로써, 스프링이 둘레 방향으로부터 접촉하는 접촉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강성이 높아진다. 또한, 연장부의 외주연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위벽부를 전체 둘레에 걸쳐서 설치함으로써, 연장부의 축 방향의 강성도 높아져, 비틀림 회전에 대한 강성도 확보된다. 이에 의해, 홀드 플레이트의 외경측의 강성 강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스프링을 정확한 위치에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진동 감쇠 장치를 구비하는 토크 컨버터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진동 감쇠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실시 형태에 따른 홀드 플레이트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실시 형태에 따른 홀드 플레이트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5는 실시 형태에 따른 드리븐 플레이트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실시 형태에 따른 이퀄라이저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실시 형태에 따른 이퀄라이저와, 종래예에 따른 이퀄라이저를 비교하는 도면.
도 8은 실시 형태에 따른 이퀄라이저 주위의 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종래예에 따른 진동 감쇠 장치를 구비하는 토크 컨버터의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토크 컨버터(100)에 있어서의 진동 감쇠 장치(1)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진동 감쇠 장치(1)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이고, (b)는 (a)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고, (c)는 (a)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다.
또한, 도 2의 (a)에 있어서, 우측 아래의 대략 1/3은, 드리븐 플레이트(4)가 존재하는 상태의 평면도이고, 좌측 아래의 대략 1/3은, 드리븐 플레이트(4)의 도시를 생략한 평면도이고, 상측의 대략 1/3은, 회전 중심축(X)에 직교하는 면에서 진동 감쇠 장치(1)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동 감쇠 장치(1)는 토크 컨버터(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홀드 플레이트(3)와, 드리븐 플레이트(4)와, 스프링[외경측 스프링(5), 내경측 스프링(6)]과, 이퀄라이저(7)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진동 감쇠 장치(1)는 토크 컨버터(100)가 로크 업 피스톤(2)을 커버 컨버터(101)에 체결시킨 로크 업 상태로 되어, 엔진의 회전 구동력이 변속 기구부측에 직접 입력되도록 되었을 때에, 엔진의 진동이 변속 기구부측에 직접 전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이하, 진동 감쇠 장치(1)의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한다.
도 3은, 홀드 플레이트(3)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홀드 플레이트(3)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b)는 (a)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다.
[홀드 플레이트]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드 플레이트(3)는 로크 업 피스톤(2)의 커버 컨버터(101)와는 반대측의 면에 고정되어 있고, 로크 업 피스톤(2)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드 플레이트(3)는 축 방향에서 보아 링 형상의 판 형상 부재의 성형체이고, 그 내경측에는 링 형상의 고정부(31)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31)에는, 당해 고정부(31)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리벳 구멍(31a)이 형성되어 있고, 홀드 플레이트(3)는 리벳 구멍(31a)을 삽입 관통시킨 리벳(R)에 의해, 로크 업 피스톤(2)에 고정되어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리벳 구멍(31a)은 회전 중심축(X) 주위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합계 9군데에 설치되어 있고, 이들은 회전 중심축(X)을 중심으로 한 가상원 Im1[도 4의 (a) 참조] 위에 위치하고 있다.
고정부(31)의 외주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접촉부(34)가, 회전 중심축(X) 주위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합계 3군데에 설치되어 있다.
평면에서 보아 접촉부(34)는 회전 중심축(X)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둘레 방향의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갖고 있고, 각 접촉부(34)의 외주연은 고정부(31)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플랜지부(33)에 접속하고 있다.
접촉부(34)에는, 후기하는 외경측 스프링(5)이 둘레 방향으로부터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도 2 참조). 접촉부(34)는 외경측 스프링(5)과의 접촉면을 확보하기 위해, 단면에서 보아 만곡된 형상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의 (b) 및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접촉부(34)는 내경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로크 업 피스톤(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팽출하도록 만곡된 내경측 만곡부(34a)와, 로크 업 피스톤(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팽출하도록 만곡된 외경측 만곡부(34b)와, 회전 중심축(X)에 대하여 평행하게 로크 업 피스톤(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 형상부(34c)를 구비하고 있고, 외경측 스프링(5)의 로크 업 피스톤(2)측의 주연을 따르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로크 업 피스톤(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 형상부(34c)의 선단측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만곡되어 있고, 그 선단은 플랜지부(33)의 내주에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플랜지부(33)는 고정부(31)보다도 변속 기구부측[로크 업 피스톤(2)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에 위치하고 있고, 회전 중심축(X)의 대략 직교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도 3의 (b) 참조].
플랜지부(33)는 축 방향에서 보아 링 형상을 갖는 동시에, 후기하는 이퀄라이저(7)의 플랜지부(71)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이퀄라이저(7)의 로크 업 피스톤(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이동 가능한 범위를 규정하고 있다.
플랜지부(33)의 외주연에는 로크 업 피스톤(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위벽부(33a)가, 플랜지부(33)의 외경측을, 로크 업 피스톤(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구부려 형성되어 있다. 이 주위벽부(33a)는 회전 중심축(X) 주위의 둘레 방향으로, 플랜지부(33)의 외주연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고[도 3의 (a) 참조], 후기하는 이퀄라이저(7)가 접촉하는 플랜지부(33)와, 상기한 접촉부(34)를 포함하는 홀드 플레이트(3)의 외경측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주위벽부(33a)는 로크 업 피스톤(2)의 외주에 설치된 원통부(2c)[도 4의 (b) 참조]와 대략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33)의 내주연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외측 규제부(33b)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규제부(33b)는 로크 업 피스톤(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외경측 스프링(5)의 축 방향에서 본 외주를 따라서 연장되어 있고, 외경측 스프링(5)의 로크 업 피스톤(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고정부(31)의 외경측에는 고정부(31)와, 접촉부(34)와, 플랜지부(33)로 둘러싸인 개구부(32)가 위치하고 있다.
개구부(32) 내에는, 홀드 플레이트(3)와 로크 업 피스톤(2) 사이에 형성된 수용 공간(S)[도 3의 (b) 참조]에 배치된, 외경측 스프링(5)이 위치하고 있다.
개구부(32)는 회전 중심축(X) 주위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실시 형태에서는, 합계 3개의 개구부(32)가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32)는 회전 중심축(X)에서 보아, 둘레 방향에 배치된 2개의 외경측 스프링(5, 5a, 5b)을 수용 가능한 각도 범위(W)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도 2의 (a), 도 3의 (a) 참조].
개구부(32)의 내경측에는 절단하여 구부려 세운, 내측 규제부(31b)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규제부(31b)는, 도 3의 (a)에 있어서 도면 중 전방측(로크 업 피스톤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구부려져 있고, 개구부(32) 내에 배치되는 외경측 스프링(5)의 내경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이 내측 규제부(31b)는 회전 중심축(X)에서 보아, 리벳 구멍(31a)의 직경 방향 외측에 겹치는 위치를 피하여, 둘레 방향에 있어서 2분할로 형성되어 있고,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규제부(31b)는 회전 중심축(X)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원 Im2를 따라서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개구부(32) 내에 위치하는 외경측 스프링(5)은, 한 쌍의 분할 스프링(5a, 5b)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분할 스프링(5a, 5b)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접촉부(34)측의 단부에는, 리테이너(8)가 삽입되어 장착되어 있다.
분할 스프링(5a, 5b)의 일단부는, 리테이너(8)를 통하여 홀드 플레이트(3)의 접촉부(34)에 둘레 방향으로부터 접촉하고, 타단부는, 후기하는 이퀄라이저(7)의 지지부(72)에 둘레 방향으로부터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외경측 스프링(5)은, 그 양단부가, 회전 중심축(X) 주위의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접촉부(34, 34)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보유 지지되어 있고, 회전 중심축(X) 주위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31)의 내경측에는 내경측 스프링(6)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보유 지지부(35)가, 회전 중심축(X)측으로 팽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보유 지지부(35)는, 회전 중심축(X)에서 보아 접촉부(34)와 겹치는 위치 관계로 형성되어 있고,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중심축(X) 주위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3군데에 설치되어 있다.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스프링 보유 지지부(35)에는 내경측 스프링(6)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보유 지지 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보유 지지 구멍(36)은 내경측 스프링(6)의 축 방향 길이와 대략 동일한 둘레 방향의 폭 W1을 갖고 있고, 보유 지지 구멍(36) 내에 배치되는 내경측 스프링(6)은, 그 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가, 보유 지지 구멍(36)의 테두리(36a, 36a)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보유 지지 구멍(36)의 내경측과 외경측의 테두리에는 절단하여 구부려 세운, 규제부(37, 38)가 설치되어 있다.
규제부(37)는 로크 업 피스톤(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구부려져 있고, 규제부(38)는 로크 업 피스톤(2)측으로 구부려져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 규제부(37, 38)에 의해, 내경측 스프링(6)의 내경 방향과, 외경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회전 중심축(X) 주위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규제부(37, 38)의 폭 W2는, 보유 지지 구멍(36)의 폭 W1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내경측 스프링(6)은, 후기하는 드리븐 플레이트(4)의 스프링 받침부(45)(도 5 참조)에 의해, 당해 내경측 스프링(6)의 축 방향으로 압축되도록 되어 있다. 그로 인해, 내경측 스프링(6)의 축 방향으로의 신축이, 규제부(37)에 의해 크게 저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내경측 스프링(6)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만이, 규제부(37, 38)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스프링 보유 지지부(35)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구멍(36)의 양측은 내경측 스프링(6)의 양단부를 파지하는 파지부(39)로 되어 있다. 이 파지부(39)는 내경측 스프링(6)과의 접촉면을 확보하기 위해, 단면에서 보아 만곡된 형상을 갖고 있다.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파지부(39)는, 단면에서 보아 로크 업 피스톤(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팽출하도록 만곡되어 있고, 이 만곡된 부분에 있어서의 가장 로크 업 피스톤(2)의 근방에 위치하는 정점(39a)이, 보유 지지 구멍(36)의 직경 방향 폭 W3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드리븐 플레이트]
도 5는, 드리븐 플레이트(4)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고, (c)는 (b)에 있어서의 영역 B의 확대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리븐 플레이트(4)는 홀드 플레이트(3)의 로크 업 피스톤(2)과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고, 드리븐 플레이트(4)와 홀드 플레이트(3)는 외주측의 스프링 받침부(45)와 접촉부(34)가, 축 방향에서 보아 겹치는 위치 관계로 설치되어 있다.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리븐 플레이트(4)는 축 방향에서 보아 링 형상의 판 형상 부재의 성형체이고, 그 내경측에는 링 형상의 장착부(41)가 설치되어 있다.
진동 감쇠 장치(1)에 있어서, 장착부(41)는 회전 중심축(X)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장착부(41)에는 장착 구멍(4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 구멍(41a)은 장착부(41)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회전 중심축(X) 주위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합계 6개의 장착 구멍(41a)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장착 구멍(41a)에 삽입 관통한 리벳(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드리븐 플레이트(4)가 토크 컨버터의 터빈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장착부(41)의 외경측은, 로크 업 피스톤(2)측으로 팽출하도록 만곡되는 만곡부(42)로 되어 있고, 이 만곡부(42)에는 만곡부(42)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개구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만곡부(42)의 로크 업 피스톤(2)측에 가장 위치하는 정점부(42a)가, 개구부(43)의 직경 방향 폭 W4에 있어서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43)는 회전 중심축(X) 주위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3개 설치되어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드리븐 플레이트(4)가 진동 감쇠 장치(1)에 내장된 상태에 있어서, 정점부(42a)가, 내경측 스프링(6)의 축 방향에서 본 중앙부를 가로지르도록, 만곡부(42)의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도 5의 (c) 참조].
드리븐 플레이트(4)의 외주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스프링 받침부(45)가, 회전 중심축(X) 주위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합계 3군데에 설치되어 있다.
평면에서 보아 스프링 받침부(45)는, 회전 중심축(X)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둘레 방향의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갖고 있고, 외경측 스프링(5)이 둘레 방향으로부터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스프링 받침부(45)는 로크 업 피스톤(2)측에 위치하는 홀드 플레이트(3)의 접촉부(34)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외경측 스프링(5)과의 접촉면을 확보하기 위해, 단면에서 보아 만곡된 형상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의 (b),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 받침부(45)는 내경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로크 업 피스톤(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팽출하도록 만곡된 내경측 만곡부(45a)와, 회전 중심축(X)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 형상부(45b)를 구비하고 있고, 선 형상부(45b)가, 외경측 스프링(5)의 축 방향에서 본 중앙부를 가로지르도록, 스프링 받침부(45)의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이퀄라이저]
도 6은, 이퀄라이저(7)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a)는 축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고, (b)는 (a)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고, (c)는 (b)에 있어서의 영역 C의 확대도이고, (d)는 (a)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다.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퀄라이저(7)는 회전 중심축(X)의 축 방향에서, 로크 업 피스톤(2)과 홀드 플레이트(3)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로크 업 피스톤(2) 및 홀드 플레이트(3)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퀄라이저(7)는 축 방향에서 보아 링 형상의 본체부(70)와, 플랜지부(71)와, 본체부(70)로부터 내경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72)를 구비한다.
본체부(70)에 있어서의 로크 업 피스톤(2)과는 반대측은, 직경 방향 외측으로 구부려져 있고, 회전 중심축(X)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71)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원심력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한 외경측 스프링(5)이, 본체부(70)의 내주면(70a)에 접촉하게 되어 있고, 본체부(70)가 외경측 스프링(5)으로부터 받는 응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부(70)에 플랜지부(71)를 설치하여 강도를 확보하고 있다.
지지부(72)는, 상기한 분할 스프링(5a, 5b)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것이고, 본체부(70)의 로크 업 피스톤(2)측의 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부(72)는 회전 중심축(X) 주위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3개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분할 스프링(5a, 5b)을 회전 중심축(X) 주위의 둘레 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도 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72)는 로크 업 피스톤(2)측의 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후, 로크 업 피스톤(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구부려져 있고, 또한 그 선단측이, 내경측으로 구부려져 있다. 따라서, 지지부(72)는 외경측 스프링(5)의 축 방향에서 본 중앙부를, 로크 업 피스톤(2)측으로부터 가로지르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이퀄라이저(7)의 트랜스미션측으로의 이동은 홀드 플레이트(3)의 플랜지부(33)에 의해 규제되고, 엔진측으로의 이동은 로크 업 피스톤(2)에 의해 규제된다.
그리고, 이퀄라이저(7)의 내경 방향[회전 중심축(X)]측으로의 이동은 기본적으로는 외경측 스프링(5)에 의해 규제되고, 외경 방향으로의 이동은 로크 업 피스톤(2)의 원통부(2c)에 의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진동 감쇠 장치(1)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의 회전수가 소정 회전수로 되면, 로크 업 피스톤(2)이 유압에 의해 엔진측으로 압박되어, 토크 컨버터(100)는 로크 업 피스톤(2)의 마찰 라이닝(2b)을 커버 컨버터(101)에 체결시킨 로크 업 상태로 된다.
로크 업 상태에서는, 엔진의 회전 구동력이, 로크 업 피스톤(2)을 통하여 홀드 플레이트(3)에 직접 입력되므로, 홀드 플레이트(3)가 회전 중심축(X) 주위에서, 드리븐 플레이트(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이때, 드리븐 플레이트(4)의 스프링 받침부(45)의 접촉면(45c)[도 5의 (a) 참조]이, 외경측 스프링(5)에 축 방향으로부터 접촉하고 있으므로, 홀드 플레이트(3)는 스프링 받침부(45)에서 외경측 스프링(5)을 둘레 방향으로 압축하면서, 드리븐 플레이트(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드리븐 플레이트(4)에는 외경측 스프링(5)을 통하여, 홀드 플레이트(3)에 입력된 회전 구동력이 입력되므로, 이 입력된 회전 구동력은, 도시하지 않은 터빈 허브 및 트랜스미션으로 전달되게 된다.
여기서,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리븐 플레이트(4)의 개구부(43)의 테두리(43a)와, 홀드 플레이트(3)의 스프링 보유 지지부(35)의 보유 지지 구멍(36)의 테두리(36a)는 회전 중심축(X) 주위의 둘레 방향으로 각도 θ의 위상차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홀드 플레이트(3)로부터 드리븐 플레이트(4)로의 회전 구동력의 전달이 개시된 직후에서는, 외경측 스프링(5)만이 압축된다.
그리고,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토크)이 커져, 홀드 플레이트(3)가 드리븐 플레이트(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θ만큼 회전하면, 내경측 스프링(6)의 개구부(43)의 테두리(43a)에 의한 압축이 개시된다.
따라서, 드리븐 플레이트(4)에는, 최종적으로 외경측 스프링(5)과 내경측 스프링(6)을 통하여, 회전 구동력이 입력되게 된다.
실시 형태에 따른 진동 감쇠 장치(1)에 있어서의 주요부를 설명한다.
도 7은, 실시 형태에 따른 진동 감쇠 장치(1)의 이퀄라이저(7)와, 종래예에 따른 감쇠 장치의 이퀄라이저를 비교하는 도면으로, (a)는 실시 형태에 따른 진동 감쇠 장치(1)에 있어서의 이퀄라이저(7) 주위의 확대도이고, (b) 종래예에 따른 진동 감쇠 장치에 있어서의 이퀄라이저 주위의 확대도이다.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퀄라이저(7)의 환형상의 본체부(70)는 회전 중심축(X)에 평행한 축선(X2)에 대하여 소정 각도 θ1 경사져 있고, 본체부(70)의 내경이, 플랜지부(71)가 설치된 일단부측으로부터 타단부측을 향함에 따라서 직경 축소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부(70)의 로크 업 피스톤(2)측의 단부(70b)의 내경은, 진동 감쇠 장치(1)에 있어서 기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외경측 스프링(5)의 외주가 그리는 외경선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외경측 스프링(5)은 축선(X2)에 대하여 경사진 본체부(70)[내주면(70a)]에 의해, 로크 업 피스톤(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로크 업 피스톤(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지 않은 경우, 외경측 스프링(5)이 로크 업 피스톤(2)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회전 구동력의 전달에 의해 외경측 스프링(5)이 신축되면, 로크 업 피스톤(2)의 내주면이 마모되어 버린다.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부(70)를 경사지게 하여, 외경측 스프링(5)이 로크 업 피스톤(2)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마모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전 중심축(X)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본체부(70)의 길이 W6은, 외경측 스프링(5)의 외경 W5보다도 짧게 되어 있고, 단면에서 보아, 본체부의 단부(70b)와 외경측 스프링(5)의 로크 업 피스톤(2)측의 정점 P1을 일치시켜 배치하면, 이퀄라이저(7)의 플랜지부(71)는 외경측 스프링(5)의 중심 C와, 로크 업 피스톤(2)과는 반대측의 정점 P3 사이에 위치하고, 플랜지부(71)의 대향면(71a)이, 정점 P3보다도 로크 업 피스톤(2)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외경측 스프링(5)이 원심력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고, 본체부(70)의 내주면(70a)에 접촉하면, 당해 외경측 스프링(5)의 직경 방향 외측의 정점 P2가, 플랜지부(71)의 근방 위치에서 본체부(70)의 내주면(70a)에 접촉한다.
이러한 위치에서는, 본체부(70)의 강성 강도가 플랜지부(71)에 의해 높아져 있으므로, 본체부(70)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일 없이, 외경측 스프링(5)으로부터 작용하는 원심력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덧붙여 말하면, 종래예[도 7의 (b) 참조]와 같이, 플랜지부(205c)가 내경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이퀄라이저(205)의 경우, 축 방향의 길이 W8을, 플랜지부(205c)와 외경측 스프링(204)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외경측 스프링(204)의 외경 W5보다도 길게 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플랜지부(205c)로부터, 외경측 스프링(204)의 정점 P2가 이퀄라이저(205)에 접촉하는 위치까지의 거리 W9가, 본원의 경우의 거리 W7보다도 필연적으로 길게 되어 버린다. 그로 인해, 정점 P2가 접촉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이퀄라이저(205)의 하중 강도가, 플랜지부(205c)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분만큼 본원의 경우보다도 약해진다. 이러한 경우, 외경측 스프링(204)으로부터 작용하는 원심력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본체부(205a)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른 진동 감쇠 장치(1)의 경우, 이퀄라이저(7)의 플랜지부(71)를 외경 방향으로 연장시켜, 회전 중심축(X)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본체부(70)의 길이 W6을, 직경측 스프링(5)의 외경 W5보다도 짧게 하였다. 그로 인해, 이퀄라이저(7)의 축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홀드 플레이트(3)의 플랜지부(33)를, 이퀄라이저(7)의 플랜지부(71)에 추종시켜, 로크 업 피스톤(2)측으로 이동시키고, 본체부(70)의 단부(70b)로부터 홀드 플레이트(3)의 플랜지부까지의 길이 W10을 짧게 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플랜지부(33)의 위치를, 이퀄라이저(7)의 플랜지부(71)에 추종시켜, 로크 업 피스톤(2)측으로 이동시키고 있고, 이 이동시킨 거리 W11에 상당하는 높이의 주위벽부(33a)를, 플랜지부(33)의 외주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설치하여, 홀드 플레이트(3)의 플랜지부(33)의 강성 강도뿐만 아니라, 홀드 플레이트(3)의 접촉부(34)를 포함하는 외경측의 강성 강도를 높이고 있다.
도 8은, 홀드 플레이트(3)의 접촉부(34)를 포함하는 외경측의 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홀드 플레이트(3)의 접촉부(34)에는, 둘레 방향으로부터 외경측 스프링(5)[리테이너(8)]이 접촉되어 있고, 홀드 플레이트(3)로부터 드리븐 플레이트(4)로의 동력 전달이 행해질 때에는, 접촉부(34)에는 리테이너(8)로부터 둘레 방향을 향하는 가압력(도면 중 화살표 F1 참조)이 작용한다.
여기서, 접촉부(34)는 외경측 스프링(5)의 로크 업 피스톤(2)측의 주연을 따라서 위치하고 있으므로[도 7의 (a) 참조], 접촉부(34)에는, 도 7의 (a)에 있어서 외경측 스프링(5)의 정점 P3측을 지면 전방측으로, 정점 P1측을 지면 안측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비틀림 응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플랜지부(33)의 강성 강도가 낮은 경우[홀드 플레이트(3)의 외경측의 강성 강도가 낮은 경우], 동력 전달시에 있어서 접촉부(34)의 플랜지부(33)측이 동력의 전달 방향(도 9에 있어서 화살표 F2 참조)으로 비틀리는 변형이 발생하고, 단면에서 보아 홀드 플레이트의 외경측에, 비틀림에 대한 협각의 비틀림 회전이 발생하여, 동력의 전달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플랜지부(33)의 외주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주위벽부(33a)를 설치하여, 홀드 플레이트(3)의 플랜지부(33)의 강성 강도뿐만 아니라, 홀드 플레이트(3)의 접촉부(34)를 포함하는 외경측의 강성 강도를 높이고 있으므로, 이러한 비틀림에 대한 협각의 비틀림 회전의 발생을 적절하게 방지하고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플랜지부(33)의 위치를, 이퀄라이저(7)의 플랜지부(71)에 추종시켜, 로크 업 피스톤(2)측으로 이동시키고 있고, 이 이동시킨 거리 W11에 상당하는 높이의 주위벽부(33a)를, 플랜지부(33)의 외주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설치하여, 홀드 플레이트(3)의 플랜지부(33)의 강성 강도뿐만 아니라, 홀드 플레이트(3)의 접촉부(34)를 포함하는 외경측의 강성 강도를 높이고 있다.
즉, 회전 중심축(X)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홀드 플레이트(3)의 길이 Wt를 길게 하는 일 없이, 플랜지부(33)의 강성 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되어 있고, 토크 컨버터(100) 내의 한정된 공간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홀드 플레이트(3)의 외경측의 강성을 높일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토크 컨버터(100)의 로크 업 피스톤(2)에 고정되어, 로크 업 피스톤(2)과 일체로 회전 중심축(X) 주위로 회전하는 홀드 플레이트(3)와, 토크 컨버터(100)의 터빈에 연결되어 회전 중심축(X) 주위로 회전하는 드리븐 플레이트(4)와, 홀드 플레이트(3)의 외경측에서 회전 중심축(X) 주위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동시에, 홀드 플레이트(3)와 드리븐 플레이트(4)를 둘레 방향에서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외경측 스프링(5)을 구비하는 진동 감쇠 장치(1)에 있어서,
홀드 플레이트(3)에는 외경측 스프링(5)이 둘레 방향으로부터 접촉하는 접촉부(34)가, 로크 업 피스톤(2)과의 고정부인 링 형상의 고정부(31)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축 방향에서 보아 링 형상을 갖는 동시에 회전 중심축(X)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33)가, 회전 중심축(X) 주위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복수 설치된 접촉부(34)의 외주를 서로 접속하여 설치되어 있고, 플랜지부(33)의 외주연에는 회전 중심축(X)의 축 방향에서 로크 업 피스톤(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위벽부(33a)가 전체 둘레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홀드 플레이트(3)의 접촉부(34)의 외주를 플랜지부(33)에 의해 서로 접속함으로써, 외경측 스프링(5)이 둘레 방향으로부터 접촉하는 접촉부(34)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강성이 높아지고, 또한, 플랜지부(33)의 외주에 주위벽부(33a)를 전체 둘레에 걸쳐서 설치함으로써, 플랜지부(33)의 회전 중심축의 축 방향의 강성도 높아진다. 이에 의해, 홀드 플레이트(3)의 접촉부(34)의 비틀림 회전 변형에 대하여, 강성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홀드 플레이트(3)의 접촉부(34)가, 외경측 스프링(5)을 통하여 드리븐 플레이트(4)측에 토크를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경측 스프링(5)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퀄라이저(7)를 구비하고 있고, 이퀄라이저(7)는 회전 중심축(X)의 축 방향에서, 로크 업 피스톤(2)과 홀드 플레이트(3) 사이에 설치된 원통 형상의 본체부(70)를 갖고 있고, 본체부(70)의 로크 업 피스톤(2)과는 반대측의 일단부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71)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부(70)의 내경은 플랜지부(71)가 설치된 일단부로부터, 로크 업 피스톤(2)측의 타단부[단부(70b)]를 향함에 따라서 직경 축소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이퀄라이저(7)의 플랜지부(71)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시킴으로써, 플랜지부(71)를, 원심력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한 외경측 스프링(5)과 본체부(70)의 접촉점의 근방에 위치시킬 수 있다. 본체부(70)에서는, 플랜지부(71)의 근방일수록 강성 강도가 높게 되어 있으므로, 본체부(70)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일 없이, 외경측 스프링(5)으로부터 작용하는 원심력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71)를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시킨 종래예의 경우, 플랜지부(205c)와 외경측 스프링(204)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본체부(105A)의 길이 W8을, 외경측 스프링(204)의 외경 W5보다도 길게 할 필요가 있었다[도 7의 (b) 참조].
본원과 같이, 플랜지부(71)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시키면, 플랜지부(71)와 외경측 스프링(5)의 간섭이 없기 때문에, 본체부(70)의 축 방향의 길이 W6을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홀드 플레이트(3)의 플랜지부(33)의 위치를, 이퀄라이저(7)의 플랜지부(71)에 추종시켜, 로크 업 피스톤(2)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토크 컨버터(100) 내의 한정된 공간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홀드 플레이트(3)의 외경측의 강성을 높이는 주위벽부(33a)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70)의 내경은 플랜지부(71)가 설치된 일단부로부터, 로크 업 피스톤(2)측의 타단부[단부(70b)]를 향함에 따라서 직경 축소되어 있으므로, 외경측 스프링(5)은 축선(X2)에 대하여 경사진 본체부(70)[내주면(70a)]에 의해, 로크 업 피스톤(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외경측 스프링(5)이 로크 업 피스톤(2)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것이 적절하게 방지되어 있으므로, 로크 업 피스톤(2)의 내주면의 마모의 발생이 방지되어 있다.
1 : 진동 감쇠 장치
2 : 로크 업 피스톤
3 : 홀드 플레이트
4 : 드리븐 플레이트
5 : 외경측 스프링
6 : 내경측 스프링
7 : 이퀄라이저
8 : 리테이너
31 : 고정부
31a : 리벳 구멍
31b : 내측 규제부
32 : 개구부
33 : 플랜지부
33a : 주위벽부
33b : 외측 규제부
34 : 접촉부
35 : 스프링 보유 지지부
36 : 보유 지지 구멍
37 : 규제부
38 : 규제부
39 : 파지부
41 : 장착부
42 : 만곡부
43 : 개구부
45 : 스프링 받침부
70 : 본체부
70a : 내주면
70b : 단부
71 : 플랜지부
71a : 대향면
72 : 지지부
100 : 토크 컨버터
101 : 커버 컨버터
R : 리벳
S : 수용 공간
X : 회전 중심축
X2 : 축선

Claims (2)

  1. 토크 컨버터의 로크 업 피스톤에 고정되어, 로크 업 피스톤과 일체로 회전 중심축 주위로 회전하는 홀드 플레이트와,
    토크 컨버터의 터빈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중심축 주위로 회전하는 드리븐 플레이트와,
    상기 홀드 플레이트의 외주를 따라서 상기 회전 중심축 주위의 둘레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홀드 플레이트와 상기 드리븐 플레이트를 회전 방향에서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진동 감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드 플레이트에서는,
    상기 스프링이 상기 둘레 방향으로부터 접촉하는 접촉부가, 상기 외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 중심축 주위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접촉부의 외주는, 상기 회전 중심축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링 형상의 연장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의 외주연에는, 상기 회전 중심축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위벽부가 전체 둘레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감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업 피스톤과 상기 홀드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원통 형상의 이퀄라이저를 구비하고,
    상기 이퀄라이저의 상기 로크 업 피스톤과는 반대측의 일단부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퀄라이저의 내경은, 상기 플랜지부가 설치된 일단부로부터, 상기 로크 업 피스톤측의 타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직경 축소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감쇠 장치.
KR1020120113775A 2011-10-15 2012-10-12 진동 감쇠 장치 KR1016482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27510A JP5764458B2 (ja) 2011-10-15 2011-10-15 振動減衰装置
JPJP-P-2011-227510 2011-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747A true KR20130040747A (ko) 2013-04-24
KR101648240B1 KR101648240B1 (ko) 2016-08-12

Family

ID=48060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775A KR101648240B1 (ko) 2011-10-15 2012-10-12 진동 감쇠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764458B2 (ko)
KR (1) KR101648240B1 (ko)
CN (1) CN10304738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19552A (zh) * 2021-08-12 2021-11-30 陕西航天动力高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离合器总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84793A (en) * 2013-09-13 2021-04-22 Nissan Motor Damper device
RU2636844C2 (ru) * 2013-09-13 2017-11-28 Ниссан Мотор Ко., Лтд. Демпф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CN106461048B (zh) * 2014-05-30 2019-03-19 有能沛思株式会社 变矩器的锁定装置
JP6363720B2 (ja) 2014-09-25 2018-07-25 ユニプレス株式会社 ダイナミックダンパ
JP6549387B2 (ja) * 2015-02-24 2019-07-24 ヴァレオカペックジャパン株式会社 捩り振動低減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8217A (ja) * 2000-05-26 2002-02-15 Exedy Corp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装置
JP2002161968A (ja) * 2000-11-27 2002-06-07 Valeo Unisia Transmission Kk ロックアップダンパー装置
JP2009156270A (ja) 2007-12-25 2009-07-16 Aisin Aw Industries Co Ltd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ダンパ装置
JP2010038218A (ja) * 2008-08-04 2010-02-18 Valeo Unisia Transmission Kk 捩り振動低減装置
KR20100043557A (ko) * 2008-10-20 2010-04-29 한국파워트레인 주식회사 차량용 토크컨버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3711A (en) * 1981-03-30 1983-11-08 Borg-Warner Corporation Extended travel damper in a lock-up clutch for a torque converter
US5984065A (en) * 1996-12-06 1999-11-16 Exedy Corporation Lockup damper for torque converter
DE102004039905B4 (de) * 2003-08-28 2015-11-26 Zf Friedrichshafen Ag Schwingungsdämpfungssystem
KR100660567B1 (ko) * 2005-08-30 2006-12-22 한국파워트레인 주식회사 토크 컨버터
EP1780442B1 (de) * 2005-10-29 2011-04-2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rehschwingungsdämpfungseinrichtu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8217A (ja) * 2000-05-26 2002-02-15 Exedy Corp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装置
JP2002161968A (ja) * 2000-11-27 2002-06-07 Valeo Unisia Transmission Kk ロックアップダンパー装置
JP2009156270A (ja) 2007-12-25 2009-07-16 Aisin Aw Industries Co Ltd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ダンパ装置
JP2010038218A (ja) * 2008-08-04 2010-02-18 Valeo Unisia Transmission Kk 捩り振動低減装置
KR20100043557A (ko) * 2008-10-20 2010-04-29 한국파워트레인 주식회사 차량용 토크컨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19552A (zh) * 2021-08-12 2021-11-30 陕西航天动力高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离合器总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87827A (ja) 2013-05-13
CN103047386A (zh) 2013-04-17
JP5764458B2 (ja) 2015-08-19
CN103047386B (zh) 2016-05-04
KR101648240B1 (ko) 2016-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0747A (ko) 진동 감쇠 장치
US20120247901A1 (en) Torque converter
JP2009520168A (ja) トルクコンバータの外縁部に取り付けられたクラッチおよびクラッチをトルクコンバータ内に組み付けるための方法
JP6538729B2 (ja) 切り曲げ加工されたストッパを備えたばね保持プレート
JP2017530317A (ja) ブレード付きトーショナルダンパ
JP2018529904A (ja) 動力車両用の流体力学的トルク連結装置
KR20220052575A (ko) 토크 컨버터용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KR101494946B1 (ko) 진동 감쇠 장치
US9671002B2 (en) Torque converter having torsional vibration damping device
KR101878198B1 (ko) 저강성 댐퍼가 채용된 3-웨이 방식의 토크 컨버터
US8371116B2 (en) Stamped centering plate
KR101339389B1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US20090098944A1 (en) Disk for the transmission of a torque in a torque transmission device of a motor vehicle
JP5955793B2 (ja) トルク伝達装置のダンパー機構
US20160226336A1 (en) Assembly With An Electric Machine
US9777817B2 (en) Clutch device with a friction transmission element
JP4956496B2 (ja) 捩り振動低減装置
KR102349101B1 (ko) 토크 컨버터용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JP5657497B2 (ja) 振動減衰装置
US8393972B2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JP7087480B2 (ja) ダンパ装置
JP5256160B2 (ja) ダンパ装置及び動力伝達装置
KR102206220B1 (ko) 저강성 댐퍼가 채용된 3-웨이 방식의 토크 컨버터
JP4928513B2 (ja) 捩り振動低減装置
CN107878187B (zh) 机动车、混合动力汽车、p2混合动力模块及柔性盘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804

Effective date: 2016021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