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0199A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40199A KR20130040199A KR1020127032760A KR20127032760A KR20130040199A KR 20130040199 A KR20130040199 A KR 20130040199A KR 1020127032760 A KR1020127032760 A KR 1020127032760A KR 20127032760 A KR20127032760 A KR 20127032760A KR 20130040199 A KR20130040199 A KR 201300401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back frame
- head
- respect
- sl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9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slidingly movable in the base frame, e.g. by roll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head-res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의자의 등받이를 기립 상태에서 조금 넘어뜨렸을 때에 시선을 전방으로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의자의 헤드레스트가 등받이에 대하여 일어나, 착석자의 시선을 전방으로 할 수 있고, 또한, 등받이를 크게 넘어뜨려 누운 자세로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의자의 헤드레스트가 등받이에 대하여 넘어가도록 하기 위해서, 의자는, 일으켜 세우거나 넘어뜨릴 수 있는 백 프레임 (8) 과,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일으켜 세우거나 넘어뜨릴 수 있는 헤드 프레임 (22) 을 갖고, 백 프레임 (8) 을 그 기립 상태에서부터 넘어뜨릴수록 헤드 프레임 (22) 이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일어나고, 헤드 프레임 전면의, 상기 백 프레임의 상하 방향의 축에 대한 각도 (α) 가 소정의 각도가 된 후에, 추가로 백 프레임 (8) 을 넘어뜨릴수록 헤드 프레임 (22) 이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넘어가며, 또한, 백 프레임 (8) 을 그 도복 상태에서 일으켜 세울수록 헤드 프레임 (22) 이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일어나고, 상기 각도 (α) 가 소정의 각도가 된 후에, 추가로 백 프레임 (8) 을 일으켜 세울수록 헤드 프레임 (22) 이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넘어가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의자의 뒤쪽에 고정시킨 지축 (支軸) 에 의해 의자의 전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한 등받이와, 그 등받이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한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에 있어서, 등받이를 후방으로 넘어뜨릴수록 등받이에 대하여 헤드레스트가 서서히 일으켜 세워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상기한 종래의 의자에 있어서는, 착석자가 의자의 등받이를 그 기립 상태에서 후방으로 조금 밀어 넘어뜨리고 느긋하게 텔레비전 등을 시청하는 경우에는, 의자의 등받이가 넘어갈수록 의자의 헤드레스트가 등받이에 대하여 서서히 일으켜 세워지기 때문에, 의자의 등받이가 조금 넘어가 있는 상태라도 착석자는 전방을 시인하여, 예를 들어 텔레비전 등을 시청하기 쉽다.
그러나, 착석자가 의자의 등받이를 더욱 크게 넘어뜨려 누운 자세로 한 경우 등에서도, 의자의 헤드레스트가 등받이에 대하여 추가로 일으켜 세워져 소정 이상으로 일어나면, 착석자의 목에 대한 부담이 커진다. 또한, 착석자가 누운 자세를 취한 경우에는, 의자의 헤드레스트가 등받이에 대하여 일어서 있지 않은 쪽이 좋다. 그 때문에, 의자의 헤드레스트를 수동으로 등받이에 대하여 넘어 쓰러뜨리는 것에 있어서는, 그 수동 조작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등받이를 기립 상태에서 조금 넘어뜨리고 시선을 전방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등받이의 넘어가는 동작에 연동하여 의자의 헤드레스트가 등받이에 대하여 일어나 착석자의 시선을 전방으로 할 수 있고, 또한, 등받이를 크게 넘어뜨려 누운 자세를 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등받이의 넘어가는 동작에 연동하여 의자의 헤드레스트가 등받이에 대하여 넘어가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의자는, 일으켜 세우거나 넘어뜨릴 수 있는 백 프레임과, 그 백 프레임에 대하여 일으켜 세우거나 넘어뜨릴 수 있는 헤드 프레임을 갖고,
상기 백 프레임을 그 기립 상태에서 후방으로 넘어뜨릴수록 상기 헤드 프레임이 상기 백 프레임에 대하여 일어나고, 상기 헤드 프레임의, 상기 백 프레임의 상하 방향의 축에 대한 각도가 소정 각도가 된 후에, 추가로 백 프레임을 후방으로 넘어뜨릴수록 상기 헤드 프레임이 상기 백 프레임에 대하여 넘어가고,
상기 백 프레임을 그 도복 (倒伏) 상태에서 일으켜 세울수록 상기 헤드 프레임이 상기 백 프레임에 대하여 일어나고, 상기 헤드 프레임의, 상기 백 프레임의 상하 방향의 축에 대한 각도가 소정 각도가 된 후에, 추가로 상기 백 프레임을 일으켜 세울수록 상기 헤드 프레임이 상기 백 프레임에 대하여 넘어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의자에 있어서, 안내 홈와, 그 안내 홈 안을 이동할 수 있게 형성한 안내 부재를 갖고,
수평면에 대한 상기 백 프레임의 경사 각도에 따라서, 상기 안내 부재의 상기 안내 홈 안에 있어서의 위치가 변화하고,
상기 안내 부재의 상기 안내 홈 안에 있어서의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헤드 프레임의, 상기 백 프레임의 상하 방향의 축에 대한 각도가 변화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의자에 있어서, 추가로, 수평면에 대한 상기 백 프레임의 경사 각도에 따라서 그 백 프레임의 상하 축방향에 대한 위치가 변화하는 슬라이드 프레임을 갖고,
상기 백 프레임과 슬라이드 프레임의 상하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대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헤드 프레임의, 상기 백 프레임의 상하 방향의 축에 대한 각도가 변화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이, 상기 백 프레임을 후방으로 넘어뜨릴수록 그 백 프레임에 대하여 시트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백 프레임을 일으켜 세울수록 그 백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시트와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을 헤드 프레임에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은, 백 프레임이 그 기립 상태에서 헤드 프레임 전면 (前面) 의, 백 프레임의 상하 방향의 축에 대한 각도가 소정 각도가 될 때까지의 사이에는, 백 프레임을 넘어뜨릴수록 헤드 프레임이 백 프레임에 대하여 일으나고, 백 프레임을 일으켜 세울수록 헤드 프레임이 백 프레임에 대하여 넘어가도록 함으로써, 착석자가 백 프레임 (등받이) 를 그 기립 상태에서 조금 넘어뜨리고 전방의 텔레비전 등을 시청하는 경우에는, 헤드 프레임 (헤드레스트) 가 백 프레임의 기립시보다 백 프레임에 대하여 일으켜 세워짐으로써 착석자의 시선을 전방으로 유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백 프레임이 그 도복 상태에서 헤드 프레임 전면의, 백 프레임의 상하 방향의 축에 대한 각도가 소정 각도가 될 때까지의 사이에는, 백 프레임을 넘어뜨릴수록 헤드 프레임이 백 프레임에 대하여 넘어가고, 백 프레임을 일으켜 세울수록 헤드 프레임이 백 프레임에 대하여 일어서도록 함으로써, 백 프레임 (등받이) 를 크게 넘어뜨려 누운 자세 등을 취하는 경우에는 착석자의 목이 피로해지는 일없이,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자는,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이 수동으로 헤드 프레임을 넘어뜨릴 필요가 없이, 백 프레임의 일어서거나 넘어가는 동작에 연동하여 헤드 프레임이 백 프레임에 대해 상기한 바와 같이 일어서거나 넘어가거나 하기 때문에, 헤드레스트의 각도에 신경쓸 필요가 없는, 조작이 용이한 의자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있어서의 의자의 등받이를 기립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설명상 프레임 부분을 나타내며, 쿠션재나 표피재는 생략되어 있다.
도 2 는 도 1 의 우측면도.
도 3 은 도 1 의 정면도.
도 4 는 도 1 의 상면도.
도 5 는 도 4 의 E-E 선단 측면도.
도 6 은 도 5 의 상태에서 백 프레임을 넘어뜨린 상태의 측단면도.
도 7 은 도 6 의 상태에서 추가로 백 프레임을 넘어뜨린 상태의 측단면도.
도 8 은 도 5 의 F-F 선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있어서, 의자의 등받이와 시트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5 의 상태의 측면 약도.
도 10 은 도 9 의 상태에서 등받이를 넘어뜨린 도 6 의 상태의 측면 약도.
도 11 은 도 10 의 상태에서 추가로 등받이를 넘어뜨린 도 7 의 상태의 측면 약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에 있어서의 의자의 등받이를 기립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 설명상 프레임 부분을 나타내며, 쿠션재나 표피재는 생략되어 있다.
도 13 은 도 12 의 상태에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14 는 도 13 의 상태에서 추가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실시예 3 에 있어서의 의자의 등받이를 기립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 설명상 프레임 부분을 나타내며, 쿠션재나 표피재는 생략되어 있다.
도 16 은 도 15 의 상태에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17 은 도 16 의 상태에서 추가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18 은 본 발명의 실시예 4 에 있어서의 의자의 등받이를 기립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 설명상 프레임 부분을 나타내며, 쿠션재나 표피재는 생략되어 있다.
도 19 는 도 18 의 상태에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20 은 도 19 의 상태에서 추가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2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5 에 있어서의 의자의 등받이를 기립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 설명상 프레임 부분을 나타내며, 쿠션재나 표피재는 생략되어 있다.
도 22 는 도 21 의 상태에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23 은 도 22 의 상태에서 추가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24 는 본 발명의 실시예 6 에 있어서의 의자의 등받이를 기립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 설명상 프레임 부분을 나타내며, 쿠션재나 표피재는 생략되어 있다.
도 25 는 도 24 의 상태에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26 은 도 25 의 상태에서 추가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27 은 본 발명의 실시예 9 에 있어서의 의자의 등받이를 기립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 설명상 프레임 부분을 나타내며, 쿠션재나 표피재는 생략되어 있다.
도 28 은 도 27 의 상태에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29 는 도 28 의 상태에서 추가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2 는 도 1 의 우측면도.
도 3 은 도 1 의 정면도.
도 4 는 도 1 의 상면도.
도 5 는 도 4 의 E-E 선단 측면도.
도 6 은 도 5 의 상태에서 백 프레임을 넘어뜨린 상태의 측단면도.
도 7 은 도 6 의 상태에서 추가로 백 프레임을 넘어뜨린 상태의 측단면도.
도 8 은 도 5 의 F-F 선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있어서, 의자의 등받이와 시트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5 의 상태의 측면 약도.
도 10 은 도 9 의 상태에서 등받이를 넘어뜨린 도 6 의 상태의 측면 약도.
도 11 은 도 10 의 상태에서 추가로 등받이를 넘어뜨린 도 7 의 상태의 측면 약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에 있어서의 의자의 등받이를 기립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 설명상 프레임 부분을 나타내며, 쿠션재나 표피재는 생략되어 있다.
도 13 은 도 12 의 상태에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14 는 도 13 의 상태에서 추가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실시예 3 에 있어서의 의자의 등받이를 기립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 설명상 프레임 부분을 나타내며, 쿠션재나 표피재는 생략되어 있다.
도 16 은 도 15 의 상태에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17 은 도 16 의 상태에서 추가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18 은 본 발명의 실시예 4 에 있어서의 의자의 등받이를 기립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 설명상 프레임 부분을 나타내며, 쿠션재나 표피재는 생략되어 있다.
도 19 는 도 18 의 상태에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20 은 도 19 의 상태에서 추가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2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5 에 있어서의 의자의 등받이를 기립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 설명상 프레임 부분을 나타내며, 쿠션재나 표피재는 생략되어 있다.
도 22 는 도 21 의 상태에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23 은 도 22 의 상태에서 추가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24 는 본 발명의 실시예 6 에 있어서의 의자의 등받이를 기립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 설명상 프레임 부분을 나타내며, 쿠션재나 표피재는 생략되어 있다.
도 25 는 도 24 의 상태에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26 은 도 25 의 상태에서 추가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27 은 본 발명의 실시예 9 에 있어서의 의자의 등받이를 기립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 설명상 프레임 부분을 나타내며, 쿠션재나 표피재는 생략되어 있다.
도 28 은 도 27 의 상태에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29 는 도 28 의 상태에서 추가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11 은, 실시예 1 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의 의자 (1) 는, 도 1 ~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받침대 (2) 를 갖는다. 그 받침대 (2) 상에는, 그 상하 방향 (수직 방향) 을 회전축으로 하여 그 받침대 (2) 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대 (3) 가 구비되어 있다. 그 회전대 (3) 에는 의자 프레임 (4) 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의자 (1) 의 착석측, 즉 도 5 에 있어서의 백 프레임 (8) (등받이 (28)) 와 반대측을 앞 (A) 으로 하고, 백 프레임 (8) 측을 뒤 (B) 로 하며, 도 3 에 있어서의 좌측을 왼쪽 (C), 우측을 오른쪽 (D) 으로서 설명한다.
상기 의자 프레임 (4) 은, 도 1 ~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사이드 틀 (4a, 4b) 과, 그 양 사이드 틀 (4a, 4b) 의 하단 사이에 가설된 하부 틀 (4c) 을 갖고, 양 사이드 틀 (4a, 4b) 과 하부 틀 (4c) 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틀 (4c) 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회전대 (3) 가 고정 설치되고, 그 회전대 (3)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A) 에서 후방 (B) 을 향할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회전대 (3) 의 뒤쪽에는, 상하 방향 (수직 방향) 으로 세워서 형성된 원통상의 기부 (基部) (3a) 가 설치되어 있다. 그 기부 (3a) 는, 상기 받침대 (2) 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양 사이드 틀 (4a, 4b) 의 상단부에는 팔꿈치부를 구성하는 부재, 본 실시예에서는 판상의 팔꿈치 프레임 (5, 5) 이 의자 (1) 의 전후 (A-B)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양 사이드 틀 (4a, 4b) 의 상부 후방에는, 도 5 ~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수평 (C-D 방향) 하게 돌출되는 지축 (7, 7) 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 지축 (7) 에는, 이 지축 (7) 을 중심축으로 하여 백 프레임 (8) 이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 백 프레임 (8) 은, 도 1,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에 한 쌍의 사이드 틀 (이하, 등의 사이드 틀이라고 한다) (8a, 8b) 을 갖고, 본 실시예 1 에서는, 그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을 원통이면서 중공상의 금속제 파이프로 구성하였다. 그 양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은, 그 축방향이 의자 (1) 의 좌우 (C-D)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방향 중간부에는 상기 지축 (7, 7) 이 삽입 통과되고, 그 지축 (7, 7) 을 중심으로 하여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이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양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상부 사이에는, 연결봉 (8c) 이 가설되어 있다.
상기 양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하단부에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프레임 (10) 이 전후 (A-B)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 시트 프레임 (10) 은 좌우에 한 쌍의 사이드 틀 (이하, 시트의 사이드 틀이라고 한다) (10a, 10b) 을 갖고, 본 실시예 1 에서는, 그 시트의 사이드 틀 (10a, 10b) 를 원통이면서 중공상의 금속제 파이프로 구성하였다. 이 시트의 사이드 틀 (10a, 10b) 은, 그 축방향이 의자 (1) 의 전후 (A-B)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 시트의 사이드 틀 (10a, 10b) 의 전단부 사이에는 시트 프론트 틀 (10c) 이 가설되고, 양 시트의 사이드 틀 (10a, 10b) 의 후단부 사이에는 시트 리어 틀 (10d) 이 가설되어 있다. 그 시트 리어 틀 (10d) 의 양 측부에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리어 틀 (10d) 에서 뒷 (B)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편 (10e, 10e) 이 형성되고, 그 각각의 연결편 (10e, 10e) 에는, 상기 양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하단부가,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연결축 (10f) 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의자 프레임 (4) 의 양 사이드 틀 (4a, 4b) 의 내면에는, 도 1, 도 5 ~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안내 부재 (11, 11) 가 형성되고, 그 시트 안내 부재 (11) 는, 도 5 ~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 (A) 쪽에서 뒤 (B) 쪽으로 향할수록 완만하게 하강하는 만곡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시트 안내 부재 (11, 11) 에는, 그 시트 안내 부재 (11, 11) 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안내 수용 부재 (12, 12) 가 구비되어 있다. 그 안내 수용 부재 (12, 12) 의 내측에는, 상기 양 시트의 사이드 틀 (10a, 10b) 의 축방향 중간부가,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시트축 (12a) 에 의해 연결되어, 그 시트축 (12a) 을 중심으로 하여 시트의 사이드 틀 (10a, 10b) 이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로써, 시트 프레임 (10) 은, 시트축 (12a) 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또한 안내 부재 (11) 를 따라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양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상단부에는, 각각 헤드 안내 부재 (14, 14) 가 형성되어 있다. 그 각 헤드 안내 부재 (14, 14) 는 판상 부재 (14a, 14a) 를 갖고, 그 판상 부재 (14a, 14a) 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 (하단부) 가 양 등의 사이드 틀 (8a, 8b) 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판상 부재 (14a, 14a) 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 (상단부) 에는 핀 (14b, 14b) 이 형성되어 있다. 그 핀 (14b) 은, 도 3,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상 부재 (14a) 의 외면에서 좌우 (C-D)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 등의 사이드 틀 (8a, 8b) 에는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 (15) 은, 도 1, 도 5 ~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백 프레임 (8) 보다 앞 (A) 쪽에 위치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 (15) 은, 도 1,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에 1 쌍의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과 연결 부재 (20) 를 갖고 있다. 상기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을, 본 실시예 1 에서는, 원통이면서 중공상의 금속제 파이프로 구성하였다. 이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은, 그 축방향이 상기 등의 사이드 틀 (8a, 8b) 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의 상부의 뒤쪽 사이에는 연결봉 (17) 이 가설되고, 양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의 하부의 뒤쪽 사이에는 연결봉 (18) 이 가설되어 있다. 또한, 우측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의 상부와 하부의 뒤 (B) 쪽 (백 프레임 (8) 측) 에는, 도 5 ~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 (20, 20) 가 고정 부재 (20a) 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측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b) 의 상부와 하부의 뒤 (B) 쪽 (백 프레임 (8) 측) 에도, 도 5 ~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 (20, 20) 가 고정 부재 (20a) 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 우측 연결 부재 (20, 20) 는, 우측 등의 사이드 틀 (8a) 에 대하여 그 축방향, 즉 백 프레임 (8) 의 상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여유를 두고 끼워져 있다. 또한, 좌측 연결 부재 (20, 20) 도, 왼쪽 등의 사이드 틀 (8b) 에 대하여 그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여유를 두고 끼워져,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상기 양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연결 부재 (20) 로는 플라스틱, 금속, 목재 등 고체상이면서 성형 가능한 재질이면 임의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아세탈 (POM) 을 사용하였다.
상기 연결 부재 (20) 의 뒤 (B) 쪽에는, 도 5 ~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의 백 패널 (21) 이 고정 설치되고, 슬라이드 프레임 (15) 과 등의 백 패널 (21) 이 일체로서,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등의 백 패널 (21) 은, 등판 (21a) 과, 그 등판 (21a) 의 양측에 형성된 양 사이드판 (21b, 21b) 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우측 사이드판 (21b) 은 우측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과 의자 프레임 (4) 의 우측 사이드 틀 (4a) 사이에, 좌측 사이드판 (21b) 은 좌측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b) 과 의자 프레임 (4) 의 좌측 사이드 틀 (4b)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 사이드판 (21b, 21b) 에는, 그 표리를 관통하는 장공 (21c) 이, 그 길이 방향이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방향이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장공 (21c) 에는 상기 지축 (7) 이 관통하고 있다.
상기 양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의 상단부에는, 도 5 ~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프레임 (22) 이 형성되어 있다. 그 헤드 프레임 (22) 은 좌우에 한 쌍의 헤드 캠 (22a, 22a) 을 갖고, 이들의 하부에 형성된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인 헤드 축 (22b, 22b) 을 상기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의 상단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하여, 헤드 프레임 (22) 이 전후로 회전 운동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그 헤드 캠 (22a) 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적어도 그 내면으로 개구되는 안내 홈 (23) 이 형성되어 있다. 그 안내 홈 (23) 은, 헤드 캠 (22a) 의 외측면까지 관통하는 관통공으로 형성해도 되고, 헤드 캠 (22a) 의 외측면으로는 개구되지 않는 바닥을 가진 홈으로 형성해도 된다. 상기 헤드 캠 (22a) 의 뒤쪽에는, 헤드 백 패널 (25)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 홈 (23) 은, 본 실시예 1 에서는, 도 5 ~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캠 (22a) 의 하부에서 상방을 향할수록 뒤 (B) 쪽으로 경사지는 제 1 안내 홈 (23a) 과, 그 제 1 안내 홈 (23a) 의 상부에 원호상으로 형성된 원호 홈 (23b) 과, 그 원호 홈 (23b) 의 상부에 헤드 캠 (22a) 의 하방에서 상방을 향할수록 앞 (A) 쪽으로 경사지는 제 2 안내 홈 (23c) 이 연속되는 「く」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 홈 (23) 내에는, 상기 백 프레임 (8) 의 핀 (14b) 이 안내 홈 (23) 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여유를 두고 끼워져 있다.
상기 양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의 하단부에는, 도 1, 도 5 ~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 (27) 의 일단부 (하단부) 가,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회전축 (27a) 에 의해, 이것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링크 (27) 의 타단부 (상단부) 는, 의자 프레임 (4) 의 양 사이드 틀 (4a, 4b) 의 상부 뒤 (B) 쪽 내면에,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회전축 (27b) 에 의해, 이것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링크 (27) 는 그 타단측 회전축 (27b) 이, 도 5,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프레임 (8) 이 기립한 상태에 있어서 일단측 회전축 (27a) 보다 전방 (A) 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크 (27) 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그 측면 형상은 호상 (弧狀) 으로 형성됨과 함께, 그 호의 중심측이 앞쪽 (A) 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링크 (27) 의 측면 형상은, 상기한 바와 같은 호상 이외에도 직선상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양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의 사이 및 양 헤드 캠 (22a, 22a) 의 사이에는 제 1 마포 (麻布) 탄력재 (도시 생략) 가 형성되고, 그 양측이, 탄성 지지 수단 (도시 생략) 을 개재하여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과 헤드 캠 (22a, 22a) 에 장착되어 있다. 그 제 1 마포 탄력재의 상단이 상기 헤드 캠 (22a, 22a) 의 상단부 사이에 형성된 연결봉 (도시 생략) 에 고정되고, 제 1 마포 탄력재의 하단이 슬라이드 프레임 (15) 의 하부 연결봉 (18) 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 1 마포 탄력재의 양측은, 상기 탄성 지지 수단에 의해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그 탄성 지지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을 사용하였다.
상기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사이에 형성된 제 1 마포 탄력재의 전면에는 등의 우레탄재가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헤드 캠 (22a, 22a) 사이에 형성된 제 1 마포 탄력재의 전면에는 헤드 우레탄재가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제 1 표피재 (도시 생략) 는,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 (15) 과 백 프레임 (8) 과 제 1 마포 탄력재과 등의 우레탄재와 헤드 우레탄재와 등의 백 패널 (21) 과 헤드 백 패널 (25) 의 외주부 전체를 덮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 제 1 표피재는, 슬라이드 프레임 (15), 백 프레임 (8), 제 1 마포 탄력재, 등의 우레탄재, 헤드 우레탄재, 등의 백 패널 (21), 헤드 백 패널 (25) 중 어느 것에 고정시켜도 되고, 어디에도 고정시키지 않아도 된다.
상기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사이에 형성된 제 1 마포 탄력재과 등의 우레탄재에 의해 등 쿠션재가 구성되어 있는데, 그 등 쿠션재로는, 마포 탄력재나 우레탄재 이외에도 임의의 쿠션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프레임 (15) 과 백 프레임 (8) 과 등 쿠션재와 등의 백 패널 (21), 제 1 표피재에 의해 등받이 (28) 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 캠 (22a, 22a) 사이에 형성된 제 1 마포 탄력재과 헤드 우레탄재에 의해 헤드 쿠션재가 구성되어 있는데, 그 헤드 쿠션재로는, 마포 탄력재나 우레탄재 이외에도 임의의 쿠션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헤드 프레임 (22) 과 헤드 쿠션재와 헤드 백 패널 (25) 과 제 1 표피재에 의해 헤드 레스트 (30) 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 프레임 (10) 에는 제 2 마포 탄력재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그 양측이 각각 시트의 사이드 틀 (10a, 10b) 에 고정되고, 제 2 마포 탄력재의 앞단이 시트 프론트 틀 (10c) 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 2 마포 탄력재의 후단부는 시트 리어 틀 (10d) 에 탄성 지지 수단 (도시 생략) 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어, 상기 제 2 마포 탄력재의 후단부는, 상기 탄성 지지 수단에 의해 시트 프레임 (10) 의 뒤쪽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있다. 이 탄성 지지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을 사용하였다.
상기 제 2 마포 탄력재의 상부에는 시트 우레탄재가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제 2 마포 탄력재과 시트 우레탄재에 의해 시트 쿠션재가 구성되어 있는데, 시트 쿠션재로는, 마포 탄력재나 우레탄 이외에도 임의의 쿠션재를 사용할 수 있다.
제 2 표피재 (도시 생략) 는, 상기 시트 프레임 (10) 과 시트 쿠션재의 외주부 전체를 덮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 제 2 표피재는, 시트 프레임 (10), 제 2 마포 탄력재, 시트 우레탄 중 어느 것에 고정시켜도 되고, 어디에도 고정시키지 않아도 된다. 상기 시트 프레임 (10) 과 시트 쿠션재와 제 2 표피재에 의해 시트 (29) 가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의자 (1) 의 움직임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자 (1) 의 백 프레임 (8) (등받이 (28)) 를 기립시킨 상태에서, 백 프레임 (8) 을 지축 (7) 을 중심으로 하여 서서히 후방 (B) 으로 넘어뜨려 가면, 도 6,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 (27) 는, 의자 프레임 (4) 측의 회전축 (27b) 을 중심으로 하여 그 슬라이드 프레임 (15) 측이 전방으로 회전 운동함과 함께, 회전축 (27a) 에 연결된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을 따라서 하측 방향 (시트 (29) 방향) 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슬라이드 프레임 (15) 에 형성된 등 쿠션재와 제 1 표피재도 시트 (29)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한다. 즉, 백 프레임 (8) 에 대한 슬라이드 프레임 (15) 의 위치가, 수평면에 대한 상기 백 프레임 (8) 의 상하 축방향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방향) 의 경사 각도 (β) 에 따라서 변화한다.
또한, 시트 프레임 (10) 은, 백 프레임 (8) 이 서서히 넘어감에 따라서, 백 프레임 (8) 의 하단부에 의해 전방 (A) 으로 밀리고, 시트 안내 부재 (11) 를 따라서 서서히 앞쪽 상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헤드 프레임 (22) 은, 슬라이드 프레임 (15) 의 상단에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도 6,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프레임 (22) 이 슬라이드 프레임 (15) 과 함께 하측 (시트 (29) 방향) 으로 이동한다. 이 때, 헤드 안내 부재 (14) 가, 헤드 캠 (22a) (안내 홈 (23)) 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방 (시트 (29) 와 반대측 방향) 으로 이동한다. 즉, 핀 (14b) 이, 하부에서 상부를 향할수록 후방 (B) 으로 경사지는 제 1 안내 홈 (23a) 안에서 상방을 향해 서서히 이동한다. 이로써,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 (백 프레임 (8) 의 상하 방향의 축) 과 헤드 프레임 (22) (헤드 캠 (22a)) 전면과의 각도 (α) 가 서서히 커지고, 헤드 레스트 (30) (헤드 프레임 (22)) 가 등받이 (28)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서서히 일어난다.
그리고, 핀 (14b) 이 원호 홈 (23b) 의 중앙에 위치하였을 때, 헤드 프레임 (22) (헤드 캠 (22a)) 전면의, 백 프레임 (8) 의 상하 방향의 축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 에 대한 각도 (α) 가 최대 (소정치) 가 된다.
도 7,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가로 백 프레임 (8) 을 서서히 넘어뜨려 가면, 링크 (27) 의 회전 운동에 의해,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더욱 하측 (시트 (29)) 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핀 (14b) 이, 헤드 캠 (22a) 에 있어서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할수록 전방 (A) 으로 경사지는 제 2 안내 홈 (23c) 안에서 상방을 향해 서서히 이동한다. 이로써,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과 헤드 캠 (22a) 전면과의 각도 (α) 가 서서히 작아지고, 헤드 프레임 (22) (헤드 레스트 (30)) 이 백 프레임 (8) (등받이 (28)) 에 대하여 서서히 후방으로 넘어간다.
또한, 상기 움직임과는 반대로, 도 7,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자 (1) 의 등받이 (28) (백 프레임 (8)) 을 넘어뜨린 상태에서 백 프레임 (8) 을 서서히 일으켜 세워가면, 링크 (27) 의 상기와는 반대 방향의 회전 운동에 의해,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을 따라서 상측 방향 (시트 (29) 와 반대측 방향) 으로 이동한다. 이에 수반하여, 헤드 프레임 (22) 이, 백 프레임 (8) 을 일으켜 세울수록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서서히 일어나, 헤드 프레임 (22) 전면의, 백 프레임 (8) 의 상하 방향의 축에 대한 각도 (α) 가 소정치가 된 후에, 추가로 백 프레임 (8) 을 일으켜 세우면, 백 프레임 (8) 이 일어설수록 헤드 프레임 (22) 이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서서히 후방으로 넘어가, 도 5, 도 9 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즉, 백 프레임 (8) 이 도 5 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기립한 상태로부터, 헤드 프레임 (22) 전면의, 백 프레임 (8) 의 상하 방향의 축에 대한 각도 (α) 가 최대치가 될 때까지는, 백 프레임 (8) 을 넘어뜨릴수록 헤드 프레임 (22) 이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일어나고, 백 프레임 (8) 을 일으켜 세울수록 헤드 프레임 (22) 이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넘어간다.
또한, 백 프레임 (8) 이 상기 각도 (α) 가 최대치가 되는 상태로부터, 도 7 에 나타내는 백 프레임 (8) 이 도복된 상태가 될 때까지는, 백 프레임 (8) 을 넘어뜨릴수록 헤드 프레임 (22) 이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넘어가고, 백 프레임 (8) 을 일으켜 세울수록 헤드 프레임 (22) 이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일어선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있어서의 의자 (1) 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백 프레임 (8) (등받이 (28)) 를 넘어뜨릴수록 슬라이드 프레임 (15) 과 슬라이드 프레임에 형성된 등 쿠션재와 등의 백 패널 (21) 과 제 1 표피재가 함께 시트 (29) 방향으로 이동하고, 백 프레임 (8) (등받이 (28)) 를 일으켜 세울수록 슬라이드 프레임 (15) 과 등 쿠션재와 제 1 표피재가 함께 시트 (29) 와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였다. 이로써, 도 9 에 나타내는 등받이 (28) 의 기립 상태와 도 11 에 나타내는 등받이 (28) 의 도복 상태의, 등받이 (28) 가 일어서거나 넘어가는 동작에 있어서, 도 9 ~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29) 의 상면 뒤쪽 (29a) 과 등받이 (28) 의 전면 하부 (28a) 와의 거리의 변화량은, 등받이 (28) 가 일어서거나 넘어가는 것에 연동하여 등 쿠션재가 백 프레임 (8) 에 대해 이동하지 않는 의자와 비교하여 매우 적다.
이로써, 사용자가, 등받이 (28) 를 세운 상태의 의자 (1) 에 착석하여, 등받이 (28) 에 기댄 상태에서 등받이 (28) 를 밀어 넘어뜨리거나, 일으켜 세우거나 하여도, 등받이 (28) 에 의해 입은 옷이 상방으로 들려 올라가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등받이 (28) 를 세우거나 넘어뜨린 경우에도 입은 옷을 고치거나 다시 고쳐 앉거나 할 필요없이, 쾌적하게 의자 (1) 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 (28) 를 세우거나 넘어뜨릴 때에, 사용자와 등받이 (28) 의 표피가 마찰되거나 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어, 등받이 (28) 의 표피의 상처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백 프레임 (8) 을 기립시킨 상태에서 서서히 넘어뜨려, 헤드 프레임 (22) 전면의, 백 프레임 (8) 의 상하 방향의 축에 대한 각도 (α) 가 소정치가 될 때까지는, 백 프레임 (8) (등받이 (28)) 를 서서히 넘어뜨릴수록 헤드 프레임 (22) (헤드 레스트 (30)) 이 백 프레임 (8) (등받이 (28)) 에 대하여 서서히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착석자가 의자 (1) 의 등받이 (28) 를 조금 넘어뜨리고 전방의 텔레비전 등을 시청하는 경우에는, 도 5, 도 9 에 나타낸 상태보다 헤드 레스트 (30) 가 등받이 (28) 에 대하여 일어서 있음으로써, 착석자의 시선을 전방으로 유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헤드 프레임 (22) 전면의, 백 프레임 (8) 의 상하 방향의 축에 대한 각도 (α) 가 소정치가 된 후에는, 백 프레임 (8) (등받이 (28)) 를 넘어뜨릴수록 헤드 프레임 (22) (헤드 레스트 (30)) 이 백 프레임 (8) (등받이 (28)) 에 대하여 서서히 넘어가도록 함으로써, 착석자가 의자 (1) 의 등받이 (28) 를 크게 넘어뜨려 누운 자세 등을 취한 경우에는, 착석자의 목이 피로해지는 일없이,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또, 링크 (27) 를 그 타단측 회전축 (27b) 이, 도 5,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프레임 (8) 이 기립한 상태에 있어서 일단측 회전축 (27a) 보다 전방 (A) 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했는데, 링크 (27) 에 의해, 백 프레임 (8) 을 후방으로 넘어뜨릴수록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하측 방향 (시트 (29) 방향) 으로 이동하고, 백 프레임 (8) 을 전방으로 일으켜 세울수록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상측 방향 (시트 (29) 와 반대측 방향) 으로 이동할 수 있으면 되며, 링크 (27) 의 형상이나 링크 (27) 와 타 부재와의 위치 관계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2 내지 도 14 는 실시예 2 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 2 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수평면에 대한 상기 백 프레임 (8) 의 상하 방향의 축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 의 경사 각도 (β) 에 따라서 슬라이드 프레임 (15) 을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백 프레임 (8) 의 경사 각도 (β) 에 따라서, 헤드 프레임 (22) 전면의, 상기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에 대한 각도 (α) 를 변화시키는 방법이, 상기 실시예 1 과는 상이한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 2 에서는, 헤드 프레임 (35) 을, 도 12 ~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의 상단부에,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헤드 축 (35c) 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 헤드 프레임 (35) 의 뒤 (B) 쪽면은, 도 12 ~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하단부에서 중앙부까지를 상방을 향할수록 뒤 (B) 쪽으로 경사지는 제 1 테이퍼면 (35a) 으로 하고, 그 제 1 테이퍼면 (35a) 의 상단에서 헤드 프레임 (35) 의 상단부까지를 상방을 향할수록 앞 (A) 쪽으로 경사지는 제 2 테이퍼면 (35b) 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백 프레임 (8) 은 좌우에 1 쌍의 등의 사이드 틀 (8a, 8a) 을 갖고,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프레임 (8) 이 기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등의 사이드 틀 (8a, 8a) 의 상단이 상기 제 1 테이퍼면 (35a) 의 하부 뒤쪽에 위치하는 구조인 점에서 상기 실시예 1 의 백 프레임 (8) 과는 상이하지만, 그 밖의 구조는 상기 실시예 1 의 백 프레임 (8) 과 동일하다.
상기 헤드 프레임 (35) 의 중심부에는, 연결 링크 (37) 의 일단 (상단) 이,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회전축 (37a) 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연결 링크 (37) 의 타단 (하단) 이 상기 등의 사이드 틀 (8a, 8a) 의 상단에,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회전축 (37b) 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 링크 (37) 는,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프레임 (8) 이 기립한 상태에 있어서, 일단측 회전축 (37a) 이 타단측 회전축 (37b) 보다 전방이면서, 또한 상방에 위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 밖의 구조, 구성은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제 2 실시예의 의자 (1) 의 움직임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백 프레임 (8) 을, 도 12 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기립한 상태에서, 지축 (7) 을 중심으로 하여 서서히 후방으로 넘어뜨려 가면, 링크 (27) 에 의해, 도 13,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등의 사이드 틀 (8a, 8a) 을 따라서 하측 (시트 (29))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백 프레임 (8) 을,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복 상태에서 서서히 일으켜 세우면,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등의 사이드 틀 (8a, 8) 을 따라서 상측 (시트 (29) 방향과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백 프레임 (8) 을, 도 12 에 나타내는 기립 상태에서 서서히 넘어뜨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프레임 (15) 을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하측 (시트 (29))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시키면, 연결 링크 (37) 는, 회전축 (37b) 을 중심으로 하여 그 상단측이 앞 (A) 쪽으로 회전 운동한다. 이로써, 연결 링크 (37) 의 회전축 (37a) 에 연결된 헤드 프레임 (35) 이, 헤드 축 (35c) 을 중심으로 하여 그 상부가 앞 (A) 쪽으로 회전 운동한다. 이 연결 링크 (37) 가 회전축 (37b) 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함으로써, 헤드 프레임 (35) 의 회전축 (37a) 에서부터 등의 사이드 틀 (8a) 의 축에 내린 수선 (垂線) 의 거리 (L1) 가 서서히 커진다.
따라서, 백 프레임 (8) 이, 도 12 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기립한 상태에서 서서히 후방으로 넘어가면, 헤드 프레임 (35) 이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서서히 일어난다. 즉, 헤드 프레임 (35) 전면의, 백 프레임 (8) 의 상하 방향의 축에 대한 각도 (α) 가 서서히 커진다.
그리고, 백 프레임 (8) 을 소정의 위치까지 넘어뜨리면, 연결 링크 (37) 의 회전축 (37a) 에서 등의 사이드 틀 (8a) 의 축에 내린 수선의 거리 (L1) 가 최대가 되어, 상기 각도 (α) 도 최대 (소정치) 가 된다.
그 후, 추가로 백 프레임 (8) 을 후방으로 넘어뜨리면,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하측 (시트 (29)) 방향으로 추가로 이동하고, 연결 링크 (37) 가 다시 회전축 (37b) 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으로 회전 운동하여, 상기 거리 (L1) 가 서서히 작아지고, 상기 각도 (α) 도 서서히 작아진다. 이로써, 헤드 프레임 (35) 이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후방으로 서서히 넘어가 도 14 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또 상기 움직임과는 반대로, 백 프레임 (8) 을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복 상태에서 서서히 일으켜 세워 가면, 백 프레임 (8) 이 일어설수록 헤드 프레임 (35) 이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서서히 일어나, 상기 각도 (α) 가 최대 (소정치) 가 된 후에, 추가로 백 프레임 (8) 을 일으켜 세우면, 백 프레임 (8) 이 일어설수록 헤드 프레임 (35) 은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서서히 후방으로 넘어가 도 12 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2 에서도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백 프레임 (8) 과 슬라이드 프레임 (15) 의 상하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대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헤드 프레임 (35) 전면의, 백 프레임 (8) 의 상하 방향의 축 (등의 사이드 틀 (8a) 의 축) 에 대한 각도 (α) 가 변화한다.
본 실시예 2 에서도,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5 내지 도 17 은, 실시예 3 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 3 은 상기 실시예 1, 2 와 동일하게, 수평면에 대한 상기 백 프레임 (8) 의 상하 방향의 축의 경사 각도 (β) 에 따라서 슬라이드 프레임 (15) 을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백 프레임 (8) 의 경사 각도 (β) 에 따라서, 헤드 프레임 (45) 전면의, 상기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에 대한 각도 (α) 를 변화시키는 방법이 상기 실시예 1, 2 와는 상이한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 3 에 있어서,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고정 헤드 부재 (42) 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고정 헤드 부재 (42) 에는 그 표리를 관통하는 굴곡 안내 홈 (43) 이 형성되어 있다. 그 굴곡 안내 홈 (43) 은 적어도 고정 헤드 부재 (42) 의 외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되며, 굴곡 안내 홈 (43) 은 그 표리를 관통하는 관통공으로 형성해도 되고, 고정 헤드 부재 (42) 의 내측으로는 개구되지 않는 바닥을 가진 홈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 굴곡 안내 홈 (43) 은, 도 15 ~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헤드 부재 (42) 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할수록 앞 (A) 쪽으로 경사지는 제 1 안내 홈 (43a) 과, 그 제 1 안내 홈 (43a) 의 상부에 고정 헤드 부재 (42) 의 하측에서 상측을 향할수록 뒤 (B) 쪽으로 경사지는 제 2 안내 홈 (43b) 이 연속되는 「く」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헤드 프레임 (45) 은 좌우에 한 쌍의 헤드 캠 (45a, 45a) 을 갖고, 그 각 헤드 캠 (45a) 은 상기 각 고정 헤드 부재 (42) 의 하부 외측에,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헤드 축 (45d) 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헤드 캠 (45a) 의 내측면에는 장공상 안내 홈 (45b) 이, 그 길이 방향의 일단 (하단) 은 헤드 캠 (45a) 의 하부에, 타단 (상단) 은 헤드 캠 (45a) 의 중앙 상부 근처에 형성되며, 하방에서 상부를 향할수록 뒤 (B) 쪽으로 향하는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5 에 나타낸 것과 같은 백 프레임 (8) 이 기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장공상 안내 홈 (45b) 은, 그 길이 방향이 상기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방향에 대하여 장공상 안내 홈 (45b) 의 상단쯤 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도 15 ~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장공상 안내 홈 (45b) 과 굴곡 안내 홈 (43) 안의 쌍방에 관통해서 안내 부재 (46) 가 여유를 두고 끼워져, 그 안내 부재 (46) 는 장공상 안내 홈 (45b) 과 굴곡 안내 홈 (43) 안을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 부재 (46) 의 안내 홈 (45b, 43) 과의 걸림고정부를, 본 실시예에서는 핀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이 장공상 안내 홈 (45b) 과 굴곡 안내 홈 (43) 의 형상이 상기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안내 부재 (46) 가 굴곡 안내 홈 (43) 과 장공상 안내 홈 (45b) 안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안내 부재 (46) 의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헤드 프레임 (45) 전면의, 상기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에 대한 각도 (α) 가 변화한다. 또한, 안내 부재 (46) 가 제 2 안내 홈 (43b) 과 장공상 안내 홈 (45b) 안을, 그 최상단의 위치에서부터 서서히 하방으로 이동할수록 헤드 프레임 (45) 이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서서히 일어나, 즉 헤드 프레임 (45) 전면의, 백 프레임 (8) 의 상하 방향의 축에 대한 각도 (α) 가 서서히 커진다. 또한, 이 각도 (α) 가 최대 (소정치) 에 도달한 후에는, 안내 부재 (46) 가 제 1 안내 홈 (43a) 과 장공상 안내 홈 (45b) 안을 서서히 하방으로 이동할수록 헤드 프레임 (45) 이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서서히 넘어가, 즉 상기 각도 (α) 가 서서히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각 헤드 캠 (45a) 의 상부에는, 그 내측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핀 (45c) 이 형성되어 있다. 그 핀 (45c) 은, 도 15 ~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장공상 안내 홈 (45b) 보다 헤드 캠 (45) 의 전면측이면서, 또한 시트 (29) 와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끈형상으로서 임의의 장소에서 만곡이 가능한 금속제 와이어, 비닐 로프 등으로 형성되며 또한 안내 부재 (46) 를 이동시키는 제 1 이동 부재 (48) 가, 도 15 ~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일단을 지축 (7) 에 대하여 고정시키고, 그 중간부를 링크 (27) 의 슬라이드 프레임 (15) 측 회전축 (27a) 의 외측에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걸어서 되돌려, 타단을 안내 부재 (46) 에 고정시킨 상태로, 지축 (7) 과 안내 부재 (46) 사이에 느슨해지지 않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이동 부재 (48) 로서 금속제 와이어를 사용하였다.
또한, 끈형상으로서 임의의 장소에서 만곡이 가능한 금속제 와이어, 비닐 로프 등으로 형성되며 또 안내 부재 (46) 를 이동시키는 제 2 이동 부재 (49) 가, 도 15 ~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일단을 지축 (7) 에 대하여 고정시키고, 그 중간부를 헤드 캠 (45a) 의 핀 (45c) 의 외측에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걸어서 되돌려, 타단을 안내 부재 (46) 에 대해 고정시킨 상태로, 지축 (7) 과 안내 부재 (46) 사이에 느슨해지지 않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이동 부재 (49) 로서 금속제 와이어를 사용하였다.
그 밖의 구조, 구성은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제 3 실시예의 의자 (1) 의 움직임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 1, 2 와 동일하게, 백 프레임 (8) 을, 도 15 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기립한 상태에서 후방에 서서히 넘어뜨려 가면,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을 따라서 시트 (29) (하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백 프레임 (8) 을,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복 상태에서 서서히 일으켜 세우면,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을 따라서 시트 (29) 와 반대측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백 프레임 (8) 을, 도 15 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기립한 상태에서 서서히 후방으로 넘어뜨림에 따라서,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하측 (시트 (29))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하면,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의 회전축 (27a) 과 지축 (7) 사이의 거리가 서서히 넓어지고, 제 1 이동 부재 (48) 가 하측 (시트 (29))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 안내 부재 (46) 가 제 2 안내 홈 (43b) 과 장공상 안내 홈 (45b) 안에서 하측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한다. 그와 동시에, 슬라이드 프레임 (15) 과 함께 헤드 프레임 (45) 도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2 이동 부재 (49) 에 있어서의 지축 (7) 과 핀 (45c) 사이의 거리가 짧아짐으로써, 안내 부재 (46) 가 안내 홈 (43b, 45b) 안에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안내 부재 (46) 의 이동에 수반하여, 헤드 프레임 (45) 이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서서히 일어나, 즉 헤드 프레임 (45) 전면의, 상기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에 대한 각도 (α) 가 서서히 커져 간다. 그리고, 안내 부재 (46) 가 제 2 안내 홈 (43b) 의 하단에 위치하였을 때에, 상기 각도 (α) 가 최대 (소정치) 에 도달한다.
그리고, 추가로 백 프레임 (8) 을 서서히 넘어뜨려 가면, 안내 부재 (46) 가 제 1 안내 홈 (43a) 과 장공상 안내 홈 (45b) 안에서 하측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함으로써, 헤드 프레임 (45) 이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서서히 후방으로 넘어가, 즉 상기 각도 (α) 가 서서히 작아지고,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프레임 (8) 이 도복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움직임과는 반대로, 백 프레임 (8) 을,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복 상태에서 서서히 일으켜 세우면, 안내 부재 (46) 가 이동 부재 (49) 에 의해 안내 홈 (43b, 45b) 안을 서서히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하여, 백 프레임 (8) 이 일어설수록 헤드 프레임 (45) 은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서서히 일어나고, 상기 각도 (α) 가 소정치가 된 후, 추가로 백 프레임 (8) 을 일으켜 세우면, 백 프레임 (8) 이 일어설수록 헤드 프레임 (45) 은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서서히 넘어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3 에서도 상기 실시예 1, 2 와 동일하게, 백 프레임 (8) 과 슬라이드 프레임 (15) 의 상하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대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헤드 프레임 (45) 전면의, 백 프레임 (8) 의 상하 방향의 축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 에 대한 각도 (α) 가 변화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안내 부재 (46) 의 안내 홈 (43, 45b) 에 있어서의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헤드 프레임 (45) 전면의, 상기 백 프레임 (8) 의 상하 방향의 축에 대한 각도 (α) 가 변화한다.
본 실시예 3 에서도, 상기 실시예 1, 2 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 3 에서는, 백 프레임 (8) 이 일어서거나 넘어감에 따라서, 이동 부재 (48, 49) 에 의해 안내 홈 (43, 45b) 안을 안내 부재 (46) 가 이동하도록 하였지만, 이 이동 부재 (48, 49) 는, 백 프레임이 일어서거나 넘어감에 따라서, 안내 부재 (46) 를 안내 홈 (43, 45b) 안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동 부재 (48, 49) 의 일방을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 지지 수단으로 바꿔 놓아도 된다.
실시예
4
도 18 내지 도 20 은, 실시예 4 의 일례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에서는, 슬라이드 프레임 (15) 에 대하여 등 쿠션재를 장착하고, 등 쿠션재를 슬라이드 프레임 (15) 과 함께 이동하도록 하였지만, 본 실시예 4 에서는 등 쿠션재를 백 프레임 (8) 에 형성하여, 백 프레임 (8) 이 일어서거나 넘어감에 따라서 등 쿠션재는 백 프레임 (8) 에 대해서는 이동하지 않지만, 상기 실시예 1 내지 3 과 동일하게, 백 프레임 (8) 의 경사 각도 (β) 에 따라서, 헤드 프레임 전면의, 상기 등의 사이드 틀의 축에 대한 각도 (α) 를 변화시킨 것이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에서는, 슬라이드 프레임 (15) 의 상단부에 헤드 프레임 (22, 35, 45) 을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였지만, 본 실시예 4 에서는, 백 프레임의 상단부에 헤드 프레임을,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헤드 축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한 점에서 상이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 4 에서도 상기 실시예 1 내지 3 과 동일하게, 슬라이드 프레임의 백 프레임에 대한 상대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헤드 프레임 전면의, 백 프레임의 상하 방향의 축 (등의 사이드 틀의 축) 에 대한 각도 (α) 가 변화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3 과 동일하게, 백 프레임을 기립 상태에서 서서히 후방으로 넘어뜨림에 따라서 헤드 프레임이 백 프레임에 대하여 서서히 일어나고, 상기 각도 (α) 가 소정의 각도가 된 후에 추가로 백 프레임을 넘어뜨리면, 백 프레임을 서서히 후방으로 넘어뜨림에 따라서 헤드 프레임이 백 프레임에 대하여 서서히 후방으로 넘어가게 되어 있다.
도 18 ~ 도 20 은 실시예 4 를 상기 실시예 1 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고, 본 실시예 4 를 도 18 ~ 도 20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8 ~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프레임 (8) 의 상부에 헤드 프레임 (51) 이,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헤드 축 (51b) 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헤드 프레임 (51) 은 좌우에 한 쌍의 헤드 캠 (51a, 51a) 을 갖고, 그 각 헤드 캠 (51a) 의 내면에는, 내측으로만 개구되는 안내 홈 (52) 이 형성되어 있다. 그 안내 홈 (52) 은, 도 18 ~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캠 (51a) 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할수록 뒤 (B) 쪽으로 경사지는 제 1 안내 홈 (52a) 과, 그 제 1 안내 홈 (52a) 의 상부에 원호상으로 형성된 원호 홈 (52b) 과, 그 원호 홈 (52b) 의 상부에 헤드 캠 (51a) 의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직선상으로 형성된 제 2 안내 홈 (52c) 이 연속되는 「く」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프레임 (8) 이 기립한 상태에 있어서, 제 2 안내 홈 (52c) 의 길이 방향은,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방향에 대하여 그 상측이 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상기 백 프레임 (8) 에는 등 쿠션재가 고정 설치되고, 표피재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백 프레임 (8) 의 뒤쪽에는 슬라이드 프레임 (53) 이 형성되어 있다. 그 슬라이드 프레임 (53) 에 있어서의 좌우의 슬라이드 사이드 틀 상부와 하부의 앞 (A) 쪽 (백 프레임 (8) 측) 에는, 도 18 ~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3 과 동일한 연결 부재 (20, 20) 가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 부재 (20) 는 백 프레임 (8) 의 상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여유를 두고 끼워져, 슬라이드 프레임 (53) 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3 과 동일하게, 백 프레임 (8) 의 축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 (53) 은 좌우에 한 쌍의 슬라이드 사이드 틀 (53a, 53a) 을 갖고, 그 양 슬라이드 사이드 틀 (53a, 53a) 의 하단부에는, 도 18 ~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 (54) 의 일단부 (하단부) 가,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회전축 (54a) 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링크 (54) 의 타단부 (상단부) 는, 의자 프레임 (4) 의 양 사이드 틀 (4a, 4b) 의 상부 뒤 (B) 쪽 내면에,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회전축 (54b) 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의자 프레임 (4) 과의 회전축 (54b) 은,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 (53) 과의 회전축 (54a) 보다 앞쪽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사이드 틀 (53a, 53a) 의 하부에서 중간부까지는, 도 18 ~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의 사이드 틀 (8a, 8b) 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고, 슬라이드 사이드 틀 (53a, 53a) 의 상부는, 상방을 향할수록 전방에 위치하도록 굴곡 형성되어,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사이드 틀 (53a, 53a) 의 상단부는,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 연장선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써, 백 프레임 (8) 을 지축 (7) 을 중심으로 하여 후방으로 넘어뜨리면, 링크 (54) 에 의해, 슬라이드 프레임 (53) 은 시트 (29)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백 프레임 (8) 을 일으켜 세우면 슬라이드 프레임 (53) 은 시트 (29) 와 반대측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상기 양 슬라이드 사이드 틀 (53a, 53a) 의 상단부에는, 안내 부재 (55) 가, 슬라이드 사이드 틀 (53a, 53a) 의 외면으로부터 좌우 (C-D) 방향의 외측을 향해 돌출하여 고정 설치되고, 그 안내 부재 (55) 는 상기 안내 홈 (52) 안에 이동 가능하게 여유를 두고 끼워져 있다. 안내 부재 (55) 는, 도 18 ~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 연장선보다 전방 (A) 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내 부재 (55) 로서 핀을 사용하였다.
그 밖의 구조, 구성은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제 4 실시예의 의자 (1) 의 움직임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과 동일하게, 의자 (1) 의 백 프레임 (8) 을, 도 18 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기립한 상태에서 서서히 후방으로 넘어뜨려 가면, 슬라이드 프레임 (53) 이, 도 19,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을 따라서 시트 (29) (하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백 프레임 (8) 을,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복 상태에서 서서히 일으켜 세우면, 슬라이드 프레임 (53) 이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을 따라서 시트 (29) 와 반대측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백 프레임 (8) 을, 도 18 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기립한 상태에서 서서히 넘어뜨려, 슬라이드 프레임 (53) 이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하측 (시트 (29))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하면, 안내 부재 (55) 는, 도 18 ~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과 평행하게 이동한다. 이 때, 안내 부재 (55) 는 등의 사이드 틀 (8a, 8b) 보다 전방 (A) 에 위치하고, 제 2 안내 홈 (52c) 이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에 대해 경사져 있음으로써, 안내 부재 (55) 가 제 2 안내 홈 (52c) 안에서 서서히 하방 (시트 (29) 방향) 으로 이동하면, 헤드 프레임 (51) 전면의, 상기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에 대한 각도 (α) 가 서서히 커져, 헤드 프레임 (51) 이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서서히 일어선다.
그리고, 안내 부재 (55) 가 원호 홈 (52b) 의 중앙에 위치하였을 때, 헤드 프레임 (51) 전면의, 백 프레임 (8) 의 상하 방향의 축에 대한 각도 (α) 가 최대 (소정치) 가 된다.
추가로 백 프레임 (8) 을 서서히 후방으로 넘어뜨려 가면, 안내 부재 (55) 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할수록 앞 (A) 쪽으로 경사지는 제 1 안내 홈 (52a) 안에서 하방을 향하여 서서히 이동함으로써, 상기 각도 (α) 가 서서히 작아져, 헤드 프레임 (51) 이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서서히 넘어가고,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프레임 (8) 이 도복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움직임과는 반대로, 백 프레임 (8) 을,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복 상태에서 서서히 일으켜 세우면, 백 프레임 (8) 이 일어설수록 헤드 프레임 (51) 은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서서히 일어나고, 상기 각도 (α) 가 소정치가 된 후에 추가로 백 프레임 (8) 을 일으켜 세우면, 백 프레임 (8) 이 일어설수록 헤드 프레임 (51) 은,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서서히 넘어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4 에서도 상기 실시예 1 내지 3 과 동일하게, 백 프레임 (8) 과 슬라이드 프레임 (53) 의 상하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대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헤드 프레임 (51) 전면의, 백 프레임 (8) 의 상하 방향의 축에 대한 각도 (α) 가 변화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3 과 동일하게, 안내 부재 (55) 의 안내 홈 (52) 에 있어서의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헤드 프레임 (51) 전면의, 상기 백 프레임 (8) 의 상하 방향의 축에 대한 각도 (α) 가 변화한다.
본 실시예 4 에서도, 헤드 프레임 (51) 의 움직임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3 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21 내지 도 23 은 실시예 5 의 일례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 에서는,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53a) 의 하단부와 의자 프레임 (4) 의 양 사이드 틀 (4a (4b)) 을 1 개의 링크 (27, 54) 로 연결하였지만, 본 실시예 5 에서는,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53a) 의 축방향 중간부와 의자 프레임 (4) 의 양 사이드 틀 (4a (4b)) 을 복수로 이루어지는 링크 (61) 로 연결하여, 백 프레임 (8) 을 후방으로 넘어뜨릴수록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시트 (29) 방향으로 이동하고, 백 프레임 (8) 을 일으켜 세울수록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시트 (29) 와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 것이다.
도 21 ~ 도 23 은 실시예 5 를 상기 실시예 1 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고, 도 21 ~ 도 23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의 축방향 중간부와, 의자 프레임 (4) 의 양 사이드 틀 (4a, 4b) 을 링크 (61) 로 연결한다. 그 링크 (61) 는, 도 21 ~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링크 (62) 와 제 2 링크 (63) 와 제 3 링크 (64) 의 3 개의 링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링크 (62) 의 일단 (상단) 은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의 축방향 중간부에,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회전축 (62a) 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제 1 링크 (62) 의 타단 (하단) 은 제 2 링크 (63) 의 일단 (상단) 에,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회전축 (62b) 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 제 2 링크 (63) 의 축방향의 중간부 타단측 근처부는, 등의 사이드 틀 (8a, 8b) 에,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연결축 (63a) 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 연결축 (63a) 은, 지축 (7) 의 뒤쪽 근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링크 (63) 의 타단 (하단) 은 제 3 링크 (64) 의 일단 (후단) 에,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회전축 (63b) 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 제 3 링크 (64) 의 타단 (앞단) 은 의자 프레임 (4) 의 양 사이드 틀 (4a, 4b) 의 뒤쪽 상방에,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회전축 (64a) 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A-B)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 밖의 구조, 구성은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제 5 실시예의 의자 (1) 의 움직임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 와 동일하게, 백 프레임 (8) 을, 도 21 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기립한 상태에서 지축 (7) 을 중심으로 하여 후방으로 서서히 넘어뜨려 가면, 제 2 링크 (63) 가, 도 21,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축 (7) 근방의 연결축 (63a) 을 중심으로 하여, 그 제 3 링크 (64) 측이 상부 후방으로 회전 운동한다. 또한, 이 제 2 링크 (63) 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제 1 링크 (62) 의 타단 회전축 (62b) 이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도 21 ~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제 1 링크 (62) 의 일단측 회전축 (62a) 에 연결된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이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을 따라서 하측 (시트 (29))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와 반대로, 백 프레임 (8) 을 도 23 에 나타내는 도복 상태에서 서서히 일으켜 세우면, 상기와 반대의 동작에 의해,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을 따라서 시트 (29) 와 반대측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슬라이드 프레임 (15) 의 이동에 수반하여, 헤드 프레임 (22) 도 상기 실시예 1 내지 4 와 동일한 움직임을 한다.
본 실시예 5 에서도, 상기 실시예 1 내지 4 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6
도 24 내지 도 26 은 실시예 6 의 일례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 에서는,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53a) 의 하단부와 의자 프레임 (4) 의 양 사이드 틀 (4a (4b)) 을 링크 (27, 54, 61) 로 연결하였지만, 본 실시예 6 에서는,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의 축방향 중간부와 시트 프레임 (10) 의 시트의 사이드 틀 (10a, 10b) 을 링크 (71) 로 연결하여, 백 프레임 (8) 을 넘어뜨릴수록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시트 (29) 방향으로 이동하고, 백 프레임 (8) 을 일으켜 세울수록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시트 (29) 와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 것이다.
도 24 ~ 도 26 은 실시예 6 을 상기 실시예 1 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고, 도 24 ~ 도 26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상기 링크 (71) 는, 도 24 ~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개의 링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링크 (71) 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그 측면 형상은 호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그 호의 중심측이 앞쪽 (A) 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링크 (71) 의 일단 (상단) 은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의 축방향의 중간부에,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회전축 (71a) 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링크 (71) 의 타단 (하단) 은 시트의 사이드 틀 (10a, 10b) 의 중간부에,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회전축 (71b) 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링크 (71) 는 상기한 바와 같은 형상 이외에도, 직선상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링크 (71) 는, 그 일단은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에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그 타단은 시트의 사이드 틀 (10a, 10b) 에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으면 되고, 각각의 연결 장소는 임의로 설정한다.
그 밖의 구조, 구성은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제 6 실시예의 의자 (1) 의 움직임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 와 동일하게, 백 프레임 (8) 을 도 24 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기립한 상태에서, 지축 (7) 을 중심으로 하여 서서히 후방으로 넘어뜨려 가면, 도 25,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프레임 (10) 이 시트 안내 부재 (11) 를 따라서 서서히 앞쪽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시트 프레임 (10) 과 연결된 회전축 (71b) 이 전방 상부로 이동하고, 링크 (71) 는 그 양측 회전축 (71a, 71b) 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하면서, 이 회전축 (71a) 이 하측 (시트 (29))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와 함께, 링크 (71) 의 회전축 (71a) 에 연결된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을 따라서, 시트 (29)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와 반대로, 백 프레임 (8) 을 도 26 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도복 상태에서 서서히 일으켜 세우면,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을 따라서, 시트 (29) 와 반대측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슬라이드 프레임 (15) 의 이동에 수반하여, 헤드 프레임 (22) 도 상기 실시예 1 내지 5 와 동일한 움직임을 한다.
본 실시예 6 에서도, 상기 실시예 1 내지 5 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 내지 6 에서는, 백 프레임 (8) 을 지축 (7) 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시키고, 링크 (27, 54, 61, 71) 에 의해, 슬라이드 프레임 (15, 53) 을 백 프레임 (8) 이 일어서거나 넘어짐에 따라서 백 프레임 (8) 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였지만, 지축 (7) 을 슬라이드 프레임 (15, 53) 에 형성하고, 링크에 의해 백 프레임 (8) 을, 슬라이드 프레임 (15, 53) 이 후방으로 넘어갈수록 상방 (시트 (29) 와 반대측 방향) 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드 프레임 (15, 53) 이 기립할수록 하방 (시트 (29) 와 반대측 방향) 으로 이동하도록 해도 된다.
의자 프레임 (4) 에 고정된 지축 (7) 을 슬라이드 프레임 (15, 53) 의 중간부에 연결하고, 그 지축 (7) 을 중심으로 하여 슬라이드 프레임 (15, 53) 을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또한, 슬라이드 프레임 (15, 53) 과 백 프레임 (8) 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7 과 동일하게, 연결 부재 (20) 를 개재하여 연결됨과 함께, 백 프레임 (8) 은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53a) 의 축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프레임 (15, 53) 이 지축 (7) 을 중심으로 하여 후방으로 넘어갈수록, 링크에 의해 백 프레임 (8) 이,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53a) 의 축방향을 따라서 상방 (시트 (29) 와 반대측 방향) 으로 이동하고, 그와 함께 시트 프레임 (10) 도 슬라이드 프레임 (15, 53) 의 하단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하여, 시트 프레임 (10) 의 후단과 슬라이드 프레임 (15, 53) 의 하단이 상대적으로 서서히 가까워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프레임 (15, 53) 이 지축 (7) 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으로 일어설수록, 링크에 의해 백 프레임 (8) 은,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53a) 의 축방향을 따라서 하방 (시트 (29) 방향) 으로 이동하고, 그와 함께 시트 프레임 (10) 도 슬라이드 프레임 (15, 53) 의 하단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하여, 시트 프레임 (10) 의 후단과 슬라이드 프레임 (15, 53) 의 하단이 상대적으로 서서히 멀어지게 되어 있다.
즉, 백 프레임 (8) 이 넘어갈수록, 슬라이드 프레임 (15, 53) 은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시트 (29)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백 프레임 (8) 이 일어설수록, 슬라이드 프레임 (15, 53) 은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시트 (29) 와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조, 구성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6 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 7 에도, 상기 실시예 1 내지 6 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 내지 7 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프레임 (15, 53) 과 백 프레임 (8) 의 전후의 위치 관계를, 상기 실시예 1 내지 7 과는 반대가 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그 밖의 구조, 구성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7 과 동등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 8 에서도, 상기 실시예 1 내지 7 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9
도 27 내지 도 29 는 실시예 9 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8 에서는, 슬라이드 프레임 (15, 53) 을 형성하고, 그 슬라이드 프레임 (15, 53) 을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헤드 프레임 (22, 35, 45, 51) 전면의, 상기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에 대한 각도 (α) 를 변화시켰지만, 본 실시예 9 는, 슬라이드 프레임을 형성하지 않고서 백 프레임 (81) 을 일으켜 세우거나 넘어뜨림으로써, 상기 백 프레임 (81) 의 경사 각도 (β) 에 따라서, 헤드 프레임 (82) 전면의, 상기 등의 사이드 틀 (81a, 81a) 의 축에 대한 각도 (α) 를 변화시키도록 한 실시예이다.
백 프레임 (81) 은, 좌우에 한 쌍의 등의 사이드 틀 (81a, 81a) 를 갖고, 그 등의 사이드 틀 (81a) 의 상부에 고정 헤드 부재 (84) 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 헤드 부재 (84) 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그 표리를 관통하는 원호상 안내 홈 (84a) 이 형성되어 있다. 그 원호상 안내 홈 (84a) 은, 도 27 ~ 도 2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호의 중심이 후방 (B) 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헤드 프레임 (82) 은 한 쌍의 헤드 캠 (82a, 82a) 을 갖고, 그 각 헤드 캠 (82a) 은 상기 각 고정 헤드 부재 (84) 의 하부 외측에,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헤드 축 (82d) 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헤드 캠 (82a) 에는, 장공상 안내 홈 (82b) 이, 그 길이 방향의 일단을 헤드 캠 (82a) 의 하부에, 타단을 헤드 캠 (82a) 의 중앙 상부 근처에 위치시켜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7 ~ 도 2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 부재 (83) 가 상기 장공상 안내 홈 (82b) 과 원호상 안내 홈 (84a) 의 쌍방에 관통함과 함께 여유를 두고 끼워져 형성되어, 그 안내 부재 (83) 가 장공상 안내 홈 (82b) 과 원호상 안내 홈 (84a) 의 쌍방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안내 부재 (83) 에 있어서의 안내 홈 (82b, 84a) 과의 걸림고정부를, 본 실시예에서는 핀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이 장공상 안내 홈 (82b) 과 원호상 안내 홈 (84a) 의 형상이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 부재 (83a) 가 양 안내 홈 (82b, 84a) 안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안내 부재 (83) 의 위치 변화에 수반하여, 헤드 프레임 (82) 전면의, 상기 등의 사이드 틀 (81a, 81a) 의 축에 대한 각도 (α) 가 변화한다. 즉, 안내 부재 (83) 가 안내 홈 (82b, 84a) 을 그 최하단의 위치에서부터 서서히 상방으로 이동할수록 헤드 프레임 (82) 이 백 프레임 (81) 에 대하여 서서히 일어나, 즉 상기 각도 (α) 가 서서히 커지고, 각도 (α) 가 최대 (소정치) 에 도달한 후에는, 안내 부재 (83) 가 서서히 상방으로 이동할수록 헤드 프레임 (82) 이 백 프레임 (81) 에 대하여 서서히 넘어가, 즉 상기 각도 (α) 가 서서히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도 27 ~ 도 2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연결 링크 (87a) 의 일단 (후단) 이 백 프레임 (81) 의 하부에,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회전축 (87c) 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1 연결 링크 (87a) 의 타단 (앞단) 이 제 2 연결 링크 (87b) 의 일단 (상단) 에,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회전축 (87d) 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2 연결 링크 (87b) 의 타단 (하단) 은 시트의 사이드 틀 (10a, 10b) 에,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회전축 (87e) 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각 헤드 캠 (82a) 의 상부에는, 그 내측면에서 좌우 (C-D)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핀 (82c)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 부재 (83) 과 핀 (82c) 사이에는 탄성 지지 부재 (85) 가 가설되어 있고, 그 탄성 지지 부재 (85) 에 의해, 안내 부재 (83) 는 항상 핀 (82c) (상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상기 탄성 지지 부재 (85) 는, 안내 부재 (83) 를 핀 (82c) 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였다.
끈형상으로서 임의의 장소에서 만곡이 가능한 금속제 와이어, 비닐 로프 등으로 형성되며 또 안내 부재 (83) 를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 (86) 는, 그 일단을 상기 제 1 연결 링크 (87a) 와 제 2 연결 링크 (87b) 의 연결 회전축 (87d) 에 대하여 고정시키고, 그 중간부를 등 시트 연결축 (10f) 의 외측에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걸어서 되돌려, 타단을 안내 부재 (83) 에 고정시킨 상태로, 상기 연결 회전축 (87d) 과 안내 부재 (83) 사이에 느슨해지지 않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이동 부재 (86) 로서 금속제 와이어를 사용하였다.
그 밖의 구조, 구성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8 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제 9 실시예의 의자 (1) 의 움직임에 관해서 설명한다.
백 프레임 (81) 을, 도 27 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기립한 상태에서 서서히 후방으로 넘어뜨려 가면, 회전축 (87d) 과 등 시트 연결축 (10f) 과의 거리 (L2) 가 서서히 짧아진다. 이로써,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 부재 (83) 가 탄성 지지 부재 (85) 에 의해 안내 홈 (82b, 84a) 안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헤드 프레임 (82) 이 백 프레임 (81) 에 대하여 서서히 일어나, 즉 헤드 프레임 (82) 전면의, 상기 등의 사이드 틀 (81a) 의 축에 대한 각도 (α) 가 서서히 커져 간다. 그리고, 상기 각도 (α) 가 최대 (소정치) 에 도달한다.
그리고, 추가로 백 프레임 (81) 을 서서히 후방으로 넘어뜨려 가면, 그 안내 부재 (83) 가 서서히 안내 홈 (82b, 84a) 안에서 상방으로 이동하여, 헤드 프레임 (82) 이 백 프레임 (81) 에 대하여 후방에 서서히 넘어가, 즉 상기 각도 (α) 가 서서히 작아지고, 도 2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프레임 (81) 이 도복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움직임과는 반대로, 백 프레임 (81) 을, 도 29 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도복 상태에서 서서히 일으켜 세우면, 백 프레임 (81) 이 일어설수록 헤드 프레임 (82) 은 백 프레임 (81) 에 대하여 서서히 일어나고, 상기 각도 (α) 가 소정치가 된 후에 추가로 백 프레임 (81) 을 일으켜 세우면, 백 프레임 (81) 이 일어설수록 헤드 프레임 (82) 은 백 프레임 (81) 에 대하여 서서히 넘어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9 에서도, 상기 실시예 1, 3 내지 6 과 동일하게, 안내 부재 (83) 의 안내 홈 (82b, 84a) 에 있어서의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헤드 프레임 (82) 전면의, 상기 백 프레임 (81) 의 상하 방향의 축에 대한 각도 (α) 가 변화한다.
또한, 본 실시예 9 에서도 상기 실시예 1 내지 8 과 동일한 헤드 프레임 (82) 의 움직임을 하여, 헤드 프레임 (82) 의 움직임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8 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1 … 의자
7 … 지축
8, 81 … 백 프레임
14, 46, 55, 83 … 안내 부재
15, 53 … 슬라이드 프레임
22, 35, 45, 51, 82 … 헤드 프레임
23, 43, 45b, 52, 82b, 84a … 안내 홈
α … 헤드 프레임의, 백 프레임의 상하 방향의 축에 대한 각도
β … 수평면에 대한 백 프레임의 경사 각도
7 … 지축
8, 81 … 백 프레임
14, 46, 55, 83 … 안내 부재
15, 53 … 슬라이드 프레임
22, 35, 45, 51, 82 … 헤드 프레임
23, 43, 45b, 52, 82b, 84a … 안내 홈
α … 헤드 프레임의, 백 프레임의 상하 방향의 축에 대한 각도
β … 수평면에 대한 백 프레임의 경사 각도
Claims (5)
- 일으켜 세우거나 넘어뜨릴 수 있는 백 프레임과, 그 백 프레임에 대하여 일으켜 세우거나 넘어뜨릴 수 있는 헤드 프레임을 갖고,
상기 백 프레임을 그 기립 상태에서 후방으로 넘어뜨릴수록 상기 헤드 프레임이 상기 백 프레임에 대하여 일어나고, 상기 헤드 프레임의, 상기 백 프레임의 상하 방향의 축에 대한 각도가 소정 각도가 된 후에, 추가로 백 프레임을 후방으로 넘어뜨릴수록 상기 헤드 프레임이 상기 백 프레임에 대하여 넘어가고,
상기 백 프레임을 그 도복 상태에서 일으켜 세울수록 상기 헤드 프레임이 상기 백 프레임에 대하여 일어나고, 상기 헤드 프레임의, 상기 백 프레임의 상하 방향의 축에 대한 각도가 소정 각도가 된 후에, 추가로 상기 백 프레임을 일으켜 세울수록 상기 헤드 프레임이 상기 백 프레임에 대하여 넘어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 제 1 항에 있어서,
안내 홈와, 그 안내 홈 안을 이동할 수 있게 형성한 안내 부재를 갖고,
수평면에 대한 상기 백 프레임의 경사 각도에 따라서, 상기 안내 부재의 상기 안내 홈 안에 있어서의 위치가 변화하고,
상기 안내 부재의 상기 안내 홈 안에 있어서의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헤드 프레임의, 상기 백 프레임의 상하 방향의 축에 대한 각도가 변화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평면에 대한 상기 백 프레임의 경사 각도에 따라서, 그 백 프레임의 상하 축방향에 대한 위치가 변화하는 슬라이드 프레임을 갖고,
상기 백 프레임과 슬라이드 프레임의 상하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대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헤드 프레임의, 상기 백 프레임의 상하 방향의 축에 대한 각도가 변화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이, 상기 백 프레임을 후방으로 넘어뜨릴수록 그 백 프레임에 대하여 시트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백 프레임을 일으켜 세울수록 그 백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시트와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을 헤드 프레임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1007090A JP5634891B2 (ja) | 2011-01-17 | 2011-01-17 | 椅子 |
JPJP-P-2011-007090 | 2011-01-17 | ||
PCT/JP2012/050722 WO2012099061A1 (ja) | 2011-01-17 | 2012-01-16 | 椅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0199A true KR20130040199A (ko) | 2013-04-23 |
KR101510935B1 KR101510935B1 (ko) | 2015-04-10 |
Family
ID=46515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32760A KR101510935B1 (ko) | 2011-01-17 | 2012-01-16 | 의자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JP (1) | JP5634891B2 (ko) |
KR (1) | KR101510935B1 (ko) |
CN (1) | CN103096759B (ko) |
HK (1) | HK1184661A1 (ko) |
SG (1) | SG186373A1 (ko) |
WO (1) | WO201209906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939500B2 (en) * | 2013-03-15 | 2015-01-27 | Sv Tool Corporation | Ergonomic productivity workstation having coordinated and harmonized movement of head rest, backrest, seat, leg rest, arm rests, monitor support, and work trays through sitting, standing, and reclining configurations |
KR101328594B1 (ko) * | 2013-04-23 | 2013-11-12 | 이상화 | 등받이부와 발받침부의 연동이 가능한 의자 |
GB2537799A (en) * | 2014-12-11 | 2016-11-02 | Integrated Furniture Tech Ltd | Adjustable furniture |
GB2533216B (en) * | 2014-12-11 | 2019-05-08 | Integrated Furniture Tech Limited | Adjustable furniture |
GB2534122A (en) * | 2014-12-11 | 2016-07-20 | Integrated Furniture Tech Ltd | Adjustable furniture |
GB201504140D0 (en) | 2015-03-11 | 2015-04-22 | Motus Mechanics Ltd | Adjustable bed |
GB201610212D0 (en) | 2016-06-13 | 2016-07-27 | Motus Mech Ltd | Adjustable bed |
CN104873027B (zh) * | 2015-06-01 | 2017-10-17 | 东莞市伟宏五金塑胶制品有限公司 | 沙发电动支架 |
US10098476B2 (en) * | 2016-04-29 | 2018-10-16 | Wonderland Switzerland Ag | Child high chair |
CN106108444B (zh) * | 2016-08-23 | 2023-11-07 | 浙江博泰家具有限公司 | 一种用于可躺椅的框架结构 |
GB201813009D0 (en) | 2018-08-09 | 2018-09-26 | Eevolv Ltd | A drive mechanism |
GB201901010D0 (en) * | 2019-01-24 | 2019-03-13 | Eevolv Ltd | Lay-flat chair |
CN110606009B (zh) * | 2019-10-18 | 2022-04-26 | 佛吉亚(柳州)汽车座椅有限公司 | 一种汽车座椅碰撞保护方法 |
US11173820B2 (en) * | 2020-01-14 | 2021-11-16 | Honda Motor Co., Ltd. | Headrest, vehicle seat and vehicle |
US11166554B1 (en) * | 2020-05-29 | 2021-11-09 | Office Master Inc. | Nesting chair with flip seat and movement |
CN114027661B (zh) * | 2021-11-25 | 2024-10-01 | 安吉富和家具有限公司 | 一种椅子倚靠结构及椅子 |
WO2023092391A1 (zh) * | 2021-11-25 | 2023-06-01 | 安吉富和家具有限公司 | 一种椅子倚靠结构及椅子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2422015A1 (en) * | 2000-09-19 | 2002-03-28 | Han-Keel Yoo | Chair for correcting an improper alignment of spinal vertebrae and method for correcting an improper alignment of spinal vertebrae by means of the chair |
DE60210583T2 (de) * | 2001-01-31 | 2007-04-05 | Intier Automotive Inc., Aurora | Fahrzeugsitzanordnung mit einer nockengetriebenen, selbstpositionierenden kopfstütze |
JP2005124798A (ja) * | 2003-10-23 | 2005-05-19 | Sml Ltd | 椅子 |
JP4007393B2 (ja) * | 2006-05-01 | 2007-11-14 | 松下電工株式会社 | 椅子 |
CN101274604A (zh) * | 2008-02-27 | 2008-10-01 | 陆国波 | 悬挂式车船乘客防倾座椅 |
CN201452292U (zh) * | 2009-05-13 | 2010-05-12 | 卢顺接 | 具有靠背倾仰机构的椅子和靠背倾仰机构 |
-
2011
- 2011-01-17 JP JP2011007090A patent/JP5634891B2/ja active Active
-
2012
- 2012-01-16 WO PCT/JP2012/050722 patent/WO201209906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1-16 KR KR1020127032760A patent/KR10151093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01-16 CN CN201280001695.4A patent/CN103096759B/zh active Active
- 2012-01-16 SG SG2012092656A patent/SG186373A1/en unknown
-
2013
- 2013-10-31 HK HK13112260.3A patent/HK1184661A1/zh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10935B1 (ko) | 2015-04-10 |
CN103096759A (zh) | 2013-05-08 |
JP5634891B2 (ja) | 2014-12-03 |
SG186373A1 (en) | 2013-01-30 |
CN103096759B (zh) | 2015-12-02 |
HK1184661A1 (zh) | 2014-01-30 |
JP2012147850A (ja) | 2012-08-09 |
WO2012099061A1 (ja) | 2012-07-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40199A (ko) | 의자 | |
CN101242756B (zh) | 椅子 | |
CN103889273A (zh) | 座椅,尤其是办公椅 | |
ITTO20070398A1 (it) | "sedia con schienale oscillante" | |
JP2000079034A5 (ko) | ||
JP5976747B2 (ja) | ティルティングタイプ椅子 | |
US8820825B2 (en) | Supporting frame of folding chair and folding chair with adjustable backrest | |
JP2000079034A (ja) | 椅 子 | |
CN215271602U (zh) | 一种可前后倾仰的椅子 | |
US20080100119A1 (en) | Seating Furniture, In Particular Office Chairs | |
JP2008104568A (ja) | 椅子 | |
JP2003079474A (ja) | 椅子のヘッドレスト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椅子 | |
GB2530297A (en) | A chair back | |
US12089741B2 (en) | Tiltable chair | |
KR20130018928A (ko) | 의자 | |
JP5571733B2 (ja) | 椅子 | |
KR102349577B1 (ko) | 의자 시트 각도조절장치 | |
JP2014046160A (ja) | オットマン付リクライニングチェア | |
KR20120003573U (ko) | 다기능 낚시의자 | |
JP2006231087A (ja) | 椅子 | |
JP2021106758A (ja) | ヘッドレスト付き椅子 | |
JP7448355B2 (ja) | ヘッドレスト付きリクライニング椅子 | |
JP6412300B2 (ja) | ネスティング可能な椅子 | |
JP7448356B2 (ja) | 椅子のヘッドレスト装置 | |
CN217695744U (zh) | 组合式多功能头枕及坐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