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9379A -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 - Google Patents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9379A
KR20130039379A KR1020110103879A KR20110103879A KR20130039379A KR 20130039379 A KR20130039379 A KR 20130039379A KR 1020110103879 A KR1020110103879 A KR 1020110103879A KR 20110103879 A KR20110103879 A KR 20110103879A KR 20130039379 A KR20130039379 A KR 20130039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ressing
clip
inward groov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2538B1 (ko
Inventor
최지호
최성덕
양명진
Original Assignee
(주)폴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폴리텍 filed Critical (주)폴리텍
Priority to KR1020110103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538B1/ko
Publication of KR20130039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공사를 위한 파이프 연결작업에 있어 이음관 내부로 끼워맞춤하는 상기 파이프의 조립상태를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이음 작업을 위한 이음관의 내경면 일 부위에 형성된 내향홈에 구비결합된 상태로 상기 파이프 외경면을 가압하도록 된 통상의 이탈방지클립에 있어서, 상기 내향홈의 일측 단부면과 밀착하는 제1수직단; 상기 제1수직단으로부터 연장 절곡됨에 따라, 상기 내향홈의 바닥면과 밀착하게 된 수평단; 상기 수평단으로부터 연장 절곡됨으로써, 상기 내향홈의 타측 단부면에 밀착되는 제2수직단; 및, 상기 제2수직단으로부터 더 연장 절곡된 상태로, 상기 이음관 내부로 끼워맞춤하는 상기 파이프의 삽입 외력에 대응하여 탄성변형(彈性變形, Elastic deformation)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 가압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The clip of breakaway prevention for pipe joint socket}
본 발명은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공사를 위한 파이프 연결작업에 있어 이음관 내부로 끼워맞춤하는 상기 파이프의 조립상태를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에 관한 것이다.
배관공사(管道工程, Piping work)라 함은, 건축물 또는 각 실에 따라 수도·난방·급배수탱크·목욕탕·하수거(下水渠, Sewer)·전기 등의 파이프를 설치하는 공사를 말하며, 식수(食水) 및 오수(汚水) 혹은 배설물 등의 각종 유체(流體, Fluid / 기체 및 액체)를 미리 정한 경로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생활기반시설의 필수공사 중 하나이다.
이러한 배관공사의 과정으로는, 주변환경에 맞춰 설계된 배관구조를 감안하여 일정 길이로 규격화한 다수의 파이프를 설계상의 위치에 배치시켜 놓고 별도의 연결소켓(이하 "이음관"이라 함)을 이용하여 파이프 상호 간의 맞대기 부위를 연결하는 파이프이음 작업을 실시하게 되며, 특히 파이프 이음부위의 누수방지 및 이물질 유입차단은 물론 이음부위의 견고한 조립성 향상이 주된 목적을 갖는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한 선출원 국내등록특허 제10-1005763호를 통해, 걸림부(이하 "이탈방지클립"이라 함)를 이용하여 상기한 이음관 내부로 끼워맞춤된 파이프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파이프 연결용 소켓이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소켓의 구조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소켓에 있어서 이탈방지클립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소켓(900, 이하 "파이프 이음관"이라 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p)의 삽입이 가능토록 양단이 관통된 중공형이되, 내경면의 적어도 일 부위에 내향홈(911)이 형성된 본체(910); 상기 내향홈(911)에 끼워맞춤됨에 따라 상기 파이프(p)의 외경면 일 부위를 가압할 수 있도록 된 다수의 이탈방지클립(9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탈방지클립(9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향홈(911)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수평부(921)와, 상기 수평부(921)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본체(910)의 중심을 향하도록 연장 절곡되는 복수의 수직부(922)와, 상기 수직부(922) 각각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파이프(p)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더 연장 절곡되되 다수의 산형 돌기(923-1)가 끝단부에 나열형성된 절곡부(923)를 포함한다.
상술한 파이프 이음관(900)에 의하면, 상기 본체(910) 내로 삽입되는 파이프(p) 외면에 상기한 이탈방지클립(920)의 절곡부(923)가 밀착되고 상기한 돌기(923-1)들이 상기 파이프(p)의 외경면 일 부위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음관(900)으로부터의 파이프(p)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이음관(900) 내로 상기한 파이프(p)를 억지끼움식으로 삽입시켜 끼워맞춤하는 삽입과정시 산형으로 뾰족한 형태인 상기 돌기(923-1)들에 의해 파이프(p)의 그 외면에 깊게 파인 긁힘 자국(Scratch)이 형성되는 등 파이프(p) 훼손의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상술한 파이프(p) 삽입과정 도중의 외력으로 인해 상기 이탈방지클립(920)의 그 선단이 상기한 본체(910) 측으로 휨변형을 일으켜, 정작 파이프(p)의 가압력은 극히 미미할 수밖에 없음은 말할 나위 없거니와 그로 인해 나중에는 상기한 파이프(p)가 이음관(900)으로부터 이탈되는 폐단 초래의 원인이 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파이프 삽입시의 외력(外力)에 탄력적 대응이 가능한 가압단을 형성하여, 이음관 내부로 끼워맞춤하는 상기 파이프 연결작업시의 마찰 응력(應力, Stress)을 극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가압돌기가 상기 가압단의 외면부로부터 돌출됨과 동시에 횡(橫)으로 균등배치되는 한편 종(縱) 방향으로 다수의 그룹을 형성토록 하여, 상기한 이음관 내부로 끼워맞춤된 파이프의 이탈방지를 위한 가압력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파이프 이음관용 배관 이탈방지클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이프이음 작업을 위한 이음관의 내경면 일 부위에 형성된 내향홈에 구비결합된 상태로 상기 파이프 외경면을 가압하도록 된 통상의 이탈방지클립에 있어서, 상기 내향홈의 일측 단부면과 밀착하는 제1수직단; 상기 제1수직단으로부터 연장 절곡됨에 따라, 상기 내향홈의 바닥면과 밀착하게 된 수평단; 상기 수평단으로부터 연장 절곡됨으로써, 상기 내향홈의 타측 단부면에 밀착되는 제2수직단; 및, 상기 제2수직단으로부터 더 연장 절곡된 상태로, 상기 이음관 내부로 끼워맞춤하는 상기 파이프의 삽입 외력에 대응하여 탄성변형(彈性變形, Elastic deformation)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 가압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수직단의 마감단부에는, 상기 가압단의 탄성변형 작용범위의 제한을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가압단의 일 부위에는, 상기 가압단의 삽입배치를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공이 관통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가압단의 탄성변형 작용범위는, 상기 가압단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가압돌기의 돌출길이 이내에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단의 외면부에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단계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된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 및 제3돌기부가 배열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제1,2,3돌기부는, 펀칭공정에 의해 상기 가압단의 외면부로부터 경사형으로 절개 돌출된 다수개의 가압돌기가 일정 간격을 두고 횡으로 배열되는 동시에 종 방향으로 다수의 그룹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가압단의 일부위로부터 "
Figure pat00001
"형으로 절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은, 파이프 삽입 외력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가압단에 의해, 이음관 내부로의 삽입되는 파이프의 마찰 응력을 억제할 수 있음은 물론 가압돌기에 의한 파이프 외관훼손 방지를 통한 제품수명의 연장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함께, 다수개가 횡으로 배열됨과 동시에 종 방향으로 다수의 그룹을 형성하게 된 상기 가압돌기를 이용한 파이프 외경면의 가압범위 확장으로, 이음관 내부로 끼워맞춤된 파이프의 조립상태를 견고히 함을 통한 배관공사의 완성도 향상과 더불어 그에 따른 차후 유지보수 발생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다주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소켓의 구조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소켓에 있어서, 이탈방지클립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와 측단면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와 측단면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A)은, 금속박판(金屬薄板)의 순차 절곡을 통해 내부가 빈 사각형태로 형상화하되, 파이프 연결용 이음관(도 1, 900)의 내경면 일 부위에 미리 형성된 내향홈(911)의 일측 단부면과 밀착하는 제1수직단(1)과, 상기 제1수직단(1)으로부터 연장 절곡됨에 따라 상기 내향홈(911)의 바닥면과 밀착하게 된 수평단(2)과, 상기 수평단(2)으로부터 연장 절곡됨으로써 상기 내향홈(911)의 타측 단부면에 밀착되는 제2수직단(3)과, 상기 제2수직단(2)으로부터 더 연장 절곡된 상태로 상기 이음관(900) 내부로 끼워맞춤하는 파이프(p)의 삽입 외력에 대응하여 탄성변형(彈性變形, Elastic deformation : 구조물, 부재 등이 외력의 작용을 받을 때의 탄성범위 내에서의 변형)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 가압단(4)을 포함한다.
제1수직단(1)은, 상기 내향홈(911)의 형성깊이를 감안하여 상기한 이음관(900)의 내경면으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될 수 있을 만큼의 적정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수직단(1)의 마감 선단부에는, 상기 가압단(4)의 일 부위를 관통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한 가압단(4)의 탄성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11)가 돌출형성된다.
수평단(2)은, 상기 내향홈(911)의 바닥 폭에 대응한 적정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되, 스크류볼트(s)를 이용하여 상기한 이음관(900)에 본 발명의 상기 이탈방지클립(A)를 체결조립할 수 있도록 된 하나 이상의 통공(21)이 중앙부에 관통형성되어 있다.
제2수직단(3)은, 상기 내향홈(911)의 타측 단부면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탈방지클립(A)의 타측 단부 밀착을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수직단(1)과 마찬가지로, 상기 내향홈(911)의 형성깊이를 감안하여 상기한 이음관(900)의 내경면으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될 수 있도록 적정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단(4)은, 상기한 이음관(900) 내부로 끼워맞춤된 파이프(p)의 최초 삽입위치로부터 임의이탈되지 않도록 그 외경면을 강하게 압박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상기 제2수직단(3)으로부터 연장 절곡되되,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을 단계적으로 압박할 수 있도록 한 제1돌기부(4-1) 및 제2돌기부(4-2) 그리고 제3돌기부가 외면 전체에 배열형성된다.
상기 제1,2,3돌기부(4-1)(4-2)(4-3)는, 프레스장치에 의한 펀칭공정을 통해, 상기한 가압단(4)의 외면부로부터 경사형으로 절개 돌출된 다수개의 가압돌기(41)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횡으로 배열되고 종 방향으로 다수의 그룹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압돌기(41)는, 뾰족한 산형이 아닌 "
Figure pat00002
"형으로서 상기 이음관(900)의 외면에 닿는 면적이 확장된 형태임에 따라, 파이프(p) 삽입과정시의 마찰 응력을 최소화하면서도 상기한 이음관(900)의 외관 손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1돌기부(4-1)와 제2돌기부(4-2) 사이 공간의 일 부위에는, 상기 가압돌기(41)의 삽입배치를 가능토록 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공(42)이 관통형성된다.
이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음관(900) 내부로 삽입되는 파이프(p) 간섭에 따른 외력의 영향을 받아 후퇴식 탄성변형 작용하는 상기 가압단(4)이 작용안내를 위한 것인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단(4) 선단부의 작용범위는 상기한 가압단(4)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가압돌기(41)의 돌출길이까지의 알파값(α) 이내에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이음관(900)을 이용하여 복수의 파이프(p) 상호 간의 맞대기 부위를 연결하는 파이프이음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바, 이를 위해, 상기한 이음관(900) 내의 양측 선단부 각각에 근접한 내경면을 따라 형성된 각각의 상기 내향홈(911) 내부로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클립(A)을 끼워맞춤한다.
이때, 상기 이음관(900) 내부로 끼워맞춤되는 파이프(p)가 상기한 이음관(900)의 중심과 일치한 상태로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상기 이탈방지클립(A)들을 상기한 내향홈(911)의 사분점(Quadrant)에 각각 배치시켜 조립결합함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이탈방지클립(A)들을 상기 이음관(900)에 일체로 체결시키게 되는바, 별도의 스크류볼트(s)를 이용하여 상기 수평단(2)이 상기한 내향홈(911)과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한 스크류볼트(s)를 상기 수평단(2)의 통공(21)을 통해 상기한 이음관(900)의 표면을 파고들도록 한 나사식 체결로 간단히 이룰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으로 본 발명의 상기 이탈방지클립(A)의 체결조립을 마무리할 수 있게 된다.
이 후로, 상기 이음관(900) 내부로 파이프(p)를 끼워맞춤하는 파이프이음 작업을 실시하는바, 파이프(p) 삽입시의 마찰간섭으로 인해 상기 이탈방지클립(A)에 응력이 형성된다.
때문에, 상기 이탈방지클립(A)의 가압단(4)이 상기한 이음관(900)의 내경면 측으로 후퇴하는 탄성변형 작용을 일으키게 되고, 이로써 상기 제1수직단(4-1)의 가압돌기(41)들을 시작으로 제2수직단(4-2)과 제3수직단(4-3) 각각의 가압돌기(41)들이 상기한 이음관(900)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가압단(4)의 복원 특성의 영향을 받아 결국 파이프(p)의 외경을 강하게 압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압돌기(41)가 기존의 뾰족한 산형과 달리 "
Figure pat00003
"형으로 형성됨에 따른 가압면적의 확장으로, 상기한 파이프(p)를 외면을 파고들지 않게 됨에 따라 스크래치 발생과 같은 상기 파이프(p)의 표면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이탈방지클립, 1 : 제1수직단, 2 : 수평단
3 : 제2수직단, 4 : 가압단, 4-1 : 제1돌기부
4-2 : 제2돌기부, 4-3 : 제3돌기부, 11 : 가이드돌기
21 : 통공, 41 : 가압돌기, 42 : 가이드공

Claims (6)

  1. 파이프이음 작업을 위한 이음관의 내경면 일 부위에 형성된 내향홈에 구비결합된 상태로 상기 파이프 외경면을 가압하도록 된 통상의 이탈방지클립에 있어서,
    상기 내향홈의 일측 단부면과 밀착하는 제1수직단;
    상기 제1수직단으로부터 연장 절곡됨에 따라, 상기 내향홈의 바닥면과 밀착하게 된 수평단;
    상기 수평단으로부터 연장 절곡됨으로써, 상기 내향홈의 타측 단부면에 밀착되는 제2수직단; 및,
    상기 제2수직단으로부터 더 연장 절곡된 상태로, 상기 이음관 내부로 끼워맞춤하는 상기 파이프의 삽입 외력에 대응하여 탄성변형(彈性變形, Elastic deformation)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 가압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단의 마감단부에는, 상기 가압단의 탄성변형 작용범위의 제한을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가압단의 일 부위에는, 상기 가압단의 삽입배치를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공이 관통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단의 탄성변형 작용범위는, 상기 가압단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가압돌기의 돌출길이 이내에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단의 외면부에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단계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된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 및 제3돌기부가 배열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돌기부는, 펀칭공정에 의해 상기 가압단의 외면부로부터 경사형으로 절개 돌출된 다수개의 가압돌기가 일정 간격을 두고 횡으로 배열되는 동시에 종 방향으로 다수의 그룹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가압단의 일부위로부터 "
    Figure pat00004
    "형으로 절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
KR1020110103879A 2011-10-12 2011-10-12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 KR101352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879A KR101352538B1 (ko) 2011-10-12 2011-10-12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879A KR101352538B1 (ko) 2011-10-12 2011-10-12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379A true KR20130039379A (ko) 2013-04-22
KR101352538B1 KR101352538B1 (ko) 2014-01-17

Family

ID=48439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879A KR101352538B1 (ko) 2011-10-12 2011-10-12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5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379B1 (ko) * 2016-03-14 2016-11-22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장치
JP6059777B1 (ja) * 2015-08-18 2017-01-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管継手
KR20180000865U (ko) * 2016-09-20 2018-03-28 춘화 쳉 배기 파이프용 보조 네킹 채널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7809B2 (ja) 2003-11-20 2009-02-04 東拓工業株式会社 管接続部の構造及び管継手
KR200346009Y1 (ko) 2003-11-21 2004-03-26 이영주 파이프 연결용 소켓
JP2011185337A (ja) 2010-03-05 2011-09-22 Inoac Housing & Construction Materials Co Ltd 管継手用ロックリング
KR101005763B1 (ko) 2010-08-30 2011-01-06 (주)폴리텍 파이프 연결용 소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9777B1 (ja) * 2015-08-18 2017-01-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管継手
WO2017029958A1 (ja) * 2015-08-18 2017-02-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管継手、配管の接続構造及び空気調和装置
KR101678379B1 (ko) * 2016-03-14 2016-11-22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장치
KR20180000865U (ko) * 2016-09-20 2018-03-28 춘화 쳉 배기 파이프용 보조 네킹 채널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2538B1 (ko) 201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5623B1 (ko) 퀵 커넥터 어셈블리
EA032194B1 (ru) Раструбное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раструб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EP2085672A1 (en)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thin-wall stainless steel tube and joint
JP6526144B2 (ja) グルーブ式管継手アダプター
KR101352538B1 (ko)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
US20100072744A1 (en) Quick-Connect Structure for Quick Connection of Piping Elements
JP2006214140A (ja) 排水管路構造、排水管路の施工方法および排水管路施工セット
KR101538337B1 (ko)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
KR200399662Y1 (ko) 맨홀 접속장치
KR101218352B1 (ko) 배관용 연결기구
KR101008205B1 (ko) 편수관
JP5089483B2 (ja) ゴムリング
KR20180001036U (ko) 파이프 고정용 밴드
JP5791005B2 (ja) 管継手用ロックリング
KR101068778B1 (ko) 상수도관의 직선이음구간 접합구조
RU2621429C2 (ru) Трубный фитинг
KR101051082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100953158B1 (ko) 분기관 연결구
KR101329279B1 (ko) 파이프 연결구조 및 파이프 연결방법
KR102134970B1 (ko) 배수용 본관에 지관을 연결하는 연결관
KR101090733B1 (ko) 관 결합구조
US11608912B2 (en) Fix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00073424A (ko) 파이프 연결구용 이탈방지링
KR100696402B1 (ko) 내진형 관 연결구
KR200449616Y1 (ko) 상,하수도관용 연결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