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616Y1 - 상,하수도관용 연결클립 - Google Patents

상,하수도관용 연결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616Y1
KR200449616Y1 KR2020080006731U KR20080006731U KR200449616Y1 KR 200449616 Y1 KR200449616 Y1 KR 200449616Y1 KR 2020080006731 U KR2020080006731 U KR 2020080006731U KR 20080006731 U KR20080006731 U KR 20080006731U KR 200449616 Y1 KR200449616 Y1 KR 2004496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es
water
clip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7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060U (ko
Inventor
김경숙
이용표
Original Assignee
(주)와콘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콘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와콘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800067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616Y1/ko
Publication of KR200900120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0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6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6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상,하수도관용 연결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상,하수도관의 대관과 소관을 한 번의 간단한 삽입공정을 통하여 긴밀하고 견고하게 연결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상,하수도관의 소관과 대관을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클립에 있어서, 상기 연결클립은 연결부재의 일측에 대관의 일단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턱면으로 이 결합턱면과 기밀성을 갖도록 실링부재가 결합되어 밀착되는 다수 개의 결합편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반대 측 결합편에는 대관의 내부 측으로 삽입되는 소관에 의해 절곡부가 절곡되면서 상기 소관의 외측면과 밀착되어 연결 고정되도록 기밀부재가 결합되는 탄성편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용 연결클립에 관한 것이다.
Figure R2020080006731
상,하수도관, 대관, 소관, 연결, 클립, 기밀, 탄성

Description

상,하수도관용 연결클립{The connection clip for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
본 고안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상,하수도관용 연결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상,하수도관의 대관과 소관을 한 번의 간단한 삽입공정을 통하여 긴밀하고 견고하게 연결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상,하수도관용 연결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관을 연결 고정하는 방식에는 크게 서로 동일 직경을 가지는 상,하수도관을 연결 고정하는 방식과,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대관과 소관을 연결 고정하는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먼저, 전자인 동일 직경을 가지는 상,하수도관을 연결 고정하는 방식은 각 상,하수도관의 선단과 끝단을 맞닿게 한 다음 그 맞닿는 외측면으로 실링수단과 상기 동일 직경을 갖는 상,하수도관의 외측면을 감싸는 이음관을 다시 이중으로 겹쳐지게 설치하는 방식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한편, 후자인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상,하수도관의 대관과 소관을 연결 고정하는 방식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고정하고자 하는 소관(110)의 외측 면 또는 대관(100)의 내측면에 고무패드 등과 같은 필요로 하는 실링수단(200)을 부착하거나 고정시키고, 이렇게 실링수단이 부착 또는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소관의 일단을 대관의 일단으로 삽입시켜 연결한다.
이렇게, 소관의 일단이 대관의 일단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삽입되어 있는 외측면으로 다시 한번 실링작업이나 이음관 등으로 겹쳐지게 마감작업을 행함에 따라 상,하수도관의 대관과 소관을 연결 고정하기 위한 일련의 연결 고정작업이 완료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상,하수도관의 대관과 소관을 연결 고정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먼저 소관의 외측면 또는 대관의 내측면으로 구비되는 실링수단에 의해 소관을 대관으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실링수단에 의해 잘 삽입되지 않고, 즉 마찰로 인해 원활하게 삽입되지 않고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으로 인해 오랜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소관을 대관에 삽입하여 연결시킨 상태에서 다시금 서로 연결된 부위에 소관과 대관 사이에 구비되는 실링수단의 누수 등을 방지하고자 실링작업이나 마감작업을 다시 한번 행해야 함으로써, 이중적인 마무리작업을 행해야 하는 상당히 번거로운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안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상,하수도관의 대관과 소관을 한 번의 간단한 삽입공정을 통하여 긴밀하고 견고하게 연결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상,하수도관용 연결클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소관을 대관으로 연결 고정시 소관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더욱더 큰 고정력으로 연결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상,하수도관의 소관과 대관을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클립에 있어서, 상기 연결클립은 연결부재의 일측에 대관의 일단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턱면으로 이 결합턱면과 기밀성을 갖도록 실링부재가 결합되어 밀착되는 다수 개의 결합편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반대 측 결합편에는 대관의 내부 측으로 삽입되는 소관에 의해 절곡부가 절곡되면서 상기 소관의 외측면과 밀착되어 연결 고정되도록 기밀부재가 결합되는 탄성편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편과 탄성편에는 실링부재와 기밀부재가 결합되도록 각각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편의 길이는 결합편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본 고안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상,하수도관의 대관과 소관을 연결 고정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상,하수도관의 대관과 소관을 한 번의 간단한 삽입공정을 통하여 긴밀하고 견고하게 연결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편한 작업조건을 가짐은 물론 단시간 내에 연결 고정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전체적인 공사기간을 최단기간 내에 완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소관이 삽입되어 집적으로 접촉되는 연결클립의 탄성편을 결합편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함으로써, 소관을 대관으로 연결 고정시 소관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더욱더 큰 고정력으로 연결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대관의 상,하수도관에 결합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통상적인 상,하수도관의 대관(100)과 소관(110)을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클립에 있어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상,하수도관의 대관과 소관을 한 번의 간단한 삽입공정을 통하여 긴밀하고 견고하게 연결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클립(1)은, 대관과 같은 형태인 통상적인 링 형태의 연결부재(10)의 일측에 대관(100)의 일단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턱면(100a)으로 이 결합턱면과 누수 등을 방지를 위하여 기밀성을 갖도록 환형의 실링부재(22)가 결합되어 밀착되는 다수 개의 결합편(2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10)의 반대 측 결합편(20)에는 대관(100)의 내부 측으로 삽입되는 소관(110)에 의해 절곡부(24)가 꺾이듯이 절곡되면서 상기 소관(110)의 외측면과 누수 등이 발생하지 않게 밀착되어 연결 고정되도록 환형의 기밀부재(26)가 결합되는 탄성편(25)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결합편(20)과 탄성편(25)에는 실링부재(22)와 기밀부재(26)를 결합 후 쉽게 빠지지 않게 결합되도록 각각의 삽입홈(20a)(25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편(25)의 길이는 결합편(20)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함으로써, 대관의 일단으로 삽입되는 소관의 일단이 대관의 내부 측으로 깊게 삽입되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기밀부재와 탄성편에 의해 더욱더 큰 고정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본 고안은, 먼저 도 3a에서와 같이 대관(100)의 일단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턱면(100a)에 연결클립(1)인 연결부재(10)의 일측으로 형성된 결합편(20)을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이때 상기 결합편의 삽입홈에 결합되어 있는 실링부재(22)는 상기 대관의 결합턱면의 내측면과 긴밀하게 밀착되어 누수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밀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대관의 결합턱면에 연결클립의 결합편 삽입이 완료되면 소관(110)의 일단을 상기 결합편의 일측에 형성된 탄성편(25)의 내부로 삽입시킴에 따라 상기 삽입되는 소관(110)에 의해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탄성편(25)에 형성된 절곡부(24)가 꺾이듯이 절곡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편의 삽입홈에 결합되어 있는 기밀부재(26)가 소관의 외측면과 밀착되어 누수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밀착됨과 아울러 긴밀하게 연결 고정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에서, 탄성편이 절곡부에 의해 꺾이듯이 절곡됨에 따라 상기 절곡편의 절곡부가 대관의 내측면과 소관의 외측면 사이에서 꺾여진 산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소관의 외측면과 맞물려 스토퍼 역할을 하여 고정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편에 소관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기밀부재 또한 소관과 밀착되게 고정되어 더욱더 큰 고정력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대관의 일단에 삽입되어 지는 본 고안의 연결클립에 의해 소관을 한 번의 삽입공정을 통하여 긴밀하고 견고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하수도관의 대관과 소관을 연결 고정시 최단시간 내에 연결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기밀성 또한 결합편에 결합되는 실링수단과 탄성편에 결합되는 기밀수단에 의해 이중으로 기밀성을 갖는 조건으로 인해 연결 고정 후에도 누수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연결클립에 의해 상,하수도관의 대관과 소관의 연결 고정 이 최단시간 내에 번거로움 없이 긴밀하고 견고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간편한 작업조건을 가짐과 아울러 연결 고정작업 시간을 최소화하여 전체적인 공사기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대관의 상,하수도관에 결합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해 대관에 소관이 연결 고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대관에 소관이 연결 고정되기 전을 나타낸 요부도.
도 3b는 대관에 소관이 연결 고정된 상태의 요부도.
도 4는 일반적인 대관과 소관의 상,하수도관이 연결 고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결클립 10 : 연결부재
20 : 결합편 20a,25a : 삽입홈
22 : 실링부재 24 : 절곡부
25 : 탄성편 26 : 기밀부재
100 : 대관 100a : 결합턱면
110 : 소관

Claims (3)

  1.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상,하수도관의 소관과 대관을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클립에 있어서,
    상기 연결클립(1)은 연결부재(10)의 일측에 대관(100)의 일단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턱면(100a)으로 이 결합턱면과 기밀성을 갖도록 실링부재(22)가 결합되어 밀착되는 다수 개의 결합편(2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반대 측 결합편에는 대관의 내부 측으로 삽입되는 소관(110)에 의해 절곡부(24)가 절곡되면서 상기 소관의 외측면과 밀착되어 연결 고정되도록 기밀부재(26)가 결합되는 탄성편(25)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용 연결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20)과 탄성편(25)에는 실링부재(22)와 기밀부재(25)가 결합되도록 각각의 삽입홈(20a)(25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용 연결클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25)의 길이는 결합편(20)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용 연결클립.
KR2020080006731U 2008-05-23 2008-05-23 상,하수도관용 연결클립 KR2004496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731U KR200449616Y1 (ko) 2008-05-23 2008-05-23 상,하수도관용 연결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731U KR200449616Y1 (ko) 2008-05-23 2008-05-23 상,하수도관용 연결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060U KR20090012060U (ko) 2009-11-26
KR200449616Y1 true KR200449616Y1 (ko) 2010-07-23

Family

ID=44241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731U KR200449616Y1 (ko) 2008-05-23 2008-05-23 상,하수도관용 연결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61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175B1 (ko) * 2017-03-28 2018-04-24 손영종 탐색이 가능한 지중배관
CN108361457B (zh) * 2018-02-28 2020-06-19 邓华明 自动密封快速接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7324B2 (ja) * 1992-02-01 1997-08-27 アルベルト、ヒビー、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カンパニー、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ャフト 給油所における給油ノズル装着装置
JPH10110463A (ja) 1996-10-04 1998-04-28 Nishikawa Rubber Co Ltd 下水管用ゴム輪
KR100629539B1 (ko) 2003-11-21 2006-09-27 유겐가이샤 하마인터나쇼나루 관조인트
KR100726983B1 (ko) 2006-09-28 2007-06-14 김광석 배관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7324B2 (ja) * 1992-02-01 1997-08-27 アルベルト、ヒビー、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カンパニー、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ャフト 給油所における給油ノズル装着装置
JPH10110463A (ja) 1996-10-04 1998-04-28 Nishikawa Rubber Co Ltd 下水管用ゴム輪
KR100629539B1 (ko) 2003-11-21 2006-09-27 유겐가이샤 하마인터나쇼나루 관조인트
KR100726983B1 (ko) 2006-09-28 2007-06-14 김광석 배관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060U (ko)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524041A (ja) 管用のクランプ接続部
CN103115210B (zh) 管接头结构
KR200449616Y1 (ko) 상,하수도관용 연결클립
DK2154411T3 (da) Indretning til at fastgøre et plastrør til en tilslutningsnippel
CN201875330U (zh) 一种塑料管道的快速连接结构
KR20090095401A (ko) 환경친화형 공조 덕트의 연결장치
KR200269760Y1 (ko) 배관용 조인트
CN210344647U (zh) 一种扣式连接管道
KR20080033131A (ko) 분기관 연결구
CN107827172B (zh) 集成水路板与管路的连接结构及水处理设备
JP6093194B2 (ja) 管継手構造
CN104500886A (zh) 一种可旋转的弯形连接管
WO2017023110A1 (ko) 파이프 연결용 탑 조인트 링
KR100833815B1 (ko) 수밀 및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관
CN103498989A (zh) 一种塑料管连接接头
CN114087445A (zh) 一种连接接头和取管装置
KR20110028725A (ko) 상수도관의 직선이음구간 접합구조
KR200463450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
CN211344371U (zh) 一种密封型三通
CN216666836U (zh) 一种连接接头和取管装置
CN203517076U (zh) 插管式连接接头
CN218564649U (zh) 一种管道的承插连接结构
JP5514502B2 (ja) 屈曲防止リング及びリブ付き管の接続構造
CN106737416B (zh) 一种快插接头的拆卸工具
CN201575265U (zh) 支管连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