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379B1 - 관 연결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관 연결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379B1
KR101678379B1 KR1020160030272A KR20160030272A KR101678379B1 KR 101678379 B1 KR101678379 B1 KR 101678379B1 KR 1020160030272 A KR1020160030272 A KR 1020160030272A KR 20160030272 A KR20160030272 A KR 20160030272A KR 101678379 B1 KR101678379 B1 KR 101678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lamps
protrusions
elastic ring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백규
Original Assignee
두리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리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리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0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3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 연결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관을 삽입 결합시키기 위해, 수밀을 위한 탄성링과, 탄성링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밀착링을 일체화시켜 조인트관 양단의 확경부 내부에 안착시키고, 탄성링과 가입밀착링을 외부에서 감싸 조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클램프부재를 제1,2,3클램프로 구성하고, 이 제1,2,3클램프 사이에 상호 대응되게 끼움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된 회동부재로써 제1,2,3클램프를 원형이 유지되게 조립함에 따라, 볼트 및 너트로서 조립하여 회동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작업 현장에서 조립성이 우수하였으며, 또한, 탄성링의 내측안착부 내주면이 삽입되는 연결관의 외주면과 접촉면적이 좁아지도록 내측안착부의 높이를 짧게 구성하여 연결관의 삽입 및 분리시 고무재질의 탄성링과의 접촉면적을 줄여 연결관의 삽입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관 연결 조립장치{Pipe joint device}
본 발명은 오,배수관 및 지하 횡주관 등의 배관 시공상의 관 사이에 연결되는 관 연결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연결관과 조인트관 사이에 견고한 결착력이 요구되고, 관 내부에 높은 압력이 발생 될 수 있으며, 높은 곳에서 수직 낙하하는 오수 및 배수로 인해 관 이탈이 발생 될 수 있는 곳에 사용할 수 있는 시공이 용이한 관 연결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 내부에 일정한 압력과 관 이탈이 발생될 수 있는 배관의 연결을 위하여 사용되는 연결구는 통상적으로 플랜지가 형성된 관형태로서 내부에 수밀을 위한 패킹이 구비되며 플랜지와 플랜지를 다수개의 볼트로 체결하여 결속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구는 볼트를 체결할 때 각각 다수의 볼트를 조여서 결합하는 방식으로 연결구가 균등하게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의 숙련도와 과도한 힘이 요구되고, 결합하는 방법에 있어 연결구를 분해하여 다시 관과 같이 조립하는 방식으로 장시간의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밀을 위한 패킹은 단순히 배관의 외경에 밀착되는 형태로 결속되기 때문에 수밀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많았고 배관의 일측 부분을 내삽할 때 관과 패킹을 연결구 내측에 안착시켜 조립함에 어려움이 있어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어 왔다. 아울러, 다수개의 볼트로 고정하는 클램프와 같은 결속수단을 이용하여 관 연결시 연결구의 체결부위를 현장에서 해체하여 연결될 관의 외주면에 패킹과 패킹을 가압할 수 있는 링을 삽입하는 별도의 시공공정이 있어야 하며, 링을 삽입한 상태에서 연결될 관과 연결구의 위치를 세팅한 다음 연결구의 내측에 삽입하여 다수개의 볼트로 클램프를 조이는 순서를 거쳐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10-1522207호(발명의 명칭 : 관 연결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배관을 연결하는 이음관을 고정시키기 위해, 수밀을 위한 탄성링과, 탄성링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링을 일체화시켜 이음관 내부에 설치하고 이들의 외부에 클램프를 형성시켜 배관 시공시 별도의 분해작업 없이 연결될 관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이음관에 삽입시킨 후 한개의 볼트로 구성된 클램프를 현장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전동 및 충전식 렌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조립시 과도한 힘이 필요 없으며 조임에 따라 연결될 관과 이음관을 간편하게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관 연결 조립체로서, 견고한 결속력과 수밀성, 시공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연결될 관과 이음관을 연결 고정시키기 위해, 수밀을 위한 탄성링과, 탄성링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링을 일체화시켜 이음관 내부에 설치하고 이들을 외부에서 감싼 상태에서 조임력을 발생시켜 연결될 관과 이음관을 간편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클램프가, 3등분으로 분리되어 두 곳에서 수직으로 힌지기능을 하는 볼트 및 너트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조립공수가 추가되고, 금속재질의 볼트 및 너트의 장기간 사용시 부식에 대한 문제점이 고려되었고, 또한 탄성링의 결합홈에, 가압링의 돌출외주면, 조임력 전달빗면 및 조임력 전달내주면이 결합되어, 조임력 전달내주면이 완전히 차단됨에 따라,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탄성링의 가압밀착면과 간격유지면에, 연결관의 외주면이 직접 밀착되어 간섭이 발생됨에 따라 연결관의 삽입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관을 삽입 결합시키기 위해, 수밀을 위한 탄성링과, 탄성링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밀착링을 일체화시켜 조인트관 내부에 안착시키고, 이를 외부에서 감싸 조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클램프부재를 제1,2,3클램프로 구성하고, 이 제1,2,3클램프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고 끼움방식으로 이루어진 회동부재로써 조립함에 따라 조립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한 관 연결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링의 내측환형만곡부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경사돌기에, 연결관의 외주면이 접촉됨에 따라, 접촉면이 좁아져 연결관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 해결 수단은, 양단 내,외주면에 내측경사단과 외측경사단을 갖는 확경부가 형성된 조인트관과; 확경부의 내측경사단에 안착되어 연결관의 외주면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와; 가압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내측으로 조임력을 가하기 위한 클램프부재로 구성된 관 연결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확경부의 내측경사단 내부에 안착되는 외측안착부와, 외측안착부의 내측에 만곡지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내주면에 다수의 경사돌기가 돌출 형성된 내측환형만곡부로 이루어진 탄성링과; 상기 탄성링의 내측환형만곡부에 안착되는만곡끼움홈이 내측에 연장 형성되고, 외측면이 조인트관의 확경부 양단에 밀착되는 외측경사부를 갖는 가압밀착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관을 삽입 결합시키기 위해, 수밀을 위한 탄성링과, 탄성링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밀착링을 일체화시켜 조인트관 양단의 확경부 내부에 안착시키고, 탄성링과 가입밀착링을 외부에서 감싸 조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클램프부재를 제1,2,3클램프로 구성하고, 이 제1,2,3클램프 사이에 상호 대응되게 끼움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된 회동부재로써 제1,2,3클램프를 원형이 유지되게 조립함에 따라, 볼트 및 너트로서 조립하여 회동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작업 현장에서 조립성이 우수하였으며, 또한 탄성링의 내측환형만곡부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경사돌기에,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관의 외주면이 접촉됨에 따라, 탄성링과 연결관의 접촉면이 좁아져 연결관의 삽입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 조립장치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 조립장치의 결합상태 구성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 조립장치의 클램프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 조립장치의 클램프부재에 대한 평면 구성도.
도 8은 도 7의 A-A선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 조립장치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 조립장치의 결합상태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 조립장치의 클램프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 조립장치의 클램프부재에 대한 평면 구성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 조립장치는 양단 내,외주면에 내측경사단(12a)과 외측경사단(12b)이 형성된 확경부(12)가 각각 형성되고, 중앙 영역 내주면에 양측에서 삽입되는 연결관(1)의 단부가 걸리게 되는 환형차단턱(14)이 형성된 조인트관(10)과; 조인트관(10)을 구성하는 확경부(12)의 내측경사단(12a)에 안착되어 연결관(1)의 외주면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20)와; 가압부재(2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내측으로 조임력을 가하기 위한 클램프부재(5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부재(20)는 상기 확경부(12)의 내측경사단(12a) 내부에 안착되는 외측안착부(32)와, 외측안착부(32)의 내측에 만곡지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내주면에 다수의 경사돌기(34a)가 돌출 형성된 내측환형만곡부(34)로 이루어진 고무재질의 탄성링(30)과; 탄성링(30)의 내측환형만곡부(34)에 안착되는 만곡끼움홈(42a)이 내측에 연장 형성되고, 외측면이 조인트관(10)의 확경부(12) 양단에 밀착되는 외측경사부(42)를 갖는 가압밀착링(4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탄성링(30)의 내측환형만곡부(32)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경사돌기(34a)에,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관(1)의 외주면이 접촉됨에 따라, 접촉면이 좁아져 연결관(1)의 삽입 및 분리시 간섭이 발생 되지 않게 된다.
상기 클램프부재(50)는 조인트관(10)의 외측경사단(12b)과 가압밀착링(40)의 외측경사부(42) 외주면을 감싸도록 테이프홈부(51)가 내측에 연장 형성되고, 원형으로 조립되는 제1,2,3클램프(52)(53)(54)와; 제1,2,3클램프(52)(53)(54) 사이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제1,2,3클램프(52)(53)(54)를 원형으로 조립 가능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회동부재(60)와; 제1,3클램프(52)(54) 사이에 구비되어 제1,2,3클램프(52)(53)(54)를 원형이 유지되도록 조임력을 유지하기 위한 조임력유지부재(70)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부재(60)는 제1,3클램프(52)(54)의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2돌출부(61)(62)와; 제1,2돌출부(61)(62)의 양단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수평회동돌기(63)(64)와; 제2클램프(53)의 양단에 대응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제1,2돌출부(61)(62)와 수평회동돌기(63)(64)가 삽입되는 전면간격(65) 및 후면간격(66)이 연통되게 형성된 제1,2고정돌부(67)(68)와; 제1,2고정돌부(67)(68)에 대응되게 관통 형성되어 수평회동돌기(63)(64)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동공(69)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임력유지부재(70)는 제1,3클램프(52)(54) 양단에 대응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조립통공(71)이 형성된 고정돌부(72)(73)와; 고정돌부(72)(73)의 조립통공(71)을 통하여 삽입되는 체결장볼트(74)와; 체결장볼트(74)에 체결되어 제1,2,3클램프(51)(52)(53)를 원형으로 조임력을 유지하기 위한 조임력유지너트(75)로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돌부(72)(73)의 조립통공(71) 외측면에는 조임력유지너트(75)가 결합되어 공회전이 방지되도록 공회전방지홈(76)이 형성된다.
한편, 제1,2,3클램프(52)(53)(54)의 테이프홈부(51) 외측 내주면에 다수의 핀조립홈(80)을 각각 형성하고, 핀조립홈(80)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뾰족부(82a)가 형성된 파이프스톱핀(82)이 각각 체결 고정되어,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관(1)의 외주면에 걸리게 연결관(1)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때, 파이프스톱핀(82)은 제1,3클램프(52)(54)에 대응되게 형성된 핀조립홈(80)에 2개가 대응되게 체결 고정되고, 제2클램프(53)의 핀조립홈(80)에 1개가 체결 고정될 때 연결관(1)과의 고정력이 최대로 우수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 조립장치에 대한 조립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조인트관(10) 양단의 확경부(12)에 형성된 내측경사단(12a) 내주면에, 가압부재(20)를 구성하는 탄성링(30)의 외측안착부(32)를 안착시킨 다음, 탄성링(30)의 내측환형만곡부(34)에, 가압밀착링(40)의 외측경사부(42)에 형성된만곡끼움홈(42a)을 안착시키게 된다.
그러면, 합성수지 재질의 가압밀착링(40)의만곡끼움홈(42a)이 탄성링(30)의 내측환형만곡부(34)에 안착되는 동시에 외측경사부(42)의 내측이 조인트관(10) 양단의 확경부(12)에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인트관(10)의 양단 내부로 양단부가 환형차단턱(14)에 밀착되도록 연결관(1)을 삽입하게 되면, 연결관(1)의 외주면이 탄성링(30)의 내측환형만곡부(34) 내주면의 경사돌기(34a)에 밀착되어 수밀이 유지된다.
그 다음으로 클램프부재(50)를 구성하는 제1,2,3클램프(52)(53)(54)를 회동부재(60)로써 내측으로 충분히 벌린 다음, 내부에 연장 형성된 테이프홈부(51)를, 조인트관(10)의 외측경사단(12b)과 가압밀착링(40)의 외측경사부(42) 외주면에 감싸고, 조임력유지부재(70)를 구성하는 제1,3클램프(52)(54) 양단에 대응되게 일체로 형성된 고정돌부(72)(73)의 조립통공(71)을 통해 체결장볼트(74)를 삽입하고, 체결장볼트(74)에 조임유지너트(75)를 체결하게 된다.
그러면, 제1,2,3클램프(52)(53)(54)가 회동부재(60)를 중심으로 내측 방향으로 회동하여 조임력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탄성링(30)의 외측안착부(32)가 재질의 특성상 찌그러지게 되면서 조인트관(10)의 내측경사단(12a) 내주면에 밀착되어 수밀이 유지된다.
이와 동시에 제1,2,3클램프(52)(53)(54)의 테이프홈부(51) 외측 내주면에 형성된 핀조립홈(80)에, 체결 고정된 파이프스톱핀(82)의 뾰족부(82a)가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관(1)의 외주면에 박히게 되어 연결관(1)의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이와 같이 시공이 완료된 연결관(1)을 조인트관(1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체결장볼트(74)로부터 조임유지너트(75)의 체결력을 해제하고, 고정돌부(72)(73)의 조립통공(71)으로부터 체결장볼트(74)를 분리하게 되면, 제1,2,3클램프(52)(53)(54)의 조임력이 해제된다.
그 다음으로 제1,2,3클램프(52)(53)(54)를 회동부재(60)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벌리고, 내부의 테이프홈부(51)를 조인트관(10)의 외측경사단(12b)과 가압밀착링(40)의 외측경사부(42) 외주면으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간편하게 클램프부재(50)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조인트관(10) 양단의 확경부(12)에 형성된 내측경사단(12a) 내주면으로부터 탄성링(30)과 가압밀착링(40)을 분리하면, 간편하게 조인트관(10)으로부터 연결관(1)이 분리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한 예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1 : 연결관 10 : 조인트관
12a,12b : 내,외측경사단 12 : 확경부
14 : 환형차단턱 20 : 가압부재
30 : 탄성링 32 : 외측안착부
34 : 내측환형만곡부 34a : 경사돌기
40 : 가압밀착링 42a :만곡끼움홈
42 : 외측경사부 50 : 클램프부재
51 : 테이퍼홈부 52,53,54 : 제1,2,3클램프
60 : 회동부재 61,62 : 제1,2돌출부
63,64 : 수평회동돌기 65,66 : 전,후면간격
67,68 : 제1,2고정돌부 69 : 회동공
70 : 조임력유지부재 71 : 조립통공
72,73 : 고정돌부 74 : 체결장볼트
75 : 조임력유지너트 76 : 공회전방지홈
80 : 핀조립홈 82 : 스톱핀
82a : 뾰족부

Claims (6)

  1. 양단 내,외주면에 내측경사단(12a)과 외측경사단(12b)이 형성된 확경부(12)가 형성된 조인트관(10);
    상기 조인트관(10)의 확경부(12)의 내측경사단(12a) 내부에 안착되는 외측안착부(32)와, 외측안착부(32)의 내측에 만곡지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내주면에 다수의 경사돌기(34a)가 돌출 형성된 내측환형만곡부(34)로 이루어진 탄성링(30)과; 탄성링(30)의 내측환형만곡부(34)에 안착되는 만곡끼움홈(42a)이 내측에 연장 형성되고, 외측면이 조인트관(10)의 확경부(12) 양단에 밀착되는 외측경사부(42)를 갖는 가압밀착링(40)으로 이루어져 연결관(1)의 외주면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20); 및
    제1,3클램프(52)(54) 양단에 대응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조립통공(71)이 형성된 고정돌부(72)(73)와, 고정돌부(72)(73)의 조립통공(71)을 통하여 삽입되는 체결장볼트(74)와, 체결장볼트(74)에 체결되어 제1,2,3클램프(52)(53)(54)를 원형으로 조임력을 유지하기 위한 조임력유지너트(75)와, 고정돌부(72)(73)의 조립통공(71) 외측면에 형성되어 조임력유지너트(75)가 삽입되는 공회전방지홈(76)으로 이루어진 조임력유지부재(70)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2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내측으로 조임력을 가하기 위한 클램프부재(50)로 구성된 관 연결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재(50)는,
    상기 조인트관(10)의 외측경사단(12b)과 가압밀착링(40)의 외측경사부(42) 외주면을 감싸도록 내주면에 테이프홈부(51) 연장 형성되고, 테이프홈부(51)에 다수의 핀조립홈(80)이 형성되며, 핀조립홈(80)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뾰족부(82a)가 형성된 파이프스톱핀(82)이 각각 체결 고정되어,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관(1)의 외주면에 걸려 연결관(1)의 이탈이 방지되는 원형으로 조립된 제1,2,3클램프(52)(53)(54)와;
    상기 제1,3클램프(52)(54)의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2돌출부(61)(62)와, 제1,2돌출부(61)(62)의 양단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수평회동돌기(63)(64)와, 제2클램프(53)의 양단에 대응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제1,2돌출부(61)(62)와 수평회동돌기(63)(64)가 삽입되는 전면간격(65) 및 후면간격(66)이 연통되게 형성된 제1,2고정돌부(67)(68)와, 제1,2고정돌부(67)(68)에 대응되게 관통 형성되어 수평회동돌기(63)(64)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동공(69)으로 이루어지고, 제1,2,3클램프(52)(53)(54)를 원형으로 조립 가능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회동부재(60)로 구성되고,
    상기 조임력유지부재(70)의 조임력에 의해 상기 제1,2,3클램프(52)(53)(54)가 원형이 유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 조립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스톱핀(82)은
    상기 제1,3클램프(52)(54)에 대응되게 형성된 핀조립홈(80)에 2개가 대응되게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2클램프(53)의 핀조립홈(80)에 1개 체결 고정시 연결관(1)과의 고정력이 최대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 조립장치.
KR1020160030272A 2016-03-14 2016-03-14 관 연결 조립장치 KR101678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272A KR101678379B1 (ko) 2016-03-14 2016-03-14 관 연결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272A KR101678379B1 (ko) 2016-03-14 2016-03-14 관 연결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8379B1 true KR101678379B1 (ko) 2016-11-22

Family

ID=57540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272A KR101678379B1 (ko) 2016-03-14 2016-03-14 관 연결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379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7642A (zh) * 2017-09-30 2018-05-29 潘汝锦 接驳管快速拆装夹及流体管道接驳结构
KR101891080B1 (ko) * 2018-05-14 2018-08-23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체
KR101891081B1 (ko) 2018-05-14 2018-09-28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체
CN109567559A (zh) * 2018-12-03 2019-04-05 西安创想汇智工业设计有限公司 面向物联网的电炒锅用配件及其方法
KR20200059223A (ko) * 2017-10-12 2020-05-28 게오르크 피셔 하벨 엘엘씨 융착 기계식 조인트의 개발
KR200493534Y1 (ko) * 2019-11-26 2021-04-16 피피아이 주식회사 파이프 체결 구조
KR20210045130A (ko) 2019-10-16 2021-04-26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이음 장치
KR20210066522A (ko) 2019-11-28 2021-06-07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이음 장치
KR102351804B1 (ko) * 2020-12-17 2022-01-17 주식회사 후손 파이프 연결용 클램프
KR20230051008A (ko) * 2021-10-08 2023-04-17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이음 장치
KR102600131B1 (ko) * 2023-04-07 2023-11-09 주식회사 피제이 용전 파이프 연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3064A (ja) * 2003-06-11 2005-01-0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金属補強プラスチック管の端末部
KR20090019058A (ko) * 2007-08-20 2009-02-25 이수홍 배관 연결용 커플러
KR20130039379A (ko) * 2011-10-12 2013-04-22 (주)폴리텍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
KR101523307B1 (ko) * 2014-06-03 2015-05-27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3064A (ja) * 2003-06-11 2005-01-0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金属補強プラスチック管の端末部
KR20090019058A (ko) * 2007-08-20 2009-02-25 이수홍 배관 연결용 커플러
KR20130039379A (ko) * 2011-10-12 2013-04-22 (주)폴리텍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
KR101523307B1 (ko) * 2014-06-03 2015-05-27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체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7642A (zh) * 2017-09-30 2018-05-29 潘汝锦 接驳管快速拆装夹及流体管道接驳结构
KR102398460B1 (ko) 2017-10-12 2022-05-13 게오르크 피셔 하벨 엘엘씨 융착 기계식 조인트의 개발
KR20200059223A (ko) * 2017-10-12 2020-05-28 게오르크 피셔 하벨 엘엘씨 융착 기계식 조인트의 개발
KR101891080B1 (ko) * 2018-05-14 2018-08-23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체
KR101891081B1 (ko) 2018-05-14 2018-09-28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체
WO2019221495A1 (ko) * 2018-05-14 2019-11-21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체
WO2019221439A1 (ko) * 2018-05-14 2019-11-21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체
CN109567559A (zh) * 2018-12-03 2019-04-05 西安创想汇智工业设计有限公司 面向物联网的电炒锅用配件及其方法
KR20210045130A (ko) 2019-10-16 2021-04-26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이음 장치
KR200493534Y1 (ko) * 2019-11-26 2021-04-16 피피아이 주식회사 파이프 체결 구조
KR20210066522A (ko) 2019-11-28 2021-06-07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이음 장치
KR102351804B1 (ko) * 2020-12-17 2022-01-17 주식회사 후손 파이프 연결용 클램프
KR20230051008A (ko) * 2021-10-08 2023-04-17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이음 장치
KR102618520B1 (ko) 2021-10-08 2023-12-28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이음 장치
KR102600131B1 (ko) * 2023-04-07 2023-11-09 주식회사 피제이 용전 파이프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379B1 (ko) 관 연결 조립장치
KR101891081B1 (ko) 관 연결 조립체
JP4094609B2 (ja) 管継手
US20110115217A1 (en) Pipe junction with seal pressing device
KR101523307B1 (ko) 관 연결 조립체
KR20170090085A (ko) 배관 연결장치
KR20170001915U (ko) 개선된 가스배관용 클램프
KR101888168B1 (ko) 분기관 연결장치
KR101891080B1 (ko) 관 연결 조립체
JP2009228769A (ja) カムロック式フランジ継手の締結方法、締結治具、及びフランジ締結装置
KR100777788B1 (ko) 상수도용 이탈 압륜 고무링
KR101881210B1 (ko) 파이프 연결용 탑 조인트 링
KR102392302B1 (ko) 관 이음 장치
KR20090007513A (ko) 파이프용 유니버셜 조인트
JP2009156463A (ja) ストッパーを利用した水道管の連結方法(Apipeconnectingmethodusestopper)
KR101406131B1 (ko) 힌지형 배관 이음장치
KR200439127Y1 (ko) 배관 조인트용 체결 압착 홀더
KR100540783B1 (ko) 배관용 연결구
KR20010088989A (ko) 파이프연결구
KR101441508B1 (ko) 패킹 삽입형 소켓관
KR20080006508U (ko) 배관 연결구
JPH11132373A (ja) 管の固定装置
KR200300312Y1 (ko) 관의 클램프 밴드식 연결구조
KR20120020398A (ko) 파형관 이음재
KR101713411B1 (ko) 농업용 관체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