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534Y1 - 파이프 체결 구조 - Google Patents

파이프 체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534Y1
KR200493534Y1 KR2020190004778U KR20190004778U KR200493534Y1 KR 200493534 Y1 KR200493534 Y1 KR 200493534Y1 KR 2020190004778 U KR2020190004778 U KR 2020190004778U KR 20190004778 U KR20190004778 U KR 20190004778U KR 200493534 Y1 KR200493534 Y1 KR 2004935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ap
spike
locking hole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7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태
이혜정
이일행
황기웅
Original Assignee
피피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피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피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900047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5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5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5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7Joints with sleeve or socket clamped by a wedg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파이프 또는 연결관-파이프의 체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PVC 파이프와 견고하게 체결되고, 우수한 수밀성을 유지하며, 시공성이 우수한 파이프 체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 체결 구조 {Pipe connecting structure}
본 발명은 파이프-파이프 또는 연결관-파이프의 체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PVC 파이프와 견고하게 체결되고, 우수한 수밀성을 유지하며, 시공성이 우수한 파이프 체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 또는 기체 등과 같은 유체를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파이프를 사용하는데, 수송과 보관이 편리하도록 공장에서 파이프를 생산할 때 소정 길이 단위로 파이프를 생산한다.
이러한 파이프는 시공할 때 파이프 일측에 형성된 확관부에 다른 파이프를 삽입하여 체결하거나, 연결관을 이용하여 파이프와 파이프를 길게 연결하여 사용한다.
배관공사에 있어 PVC 소재로 성형된 파이프-파이프 또는 파이프-연결관을 연결할 때는 도 1과 같이 파이프 또는 연결관의 확관부(21)에 파이프(10)를 삽입하고, 수밀성과 파이프의 견고한 체결을 위해 고무링(40)과 캡(30)을 사용하여 파이프를 연결 고정하고 있다.
종래의 PVC 파이프 체결구조는 도 1과 같이 파이프(10)가 삽입되는 연결관 또는 파이프에 내경이 커지는 확관부(21)가 형성되고, 상기 확관부(21)에 파이프(10)를 삽입하며, 파이프(10)의 외면에 고무링(40)을 삽입한 상태에서 연결관(20)의 확관부(21) 외면에 캡(30)을 나사 결합함으로써 연결관 또는 파이프에 다른 파이프(10)가 체결,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캡(30)을 연결관의 확관부(21) 외면에 나사 체결하면, 캡(30)이 연결관의 확관부 외면에 형성된 스크류(22)를 따라 이동하면서 도 1과 같이 캡(30)의 내부에 형성된 압착구(32)가 연결관(20)의 확관부(21) 단부와 근접하게 되는데, 이때 연결관(20)의 확관부(21) 단부와 캡(30)의 압착구(32) 사이에 위치하는 고무링(40)이 압착되면서 고무링(40)이 탄성 변형하며 파이프(10) 외면을 강하게 압착하여 파이프(10)를 고정하고 동시에 수밀성을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파이프 체결구조는 파이프를 체결할 때 캡(30)과 고무링(40)을 연결관에서 분리하여 결합할 파이프(10)의 외면에 삽입한 후, 파이프(10)를 연결관(20)의 확관부(21)에 삽입하고, 캡(30)을 회전시켜 확관부(21)와 나사 결합하는 방식이므로 체결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6010호, "연결관의 파이프 체결구조"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2758호, "파이프 연결용 체결구조" 문헌 3.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782946호, "파이프 연결구의 누름식 체결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연결관-파이프 또는 파이프-파이프를 체결할 때 체결력이 우수하고, 높은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간편하고 빠르게 체결 작업을 할 수 있는 파이프 체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체결 구조는 어느 한 파이프 또는 연결관 단부에 형성된 확관부 몸체(110); 상기 확관부 몸체(110)의 단부에서 외 측으로 입벽 형태로 돌출된 걸림구(112); 링 형태로 몸체(141)가 형성되어 다른 파이프가 삽입되는 캡(140); 상기 캡(140)의 몸체(141) 일측 단부에서 외 측으로 입벽 형태로 돌출된 걸림구(145); 상기 캡(141)의 몸체(141) 타측 방향으로 몸체(141)가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 플랜지(143); 상기 플랜지(143)에서 방사상으로 천공된 구멍 형태로 형성된 스파이크 홈(144); 상기 스파이크 홈(144)에 삽입되는 스파이크(150); 및 내부에 결합홈(124)이 구비된 소정 개수의 마디(122)가 각각 힌지(121)로 체결된 체결구(120);로 구성되어 상기 체결구(120)가 상기 확관부 몸체(110)의 걸림구(112)와 캡(140)의 걸림구(145)에 체결되면서 스파이크(150)를 압착하여 스파이크(150)가 파이프 외면을 압착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확관부 몸체(110)의 걸림구(112)와 캡(140)의 걸림구(145)는 경사지도록 성형되고, 체결구(120)의 결합홈(124) 양 측면은 확관부 몸체(110)의 걸림구(112)와 캡(140)의 걸림구(145)의 경사와 대응되도록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파이크(150)는 판 형태의 몸체(151)와, 상기 몸체(151)의 하부에 투스(152)가 하향 돌출되되, 상기 투스(152)는 한 쌍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140)의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143)에는 스파이크(150)의 투스(152)가 이격된 것과 동일하게 한 쌍의 스파이크 홈(144)이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연결관 몸체(110)에 연결할 파이프(10)를 삽입한 후 체결구(120)를 채우기만 하면, 캡(140)의 스파이크(150) 투스(152)가 파이프(10)의 외면에 압입되면서 파이프를 견고하게 체결, 고정되므로 작업성이 매우 우수하고, 체결력이 우수하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체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체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체결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체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파이프 체결구조를 구성하는 체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파이프 체결구조를 구성하는 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파이프 체결구조를 구성하는 스파이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파이프 체결구조에서 체결구가 채워지기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파이프 체결구조에서 체결구가 채워진 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체결구조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연결관 또는 파이프의 삽입, 체결될 몸체(110)와, 삽입될 파이프(10)의 외면을 압착하여 수밀성을 유지하는 고무링(130)과, 파이프의 외면에서 상기 몸체(110)와 체결되는 캡(140)과, 상기 캡(140)과 몸체(110)에 채워지는 체결구(120)와, 상기 캡(140)에 삽입되어 체결구(120)가 채워짐과 동시에 파이프(10) 외면에 압입되는 스파이크(150)로 구성된다.
체결구(12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개수의 마디(122)가 각각 힌지(121)로 연결되어 일측이 개방된 링 형태가 되도록 구성되고, 개방된 부분의 마디(122)에는 플랜지(123)가 형성되어 플랜지(123)에 볼트를 결합함으로써, 체결구(120)가 링 형태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체결구(120)의 내면에는 홈 형태로 결합홈(124)이 형성된다.
캡(14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형태로 몸체(14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41)의 외측으로 걸림구(145)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몸체(141)의 일측에는 체결편(14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41)의 타측에는 플랜지(143)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143)에는 방사상으로 천공된 구멍 형태의 스파이크 홈(144)이 형성된다.
스파이크(15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형태로 몸체(15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51)의 하부에 한 쌍의 뾰족한 투스(152)가 돌출된다.
상기 투스(152)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투스(152)가 한 개로 구성되면 투스(152)가 파이프 외면에 압입되는 과정에서 비틀어져 투스(152)가 파손되거나, 캡(140) 또는 파이프 외면이 파손될 수 있으므로 투스(152)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체결구(120), 캡(140), 스파이크(150) 및 고무링(130)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파이프 체결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와 같이, 파이프 또는 연결관의 확관부 몸체(110) 외면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구(112)가 형성되고, 캡(140)의 외면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구(145)가 형성되는데, 도 4와 같이 확관부 몸체(110)의 걸림구(112)와 캡(140)의 걸림구(145)가 마주하여 접하도록 확관부 몸체(110)와 캡(140)이 위치한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캡(140)의 플랜지(143)에 형성된 스파이크 홈(144)에 스파이크(150)의 투스(152)가 삽입되도록 스파이크(150)를 캡(140)의 스파이크 홈(144)에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파이프 또는 연결관의 확관부 몸체(110)의 걸림구(112)와 캡(140)의 걸림구(145)가 체결구(120)의 결합홈(124)에 삽입되도록 체결구(120)를 채우고, 체결구(120)의 플랜지(123)를 볼트로 체결하여 조이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구(120)의 마디(122)가 조여지며 캡(140)에 결합된 스파이크(150)를 압착한다.
캡(140)의 조임으로 스파이크(150)가 압착되면 스파이크(150)의 투스(152)가 캡(140)의 내면으로 돌출되며 결합할 파이프(10)의 외면에 압입되면서 파이프(10)가 견고하게 체결, 고정된다.
파이프 내부를 유체가 고압으로 유동할 때 그 충격에 의해 연결부위에서 파이프가 빠지는 일이 발생하는데, 본 발명의 체결 구조는 스파이크(150)의 투스(152)가 파이프(10)의 외면을 압입하여 고정하므로, 파이프(10)가 임의로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확관부 몸체(110)와 캡(140) 사이에 고무링(130)이 삽입되므로 고무링(130)에 의해 수밀을 유지한다.
또한, 도 4와 같이 확관부 몸체(110)의 걸림구(112)와 캡(140)의 걸림구(145) 일측 면이 경사지게 성형되고, 체결구(120)의 내면이 경사지게 성형되므로 체결구(120)를 채워 조이면 확관부 몸체(110)와 캡(140)이 강하게 밀착되면서 고무링(130)을 압착하고, 이로 인해 높은 수밀성이 유지된다.
그리고 도 4에서 파이프 또는 연결관이 확관부 몸체(110)의 체결편(113)과 캡(140)의 체결편(142)이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연결관 몸체(110)에 연결할 파이프(10)를 삽입한 후 체결구(120)를 채우기만 하면, 캡(140)의 스파이크(150) 투스(152)가 파이프(10)의 외면에 압입되면서 파이프를 견고하게 체결, 고정되므로 작업성이 매우 우수하고, 체결력이 우수하다.
이상 상술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 : 파이프
110 : 연결관 몸체
111 : 걸림턱
112 : 걸림구
113 : 체결편
120 : 체결구
121 : 힌지
122 : 마디
123 : 플랜지
124 : 결합홈
130 : 고무링
140 : 캡
141 : 몸체
142 : 체결편
143 : 플랜지
144 : 스파이크 홈
145 : 걸림구
150 : 스파이크
151 : 몸체
152 : 투스

Claims (4)

  1. 어느 한 파이프 또는 연결관 단부에 형성된 확관부 몸체(110);
    상기 확관부 몸체(110)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입벽 형태로 돌출된 걸림구(112);
    링 형태로 몸체(141)가 형성되어 다른 파이프가 삽입되는 캡(140);
    상기 캡(140)의 몸체(141) 일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입벽 형태로 돌출된 걸림구(145);
    상기 캡(140)의 몸체(141) 타측 방향으로 몸체(141)가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 플랜지(143);
    상기 플랜지(143)에서 방사상으로 천공된 구멍 형태로 형성된 스파이크 홈(144);
    상기 스파이크 홈(144)에 삽입되는 스파이크(150); 및
    내부에 결합홈(124)이 구비된 소정 개수의 마디(122)가 각각 힌지(121)로 체결된 체결구(120);로 구성되어 상기 체결구(120)가 상기 확관부 몸체(110)의 걸림구(112)와 캡(140)의 걸림구(145)에 체결되면서 스파이크(150)를 압착하여 스파이크(150)가 파이프 외면을 압착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체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 몸체(110)의 걸림구(112)와 캡(140)의 걸림구(145)는 경사지도록 성형되고, 체결구(120)의 결합홈(124) 양 측면은 확관부 몸체(110)의 걸림구(112)와 캡(140)의 걸림구(145)의 경사와 대응되도록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체결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150)는 판 형태의 몸체(151)와, 상기 몸체(151)의 하부에 투스(152)가 하향 돌출되되, 상기 투스(152)는 한 쌍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체결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140)의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143)에는 스파이크(150)의 투스(152)가 이격된 것과 동일하게 한 쌍의 스파이크 홈(144)이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체결 구조.
KR2020190004778U 2019-11-26 2019-11-26 파이프 체결 구조 KR2004935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778U KR200493534Y1 (ko) 2019-11-26 2019-11-26 파이프 체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778U KR200493534Y1 (ko) 2019-11-26 2019-11-26 파이프 체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534Y1 true KR200493534Y1 (ko) 2021-04-16

Family

ID=75733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778U KR200493534Y1 (ko) 2019-11-26 2019-11-26 파이프 체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534Y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1668A (ja) * 1993-09-02 1995-03-17 Hitachi Metals Ltd ライニング管用管継手
KR200302758Y1 (ko) 2002-10-25 2003-02-05 김학건 파이프 연결용 체결구조
KR100977308B1 (ko) * 2010-02-18 2010-08-23 김성훈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1678379B1 (ko) * 2016-03-14 2016-11-22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장치
KR20170046010A (ko) 2015-10-20 2017-04-28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연결관의 파이프 체결구조
KR20170106604A (ko) * 2016-03-11 2017-09-21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입상관 고정용 클램프
KR101782946B1 (ko) 2016-10-25 2017-09-28 정명훈 파이프 연결구의 누름식 체결장치
KR101891080B1 (ko) * 2018-05-14 2018-08-23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체
KR101891081B1 (ko) * 2018-05-14 2018-09-28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체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1668A (ja) * 1993-09-02 1995-03-17 Hitachi Metals Ltd ライニング管用管継手
KR200302758Y1 (ko) 2002-10-25 2003-02-05 김학건 파이프 연결용 체결구조
KR100977308B1 (ko) * 2010-02-18 2010-08-23 김성훈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20170046010A (ko) 2015-10-20 2017-04-28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연결관의 파이프 체결구조
KR20170106604A (ko) * 2016-03-11 2017-09-21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입상관 고정용 클램프
KR101678379B1 (ko) * 2016-03-14 2016-11-22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장치
KR101782946B1 (ko) 2016-10-25 2017-09-28 정명훈 파이프 연결구의 누름식 체결장치
KR101891080B1 (ko) * 2018-05-14 2018-08-23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체
KR101891081B1 (ko) * 2018-05-14 2018-09-28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22074A (en) Releasable coupling for tubular members and method for assemblying said coupling
US3381982A (en) Plastic fitting assembly
KR200493534Y1 (ko) 파이프 체결 구조
US4761093A (en) Unifastener a pipe fitting having a blind fastener
JP3000037U (ja) パイプ連結具
KR200409053Y1 (ko) 파이프 이음구조
US20080309074A1 (en) Device for connection of a tube to a structure
US4692055A (en) Unifastener
KR100930209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101620436B1 (ko) 스페이스 부재의 연결체
KR102062152B1 (ko) 철근 이음용 원터치 커플러
KR101783524B1 (ko) 연결관의 파이프 체결구조
KR200258823Y1 (ko) 배관파이프의연결구조
CN208951494U (zh) 管束连接头
KR200390983Y1 (ko) 원터치 결합형 리벳
KR20050046508A (ko) 관 접속구조
RU223338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ъем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длинномерных элементов
KR102434940B1 (ko) 프레임 사각 체결장치
JPS598065Y2 (ja) 超高圧流体継手
KR100453736B1 (ko) 고밀폐 관 접속구
CN210949409U (zh) 一种应用于型材之间的连接结构
KR20030091904A (ko) 합성수지재 파이프 조인트
KR100515135B1 (ko) 용수 연결부재에 연질수지관의 밀봉 결합구조
KR200231623Y1 (ko) 관 연결구의 패킹결합구조
KR20050074383A (ko) 수지재 용수관의 밀봉 연결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