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197B1 - 관 이탈방지 장치를 구비한 풀림 및 이탈방지형 캡 - Google Patents

관 이탈방지 장치를 구비한 풀림 및 이탈방지형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197B1
KR101366197B1 KR1020120056043A KR20120056043A KR101366197B1 KR 101366197 B1 KR101366197 B1 KR 101366197B1 KR 1020120056043 A KR1020120056043 A KR 1020120056043A KR 20120056043 A KR20120056043 A KR 20120056043A KR 101366197 B1 KR101366197 B1 KR 101366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tube
pipe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2010A (ko
Inventor
이종태
Original Assignee
이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태 filed Critical 이종태
Priority to KR1020120056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197B1/ko
Publication of KR20130132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2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0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comprising locking means for the threaded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캡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관 이탈방지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캡의 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관 이탈방지 장치를 구비한 풀림 및 이탈방지형 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관 이탈방지 장치를 구비한 풀림 및 이탈방지형 캡은 내면에 스크류가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압착구가 내부에 형성된 캡에 있어서, 상기 캡의 일측에는 축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체결수단으로 체결되도록 반 링 형태로 한 쌍의 관 이탈방지 장치가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관 이탈방지 장치는 몸체의 축방향 일측으로 연장되어 몸체 내부로 돌출된 걸림구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축방향 타측으로 연장되어 압착판이 형성된 한 쌍의 관 이탈방지 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관 이탈방지 장치의 걸림구가 캡의 돌부에 걸리도록 체결되어 캡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관 이탈방지 장치를 구비한 풀림 및 이탈방지형 캡 {Cap for prevention pipe-separation with cap stopper}
본 발명은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캡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관 이탈방지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캡의 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관 이탈방지 장치를 구비한 풀림 및 이탈방지형 캡에 관한 것이다.
배관공사에 있어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할 때는 도 1과 같이 체결관(20)의 확관부(21)에 연결관(10)을 삽입하고 수밀성을 유지하고 견고한 체결을 위해 실링(40)과 캡(30)을 사용하여 파이프를 연결하고 있다.
즉, 도 1과 같이 단부에 내경이 넓어지는 확관부(21)가 형성되고 외면에 스크류(22)가 형성된 체결관(20) 확관부(21)에 연결관(10)을 삽입하고, 연결관(10)의 외면에 실링(40)을 삽입한 상태에서 체결관(20)의 확관부(21) 외면에 캡(30)을 나사 결합함으로써 체결관(20)과 연결관(10)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캡(30)을 나사 체결하면 캡(30)이 체결관(20)의 확관부(21) 외면에 형성된 스크류(22)를 따라 전진하면서 도 1과 같이 캡(30)의 내부에 형성된 압착구(32)가 체결관(20)의 확관부(21) 단부와 근접하게 되는데, 확관부(21)의 단부와 압착구(32)의 사이에 위치하는 실링(40)이 압착된다.
이때, 상기 압착구(32)의 단부는 경사진 형태이므로 실링(40)은 압착되면서 탄성변형하여 연결관(10)의 외면을 강하게 압착므로 연결관(10)을 고정시키고, 수밀성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캡(30)은 외부에서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면 캡(30)이 풀리면서 실링(40)의 연결관(10) 외면 밀착력이 저하되어 수밀성이 떨어져 물이 새거나, 연결관이 쉽게 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캡에 관 이탈방지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외부에서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더라도 캡이 풀리지 않아 수밀성을 유지하고, 캡이 풀려 연결관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결관을 견고하게 체결하는 관 이탈방지 장치를 구비한 풀림 및 이탈방지형 캡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관 이탈방지 장치를 구비한 풀림 및 이탈방지형 캡은 내면에 스크류가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압착구가 내부에 형성된 캡에 있어서, 상기 캡의 일측에는 축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체결수단으로 체결되도록 반 링 형태로 한 쌍의 관 이탈방지 장치가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관 이탈방지 장치는 몸체의 축방향 일측으로 연장되어 몸체 내부로 돌출된 걸림구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축방향 타측으로 연장되어 압착판이 형성된 한 쌍의 관 이탈방지 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관 이탈방지 장치의 걸림구가 캡의 돌부에 걸리도록 체결되어 캡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캡의 돌부 전방에는 방사상으로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관 이탈방지 장치의 걸림구에는 방사상으로 홈이 형성됨으로써 관 이탈방지 장치를 캡에 체결하였을 때 캡의 스토퍼가 관 이탈방지 장치의 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착판의 내면에는 압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관 이탈방지 장치의 몸체 양측에 홀이 구비된 결합판이 형성됨으로써 한 쌍의 관 이탈방지 장치를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관 이탈방지 장치를 구비한 풀림 및 이탈방지형 캡은 체결관의 확관부에 나사결합된 캡을 관 이탈방지 장치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외부에 의한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더라도 캡이 풀리지 않기 때문에 우수한 수밀성을 유지하고, 캡이 풀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연결관이 쉽게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연결관을 견고하게 체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캡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캡을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관 이탈방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캡과 관 이탈방지 장치를 체결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캡과 관 이탈방지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다른 형태의 관 이탈방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캡을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관 이탈방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캡과 관 이탈방지 장치를 체결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캡과 관 이탈방지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관이탈방지 장치를 구비한 풀림 및 이탈방지형 캡은 캡(110)과, 상기 캡(110)에 체결되는 장치(120)로 구성된다.
캡(1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관(20)의 확관부(21) 외면에 형성된 스크류(22)와 나사결합되도록 캡(110)의 내면에 스크류(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캡(110)의 내부에는 캡(110)의 축방향으로 압착구(112)가 돌출되어 캡(110)이 체결관(20)의 확관부(21)에 체결되었을 때 확관부(21)의 단부와 캡(110)의 압착구(112) 사이에 위치하는 실링(40)을 압착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캡(110)의 후방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110)의 축방향으로 몸체가 연장되고 그 단부에서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부(113)가 돌출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부(113)의 전방에는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스토퍼(114)가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관 이탈방지 장치(12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캡(110)과 체결되는데, 각각의 관 이탈방지 장치(1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 링 형태로 2개의 몸체(121)가 형성되고, 각 관 이탈방지 장치(120)는 체결수단(128)을 통해 서로 결합되어 링 형태로 캡과 체결된다.
상기 체결수단(127)은 여러 형태가 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관 이탈방지 장치(120)의 양측에 판 형태의 결합판(126)이 돌출되고, 상기 각 결합판(126)에는 홀(127)이 천공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홀(127)에 볼트를 삽입하여 너트로 조여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관 이탈방지 장치(120)의 축 방향으로 일측에는 몸체(121)가 연장되어 걸림구(123)가 관 이탈방지 장치(120)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장치(120)의 축 방향으로 타측에는 몸체(121)가 연장되어 압착판(124)이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관 이탈방지 장치(120)의 걸림구(123)에는 방사상으로 홈(122)을 형성하여 관 이탈방지 장치(120)가 캡(110)에 체결될 때 캡(110)의 스토퍼(114)가 상기 홈(122)에 삽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 이탈방지 장치(120)의 압착판(124) 내면에는 파이프를 압착하는 압착돌기(125)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압착돌기(125)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압착판(124)을 프레스 타공함으로써 타공된 홀에 자연스럽게 생성되는 돌기를 압착돌기(125)로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관 이탈방지 장치(120)를 구비한 풀림 및 이탈방지형 캡(110)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연결하는 상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결합관(10)의 외면에 본 발명에 의한 캡(110)과 실링(40)을 순차적으로 삽입하고, 결합관(10)을 체결관(20)의 확관부(21)에 삽입한 후 캡(110)을 체결관(20)의 확관부(21) 외면에 형성된 스크류(22)에 나사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캡(110)을 체결관(20)의 확관부(21)에 나사 결합하면 캡(110)의 내부에 형성된 압착구(112)가 실링(40)을 확관부(21) 단부에 밀착시키고, 캡(110)을 계속 돌리면 캡(110)이 체결관(20)측으로 이동하면서 캡(110)의 압착구(112)가 실링(40)을 압착하여 실링(40)이 탄성변형하면서 연결관(10) 외면을 압착함으로써 연결관(10)이 고정되고 수밀성이 유지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관 이탈방지 장치(120)를 캡의 후단에 삽입하고 체결수단(128)으로서 결합판(126)에 형성된 홀(127)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두 개의 관 이탈방지 장치(120)을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캡(110)의 후단에 두 개의 관 이탈방지 장치(120)을 결합하면 관 이탈방지 장치(120)에 형성된 결림구(123)가 캡(110)의 돌부(113)에 걸린 상태에서, 관 이탈방지 장치(120)의 압착판(124)이 연결관(10)의 외면을 강하게 압착하게 된다.
상기 관 이탈방지 장치(120)의 압착판(124)의 내면에는 압착돌기(12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압착돌기(125)에 의해 관 이탈방지 장치(120)가 연결관(10)에 견하게 체결 고정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관 이탈방지장치(120)를 캡(110)의 후단에 체결하면 관 이탈방지 장치(120)의 걸림구(123)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홈(122)에 캡(110)의 스토퍼(114)가 삽입됨으로써 캡(110)이 회전하여 풀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관 이탈방지 장치(120)가 캡(110)에 체결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어 캡(110)이 풀리려 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캡(110)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스토퍼(114)가 관 이탈방지 장치(120)의 홈(122)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캡(110)의 회전을 방지하여 캡(110)이 풀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상기 관 이탈방지 장치(120)는 압착판(124)이 연결관(10)의 외면에 강하게 압착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캡(110)이 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파이프에 인장력이 작용하여 연결관(10)이 체결관(20)으로 부터 뽑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 이탈방지 장치(120)에 홈(122)을 형성하되, 상기 홈(122)은 캡(110)의 스토퍼(114)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만 형성하여 관 이탈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관 이탈방지 장치(12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된다.
즉, 본 발명은 관 이탈방지 장치(120)를 이용하여 캡(110)의 나사 결합을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더라도 캡(110)이 풀리지 않기 때문에 우수한 체결력과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관 이탈방지 장치를 구비한 풀림 및 이탈방지형 캡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연결관
20 : 체결관
21 : 확관부
22 : 스크류
30 : 캡
40 : 실링
110 : 캡
111 : 스크류
112 : 압착구
113 : 돌부
114 : 스토퍼
120 : 관이탈방지 장치
121 : 몸체
122 : 홈
123 : 걸림구
124 : 압착판
125 : 압착돌기
126 : 결합판
127 : 홀
128 : 체결수단

Claims (4)

  1. 내면에 스크류(111)가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압착구(112)가 내부에 형성된 캡(110)에 있어서,
    상기 캡(110)의 일측에는 축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부(113)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캡의 돌부(113) 전방에는 방사상으로 스토퍼(114)가 형성되며,
    체결수단(128)으로 체결되도록 반 링 형태로 한 쌍의 관 이탈방지 장치(120)가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관 이탈방지 장치(120)는 몸체(121)의 축방향 일측으로 연장되어 몸체(121) 내부로 돌출된 걸림구(123)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구(123)에는 방사상으로 캡(110)의 스토퍼(114)가 삽입되는 홈(122)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압착판(124)의 내면에는 압착돌기(125)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21)의 축방향 타측으로 연장되어 압착판(124)이 형성된 한 쌍의 관 이탈방지 장치(120)로 구성되어,
    상기 관 이탈방지 장치(120)의 걸림구(123)가 캡(110)의 돌부(113)에 걸리도록 체결되어 캡(110)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탈방지 장치를 구비한 풀림 및 이탈방지형 캡.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128)은,
    관 이탈방지 장치(120)의 몸체 양측에 홀(127)이 구비된 결합판(126)이 형성됨으로써 한 쌍의 관 이탈방지 장치(120)를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탈방지 장치를 구비한 풀림 및 이탈방지형 캡.
KR1020120056043A 2012-05-25 2012-05-25 관 이탈방지 장치를 구비한 풀림 및 이탈방지형 캡 KR101366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043A KR101366197B1 (ko) 2012-05-25 2012-05-25 관 이탈방지 장치를 구비한 풀림 및 이탈방지형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043A KR101366197B1 (ko) 2012-05-25 2012-05-25 관 이탈방지 장치를 구비한 풀림 및 이탈방지형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010A KR20130132010A (ko) 2013-12-04
KR101366197B1 true KR101366197B1 (ko) 2014-03-12

Family

ID=4998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043A KR101366197B1 (ko) 2012-05-25 2012-05-25 관 이탈방지 장치를 구비한 풀림 및 이탈방지형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1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112Y1 (ko) * 2017-12-28 2019-09-26 최육남 캡 풀림 방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809Y1 (ko) * 1999-11-12 2000-06-01 주식회사엘지화학 용기 및 캡의 풀림 방지구조
JP2005172085A (ja) * 2003-12-10 2005-06-30 Kawanishi Suido Kiki:Kk ユニオンナット継手用管離脱防止装置及び解体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809Y1 (ko) * 1999-11-12 2000-06-01 주식회사엘지화학 용기 및 캡의 풀림 방지구조
JP2005172085A (ja) * 2003-12-10 2005-06-30 Kawanishi Suido Kiki:Kk ユニオンナット継手用管離脱防止装置及び解体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010A (ko)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8106B (zh) 同軸連接器
JP2013534603A (ja) パイプフィッティング
JP2013534603A5 (ko)
KR102197256B1 (ko)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TW200730754A (en) Locking device for tube coupler
CN103541982B (zh) 一种嵌套式单边螺栓紧固件
KR101366197B1 (ko) 관 이탈방지 장치를 구비한 풀림 및 이탈방지형 캡
KR101436351B1 (ko) 결착력과 수밀성이 우수한 이음관
CN207542709U (zh) 一种两用电缆管道封堵器
KR200450860Y1 (ko) 볼트 풀림방지용 와셔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KR20150114293A (ko) 가요전선관 커넥터
KR200449780Y1 (ko) 볼트체결용 와셔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US20120204987A1 (en) Faucet assembly
KR200411382Y1 (ko) 주름관 연결구의 고정장치
TWM493166U (zh) 電纜固定裝置
KR100739228B1 (ko) 관 연결용 소켓
KR101296670B1 (ko) 파이프연결용 원터치 피팅
KR101122113B1 (ko) 전선관 커플링
KR200480098Y1 (ko) 관 연결용 체결부재의 슬리브
KR101225697B1 (ko) 하수관을 연결하는 관연결장치
KR101185104B1 (ko) 수도관 연결장치
KR101459749B1 (ko) 세탁기 호스 및 일반호스 겸용 연결구
KR101783524B1 (ko) 연결관의 파이프 체결구조
KR101146686B1 (ko) 이음연결부 외면에 나사선이 없이 평활구조를 갖고 커플링 부재와 결합하도록 제공되는 수도계량기
KR20130004749U (ko) 파이프 체결용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