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1008A - 관 이음 장치 - Google Patents

관 이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1008A
KR20230051008A KR1020210134486A KR20210134486A KR20230051008A KR 20230051008 A KR20230051008 A KR 20230051008A KR 1020210134486 A KR1020210134486 A KR 1020210134486A KR 20210134486 A KR20210134486 A KR 20210134486A KR 20230051008 A KR20230051008 A KR 20230051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lamp
pipe
locking protrusion
joi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8520B1 (ko
Inventor
최백규
하재식
김홍채
Original Assignee
두리화학 주식회사
최백규
하재식
김홍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리화학 주식회사, 최백규, 하재식, 김홍채 filed Critical 두리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4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520B1/ko
Publication of KR20230051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1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 장치는, 양 단부 중 적어도 일단에 확관부가 형성되는 이음관; 상기 확관부의 내측에 끼워지는 씰 링; 상기 확관부를 감싸는 클램프 유닛; 및 상기 클램프 유닛의 내주면에 끼워지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C-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토퍼는, 스토퍼 바디와, 상기 스토퍼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다수의 절개홀을 포함하는 절개홀 세트와, 상기 다수의 절개홀 각각에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절개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스토퍼 바디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이음관에 끼워지는 유동관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 이음 장치 {Apparatus for connecting pipes}
본 발명은 관 이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 소방, 가스, 전기, 및 각종 산업 플랜트 등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연결되어야 할 관들의 단부들을 서로 맞대어 용접하거나, 별도의 이음 장치가 사용된다.
아래의 선행 기술에는 두 개의 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클램프 부재가 적용되는 것이 개시된다.
상세히, 클램프 부재는, 다수의 클램프가 체결 볼트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서로 맞닿은 두 배관의 외주면에 둘러진다. 그리고, 체결 볼트를 죄기 위해서 체결 볼트의 단부에 조임력 유지 너트가 끼워진다.
그리고, 체결 볼트를 죄어 클램프의 직경을 감소시키면, 클램프의 직경이 축소되면서 가압 밀착링의 상면에 반경 방향 힘이 작용한다. 이때, 클램프의 내측 면과 접촉하는 가압 밀착링의 상면이 경사진 형태이기 때문에, 클램프의 조임 과정에서 작용하는 반경 방향 힘은 반경 방향 힘 벡터와 축방향 힘 벡터로 나뉘어서 가압 밀착링의 상면에 작용한다.
그리고, 가압 밀착링에 작용하는 축방향 힘 벡터에 의하여 탄성링이 이음관의 축방향으로 가압되어 형상이 찌그러지게 된다. 그 결과, 탄성링의 내측 면이 이음관의 외주면에 더욱 밀착되면서 이음관의 이탈이 방지된다.
아래 선행 기술에 개시된 바와 같이 3개의 클램프로 이루어지는 2점 힌지 클램프 유닛의 경우 조립부 공차로 인하여 목표 수압 적용에 불리한 단점이 있다.
C-링 형태의 스토퍼 구조에 있어서, 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부분이 연속된 C 형태를 가지는 경우, 클램프를 조여서 스토퍼의 직경이 감소함에 따라, 가압력이 집중되는 스토퍼의 중앙 지점에서 스토퍼의 형상 변형 또는 파괴가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가압력이 스토퍼의 내주면 전체에 골고루 작용하지 못하고, 스토퍼의 양 단부로 갈수록 가압력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밀을 위한 씰링(seal ring)이 다수 개 제공됨에 따라 관 이음 장치의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21-0066522(2021년06월07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 장치는, 양 단부 중 적어도 일단에 확관부가 형성되는 이음관; 상기 확관부의 내측에 끼워지는 씰 링; 상기 확관부를 감싸는 클램프 유닛; 및 상기 클램프 유닛의 내주면에 끼워지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C-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토퍼는, 스토퍼 바디와, 상기 스토퍼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다수의 절개홀을 포함하는 절개홀 세트와, 상기 다수의 절개홀 각각에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절개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스토퍼 바디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이음관에 끼워지는 유동관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토퍼에 형성되는 가압 돌기가 스토퍼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클램프를 조임에 따라 스토퍼의 직경이 감소될 때, 가압력이 가장 크게 집중되는 밀한 영역에서 스토퍼의 형상 변형이 발생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클램프가 1점 힌지 구조 또는 2점 볼트 연결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2점 힌지 구조의 클램프에 비하여 수압 테스트(hydraulic test)에서 성능이 향상되는 것이 확인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2-2를 따라 절개되는 관 이음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상기 관 이음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사시도.
도 5는 도 2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 장치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2-2를 따라 절개되는 관 이음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상기 관 이음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 장치(10)는, 이음관(11), 클램프 유닛(12), 씰 링(sealing ring)(13), 및 스토퍼(14)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이음관(11)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이음관 본체(111)와, 상기 이음관 본체(111)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확관부(112)를 포함한다. 편의상, 상기 확관부(112)가 이음관 본체(111)의 일 단부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두 개의 유동 관(2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음관 본체(111)의 양 단부에 확관부(112)가 각각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확관부(112)의 내측에는 씰 링(13)이 안착되기 위한 씰링 안착부(113)가 형성되된다. 상기 이음관(11)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내측에 상기 씰링(13)이 수용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이음관 본체(111)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확관부(112)가 상기 이음관 본체(111)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씰링 안착부(113)의 반경 방향 길이는 상기 씰 링(13)의 두께보다 작게 설계될 수 있고, 상기 씰링 안착부(113)의 축 방향 길이는 상기 씰 링(13)의 축 방향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축 방향이라고 함은 상기 이음관(11)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씰 링(13)은 상기 유동 관(20)의 외주면에 둘러져서, 상기 이음관(11)과 상기 유동관(12) 사이의 틈새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씰 링(13)의 내경은 상기 유동 관(2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게 설계되어, 상기 씰 링(13)이 탄성 변형하여 상기 유동 관(2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유체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씰 링(13)은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져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4)는 탄성 변형 가능한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C-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클램프 유닛(12)은, 반원 형상의 제 1 클램프(121) 및 제 2 클램프(122)와, 상기 제 1 및 제 2 클램프(121,122)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는 스크류 또는 볼트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및 제 2 클램프(121,122) 각각의 양 단부에는 밀착단(1211,1221)이 절곡 연장되고, 상기 밀착단(1211,1221) 각각에는 체결홀(1212,12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1212,122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스크류와 볼트 같은 체결 부재가 관통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클램프(121,122)의 양 단부가 강하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클램프(121,122)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밀착단들(1211,1221)에만 볼트 삽입을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클램프(121,122)의 타 단부는 힌지 결합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클램프(121)와 제 2 클램프(122) 중 어느 하나의 타 단부에는 연결 힌지(123)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클램프(121)와 제 2 클램프(122) 중 다른 하나의 타 단부에는 상기 연결 힌지(123)가 삽입되는 힌지홀 또는 힌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힌지(123)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클램프(121)와 제 2 클램프(122)의 일 단부들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1 클램프(121)와 제 2 클램프(122) 각각의 내주면에는 확관부 수용홈(1213,1223)과 스토퍼 수용홈(1215,1225)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확관부 수용홈(1213,1223)은 상기 제 1 클램프(121) 및 제 2 클램프(122) 각각의 축 방향 일 단부에 가까운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수용홈(1215,1225)은 상기 제 1 클램프(121) 및 제 2 클램프(122) 각각의 축 방향 타 단부에 가까운 지점에 형성된다. 즉, 상기 확관부 수용홈(1213,1223)과 상기 스토퍼 수용홈(1215,1225)은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축 방향이라 함은, 상기 이음관(11)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확관부 수용홈(1213,1223)과 상기 스토퍼 수용홈(1215,1225)을 연결하는 상기 제 1 클램프(121) 및 제 2 클램프(122)의 내주면은 소정 각도 경사져서 씰링 가압면(1214,1224)을 형성한다.
상기 씰링 가압면(1214,1224)은, 상기 클램프(121,122)가 상기 유동관(20)과 상기 확관부(112)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조여짐에 따라, 상기 씰 링(13)을 축 방향으로 가압하다. 그 결과, 상기 씰 링(13)의 축방향 길이가 감소되면서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씰 링(13)의 내주면이 상기 유동관(20)의 외주면에 더욱 강하게 밀착된다.
상기 씰링 가압면(1214,1224)에 접촉하는 상기 씰 링(13)의 표면도 상기 씰링 가압면(1214,1224)의 경사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설계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씰링 가압면(1214,1224)에 작용하는 가압력은, 상기 씰 링(13)에 작용하되, 축 방향 힘 벡터와 반경 방향 힘 벡터로 분산되어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축 방향 힘 벡터, 즉 상기 이음관(11)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벡터에 의하여 상기 씰 링(13)이 압축되고, 그 결과 상기 씰 링(13)의 내주면은 상기 유동관(20)의 외주면에 더욱 강하게 밀착되어 유체의 누설을 차단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14)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례로서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스토퍼(14)는 C-링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클램프 유닛(12)이 조여짐에 따라 비 원형의 C자 형상에서 원형으로 형상 변형이 되면서 상기 유동관(20)의 외주면에 강하게 밀착된다. 이때, 상기 클램프 유닛(12)이 완전히 조여지면, 상기 스토퍼(14)의 양 단부가 서로 닿아서 동심원 형상을 이루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4)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띠 형상의 스토퍼 바디(141)와, 상기 스토퍼 바디(141)에 형성되는 다수의 절개 홀(143) 및 다수의 절개 홀(143)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 돌기(142)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 돌기(142)는 상기 절개홀(143)이 형성되도록 상기 스토퍼 바디(141)를 펀칭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토퍼 바디(141)에 n자형 슬릿이 형성되도록 펀칭하고, 펀칭 후 슬릿의 내측에 형성된 스토퍼 바디(141) 부분을 절곡시켜서 상기 걸림 돌기(14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142)가 절곡됨에 따라, 상기 n자형 슬릿이 사각형 형상의 절개홀(143)로 변형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 바디(141)를 원형에 가까운 형태로 휨가공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스토퍼(14)가 완성된다.
상기 절개홀(143)은 상기 스토퍼 바디(141)의 폭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개홀(143)은 상기 스토퍼 바디(141)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토퍼 바디(141)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의 절개홀(또는 다수의 걸림 돌기)로 이루어지는 절개홀 세트(또는 걸림 돌기 세트)가 상기 스토퍼 바디(141)의 폭 방향으로 두 줄이 형성되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세 줄 이상의 절개홀 세트(또는 걸림 돌기 세트)가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걸림 돌기(142)의 일 면에는 경사면(144)이 형성되어, 걸림 돌기(142)의 단부가 테이퍼지는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걸림 돌기(142)가 상기 유동관(2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유동관(20)이 분리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세히, 상기 경사면(144)에 의하여, 상기 유동관(20)이 상기 이음관(11) 내부로 삽입될 때는 상기 걸림 돌기(142)가 상기 유동관(20)의 이동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지 않는다. 반면, 상기 유동관(20)이 상기 이음관(11)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는, 상기 걸림 돌기(142)가 상기 유동관(20)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방해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걸림 돌기(142)의 뾰족한 단부가 상기 유동관(20)의 외면을 강하게 눌러서, 상기 유동관(20)이 상기 이음관(11) 또는 상기 클램프 유닛(12)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 유닛(12)의 조임력이 커질수록 상기 걸림 돌기(142)의 스토핑 강도(stopping intensity)도 증가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 장치(10)가 유동관(20)에 끼워지고, 클램프 유닛(12)을 죄기 전에는, 상기 클램프 유닛(12)의 양 단부가 벌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상세히, 클램프 유닛(12)을 조작하기 전에는, 상기 제 1 클램프(121)와 제 2 클램프(122)의 일 단부는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타 단부는 10도 ~ 11도 정도로 벌어진 각도 공차(θ)를 가진다.
도 6에서는 한 쌍의 클램프(121,122)의 일 단부는 힌지 결합되고 타 단부는 볼트 결합되는 1점 힌지 구조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양 단부가 볼트 결합되는 2점 볼트 연결 구조도 마찬가지이다. 즉, 한 쌍의 클램프(121,122)의 일 단부를 먼저 볼트 결합하면, 타 단부가 각도 공차 만큼 벌어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클램프(121,122)의 타 단부를 관통하는 볼트를 돌려서 클램프 유닛(12)을 죄면, 상기 한 쌍의 클램프(121,122)의 타 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다가 종국에는 완전히 밀착되어 원형의 클램프 유닛(12)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클램프 유닛(12)을 죔에 따라, C자 형태에서 원형으로 변형되고, 상기 스토퍼(14)도 C자 형상에서 원형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유동관(20)의 외주면에 강하게 밀착된다. 여기서, C자 형태의 상기 스토퍼(14)의 중앙 부분(B)에서 상기 유동관(20)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가장 크게 작용하고, 상기 스토퍼(14)의 양 단부 부분(C)에서 상기 가압력이 가장 적게 작용할 것이다. 상기 스토퍼(14)의 중앙 부분(B)을 밀한 영역(dense area)으로, 상기 스토퍼(14)의 양 단부 부분(C)을 소한 영역(modest area)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 유닛(12)의 죔에 따라 상기 밀한 영역(B)과 소한 영역(C)에서의 가압력의 차이를 최소화하여, 상기 스토퍼(14)가 상기 유동관(20)의 원주 방향으로 최대한 균일한 가압력을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14a)는, 걸림 돌기(142)의 높이(h)(또는 돌출 길이)가 상기 스토퍼 바디(141)의 중심에서 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스토퍼 바디(141)의 중앙 영역, 즉 밀한 영역(B)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142)의 높이가 가장 낮고, 상기 스토퍼 바디(141)의 양 단부로 갈수록 스토퍼 바디(141)의 높이가 증가(h1>h2>h3)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클램프 유닛(12)을 완전히 죄었을 때, 밀한 영역(B)과 소한 영역(C)에서 상기 스토퍼(14)의 가압력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14b)는, 걸림 돌기(142)의 원주 방향 길이(k)(또는 걸림 돌기의 폭)가 상기 스토퍼 바디(141)의 중심에서 단부로 갈수록 증가(k1<k2<k3)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절개홀(143)의 원주 방향 길이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되, 상기 절개홀(143)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걸림 돌기(142)의 원주 방향 길이만 다르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스토퍼 바디(141)의 중심에서 양 단부로 갈수록 n자형 슬릿의 폭이 감소하도록 가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토퍼 바디(141)의 중심, 즉 밀한 영역(B)에서 슬릿의 폭이 가장 크게 하고, 소한 영역(C)에서 슬릿의 폭이 가장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절개홀(143)의 폭은 모두 동일하되, 상기 절개홀(143)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걸림 돌기(142)의 폭은 상기 밀한 영역(B)에서 가장 작고, 상기 소한 영역(C)에서 가장 크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14c)는, 걸림 돌기(142a)의 형상이 이전 실시예에 따른 걸림 돌기들(142)의 형상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걸림 돌기(142a)의 말단, 즉 상기 유동관(2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단부에 함몰부(14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1421)의 폭이 상기 밀한 영역(B)에서 소한 영역(C)으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설계되어, 상기 유동관(20)에 가해지는 상기 스토퍼(14)의 가압력이 원주 방향으로 최대한 균일하게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14d)의 걸림 돌기(142b)와 절개홀(143a)의 형상이 이전 실시예에 따른 걸림 돌기와 절개홀의 형상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절개홀(143a)의 일부가 C자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걸림 돌기(143b) 또한 C자 형태로 라운드지는 절개홀(143a)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C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걸림 돌기(143b)의 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걸림 돌기(143b)의 말단이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은 이전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14e)의 걸림 돌기(142b)와 절개홀(143a)의 형상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14d)의 걸림 돌기(142b)와 절개홀(143a)의 형상과 동일하되, 걸림 돌기(142b)가 원주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상세히, 절개홀 세트가 상기 스토퍼 바디(141)에 2열로 제공되고, 각 열의 절개홀 세트에서 걸림 돌기(142b)는 원주 방향으로 교번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걸림 돌기(142b)는, 제 1 열의 절개홀 세트에서는 홀수 번째 절개홀들의 가장자리에만 형성되고, 제 2 열의 절개홀 세트에서는 짝수 번째 절개홀들의 가장자리에만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다수의 걸림 돌기(142b)는 상기 스토퍼 바디(141)의 원주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Claims (10)

  1. 양 단부 중 적어도 일단에 확관부가 형성되는 이음관;
    상기 확관부의 내측에 끼워지는 씰 링;
    상기 확관부를 감싸는 클램프 유닛; 및
    상기 클램프 유닛의 내주면에 끼워지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C-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토퍼는,
    스토퍼 바디와,
    상기 스토퍼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다수의 절개홀을 포함하는 절개홀 세트와,
    상기 다수의 절개홀 각각에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절개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스토퍼 바디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이음관에 끼워지는 유동관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홀 세트는 적어도 2열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중심으로부터 양 단부로 갈수록 상기 걸림 돌기의 높이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중심으로부터 양 단부로 갈수록 상기 걸림 돌기의 폭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는, 끝이 뾰족한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에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걸림 돌기의 단부에서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폭은, 상기 스토퍼의 중심으로부터 양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열 이상의 절개홀 세트는,
    제 1 절개홀 세트와,
    상기 제 1 절개홀 세트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절개홀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절개홀 세트에는 상기 걸림 돌기가 홀수 번 째 절개홀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절개홀 세트에는 상기 걸림 돌기가 짝수 번 째 절개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유닛은,
    반원 형상의 제 1 클램프 및 제 2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클램프의 일 단부와 상기 제 2 클램프의 일 단부는 힌지 결합 또는 볼트 결합되고,
    상기 제 1 클램프의 타 단부와 상기 제 2 클램프의 타 단부는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탄성 변형 가능한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 장치.
KR1020210134486A 2021-10-08 2021-10-08 관 이음 장치 KR102618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486A KR102618520B1 (ko) 2021-10-08 2021-10-08 관 이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486A KR102618520B1 (ko) 2021-10-08 2021-10-08 관 이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1008A true KR20230051008A (ko) 2023-04-17
KR102618520B1 KR102618520B1 (ko) 2023-12-28

Family

ID=86133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486A KR102618520B1 (ko) 2021-10-08 2021-10-08 관 이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52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8673A (ja) * 1997-02-28 1998-09-08 Kubota Corp 離脱防止型継ぎ輪
JP2004308793A (ja) * 2003-04-07 2004-11-04 Bridgestone Flowtech Corp 管継手
JP2007292267A (ja) * 2006-04-27 2007-11-08 Cosmo Koki Co Ltd 流体管の移動防止手段
KR101003293B1 (ko) * 2010-09-10 2010-12-21 김창규 내구성이 강화된 관 연결장치
JP2012047280A (ja) * 2010-08-27 2012-03-08 Kubota-Ci Co 管継手
KR101678379B1 (ko) * 2016-03-14 2016-11-22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장치
KR20210066522A (ko) 2019-11-28 2021-06-07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이음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8673A (ja) * 1997-02-28 1998-09-08 Kubota Corp 離脱防止型継ぎ輪
JP2004308793A (ja) * 2003-04-07 2004-11-04 Bridgestone Flowtech Corp 管継手
JP2007292267A (ja) * 2006-04-27 2007-11-08 Cosmo Koki Co Ltd 流体管の移動防止手段
JP2012047280A (ja) * 2010-08-27 2012-03-08 Kubota-Ci Co 管継手
KR101003293B1 (ko) * 2010-09-10 2010-12-21 김창규 내구성이 강화된 관 연결장치
KR101678379B1 (ko) * 2016-03-14 2016-11-22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장치
KR20210066522A (ko) 2019-11-28 2021-06-07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이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520B1 (ko) 202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28351A1 (en) Pipe couplings
CA2874623C (en) Gripper for test and isolation plugs
EP3434955B1 (en) Fittings having arcuate stiffness ribs
US7396053B2 (en) Pipe coupling comprising a divided sleeve
EP3338019B1 (en) Test plug for a pipe elbow
US4580788A (en) Split ring sealing device for high pressure service
KR101916892B1 (ko) 패스트 그루브 조인트
US20080169648A1 (en) Pipe coupling
US4421347A (en) Pipe coupling
JPH02278094A (ja) 片持リップ導管カップリング部材とその組立体
US20130154260A1 (en) Coupling And Joint For Fixedly And Sealingly Securing Components To One Another
KR20180091459A (ko) 무용접 배관 플랜지 연결구
ZA200308092B (en) Closed elastic metal gasket with offset projecting parts.
CA3055526A1 (en) A no-hub pipe coupling method and apparatus
KR20230051008A (ko) 관 이음 장치
US20040160055A1 (en) Pipe seal
KR102157369B1 (ko) 파이프 연결장치
EP0667477B1 (en) Pipe coupling
JP2003014172A (ja) 管継手
GB2025555A (en) Conduit connector
JPH0326378Y2 (ko)
GB2229245A (en) A pipe repair or connection clamp
JP7189675B2 (ja) カップリング式管継手
RU278686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гладких труб
KR20190039301A (ko) 시일 구조 및 시일 방법과 이 시일 구조를 갖는 커플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