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5130A - 관 이음 장치 - Google Patents

관 이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5130A
KR20210045130A KR1020190128502A KR20190128502A KR20210045130A KR 20210045130 A KR20210045130 A KR 20210045130A KR 1020190128502 A KR1020190128502 A KR 1020190128502A KR 20190128502 A KR20190128502 A KR 20190128502A KR 20210045130 A KR20210045130 A KR 20210045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ightening nut
circumferential surface
stopper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백규
하재식
김홍채
Original Assignee
두리화학 주식회사
하재식
김홍채
최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리화학 주식회사, 하재식, 김홍채, 최백규 filed Critical 두리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8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5130A/ko
Publication of KR20210045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1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를 가지고, 상기 단부에 연결 관이 삽입되는 이음관; 및
상기 이음관의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 관을 상기 이음관 내부에 고정시키는 관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관 고정 부재는, 상기 이음관 내부로 삽입되는 조임 너트와, 상기 조임 너트의 외주면에 맞물려서 상기 조임 너트를 회전시키는 웜 볼트와, 상기 조임 너트의 후단에 놓여서 상기 연결 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조임 너트가 상기 이음관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스토퍼의 직경이 축소되도록 상기 스토퍼를 가압하는 가압링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 이음 장치 {Apparatus for connecting pipes}
본 발명은 관 이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 소방, 가스, 전기, 및 각종 산업 플랜트 등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연결되어야 할 관들의 단부들을 서로 맞대어 용접하거나, 별도의 이음 장치가 사용된다.
아래의 선행 기술에는 두 개의 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클램프 부재가 적용되는 것이 개시된다.
상세히, 클램프 부재는, 다수의 클램프가 체결 볼트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서로 맞닿은 두 배관의 외주면에 둘러진다. 그리고, 체결 볼트를 죄기 위해서 체결 볼트의 단부에 조임력 유지 너트가 끼워진다.
제시된 선행 기술에 개시되는 관 이음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상세히, 이음 장치의 클램프를 죄기 위해서는, 설치자가 한 손으로 체결 볼트를 회전시키는 동시에 다른 한 손은 조임력 유지 너트를 잡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이음 장치의 결합 작업이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체결 볼트가 서서히 풀리면서 클램프가 풀어지면서 이음 장치의 체결력이 감소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관 이음 장치의 경우, 관을 이음관에 삽입하기 전에, 너트 및 고무링 등과 같은 관 고정 부재들을 분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관 고정 부재들을 분리한 뒤 관을 이음관에 삽입한 후, 관 고정 부재들을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체결하여야 하므로, 조립 공정과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78379호(2016년11월16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를 가지고, 상기 단부에 연결 관이 삽입되는 이음관; 및
상기 이음관의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 관을 상기 이음관 내부에 고정시키는 관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관 고정 부재는, 상기 이음관 내부로 삽입되는 조임 너트와, 상기 조임 너트의 외주면에 맞물려서 상기 조임 너트를 회전시키는 웜 볼트와, 상기 조임 너트의 후단에 놓여서 상기 연결 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조임 너트가 상기 이음관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스토퍼의 직경이 축소되도록 상기 스토퍼를 가압하는 가압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설치자가 이음관을 연결하기 위해서, 이음관의 양 단부에 관들을 삽입한 상태에서, 한 손은 이음관을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전동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웜볼트를 회전시키면 되므로, 관 이음 장치의 이음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즉, 웜볼트의 타단에 별도의 조임력 유지 너트를 끼울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음관이 고정된 상태에서는 한 손만 이용하여 웜볼트를 회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웜볼트의 회전 중심(또는 웜볼트의 이동 방향)과, 그에 따른 조임 너트의 회전 중심(또는 조임 너트의 이동 방향)이 서로 직교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더라도 웜볼트가 저절로 풀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스토퍼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복원력에 의하여 관 이음 상태가 느슨하게 되기 위해서는, 조임 너트가 풀리는 방향으로 조임 너트에 외력이 작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스토퍼의 복원력은 조임 너트의 축방향으로 조임 너트에 작용하기 때문에, 조임 너트의 회전에는 영향을 주지 못한다.
뿐만 아니라, 조임 너트에 회전력이 작용하더라도 조임 너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어 결합된 상기 웜볼트가 회전하지 못한다. 웜볼트와 조임 너트가 기어 결합되어 있지만, 조임 너트에 회전력이 가해지더라도 웜볼트가 회전하지는 않는 불가역적 결합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간이 지나더라도 스토퍼가 배관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체결력이 감소하지 않고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관 고정 부재들이 이음관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관을 이음관 내부에 삽입하기 전에 관 고정 부재들을 분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체결 공정과 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조립 공정이 매우 단순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관 이음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3-3을 따라 절개되는 상기 관 이음 장치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1의 4-4를 따라 절개되는 상기 관 이음 장치의 종단면도.
도 5는 관 이음 직전의 상태에 있는 관 이음 장치의 종단면도.
도 6은 관 이음이 완료된 상태에 있는 관 이음 장치의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관 이음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3-3을 따라 절개되는 상기 관 이음 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4-4를 따라 절개되는 상기 관 이음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4에 개시되는 관 이음 장치의 도면은, 관 이음 장치의 일측 단부 부분만을 보여주는 도면임을 밝혀둔다. 즉, 이음관의 타측 단부에도 동일한 형태의 관 이음 구조가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 장치(10)는, 이음관(11)과, 상기 이음관(11)의 내부에 삽입되는 관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이음관(11)은 일자 형상, L자 형상, 또는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관 고정 부재는 상기 이음관(11)의 단부들에 동일하게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관 고정 부재가 삽입되는 단부들은 동일한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관이 삽입되는 단부가 상기 이음관(11)의 일 단부에만 형성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예컨대, 이음관의 일단이 제 1 연결 관과 한 몸으로 이루어지고, 이음관의 타단에만 관 이음 구조가 형성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이음관(11)의 일단에 삽입되는 관 고정 부재 및 그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고, 타단에 삽입되는 관 고정 부재 및 그 기능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관 고정 부재는 조임 너트(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임 너트(12)는, 외주면에 기어이가 형성된 기어부(121)와, 상기 기어부의 후단에 형성되는 너트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부(121)는 상기 웜 볼트(13)에 형성된 웜 기어와 맞물리는 부분, 소위 웜휠(worm wheel)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조임 너트(12)의 내측에는 연결될 관이 관통하는 관통홀(123)이 형성된다.
상기 관 고정 부재는 상기 조임 너트(12)를 회전시키는 웜 볼트(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웜 볼트(13)는, 웜축(131)과, 상기 웜축(13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웜 기어(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웜 기어(132)의 일측 단부에는 볼트 홈(13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볼트 홈(131a)은 일자 홈, 십자 홈, 다각형 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자 드라이버, 십자 드라이버, 다각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상기 웜축(131)을 회전시켜서 상기 조임 너트(12)를 이음관(11)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웜축(131)의 양 단부의 외주면에는 베어링(133)이 끼워져서, 상기 웜축(131)의 원활한 회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웜축(131)의 양 단부의 외주면에는 와셔(134)가 끼워져서, 상기 웜축(131)이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일정 수준 이상의 회전력이 상기 웜축(131)에 작용하여야만 상기 웜축(131)이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웜축(131)이 헛돌아서 상기 조임 너트(12)가 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임 너트(12)의 풀림은, 상기 조임 너트(12)가 상기 이음관(11)을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고, 조임은 그 반대의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웜 기어(132)는 상기 조임 너트(12)의 기어부(121)에 맞물려서, 상기 웜축(131)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조임 너트(12)가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웜축(131)의 회전축(또는 중심축)과 상기 조임 너트(12)의 회전축(또는 중심축)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웜축(131)의 회전축이 상기 조임 너트(12)의 회전축과 직교하되, 상기 기어부(121)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웜 볼트(13)가 회전하면 상기 조임 너트(12)가 쉽게 회전하지만, 상기 조임 너트(12)에 회전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웜 볼트(13)가 회전하는 현상은 일어나지 않는다. 즉, 상기 웜 볼트(13)와 조임 너트(12)는 불가역적 회전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불가역적 회전 관계라 함은, 웜 볼트(13)의 회전력이 조임 너트(12)의 회전에 영향을 주지만, 조임 너트(12)의 회전력은 웜 볼트(13)의 회전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관계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웜 볼트(131)를 회전시켜서 상기 조임 너트(12)를 조임 상태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웜 볼트(131)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제거되면, 상기 조임 너트(12)가 스스로 풀림 위치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만일, 이음관(11) 내부에서 발생하는 어떤 힘이 상기 조임 너트(12)에 풀림을 위한 회전력으로 작용하더라도, 상기 회전력은 상기 웜 볼트(13)를 축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힘으로 작용하며, 상기 웜 볼트(13)를 회전시키는 힘으로 작용하지 못한다.
또한, 상기 기어부(121)는, 상기 조임 너트(12)의 회전축(중심축)과 평행한 평기어가 아니라, 상기 웜 기어(132)와 맞물리도록 비스듬히 연장된다. 그 결과, 상기 조임 너트(12)는 회전과 직선 운동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음관(11) 내부에서 발생하는 힘이 상기 조임 너트(12)를 축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으로 작용하더라도, 상기 조임 너트(12)는 회전하지 못한다.
이와 같이, 웜볼트(13)와 조임 너트(12)의 결합 구조에 의하면, 시간이 지나더라도 관 이음 장치(10)의 체결력 또는 관 조임력이 약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관 고정 부재는, 상기 너트부(122)의 후단에 놓이는 와셔(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 고정 부재는, 상기 와셔(14)의 후단에 놓이는 스토퍼(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스토퍼(15)는 양 단이 이격된 C-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조임 너트(12)가 이음관(11) 내부로 이동할 때, 상기 스토퍼(15)의 내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스토퍼(15)의 양 단부가 가까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토퍼(15)의 내측 가장자리가 연결될 관(2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토퍼의 외주면은,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뿔 형태(truncated cone)로 이루어질 수 있고, 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부분은 관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진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관 고정 부재는 상기 스토퍼(15)의 후측에 놓이는 가압링(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링(16)의 내주면은, 상기 스토퍼(15)의 외주면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15)의 외주면이 상기 가압링(16)의 내주면을 타고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압링(16)의 외주면은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관 고정 부재는, 상기 가압링(16)의 후측에 놓이는, 씰링(seal ring)(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씰링(17)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씰링(17)에 의하여, 상기 이음관(11)과 관(20) 사이로 누설되는 유체가 이음관(11)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이 차단된다.
한편, 상기 이음관(11)은, 연결 유로부(112), 배관 수용부(113), 부품 장착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로부(112)는, 서로 연결되어야 할 두 개의 관의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배관 수용부(113)는, 연결될 관(20)의 단부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배관 수용부(113)의 내측에는 배관 안착턱(113a)이 형성된다. 상기 배관 안착턱(113a)에 상기 관(20)의 단부가 안착된다.
상기 부품 장착부(114)의 내부에 상기 관 고정 부재들이 상기 이음관(11)의 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상기 부품 장착부(114)의 전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웜 볼트(13)가 수용되는 웜 볼트 수용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부품 장착부(114)의 전단부에 해당하는 상기 이음관(11)의 내부에는 조임 너트 수용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조임 너트 수용부(115)는, 기어 수용부(115a)와, 너트 수용부(115b)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 수용부(115a)에는 상기 조임 너트(12)의 기어부(121)가 수용된다. 상기 기어 수용부(115a)의 축 방향 길이는 상기 기어부(121)의 축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조임 너트(12)가 축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한다.
상기 너트 수용부(115b)는 상기 기어 수용부(115a)의 후단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너트 수용부(115b)의 내주면에는 상기 너트부(122)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또한, 상기 기어 수용부(115a)의 후단에는 너트 걸림턱(115d)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 너트(12)의 후퇴 길이(또는 삽입 길이)가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임 너트(12)의 후퇴 길이의 제한은, 상기 스토퍼(15)의 조임력의 제한과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너트 수용부(115b)의 후단에서부터 가압링 수용부(116)가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압링 수용부(116)의 후단에는 가압링 걸림턱(1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링(16)은 상기 조임 너트(12)가 삽입될 때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링 걸림턱(117)에 걸릴 때까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압링(16)이 상기 가압링 걸림턱(117)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조임 너트(12)가 더 삽입되면, 상기 스토퍼(15)의 직경이 감소되면서 상기 관(20)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된다.
물론, 상기 가압링(16)이 상기 가압링 걸림턱(117)에 닿기 전에도 상기 스토퍼(15)는 상기 가압링(116)의 경사진 내주면을 타고 이동하면서 직경이 축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씰링(17)이 끼워지는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부품 장착부(114)의 후단은 상기 조임 너트(12)의 삽입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씰링(17)은 축방향으로 이동하지는 못하고, 상기 조임 너트(12)의 이동에 의하여 축방향 길이가 축소되거나 원래 길이로 복원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될 것이다.
도 5는 관 이음 직전의 상태에 있는 관 이음 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관 이음이 완료된 상태에 있는 관 이음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될 관(20)이 삽입되고, 상기 조임 너트(12)가 동작하기 전에는, 상기 조임 너트(12)의 기어부(121) 후면이 상기 이음관(11)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스토퍼(16)도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 즉 양 단부가 이격된 C-링 형상으로 유지되어, 상기 스토퍼(16)의 내주면과 관(20)의 외주면이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씰링(17)도 이음관(11)의 축방향으로 축소되지 않고 원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별도의 관 고정 부재들을 해체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관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며, 편리하게 관 연결 준비 상태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전동 또는 수동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상기 웜 볼트(13)를 회전시키면, 상기 조임 너트(12)는 회전하면서 상기 이음관(11) 내부로 삽입된다(화살표 방향).
상세히, 상기 조임 너트(12)가 삽입되면, 상기 와셔(14)가 상기 스토퍼(15)를 축 방향으로 밀게 되고, 상기 스토퍼(15)의 외주면은 상기 가압링(16)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직경이 감소된다.
상기 스토퍼(15)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압링(16)도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가압링(16)은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15)가 상기 가압링(16) 내부로 미끄러지면서 삽입되다가, 어느 시점부터 가압링(16)과 스토퍼(15)가 함께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가압링(16)이 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씰링(17)을 압축하게 되고, 이 때 씰링(17)은 이음관(11) 내주면과 관(20) 외주면에 상호 압착되어 밀봉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15)의 내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관(20)의 외주면에 강하게 밀착되고, 상기 관(20)은 이음관(11)으로부터 빠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조임 너트(12)가 최대한 삽입되면, 상기 씰링(17)이 축방향으로 축소될 수 있고, 그러면, 원상태로 복원되려는 반력이 상기 씰링(17) 내부에 축적된다.
상기 반력이 상기 조임 너트(12)를 이음관(11) 외부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작용하더라도, 상기 조임 너트(12)는 풀리지 않으므로, 장시간이 경과하여도 관 이음 장치(10)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단부를 가지고, 상기 단부에 연결 관이 삽입되는 이음관; 및
    상기 이음관의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 관을 상기 이음관 내부에 고정시키는 관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관 고정 부재는,
    상기 이음관 내부로 삽입되는 조임 너트와,
    상기 조임 너트의 외주면에 맞물려서 상기 조임 너트를 회전시키는 웜 볼트와,
    상기 조임 너트의 후단에 놓여서 상기 연결 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조임 너트가 상기 이음관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스토퍼의 직경이 축소되도록 상기 스토퍼를 가압하는 가압링을 포함하는 관 이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외주면 일부와 상기 가압링의 내주면 일부는 서로 밀착되고,
    서로 밀착되는 상기 스토퍼의 외주면 및 상기 가압링의 내주면은,
    상기 조임 너트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웜 볼트는,
    웜축과,
    상기 웜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웜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 너트는,
    상기 웜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의 후단에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부를 포함하는 관 이음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의 전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웜 볼트를 수용하는 웜 볼트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조임 너트의 너트부와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너트의 후단과 상기 스토퍼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를 더 포함하는 관 이음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의 후단에 끼워지는 씰링을 더 포함하는 관 이음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웜 기어의 회전축과 상기 조임 너트의 회전축은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의 내부에는, 상기 기어부를 수용하는 기어 수용부와, 상기 너트부를 수용하는 너트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 수용부와 상기 너트 수용부가 만나는 지점에는 너트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압링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가압링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 장치.
KR1020190128502A 2019-10-16 2019-10-16 관 이음 장치 KR20210045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502A KR20210045130A (ko) 2019-10-16 2019-10-16 관 이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502A KR20210045130A (ko) 2019-10-16 2019-10-16 관 이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130A true KR20210045130A (ko) 2021-04-26

Family

ID=75733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502A KR20210045130A (ko) 2019-10-16 2019-10-16 관 이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51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0265A (ko) 2021-12-28 2023-07-05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이음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379B1 (ko) 2016-03-14 2016-11-22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379B1 (ko) 2016-03-14 2016-11-22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0265A (ko) 2021-12-28 2023-07-05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이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1419B1 (en) Pipe coupling with seal pressing device
US3429596A (en) Quick-connect coupling assembly
JP4820543B2 (ja) 2本のパイプのフレア付き端部を接合するねじ接合装置
JPS6124593B2 (ko)
KR20210045130A (ko) 관 이음 장치
US4406483A (en) Universal connector
RU138954U1 (ru) Обжимной фитинг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KR102157369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160079880A (ko) 2개의 파이프라인을 동축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장치를 분리하기 위한 배열체
CN109326994A (zh) 用于潮湿位置的管路配件
KR101458394B1 (ko) 나선관용 연결장치
JPH09317961A (ja) 管継手および管状体保持金具
US3411814A (en) Pipe coupling
KR101638312B1 (ko) 관이음용 어댑터
JP2006250341A (ja) 管接続方法および管接続構造
JPH04362391A (ja) 管継手
KR930004986Y1 (ko) 관 연결구
JPH0139983Y2 (ko)
KR200319225Y1 (ko) 관연결구조
JP2003240169A (ja) 管継手
KR101057166B1 (ko) 다용도 배관 연결 장치
EP1028281A2 (en) High tensile strenght coupling
KR101744603B1 (ko) 관체 연결시스템
JPH03249498A (ja) 分岐用管継手
KR200255541Y1 (ko) 볼밸브의 유체파이프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