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8867A - 원자로 격납 용기 - Google Patents

원자로 격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8867A
KR20130038867A KR1020127032467A KR20127032467A KR20130038867A KR 20130038867 A KR20130038867 A KR 20130038867A KR 1020127032467 A KR1020127032467 A KR 1020127032467A KR 20127032467 A KR20127032467 A KR 20127032467A KR 20130038867 A KR20130038867 A KR 20130038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core melt
melt holding
vessel
hold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2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오 고무로
노리유키 가타기리
마사시 다나베
도시미 도비마츠
유카 시바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30038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8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9/00Emergency protection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e.g. safety valves provided with pressure equalisation devices
    • G21C9/016Core catche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3/00Pressure vessels; Containment vessels; Containment in general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로 격납 용기에,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와, 스페이서(26)를 구비한다.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는, 페데스탈 바닥 상에 놓여져 페데스탈 측벽(11)의 내면과 간극을 두고 마주보는 외주면을 가지며, 그 외주면의 내측에 위로 개방된 유지 용기와 유지 용기의 아래쪽에 설치된 급수 용기를 구비하고 있다.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외주면과 페데스탈 측벽(11)의 내면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급수 용기에는 급수 유로가 연장된다. 급수 용기로부터 유지 용기의 하면을 따라 냉각 유로가 연장된다. 스페이서(26)는,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외측 라이저(20)의 상단에 걸리며, 외측 라이저(20)의 외측과 페데스탈 측벽(11)의 내면 사이로 연장되어 있어,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편심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원자로 격납 용기{NUCLEAR REACTOR CONTAINMENT VESSEL}
본 발명은, 노심을 수납하는 원자로 용기를 격납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수냉각형 원자로에서는, 원자로 압력 용기 내로의 급수의 정지나, 원자로 압력 용기에 접속된 배관의 파단에 의해 냉각수가 상실되면, 원자로 수위가 저하하여 노심이 노출되어 냉각이 불충분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를 상정해서, 수위 저하의 신호에 의해 자동적으로 원자로는 비상 정지되고, 비상용 노심 냉각 장치(ECCS)에 의한 냉각재의 주입에 의해 노심을 물에 잠기게 해서 냉각하여, 노심 용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극히 낮은 확률이지만, 상기 비상용 노심 냉각 장치가 작동하지 않고, 또한 그 외의 노심에의 주수(注水) 장치도 이용할 수 없는 사태도 상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원자로 수위의 저하에 의해 노심은 노출하고, 충분한 냉각이 행해지지 않게 되어, 원자로 정지 후에도 계속해서 발생하는 붕괴 열에 의해 연료봉 온도가 상승하여, 최종적으로는 노심 용융에 이르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사태에 이르렀을 경우, 고온의 노심 용융물이 원자로 압력 용기 하부로 녹아 떨어지고, 또한 원자로 압력 용기 하경(下鏡)을 용융 관통하여, 격납 용기 내의 바닥 상으로 낙하하기에 이른다. 노심 용융물은 격납 용기 바닥에 깔린 콘크리트를 가열하고, 접촉면이 고온 상태가 되면 콘크리트와 반응하여, 이산화탄소, 수소 등의 비응축성 가스를 대량으로 발생시킴과 함께 콘크리트를 용융 침식한다. 발생한 비응축성 가스는 격납 용기 내의 압력을 높여, 원자로 격납 용기를 파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의 용융 침식에 의해, 격납 용기 바운더리가 파손되거나, 격납 용기 구조 강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결과적으로, 노심 용융물과 콘크리트의 반응이 계속되면, 격납 용기 파손에 이르러, 격납 용기 내의 방사성 물질이 외부 환경으로 방출될 우려가 있다.
이 노심 용융물과 콘크리트의 반응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노심 용융물을 냉각하여, 노심 용융물 저부의 콘크리트와의 접촉면의 온도를 침식 온도 이하(일반적인 콘크리트에서 1500K 이하)로 냉각하거나, 노심 용융물과 콘크리트가 직접 접촉하지 않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노심 용융물이 낙하했을 경우에 대비해서 다양한 대책이 제안되어 있다. 대표적인 것이 코어 캐처(core catcher)라고 불리는 것으로, 낙하한 노심 용융물을 내열재로 받아내어, 주수 수단과 조합시켜서 노심 용융물의 냉각을 도모하는 설비이다.
원자로 격납 용기 바닥으로 낙하한 노심 용융물의 상면에 냉각수를 주수해도, 노심 용융물의 저부에서의 제열량(除熱量)이 작으면, 붕괴 열에 의해 노심 용융물 저부의 온도가 고온인 채로 유지되어, 격납 용기 바닥의 콘크리트 침식을 정지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노심 용융물을 저면에서부터 냉각한다는 방법이 있다.
노심 용융물에 주수함으로써 노심 용융물 상면의 물의 비등에 의해 냉각할 경우, 상면에서만의 냉각으로는, 노심 용융물 퇴적 두께가 두꺼우면 노심 용융물 저부(底部)까지 충분히 냉각할 수 없다. 그 결과, 바닥 면적을 넓게 취해, 노심 용융물의 퇴적 두께를 냉각 가능한 두께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충분히 큰 바닥 면적을 확보하는 것은, 격납 용기 구조 설계상 곤란하다.
예를 들면, 전형적인 노심 용융물의 붕괴 열은, 정격 열 출력의 약 1% 정도이며, 정격 열 출력 4000MW인 노(爐)의 경우에는, 40MW 정도의 발열량이 된다. 상면의 비등 열 전달량에는 노심 용융물 상면의 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작을 경우에는 0.4MW/㎡ 정도의 열유속(熱流束)이 상정된다. 이 경우에는, 노심 용융물의 발열량을 상면의 열전달만으로 취하는 것으로 하면, 100㎡ 정도(원 직경으로 11.3m)의 바닥 면적이 필요해진다. 지금까지의 격납 용기 구조를 고려하면, 이 면적을 확보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에 대하여, 노심 용융물 퇴적 바닥면의 아래쪽에 냉각수 유로를 설치하고, 여기에 냉각수를 유도함으로써 노심 용융물을 저면에서부터 제열하는 방법이 있다. 유로 상면이 가열면으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가열면에서 발생한 보이드가 가열면을 따라 체류하여, 증기 막을 형성함으로써 전열을 방해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열면에 경사를 주어, 발생한 보이드를 신속히 냉각 유로로부터 배출하는 방법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2007-232529호 공보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를 기설(旣設) 플랜트의 격납 용기 내에 설치할 경우, 설치 현장에서 부품을 순차 조립하는 방법이 상정된다. 한편, 신설 플랜트에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를 설치할 경우, 모듈 공법의 채용이 바람직하다. 모듈 공법은, 건축 분야에서 일반적인 건설 방법이다. 모듈 공법에서는, 예를 들면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를 공장이나 공사 현장 부근에서 일체화 제조하고, 그 후 크레인을 사용하여 들어올려 내려서, 설치 현장인 페데스탈 바닥에 설치한다. 이러한 모듈 공법에서는, 플랜트 전체의 건설 공기의 단축, 작업성이나 공사의 안전성, 또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품질 관리의 면에서 이점이 있다.
그러나, 단지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를 페데스탈 바닥 상에 배치한 것만으로는, 항공기 낙하 사고나 지진 시의 진동에 대하여,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가 페데스탈 바닥 상을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와 페데스탈 측벽 사이의 주수 유로의 단면 형상이, 둘레 방향으로 불균일해져, 복수 존재하는 냉각 유로에의 유량 배분이 흐트러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설치 후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노심을 수납하는 원자로 용기를 격납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 용기의 아래쪽에 설치된 페데스탈 바닥과, 상기 페데스탈 바닥으로부터 연직으로 세워지며 냉각수가 배출되는 주수 출구가 형성된 페데스탈 측벽과, 상기 페데스탈 바닥 상에 놓여져 상기 페데스탈 측벽의 내면과 간극을 두고 마주보는 외주면을 가지며 그 외주면의 내측에 위로 개방된 유지 용기와 상기 유지 용기의 아래쪽에 설치된 급수 용기를 구비하며 상기 외주면과 상기 페데스탈 측벽의 내면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상기 급수 용기로 연장되는 급수 유로와 상기 급수 용기로부터 상기 유지 용기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는 냉각 유로가 형성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와, 상기 외주면의 둘레 방향 위치가 상이한 적어도 3개소에서 상기 외주면과 상기 페데스탈 측벽의 내면 사이에 배치된 편심 방지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노심을 수납하는 원자로 용기를 격납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 용기의 아래쪽에 설치된 페데스탈 바닥과, 상기 페데스탈 바닥으로부터 연직으로 세워지며 냉각수가 배출되는 주수 출구가 형성된 페데스탈 측벽과, 상기 페데스탈 바닥 상에 놓여져 상기 페데스탈 측벽의 내면과 간극을 두고 마주보는 외주면을 가지며 그 외주면의 내측에 위로 개방된 유지 용기와 상기 유지 용기의 아래쪽에 설치된 급수 용기를 구비하며 상기 외주면과 상기 페데스탈 측벽의 내면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상기 급수 용기로 연장되는 급수 유로와 상기 급수 용기로부터 상기 유지 용기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는 냉각 유로가 형성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와, 상기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 하단에 고정된 상기 외주면보다 연직 방향의 투영 면적이 큰 플랜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노심을 수납하는 원자로 용기를 격납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 용기의 아래쪽에 설치된 페데스탈 바닥과, 상기 페데스탈 바닥으로부터 연직으로 세워지며 냉각수가 배출되는 주수 출구가 형성된 페데스탈 측벽과, 상기 페데스탈 바닥 상에 놓여져 상기 페데스탈 측벽의 내면과 간극을 두고 마주보는 외주면을 가지며 그 외주면의 내측에 위로 개방된 유지 용기와 상기 유지 용기의 아래쪽에 설치된 급수 용기를 구비하며 상기 외주면과 상기 페데스탈 측벽의 내면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상기 급수 용기로 연장되는 급수 유로와 상기 급수 용기로부터 상기 유지 용기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는 냉각 유로가 형성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페데스탈 바닥 및 상기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하면의 어느 한쪽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에 끼워맞춰진 돌기가 상기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하면 및 상기 페데스탈 바닥의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노심을 수납하는 원자로 용기를 격납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 용기의 아래쪽에 설치된 페데스탈 바닥과, 상기 페데스탈 바닥으로부터 연직으로 세워지며 냉각수가 배출되는 주수 출구가 형성된 페데스탈 측벽과, 상기 페데스탈 바닥 상에 놓여져 상기 페데스탈 측벽의 내면과 간극을 두고 마주보는 외주면을 가지며 그 외주면의 내측에 위로 개방된 유지 용기와 상기 유지 용기의 아래쪽에 설치된 급수 용기를 구비하며 상기 외주면과 상기 페데스탈 측벽의 내면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상기 급수 용기로 연장되는 급수 유로와 상기 급수 용기로부터 상기 유지 용기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는 냉각 유로가 형성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와, 상기 페데스탈 바닥으로부터 상기 외주면을 따라 세워지며 상단에 노치가 형성된 관 형상 지지 구조체와, 상기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에 고정되며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페데스탈 측벽을 향하여 돌출해서 상기 노치에 걸어맞춰진 회전 방지용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설치 후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1 실시형태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수용한 격납 용기의 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1 실시형태의 근방의 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水) 채널 집합체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 채널 및 내열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2 실시형태를 격납 용기와 함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3 실시형태를 격납 용기와 함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4 실시형태를 격납 용기와 함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5 실시형태를 격납 용기의 수평 단면과 함께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5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격납 용기의 단면과 함께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5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판상 돌기물 근방의 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5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판상 돌기물 근방의 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5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판상 돌기물 근방의 들어올려 내리는 도중에서의 입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6 실시형태의 일부를 격납 용기와 함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6 실시형태의 일부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6 실시형태의 일부를 격납 용기의 단면과 함께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7 실시형태의 일부를 격납 용기와 함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7 실시형태의 일부를 격납 용기와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8 실시형태의 일부를 격납 용기와 함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8 실시형태의 일부를 격납 용기와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9 실시형태의 일부를 격납 용기와 함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9 실시형태의 일부를 격납 용기와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10 실시형태를 격납 용기와 함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10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 근방의 입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1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페데스탈 바닥 근방의 수평 단면도.
도 26은 도 25의 ⅩⅩⅥ-ⅩⅩⅥ 화살표 방향에서 본 입단면과 함께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11 실시형태의 근방의 입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1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페데스탈 바닥 근방의 수평 단면도.
도 28은 도 27의 ⅩⅩⅧ-ⅩⅩⅧ 화살표 방향에서 본 입단면과 함께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12 실시형태의 근방의 입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1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페데스탈 바닥 근방의 수평 단면도.
도 30은 도 29의 ⅩⅩⅩ-ⅩⅩⅩ 화살표 방향에서 본 입단면과 함께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13 실시형태의 근방의 입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14 실시형태의 들어올려 내릴 때에 있어서의 페데스탈 바닥 근방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14 실시형태의 근방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1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지지판 근방의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수용한 격납 용기의 입단면도이다.
노심(51)은, 원자로 압력 용기(1)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원자로 압력 용기(1)는 격납 용기(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격납 용기(2)는, 페데스탈 바닥(12) 및 페데스탈 바닥(12)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페데스탈 측벽(11)을 갖고 있다.
원자로 압력 용기(1)는, 페데스탈 측벽(11)에 지지되어 있다. 원자로 압력 용기(1) 아래쪽의 페데스탈 바닥(12) 및 페데스탈 측벽(11)으로 에워싸이는 공간은 하부 드라이웰(drywell)(7)이라고 불린다. 즉, 원자로 압력 용기(1)는, 하부 드라이웰(7)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격납 용기(2)의 내부에는, 페데스탈 측벽(11)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서프레션 풀(suppression pool)(4)이 형성되어 있다.
원자로 압력 용기(1) 아래쪽의 하부 드라이웰(7)에는,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가 설치되어 있다.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와 원자로 압력 용기(1) 사이에는, 섬프(sump) 바닥(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격납 용기(2)는 수조(5)를 갖고 있다. 수조(5)로부터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에는 주수 배관(16)이 연장되어 있다. 주수 배관(16)의 도중에는 밸브(5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격납 용기(2)는 격납 용기 냉각기(6)를 갖고 있다. 격납 용기 냉각기(6)는, 드라이웰로 개구된 단부로부터 수중에 잠긴 열교환기를 통해서 수조(5)로 연장되는 배관을 갖고 있다. 격납 용기 냉각기(6)란, 정적 격납 용기 냉각 설비나 드라이웰 쿨러 등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근방의 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 채널 집합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 채널 및 내열재의 사시도이다.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는 페데스탈 바닥(12) 상에 설치되어 있다.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는 지지대(21), 급수 용기(14), 수 채널(22), 내열재(15)를 갖고 있다. 지지대(21)는, 페데스탈 측벽(1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페데스탈 바닥(12) 상에 탑재배치되어 있다. 지지대(21)의 상면은, 위로 개방된 원추면의 하단부를 잘라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대(21)의 중앙부에는, 중공의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 급수 용기(14)가 배치된다. 지지대(21)의 외주면과 페데스탈 측벽(11)의 내면 사이에는 급수 유로 연직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대(21)의 하단에는, 예를 들면 급수 용기(14)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레그(leg)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레그의 사이는 급수 유로 수평부(18)로 되어 있다. 급수 유로 연직부(17)의 하단은, 급수 유로 수평부(18)와 연통(連通)되어 있다. 급수 유로 연직부(17)의 상단은 개구되어 있다. 급수 유로 수평부(18)의 급수 유로 연직부(17)와의 연통 부분과 반대쪽의 단부는 급수 용기(14)에 연통되어 있다. 주수 배관(16)은, 페데스탈 바닥(12) 근방의 주수 배관 출구 구멍(28)에서 개구되어 있다.
지지대(21)의 상면에는 수 채널 집합체(23)가 고정되어 있다. 수 채널 집합체(23)는, 경사 전열면을 가진 중공의 수 채널(22)을 원주 방향으로 조밀하게 나열하여, 전체적으로 위로 개방된 대략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급수 용기(14)의 주위에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수 채널(22)을 조합시킨 것이다. 각각의 수 채널(22)의 투영 형상은 부채꼴을 하고 있고, 수 채널(22)의 사이는 간극 없이 접촉되어 있다.
수 채널(22)은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 채널(22)의 급수 용기(14)에 접속되어 있는 하부 입구부(24)는 개구되어 있다. 또한, 수 채널(22)의 외주부는 연직으로 세워져 있고, 상단의 상부 출구부(25)에서 개구되어 있다. 그 결과, 급수 용기(14)로부터 페데스탈 측벽(11)을 향해서 방사상으로 넓어지면서 경사를 가지고 상승하여, 외주부에서 연직으로 세워진 냉각수 유로(13)가 형성되어 있다. 수 채널 집합체(23) 중, 냉각수 유로(13)의 연직으로 세워지는 부분을 에워싸는 외측의 부분을 외측 라이저(riser)(20)로, 냉각수 유로(13)의 연직으로 세워지는 부분을 에워싸는 내측의 부분을 내측 라이저(19)로 부르는 것으로 한다. 급수 용기(14)의 상면과 수 채널 집합체(23)의 상면과 내측 라이저(19)의 중앙을 향하는 쪽의 면에는, 그 전체를 덮도록 내열재(15)가 배설(配設)되어 있다.
노심 용융 사고가 발생하여, 노심 용융물이 원자로 압력 용기(1)의 하부 헤드(3)를 관통하면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 상에 낙하한다. 노심 용융물의 낙하 후 바로 밸브(52)가 개방되고, 수조(5)의 냉각수가 중력 낙하에 의해, 주수 배관(16)을 통하여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에 공급된다. 주수 배관(16)을 낙하한 냉각수는, 주수 배관 출구 구멍(28)으로부터 방출되어, 급수 유로 수평부(18)를 통과해서 급수 용기(14)에 도달한다. 급수 용기(14)에 도달한 냉각수는 냉각수 유로(13)에 유입된다.
밸브(52)는, 예를 들면 원자로 압력 용기(1)의 하부 헤드(3)의 파손을 검지하는 신호에 의해 개방된다. 원자로 압력 용기(1)의 하부 헤드(3)의 파손을 검지하는 신호란, 예를 들면 하부 헤드 온도 높음이나 페데스탈 분위기 온도 높음의 신호이다. 이렇게 해서 노심 용융물의 낙하 후 바로 급수 용기(14)에의 초기의 급수가 행해져, 냉각수 유로(13)에 냉각수가 공급된다.
냉각수 유로(13)에 공급된 물은, 내측 라이저(19)와 외측 라이저(20) 사이에 끼이는 라이저부 상단의 개구부로부터,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노심 용융물을 유지하는 용기 부분으로 넘쳐흐른다. 또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전체는 수몰된다.
초기 주수 종료 후에는,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노심 용융물을 유지하는 용기 부분으로 일수(溢水)한 물이, 냉각수 유로(13) 내의 비등에 의해 생기는 자연 순환에 의해 급수 유로 연직부(17)와 급수 유로 수평부(18)가 연결된 급수 유로를 통해서 급수 용기(14)에 공급된다.
노심 용융물의 냉각에 의해 생긴 증기는, 격납 용기(2) 상부의 격납 용기 냉각기(6)에서 응축되고, 응축수는 수조(5)로 되돌아간다. 이렇게 해서, 물이 자연 순환함으로써 노심 용융물의 냉각이 계속된다. 고온의 노심 용융물의 열은 내열재(15)에 전해지고, 또한 수 채널(22)을 통하여 냉각수에 전해진다. 이에 따라 노심 용융물이 냉각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는, 스페이서(26)를 더 갖고 있다. 스페이서(26)는, 외측 라이저(20)의 상단에 걸리는 부분과, 이 외측 라이저(20)의 상단에 걸린 부분에 고정되며 외측 라이저(20)의 외면과 페데스탈 측벽(11)의 내면 사이의 극간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스페이서(26)의 외측 라이저(20)의 상단에 걸린 부분에 고정되며 외측 라이저(20)의 외면과 페데스탈 측벽(11)의 내면 사이의 간극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직경 방향의 폭은, 외측 라이저(20)의 외면과 페데스탈 측벽(11)의 내면 사이의 폭과 거의 같다.
이러한 스페이서(26)는,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둘레 방향의 적어도 3개소에, 이들 3개소를 정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내부에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스페이서(26)는, 도시하지 않은 볼트 등에 의해, 외측 라이저(20) 혹은 페데스탈 측벽(11)에 고정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는, 스페이서(26) 이외의 부분이 설치 장소인 격납 용기(2)의 외부의, 예를 들면 공장에서 조립된다. 일체로서 조립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스페이서(26) 이외의 부분은, 격납 용기(2)의 페데스탈 바닥(12) 및 페데스탈 측벽(11)이 형성된 후에, 크레인을 사용하여 들어올려 내려져서 페데스탈 바닥(12) 상에 설치된다. 그 후, 스페이서(26)가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가 완성된다. 또한, 그 후, 원자로 압력 용기(1)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에서는, 항공기 낙하 사고나 지진 등에 의해 진동이 발생해도,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에 부착된 스페이서(26)와 페데스탈 측벽(11)이 접촉함으로써,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위치가 어긋날 가능성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페데스탈 측벽(11)의 사이에 형성되는 급수 유로 연직부(17)에, 쐐기 형상의 스페이서(26)를 부가한 구조로 함으로써, 스페이서(26) 등이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로서 기능한다.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에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를 앵커 볼트 등으로 페데스탈 바닥(12) 등에 고정하지 않더라도, 항공기 낙하 사고나 지진 등에 의한 진동에 대하여,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설치 중심 축이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 즉,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설치 후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다. 그 결과, 복수 존재하는 냉각수 유로(13)에의 냉각 수류 유량 배분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스페이서(26) 이외의 부분을 먼저 페데스탈 측벽(11)에 에워싸이는 공간에 들어올려 내리고 있다. 이 때문에, 들어올려 내리는 도중에는,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스페이서(26) 이외의 부분과 페데스탈 측벽(11) 사이에는, 급수 유로 연직부(17)의 폭에 상당하는 간극이 존재하고 있다. 그 결과, 들어올려 내릴 때에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스페이서(26) 이외의 부분과 페데스탈 측벽(11)이 간섭하기 어려워져, 들어올려 내리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스페이서(26) 이외의 부분을 설치한 후의 작업 공간으로서는, 위쪽의 한정된 공간밖에 남아있지 않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의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는,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스페이서(26) 이외의 부분의 설치 후에, 그 위쪽으로부터 스페이서(26)를 끼워 넣음으로써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모듈 공법을 채용함으로써, 건설 공기의 단축, 작업성이나 공사의 안전성 또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품질 향상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존의 페데스탈 구조를 채용하기 때문에, 새롭게 페데스탈 구조를 설계할 필요가 없다.
[제2 실시형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2 실시형태를 격납 용기와 함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는, 하단에 플랜지(27)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랜지(27)는, 페데스탈 측벽(11)의 내경과 거의 같은 외경의 원판이다. 플랜지(27)는, 예를 들면 그 상면을 다리부(53)의 하단과 용접함으로써 지지대(21)에 고정되어 있다.
플랜지(27)는 강재, 철근 콘크리트 혹은 콘크리트 표면에 강판을 붙인 구조체 등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27)의 외주 부분이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로서 기능하고 있다.
페데스탈 측벽(11)의 내부에 설치된 주수 배관(16)의 출구인 주수 배관 출구 구멍(28)은 플랜지(27)의 위쪽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예를 들면 플랜지(27) 등이 주수 배관 출구 구멍(28)을 막지 않는다. 따라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설치 시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며, 또한 항공기 낙하 사고나 지진 등에 의한 진동에 의해,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해도, 주수 배관 출구 구멍(28)은 급수 유로를 향하여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노심 용융 사고 시에 주수가 저해될 가능성은 작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에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를 앵커 볼트 등으로 페데스탈 바닥(12) 등에 고정하지 않더라도, 항공기 낙하 사고나 지진 등에 의한 진동에 대하여,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설치 중심 축이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 즉,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설치 후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다. 그 결과, 복수 존재하는 냉각수 유로(13)에의 냉각 수류 유량 배분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대부분을 페데스탈 바닥(12) 상에 설치한 후에,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스페이서(26)(도 1 참조) 등을 부착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설치 현장에서의 작업이 삭감된다. 또한, 기존의 페데스탈 구조를 채용하기 때문에, 새롭게 페데스탈 구조를 설계할 필요가 없다.
[제3 실시형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3 실시형태를 격납 용기와 함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는, 하단에 설치된 다리부(53)에 고정된 돌기물(29)을 갖고 있다. 다리부(53)는, 각각 부채꼴로 형성되어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다. 다리부(53)는 복수이며, 급수 용기(14)의 외주로부터 방사상으로, 서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인접하는 다리부(53)의 사이는, 급수 유로 수평부(18)로 되어 있다. 또한, 주수 배관(16)은 페데스탈 측벽(11)에 형성된 주수 배관 출구 구멍(28)에서 개구되어 있다. 이 주수 배관 출구 구멍(28)이 다리부(53)의 인접하는 돌기물(29)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는 배치된다.
돌기물(29)은 다리부(53)의 외주측으로부터 페데스탈 측벽(11)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돌기물(29)의 다리부(53)로부터의 돌출 길이는, 급수 유로 연직부(17)의 직경 방향의 폭과 거의 같다. 이 돌기물(29)은 다리부(53)와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다리부(53)와는 별도로 제조해서 다리부(53)에 고정해도 된다.
다리부(53)에 고정된 돌기물(29)은 강재, 철근 콘크리트, 콘크리트 표면에 강판을 붙인 구조체 등에 의해 형성된다. 페데스탈 측벽(11)의 내부에 설치된 주수 배관(16)의 출구인 주수 배관 출구 구멍(28)은,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가 회전했을 경우에도, 돌기물(29)이 주수 배관 출구 구멍(28)을 막지 않도록 돌기물(29)보다 위쪽에 배치된다. 돌기물(29)은, 급수 유로 수평부(18) 입구부의 전체에 설치할 필요는 없으며, 그 수는 내진 설계에 따라 적절히 증감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리부(53)에 고정된 돌기물(29)이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에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를 앵커 볼트 등으로 페데스탈 바닥(12) 등에 고정하지 않더라도, 항공기 낙하 사고나 지진 등에 의한 진동에 대하여,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설치 중심 축이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 즉,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설치 후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다. 그 결과, 복수 존재하는 냉각수 유로(13)에의 냉각 수류 유량 배분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대부분을 페데스탈 바닥(12) 상에 설치한 후에,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스페이서(26)(도 1 참조) 등을 부착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설치 현장에서의 작업이 삭감된다. 또한, 기존의 페데스탈 구조를 채용하기 때문에, 새롭게 페데스탈 구조를 설계할 필요가 없다.
[제4 실시형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4 실시형태를 격납 용기와 함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는, 외측 라이저(20)의 외면에 고정된 돌기물(30)을 갖고 있다. 돌기물(30)은 외측 라이저(20)의 외면으로부터 페데스탈 측벽(11)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돌기물(30)의 외측 라이저(20)의 외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는, 급수 유로 연직부(17)의 직경 방향의 폭과 거의 같다. 돌기물(30)은,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둘레 방향의 적어도 3개소에, 이들 3개소를 정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내부에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기물(30)이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로서 기능하고 있다. 돌기물(30)은 페데스탈 측벽(11)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돌기물(30)의 수는 내진 설계에 따라 적절히 증감되어도 된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에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를 앵커 볼트 등으로 페데스탈 바닥(12) 등에 고정하지 않더라도, 항공기 낙하 사고나 지진 등에 의한 진동에 대하여,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설치 중심 축이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 즉,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설치 후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다. 그 결과, 복수 존재하는 냉각수 유로(13)에의 냉각 수류 유량 배분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대부분을 페데스탈 바닥(12) 상에 설치한 후에,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스페이서(26)(도 1 참조) 등을 부착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설치 현장에서의 작업이 삭감된다. 또한 기존의 페데스탈 구조를 채용하기 때문에, 새롭게 페데스탈 구조를 설계할 필요가 없다.
[제5 실시형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5 실시형태를 격납 용기의 수평 단면과 함께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는, 외측 라이저(20)의 외면에 고정된 판상 돌기물(32)을 갖고 있다. 판상 돌기물(32)은 외측 라이저(20)의 외면으로부터 페데스탈 측벽(11)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판상 돌기물(32)의 외측 라이저(20)의 외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는, 급수 유로 연직부(17)의 직경 방향의 폭과 거의 같다. 판상 돌기물(32)은,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둘레 방향의 적어도 3개소에, 이들 3개소를 정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내부에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상 돌기물(32)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8개 설치되어 있다.
외측 라이저(20)에 고정된 각각의 판상 돌기물(32)에 대응해서, 한 쌍의 판상 돌기물(31)이 페데스탈 측벽(11)에 고정되어 있다. 페데스탈 측벽(11)에 고정된 한 쌍의 판상 돌기물(31)은, 외측 라이저(20)에 고정된 판상 돌기물(32)을 사이에 끼워넣도록 설치되어 있다. 외측 라이저(20)에 고정된 판상 돌기물(32)과 페데스탈 측벽(11)에 고정된 판상 돌기물(31)은,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를 페데스탈 바닥(12) 상에 설치했을 때에, 거의 같은 높이가 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페데스탈 측벽(11)이 형성된 후, 판상 돌기물(32)이 소정의 장소에 고정된다. 또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는, 페데스탈 측벽(11)에 고정되는 판상 돌기물(32) 이외에는, 격납 용기(2)(도 2 참조)의 외부의, 예를 들면 공장에서 조립된다. 외부에서 조립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는, 격납 용기(2)의 페데스탈 바닥(12) 및 페데스탈 측벽(11)이 형성되고, 판상 돌기물(32)이 페데스탈 측벽(11)에 고정된 후에, 크레인을 사용하여 들어올려 내려져서 페데스탈 바닥(12) 상에 설치된다. 그 후, 원자로 압력 용기(1) 등이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와 페데스탈 측벽(11)의 쌍방에 서로 간섭하여 접촉하는,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구조체가 설치되어 있다. 즉, 외측 라이저(20)에 고정된 판상 돌기물(32) 및 페데스탈 측벽(11)에 고정된 판상 돌기물(31)이 각각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외측 라이저(20)에 고정된 판상 돌기물(32)이 페데스탈 측벽(11)에 고정된 판상 돌기물(31)의 사이에 끼워넣어져 있기 때문에,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둘레 방향으로의 회전이 억제된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격납 용기의 단면과 함께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페데스탈 측벽(11)에 고정된 각각의 판상 돌기물(32)에 대응해서, 한 쌍의 판상 돌기물(31)이 외측 라이저(20)에 고정되어 있다. 외측 라이저(20)에 고정된 한 쌍의 판상 돌기물(31)은, 페데스탈 측벽(11)에 고정된 판상 돌기물(32)을 사이에 끼워넣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외측 라이저(20)에 고정된 판상 돌기물(32) 및 페데스탈 측벽(11)에 고정된 판상 돌기물(31)이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페데스탈 측벽(11)에 고정된 판상 돌기물(32)이 외측 라이저(20)에 고정된 판상 돌기물(31) 사이에 끼워넣어져 있기 때문에,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둘레 방향에의 회전이 억제된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의 판상 돌기물 근방의 입단면도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외측 라이저(20)에 고정된 판상 돌기물(31)에는, 리프트 지그용 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리프트 지그용 구멍(44)은 외측 라이저(20)에 고정된 판상 돌기물(31)을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리프트 지그용 구멍(44)은, 외측 라이저(20)에 고정된 판상 돌기물(31)의 상단부 근방에 형성되어 있으며,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가 페데스탈 바닥(12)에 고정된 상태에서 페데스탈 측벽(11)에 고정된 판상 돌기물(32)과 겹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판상 돌기물(31)은 외측 라이저(20)의 상단 근방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는, 리프트 지그용 구멍(44)에 와이어 로프를 걸어, 크레인에 의해 페데스탈 측벽(11) 내에 들어올려 내려진다. 와이어 로프를 걸 수 있는 구조이면, 리프트 지그용 구멍(44) 대신에 훅 형상의 노치를 형성해 두어도 된다.
이렇게, 이 변형예에서는,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 자체에, 리프트 지그 기능을 갖게 하고 있기 때문에, 들어올려 내리기 전에 별도 리프트 지그를 고정하고, 들어올려 내린 후에 제거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부품 수가 삭감되고, 또한 용접 등의 작업에 요하는 시간·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와이어 로프를 걸 수 있는 구조를 설치함으로써, 본 변형예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설치 후이더라도,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위쪽에는 작업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이 때문에, 리프트 지그용 구멍(44)을 외측 라이저(20)의 상단 근방에 배치해 둠으로써,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설치 후에, 와이어 로프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의 판상 돌기물 근방의 입단면도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페데스탈 측벽(11)에 고정된 판상 돌기물(32)은 완충체(45)를 구비하고 있다. 완충체(45)는 예를 들면 고무, 판스프링 등, 충격력을 흡수 가능한 재료로 형성된다. 완충체(45)는 페데스탈 측벽(11)에 고정된 판상 돌기물(32)의 외측 라이저(20)에 고정된 판상 돌기물(31)과 대향하는 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본 변형예에서는,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구조체의 고정측과 가동측이 접촉하는 부분에 완충체(45)를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항공기 낙하 사고나 지진 등에 의해 진동이 발생했을 경우에,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구조체의 고정측과 가동측이 접촉해도, 그때 발생하는 충격력은, 완충체에 의해 완화된다. 완충체(45)에 의해 이러한 충격력을 완화하기 때문에,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기구부의 파손이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완충체는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구조체의 고정측과 가동측이 접촉하는 부분이면 어떠한 부분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구조체의 고정측과 가동측이 접촉하는 부분에 완충체를 설치함으로써, 본 변형예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의 판상 돌기물 근방의 들어올려 내리는 도중에서의 입단면도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페데스탈 측벽(11)에 고정된 판상 돌기물(31)의 하단 외측에 테이퍼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즉,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구조체의 고정측과 가동측이 접촉하는 부분에 있어서, 들어올려 내릴 때에 고정측의 구조체 근방을 최초에 통과하는 부분에 테이퍼부(46)가 형성되어 있다.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를 들어올려 내릴 때에,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체 중 최초에 고정 부분을 통과하는 최협(最狹) 부분을 테이퍼 구조로 함으로써,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를 들어올려 내릴 때의 접촉 부분의 삽입성이 높아진다.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를 들어올려 내릴 때의 접촉 부분의 삽입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용이하게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를 설치 가능하여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구조체의 고정측과 가동측이 접촉하는 부분에 있어서, 들어올려 내릴 때에 고정측의 구조체 근방을 최초에 통과하는 부분에 테이퍼부를 형성함으로써, 본 변형예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도,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에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를 앵커 볼트 등으로 페데스탈 바닥(12) 등에 고정하지 않더라도, 항공기 낙하 사고나 지진 등에 의한 진동에 대하여,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설치 중심 축이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 즉,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위치의 설치 후의 어긋남이 억제된다. 그 결과, 복수 존재하는 냉각수 유로(13)에의 냉각 수류 유량 배분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6 실시형태의 일부를 격납 용기와 함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일부를 격납 용기의 단면과 함께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는, 페데스탈 바닥(12)에 고정된 블록 형상 구조체(33)를 갖고 있다. 블록 형상 구조체(33)는 페데스탈 측벽(11)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블록 형상 구조체(33)는 페데스탈 측벽(11)의 둘레 방향의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블록 형상 구조체(33)의 둘레 방향 길이는, 지지대(21)의 다리부(53)의 외주측의 둘레 방향 길이와 거의 같다. 블록 형상 구조체(33)의 직경 방향 폭은, 급수 유로 연직부(17)(도 3 참조)의 직경 방향 폭과 거의 같다. 주수 배관(16)의 출구인 주수 배관 출구 구멍(28)은, 블록 형상 구조체(33)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지지대(21)의 다리부(53)의 가장 외주 부분에는, 둘레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페데스탈 측벽(11)을 향하여 판상 돌기물(34)이 돌출되어 있다.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는, 하나의 다리부(53)에 고정된 한 쌍의 판상 돌기물(34)이 페데스탈 바닥(12) 상에 설치된 블록 형상 구조체(33)를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페데스탈 측벽(11)이 형성된 후, 블록 형상 구조체(33)가 소정의 장소에 고정된다. 또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는, 페데스탈 측벽(11)에 고정되는 블록 형상 구조체(33) 이외에는, 격납 용기(2)(도 2 참조)의 외부의, 예를 들면 공장에서 조립된다. 외부에서 조립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는, 격납 용기(2)의 페데스탈 바닥(12) 및 페데스탈 측벽(11)이 형성되고, 블록 형상 구조체(33)가 페데스탈 바닥(12) 및 페데스탈 측벽(11)에 고정된 후에, 크레인을 사용하여 들어올려 내려져서 페데스탈 바닥(12) 상에 설치된다. 그 후, 원자로 압력 용기(1) 등이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와 페데스탈 측벽(11)의 쌍방에 서로 간섭하여 접촉하는,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구조체가 설치되어 있다. 즉, 블록 형상 구조체(33)가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지지대(21)의 다리부(53)에 고정된 판상 돌기물(34)이 페데스탈 바닥(12) 및 페데스탈 측벽(11)에 고정된 블록 형상 구조체(33)를 사이에 끼우고 있기 때문에,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둘레 방향으로의 회전이 억제된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에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를 앵커 볼트 등으로 페데스탈 바닥(12) 등에 고정하지 않더라도, 항공기 낙하 사고나 지진 등에 의한 진동에 대하여,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설치 중심 축이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 즉,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설치 후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다. 그 결과, 복수 존재하는 냉각수 유로(13)에의 냉각 수류 유량 배분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7 실시형태]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7 실시형태의 일부를 격납 용기와 함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일부를 격납 용기와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노심용 용융물 유지 장치는, 페데스탈 바닥(12)에 고정되어 연직으로 기립한 판상 돌기물(35)을 갖고 있다. 판상 돌기물(35)은, 페데스탈 바닥(12)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판상 돌기물(35)의 사이에는, 둘레 방향으로 하나 걸러 하나씩 지지대의 다리부(53)가 배치된다. 판상 돌기물(35)은, 지지대의 다리부(53)의 각각의 양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페데스탈 바닥(12)이 형성된 후, 판상 돌기물(35)이 소정의 장소에 고정된다. 또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는, 페데스탈 바닥(12)에 고정되는 판상 돌기물(35) 이외에는, 격납 용기(2)(도 2 참조)의 외부의, 예를 들면 공장에서 조립된다. 외부에서 조립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는, 격납 용기(2)의 페데스탈 바닥(12) 및 페데스탈 측벽(11)이 형성되고, 판상 돌기물(35)이 페데스탈 바닥(12)에 고정된 후에, 크레인을 사용하여 들어올려 내려져서 페데스탈 바닥(12) 상에 설치된다. 그 후, 원자로 압력 용기(1) 등이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와 페데스탈 바닥(12)의 쌍방에 서로 간섭하여 접촉하는,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구조체가 설치되어 있다. 즉, 페데스탈 바닥(12)에 고정된 판상 돌기물(35)에,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지지대의 다리부(53)가 끼워맞춰짐으로써,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직경 방향 및 둘레 방향에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다. 이들 판상 돌기물(35) 및 지지대의 다리부(53)가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에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를 앵커 볼트 등으로 페데스탈 바닥(12) 등에 고정하지 않더라도, 항공기 낙하 사고나 지진 등에 의한 진동에 대하여,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설치 중심 축이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 즉,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설치 후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다. 그 결과, 복수 존재하는 냉각수 유로(13)에의 냉각 수류 유량 배분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수 유로 수평부(18)의 수평 단면이 부채꼴로 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직선 형상이어도 되며, 그 경우, 판상 돌기물(35)은 급수 유로 수평부(18)의 형상에 맞춰서 직경 방향으로 평행하게 복수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판상 돌기물(35)을 페데스탈 바닥(12)에 고정한 후, 그 이외의 부분을 페데스탈 측벽(11)에 에워싸이는 공간에 들어올려 내리고 있다. 이 때문에, 들어올려 내리는 도중에는,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페데스탈 바닥(12)에 고정된 판상 돌기물(35) 이외의 부분과 페데스탈 측벽(11) 사이에는, 급수 유로 연직부(17)의 폭에 상당하는 간극이 존재하고 있다. 그 결과, 들어올려 내릴 때에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페데스탈 바닥(12)에 고정된 판상 돌기물(35) 이외의 부분과 페데스탈 측벽(11)이 간섭하기 어려워져 들어올려 내리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이렇게 모듈 공법을 채용함으로써, 건설 공기의 단축, 작업성이나 공사의 안전성 또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품질 향상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존의 페데스탈 구조를 채용하기 때문에, 새롭게 페데스탈 구조를 설계할 필요가 없다.
[제8 실시형태]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8 실시형태의 일부를 격납 용기와 함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일부를 격납 용기와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노심용 용융물 유지 장치는, 페데스탈 바닥(12)에 고정되어 연직으로 기립한 끼워맞춤 돌기물(36)을 갖고 있다. 끼워맞춤 돌기물(36)은 페데스탈 측벽(11)의 내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페데스탈 바닥(12)에 배치되어 있다. 끼워맞춤 돌기물(36)은 페데스탈 측벽(11)의 내주면을 따른 부분과, 이 부분의 양단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대의 다리부(53)의 외주측의 단부는, 끼워맞춤 돌기물(36)에 끼워맞춰져 있다. 주수 배관 출구 구멍(28)은 끼워맞춤 돌기물(36)의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페데스탈 바닥(12)이 형성된 후, 끼워맞춤 돌기물(36)이 소정의 장소에 고정된다. 또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는, 페데스탈 바닥(12)에 고정되는 끼워맞춤 돌기물(36) 이외에는, 격납 용기(2)(도 2 참조)의 외부의, 예를 들면 공장에서 조립된다. 외부에서 조립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는, 격납 용기(2)의 페데스탈 바닥(12) 및 페데스탈 측벽(11)이 형성되고, 끼워맞춤 돌기물(36)이 페데스탈 바닥(12)에 고정된 후에, 크레인을 사용하여 들어올려 내려져서 페데스탈 바닥(12) 상에 설치된다. 그 후, 원자로 압력 용기(1) 등이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와 페데스탈 바닥(12)의 쌍방에 서로 간섭하여 접촉하는,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구조체가 설치되어 있다. 즉, 페데스탈 바닥(12)에 고정된 끼워맞춤 돌기물(36)에,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지지대의 다리부(53)가 끼워맞춰짐으로써,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직경 방향 및 둘레 방향에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다. 이들 끼워맞춤 돌기물(36) 및 지지대의 다리부(53)가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에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를 앵커 볼트 등으로 페데스탈 바닥(12) 등에 고정하지 않더라도, 항공기 낙하 사고나 지진 등에 의한 진동에 대하여,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설치 중심 축이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 즉,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설치 후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다. 그 결과, 복수 존재하는 냉각수 유로(13)에의 냉각 수류 유량 배분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외경은, 페데스탈 측벽(11)의 내경보다 급수 유로 연직부(17) 만큼 작다. 이 때문에, 들어올려 내리는 도중에는,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와 페데스탈 측벽(11) 사이에는, 급수 유로 연직부(17)의 폭에 상당하는 간극이 존재하고 있다. 그 결과, 들어올려 내릴 때에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와 페데스탈 측벽(11)이 간섭하기 어려워져, 들어올려 내리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끼워맞춤 돌기물(36)은, 둘레 방향의 양단에서 직경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갖고 있지만, 예를 들면 둘레 방향의 일단에서 직경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가지는 돌기물을, 돌출되는 단부가 좌우 교호가 되도록 나열하는 등 하여,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회전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제9 실시형태]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9 실시형태의 일부를 격납 용기와 함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일부를 격납 용기와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노심용 용융물 유지 장치는, 페데스탈 바닥(12)에 고정되어 연직으로 기립한 끼워맞춤 돌기물(36)을 갖고 있다. 끼워맞춤 돌기물(37)은, 급수 용기(14)의 외주를 따라 간격을 두고 페데스탈 바닥(12)에 배치되어 있다. 끼워맞춤 돌기물(37)은, 급수 용기(14)의 외주를 따른 부분과, 이 부분의 양단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대의 다리부(53)의 내주측의 단부는, 끼워맞춤 돌기물(36)에 끼워맞춰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페데스탈 바닥(12)이 형성된 후, 끼워맞춤 돌기물(37)이 소정의 장소에 고정된다. 또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는, 페데스탈 바닥(12)에 고정되는 끼워맞춤 돌기물(37) 이외에는, 격납 용기(2)(도 2 참조)의 외부의, 예를 들면 공장에서 조립된다. 외부에서 조립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는, 격납 용기(2)의 페데스탈 바닥(12) 및 페데스탈 측벽(11)이 형성되고, 끼워맞춤 돌기물(37)이 페데스탈 바닥(12)에 고정된 후에, 크레인을 사용하여 들어올려 내려져서 페데스탈 바닥(12) 상에 설치된다. 그 후, 원자로 압력 용기(1) 등이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와 페데스탈 바닥(12)의 쌍방에 서로 간섭하여 접촉하는,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구조체가 설치되어 있다. 즉, 페데스탈 바닥(12)에 고정된 끼워맞춤 돌기물(37)에,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지지대의 다리부(53)가 끼워맞춰짐으로써,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직경 방향 및 둘레 방향에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다. 이들 끼워맞춤 돌기물(37) 및 지지대의 다리부(53)가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에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를 앵커 볼트 등으로 페데스탈 바닥(12) 등에 고정하지 않더라도, 항공기 낙하 사고나 지진 등에 의한 진동에 대하여,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설치 중심 축이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 즉,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설치 후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다. 그 결과, 복수 존재하는 냉각수 유로(13)에의 냉각 수류 유량 배분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외경은, 페데스탈 측벽(11)의 내경보다 급수 유로 연직부(17) 만큼 작다. 이 때문에, 들어올려 내리는 도중에는,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와 페데스탈 측벽(11) 사이에는, 급수 유로 연직부(17)의 폭에 상당하는 간극이 존재하고 있다. 그 결과, 들어올려 내릴 때에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와 페데스탈 측벽(11)이 간섭하기 어려워져, 들어올려 내리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끼워맞춤 돌기물(36)은, 둘레 방향의 양단에서 직경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갖고 있지만, 예를 들면 둘레 방향의 일단에서 직경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가지는 돌기물을, 돌출되는 단부가 좌우 교호가 되도록 나열하는 등 하여,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회전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제10 실시형태]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10 실시형태를 격납 용기와 함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는, 지지대(21)의 하단에 저판(54)을 갖고 있다. 저판(54)의 상면에는 중앙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다리부(53)가 설치되어 있다. 인접하는 다리부(53)의 사이에는, 저판(54)의 상면을 따른 냉각수 유로(13)가 형성되어 있다.
페데스탈 바닥(12)에는, 내경이 저판(54)의 외경과 거의 같은 오목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5)의 깊이는, 저판(54)의 두께와 거의 같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페데스탈 바닥(12)이 형성된 후, 끼워맞춤 돌기물(37)이 소정의 장소에 고정된다.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는, 격납 용기(2)(도 2 참조)의 외부의, 예를 들면 공장에서 조립된다. 외부에서 조립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는, 소정의 오목부(55)를 갖는 페데스탈 바닥(12) 및 페데스탈 측벽(11)이 형성된 후에, 크레인을 사용하여 들어올려 내려져서 페데스탈 바닥(12) 상에, 지지대(21)의 저판(54)이 페데스탈 바닥(12)의 오목부(55)에 끼워맞춰지도록 설치된다. 그 후, 원자로 압력 용기(1) 등이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와 페데스탈 바닥(12)의 쌍방에 서로 간섭하여 접촉하는,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구조체가 설치되어 있다. 즉, 페데스탈 바닥(12)에 형성된 오목부(55)에, 지지대(21)에 고정된 저판(54)이 끼워맞춰짐으로써,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직경 방향에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다. 즉, 이들 오목부(55) 및 지지대(21)의 저판(54)이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로서 기능하고 있다.
도 24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 근방의 입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지지대(21)의 하단에 고정된 저판(54)의 외주부에 테이퍼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즉,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구조체의 고정측인 오목부(55)와 가동측인 저판(54)이 접촉하는 부분에 있어서, 들어올려 내릴 때에 고정측의 구조체 근방을 최초에 통과하는 부분에 테이퍼부(46)가 형성되어 있다.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를 들어올려 내릴 때에,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체 중 최초에 고정 부분을 통과하는 최협 부분을 테이퍼 구조로 함으로써,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를 들어올려 내릴 때의 접촉 부분의 삽입성이 높아진다.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를 들어올려 내릴 때의 접촉 부분의 삽입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용이하게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를 설치 가능하여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에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를 앵커 볼트 등으로 페데스탈 바닥(12) 등에 고정하지 않더라도, 항공기 낙하 사고나 지진 등에 의한 진동에 대하여,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설치 중심 축이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 즉,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설치 후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다. 그 결과, 복수 존재하는 냉각수 유로(13)에의 냉각 수류 유량 배분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대(21)의 저판(54)이 페데스탈 바닥(12)의 오목부(55)에 끼워맞춰지면, 지지대(21)의 다리부(53)나 저판(54)이 주수 배관(16)의 출구인 주수 배관 출구 구멍(28)(도 6 참조)을 막지 않는다. 이 때문에,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회전 방향의 위치 어긋남은, 노심 용융물의 유지·냉각 성능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아 설치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외경은, 페데스탈 측벽(11)의 내경보다 급수 유로 연직부(17) 만큼 작다. 이 때문에, 들어올려 내리는 도중에는,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와 페데스탈 측벽(11) 사이에는, 급수 유로 연직부(17)의 폭에 상당하는 간극이 존재하고 있다. 그 결과, 들어올려 내릴 때에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와 페데스탈 측벽(11)이 간섭하기 어려워져, 들어올려 내리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제11 실시형태]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1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페데스탈 바닥 근방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ⅩⅩⅥ-ⅩⅩⅥ 화살표 방향에서 본 입단면과 함께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근방의 입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페데스탈 바닥(12)에는 연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지주(3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주(38)는 페데스탈 바닥(12)에 고정되어 있다. 지주(38)는 복수이며, 예를 들면 급수 용기(14)와 페데스탈 측벽(11)의 중간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8개 설치되어 있다. 지지대(21)의 하단에는 이들 지주(38)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39)가 형성되어 있다.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는, 격납 용기(2)(도 2 참조)의 외부의, 예를 들면 공장에서 조립된다. 외부에서 조립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는, 페데스탈 바닥(12), 페데스탈 바닥(12) 상의 지주(38) 및 페데스탈 측벽(11)이 형성된 후에, 크레인을 사용하여 들어올려 내려져서 페데스탈 바닥(12) 상에, 지주(38)가 지지대(21)의 오목부(39)와 끼워맞춰지도록 설치된다. 그 후, 원자로 압력 용기(1) 등이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와 페데스탈 바닥(12)의 쌍방에 서로 간섭하여 접촉하는,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즉, 페데스탈 바닥(12) 상의 지주(38)가 지지대(21)의 하단에 형성된 오목부(39)에 끼워맞춰짐으로써,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직경 방향 및 둘레 방향에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다. 이들 지주(38) 및 지지대(21)의 오목부(39)가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에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를 앵커 볼트 등으로 페데스탈 바닥(12) 등에 고정하지 않더라도, 항공기 낙하 사고나 지진 등에 의한 진동에 대하여,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설치 중심 축이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 즉,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설치 후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다. 그 결과, 복수 존재하는 냉각수 유로(13)에의 냉각 수류 유량 배분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외경은, 페데스탈 측벽(11)의 내경보다 급수 유로 연직부(17) 만큼 작다. 이 때문에, 들어올려 내리는 도중에는,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와 페데스탈 측벽(11) 사이에는, 급수 유로 연직부(17)의 폭에 상당하는 간극이 존재하고 있다. 그 결과, 들어올려 내릴 때에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와 페데스탈 측벽(11)이 간섭하기 어려워져, 들어올려 내리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제12 실시형태]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1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페데스탈 바닥 근방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ⅩⅩⅧ-ⅩⅩⅧ 화살표 방향에서 본 입단면과 함께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근방의 입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페데스탈 바닥(12)에는 연직 하방으로 오목한 오목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9)는 복수이며, 예를 들면 급수 용기(14)와 페데스탈 측벽(11)의 중간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8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대(21)의 하단에는 이들 오목부(39)와 끼워맞춰지는 지주(38)가 고정되어 있다.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는, 격납 용기(2)(도 2 참조)의 외부의, 예를 들면 공장에서 조립된다. 외부에서 조립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는, 오목부(39)를 갖는 페데스탈 바닥(12) 및 페데스탈 측벽(11)이 형성된 후에, 크레인을 사용하여 들어올려 내려져서 페데스탈 바닥(12) 상에, 지주(38)가 페데스탈 바닥(12)에 형성된 오목부(39)와 끼워맞춰지도록 설치된다. 그 후, 원자로 압력 용기(1) 등이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와 페데스탈 바닥(12)의 쌍방에 서로 간섭하여 접촉하는,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대(21)의 하단에 설치된 지주(38)가, 페데스탈 바닥(12)에 형성된 오목부(39)에 끼워맞춰짐으로써,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직경 방향 및 둘레 방향에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다. 이들 지주(38) 및 오목부(39)가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에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를 앵커 볼트 등으로 페데스탈 바닥(12) 등에 고정하지 않더라도, 항공기 낙하 사고나 지진 등에 의한 진동에 대하여,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설치 중심 축이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 즉,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설치 후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다. 그 결과, 복수 존재하는 냉각수 유로(13)에의 냉각 수류 유량 배분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외경은, 페데스탈 측벽(11)의 내경보다 급수 유로 연직부(17) 만큼 작다. 이 때문에, 들어올려 내리는 도중에는,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와 페데스탈 측벽(11) 사이에는, 급수 유로 연직부(17)의 폭에 상당하는 간극이 존재하고 있다. 그 결과, 들어올려 내릴 때에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와 페데스탈 측벽(11)이 간섭하기 어려워져, 들어올려 내리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제13 실시형태]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1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페데스탈 바닥 근방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ⅩⅩⅩ-ⅩⅩⅩ 화살표 방향에서 본 입단면과 함께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근방의 입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페데스탈 바닥(12)에는, 연직 하방으로 오목한 오목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6)는, 수평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6)는, 예를 들면 페데스탈 바닥(12)의 중앙부에 형성된 수평 단면이 정방형인 비(非)관통 구멍이다. 오목부(56)는 다각형이면 정방형이 아니어도 된다. 지지대(21)의 하단에는, 이 오목부(56)와 끼워맞춰지는 지주(41)가 고정되어 있다.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는, 격납 용기(2)(도 2 참조)의 외부의, 예를 들면 공장에서 조립된다. 외부에서 조립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는, 오목부(56)를 가지는 페데스탈 바닥(12) 및 페데스탈 측벽(11)이 형성된 후에, 크레인을 사용하여 들어올려 내려져서 페데스탈 바닥(12) 상에, 지주(41)가 페데스탈 바닥(12)에 형성된 오목부(56)와 끼워맞춰지도록 설치된다. 그 후, 원자로 압력 용기(1) 등이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와 페데스탈 바닥(12)의 쌍방에 서로 간섭하여 접촉하는,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대(21)의 하단에 설치된 지주(41)가, 페데스탈 바닥(12)에 형성된 오목부(56)에 끼워맞춰짐으로써,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직경 방향 및 둘레 방향에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다. 이들 지주(41) 및 오목부(56)가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에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를 앵커 볼트 등으로 페데스탈 바닥(12) 등에 고정하지 않더라도, 항공기 낙하 사고나 지진 등에 의한 진동에 대하여,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설치 중심 축이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 즉,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설치 후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다. 그 결과, 복수 존재하는 냉각수 유로(13)에의 냉각 수류 유량 배분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외경은, 페데스탈 측벽(11)의 내경보다 급수 유로 연직부(17) 만큼 작다. 이 때문에, 들어올려 내리는 도중에는,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와 페데스탈 측벽(11) 사이에는, 급수 유로 연직부(17)의 폭에 상당하는 간극이 존재하고 있다. 그 결과, 들어올려 내릴 때에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와 페데스탈 측벽(11)이 간섭하기 어려워져, 들어올려 내리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지주(41) 및 오목부(56)를 다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지주(41) 및 오목부(56)는 각각 1개이더라도,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제14 실시형태]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제14 실시형태의 들어올려 내릴 때에 있어서의 페데스탈 바닥 근방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근방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지지판 근방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페데스탈 바닥(12)에는 원관(円管) 형상 지지 구조체(42)가 고정되어 있다. 원관 형상 지지 구조체(42)는 페데스탈 측벽(11)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의 원관이다. 원관 형상 지지 구조체(42)의 하단에는, 원관 형상 지지 구조체(42)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냉각수가 흐르도록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원관 형상 지지 구조체(42)의 상단에는, 노치(57)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57)는 원관 형상 지지 구조체(42)의 둘레 방향의 복수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외측 라이저(20)에는, 페데스탈 측벽(11)을 향하여 돌출된 지지판(43)이 고정되어 있다. 외측 라이저(20)에 고정된 지지판(43)은 원관 형상 지지 구조체(42)의 노치(57)에 걸어맞춰져 있다.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는, 격납 용기(2)(도 2 참조)의 외부의, 예를 들면 공장에서 조립된다. 외부에서 조립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는, 페데스탈 바닥(12) 및 페데스탈 측벽(11)이 형성되고, 페데스탈 바닥(12)에 원관 형상 지지 구조체(42)가 고정된 후에, 크레인을 사용하여 들어올려 내려진다. 크레인으로 들어올려 내려진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는, 페데스탈 바닥(12) 상에, 외측 라이저(20)에 고정된 지지판(43)이 원관 형상 지지 구조체(42)에 형성된 노치(57)에 걸어맞춰지도록 설치된다. 그 후, 원자로 압력 용기(1) 등이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라이저(20)에 고정된 지지판(43)이, 페데스탈 바닥(12)에 고정된 원관 형상 지지 구조체(42)의 노치(57)에 걸어맞춰짐으로써,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직경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다. 즉, 이들 지지판(43) 및 원관 형상 지지 구조체(42)의 노치(57)가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원관 형상 지지 구조체(42)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한 구조체가 아니더라도, 지지판(43)과 걸어맞춰지는 노치부를 가지고 있으며, 내진 등의 강도가 유지되면, 둘레 방향으로 분할된 구조체의 집합 또는 기둥상 구조체의 집합체여도 된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에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를 앵커 볼트 등으로 페데스탈 바닥(12) 등에 고정하지 않더라도, 항공기 낙하 사고나 지진 등에 의한 진동에 대하여,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설치 중심 축이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 즉,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의 설치 후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다. 그 결과, 복수 존재하는 냉각수 유로(13)에의 냉각 수류 유량 배분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외측 라이저(20)에 고정된 지지판(43)은, 원관 형상 지지 구조체(42)의 노치(57)에 걸어맞춰져 있으면, 위치 어긋남 방지 구조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문에, 이 지지판(43)의 단부는, 페데스탈 측벽(11)에 그다지 가깝게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를 들어올려 내릴 때에는, 페데스탈 측벽(11)과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9) 사이에 어느 정도의 극간을 설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들어올려 내리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 외의 실시형태]
전술한 각 실시형태는 단순한 예시이며,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각 실시형태의 특징을 조합시켜서 실시해도 된다.
1 - 원자로 압력 용기 2 - 격납 용기
3 - 하부 헤드 4 - 서프레션 풀
5 - 수조 6 - 격납 용기 냉각기
7 - 하부 드라이웰 8 - 섬프 바닥
9 -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 11 - 페데스탈 측벽
12 - 페데스탈 바닥 13 - 냉각수 유로
14 - 급수 용기 15 - 내열재
16 - 주수 배관 17 - 급수 유로 연직부
18 - 급수 유로 수평부 19 - 내측 라이저
20 - 외측 라이저 21 - 지지대
22 - 수 채널 23 - 수 채널 집합체
24 - 하부 입구부 25 - 상부 출구부
26 - 스페이서 27 - 플랜지
28 - 주수 배관 출구 구멍 29 - 돌기물
30 - 돌기물 31 - 판상 돌기물
32 - 판상 돌기물 33 - 블록 형상 구조체
34 - 판상 돌기물 35 - 판상 돌기물
36 - 끼워맞춤 돌기물 37 - 끼워맞춤 돌기물
38 - 지주 39 - 오목부
41 - 지주 42 - 원관 형상 지지 구조체
43 - 지지판 44 - 리프트 지그용 구멍
45 - 완충체 46 - 테이퍼부
51 - 노심 52 - 밸브
53 - 다리부 54 - 저판
55 - 오목부 56 - 오목부
57 - 노치

Claims (21)

  1. 노심을 수납하는 원자로 용기를 격납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 용기의 아래쪽에 설치된 페데스탈 바닥과,
    상기 페데스탈 바닥으로부터 연직으로 세워지며 냉각수가 배출되는 주수(注水) 출구가 형성된 페데스탈 측벽과,
    상기 페데스탈 바닥 상에 놓여져 상기 페데스탈 측벽의 내면과 간극을 두고 마주보는 외주면을 가지며 그 외주면의 내측에 위로 개방된 유지 용기와 상기 유지 용기의 아래쪽에 설치된 급수 용기를 구비하며 상기 외주면과 상기 페데스탈 측벽의 내면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상기 급수 용기로 연장되는 급수 유로와 상기 급수 용기로부터 상기 유지 용기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는 냉각 유로가 형성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와,
    상기 외주면의 둘레 방향 위치가 상이한 적어도 3개소에서 상기 외주면과 상기 페데스탈 측벽의 내면 사이에 배치된 편심 방지체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방지체는 상기 외주면의 상단에 걸리며 상기 외주면과 상기 페데스탈 측벽 사이로 연장되는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페데스탈 측벽의 대향부에 설치된 완충체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방지체는 상기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에 고정되며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페데스탈 측벽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는 상기 급수 용기로부터 상기 외주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다리부를 하단에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다리부의 상기 페데스탈 측벽에 대향하는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수 출구는, 상기 돌기부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는 상기 페데스탈 바닥에 탑재배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관 형상의 외측 라이저(riser)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외측 라이저의 외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물에는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리프트 지그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
  9. 제4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데스탈 측벽에 고정되며 상기 외주면을 따른 상이한 2방향에서 상기돌출부에 각각 대향하는 회전 방지체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물의 하단 외측에는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상기 페데스탈 측벽으로부터의 거리가 작아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체와 상기 돌출부의 대향부에 설치된 완충체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
  12. 노심을 수납하는 원자로 용기를 격납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 용기의 아래쪽에 설치된 페데스탈 바닥과,
    상기 페데스탈 바닥으로부터 연직으로 세워지며 냉각수가 배출되는 주수 출구가 형성된 페데스탈 측벽과,
    상기 페데스탈 바닥 상에 놓여져 상기 페데스탈 측벽의 내면과 간극을 두고 마주보는 외주면을 가지며 그 외주면의 내측에 위로 개방된 유지 용기와 상기 유지 용기의 아래쪽에 설치된 급수 용기를 구비하며 상기 외주면과 상기 페데스탈 측벽의 내면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상기 급수 용기로 연장되는 급수 유로와 상기 급수 용기로부터 상기 유지 용기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는 냉각 유로가 형성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와,
    상기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 하단에 고정된 상기 외주면보다 연직 방향의 투영 면적이 큰 플랜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수 출구는 상기 플랜지의 상면보다 위쪽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측면과 상기 페데스탈 측벽의 내면의 대향부에 설치된 완충체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
  15. 노심을 수납하는 원자로 용기를 격납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 용기의 아래쪽에 설치된 페데스탈 바닥과,
    상기 페데스탈 바닥으로부터 연직으로 세워지며 냉각수가 배출되는 주수 출구가 형성된 페데스탈 측벽과,
    상기 페데스탈 바닥 상에 놓여져 상기 페데스탈 측벽의 내면과 간극을 두고 마주보는 외주면을 가지며 그 외주면의 내측에 위로 개방된 유지 용기와 상기 유지 용기의 아래쪽에 설치된 급수 용기를 구비하며 상기 외주면과 상기 페데스탈 측벽의 내면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상기 급수 용기로 연장되는 급수 유로와 상기 급수 용기로부터 상기 유지 용기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는 냉각 유로가 형성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페데스탈 바닥 및 상기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하면의 어느 한쪽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에 끼워맞춰진 돌기가 상기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하면 및 상기 페데스탈 바닥의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돌기는 각각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돌기는 각각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
  18.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선단 외측에는 그 선단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상기 오목부로부터의 거리가 작아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
  19.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과 상기 돌기의 외측면의 대향부의 사이에 설치된 완충체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
  20. 노심을 수납하는 원자로 용기를 격납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 용기의 아래쪽에 설치된 페데스탈 바닥과,
    상기 페데스탈 바닥으로부터 연직으로 세워지며 냉각수가 배출되는 주수 출구가 형성된 페데스탈 측벽과,
    상기 페데스탈 바닥 상에 놓여져 상기 페데스탈 측벽의 내면과 간극을 두고 마주보는 외주면을 가지며 그 외주면의 내측에 위로 개방된 유지 용기와 상기 유지 용기의 아래쪽에 설치된 급수 용기를 구비하며 상기 외주면과 상기 페데스탈 측벽의 내면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상기 급수 용기로 연장되는 급수 유로와 상기 급수 용기로부터 상기 유지 용기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는 냉각 유로가 형성된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와,
    상기 페데스탈 바닥으로부터 상기 외주면에 따라 세워지며 상단에 노치가 형성된 관 형상 지지 구조체와,
    상기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에 고정되며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페데스탈 측벽을 향하여 돌출해서 상기 노치에 걸어맞춰진 회전 방지용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노심 용융물 유지 장치의 하단의 외주부에는 그 하단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상기 관상 지지 구조체로부터의 거리가 작아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격납 용기.
KR1020127032467A 2010-05-21 2011-05-11 원자로 격납 용기 KR201300388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17521 2010-05-21
JP2010117521A JP2011247584A (ja) 2010-05-21 2010-05-21 原子炉格納容器
PCT/JP2011/002625 WO2011145293A1 (ja) 2010-05-21 2011-05-11 原子炉格納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867A true KR20130038867A (ko) 2013-04-18

Family

ID=44991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467A KR20130038867A (ko) 2010-05-21 2011-05-11 원자로 격납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170598A1 (ko)
JP (1) JP2011247584A (ko)
KR (1) KR20130038867A (ko)
FI (1) FI125175B (ko)
WO (1) WO20111452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786B1 (ko) * 2015-10-20 2017-01-06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사용후연료저장조간 연료이송을 위한 사용후연료이송장치
KR101988265B1 (ko) * 2017-05-24 2019-06-12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로용기 내 냉각 및 발전 시스템
JP6825987B2 (ja) * 2017-05-29 2021-02-03 株式会社東芝 溶融炉心保持冷却装置及び原子炉格納容器
RU2700925C1 (ru) * 2018-09-25 2019-09-24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томэнергопроект" Устройство локализации расплава активной зоны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CN110459333B (zh) * 2019-07-04 2022-01-18 中国核电工程有限公司 一种带有内部冷却管的双层坩埚堆芯熔融物捕集装置
RU2734734C1 (ru) * 2020-03-13 2020-10-22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томэнергопроект" На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ы локализации и охлаждения расплава активной зоны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CN117242530A (zh) * 2021-04-19 2023-12-15 霍尔泰克国际公司 用于核燃料存储的自动调节抗震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95371A1 (fr) * 1980-11-28 1982-06-04 Framatome Sa Batiment reacteur comportant des structures internes dont les sollicitations sont independantes des deformations du radier general, et procede pour la realisation de ces structures internes
US4412969A (en) * 1982-03-09 1983-11-01 Tilbrook Roger W Combination pipe rupture mitigator and in-vessel core catcher
FR2533960A1 (fr) * 1982-09-30 1984-04-06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Structure de protection du plancher d'une enceinte de beton
JPS6013286A (ja) * 1983-07-04 1985-01-23 株式会社東芝 原子炉格納容器の支持装置
US4767593A (en) * 1987-06-15 1988-08-30 Wedellsborg Bendt W Multiple shell pressure vessel
DE4041295A1 (de) * 1990-12-21 1992-07-02 Siemens Ag Kernreaktor-anlage, insbesondere fuer leichtwasserreaktoren, mit einer kernrueckhaltevorrichtung, verfahren zur notkuehlung bei einer solchen kernreaktor-anlage und verwendung turbulenzerzeugender deltafluegel
JP3090489B2 (ja) * 1991-04-22 2000-09-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原子炉格納容器トップヘッドの設定方法および原子炉格納容器
JP3150451B2 (ja) * 1992-10-20 2001-03-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原子炉設備
US5307390A (en) * 1992-11-25 1994-04-26 General Electric Company Corium protection assembly
JPH0763875A (ja) * 1993-08-26 1995-03-1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原子炉格納容器
JP4987681B2 (ja) * 2007-12-12 2012-07-25 株式会社東芝 原子炉格納容器及び漏水検知床
JP2009257929A (ja) * 2008-04-16 2009-11-05 Toshiba Corp 炉心溶融物保持装置および原子炉格納容器
JP2010237070A (ja) * 2009-03-31 2010-10-21 Toshiba Corp 漏えい水収集装置、原子力プラントおよび漏えい監視方法
JP2010271261A (ja) * 2009-05-25 2010-12-02 Toshiba Corp 炉心溶融物保持装置および格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20126326A (fi) 2012-12-18
WO2011145293A1 (ja) 2011-11-24
FI125175B (fi) 2015-06-30
US20130170598A1 (en) 2013-07-04
JP2011247584A (ja) 201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8867A (ko) 원자로 격납 용기
EP3367389B1 (en) High earthquake-resistant fuel storage rack system for fuel pools in nuclear plants
KR960008856B1 (ko) 역류 냉각제 흐름로를 갖는 액상금속 냉각 원자로에 대한 수동 냉각 시스템
EP2791943B1 (en) Emergency core cooling system (eccs) for nuclear reactor employing closed heat transfer pathways
US8867690B2 (en) Pressurized water reactor with compact passive safety systems
US20180082759A1 (en) Nuclear Reactor Support And Seismic Restraint With In-Vessel Core Retention Cooling Features
KR20170129867A (ko) 원자로 모듈 지지 구조체
JP2014521927A (ja) 加圧器バッフルプレート及びそれを使用する加圧水型原子炉(pwr)
KR101020785B1 (ko) 원자로용 비상노심냉각수 안전주입탱크
EP3255637B1 (en) Core catcher and boiling water nuclear plant using the same
US20210142920A1 (en) Nuclear steam supply and start-up system, passively-cooled spent nuclear fuel pool system and method therefor, component cooling water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passive reactor cooling system, steam generator for nuclear steam supply system
JP2014185989A (ja) コアキャッチャ
US20150364222A1 (en) Nuclear reactor support and seismic restraint
JP2013076675A (ja) 液体金属冷却原子炉用受動冷却システム
JP4746911B2 (ja) 高速炉および高速炉施設の建設方法
JP4794149B2 (ja) 炉心を含む原子炉圧力容器内に核燃料集合体を支持するための装置
KR20110100146A (ko) 보호 그리드 부착물
EP1568047B1 (en) Boiling water reactor nuclear fuel assembly lifting support
JP6498989B2 (ja) コアキャッチャ及びそれを備えた原子炉
JP2016166833A (ja) 原子炉格納容器、及び原子炉格納容器の施工方法
JP7246295B2 (ja) 沸騰水型原子炉
JP2017058313A (ja) コアキャッチャー及びこれを備えた原子炉格納容器
JP6415874B2 (ja) 原子炉格納容器底部保護装置および原子炉格納設備
JP6878203B2 (ja) 炉心溶融物受け装置およびその設置方法、耐熱部品、ならびに原子力施設
JP2017111089A (ja) 原子炉格納容器およびそのドレンサ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