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406A - 호 처리 부가 서비스 제공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호 처리 부가 서비스 제공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406A
KR20130037406A KR1020110101798A KR20110101798A KR20130037406A KR 20130037406 A KR20130037406 A KR 20130037406A KR 1020110101798 A KR1020110101798 A KR 1020110101798A KR 20110101798 A KR20110101798 A KR 20110101798A KR 20130037406 A KR20130037406 A KR 20130037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voice call
event signal
terminal device
additional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9981B1 (ko
Inventor
김용진
Original Assignee
김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진 filed Critical 김용진
Priority to KR1020110101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981B1/ko
Priority to PCT/KR2012/007739 priority patent/WO2013051811A1/ko
Priority to US14/349,847 priority patent/US8938056B2/en
Priority to CN201280055606.4A priority patent/CN103931167B/zh
Priority to JP2014534465A priority patent/JP2014533456A/ja
Publication of KR20130037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9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04M3/4283Call hold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3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information services provided via a voice call
    • H04M2203/352In-call/conference information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 처리 부가 서비스 제공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개시한다. 즉, 단말장치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제공하는 단말운영부; 및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 및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음성 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함으로써, 통신사의 개입 없이도 편리하게 통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 처리 부가 서비스 제공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TERMINAL FOR PROVIDING SUBSCRIBER SERVICE OF CALL PROCESSING AND THE DRIVING METHOD}
본 발명은 호 처리 부가 서비스 제공 방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와의 연동을 통해 호 처리 상태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여 발/착신 자를 대상으로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호 처리 부가 서비스 제공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기존의 유무선 전화서비스 분야에서는 기본적인 음성통화 기능 외에 다양한 부가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높아져 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통신사를 통하여 고객의 단말 정보를 확인하고, 통신사 망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성통화 연결 시에 무선인터넷을 통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해당 지역에 있는 모든 통신사와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모든 관련 시스템과 연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사업 진행을 위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그 중 일부의 통신사가 원하지 않을 경우 제한적인 서비스를 진행할 수밖에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단말장치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이벤트신호에 대응하는 단말장치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 및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음성 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와의 연동을 통해 호 처리 상태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여 발/착신 자를 대상으로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단말장치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이벤트신호에 대응하는 단말장치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 및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음성 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와의 연동을 통해 호 처리 상태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여 발/착신 자를 대상으로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단말장치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제공하는 단말운영부; 및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 및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음성 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상기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 및 상기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음성 호의 발신자 식별정보 또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 및 상기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가 제공될 경우, 동작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음성 호의 발신자 식별정보 또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 이후,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연결 상태가 확인될 경우 또는 상기 음성 호 연결 이후 발신자가 음성 통화를 시도하는 것이 확인될 경우, 동작 상태를 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단말장치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제공하는 단말운영부; 및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 및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음성 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상기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 및 상기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음성 호의 발신자 식별정보 또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단문메시지 착신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단문메시지의 발신자 식별정보 또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 및 상기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가 착신될 경우, 동작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음성 호의 발신자 식별정보 또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 이후,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연결 상태가 확인될 경우, 동작 상태를 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하는 이벤트신호발생단계; 상기 이벤트신호에 대응하는 단말장치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확인단계; 및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 및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음성 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제공단계는, 상기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 및 상기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음성 호의 발신자 식별정보 또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제공단계는, 상기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 및 상기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가 발생될 경우, 동작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음성 호의 발신자 식별정보 또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 이후,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연결 상태가 확인될 경우 또는 상기 음성 호 연결 이후 발신자가 음성 통화를 시도하는 것이 확인될 경우, 동작 상태를 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는 서비스중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하는 이벤트신호발생단계; 상기 이벤트신호에 대응하는 단말장치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확인단계; 및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 및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음성 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제공단계는,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상기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 및 상기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음성 호의 발신자 식별정보 또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제공단계는,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단문메시지 착신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단문메시지의 발신자 식별정보 또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제공단계는, 상기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 및 상기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가 발생될 경우, 동작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음성 호의 발신자 식별정보 또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 이후,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연결 상태가 확인될 경우, 동작 상태를 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는 서비스중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는, 단말장치의 현재 상태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이벤트신호를 확인하는 이벤트신호확인단계;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 및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확인단계; 및 상기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 및 상기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 확인에 따라, 상기 음성 호의 발신자 식별정보 또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록매체는, 상기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 이후,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연결 상태가 확인될 경우 또는 상기 음성 호 연결 이후 발신자가 음성 통화를 시도하는 것이 확인될 경우, 동작 상태를 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는 서비스중지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는, 단말장치의 현재 상태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이벤트신호를 확인하는 이벤트신호확인단계;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 및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확인단계; 및 상기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 및 상기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 확인에 따라, 상기 음성 호의 발신자 식별정보 또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록매체는, 상기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 이후,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연결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는 서비스중지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호 처리 부가 서비스 제공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와의 연동을 통해 호 처리 상태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여 발/착신 자를 대상으로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통신사의 개입 없이도 편리하게 통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이용자는 발 착신 시 통화 연결 전에 서비스 등록을 통하여 인증된 발/착신 상대방의 이미지를 미리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발신 상대방의 신분을 신뢰하고 이들이 제공하는 정보를 의심 없이 이용할 수 있어 각종 보이스 피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음성 통화 연결 상태 또는 사용자의 통화 의지가 확인될 경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부가 컨텐츠를 대신해 호 처리와 관련하여 운영체제에서 자체 제공되는 통화화면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음성 통화를 이용하려는 사용자에게 전혀 지장을 주지 않은 상태에서 다양한 형태의 부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이용률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부가 컨텐츠 제공을 위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호 처리 과정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말장치(100), 상기 부가 컨텐츠 제공을 위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 가입자 즉, 발신/착신 단말장치(300)가 신규 컨텐츠를 등록할 경우, 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하여 등록된 신규 컨텐츠를 전달하며, 아울러 단말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추가 컨텐츠 직접 제공하거나, 타 컨텐츠서버(도시안됨)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추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200), 및 상기 단말장치(100)와 단문메시지 및 음성 호를 포함하는 호 처리를 수행하는 발신/착신 단말장치(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단말장치(100)는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한 플랫폼 예컨대, 아이폰OS(iOS), 안드로이드(Android), 및 윈도우모바일(Window Mobile) 등을 탑재하여 해당 플랫폼을 기반으로 음성통화 중에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폰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도 1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 호 발신 동작에 대응하는 구성적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장치(100)는 서비스서버(200)로부터 착신 단말장치(300)가 신규 등록한 부가 컨텐츠를 제공받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부가 컨텐츠 제공을 위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과정에서 서비스서버(200)로부터 착신 단말장치(300)가 신규 등록한 부가 컨텐츠를 전달받게 된다.
아울러, 단말장치(100)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를 등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착신 단말장치(300)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 예컨대, 영상 정보, 이미지, 및 문구(Text) 등을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등록하게 된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부가 컨텐츠 등록 시, 해당 컨텐츠 원본을 등록하거나, 또는 부가 컨텐츠의 접속정보(예: URL)을 등록시켜, 부가 컨텐츠 제공 시 상기 접속된 접속정보를 토대로 해당 컨텐츠에 접속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이를 기반으로, 단말장치(100)는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운영체제(OS)를 통해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함으로써, 해당 이벤트 신호를 플랫폼을 통해 상기 부가 컨텐츠 제공을 위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운영체제(OS)는 감지된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착신번호를 포함하는 이벤트신호를 플랫폼에 전달하게 되며, 이와 같이 플랫폼에 전달된 이벤트신호는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전달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구동) 상태일 경우, 플랫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운영체제(OS)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자체 획득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비 활성화(미 구동) 상태일 경우, 상기 플랫폼이 운영체제(OS)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어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를 인지시키게 된다.
나아가, 단말장치(100)는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가 확인될 경우, 음성 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가 확인될 경우, 이벤트신호에 포함된 착신번호에 대한 서비스 등록 여부를 조회하여 서비스 등록 상태를 확인하고, 해당 착신 가입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조회하여 해당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0)는 상기 착신 가입자에 대응하여 컨텐츠가 자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며, 해당 컨텐츠의 접속정보만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접속정보를 토대로 컨텐츠를 취득하여 제공하게 된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공되는 부가 컨텐츠에 매핑된 추가 컨텐츠 요청이 수신될 경우, 서비스서버(200)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취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음성 호 연결 상태가 확인되거나, 음성 호 연결 이후 발신자가 음성 통화를 시도할 경우 상기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상기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 이후,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연결 상태가 확인되거나, 음성 호 연결 이후 발신자의 음성 통화 시도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운영체제(OS)는 예컨대, 탑재된 근접센서를 통해 발신자가 단말장치를 귀에 가까이 가져간 상태가 확인되거나, 발신자의 음성 입력이 확인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발신자의 음성 통화 시도 즉, 사용자의 통화 의지를 확인시키게 된다. 이에,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의 통화 의지 확인에 대응하여 동작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고,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부가 컨텐츠를 대신해 호 처리와 관련하여 운영체제(OS)에서 자체 제공되는 통화화면(키패드, 스피커 기능, 소리 끔 등 부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운영체제(OS)에서 제공되는 통화 관련 기능 예컨대, 버튼 입력, 메모, 스피커 전화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도 1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성 호 착신 동작에 대응하는 구성적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장치(100)는 서비스서버(200)로부터 발신 단말장치(300)가 신규 등록한 부가 컨텐츠를 제공받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부가 컨텐츠 제공을 위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과정에서 서비스서버(200)로부터 발신 단말장치(300)가 신규 등록한 부가 컨텐츠를 전달받게 된다.
아울러, 단말장치(100)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를 등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발신 단말장치(300)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 예컨대, 영상 정보, 이미지, 및 문구(Text) 등을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등록하게 된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부가 컨텐츠 등록 시, 해당 컨텐츠 원본을 등록하거나, 또는 부가 컨텐츠의 접속정보(예: URL)을 등록시켜, 부가 컨텐츠 제공 시 상기 접속된 접속정보를 토대로 해당 컨텐츠에 접속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이를 기반으로, 단말장치(100)는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운영체제(OS)를 통해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함으로써, 해당 이벤트 신호를 플랫폼을 통해 상기 부가 컨텐츠 제공을 위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운영체제(OS)는 감지된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에 따라 발신번호를 포함하는 이벤트신호를 플랫폼에 전달하게 되며, 이와 같이 플랫폼에 전달된 이벤트신호는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전달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구동) 상태일 경우, 플랫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운영체제(OS)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자체 획득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비 활성화(미 구동) 상태일 경우, 상기 플랫폼이 운영체제(OS)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어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를 인지시키게 된다.
나아가, 단말장치(100)는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가 확인될 경우, 음성 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가 확인될 경우, 이벤트신호에 포함된 발신번호에 대한 서비스 등록 여부를 조회하여 서비스 등록 상태를 확인하고, 해당 발신 가입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조회하여 해당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0)는 상기 발신 가입자에 대응하여 컨텐츠가 자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며, 해당 컨텐츠의 접속정보만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접속정보를 토대로 컨텐츠를 취득하여 제공하게 된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공되는 부가 컨텐츠에 매핑된 추가 컨텐츠 요청이 수신될 경우, 서비스서버(200)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취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음성 호 연결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상기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 이후,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연결 상태가 확인될 경우,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운영체제(OS)는 음성 호 착신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통화 연결 버튼 입력이 확인될 경우, 해당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음성 호 연결 상태를 확인시키게 된다. 이에,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음성 호 연결 상태 확인에 따라 동작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고,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부가 컨텐츠를 대신해 호 처리와 관련하여 운영체제(OS)에서 자체 제공되는 통화화면(키패드, 스피커 기능, 소리 끔 등 부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운영체제(OS)에서 제공되는 통화 관련 기능 예컨대, 버튼 입력, 메모, 스피커 전화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도 1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음성 호 종료 동작에 대응하는 구성적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장치(100)는 서비스서버(200)로부터 발신/착신 단말장치(300)가 신규 등록한 부가 컨텐츠를 제공받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부가 컨텐츠 제공을 위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과정에서 서비스서버(200)로부터 통화 연결 상대방 즉 발신/착신 단말장치(300)가 신규 등록한 부가 컨텐츠를 전달받게 된다.
아울러, 단말장치(100)는 발신자/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를 등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통화 연결 상대방인 발신/착신 단말장치(300)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 예컨대, 영상 정보, 이미지, 및 문구(Text) 등을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등록하게 된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부가 컨텐츠 등록 시, 해당 컨텐츠 원본을 등록하거나, 또는 부가 컨텐츠의 접속정보(예: URL)을 등록시켜, 부가 컨텐츠 제공 시 상기 접속된 접속정보를 토대로 해당 컨텐츠에 접속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이를 기반으로, 단말장치(100)는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운영체제(OS)를 통해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음성 호 연결 상태에서 음성 호 종료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된 음성 호 종료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함으로써, 해당 이벤트 신호를 플랫폼을 통해 상기 부가 컨텐츠 제공을 위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운영체제(OS)는 감지된 음성 호 종료 상태 따라 상대방번호를 포함하는 이벤트신호를 플랫폼에 전달하게 되며, 이와 같이 플랫폼에 전달된 이벤트신호는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전달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구동) 상태일 경우, 플랫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운영체제(OS)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자체 획득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비 활성화(미 구동) 상태일 경우, 상기 플랫폼이 운영체제(OS)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어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음성 호 종료 상태를 인지시키게 된다.
나아가, 단말장치(100)는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종료 상태가 확인될 경우, 음성 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음성 호 종료 상태가 확인될 경우, 이벤트신호에 포함된 상대방번호에 대한 서비스 등록 여부를 조회하여 서비스 등록 상태를 확인하고, 해당 가입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조회하여 해당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0)는 상기 상대방 가입자에 대응하여 컨텐츠가 자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며, 해당 컨텐츠의 접속정보만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접속정보를 토대로 컨텐츠를 취득하여 제공하게 된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공되는 부가 컨텐츠에 매핑된 추가 컨텐츠 요청이 수신될 경우, 서비스서버(200)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취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도 1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단문메시지 수신 동작에 대응하는 구성적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장치(100)는 서비스서버(200)로부터 발신 단말장치(300)가 신규 등록한 부가 컨텐츠를 제공받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부가 컨텐츠 제공을 위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과정에서 서비스서버(200)로부터 발신 단말장치(300)가 신규 등록한 부가 컨텐츠를 전달받게 된다.
아울러, 단말장치(100)는 발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를 등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발신 단말장치(300)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 예컨대, 영상 정보, 이미지, 및 문구(Text) 등을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등록하게 된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부가 컨텐츠 등록 시, 해당 컨텐츠 원본을 등록하거나, 또는 부가 컨텐츠의 접속정보(예: URL)을 등록시켜, 부가 컨텐츠 제공 시 상기 접속된 접속정보를 토대로 해당 컨텐츠에 접속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이를 기반으로, 단말장치(100)는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운영체제(OS)를 통해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단문메시지(SMS) 수신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단문메시지 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함으로써, 해당 이벤트 신호를 플랫폼을 통해 상기 부가 컨텐츠 제공을 위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운영체제(OS)는 감지된 단문메시지 수신 상태에 따라 발신번호를 포함하는 이벤트신호를 플랫폼에 전달하게 되며, 이와 같이 플랫폼에 전달된 이벤트신호는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전달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구동) 상태일 경우, 플랫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운영체제(OS)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자체 획득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비 활성화(미 구동) 상태일 경우, 상기 플랫폼이 운영체제(OS)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어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단문메시지 수신 상태를 인지시키게 된다.
나아가, 단말장치(100)는 이벤트신호를 통해 단문메시지 수신 상태가 확인될 경우,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단문메시지 수신 상태가 확인될 경우, 이벤트신호에 포함된 발신번호에 대한 서비스 등록 여부를 조회하여 서비스 등록 상태를 확인하고, 해당 발신 가입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조회하여 해당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0)는 상기 발신 가입자에 대응하여 컨텐츠가 자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며, 해당 컨텐츠의 접속정보만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접속정보를 토대로 컨텐츠를 취득하여 제공하게 된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공되는 부가 컨텐츠에 매핑된 추가 컨텐츠 요청이 수신될 경우, 서비스서버(200)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취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제공하는 단말운영부(110); 및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호 처리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호 처리 상태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부(1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단말운영부(110)는 단말장치(100)에 탑재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지칭하는 것이며, 상기 서비스제공부(120)는 어플리케이션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상기 서비스제공부(120)의 경우 상기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플랫폼을 기반으로 설치되어 호 처리 관련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 호 발신 동작에 대응하는 단말장치(100)의 구성적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서비스제공부(120)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를 등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제공부(120)는 착신 단말장치(300)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 예컨대, 영상 정보, 이미지, 및 문구(Text) 등을 등록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제공부(120)는 부가 컨텐츠 등록 시, 해당 컨텐츠 원본을 등록하거나, 또는 부가 컨텐츠의 접속정보(예: URL)을 등록시켜, 부가 컨텐츠 제공 시 상기 접속된 접속정보를 토대로 해당 컨텐츠에 접속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단말운영부(110)는 단말장치(10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운영부(110)는 단말장치(100)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함으로써, 해당 이벤트 신호를 플랫폼을 통해 서비스제공부(120)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운영부(110)는 감지된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착신번호를 포함하는 이벤트신호를 플랫폼에 전달하게 되며, 이와 같이 플랫폼에 전달된 이벤트신호는 서비스제공부(120)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전달되게 된다. 다시 말해, 서비스제공부(120)가 활성화(구동) 상태일 경우, 플랫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운영체제(OS)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자체 획득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상기 서비스제공부(120)가 비 활성화(미 구동) 상태일 경우, 상기 플랫폼이 단말운영부(110)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서비스제공부(120)에 전달하여 상기 서비스제공부(120)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서비스제공부(120)로 하여금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를 인지시키게 된다.
나아가, 서비스제공부(120)는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가 확인될 경우, 음성 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제공부(120)는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가 확인될 경우, 이벤트신호에 포함된 착신번호에 대한 서비스 등록 여부를 조회하여 서비스 등록 상태를 확인하고, 해당 착신 가입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조회하여 해당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제공부(120)는 상기 착신 가입자에 대응하여 컨텐츠가 자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며, 해당 컨텐츠의 접속정보만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접속정보를 토대로 컨텐츠를 취득하여 제공하게 된다. 한편, 서비스제공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공되는 부가 컨텐츠에 매핑된 추가 컨텐츠 요청이 수신될 경우, 서비스서버(200)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취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제공부(120)는 음성 호 연결 상태가 확인되거나, 음성 호 연결 이후 발신자가 음성 통화를 시도할 경우 상기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제공부(120)는 상기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 이후,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연결 상태가 확인되거나, 음성 호 연결 이후 발신자의 음성 통화 시도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단말운영부(110)는 예컨대, 탑재된 근접센서를 통해 발신자가 단말장치를 귀에 가까이 가져간 상태가 확인되거나, 발신자의 음성 입력이 확인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서비스제공부(120)로 하여금 발신자의 음성 통화 시도 즉, 사용자의 통화 의지를 확인시키게 된다. 이에, 서비스제공부(120)는 상기 사용자의 통화 의지 확인에 대응하여 동작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고,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부가 컨텐츠를 대신해 호 처리와 관련하여 단말운영부(110)에서 자체 제공되는 통화화면(키패드, 스피커 기능, 소리 끔 등 부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단말운영부(110)에서 제공되는 통화 관련 기능 예컨대, 버튼 입력, 메모, 스피커 전화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성 호 착신 동작에 대응하여 단말장치(100)의 구성적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서비스제공부(120)는 발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를 등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제공부(120)는 발신 단말장치(300)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 예컨대, 영상 정보, 이미지, 및 문구(Text) 등을 등록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제공부(120)는 부가 컨텐츠 등록 시, 해당 컨텐츠 원본을 등록하거나, 또는 부가 컨텐츠의 접속정보(예: URL)을 등록시켜, 부가 컨텐츠 제공 시 상기 접속된 접속정보를 토대로 해당 컨텐츠에 접속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단말운영부(110)는 단말장치(10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운영부(110)는 단말장치(100)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함으로써, 해당 이벤트 신호를 플랫폼을 통해 서비스제공부(120)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운영부(110)는 감지된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발신번호를 포함하는 이벤트신호를 플랫폼에 전달하게 되며, 이와 같이 플랫폼에 전달된 이벤트신호는 서비스제공부(120)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전달되게 된다. 다시 말해, 서비스제공부(120)가 활성화(구동) 상태일 경우, 플랫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운영체제(OS)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자체 획득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상기 서비스제공부(120)가 비 활성화(미 구동) 상태일 경우 상기 플랫폼이 단말운영부(110)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서비스제공부(120)에 전달하여 상기 서비스제공부(120)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서비스제공부(120)로 하여금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를 인지시키게 된다.
나아가, 서비스제공부(120)는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가 확인될 경우, 음성 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제공부(120)는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가 확인될 경우, 이벤트신호에 포함된 발신번호에 대한 서비스 등록 여부를 조회하여 서비스 등록 상태를 확인하고, 해당 발신 가입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조회하여 해당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제공부(120)는 상기 발신 가입자에 대응하여 컨텐츠가 자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며, 해당 컨텐츠의 접속정보만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접속정보를 토대로 컨텐츠를 취득하여 제공하게 된다. 한편, 서비스제공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공되는 부가 컨텐츠에 매핑된 추가 컨텐츠 요청이 수신될 경우, 서비스서버(200)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취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제공부(120)는 음성 호 연결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제공부(120)는 상기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 이후,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연결 상태가 확인될 경우,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단말운영부(110)는 음성 호 착신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통화 연결 버튼 입력이 확인될 경우, 해당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서비스제공부(120)으로 하여금 음성 호 연결 상태를 확인시키게 된다. 이에, 서비스제공부(120)은 상기 음성 호 연결 상태 확인에 따라 동작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고,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부가 컨텐츠를 대신해 호 처리와 관련하여 단말운영부(110)에서 자체 제공되는 통화화면(키패드, 스피커 기능, 소리 끔 등 부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단말운영부(100)에서 제공되는 통화 관련 기능 예컨대, 버튼 입력, 메모, 스피커 전화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음성 호 종료 동작에 대응하는 단말장치(100)의 구성적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서비스제공부(120)는 발신자/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를 등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제공부(120)는 통화 연결 상대방 즉 발신/착신 단말장치(300)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 예컨대, 영상 정보, 이미지, 및 문구(Text) 등을 등록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제공부(120)는 부가 컨텐츠 등록 시, 해당 컨텐츠 원본을 등록하거나, 또는 부가 컨텐츠의 접속정보(예: URL)을 등록시켜, 부가 컨텐츠 제공 시 상기 접속된 접속정보를 토대로 해당 컨텐츠에 접속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단말운영부(110)는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운영부(110)는 단말장치(100)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음성 호 연결 상태에서 음성 호 종료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된 음성 호 종료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함으로써, 해당 이벤트 신호를 플랫폼을 통해 상기 서비스제공부(120)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단말운영부(110)는 감지된 음성 호 종료 상태 따라 상대방번호를 포함하는 이벤트신호를 플랫폼에 전달하게 되며, 이와 같이 플랫폼에 전달된 이벤트신호는 서비스제공부(120)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전달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서비스제공부(120)가 활성화(구동) 상태일 경우, 플랫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운영체제(OS)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자체 획득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상기 서비스제공부(120)가 비 활성화(미 구동) 상태일 경우 상기 플랫폼이 단말운영부(120)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서비스제공부(120)에 전달하여 상기 서비스제공부(120)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서비스제공부(120)으로 하여금 음성 호 종료 상태를 인지시키게 된다.
나아가, 서비스제공부(120)는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종료 상태 상태가 확인될 경우, 음성 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제공부(120)는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종료 상태가 확인될 경우, 이벤트신호에 포함된 상대방번호에 대한 서비스 등록 여부를 조회하여 서비스 등록 상태를 확인하고, 해당 가입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조회하여 해당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제공부(120)는 상기 상대방 가입자에 대응하여 컨텐츠가 자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며, 해당 컨텐츠의 접속정보만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접속정보를 토대로 컨텐츠를 취득하여 제공하게 된다. 한편, 서비스제공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공되는 부가 컨텐츠에 매핑된 추가 컨텐츠 요청이 수신될 경우, 서비스서버(200)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취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단문메시지 수신 동작에 대응하는 단말장치(100)의 구성적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장치(100)는 발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를 등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제공부(120)는 발신 단말장치(300)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 예컨대, 영상 정보, 이미지, 및 문구(Text) 등을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등록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제공부(120)는 부가 컨텐츠 등록 시, 해당 컨텐츠 원본을 등록하거나, 또는 부가 컨텐츠의 접속정보(예: URL)을 등록시켜, 부가 컨텐츠 제공 시 상기 접속된 접속정보를 토대로 해당 컨텐츠에 접속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단말운영부(110)는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운영부(110)는 단말장치(100)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단문메시지(SMS) 수신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단문메시지 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함으로써, 해당 이벤트 신호를 플랫폼을 통해 상기 서비스제공부(120)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단말운영부(110)는 감지된 단문메시지 수신 상태에 따라 발신번호를 포함하는 이벤트신호를 플랫폼에 전달하게 되며, 이와 같이 플랫폼에 전달된 이벤트신호는 서비스제공부(120)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전달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서비스제공부(120)가 활성화(구동) 상태일 경우, 플랫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단말운영부(110)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자체 획득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서비스제공부(120)가 비 활성화(미 구동) 상태일 경우 상기 플랫폼이 단말운영부(110)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서비스제공부(120)에 전달하여 상기 서비스제공부(120)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서비스제공부(120)로 하여금 단문메시지 수신 상태를 인지시키게 된다.
나아가, 서비스제공부(120)는 이벤트신호를 통해 단문메시지 수신 상태가 확인될 경우,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제공부(120)는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단문메시지 수신 상태가 확인될 경우, 이벤트신호에 포함된 발신번호에 대한 서비스 등록 여부를 조회하여 서비스 등록 상태를 확인하고, 해당 발신 가입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조회하여 해당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제공부(120)는 상기 발신 가입자에 대응하여 컨텐츠가 자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며, 해당 컨텐츠의 접속정보만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접속정보를 토대로 컨텐츠를 취득하여 제공하게 된다. 한편, 서비스제공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공되는 부가 컨텐츠에 매핑된 추가 컨텐츠 요청이 수신될 경우, 서비스서버(200)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취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 처리 부가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와의 연동을 통해 호 처리 상태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여 발/착신 자를 대상으로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통신사의 개입 없이도 편리하게 통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이용자는 발 착신 시 통화 연결 전에 서비스 등록을 통하여 인증된 발/착신 상대방의 이미지를 미리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발신 상대방의 신분을 신뢰하고 이들이 제공하는 정보를 의심 없이 이용할 수 있어 각종 보이스 피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음성 통화 연결 상태 또는 사용자의 통화 의지가 확인될 경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부가 컨텐츠를 대신해 호 처리와 관련하여 운영체제에서 자체 제공되는 통화화면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음성 통화를 이용하려는 사용자에게 전혀 지장을 주지 않은 상태에서 다양한 형태의 부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이용률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콜센터의 경우 통화 종료 직후에 단말장치의 화면을 통하여 고객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참여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부가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 호 발신 동작에 대응하는 호 처리 부가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말장치(100)가 서비스서버(200)로부터 착신 단말장치(300)가 신규 등록한 부가 컨텐츠를 제공받는다(S1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부가 컨텐츠 제공을 위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과정에서 서비스서버(200)로부터 착신 단말장치(300)가 신규 등록한 부가 컨텐츠를 전달받게 된다.
그리고 나서, 단말장치(100)가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를 등록한다(S2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착신 단말장치(300)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 예컨대, 영상 정보, 이미지, 및 문구(Text) 등을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등록하게 된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부가 컨텐츠 등록 시, 해당 컨텐츠 원본을 등록하거나, 또는 부가 컨텐츠의 접속정보(예: URL)을 등록시켜, 부가 컨텐츠 제공 시 상기 접속된 접속정보를 토대로 해당 컨텐츠에 접속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그런 다음, 단말장치(100)가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한다(S30-S5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운영체제(OS)를 통해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함으로써, 해당 이벤트 신호를 플랫폼을 통해 상기 부가 컨텐츠 제공을 위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운영체제(OS)는 감지된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착신번호를 포함하는 이벤트신호를 플랫폼에 전달하게 되며, 이와 같이 플랫폼에 전달된 이벤트신호는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전달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구동) 상태일 경우, 플랫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운영체제(OS)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자체 획득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비 활성화(미 구동) 상태일 경우, 상기 플랫폼이 운영체제(OS)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어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를 인지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단말장치(100)가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가 확인될 경우, 음성 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한다(S60-S8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가 확인될 경우, 이벤트신호에 포함된 착신번호에 대한 서비스 등록 여부를 조회하여 서비스 등록 상태를 확인하고, 해당 착신 가입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조회하여 해당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0)는 상기 착신 가입자에 대응하여 컨텐츠가 자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며, 해당 컨텐츠의 접속정보만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접속정보를 토대로 컨텐츠를 취득하여 제공하게 된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공되는 부가 컨텐츠에 매핑된 추가 컨텐츠 요청이 수신될 경우, 서비스서버(200)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취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90-S120).
이후, 단말장치(100)는 음성 호 연결 상태가 확인되거나, 음성 호 연결 이후 발신자가 음성 통화를 시도할 경우 상기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한다(S130-S15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상기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 이후,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연결 상태가 확인되거나, 음성 호 연결 이후 발신자의 음성 통화 시도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운영체제(OS)는 예컨대, 탑재된 근접센서를 통해 발신자가 단말장치를 귀에 가까이 가져간 상태가 확인되거나, 발신자의 음성 입력이 확인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발신자의 음성 통화 시도 즉, 사용자의 통화 의지를 확인시키게 된다. 이에,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의 통화 의지 확인에 대응하여 동작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고,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부가 컨텐츠를 대신해 호 처리와 관련하여 운영체제(OS)에서 자체 제공되는 통화화면(키패드, 스피커 기능, 소리 끔 등 부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운영체제(OS)에서 제공되는 통화 관련 기능 예컨대, 버튼 입력, 메모, 스피커 전화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성 호 착신 동작에 대응하는 호 처리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말장치(100)가 서비스서버(200)로부터 발신 단말장치(300)가 신규 등록한 부가 컨텐츠를 제공받는다(S11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부가 컨텐츠 제공을 위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과정에서 서비스서버(200)로부터 발신 단말장치(300)가 신규 등록한 부가 컨텐츠를 전달받게 된다.
그리고 나서, 단말장치(100)가 발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를 등록한다(S22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발신 단말장치(300)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 예컨대, 영상 정보, 이미지, 및 문구(Text) 등을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등록하게 된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부가 컨텐츠 등록 시, 해당 컨텐츠 원본을 등록하거나, 또는 부가 컨텐츠의 접속정보(예: URL)을 등록시켜, 부가 컨텐츠 제공 시 상기 접속된 접속정보를 토대로 해당 컨텐츠에 접속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그런 다음, 단말장치(100)가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한다(S230-S25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운영체제(OS)를 통해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함으로써, 해당 이벤트 신호를 플랫폼을 통해 상기 부가 컨텐츠 제공을 위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운영체제(OS)는 감지된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에 따라 발신번호를 포함하는 이벤트신호를 플랫폼에 전달하게 되며, 이와 같이 플랫폼에 전달된 이벤트신호는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전달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구동) 상태일 경우, 플랫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운영체제(OS)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자체 획득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비 활성화(미 구동) 상태일 경우, 상기 플랫폼이 운영체제(OS)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어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를 인지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단말장치(100)가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가 확인될 경우, 음성 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한다(S260-S28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가 확인될 경우, 이벤트신호에 포함된 발신번호에 대한 서비스 등록 여부를 조회하여 서비스 등록 상태를 확인하고, 해당 발신 가입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조회하여 해당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0)는 상기 발신 가입자에 대응하여 컨텐츠가 자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며, 해당 컨텐츠의 접속정보만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접속정보를 토대로 컨텐츠를 취득하여 제공하게 된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공되는 부가 컨텐츠에 매핑된 추가 컨텐츠 요청이 수신될 경우, 서비스서버(200)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취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290-S320).
이후, 단말장치(100)는 음성 호 연결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한다(S330-S35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상기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 이후,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연결 상태가 확인될 경우,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운영체제(OS)는 음성 호 착신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통화 연결 버튼 입력이 확인될 경우, 해당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음성 호 연결 상태를 확인시키게 된다. 이에,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음성 호 연결 상태 확인에 따라 동작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고,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부가 컨텐츠를 대신해 호 처리와 관련하여 운영체제(OS)에서 자체 제공되는 통화화면(키패드, 스피커 기능, 소리 끔 등 부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운영체제(OS)에서 제공되는 통화 관련 기능 예컨대, 버튼 입력, 메모, 스피커 전화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음성 호 종료 동작에 대응하는 호 처리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말장치(100)가 서비스서버(200)로부터 발신/착신 단말장치(300)가 신규 등록한 부가 컨텐츠를 제공받는다(S41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부가 컨텐츠 제공을 위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과정에서 서비스서버(200)로부터 통화 연결 상대방 즉 발신/착신 단말장치(300)가 신규 등록한 부가 컨텐츠를 전달받게 된다.
그리고 나서, 단말장치(100)는 발신자/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를 등록한다(S42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통화 연결 상대방인 발신/착신 단말장치(300)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 예컨대, 영상 정보, 이미지, 및 문구(Text) 등을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등록하게 된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부가 컨텐츠 등록 시, 해당 컨텐츠 원본을 등록하거나, 또는 부가 컨텐츠의 접속정보(예: URL)을 등록시켜, 부가 컨텐츠 제공 시 상기 접속된 접속정보를 토대로 해당 컨텐츠에 접속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그런 다음, 단말장치(100)가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한다(S430-S45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운영체제(OS)를 통해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음성 호 연결 상태에서 음성 호 종료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된 음성 호 종료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함으로써, 해당 이벤트 신호를 플랫폼을 통해 상기 부가 컨텐츠 제공을 위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운영체제(OS)는 감지된 음성 호 종료 상태 따라 상대방번호를 포함하는 이벤트신호를 플랫폼에 전달하게 되며, 이와 같이 플랫폼에 전달된 이벤트신호는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전달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구동) 상태일 경우, 플랫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운영체제(OS)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자체 획득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비 활성화(미 구동) 상태일 경우, 상기 플랫폼이 운영체제(OS)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어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음성 호 종료 상태를 인지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단말장치(100)가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종료 상태가 확인될 경우, 음성 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한다(S460-S48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음성 호 종료 상태가 확인될 경우, 이벤트신호에 포함된 상대방번호에 대한 서비스 등록 여부를 조회하여 서비스 등록 상태를 확인하고, 해당 가입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조회하여 해당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0)는 상기 상대방 가입자에 대응하여 컨텐츠가 자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며, 해당 컨텐츠의 접속정보만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접속정보를 토대로 컨텐츠를 취득하여 제공하게 된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공되는 부가 컨텐츠에 매핑된 추가 컨텐츠 요청이 수신될 경우, 서비스서버(200)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취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490-S520).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단문메시지 수신 동작에 대응하는 호 처리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말장치(100)가 서비스서버(200)로부터 발신 단말장치(300)가 신규 등록한 부가 컨텐츠를 제공받는다(S61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부가 컨텐츠 제공을 위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과정에서 서비스서버(200)로부터 발신 단말장치(300)가 신규 등록한 부가 컨텐츠를 전달받게 된다.
그리고 나서, 단말장치(100)가 발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를 등록한다(S62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발신 단말장치(300)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 예컨대, 영상 정보, 이미지, 및 문구(Text) 등을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등록하게 된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부가 컨텐츠 등록 시, 해당 컨텐츠 원본을 등록하거나, 또는 부가 컨텐츠의 접속정보(예: URL)을 등록시켜, 부가 컨텐츠 제공 시 상기 접속된 접속정보를 토대로 해당 컨텐츠에 접속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그런 다음, 단말장치(100)가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한다(S630-S65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운영체제(OS)를 통해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단문메시지(SMS) 수신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단문메시지 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함으로써, 해당 이벤트 신호를 플랫폼을 통해 상기 부가 컨텐츠 제공을 위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운영체제(OS)는 감지된 단문메시지 수신 상태에 따라 발신번호를 포함하는 이벤트신호를 플랫폼에 전달하게 되며, 이와 같이 플랫폼에 전달된 이벤트신호는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전달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구동) 상태일 경우, 플랫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운영체제(OS)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자체 획득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비 활성화(미 구동) 상태일 경우, 상기 플랫폼이 운영체제(OS)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어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단문메시지 수신 상태를 인지시키게 된다.
이후, 단말장치(100)가 이벤트신호를 통해 단문메시지 수신 상태가 확인될 경우,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한다(S660-S68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단문메시지 수신 상태가 확인될 경우, 이벤트신호에 포함된 발신번호에 대한 서비스 등록 여부를 조회하여 서비스 등록 상태를 확인하고, 해당 발신 가입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조회하여 해당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0)는 상기 발신 가입자에 대응하여 컨텐츠가 자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며, 해당 컨텐츠의 접속정보만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접속정보를 토대로 컨텐츠를 취득하여 제공하게 된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공되는 부가 컨텐츠에 매핑된 추가 컨텐츠 요청이 수신될 경우, 서비스서버(200)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취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690-S720).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 호 발신 동작에 대응하는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말장치(100)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를 감지한다(S810-S820).
바람직하게는, 단말운영부(110)는 단말장치(100)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함으로써, 해당 이벤트 신호를 플랫폼을 통해 서비스제공부(120)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운영부(110)는 감지된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착신번호를 포함하는 이벤트신호를 플랫폼에 전달하게 되며, 이와 같이 플랫폼에 전달된 이벤트신호는 서비스제공부(120)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전달되게 된다. 다시 말해, 서비스제공부(120)가 활성화(구동) 상태일 경우, 플랫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운영체제(OS)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자체 획득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상기 서비스제공부(120)가 비 활성화(미 구동) 상태일 경우, 상기 플랫폼이 단말운영부(110)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서비스제공부(120)에 전달하여 상기 서비스제공부(120)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서비스제공부(120)로 하여금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를 인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나서,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가 확인될 경우, 음성 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한다(S830-S850).
바람직하게는, 서비스제공부(120)는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가 확인될 경우, 이벤트신호에 포함된 착신번호에 대한 서비스 등록 여부를 조회하여 서비스 등록 상태를 확인하고, 해당 착신 가입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조회하여 해당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제공부(120)는 상기 착신 가입자에 대응하여 컨텐츠가 자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며, 해당 컨텐츠의 접속정보만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접속정보를 토대로 컨텐츠를 취득하여 제공하게 된다.
이후, 음성 호 연결 상태가 확인되거나, 음성 호 연결 이후 발신자가 음성 통화를 시도할 경우 상기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한다(S860-S880).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제공부(120)는 상기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 이후,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연결 상태가 확인되거나, 음성 호 연결 이후 발신자의 음성 통화 시도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단말운영부(110)는 예컨대, 탑재된 근접센서를 통해 발신자가 단말장치를 귀에 가까이 가져간 상태가 확인되거나, 발신자의 음성 입력이 확인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서비스제공부(120)로 하여금 발신자의 음성 통화 시도 즉, 사용자의 통화 의지를 확인시키게 된다. 이에, 서비스제공부(120)는 상기 사용자의 통화 의지 확인에 대응하여 동작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고,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부가 컨텐츠를 대신해 호 처리와 관련하여 단말운영부(110)에서 자체 제공되는 통화화면(키패드, 스피커 기능, 소리 끔 등 부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단말운영부(110)에서 제공되는 통화 관련 기능 예컨대, 버튼 입력, 메모, 스피커 전화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성 호 착신 동작에 대응하는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말장치(100)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음성 호 수신 시도 상태를 감지한다(S910-S920).
바람직하게는, 단말운영부(110)는 단말장치(100)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함으로써, 해당 이벤트 신호를 플랫폼을 통해 서비스제공부(120)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운영부(110)는 감지된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발신번호를 포함하는 이벤트신호를 플랫폼에 전달하게 되며, 이와 같이 플랫폼에 전달된 이벤트신호는 서비스제공부(120)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전달되게 된다. 다시 말해, 서비스제공부(120)가 활성화(구동) 상태일 경우, 플랫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운영체제(OS)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자체 획득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상기 서비스제공부(120)가 비 활성화(미 구동) 상태일 경우 상기 플랫폼이 단말운영부(110)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서비스제공부(120)에 전달하여 상기 서비스제공부(120)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서비스제공부(120)로 하여금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를 인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나서,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가 확인될 경우, 음성 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한다(S930-S950).
바람직하게는, 서비스제공부(120)는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가 확인될 경우, 이벤트신호에 포함된 발신번호에 대한 서비스 등록 여부를 조회하여 서비스 등록 상태를 확인하고, 해당 발신 가입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조회하여 해당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제공부(120)는 상기 발신 가입자에 대응하여 컨텐츠가 자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며, 해당 컨텐츠의 접속정보만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접속정보를 토대로 컨텐츠를 취득하여 제공하게 된다.
이후, 음성 호 연결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한다(S960-S980).
바람직하게는, 서비스제공부(120)는 상기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 이후,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연결 상태가 확인될 경우,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단말운영부(110)는 음성 호 착신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통화 연결 버튼 입력이 확인될 경우, 해당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서비스제공부(120)으로 하여금 음성 호 연결 상태를 확인시키게 된다. 이에, 서비스제공부(120)은 상기 음성 호 연결 상태 확인에 따라 동작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고,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부가 컨텐츠를 대신해 호 처리와 관련하여 단말운영부(110)에서 자체 제공되는 통화화면(키패드, 스피커 기능, 소리 끔 등 부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단말운영부(100)에서 제공되는 통화 관련 기능 예컨대, 버튼 입력, 메모, 스피커 전화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음성 호 종료 동작에 대응하는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음성 호 종료 상태를 감지한다(S1010-S1030).
바람직하게는, 단말운영부(110)는 단말장치(100)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음성 호 연결 상태에서 음성 호 종료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된 음성 호 종료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함으로써, 해당 이벤트 신호를 플랫폼을 통해 상기 서비스제공부(120)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단말운영부(110)는 감지된 음성 호 종료 상태 따라 상대방번호를 포함하는 이벤트신호를 플랫폼에 전달하게 되며, 이와 같이 플랫폼에 전달된 이벤트신호는 서비스제공부(120)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전달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서비스제공부(120)가 활성화(구동) 상태일 경우, 플랫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운영체제(OS)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자체 획득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상기 서비스제공부(120)가 비 활성화(미 구동) 상태일 경우 상기 플랫폼이 단말운영부(120)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서비스제공부(120)에 전달하여 상기 서비스제공부(120)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서비스제공부(120)으로 하여금 음성 호 종료 상태를 인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나서,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종료 상태가 확인될 경우, 음성 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한다(S1040-S1060).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제공부(120)는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종료 상태가 확인될 경우, 이벤트신호에 포함된 상대방번호에 대한 서비스 등록 여부를 조회하여 서비스 등록 상태를 확인하고, 해당 가입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조회하여 해당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제공부(120)는 상기 상대방 가입자에 대응하여 컨텐츠가 자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며, 해당 컨텐츠의 접속정보만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접속정보를 토대로 컨텐츠를 취득하여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단문메시지 수신 동작에 대응하는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단문메시지 수신 상태를 확인한다(S1110-S1120).
바람직하게는, 단말운영부(110)는 단말장치(100)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단문메시지(SMS) 수신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단문메시지 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함으로써, 해당 이벤트 신호를 플랫폼을 통해 상기 서비스제공부(120)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단말운영부(110)는 감지된 단문메시지 수신 상태에 따라 발신번호를 포함하는 이벤트신호를 플랫폼에 전달하게 되며, 이와 같이 플랫폼에 전달된 이벤트신호는 서비스제공부(120)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전달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서비스제공부(120)가 활성화(구동) 상태일 경우, 플랫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단말운영부(110)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자체 획득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서비스제공부(120)가 비 활성화(미 구동) 상태일 경우 상기 플랫폼이 단말운영부(110)로부터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서비스제공부(120)에 전달하여 상기 서비스제공부(120)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서비스제공부(120)로 하여금 단문메시지 수신 상태를 인지시키게 된다.
이후, 이벤트신호를 통해 단문메시지 수신 상태가 확인될 경우,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한다(S1130-S1150).
바람직하게는, 서비스제공부(120)는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단문메시지 수신 상태가 확인될 경우, 이벤트신호에 포함된 발신번호에 대한 서비스 등록 여부를 조회하여 서비스 등록 상태를 확인하고, 해당 발신 가입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조회하여 해당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제공부(120)는 상기 발신 가입자에 대응하여 컨텐츠가 자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며, 해당 컨텐츠의 접속정보만이 등록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접속정보를 토대로 컨텐츠를 취득하여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 처리 부가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와의 연동을 통해 호 처리 상태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여 발/착신 자를 대상으로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통신사의 개입 없이도 편리하게 통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이용자는 발 착신 시 통화 연결 전에 서비스 등록을 통하여 인증된 발/착신 상대방의 이미지를 미리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발신 상대방의 신분을 신뢰하고 이들이 제공하는 정보를 의심 없이 이용할 수 있어 각종 보이스 피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음성 통화 연결 상태 또는 사용자의 통화 의지가 확인될 경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부가 컨텐츠를 대신해 호 처리와 관련하여 운영체제에서 자체 제공되는 통화화면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음성 통화를 이용하려는 사용자에게 전혀 지장을 주지 않은 상태에서 다양한 형태의 부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이용률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콜센터의 경우 통화 종료 직후에 단말장치의 화면을 통하여 고객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참여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호 처리 부가 서비스 제공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와의 연동을 통해 호 처리 상태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여 발/착신 자를 대상으로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단말장치
110: 단말운영부 120: 서비스제공부
200: 서비스서버
300: 발신/착신 단말장치

Claims (22)

  1. 단말장치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제공하는 단말운영부; 및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 및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음성 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상기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 및 상기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음성 호의 발신자 식별정보 또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 및 상기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가 제공될 경우, 동작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음성 호의 발신자 식별정보 또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 이후,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연결 상태가 확인될 경우 또는 상기 음성 호 연결 이후 발신자가 음성 통화를 시도하는 것이 확인될 경우, 동작 상태를 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단말장치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제공하는 단말운영부; 및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 및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음성 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상기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 및 상기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음성 호의 발신자 식별정보 또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단문메시지 착신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단문메시지의 발신자 식별정보 또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 및 상기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가 착신될 경우, 동작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음성 호의 발신자 식별정보 또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 이후,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연결 상태가 확인될 경우, 동작 상태를 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0. 단말장치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하는 이벤트신호발생단계;
    상기 이벤트신호에 대응하는 단말장치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확인단계; 및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 및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음성 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단계는,
    상기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 및 상기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음성 호의 발신자 식별정보 또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단계는,
    상기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 및 상기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가 발생될 경우, 동작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음성 호의 발신자 식별정보 또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 이후,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연결 상태가 확인될 경우 또는 상기 음성 호 연결 이후 발신자가 음성 통화를 시도하는 것이 확인될 경우, 동작 상태를 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는 서비스중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4. 단말장치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하는 이벤트신호발생단계;
    상기 이벤트신호에 대응하는 단말장치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확인단계; 및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 및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음성 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단계는,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상기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 및 상기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음성 호의 발신자 식별정보 또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단계는,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단문메시지 착신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단문메시지의 발신자 식별정보 또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단계는,
    상기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 및 상기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 대응하는 이벤트신호가 발생될 경우, 동작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음성 호의 발신자 식별정보 또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 이후,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연결 상태가 확인될 경우, 동작 상태를 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는 서비스중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9. 단말장치의 현재 상태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이벤트신호를 확인하는 이벤트신호확인단계;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 및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확인단계; 및
    상기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 및 상기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 확인에 따라, 상기 음성 호의 발신자 식별정보 또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상기 음성 호 발신 시도 상태 이후,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연결 상태가 확인될 경우 또는 상기 음성 호 연결 이후 발신자가 음성 통화를 시도하는 것이 확인될 경우, 동작 상태를 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는 서비스중지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21. 단말장치의 현재 상태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이벤트신호를 확인하는 이벤트신호확인단계;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 및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확인단계; 및
    상기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 및 상기 음성 호 종료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 확인에 따라, 상기 음성 호의 발신자 식별정보 또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상기 음성 호 착신 시도 상태 이후, 상기 이벤트신호를 통해 음성 호 연결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부가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는 서비스중지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10101798A 2011-10-06 2011-10-06 호 처리 부가 서비스 제공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369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798A KR101369981B1 (ko) 2011-10-06 2011-10-06 호 처리 부가 서비스 제공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CT/KR2012/007739 WO2013051811A1 (ko) 2011-10-06 2012-09-26 호 처리 부가 서비스 제공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4/349,847 US8938056B2 (en) 2011-10-06 2012-09-26 Terminal equipment for providing an additional call processing ser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CN201280055606.4A CN103931167B (zh) 2011-10-06 2012-09-26 用于提供额外呼叫处理业务的终端设备及其操作方法
JP2014534465A JP2014533456A (ja) 2011-10-06 2012-09-26 付加的な呼び出し処理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ターミナル機器、及びそれを操作する方法、呼び出し処理補助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ターミナル・デバイス及びその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798A KR101369981B1 (ko) 2011-10-06 2011-10-06 호 처리 부가 서비스 제공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406A true KR20130037406A (ko) 2013-04-16
KR101369981B1 KR101369981B1 (ko) 2014-03-24

Family

ID=48043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798A KR101369981B1 (ko) 2011-10-06 2011-10-06 호 처리 부가 서비스 제공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38056B2 (ko)
JP (1) JP2014533456A (ko)
KR (1) KR101369981B1 (ko)
CN (1) CN103931167B (ko)
WO (1) WO20130518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39261B2 (en) * 2013-12-04 2017-05-02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uspended stat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1133A (ja) 1995-03-14 1996-09-27 Hitachi Ltd 帯域多重化装置および帯域多重化システム
SE517033C2 (sv) * 1995-12-08 2002-04-02 Ericsson Telefon Ab L M Systemplattform för kommunikationssystem
JP3262526B2 (ja) * 1998-01-30 2002-03-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話装置
JP2000022811A (ja) * 1998-06-29 2000-01-21 Nec Commun Syst Ltd 移動通信端末へのメッセージ表示システム
CN1327692A (zh) 1998-08-17 2001-12-19 艾里斯通讯公司 根据记帐帐户的状况传送无线网中语音或数据的方法
JP4139031B2 (ja) * 1999-12-27 2008-08-27 富士通株式会社 通話者情報表示方式
JP2001209718A (ja) * 2000-01-24 2001-08-03 Soriton Syst:Kk 予約の確保と解除の方法
JP3552663B2 (ja) 2000-10-31 2004-08-11 株式会社デンソー 携帯電話の表示方法および携帯電話
JP2002142002A (ja) * 2000-10-31 2002-05-1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4412920B2 (ja) * 2003-05-30 2010-02-10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通信方法、通信アプリケーション、及び移動体端末装置
KR20060108988A (ko) 2005-04-14 2006-10-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플랫폼 계층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
JP4944415B2 (ja) * 2005-09-14 2012-05-30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プレゼンスサーバ及びそれらに用いる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
KR20050122177A (ko) 2005-11-11 2005-12-28 송준열 통화대기 시간 동안 발신자 통신미디어에 발신자가 설정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4503553B2 (ja) * 2006-04-06 2010-07-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4962866B2 (ja) 2007-12-18 2012-06-27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00061896A (ko) 2008-12-01 2010-06-10 (주)스트라스타 단말에서의 대기시간을 활용한 컨텐츠의 출력 및 재생 시스템
JP2010183205A (ja) 2009-02-03 2010-08-19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通話システム
JP2011077909A (ja) * 2009-09-30 2011-04-14 Fujitsu Toshiba Mobile Communications Ltd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のメール送信支援方法
KR20110063297A (ko) 2009-12-02 2011-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1119966A (ja) 2009-12-03 2011-06-16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無線通信システム
CN102104936B (zh) * 2009-12-18 2014-11-05 联想(北京)有限公司 系统状态切换方法及便携终端
KR101134774B1 (ko) 2009-12-30 2012-04-19 김용진 음성호 연결중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
JP5295147B2 (ja) * 2010-02-12 2013-09-18 京セラ株式会社 通信端末
WO2012092677A1 (en) * 2011-01-06 2012-07-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Delivery and management of status notifications for group messaging
WO2012092679A1 (en) * 2011-01-06 2012-07-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Delivery and management of status notifications for multiple message forma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51811A1 (ko) 2013-04-11
KR101369981B1 (ko) 2014-03-24
US20140254784A1 (en) 2014-09-11
US8938056B2 (en) 2015-01-20
CN103931167B (zh) 2015-12-02
CN103931167A (zh) 2014-07-16
JP2014533456A (ja) 2014-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6934B2 (en) Self-activation of user device
CN102859982A (zh) 在第一用户和第二用户之间建立呼叫
KR20130048887A (ko)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
US9743439B2 (en) Mobile devices having a common communication mode
KR20120079549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콜 택시 시스템
JP5628865B2 (ja) 発呼支援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KR20140133048A (ko) 배달 주문 서비스 시스템과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의 주문 서비스 방법
KR102135499B1 (ko) 메시지를 이용한 보이는 에이알에스 제공 방법
RU2009139308A (ru) Система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услуг абонентам мобильных телефонов (варианты)
KR101369981B1 (ko) 호 처리 부가 서비스 제공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2572145B (zh) 多模态电话呼叫
JP5916169B2 (ja) 通信を開始するためにモバイルデバイスをアクティブ化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2065405A (zh) 一种克隆移动用户的sim卡信息的识别方法和装置
KR20140140319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카드 전송방법
KR101936596B1 (ko) 데이터 망을 이용한 ar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9714750B (zh) 通话方法、装置、电子终端及介质
JP2018174407A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202304B (zh) 来电保护方法、msc及终端
KR20130054575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469243B1 (ko) 푸쉬 중개 시스템 및 단말
CN112492575B (zh) 执行路径的设置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KR20130112423A (ko) 착신 전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착신 전환 시스템에 포함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78937A (ko) 스마트 자동응답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 자동응답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1112971B1 (ko) 효율적인 삼자 통화 방식의 전화 걸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08590B1 (ko) Sip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sip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통신 접속 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