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4007A - 차양장치 - Google Patents

차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4007A
KR20130034007A KR1020127023594A KR20127023594A KR20130034007A KR 20130034007 A KR20130034007 A KR 20130034007A KR 1020127023594 A KR1020127023594 A KR 1020127023594A KR 20127023594 A KR20127023594 A KR 20127023594A KR 20130034007 A KR20130034007 A KR 20130034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hade
lead
pair
runners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이치로 하타
Original Assignee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4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0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60J1/2027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with a buckle-proof guided flexible actuating element acting on the draw bar for pushing or push-pulling, e.g. a Bowden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4Draw bars, including elements attached to it, e.g. sliding shoes, gripping elements or pull 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a roller situated at the bott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차양과, 기단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간격이 작아지도록 설치된 한 쌍의 레일과, 기단부측에 설치된 수납장치와, 차양의 인출측 단부를 지지하는 인출부재와, 인출부재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각각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한 쌍의 런너를 구비한다. 인출부재는 한 쌍의 런너가 한 쌍의 레일로 안내되어 이동됨에 따라, 차양의 폭 방향에 있어서 치수가 변화하도록 변형됨과 함께, 차양의 인출측 단부를 인출 수납 방향(P)으로 진퇴시켜, 차양의 인출상태에서 인출측 단부를 한 쌍의 런너로부터 인출측에 배치한다.

Description

차양장치{WINDOW SHADE DEVICE}
특허문헌 1에는, 차양(shade)의 인출상태에서도 빛이 차단되지 않고 들어오는 틈새를 가리기 위한 차양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창 롤러 블라인드는 일단에서 나사 감김식 샤프트에 고정된 롤러 블라인드와, 롤러 블라인드의 타단에 고정된 당김로드(pull rod) 조립부와, 당김로드 조립부를 인출로(引出路)를 따라 유도하는 유도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유도수단은 당김로드 조립부를, 정지위치에서 제1 회전위치로, 기능위치에서 제1 회전위치에 대하여 회전한 제2 회전위치로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당김로드 조립부 위에는, 기능위치에서 틈새가 거의 남아 있지 않도록 볼록한 형상으로 만곡된 끝을 갖는 성형판이 구비되어 있다.
차양장치에 있어서, 대상이 되는 창에 따라서는, 공간상의 형편 등에 의해 차양을 안내하는 레일의 설치에 제약이 있어서, 차양의 인출 수납 방향에서 창 전체를 차폐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7-126143호 공보
그러나, 성형판을 빛이 들어오는 틈새에 일치하는 자세로 자세 변경시키도록 당김로드 조립부를 회전시키는 것은 어렵고, 특허문헌 1에서는, 확실히 틈새를 가려 창 전체를 차폐하는 것은 곤란한 일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창 전체를 보다 확실히 차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는 창을 차폐하는 차양장치로서, 상기 창을 차폐 가능한 차양과, 기단부(基端部)로부터 선단부(先端部)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간격이 작아지도록 설치된 한 쌍의 레일과, 상기 한 쌍의 레일의 기단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차양이 인출 수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수납장치와, 상기 차양의 인출측 단부(端部)를 지지하고, 상기 차양의 폭 방향에 있어서 치수가 변화하도록 변형 가능함과 함께 상기 변형에 따라 상기 차양의 상기 인출측 단부를 인출 수납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인출부재와, 상기 인출부재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각각 상기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한 쌍의 런너(runner)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한 쌍의 런너가 상기 한 쌍의 레일로 안내되어 이동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레일의 간격을 따라 상기 차양의 폭 방향에 있어서 치수가 변화하도록 변형됨과 함께, 상기 차양의 상기 인출측 단부를 인출 수납 방향으로 진퇴시켜, 상기 차양의 인출상태에서, 상기 차양의 상기 인출측 단부를 상기 한 쌍의 런너로부터 인출측에 배치한다.
제2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는 제1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로서,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차양의 폭 방향에 있어서 치수가 작아지도록 변형하면, 상기 차양의 상기 인출측 단부를 인출 수납 방향 인출측으로 향하여 진출시키고, 상기 차양의 폭 방향에 있어서 치수가 커지도록 변형하면, 상기 차양의 상기 인출측 단부를 인출 수납 방향 수납측으로 향하여 퇴피시킨다.
제3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는 제1 또는 제2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로서, 상기 인출부재는 팬토그래프(pentograph) 형상의 링크기구이다.
제4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는 제3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로서, 상기 인출부재는 봉(棒)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링크부재가 상기 차양의 폭 방향으로 대각(對角)을 맞대어 늘어선 복수의 평행사변형을 형성하도록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링크부재끼리가 연결되는 연결부 중 상기 차양의 인출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의 위치에서, 상기 차양의 상기 인출측 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제5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는 제4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로서, 상기 차양은 상기 인출측 단부에 설치된 스테이(stay)를 갖고,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 중 일부 혹은 전부가 상기 스테이에 대하여 상기 차양의 폭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제6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는 제4 또는 5의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로서, 상기 인출부재와 상기 한 쌍의 런너의 연결부는 상기 차양의 인출 수납 방향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끼리가 연결되는 연결부 중 상기 차양의 수납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수납측 연결부에 대하여, 같은 위치 또는 수납측 위치에 위치한다.
제7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는 제3~제6 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로서, 상기 차양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를, 상기 차양의 인출 수납 방향으로 확대 변형시키도록 밀어붙이는 힘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제8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는 제1~제7 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로서, 상기 한 쌍의 런너를 상기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제1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에 의하면, 인출부재는 한 쌍의 레일의 간격을 따라 차양의 폭 방향에 있어서 치수가 변화하도록 변형됨에 따라, 차양의 인출측 단부를 인출 수납 방향으로 진퇴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양의 인출상태에서, 차양의 인출측 단부를 한 쌍의 런너로부터 인출측에 배치하기 때문에, 창 전체를 보다 확실히 차폐할 수 있다.
제2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에 의하면, 인출부재는 차양의 폭 방향에 있어서 치수가 작아지도록 변형하면, 차양의 인출측 단부를 인출 수납 방향으로 진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양의 인출상태에서는, 인출부재는 차양의 폭 방향에 있어서 치수가 작게 변화하도록 변형되고, 차양의 인출측 단부를 인출 수납 방향에 있어서 인출측으로 향하여 진출시킨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차양의 인출측 단부가 한 쌍의 런너로부터 인출측에 배치되어, 창 전체를 보다 확실히 차폐할 수 있다.
제3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에 의하면, 인출부재는 팬토그래프 형상의 링크기구이기 때문에, 한 쌍의 레일의 간격을 따라 차양의 폭 방향으로 확장 수축 변형됨에 따라, 인출 수납 방향으로 수축 확장 변형된다. 이 인출 수납 방향의 확장 수축 변형에 의해, 한 쌍의 런너가 한 쌍의 레일의 선단측으로 이동되면, 인출부재는 인출 수납 방향에 있어서 인출측으로 향하여 확대 변형되어, 차양의 인출측 단부를 한 쌍의 런너로부터 인출측에 배치할 수 있다.
제4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에 의하면, 인출부재는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의 위치에서 차양의 인출측 단부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차양의 인출 수납 방향에서의 확대 변형시에, 차양의 인출측 단부를 보다 인출측으로 인출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런너의 인출측 정지위치와 창의 단부 거리가 비교적 큰 경우에도, 창 전체를 차폐할 수 있다.
제5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에 의하면, 차양은 인출측 단부에 설치된 스테이를 갖고 있기 때문에, 늘어짐(sagging)을 억제하여 보다 안정되게 인출 수납된다. 또한, 인출부재가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 중 일부 혹은 전부가 스테이에 대하여 차양의 폭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차양의 폭 방향에서의 인출부재의 확장 수축 변형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제6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에 의하면, 인출부재와 한 쌍의 런너와의 연결부가 차양의 인출 수납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수납측 연결부에 대하여 같은 위치 또는 수납측 위치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한 쌍의 런너가 한 쌍의 레일의 선단측으로 이동되면, 인출부재가 확대 변형되어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가 한 쌍의 런너에 대하여 보다 인출측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차양의 인출측 단부를 한 쌍의 런너의 인출측 정지위치를 넘어서, 보다 인출측에 배치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런너의 인출측 정지위치와 창의 단부의 거리가 비교적 큰 경우에도, 창 전체를 보다 확실히 차폐할 수 있다.
제7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에 의하면, 탄성부재에 의해 인출부재가 인출 수납 방향으로 확대 변형하도록 밀어붙이기 때문에, 차양을 수납상태로부터 인출할 때에 필요한 힘이 및 그 힘에 의한 차양장치에 걸리는 부하를 작게 하여, 차양을 원활하게 인출 시작할 수 있다.
제8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에 의하면, 구동기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차양의 인출 수납 조작을 자동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차양의 수납상태의 차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차양의 인출상태의 차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인출부재 및 스테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 시시도(矢視圖)이다.
도 5는 차양의 인출 혹은 수납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따른 차양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차양장치의 구성>
차양장치(10)의 구성에 대하여,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차양장치(10)는 차양(20)에 의해 창(100)을 차폐하기 위한 장치이다.
차양장치(10)는 한 쌍의 레일(50a, 50b)로 안내되는 한 쌍의 런너(60a, 60b)가 연결된 인출부재(40)에 의해 차양(20)을 이동시켜서, 그 차양(20)을 수납장치(30)에 대하여 인출 수납함으로써, 창(100)을 차폐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이 차양장치(10)는 차양(20)을, 한 쌍의 레일(50a, 50b)로 안내되는 한 쌍의 런너(60a, 60b)를 넘어서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차양장치(10)는 예를 들면, 공간의 형편상, 한 쌍의 레일(50a, 50b)을 창(10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연장 설치할 수 없고, 혹은 한 쌍의 런너(60a, 60b)를 한 쌍의 레일(50a, 50b)의 선단부(52)측까지 이동할 수 없도록 하는 제약이 있는 경우 등에 의해 적합하다.
여기에서는, 차양장치(10)를 적용하는 창(100)이, 대향하는 단변(端邊)(102)과 장변(長邊)(104)을 갖는 등각대형(等角臺形)으로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인 예로 설명한다. 무엇보다, 본 차양장치(10)는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에 한정되지 않으며, 자동차의 사이드(사이드 도어) 윈도우, 자동차 이외의 창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등각대형 이외의 형상의 창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창(100)의 단변(102) 및 장변(104)이 뻗는 방향(도 1, 도 2의 좌우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 차양장치(10)는 차양(20)과, 수납장치(30)와, 인출부재(40)와, 한 쌍의 레일(50a, 50b)과, 한 쌍의 런너(60a, 60b)와, 구동기구(70)와, 탄성부재(80)를 구비하고 있다.
차양(20)은 대상이 되는 창(100)을 차폐 가능한 시트부(22)와, 시트부(22)의 일단부에 장착된 스테이(24)를 갖고 있다. 시트부(22)는 메쉬 형상 등의 포재(布材), 수지 시트 등을, 창(100)을 차폐 가능한 형상 및 크기로 재단, 봉제 등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시트부(22)는 창(100)의 형상에 대응하며, 창(100)보다 큰 대략 등각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24)는 수지재,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에 의해 형성된 기다란 봉(棒)형상 부재이며, 시트부(22)의 단변측 단부를 따라 장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테이(24)는 시트부(22)의 단변측 단부와 대략 같은 길이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24)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출부재(40)와의 연결용 구멍부분(24h)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차양(20)은 전체적으로도 등각대 형상이며, 스테이(24)가 설치되어 있는 단부를 인출측 단부(20a)라고 한다.
상기 차양(20)은 수납장치(30)에 대하여 인출 수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수납장치(30)는 권취 샤프트(32)와 권취 샤프트(32)를 축 둘레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34)를 갖고 있다. 그리고, 권취 샤프트(32)는 도시 생략한 코일 스프링 등에 의해 지지부(34)에 대하여 회전되게 밀어 붙여져 있다. 차양(20)은 권취 샤프트(32)에 대하여 인출측 단부(20a)의 반대측의 단부가 고정되어, 인출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의 회전 밀어붙이는 힘(rotational biasing force)에 의해 권취 샤프트(32)에 감긴 수납상태로 유지된다(도 1 참조). 그리고, 수납장치(30)에 수납된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에 설치된 스테이(24)를 인장(引張)하면, 수납장치(30)로부터 차양(20)이 인출된다(도 2 참조).
이 수납장치(30)는 창(100)의 장변(104)측(후술하는 한 쌍의 레일(50a, 50b)의 기단부(54)측)에 설치된다(도 1, 도 2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창(100)을 둘러싸는 내장재 중 장변(104)측(여기에서는,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의 하측)의 내장재의 내측에 설치되어, 그 바깥쪽으로부터 숨겨진 상태로 되어 있다. 수납장치(30)의 지지부(34)는 수납장치(30)를 설치하는 개소에 나사 고정 등에 의해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그리고, 차양(20)은 장변(104)측의 내장재에 형성되어 있는 통로를 통하여, 수납장치(30)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 쌍의 레일(50a, 50b)은 기다란 봉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안내홈부(56)를 갖고 있다. 이 한 쌍의 레일(50a, 50b)은 대상이 되는 창(100)의 측변(側邊)(106)을 따르는 직선 형상 혹은 곡선 형상(여기에서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부(56)는 후술하는 한 쌍의 런너(60a, 60b)를, 한 쌍의 레일(50a, 50b)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기단부(54)와 선단부(52) 사이로 안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내홈부(56)는 한 쌍의 런너(60a, 60b)의 일단부(62)를 수용 가능한 내부 공간을 가짐과 함께, 타단부(64)를 바깥쪽으로 연장하도록 개구되어 있다(도 4 참조). 여기에서는, 안내홈부(56)는 한 쌍의 런너(60a, 60b)의 일단부(62)보다 큰(여기에서는, 약간 큰) 단면(斷面) 형상을 가짐과 함께, 일단부(62)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폭이 좁게 개구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한 쌍의 레일(50a, 50b)은 서로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대상이 되는 창(100)에 따라, 다른 길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한 쌍의 레일(50a, 50b)은 기단부(54)로부터 선단부(52)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간격이 작아지도록 설치되어 있다(도 1, 도 2 참조). 수납장치(30)와의 관계에서는, 한 쌍의 레일(50a, 50b)의 기단부(54)측에 수납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대상이 되는 창(100)에 적용한 상태에서는, 각각, 창(100)의 각 측변(106)을 따라, 장변(104)측으로부터 단변(102)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간격이 작아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한 쌍의 레일(50a, 50b)은 창(100)의 형상에 대응하고, 단변(102)과 장변(104)에 직교하는 방향(차양(20)의 인출 수납 방향(P))에 대하여, 대략 같은 경사각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무엇보다, 한 쌍의 레일(50a, 50b)은 차양(20)의 인출 수납 방향(P)에 대하여, 각각 다른 경사각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한 쌍의 레일(50a, 50b)은 창(100)의 폭 방향과 인출 수납 방향(P)이 이루는 평면에 대략 평행한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한 쌍의 레일(50a, 50b)은 창(100)의 측변(106) 부분의 내장재의 내측에 설치되며, 창(100)과 겹쳐지지 않도록 숨겨진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한 쌍의 레일(50a, 50b)은 창(100)의 장변(104)측(장변(104)의 앞쪽)으로부터 단변(102)의 앞쪽까지밖에 연장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한다(도 1, 도 2 참조). 즉, 한 쌍의 레일(50a, 50b)은, 그 선단부(52)가 단변(102)으로부터 장변(104)측에 위치하고, 차양(20)의 인출 수납 방향(P)에 대하여 한 쌍의 런너(60a, 60b)를 단변(102) 위치까지 안내할 수 없는 형태이다.
한 쌍의 런너(60a, 60b)는 각각 한 쌍의 레일(50a, 50b)의 안내홈부(56) 내에 일단부(62)를 수용함과 함께 개구부로부터 타단부(64)를 연장시킨 상태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도 4 참조). 이 한 쌍의 런너(60a, 60b)의 타단부(64)에는, 인출부재(40)와의 연결용으로, 폭 방향과 인출 수납 방향(P)이 이루는 평면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부분(64h)이 형성되어 있다.
인출부재(40)는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를 지지하고,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런너(60a, 60b)에 연결되어 있다(도 1~도 4 참조). 여기에서는, 인출부재(40)는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에 설치된 스테이(24)를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인출부재(40)는, 한 쌍의 런너(60a, 60b)가 한 쌍의 레일(50a, 50b)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차양(20)의 인출 수납 방향(P)으로 이동하여, 차양(20)을 인출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한 쌍의 런너(60a, 60b)가 한 쌍의 레일(50a, 50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가장 선단부(52)측의 인출측 정지위치(여기에서는, 선단부(52))에 위치하고, 차양(20)이 거의 전량(全量) 인출된 상태를, 차양(20)의 인출상태라고 한다. 또한, 한 쌍의 런너(60a, 60b)가 한 쌍의 레일(50a, 50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가장 기단부(54)측의 수납측 정지위치(여기에서는, 기단부(54))에 위치하고, 차양(20)이 거의 전량 수납된 상태를, 차양(20)의 수납상태라고 한다.
한 쌍의 런너(60a, 60b)가 한 쌍의 레일(50a, 50b)을 따라 이동되면, 한 쌍의 런너(60a, 60b) 사이의 간격은 한 쌍의 레일(50a, 50b) 사이의 간격을 따라 크고 작아진다. 이에 대하여, 인출부재(40)는 차양(2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치수가 변화하도록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출부재(40)는 그 변형에 따라, 스테이(24)가 설치된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를, 인출 수납 방향(P)으로 진퇴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인출부재(40)는, 한 쌍의 런너(60a, 60b)가 한 쌍의 레일(50a, 50b)로 안내되어 이동됨에 따라, 한 쌍의 레일(50a, 50b)의 간격을 따라 차양(2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치수가 변화하도록 변형됨과 함께,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를 인출 수납 방향(P)으로 진퇴시킨다. 그리고, 한 쌍의 런너(60a, 60b)가 한 쌍의 레일(50a, 50b)의 선단부(52)에 위치하는 상태(차양(20)의 인출상태)에서,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를 한 쌍의 런너(60a, 60b)로부터 인출측에 배치하도록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출부재(40)는 차양(2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치수가 작아지도록 변형하면,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를 인출 수납 방향(P) 인출측으로 향하여 진출시킨다. 또한, 인출부재(40)는 차양(2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치수가 커지도록 변형하면,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를 인출 수납 방향(P) 수납측으로 향하여 퇴피시킨다.
인출부재(40)에 작용하는 힘의 관점으로부터 설명하면, 한 쌍의 런너(60a, 60b)의 간격이 크고 작아짐으로써, 인출부재(40)에는, 차양(20)의 폭 방향으로 치수를 크고 작게하는 힘이 작용한다. 그리고, 인출부재(40)는 차양(20)의 폭 방향으로 치수를 작게 하도록 힘이 작용하면, 그 힘을 인출 수납 방향(P)으로 변환하여,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를 인출측으로 향하여 진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반대로, 차양(20)의 폭 방향으로 치수를 크게 하도록 힘이 작용하면, 그 힘을 인출 수납 방향(P)으로 변환하여,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를 수납측으로 향하여 퇴피시킨다.
여기에서는, 인출부재(40)는 주로 차양(20)의 폭 방향으로 확장 수축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팬토그래프 형상의 링크기구이다. 그리고, 인출부재(40)는 폭 방향으로 확장 수축 변형됨에 따라, 차양(20)의 인출 수납 방향(P)으로도 수축 확장 변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출부재(40)는 차양(20)의 폭 방향에서의 확대 변형에 따라 인출 수납 방향(P)에서 축소 변형하고, 폭 방향에서의 축소 변형에 따라 인출 수납 방향(P)에서 인출측으로 향하여 확대 변형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인출 수납 방향(P)의 확대 변형에 의해,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를 인출측으로 진출시키는 구성이다.
구체적인 구성으로부터 설명하면, 인출부재(40)는 평판(平板) 봉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링크부재(48)가, 차양(20)의 폭 방향으로 대각을 맞대어 늘어선 복수의 평행사변형(여기에서는, 마름모)을 형성하도록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링크부재(48)는 일렬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중간부재(49a)를 구성함과 함께, 복수의 중간부재(49a)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단부부재(49b)를 구성하고 있다(도 3 참조). 또한, 복수의 링크부재(48) 중 단부부재(49b)를 구성하는 한 쌍의 링크부재(48)를, 한쪽의 링크부재(48s) 및 다른 쪽의 링크부재(48r)로 한다.
중간부재(49a)는 길이 치수가 같은 한 쌍의 링크부재(48)를 교차시켜 두께 방향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중간부에서 1축 둘레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X자형의 부재이다. 복수의 중간부재(49a)를 구성하는 복수의 링크부재(48)는 모두 같은 길이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단부부재(49b)는 중간부재(49a)를 구성하는 링크부재(48)와 같은 길이 치수의 한쪽의 링크부재(48s)의 중간부에, 한쪽의 링크부재(48s)의 절반의 길이 치수의 다른 쪽의 링크부재(48r)의 단부가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링크부재(48, 48r, 48s)의 길이 치수는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의 한 쌍의 런너(60a, 60b)에 대한 진출량, 한 쌍의 레일(50a, 50b)의 간격, 경사 모양 등에 의거하여 결정된다.
여기에서는, 4개의 중간부재(49a)가 폭 방향으로 병렬 형상으로 늘어서 연결됨과 함께, 그 폭 방향 양단에 단부부재(49b)가 연결되어 있다. 중간부재(49a)끼리는 각 링크부재(48)의 단부끼리를 두께 방향으로 겹쳐져 1축 둘레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중간부재(49a)와 단부부재(49b)는, 한쪽의 링크부재(48s) 및 다른 한쪽의 링크부재(48r)의 각 단부와 대응하는 각 링크부재(48)의 단부가 1축 둘레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무엇보다, 인출부재(40)를 구성하는 중간부재(49a)의 수는 4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의 한 쌍의 런너(60a, 60b)에 대한 진출량, 한 쌍의 레일(50a, 50b)의 간격, 경사 모양 등에 의거하여 결정되면 좋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를 지지하는 연결부 중 하나가 인출부재(40)의 폭 방향 중심에 위치하도록, 중간부재(49a)가 짝수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링크부재(48, 48s, 48r)의 각 부(部)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하여 연결되어 있으면 좋다. 즉, 각 연결위치에서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부분(48h)을 형서한 링크부재(48, 48s, 48r)를, 구멍부분(48h)이 대략 일치하도록 겹쳐서, 구멍부분(48h)에 삽입 통과 가능한 소경(小徑)부분을 갖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연결축부재(45)를 삽입 통과한 상태로 연결할 수 있다(도 4 참조). 이에 의해, 인출부재(40)는 연결축부재(45)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상으로 폭 방향 및 인출 수납 방향(P)으로 확장 수축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보면, 인출부재(40)는 중간부재(49a), 단부부재(49b)의 각 사이에 같은 형상이면서 같은 크기의 평행사변형이 폭 방향으로 복수 늘어선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평행사변형 부분은 각 변의 길이가 일정한 각 대 각의 크기가 변화하여 각각 같은 형상으로 변형되고, 폭 방향으로 확장 수축 변형됨에 따라, 인출 수납 방향(P)으로도 확장 수축 변형된다.
단부부재(49b) 중 한쪽의 링크부재(48s)는 각각, 폭 방향 외측의 단부에서, 한 쌍의 런너(60a, 60b)에 대하여 1축 둘레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도 3 참조). 링크부재(48) 및 한 쌍의 런너(60a, 60b)에 대하여도, 링크부재(48)끼리의 연결 형태와 마찬가지로, 구멍부분(48h)과 구멍부분(64h)을 대략 일치시키도록 겹쳐서 연결축부재(45)에 의해 연결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한쪽의 링크부재(48s)는 한 쌍의 런너(60a, 60b)에 대하여, 폭 방향 외측으로 향하여 인출 수납 방향(P) 수납측에 지향하는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링크부재(48)끼리의 연결부 중, 차양(20)의 인출측에 위치하는 연결부를 인출측 연결부(42), 수납측에 위치하는 연결부를 수납측 연결부(44), 중간부에 위치하는 연결부를 중간 연결부(46)라고 한다(도 1, 도 2 참조). 또한, 인출부재(40)의 양단부(각 단부부재(49b)의 한쪽의 링크부재(48s))와 한 쌍의 런너(60a, 60b)와의 연결부를, 각각 수납측 연결부(44a, 44b)라고 한다.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 및 복수의 수납측 연결부(44)는 홀수(여기에서는, 5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5개의 인출측 연결부(42) 중 한가운데의 1개는 인출부재(40)가 인출 수납 방향(P)으로 이동되어 폭 방향으로 확장 수축 변형하여도, 폭 방향에 있어서 인출부재(40)의 중간위치에 위치한다. 여기에서는, 한가운데의 1개의 인출측 연결부(42)는 한 쌍의 레일(50a, 50b) 사이의 중심선상(즉, 차양(20)의 폭 방향 중심선상)을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인출부재(40)는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의 위치에서,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여기에서는, 스테이(24))를 지지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출부재(40)는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 중 일부 혹은 전부가 스테이(24)에 대하여 차양(20)의 폭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인출부재(40)는 5개의 인출측 연결부(42) 중 한가운데의 1개가 스테이(24)의 길이 방향(차양(20)의 폭 방향) 중간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다른 4개가 스테이(24)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한가운데의 1개의 인출측 연결부(42)는 차양(20)의 폭 방향 중심선상을 이동하기 때문에, 스테이(24)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지 않는다.
스테이(24)에는, 차양(20)의 폭 방향에 있어서, 각 인출측 연결부(42)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구멍부분(24h)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부분(24h)은 인출측 연결부(42)의 연결축부재(45)의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한가운데의 1개의 인출측 연결부(42)에 대응하는 구멍부분(24h)은 스테이(24)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 대략 원형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른 4개의 인출측 연결부(42)에 대응하는 구멍부분(24h)은 상기 한가운데의 1개의 인출측 연결부(42)에 대한 각 인출측 연결부(42)의 상대 이동 궤적에 대응하며, 스테이(24)의 길이 방향을 따른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한가운데의 1개의 인출측 연결부(42)로부터 멀어진(폭 방향 외측의) 위치의 인출측 연결부(42)만큼, 크게 상대 이동하기 때문에, 스테이(24)의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구멍부분(24h)만큼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인출측 연결부(42)는 예를 들면, 연결축부재(45)의 축방향 한쪽측(도 4의 하측)에 구멍부분(24h)에 삽입 통과 가능한 소경부분이 형성되고, 그 소경부분을 구멍부분(24h) 내에 삽입 통과한 상태로, 스테이(24)에 연결되면 좋다. 각 구멍부분(24h)은 차양(20)의 폭 방향에 있어서, 각 연결축부재(45)의 스테이(24) 연결용의 소경부분의 직경보다 대폭(여기에서는, 약간 대폭)이고 또한 그 연결축부재(45)의 이동 궤적보다 길게(여기에서는,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그리고, 연결축부재(45)의 스테이(24) 연결용의 소경부분이, 스테이(24)의 구멍부분(24h) 내를 이동함으로써, 인출부재(40)는 스테이(24)에 연결된 상태로 확장 수축 변형한다.
무엇보다, 인출부재(40)가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의 위치에서 스테이(24)에 연결되는 형태는 구멍부분(24h)과 연결축부재(45)의 소경부분과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홈부와 볼록부의 조합 등을 채용해도 좋다.
또한, 차양(20)의 변형, 마모 등을 억제하기 위해, 인출부재(40)는 수납측 연결부(44) 및 중간 연결부(46)의 연결축부재(45)가 차양(20)에 대하여 비접촉이 되도록, 스테이(24)를 지지하면 좋다. 즉, 연결축부재(45)에 대하여 그 축방향에 있어서 이간된 위치에, 차양(2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도 4 참조).
또한, 인출부재(40)는, 수납측 연결부(44a, 44b)가 차양(20)의 인출 수납 방향(P)에 있어서, 복수의 수납측 연결부(44)에 대하여 같은 위치 또는 수납측 위치(여기에서는, 같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납측 연결부(44a, 44b)가 복수의 수납측 연결부(44)에서 수납측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라는 것은, 단부부재(49b)를 구성하는 한쪽의 링크부재(48s)가 중간부재(49a)를 구성하는 링크부재(48)보다 긴 치수로 형성되는 경우이다. 그리고, 상기 위치에 수납측 연결부(44a, 44b)가 위치함으로써,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에 지지되어 있는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는 인출 수납 방향(P)에서 보다 인출측으로 인출된다. 또한,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를 한 쌍의 런너(60a, 60b)에서 인출측으로 진출시키기 위해서는, 적어도, 수납측 연결부(44a, 44b)가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의 지지위치(여기에서는,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에서 수납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인출부재(40)는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가 동일 직선 형상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출부재(40)가 확장 수축 변형하여도,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는 동일 직선상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차양(20)의 스테이(24)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 마찬가지로, 복수의 수납측 연결부(44) 및 복수의 중간 연결부(46)에 대하여도, 각각,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여 있다. 또한, 각 연결부(42, 44, 46)는 각 직선상에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인출부재(40)는, 한 쌍의 런너(60a, 60b)가 인출 수납 방향(P)에 있어서 같은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 복수의 수납측 연결부(44) 및 복수의 중간 연결부(46)가, 각각, 폭 방향을 따른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는 자세로 지지되어 있다(도 1, 도 2 및 도 5 참조). 또한, 인출부재(40)는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와 복수의 수납측 연결부(44)가 인출 수납 방향(P)에 있어서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이 인출부재(40)는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끼리 및 복수의 수납측 연결부(44)끼리 및 복수의 중간 연결부(46)끼리가 접리하여 폭 방향으로 확장 수축 변형함과 함께,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와 복수의 수납측 연결부(44)가 접리하여 인출 수납 방향(P)으로 확장 수축 변형한다.
그리고, 인출부재(40)는, 한 쌍의 런너(60a, 60b)가 한 쌍의 레일(50a, 50b)의 기단부(54)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차양(20)을 수납장치(30)에 대하여 수납한 수납상태로 한다(도 1 참조). 이 차양(20)의 수납상태에서, 인출부재(40)는 폭 방향으로 확대 상태로, 또한 인출 수납 방향(P)으로 축소 상태로 된다. 또한, 인출부재(40)는, 한 쌍의 런너(60a, 60b)가 한 쌍의 레일(50a, 50b)의 선단부(52)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차양(20)을 수납장치(30)로부터 인출한 인출상태로 한다(도 2 참조). 이 인출상태에서, 인출부재(40)는 폭 방향으로 축소 상태로, 또한 인출 수납 방향(P)으로 확대 상태로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는 한 쌍의 런너(60a, 60b)(수납측 연결부(44a, 44b))에 대하여 인출측으로 진출한 상태로 된다. 즉,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스테이(24))가 한 쌍의 런너(60a, 60b)로부터 인출측에 배치된다.
무엇보다, 인출부재(40)가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를 지지하는 형태는 스테이(24)에 연결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차양(20)은 인출측 단부(20a)에 스테이(24)가 설치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인출부재(40)는 시트부(22)의 단변측의 단부인 인출측 단부(20a)에 직접 연결되고, 이 인출측 단부(20a)에는, 인출부재(40)와의 연결용 구멍부분을 형성하면 좋다. 또한, 연결용의 구멍부분을 형성하지 않고, 시트부(22)에 신축 가능한 재료를 채용하여, 인출부재(40)의 폭 방향에서의 확장 수축 변형에 따라 시트부(22)를 확장 수축 시키는 형태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인출부재(40)는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스테이(24))를,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의 위치에서 지지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중간 연결부(46), 그 이외 링크부재(48)의 각 부의 위치에서,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와 같은 형태에서, 혹은 핀, 나사 고정 등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즉, 차양(20)의 인출상태에 있어서,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가 한 쌍의 런너(60a, 60b)의 인출측 정지위치로부터 인출측에 배치되면 좋다.
또한, 인출부재(40)는 팬토그래프 형상의 링크기구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양(20)의 인출상태에 있어서,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를 한 쌍의 런너(60a, 60b)로부터 인출측에 배치 가능하면 좋다. 예를 들면, 인출부재(40)는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에 장착되는 장척(長尺)부재와, 그 장척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한 쌍의 런너(60a, 60b)에 각각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봉형상의 링크부재를 갖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즉, 폭 방향의 치수가 작아지도록 변형되면, 링크부재의 폭 방향에 대한 경사각이 커져, 장척부재를 인출측으로 향하여 진출시키는 구성이다. 또한, 인출부재(40)는 인출측에 볼록하게 변형 가능한 가요성(可撓性)의 빔(beam)부재를 이용하여,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를 한 쌍의 런너(60a, 60b)로부터 인출측에 배치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경우, 빔부재는 스테이(24)에 연결되어도, 시트부(22)의 단부를 직접 지지하여도 좋다.
구동기구(70)는 한 쌍의 런너(60a, 60b)를 한 쌍의 레일(50a, 50b)을 따라 그 기단부(54)와 선단부(52) 사이에서 이동 구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도 1, 도 2 참조). 무엇보다, 한 쌍의 런너(60a, 60b)가 한 쌍의 레일(50a, 50b)의 선단부(52)까지 이동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한 쌍의 런너(60a, 60b)의 인출측 정지위치까지 이동 구동 가능하면 좋다. 그리고, 구동기구(70)에 의해 한 쌍의 런너(60a, 60b)를 이동시킴으로써, 차양(20)을 인출 수납 방향(P)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기구(70)는 한 쌍의 런너(60a, 60b)를, 인출 수납 방향(P)에 대하여 같은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한 쌍의 런너(60a, 60b)를 대략 같은 속도로 이동시키고 있다. 무엇보다, 한 쌍의 레일(50a, 50b)이 인출 수납 방향(P)에 대하여 각각 다른 경사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 각각 길이가 다른 경우에는, 한 쌍의 런너(60a, 60b)의 이동 속도를, 각각 각 레일(50a, 50b)의 각도, 길이에 따라 변경하면 좋다.
예를 들면, 구동기구(70)는 와이어의 일부에 한 쌍의 런너(60a, 60b)를 각각 장착하고, 그 와이어를 모터에 의해 권취하고, 이송 구동 등으로 하여 한 쌍의 레일(50a, 50b)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동기구(70)는 도시 생략한 스위치 등의 조작부에 접속되어,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차양(20)의 인출 수납 조작을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면 좋다. 자동차의 창(100)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차내에 차양(20) 조작용의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무엇보다, 구동기구(70)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구동기구(70)는 가요성을 갖고 또한 길이 방향으로 눌러진 경우에 용이하게 굴곡 되지 않음과 함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는 복수의 톱니가 형성된 부재를,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톱니바퀴에 의해 진퇴시켜, 한 쌍의 런너(60a, 60b)를 이동시키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차양(20)을 인출 수납 구동하는 구성이 생략되며, 차양(20) 혹은 인출부재(40)에 인출용 손잡이 등을 설치하여, 수동으로 차양(20)을 인출 수납 조작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차양장치(10)는 차양(20)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인출부재(40)를, 인출 수납 방향(P)으로 확대 변형시키도록 밀어붙이는 힘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80)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재(80)는 대향하는 한 쌍의 인출측 연결부(42)와 수납측 연결부(44)를 이간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형태, 이웃하는 인출측 연결부(42)끼리, 수납측 연결부(44)끼리 또는 중간 연결부(46)끼리를 근접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80)로서는, 코일 스프링, 고무재(근접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경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각 연결부(42, 44, 46)로 연결되는 링크부재(48)가 이루는 각(角)을 확대 혹은 축소시키도록, 그 각의 내측 혹은 외측에 V자형의 판 스프링, 비틀림 코일 스프링 등을 축소 상태 혹은 확대 상태로 설치하는 것도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도 3, 도 5에서는, 코일 스프링인 탄성부재(80)를 대향하는 인출측 연결부(42)와 수납측 연결부(44) 사이에 압축 상태로 설치한 예를 2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탄성부재(80)는 차양(20)의 수납상태에서 압축 상태로 되고, 인출상태로 자연 길이의 상태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도 1, 도 2에서는, 탄성부재(80)를 생략하고 있다.
<차양장치의 동작>
차양장치(10)의 동작에 관하여, 도 1, 2,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차양(20)을 인출할 때의 차양장치(1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차양장치(10)는 초기 상태로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양(20)의 수납상태에 있는 것으로 한다. 즉, 한 쌍의 런너(60a, 60b)는 한 쌍의 레일(50a, 50b)의 기단부(54)에 위치하고, 차양(20)은 수납장치(30)에 수납된 상태로 있다. 이 상태에서는, 차양(20)은, 인출측 단부(20a)가 창(100)의 장변(104)으로부터 수납장치(30)측에 위치하고, 창(100)을 차폐하지 않는 상태이다. 또한, 인출부재(40)는 폭 방향으로 확대 상태이면서 인출 수납 방향(P)으로 축소 상태이며, 한가운데를 제외한 다른 4개의 인출측 연결부(42)는 스테이(24)의 구멍부분(24h) 내에서, 차양(20)의 폭 방향 외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인출부재(40)는 창(100)의 장변(104)측의 내장재에 숨겨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용자는 조작부 등을 통하여, 차양(20)을 인출하도록 구동기구(70)를 작동시킨다.
구동기구(70)에 의해, 한 쌍의 런너(60a, 60b)가 한 쌍의 레일(50a, 50b)의 기단부(54)로부터 선단부(52)측을 향하여 이동되면, 인출부재(40)가 인출 수납 방향(P)을 따라 인출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인출부재(40)에 인출측 단부(20a)를 지지하고 있는 차양(20)이 인출 조작되어 간다.
또한, 인출부재(40)는 탄성부재(80)에 의해 인출부재(40)가 인출 수납 방향(P)으로 확대 변형하도록 밀어붙이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인출측으로의 이동을 원활하게 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인출부재(40) 자체는 인출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한 쌍의 레일(50a, 50b)의 간격을 따라, 폭 방향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축소 변형되어 감과 함께, 인출 수납 방향(P)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확대 변형되어 간다(도 1, 도 5의 순서에 참조). 즉, 한 쌍의 런너(60a, 60b)의 간격이 작아짐으로써, 인출부재(40)에 대하여 폭 방향의 치수가 작아지도록 힘이 작용하면, 인출부재(40)는 폭 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힘을 인출 수납 방향(P)의 힘으로 변환하여 인출 수납 방향(P) 인출측으로 향하여 확대 변형한다. 인출부재(40)의 폭 방향의 축소 변형에 수반하여, 한가운데를 제외한 다른 4개의 인출측 연결부(42)의 연결축부재(45)는 차양(20)의 폭 방향 내측으로 향하여, 스테이(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멍부분(24h) 내를 이동한다. 또한, 한가운데의 인출측 연결부(42)가 스테이(24)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지 않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스테이(24)는 일정 경로로 이동된다. 이 때문에, 차양(2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스테이(24)의 어긋남 등에 의한 차양(20)의 늘어짐, 뒤틀림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인출부재(40)가 인출 수납 방향(P)으로 확대 변형됨에 따라,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는 한 쌍의 런너(60a, 60b)(수납측 연결부(44a, 44b))에 대하여, 인출 수납 방향(P) 인출측으로 향하여 상대 진출 이동된다.
그리고, 한 쌍의 런너(60a, 60b)가 한 쌍의 레일(50a, 50b)의 선단부(52)까지 이동되면, 차양(20)은 인출상태로 된다(도 2 참조). 이 상태에서, 인출부재(40)는 폭 방향으로 축소 상태로, 또한 인출 수납 방향(P)으로 확대 상태로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출부재(40)는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의 위치에서 지지되어 있는 인출측 단부(20a)를, 한 쌍의 런너(60a, 60b)의 인출측 정지위치(여기에서는, 한 쌍의 레일(50a, 50b)의 선단부(52))로부터 인출측으로 진출하여 배치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차양(20)은, 인출측 단부(20a)가 한 쌍의 런너(60a, 60b)의 인출측 정지위치로부터 인출측에 위치하는 창(100)의 단변(102)를 넘어서 배치되어 창(100) 전체를 차폐하고 있다.
다음으로, 차양(20)을 수납할 때의 차양장치(1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용자는 조작부 등을 통하여, 차양(20)을 수납하도록 구동기구(70)를 작동시킨다.
구동기구(70)에 의해, 한 쌍의 런너(60a, 60b)가 한 쌍의 레일(50a, 50b)의 선단부(52)로부터 기단부(54)측을 향하여 이동되면, 인출부재(40)가 인출 수납 방향(P)을 따라 수납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차양(20)은 인출부재(40)의 이동에 따라 수납 조작되어 간다.
또한, 차양(20)을 수납할 때, 수납장치(30)(회전되게 밀어 붙여진 권취 샤프트(32))에 의해 차양(20)이 수납측으로 인장된다. 이 때문에, 인출부재(40)는 원활하게 수납측으로의 이동이 시작된다.
여기서, 인출부재(40) 자체는 수납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한 쌍의 레일(50a, 50b)의 간격을 따라, 폭 방향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확대 변형되어 감과 함께, 인출 수납 방향(P)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축소 변형되어 간다(도 2, 도 5의 순으로 참조). 즉, 한 쌍의 런너(60a, 60b)의 간격이 커짐으로써, 인출부재(40)에 대하여 폭 방향의 치수가 커지도록 힘이 작용하면, 인출부재(40)는 폭 방향 외측으로 향하는 힘을 인출 수납 방향(P)의 힘으로 변환하여 축소 변형한다.
그리고, 한 쌍의 런너(60a, 60b)가 한 쌍의 레일(50a, 50b)의 기단부(54)까지 이동되면, 차양(20)은 수납상태로 된다(도 1 참조). 이 상태에서는, 인출부재(40)는 인출 수납 방향(P)에 있어서 축소 상태이며, 창(100)의 장변(104)측의 내장재의 내부에 컴팩트하게 수용된다.
지금까지, 차양장치(10)를 등각대형의 창(100)에 적용하는 예로 설명하였지만, 차양장치(10)는 다른 형상의 창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양장치(10)를 적용하는 창으로서는, 대향하는 단변(102)과 장변(104)을 잇는 측부가 곡선 형상(폭 방향으로 불룩한 형상 등) 혹은 단차(段差)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단변(102)과 장변(104)이 평행이 아닌 경우라도 좋다. 무엇보다, 대향하는 단변(102)과 장변(104)를 갖는 형상이 아니어도, 여러 가지의 형상의 창에 적용 가능하다. 즉, 창(100)의 형상을 불문하고, 한 쌍의 레일(50a, 50b)을 기단부(54)로부터 선단부(52)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간격이 좁아지도록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본 차양장치(10)의 적용 용도는 한 쌍의 레일(50a, 50b)을 창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연장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한 쌍의 레일(50a, 50b)을 창(10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연장 설치할 수 있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고, 이 경우에도 보다 확실히 창(100) 전체를 차폐할 수 있다.
또한, 본 차양장치(10)는 한 쌍의 런너(60a, 60b)를 한 쌍의 레일(50a, 50b)의 선단부(52)까지 이동시키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한 쌍의 런너(60a, 60b)를 한 쌍의 레일(50a, 50b)의 중도부까지밖에 이동할 수 없는 경우에도,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를, 한 쌍의 런너(60a, 60b)로부터 인출측에 배치함으로써, 창(100)을 보다 크게 가릴 수 있다. 무엇보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런너(60a, 60b)를 한 쌍의 레일(50a, 50b)의 선단부(52)까지 이동시켜,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를, 한 쌍의 레일(50a, 50b)의 선단부(52)로부터 인출측까지 인출할 수 있으면 좋다.
상기 구성의 차양장치(10)에 의하면, 인출부재(40)는 한 쌍의 레일(50a, 50b)의 간격을 따라 차양(2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치수가 변화하도록 변형됨에 따라,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를 인출 수납 방향(P)으로 진퇴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양(20)의 인출상태에서,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를 한 쌍의 런너(60a, 60b)로부터 인출측에 배치하기 때문에, 창(100) 전체를 보다 확실히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인출부재(40)는 차양(2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치수가 작아지도록 변형하면,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를 인출 수납 방향(P)으로 진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한 쌍의 레일(50a, 50b)의 간격이 작은 선단부(52)에 한 쌍의 런너(60a, 60b)가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인출부재(40)는 차양(2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치수가 작게 변화하도록 변형되어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를 인출 수납 방향(P)에 있어서 인출측으로 향하여 진출시킨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가 한 쌍의 런너(60a, 60b)로부터 인출측에 배치되어 창(100) 전체를 보다 확실히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인출부재(40)는 팬토그래프 형상의 링크기구이기 때문에, 한 쌍의 레일(50a, 50b)의 간격을 따라 차양(20)의 폭 방향으로 확장 수축 변형됨에 따라, 인출 수납 방향(P)에 수축 확장 변형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런너(60a, 60b)가 한 쌍의 레일(50a, 50b)의 선단부(52)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인출 수납 방향(P)에 있어서 인출측을 향하여 확대 상태로 되어,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를 한 쌍의 런너(60a, 60b)로부터 인출측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인출부재(40)는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의 위치에서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차양(20)의 인출 수납 방향(P)에서의 확대 변형시에,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를 보다 인출측으로 인출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레일(50a, 50b)의 선단부(52)와 창(100)의 단부(단변(102))의 거리가 비교적 큰 경우에도, 창(100) 전체를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차양(20)은 인출측 단부(20a)에 설치된 스테이(24)를 갖고 있기 때문에, 늘어짐을 억제하여 보다 안정되게 인출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인출부재(40)가,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 중 일부 혹은 전부가 스테이(24)에 대하여 차양(20)의 폭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차양(20)의 폭 방향에서의 인출부재(40)의 확장 수축 변형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수납측 연결부(44a, 44b)가 차양(20)의 인출 수납 방향(P)에 있어서, 복수의 수납측 연결부(44)에 대하여 같은 위치 또는 수납측 위치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양(20)의 인출상태에서, 인출부재(40)가 확대 상태가 되어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가 한 쌍의 런너(60a, 60b)에 대하여 보다 인출측으로 진출하여 배치된다. 이에 의해,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0a)를 한 쌍의 런너(60a, 60b)의 인출측 정지위치를 넘어서, 보다 인출측에 배치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레일(50a, 50b)의 선단부(52)와 창(100)의 단부(단변(102))의 거리가 비교적 큰 경우에도, 창(100) 전체를 차폐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80)에 의해 인출부재(40)가 인출 수납 방향(P)으로 확대 변형하도록 밀어붙이기 때문에, 차양(20)을 수납상태로부터 인출할 때에 필요한 힘 및 그 힘에 의한 차양장치(10)에 걸리는 부하를 작게 하여, 차양(20)을 원활하게 인출 시작할 수 있다.
또한, 구동기구(7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차양(20)의 인출 수납 조작을 자동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차양장치(10)는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상기한 설명은 모든 형태에 있어서 예시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되어 있지 않은 무수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상정(想定)될 수 있는 것이라고 해석된다.
10 : 차양장치
20 : 차양
20a : 인출측 단부
24 : 스테이
30 : 수납장치
40 : 인출부재
42 : 인출측 연결부
44 : 수납측 연결부
48 : 링크부재
50a, 50b : 한 쌍의 레일
52 : 선단부
54 : 기단부
60a, 60b : 한 쌍의 런너
70 : 구동기구
80 : 탄성부재
100 : 창
P : 인출 수납 방향

Claims (8)

  1. 창을 차폐하는 차양장치로서,
    상기 창을 차폐 가능한 차양과,
    기단부(基端部)로부터 선단부(先端部)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간격이 작아지도록 설치된 한 쌍의 레일과,
    상기 한 쌍의 레일의 기단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차양이 인출 수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수납장치와,
    상기 차양의 인출측 단부(端部)를 지지하고, 상기 차양의 폭 방향에 있어서 치수가 변화하도록 변형 가능함과 함께 상기 변형에 따라 상기 차양의 상기 인출측 단부를 인출 수납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인출부재와,
    상기 인출부재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각각 상기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한 쌍의 런너(runner)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한 쌍의 런너가 상기 한 쌍의 레일로 안내되어 이동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레일의 간격을 따라 상기 차양의 폭 방향에 있어서 치수가 변화하도록 변형됨과 함께, 상기 차양의 상기 인출측 단부를 인출 수납 방향으로 진퇴시켜, 상기 차양의 인출상태에서, 상기 차양의 상기 인출측 단부를 상기 한 쌍의 런너로부터 인출측에 배치하는 차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차양의 폭 방향에 있어서 치수가 작아지도록 변형하면, 상기 차양의 상기 인출측 단부를 인출 수납 방향 인출측으로 향하여 진출시키고,
    상기 차양의 폭 방향에 있어서 치수가 커지도록 변형하면, 상기 차양의 상기 인출측 단부를 인출 수납 방향 수납측으로 향하여 퇴피시키는 차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는 팬토그래프(pentograph) 형상의 링크기구인 차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는 봉(棒)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링크부재가 상기 차양의 폭 방향으로 대각(對角)을 맞대어 늘어선 복수의 평행사변형을 형성하도록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링크부재끼리가 연결되는 연결부 중 상기 차양의 인출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의 위치에서, 상기 차양의 상기 인출측 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차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은 상기 인출측 단부에 설치된 스테이(stay)를 갖고,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 중 일부 혹은 전부가 상기 스테이에 대하여 상기 차양의 폭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차양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와 상기 한 쌍의 런너의 연결부는 상기 차양의 인출 수납 방향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끼리가 연결되는 연결부 중 상기 차양의 수납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수납측 연결부에 대하여, 같은 위치 또는 수납측 위치에 위치하는 차양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를, 상기 차양의 인출 수납 방향으로 확대 변형시키도록 밀어붙이는 힘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는 차양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런너를 상기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는 차양장치.
KR1020127023594A 2010-03-31 2011-02-18 차양장치 KR201300340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81214 2010-03-31
JP2010081214A JP5468443B2 (ja) 2010-03-31 2010-03-31 シェード装置
PCT/JP2011/053456 WO2011122154A1 (ja) 2010-03-31 2011-02-18 シェード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007A true KR20130034007A (ko) 2013-04-04

Family

ID=44711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594A KR20130034007A (ko) 2010-03-31 2011-02-18 차양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020032A1 (ko)
EP (1) EP2554775A1 (ko)
JP (1) JP5468443B2 (ko)
KR (1) KR20130034007A (ko)
CN (1) CN102812200A (ko)
WO (1) WO20111221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01822B2 (ja) * 2010-03-30 2014-05-28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ェード装置
WO2015178244A1 (ja) * 2014-05-22 2015-11-26 八千代工業株式会社 ロールサンシェード装置
JP6373683B2 (ja) * 2014-08-04 2018-08-15 芦森工業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
CN106948740A (zh) * 2016-01-06 2017-07-14 南宁市海汇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连杆支撑式外遮阳卷帘系统的制作方法
US9805777B2 (en) 2016-02-24 2017-10-31 Arm Ltd. Sense amplifi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463A (en) * 1887-07-12 Door-guard for elevator-wells
US1268297A (en) * 1917-07-02 1918-06-04 Willis J Sutcliffe Actuating means for radiator-protectors.
JP3289223B2 (ja) * 1991-05-23 2002-06-04 日本発条株式会社 遮蔽装置
JP2548223Y2 (ja) * 1992-03-31 1997-09-17 アスモ株式会社 車両用カーテン装置
DE10057759A1 (de) * 2000-11-22 2002-06-06 Bos Gmbh Fensterscheibe mit daran befestigtem Fensterrollo
DE10334695A1 (de) * 2003-07-25 2005-02-1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Rollo-Anordnung für ein Fenster eines Kraftfahrzeugs
US7314079B2 (en) * 2003-09-09 2008-01-01 Asmo Co., Ltd. Sunshade system having blind sheet
CN2772868Y (zh) * 2005-03-16 2006-04-19 李震 汽车防晒自动折叠帘
DE102005052618A1 (de) 2005-11-02 2007-05-03 Bos Gmbh & Co. Kg Heckfensterrollo ohne Restlichtspalt
US8308217B2 (en) * 2008-09-08 2012-11-13 Rameshbhai Kalabhai Patel Automobile sun visor with electromechanical sun shade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5501822B2 (ja) * 2010-03-30 2014-05-28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ェー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12200A (zh) 2012-12-05
EP2554775A1 (en) 2013-02-06
JP2011214246A (ja) 2011-10-27
JP5468443B2 (ja) 2014-04-09
WO2011122154A1 (ja) 2011-10-06
US20130020032A1 (en) 201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4007A (ko) 차양장치
JP5646934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KR101776980B1 (ko)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KR101690823B1 (ko) 차양장치
JP5719585B2 (ja) シェード装置
US20090249905A1 (en) Linear Actuator
KR20020040577A (ko) 가변성 차양 효과를 갖는 권취식 윈도우 셰이드
KR20120027227A (ko) 차양장치
JP2007223591A (ja) ウィンドウシェード及びハウジング
JP5431838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KR101757012B1 (ko)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WO2013133066A1 (ja) シェード装置
KR20120112545A (ko) 차양장치
JP6063682B2 (ja) 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JP5182173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KR20130029366A (ko) 차양장치
JP6063683B2 (ja) 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KR20230070458A (ko) 차량용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유닛
JP5662091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JP5407339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CN114229244B (zh) 一种伸缩组合仓及操控方法
JP5840982B2 (ja) シェード装置
JP2009012500A (ja) サンシェー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