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3265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3265A
KR20130033265A KR1020120023975A KR20120023975A KR20130033265A KR 20130033265 A KR20130033265 A KR 20130033265A KR 1020120023975 A KR1020120023975 A KR 1020120023975A KR 20120023975 A KR20120023975 A KR 20120023975A KR 20130033265 A KR20130033265 A KR 20130033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color
mark
image forming
registration m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6008B1 (ko
Inventor
데츠히로 이노우에
고우스케 구보타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3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78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31Details of unit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54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a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e.g. intermediate transfer belt or drum, conveyor belt
    • G03G15/5058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a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e.g. intermediate transfer belt or drum, conveyor belt using a test patc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5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characterised by the technical problem
    • G03G2215/0158Colour registration
    • G03G2215/0161Generation of registration marks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 색의 토너를 각 색마다 분담해서 사용해서 다른 색의 토너 상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토너 상 형성부와; 상기 복수의 토너 상 형성부를 따라 이동해서 상기 복수의 토너 상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토너 상의 전사를 받는 피전사체와; 상기 피전사체 위에 전사된 복수 색의 토너 상을 기록 매체 위에 더 전사하는 전사기와; 상기 기록 매체 위에 전사된 복수 색의 토너 상을 기록 매체 위에 정착하는 정착기와; 상기 복수의 토너 상 형성부에 있어서의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 검출용의 토너 패턴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상기 복수의 토너 상 형성부에 의해, 상기 피전사체 위에 형성시키는 마크 형성 제어부와; 상기 피전사체 위에 형성된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에 포함된 토너 패턴의 위치를 검출하는 마크 센서와; 상기 마크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토너 상 형성부에 있어서의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를 산출하는 형성 위치 편차 산출부와; 상기 마크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마크 센서에 의해 검출된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상기 복수의 토너 상 형성부에 있어서의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 산출에 충족되는 정밀도를 가지는 정상 마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마크 판정부와; 상기 형성 위치 편차 산출부에 의한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토너 상 형성부에 있어서의 토너 상 형성 위치를 조정하는 형성 위치 조정부와; 조정 시퀀스 제어부를 가진다. 상기 조정 시퀀스 제어부는, 제1 토너 패턴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와, 토너 패턴의 집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토너 패턴 중 적어도 1개의 토너 상 형성부에 있어서의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 검출용의 토너 패턴이 당해 토너 상 형성부에서 사용되는 제1 토너와 당해 토너 상 형성부를 제외한 다른 토너 상 형성부에서 사용되는 제2 토너를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토너 패턴보다도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의 산출 오차를 저감시킨 제2 토너 패턴인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 중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를 산출해서 상기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토너 상 형성 위치를 조정하는 제1 조정 과정을 실행시키고;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를 산출해서 상기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토너 상 형성 위치를 조정하는 제2 조정 과정을 실행시키며; 이어서,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형성시켜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토너 상 형성 위치를 조정하는 제3 조정 과정을 실행시킨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복수 색의 토너 상(像)을 겹쳐서 컬러의 토너 상을 얻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 색의 토너 상을 겹쳐서 컬러의 토너 상을 얻는 화상 형성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의 대부분에서는, 토너 상을 고정밀도로 겹치기 위해, 각 색의 토너 상을 형성하는 토너 상 형성부 각각에 있어서의 토너 상 형성 위치의 조정이 행해진다. 그리고 그 조정에 필요한, 현상(現狀)에 있어서의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의 검출에, 각 색의 토너 상 형성부에서 형성되는 토너 패턴의 집합인 소위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사용한 방식이 채용되는 것이 많다. 이 방식에서는,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는, 예를 들어 중간 전사벨트 등의 피전사체 위에 형성된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되게 된다.
이러한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이루는 토너 패턴으로서, 유채색용 토너 패턴의 내측에, 조사광에 대한 확산 반사가 적은, 예를 들어 블랙(K) 등의 색용 토너 패턴을 형성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 제4497223호 명세서 참조).
일본국 특허 제4497223호 공보
본 발명은, 현상에 있어서의, 복수 색의 토너 상 형성부 상호간의 토너 상 형성 위치의 위치편차가 큰 경우에도 복수 색의 토너 상을 고정밀도로 겹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방안에 의하면, 복수 색의 토너를 각 색마다 분담해서 사용해서 다른 색의 토너 상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토너 상 형성부와, 상기 복수의 토너 상 형성부를 따라 이동해서 복수의 토너 상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토너 상의 전사를 받는 피전사체와, 상기 피전사체 위에 전사된 복수 색의 토너 상을 기록 매체 위에 더 전사하는 전사기와, 상기 기록 매체 위에 전사된 복수 색의 토너 상을 기록 매체 위에 정착하는 정착기와, 상기 복수의 토너 상 형성부에 있어서의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 검출용의 토너 패턴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복수의 토너 상 형성부에 의해, 상기 피전사체 위에 형성시키는 마크 형성 제어부와, 상기 피전사체 위에 형성된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에 포함된 토너 패턴의 위치를 검출하는 마크 센서와, 상기 마크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토너 상 형성부에 있어서의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를 산출하는 형성 위치 편차 산출부와, 상기 마크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이 마크 센서에 의해 검출된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상기 복수의 토너 상 형성부에 있어서의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 산출에 충족되는 정밀도를 가지는 정상 마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마크 판정부와, 조정 시퀀스 제어부를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조정 시퀀스 제어부는, 제1 토너 패턴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와, 토너 패턴의 집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토너 패턴 중 적어도 1개의 토너 상 형성부에 있어서의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 검출용의 토너 패턴이 당해 토너 상 형성부에서 사용되는 제1 토너와 당해 토너 상 형성부를 제외한 다른 토너 상 형성부에서 사용되는 제2 토너를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토너 패턴보다도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의 산출 오차를 저감시킨 제2 토너 패턴인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 중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형성해서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를 산출해서 상기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토너 상 형성 위치를 조정하는 제1 조정 과정을 실행시키고;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형성해서 상기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를 산출해서 상기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토너 상 형성 위치를 조정하는 제2 조정 과정을 실행시키며; 이어서,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형성시켜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를 산출해서 상기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토너 상 형성 위치를 조정하는 제3 조정 과정을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제2 방안에 의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미리 정해진,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형성했다고 가정했을 경우에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라고 판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되는 추정 정밀도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장치 상태 판정부를 가지며, 상기 조정 시퀀스 제어부가, 상기 제1 조정 과정을 실행시키는 것보다도 전에, 상기 장치 상태 판정부에 이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추정 정밀도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이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추정 정밀도 상태에는 없는 것이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조정 과정의 실행을 생략하고 상기 제2 조정 과정 및 상기 제3 조정 과정을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제3 방안에 의하면, 상기 토너 상 형성부가, 상기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로서, 상기 제1 토너 패턴 중 적어도 1개의 토너 상 형성에 있어서의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 검출용의 토너 패턴이, 상기 제2 토너 패턴보다도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의 산출 오차가 높아지는 것을 허용한 후에, 이 토너 상 형성부에서 사용되는 제1 토너와 이 토너 상 형성부를 제외한 다른 토너 상 형성부에서 사용되는 제2 토너를 조합시킨 토너 패턴인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형성하고, 상기 마크 판정부가, 상기 마크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구성하는 토너 패턴의 선폭과 기준 위치로부터의 편차량 중 적어도 한쪽의 값을 생성함과 함께, 상기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토너 패턴의 수의 계수값을 구하여, 상기 적어도 한쪽의 값과 계수값의 쌍방이 정상값인지의 여부에 따라, 이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본 발명의 제4 방안에 의하면, 상기 마크 판정부는, 상기 마크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토너 패턴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편차량을 구한 경우에, 상기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1 판정 기준으로서,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2 판정 기준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정상 마크라고 판정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판정 기준을 채용하여, 정상 마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본 발명의 제5 방안에 의하면, 상기 토너 상 형성부가, 상기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로서, 이 토너 상 형성부에 있어서의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 검출용으로서의 토너 패턴이 이 토너 상 형성부에서 사용되는 토너만으로 이루어지는 토너 패턴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형성하고, 상기 마크 판정부가, 상기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에 대해서는, 상기 마크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토너 패턴의 수의 계수값을 구해서 그 계수값이 정상인지의 여부에 따라 이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에 대해서는, 상기 마크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이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구성하는 토너 패턴의 선폭과 기준 위치로부터의 편차량 중 적어도 한쪽의 값을 생성함과 함께,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토너 패턴의 수의 계수값을 구하여, 그 적어도 한쪽의 값과 계수값의 쌍방이 정상값인지의 여부에 따라, 이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제1 방안에 의하면, 복수 색의 토너 상 형성부 상호간의 토너 상 형성 위치의 위치 편차가 큰 경우에도 복수 색의 토너 상을 고정밀도로 겹칠 수 있다.
상기 제2 방안에 의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정 과정을 반드시 실행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토너의 불필요한 소비가 억제된다.
상기 제3 방안에 의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의 각 토너 패턴이 각 토너 상 형성부에서 사용되는 토너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비교해서, 상기 제2 조정 과정에 있어서의 조정의 정밀도가 높아진다.
본 발명의 제4 방안에 의하면, 상기 제1 판정 기준이 상기 제2 판정 기준과 동일한 경우에 비해, 상기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가 아니라는 판정이 행해지는 빈도가 억제된다.
본 발명의 제 5 방안에 의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의 각 토너 패턴이 2종류의 토너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경우와 비교해서, 토너의 소비량이 억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실시예인 복사기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에 외관을 나타내는 복사기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2 종류의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파트 (A)에 나타내는 복색(複色)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이루는 토너 패턴이 가지고 있는 패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구성하는 토너 패턴의 위치를 검출했을 때의 광센서의 수광부의 출력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YMCK 각 색의 토너로 형성되는 토너 상의 분광 반사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도 3의 파트 (B)에 나타내는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에 대해서 얻어진, 수광부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도 3의 파트 (A)에 나타내는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에 대해서 얻어진, 수광부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9는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에 사용되는 조정값을 생성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0은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에 있어서의 YMCK 각 색용의 토너 패턴에 대해서 내측 패턴이 외측 패턴의 내측에 들어가는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내측 패턴이 외측 패턴의 내측에 들어가 있는 토너 패턴과, 내측 패턴이 외측 패턴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토너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최초에 형성된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형성되는 세선(細線)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세선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에 있어서의 YMCK 각 색용의 토너 패턴에 대해서 내측 패턴이 외측 패턴의 내측에 들어가는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제3 실시예에 있어서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에 사용되는 조정값을 생성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이하,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실시예인 복사기의 외관사시도이다.
이 복사기(1)는, 원고 판독부(1A)와 화상 형성부(1B)를 가진다.
원고 판독부(1A)에는, 원고가 겹쳐진 상태로 놓이는 원고 급지대(11)가 구비되어 있다. 이 원고 급지대(11) 위에 놓여진 원고는 1매씩 송출되고, 그 원고에 기록되어 있는 문자나 화상이 판독되어 원고 배지대(12) 위에 배출된다.
또한, 이 원고 판독부(1A)는, 안쪽이 좌우로 연장되는 힌지를 가지고, 그 힌지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원고 급지대(11) 및 원고 배지대(12)가 일체적으로 들어올려지고, 그 아래에는, 투명 유리제의 원고 판독판(13)(도 2 참조)이 펼쳐져 있다. 이 원고 판독부(1A)에서의 판독 방법에는, 원고 급지대(11)에 원고를 두는 대신에 원고 판독판(13) 위에 원고를 1매만 아래 방향에 두고, 그 원고 판독판(13) 위의 원고로부터 문자나 화상을 판독하는 방법도 있다.
이 원고 판독판(13)의 앞쪽에는, 사용자를 향해서 다양한 메시지를 표시하고, 또한, 다양한 조작 버튼을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원고 판독이나 화상 형성의 지시 등의 조작을 받는 표시 조작부(14)가 구비되어 있다.
이 원고 판독부(1A)는, 그 전체가 지지 프레임(15)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또한, 화상 형성부(1B)는, 그 상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가 배출되는 배지대 (21)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화상 형성부(1B)의 전면(前面)에는, 내부의, 토너 용기 등의 부품의 교환이나 반송 중에 막힌 용지의 제거를 위하여 개방되는 전방 커버(2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그 아래에는, 화상 형성 전의 용지가 쌓여 겹쳐진 상태로 수용되는 인출형의 3대의 급지대(23_1, 23_2, 23_3)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이 화상 형성부(1B)의 좌측면에는, 반송 중에 막힌 용지를 제거할 때에 개방되는 횡 커버(2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화상 형성부(1B)의 바닥면에는, 이 화상 형성부(1B)를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251)가 장착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외관을 나타내는 복사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투명 유리제의 원고 판독판(13)의 아래에는, 원고 판독 광학계(3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원고 판독 광학계(30)는, 제1 블록(31)과, 제2 블록(32)과, 광전 센서(33)를 가진다. 제1 블록(31)은 램프(311)과 거울(312)를 가지고, 제2 블록(32)은 2매의 거울(321, 322)을 가진다. 광전 센서(33)는, 화상을 나타내는 빛을 판독하여 화상 신호를 생성한다.
제1 블록(31)과 제2 블록(32)은, 원고 판독판(13)을 따라 화살표 A-A’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원고 판독부(1A)에 장착되어 있고, 초기 상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왼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다.
원고 급지대(11) 위에 놓인 원고 S는, 1매씩 보내지고, 반송 롤러(16)에 의해 원고 판독판(13)에 접하는 반송 경로(17) 위에 반송된다. 원고 S는, 원고 판독판(13)에 접해서 반송될 때에 램프(311)에 의해 조사되어, 원고 S로부터의 반사광이 거울(312, 321, 322)에 의해 반사되어 광전 센서(33)에 의해 판독된다. 그리고, 광전 센서(33)에 의해, 그 원고 S에 기록되어 있던 문자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가 생성된다. 램프(311)에 의한 조사를 받은 원고 S는 더욱 반송되어 원고 배지대(12) 위에 송출된다.
원고가 원고 판독판(13) 위에 놓여졌을 때에는, 제1 블록(31) 및 제2 블록(32)이, 원고 판독판(13) 위의 원고의 판독 위치와 광전 센서(33) 사이의 광학적인 거리를 항상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그 사이, 램프(311)가 원고를 조사하고, 광전 센서(33)에 의해 그 원고 위의 문자나 화상이 판독되어 화상 신호로 변환된다.
광전 센서(33)에서 얻어진 화상 신호는 화상 처리부(34)에 입력된다. 광전 센서(33)에서 얻어진 화상 신호는 R(레드), G(그린), 및 B(블루)의 각 색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이다. 화상 처리부(34)는, 이 RGB의 화상 신호를 Y(옐로), M(마젠타), C(시안),및 K(블랙)의 4색분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데이터로 변환해서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그리고, YMCK의 화상 데이터는, 후술하는 잠상 형성을 위한 노광의 시기에 맞춰서 노광 제어부(41)에 송신된다.
이 화상 형성부(1B)에는 노광 장치(42)가 구비되어 있고, 잠상 형성에 있어서는, 노광 제어부(41)로부터 노광 장치(42)에 YMCK의 화상 데이터가 보내진다. 노광 장치(42)로부터는, YMCK의 각 화상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각 노광 광(421Y, 421M, 421C, 421K)이 발생한다.
또한, 이 도 2에는, 노광 제어부(41)에 인접한 위치에 주 제어부(4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주 제어부(40)는, 마이크로컴퓨터와, 그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 제어부(40)는, 노광 제어부(41), 표시 조작부(14)(도 1 참조), 화상 처리부(34), 그 밖에 도시하지 않은 각종 전원 회로나 구동 회로 등에 접속되어, 이 복사기(1)의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고 있다. 또한, 이 주 제어부(40)에는, 상기한 프로그램이나, 그 프로그램의 실행에 사용되는 각종 파라미터 등을 기억해 두는 기억부(40a)가 구비되어 있다.
화상 형성부(1B)의 하부에는, 상술한 3대의 급지대(23_1, 23_2, 23_3)가 좌우의 안내 레일(24_1, 24_2, 24_3)에 지지되어 수용되어 있다. 각 급지대(23_1, 23_2, 23_3)에는, 용지 P가 쌓여 겹쳐진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각 급지대(23_1, 23_2, 23_3)는, 용지 P의 보급을 위하여, 안내 레일(24_1, 24_2, 24_3)에 안내되어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들 3대의 급지대(23_1, 23_2, 23_3) 중, 표시 조작부(14)(도 1 참조)의 조작 등에 의해 지정된 급지대(여기서는 예로서 급지대 23_1이라 함)로부터는, 용지 P가 픽업 롤(25)에 의해 송출된다. 용지 P는, 취급 롤(26)에 의해 1매씩 분리되어, 그 1매의 용지 P가 반송 롤(27)에 의해 상방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용지 P는, 대기 롤(28)에 의해 그 이후의 반송 타이밍이 조정되어, 더욱 상방으로 반송된다. 이 대기 롤(28) 이후의 용지 P의 반송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이 화상 형성부(1B)의 중앙 부분에는, YMCK의 각 색의 토너에 의한 토너 상을 형성하는 4개의 상 형성 유닛(50Y, 50M, 50C, 50K)이, 도면 중 우측부터 이 표기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4개의 상 형성 유닛(50Y, 50M, 50C, 50K)이, 복수의 토너 상 형성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이들 4개의 상 형성 유닛(50Y, 50M, 50C, 50K)은, 사용하는 토너의 색이 다른 것을 제외하고,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이 때문에, 여기서는 Y색의 상 형성 유닛(50Y)을 예로 들어 그 구성을 설명한다.
이 상 형성 유닛(50Y)은, 도 2에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체(51)를 가지며, 그 감광체(51)의 주위에, 대전기(52), 현상기(53), 및 클리너(5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중간 전사 벨트(61)를 감광체(51)와의 사이에 끼운 위치에는, 전사기(54)가 배치되어 있다.
감광체(51)는 롤 형상을 가지며, 대전에 의해 전하를 유지하고 노광에 의해 그 전하를 방출해서 그 표면에 정전 잠상을 유지한다.
대전기(52)는, 감광체(51)의 표면을 어느 대전 전위로 대전한다.
또한, 이 화상 형성부(1B)는, 상술한 노광 장치(42)를 가진다. 이 노광 장치(42)에는, 노광 제어부(41)로부터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그 입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변조된 노광 광(421Y, 421M, 421C, 421K)을 출력한다. 감광체(51)는, 대전기(52)에 의한 대전을 받은 후, 노광 장치(42)로부터의 노광 광(421Y)의 조사를 받아 감광체(51)의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감광체(51)는, 노광 광(421Y)의 조사를 받아서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 후, 현상기(53)에 의해 현상되어, 그 감광체(51)의 표면에 토너 상(이 상 형성 유닛(50Y)에서는 옐로(Y)의 토너에 의한 토너 상)이 형성된다.
현상기(53)는, 내부에 토너와 캐리어로 이루어지는 현상제를 수용한 케이스(531) 내에, 현상제를 교반하는 2개의 오거(532_1, 532_2)와, 현상제를 감광체(51)에 대향한 위치에 옮기는 현상 롤(533)을 가진다. 감광체(51)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의 현상에 있어서는, 현상 롤(533)에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그 바이어스 전압의 작용에 의해, 현상제 중의 토너가, 감광체(51)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따라서 감광체(51) 위에 부착되어, 토너 상이 형성된다.
현상기(53)에 의한 현상에 의해 감광체(51) 위에 형성된 토너 상은, 전사기(54)의 작용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61) 위에 전사된다.
이 전사 후에 감광체(51) 위에 잔존하는 토너는, 클리너(55)에 의해 감광체(51) 위로부터 제거된다.
중간 전사 벨트(61)는, 복수의 롤(62)에 걸쳐 돌려진 무단(無端) 벨트이다. 중간 전사 벨트(61)는, 4개의 상 형성 유닛(50Y, 50M, 50C, 50K)의 나열을 따라, 화살표 C 방향으로 순환 이동한다. 이 중간 전사 벨트(61)가, 피전사체의 일례에 상당한다.
상 형성 유닛(50Y, 50M, 50C, 50K) 각각에서 형성된 각 색 토너에 의한 토너 상은, YMCK의 순으로 순차적으로 겹치도록 중간 전사 벨트(61) 위에 전사되어, 전사기(63)가 배치된 2차 전사 위치에 반송된다. 이것과 동기하여, 대기 롤(28)에까지 반송되어 와 있던 용지 P가 2차 전사 위치에 반송되어, 전사기(63)의 작용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61) 위의 토너 상이, 반송되어 온 용지 P 위에 전사된다. 이 토너 상의 전사를 받은 용지 P는, 더 반송되어, 정착기(64)에 의한 가압 및 가열에 의해 용지 위의 토너 상이 그 용지 P 위에 정착된다. 정착된 토너 상으로 이루어지는 화상이 용지 위에 형성된 용지 P는 더 반송되어, 배출 롤러(65)에 의해, 배지대(21) 위에 배출된다. 전사기(63)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전사기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정착기(64)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정착기의 일례에 상당한다.
전사기(63)에 의해 토너 상을 용지 P 위에 전사한 후의 중간 전사 벨트(61)는 더 순환 이동하여, 그 표면에 잔존하는 토너가 클리너(66)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61) 위로부터 제거된다.
또한, 화상 형성부(1B)의, 중간 전사 벨트(61)보다도 상방에는 용기 장착부(29Y, 29M, 29C, 29K)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용기 장착부(29Y, 29M, 29C, 29K)에는, YMCK 각 색의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용기(67Y, 67M, 67C, 67K)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토너 용기(67Y, 67M, 67C, 67K)에 수용되어 있는 각 색 토너는, 대응하는 각 현상기(53)에 있어서의 토너의 소비량에 따라 각 현상기(53)에 보급된다.
여기서, 이 화상 형성부(1B)에서는, 예를 들면 동작 중의 진동이나 온도변화, 혹은, 상 형성 유닛의 교환시의 장착 위치 편차 등에 의해, 각 색 토너의 토너 상의, 중간 전사 벨트(61) 위에서의 전사 위치에 편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이 화상 형성부(1B)에서는, 주 제어부(40)에서 다음과 같은 레지스트레이션 처리가 행해진다.
레지스트레이션 처리는, 노광 제어부(41)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각 상 형성 유닛의 감광체(51)로의 노광 광의 조사 타이밍을 조정함으로써 감광체(51) 위의 정전 잠상의 형성 위치를 조정하는 처리이다. 중간 전사 벨트(61) 위에서의 토너 상의 위치는, 감광체(51) 위의 정전 잠상의 형성 위치에 따른 위치가 된다. 이하, 감광체(51) 위의 정전 잠상의 형성 위치를, 토너 상 형성 위치라고 부른다. 이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에 의해, 토너 상 형성 위치가, 각 색 토너 상 상호간의 위치 편차분만큼 조정된다. 주 제어부(40)의, 이 레지스트레이션 처리를 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형성 위치 조정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에서는, 노광 광의 조사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값이 사용된다. 이 조정값은, 예를 들면 소정 매수의 화상 형성이 행하여졌을 때, 혹은 온도 습도 환경이 변화되었을 때, 또한 부품 교환이 행하여졌을 때 등, 다양한 사상을 계기로 하여 생성된다. 그리고, 조정값을 생성하는 데 있어서는, 미리 결정된 형상을 가지는 YMCK 각 색용의 토너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사용된다. 조정값의 생성시에는, 중간 전사 벨트(61)에, 이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전사된다. 그리고,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이루는 토너 패턴이 광전적으로 검출된다.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각 색의 상 형성 유닛(50Y, 50M, 50C, 50K) 상호간에 있어서의 현 시점에서의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가 산출된다. 또한, 그 산출 결과분만큼 토너 상 형성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값이 생성된다.
이 화상 형성부(1B)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61)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K색의 상 형성 유닛(50K)보다도 하류측에서 전사기(63)보다도 상류측의 위치에, 빛을 조사해서 반사광을 수광하고, 그 반사광의 강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70)가 배치되어 있다. 광센서(70)는, 파장이 940㎚의 빛을 조사하는 조사부(71)와,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부(72)를 가지고 있다. 수광부(72)는, 조사부(71)로부터 조사되어, 중간 전사 벨트(61) 위에서 경면 반사된 빛이 수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광센서(70)의 출력 신호는 주 제어부(40)에 보내진다. 제1 실시예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61) 위에 형성된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이루는 토너 패턴의 위치가, 이 광센서(70)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된다. 이 광센서(70)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마크 센서의 일례에 상당한다.
주 제어부(40)는, 토너 패턴 검출시에 광센서(7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토너 패턴 상호간의 상대 위치의 계측, 현시점에서의 각 색 상호간의 토너 상 형성 위치의 위치 편차량의 산출, 및 조정값의 생성을 행한다. 주 제어부(40)의, 토너 상 형성 위치의 위치 편차량의 산출을 행하는 기능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형성 위치 편차 산출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에 사용되는 조정값을 생성해야 할 사상이 도래하면, 그 시점에서는 인쇄 동작 실행 중인 등, 조정값 생성의 실행을 기다리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제1 실시예에서는, 조정값을 생성해야 할 사상이 도래하면, 우선 조정값 생성 요구 플래그가 세워진다. 그 후에, 인쇄 동작 등의 처리가 종료한 타이밍에서 그 플래그가 참조된다. 그리고, 그 플래그가 세워져 있을 때에, 주 제어부(40)는, YMCK 각 색의 상 형성 유닛(50Y, 50M, 50C, 50K)에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형성시켜서, 중간 전사 벨트(61) 위에 전사시킨다. 주 제어부(40)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마크 형성 제어부의 일례에도 상당하고 있다.
그리고, 이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의 형성에 이어서, 광센서(70)에 의한 반사광의 수광, 주 제어부(40)에 의한 조정값의 생성이 실행된다.
생성된 조정값은, 주 제어부(40)가 구비하는 기억부(40a)에 기억된다. 그리고, 그 조정값이, 다음에 새로운 조정값이 생성될 때까지의 동안, 각 화상 형성시의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에 사용된다.
여기서, 제1 실시예에서는,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에 사용되는 조정값을 생성하고, 후술의 플로차트가 나타내는 처리에서, 이하에 설명하는 2 종류의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형성된다.
도 3은 2 종류의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파트 (A)에는, 각 토너 패턴이 2색의 토너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3의 파트 (B)에는, 각 토너 패턴이 단색의 토너로 형성된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가 나타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의 조정값의 생성에 있어서, 도 3의 파트 (A)의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와, 도 3의 파트 (B)의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가 사용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정값의 생성 방법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의 파트 (A)에 나타내는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는, YMCK 각 색용의 토너 패턴(101Y, 101M, 101C, 101K)을 가지고 있다.
Y색용의 토너 패턴(101Y)은, 도 2에 나타내는 Y색의 상 형성 유닛(50Y)의 토너 상 형성 위치의, K색의 상 형성 유닛(50K)의 토너 상 형성 위치에 대한 위치 편차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검출하기 위한 토너 패턴이다. M색용의 토너 패턴(101M)은, M색의 상 형성 유닛(50M)의 토너 상 형성 위치의, K색의 상 형성 유닛(50K)의 토너 상 형성 위치에 대한 위치 편차 검출용의 토너 패턴이다. C색용의 토너 패턴(101C)은, C색의 상 형성 유닛(50C)의 토너 상 형성 위치의, K색의 상 형성 유닛(50K)의 토너 상 형성 위치에 대한 위치 편차 검출용의 토너 패턴이다. 또한, K색용의 토너 패턴(101K)은, 기준 위치가 되는 K색의 상 형성 유닛(50K)의 토너 상 형성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토너 패턴이다.
YMCK 각 색용의 토너 패턴(101Y, 101M, 101C, 101K)은 서로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이들 토너 패턴은, 도면 중 오른쪽 아래로 기울어진 아암과 오른쪽 위로 기울어진 아암이 도면 중 좌측에 볼록한 화살촉 형상으로 연결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의 YMCK 각 색용의 토너 패턴(101Y, 101M, 101C, 101K)은, 다음과 같은 패턴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4는 도 3의 파트 (A)에 나타내는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이루는 토너 패턴이 가지고 있는 패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4에는, 화살촉 형상을 가지는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를 이루는 토너 패턴(101)의 2개의 아암 중의 1개의 아암(101_1)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를 이루는 YMCK 각 색용의 토너 패턴은, 서로 동등한 패턴 구조를 가지고 있고, 도 4에서는, 색의 구별이 사상(捨象)된 토너 패턴(101)이 표시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아암(101_1)은, 도 2에도 나타낸 화살표 C가 나타내는 중간 전사 벨트(61)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도면 중의 좌우 방향에 대해서 27°기울고 있어, 그 이동 방향에 40도트(1도트=42㎛)의 폭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아암(101_1)을 포함하는 토너 패턴(101)은, 이 토너 패턴(101)의 상면에 있어서의 중간 전사 벨트(61)의 이동 방향의, 이 토너 패턴(101)의 상면에 있어서의 폭이 12도트인 내측 패턴(102)을 가지고 있다. 또한, 토너 패턴(101)은 외측 패턴(103)을 가지고 있다. 외측 패턴(103)은, 설계상, 내측 패턴(102)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지 않고, 이 내측 패턴(102)을 화살표 C가 나타내는 중간 전사 벨트(61)(도 2 참조)의 이동 방향 양측으로 끼우고 있다.
도 3의 파트 (A)로 돌아와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에 관한 설명을 계속한다.
도 3의 파트 (A)에 나타내는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의 YMC 3색용의 토너 패턴(101Y, 101M, 101C)은, 화살표 C가 나타내는 중간 전사 벨트(61)의 이동 방향에,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으로 YMC의 순으로 일렬로 나열되어 있다. 그리고, YMC 각 색용의 토너 패턴(101Y, 101M, 101C)과 교대로 K색용의 토너 패턴(101K)이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YMC 각 색용의 토너 패턴(101Y, 101M, 101C)은, 화살표 C가 나타내는 이동 방향 양측으로 K색용의 토너 패턴(101K)에 끼워져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도시의 간단화를 위해, YMC 각 색용의 토너 패턴(101Y, 101M, 101C)이 각각 1개씩 표시되어 있다. 제1 실시예의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는, YMC 각 색용의 토너 패턴(101Y, 101M, 101C)을 복수개씩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 Y색용의 토너 패턴(101Y)이 K색용의 토너 패턴(101K) 사이에 끼워져 있다. 또한, 각 M색용의 토너 패턴(101M)이 K색용의 토너 패턴(101K) 사이에 끼워져 있다. 또한, 각 C색용의 토너 패턴(101C)이 K색용의 토너 패턴(101K) 사이에 끼워져 있다.
K색용의 토너 패턴(101K)은, C색의 토너로 형성된 내측 패턴(102C)과, K색의 토너로 형성된 외측 패턴(103K)을 가지고 있다.
즉, 이 K색용의 토너 패턴(101K)은, K색의 상 형성 유닛(50K)에서 사용되는 K색의 토너와, 그 K색의 상 형성 유닛(50K)과는 다른 C색의 상 형성 유닛(50C)에서 사용되는 C색의 토너를 조합시켜서 형성되어 있다.
C색의 내측 패턴(102C)은, 화살표 C가 나타내는 이동 방향에 간격을 두지 않고 C색의 토너가 분포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K색의 외측 패턴(103K)은, 이 C색의 내측 패턴(102C)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지 않고, 이 C색의 내측 패턴(102C)을 화살표 C가 나타내는 이동 방향 양측으로 끼우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Y색용의 토너 패턴(101Y)은, K색의 토너로 형성된 내측 패턴(102K)과, Y색의 토너로 형성된 외측 패턴(103Y)을 가지고 있다.
이 Y색용의 토너 패턴(101Y)은, Y색의 상 형성 유닛(50Y)에서 사용되는 Y색의 토너와, 그 Y색의 상 형성 유닛(50Y)과는 다른 K색의 상 형성 유닛(50K)에서 사용되는 K색의 토너를 조합시켜서 형성되어 있다.
K색의 내측 패턴(102K)은, 화살표 C가 나타내는 이동 방향에 간격을 두지 않고 K색의 토너가 분포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Y색의 외측 패턴(103Y)은, K색의 내측 패턴(102K)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지 않고, 이 K색의 내측 패턴(102K)을 화살표 C가 나타내는 이동 방향 양측으로 끼우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M색용의 토너 패턴(101M)은, K색의 토너로 형성된 내측 패턴(102K)과, M색의 토너로 형성된 외측 패턴(103M)을 가지고 있다.
이 M색용의 토너 패턴(101M)은, M색의 상 형성 유닛(50M)에서 사용되는 M색의 토너와, 그 M색의 상 형성 유닛(50M)과는 다른 K색의 상 형성 유닛(50K)에서 사용되는 K색의 토너를 조합시켜서 형성되어 있다.
M색의 외측 패턴(103M)은, K색의 내측 패턴(102K)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지 않고, 이 K색의 내측 패턴(102K)을 화살표 C가 나타내는 이동 방향 양측으로 끼우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C색용의 토너 패턴(101C)은, K색의 토너로 형성된 내측 패턴(102K)과, C색의 토너로 형성된 외측 패턴(103C)을 가지고 있다.
이 C색용의 토너 패턴(101C)은, C색의 상 형성 유닛(50C)에서 사용되는 C색의 토너와, 그 C색의 상 형성 유닛(50M)과는 다른 K색의 상 형성 유닛(50K)에서 사용되는 K색의 토너를 조합시켜서 형성되어 있다.
C색의 외측 패턴(103C)은, K색의 내측 패턴(102K)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지 않고, 이 K색의 내측 패턴(102K)을 화살표 C가 나타내는 이동 방향 양측으로 끼우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의 YMCK 각 색용의 토너 패턴(101Y, 101M, 101C, 101K) 전부가, 내측 패턴을 가지는 형태가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K색용의 토너 패턴만이 내측 패턴을 가지고, 다른 YMC 각 색용의 토너 패턴이 각 색용의 토너만으로 형성되어 있는 형태여도 된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의 K색용의 토너 패턴(101K)이, C색의 내측 패턴(102C)을 가지는 형태가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K색용의 토너 패턴이, Y색의 내측 패턴을 가지는 형태여도 되고, K색용의 토너 패턴이, M색의 내측 패턴을 가지는 형태여도 된다.
도 3의 파트 (B)에 나타내는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도, YMCK 각 색용의 토너 패턴(201Y, 201M, 201C, 201K)을 가지고 있다.
그들 토너 패턴(201Y, 201M, 201C, 201K)의 외형은, 상기한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의 각 색용의 토너 패턴(101Y, 101M, 101C, 101K)의 외형과 같다.
또한,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의 각 색용의 토너 패턴(201Y, 201M, 201C, 201K)의 배열은, 상기한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의 각 색용의 토너 패턴(101Y, 101M, 101C, 101K)의 배열과 같다.
단, 이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의 YMCK 각 색용의 토너 패턴(201Y, 201M, 201C, 201K)은, 각각 YMCK 각 색의 토너만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실시예에서는,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 및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에 대해서, YMC 각 색용의 토너 패턴과 교대로 K색용의 토너 패턴이 배치된 형태가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는, YMCK 각 색용의 토너 패턴이 단순하게 이 YMCK의 순서로 나열된 것이 복수 세트 배치된 형태의 것 등이어도 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에 필요한 조정값을 생성하는 것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내는 2종류의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중간 전사 벨트(61) 위에, 후술의 플로차트가 나타내는 처리에서 형성된다.
그리고, 중간 전사 벨트(61)가 화살표 C가 나타내는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2에 나타내는 광센서(70)가 가지는 조사부(71)가 조사하는 빛의 스폿 SP가, 중간 전사 벨트(61) 위에서 각 토너 패턴을 가로지른다. 그리고, 중간 전사 벨트(61)의 표면, 및 각 토너 패턴에서 반사된 반사광이 수광부(72)에서 수광된다.
여기서, 제1 실시예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61)의 표면에서의 경면 반사의 반사율이, 그 표면 위에 형성된 토너 상에서의 경면 반사의 반사율보다도 높다. 이 때문에, 스폿 SP가 각 토너 패턴을 가로지르면 수광부(72)에서 수광되는 반사광의 강도가 저하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이 반사광의 강도의 저하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구성하는 토너 패턴의 위치가 검출된다. 그리고, 이 토너 패턴 위치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에 필요한 조정값이 생성된다.
이 조정값의 생성 방법으로서는, 도 3의 파트 (A)에 나타내는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 파트 (B)에 나타내는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에서 서로 같은 생성 방법이 사용된다. 이하, 이 조정값의 생성 방법에 대해서, 파트 (A)에 나타내는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5는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구성하는 토너 패턴의 위치를 검출했을 때의 광센서의 수광부의 출력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파트 (A)에는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가 나타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수광부(72)는, 주 제어부(40)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반사광의 수광을 시작하고부터의 중간 전사 벨트(61) 위에서의 스폿 SP의 이동 거리에 대한, 수광한 반사광의 강도 레벨의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도 5의 파트 (B)에, 스폿 SP의 이동 거리에 대한, 수광부(72)가 반사광을 수광해서 출력하는 신호의 레벨 변화가, 토너 패턴의 형상에 대응되어지고, 제1 라인(L1)으로 모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이 파트 (B)에서는, 도면 중 우측으로 향할수록 신호 레벨이 낮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폿 SP의 이동 거리가, 도트(1도트=42㎛) 단위로 취급된다.
상기와 같이 각 토너 패턴은 화살촉 형상으로 되어 있어, 도면 중 우측으로 향할수록 간격이 벌어지는 2개의 아암을 가지고 있다. 제1 라인(L1)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광부(72)의 출력 신호는, 스폿 SP가, 각 토너 패턴의 각 아암 위를 통과할 때에 신호 레벨이 저하한다.
이러한 출력 신호는, 도 2에 나타내는 주 제어부(40)에 입력되어, 다음과 같은 임계값 TH와의 비교에 의해 2치화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임계값 TH로서, 중간 전사 벨트(61)의 표면에서의 반사광의 강도에 상당하는 기준 레벨 BL과, 저하가 가장 큰 피크에 있어서의 저하의 바닥 사이의 중간 레벨이 채용되고 있다.
이 2치화에 의해, 수광부(72)의 출력 신호는, 도 5의 파트 (C)에 제2 라인(L2)으로 나타내고 있는 펄스 신호로 변환된다. 이 파트 (C)에서도, 도면 중 우측으로 향할수록 신호 레벨이 낮다. 이 펄스 신호로 나타내는 각 펄스는, 각 토너 패턴의 2개의 아암 각각에 대응하고 있다.
여기서, 각 색의 상 형성 유닛(50Y, 50M, 50C, 50K)의 각 감광체(51) 위에는, 각 색의 토너 상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의 원점(原點)이 있다.
그리고, YMC 각 색의 상 형성 유닛(50Y, 50M, 50C)의 각 감광체(51)의 원점을 중간 전사 벨트(61) 위에 사상(寫像)한 점은, 이상적으로는, K색의 상 형성 유닛(50K)의 감광체(51)의 원점을 중간 전사 벨트(61) 위에 사상한 점과 겹친다.
이하, 각 감광체(51)의 원점을 중간 전사 벨트(61) 위에 사상한 점을, 각 색의 상 형성 유닛(50Y, 50M, 50C, 50K)에 관한 토너 상 형성 위치의 원점이라 부른다. 각 색의 상 형성 유닛(50Y, 50M, 50C, 50K) 상호간에서, 예를 들면 감광체(51)의 장착 오차 등이 존재하면, 원래 겹쳐야 할 각 원점이 어긋난다. 이러한 원점의 편차는, 각 색의 상 형성 유닛(50Y, 50M, 50C, 50K) 상호간에서의 토너 상 형성 위치의 위치 편차를 생기게 한다. 이하, 토너 상 형성 위치의 원점의 위치 편차를, 간단히 토너 상 형성 위치의 위치 편차라 부른다.
제1 실시예에서는, 주 제어부(40)에서, 상기의 펄스 신호에 기초하여, 도 2에 나타내는 YMC 각 색의 상 형성 유닛(50Y, 50M, 50C)의 토너 상 형성 위치의, K색의 상 형성 유닛(50K)의 토너 상 형성 위치의 원점을 기준으로 한 위치 편차량이 산출된다.
한편, K색의 상 형성 유닛(50K)에 대해서는, 그 K색의 상 형성 유닛(50K)의 토너 상 형성 위치의 원점이 상기 위치 편차의 기준이 된다. 즉, K색의 상 형성 유닛(50K)에 대해서는 항상 위치 편차량이 「0」이라고 간주된다.
그리고, 주 제어부(40)는, YMC 각 색의 상 형성 유닛(50Y, 50M, 50C)에 대해서 산출한 위치 편차량에 기초하여,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에서 사용되는 조정값을 생성한다. 한편, K색의 상 형성 유닛(50K)에 대해서는, 상기와 같이 항상 위치 편차량이 「0」이라고 간주되므로 조정값도 항상 「0」이 된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K색의 상 형성 유닛(50K)의 토너 상 형성 위치의 원점을 기준으로 하여 조정값을 생성하는 형태가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K색 이외의 상 형성 유닛의 토너 상 형성 위치의 원점을 기준으로 하여 조정값을 생성하는 형태여도 된다. 혹은, YMCK 각 색의 상 형성 유닛(50Y, 50M, 50C, 50K) 각각에 대해서, 설계상의 기준 위치를 설정해 두는 형태여도 된다. 이 경우, YMCK 각 색의 상 형성 유닛(50Y, 50M, 50C, 50K) 각각의 토너 상 형성 위치의 원점의, 각 기준 위치로부터의 위치 편차량이 산출된다. 그리고, 그 위치 편차량에 기초하여 조정값이 생성된다. 또한, 이러한 기준 위치로부터의 위치 편차량에 기초하여 조정값을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인접하는 상 형성 유닛끼리의 사이에서의 토너 상 형성 위치의 위치 편차량을 산출하고, 그 위치 편차량에 기초하여 조정값을 생성하는 형태여도 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정값의 생성 방법은, YMC 상호간에서 서로 동등하므로, 여기서는, 조정값의 생성에 대해서, Y색의 조정값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Y색의 조정값의 생성에는, 다음과 같은 5개의 펄스 간격이 사용된다.
제1 펄스 간격(T1)은, Y색용의 토너 패턴(101Y)에 대한, 화살표 C가 나타내는 중간 전사 벨트(61)의 이동 방향 하류측의 K색용의 토너 패턴(101K)에 대응한 2개의 펄스의 펄스 간격이다.
제2 펄스 간격(T2)은, Y색용의 토너 패턴(101Y)에 대응한 펄스 중 상기 이동 방향 하류측의 아암에 대응한 펄스와, 하류측의 K색용의 토너 패턴(101K)에 대응한 펄스 중 상류측의 아암에 대응한 펄스의 펄스 간격이다.
제3 펄스 간격(T3)은, Y색용의 토너 패턴(101Y)에 대응한 2개의 펄스의 펄스 간격이다.
제4 펄스 간격(T4)은, Y색용의 토너 패턴(101Y)에 대응한 펄스 중 상기 이동 방향 상류측의 아암에 대응한 펄스와, 상류측의 K색용의 토너 패턴(101K)에 대응한 펄스 중 하류측의 아암에 대응한 펄스의 펄스 간격이다.
제5 펄스 간격(T5)은, 하류측의 K색용의 토너 패턴(101K)에 대응한 2개의 펄스의 펄스 간격이다.
Y색의 토너 상 형성 위치의 위치 편차에는, 감광체(51)(도 2 참조)의 회전축에 따른 주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와, 감광체(51)의 회전 방향에 따른 부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가 있다.
Y색의 토너 상 형성 위치가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주 주사방향에 어긋나 있을 경우, Y색용의 토너 패턴(101Y)이, 중간 전사 벨트(61)의 이동 방향(도 5 중의 화살표 C 방향)과 직행하는 방향으로, K색용의 토너 패턴(101K)으로부터 어긋난다. 이러한 토너 패턴간의 위치 편차는, 상기 제3 펄스 간격(T3)과 제1 펄스 간격(T1)의 차이, 혹은, 제3 펄스 간격(T3)과 제5 펄스 간격(T5)의 차이가 되어 나타난다.
그래서, 제1 실시예에서는, 토너 상 형성 위치의 주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량 L이, 2개의 아암의 각도(패턴 각도)가 상기와 같이 27°의 토너 패턴에 대해서 얻어진 펄스 간격을 이용한 이하 식 1에 의해 산출된다.
[식 1]
L= (T1+T5)/2-T3
여기서, 주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량 L의 산출에 사용된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의 형성시에는, 그 시점에서 주 제어부(40)의 기억부(40a)에 기억되어 있는 조정값을 사용한 레지스트레이션 처리가 행해지고 있다. 상기 식 1에서 생성되는 값 L이 나타내는 위치 편차량은, 이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에서도 조정하지 못하고 생긴 주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량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에는, 상기와 같이 Y색용의 토너 패턴(101Y)이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Y색용의 토너 패턴(101Y) 각각에 대해서 상기 식 1에서 생성되는 값 L의 평균값이, 주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량으로서 채용된다. 이하, 이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주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량에 대해서 「L」 문자를 첨부해서 설명을 계속한다.
그래서, 도 2에 나타내는 주 제어부(40)는, 주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량 L을 산출하면, 그 값 L이 나타내는 양의 위치 편차와 반대방향으로 토너 상 형성 위치가 어긋나도록, 현시점에서의 주 주사방향의 조정값을 보정하여, 새로운 주 주사방향의 조정값을 생성한다.
또한, Y색의 토너 상 형성 위치가 상기 부 주사방향에 어긋나 있는 경우, Y색용의 토너 패턴(101Y)이, 중간 전사 벨트(61)의 이동 방향(도 5 중의 화살표 C 방향)으로, 한쪽의 K색용의 토너 패턴(101K) 쪽으로 치우친다. 이 경우, Y색용의 토너 패턴(101Y)과 도면 중 상측의 K색용의 토너 패턴(101K)의 간격, 및 Y색용의 토너 패턴(101Y)과 도면 중 하측의 K색용의 토너 패턴(101K)의 간격이 서로 다르다.
제1 실시예에서는, Y색용의 토너 패턴(101Y)과 도면 중 상측의 K색용의 토너 패턴(101K)의 간격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T1/2+T2+T3/2)가 채용되고 있다. 또한, Y색용의 토너 패턴(101Y)과 도면 중 하측의 K색용의 토너 패턴(101K)의 간격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T5/2+T4+T3/2)가 채용되고 있다. 그리고, 토너 상 형성 위치의 부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량 P가, 이하의 식 2를 이용하여 산출된다.
[식 2]
P= (T1/2+T2)/2 - (T5/2+T4)/2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Y색용의 토너 패턴(101Y) 각각에 대해서 상기 식 2에서 생성되는 값 P의 평균값이, 부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량으로서 채용된다. 이하, 이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부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량에 대해서 「P」 문자를 첨부해서 설명을 계속한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주 제어부(40)는, 부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량 P를 산출하면, 그 값 P가 나타내는 양의 위치 편차와 반대방향으로 토너 상 형성 위치가 어긋나도록, 현시점에서의 부 주사방향의 조정값을 보정하여, 새로운 부 주사방향의 조정값을 생성한다.
MC 각 색의 새로운 조정값에 관해서도, Y색과 같은 생성 방법에 의해 각각 생성된다.
주 제어부(40)의 기억부(40a) 내의 조정값은, 이와 같이 새롭게 생성된 조정값으로 갱신된다. 그리고, 그 새로운 조정값이, 다음에 새롭게 조정값이 생성될 때까지의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에 사용된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YMC 각 색의 조정값을, YMC 각 색용의 토너 패턴을 끼우는 2개의 K색용의 토너 패턴에 관한 펄스 간격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형태가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YMC 각 색의 조정값을, 예를 들면 YMC 각 색용의 토너 패턴에 인접하는 1개의 K색용의 토너 패턴에 관한 펄스 간격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형태 등이어도 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YMCK 각 색의 토너로 형성되는 토너 상은 다음과 같은 분광 반사율을 가지고 있다.
도 6은 YMCK 각 색의 토너로 형성되는 토너 상의 분광 반사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그래프(G1)에서는, 가로축에 빛의 파장을 두고, 세로축에 분광 반사율을 두고 있다. 그리고, 그래프(G1)에는, YMCK 각 색의 토너로 형성되는 토너 상에 대해서, 빛의 파장에 대한 분광 반사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이 기재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광센서(70)가 가지는 조사부(71)가 조사하는 빛의 파장은, 상술한 바와 같이 940㎚로 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그래프(G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파장이 940㎚인 빛에 대해서, YMC 3색 각각의 토너 상은 분광 반사율이 K색의 토너 상의 분광 반사율보다도 높다.
도 3의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의 K색용의 토너 패턴(101K)은, 분광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C색의 내측 패턴(102C)을 화살표 C가 나타내는 이동 방향 양측으로, 분광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K색의 외측 패턴(103K) 사이에 끼운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의 Y색용의 토너 패턴(101Y)은, 분광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K색의 내측 패턴(102K)을 화살표 C가 나타내는 이동 방향 양측으로, 분광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Y색의 외측 패턴(103Y) 사이에 끼운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의 M색용의 토너 패턴(101M)은, 분광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K색의 내측 패턴(102K)을 화살표 C가 나타내는 이동 방향 양측으로, 분광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M색의 외측 패턴(103M) 사이에 끼운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의 C색용의 토너 패턴(101C)은, 분광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K색의 내측 패턴(102K)을 화살표 C가 나타내는 이동 방향 양측으로, 분광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C색의 외측 패턴(103C) 사이에 끼운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와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광센서(70)의 수광부(72)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파형이 다음과 같이 다르다.
우선,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에 대해서 얻어지는 출력 신호의 파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3의 파트 (B)에 나타내는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에 대해서 얻어진, 수광부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도 7의 그래프(G2)에서는, 세로축에 수광부(72)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레벨(전압)을 두고, 가로축에 시간을 두고 있다. 또한, 이 가로축의 시간은, 주 제어부(40)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수광부(72)가 반사광의 수광을 시작하고나서의 중간 전사 벨트(51) 위에서의 스폿 SP의 이동 거리를, 그 수광을 시작하고나서의 경과 시간으로 환산한 것이다.
그리고, 이 그래프(G2)에는, C색용의 토너 패턴에 대해서 얻어진 출력 신호를 나타내는 제3 라인(L3)과, K색용의 토너 패턴에 대해서 얻어진 출력 신호를 나타내는 제4 라인(L4)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이 그래프(G2)에서는, 제3 라인(L3)에 대해서, 신호 레벨이 저하하고 있는 위치가, 제4 라인(L4)에서 신호 레벨이 저하하고 있는 위치와 대략 일치하도록 시간축을 어긋나게 해서 나타내고 있다.
이 그래프(G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K색용의 토너 패턴에 대해서 얻어진 출력 신호의 파형과, C색용의 토너 패턴에 대해서 얻어진 출력 신호의 파형은 서로 불일치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K색용의 토너 패턴에 대해서 얻어진 출력 신호의 레벨의 저하량이, C색용의 토너 패턴에 대해서 얻어진 출력 신호의 레벨의 저하량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토너 상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에는, 토너 상 표면에서 경면 반사되는 반사광(경면 반사광) 이외에, 토너 상 표면에서 확산되어 주위로 퍼진 상태에서 반사되는 반사광(확산 반사광)이 포함되어 있다.
K색용의 토너 패턴에 대해서는, 분광 반사율이 작으므로 확산 반사광이 매우 작고, 조사부(71)가 조사하는 빛의 스폿 SP가 토너 패턴을 가로지를 때의 경면 반사광의 저하가 거의 그대로 수광부(72)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레벨의 저하가 되어서 나타난다.
한편, C색용의 토너 패턴에 대해서는, 분광 반사율이 K색용의 토너 패턴보다도 높다. 이 때문에, 빛의 스폿 SP가 토너 패턴을 가로지를 때에 경면 반사광이 저하해도, 어느 정도의 값을 가진 확산 반사광이 수광부(72)에서 수광되므로, 수광부(72)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레벨의 저하량이 K색용의 토너 패턴보다도 작다.
또한, Y색, M색용의 토너 패턴에 관해서도, C색용의 토너 패턴과 마찬가지로, 확산 반사광의 영향에 의해, 수광부(72)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레벨의 저하량이 K색용의 토너 패턴보다도 작아진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에서 사용되는 조정값의 생성은, 상기 식 1 및 식 2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이들 식은, 도 5의 파트 (C)에 나타내는, 수광부(72)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2치화해서 얻어지는 펄스 신호에 있어서의 펄스 간격(T1, …, T5)을 이용한 식이다.
이들 식에서 산출되는 주 주사방향 및 부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량(L, P)은, K색의 출력 신호의 파형과 YMC 각 색의 출력 신호의 파형이 서로 일치하고 있으면, 각 색의 토너 상 형성 위치의 상호간에 편차가 없을 경우에는 양쪽 모두 「0」이 된다. 그리고, 그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 주 제어부(40)의 기억부(40a)에 기억되어 있는 조정값이, 이후의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에서 계속해서 사용되게 된다.
여기서, 도 7의 그래프(G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에서는, K색의 출력 신호의 파형과 YMC 각 색의 출력 신호의 파형이 서로 불일치가 된다. 그 결과, 각 색의 토너 상 형성 위치의 상호간에 편차가 없을 경우에 서로 일치해야 할 제1, 제3, 제5 펄스 간격(T1, T3, T5)의 사이에서 불일치가 생기기 쉽다. 마찬가지로, 제2, 제4 펄스 간격(T2, T4)의 사이에서도 불일치가 생기기 쉽다.
그리고, 이러한 펄스 간격(T1, …, T5)의 불일치는, 주 주사방향 및 부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량(L, P)에, 각 색의 토너 상 형성 위치의 상호간에 편차가 없을 경우에도 얼마간의 값(오프셋 값)을 취하게 해버린다. 이러한 오프셋 값은, 주 주사방향 및 부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량(L, P)의 산출 오차를 조장하는 요인이 된다.
다음에, 도 3의 파트 (A)에 나타내는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에 대해서 얻어지는, 도 2에 나타내는 광센서(70)의 수광부(72)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파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3의 파트 (A)에 나타내는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에 대해서 얻어진, 수광부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도 8의 그래프(G3)에서는, 세로축에 수광부(72)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레벨(전압)을 두고, 가로축에 시간을 두고 있다. 또한, 이 그래프(G3)에 있어서의 가로축의 시간도, 수광부(72)가 반사광의 수광을 시작하고나서의 중간 전사 벨트(51) 위에서의 스폿 SP의 이동 거리를, 그 수광을 시작하고나서의 경과 시간으로 환산한 것이다. 그리고, 이 그래프(G3)에는, C색용의 토너 패턴에 대해서 얻어진 출력 신호를 나타내는 제5 라인(L5)과, K색용의 토너 패턴에 대해서 얻어진 출력 신호를 나타내는 제6 라인(L6)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이 그래프(G3)에서도, 상기 도 7의 그래프(G2)와 마찬가지로, 제5 라인(L5)에 대해서, 신호 레벨이 저하하고 있는 위치가, 제6 라인(L6)에 있어서 신호 레벨이 저하하고 있는 위치와 대략 일치하도록 시간축을 어긋나게 해서 나타내고 있다.
이 그래프(G3)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에서는, K색용의 토너 패턴에 대해서 얻어진 출력 신호의 파형과, C색용의 토너 패턴에 대해서 얻어진 출력 신호의 파형의 차이는,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에 비해서 작다.
K색용의 토너 패턴에 대해서는, 조사부(71)가 조사하는 빛의 스폿 SP가 토너 패턴을 가로지를 때의 수광부(72)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레벨의 저하가 C색의 내측 패턴으로의 확산 반사광에 의해 억제된다.
이 때문에,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에서는, K색용의 토너 패턴에 대해서 얻어지는 출력 신호의 파형은,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에 비하여, YMC 각 색용의 토너 패턴에 대해서 얻어지는 출력 신호의 파형에 가깝다.
또한,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에서는, C색용의 토너 패턴에 대해서, K색의 내측 패턴에 의해 확산 반사광이 억제된다. 그 결과, 조사부(71)가 조사하는 빛의 스폿 SP가 토너 패턴을 가로지를 때의 수광부(72)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레벨의 저하가 촉진된다.
이 때문에,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에서는, C색용의 토너 패턴에 대해서 얻어지는 출력 신호의 파형은,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에 비하여, K색용의 토너 패턴에 대해서 얻어지는 출력 신호의 파형에 가깝다.
또한, Y색용, M색용의 토너 패턴에 관해서도, C색용의 토너 패턴과 마찬가지로, K색의 내측 패턴에 의해 확산 반사광이 억제되고, 수광부(72)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레벨의 저하가 촉진된다. 이 때문에,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에서는, YM 각 색용의 토너 패턴에 대해서 얻어지는 출력 신호의 파형도,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에 비하여, K색용의 토너 패턴에 대해서 얻어지는 출력 신호의 파형에 가깝다.
이와 같이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에서는, K색용의 토너 패턴에 대해서 얻어지는 출력 신호의 파형과, YMC 각 색용의 토너 패턴에 대해서 얻어지는 출력 신호의 파형의 차이는,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에 비하여 작다.
이 때문에,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에서는, 상기 펄스 간격(T1, …, T5)의 불일치가,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에 비해서 작고, 나아가서는, 상기와 같은 오프셋 값이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에 비해서 작다. 즉,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에서는, 주 주사방향 및 부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량(L, P)의 산출 오차가 저감되게 된다.
또한,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에서는,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 2치화시에 임계값 TH와의 비교되는 신호 레벨의 근방에서는, K색의 출력 신호의 파형과, YMC 각 색의 출력 신호의 파형이, 차이가 거의 무시될 정도로 일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에서는, 원래 상기 오프셋 값이 거의 「0」이라고 간주된다. 따라서,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에서는, 주 주사방향 및 부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량(L, P)의 산출 오차가 거의 「0」이라고 간주된다.
여기서,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에 있어서, 위치 편차량의 산출 오차가 거의 「0」이라고 간주되는 것은, 그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가, 내측 패턴이 외측 패턴의 내측에 위치한 정상 마크일 경우에 한정된다.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의 형성에 실패하여, 내측 패턴이 외측 패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으면, 상술한 바와 같은 출력 신호의 파형의 차이가 K색과 YMC 각 색의 상호간에 크게 달라서, 위치 편차량의 산출 오차가 오히려 증가해 버릴 수도 있다.
즉,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에 기초하여, 산출 오차가 거의 「0」의 고정밀도로 산출되는 위치 편차량은,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의 형성 실패가 회피되어 내측 패턴이 외측 패턴의 내측에 들어가는 범위 내의 위치 편차량으로 되고 있다.
한편, 상기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에서는, 정상인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에 비하면 산출 오차가 크다. 그러나,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에 의하면, 위치 편차량이 다소 커도, 개개의 토너 패턴이 식별되면, 산출 오차의 증래를 초래하지 않고 위치 편차량이 산출된다.
여기서, 개개의 토너 패턴이 식별되는 것이란, 인접한 토너 패턴끼리가 서로 식별 불능할 정도로 겹치지 않고, 또한, 조사부(71)가 조사하는 빛의 스폿 SP가, 토너 패턴의 2개의 아암을 가로지르는 것을 의미한다. 즉,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에서는, 개개의 토너 패턴이 식별되면 형성 성공으로 간주되어서 위치 편차량의 산출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는, 형성 실패가 회피되는 위치 편차량의 범위가, 상기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보다도 넓다.
제1 실시예에서는, 위치 편차량의 산출 오차와, 형성 실패가 회피되는 위치 편차량의 범위의 넓이가 서로 다른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와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가, 이하에 설명하는 플로차트가 나타내는 처리에서 형성된다.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의 일례에 상당한다.
이하,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와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를 사용해서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의 조정값을 생성하는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에 사용되는 조정값을 생성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 플로차트가 나타내는 처리는, 소정 매수의 화상 형성 등의 다양한 사상의 도래 후, 인쇄 동작 등의 처리가 종료한 타이밍에서 조정값 생성 요구 플래그가 세워져 있으면, 주 제어부(40)에서 개시된다.
처리가 개시되면, 우선, 주 제어부(40)가, 4개의 상 형성 유닛(50Y, 50M, 50C, 50K)에 도 3의 파트 (A)에 나타나는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를 중간 전사 벨트(61) 위에 형성시킨다(단계 S101). 또한, 이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의 형성은, 이 형성 시점에서 기억부(40a)에 기억되어 있는 조정값을 사용한 레지스트레이션 처리를 거쳐서 행해진다.
또한, 이 단계 S101에서는, 주 제어부(40)는, 도 2에 나타내는 광센서(70)의 조사부(71)에 빛을 조사시키고 수광부(72)에 반사광을 수광시켜서 출력 신호를 출력시킨다. 수광부(72)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주 제어부(40)에 입력되고, 주 제어부(40)는,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출력 신호를 2치화해서 펄스 신호를 얻는다.
그리고, 주 제어부(40)는, 그 펄스 신호에 기초하여, YMC 각 색에 대해서 주 주사방향 및 부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량을 상기 식 1 및 식 2를 사용해서 산출한다.
다음에, 주 제어부(40)는, 그 펄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단계 S101에서 형성된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가 정상 마크인지의 여부를 다음과 같이 판정한다(단계 S102).
주 제어부(40)는, 우선, 산출된 주 주사방향 및 부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량이,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에 있어서 내측 패턴이 외측 패턴의 내측에 들어가는 범위 내의 위치 편차량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도 10은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에 있어서의 YMCK 각 색용의 토너 패턴에 관하여 내측 패턴이 외측 패턴의 내측에 들어가는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파트 (A)에는, K색용의 토너 패턴(101K)의 2개의 아암 중 1개의 아암(101K_1)의 상면도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10의 파트 (B)에는, 그 아암(101K_1)의, 파트 (A) 중의 D-D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10의 파트 (C)에는, YMC 각 색용의 토너 패턴(101Y, 101M, 101C)의 2개의 아암 중 1개의 아암(101Y_1, 101M_1, 101C_1)의 상면도가 나타나 있다. 또한, 파트 (D)에는, 그 아암(101Y_1, 101M_1, 101C_1)의, 파트 (C) 중의 E-E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 형성 유닛(50Y, 50M, 50C, 50K)의 각각에서 형성된 각 색 토너에 의한 토너 상은, YMCK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겹쳐지도록 중간 전사 벨트(61) 위에 전사된다.
이 때문에, K색용의 토너 패턴(101K)은, 도 10의 파트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색의 내측 패턴(102C) 위로부터 K색의 외측 패턴(103K)이 겹쳐진 구조가 된다. 이 K색용의 토너 패턴(101K)에서는, K색의 외측 패턴(103K)은, C색의 내측 패턴(102C)이 들여다보이는, 12도트의 간극(103Ka)을 가지는 40도트 폭의 패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C색의 내측 패턴(102C)은, K색의 외측 패턴(103K) 아래에 숨겨지는 부분을 포함해서 26도트의 폭으로 형성된다.
이 K색용의 토너 패턴(101K)에서는, C색의 내측 패턴(102C)은, 도면 중에 화살표 C로 나타내는 중간 전사 벨트(61)의 이동 방향의 위치 편차가 7도트 미만이면 K색의 외측 패턴(103K)의 내측에 들어간다.
한편, YMC 각 색용의 토너 패턴(101Y, 101M, 101C)은, YMC 각 색의 외측 패턴(103Y, 103M, 103C) 위로부터 K색의 내측 패턴(102K)이 겹쳐진 구조가 된다. 이러한 YMC 각 색용의 토너 패턴(101Y, 101M, 101C)에서는, YMC 각 색의 외측 패턴(103Y, 103M, 103C)은 간극 없이 토너로 메워진 40도트 폭의 패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K색의 내측 패턴(102K)은 12도트의 폭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YMC 각 색용의 토너 패턴(101Y, 101M, 101C)에서는, YMC 각 색의 외측 패턴(103Y, 103M, 103C)의 위치 편차가 14도트 미만이면, K색의 내측 패턴(102K)이 이들 외측 패턴의 내측에 들어간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토너 상 형성 위치의 위치 편차에는, 중간 전사 벨트(61)의 이동 방향에 직행하는 주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와, 그 이동 방향에 평행한 부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제1 실시예에서는,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를 이루는 토너 패턴의 아암은, 중간 전사 벨트(61)의 이동 방향과 직행하는 주 주사방향에 대해서 27° 기울고 있다. 그 때문에, 주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는, 토너 패턴에 있어서의 내측 패턴에, 그 27°의 경사각에 따라 주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량의 2분의 1에 상당하는 양의, 중간 전사 벨트(61)의 이동 방향의 위치 편차를 생기게 한다. 즉, 내측 패턴의, 중간 전사 벨트(61)의 이동 방향의 위치 편차량은, 주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량의 2분의 1과, 부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량의 합계가 된다.
도 9의 단계 S102에서는, C색에 대해서 산출된 주 주사방향 및 부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량(Lc, Pc)이, C색의 내측 패턴(102C)이 K색의 외측 패턴(103K)의 내측에 들어가는 범위 내의 위치 편차량인지의 여부가 다음 식에 의해 판정된다.
[식 3]
|Lc/2|+|Pc|〈7
또한, YM 각 색에 대해서 산출된 주 주사방향 및 부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량(Ly, Lm, Py, Pm)이, K색의 내측 패턴(102K)이 YM 각 색의 외측 패턴(103Y, 103M)의 내측에 들어가는 범위 내의 위치 편차량인지의 여부가 다음 식에 의해 판정된다.
[식 4]
|Ly/2|+|Py|〈14
[식 5]
|Lm/2|+|Pm|〈14
도 9의 단계 S102에서는, 이들 식에 근거한 판정이 YMC 각 색에 대해서 행해진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C색과 YM 각 색으로, 내측 패턴이 외측 패턴의 내측에 들어가는 범위가 서로 다른 식을 이용하여 위치 편차량에 관한 판정을 행하는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위치 편차량에 관한 판정은, 내측 패턴이 외측 패턴의 내측에 들어가는 범위가 가장 좁은, 상기 식 3이 나타내는 C색에 관한 판정식을, 다른 YM 각 색에 관한 판정에 이용하여 행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내측 패턴이 외측 패턴의 내측에 들어가 있는지가, 산출된 위치 편차량이 상기 식 3~5가 나타내는 범위 내의 위치 편차량인지의 여부에 의해 판정된다. 그러나, 내측 패턴이 외측 패턴의 내측에 들어가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토너 패턴의 폭이 기준값을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판정해도 된다.
도 11은 내측 패턴이 외측 패턴의 내측에 들어가 있는 토너 패턴과, 내측 패턴이 외측 패턴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토너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파트 (A)에는, K색용의 토너 패턴(101K)에 있어서, C색의 내측 패턴(102C)이 K색의 외측 패턴(103K)의 내측에 들어가 있는 모양이 나타나 있다. 그리고, 이 파트 (A)에는, C색의 내측 패턴(102C)이 K색의 외측 패턴(103K)의 내측에 들어가 있는 경우에 얻어지는 펄스 신호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11의 파트 (B)에는, 도면 중 화살표 C가 나타내는 중간 전사 벨트(61)의 이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C색의 위치 편차에 의해, C색의 내측 패턴(102C)이 K색의 외측 패턴(103K)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모양이 나타나 있다. 그리고, 이 파트 (B)에는, C색의 내측 패턴(102C)이 K색의 외측 패턴(103K)의 내측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경우에 얻어지는 펄스 신호가 나타나 있다.
이 도 11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K색용의 토너 패턴(101K)의 폭은, 그 K색용의 토너 패턴(101K)에 대해서 얻어지는 펄스 신호에 있어서의 각 펄스의 펄스 폭(W1, W2)과 등가이다.
그리고, C색의 내측 패턴(102C)이 K색의 외측 패턴(103K)의 내측에 들어가 있을 때의 펄스 폭(W1)보다도, C색의 내측 패턴(102C)이 K색의 외측 패턴(103K)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을 때의 펄스 폭(W2)의 쪽이 넓다. 또한, 이러한 사태는, YM 각 색용의 토너 패턴(101K)의 폭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생길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내측 패턴이 외측 패턴의 내측에 들어가 있을 때의 폭은, 도 4나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계상 40도트이다. 따라서, 이 설계상의 폭 40도트에 대응한 펄스 폭을 기준값으로서 이용하면, 내측 패턴이 외측 패턴의 내측에 들어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즉, 각 색용의 토너 패턴에 대해서 얻어지는 펄스 신호에 있어서의 각 펄스의 펄스 폭이 이 기준값을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판정된다. 이 경우, 40도트에 대응한 펄스 폭이, 공장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내는 주 제어부(40)의 기억부(40a)에 기준값으로서 기억되게 된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3의 파트 (B)의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의 형성이 행해진다. 이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의 토너 패턴의 폭은,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에 있어서의, 내측 패턴이 외측 패턴의 내측에 들어가 있을 때의 토너 패턴의 폭과 동일하다. 따라서,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의 토너 패턴에 관하여 얻어지는 펄스 신호에 있어서의 각 펄스의 펄스 폭을 상기 판정의 기준값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의 형성시에, 도 2에 나타내는 주 제어부(40)에 의해 토너 패턴에 관한 펄스 폭이 생성되어 기억부(40a)에 기준값으로서 기억되게 된다.
이상에서, 도 11을 참조한, 내측 패턴이 외측 패턴의 내측에 들어가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 방법에 관한, 제1 실시예와는 다른 별도 예에 관한 설명을 종료하고, 도 9의 플로차트에 관한 설명으로 돌아간다.
제1 실시예에서는, 단계 S102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산출된 위치 편차량이 상기 식 3~5가 나타내는 범위 내의 위치 편차량인지의 여부에 의해, 내측 패턴이 외측 패턴의 내측에 들어가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이 행해진다.
또한, 이 단계 S102에서는, 주 제어부(40)는,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에 대해서 얻어지는 펄스 신호가 가지는 펄스의 수가, 이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를 구성하는 토너 패턴의 수의 2배의 값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상인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에서는, 각 토너 패턴의 2개의 아암 각각에 대응해서 1개의 펄스가 얻어진다. 즉, 정상인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에서는,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를 구성하는 토너 패턴의 수의 2배의 수의 펄스가 얻어진다. 또한, 각 토너 패턴의 아암 1개마다 1개의 펄스가 얻어지는 것은, 정상인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인접하는 토너 패턴끼리가 서로 식별 불능일 정도로 겹쳐있거나, 어떤 토너 패턴이, 조사부(71)가 조사하는 빛의 스폿 SP의 통과 선 상으로부터 벗어난 위치까지 어긋나 있는 등과 같은 경우에는, 펄스의 수가 상기 2배의 수와는 다르다.
제1 실시예에서는,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 및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 각각의 토너 패턴의 수가 서로 같다. 그리고, 그 토너 패턴에 있어서의 패턴 수가, 주 제어부(40)의 기억부(40a)에 기억되어 있다.
도 9에 있어서의 단계 S102에서는, 주 제어부(40)는, 상기 펄스 신호에 있어서의 펄스의 수가, 기억부(40a)에 기억되어 있는 패턴 수의 2배의 수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단계 S102에 있어서, 주 제어부(40)는, 산출된 위치 편차량이 상기 범위 내의 위치 편차량이며, 또한, 펄스 수가 패턴 수의 2배의 수와 일치할 경우에,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가 정상 마크라고 판정한다.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가 정상 마크라고 판정되었을 경우(단계 S102에 있어서의 성공 판정), 처리가 단계 S103으로 진행된다.
단계 S103에서는, 주 제어부(40)는, 단계 S102에서 산출된 위치 편차량의 위치 편차와 반대방향으로 토너 상 형성 위치를 어긋나게 하도록, 기억부(40a) 내의 현시점에서의 조정값을 보정해서 새로운 조정값을 생성한다. 주 제어부(40)는, 기억부(40a) 내의 현시점에서의 조정값을 그 새로운 조정값으로 갱신한다.
한편,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가 정상 마크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단계 S102에 있어서의 실패 판정), 처리는 단계 S104로 진행된다.
단계 S104에서는, 주 제어부(40)는, 도 3의 파트 (B)에 나타내는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를 형성시킨다. 이 단계 S104에서의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의 형성도, 이 형성 시점에서 기억부(40a)에 기억되어 있는 조정값을 사용한 레지스트레이션 처리를 거쳐서 행해진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는,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가 정상 마크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형성되는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각각 YMCK 각 색의 토너만의 토너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이다. 한편, 이러한 경우에 형성되는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로서는, 후술하는 제2 실시예와 같은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도 고려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2종류의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의 형성에 관계한 토너의 소비량이 억제된다.
단계 S104에서는, 주 제어부(40)는,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광센서(70)의 조사부(71)에 빛을 조사시키고 수광부(72)에 반사광을 수광시켜서 출력 신호를 출력시킨다. 수광부(72)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주 제어부(40)에 입력되고, 주 제어부(40)는,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출력 신호를 2치화해서 펄스 신호를 얻는다.
그리고, 주 제어부(40)는, 그 펄스 신호에 기초하여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가 정상 마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05).
이 단계 S105에서의 판정은, 상술한 단계 S102에서의 판정과 달리, 펄스 신호에 있어서의 펄스의 수가, 기억부(40a)에 기억되어 있는 패턴 수의 2배의 수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 것에 의해서만 행해진다.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가 정상 마크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단계 S105에 있어서의 실패 판정), 다음의 것을 의미하고 있다. 즉, 상기 2종류의 레지스트레이션 마크 중 형성 실패가 회피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에 대해서도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 경우, 상 형성 유닛(50Y, 50M, 50C, 50K) 혹은 광센서(70)에 부품 고장 등이 발생해서 위치 편차의 조정이 불능이 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서는, 이 경우에는, 주 제어부(40)가, 도 1에 나타내는 표시 조작부(14)에, 에러 발생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단계 S106).
한편,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가 정상 마크라고 판정되었을 경우(단계 S105에 있어서의 성공 판정), 단계 S104에서 얻어진 펄스 신호로부터,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의 조정값을 생성한다(단계 S107).
단계 S107에서는, 주 제어부(40)는, YMC 각 색에 대해서, 상기 식 1 및 식 2를 사용하여, 주 주사방향 및 부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량(L, P)을 산출한다. 그리고, 주 제어부(40)는, 이 산출한 YMC 각 색의 위치 편차량을 보정하는 각 색의 조정값을 구하고, 기억부(40a)에 기억되어 있는 조정값을, 그 구한 조정값으로 갱신한다.
이와 같이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의 조정값의 생성이 종료하면, 주 제어부(40)는, 도 3의 파트 (A)에 나타내는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를 형성시킨다(단계 S108). 이 단계(S108)에서의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의 형성은, 이 형성 시점에서 기억부(40a)에 기억되어 있는 조정값을 사용한 레지스트레이션 처리를 거쳐서 행해진다. 단, 이 단계 S108의 시점에서 기억부(40a)에 기억되어 있는 조정값은, 상기의 단계 S107에서 생성된 조정값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단계 S108에서는, 주 제어부(40)는, 조사부(71)에 빛을 조사시키고 수광부(72)에 반사광을 수광시켜서 출력 신호를 출력시키고, 또한, 그 출력 신호를 2치화해서 펄스 신호를 얻는다. 또한, 주 제어부(40)는, 그 펄스 신호에 기초하여 YMC 각 색에 대해서, 상기 식 1 및 식 2를 사용하여, 주 주사방향 및 부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량(L, P)을 산출한다.
계속해서, 주 제어부(40)는, 상기 단계 S102와 마찬가지의 판정에 의해, 단계 S108에서 형성된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가 정상 마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09).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가 정상 마크가 아니라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109에 있어서의 실패 판정)는, 다음의 것을 의미하고 있다. 즉,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에 기초하는 조정값을 사용한 레지스트레이션 처리를 거쳐도, 정상인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가 형성되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 경우, 상 형성 유닛(50Y, 50M, 50C, 50K) 혹은 광센서(70)에 부품 고장 등이 발생해서 위치 편차의 조정이 불능이 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서는, 이 경우에도, 상기 단계 S106으로 진행하여, 주 제어부(40)가, 도 1에 나타내는 표시 조작부(14)에, 에러 발생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한편,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가 정상 마크라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109에 있어서의 성공 판정), 상기 단계 S103과 마찬가지의 처리에 의해, 주 제어부(40)는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의 각 색의 조정값을 생성한다(단계 S110). 그리고, 주 제어부(40)는, 기억부(40a)에 기억되어 있는 조정값을, 그 구한 조정값으로 갱신한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는, 현상에 있어서의 토너 상 형성 위치의 위치 편차가, 정상인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의 형성에 실패할 정도로 클 경우, 우선,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를 이용한 조정값의 생성이 행해진다. 그리고, 그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에 의한 조정값을 사용한 레지스트레이션 처리를 거쳐서 형성된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를 이용한 조정값의 생성이 행해진다. 이에 따라, 현상에 있어서의 토너 상 형성 위치의 위치 편차가 큰 경우에도, 최종적으로 얻어진 조정값을 사용한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에서 복수 색의 토너 상이 고정밀도로 겹쳐진다.
단계 S103 혹은 단계 S110에 의한 조정값의 갱신, 단계 S106에 의한 에러 발생을 통지하는 메시지의 표시를 이용하여, 이 도 9의 플로차트가 나타내는,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용의 조정값을 생성하는 처리가 종료한다.
도 9의 플로차트에 있어서의 단계 S101로부터 단계 S103에 이르는 처리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1 조정 과정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도 9의 플로차트에 있어서의 단계 S104로부터 단계 S107에 이르는 처리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2 조정 과정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도 9의 플로차트에 있어서의 단계 S108로부터 단계 S110에 이르는 처리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3 조정 과정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주 제어부(40)의, 이 도 9의 플로차트에 있어서의 단계 S102, 단계 S105, 및 단계 S109의 처리를 행하는 기능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마크 판정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그리고, 주 제어부(40)의, 이 도 9의 플로차트가 나타내는 처리를 행하는 기능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조정 시퀀스 제어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다음에, 제2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제2 실시예는, 최초에 형성된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가 정상 마크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그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와는 다른 형태의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형성되는 점이,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르다. 한편, 이 제2 실시예가 적용되는 복사기나,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의 조정값을 생성하는 처리의 기본적인 플로차트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제1 실시예와의 상이점에 관하여 설명을 하고, 같은 점에 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최초에 형성된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즉 도 9에 나타내는 플로차트의 단계 S104에 상당하는 처리에 있어서, 이하에 설명하는 세선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형성된다.
도 12는, 제2 실시예에서, 최초에 형성된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형성되는 세선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12에 나타내는 세선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300)도, YMCK 각 색용의 토너 패턴(301Y, 301M, 301C, 301K)을 가지고 있다.
YMCK 각 색용의 토너 패턴(301Y, 301M, 301C, 301K)은, CK 중 어느 색의 내측 패턴(302C, 302K)과, YMCK 각 색의 외측 패턴(303Y, 303M, 303C, 303K)을 가지고 있다.
이들 토너 패턴(301Y, 301M, 301C, 301K)의 패턴 구조는, 기본적으로는, 상기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의 토너 패턴(101Y, 101M, 101C, 101K)의 패턴 구조와 같다.
단, 세선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300)에서는, 내측 패턴(302C, 302K)의, 토너 패턴의 상면에 있어서의 폭이 4도트이며, 상기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의 내측 패턴(102C, 102K)의 폭(12도트)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세선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300)의 각 색용의 토너 패턴의 모두가, 내측 패턴을 가지는 형태가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세선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는, K색용의 토너 패턴만으로 내측 패턴을 가지고, 다른 YMC 각 색용의 토너 패턴이 각 색의 토너만으로 형성된다고 하는 형태여도 된다.
또한, 도 12에서는, 세선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300)의 K색용의 토너 패턴(301K)이, C색의 내측 패턴(302C)을 가지는 형태가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K색용의 토너 패턴이, Y색의 내측 패턴을 가지는 형태여도 되고, K색용의 토너 패턴이, M색의 내측 패턴을 가지는 형태여도 된다.
여기서, 이 세선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300)에서도 CK 각 색의 내측 패턴(302C, 302K)의 움직임에 의해 위치 편차량의 산출 오차가 저감된다.
단, 세선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30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패턴(302C, 302K)의 선폭이,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의 내측 패턴(102C, 102K)의 선폭보다도 좁다. 그 결과, 세선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300)에서는,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에 비하면 위치 편차량의 산출 오차가 높아지고 있다. 한편, 세선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300)에서는, 이 세선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의 형성 실패가 회피되어서 내측 패턴이 외측 패턴의 내측에 들어가는 위치 편차량의 범위가,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보다도 넓다.
이와 같이, 세선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300)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와 마찬가지로,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에 비해서 위치 편차량의 산출 오차가 높고, 형성 실패가 회피되는 위치 편차량의 범위가 넓다.
단, 이 세선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300)에 대해서 산출되는 위치 편차량의 산출 오차는, 도 3의 파트 (B)에 나타내는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에 대해서 산출되는 위치 편차량의 산출 오차에 비해서 작다.
이 때문에, 제2 실시예에서는, 세선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300)를 형성해서 생성되는 조정값의 정밀도가,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를 형성해서 생성되는 조정값의 정밀도와 비교해서 고정밀도로 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세선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300)의 형성 후, 도 9에 나타내는 플로차트의 단계 S105에 상당하는 처리에 있어서, 그 세선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300)가 정상 마크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은, 도 9에 나타내는 플로차트 단계 S102 및 단계 S109에서의 판정과 마찬가지의 처리에 의해 행해진다.
즉, 이 판정에서는, 세선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300)에 대해서 산출된 위치 편차량이 내측 패턴이 외측 패턴의 내측에 들어가는 범위 내의 위치 편차량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또한, 세선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300)에 대해서 얻어진 펄스 신호의 펄스 수가, 세선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300)의 패턴 수의 2배의 수와 일치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단, 세선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300)에 대해서는, 내측 패턴이 외측 패턴의 내측에 들어가는 위치 편차량의 범위가, 상기와 같이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보다도 넓다.
도 13은 세선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에 있어서의 YMCK 각 색의 토너 패턴에 대해서 내측 패턴이 외측 패턴의 내측에 들어가는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의 파트 (A)에는, K색용의 토너 패턴(301K)의 2개의 아암 중 1개의 아암(301K_1)의 상면도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13의 파트 (B)에는, 그 아암(301K_1)의, 파트 (A) 중의 F-F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13의 파트 (C)에는, YMC 각 색용의 토너 패턴(301Y, 301M, 301C)의 2개의 아암 중 1개의 아암(301Y_1, 301M_1, 301C_1)의 상면도가 나타나 있다. 또한, 파트 (D)에는, 그 아암(301Y_1, 301M_1, 301C_1)의, 파트 (C) 중의 G-G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K색용의 토너 패턴(301K)은, 도 13의 파트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색의 내측 패턴(302C) 위로부터 K색의 외측 패턴(303K)이 겹쳐진 구조가 된다. 이 K색용의 토너 패턴(301K)에서는, K색의 외측 패턴(303K)은, C색의 내측 패턴(302C)이 보이는 4도트의 간격(303K)을 가지는 40도트 폭의 패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C색의 내측 패턴(302C)은, K색의 외측 패턴(303K) 아래에 숨겨지는 부분을 포함해서 12도트의 폭으로 형성된다.
이 K색용의 토너 패턴(301K)에서는, C색의 내측 패턴(302C)은, 도면 중에 화살표 C로 나타내는 중간 전사 벨트(61)의 이동 방향의 위치 편차가 14도트 미만이면 K색의 외측 패턴(303K)의 내측에 들어간다.
한편, YMC 각 색용의 토너 패턴(301Y, 301M, 301C)은, YMC 각 색의 외측 패턴(303Y, 303M, 303C) 위로부터 K색의 내측 패턴(302K)이 겹쳐진 구조가 된다. 이러한 YMC 각 색용의 토너 패턴(301Y, 301M, 301C)에서는, YMC 각 색의 외측 패턴(303Y, 303M, 303C)은 간격 없이 토너로 메워진 40도트 폭의 패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K색의 내측 패턴(302K)은 4도트의 폭으로 형성된다.
이들 YMC 각 색용의 토너 패턴(301Y, 301M, 301C)에서는, YMC 각 색의 외측 패턴(303Y, 303M, 303C)의 위치 편차가 18도트 미만이면, K색의 내측 패턴(302K)이 이들 외측 패턴의 내측에 들어간다.
제2 실시예에서는, C색에 대해서 산출된 주 주사방향 및 부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량(Lc, PC)이, C색의 내측 패턴(302C)이 K색의 외측 패턴(303K)의 내측에 들어가는 범위 내의 위치 편차량인지의 여부가 다음 식에 의해 판정된다.
[식 6]
|Lc/2|+|Pc|〈14
또한, YM 각 색에 대해서 산출된 주 주사방향 및 부 주사방향의 위치 편차량(Ly, Lm, Py, Pm)이, K색의 내측 패턴(302K)이 YM 각 색의 외측 패턴(303Y, 303M)의 내측에 들어가는 범위 내의 위치 편차량인지의 여부가 다음 식에 의해 판정된다.
[식 7]
|Ly/2|+|Py|〈18
[식 8]
|Lm/2|+|Pm|〈18
제2 실시예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세선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300)에 대해서 산출된 YMC 각 색의 위치 편차량에 대해서, 이들 식에 기초한 판정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세선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300)에 대해서는, 정상 마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기준이,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에 관한 판정 기준에 비해, 정상 마크라고 판정될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제2 실시예에서는, 판정 기준이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에 관한 판정 기준과 같을 경우에 비해, 세선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300)가 정상 마크가 아니라는 판정의 빈도가 억제된다.
다음에, 제3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제3 실시예는,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에 사용되는 조정값을 생성하는 처리를 제외하고, 상술한 제1 실시예와 같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제3 실시예에 대해서, 제1 실시예와의 상이점에 관하여 설명을 행하고, 같은 점에 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제3 실시예에서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에 사용되는 조정값을 생성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한, 이 도 14의 플로차트에서는, 일부의 처리가,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에 사용되는 조정값을 생성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도 9의 플로차트와 동등한 처리로 되어 있다. 도 14에서는, 이 동등한 처리에 대해서는, 도 9의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하에서는, 이 동등한 처리에 관해서도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 도 14의 플로차트가 나타내는 처리도, 소정 매수의 화상 형성 등의 다양한 사상의 도래 후, 인쇄 동작 등의 처리가 종료한 타이밍에서 조정값 생성 요구 플래그가 세워져 있으면, 주 제어부(40)에서 개시된다.
처리가 개시되면, 우선, 주 제어부(40)가, 다음과 같은 제1~제3 조건 중 해당하는 것이 1개라도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01).
제1 조건은, 현시점에 있어서의, 복사기(1)(도 1, 도 2 참조)로의 전원 투입 횟수가 1회라는 조건이다.
이 복사기(1)에서는, 주 제어부(40)의 기억부(40a)에 전원 투입 횟수가 기억된다. 그리고, 전원이 투입될 때마다 기억부(40a) 내의 전원 투입 횟수가 1회씩 증가된다. 또한, 이 복사기(1)의 공장 출하 시에는, 이 기억부(40a) 내에 전원 투입 횟수로서 「0회」가 기억된다. 즉, 상기 제1 조건은, 현시점에 있어서의 복사기(1)가, 공장 출하 후에 최초로 전원이 투입된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2 조건은, 현시점에 있어서의 YMCK의 각 색의 상 형성 유닛(50Y, 50M, 50C, 50K) 중에, 이전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의 조정값이 생성되고나서 신품으로 교환된 유닛이 있다는 조건이다.
이 복사기(1)에서는, 주 제어부(40)의 기억부(40a)에 각 색의 상 형성 유닛(50Y, 50M, 50C, 50K) 각각의 교환 횟수가 기억된다. 그리고, 어느 상 형성 유닛이 교환될 때마다 기억부(40a) 내에 있어서의 그 상 형성 유닛에 관한 교환 횟수가 1회씩 증가된다. 또한,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의 조정값이 생성될 때마다, 그 조정값 생성 시점에서의 각 색의 상 형성 유닛(50Y, 50M, 50C, 50K) 각각의 교환 횟수가, 기억부(40a) 내의 다른 영역에 복사된다.
상기 제2 조건은, 구체적으로는, 현시점에서 기억부(40a) 내에 기억되어 있는 각 색의 상 형성 유닛(50Y, 50M, 50C, 50K) 각각의 교환 횟수 중에, 상기 다른 영역의 교환 횟수와 다른 것이 있다는 조건이다. 주 제어부(40)는, 이러한 상 형성 유닛을, 이전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의 조정값이 생성되고나서 신품으로 교환된 유닛이라고 판단한다.
제3 조건은, 현시점에 있어서의 복사기(1) (도 1, 도 2 참조) 내의 장치 내 온도가 규정 온도를 초과하고 있다는 조건이다.
복사기(1)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온도센서에 의해 장치 내 온도가 계측되고 있다.
여기서, 장치 내 온도가 어느 정도 고온이 되면, 각 색의 상 형성 유닛(50Y, 50M, 50C, 50K)에 있어서의 토너 상 형성 위치에 변동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리고, 그 변동량은, 장치 내부 온도의 상승과 함께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제3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에 있어서, 내측 패턴이 외측 패턴의 외측으로 돌출해버리는 정도의 변동이 생길 우려가 있는 가장 낮은 장치 내 온도가 출하 전에 측정된다. 그리고, 그 측정된 장치 내 온도가, 상기 제3 조건에 있어서의 규정 온도로서 주 제어부(40)의 기억부(40a)에 기억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3개의 조건 중 해당하는 것이 1개도 없다는 것은, 복사기(1)가, 다음과 같은 추정 정밀도 상태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추정 정밀도 상태란, 복사기(1)가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를 형성했다고 가정했을 경우에 그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가 정상 마크라고 판정될 가능성이 높은, 미리 정해진 장치 상태이다.
제3 실시예에서는, 레지스트레이션 처리의 조정값을 생성하는 처리가 개시되면, 주 제어부(40)는, 우선, 단계 S301에 있어서 복사기(1)가 상기 추정 정밀도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주 제어부(40)의, 이 단계 S301의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장치 상태 판정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제3 실시예에서는, 추정 정밀도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의 기초가 되는 조건으로서 상기 3개의 조건이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추정 정밀도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은, 이러한 3개의 조건 중 어느 하나 혹은 2개의 조건에 기초하여 행해져도 된다. 또한, 추정 정밀도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은, 상기 3개의 조건 이외의, 예를 들면 장치 내 습도가 규정 습도를 초과하고 있다는 조건이나, 전회 조정값을 구하고나서의 경과 시간이 규정 시간을 초과하고 있다는 조건 등을 사용해서 행해져도 된다. 또는, 추정 정밀도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은, 상기 3개의 조건에, 장치 내 습도나 경과 시간에 관한 다른 조건을 더한 4개 이상의 조건에 기초하여 행해져도 된다.
그리고, 복사기(1)가 상기 추정 정밀도 상태에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단계 S301에 있어서의 해당없음 판정), 주 제어부(40)는, 도 9의 플로차트에 있어서의 단계 S101~단계 S103의 처리와 동등한 처리를 실행한다. 즉, 이 경우에는, 주 제어부(40)는,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의 형성에 기초하는 조정값의 생성을 실행한다.
한편, 3개의 조건 중 해당하는 조건이 1개라도 있을 경우, 즉, 복사기(1)가 상기 추정 정밀도 상태에 없을 경우(단계 S301에 있어서의 해당있음 판정), 주 제어부(40)는,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의 형성에 기초하는 조정값의 생성을 생략한다. 그 결과, 제3 실시예에서는,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의 형성에 기초하는 조정값의 생성을 반드시 실행할 경우와 비교해서 토너의 불필요한 소비가 억제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주 제어부(40)는, 도 9의 플로차트에 있어서의 단계 S104~단계 S110의 처리와 동등한 처리를 실행한다.
즉, 이 경우에는, 주 제어부(40)는, 우선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의 형성에 기초하는 조정값의 생성을 실행하고, 그 후에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100)의 형성에 기초하는 조정값의 생성을 실행한다.
또한, 이 제3 실시예에서는, 도 9의 플로차트에 있어서의 단계 S104에 상당하는 처리에 있어서 단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200)를 형성하는 형태가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처리는, 도 12에 나타내는 세선 복색 레지스트레이션 마크(300)를 형성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이상으로 설명한 제1~제3 실시예에서는, 복수 색의 토너로서, YMCK 4색의 토너가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복수 색의 토너는, 이들 4색에, 다른 색의 토너를 더한 5색 이상의 토너여도 된다.
또한, 제1~제3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 컬러 복사기(1)가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화상 형성 장치는, 컬러 프린터나 컬러 팩시밀리 등 이어도 된다.

Claims (5)

  1. 복수 색의 토너를 각 색마다 분담해서 사용해서 다른 색의 토너 상(像)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토너 상 형성부와,
    상기 복수의 토너 상 형성부를 따라 이동해서 상기 복수의 토너 상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토너 상의 전사를 받는 피전사체와,
    상기 피전사체 위에 전사된 복수 색의 토너 상을 기록 매체 위에 더 전사하는 전사기와,
    상기 기록 매체 위에 전사된 복수 색의 토너 상을 기록 매체 위에 정착하는 정착기와,
    상기 복수의 토너 상 형성부에 있어서의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 검출용의 토너 패턴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상기 복수의 토너 상 형성부에 의해, 상기 피전사체 위에 형성시키는 마크 형성 제어부와,
    상기 피전사체 위에 형성된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에 포함된 토너 패턴의 위치를 검출하는 마크 센서와,
    상기 마크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토너 상 형성부에 있어서의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를 산출하는 형성 위치 편차 산출부와,
    상기 마크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마크 센서에 의해 검출된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상기 복수의 토너 상 형성부에 있어서의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 산출에 충족되는 정밀도를 가지는 정상 마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마크 판정부와,
    상기 형성 위치 편차 산출부에 의한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토너 상 형성부에 있어서의 토너 상 형성 위치를 조정하는 형성 위치 조정부와,
    조정 시퀀스 제어부
    를 가지며,
    상기 조정 시퀀스 제어부는,
    제1 토너 패턴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와, 토너 패턴의 집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토너 패턴 중 적어도 1개의 토너 상 형성부에 있어서의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 검출용의 토너 패턴이 당해 토너 상 형성부에서 사용되는 제1 토너와 당해 토너 상 형성부를 제외한 다른 토너 상 형성부에서 사용되는 제2 토너를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토너 패턴보다도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의 산출 오차를 저감시킨 제2 토너 패턴인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 중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형성하여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를 산출해서 상기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토너 상 형성 위치를 조정하는 제1 조정 과정을 실행시키고,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를 산출해서 상기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토너 상 형성 위치를 조정하는 제2 조정 과정을 실행시키며,
    이어서,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형성시켜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를 산출해서 상기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토너 상 형성 위치를 조정하는 제3 조정 과정을 실행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당해 화상 형성 장치가, 미리 정해진,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형성했다고 가정했을 경우에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라고 판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되는 추정 정밀도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장치 상태 판정부를 가지며,
    상기 조정 시퀀스 제어부가, 상기 제1 조정 과정을 실행시키는 것보다도 전에, 상기 장치 상태 판정부에 당해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추정 정밀도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당해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추정 정밀도 상태에 없는 것이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조정 과정의 실행을 생략하고 상기 제2 조정 과정 및 상기 제3 조정 과정을 실행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상 형성부가, 상기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로서, 상기 제1 토너 패턴 중, 적어도 1개의 토너 상 형성에 있어서의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 검출용의 토너 패턴이, 상기 제2 토너 패턴보다도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의 산출 오차가 높아지는 것을 허용한 후에, 당해 토너 상 형성부에서 사용되는 제1 토너와 당해 토너 상 형성부를 제외한 다른 토너 상 형성부에서 사용되는 제2 토너를 조합시킨 토너 패턴인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형성하고,
    상기 마크 판정부가, 상기 마크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구성하는 토너 패턴의 선폭과 기준 위치로부터의 편차량 중 적어도 한쪽의 값을 생성함과 함께, 상기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토너 패턴의 수의 계수값을 구하고, 상기 적어도 한쪽의 값과 상기 계수값의 쌍방이 정상값인지의 여부에 따라, 당해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 판정부는, 상기 마크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토너 패턴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편차량을 구한 경우에, 상기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1 판정 기준으로서,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2 판정 기준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정상 마크라고 판정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판정 기준을 채용하여, 정상 마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상 형성부가, 상기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로서, 당해 토너 상 형성부에 있어서의 토너 상 형성 위치 편차 검출용으로서의 토너 패턴이 당해 토너 상 형성부에서 사용되는 토너만으로 이루어지는 토너 패턴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형성하고,
    상기 마크 판정부가, 상기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에 대해서는, 상기 마크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토너 패턴의 수의 계수값을 구해서 상기 계수값이 정상인지의 여부에 따라 당해 제1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에 대해서는, 상기 마크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당해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를 구성하는 토너 패턴의 선폭과 기준 위치로부터의 편차량 중 적어도 한쪽의 값을 생성함과 함께, 상기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토너 패턴의 수의 계수값을 구하고, 상기 적어도 한쪽의 값과 상기 계수값의 쌍방이 정상값인지의 여부에 따라, 당해 제2 레지스트레이션 마크가 정상 마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20023975A 2011-09-26 2012-03-08 화상 형성 장치 KR1015460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09019A JP5825010B2 (ja) 2011-09-26 2011-09-26 画像形成装置
JPJP-P-2011-209019 2011-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265A true KR20130033265A (ko) 2013-04-03
KR101546008B1 KR101546008B1 (ko) 2015-08-20

Family

ID=47911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975A KR101546008B1 (ko) 2011-09-26 2012-03-08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11865B2 (ko)
JP (1) JP5825010B2 (ko)
KR (1) KR101546008B1 (ko)
CN (1) CN1030190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7891A (ja) * 2011-09-09 2013-03-28 Fuji Xerox Co Ltd レジストレーションマーク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972028B2 (ja) * 2012-04-27 2016-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4109623A (ja) * 2012-11-30 2014-06-1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KR101969958B1 (ko) * 2012-11-30 2019-08-13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색상 정합 방법, 호스트 장치, 호스트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6814561B (zh) * 2015-11-30 2019-11-05 株式会社东芝 图像形成装置
JP6994949B2 (ja) * 2018-01-05 2022-01-14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及び位置補正方法
JP7356386B2 (ja) 2020-03-25 2023-10-0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CN112776300B (zh) * 2020-07-31 2022-06-03 青岛三益塑料机械有限公司 板材同步对花系统及同步对花控制方法
US11429049B1 (en) * 2021-05-11 2022-08-30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7404A (ja) * 2001-11-29 2003-06-1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363003B2 (ja) * 2002-05-15 2009-11-11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US6911993B2 (en) * 2002-05-15 2005-06-28 Konica Corporatio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registration marks
US7333758B2 (en) * 2005-01-19 2008-02-19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102189A (ja) * 2005-09-07 2007-04-19 Ricoh Co Ltd 色ずれ補正装置、色ずれ補正方法、画像形成装置、色ずれ補正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036200B2 (ja) 2006-03-17 2012-09-2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376106B2 (ja) * 2007-03-14 2013-12-25 株式会社リコー カラー位置ずれ検知装置
JP4497223B2 (ja) 2008-03-31 2010-07-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レジストレーションマーク及び画像形成装置
JP5365439B2 (ja) * 2009-09-14 2013-12-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および色ずれ補正方法
JP5725759B2 (ja) * 2010-08-18 2015-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19067B (zh) 2017-03-01
JP2013068892A (ja) 2013-04-18
US20130078010A1 (en) 2013-03-28
CN103019067A (zh) 2013-04-03
KR101546008B1 (ko) 2015-08-20
JP5825010B2 (ja) 2015-12-02
US8811865B2 (en) 201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008B1 (ko) 화상 형성 장치
JP6039235B2 (ja) 画像形成装置
JP5807345B2 (ja) 画像形成装置
JP5333432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5181753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位置ずれ補正方法、位置ずれ補正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6171352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13213916A (ja) 画像形成装置
US944244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130028619A (ko) 레지스트레이션 마크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07156159A (ja) 色ずれ検出センサ及び色ずれ検出装置
JP2000206761A (ja) 画像形成装置
US923517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detecting, and correcting sandwiched toner pattern
US7830403B2 (en) Image-forming device
JP4770624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11028274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1402124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4099912B2 (ja) 画像形成装置
JP5861352B2 (ja) 画像形成装置
JP454913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1085789A (ja) 画像形成装置
JP583467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4059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の位置ずれ補正方法
JP2011227342A (ja) 画像形成装置と画像形成の位置ずれ補正方法
JP2012063628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色ずれ補正方法
JP2014048338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