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2907A - 시트 권회체 및 시트 형상 연결체 - Google Patents

시트 권회체 및 시트 형상 연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2907A
KR20130032907A KR1020137003386A KR20137003386A KR20130032907A KR 20130032907 A KR20130032907 A KR 20130032907A KR 1020137003386 A KR1020137003386 A KR 1020137003386A KR 20137003386 A KR20137003386 A KR 20137003386A KR 20130032907 A KR20130032907 A KR 20130032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glass film
winding
width direction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3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8121B1 (ko
Inventor
요시노리 하세가와
히로시 아다치
히로키 모리
카오루 미츠키
나오히로 이카이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2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1/00Apparatus for splic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2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longitudinal sli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6Splicing
    • B65H2301/463Splicing splicing means, i.e. means by which a web end is bound to another web end
    • B65H2301/46325Separate element, e.g. c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6La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2Defective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20Avoiding or preventing undesirable effects
    • B65H2601/25Damages to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1Physical features of handled article or we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6Joints and connections having a cam, wedge, or tapered por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9Sheets or webs edge spliced or join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9Sheets or webs edge spliced or joined
    • Y10T428/192Sheets or webs coplan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9Sheets or webs edge spliced or joined
    • Y10T428/192Sheets or webs coplanar
    • Y10T428/197Sheets or webs coplanar with noncoplanar reinforcement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복수매의 유리 필름(g)의 단부 사이에 시트 형상 연결체(3)를 걸쳐서 유리 필름(g)의 단부끼리를 연결하고, 그 연결한 복수매의 유리 필름(g)을 권취함으로써 시트 권회체(1)를 제작한다. 그리고, 이 시트 권회체(1)에 이용되는 시트 형상 연결체(3)는 권취방향의 양단부에 유리 필름(g)과 접합된 폭이 넓은 접합부를 형성하기 위한 폭광부(4)를 갖고, 권취방향의 중간부에 폭광부(4)보다 폭이 좁은 축소부(5)를 갖는다.

Description

시트 권회체 및 시트 형상 연결체{SHEET ROLL AND SHEET-SHAPED CONNECTOR}
본 발명은 복수매의 시트를 연결해서 롤 형상으로 권취한 시트 권회체, 및 이 시트 권회체에 포함되는 복수매의 시트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이미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제조된 장척의 수지 필름이나 종이 등의 시트는 권심(卷芯)의 주위에 롤 형상으로 권취되어 수용되는 것이 통례이다. 그리고, 이렇게 시트를 수용한 시트 권회체에 있어서 권심에 권취된 시트가 소정 길이를 충족시키지 못할 때에는 시트의 전체 길이가 소정 길이에 도달할 때까지, 앞에 권심의 주위에 권취된 시트의 종단부에 다른 시트의 시단부를 연결하면서 권심의 주위로 권취한다고 하는 방법이 채용되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최근에는 필름 형상까지 박육화된 유리 필름도 개발되기에 이르고 있고, 상기 수지 필름 등의 시트와 마찬가지로 연속적으로 제조된 장척의 유리 필름을 권심의 주위에 롤 형상으로 권취해서 수용하는 형태가 채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이 경우에도 권심의 주위에 권취된 유리 필름이 소정 길이를 충족시키지 못할 때에는 앞에 권심의 주위에 권취된 유리 필름의 종단부에 다른 유리 필름의 시단부를 연결하여 유리 필름의 전체 길이를 연장하는 방법을 취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러한 시트 권회체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소위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으로 소정의 처리(예를 들면 세정·성막·절단 등)가 실시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시트가 유리 필름 등의 취성 재료일 경우에는 취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취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의 단부에 수지 시트 등의 인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이 경우, 이 시트는 예를 들면 리더라고 칭해짐)의 단부를 연결하고, 이 인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의 종단부를 선두로 해서 시트 전체를 롤투롤 방식을 실행하는 장치 내로 유도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시트 권회체에서는 전자와 같이 동종의 시트끼리가 연결되는 경우도 있으면, 후자와 같이 이종의 시트끼리가 연결되는 경우도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 7-239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0-132350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매의 시트를 연결할 때에는 권취방향으로 인접하는 2매의 시트 단부끼리를 연결할 필요가 있다. 그 연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매의 시트(100)의 단부를 서로 겹친 상태에서 양쪽 시트(100)의 폭방향 대략 전역에 걸치도록 점착 테이프(6)를 부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매의 시트(100)의 폭방향 중심선이 조금이라도 동일 직선으로부터 벗어난 상태에서 연결되어 있으면, 이 연결된 시트(100)를 권취할 때에 문제가 발생한다.
즉,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된 복수의 시트(100)를 권취할 때에는 점착 테이프(101)로 부착된 접합부를 기준으로 해서 고려하면, 이 접합부를 중심으로 해서 권취방향의 양측에 인접하는 2매의 시트(100)에 서로 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장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장력이 작용하면 연결하는 2매의 시트(100)의 폭방향 중심선의 어긋남이 교정되어 결과적으로 접합부 주변에 주름(102)이 생기고, 시트(100)의 사행(폭방향 및 두께방향)이나 권취의 어긋남, 나아가서는 시트(100)의 손상·파손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연결된 복수매의 시트(100)를 권취하는 도중에 시트(100)에 절단이나 성막 등의 처리를 행할 경우에는 상기 주름(102)의 발생이 처리 불량의 발생 원인이 된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예를 들면 시트의 끝 가장자리끼리를 서로 맞댄 상태 또는 간격을 두고 배치한 상태에서 양쪽 시트의 폭방향 전역 또는 거의 전역에 걸치도록 점착 테이프를 부착했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발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문제는 시트의 폭방향 중심선을 완전하게 일치시킨 상태에서 양쪽 시트를 연결하면 해소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이 양자를 연결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실용적인 대책이 되지 못한다.
그래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2매의 시트(100)의 단부끼리를 간격을 두고 배치함과 아울러 양쪽 시트(100)의 폭방향 중앙의 일부 영역에만 걸치도록 가느다란 시트 형상의 연결체(이하, 시트 형상 연결체라고 함)(103)를 걸치고, 그 양단부를 점착 테이프(101)로 부착하는 것도 고려된다. 이렇게 하면, 양쪽 시트(100)의 폭방향 중심선의 어긋남이 교정될 때에 시트(100)에 생기는 변형을 시트 형상 연결체(103)의 비틀림 등의 변형에 의해 흡수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권취시에 시트(100)에 작용하는 장력이 시트 형상 연결체(103)와의 접합부[점착 테이프(101)을 부착한 영역]가 형성된 시트(100)의 폭방향 중앙의 일부 영역에 국소적으로 집중되기 때문에, 시트(100)의 단부 중 접합부 주변에 주름(102)이 생기기 쉬워진다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정을 감안하여, 복수매의 시트를 연결해서 롤 형상으로 권취한 시트 권회체에 있어서 권취시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시트에 주름이 생기는 사태를 가급적으로 저감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본 발명은 복수매의 시트 단부끼리를 연결부를 통해서 연결하고 롤 형상으로 권취한 시트 권회체로서, 상기 연결부가 권취방향으로 인접하는 2매의 시트 단부 사이에 걸쳐진 시트 형상 연결체로 구성되고, 상기 시트 형상 연결체가 권취방향의 양단부에 각 시트와 접합된 폭이 넓은 접합부를 가짐과 아울러 권취방향의 중간부에 상기 접합부보다 폭이 좁은 축소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권취시에 시트에 장력이 작용해서 각 시트의 폭방향 중심선의 어긋남이 교정되었다고 해도 시트 형상 연결체의 폭이 좁은 축소부가 적극적으로 변형(예를 들면 비틀림 변형)되고, 시트 자체에 부당한 변형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시트 형상 연결체는 폭이 넓은 접합부를 갖기 때문에 각 시트에 작용하는 장력이 시트 단부의 폭방향의 넓은 범위에 작용하게 되고, 상기 장력이 시트 단부의 폭방향이 좁은 범위에만 국소적으로 작용해서 접합부 주변에 주름이 형성되는 사태가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시트 단부는 시트 형상 연결체의 폭이 넓은 접합부에 의해 미리 보강되어서 변형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있으므로, 시트의 단부에 주름이 발생하는 사태를 가급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본 발명은 복수매의 시트 단부끼리를 연결부를 통해서 연결하고 롤 형상으로 권취한 시트 권회체로서, 상기 연결부가 권취방향으로 인접하는 2매의 시트 단부 중 어느 한쪽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가 형성된 한쪽 시트가 권취방향의 단부측부터 순차적으로 다른쪽 시트의 단부와 접합된 폭이 넓은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보다 폭이 좁은 축소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폭방향으로 인접하는 시트의 어느 한쪽 단부에 폭이 넓은 접합부와 폭이 좁은 축소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와 별체의 시트 형상 연결체로 시트의 단부끼리를 연결했을 경우와 같은 작용 효과를 향수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의 최대 폭이 시트의 최대 폭의 80% 이상이고, 상기 축소부의 최소 폭이 시트의 최대 폭의 5% 이상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접합부의 최대 폭이 시트의 최대 폭에 대하여 지나치게 작으면 시트의 폭방향 양측에 시트에 장력이 작용한 시점에서 주름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축소부의 최소 폭이 시트의 최대 폭에 대하여 지나치게 작으면 연결한 시트를 권취할 때에 작용하는 장력에 완전히 견디지 못하고 축소부가 단열(斷裂)될 우려가 있고, 시트의 최대 폭에 대하여 지나치게 크면 축소부에 있어서의 변형 흡수 효과가 저하되어서 시트에까지 변형이 파급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접합부의 최대 폭 및 축소부의 최소 폭은 상기 수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치 범위 내이면 시트에 주름이 생기는 사태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축소부의 단열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기 축소부가 가장 폭이 좁아지는 최협부(最狹部)로부터 점차 폭방향으로 확대되면서 상기 접합부측으로 연결되는 확폭부(擴幅部)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시트 권회체로서 연결한 복수매의 시트를 권취할 때, 그 권취 공정은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개의 롤러에 의해 연결된 복수매의 시트를 소정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행하는 것이 통례이다(후술하는 도 4를 참조). 그 때문에, 반송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롤러 사이에서 시트 단부가 자체 중량에 의해 늘어지고, 그 시트의 늘어진 부분이 롤러와 간섭하는 사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상기 구성과 같이 연결부의 축소부에 최협부로부터 점차 폭방향으로 확대되면서 상기 접합부측으로 연결되는 확폭부를 형성하고, 이 확폭부에 의해 시트 단부의 늘어짐을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렇게 하면 시트를 반송함에 따라서 시트의 단부에 앞서 확폭부가 서서히 롤러에 의한 지지 면적을 확대하면서 롤러 상에 얹히게 된다. 그리고, 롤러에 얹어진 확폭부에 의해 자체 중량으로 늘어져 있었던 시트의 단부의 대략 전체 폭이 롤러 상으로 원활하게 끌어올려지므로, 시트의 단부의 늘어짐을 자동적으로 수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시트에 두께 300㎛ 이하의 유리 필름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즉, 이러한 유리 필름이면 권취시에 발생하는 장력에 의해 단부에 주름이 생기는 변형이 발생한 시점에서 파손을 초래하기 쉽다. 따라서, 시트로서 유리 필름을 채용했을 경우에는 권취시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생기는 시트의 단부의 주름을 가급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본원 발명의 작용 효과가 매우 유익한 것이 된다.
이 경우, 상기 유리 필름의 폭방향 양단면이 레이저 할단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원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권취시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유리 필름에 주름이 생기는 사태를 가급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본원 발명에 의한 연결부를 통해서 연결된 복수매의 유리 필름이면, 그 연결된 복수매의 유리 필름에 대하여 레이저 할단을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과 같이 유리 필름의 폭방향 양단면을 레이저 할단면에 의해 구성하면, 레이저 할단에 유래하는 고강도의 끝면을 확실하게 향수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본 발명은 2매의 시트 단부 사이에 걸쳐져서 그 2매의 시트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시트 형상 연결체로서, 양단부에 각 시트와 접합되어서 폭이 넓은 접합부를 형성하는 폭광부(幅廣部)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폭광부의 상호간에 상기 폭광부보다 폭이 좁은 축소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시트 형상 연결체를 사용하여 복수매의 시트 단부를 연결해서 시트 권회체를 제작하면, 상기 서술한 작용 효과를 마찬가지로 향수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축소부가 가장 폭이 좁아지는 최협부로부터 점차 폭방향으로 확대되면서 상기 폭광부측으로 연결되는 확폭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매의 시트를 연결해서 롤 형상으로 권취한 시트 권회체에 있어서, 권취시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시트에 주름이 생기는 사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 권회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트 연결부에 있어서의 시트 형상 연결체와 유리 필름의 접합 방법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시트 연결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시트 권회체의 권취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 권회체의 시트 연결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 권회체의 시트 연결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 권회체의 시트 연결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 권회체의 시트 연결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a는 종래의 시트 권회체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b는 종래의 시트 권회체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 발명자들이 본원 발명에 앞서 발명한 시트 권회체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 권회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시트 권회체(1)는 복수매의 장척의 유리 필름(g)의 단부끼리를 서로 연결해서 연장하고, 그 연결한 복수매의 유리 필름(g)을 권심(2)의 외주면에 롤 형상으로 권취한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유리 필름(g)은 두께가 300㎛ 이하이고, 예를 들면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 등의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성형된 유리이며,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유기 EL 조명, 태양 전지 등에 이용된다.
권취방향으로 인접하는 2매의 유리 필름(g)의 단부끼리는 시트 형상 연결체(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시트 형상 연결체(3)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등의 수지 필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시트 형상 연결체(3)는 가요성을 갖는 인성 재료이다.
상세하게는 권취방향으로 인접하는 2매의 유리 필름(g)의 단부끼리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이 유리 필름(g)의 단부 사이에 상술한 시트 형상 연결체(3)가 걸쳐져 있다. 이 시트 형상 연결체(3)는 권취방향의 양단부가 폭광부(4)로 되고, 권취방향의 중간부가 폭광부(4)보다 폭이 좁은 축소부(5)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형상 연결체(3)의 양단부에 형성된 각 폭광부(4)가 유리 필름(g)의 단부에 겹쳐진 상태에서 폭광부(4)와 유리 필름(g)에 걸치도록 부착된 점착 테이프(단면 점착 테이프)(6)에 의해 유리 필름(g)에 접합되어 있다. 즉, 점착 테이프(6)를 부착한 영역이 접합부로서 기능한다. 이렇게 하면, 시트 형상 연결체(3)의 축소부(5)가 적극적으로 변형되는 부위가 되므로, 권취시에 유리 필름(g)에 장력이 작용해서 각 유리 필름(g)의 폭방향 중심선의 어긋남이 교정되었다고 해도 시트 형상 연결체(3)의 축소부(5)가 적극적으로 변형되고, 유리 필름(g) 자체에 부당한 변형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시트 형상 연결체(3)는 폭이 넓은 접합부[점착 테이프(6)에 대응하는 영역]를 갖기 때문에 각 유리 필름(g)에 작용하는 장력이 유리 필름(g)의 단부의 폭방향이 넓은 범위(폭방향 대략 전역)에 작용하게 되어, 상기 장력이 유리 필름(g)의 단부의 폭방향이 좁은 범위에만 국소적으로 작용해서 접합부 주변에 주름이 형성되는 사태가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유리 필름(g)의 단부는 시트 형상 연결체(3)의 폭이 넓은 접합부에 의해 미리 보강되어서 변형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있으므로, 유리 필름(g)의 단부에 생기는 주름을 가급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시트 형상 연결체(3)와 유리 필름(g)의 접합 방법은 시트 형상 연결체(3)의 폭광부(4)를 유리 필름(g)의 단부에 겹쳐진 상태에서 폭광부(4)와 유리 필름(g)에 걸치도록 단면 점착 테이프(6)를 부착하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폭광부(4)와 유리 필름(g)의 단부의 중합부를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접착제로 부착하거나, 또는 열에 의해 용착해도 좋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필름(g)과 시트 형상 연결체(3)의 단부 가장자리끼리를 서로 맞댄 상태, 또는 근접시킨 상태에서 유리 필름(g)과 시트 형상 연결체(3)의 쌍방에 걸치도록 점착 테이프(6)를 부착하는 방법이라도 좋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형상 연결체(3)의 축소부(5)는 가장 폭이 좁아지는 최협부(5a)로부터 점차 폭방향으로 확대되면서 폭광부(4)로 연결되는 확폭부(5b)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연결된 복수매의 유리 필름(g)을 권취 공정에 의해 유리 필름(g)을 반송하는 롤러 사이에서 유리 필름(g)의 단부가 자체 중량으로 늘어졌다고 해도 유리 필름(g)의 단부에 앞서 확폭부(5b)가 서서히 롤러에 의한 지지 면적을 확대하면서 롤러 상에 얹히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롤러에 얹어진 확폭부(5b)에 의해 자체 중량으로 늘어져 있었던 유리 필름(g)의 단부의 대략 전체 폭이 롤러 상으로 원활하게 끌어올려지므로 유리 필름(g)의 단부의 늘어짐을 자동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확폭부(5b)는 양단부측이 중앙부측보다 폭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테이퍼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최협부(5a)를 사이에 두고 대각으로 위치하는 테이퍼는 서로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동일 직선 상으로 하면, 최협부(5a)를 중심으로 해서 양측의 유리 필름(g)에 작용하는 장력의 밸런스가 양호해져서 시트 형상 연결체(3)가 후술하는 반송용 롤러 상을 통과할 때의 거동이 안정된다고 하는 이점을 향수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에 의거하여 시트 형상 연결체(3)의 각 부와 유리 필름(g)의 치수 관계의 바람직한 형태를 설명한다.
시트 형상 연결체(3)의 축소부(5)에 있어서의 최협부(5a)의 폭방향 치수(A)는 유리 필름(g)의 폭방향 치수(a)의 5~70%인 것이 바람직하고, 8~5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2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최협부(5a)의 폭방향 치수(A)가 지나치게 넓으면 시트 형상 연결체(3)의 비틀림 변형 등에 의한 변형 흡수 효과가 저감되고, 유리 필름(g)에도 변형이 파급될 우려가 있다. 한편, 최협부(5a)의 폭방향 치수(A)가 지나치게 좁으면 축소부(5)의 최협부(5a)가 권취시에 작용하는 장력에 완전히 견디지 못하고 단열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최협부(5a)의 폭방향 치수(A)는 상기 수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범위 내이면 상기한 문제를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시트 형상 연결체(3)의 축소부(5)에 있어서의 확폭부(5b)의 테이퍼가 이루는 각(B)은 90~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13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확폭부(5b)의 테이퍼가 이루는 각(B)이 지나치게 크면 확폭부(5b)에 의한 유리 필름(g)의 단부의 늘어짐을 수정하는 기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확폭부(5b)의 테이퍼가 이루는 각(B)이 지나치게 작으면 축소부(5)의 양측의 오목부가 완만해져서 축소부(5)에 의한 변형 흡수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확폭부(5b)의 테이퍼가 이루는 각(B)은 상기 수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범위 내이면 상기한 문제를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시트 형상 연결체(3)의 폭광부(4)의 최대 폭방향 치수(C)는 유리 필름(g)의 폭방향 치수(a)의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폭광부(4)의 최대 폭방향 치수(C)가 지나치게 작으면 유리 필름(g)의 폭방향 양측이 아래로 늘어져서 롤러와 접촉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폭광부(4)의 최대 폭방향 치수(C)는 상기 수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범위 내이면 상기한 문제를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폭광부(4)의 최대 폭방향 치수(C)의 상한치는 유리 필름(g)의 폭방향 치수(a)의 100%를 초과해도 좋지만, 이 경우에는 시트 권회체(1)의 폭방향 양측으로 시트 형상 연결체(3)가 돌출되기 때문에 이 돌출을 방지하는 관점으로부터는 상한치는 유리 필름(g)의 폭방향 치수(a)의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리 필름(g)의 폭방향 양단부를 레이저 할단에 의해 절단할 경우에는 상기 시트 형상 연결체(3)의 폭광부(4)의 최대 폭방향 치수(C)의 수치 범위는, 시트 형상 연결체(3)가 레이저 할단에 의한 할단 예정선에 걸쳐지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하게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 형상 연결체(3)의 권취방향 치수(D)는 유리 필름(g)의 폭방향 치수(a)의 30~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시트 형상 연결체(3)의 권취방향 치수(D)가 지나치게 크면 시트 형상 연결체(3)를 유리 필름(g)의 단부에 부착하기 위해서 넓은 작업 스페이스가 필요해진다. 한편, 시트 형상 연결체(3)의 권취방향 치수(D)가 지나치게 작으면 축소부(5)에 의해 변형을 전부 흡수할 수 없어 유리 필름(g)에도 변형이 파급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시트 형상 연결체(3)의 권취방향 치수(D)는 상기 수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범위 내이면 상기한 문제를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시트 형상 연결체(3)의 축소부(5)에 있어서의 최협부(5a)의 권취방향 치수(E)는 유리 필름(g)의 폭방향 치수(a)의 5~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최협부(5a)의 권취방향 치수(E)가 지나치게 크면 시트 형상 연결체(3)를 유리 필름(g)의 단부에 부착하기 위해서 넓은 작업 스페이스가 필요해진다. 한편, 최협부(5a)의 권취방향 치수(E)가 지나치게 작으면 축소부(5)의 변형 흡수 영역의 면적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없어 유리 필름(g)에도 변형이 파급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최협부(5a)의 권취방향 치수(E)는 상기 수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범위 내이면 상기한 문제를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시트 형상 연결체(3)의 폭광부(4)의 권취방향 치수(F)는 유리 필름(g)의 폭방향 치수(a)의 0~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폭광부(4)의 권취방향 치수(F)가 지나치게 크면 유리 필름(g)과 시트 형상 연결체(3) 사이에서 비틀림이 생기고, 유리 필름(g)에 주름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래서, 폭광부(4)의 권취방향 치수(F)는 상기 수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범위 내이면 상기한 문제를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시트 형상 연결체(3)의 폭광부(4)와 유리 필름(g)의 중합부의 권취방향 치수(G)는 유리 필름(g)의 폭방향 치수(a)의 0~5%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폭광부(4)와 유리 필름(g)의 중합부의 권취방향 치수(G)가 지나치게 크면, 예를 들면 단면 점착 테이프에 의해 접합부를 형성하는 등의 접합 형태에 따라서는 유리 필름(g)의 단부가 늘어져서 롤러와 접촉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폭광부(4)와 유리 필름(g)의 중합부의 권취방향 치수(G)는 상기 수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범위 내이면 상기한 문제를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점착 테이프(6)를 부착한 접합부의 폭방향 치수(H)는 유리 필름(g)의 폭방향 치수(a)의 8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접합부의 폭방향 치수(H)가 지나치게 작으면 유리 필름(g)의 접합부 주변에 주름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유리 필름(g)의 폭방향 양측이 늘어져서 롤러와 접촉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접합부의 폭방향 치수(H)는 상기 수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범위 내이면 상기한 문제를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이어서,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 권회체(1)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권회체(1)는 권심(2)의 외주면에 시트 형상 연결체(3)로 연결한 복수매의 유리 필름(g)을 권취해서 제작된다. 이 유리 필름(g)의 권취 공정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형상 연결체(3)로 연결된 복수매의 유리 필름(g)을 복수개의 롤러(7)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행해진다. 그리고, 도면 밖의 반송방향 최하류에 있어서 복수매의 유리 필름(g)이 순차적으로 권취되어 시트 권회체(1)가 제작된다.
한편, 반송방향의 최상류측에는 유리 필름(g)을 연속적으로 성형하는 성형 장치가 배치되거나, 또는 미리 성형된 유리 필름(g)을 권취한 다른 시트 권회체가 배치된다.
여기에서, 전자의 경우에는 성형 과정에서 유리 필름(g)의 폭방향 양단부를 롤러 등의 파지 수단에 의해 파지해서 견인하기 때문에, 폭방향 양단부에는 파지 수단과의 접촉에 의해 불가시적인 미소한 흠집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파지 수단과의 접촉부가 형성되는 유리 필름(g)의 폭방향 양단부를 불필요부(gb)로서 절단할 필요가 생긴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는 상류측에 따로 배치된 시트 권회체로부터 풀린 유리 필름(g)에 상술한 파지 수단과의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을 때에는 그 접촉부를 불필요부(gb)로서 절단할 필요가 생기고, 또한 접촉부가 이미 절단되거나 해서 존재하지 않을 때라도 제품의 요구 치수보다 크면 유리 필름(g)의 폭방향 양단부를 불필요부(gb)로서 절단할 필요가 생긴다.
그래서, 도 4에 나타내는 권취 공정에서는 유리 필름(g)의 반송 경로 상에서 할단 장치(8)에 의해 유리 필름(g)의 폭방향 양단부의 불필요부(gb)를 절단하고, 그 절단한 불필요부(gb)를 하방으로 절곡하면서 유효부(ga)의 궤도로부터 이반시켜 폐기 처분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시트 형상 연결체(3)는 유리 필름(g)의 할단 예정선(X)에 의해 구획되는 유효부(ga) 내에 수납되도록 배치한다.
이 할단 장치(8)는 유리 필름(g)의 상방측으로부터 레이저 빔(L)을 조사해서 국부가열을 실시하는 가열 수단(9)과, 이 가열 수단(9)에 의해 가열된 가열 영역(H)에 표면측으로부터 냉각수(W)를 분사하는 냉각 수단(10)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 수단(9)에 의한 가열 영역(H) 및 냉각 수단(10)에 의한 냉각 영역(C)이 유리 필름(g)의 반송에 따라 유리 필름(g)의 할단 예정선(X) 상을 이동하고, 할단 예정선(X)을 따라 열응력이 작용한다. 할단 예정선(X)의 선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초기 균열이 이미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열응력에 의해 이 초기 균열이 할단 예정선(X)을 따라 진전되어 유리 필름(G)이 할단된다. 이때, 시트 형상 연결체(3)의 작용에 의해 유리 필름(g)에 장력이 작용해도 유리 필름(g)에 주름이 생기기 어려우므로, 유리 필름(g)에 대하여 레이저 할단을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할단 공정을 거쳐서 제작되는 시트 권회체(1)에 포함되는 유리 필름(g)의 폭방향 양단면은 레이저 할단에 유래하여, 파손 원인이 되는 미소 크랙이 적은 고강도면이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 권회체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연결부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연결부와 상위하는 점은 시트 형상 연결체(3)의 최협부(5a)와 폭광부(4) 사이를 연결하는 확폭부(5b)가 테이퍼 형상이 아니라 볼록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또한, 확폭부(5b)는 오목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 권회체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연결부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연결부와 상위하는 점은 시트 형상 연결체(3)의 확폭부(5b)를 생략하고, 시트 형상 연결체(3)를 폭협부(幅狹部)(최협부)(5a)에 폭광부(4)를 직접 연결한 점에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 권회체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연결부가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연결부와 상위하는 점은 폭협부(5a)와 폭광부(4)만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형상 연결체(3)의 폭광부(4) 전체를 유리 필름(g)의 단부와 겹쳐서 접합한 점에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 권회체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연결부가 제 1 실시형태~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연결부와 상위하는 점은 유리 필름(g)끼리를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연결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수지 필름(11)과 유리 필름(g)을 연결하는 점에 있다. 상세하게는 수지 필름(11)은 권취방향의 단부에 유리 필름(g)의 단부와의 접합부를 형성하는 폭광부(12)를 가짐과 아울러 이 폭광부(12) 근방의 일부 영역에 폭광부(12)보다 폭이 좁은 축소부(13)를 갖는다. 이와 같이, 연결부를 수지 필름(11)에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유리 필름(g)에 주름이 생기는 사태를 마찬가지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형상 연결체(3)를 통해서 유리 필름(g)끼리를 연결할 경우를 설명했지만, 시트 형상 연결체(3)를 통해서 유리 필름과 수지 필름, 또는 수지 필름끼리를 연결해도 좋다.
또한, 시트 권회체(1)에 포함되는 시트[유리 필름(g) 등]의 권취방향의 시단부와 종단부에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수지 필름을 연결하고, 이 수지 필름을 롤투롤 장치 내로 유도할 때의 리더로서 사용해도 좋다.
1 : 시트 권회체 2 : 권심
3 : 시트 형상 연결체 4 : 폭광부
5 : 축소부 5a : 최협부
5b : 확폭부 6 : 점착 테이프
7 : 롤러 8 : 할단 장치
9 : 가열 수단 10 : 냉각 수단
11 : 수지 필름 12 : 폭광부
13 : 축소부 g : 유리 필름

Claims (8)

  1. 복수매의 시트 단부끼리를 연결부를 통해서 연결하고 롤 형상으로 권취한 시트 권회체로서:
    상기 연결부는 권취방향으로 인접하는 2매의 시트 단부 사이에 걸쳐진 시트 형상 연결체로 구성되고,
    상기 시트 형상 연결체는 권취방향의 양단부에 각 시트와 접합된 폭이 넓은 접합부를 가짐과 아울러 권취방향의 중간부에 상기 접합부보다 폭이 좁은 축소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권회체.
  2. 복수매의 시트 단부끼리를 연결부를 통해서 연결하고 롤 형상으로 권취한 시트 권회체로서:
    상기 연결부는 권취방향으로 인접하는 2매의 시트 단부 중 어느 한쪽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가 형성된 한쪽 시트는 권취방향의 단부측부터 순차적으로 다른쪽 시트의 단부와 접합된 폭이 넓은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보다 폭이 좁은 축소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권회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의 최대 폭은 시트의 최대 폭의 80~100%이고, 상기 축소부의 최소 폭은 시트의 최대 폭의 5~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권회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기 축소부는 가장 폭이 좁아지는 최협부로부터 점차 폭방향으로 확대되면서 상기 접합부측으로 연결되는 확폭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권회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시트에 두께 300㎛ 이하의 유리 필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권회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필름의 폭방향 양단면은 레이저 할단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권회체.
  7. 2매의 시트 단부 사이에 걸쳐져서 그 2매의 시트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시트 형상 연결체로서:
    양단부에 각 시트와 접합되어서 폭이 넓은 접합부를 형성하는 폭광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폭광부의 상호간에 상기 폭광부보다 폭이 좁은 축소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형상 연결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부는 가장 폭이 좁아지는 최협부로부터 점차 폭방향으로 확대되면서 상기 폭광부측으로 연결되는 확폭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형상 연결체.
KR1020137003386A 2010-07-16 2011-07-14 시트 권회체 및 시트 형상 연결체 KR101778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61695 2010-07-16
JPJP-P-2010-161695 2010-07-16
PCT/JP2011/066095 WO2012008529A1 (ja) 2010-07-16 2011-07-14 シート巻回体およびシート状連結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907A true KR20130032907A (ko) 2013-04-02
KR101778121B1 KR101778121B1 (ko) 2017-09-13

Family

ID=45467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3386A KR101778121B1 (ko) 2010-07-16 2011-07-14 시트 권회체 및 시트 형상 연결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28940B2 (ko)
EP (1) EP2508453B1 (ko)
JP (1) JP5950078B2 (ko)
KR (1) KR101778121B1 (ko)
CN (1) CN102892695B (ko)
TW (1) TWI589509B (ko)
WO (1) WO20120085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2507B2 (ja) * 2008-10-01 2014-06-2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及びガラスロールの処理方法
TWI668194B (zh) * 2010-11-30 2019-08-11 康寧公司 玻璃帶及將第一玻璃帶部分接合至第二部分之方法
WO2012090693A1 (ja) * 2010-12-28 2012-07-05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の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JP2015533764A (ja) * 2012-09-26 2015-11-26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可撓性リボン構造を製造および分離するための装置ならびに方法
JP6073639B2 (ja) * 2012-10-19 2017-02-01 日東電工株式会社 薄ガラス長尺体
WO2014061800A1 (ja) * 2012-10-19 2014-04-24 日東電工株式会社 薄ガラス長尺体
TWI591040B (zh) * 2012-10-22 2017-07-11 康寧公司 玻璃纖維網和拼接的方法
JP6033096B2 (ja) * 2013-01-17 2016-11-30 日東電工株式会社 薄ガラス長尺体
JP6237371B2 (ja) * 2014-03-20 2017-11-2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洗浄方法、及びガラスフィルムの洗浄装置
JP6478084B2 (ja) * 2014-03-20 2019-03-06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搬送方法、及びガラスフィルムの搬送装置
WO2018079441A1 (ja) * 2016-10-26 2018-05-03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US11020930B2 (en) * 2017-05-11 2021-06-01 Pregis Innovative Packaging Llc Splice member on stock material units for a dunnage conversion machine
US10940659B2 (en) 2017-05-11 2021-03-09 Pregis Innovative Packaging Llc Strap assembly on stock material units for a dunnage conversion machine
CN107444951B (zh) * 2017-07-24 2019-03-05 宁夏海力电子有限公司 化成箔接箔方法
CN110104483B (zh) * 2019-05-21 2020-09-18 芜湖凯仁橡塑有限公司 一种橡胶减震件制造用的片状橡胶自动收卷装置
US11746035B2 (en) * 2019-07-11 2023-09-05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of glass roll
CN111874455A (zh) * 2020-07-28 2020-11-03 光能动力(北京)科技有限责任公司 柔性太阳能组件的运输方式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3654A (en) * 1973-02-28 1974-12-10 Eastman Kodak Co Method for splicing web end portions with plastic rivets
JPH072398A (ja) 1993-06-15 1995-01-06 Toray Ind Inc シート状物の巻取り方法
US5472089A (en) * 1994-05-03 1995-12-05 Eastman Kodak Company Light-tight and physically protected packaging for a roll of photosensitive web
JP2847697B2 (ja) * 1996-03-04 1999-01-20 ソニーケミカル株式会社 リボンロール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5655659A (en) * 1996-09-04 1997-08-12 Eastman Kodak Company Light-tight package with perforated end disks
JPH1154007A (ja) * 1997-08-06 1999-02-26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流遮断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池
JP2004059776A (ja) * 2002-07-30 2004-02-26 Hitachi Chem Co Ltd 異方導電材テープ
JP5532507B2 (ja) * 2008-10-01 2014-06-2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及びガラスロールの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13217A (en) 2012-04-01
EP2508453B1 (en) 2015-01-28
CN102892695A (zh) 2013-01-23
JPWO2012008529A1 (ja) 2013-09-09
WO2012008529A1 (ja) 2012-01-19
US9028940B2 (en) 2015-05-12
EP2508453A1 (en) 2012-10-10
CN102892695B (zh) 2015-09-02
JP5950078B2 (ja) 2016-07-13
US20120015132A1 (en) 2012-01-19
EP2508453A4 (en) 2014-04-02
KR101778121B1 (ko) 2017-09-13
TWI589509B (zh) 2017-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2907A (ko) 시트 권회체 및 시트 형상 연결체
JP5617556B2 (ja) 帯状ガラスフィルム割断装置及び帯状ガラスフィルム割断方法
JP5742082B2 (ja) 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JP5532507B2 (ja) ガラスロール及びガラスロールの処理方法
JP5868734B2 (ja) 光学表示パネルの連続製造方法および光学表示パネルの連続製造システム
JP2012073423A (ja) 液晶表示素子の連続製造システムおよび液晶表示素子の連続製造方法
KR102435169B1 (ko)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JP2011207721A (ja) ガラスフィルムの切断方法及び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JP2017043366A (ja) ガラス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巻き外し方法
JP2015174694A (ja) ガラスフィルム及びガラスロール
US20190232629A1 (en)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display unit
TWI660848B (zh) 用以製造顯示單元的系統
CN107735370B (zh) 玻璃卷的制造方法以及玻璃卷
JP2011161808A (ja) 構造材の製造方法、構造材
JP5953073B2 (ja) 光学表示パネルの連続製造方法およびその連続製造システム、切替方法および繰出装置
KR20170000769A (ko) 웹 제조 방법, 및, 웹
CN110785384B (zh) 玻璃膜的制造方法
JP2015134705A (ja) フィルム状連結体及びガラスロール
JP5969247B2 (ja) 光学表示パネルの連続製造方法およびその連続製造システム、切替方法および繰出装置
JP2017047983A (ja) 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ロール
KR20140113863A (ko) 필름 권취용 지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