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1235A -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1235A
KR20130031235A KR1020127014460A KR20127014460A KR20130031235A KR 20130031235 A KR20130031235 A KR 20130031235A KR 1020127014460 A KR1020127014460 A KR 1020127014460A KR 20127014460 A KR20127014460 A KR 20127014460A KR 20130031235 A KR20130031235 A KR 20130031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entrifugal separator
centrifugal
main bod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0549B1 (ko
Inventor
히또시 스즈끼
마사또시 다나까
겐지 고지마
야스시 다까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30031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47L9/108Dust compres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41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parallel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Abstract

집진 장치는,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제1 원심 분리부(41)를 구비한다. 집진 장치는, 제1 원심 분리부(41)에 연통되고, 제1 원심 분리부(41)에서 분리하는 먼지보다도 미세한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제2 원심 분리부를 구비한다. 제1 원심 분리부(41)는 먼지를 수용 가능한 케이스체(51)를 갖는다. 제1 원심 분리부(41)는, 케이스체(51)와의 사이에서 함진 공기를 선회시키는 원통 형상의 선회부(52)를 케이스체(51)의 내부에 갖는다. 선회부(52)는, 제2 원심 분리부와 연통되는 주위 개구부(65)를 주위에 구비함과 함께, 제2 원심 분리부와 연통되는 단부 개구부(74)를 단부에 구비한다. 제1 원심 분리부(41)는, 단부 개구부(74)에 설치된 압축 필터(54)를 갖는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먼지를 원심 분리하여 포집하는 집진부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먼지를 원심 분리(사이클론 분리)하여 포집하는 집진부(집진 장치)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가 있다. 이러한 전기 청소기의 집진부는, 원통 형상의 케이스체의 내부에, 이 케이스체와 동심 형상으로 선회부(셰이드부)가 배치되어 있고,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흡입된 함진(含塵) 공기를 케이스체와 선회부의 사이에서 선회시켜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분리부와, 이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실을 상하에 갖는 원심 분리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 청소기의 집진부에 있어서, 원심 분리부를 직렬로 다단, 예를 들어 2단으로 배치하여, 최상류의 제1 원심 분리부에서는 함진 공기 중의 조대 먼지, 예를 들어 섬유 먼지 등을 원심 분리하고, 이 제1 원심 분리부보다도 하류의 제2 원심 분리부에서는 제1 원심 분리부를 통과한 세진(미세 먼지)을 원심 분리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다단으로 원심 분리부를 접속하는 경우, 분리부의 와류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제1 원심 분리부의 집진실에 포집된 조대 먼지가 압축되지 않으므로, 충분한 집진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집진실에 큰 용적이 필요해지거나, 조대 먼지를 압축하는 기계적인 압축 장치 등이 필요해진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222614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집진부의 대형화 및 구성의 복잡화를 억제하면서 집진량을 확보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를 갖는다. 또한, 이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되는 집진부를 갖는다. 집진부는,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제1 원심 분리부를 구비한다. 또한, 이 집진부는, 제1 원심 분리부에 연통되고, 이 제1 원심 분리부에서 분리하는 먼지보다도 미세한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제2 원심 분리부를 구비한다. 제1 원심 분리부는, 먼지를 수용 가능한 케이스체를 갖는다. 또한, 이 제1 원심 분리부는, 케이스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이 케이스체와의 사이에서 함진 공기를 선회시키는 통 형상의 선회부를 갖는다. 이 선회부는, 제2 원심 분리부와 연통되는 주위 개구부를 주위에 구비함과 함께, 제2 원심 분리부와 연통되는 단부 개구부를 단부에 구비한다. 또한, 제1 원심 분리부는, 단부 개구부에 설치된 압축 필터를 갖는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제1 원심 분리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집진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제2 원심 분리부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설명 측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부호 11은, 이른바 캐니스터형 전기 청소기를 나타내고, 이 전기 청소기(11)는 흡입 풍로체(풍로 형성체)인 관부(12)와, 이 관부(12)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청소기 본체(13)를 갖고 있다.
관부(12)는, 청소기 본체(13)에 접속되는 접속관부(15)와, 이 접속관부(15)의 선단측에 연통되는 가요성을 갖는 호스체(16)와, 이 호스체(16)의 선단측에 설치된 손잡이 조작부(17)와, 이 손잡이 조작부(17)의 선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연장관(18)과, 이 연장관(18)의 선단측, 혹은 호스체(16)의 선단측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흡입구체로서의 바닥 브러시(19)를 구비하고 있다.
손잡이 조작부(17)에는, 루프 형상의 파지부(21)가 호스체(16) 옆으로 돌출되고, 이 파지부(21)의 상부에는 조작용 설정 버튼(22)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청소기 본체(13)는 대직경의 주행륜(23)을 양측에 갖고 선회륜(24)을 하부에 갖는 본체 케이스(25)를 구비하고, 이 본체 케이스(25)의 상부에는, 집진부로서의 집진 장치(26)가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청소기 본체(13)는, 주행륜(23) 및 선회륜(24)에 의해 피청소면인 바닥면 상을 적어도 전후 방향을 따라 주행(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25)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전동 송풍기(31)를 수용한 본체부(32)와, 이 본체부(32)의 전방부에 돌출 설치된 돌출부(33)를 갖고 있다.
전동 송풍기(31)는, 본체부(32) 내에 배치되어 있고, 설정 버튼(22)의 조작에 따라서, 본체부(32) 내에 수용된 도시하지 않은 제어 수단에 의해 동작이 제어된다. 또한, 이 전동 송풍기(31)는, 예를 들어 고무 등의 탄성 부재(35, 36)를 통해 축 방향의 양단부가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본체부(32)는, 집진 장치(26)의 후방측의 하부를 지지하는 부분이며, 전동 송풍기(31) 및 제어 수단 외에, 이 전동 송풍기(31)에 급전하기 위한 전원부로서, 전원 코드(37)를 권회한 도시하지 않은 코드 릴 장치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이 본체부(32)의 후단부에는, 전동 송풍기(31)로부터의 배기를 본체 케이스(25)의 외부로 배출하는 도시하지 않은 배기 구멍과, 전원 코드(37)의 선단측이 도출되는 도시하지 않은 코드 도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32)의 양측에는 주행륜(23)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돌출부(33)는 집진 장치(26)의 전방측의 하부를 지지하는 부분이며, 전방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이 돌출부(33)의 내부에는, 집진 장치(26)에 연통되는 연통 풍로(38)가 내부에 구획되어 있다. 또한, 이 돌출부(33)의 전방부에는, 관부(12)의 접속관부(15)가 접속되는 본체 흡입구(39)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본체 흡입구(39)가 연통 풍로(38)의 상류 단부의 개구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돌출부(33)의 하부에는, 선회륜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집진 장치(26)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측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을 따라 축 방향을 갖는 제1 원심 분리부(41)와, 이 제1 원심 분리부(41)에 연통되어 후방측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을 따라 축 방향을 갖는 복수의 제2 원심 분리부(42)와, 이들 원심 분리부(41, 42)를 연통하는 풍로부(43)와, 각 제2 원심 분리부(42)의 하부에 접속되는 집진 케이스(44)와, 각 제2 원심 분리부(42)와 전동 송풍기(31)의 흡입측을 연통하는 배기 풍로부(45)를 일체적으로 구비한 유닛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원심 분리부(41)의 상부, 풍로부(43) 및 제2 원심 분리부(42)의 상부가 외부 커버(46)에 의해 덮여 있다.
제1 원심 분리부(41)는, 연통 풍로(38)를 통과한 함진 공기를 선회시켜 섬유 먼지 등의 비교적 큰 먼지(조대 먼지)(D)를 원심 분리(사이클론 분리) 및 포집하는 것이며,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케이스체(51)와, 이 케이스체(51) 내에 배치된 원통 형상의 셰이드부인 선회부(52)와, 이 선회부(52)에 장착된 각각 메쉬 형상의 집진 필터(53) 및 압축 필터(54)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제1 원심 분리부(41)는, 예를 들어 집진 장치(26)가 본체 케이스(25)에 장착된 상태에서, 후방 상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케이스체(51)는, 먼지(조대 먼지)(D)를 원심 분리하는 분리실(56)을 상측으로, 이 분리한 먼지(조대 먼지)(D)를 수용하는 집진실(57)을 하측으로, 각각 구획하는 부분이며, 예를 들어 투광성을 갖는 합성 수지 등의 부재에 의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케이스 본체(58)와, 이 케이스 본체(58)의 일단부인 하단부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덮개(59)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58)의 후방부 일측에는, 연통 풍로(38)가 접속되는 유입구인 흡입구(60)가 형성되어 있고, 이 흡입구(60)를 통해 함진 공기가 연통 풍로(38)로부터 케이스체(51) 내로 접선 방향을 따라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회부(52)는, 케이스체(51)[케이스 본체(58)]의 상부로부터 이 케이스체(51)[케이스 본체(58)]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고, 이 케이스체(51)[케이스 본체(58)]와 동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선회부(52)는 상측에 위치하는 원통 형상의 선회부 본체(62)와, 하측에 위치하는 원통 형상(원반 형상)의 확대부(63)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선회부 본체(62)는, 외주면과 케이스체(51)[케이스 본체(58)]의 내주면 사이에, 함진 공기가 선회하는 분리실(56)이 구획되어 있다. 또한, 선회부 본체(62)의 주위에는, 복수의 주위 개구부(65)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주위 개구부(65)는 집진 필터(53)에 의해 각각 덮여 있다. 또한, 이 선회부 본체(62)의 타단부인 상단부는, 풍로부(43)에 대해 기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각 주위 개구부(65)는 선회부(52)[선회부 본체(62)]의 내부 및 풍로부(43)를 통해 각 제2 원심 분리부(42)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확대부(63)는 선회부 본체(62)의 하단부의 전체 둘레에 대해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면부(67)와, 이 상면부(67)의 주연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먼지 집적부로서의 주변 돌출부(68)와, 상면부(67)의 중앙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통 형상부로서의 흡착부인 돌출 통부(69)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고, 선회부 본체(62)보다도 대직경으로 형성되고, 이 선회부 본체(62)에 대해 동심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이 확대부(63)는 선회부 본체(62)에 대해 단차 형상으로 직경 확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 확대부(63)의 하부와 케이스체(51)의 사이에 집진실(57)이 구획되어 있고, 이 확대부(63)에 의해, 분리실(56)에 발생하는 선회류(와류)의 영향을 집진실(57)에 대해 차단(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면부(67)에는 선회부 본체(62)의 외주면 근방의 위치에, 주위 방향으로 복수의 개구부(71)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개구부(71)는 메쉬 형상의 필터체(72)에 의해 각각 덮여 있다. 이 필터체(72)는, 먼지(조대 먼지)(D)를 압축하기 위한 것이며, 메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변 돌출부(68)는 외주면이 케이스체(51)[케이스 본체(58)]의 내주면에 접근하여 분리실(56)보다도 좁은 간극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주변 돌출부(68)의 내주면은, 하측으로부터 상측[돌출 통부(69)측]을 향해 서서히 직경 축소되어 경사진 원통면인 경사면(68a)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돌출 통부(69)는 선회부 본체(62)보다도 직경이 작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선회부 본체(62)에 대해 동심 형상으로, 이 선회부 본체(62)와 기밀하게 연속되어 있다. 또한, 이 돌출 통부(69)의 하단부, 즉 선회부(52)의 단부측은, 상면부(67)의 하면보다도 하방, 즉, 집진실(57) 내로 돌출된 단부 개구부(74)로 되어 있고, 이 단부 개구부(74)는 압축 필터(54)에 의해 덮여 있다. 이 단부 개구부(74)는 선회부(52)[선회부 본체(62)]의 내부 및 풍로부(43)를 통해 각 제2 원심 분리부(42)와 연통되어 있다.
한편, 각 제2 원심 분리부(42)는, 제1 원심 분리부(41)에 의해 원심 분리할 수 없었던, 가루 먼지 등의 비교적 작은 먼지(세진), 즉, 제1 원심 분리부(41)에서 분리하는 먼지(조대 먼지)(D)보다도 미세한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각 제2 원심 분리부(42)는, 제1 원심 분리부(41)보다도 각각 유속이 커, 원심 분리 능력이 높다. 그리고 이들 제2 원심 분리부(42)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양측에 전후 방향으로 5개씩, 중앙부에 전후 방향으로 4개, 합계 14개 배치되고, 풍로부(43)에 대해 각각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각 제2 원심 분리부(42)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즉,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서서히 직경 축소된 긴 원통 형상의 제2 원심 분리부 본체(77)와, 이 제2 원심 분리부 본체(77)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풍로부(43)와 연통되는 정류부(78)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각 제2 원심 분리부 본체(77)는, 정류부(78)로부터 유입된 함진 공기를 내주면을 따라 선회시키는 부분이며, 적어도 내주면의 최대 직경 치수가 제1 원심 분리부(41)의 케이스체(51)[케이스 본체(58)]보다도 작게, 예를 들어 케이스체(51)[케이스 본체(58)]의 내주면의 절반 이하 정도의 직경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각 정류부(78)는, 각 제2 원심 분리부 본체(77)의 상단부로부터 이들 제2 원심 분리부 본체(77) 내에 삽입되어 동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정류부(78)는, 상하 방향을 따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통기부로서의 통기 통부(81)와, 이 통기 통부(81)의 주위를 따라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정류 통로부(82)를 각각 일체로 갖고 있다.
각 통기 통부(81)는, 하단부측이 제2 원심 분리부 본체(77) 내로 삽입되어 돌출되어 있고, 상단부측이 배기 풍로부(45)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각 정류 통로부(82)는, 상류측이 풍로부(43) 내에서 전방, 즉, 상류측을 향해 개구되어 있음과 함께, 하류측으로 서서히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이로 인해, 각 제2 원심 분리부(42)는, 각 정류 통로부(82)에 의해, 풍로부(43)를 통과하는 함진 공기가 각 제2 원심 분리부 본체(77) 내로 접선 방향을 따라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풍로부(43)는 상류측인 전방측에 위치하고 제1 원심 분리부(41)와 연통되는 상류측 풍로부로서의 전방측 풍로부(84)와, 하류측인 후방측에 위치하고 전방측 풍로부(84) 및 제2 원심 분리부(42)와 연통되는 하류측 풍로부로서의 후방측 풍로부(85)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전방측 풍로부(84)는, 전후 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원심 분리부(41)의 상부로부터 각 제2 원심 분리부(42)의 전방부에 걸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전방측 풍로부(84)의 전방측의 하부는, 제1 원심 분리부(41)의 하류측, 즉, 선회부(52)의 상단부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후방측 풍로부(85)는, 모든 제2 원심 분리부(42)의 외측 전체를 둘러싸고 형성되어 있고, 전방측 풍로부(84)보다도 좌우 폭 방향으로 확대되어 있다. 그리고 이 후방측 풍로부(85) 내에는, 각 제2 원심 분리부(42)의 제2 원심 분리부 본체(77)의 상단부 및 정류부(78)가 배치되어 있고, 후방측 풍로부(85)에 대해 각 정류부(78)가 병렬로 연통되어 있다.
또한, 집진 케이스(44)는, 제2 원심 분리부(42)에서 분리된 먼지(세진)를 수용하는 것으로, 제1 원심 분리부(41)의 후방이며, 또한 각 제2 원심 분리부(42)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부에 각 제2 원심 분리부(42)의 제2 원심 분리부 본체(77)의 하단부측이 삽입되어 기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집진 케이스(44)는, 각 제2 원심 분리부(42)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배기 풍로부(45)는, 좌우 폭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각 제2 원심 분리부(42)의 상부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배기 풍로부(45)의 양측에는,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각 제2 원심 분리부(42)의 하류측, 즉 통기 통부(81)의 상단부와 연통되는 분기 풍로부(45a)가 돌출되어 분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집진 장치(26)는, 흡입구(60), 케이스체(51), 주위 개구부(65)[집진 필터(53)] 및 단부 개구부(74)[압축 필터(54)], 풍로부(43), 각 정류부(78), 각 제2 원심 분리부 본체(77), 각 통기 통부(81) 및 배기 풍로부(45)와 연통되는 집진 풍로(87)를 기밀하게 구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일 실시 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외부 커버(46)를 생략하고 나타내기로 한다.
청소시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 장치(26)를 청소기 본체(13)의 본체 케이스(25)에 미리 장착해 둔다. 이 상태에서, 집진 장치(26)의 제1 원심 분리부(41)의 흡입구(60)가 연통 풍로(38)와 기밀하게 접속되고, 배기 풍로부(45)가 전동 송풍기(31)의 흡입측과 기밀하게 접속됨으로써, 관부(12) 및 집진 장치(26) 내의 집진 풍로(87)가 전동 송풍기(31)의 흡입측과 기밀하게 접속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전원 코드(37)를 코드 도출구로부터 인출하여 벽면 등의 콘센트에 접속한 후, 파지부(21)를 파지하고 원하는 설정 버튼(22)을 조작함으로써, 제어 수단이 전동 송풍기(31)를, 설정된 동작 모드에서 구동시킨다.
전동 송풍기(31)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부압은, 집진 장치(26) 내의 집진 풍로(87), 연통 풍로(38) 및 본체 흡입구(39)를 통해 관부(12)에 작용한다. 그리고 관부(12)에서는, 호스체(16), 연장관(18) 및 바닥 브러시(19)로 부압이 작용하여, 피청소면에 적재한 바닥 브러시(19)의 선단 등으로부터, 먼지를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
함진 공기는, 바닥 브러시(19), 연장관(18) 및 호스체(16)를 통해, 본체 흡입구(39)로부터 연통 풍로(38)를 통해 집진 장치(26)의 제1 원심 분리부(41)의 내부로 흡입구(60)를 통해 유입된다. 이 흡입구(60)로부터 유입된 함진 공기는, 제1 원심 분리부(41)의 분리실(56), 즉, 케이스체(51)[케이스 본체(58)]와 선회부(52)[선회부 본체(62)]의 사이에서 주위 방향으로 선회하고, 먼지(조대 먼지)(D)가 원심 분리되어 하방으로 중력 낙하하여, 제1 원심 분리부(41)의 집진실(57), 즉, 케이스체(51)와 선회부(52)의 하단부의 확대부(63) 사이에 포집된다.
제1 원심 분리부(41)를 선회하는 함진 공기는, 그 대부분이 집진 필터(53)를 통해 주위 개구부(65)로부터 선회부(52)의 내부로 유입되고, 나머지 일부가 압축 필터(54)를 통해 단부 개구부(74)로부터 선회부(52)의 내부로 유입된다. 즉, 단부 개구부(74)를 통과하는 풍량은, 주위 개구부(65)를 통과하는 풍량보다도 적고,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들 풍량의 비율은 9:1 정도가 된다. 그리고 분리실(56)에 있어서 함진 공기가 집진 필터(53)를 통과할 때에는, 이 함진 공기 중의 먼지(조대 먼지)(D)보다도 미세한 먼지가 집진 필터(53)에 포집된다. 또한, 집진실(57)의 함진 공기는, 일부가 압축 필터(54)를 통과하고, 나머지 부분이 필터체(72)를 통과하여 확대부(63)의 외주측으로부터 다시 이 확대부(63)의 내부로 순환한다. 이때, 도 1의 상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함진 공기의 흐름에 의해 빨아 들여진 먼지(조대 먼지)(D)가 선회부(52)의 확대부(63)의 하단부로 모아져, 필터체(72) 및 압축 필터(54)에 강력하게 흡착되어 압축된다.
선회부(52)를 통과한 함진 공기는, 풍로부(43)의 전방측 풍로부(84)를 통과한 후, 후방측 풍로부(85)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후방측 풍로부(85)로부터, 각 제2 원심 분리부(42)의 정류부(78)의 정류 통로부(82)로 각각 분기되어 유입되고, 이들 정류 통로부(82)에 의해 정류되면서 각 제2 원심 분리부 본체(77) 내로 유입된다.
이들 제2 원심 분리부 본체(77)에 유입된 함진 공기는, 이들 제2 원심 분리부 본체(77)의 내주면을 따라 주위 방향으로, 제1 원심 분리부(41)의 케이스체(51) 내에서의 선회의 유속보다도 큰 유속으로 선회하고, 먼지(세진)가 원심 분리되어 각 제2 원심 분리부 본체(77)의 하단부로부터 집진 케이스(44)로 각각 중력 낙하하여 이 집진 케이스(44) 내에 포집된다. 먼지(세진)가 제거된 공기는, 각 제2 원심 분리부(42)의 정류부(78)의 통기 통부(81)를 통과하여 배기 풍로부(45)로 유입되어 합류한다.
그리고 배기 풍로부(45)로 유입된 공기는 전동 송풍기(31)로 흡입되고, 이 전동 송풍기(31) 내를 통과하여 이 전동 송풍기(31)를 냉각한 후, 이 전동 송풍기(31)로부터 배기되어 배기풍으로 되어, 배기 구멍으로부터 청소기 본체(13)의 본체 케이스(25)의 외부로 배기된다.
청소가 종료되면, 사용자가 도 5에 도시한 설정 버튼(22)을 조작함으로써, 제어 수단이 전동 송풍기(31)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소정량 이상의 먼지가 제1 원심 분리부(41)의 집진실(57) 및 집진 케이스(44)에 저류된 경우에는, 사용자는 집진 장치(26)를 청소기 본체(13)로부터 분리하여 먼지를 각각 폐기한다.
이상 설명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원심 분리부(41)와 제2 원심 분리부(42)를 직렬로 접속한 집진 장치(26)에 있어서, 제1 원심 분리부(41)의 선회부(52)의 단부의 단부 개구부(74)에 압축 필터(54)를 구비함으로써, 이 선회부(52)의 주위를 선회한 함진 공기의 일부가 단부 개구부(74)를 통과하여 제2 원심 분리부(42)로 흐를 때에, 제1 원심 분리부(41)의 집진실(57) 내에 포집된 먼지(조대 먼지)(D)를 압축 필터(54)로 강력하게 흡착하여 압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원심 분리부(41)[케이스체(51)]의 용적을 크게 하거나, 먼지(조대 먼지)(D) 압축용의 기계적인 기구를 설치하거나 하는 일 없이, 함진 공기의 기류만으로 먼지(조대 먼지)(D)를 효과적으로 압축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으므로, 집진 장치(26)의 대형화 및 구성의 복잡화를 방지하면서, 충분한 집진량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청소기(11)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부품 개수를 삭감하여, 전기 청소기(11)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원심 분리부(41)의 주위 개구부(65)에 집진 필터(53)를 구비함으로써, 이 주위 개구부(65)로부터 제2 원심 분리부(42)로 함진 공기가 흐를 때에, 이 함진 공기 중의 먼지의 일부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또한, 제2 원심 분리부(42)를, 제1 원심 분리부(41)의 하류측에 복수 병렬로 접속함으로써, 제1 원심 분리부(41)에서 원심 분리할 수 없었던 먼지(세진)를, 보다 확실하게 제2 원심 분리부(42)에서 원심 분리할 수 있어, 집진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원심 분리부(41)의 단부 개구부(74)를 통과하는 함진 공기의 풍량을, 주위 개구부(65)를 통과하는 함진 공기의 풍량보다도 적게 함으로써, 단부 개구부(74)를 통과하는 함진 공기에 의해 먼지(조대 먼지)(D)를 압축 필터(54)로 흡착하여 효과적으로 압축하면서, 먼지(조대 먼지)(D)에 의해 방해되는 일 없이 제2 원심 분리부(42)로 통과하는 함진 공기의 풍량을 주위 개구부(65)에 의해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흡입 일률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원심 분리부(41)를 통과한 먼지(세진)를, 제2 원심 분리부(42)에 의해 원심 분리하여 집진 케이스(44)에 포집함으로써, 제1 원심 분리부(41)를 통과한 먼지(세진)를 필터 등의 여과 수단을 사용하여 먼지를 여과 포집하는 구성과 같이 집진 풍로(87) 내에 막힘 등이 발생하기 어려워, 장기에 걸쳐 흡입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를 자동적으로 제진하는 구성 등도 불필요해져, 구성이나 제어를 보다 간략화할 수 있어, 전기 청소기(11)의 가일층의 소형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모든 제2 원심 분리부(42)에 대응하는 1개의 집진 케이스(44)를 구비하는 구성 대신에, 각 제2 원심 분리부(42)의 각각에 대응하는 개별 집진 케이스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제2 원심 분리부(42)는, 제1 원심 분리부(41)에서 포집할 수 없었던 먼지(세진), 바꾸어 말하면 제1 원심 분리부(41)를 통과한 먼지(세진)를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으면, 그 개수는 1개라도, 복수라도 좋다.
또한, 제1 원심 분리부(41)의 주위 개구부(65)에 집진 필터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주위 개구부(65)는 단순한 개구라도 좋다.
그리고 전기 청소기(11)로서는, 집진 장치(26)를 청소기 본체(13)[본체 케이스(25)]에 대해 착탈 가능한 것으로 하는 것 이외에도, 예를 들어 집진 장치(26)를 청소기 본체(13)[본체 케이스(25)]에 일체적으로 내장하는 구성으로 해도,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제1 원심 분리부(41) 및 집진 케이스(44) 등을 청소기 본체(13)[본체 케이스(25)]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포집한 먼지를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기 청소기(11)로서는, 캐니스터형에 한정되지 않고, 세로로 긴 청소기 본체(13)의 하부에 바닥 브러시(19)가 접속된 업라이트형, 핸디형, 혹은 자주식(自走式) 청소기 등에서도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청소기(11)로서는, 전원부로서 코드 릴 장치를 사용하여 상용 교류 전원에 의해 급전하는 구성 이외에도, 예를 들어 2차 전지 등의 전지를 전원부로서 청소기 본체(13)에 내장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4)

  1. 전기 청소기로서,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되는 집진부를 구비하고,
    상기 집진부는,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제1 원심 분리부와,
    이 제1 원심 분리부에 연통되고, 이 제1 원심 분리부에서 분리하는 먼지보다 미세한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제2 원심 분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원심 분리부는,
    먼지를 수용 가능한 케이스체와,
    상기 제2 원심 분리부와 연통되는 주위 개구부를 주위에 구비함과 함께, 상기 제2 원심 분리부와 연통되는 단부 개구부를 단부에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이 케이스체와의 사이에서 함진(含塵) 공기를 선회시키는 통 형상의 선회부와,
    상기 단부 개구부에 설치된 압축 필터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원심 분리부는 주위 개구부에 설치된 집진 필터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원심 분리부는 제1 원심 분리부의 하류측에 복수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원심 분리부는, 단부 개구부를 통과하는 풍량이 주위 개구부를 통과하는 풍량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KR1020127014460A 2011-06-24 2011-11-28 전기 청소기 KR1013905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40522 2011-06-24
JP2011140522A JP5770029B2 (ja) 2011-06-24 2011-06-24 電気掃除機
PCT/JP2011/077329 WO2012176349A1 (ja) 2011-06-24 2011-11-28 電気掃除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235A true KR20130031235A (ko) 2013-03-28
KR101390549B1 KR101390549B1 (ko) 2014-04-30

Family

ID=4742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460A KR101390549B1 (ko) 2011-06-24 2011-11-28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724654B1 (ko)
JP (1) JP5770029B2 (ko)
KR (1) KR101390549B1 (ko)
CN (1) CN103648348B (ko)
RU (1) RU2504324C1 (ko)
WO (1) WO20121763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4113B2 (ja) * 2011-12-28 2015-11-17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JP6488137B2 (ja) * 2015-01-28 2019-03-2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US10299645B2 (en) 2016-05-03 2019-05-28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KR101852437B1 (ko) * 2016-05-03 2018-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101822944B1 (ko) 2016-05-03 2018-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US10456002B2 (en) 2016-12-22 2019-10-29 Irobot Corporation Cleaning bin for cleaning robot
JP6968224B2 (ja) * 2016-12-22 2021-11-17 アイロボ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清掃ロボットのための清掃ビン
JP6818808B2 (ja) * 2019-05-17 2021-01-20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集塵装置
CN112914417B (zh) * 2019-12-05 2022-03-22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集尘装置以及电动吸尘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096B1 (ko) * 2004-10-08 2006-06-2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635668B1 (ko) * 2004-12-29 2006-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622550B1 (ko) * 2005-03-29 2006-09-1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그 사이클론집진장치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JP2006346141A (ja) * 2005-06-16 2006-1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CN100500073C (zh) * 2005-12-05 2009-06-17 苏州金莱克家用电器有限公司 吸尘器的除尘装置
EP1795102B1 (en) * 2005-12-10 2014-05-07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with mounting unit for dust storage chamber
JP4695102B2 (ja) 2006-02-24 2011-06-0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集塵装置及び真空掃除機
JP2007282929A (ja) * 2006-04-19 2007-11-01 Sharp Corp 電気掃除機
GB2440125A (en) * 2006-07-18 2008-01-23 Dyson Technology Ltd Cyclonic separating apparatus
KR100783143B1 (ko) * 2007-02-05 2007-12-0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GB2448915B (en) * 2007-05-03 2011-07-13 Dyson Technology Ltd A collecting chamber for a cleaning appliance
JP4862060B2 (ja) * 2009-03-27 2012-01-2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GB2469047B (en) * 2009-03-31 2013-12-04 Dyson Technology Ltd A cylinder type cleaning appliance
CN201727458U (zh) * 2010-05-14 2011-02-02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吸尘器旋风尘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504324C1 (ru) 2014-01-20
EP2724654A4 (en) 2015-02-18
JP5770029B2 (ja) 2015-08-26
CN103648348B (zh) 2017-03-08
CN103648348A (zh) 2014-03-19
JP2013005921A (ja) 2013-01-10
EP2724654B1 (en) 2016-12-21
KR101390549B1 (ko) 2014-04-30
EP2724654A1 (en) 2014-04-30
WO2012176349A1 (ja)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549B1 (ko) 전기 청소기
WO2015068817A1 (ja) 電気掃除機
WO2013168754A1 (ja) 電気掃除機
CN107105955B (zh) 电动吸尘器
KR20150129562A (ko) 진공 청소기
JP2017158805A (ja) 電気掃除機
JP5487041B2 (ja) 塵埃分離集塵容器および電気掃除機
JP5362889B1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6894190B2 (ja) 電気掃除機
KR101372727B1 (ko) 전기 청소기
JP2007313057A (ja) 電気掃除機
JP5840811B2 (ja) 電気掃除機
JP2014033971A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5840809B2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6647810B2 (ja) 電気掃除機
JP6599596B2 (ja) 電気掃除機
JP7309394B2 (ja) 電気掃除機
JP2014023782A (ja) 電気掃除機
JP4783207B2 (ja) 電気掃除機の集塵装置
JP6100870B2 (ja) 電気掃除機
JP5840810B2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3063101A (ja) 電気掃除機
JP6063546B2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7063834A (ja) 電気掃除機
JP6555705B2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