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6989A - 차체 - Google Patents

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6989A
KR20130026989A KR1020120097758A KR20120097758A KR20130026989A KR 20130026989 A KR20130026989 A KR 20130026989A KR 1020120097758 A KR1020120097758 A KR 1020120097758A KR 20120097758 A KR20120097758 A KR 20120097758A KR 20130026989 A KR20130026989 A KR 20130026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member
pin
vehicle body
fixed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안프랑코 나탈리
Original Assignee
지안프랑코 나탈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안프랑코 나탈리 filed Critical 지안프랑코 나탈리
Publication of KR20130026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37Latch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053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means providing a stable, i.e. indexed, position of lock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05C3/041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05C3/045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in the form of a hook

Abstract

차체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가능한 측면보드(4)와 이 개방가능한 측면보드(4)를 잠가주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후크유닛(1)을 포함하고서, 지지몸체(2)와 이 지지몸체(2)에 고정된 핀(1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또 잠금위치와 해제위치 상이에서 회전할 수 있는 후크부재(3)를 포함한다. 후크부재(3)는, 제1의 작동단부(8)와, 사용시에 고정된 접촉부재(10)에 걸려질 수 있는 제2단부(9)를 포함한다. 후크부재(3)는 또한, 주 회전축에 수직되게 지지몸체(2)에 대하여 연장위치와 수축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후크부재(3)를 수축위치 쪽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지지몸체(2)와 후크부재(3)사이에 끼워진 탄성 복귀수단(11)이 있다. 후크부재(3)는, 핀(12)과 회전가능하고 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또 밀봉되며, 또 탄성 복귀수단(11)이 위치된 하우징(13)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체{Vehicle body}
본 발명은 차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하나의 개방가능한 측면보드와 폐쇄위치에서 측면보드를 잠가주도록 된 후크유닛이 구비된 산업차량의 몸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후크유닛이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제1단부와, 고정된 접촉부재에 걸리도록 된 제2단부를 갖는 회전걸림부재를 포함하는 타입의 차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타입의 유닛을 체결하기 위하여, 걸림유닛은 차체의 측면보드들 중의 하나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인 평면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후크유닛(hooking unit)은 일반적으로, 개방가능한 측면보드 또는 차체의 다른 부위에 고정될 수 있는 지지몸체와, 자신의 중간부위에서 지지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후크부재(보통 제1단부보다 제2단부에 더 가까운)를 포함한다. 후크부재는, 자신의 제2단부가 고정된 접촉부재와 결합하는 잠금위치(정상적으로 이 위치에서, 길이가 긴 형상을 갖는 후크부재는 실질적으로 수평인)와, 고정된 접촉부재로부터 제2단부가 해제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측면보드의 우발적인 개방을 방지하기 위하여, 몇몇 예에서 지지몸체에의 연결부와 제1단부 사이에 위치된 후크유닛의 부위는, 놓인 평면에 수직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고 그리고 놓인 평면에 또한 수직이면서 또 잠금위치에서 지지몸체에 만들어진 대응하는 시이트에 삽입되도록 된 돌출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측면보드를 개방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시이트로부터 돌출부재를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먼저 후크부재를 변형시켜야하고, 그 다음 후크부재를 회전시켜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몇 가지 결점을 갖는다.
첫째, 측면보드의 정확한 폐쇄를 보장하기 위하여, 모든 부위들은 후크부재와 고정된 접촉부재 사이에서 임의의 동작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높은 정밀도로 만들어지고 또 장착되어야 하며, 이는 명백히 생산비용을 증가한다. 그렇지 않으면, 만일 폐쇄되면, 측면보드는 차체의 나머지에 대하여 움직이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이 이동할 때, 차량이 통과하는 지면의 모든 작은 거친 구역은 차체로 하여금 성가신 소음을 유발하는 한편, 엔진이 구동하면서 차량이 정지해 있을 때에 귀찮은 진동이 발생된다.
둘째, 종래기술의 체결유닛들은, 차체가 연결지점에서 또 특히 체결유닛에서 수행되려고 하는 심각한 탄성변형을 받을 때 차량의 이동 후에 생성된 장력에 의하여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세째, 종래기술의 체결유닛들은, 지지몸체와 후크부재 사이의 회전연결이 급속히 나빠지기 쉽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초를 형성하는 기술적인 목적은 상기 언급된 결점들을 극복하는 차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기술적인 목적은, 개방가능한 측면보드의 최적 폐쇄가 심지어 비교적 큰 제조공차로도 얻어지는 것을 허용하는 차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인 목적은, 후크유닛이 차량 이동 동안에 차체에 의하여 받게 된 변형에 의하여 종래기술 보다 적게 영향을 받는 차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차량이 이동하는 동안에 측면보드가 더 적은 소음을 내는 차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정된 기술적 목적 및 표시된 계획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만들어진 차체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차체의 몇몇 바람직한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에서 더 명확하다.
도 1은, 차체에 적용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만들어진 후크유닛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후크유닛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후크유닛의 선 III-III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잠금위치에 있는 도 2의 후크유닛의 제1변형예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선 V-V에 따른 단면에서, 도 4의 후크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6은, 해제위치에 있는 도 4의 후크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후크유닛의 도 2의 선 V-V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후크유닛의 제2변형예의 선 V-V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후크유닛에 유사한 위치에서 도 8의 후크유닛을 도시한다.
도 10은, 도 8과 9의 후크유닛의 도 2의 선 III-III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차체의 외부쪽으로 향하는 측면으로부터 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분해된 개략 투상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실시예의 차체의 내부를 향하는 측면으로부터 본, 투상도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 참조부호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차량 차체의 측면보드를 위한 후크유닛의 전체를 나타낸다.
본 특허출원은 후크유닛(1)이 구비된 차체(6)와, 후크유닛(1)이 구비된 차체(6)와 끼워맞춰지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양쪽 경우에서, 차체(6)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가능한 측면보드(4)와 이 개방가능한 측면보드(4)를 폐쇄위치에 잠가주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후크유닛(1)을 포함한다.
후크유닛(1)은 개방가능한 측면보드(4) 또는 차체(6)의 다른 부위(5)에 고정될 수 있는 한편, 상기 차체(6)의 다른 부위(5) 또는 개방가능한 측면보드(4)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된 접촉부재(10)가 각각 고정된다.
종래 기술의 후크유닛들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후크유닛은, 일반적으로 지지몸체(2)와 이 지지몸체(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후크부재(3)를 또한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사용 중인 지지몸체(2)는 그 폐쇄를 보장해야하는 개방가능한 측면보드(4)에 또는 고정된 부위 또는 다른 개방가능한 측면보드(4)와 같은 차체(6)의 다른 부위(5)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개방가능한 측면보드(4)에 또는 다른 부위(5)(측면보드(4)에 의하여 또는 다른 부위(5)에 의하여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에 통합될 수도 있다.
이하의 기재는 도 1내지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설명이다. 비록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재된 대부분의 것이 제2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지만, 제1, 2실시예 사이의 차이점들이 강조될 것이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몸체(2)는 차체(6)에 고정하기 위하여 자신의 내부에 수 개의 구멍(7)을 갖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플랜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에는 , 상기 구멍(7)들은 장착 동안에 후크유닛(1)의 특정한 위치조정을 허용하기 위하여 슬롯 형상이다.
후크부재(3)는, 도 1의 평면에 수직이고 또 도 2의 단면 III-III의 평면에 놓인 주(main) 회전축을 따라 지지몸체(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후크부재(3)는, 적어도 잠금위치(도 1, 2, 4, 5 및 8)와 해제위치(도 6, 7 및 8) 사이에서 지지몸체(2)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사실상, 바람직하기에는 연신된 형상을 갖는 후크부재(3)는, 사용시에 잠금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후크부재(3)를 회전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도록 된 제1단부(8)와, 후크부재(3)가 잠금위치에 있을 때 고정된 접촉부재(10)에 걸려질 수 있는 제2단부(9)를 포함한다. 고정된 접촉부재(10)는, 후크유닛(1)이 고정되는, 예컨대 수직인 또는 개방가능한 측면보드와 같은 고정된 부위 이외의 차체(6)의 부위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혁신적인 관점에 따르면, 후크부재(3)는, 적어도 잠금위치에 있을 때, 주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슬라이딩 방향으로(도 1, 4, 5 및 8에서 수평으로), 지지몸체(2)에 대하여 이동할 수도 있다. 특히, 후크부재(3)는, 연장위치(도시 안 됨)와 수축위치(도 1, 4, 5 및 8)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후크부재(3)가 연장위치에 있을 때, 그 제2단부(9)는 후크부재(3)가 수축위치에 있을 때보다 주 회전축으로부터 더 떨어져 있다. 환언하면, 도 1, 4, 5 및 8를 참조하면, 연장위치에서 후크부재(3)의 제2단부(9)는 도시된 것과 비교하여 왼쪽으로 이동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혁신적인 관점에 따르면, 후크유닛(1)은 지지몸체(2)와 후크부재(3) 사이에 삽입되고 또 후크부재(3)를 수축위치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작용하는 탄성 복귀수단(11)을 또한 포함한다.
후크유닛(1)은, 후크부재(3)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몸체(2)에 고정된 핀(12)을 또한 포함한다. 요구조건에 따라, 핀(12)은 지지몸체(2)에 임의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 내지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핀(12)은 용접, 리벳 또는 스크류에 의하여 고정된다.
핀(12)과 후크부재(3)사이의 회전-슬라이딩 결합을 보장하기 위하여, 후크부재(3)는 제1단부(8)와 제2단부(9)사이의 자신의 중간부위에서, 핀(12)과 회전가능하고 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기에는, 하우징(13)은, 주 회전축과 평행하게 관찰하면, 연신된 형상을 갖는바, 그 폭은 하우징(13)자체에서 핀(12)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또 그 길이는 핀(12)과 후크부재(3)사이에 실질적으로 일 방향 슬라이딩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직경보다 더 크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후크부재(3)는 플레이트 형상(도 2)이기 때문에, 하우징(13)은 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구멍이다.
바람직하기에는, 탄성 복귀수단(11)은 또한 하우징(13)에 위치된다.
제1 변형예에 따르면, 탄성 복귀수단(11)은 주 회전축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위치되고 또 핀(12)또는 후크부재(3)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헬리컬 스프링(14)과, 헬리컬 스프링(14)에 고정되고 또 후크부재(3) 또는 핀(12)에 대하여 접촉하지 않는 정지헤드(15)를 포함한다. 특히, 도 4 내지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헬리컬 스프링(14)은 핀(12)에 형성된 반경방향 구멍(16)에 삽입된다. 헤드(15)는 상기 구멍(16)에 슬라이딩식으로 부분적으로 또한 삽입되고, 반경방향 구멍(16)내부의 헤드의 부위는 헬리컬 스프링(14)에 결합되며 또 반경방향 구멍(16)외부의 헤드의 부위는 소정 형상(예컨대, 반원통형 또는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또 하우징(13)의 내부 부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헤드(15)는 롤러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또는 자신을 적절하게 형성함으로써 스프링에 통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헬리컬 스프링(14)은, 주 회전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위치된다.
한편, 제2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복귀수단(11)은 하우징(13)에 장착되고 또 핀(12)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판 스프링(17)을 포함한다.
하우징(13)은, 종래기술의 해결책과 비교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지몸체(2)와 후크부재(3)사이의 연결 악화를 감소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밀봉된다.
도 3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르면, 이는 핀(12)주위에 장착된 한쌍의 쐐기(shim)링(18) - 즉, 후크부재(3)와 지지몸체(2)사이에 하나 또 후크부재(3)와 핀(12)의 확대단부(19)사이에 하나 - 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기에, 각 쐐기링(18)은 후크부재(3)를 향하여 오목부를 갖는 약간 오목한 형상을 갖고 또 상기 오목부를 감소할 수 있는 방식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다. 실제로, 이렇게 하여, 쐐기링(18)과 후크부재(3)가 지지몸체(2)와 핀(12)의 확대단부(19)사이에 삽입될 때, 후크유닛(1)의 장착 동안에 적용되는 공차와 무관하게 밀봉이 보장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제2변형예에 따르면, 핀(12)의 주위에 장착된 한쌍의 O-링(20)에 의해 밀봉이 확보되는바, 하나의 O-링은 후크부재(3)와 지지몸체(2) 사이에, 또 하나의 O-링은 후크부재(3)와 핀(12)의 확대된 단부(19)사이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기에는, 지지몸체(2)와 확대된 단부(19) 및 후크부재(3)는 O-링(20)을 수용하기 위하여 특별한 홈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첨부 도면들에서 비록 쐐기링(18)과 O-링(20)이 탄성 복귀수단(11)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각각 조합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조합일 수 있다.
적어도 외부 응력이 없는 잠금 및/또는 해제위치에 후크부재(3)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21)이 구비된다. 특히, 고정수단(21)은, 후크부재(3)에 가해진 토오크가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할 때까지 후크부재(3)를 잠금 및/또는 해제위치에 후크부재(3)를 유지하도록 만들어진다.
상술된 제1변형예를 참조하면, 고정수단(21)은, 만일 헬리컬 스프링(14)과 정지헤드(15)가 핀(12) 또는 후크부재(3)에 결합되면, 후크부재(3) 또는 핀(12)에 만들어진 하나 또는 2개로 형성된 시이트(22)를 각각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시이트(22)는 후크부재(3)에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기에는 정지헤드(15)에 대응하여 형성된 각 시이트(22)는, 후크부재(3)가 각각 잠금위치 또는 해제위치에 있을 때 정지헤드(15)와 정렬되도록 또한 위치된다.
실제로, 이렇게 하여, 후크부재(3)가 잠금위치 및/또는 해제위치에 있을 때 정지헤드(15)는 시이트(22)에 삽입될 수 있다.
후크부재(3)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또 후크부재(3)를 회전하기 위하여 이 후크부재(3)에 가해진 토오크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초과할 때, 정지헤드(15)가 시이트(22)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언급된 제2변형 실시예(도 8과 9)에서, 고정부단(21)은 바람직하기에는 바로 위에서 기재된 것과 유사한 구성을 채용한다. 실제로, 이 경우, 고정수단(21)은, 핀(12) 또는 평판 스프링(17)에 각각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시이트(22)와, 이 시이트(22)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또 평판 스프링(17) 또는 핀(12)에 각각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재(23)를 포함한다. 돌출부재(23)는, 후크부재(3)가 각각 잠금위치 또는 해제위치에 있을 때 시이트(22)에 결합될 수 있도록 된다.
첨부 도면들에서, 특히, 시이트(22)는 핀(12)에 형성되는 한편, 돌출부재(23)는 평판 스프링(17)의 중앙부위에 고정된다.
모든 경우에서, 해제위치에 대응하는 시이트(22)는, 잠금위치의 경우에서보다 더 쉽게 정지 헤드(15) 또는 돌출부재(23)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예컨대, 덜 깊게)될 수 있다.
후크부재(3)로 되돌아 가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후크부재(3)의 제2단부(9)는 사용 중에, 고정된 접촉부재(10)에 결합될 수 있는 이빨부(24)를 포함한다. 그러한 목적을 위하여, 이빨부(24)는 잠금위치에서 주 회전축을 향하는 볼록한 면(25)을 포함하는바, 면(25)은 주 회전축에 대하여 반경방향인 라인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또 동시에 주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에 실질적으로 접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정된 접촉부재(10)가 실질적으로 상기 평면으로 연장하기 때문에, 이빨부(24)와 고정된 접촉부재(10) 사이의 접촉은 접선영역(26)에 집중된다.
이빨부(24)의 자유단부(27)는, 폐쇄동안에 고정된 접촉부재(1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감소하는 단면을 갖도록 또한 형성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에서 기재된 것은 대부분 도 11과 12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도 적용되는바, 대응하는 부재들은 제1실시예에 대하여 사용된 것과 동일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2실시예와 제1실시예 사이의 차이점들만이 강조된다. 명확하게 설명되지 않은 것에 대하여는, 상기 기재가 적용됨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도 11과 12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첫번째 차이점은, 지지몸체(2)의 형상이다. 실제로 이 경우, 지지몸체(2)는 편평한 플레이트가 아니고, 그 두께가 측면보드(4)의 두께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오목부(28)를 형성하는 성형된 부재이고, 또 후크유닛(1)의 다른 작동부위들이 특히 후크부재(3)(바람직하기에는 이 경우 한 조각의 성형된 시트금속을 포함하는)에 삽입되며, 이 후크부재(3)의 제2단부(9)는 슬릿(29)을 통해 지지몸체(2)로부터 빠져 나온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몸체(2)는 측면보드(30)의 단부측면을 또한 형성한다.
또한, 오목부(28)에서, 핀(12)이 지지몸체(2)에 고정된 융기영역(31)을 확인할 수 있다. 비록 많은 다른 방식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핀(12)의 고정에 관하여, 지지몸체(2)에 대한 핀(12)의 위치는, 바람직하기에는 후크부재(3)가 잠금위치에 있을 때 탄성 복귀수단(11)의 작용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는 확대된 헤드(19)에 대향하고 또 지지몸체(2)에 형성된 관통 슬롯(34)을 통해 삽입된 핀(12)의 나사가 형성된 단부(33)에 너트(32)를 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일단 너트(32)가 조여지면, 나사가 형성된 단부(33)에 만들어진 관통 구멍(36)에 삽입된 분할핀(35)에 의하여 우발적인 너트풀림이 방지된다. 또한, 바람직하기에는, 너트(32)는 요철형상 타입이고 또 분할핀(35)은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슬릿들에 삽입된다. 너트(32)의 높이는, 지지몸체(2)에 의하여 형성된 치수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방식으로 융기영역(31)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설명된 바와 같이, 핀(12)은 관통 슬롯(34)에 삽입되고, 또 바람직하기에는 나사가 형성된 단부(33)와 후크부재(3)에 결합하도록 된 영역 사이에 끼워진 핀의 섹션(37)은, 핀(12)의 축에 수직되게, 슬롯(34)의 형상과 유사하지만, 더 짧고 또 축을 따라 지지몸체(2)의 두께보다 더 크지 은 치수의 형상을 갖는다. 이렇게 하여, 조립 또는 보수 동안에, 너트(32)를 조이기 전에 핀의 섹션(37)은 이빨(24)과 고정된 접촉부재(10)사이의 정확한 결합을 위하여 정확한 위치로 안내되는 방식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너트(32)가 조여지면, 슬롯(34)에 대한 섹션(37)의 추가적인 슬라이딩은 방지된다. 끝으로, 도 11과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지어 제2실시예에서, 한편으로 하우징(13)은 밀봉되게 폐쇄되고, 또 다른 한편으로 고정수단(21)이 존재한다. 임의의 경우에, 첨부된 도면에서 채용된 특정한 해결책을 너머, 양쪽 관점에 대하여 제1실시예에서 다양한 변형예에 대하여 표현된 모든 평가들이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체(6)의 작동에 관하여, 또 특히 이에 사용된 후크유닛(1)의 작동에서, 잠금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또 그 반대의 경우의 통로는 후크부재(3)의 대응하는 회전에 의하여 얻어진다. 양쪽의 경우에서, 만일 고정수단(21)이 존재한다면, 잠금위치 및 해제위치로부터의 분리는, 후크부재(3)에 가해진 토오크가 각 스프링의 저항을 극복하면서 각각의 시이트(22)로부터 정지헤드(15) 또는 돌출부재(23)의 해제를 허용할 때에만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탄성 복귀수단(11)은 2가지 경우에 주로 개입될 수 있다. 즉, 잠금위치로 통과하는 순간에서, 또 차량이 잠금위치에 있는 후크부재(3)를 따라 운행될 때이다. 이빨(24)이 연장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허용하는 전자의 경우에, 이들은 후크유닛(1)과 고정된 접촉부재(10)의 왕복하는 위치선정의 임의의 부정확성이 보상되는 것을 허용한다.
반면에, 후자의 경우, 차량이 이동한 후 후크유닛(1)과 고정된 접촉부재(10)의 왕복하는 위치에 수정을 야기하는 변형이 차체(6)에 존재하면, 탄성 복귀수단(11)은 후크부재(3)의 이동이 상기 변형에 대응하고 또 파손을 방지하도록 허용하며, 또한 후크유닛(1)과 고정된 접촉부재(10) 사이의 일정한 접촉을 보장하여, 번거로운 진동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그러한 상황에서 이빨(24)의 볼록한 형상은 또한 유리하고, 상기 언급된 접선지점을 중심으로 이빨(24)과 고정된 접촉부재(10)의 상대회전을 허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편으로는 임의의 제조공차가 보상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변형에 대한 차체의 개선된 적응을 허용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차량의 이동동안 및 엔진이 구동되면서 차량이 정지할 때 모두, 차체로부터 소음이 감소되는 중요한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특히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 후크부재와 관련된 접촉부재 사이의 결합은, 제조 동안 및 판매후 관리 동안에 모두 쉽게 조정될 수 있다.
끝으로, 본 발명은 제조하기가 비교적 쉽고 또 발명을 구현하는 것에 관련된 비용이 매우 높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상기 기재된 발명은 발명의 개념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여러 방식으로 수정 및 개조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모든 상세내용은 기술적으로 균등한 다른 부재 및 사용된 재로로 대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성요소의 형상 및 치수들은 요구조건에 따라 변할 수 있다.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개방가능한 측면보드(4);와
    상기 개방가능한 측면보드(4)에 또는 차체(6)의 다른 부위(5)에 고정되어, 상기 개방가능한 측면보드(4)를 폐쇄위치에 잠가주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후크유닛(1); 및
    상기 차체(6)의 다른 부위(5) 또는 개방가능한 측면보드(4)에 각각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된 접촉부재(10);를 포함하는 차체로서,
    상기 후크유닛(1)이,
    상기 개방가능한 측면보드(4) 또는 상기 차체(6)의 다른 부위(5)에 고정 또는 통합된 지지몸체(2)와;
    주 회전축을 따라 상기 지지몸체(2)의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또 잠금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는 후크부재(3); 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재(3)는, 사용시에 잠금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후크부재(3)를 회전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될 수 있는 제1단부(8)와, 사용시에 고정된 접촉부재(10)에 걸려질 수 있는 제2단부(9)를 포함하는 차체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3)는, 적어도 잠금위치에서, 주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슬라이딩 방향으로 지지몸체(2)에 대하여 연장위치와 수축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고, 연장위치에서 제2단부(9)는 수축위치에 있을 때보다 주 회전축으로부터 더 멀어지며,
    상기 후크부재(3)는, 또한 이 후크부재(3)를 수축위치 쪽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지지몸체(2)와 후크부재(3)사이에 끼워진 탄성 복귀수단(11)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재(3)는, 지지몸체(2)에 고정된 핀(12)을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재(3)는, 제1단부(8)와 제2단부(9)사이의 자신의 중간부위에서, 핀(12)과 회전가능하고 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또 밀봉된 하우징(13)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복귀수단(11)은 또한 상기 하우징(13)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복귀수단(11)은, 주 회전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작용하고 또 핀(12)또는 후크부재(3)에 고정되도록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헬리컬 스프링(14)과, 이 헬리컬 스프링(14)에 고정되고 또 후크부재(3) 또는 핀(12)에 대하여 각각 접촉하지 않는 정지헤드(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헬리컬 스프링(14)은, 핀(12)에 형성된 반경방향 구멍(16)에 삽입되고, 상기 정지헤드(15)는 슬라이딩 가능한 방식으로 부분적으로 또한 삽입되며, 또 반경방향 구멍(16)외부의 헤드의 부위는 하우징(13)의 내부 부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복귀수단(11)은, 하우징(13)에 장착되고 또 핀(12)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판 스프링(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5. 앞 선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3)을 밀봉하기 위하여 상기 핀(12)주위에 장착된 한쌍의 쐐기링(18)을 또한 포함하되, 하나의 쐐기링(18)은 후크부재(3)와 지지몸체(2)사이에 또 하나의 쐐기링(18)은 후크부재(3)와 핀(12)의 확대단부(19)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쐐기링(18)은 후크부재(3)를 향하여 오목부를 갖는 오목한 형상을 갖고, 또 상기 오목부를 감소하기 위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3)을 밀봉하기 위하여 핀(12)의 주위에 장착된 한쌍의 O-링(20)을 또한 포함하되, 하나의 O-링은 후크부재(3)와 지지몸체(2) 사이에, 또 하나의 O-링은 후크부재(3)와 핀(12)의 확대된 단부(19)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8. 앞 선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외부 응력이 없는 잠금 및/또는 해제위치에 후크부재(3)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21)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9. 제2항과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1)은, 후크부재(3) 또는 핀(12)에 각각 만들어진 하나 또는 2개로 형성된 시이트(22)를 각각 포함하고, 또 정지헤드(15)는 후크부재(3)가 각각 잠금위치 및/또는 해제위치에 있을 삽입될 수 있고, 또 정지헤드(15)는 후크부재(3)를 회전하기 위하여 이에 가해진 토오크가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할 때 시이트(22)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10. 제4항과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1)은, 핀(12) 또는 평판 스프링(17)에 각각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시이트(22)와, 평판 스프링(17) 또는 핀(12)에 각각 고정되고 시이트(22)에 대응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재(23)를 포함하고, 이 돌출부재(23)는, 후크부재(3)가 각각 잠금위치 또는 해제위치에 있을 때 시이트(2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11. 앞 선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3)의 제2단부(9)는, 고정된 접촉부재(10)에 결합될 수 있는 이빨부(24)를 포함하고, 또 이빨부(24)는, 주 회전축을 향하고 또 볼록한 면(25)을 포함하며, 잠금위치에서 상기 면(25)은 주 회전축에 대하여 반경방향인 라인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또 주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에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12. 앞 선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2)에 대한 핀(12)의 위치는, 후크부재(3)가 잠금위치에 있을 때 탄성 복귀수단(11)의 작용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13. 앞 선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는 산업차량의 차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14. 앞 선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체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120097758A 2011-09-06 2012-09-04 차체 KR201300269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0174A ITVR20110174A1 (it) 2011-09-06 2011-09-06 Organo di aggancio per sponde di cassoni di veicoli industriali
ITVR2011A000174 2011-09-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989A true KR20130026989A (ko) 2013-03-14

Family

ID=44899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758A KR20130026989A (ko) 2011-09-06 2012-09-04 차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567882B1 (ko)
JP (1) JP2013057235A (ko)
KR (1) KR20130026989A (ko)
CN (1) CN102975775B (ko)
BR (1) BR102012022428A2 (ko)
IT (1) ITVR201101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3306B1 (fr) * 2013-11-18 2017-06-02 Lamberet Dispositif de retenue d’un ouvrant d’un vehicule
EP2933170B1 (en) * 2014-01-28 2018-08-08 Quinario SA Manually operated fastener for the side boards of industrial vehicle bodies
DE102014112576A1 (de) * 2014-09-01 2016-03-03 Gebr. Vitte Gmbh & Co. Bordwandverschluss
JP6407777B2 (ja) * 2015-03-19 2018-10-17 株式会社シブタニ ラッチハンドル装置
CN107497568A (zh) * 2017-10-09 2017-12-22 郑州法图曼工具磨具有限公司 一种便于卸料的研磨机
FR3089172B1 (fr) * 2018-11-30 2022-12-16 Valeo Vision Belgique Module lumineux pour véhicule automobile
CN111456574B (zh) * 2020-04-08 2021-04-13 重庆怡海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带撞舌预紧的单点锁紧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434443A (ko) *
FR2401E (fr) * 1899-07-25 1904-03-26 Georges Barthelemy Nouveau système de verrou pour portières de véhicules et autres applications
GB180472A (en) * 1921-03-19 1922-06-01 George Ellison An improved window fastener
CH267548A (de) * 1948-07-15 1950-03-31 Burkhardt Weber Hans Seitenladenverschluss an Lastfahrzeugen.
DE1555700A1 (de) * 1965-04-17 1970-01-08 Peter Hoffmann Verstellbare Verrigelung
US4061371A (en) * 1976-02-17 1977-12-06 Edson Tool & Manufacturing Company, Inc. Self-locking devices
CN1111124C (zh) * 1999-01-26 2003-06-11 张玉玺 六定位平装式车箱开关
DE202009008248U1 (de) * 2009-06-16 2009-08-27 Gojanaj, Edmond Verriegelungshebel
CN201605920U (zh) * 2009-10-21 2010-10-13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锁紧装置和包括该锁紧装置的厢式车辆
CN202073415U (zh) * 2011-05-12 2011-12-14 山东临工工程机械有限公司 内门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67882A1 (en) 2013-03-13
BR102012022428A2 (pt) 2014-10-29
CN102975775B (zh) 2016-06-08
CN102975775A (zh) 2013-03-20
EP2567882B1 (en) 2014-10-15
ITVR20110174A1 (it) 2013-03-07
JP2013057235A (ja)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6989A (ko) 차체
US9617760B2 (en) Lock having a modified spring lip for motor vehicle doors
US11286697B2 (en) Hinge assembly for a tailgate of a vehicle
US20170320443A1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FR3039229A1 (fr) Dispositifs de positionnement avec compensation de tolerance, ensemble de composants automobiles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et procede de positionnement avec compensation de tolerance
US9273488B1 (en) Positive locking keeper
US20160108653A1 (en) Detent mechanism for a motor vehicle component
JP5830789B2 (ja) ロック装置
MX2015003598A (es) Cerradura de puerta de vehiculo automotor.
US9462919B2 (en) Damper locking mechanism for toilet seat
JP2013529268A5 (ko)
JP2013002182A (ja) 乗物用ラッチ装置
JP2011157693A (ja) プーリアッセンブリ
US10801239B2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JP2014051823A (ja) 車両ドアの固定装置及び締結部材
KR20200054173A (ko) 차량 래치
JP5534283B1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US20080116700A1 (en) Crowned Striker Mounting Plate
RU2562032C2 (ru) Поворотный язычок и замок для открывающейся части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0435863B1 (ko) 자동차용 스트라이커
FR3062442B1 (fr) Mecanisme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JP5540792B2 (ja) 車両用デフレクター装置
JP4105411B2 (ja) シートベルト用ショルダーアジャスターのガイドレール取付構造
JP5466101B2 (ja) 車両用小物入れのリッド支持構造
JP4518659B2 (ja) 車両用ドアのキーシリンダ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