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0798A - 차량 좌석용 피팅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좌석용 피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0798A
KR20130020798A KR1020127031057A KR20127031057A KR20130020798A KR 20130020798 A KR20130020798 A KR 20130020798A KR 1020127031057 A KR1020127031057 A KR 1020127031057A KR 20127031057 A KR20127031057 A KR 20127031057A KR 20130020798 A KR20130020798 A KR 20130020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fitting device
ring
components
fit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1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4942B1 (ko
Inventor
울리히 레흐만
마르틴 슈틸레케
크리스티안 요키엘
아르투어 코마인다
에릭 블라스
Original Assignee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27980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3002079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30020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e.g. one gear without sun ge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좌석용, 특히 자동차 좌석용 피팅장치는, 서로 맞물리는 치형 휠 및 치형 링에 의하여 기어 결합되는 제 1 피팅부(11) 및 제 2 피팅부(12), 및 치형 휠 및 치형 링의 상대적인 롤링 운동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구동부(21)에 의해 구동되는 원주 편심부(27, 27)를 포함한다. 제 1 피팅부(11)는 제 2 피팅부(21) 상에 지지되는 편심부(27, 27)를 수용한다. 피팅장치는 적어도 두 가지의 하중 분류들 중의 하나에 배정되고, 상기 배정된 하중 분류에 대하여 파라미터화된 구성요소들 및 모든 하중 분류들에 대하여 동일한 부품들인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피팅부들(11, 12)은 파라미터화된 구성요소들이고, 편심(27, 27)은 동일한 부품들 중 하나이다.

Description

차량 좌석용 피팅장치{FITTING FOR A VEHICLE SEAT}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의 특징들을 갖는 차량 좌석용 피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피팅장치가 US 7,571,962 B2 에 공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는 제 1 피팅부 및 제 2 피팅부가 편심 유성 기어 유닛을 이용하여 서로 기어 맞춤되어 있어서 등받이의 경사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피팅장치를 제품에 따라 다른 강도 요건에 맞추어 적용하는 것이 쉽지 않거나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류의 피팅장치를 개량하는 것이다. 본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을 갖는 피팅장치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종속 청구항에는 더욱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기재되어 있다.
하중 분류의 개념을 이용하여, 크기 및 재료 절감 사이의 관계를 고려하여 (충돌시) 강도에 관한 요건을 해결한다. 동일한 부품들을 이용한다는 개념은, 일부 구성요소들, 특히 외부 구성요소들이 강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하중 분류들에 따라 파라미터화되고, 반면에, 다른 구성요소들, 특히 내부 구성요소들은 고정 및 작동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공차, 구동력, 변형 감도 등의 특성에 따라 동일한 부품들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 동일한 부품들을 사용함으로써 피팅장치 구성요소들의 제작을 단순화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파라미터화된 구성요소들은 유사한 기하학적 구조를 하고 있지만, 그 치수들은 서로 다르며,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치수들의 비율도 서로 다르다 (이는 또한 변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두 개의 피팅부들은 파라미터화된 구성요소들이며, 따라서 이들과 협동하는 포위 링 등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일한 부품들로의 매개장치로서의 기능(예컨데 드라이버용 밀봉 링 또는 고정 링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유사한 기하학적 구조라는 용어는 좁은 의미의 유사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하중 분류들을 이용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개시된 바와 같이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편심 유성 기어 시스템을 이용하면 차량 좌석의 등받이의 경사가 연속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유성 기어 시스템과는 달리 중심 피니언을 보존함으로써 요동 운동을 발생시키고, 이 요동 운동은 피팅부들의 상대 회전에 중첩된다. 편심 유성 기어 시스템은 수동 또는 모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치형 링이 제 1 피팅부에 형성되고 치형 휠이 제 2 피팅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심 유성 기어 시스템을 유지하는 기본 구성요소는 상기 두 피팅부들 중 일 피팅부 및 편심부 사이에서 마찰된 상태로 제공되며, 상기 두 피팅부들 중 선정된 상기 일 피팅부는 상기 편심부를 지지하기 위한 칼라를 바람직하게 구비한 제 2 피팅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심부를 형성하는 바람직하게 구비된 웨지 세그먼트들은 치형 휠 및 치형 링을 유지하고 이들의 롤링 운동을 추진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유지 요소는 동적 하중 하에서 피팅장치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편심부를 수용하는 제 1 피팅부 상의 치형 링의 구성 및 편심부를 지지하는 제 2 피팅부 상의 치형 휠의 구성은, 치형 휠이 제 2 피팅부의 반경방향 외측 가장자리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면서도 (이후 치형 휠은 제 1 피팅부에 고정되어 있는 포위 링에 바람직하게 맞물린다), 제 2 피팅부 상에서 허용되는 충분히 넓은 연결 영역들이 피팅장치의 설치를 위해 존재하기 때문에, 재료 및 제작 공간을 절감하게 된다. 제 1 피팅부 상에서 더 이상 완전히 맞물리지 않는 포위 링의 실질적으로 편평한 형상 덕분에, 종래의 L-형상의 외형과 비교하여 적은 재료가 필요하게 되고, 따라서 무게 및 비용이 절감된다. 편평한 형상으로부터 벗어난 부분들은, 예컨데, 축방향으로 돌출된 중심 부품들이 될 수 있는데, 이 중심 부품들은 둘레 방향으로 분포되어 있고, 이 중심 부품들을 이용하여 포위 링이 제 1 피팅부 상에 사전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팅장치들은 자동차들의 차량용 좌석의 등받이의 경사를 바람직하게 조절하는 것이지만, 차량 부분의 외측, 자동차들, 기타 다른 차량에 있는 차량용 좌석의 다른 부분(예컨데 좌석 높이 조절 메커니즘)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세 종류의 하중 분류들에 대한 파라미터화된 구성요소들 및 동일한 부품들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2는 세 종류의 하중 분류들에 대하여 동일한 부품들에 해당하는 두 가지의 추가적인 형태의 구동부들로의 확장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3은 세 종류의 하중 분류들에 대한 조립된 피팅장치들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피팅장치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의 피팅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차량 좌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자동차용 차량 좌석(1)은 좌석부(3) 및 등받이부(4)를 구비하고 있으며, 등받이부(4)의 경사가 좌석부(3)에 대하여 조절가능하게 되어 있다. 등받이부(4)의 경사를 조절하기 위하여, 좌석부(3) 및 등받이부(4) 사이의 중간 영역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구동 축(7)이 수동식에서는 예컨데 수동휠(5)에 의해, 또는 모터 작동식에서는 예컨데 전기모터에 의해 회전된다. 차량 좌석(1)의 양측에서는 구동 축(7)이 피팅장치에 맞물려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 축(7)은 실린더 좌표계의 채택된 방향 데이터를 정의한다.
피팅장치(10)는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한 제 1 피팅부(11) 및 제 2 피팅부(12)를 구비한다. 두 피팅부들(11, 12)은 각각 대략 원형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축방향의 작용 힘들을 흡수하기 위하여, 즉 피팅부들(11, 12)을 축방향으로 함께 유지하기 위하여, 포위 링(13)이 구비된다. 포위 링을 이용하여 부품들을 함께 유지하는 이러한 방법은 예컨데 US 6,799,806 B2에 개시되어 있다. 포위 링(13)은 금속 성분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두 피팅부들(11, 12) 중 일 피팅부에 용접 또는 구부림 작업 등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포위 링(13)이 외측 단부에서 제 1 피팅부(11)에 고정된다. 반경방향으로 내측으로 향하여 있는 단부에 의하여, 포위 링(13)은 두 피팅부들(11, 12) 중 다른 피팅부에 맞물리며, 상기 다른 피팅부는 두 피팅부들(11, 12)의 상대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별도의 슬라이딩 링과 선택적으로 개재하여, 반경방향 외측에서, 포위 링(13)에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구조적인 관점에서, 두 피팅부들(11, 12)은 함께 (포위 링(13)을 포함하여) 결과적으로 디스크 형상 유닛을 형성한다.
피팅장치(10)의 설치시에, 예컨데 제 1 피팅부(11)는 등받이부(4)의 구성에 밀착하여 연결되고, 즉, 제 1 피팅부(11)는 등받이부 부품에 대하여 고정된다. 그런 다음, 제 2 피팅부(12)는 좌석부(3)의 구성에 밀착하여 연결되고, 즉, 제 2 피팅부(12)는 좌석부에 대하여 고정된다. 하지만, 이러한 피팅부들(11, 12)의 배열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즉, 제 1 피팅부(11)가 좌석부에 대하여 고정되고, 제 2 피팅부(12)가 등받이부에 대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피팅장치(10)는 등받이부(4) 및 좌석부(3) 사이의 힘의 흐름 상에 있고, 이 때문에 두 피팅부들(11, 12)이 금속, 바람직하게는 스틸 성분으로 제작되는 것이다. 설치를 위하여, 제 1 피팅부(11)는 축방향 외측으로 향하고 있는 선단부에 링 숄더(11a)를 구비하고 있고, 제2 피팅부(12)는 스타 숄더(12a)를 구비하고 있다. 링 숄더(11a) 및 스타 숄더(12a)는 등받이부(4) 및 좌석부(3)의 구성들에서 적절한 수용부들에 맞물리게 되고, 상기 수용부들의 단부에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팅장치(10)는, 적절한 위치로의 조절 및 고정을 위한 기어 유닛을 이용, 더욱 정확하게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예컨데 DE 44 36 101 A1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자동 잠금식인 편심 유성 기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 1 피팅부(11)와 제 2 피팅부(12)가 서로 연결되는 기어 피팅의 형태로 되어 있다.
기어 유닛을 형성하기 위하여, 외측에 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치형 휠(16)이 제 2 피팅부(12)에 형성되고, 내부에 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치형 링(17)이 제 1 피팅부(11)에 형성되며, 상기 치형 휠과 상기 치형 링은 서로 맞물려 있다. 치형 휠(16)의 외부 치형의 끝단 원의 직경은 치형 링(17)의 내부 치형의 바닥 원의 직경보다 적어도 치형(tooth) 하나의 깊이만큼 작다. 치형 휠(16) 및 치형 링(17)의 치형 개수에서 적어도 치형 하나 만큼의 상응하는 차이에 의하여 치형 휠 상에서 치형 링의 롤링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치형 휠(16) 및 치형 링(17)은 피팅부들(11, 12)을 최초 재료로부터 동시에 펀칭하는 한 번의 스탬핑 가공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피팅부들(11, 12)은 체적 성형법(바람직하게는 냉간 충격 압출법 또는 열간 압출법)을 이용하여 유사한 기하학적 특징 및 동일한 기능을 갖추도록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치형 휠(16)은 제 2 치형부(12)의 반경방향 외측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며, 즉, 제 2 치형부(12)의 반경방향 외측이 치형 휠(16)과 같은 높이로 되어 있다.
두 피팅부들(11, 12) 중 하나의 피팅부,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피팅부(12)는 치형 휠(16)에 동심 배치되는 칼라(19)를 구비한다. 칼라(19)는 상기 피팅부 상에 칼라 형성부로서 일체로 형성, 즉 상기 피팅부와 단일 편으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슬리브 형태로 상기 피팅부 상에 고정될 수 있다. 구동부(21)는 허브(22)에 의하여 칼라(19)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부(21)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21)의 허브(22)는 구동 축(7)을 수용하기 위한 보어(23)와 동심이다. 허브(23)의 윤곽은 구동 축(7)의 윤곽에 맞도록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플라인 축 윤곽을 하고 있다. 허브(22)에 인접하여, 구동축(21)은 커버 디스크(25)를 구비하고 있으며, 커버 디스크(25)는 허브(22)와 단일 편으로 형성되고 허브(22)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있다.
두 피팅부들(11, 12)의 다른 피팅부,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피팅부(11)를 외측의 곡면들로 지탱하는 두 개의 웨지 세크먼트(27)들이 내측 곡면들에 의해 칼라(19) 상에 지지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피팅부의 수용부가 슬라이드 베어링 부시(28)로 덮혀지고, 상기 슬라이드 베어링 부시(28)는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압입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슬라이드 베어링 부시(28)에 대하여 웨지 세그먼트(27)의 외측 면들이 지탱된다. "지지" 및 "지탱"이라는 용어는 피팅부(10)에 의해 작용하는 힘들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한정된 방향에만 제한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는데, 이는 상기 방향이 피팅부(10)의 설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구동부(21)는 허브(2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구동부 세그먼트(29)를 구비하며, 이 구동부 세그먼트(29)는 웨지 세그먼트(27)들의 좁은 측면들 사이에 공차를 두고 맞물리며, 커버 디스크(25) 및 허브(22)와 단일 편으로 형성된다. 웨지 세그먼트(27)들의 상호 대향하는 넓은 측면들은 각각, 재료의 돌출부들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리세스에 의해, 오메가 스프링(35)의 각각의 각진 단부 핑거(35a)를 수용한다. 스프링(35)은 특히 웨지 세그먼트(27)들을 멀어지도록 가압하기 위해,원주방향으로 웨지 세그먼트(27)들에 작용하고, 이에 따라, 작동 중에, 웨지 세그먼트(27)들의 넓은 측면들이 서로 접촉하고 상호 작용할 수 있게 된다.
구동부(21)는 칼라(19)가 구비된 피팅부의 외측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되며, 상기 고정은 고정 링(43)에 의해 클립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링(43)은 허브(22)의 일부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하여, 허브(22)가 칼라(19)이 내부를 직접 지탱하지 않으면서, 고정 링(43)의 개재에 의하여 칼라(19)에 지지될 수 있도록 된다 (결과적으로 구동부(21)는 제 2 피팅부(12) 상에 지지된다). 슬라이드 베어링 부시(28)가 구비된 피팅부(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피팅부(11))의 외측에서, 밀봉 링(44)이 반경방향 최외측 단부 및 커버 디스크(25) 사이에 제공된다. 상기 밀봉 링(44)은 예컨데 고무 또는 부드러운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고, 커버 디스크(25)와 연결, 특히 클리핑 결합된다. 밀봉 링(44)은 또한 금속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제 1 피팅부(11)와 용접 등으로 단단히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커버 디스크(25)는 밀봉 링(4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웨지 세그먼트(27)들(및 스프링(35))은, 편심부 방향의 확장으로, 맞물림 지점에서 치형 휠(16)을 치형 링(17)으로 가압하는 편심부를 형성한다. (여러 번) 회전하는 회전 구동 축(7)에 의하여 구동이 시작되면, 먼저 토크가 구동부(21)에 전달되고, 이후, 구동부 세그먼트(29)에 의하여 상기 정의된 편심부 상에 전달되고, 상기 편심부는 슬라이드 베어링 부시(28)를 따라 편심부의 방향을 바꾸면서 미끄럼 운동하고, 이에 따라 치형 휠(16)과 치형 링(17) 사이의 맞물림 지점을 바꾸고, 이러한 운동은 요동식 롤링 운동, 즉, 요동 운동이 중첩된 상대 회전으로 나타난다. 그 결과, 등받이부(4)의 경사가 여러 사용 위치들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동적 작동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DE 195 48 809 C1 에 예시적으로 개시된 것과 같은 유지 스프링(51)이 유지 요소로서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유지 스프링(51)은 제 1 피팅부(11) 상에 추가적인 치형 링으로 형성된 치형부(55)와 협동한다. 유지 스프링(51)은 비구동 상태에서 (스프링(35)을 단부 핑거(35a)들에 대하여 지탱함으로써 유지하는 유지 스프링에 의하여) 웨지 세그먼트(27)들을 유지하고, 구동된 구동부(21)에 의해 해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팅장치(10)는 서로 다른 하중 분류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등받이부(4) 및 좌석부(3) 사이의 힘의 흐름 상에 있는 구성요소들 중에서, 내부 구성요소들(또는 구성요소들의 일부분들)은 모든 하중 분류들에 대하여 동일하게 배치되며, 즉, 상기 내부 구성요소들은 특히 제 2 피팅부(12)의 칼라(19) (더욱 정확하게는, 내부 직경 및 외부 지경에 대하여 웨지 세그먼트(27)들과 접촉하고 있는 칼라(19)의 부분), 웨지 세그먼트(27)들, 슬라이드 베어링 부시(28) 및 이에 의해 덮여 있는 제 1 피팅부(11)의 수용부를 포함한다. 대응적으로는, 구동부(21), 웨지 세그먼트(27)들, 스프링(35), 유지 스프링(51), 및 슬라이드 베어링 부시(28)는 모든 하중 분류들에 대하여 동일한 부품들이 되며, 바람직하게는, 밀봉 링(44) 또한 이에 포함된다.
피팅장치(10)의 외부 구성요소들, 즉, 특히 치형 링(17)을 구비한 제 1 피팅부(11), 치형 휠(16)을 구비한 제 2 피팅부(12), 및 포위 링(13)이 단일 하중 분류들을 위해 구성된다. 이러한 외부 구성요소들은 파라미터화되고, 즉, 외부 구성요소들의 치수들이 하중 분류에 따라 변경된다. 치형 링(17) 및 치형 휠(16)이 주로 이에 해당한다. 이들의 직경들 및 축방향 치수(깊이)들이 중요한 파라미터들이며, 치형 높이, 치형 폭 및 치형 간격, 또한 이들과 간접 관련있는 치형 개수 등도 파라미터들에 해당한다. 치형 링(17) 및 치형 휠(16)의 이러한 파라미터들에 따라 제 1 피팅부(11) 및 제 2 피팅부(12)의 외부 치수들도 역시 결정되며, 특히 외측 직경 및 축방향 치수, 및 이에 따라 포위 링(13)의 외측 치수들 역시 결정된다.
세 가지 하중 분류들이 선호되며, 하나의 소 하중 분류(1500 Nm), 하나의 중 하중 분류(2000 Nm), 및 하나의 대 하중 분류(2500 Nm)로 분류되며, 이 순서로 번호가 지정되며, 이들의 번호는 파라미터들에서도 사용된다. 상기 세 가지 하중 분류들은 링 숄더(11a) 및 스타 숄더(12a) 사이의 축방향 치수들(a1, a2, a3)을 가지고 있고, 제 1 피팅부(11) 및 포위 링(13)의 외측 직경들(D1, D2, D3)을 가지고 있으며, 링 숄더(11a)의 링 직경들(d1, d2, d3)(d1 = 52 mm, d2 = 60 mm, d3 = 60 mm)을 가지고 있고, 스타 숄더(12a)의 스타 직경들(s1, s2, s3)(s1 = 44 mm (아암들이 없으면 39.5 mm), s2 = 50 mm (아암들이 없으면 42 mm), s3 = 50 mm (아암들이 없으면 42 mm))을 가지고 있다. 축방향 치수들(a1, a2, a3)은 각각 대략 15%씩 증가한다 (a1 = 8.5 mm ±3%; a2 = 9.5 mm ±3%; a3 = 11.0 mm ±3%). 외측 직경들(D1, D2, D3)(D1 = 72.0 mm ±3%; D2 = 77.0 mm ±3%; D3 = 78.0 mm ±3%) 중에서, 중 하중 분류의 외측 직경(D2)은 소 하중 분류의 외측 직경(D1) 보다 약 7% 정도 크다. 무게 역시 하중 분류 별로 (재료에 따라) 20 내지 30% 정도씩 증가한다. 서로 다른 축방향 치수들(a1, a2, a3)은 서로 다른 고정 링(43)에 의해 보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 하중 분류의 상당히 작은 외측 직경에 따라 링 숄더(11a)의 링 직경(d1)이 더욱 작아지게 되고(또한, 스타 숄더(12a)의 스타 직경(s1)이 더욱 작아지게 됨), 따라서, 경우에 따라서는 링 숄더(11a)에 대하여 지탱하는 밀봉 링(44)이 동일한 부품이 될 수 없기 때문에, 소 하중 분류에 대해서 독자적인 밀봉 링(44)이 구비되며, 즉, 밀봉 링(44)은 피팅장치(10)에서 파라미터화된 구성요소에 해당한다.
소 하중 분류(1500 Nm)에서, 제 1 피팅부(11)는 두께가 3.0 mm ±5%, 끝단 원의 직경이 62 mm ±3%, 바닥 원의 직경이 65 mm ±3%, 치형의 개수가 바람직하게는 34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 하중 분류(2000 Nm)에서, 제 1 피팅부(11)는 두께가 3.5 mm ±5%, 끝단 원의 직경이 65 mm ±3%, 바닥 원의 직경이 70 mm ±3%, 치형의 개수가 바람직하게는 37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 하중 분류(2500 Nm)에서, 제 1 피팅부(11)는 두께가 4.0 mm ±5%, 끝단 원의 직경이 65 mm ±3%, 바닥 원의 직경이 70 mm ±3%, 치형의 개수가 바람직하게는 37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드 베어링 부시(28)용 수용부의 내부 직경은 각각 33 mm ±3%이다. 제 1 피팅부(11)는 열처리가 되지 않는 고 장력 스틸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안적으로는 경화처리 및 템퍼링처리(열처리)된 C20E 스틸로 제작될 수 있다.
소 하중 분류(1500 Nm)에서, 제 2 피팅부(12)는 두께가 3.0 mm ±5%, 끝단 원의 직경이 62 mm ±3%, 바닥 원의 직경이 57 mm ±3%, 치형의 개수가 바람직하게는 33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 하중 분류(2000 Nm)에서, 제 2 피팅부(12)는 두께가 3.5 mm ±5%, 끝단 원의 직경이 67 mm ±3%, 바닥 원의 직경이 61 mm ±3%, 치형의 개수가 바람직하게는 36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 하중 분류(2500 Nm)에서, 제 2 피팅부(12)는 두께가 4.0 mm ±5%, 끝단 원의 직경이 67 mm ±3%, 바닥 원의 직경이 61 mm ±3%, 치형의 개수가 바람직하게는 36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칼라(19)의 외부 직경은 각각 21 mm ±3%에 상당한다. 제 2 피팅부(12)는 열처리에 의하여 템퍼링처리 및 경화처리된 C20E 스틸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산 시에, 피팅장치(10)는 조립 키트의 종류에서 전술한 동일 부품들 및 파라미터화된 구성요소들로부터 조립되고, 즉, 하중 분류들 중 하나가 특정되면, 특정된 하중 분류에 따라, 특정된 하중 분류에 배정된 파라미터화된 구성요소들, 및 모든 하중 분류에 사용되는 동일한 부품들인 구성요소들이 선택됨으로써 (그리고 상기 조립 키트로부터 취해짐으로써) 피팅장치(10)가 조립된다. 조립 생산 라인들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다면, 서로 다르게 파라미터화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서로 다른 식별들, 예컨데 플라스틱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서로 다른 색상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팅장치(10)용으로 동일한 부품들 및 파라미터화된 구성요소들을 사용하는 시스템은, 아연 또는 알루미늄 다이 캐스트로 된 단일 편의 금속 구동부(21')에 대해서는 US 7,314,250 B1 에서, 구동부 세그먼트(29)와 이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강체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구성요소(허브(22) 및 커버 디스크(25)를 구비)와 함께 금속 링(바람직하게는 소결 재료)으로 구성되는 두 개의 편으로 된 구동부(21'')에 대해서는 US 2009/0127910 A1 에 설명된 것과 같이, 모터 구동 방식들로 확장될 수도 있다. 전술한 두 공보에 개시된 관련 부분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된다.
상기 세 가지 종류의 구동부,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는 단일 편의 구동부(21)(DE 44 36 111 A1 참조), 금속으로 구성되는 단일 편의 구동부(21')(US 7,314,250 참조), 및 두 개의 편으로 형성된 구동부(21'')(US 2009/0127910 A1)는 그룹을 형성한다. 구동부는 이 그룹에서 선택되어야 하지만, 하중 분류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품에 해당한다. 하지만, 금속 구동부(21') 및 두 개의 편으로 형성된 구동부(21'')를 구비한 두 가지 모터 구동 방식들에서는 유지 스프링(51)이 생략된다.
1 차량 좌석
3 좌석부
4 등받이부
5 수동휠
7 구동 축
10 피팅장치
11 제 1 피팅부
11a 링 숄더
12 제 2 피팅부
12a 스타 숄더
13 포위 링
16 치형 휠
17 치형 링
19 칼라
21 구동부
21' 금속 구동부
21'' 이중 편 구동부
22 허브
23 보어
25 커버 디스크
27 웨지 세그먼트
28 슬라이드 베어링 부시
29 구동부 세그먼트
35 스프링
35a 단부 핑거
43 고정 링
44 밀봉 링
51 유지 링
55 치형부
a1, a2, a3 축방향 치수
d1, d2, d3 링 숄더의 링 직경
D1, D2, D3 외부 직경
s1, s2, s3 스타 숄더의 스타 직경

Claims (10)

  1. 차량 좌석용, 특히 자동차 좌석용 피팅장치로서,
    서로 맞물리는 치형 휠(16) 및 치형 링(17)에 의하여 기어 결합되는 제 1 피팅부(11) 및 제 2 피팅부(12); 및
    상기 치형 휠(16) 및 상기 치형 링(17)의 상대적인 롤링 운동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구동부(21)에 의해 구동되는 원주 편심부(27, 27)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피팅부(11)는 상기 제 2 피팅부(21) 상에 지지되는 상기 편심부(27, 27)를 수용하는, 피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팅장치(10)는 두 가지 이상의 하중 분류들 중의 하나에 배정되고,
    상기 피팅장치(10)는 상기 배정된 하중 분류에 대하여 파라미터화된 구성요소들, 및 모든 하중 분류들에 대하여 동일한 부품들인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피팅부들(11, 12)은 파라미터화된 구성요소들이고, 상기 편심부(27, 27)는 상기 동일한 부품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화된 구성요소들 중 하나로서 포위 링(13)이 제공되고,
    상기 포위 링(13)은,
    특히 상기 치형 링(17)이 제공되는 상기 제 1 피팅부(11)와 특히 상기 치형 휠(16)이 제공되는 상기 제 2 피팅부를 축방향으로 함께 유지하고,
    디스크 형상의 유닛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피팅부(11)에 고정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상기 제 2 피팅부(12)에 맞물리고,
    상기 포위 링(13)이 특히 실질적으로 편평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스프링(35)이 작용하는 두 개의 웨지 세그먼트(27)들이 편심부(27, 27)를 형성하고,
    상기 웨지 세그먼트(27)들 및 스프링(35)이 상기 동일한 부품들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팅부(11)는, 상기 치형 링(17)과 특히 동심인 상기 동일한 부품들 중 하나인 슬라이드 베어링 부시(28)에 의하여 상기 편심부(27, 27)를 수용하고,
    상기 제 2 피팅부(12)는 상기 치형 휠(16)과 특히 동심인 칼라(19)에 의하여 상기 편심부(27, 27)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스프링(51)이 상기 동일한 부품들 중 하나로서 제공되고,
    상기 유지 스프링(51)은 상기 제 1 피팅부(11) 상에 형성되는 치형부(55)와 협동함으로써 상기 피팅장치(10)의 비구동 상태로 상기 편심부(27, 27)를 유지하고, 상기 구동부(21)에 의해 구동될 때 상기 편심부(27, 27)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부품들 중 하나인 상기 구동부(21)는 고정 링(43)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고정 링(43)은 상기 파라미터화된 구성요소들 중 하나이고 및/또는 상기 제 2 피팅부(12) 상에 지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부품들 중 하나인 상기 구동부(21)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라미터화된 구성요소들 중 하나인 밀봉 링(44)에 의하여 상기 제 1 피팅부(11)를 향하여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1)는 다양한 형태, 특히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는 단일 편의 구동부(21)로서, 금속으로 구성되는 단일 편의 구동부(21')로서, 또는 이중 편의 구동부(21'')로서 형성되고,
    모든 형태들은 상기 하중 분류들에 대하여 동일한 부품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장치.
  9. 차량 좌석, 특히 자동차 좌석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피팅장치,
    상기 두 피팅부들(11, 12) 중 하나의 피팅부에 연결되는 좌석부(3), 및
    상기 두 피팅부들(11, 12) 중 다른 피팅부에 연결되는 등받이부(4)를 포함하는,
    차량 좌석.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에 따른 피팅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두 가지 이상의 하중 분류들 중 하나를 특정하고,
    그 후 특정된 하중 분류에 배정된 파라미터화된 구성요소들, 및 모든 하중 분류들을 위한 동일한 부품들인 구성요소들이 선택되고,
    상기 피팅장치(10)는 선택된 구성요소들의 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 장치의 조립 방법.
KR1020127031057A 2010-04-28 2011-04-01 차량 좌석용 피팅장치 KR1013949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18952A DE102010018952B4 (de) 2010-04-28 2010-04-28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Fahrzeugsitz und Verfahren zum Zusammenbau eines Beschlags
DE102010018952.9 2010-04-28
PCT/EP2011/001661 WO2011134584A1 (de) 2010-04-28 2011-04-01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798A true KR20130020798A (ko) 2013-02-28
KR101394942B1 KR101394942B1 (ko) 2014-05-14

Family

ID=44279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1057A KR101394942B1 (ko) 2010-04-28 2011-04-01 차량 좌석용 피팅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905479B2 (ko)
EP (1) EP2563618B1 (ko)
JP (1) JP5449582B2 (ko)
KR (1) KR101394942B1 (ko)
CN (1) CN102781718B (ko)
DE (1) DE102010018952B4 (ko)
PL (1) PL2563618T3 (ko)
WO (1) WO20111345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18952B4 (de) 2010-04-28 2013-03-14 Keiper Gmbh & Co. 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Fahrzeugsitz und Verfahren zum Zusammenbau eines Beschlags
CN103129418B (zh) * 2011-11-25 2015-03-25 湖北中航精机科技有限公司 一种座椅调角器及其座椅
KR101372952B1 (ko) * 2012-03-06 2014-03-10 현대다이모스(주)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DE102012024643B3 (de) * 2012-09-18 2014-03-20 Keiper Gmbh & Co. Kg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Rücksitzanlage
CN104583002B (zh) * 2013-06-27 2017-03-01 达世株式会社 车座调角器
CN104405830B (zh) * 2014-09-17 2017-02-15 西安交通大学 一种星轮齿的两侧面圆柱包络型线的协同构造方法
EP3385165A1 (en) 2017-04-03 2018-10-10 Adient US LLC A seat for a vehicle
IT201800004672A1 (it) * 2018-04-18 2019-10-18 Dispositivo di reclinazione per un sedile di veicolo
MA52825B1 (fr) * 2018-09-25 2021-09-30 Martur Italy Srl Dispositif d'inclinaison pour un siège de véhicule
DE102019216677A1 (de) * 2019-10-29 2021-04-29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ahrzeugsitz mit unterschiedlich großen Drehbeschlägen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36101C5 (de) * 1993-11-30 2008-12-11 Keiper Gmbh & Co.Kg Lehneneinstellbeschlag für Sitze mit verstellbarer Rückenlehne,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e
DE4436111C1 (de) 1994-10-10 1996-01-18 Fichtel & Sachs Ag Reibungskupplung mit Verschleißausgleich
DE19548809C1 (de) 1995-12-27 1997-05-22 Keiper Recaro Gmbh Co Ver- und Feststelleinrichtung für Sitze, wie Kraftfahrzeugsitze, zur Verstellung der Rückenlehne
DE20023584U1 (de) 1999-01-28 2004-12-16 Keiper Gmbh & Co. Kg Rast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DE19938666C5 (de) 1999-08-14 2008-01-03 Keiper Gmbh & Co.Kg Verstellbeschlag für Sitze mit neigungseinstellbarer Lehne, insbesondere für Kraftfahzeugsitze
DE10105282B4 (de) 2001-02-06 2005-03-24 Keiper Gmbh & Co. 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JP2004518492A (ja) 2001-02-12 2004-06-24 フオルクスワーゲン・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中心に支承された2個のアダプタを回転調節するための特に自動車の座席用の調節装置及びこの調節装置のための遊星歯車装置
WO2003024740A1 (de) * 2001-09-06 2003-03-27 Keiper Gmbh & Co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157273B4 (de) 2001-11-22 2006-01-19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Verstellbeschlag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insbesondere Neigungsverstellbeschlag für dessen Rückenlehne
DE10328300B4 (de) * 2003-06-23 2006-09-21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Verstellbeschlag für Kraftfahrzeugsitz
JP4414158B2 (ja) 2003-07-04 2010-02-10 シロキ工業株式会社 両側リクライニング装置の組付け方法
DE102004007045B3 (de) 2004-02-12 2005-06-02 Keiper Gmbh & Co. 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04007043B3 (de) * 2004-02-12 2005-06-23 Keiper Gmbh & Co. 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04013272B3 (de) 2004-03-18 2006-01-26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Neigungsverstellbeschlag für die Rückenlehne eines Kraftfahrzeugsitzes
DE102004062050B4 (de) * 2004-12-23 2006-12-07 Keiper Gmbh & Co.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05028779B4 (de) * 2005-06-22 2007-07-26 Keiper Gmbh & Co.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05046357A1 (de) * 2005-09-28 2007-03-29 Robert Bosch Gmbh Getriebe-Antriebseinheit, insbesondere zum Verstellen eines beweglichen Teils im Kraftfahrzeug, mit einem Trägerrohr
DE102006044490B4 (de) 2006-01-24 2008-08-28 Keiper Gmbh & Co.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06015558B3 (de) * 2006-04-04 2008-02-14 Keiper Gmbh & Co.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06015559B3 (de) * 2006-04-04 2007-08-16 Keiper Gmbh & Co.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06041917B3 (de) 2006-09-07 2008-01-17 Keiper Gmbh & Co.Kg Übertrag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US7314250B1 (en) 2006-09-27 2008-01-01 Keiper Gmbh & Co. Kg Fitting system for a vehicle seat
WO2008080999A1 (de) * 2007-01-04 2008-07-10 Johnson Controls Gmbh Verstellein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07007362B4 (de) * 2007-02-14 2009-07-09 Faurecia Autositze Gmbh Verstellmechanismus
DE102007010078B4 (de) 2007-02-28 2008-11-20 Johnson Controls Gmbh Verstellbeschlag für eine Kraftfahrzeugkomponente und Verfahren zur Sicherung der Arretierung eines Verstellbeschlags
DE102007011998B4 (de) 2007-03-09 2013-08-01 Johnson Controls Gmbh Fahrzeugsitz mit einem Beschlag zur Neigungsverstellung und zum Freischwenken einer Lehne
CN101677689B (zh) * 2007-05-08 2011-05-11 丰田纺织株式会社 连接装置
US8460145B2 (en) * 2007-06-11 2013-06-11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Rotation mechanism
DE102007042602A1 (de) 2007-09-07 2009-03-12 Johnson Controls Gmbh Neigungsversteller für Fahrzeuge
US7946652B2 (en) 2007-11-20 2011-05-24 Keiper Gmbh & Co. Kg Fitting for a vehicle seat
DE102007059510C5 (de) * 2007-12-07 2011-05-12 Keiper Gmbh & Co. Kg Element für einen Fahrzeugsitz
JP5414299B2 (ja) * 2008-03-04 2014-02-12 ツェー ロブ ハメルステイン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ー カーゲー 自動車シート調節装置用、特に背もたれヒンジ部品用の揺動継手部品
DE102008028475B4 (de) 2008-05-16 2023-08-10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Beschlaganordnung für einen Sitz, insbesondere Fahrzeugsitz sowie Verfahren zur Montage einer solchen Beschlaganordnung
DE102008028088A1 (de) 2008-06-13 2009-12-1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stellbeschlages
DE102008028102A1 (de) 2008-06-13 2009-12-1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stellbeschlag
DE102008028103A1 (de) 2008-06-13 2009-12-1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stellbeschlag
JP5338165B2 (ja) * 2008-07-15 2013-11-1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歯車及びこの歯車を用いた連結装置
JP5077115B2 (ja) * 2008-07-15 2012-11-2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歯車及びこの歯車を用いた連結装置
EP2313291A1 (de) * 2008-08-13 2011-04-27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Taumelgelenk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09011462B4 (de) * 2009-02-27 2022-08-25 Keiper Seating Mechanisms Co., Ltd.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CN101941389B (zh) * 2009-07-04 2012-06-20 湖北中航精机科技股份有限公司 座椅调角器及具有该调角器的座椅
DE102009041490A1 (de) 2009-09-10 2011-03-24 Keiper Gmbh & Co. 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09052582B3 (de) * 2009-11-04 2011-02-24 Keiper Gmbh & Co. Kg Einsteller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hierzu
DE102010018952B4 (de) 2010-04-28 2013-03-14 Keiper Gmbh & Co. 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Fahrzeugsitz und Verfahren zum Zusammenbau eines Beschla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0018952B4 (de) 2013-03-14
JP2013522101A (ja) 2013-06-13
EP2563618A1 (de) 2013-03-06
PL2563618T3 (pl) 2017-12-29
CN102781718A (zh) 2012-11-14
WO2011134584A1 (de) 2011-11-03
CN102781718B (zh) 2015-05-20
US20130207433A1 (en) 2013-08-15
US8905479B2 (en) 2014-12-09
EP2563618B1 (de) 2017-08-02
DE102010018952A1 (de) 2011-11-03
KR101394942B1 (ko) 2014-05-14
JP5449582B2 (ja)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4942B1 (ko) 차량 좌석용 피팅장치
KR101354596B1 (ko) 차량 시트용 피팅
JP5537661B2 (ja) 車両シート用取付具
KR101284116B1 (ko) 조정 피팅
US10843591B2 (en) Gear assembly for a seat adjuster
KR101399978B1 (ko) 차량 시트용 피팅
KR101313127B1 (ko) 차량 좌석용 피팅 시스템
JP6111279B2 (ja) 車両シート用リクライニング機構
KR101279444B1 (ko) 차량 시트용 피팅
KR20130130067A (ko) 차량 시트용 피팅
US9114737B2 (en) Fitting for a vehicle sea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432784B1 (ko) 차량 시트 피팅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20130062338A (ko) 차량 시트용 피팅
KR20080107347A (ko) 차량 시트용 피팅
US9303685B2 (en) Fitting for a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KR101416326B1 (ko) 차량용 시트, 특히, 자동차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