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9025A - 의치 시스템, 틀니의 작성 방법 및 보수 방법 - Google Patents

의치 시스템, 틀니의 작성 방법 및 보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9025A
KR20130019025A KR20137002591A KR20137002591A KR20130019025A KR 20130019025 A KR20130019025 A KR 20130019025A KR 20137002591 A KR20137002591 A KR 20137002591A KR 20137002591 A KR20137002591 A KR 20137002591A KR 20130019025 A KR20130019025 A KR 20130019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ure
abutment
engagement piece
denture base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02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0246B1 (ko
Inventor
나리유키 보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티·유·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티·유·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티·유·엠
Publication of KR20130019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1In-situ dentures; Trial or temporary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4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made by cas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1Making teeth by casting or 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5Sliding or snap attachments
    • A61C13/2656Snap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5Total denture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84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natural or synthetic res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with shock 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Prosthe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상기 의치상(10) 및 걸어맞춤편부(13)는 일체로 이어져 있음과 아울러, 상기 기둥형상의 어뷰트먼트(3)에 착탈이 자유롭게 끼워맞추기 위한 끼워맞춤구멍(14)을 정의하고 있고, 상기 걸어맞춤편부(13)는 상기 끼워맞춤구멍(14)의 일부 또는 전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걸어맞춤편부(13)는 상기 어뷰트먼트(3)에 접하고 상기 어뷰트먼트(3)에 접하는 제1면(31)과, 상기 제1면(31)의 반대측의 제2면(32)을 가지고, 상기 의치상(10)에는 상기 제1면(31)으로부터 상기 제2면(32)을 향하는 수평 방향(X)으로 상기 걸어맞춤편부(13)가 가동 또는 변형하는 것을 허용하는 허용부(15)가 상기 제2면(32)과 상기 본체부(1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의치 시스템, 틀니의 작성 방법 및 보수 방법{DENTURE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METHOD FOR REPAIRING DENTURE}
본 발명은 의치 시스템, 틀니의 작성 방법 및 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PCT / JP2011 /70933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동 선출원에 이하 [발명의 내용] 단원에 언더라인이 붙여져 있는 부분의 기술을 더한 점이 동 선출원의 내용과 상이하다.
최근, 소위 임플란트라고 불리는 의치 시스템에 있어서는, 1개 또는 복수개의 픽스쳐(임플란트체)와, 상기 픽스쳐의 수보다 많은 인공치를 가지는 구조가 채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는 픽스쳐의 수를 줄일 수 있어 환자의 육체적, 경제적인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종류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픽스쳐에 고정한 어뷰트먼트에 의치상 및 인공치로 이루어지는 틀니가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된다.(특허문헌 1)
JP2006-512179(요약)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본을 떠서 성형한 반제품(미완성)의 틀니를 어뷰트먼트에 장착한 상태에서, 의치상이 되는 부위에 수지를 충전하여 틀니를 완성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공정은 환자 및 치과의사의 육체적·시간적인 부담이나 비용이 증대하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과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강의 본을 뜰 때의 인상재나, 상기 인상재로 생성되는 수형의 재료인 석고는 경화시의 수축이 매우 작다. 한편, 종래 어뷰트먼트에 장착되는 후크는 어뷰트먼트에 대하여 간극없이 단단하게 끼워져 있다.
따라서, 상기 각 재료의 수축이 작아도, 복수의 서로 떨어진 어뷰트먼트에 대하여 후크가 외력을 부여하는 것은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외력은 착용감이 저하되는 원인이 될 뿐만아니라, 픽스쳐에 부하를 줄 수도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종래는 구강 내에 설치한 어뷰트먼트에 틀니의 반제품을 장착한 상태에서 의치상이 되는 수지를 상기 반제품에 충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나 치과의사의 육체적·시간적인 부담이나 비용을 경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시스템은, 구강 조직(4)에 매립되기 위한 픽스쳐(2)와, 상기 픽스쳐(2)에 연결되어 구강 내에 있어서 노출되는 표면을 가지는 어뷰트먼트(3)와, 상기 어뷰트먼트(3)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틀니(1)를 구비한 의치 시스템으로서, 상기 틀니(1)는 잇몸(40)에 접하는 나일론계의 열가소성 수지제의 의치상(10)과, 상기 의치상(10)에 지지된 인공치(11)와, 상기 틀니(1)의 탈착시에 상하 방향(Z)의 단부(13a)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변형하여 확개하고 착용 중에 상기 어뷰트먼트(3)에 걸어맞춰지는 적어도 1개의 설편형상의 걸어맞춤편부(13)를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편부(13)는 그 자체로 또는 상기 의치상(10)과 함께, 상기 어뷰트먼트(3)의 상기 표면에 착탈이 자유롭게 끼워맞추기 위한 끼워맞춤구멍(14)을 정의하고 있고, 상기 걸어맞춤편부(13)는 나일론계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어뷰트먼트(3)에 대하여 180°보다 작은 중심각(θ)의 범위에 있어서 상기 표면을 따라 수평 방향(X)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단부(13a)로부터 상기 상하 방향(Z)으로 연장되고 상기 어뷰트먼트(3)의 표면에 접하는 제1면(31)과, 상기 제1면(31)의 반대측의 제2면(32)을 가지고, 상기 의치상(10)은 상기 제2면(32)에 대면하고, 또한 상기 제2면(32)으로부터 이간한 제3면(33)을 가지고, 상기 제1면(31)으로부터 상기 제2면(32)을 향하는 방향(X)으로 상기 걸어맞춤편부(13)가 변형하여 확개하는 것을 허용하는 홈형상의 허용부(15)가 상기 걸어맞춤편부(13)의 상기 제2면(32)과 상기 의치상(10)의 상기 제3면(33) 사이에서 정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상기 걸어맞춤편부(13)로 형성한 끼워맞춤구멍(14)에 어뷰트먼트(3)가 끼워넣어져, 틀니(1) 전체가 어뷰트먼트(3)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된다.
또, 나일론계의 수지제의 걸어맞춤편부(13)로 끼워맞춤구멍(14)이 형성되어 있어, 걸어맞춤편부(13)의 탄성 변형에 의해, 어뷰트먼트(3)에 대한 끼워맞춤구멍(14)의 위치가 높은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끼워맞춤구멍(14)의 위치가 어뷰트먼트(3)에 대하여 약간 어긋남이 생겨도, 나일론계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편부(13)가 단부(13a)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탄성 변형하여, 틀니(1)의 착용감이 향상된다. 또, 상기 어긋남에 의한 픽스쳐(2)에 발생하는 외력도 현저하게 작아질 것이다.
상기 의치상을 환자에게 장착한 상태에서 금속 피스를 상기 의치상에 고정하는 공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환자나 치과의사의 육체적·시간적인 부담이 경감된다.
본 시스템에 있어서는, 상기 의치상 및 걸어맞춤편부가 나일론계의 열가소성 수지(폴리아미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응력에 대한 신장이 크고, 탄성 변형하기 쉽다. 그 때문에, 상기 착용감이 좋다. 또한, 이러한 폴리아미드로서는 엠스사의 TR90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나일론제의 상기 의치상(10)에 더해, 소위 금속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 금속상은 예를 들면 금 합금, 코발트 크롬 또는 티탄 등의 금속이나 합금으로 형성되고, 상기 의치상(10)의 내표면이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의치상(10)을 보강하거나, 복수의 의치상(10)의 사이를 연결하여 보강하거나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나일론제의 의치상(10) 내에 유리 파이버나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가 첨가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의치상(10)은 FRP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런데, 틀니(1)는 매일같이 분리하여 청소되므로, 수지제의 걸어맞춤편부(13)가 열화하거나, 또는 영구 변형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걸어맞춤편부(13)가 나일론계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영구 변형을 발생시키기 어려울 뿐만아니라, 열풍을 상기 걸어맞춤편부(13) 및 그 주위에 내뿜으면서 상기 걸어맞춤편부(13)의 형상을 초기의 형상 등으로 되돌려, 걸어맞춤편부(13)를 소생시킬 수 있다.
도 1A는 틀니를 구강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본 시스템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B는 IB-IB선에 있어서의 의치상의 평면 단면도, 도 1C는 동 틀니를 구강에 장착한 상태에서 동 실시예 1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동 실시예 1의 횡단면도이다.
도 3A는 동 실시예 1의 주요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 3B는 동 실시예 1의 주요부의 확대 평면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이해에 도움이 되는 참고예의 주요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 4B는 동 참고예의 주요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A는 실시예 2의 주요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 5B는 실시예 2의 주요부의 확대 평면 단면도이다.
도 6A는 실시예 3의 주요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 6B는 실시예 3의 주요부의 확대 평면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실시예 3에 따른 틀니를 작성하는 제1 방법의 공정 1 및 2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각각 동 공정 3, 4 및 5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동 공정 6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동 공정 7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동 공정 8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동 공정 9 및 1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동 실시예 3에 따른 틀니를 작성하는 제2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정 6에 상당하는 공정 6A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A, 도 14B 및 도 14C는 각각 동 제3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정 6~공정 10을 대신하는 별도의 공정 11, 12 및 13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걸어맞춤편부가 2개인 경우에 대해서 상기 공정 6에 상당하는 공정 6B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각각 상기 공정 9 및 10에 상당하는 동 공정 9B 및 공정 10B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각각 동 실시예 3에 따른 본 시스템의 틀니를 작성하는 제4 방법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확대 종단면도 및 평면 단면도이다.
도 18은 동 제4 방법에 따른 공정 20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A, 도 19B 및 도 19C는 각각 동 공정 21, 22 및 23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각각 실시예 4에 따른 본 시스템의 주요부의 확대 종단면도 및 평면 단면도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각각 실시예 5에 따른 틀니를 작성하는 방법의 공정 1 및 2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각각 동 공정 3 및 34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A 및 도 23B는 각각 동 공정 35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A 및 도 24B는 각각 동 공정 36 및 37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A 및 도 25B는 각각 동 공정 38 및 39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A 및 도 26B는 각각 동 공정 40 및 41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7A 및 도 27B는 각각 동 실시예 5의 틀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및 평면 단면도, 도 27C는 동 틀니를 환자에게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A 및 도 28B는 각각 실시예 6 및 7에 따른 틀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9A 및 도 29B는 각각 실시예 8 및 9에 따른 틀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0은 어뷰트먼트의 배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1A 및 도 31B는 각각 실시예 10에 따른 틀니의 작성 방법의 공정 51 및 52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2A 및 도 32B는 각각 동 공정 53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 도 32C는 동 공정 54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3A 및 도 33B는 각각 동 공정 55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및 평면 단면도, 도 33C 및 도 33D는 동 공정 56을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34A 및 도 34B는 각각 실시예 11에 따른 틀니의 작성 방법의 공정 61을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 및 종단면도, 도 34C 및 도 34D는 각각 동 공정 62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35A 및 도 35B는 각각 동 공정 63을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 및 종단면도, 도 35C는 동 공정 64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6A 및 도 36B는 각각 동 공정 65를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 및 종단면도, 도 36C는 동 공정 66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7A 및 도 37B는 각각 실시예 12에 따른 틀니의 작성 방법의 공정 71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종단면도, 도 37C는 동 공정 72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8A 및 도 38B는 각각 동 공정 73을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 및 종단면도, 도 38C는 동 공정 74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9A 및 도 39B는 각각 실시예 13에 따른 틀니의 작성 방법의 공정 81 및 82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0A 및 도 40B는 각각 동 공정 83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및 평면 단면도, 도 40C 및 도 40D는 동 공정 84를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41A 및 도 41B는 각각 실시예 14에 따른 틀니의 작성 방법의 공정 91을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 및 종단면도, 도 41C 및 도 41D는 각각 동 공정 92를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42A 및 도 42B는 각각 실시예 15에 따른 틀니의 작성 방법의 공정 101 및 102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3은 실시예 16에 따른 틀니의 작성에 사용하는 중자의 사시도이다.
도 44A 및 도 44B는 각각 실시예 16에 따른 틀니의 작성 방법의 공정 111을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 및 종단면도, 도 44C 및 도 44D는 각각 동 공정 112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45A 및 도 45B는 각각 동 공정 113을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 및 종단면도, 도 45C는 동 공정 114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6A 및 도 46B는 각각 동 공정 115를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 및 종단면도, 도 46C는 동 공정 116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이해에 도움이 되는 참고예에 따른 틀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끼워맞춤구멍(14) 하나에 대하여 상기 걸어맞춤편부(13)가 1개 또는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걸어맞춤편부(13)와 의치상(10) 사이에, 또는 상기 복수의 걸어맞춤편부(13, 13)끼리의 사이에 상기 상하 방향(Z)으로 연장되는 슬릿(13s)이 정의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어맞춤편부끼리가 상기 단부(13a) 및 어뷰트먼트의 머리부를 덮는 의치상(10)의 부위를 통하여 서로 일체로 이어져 있다.
1개 또는 복수개의 걸어맞춤편부(13)는 상하 방향(Z)으로 연장되는 슬릿(13s)에 의해 서로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어뷰트먼트(3)에 대한 끼워맞춤구멍(14)의 위치 어긋남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어뷰트먼트(3)는 상기 픽스쳐(2)에 비틀어넣어지는 수나사부(3s)와, 상기 픽스쳐(2)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끼워맞춤구멍(14)에 있어서 상기 틀니(1)가 끼워지는 탑(top)(3t)을 구비하고, 상기 탑(3t)과 상기 수나사부(3s) 사이에 상기 걸어맞춤편부(13)가 걸어맞춰지는 잘록한 원주형상의 피걸어맞춤홈(3e)과, 상기 탑(3t)으로부터 상기 수나사부(3s)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피걸어맞춤홈(3e)의 깊이와 대략 동일하거나, 그보다 큰 깊이를 가지고, 상기 원주의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여 상기 슬릿(13s)의 수와 동일한 수의 복수의 세로홈(3g)이 상기 어뷰트먼트(3)에 의해 정의되어 있다.
또한, 「탑」은 영어의 “top”을 의미하고, 상하를 문제로 하지 않는 정부(top)이다.
이 경우, 어뷰트먼트(3)의 세로홈(3g)은 어뷰트먼트(3)의 피걸어맞춤홈(3e)에 중자가 진입하는 것을 허용한다. 또, 어뷰트먼트(3)의 복수의 세로홈(3g)은 어뷰트먼트(3)를 픽스쳐(2)에 비틀어넣을 때에, 공구를 걸어맞추는 홈으로서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어뷰트먼트(3)에 근사한 형상을 가지는 레플리카(3R)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레플리카(3R)는 상기 픽스쳐(2)에 비틀어넣어지는 수나사부(3s)와, 상기 픽스쳐(2)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끼워맞춤구멍(14)에 있어서 상기 틀니(1)가 끼워지는 것이 가능한 탑(top)(3t)을 구비하고, 상기 탑(3t)과 상기 수나사부(3s) 사이에 상기 걸어맞춤편부(13)가 걸어맞춰지는 것이 가능한 잘록한 원주형상의 피걸어맞춤홈(3e)과, 상기 탑(3t)으로부터 상기 수나사부(3s)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피걸어맞춤홈(3e)의 깊이와 대략 동일하거나, 그보다 큰 깊이를 가지고, 상기 원주의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여 상기 슬릿(13s)의 수와 동일한 수의 복수의 세로홈(3g)이 상기 어뷰트먼트의 레플리카(3R)에 의해 정의되어 있다.
이 경우, 레플리카(3R)의 세로홈(3g)은 어뷰트먼트(3)의 피걸어맞춤홈(3e)에 중자가 진입하는 것을 허용한다.
또, 어뷰트먼트(3)의 레플리카(3R)에 세로홈(3g)이 형성되어, 어뷰트먼트(3)에는 세로홈(3g)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세로홈(3g)이 없는 어뷰트먼트(3)와 걸어맞춤편부(13)의 걸어맞춤이 안정되기 쉬울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걸어맞춤편부(13)의 상기 단부(13a)가 상기 의치상(10)에 일체로 이어져 있다. 서로 일체로 이어진 걸어맞춤편부(13) 및 의치상(10)은 외력에 의한 손상을 발생시키기 어려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걸어맞춤편부(13)가 상기 나일론계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1개의 걸어맞춤 피스(13P)로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피스(13P)는 환자에게 고유한 형상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미리 정밀도 좋게 양산할 수 있다. 따라서, 비용절감과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편부(13)와 상기 의치상(10)을 연결하기 위한 상기 수지와는 상이한 별도의 수지가 삽입되어 있다.
이 경우의 별도의 수지로서는 즉시 중합 레진이라고 불리는 2액성의 레진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레진은 기공사가 상비하고 있으므로 실현이 용이하다.
본 시스템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구강 내에 상기 픽스쳐(2) 및 어뷰트먼트(3)가 복수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픽스쳐(2) 및 어뷰트먼트(3)에 적용된다.
단, 클래스프를 설치하여 픽스쳐(2) 및 어뷰트먼트(3)를 1개소만 설치해도 된다.
본 시스템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각 어뷰트먼트(3)에 대한 상기 각 끼워맞춤구멍(14)의 위치가 수평 방향(X) 중의 좌우 방향(X1)으로 미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각 끼워맞춤구멍(14)의 좌측 및 우측에 상기 걸어맞춤편부(13) 및 허용부(15)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어뷰트먼트(3, 3) 사이의 피치와, 복수의 끼워맞춤구멍(14, 14)의 피치가 서로 약간의 오차가 생겨도, 상기 걸어맞춤편부(13)가 미동함으로써, 틀니(1)의 장착시에 위화감이 생기기 어렵다.
본 시스템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어뷰트먼트(3)에 대한 상기 끼워맞춤구멍(14)의 위치가 전후 방향(Y)으로 미동할 수 있도록, 상기 끼워맞춤구멍(14)의 전방 및 후방에 상기 걸어맞춤편부(13) 및 허용부(15)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걸어맞춤편부(13)가 전후 방향(Y)으로도 미동함으로써, 상기 틀니(1)의 장착시에 위화감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틀니(1)를 작성하기 위한 방법은 적어도 상기 픽스쳐(2)가 상기 구강 조직(4)에 매립된 상태에서 유연한 인상재(23)에 의해 구강의 암형(50)을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암형(50)으로부터 상기 어뷰트먼트(3)의 형상 및 상기 구강의 형상을 가지는 수형(51)을 생성하는 공정과, 적어도 상기 허용부(15)를 형성하는 홈(15)의 형상을 가지는 중자(70)를 상기 수형(51)에 있어서의 상기 어뷰트먼트(3)에 상당하는 부위의 둘레에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중자(70)의 상단 혹은 하단의 단면과 상기 수형(51)의 표면 사이에 발생하는 언더컷이 되는 간극(S)을 충전제(53)로 메워 모형(母型)(52)을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모형(52)으로부터 상기 수지제의 의치상(10) 및 걸어맞춤편부(13)를 얻는 공정을 구비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중자(70)가 허용부(15)가 되는 홈(15)을 형성하고, 언더컷(S)을 충전제(53)로 메운다. 그 때문에 의치상(10)을 구성하는 수지의 중자(70)에 대한 형빼기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 방법의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암형(50)을 생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2)에 상기 어뷰트먼트(3) 또는 상기 어뷰트먼트(3)의 레플리카(3R)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암형(50)을 생성한다.
이 경우, 적합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어뷰트먼트(3) 또는 상기 레플리카(3R)에는 상기 픽스쳐(2)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끼워맞춤구멍(14)에 있어서 상기 틀니(1)가 끼워지는 탑(3t)의 외경 이상의 크기의 외경이며, 또한 상기 픽스쳐(2)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외주면(39)이 상기 픽스쳐(2)에 접근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중자(70)에는 상기 수형(51)에 있어서의 상기 원통형상의 외주면에 상당하는 부위(519)에 접한 상태에서 끼워맞춰져 상기 중자(70)가 상기 수형(51)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기 위한 C자형상 또는 원환형상의 위치 결정부(79)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79)가 상기 원통형상의 외주면(39)에 상당하는 부위(519)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중자(70)가 상기 수형(51)에 장착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위치 결정부(79)가 수형(51)에 있어서의 원통형상의 외주면(39)에 상당하는 부위(519)에 끼워맞춰져, 중자(70)가 수형(51)에 위치 결정된다. 그 때문에, 익숙하지 않은 기공사라도 중자(70)를 수형(51)에 대하여 정밀도 좋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원통형상의 외주면」은 외주면이 완전한 원통면일 필요는 없고, 원통면의 일부가 빠져 있어도 되고, 또한 테이퍼형상의 원통면이어도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 C자형상 또는 원환형상의 위치 결정부(79)는 위치 결정부(79)가 완전한 원환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 이외에, 위치 결정부(79)가 불완전한 C자형상의 원환이어도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중자(70)는 원통형상의 원통부(72A)와, 상기 각 슬릿(13s)에 상당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72A)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원통부(72A)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부(71A)를 구비하고, 상기 날개부(71A)에 의해, 상기 의치상(10)을 얻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슬릿(13s)의 일부 또는 전부가 형성된다.
상기 날개부(71A)는 슬릿(13s)을 형성하므로, 슬릿(13s)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또한, 슬릿(13s)이 부분적으로 날개부(71A)로 형성되고, 슬릿(13s)의 잔부는 수지를 가공으로 삭제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 방법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수형(51)을 생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71A)의 돌출단이 끼워지고, 또한 상기 중자(70)의 장착시에 상기 날개부(71A)가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세로홈(51g)이 상기 수형(51)에 있어서의 상기 어뷰트먼트(3)의 상당 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세로홈(51g)을 따라 상기 중자(70)의 날개부(71A)를 상하 방향(Z)에 장착한다.
이 경우, 날개부(71A)가 어뷰트먼트(3)의 피걸어맞춤홈(3e)에 들어간다. 그 때문에, 슬릿(13s)의 일부 또는 전부가 성형시에 형성되므로, 슬릿(13s)의 형성이 용이하다.
본 발명 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모형(52)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의치상(10)에 있어서 상기 슬릿(13s)이 되는 부위를 제거하는 가공 공정을 더욱 구비한다.
이 경우, 슬릿(13s)을 나중의 가공에 의해 형성하므로, 중자(70)의 형상이 단순해짐과 아울러, 1개의 중자(70)의 형상으로 복수 종류의 어뷰트먼트(3)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수형(51)을 생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2)의 레플리카(60)가 상기 수형(51)에 매설되어 상기 구강의 형상을 가지는 상기 수형(51)을 상기 암형(50)으로부터 생성하고, 상기 중자(70)를 장착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구멍(14)의 형상 및 상기 허용부(15)를 형성하는 홈(15)의 형상을 가지는 중자(70)를 상기 레플리카(60)에 장착한다.
이 경우, 픽스쳐(2)의 레플리카(60)에 중자(70)를 장착하므로, 픽스쳐(2)에 대한 허용부(15)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렵다.
본 발명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적어도 상기 픽스쳐(2)가 상기 구강 조직(4)에 매립된 상태에서 구강의 암형(50)을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암형(50)으로부터 상기 허용부(15)에 대응하는 돌출부(15P)의 형상 및 상기 구강의 형상을 가지는 수형(51)을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수형(51)으로부터 상기 허용부(15)를 형성하는 구멍(15H)의 형상을 가지는 의치상(10)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걸어맞춤 피스(13P)와 상기 의치상(10)이 상기 허용부(15)에 있어서 서로 이간한 상태에서, 상기 걸어맞춤 피스(13P)의 상하 방향(Z)의 단부를 상기 의치상(10)에 결합시켜 상기 허용부(15)를 확보하여 상기 틀니(1)를 얻는 결합 공정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걸어맞춤편부(13)를 복수 구비한 걸어맞춤 피스(13P)를 미리 형성해 두면, 기공사에게 있어서, 복수의 걸어맞춤편부(13) 사이의 슬릿을 형 성형하는 수고를 덜게 되어, 틀니(1)의 제작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실시예 및 도면은 단순한 도시 및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정하기 위해서 이용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진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복수의 도면에 있어서의 동일한 부품 번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낸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에 따라 설명된다.
도 1~도 3은 실시예 1을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의치 시스템은 틀니(1), 픽스쳐(2) 및 기둥형상의 어뷰트먼트(3)로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픽스쳐(2)는 소위 임플란트체이며, 생체 재료(대표적인 재료는 생체와 거부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티탄)에 표면 가공 등을 시행한 인공의 치근부이다. 이 픽스쳐(2)는 턱의 치조골(41) 등의 구강 조직(4) 내에 매립되어 뼈와 생착한다.
상기 어뷰트먼트(3)는 상기 픽스쳐(2)에 연결되어 구강 내에 있어서 노출된다. 즉, 어뷰트먼트(3)는 도시하지 않는 나사로 픽스쳐(2)에 고정되고, 인공의 틀니(1)를 장착하기 위해서 픽스쳐(2)에 연결된다.
도 1A 및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틀니(1)는 어뷰트먼트(3)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상기 틀니(1)는 잇몸(40)에 접하는 나일론제의 의치상(10)과, 상기 의치상(10)과 일체가 되고, 당해 의치상(10)에 지지된 세라믹제 인공치(11)를 구비한다.
상기 구강 내에는 상기 픽스쳐(2) 및 어뷰트먼트(3)가 예를 들면 한 쌍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픽스쳐(2) 및 어뷰트먼트(3)에 본 시스템이 적합되어 있다.
상기 의치상(10)의 상하 방향(Z)의 일방의 단에는 상기 인공치(11)가 고착되어 있다. 상기 의치상(10)의 상하 방향(Z)의 타방의 단면은 잇몸(40)에 느슨하게 접촉하고 있다.
도 3A의 확대 단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의치상(10)은 그 본체부(12)와 걸어맞춤편부(13)가 일체로 이어져 있음과 아울러, 상기 기둥형상의 어뷰트먼트(3)에 착탈이 자유롭게 끼워맞춰지기 위한 끼워맞춤구멍(14)을 정의하고 있다. 상기 걸어맞춤편부(13) 및 상기 의치상(10)은 예를 들면 나일론계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워맞춤구멍(14)은 잇몸(40)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즉, 위의 틀니(1)에 있어서는 끼워맞춤구멍(14)이 상방을 향하여 개구하고, 한편, 아래의 틀니(1)에 있어서는 끼워맞춤구멍(14)이 하방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걸어맞춤편부(13)는 상기 끼워맞춤구멍(14)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도 3B에 명시하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구멍(14)은 본체부(12) 및 걸어맞춤편부(13)에 의해 정의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구멍(14)에 의해 의치상(10)이 어뷰트먼트(3)에 대하여 위치 결정됨과 아울러 고정된다. 상기 걸어맞춤편부(13)는 상기 어뷰트먼트(3)의 측면에 접함과 아울러 걸어맞춰지는 제1면(31)과, 상기 제1면(31)의 반대측의 제2면(32)을 가진다.
틀니(1)가 아랫턱에 장착되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3A의 상기 걸어맞춤편부(13)의 상방의 단부(13a)가 상기 의치상(10)에 이어지고, 상기 걸어맞춤편부(13)의 상기 단부(13a)로부터 상기 걸어맞춤편부(13)가 상하 방향(Z)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틀니(1)가 윗턱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걸어맞춤편부(13)의 하방의 단부가 상기 본체부(12)에 이어지고, 상기 걸어맞춤편부(13)의 상기 단부로부터 상기 걸어맞춤편부(13)가 상하 방향(Z)의 상방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어뷰트먼트(3)의 잘록한 피걸어맞춤홈(피걸어맞춤 요소)(3e)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요소(걸어맞춤 볼록부)(13e)가 걸어맞춤편부(13)의 하단에 걸어맞춤편부(13)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어맞춤 요소(13e)가 피걸어맞춤홈(3e)에 걸어맞춰져 있는 것으로, 틀니(1)가 어뷰트먼트(3)로부터 부주의하게 벗어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도 3B의 상기 의치상(10)에는 상기 제1면(31)으로부터 상기 제2면(32)을 향하는 수평 방향(X)으로 상기 걸어맞춤편부(13)가 가동 또는 변형하는 것을 허용하는 허용부(15)가 상기 제2면(32)과 상기 본체부(12)의 제3면(33)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허용부(15)는 상기 의치상(10)에 형성된 홈(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면(33)은 상기 제2면(32)으로부터 이간하고 있음과 아울러 대면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홈(15)은 슬릿(13s)을 통하여 상기 끼워맞춤구멍(14)에 이어져 있고, 이것에 의해 걸어맞춤편부(13)가 가동하기 쉽게 되어 있다. 틀니(1)의 탈착시에 상기 걸어맞춤편부(13)가 홈(15)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어뷰트먼트(3)에 대하여 틀니(1)를 탈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A의 상기 끼워맞춤구멍(14)의 상하 방향(Z)의 안쪽에 있어서, 상기 의치상(10)에는 쿠션부(16)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쿠션부(16)는 예를 들면 복수의 작은 돌기로 이루어지고, 치아의 치합시에 상기 돌기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천연의 치근막을 대신하는 쿠션을 틀니(1)에 부여할 것이다.
나일론계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의치상(10)은 열화하기 어렵고 오랜 세월의 사용에 의해 백색화하기 어려울 것이다. 또, 이러한 재질의 의치상(10)은 걸어맞춤편부(13)의 탄성을 상실하기 어려울 것이다. 특히, 걸어맞춤편부(13)가 열화하여 영구 변형한 경우나 탄력이 작아진 경우 등에는 걸어맞춤편부(13) 및 끼워맞춤구멍(14)의 둘레의 의치상(10)을 열풍으로 따뜻하게 하면서 걸어맞춤편부(13)를 소생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이해에 도움이 되는 참고예를 나타낸다.
이 예의 경우, 걸어맞춤편부(13)가 한 쌍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편부(13)는 의치상(10)으로부터 수평 방향(X)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예의 경우, 성형시의 형빼기가 어려울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실시예 2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 2의 경우, 반원통형상의 걸어맞춤편부(13)가 한 쌍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편부(13)는 의치상(10)으로부터 상하 방향(Z)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홈(15)에는 실리콘 겔과 같은 매설재(18)가 충전되어(매설되어) 있다. 매설재(18)는 압축 변형하여 걸어맞춤편부(13)의 가동을 허용한다.
도 6A 및 도 6B는 실시예 3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 3의 경우, 걸어맞춤편부(13)가 4개로 분할된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 4개로 분할된 4개의 걸어맞춤편부(13)는 전체가 대략 원통형상으로 의치상(10)으로부터 상하 방향(Z)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걸어맞춤 요소(13e)는 제1면(31)과 일체의 작은 반구형상의 돌기(도 20B 참조)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예 2 및 3에 있어서, 상기 각 끼워맞춤구멍(14)의 좌측 및 우측에 상기 걸어맞춤편부(13) 및 허용부(15)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각 어뷰트먼트(3)에 대한 상기 각 끼워맞춤구멍(14)의 위치가 수평 방향(X) 중의 좌우 방향(X1)으로 미동할 수 있다.
상기 끼워맞춤구멍(14)의 전방 및 후방에 상기 걸어맞춤편부(13) 및 허용부(15)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어뷰트먼트(3)에 대한 상기 끼워맞춤구멍(14)의 위치가 전후 방향(Y)으로 미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우 방향(X1) 또는 전후 방향(Y)으로 미동할 수 있는 경우, 그들 방향에 대해서 어뷰트먼트(3)의 위치와 끼워맞춤구멍(14)의 위치의 어긋남이 흡수될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의치상(10)의 작성 방법의 일례가 도 7A~도 12B에 따라 설명된다. 또한, 도면 제작 형편상, 도 7A~도 16B의 실시예, 도 18 및 도 19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걸어맞춤편부(13)의 돌출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우선, 도 7A의 공정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치과의사는 상기 픽스쳐(2)가 매립된 상태의 구강의 암형(50)을 주지의 방법에 따라서 작성한다.
즉, 치과의사는 픽스쳐(2)의 암나사에 가이드 핀(22)을 비틀어넣어 장착한 후, 자경성 레진으로 이루어지는 인상재(23)를 구강 내에 배치하고, 인상재(23)의 표면을 구강의 표면에 압접한다. 인상재(23)는 상기 의치상(10)을 형성하는 나일론계의 수지보다 유연하다. 계속해서, 오픈 트레이(21)의 창(20)으로부터 가이드 핀(22)이 돌출하도록, 오픈 트레이(21)를 세트한다. 그 후, 가이드 핀(22)의 선단을 회전시켜 픽스쳐(2)의 암나사로부터 빼낸 후에 오픈 트레이(21) 및 인상재(23)를 구강으로부터 철거한다. 이렇게 하여 암형(50)이 생성된다.
다음에 도 7B의 공정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인상재(23)가 고화한 후에, 상기 가이드 핀(22)의 선단에 픽스쳐(2)의 레플리카(60)를 비틀어넣어 고정한다. 이 후의 공정은 치과의사가 아니라 치과 기공사가 행한다.
도 8A의 공정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공사는 상기 인상재(23)의 수형(51)을 취하기 위해서, 석고(51a)를 인상재(23)의 표면에 흘려넣는다. 이렇게 하여, 상기 암형(50)으로부터 상기 픽스쳐(2)의 레플리카(60)가 매설되어 상기 구강의 형상을 가지는 도 8B의 수형(51)이 생성된다.
그 후, 도 8B의 공정 4~도 9B의 공정 6의 순서에 따라, 도 9B와 같이, 상기 끼워맞춤구멍(14)의 형상, 슬릿(13s)의 형상 및 상기 허용부(15)를 형성하는 홈(15)의 형상을 가지는 제1 중자(70)를 도 8B의 레플리카(60)에 장착하고, 도 9B의 상기 의치상(10)의 모형(52)을 생성한다.
도 8B의 상기 수형(51)으로부터 상기 모형(52)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 8C의 공정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레플리카(60)의 암나사(60s)에 상기 끼워맞춤구멍(14) 및 슬릿(13s)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중자(70)의 일부를 형성하는 금속제의 제1부(71)를 비틀어넣어 장착한다. 상기 제1부(71)의 장착 후에, 도 9A와 같이, 상기 홈(15)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중자(70)의 타부를 형성하는 제2부(72)를 상기 제1부(71)의 둘레에 장착한다.
여기서,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부(72)의 단면과 상기 수형(51)의 표면 사이에는 성형품에 있어서 언더컷이 되는 간극(S)이 생기는데, 간극(S)을 충전제(53)로 메워 상기 모형(52)의 제1 중자(70)의 형상을 보정한다. 또한, 상기 충전제(53)로서는 왁스 이외에 실리콘 수지나 에폭시 수지 등의 레진이나, 석고, 점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부(72)에는 제1부(71)의 날개부(71A)가 끼워져들어가는 홈(72e)과 같이 회전 방지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홈(72e)은 제2부(72)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충전제(53)로 형성된 부위가 수형(51)에 대하여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한다.
그 후, 상기 모형(52)을 자경성 수지로 감싸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모형(52)으로부터 자경성의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홈(15)에 상당하는 홈(15A)을 가지는 수지형(54)을 작성한다. 또한, 이 수지형(54)은 상기 끼워맞춤구멍(14) 및 슬릿(13s)에 상당하는 구멍(14A, 17A)을 가진다.
그 후, 도 10의 공정 7과 같이, 상기 수지형(54)의 홈(15A)에 제2 중자(80)를 장착하고, 도 11의 공정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중자(80)의 일부(81)가 상기 수지형(54)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의 원형(55)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2 중자(80)는 상기 홈(15) 및 슬릿(13s)에 상당하는 형상을 가진다.
그 후, 도 11의 상기 원형(55)의 오목부 내에 석고를 흘려넣은 후에 경화시켜, 도 12A의 공정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중자(80)의 상기 일부(81)가 상기 석고에 일체로 매설된 석고형(56)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석고형(56)에는 상기 도 10의 구멍(14A)에 상당하는 대략 원기둥부(56s)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 후, 도 12A의 석고형(56)으로부터 나일론제의 의치상(10)이 성형된다. 이렇게 하여, 도 9B의 상기 의치상(10)의 모형(52)으로부터 도 12B의 상기 나일론제의 의치상(10)이 얻어진다. 따라서, 치과의사나 환자의 부담이 경감된다.
이렇게 하여 생성된 틀니(1)는 이하의 순서로 장착감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어뷰트먼트(3)에 대한 상기 걸어맞춤편부(13)의 끼워맞춤 상태가 보정 내지 보수될 수 있다.
우선, 상기 틀니(1)가 환자에게 장착되어 1~3주일정도의 단기간이나 수년의 장기에 걸쳐 사용된다. 그 후, 치과의사는 환자로부터 착용감을 묻고, 상기 틀니(1)가 환자로부터 분리되어, 이 분리 후에 치과의사는 상기 걸어맞춤편부(13)를 승온시킨다. 상기 착용감을 참고로 하면서, 상기 승온한 상태의 상기 걸어맞춤편부(13)를 변형시킨다. 상기 변형된 상기 걸어맞춤편부(13)가 냉각되고, 상기 냉각 후에 상기 틀니(1)가 상기 환자에게 다시 장착된다.
이러한 보정 또는 보수 작업이 반복됨으로써 장착감이 향상된다.
상기 보정 작업에 의한 장착감의 향상은 도 1의 상기 걸어맞춤편부(13)가 단일인 경우나, 또는 후술하는 도 17B의 완전히 루프에 이어진 경우에도 얻어진다.
그러나, 도 6A와 같이, 상기 걸어맞춤편부(13)의 상방 또는 하방의 단부가 상기 본체부(12)에 이어지고, 상기 걸어맞춤편부(13)의 상기 단부(13a)로부터 상기 걸어맞춤편부(13)가 상하 방향(Z)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걸어맞춤편부(13)가 상기 어뷰트먼트(3)의 주위에 상기 어뷰트먼트(3)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로 분리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걸어맞춤편부(13)를 변형시키기 쉬우므로, 보정 작업이 용이하며, 또한 보정할 수 있는 범위가 클 것이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도 9A 및 도 9B의 공정 6에 대신하여, 도 13A 및 도 13B의 공정 6A를 채용해도 된다. 즉, 도 13A의 수형(51)의 석고 부분(51a)에 원통형의 홈(15B)을 형성하고, 이 홈(15B)에 원통체로 이루어지는 제2부(72)를 삽입해도 된다.
또, 도 9A의 공정 6~도 12B의 공정 10에 대신하여, 도 14A~도 14C의 공정 11~13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14A의 수형(51)에 제1 중자의 제1부(71)를 장착한 상태로부터, 도 14B의 나일론 수지로 이루어지는 반제품(10A)을 생성하고, 이 반제품(10A)에 홈(15)을 새긴다.
또, 홈(15)이나 걸어맞춤편부(13)가 한 쌍인 경우에는, 상기 도 9A 및 도 9B의 형상에 대신하여, 도 15A 및 도 15B에 나타내는 형상의 중자나 형을 채용할 수 있다. 그 경우, 도 12A 및 도 12B의 석고형(56)이나 의치상(10)의 형상에 대신하여, 도 16A 및 도 16B에 나타내는 형상의 석고형(56)이나 의치상(10)이 얻어진다.
도 17A~도 19B는 작성 방법이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중간품의 상태에서는 걸어맞춤편부(13)가 무단형상으로 이어진 원통형상이며, 원형의 끼워맞춤구멍(14)과 원통형상의 홈(15)을 연결하는 슬릿(13s)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 실시예의 경우, 도 10의 제2 중자(80)에 대신하여, 도 18의 제2 중자(80)를 사용한다. 제2 중자(80)는 매설부(일부)(81)와, 나중에 석고형(56)(도 19A)에 매설되어 구멍(14A)에 끼워맞춰지는 원기둥부(82)와, 상기 홈(15A)에 끼워맞춰지는 원통부(83)와, 덮개판(8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도 12A 및 도 12B의 공정 9 및 도 10에 있어서의 상기 석고형(56) 및 의치상(10)에 대신하여, 도 19A 및 도 19B에 나타내는 석고형(56) 및 의치상(10)이 얻어진다. 그 후, 도 19C와 같이, 슬릿(13s)이 되는 부위를 상기 의치상(10)에 가공하여, 슬릿(13s)을 가지는 의치상(10)을 얻는다.
도 20A 및 도 20B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뷰트먼트(3)의 천면은 원추형이어도 된다. 한편, 끼워맞춤구멍(14)의 천정면 내지 바닥면은 상기 어뷰트먼트(3)의 천면에 합치하는 형상이어도 된다.
도 21A~도 27C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7A~도 2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의치상(10)과는 별도로 걸어맞춤 피스(13P)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의치상(10) 및 걸어맞춤 피스(13P)는 나일론계의 서로 동종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서로 상이한 종류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의치상(10)과 걸어맞춤 피스(13P) 사이에는 2액성의 즉시 중합 레진의 결합층(19)이 삽입되어, 의치상(10)과 걸어맞춤 피스(13P)가 연결되어 서로 일체로 이어져 형성되어 있다.
도 27A 및 도 27B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피스(13P)는 복수(예를 들면 4개)의 슬릿(13s) 및 걸어맞춤편부(13)를 가지는 대략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 즉 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걸어맞춤편부(13)를 서로 연결하는 덮개부(13c)를 가진다. 또한, 각 걸어맞춤편부(13)는 각각 걸어맞춤 요소(13e)를 가진다.
상기 덮개부(13c)는 어뷰트먼트(3)의 정부(탑)(3t)를 덮는다. 도 27A에 있어서, 이 덮개부(13c)와 이것에 대면하는 의치상(10)의 부위에는 앵커용의 홈(13g, 10g)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부(13c) 및 의치상(10)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앵커용의 홈(13g, 10g)에는 상기 결합층(19)을 형성하는 상기 즉시 중합 레진이 충전되어 있다.
또한, 의치상(10)의 앵커용의 홈(13g)은 수용 오목부(10c)의 내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의치상(10)에는 상기 레진을 흘려넣기 위한 탕구가 되는 깊은 구멍(10h)이 형성되어 있고, 이 깊은 구멍(10h)에도 상기 레진이 충전되어 있다. 또한, 깊은 구멍(10h)은 의치상(10)의 외표면과 상기 수용 오목부(10c)의 안측을 연통시킨다.
상기 의치상(10)에는 상기 걸어맞춤 피스(13P)가 수용되는 원기둥형상의 수용 오목부(10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 오목부(10c)는 의치상(10)의 제3면(33)에 의해 정의되어 있다. 상기 제3면(33)은 상기 제2면(32)에 대면한다.
또한, 슬릿(13s)은 제1면(31)으로부터 제2면(32)까지, 걸어맞춤 피스(13P)를 직경 방향(방사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틀니(1)의 작성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21A, 도 21B 및 도 22A의 공정 1, 공정 2 및 공정 3에 의해 도 22A의 암형(50)이 생성된다. 이들 공정 1~3은 상기 서술한 도 7A, 도 7B 및 도 8A의 공정 1~3과 마찬가지이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 후, 도 22B~도 26A의 공정 34~40의 순서에 따라, 도 27A의 허용부(15)를 형성하는 상기 수용 오목부(10c)를 가지는 의치상(10)을 형성한다. 이하, 상기 의치상(10)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의치상(1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공정 3 뒤에, 도 22B에 나타내는 공정 34에 있어서, 수형(51)에 매설된 제1 레플리카(60)에 어뷰트먼트(3)의 제2 레플리카(61)를 도 23A와 같이 장착한다. 이 장착시에 걸어맞춤 피스(13P)의 각 걸어맞춤편부(13)는 탄성 변형하여 어뷰트먼트(3)의 피걸어맞춤홈(3e)에 걸어맞춰진다. 그 후, 도 23B의 공정 35에 있어서, 상기 제2 레플리카(61)에 걸어맞춤 피스(13P)를 끼워맞춘다. 이 상태에 있어서 걸어맞춤 피스(13P)와 수형(51)의 사이에는 언더컷이 되는 간극(S)이 존재한다.
상기 끼워맞춤 후, 도 24A의 공정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 피스(13P)의 주위에 걸어맞춤편부(13)의 허용부(15)(도 27A)를 형성하기 위해서 중자(90)를 배치한다. 이 예의 경우, 중자(90)는 걸어맞춤 피스(13P)의 덮개부(13c) 및 외측 주위를 덮음과 아울러 상기 간극(S)을 메우는 왁스로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도 22A의 암형(50)으로부터 허용부(15)에 대응하는 돌출부(15P)의 형상 및 구강의 형상을 가지는 수형(51)이 생성된다.
또한, 상기 중자(90)는 걸어맞춤 피스(13P)의 외측 주위 및 덮개부(13c)를 덮는 컵형의 금속 내지 수지 중자와 걸어맞춤 피스(13P)의 하방의 간극(S)을 메우는 충전제(왁스)(53)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중자(90)를 형성하는 왁스는 상기 걸어맞춤 피스(13P)와 수형(51)의 표면에 생기는 간극(언더컷)(S)을 메우는 충전제(53)를 겸하고 있다. 또, 상기 중자(90)를 형성하는 왁스는 상기 걸어맞춤 피스(13P)의 덮개부(13c)에 형성된 앵커용의 홈(13g)을 메운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중자(90)(돌출부(15P))의 외표면은 대략 원기둥형상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중자(90)의 형성 후, 도 24A의 수형(51)으로부터 도 24B의 공정 37에 나타내는 석고형(56A)을 얻는다. 이 석고형(56A)과 도시하지 않는 주지의 암형을 사용하여, 인공치(11)를 가지는 의치상(10)을 얻는다. 즉, 상기 수형(51)으로부터 허용부(15)를 형성하는 구멍(15H)의 형상을 가지는 의치상(10)을 얻는다.
계속해서, 도 24B의 의치상(10)을 석고형(56A)으로부터 분리하고, 도 25A의 공정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의치상(10)에 앵커용의 홈(10g)과 깊은 구멍(10h)을 형성한다.
한편, 도 24A의 공정 36에서 얻은 수형(51)의 덮개부에 상당하는 왁스의 부위를 도 25B의 공정 39에 나타내도록 제거하고, 이것에 의해 걸어맞춤 피스(13P)의 덮개부(13c)가 노출된다. 이 후, 도 26A의 공정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부의 왁스를 제거하여 노출된 걸어맞춤 피스(13P)에 상기 24B에서 얻은 의치상(10)을 장착한다.
도 26A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피스(13P)와 의치상(10) 사이에는 상기 결합층(19)에 상당하는 공극(19s)이 형성되어 있다. 이 후, 도 26B의 공정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깊은 구멍(10h)으로부터 상기 공극(19s) 및 앵커용의 홈(10g, 13g)에 주지의 2액성의 즉시 중합 레진을 흘려넣는다.
상기 중합 레진이 경화하면, 걸어맞춤 피스(13P)와 의치상(10)이 허용부(15)에 있어서 서로 이간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층(19)을 통하여 상기 의치상(10)과 걸어맞춤 피스(13P)가 서로 일체가 된다. 즉, 상기 중자(70)의 잔부에 의해 걸어맞춤편부(13)의 가동역이 확보되면서, 상기 결합층(19)을 통하여 의치상(10)과 걸어맞춤 피스(13P)가 서로 일체가 된다. 상기 중합 레진이 경화한 후에, 걸어맞춤 피스(13P)와 일체의 의치상(10)을 수형(51)으로부터 분리하여, 도 27A의 틀니(1)가 얻어진다.
이렇게 하여 기공사가 작성한 틀니(1)는 도 27C와 같이, 걸어맞춤 피스(13P)의 끼워맞춤구멍(14)이 어뷰트먼트(3)에 끼워지고, 또한 의치상(10)이 잇몸(40)에 접하도록 하여, 환자의 구강 내에 장착된다.
이 장착시에 걸어맞춤 피스(13P)의 각 걸어맞춤편부(13)는 탄성 변형하여 어뷰트먼트(3)의 피걸어맞춤홈(3e)에 걸어맞춰진다.
도 28A~도 29B는 틀니(1)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28A 및 도 28B의 예에 있어서는, 상기 걸어맞춤편부(13) 및 상기 의치상(10)이 나일론계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고, 또한 걸어맞춤 피스(13P)의 덮개부(13c)와 의치상(10)이 수용 오목부(10c)에 있어서 서로 용착되어 있다. 이들 예의 경우, 상기 결합 공정은 상기 걸어맞춤 피스(13P)와 상기 의치상(10)이 서로 용착됨으로써 실행된다.
이러한 용착은 고주파에 의한 유도 가열로 행해져도 된다. 또, 상기 용착에 더해, 도 28B와 같이, 걸어맞춤 피스(13P)와 의치상(10)이 서로 걸어맞춰져 있어도 된다.
도 29A 또는 도 29B의 예에 있어서는, 상기 걸어맞춤편부(13)가 상기 의치상(10)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걸어맞춰져 유지되어 있다. 이들 예의 경우, 상기 결합 공정은 상기 걸어맞춤 피스(13P)와 상기 의치상(10)이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걸어맞춰짐으로써 실행된다.
도 29A 및 도 29B의 예에 있어서는, 걸어맞춤 피스(13P)의 덮개부(13c)와 의치상(10) 사이에 실리콘 겔과 같은 쿠션(16K)을 삽입해도 된다.
또한, 도 29B에 있어서, 걸어맞춤 피스(13P)와 의치상(10)은 C자형상의 걸어맞춤링(19R)을 통하여 서로 걸어맞춰져 있다.
도 30은 구강에 대한 어뷰트먼트(3)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형(模型)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안에 배치된 한 쌍의 어뷰트먼트(301, 302)는 그 축선(301s, 302s)이 서로 평행하다. 또, 전방에 배치된 한 쌍의 어뷰트먼트(303, 304)는 그 축선(303s, 304s)이 서로 평행하다. 그러나, 어뷰트먼트(301, 302)의 축선(301s, 302s)과 어뷰트먼트(303, 304)의 축선(303s, 304s)은 평행이 아니고 서로 비틀린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의치 시스템의 걸어맞춤편부(13)는 탄성 변형하여, 4개의 상기 어뷰트먼트(301~304)에 끼워맞춰지는 틀니(1)의 실현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경우에 복수의 걸어맞춤편부(13)를 가지는 틀니(1)나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구조를 가지는 틀니(1)는 유용성이 높다.
이하의 예에서는 창을 가지는 오픈 트레이(21)가 아니라, 클로즈드 트레이(21A)를 사용한다.
도 31A~도 33D는 동일 작성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우선, 도 31A의 공정 5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치과의사는 상기 픽스쳐(2)가 매립된 상태에서, 또한 어뷰트먼트(3)가 픽스쳐(2)에 연결된 상태의 구강의 암형(50)을 트레이(21A) 및 유연한 인상재(23)(자경성 레진)를 사용하여 주지의 방법에 따라 작성한다. 상기 인상재(23)가 굳어지면 트레이(21A) 및 인상재(23)를 구강으로부터 철거함으로써 암형(50)이 얻어진다.
얻어진 암형(50)에 석고를 흘려넣고, 동일 석고가 경화함으로써, 도 31B의 공정 52에 나타내는 어뷰트먼트(3)의 형상 및 구강의 형상을 가지는 수형(51)이 생성된다.
또한, 상기 인상재(23)는 유연하므로, 어뷰트먼트(3)에 피걸어맞춤홈(3e)이 있어도 암형(50) 및 수형(51)의 형빼기가 가능하다.
다음에 도 32B와 같이, 상기 수형(51)에 있어서의 어뷰트먼트에 상당하는 부위(51b)의 둘레에 통형의 중자(70)를 장착한다. 중자(70)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테플론 또는 세라믹으로 형성되는데, 성형시의 내열성과 의치상(10)으로부터의 이형이 용이한 재료가 바람직하다.
도 32A 및 도 3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자(70)는 원통형의 원통부(72A)와, 상기 각 슬릿(13s)에 상당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72A)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원통부(72A)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부(71A)를 구비한다. 상기 날개부(71A)는 후술하는 의치상(10)을 얻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슬릿(13s)의 일부를 형성한다.
날개부(71A)의 내주측의 단은 상기 부위(51b)에 근접 내지 접촉한다.
중자(70)에 있어서의 수형(51)에 대치하는 상하 방향의 일방(도면에서는 하방)의 단면(70e)은 잇몸의 능선에 상당하는 부위(51c)에 맞닿고, 그 때문에 상기 중자(70)의 단면(70e)과 상기 수형(51)의 표면 사이에는 언더컷이 되는 간극(S)이 생기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간극(S)을 충전제(53)로 메워 모형(52)을 생성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충전제(53)는 예를 들면 석고와 같이 용이하게 성형 또한 파괴할 수 있고, 게다가 의치상(10)의 성형시의 열에 견딜 수 있는 세라믹질의 소재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모형(52)으로부터 주지의 방법으로 도 32C의 공정 54에 나타내는 인공치(11)를 구비한 의치상(10)의 중간품을 성형한다. 의치상(10)을 구성하는 나일론이 경화한 후, 수형(51) 및 충전제(53)를 깨뜨리고, 또한 중자(70)를 의치상(10)의 중간품으로부터 빼낸다.
이렇게 하여, 도 33A 및 도 33B에 나타내는 의치상(10)의 중간품을 얻는다. 이 중간품은 슬릿(13s)의 일부가 되는 홈(130)이 형성되어 있다.
그 후, 상기 홈(130)의 부위에 있어서, 끼워맞춤구멍(14)과 허용부(15)를 연통시키도록 도 33C의 슬릿(13s)을 형성한다. 이 슬릿(13s)은 걸어맞춤편부(13, 13)끼리가 서로 독립하여 변형하기 쉬워지는데 도움이 된다.
이렇게 하여, 도 31A의 암형(50)으로부터 도 33C의 상기 나일론제의 의치상(10)이 얻어진다. 따라서, 치과의사나 환자의 부담이 경감된다.
도 34A~도 36C는 실시예 11의 구조 및 작성 방법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어뷰트먼트(3)에 복수개의 세로홈(3g)을 가진다.
도 34A 및 도 3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뷰트먼트(3) 또는 어뷰트먼트(3)에 근사한 형상을 가지는 어뷰트먼트(3)의 레플리카(3R)는 픽스쳐(2)의 암나사(2s)에 비틀어넣어지는 수나사부(3s)와, 상기 픽스쳐(2)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끼워맞춤구멍(14)에 있어서 상기 틀니(1)가 끼워지는 탑(top)(3t)을 구비한다. 또한, 탑(3t)은 아랫턱의 경우에는 어뷰트먼트(3)의 상단 부분이지만, 윗턱의 경우에는 어뷰트먼트(3)의 하단 부분이다.
도 36C에 있어서, 상기 어뷰트먼트(3)에는 의치상(10) 및 걸어맞춤편부(13)가 끼워맞춰지는 원통형상 또는 구형상의 외표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어뷰트먼트(3)의 측면에는 피걸어맞춤홈(3e)과 2개, 3개 또는 4개의 세로홈(3g)이 형성되어 있다.
도 36C에 있어서, 상기 피걸어맞춤홈(3e)은 상기 탑(3t)과 상기 수나사부(3s) 사이에 있어서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걸어맞춤홈(3e)은 상기 걸어맞춤편부(13)가 걸어맞춰지는 잘록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세로홈(3g)은 상기 어뷰트먼트(3)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탑(3t)으로부터 상기 수나사부(3s)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피걸어맞춤홈(3e)의 깊이와 대략 동일하거나, 그보다 큰 깊이를 가진다. 각 세로홈(3g)끼리는 상기 원주의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고 상기 슬릿(13s)의 수와 동일 수 설치되어 있다.
도 34B에 있어서, 상기 어뷰트먼트(3) 또는 상기 레플리카(3R)에는 원통형상의 외주면(39)이 상기 픽스쳐(2)에 접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형상의 외주면(39)은 상기 픽스쳐(2)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끼워맞춤구멍(14)에 있어서 상기 틀니(1)가 끼워지는 탑(3t)의 외경보다 큰 외경이며, 또한 상기 픽스쳐(2)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다.
도 35A 및 도 35B의 원통형상의 중자(70)의 하단 부분에는 C자형상 또는 원환형상의 위치 결정부(79)가 원통부(71A)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부(79)는 상기 수형(51)에 있어서의 상기 원통형상의 외주면(39)(도 34B)에 상당하는 부위(519)에 접한 상태에서 끼워맞춰져 상기 중자(70)가 상기 수형(51)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의 도 31A~도 32C의 상기 공정 51~54와 마찬가지로, 도 34A~도 35C의 공정 61~64가 실행됨으로써, 도 35C의 의치상(10)이 성형된다.
본 실시예의 도 34C 및 도 34D의 상기 수형(51)을 생성하는 공정 62에 있어서, 도 35A의 상기 날개부(71A)의 돌출단이 끼워지고, 또한 상기 중자(70)의 장착시에 상기 날개부(71A)가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세로홈(51g)이 상기 수형(51)에 있어서의 어뷰트먼트의 상당 부위에 형성되고, 도 35A 및 도 35B에 나타내는 장착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세로홈(51g)을 따라 상기 중자(70)의 날개부(71A)가 상하 방향(Z)으로 장착된다. 이 때, 위치 결정부(79)는 상기 원통형상의 외주면(39)(도 34B)에 상당하는 부위(519)에 끼워진 상태에서, 중자(70)가 수형(51)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중자(70)의 날개부(71A)가 세로홈(51g)에 끼워져 들어가 있고, 또한 위치 결정부(79)가 부위(519)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중자(70)와 수형(51)의 위치가 어긋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충전제(53)로 형성된 부위가 수형(51)에 대하여 위치가 어긋나기 어렵다.
또한, 본 실시예의 중자(70)의 날개부(71A)는 상하 방향(Z)으로 연장되고, 또한 어뷰트먼트(3)의 피걸어맞춤홈(3e)의 최심부까지 들어가 슬릿(13s)(도 36A)의 전부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35C에 있어서 나일론 수지가 굳어진 후, 수형(51) 및 충전제(53)를 깨뜨리고, 또한 중자(70)를 의치상(10)으로부터 빼냄으로써, 도 36A 및 도 36B에 나타내는 틀니(1)가 생성된다. 따라서, 성형 후에 슬릿(13s)을 가공으로 작성할 필요가 없다.
도 3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경우, 슬릿(13s)은 3개 설치되어 있다. 각 슬릿(13s)은 각 걸어맞춤편부(13)를 둘레 방향으로 서로 분단하도록 어뷰트먼트(3)의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걸어맞춤편부(13)는 어뷰트먼트(3)에 대하여, 180°보다 작은 중심각(θ)의 범위에 있어서, 도 36C의 어뷰트먼트(3)의 측면을 따라, 도 36A와 같이 어뷰트먼트(3)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걸어맞춤편부(13)는 일반적으로 2~4개가 바람직하므로, 상기 중심각(θ)은 6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걸어맞춤편부(13)는 틀니(1)의 탈착시에 도 36B의 단부(13a)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변형하여 확개하는 것인데, 상기 중심각(θ)이 180°보다 크면 굽힘 강성이 커져 변형하기 어려워질 것이다.
한편, 중심각(θ)이 60°보다 작으면 걸어맞춤편부(13)에 의한 어뷰트먼트(3)의 유지력이 불충분해지기 쉽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36C의 어뷰트먼트(3)에 세로홈(3g) 및/또는 위치 결정부(79)를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고, 도 34B의 어뷰트먼트(3)의 레플리카(3R)에 세로홈(3g) 및/또는 위치 결정부(79)를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면, 어뷰트먼트(3)에는 세로홈(3g) 및 위치 결정부(79)를 설치하지 않고, 치과의사는 어뷰트먼트(3) 대신에 상기 세로홈(3g) 및/또는 위치 결정부(79)를 가지는 레플리카(3R)를 픽스쳐(2)에 비틀어넣어 장착하고, 이 레플리카(3R)를 장착한 상태에서 도 34B의 암형(50)을 작성한다.
이와 같이 세로홈(3g)을 가지는 레플리카(3R)를 사용하여 인공치(11)를 작성하는 경우, 도 38C와 같이, 어뷰트먼트(3)에는 세로홈(3g)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탑(3t)에 공구가 걸어맞춰지는 구멍을 가지는 기존의 어뷰트먼트(3)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세로홈(3g)을 가지는 어뷰트먼트(3)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어뷰트먼트(3)의 세로홈(3g)은 어뷰트먼트(3)를 픽스쳐(2)에 비틀어넣을 때에 공구를 걸어맞추는 홈이 된다. 따라서, 기존의 어뷰트먼트(3)의 상기 걸어맞추는 구멍이 불필요하며, 탑(3t)에 있어서 어뷰트먼트(3)가 의치상(10)에 접하는 표면적이 크다.
도 37A~도 38C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37A의 중자(70)가 직경 방향으로 복수개로 분할되어 있다. 분할된 각 분할 중자(70D)는 도 37B의 수형(51)에 있어서의 어뷰트먼트에 상당하는 부위(51b)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부터 접근하여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장착 후에 양 분할 중자(70D, 70D)는 접착재나 점착제로 서로 일체가 되어도 된다.
도 39A~도 40D는 범용성이 높은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서술한 도 1A~도 38C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중자(70)의 높이는 어뷰트먼트(3)보다 낮게 해도 되고, 반대로 높게 해도 되지만, 도 39A의 실시예에서는 중자(70)가 되는 원형관의 높이를 미리 높게 설정한다.
도 39A에 있어서, 중자(70)는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가상의 라인을 따라 절단되어 상방이 미리 제거된다. 또, 본 실시예의 중자(70)는 날개부(71A)를 가지고 있지 않고, 따라서 도 40A 및 도 40B의 원통형상의 부위(130)에 성형 후에 가공을 시행함으로써, 도 40C 및 도 40D의 슬릿(13s)을 형성한다.
도 41A~도 41D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어뷰트먼트(3) 또는 그 레플리카(3R)의 측면에 복수의 돌조(3p)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조(3p)는 상기 탑(3t)으로부터 상기 수나사부(3s)(도 34B)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피걸어맞춤홈(3e)의 깊이보다 큰 높이를 가지고, 상기 원주의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여 상기 슬릿(13s)(도 40C)의 수와 동일한 수만큼 설치된다.
이 예의 경우, 도 41B와 같이 암형(50)을 취한 후에, 도 41C 및 도 41D의 수형(51)이 생성된다. 이 수형(51)에는 상기 돌조(3p)에 대응하는 돌조(51p)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 수형(51)에 원통형의 중자(70)를 장착하고, 그 후, 도 35B~도 36B의 스텝63~65의 공정을 거쳐, 틀니(1)가 생성된다.
이 예의 경우, 중자(70)에는 날개부(71A)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42A 및 도 42B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이 예에 있어서는 중자(70)의 하단부에 위치 결정부(7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 결정부(79)는 수형(51)의 어뷰트먼트에 상당하는 부위(51b)의 외주에 맞닿거나 또는 접근하고, 중자(70)를 직경 방향으로 위치 결정한다. 또, 위치 결정부(79)는 충전제(53)의 충전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도 43~도 46C는 걸어맞춤편부(13)가 1개인 경우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도 43에 있어서, 중자(70)는 위치 결정부(79)와, 이것에 이어지는 만곡된 원판형상의 제1부(71) 및 한 쌍의 날개(73)를 구비한다. 원환형상의 위치 결정부(79)는 도 45A와 같이 중자(70)가 수형(51)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한 쌍의 날개(73)에 대응하는 한 쌍의 세로홈(3g)을 가지는 어뷰트먼트의 레플리카(3R)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틀니를 작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의 도 34A~도 35C의 상기 공정 61~66과 마찬가지로, 도 44A~도 46C의 공정 111~116이 실행됨으로써, 도 46C의 의치상(10)이 성형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4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형(51)에 있어서의 어뷰트먼트의 피걸어맞춤홈(3e)에 상당하는 부위가 석고 등의 세라믹질의 충전제(300)로 메워진다. 이것에 의해, 도 46C의 의치상(10)이 상기 피걸어맞춤홈(3e)에 걸어맞춰지지 않도록 하여, 의치상(10)을 어뷰트먼트(3)에 대하여 탈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7의 참고예에 있어서는, 의치상(10)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바람직하게는 3개 또는 4개)의 걸어맞춤편부(13)가 상기 어뷰트먼트(3)의 내측에 형성된 피걸어맞춤 오목부(3c)에 끼워져 들어가 있다. 이 참고예에 비해, 본 발명의 경우, 걸어맞춤편부(13)가 어뷰트먼트(3)의 외주면에 걸어맞춰지므로, 끼워맞춤 상태가 안정되기 쉬운 이점 등이 얻어진다.
본 발명은 치과치료에 적용할 수 있다.
1…틀니
10…의치상
10c…수용 오목부
10g…앵커용의 홈
10h…깊은 구멍
11…인공치
12…본체부
13…걸어맞춤편부
13a…단부
13c…덮개부
13e…걸어맞춤 요소
13g…앵커용의 홈
13p…걸어맞춤 피스
13s…슬릿
130…원통형상의 부위
14…끼워맞춤 구멍
14A…구멍
15…허용부(홈)
15A…홈
15P…돌출부
16…쿠션부
16K…쿠션
17A…구멍
18…매설재
19…결합층
19R…걸어맞춤링
19s…공극
2…픽스쳐
20…창
21, 21A…트레이
22…가이드 핀
23…인상재
3…어뷰트먼트
3R…레플리카
3e…피걸어맞춤홈
3g…세로홈
3s…수나사부
3t…정부(탑)
3p…돌조
39…원통형상의 외주면
301~304…어뷰트먼트
301s~304s…축선
31…제1면
32…제2면
33…제3면
4…구강 조직
40…잇몸
41…치조골
50…암형
51…수형
51b…어뷰트먼트에 상당하는 부위
51g…세로홈
52…모형
53…충전제
54…수지형
55…원형
56…석고형
56A…석고형
519…상당하는 부위
60…레플리카
61…제1 레플리카
62…제2 레플리카
70…제1 중자
70D…분할 중자
70e…단면
71…제1부
71A…날개부
72…제2부
72A…원통부
73…날개
79…위치 결정부
80…제2 중자
81…일부
90…중자
θ…중심각
S…간극
X…수평 방향
X1…좌우 방향
Y…전후 방향
Z…상하 방향

Claims (16)

  1. 구강 조직(4)에 매립되기 위한 픽스쳐(2)와, 상기 픽스쳐(2)에 연결되어 구강 내에 있어서 노출되는 표면을 가지는 어뷰트먼트(3)와, 상기 어뷰트먼트(3)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틀니(1)를 구비한 의치 시스템으로서,
    상기 틀니(1)는 잇몸(40)에 접하는 나일론계의 열가소성 수지제의 의치상(10)과, 상기 의치상(10)에 지지된 인공치(11)와, 상기 틀니(1)의 탈착시에 상하 방향(Z)의 단부(13a)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변형하여 확개하고 착용 중에 상기 어뷰트먼트(3)에 걸어맞춰지는 적어도 1개의 설편형상의 걸어맞춤편부(13)를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편부(13)는 그 자체로 또는 상기 의치상(10)과 함께, 상기 어뷰트먼트(3)의 상기 표면에 착탈이 자유롭게 끼워맞추기 위한 끼워맞춤구멍(14)을 정의하고 있고,
    상기 걸어맞춤편부(13)는 나일론계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어뷰트먼트(3)에 대하여 180°보다 작은 중심각(θ)의 범위에 있어서 상기 표면을 따라 수평 방향(X)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단부(13a)로부터 상기 상하 방향(Z)으로 연장되고 상기 어뷰트먼트(3)의 표면에 접하는 제1면(31)과, 상기 제1면(31)의 반대측의 제2면(32)을 가지고,
    상기 의치상(10)은 상기 제2면(32)에 대면하고, 또한 상기 제2면(32)으로부터 이간한 제3면(33)을 가지고, 상기 제1면(31)으로부터 상기 제2면(32)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걸어맞춤편부(13)가 변형하여 확개하는 것을 허용하는 홈형상의 허용부(15)가 상기 걸어맞춤편부(13)의 상기 제2면(32)과 상기 의치상(10)의 상기 제3면(33) 사이에서 정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구멍(14) 하나에 대하여 상기 걸어맞춤편부(13)가 1개 또는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걸어맞춤편부(13)와 의치상(10) 사이에, 또는 상기 복수의 걸어맞춤편부(13, 13)끼리 사이에 상기 상하 방향(Z)으로 연장되는 슬릿(13s)이 정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뷰트먼트(3)는 상기 픽스쳐(2)에 비틀어넣어지는 수나사부(3s)와, 상기 픽스쳐(2)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끼워맞춤구멍(14)에 있어서 상기 틀니(1)가 끼워지는 탑(3t)을 구비하고,
    상기 탑(3t)과 상기 수나사부(3s) 사이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편부(13)가 걸어맞춰지는 잘록한 원주형상의 피걸어맞춤홈(3e)과, 상기 탑(3t)으로부터 상기 수나사부(3s)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피걸어맞춤홈(3e)의 깊이와 대략 동일하거나, 그보다 큰 깊이를 가지고, 상기 원주의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여 상기 슬릿(13s)의 수와 동일한 수의 복수의 세로홈(3g)이 상기 어뷰트먼트(3)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뷰트먼트(3)에 근사한 형상을 가지는 레플리카(3R)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레플리카(3R)는 상기 픽스쳐(2)에 비틀어넣어지는 수나사부(3s)와, 상기 픽스쳐(2)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끼워맞춤구멍(14)에 있어서 상기 틀니(1)를 끼우는 것이 가능한 탑(3t)을 구비하고,
    상기 탑(3t)과 상기 수나사부(3s) 사이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편부(13)가 걸어맞춰지는 것이 가능한 잘록한 원주형상의 피걸어맞춤홈(3e)과, 상기 탑(3t)으로부터 상기 수나사부(3s)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피걸어맞춤홈(3e)의 깊이와 대략 동일하거나, 그보다 큰 깊이를 가지고, 상기 원주의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여 상기 슬릿(13s)의 수와 동일한 수의 복수의 세로홈(3g)이 상기 어뷰트먼트의 레플리카(3R)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시스템.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편부(13)의 상기 단부(13a)가 상기 의치상(10)에 일체로 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어맞춤편부(13)가 상기 나일론계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1개의 걸어맞춤 피스(13P)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피스(13P)를 구성하는 수지 및 상기 의치상(10)을 구성하는 상기 수지는 상이한 별도의 수지가 상기 걸어맞춤 피스(13P)와 상기 의치상(10)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걸어맞춤편부(13)와 상기 의치상(10)이 서로 일체가 되도록 잇기 위한 결합층(19)을 더욱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시스템.
  8. 구강 조직(4)에 매립되기 위한 픽스쳐(2)와, 상기 픽스쳐(2)에 연결되어 구강 내에 있어서 노출되는 표면을 가지는 어뷰트먼트(3)와, 상기 어뷰트먼트(3)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틀니(1)를 구비한 의치 시스템의 상기 틀니(1)를 작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틀니(1)는 잇몸(40)에 접하는 나일론계의 열가소성 수지제의 의치상(10)과, 상기 의치상(10)에 지지된 인공치(11)와, 착용 중에 상기 어뷰트먼트(3)에 걸어맞춰지는 적어도 1개의 설편형상의 걸어맞춤편부(13)를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편부(13)는 그 자체로 또는 상기 의치상(10)과 함께, 상기 어뷰트먼트(3)의 상기 표면에 착탈이 자유롭게 끼워맞추기 위한 끼워맞춤구멍(14)을 정의하고 있고,
    상기 걸어맞춤편부(13)는 나일론계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어뷰트먼트(3)의 측면을 따라 수평 방향(X)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상하 방향(Z)으로 연장되고 상기 어뷰트먼트(3)의 표면에 접하는 제1면(31)과, 상기 제1면(31)의 반대측의 제2면(32)을 가지고,
    상기 의치상(10)은 상기 제2면(32)에 대면하고, 또한 상기 제2면(32)으로부터 이간한 제3면(33)을 가지고, 상기 제1면(31)으로부터 상기 제2면(32)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걸어맞춤편부(13)가 변형하는 것을 허용하는 홈형상의 허용부(15)가 상기 걸어맞춤편부(13)의 상기 제2면(32)과 상기 의치상(10)의 상기 제3면(33) 사이에서 정의되어 있고,
    여기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픽스쳐(2)가 상기 구강 조직(4)에 매립된 상태에서 유연한 인상재(23)에 의해 구강의 암형(50)을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암형(50)으로부터 상기 어뷰트먼트(3)의 형상 및 상기 구강의 형상을 가지는 수형(51)을 생성하는 공정과,
    적어도 상기 허용부(15)를 형성하는 홈의 형상을 가지는 중자(70)를 상기 수형(51)에 있어서의 상기 어뷰트먼트(3)에 상당하는 부위의 둘레에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중자(70)의 상단 혹은 하단의 단면과 상기 수형(51)의 표면 사이에 생기는 언더컷이 되는 간극(S)을 충전제(53)로 메워 모형(52)을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모형(52)으로부터 상기 수지제의 의치상(10) 및 걸어맞춤편부(13)를 얻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50)을 생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2)에 상기 어뷰트먼트(3) 또는 상기 어뷰트먼트(3)의 레플리카(3R)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암형(50)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어뷰트먼트(3) 또는 상기 레플리카(3R)에는 상기 픽스쳐(2)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끼워맞춤구멍(14)에 있어서 상기 틀니(1)가 끼워지는 탑(3t)의 외경 이상의 크기의 외경이며, 또한 상기 픽스쳐(2)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외주면(39)이 상기 픽스쳐(2)에 접근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중자(70)에는 상기 수형(51)에 있어서의 상기 원통형상의 외주면에 상당하는 부위(519)에 접한 상태에서 끼워맞춰져 상기 중자(70)가 상기 수형(51)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기 위한 C자형상 또는 원환형상의 위치 결정부(79)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79)가 상기 원통형상의 외주면(39)에 상당하는 부위(519)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중자(70)가 상기 수형(51)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자(70)는 원통형상의 원통부(72A)와, 상기 걸어맞춤편부(13, 13)끼리 사이에 있어서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걸어맞춤편부(13, 13)끼리가 서로 독립하여 변형하는 것을 허용하는 슬릿(13s)에 상당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72A)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원통부(72A)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부(71A)를 구비하고, 상기 날개부(71A)에 의해, 상기 의치상(10)을 얻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슬릿(13s)의 일부 또는 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71A)의 돌출단이 끼워지고, 또한 상기 중자(70)의 장착시에 상기 날개부(71A)가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세로홈(51g)이 상기 수형(51)에 있어서의 상기 어뷰트먼트(3)의 상당 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세로홈(51g)을 따라 상기 중자(70)의 날개부(71A)를 상기 상하 방향(Z)으로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52)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의치상(10)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편부(13)의 원주 방향의 양단에 형성되는 슬릿(13s)이 되는 부위를 제거하는 가공 공정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51)을 생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2)의 레플리카(60)가 상기 수형(51)에 매설되어 상기 구강의 형상을 가지는 상기 수형(51)을 상기 암형(50)으로부터 생성하고,
    상기 중자(70)를 장착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구멍(14)의 형상 및 상기 허용부(15)를 형성하는 홈(15)의 형상을 가지는 중자(70)를 상기 레플리카(60)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6 항에 기재된 상기 틀니(1)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상기 픽스쳐(2)가 상기 구강 조직(4)에 매립된 상태에서 구강의 암형(50)을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암형(50)으로부터 상기 허용부(15)에 대응하는 돌출부(15P)의 형상 및 상기 구강의 형상을 가지는 수형(51)을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수형(51)으로부터 상기 허용부(15)를 형성하는 구멍(15H)의 형상을 가지는 의치상(10)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걸어맞춤 피스(13P)와 상기 의치상(10)이 상기 허용부(15)에 있어서 서로 이간한 상태에서, 상기 걸어맞춤 피스(13P)의 상기 상하 방향(Z)의 단부를 상기 의치상(10)에 결합시켜 상기 허용부(15)를 확보하여 상기 틀니(1)를 얻는 결합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 항에 기재된 의치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걸어맞춤편부(13)의 보수 방법으로서,
    상기 틀니(1)가 환자에게 장착되어 사용되는 공정과,
    상기 틀니(1)가 환자로부터 분리되는 공정과,
    상기 분리 후에 상기 걸어맞춤편부(13)를 승온시키는 공정과,
    상기 승온한 상태의 걸어맞춤편부(13)를 변형시켜 상기 어뷰트먼트(3)에 대한 상기 걸어맞춤편부(13)의 끼워맞춤 상태를 개선하는 공정과,
    상기 변형된 걸어맞춤편부(13)를 냉각하는 공정과,
    상기 냉각 후에 상기 틀니(1)를 상기 환자에게 다시 장착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 방법.
KR1020137002591A 2011-03-28 2012-03-08 의치 시스템, 틀니의 작성 방법 및 보수 방법 KR1012802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69282 2011-03-28
JPJP-P-2011-069282 2011-03-28
JPJP-P-2011-144112 2011-06-29
JP2011144112 2011-06-29
WOPCT/JP2011/070933 2011-09-14
PCT/JP2011/070933 WO2012132057A1 (ja) 2011-03-28 2011-09-14 義歯システム、入れ歯の作成方法および補修方法
PCT/JP2012/055961 WO2012132819A1 (ja) 2011-03-28 2012-03-08 義歯システム、入れ歯の作成方法および補修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025A true KR20130019025A (ko) 2013-02-25
KR101280246B1 KR101280246B1 (ko) 2013-07-17

Family

ID=46929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591A KR101280246B1 (ko) 2011-03-28 2012-03-08 의치 시스템, 틀니의 작성 방법 및 보수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78720B2 (ko)
JP (2) JP5100918B2 (ko)
KR (1) KR101280246B1 (ko)
CN (1) CN103429190A (ko)
WO (2) WO20121320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3576A (ko) * 2019-12-27 2021-07-07 유창민 틀니 임플란트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0918B2 (ja) * 2011-03-28 2012-12-19 株式会社T・U・M 義歯システム、入れ歯の作成方法および補修方法
KR101462042B1 (ko) * 2012-10-10 2014-11-18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
WO2015030166A1 (ja) * 2013-09-02 2015-03-05 株式会社T・U・M 義歯システムに用いる係合ピース、義歯システム用のキット、義歯床および入れ歯の作成方法
FR3012319B1 (fr) * 2013-10-25 2016-09-02 Anthogyr Sa Dispositif de liaison entre un implant dentaire et une prothese dentaire trans-fixee
CN104706434A (zh) * 2013-12-12 2015-06-17 林泰武 顶持式假牙
CN104706435A (zh) * 2013-12-12 2015-06-17 林泰武 弹性扣杆及其组成的活动式假牙
US9801701B2 (en) * 2015-05-01 2017-10-31 Sirona Dental Systems Gmbh Methods, apparatuses, computer programs, and systems for creating a custom dental prosthesis using a CAD/CAM system
ITUB20154672A1 (it) * 2015-10-14 2017-04-14 Francesco Rueca Moncone per impianti, in particolare per operazioni odontoiatriche in chirurgia assistita
WO2017083995A1 (es) * 2015-11-18 2017-05-26 Universidad Mayor Dispositivo prótesis mandibular en pacientes edentados y método asociado
DE102016118668A1 (de) * 2016-09-30 2018-04-05 Bredent Gmbh & Co. Kg Kappe zur Befestigung von Zahnersatz auf einem Verankerungselement
EP3590465A1 (en) 2017-02-28 2020-01-08 GC Corporation Resin base and denture base system
JP7239249B2 (ja) * 2018-09-25 2023-03-14 剛 亀田 印象材、陰型又は陽型、歯の紋様情報収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2618074B (zh) * 2020-12-30 2022-04-26 吴瑛 一种基于预成牙列结构的半成品全口义齿及全口义齿的快速制作方法
CN113262060B (zh) * 2021-05-17 2022-06-03 瑞丰口腔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具有抗菌防止义齿性口炎功能的义齿基托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41188C (de) * 1950-03-07 1952-06-13 Horst Reuter Zahnprothesen-Befestigung
DE2830025B2 (de) * 1978-07-07 1980-08-28 Guido Dr.Med.Dent. 8100 Garmisch-Partenkirchen Riess Anordnung zur stoßgedämpften Anbringung und Lagerung einer dentalen Supras tinktur
US4540367A (en) * 1984-05-02 1985-09-10 Sulc Josef M Dental attachment structure
JPH0354058Y2 (ko) * 1987-02-04 1991-11-27
DE3904340A1 (de) 1989-02-14 1990-08-16 Kirsch Axel Steckverbindung
DE4127436A1 (de) * 1990-08-21 1992-03-05 Gerold Klaus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zahnprothese an implantaten oder wurzelkappen
JPH05293123A (ja) * 1992-04-22 1993-11-09 Tdk Corp 義 歯
US5417570A (en) * 1994-01-03 1995-05-23 Zest Anchors, Inc. Dental anchor assembly
US5556280A (en) 1994-05-31 1996-09-17 Pelak; Mark S.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ance mounting
DE4422773C2 (de) * 1994-06-29 1996-08-29 Ceka Nv Dentale Kupplungsanordnung
US5575651A (en) * 1994-07-27 1996-11-19 Weissman; Bernard Prosthetic dental bridge foundation
US5564928A (en) * 1995-01-18 1996-10-15 Gittleman; Neal B. Retrievable cemented prosthodontic apparatus
WO1997014371A1 (de) * 1995-10-13 1997-04-24 Institut Straumann Ag Verbindungsanordnung zwischen einem implantat und einem abutment
US6332777B1 (en) * 1997-05-24 2001-12-25 Franz Sutter Device for forming a dental prosthesis
AU8432298A (en) 1997-08-13 1999-03-08 Imz Fertigungs- Und Vertriebsgesellschaft Fur Dentale Technologie Mbh Implant insert for stimulating gum growth
US5871357A (en) * 1998-04-15 1999-02-16 Tseng; Hsien-Jung Fixing device for a removable denture
US6030219A (en) * 1998-10-13 2000-02-29 Zest Anchors, Inc. Dental attachment assembly
ATE363241T1 (de) * 1999-01-22 2007-06-15 Cendres & Metaux Sa Verankerung für dentalprothetik
EP1589896A4 (en) * 2002-12-27 2007-03-07 Bernard Weissman IMPROVEMENTS IN COMPONENTS FOR PERMANENT REMOVABLE AND ADJUSTABLE BITES AND BRIDGES
EP1627612A4 (en) 2004-05-28 2008-03-05 Brainbase Corp PROSTHESIS FUSER STRUCTURE AND PROSTHESIS FIXING PROCEDURE
CN101141931B (zh) * 2005-03-17 2010-06-23 诺贝尔生物服务公司 用于牙种植体的转移顶盖
FR2908629B1 (fr) * 2006-11-20 2009-11-27 Anthogyr Sa Dispositif d'impression a coiffe de prise d'empreinte pour prothese dentaire
US7704076B2 (en) * 2006-12-20 2010-04-27 Zest Ip Holdings Llc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
ATE500797T1 (de) 2007-01-18 2011-03-15 Straumann Holding Ag Abformkappe
US20090263763A1 (en) * 2008-04-16 2009-10-22 Shepard John S Denture Abutment & Retention System
US7959439B2 (en) * 2008-10-23 2011-06-14 Intrinsic Medical, Ll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implanting dental prosthesis
US8454363B2 (en) 2008-11-06 2013-06-04 William B. Worthington Dental implant system
JP5418968B2 (ja) * 2009-07-31 2014-02-19 宏 黒澤 上顎洞底挙上用部材
JP5100918B2 (ja) * 2011-03-28 2012-12-19 株式会社T・U・M 義歯システム、入れ歯の作成方法および補修方法
AU2012267925B2 (en) * 2011-06-08 2017-03-09 Zest Ip Holdings Llc Fixed detachable dental attachment device, assembly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3576A (ko) * 2019-12-27 2021-07-07 유창민 틀니 임플란트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2132057A1 (ja) 2014-07-24
CN103429190A (zh) 2013-12-04
JP5566525B2 (ja) 2014-08-06
US9078720B2 (en) 2015-07-14
KR101280246B1 (ko) 2013-07-17
JP5100918B2 (ja) 2012-12-19
US20140023989A1 (en) 2014-01-23
WO2012132057A1 (ja) 2012-10-04
JPWO2012132819A1 (ja) 2014-07-28
WO2012132819A1 (ja) 201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0246B1 (ko) 의치 시스템, 틀니의 작성 방법 및 보수 방법
KR101694475B1 (ko) 볼 및 소켓 타입 어태치먼트가 적용된 오버덴처 제작방법
JP6322698B2 (ja) 人工歯
US9308059B2 (en) Implant bite registration jig and bite impression fabrication method using the jig
KR20010030463A (ko) 임플랜트-지지된 의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WO2015031062A1 (en) Denture reference and registration system
JP2006520249A (ja) ネジ/セメント維持型補綴の施術方法、ネジ/セメント維持型補綴用アバットメントおよびインプラント
EP3443932B1 (en) Bar manufacturing and denture reference and registration system
EP3219286A1 (en) Abutment and crown coupling structure for implant
US8506297B2 (en) Dental model
CN106163449A (zh) 预制假牙的加工方法
KR20120109846A (ko)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제작하는 방법
US20170304033A1 (en) Form for producing a pre-molded prosthesis-base blank
EP3202367A1 (en) Dental prosthesis manufacture method
KR20140024363A (ko) 브래킷용 트레이 제작 방법
KR101240357B1 (ko)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 제작을 위한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
JP4768985B2 (ja) 歯のセラミック構造の作製方法
EP3672518B1 (en) Dental abutment co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ntal abutment
JP5872743B2 (ja) 義歯システムに用いる係合ピース、義歯システム用のキット、義歯床および入れ歯の作成方法
JP2014064640A (ja) 義歯システムおよび入れ歯の作成方法
JP2011078489A (ja) 天然歯における歯冠補綴構造及びその構造の構築方法並びに分解方法
KR101013215B1 (ko) 치아보철 제작용 모형조립체
CA3174014A1 (en) Method for producing a molded body and molded body
KR102305451B1 (ko) 고정부분의치의 즉시보철 방법
KR101249515B1 (ko) 어버트먼트 소재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