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9846A -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제작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제작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9846A
KR20120109846A KR1020110027569A KR20110027569A KR20120109846A KR 20120109846 A KR20120109846 A KR 20120109846A KR 1020110027569 A KR1020110027569 A KR 1020110027569A KR 20110027569 A KR20110027569 A KR 20110027569A KR 20120109846 A KR20120109846 A KR 20120109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dental implant
porcelain
shape
implant abu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4295B1 (ko
Inventor
류재호
박무용
김병국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7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295B1/ko
Priority to EP12765632.0A priority patent/EP2692310B1/en
Priority to CN201280016306.5A priority patent/CN103458820B/zh
Priority to US14/007,921 priority patent/US10278795B2/en
Priority to PCT/KR2012/000876 priority patent/WO2012134051A2/ko
Publication of KR20120109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1Abutment monobloc with rest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3Porcelain or ceramic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02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cera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4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A61K6/844Noble me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84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natural or synthetic res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02Inorganic materials
    • A61L27/04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02Inorganic materials
    • A61L27/10Ceramics or glasses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치아의 외형을 형성하며 포셀린으로 이루어진 포셀린 보철물을 지지하고 픽스쳐에 체결되어 고정결합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픽스쳐와 체결가능하도록 픽스쳐의 내부 구조와 대응하는 체결 구조를 가지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잇몸과 접촉될 수 있는 제2부분; 및 상기 제2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측면과 상면을 포함하는 외주면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는 포셀린이 부착되되, 상기 측면에는 내측으로 함입된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수평방향의 단면적이 증가되는 형상을 포함하는 제3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제작하는 방법{Dental implant abutment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버트먼트와 내관을 일체화하여 전체적인 인공치아를 형성하는 데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임플란트란 상실된 인체 조직을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는데, 치과에서는 일반적으로 상실된 치아의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자연치근이 빠져나간 치조골에 픽스츄어(Fixture)를 매식하여 유착시킨 후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대치물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는 인공치아와 치근과의 결합방법에 따라서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스크류의 결합력을 이용한 것으로서 스크류 타입 임플란트가 있는데, 종래의 스크류 타입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임플란트 조립체는, 픽스츄어, 어버트먼트 및 보철물 등으로 구성된다.
통상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100)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치아의 외관을 형성하면서 포셀린(Porcelain)으로 이루어지는 외관(110)과, 상기 외관의 하부구조로 사용되며 상기 외관(110)을 지지하는 내관(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관(120)은 금합금, 니켈-크롬합금, 지르코늄, 알루미나, 티타늄 등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지며, 각 재료의 특성에 따라 주조, 절삭 가공의 방법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내관(120)은 외관과 기계적 - 화학적 기전으로 용착되어 결합된다.
어버트먼트(130)는 통상적으로 티타늄/지르코늄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관과 치과용 접착제를 통해서 결합된다. 이러한 어버트먼트(130)는 구강에 시술된 임플란트(140)에 정확하게 연결되고, 내관(120)과 외관(110)으로 이루어지는 보철물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외관(110)의 소재를 금이나 기타 금속소재가 아닌 포셀린으로 하는 경우 자연치아와 유사한 형상과 색상을 가질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포셀린은 그 재료자체의 특성상 외관으로 사용될 때,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0.3 ~ 3mm)를 가져야 한다. 만약 포셀린의 두께가 불균일한 경우에는 쉽게 파절될 염려가 있다. 특히, 포셀린 자체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우에는 포셀린 파절이 쉽게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포셀린의 하부구조를 이루는 내관은 포셀린이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정밀하게 디자인되어야 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주조로 제작되는 내관은 정밀하게 제작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그 이유는 내관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거푸집을 제작한 후에 금속을 녹이는 등의 주조방법을 이용하게 되는데, 주조방법 자체가 정밀성을 얻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주조후 경화과정에서 수축이 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러한 주조방식은 작업자에 숙련도에 크게 의존하는 등 정밀하게 제작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 변수가 많고 주조 실패의 위험성이 존재하고 환경 오염등의 문제점도 존재하게 된다.
또한, 내관의 제작하는 데에는 대략 한 싸이클 당 8시간 정도가 소요되어 전체적으로 제작에 드는 시간이 상당하고 이에 따라서 가격이 비싸게 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버트먼트에 내관이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서 전체적인 제작시간을 감소시키고, 비용을 감소시키며, 제작 실패 등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는, 인공치아의 외형을 형성하며 포셀린으로 이루어진 포셀린 보철물을 지지하고 픽스쳐에 체결되어 고정결합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픽스쳐와 체결가능하도록 픽스쳐의 내부 구조와 대응하는 체결 구조를 가지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잇몸과 접촉될 수 있는 제2부분; 및
상기 제2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측면과 상면을 포함하는 외주면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는 포셀린 보철물이 부착되되,
상기 측면에는 내측으로 함입된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수평방향의 단면적이 증가되는 형상을 포함하는 제3부분;을 가진다.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에서,
상기 제3부분은 비정형이면서 비대칭의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에서,
상기 제3부분은 상기 오목부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수평방향의 단면적이 증가되는 형상을 가지되, 상기 오목부의 상측에 배치된 제3부분의 수평방향 최대단면적은 상기 오목부의 하측에 배치된 제3부분의 수평방향 최대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에서,
상기 제3부분의 수평방향의 최대단면적은 상기 제2부분의 수평방향의 최대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에서,
상기 제3부분의 외형은 인공치아의 외형에서 대응부분의 두께가 0.1mm ~ 3mm 범위만큼 작을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에서,
상기 포셀린 보철물과 상기 제3부분은 포셀린 소성로(Porcelain Furnace)에서 소성 과정에 의해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에서,
상기 제3부분의 외형은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에서,
상기 제1부분에는 팔각, 육각, 사각 또는 원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을 가지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는,
티타늄, 티타늄 합금, 코발트-크롬-몰리브덴 합금, 니켈-크롬 합금, 금합금, 지르코늄, 산화알루미늄 또는 폴리머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에서,
제2부분과 제3부분의 경계는 비정형 곡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에서,
제3부분의 형상은 치과용 왁스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형성한 뒤 이를 3차원 스캐닝하여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에서,
제3부분의 형상은 인공치아의 형상에 따라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에서,
상기 포셀린 보철물은 상기 제3부분에 직접 소성, 부착하는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는, 인공치아의 외형을 형성하며 포셀린으로 이루어진 포셀린 보철물을 지지하고 픽스쳐에 체결되어 고정결합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픽스쳐와 체결가능하도록 픽스쳐의 내부 구조와 대응하는 체결 구조를 가지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과 연결되며 잇몸과 접촉될 수 있는 제2부분; 및
상기 제2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측면과 상면을 포함하는 외주면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는 포셀린 보철물이 부착되는 제3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제3부분의 외형은 인공치아의 외형에서 대응부분의 두께가 0.1mm ~ 3mm 범위만큼 작은 것;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의 제작방법은,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환자의 구강을 본떠서 인상체를 얻어내는 인상 체득 단계;
상기 인상체를 활용하여 구강 모형을 제작하는 모형 제작 단계;
상기 구강 모형을 스캐닝하여 3차원형태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단계;
생성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인공치아의 외형을 생성하는 인공치아 생성단계;
상기 최종 인공치아의 외형을 외주면을 따라서 0.1 ~ 3mm 범위 내에서 삭제하여 어버트먼트의 설계정보를 획득하는 어버트먼트 설계 단계;
어버트먼트의 설계정보에 따라 모재를 절삭가공하여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제작하는 어버트먼트 제작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작 방법은,
상기 인공치아 생성단계에서, 상기 인공치아의 외형은 CAD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작 방법에서,
상기 제작 단계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설계정보를 CAM 프로그램으로 전송하는 전송단계;
상기 CAM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가공을 위한 NC 데이터를 생성하는 NC 데이터생성 단계; 및
상기 NC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가공장비를 활용하여 어버트먼트를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작 방법에서,
상기 어버트먼트는, 측면과 상면을 포함하는 외주면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는 포셀린 보철물이 부착되되,
상기 측면에는 내측으로 함입된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수평방향의 단면적이 증가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는, 내관이 일체로 제작되기 때문에 내관을 별도로 제작함에 따른 각종 작업조건의 번거러움, 비용의 증가, 제작 실패 위험의 증가 및 환경 오염 등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일정한 품질의 보철물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치과용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보철물을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도 1의 종래기술의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4의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제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제작하는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10)의 핵심적인 특징은 종래기술에서 별도로 제작되어 사용되던 내관을 어버트먼트(10)에 직접 일체화시켜 내관을 별도로 제작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작시간이 감축되고, 어버트먼트(10)의 제작과 함께 기계가공으로 제작함으로서 정밀도를 높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10)는, 인공치아의 외형을 형성하는 포셀린으로 이루어진 포셀린 보철물(50)을 지지하고 픽스쳐에 체결되어 고정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10)는, 제1부분(20), 제2부분(30) 및 제3부분(4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10)는, 티타늄, 티타늄 합금, 코발트-크롬-몰리브덴 합금, 니켈-크롬 합금, 금합금, 지르코늄, 산화알루미늄 또는 폴리머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부분(20)은 픽스쳐(60)와 체결가능하도록 픽스쳐의 내부구조와 대응되는 체결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어버트먼트(10)의 하부영역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1부분(20)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되는 테이퍼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부분(20)의 하측에는 연결부(21)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연결부(21)는 팔각, 육각, 사각 또는 원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팔각, 육각 등의 단면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21)가 픽스쳐의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픽스쳐에 대하여 상기 어버트먼트(10)가 상대적인 회전을 하는 것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제1부분(20)의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중공홀(22)이 형성된다. 이러한 중공홀(22)은 제3부분(40)의 상단으로부터 제1부분(20)의 하단까지 연장되는 구멍으로서 그 내부에는 상기 어버트먼트(10)와 픽스쳐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용 나사(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부분(30)은, 상기 제1부분(20)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되 상기 제1부분(20)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제2부분(30)은 픽스쳐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픽스쳐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그 외주면에는 잇몸이 접촉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제2부분(30)은 어버트먼트(10)에서 대략 중앙영역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2부분(30)은, 제1부분(20)으로부터 점차적으로 외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부분(30)의 내부에는 제1부분(20)에서 연장되는 중공홀(22)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중공홀(22)은 대략 제2부분(30)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내측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단턱(22a)이 형성되어 있게 되는데, 이러한 단턱(22a)에 의하여 체결용 나사가 걸릴 수 있다.
제3부분(40)은, 정형화된 원형단면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비정형 및 비대칭의 외형을 가지는 것으로서, 상기 제2부분(30)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측면과 상면을 포함하는 외주면을 가진다. 또한 제2부분(30)과 제3부분(40)의 경계도 제3부분(40)이 비정형의 형상을 가짐에 따라서 비정형의 곡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3부분(40)은 어버트먼트(10)의 상부영역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그 외주면에는 포셀린 보철물(50)이 부착된다.
이러한 제3부분(40)의 측면은 상기 제2부분(30)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수평방향의 단면적이 감소하다가 다시 점차적으로 수평방향의 단면적이 증가되는 형태를 이룬다. 이때 단면적이 감소하다고 다시 증가되는 부위는 오목한 형태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오목부(41)는 내측으로 함입된 형상을 이룬다.
이때, 오목부(41)의 상측에 배치된 제3부분(40)의 수평방향 최대단면적은 상기 오목부(41)의 하측에 배치된 제3부분(40)의 수평방향 최대단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부분(40)의 수평방향의 최대단면적은 제2부분(30)의 수평방향 최대단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부분(40)의 외형은 보철물의 최종 외형인 인공치아의 외형에서 0.1 ~ 3mm 범위의 두께가 삭제된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0.3 ~ 3mm 범위의 두께만큼 삭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포셀린은 대략 0.3 ~ 3mm 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제3부분(40)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셀린이 제3부분(40)의 외주면을 따라서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쉽게 파절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상기 포셀린 보철물(50)과 상기 제3부분(40)은 직접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종래기술과 같이 포셀린 보철물(50)과 어버트먼트(10) 사이에 내관 등을 삽입할 필요가 없이 포셀린 보철물(50)이 직접 제3부분(40)과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제3부분(40)은 치과용 왁스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형성한 뒤 이를 3차원 스캐닝하여 획득하되, 그 외형이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계되고 CAM 및 절삭공구에 의하여 정밀하게 절삭되어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3부분(40)의 형상은 인공치아의 형상에 따라 그 형태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부분(40)에 부착되는 포셀린 보철물(50)은 제3부분(40)에 포셀린 소성로(Porcelain Furnace)에서 소성 과정에 의해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는 다음과 같이 제작된다. 구체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10)는, 인상 체득 단계(S100), 모형 제작 단계(S200), 이미지 생성 단계(S300), 인공치아 생성단계(S400), 어버트먼트 설계 단계(S500) 및 어버트먼트 제작단계(S600)를 포함한다.
상기 인상 체득 단계(S100)는, 환자의 구강을 본떠서 인상체를 얻어내는 단계이다.
상기 모형 제작단계(S200)는 얻어진 인상체를 활용하여 환자의 구강 모형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상기 이미지 생성단계(S300)는 상기 구강 모형을 스캐닝하여 3차원 형태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이다(도 4 (a) 참조).
상기 인공치아 생성단계(S400)는 생성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인공치아의 외형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는 생성된 이미지에서 CA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최종 보철물 또는 인공치아의 외형을 형성하는 단계이다.(도 4(b) 참조)
상기 어버트먼트 설계단계(S500)는 상기 최종 인공치아 또는 최종 보철물의 외주면을 따라서 0.1 ~ 3mm 범위 내에서 삭제하여 어버트먼트의 설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최종 보철물의 외형에서 0.1 ~ 3mm 를 삭제함으로서 상측으로는 외형이 전체적으로 확대되고 내측으로 함입된 오목부(41)가 형성되는 어버트먼트를 설계하는 단계이다.(도 4 (c) 참조)
상기 어버트먼트 제작단계(S600)는, 어버트 먼트의 설계정보에 따라 모재를 절삭가공하여 임플란트 어버트먼트(10)를 제작하는 것이다. (도 4 (d) 참조) 구체적으로 어버트먼트 제작단계는 어버트먼트의 설계정보를 CAM 프로그램으로 전송하는 전송단계; 상기 CAM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가공을 위한 NC 데이터를 생성하는 NC 데이터 생성 단계 및 상기 NC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가공장비를 활용하여 어버트먼트를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어버트먼트 제작단계의 이후에는 제작된 어버트먼트(10)에 포셀린으로 이루어지는 포셀린 보철물(50)을 직접 소성 또는 부착의 방법으로 결합시키는 단계가 포함된다. (도 4 (e) 참조)
이와 같이 포셀린이 결합된 후에는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10)에 포셀린이 도포된 구조물이 완성된다. 이때, 상기 어버트먼트(10)는 측면과 상면을 포함하는 외주면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는 포셀린 보철물(50)이 부착되되, 상기 측면에는 내측으로 함입된 오목부(41)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41)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수평방향의 단면적이 증가되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10)는, 종래와 같이 별도의 내관을 제작할 필요가 없이 어버트먼트(10)에 내관이 일체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주조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내관을 제작하지 않기 때문에 제작실패의 위험이 발생할 염려가 없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무관하게 일정한 품질을 가지는 인공치아를 제작하기 용이하다. 특히 주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오염 등의 요소를 배제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는, 하기와 같이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부분은 제1부분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픽스쳐의 구조에 따라서 제1부분이 제2부분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포셀린과 제3부분이 직접 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접착제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범위라면 청구범위가 확대해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어버트먼트 20...제1부분
21...연결부 22...중공홀
30...제2부분 40...제3부분
41...오목부 50...포셀린 보철물

Claims (18)

  1. 인공치아의 외형을 형성하며 포셀린으로 이루어진 포셀린 보철물을 지지하고 픽스쳐에 체결되어 고정결합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픽스쳐와 체결가능하도록 픽스쳐의 내부 구조와 대응하는 체결 구조를 가지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잇몸과 접촉될 수 있는 제2부분; 및
    상기 제2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측면과 상면을 포함하는 외주면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는 포셀린 보철물이 부착되되,
    상기 측면에는 내측으로 함입된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수평방향의 단면적이 증가되는 형상을 포함하는 제3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부분은 비정형이면서 비대칭의 외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부분은 상기 오목부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수평방향의 단면적이 증가되는 형상을 가지되, 상기 오목부의 상측에 배치된 제3부분의 수평방향 최대단면적은 상기 오목부의 하측에 배치된 제3부분의 수평방향 최대단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부분의 수평방향의 최대단면적은 상기 제2부분의 수평방향의 최대단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부분의 외형은 인공치아의 외형에서 대응부분의 두께가 0.1mm ~ 3mm 범위만큼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셀린 보철물과 상기 제3부분은 포셀린 소성로(Porcelain Furnace)에서 소성 과정에 의해 직접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부분의 외형은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에는 팔각, 육각, 사각 또는 원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을 가지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는 티타늄, 티타늄 합금, 코발트-크롬-몰리브덴 합금, 니켈-크롬 합금, 금합금, 지르코늄, 산화알루미늄 또는 폴리머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10. 제1항에 있어서,
    제2부분과 제3부분의 경계는 비정형 곡선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11. 제1항에 있어서,
    제3부분의 형상은 치과용 왁스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형성한 뒤 이를 3차원 스캐닝하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12. 제1항에 있어서
    제3부분의 형상은 인공치아의 형상에 따라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셀린 보철물은 상기 제3부분에 직접 소성, 부착하는 방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14. 인공치아의 외형을 형성하며 포셀린으로 이루어진 포셀린 보철물을 지지하고 픽스쳐에 체결되어 고정결합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픽스쳐와 체결가능하도록 픽스쳐의 내부 구조와 대응하는 체결 구조를 가지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과 연결되며 잇몸과 접촉될 수 있는 제2부분; 및
    상기 제2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측면과 상면을 포함하는 외주면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는 포셀린 보철물이 부착되는 제3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제3부분의 외형은 인공치아의 외형에서 대응부분의 두께가 0.1mm ~ 3mm 범위만큼 작은 것;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15.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환자의 구강을 본떠서 인상체를 얻어내는 인상 체득 단계;
    상기 인상체를 활용하여 구강 모형을 제작하는 모형 제작 단계;
    상기 구강 모형을 스캐닝하여 3차원형태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단계;
    생성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인공치아의 외형을 생성하는 인공치아 생성단계;
    상기 최종 인공치아의 외형을 외주면을 따라서 0.1 ~ 3mm 범위 내에서 삭제하여 어버트먼트의 설계정보를 획득하는 어버트먼트 설계 단계;
    어버트먼트의 설계정보에 따라 모재를 절삭가공하여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제작하는 어버트먼트 제작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의 제작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치아 생성단계에서, 상기 인공치아의 외형은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의 제작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 단계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설계정보를 CAM 프로그램으로 전송하는 전송단계;
    상기 CAM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가공을 위한 NC 데이터를 생성하는 NC 데이터생성 단계; 및
    상기 NC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가공장비를 활용하여 어버트먼트를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제작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는, 측면과 상면을 포함하는 외주면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는 포셀린 보철물이 부착되되,
    상기 측면에는 내측으로 함입된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수평방향의 단면적이 증가되는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제작하는 방법.
KR1020110027569A 2011-03-28 2011-03-28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제작하는 방법 KR101234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569A KR101234295B1 (ko) 2011-03-28 2011-03-28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제작하는 방법
EP12765632.0A EP2692310B1 (en) 2011-03-28 2012-02-07 Dental implant abut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201280016306.5A CN103458820B (zh) 2011-03-28 2012-02-07 牙植入物桥基
US14/007,921 US10278795B2 (en) 2011-03-28 2012-02-07 Dental implant abut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PCT/KR2012/000876 WO2012134051A2 (ko) 2011-03-28 2012-02-07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제작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569A KR101234295B1 (ko) 2011-03-28 2011-03-28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제작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846A true KR20120109846A (ko) 2012-10-09
KR101234295B1 KR101234295B1 (ko) 2013-02-18

Family

ID=46932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569A KR101234295B1 (ko) 2011-03-28 2011-03-28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제작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78795B2 (ko)
EP (1) EP2692310B1 (ko)
KR (1) KR101234295B1 (ko)
CN (1) CN103458820B (ko)
WO (1) WO201213405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512B1 (ko) 2011-05-26 2011-12-13 염명희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소재
TR201300434A2 (tr) 2013-01-11 2014-05-21 Ibrahim Serce Bir abutment üretim sistemi ve yöntemi.
KR101435551B1 (ko) 2013-04-30 2014-09-02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분리형 힐링 어버트먼트
KR20150010119A (ko) * 2013-07-18 2015-01-28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제작 공정을 간소화한 세미 커스텀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제조방법
CN103550007B (zh) * 2013-10-24 2017-04-05 赤峰学院附属医院 一种种植固定桥精密印模的制取方法
US10639132B2 (en) * 2014-09-12 2020-05-05 Italo Lozada Dental prosthesis
CN106420080A (zh) * 2016-08-26 2017-02-22 北京大学口腔医院 基台、牙修复体以及基台的制作方法
KR101929005B1 (ko) 2018-09-27 2018-12-13 김용서 힐링어버트먼트용 환자맞춤 지혈캡 및 그 제작방법
KR101929002B1 (ko) 2018-09-27 2018-12-13 김용서 힐링어버트먼트용 환자맞춤 지혈클램프 및 그 제작방법
KR101947603B1 (ko) 2018-09-27 2019-02-14 김용서 힐링어버트먼트용 환자맞춤 일체형지혈패드 및 그 제작방법
KR102594313B1 (ko) * 2022-12-14 2023-10-25 김성민 맞춤형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4906A (en) * 1975-09-19 1999-08-10 Shopvest, Inc. Working model for prosthodontic preparation of a tooth for installation of an implant fixture
US5180303A (en) * 1988-09-21 1993-01-19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Retrievable dental prothesis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on
US4988298A (en) * 1989-01-23 1991-01-29 Implant Innovations, Inc. Precision abutment base
US5873721A (en) * 1993-12-23 1999-02-23 Adt Advanced Dental Technologies, Ltd. Implant abutment systems, devices, and techniques
US5542847A (en) * 1994-09-09 1996-08-06 Joseph Y. Margulies Method, apparatus and device for dental prosthesis implantation
US5674069A (en) * 1995-01-13 1997-10-07 Osorio; Julian Customized dental abutment
US5658147A (en) * 1995-09-19 1997-08-19 Shopvest, Inc. Working model for prosthodontic preparation of a crown for installation on an implant fixture
JPH10277061A (ja) 1997-04-04 1998-10-20 Injietsukusu:Kk 支台歯模型および歯冠修復物の製造方法
US5989029A (en) 1997-07-08 1999-11-23 Atlantis Components, Inc. Customized dental abutments and methods of preparing or selecting the same
CA2518208A1 (en) 2003-03-13 2004-09-23 Young Ku Heo Method for treating a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and adjustment for a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US8277218B2 (en) * 2005-10-20 2012-10-02 D Alise David D Screw-type dental implant
KR100730344B1 (ko) 2006-11-21 2007-06-19 주식회사 레이 Ct를 이용한 인공치아 제조방법
EP2136730B1 (en) * 2007-03-14 2016-08-03 Astra Tech Inc. Dental abutment including fillet
KR100795645B1 (ko) * 2007-08-17 2008-01-17 김정한 임플란트용 일체형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KR20090048078A (ko) * 2007-11-09 2009-05-13 주식회사 쿠보텍 치과용 임플란트장치
KR101146070B1 (ko) * 2010-07-26 2012-05-14 이준호 유기적 임플란트용 부품 제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34051A2 (ko) 2012-10-04
EP2692310A2 (en) 2014-02-05
CN103458820A (zh) 2013-12-18
WO2012134051A3 (ko) 2012-11-22
KR101234295B1 (ko) 2013-02-18
CN103458820B (zh) 2017-04-05
EP2692310A4 (en) 2015-01-28
EP2692310B1 (en) 2018-04-04
US20140017632A1 (en) 2014-01-16
US10278795B2 (en)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295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제작하는 방법
US20140113251A1 (en) Composite crown/composite bridg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2019535486A (ja) 三次元歯列矯正保定装置および三次元歯列矯正保定装置の製造方法
KR10109158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US2011017160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supply of dental prosthesis
CN111281581B (zh) 用于设计和制造牙科部件的方法
WO2017193981A1 (zh) 一种口腔修复体cad/金属3d自动化加工方法
WO200902544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one body abutment of implant
JP7144538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および歯科補綴物
JP2011110418A (ja) インプラント手術後の義歯の製作方法
US20150024345A1 (en) A milling blank and a method for fabricating dental bridgework using milling blank
CN112274284A (zh) 一种用于口腔修复的临时牙及其制备方法
KR20150010119A (ko) 제작 공정을 간소화한 세미 커스텀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제조방법
US20160157968A1 (en) Customized dental implant prosthesis production method using cad/cam
CN110368114B (zh) 用预成嵌体封闭牙种植上部修复螺丝孔的数字化设计方法
KR101075394B1 (ko) 임플란트의 제조방법
WO2016113680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prosthesis abutment, device and machin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and abutment obtained by the method
KR102110497B1 (ko)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및 그 제조방법
KR100988355B1 (ko) 인상 채득용 캡
CN113693754A (zh) 一种数字化拆解嵌套式可摘局部义齿
JP5937401B2 (ja) スキャニングジグ
KR101265969B1 (ko) 최적의 어뎁테이션을 얻을 수 있는 정밀가공 맞춤형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KR20100136670A (ko) 임플란트용 피에프엠 프레임과 그 제조방법
CN215192453U (zh) 一种用于口腔修复的临时牙
KR10149906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