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8078A - 치과용 임플란트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8078A
KR20090048078A KR1020070114285A KR20070114285A KR20090048078A KR 20090048078 A KR20090048078 A KR 20090048078A KR 1020070114285 A KR1020070114285 A KR 1020070114285A KR 20070114285 A KR20070114285 A KR 20070114285A KR 20090048078 A KR20090048078 A KR 20090048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artificial tooth
fixture
dental
artifi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웅
김현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보텍
Priority to KR1020070114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8078A/ko
Publication of KR20090048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0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30Securing inlays, onlays or crow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30Securing inlays, onlays or crowns
    • A61C5/35Pins; Mounting tools or dispens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30Compositions for temporarily or permanently fixing teeth or palates, e.g. primers for dental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49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inorganic c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장치는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츄어와; 상기 픽시츄어의 상부로 연장되는 어버트먼트와; 상기 어버트먼트에 끼워지는 인공치아와; 상기 어버트먼트와 상기 인공치아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어버트먼트와 상기 인공치아를 접착하는 은이 함유된 치과용 시멘트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픽스츄어에 어버트먼트를 별도의 스크류없이 곧바로 결합할 수가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여 부품의 제조 및 시술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어버트먼트에 인공치아를 접착/고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치과용 시멘트에 살균기능이 탁월한 은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세척이 어려운 인공치아 및 어버트먼트의 접착부위를 살균하여 유해 세균 및 미생물의 번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치아, 임플란트, 시멘트, 은나노, 탈취, 살균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장치{IMPLANT APPARATUS FOR DENTAL}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균의 증식과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implant)란 상실된 자연치아의 대체물 자체를 말하거나, 또는 나사형상의 픽스츄어(fixture)를 치조골에 체결하여 일정기간동안 치조골과 융합되도록 한 후, 픽스츄어에 접합부인 어버트먼트(abutment)와 인공치아등의 보철물을 고정시켜 치아의 본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치과시술을 말한다.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의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646771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의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는 상단에 중심축을 따라 일정 깊이 내측으로 스크류 체결구가 구비되고 외주면상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픽스츄어와, 픽스츄어의 상단에 밀착/결합되며 외주면 상측에 록킹홈이 형성되어 있는 어버트먼트와, 어버트먼트를 통해 픽스츄어의 스크류 체결구에 체결되며 상부에는 어버트먼트의 록킹홈과 연통되는 슬리브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와, 어버트먼트의 록킹홈과 스크류의 슬리브 삽입홈에 삽입/결합되는 록킹 슬리브와, 어버트먼트의 외측에 결합되는 인공치아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는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결합된 상태에서 어버트먼트를 스크류에 의해 결합하였다. 그리고, 인공치아는 치과용 시멘트를 이용하여 어버트먼트에 접착시켰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의 결합이 별도로 구비된 스크류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크류의 부품이 필요하고, 어버트먼트에는 스크류가 인입되어 관통될 스크류 체결공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스크류 및 어버트먼트의 제조에 있어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록킹 슬리브와, 록킹 슬리브의 장착을 위해 형성되는 어버트먼트의 록킹홈과 스크류의 슬리브 삽입홈도 제조에 있어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한편으로는, 어버트먼트에 인공치아를 치과용 시멘트에 의해 접착하여 고정시키는데, 세척이 어려운 인공치아의 내부측면과 어버트먼트의 접착부위에서 유해 세균과 미생물이 증식되는 문제점과, 이로 인한 구강내의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및 시술이 간편한 치과용 임플란트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해 세균 및 미생물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장치는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츄어와; 상기 픽시츄어의 상부로 연장되는 어버트먼트와; 상기 어버트먼트에 끼워지는 인공치아와; 상기 어버트먼트와 상기 인공치아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어버트먼트와 상기 인공치아를 접착하는 은이 함유된 치과용 시멘트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츄어와; 상기 픽스츄어의 상부로 연장되는 어버트먼트와; 상기 어버트먼트에 끼워지는 인공치아와; 상기 인공치아를 관통하여 상기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인공치아를 상기 어버트먼트에 결합하는 결합부재와; 상기 인공치아의 표면에 노출된 상기 결합부재를 매립하는 은이 함유된 치과용 시멘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픽스츄어에 어버트먼트를 별도의 스크류없이 곧바로 결합할 수가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여 부품의 제조 및 시술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어버트먼트에 인공치아를 접착/고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치과용 시멘트에 살균기능이 탁월한 은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세척이 어려운 인공치아 및 어버트먼트의 접착부위를 살균하여 유해 세균 및 미생물의 번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인 치과용 임플란트장치 및 이를 적용한 예를 첨부한 도 1, 도 2에 나타내 보였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인 치과용 임플란트장치는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츄어(10)와, 픽스츄어(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인공치아(30)가 끼워져 고정되는 어버트먼트(20)와, 어버트먼트(20)에 고정되는 인공치아(30)와, 어버트먼트(20)와 인공치아(30)의 사이에 개재되어 어버트먼트(20)와 인공치아(30)를 상호 접착하여 고정시키는 은이 함유된 치과용 시멘트(40)로 이루어져 있다.
픽스츄어(10)는 치조골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나사부(11)가 형성되고, 나사부(11) 상면에는 일정 깊이의 제1결합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어버트먼트(20)는 상단에 인공치아(30)가 끼워지는 헤드부(21)가 형성되고, 헤드부(21)의 하면에는 픽스츄어(10)의 제1결합홈(12)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돌기(22)가 돌출되어 있다.
인공치아(30)는 자연치아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어버트먼트(20)의 헤 드부(21)가 인입되는 인입공간(31)이 형성되어 있다.
치과용 시멘트(40)는 어버트먼트(20)와 인공치아(30)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로서 살균기능이 있는 은이 함유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어버트먼트(20)의 헤드부(21) 외면에 오목한 오목홈부(21a)가 형성된다. 즉, 헤드부(21)가 인공치아(30)의 인입공간(31)에 인입된 채, 치과용 시멘트(40)가 인입공간(31)에 채워져 경화된다. 이때, 헤드부(21)의 오목홈부(21a)에 의해 오히려 돌출되는 헤드부(21)의 상단이 경화된 치과용 시멘트(40)내에서 걸림역할을 하게 되어 어버트먼트(20)와 인공치아(3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인공치아(30)의 인입공간(31)을 개구부에 비해 내부 내경을 확장시켜 형성함으로써, 인입공간(31)내에 경화된 치과용 시멘트(40)가 인입공간(31)으로부터 개구부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어버트먼트(20)와 인공치아(30)가 견고히 결합되게 한다.
치과용 시멘트(40)의 조성물로는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에이트(Triethylen glycol dimethacrylate), 2-하이드록시 에틸 메타크릴에이트(Hydroxy ethyl methacrylate), 지방족 우레탄 디아크릴에이트 레질런트 올리고머(Aliphatic Urethane Diacrilate Resilient Oligomer), 은(Ag)등으로 이루어진다.
은(Ag)은 전기분해나 화학적 분해방법에 의해 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수준 즉 0.000000001㎜로 작게 입자화한 은나노를 사용한다.
이러한 은나노는 인체에 무해하고 염소계열보다 수십 배 강력한 살균력이 있 다. 주변환경의 오염도에 따라 민감하게 변화하는 반응을 보이며, 세균의 세포막을 파괴 혹은 세포의 기능을 교란하여 지속적인 항 살균작용을 한다.
최근 연구결과에 의하면, 은나노는 650종의 세균과 바이러스를 멸균할 수 있으며, 은나노가 촉매작용을 하여 산소가 활성 산소로 전환되어 살균작용과 인체에서 분비되는 땀이나 타액 또는 먼지와 음식물에 의해 번식하는 세균의 증식을 원천적으로 막아준다고 한다.
그리고, 은나노는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발생하여 혈액순환과 내분비 활동을 왕성하게 하고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환경 호르몬인 포름 알데히드를 90%이상 차단하는 효능이 있으며, 탈취효과에 의해 지속적인 입냄새를 제거할 수가 있다.
또한, 은나노는 모든 금속중에 가장 부드럽기 때문에 치과용 시멘트의 표면의 입자가 고르게 형성되어 인버트먼트와 인공치아의 접촉율이 좋아 접착율이 향상된다.
그리고, 은나노는 물질과의 코팅이나 배합, 투입등이 매우 쉬어 치과용 시멘트의 다른 조성물과의 배합이 잘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치조골에 픽스츄어(10)가 나사결합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픽스츄어(10)의 상면 제1결합홈(12)에 어버트먼트(20)의 결합돌기(22)가 나사결합되어 픽스츄어(10)에 어버트먼트(20)가 결합된다.
결합된 어버트먼트(20)의 헤드부(21)에 인공치아(30)가 치과용 시멘트(40)에 의해 접착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는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어버트먼트가 별도의 스크류에 의해 픽스츄어에 고정되지 않고, 어버트먼트가 직접 픽스츄어에 결합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는 부품수의 감소로 인해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감소되며, 시술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어버트먼트(20)의 헤드부(21)는 오목홈부(21a)에 채워져 경화된 치과용 시멘트(40)에 의해 인공치아(30)의 인입공간(31)내에 견고히 결합된다. 그리고, 인공치아(31)의 인입공간(30)의 구조, 즉 개구부에 비해 내부직경이 더 큰 인입공간(31)으로 인해 인입공간(31)에 충진되어 경화된 치과용 시멘트(40)가 개구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어버트먼트(20)와 인공치아(30)가 견고히 결합되게 된다.
또 한편으로는, 어버트먼트(20)와 인공치아(30)를 접착하는 치과용 시멘트(40)내에 은나노가 함유되어 인공치아(30) 및 어버트먼트(20)에 유해 세균 및 미생물의 번식이 억제되고 입냄새가 제거된다.
한편,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 3에 나타내 보였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츄어(10)와, 픽스츄어(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인공치아(30)가 끼워져 고정되는 어버트먼트(20)와, 어버트먼트(20)에 고정되는 인공치아(30)와, 인공치아(30)를 관통하여 어버트먼트(20)에 결합되면서 인공치아를 어버트먼트에 고정하는 결합부재(50)와, 인공치아(30)의 표면에 노출된 결합부재(50)를 매립하는 은이 함유된 치과용 시멘트(40)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어버트먼트(20)와 인공치아(30)의 결합이 치과용 시멘트(40)에 이루어지지 않고, 인공치아(30)를 관통하여 어버트먼트(2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5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픽스츄어(10)는 본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나사부(11)와 나사부 상면에 제1결합홈(12)이 형성된다.
어버트먼트(20)는 상단에 인공치아가 끼워지는 헤드부(21)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픽스츄어(10)의 제1결합홈(12)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돌기(22)가 돌출된다. 그리고, 헤드부(21)의 상면에는 제2결합홈(23)이 형성된다.
인공치아(30)는 자연치아의 형상으로 외형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어버트먼트(20)의 헤드부(21)가 인입되는 인입공간(31)이 형성된다. 인입공간(31)은 헤드부(21)의 외형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헤드부(21)가 인입공간(31)내로 슬라이딩 되어 결합될 때, 인입공간(31)의 내면과 헤드부(21)의 외면이 상호 밀착된다.
그리고, 인공치아(30)의 상단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고정홀(32)이 형성된다. 고정홀(32)의 하단에는 고정홀(32)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32a)이 형성된다.
한편, 픽스츄어(10)와 어버트먼트(20)를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결합부재(50)는 인공치아(30)의 고정홀(32)에 끼워져 어버트먼트(20)의 제2결합홈(23)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50')가 이용된다. 스크류(50')의 헤드(51')는 고정홀(32)의 걸림턱(32a)에 걸리도록 충분한 외경으로 형성된다.
치과용 시멘트(40)는 인공치아(30)의 고정홀(32)에 매워져 스크류(50')의 헤드(51')를 매립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치조골에 픽스츄어(10)가 나사결합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픽스츄어(10)의 상면 제1결합홈(12)에 어버트먼트(20)의 결합돌기(22)가 나사결합되어 픽스츄어(10)에 어버트먼트(20)가 결합된다. 그리고, 인공치아(30)가 스크류(50')에 의해 어버트먼트(20)의 헤드부(21)에 고정된다.
인공치아(30)가 어버트먼트(20)의 제2결합홈(23)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50')에 의해 고정되므로 인공치아(30)는 어버트먼트(20)에 견고히 고정된다.
스크류(50')가 인입된 인공치아(30)의 고정홀(32)은 치과용 시멘트(40)로 메우게 된다. 따라서, 인공치아(30)의 표면에 노출된 스크류(50')가 매립되어 인공치아(30)의 표면이 매끄럽게 된다.
치과용 시멘트(40)에는 은이 함유되어 있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해 세균 및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고 입냄새를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인공치아의 고정홀을 메운 치과용 시멘트의 표면이 고르게 형성된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 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도,
도 2는 도 1의 실시 예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장치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픽스츄어 20 : 어버트먼트
30 : 인공치아 40 : 치과용 시멘트
50 : 결합부재

Claims (2)

  1.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츄어와;
    상기 픽시츄어의 상부로 연장되는 어버트먼트와;
    상기 어버트먼트에 끼워지는 인공치아와;
    상기 어버트먼트와 상기 인공치아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어버트먼트와 상기 인공치아를 접착하는 은이 함유된 치과용 시멘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장치.
  2.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츄어와;
    상기 픽스츄어의 상부로 연장되는 어버트먼트와;
    상기 어버트먼트에 끼워지는 인공치아와;
    상기 인공치아를 관통하여 상기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인공치아를 상기 어버트먼트에 결합하는 결합부재와;
    상기 인공치아의 표면에 노출된 상기 결합부재를 매립하는 은이 함유된 치과용 시멘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장치.
KR1020070114285A 2007-11-09 2007-11-09 치과용 임플란트장치 KR200900480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285A KR20090048078A (ko) 2007-11-09 2007-11-09 치과용 임플란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285A KR20090048078A (ko) 2007-11-09 2007-11-09 치과용 임플란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078A true KR20090048078A (ko) 2009-05-13

Family

ID=40857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285A KR20090048078A (ko) 2007-11-09 2007-11-09 치과용 임플란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807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34051A3 (ko) * 2011-03-28 2012-11-2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제작하는 방법
KR101292839B1 (ko) * 2011-10-05 2013-08-07 구옥경 나사 구멍이 경사진 임플란트
CN104254298A (zh) * 2012-01-25 2014-12-31 伊沃克拉尔维瓦登特股份公司 种植牙以及用于制造这种种植牙的方法
KR102198234B1 (ko) 2019-12-27 2021-01-05 (주) 코웰메디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KR102198233B1 (ko) 2019-12-16 2021-01-05 (주) 코웰메디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KR102198237B1 (ko) 2020-01-14 2021-01-05 (주) 코웰메디 탄성부싱을 이용한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KR20230162851A (ko) 2022-05-20 2023-11-29 주식회사 덴티스 치과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조립체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34051A3 (ko) * 2011-03-28 2012-11-2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제작하는 방법
KR101234295B1 (ko) * 2011-03-28 2013-02-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제작하는 방법
CN103458820A (zh) * 2011-03-28 2013-12-18 奥齿泰有限责任公司 牙植入物桥基及其制备方法
US10278795B2 (en) 2011-03-28 2019-05-07 Osstemimplant Co., Ltd. Dental implant abut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292839B1 (ko) * 2011-10-05 2013-08-07 구옥경 나사 구멍이 경사진 임플란트
CN104254298A (zh) * 2012-01-25 2014-12-31 伊沃克拉尔维瓦登特股份公司 种植牙以及用于制造这种种植牙的方法
KR102198233B1 (ko) 2019-12-16 2021-01-05 (주) 코웰메디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WO2021125544A1 (ko) 2019-12-16 2021-06-24 (주) 코웰메디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KR102198234B1 (ko) 2019-12-27 2021-01-05 (주) 코웰메디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KR102198237B1 (ko) 2020-01-14 2021-01-05 (주) 코웰메디 탄성부싱을 이용한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KR20230162851A (ko) 2022-05-20 2023-11-29 주식회사 덴티스 치과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48078A (ko) 치과용 임플란트장치
ES2688592T3 (es) Dispositivo de fijación dental extraíble
Bernard et al. The anchorage of Brånemark and ITI implants of different lengths. I. An experimental study in the canine mandible
KR101662026B1 (ko)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
RU2612800C2 (ru) Медицин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стем зубных протезов, система зубных протезов, использование медицинс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 формования протезирующих устройств
KR200473225Y1 (ko)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Boioli et al. A meta‐analytic, quantitative assessment of osseointegration establishment and evolution of submerged and non‐submerged endosseous titanium oral implants
KR10191617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
Dawood et al. Peri-implantitis and the prosthodontist
KR20150104717A (ko) 임플란트 어셈블리
KR101671711B1 (ko) 뼈 성장의 촉진을 도모하는 자장 발생 장치와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장치 및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
US10682208B2 (en) Abutment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124808B1 (en) An attachment system for attaching a dental superstructure to an implant
JP2011115499A (ja) 歯科用磁性アタッチメント用アバットメント
CN213641323U (zh) 一种防继发龋齿的义齿
JP2013146469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フィクスチャー表面性状
Bollen White is the new grey!
KR101139122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Bollen White or Grey? Ceramic or Metal?
WO2020055352A2 (en) Dental implant made from peek material
US20160074288A1 (en) Intraoral fixing composition
Kripal Types of implants
Thamemul Ansari et al. Awareness of ceramic implants among dentists in Chennai.
US20090208904A1 (en) Dental implant
KR100646832B1 (ko) 치과용 항균 보철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