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497B1 -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497B1
KR102110497B1 KR1020190138542A KR20190138542A KR102110497B1 KR 102110497 B1 KR102110497 B1 KR 102110497B1 KR 1020190138542 A KR1020190138542 A KR 1020190138542A KR 20190138542 A KR20190138542 A KR 20190138542A KR 102110497 B1 KR102110497 B1 KR 102110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celain
fixed frame
coupling body
upper coupling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훈
김병식
나용주
Original Assignee
(주)덴탈릭스
김병식
나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덴탈릭스, 김병식, 나용주 filed Critical (주)덴탈릭스
Priority to KR1020190138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3Porcelain or ceramic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르코니아 재질로 된 크라운을 삽입홈부가 형성된 고정프레임의 외주면 상에 미리 제작해 둔 상태에서 어버트먼트의 상부체에 결합한 후 크라운을 가공토록 함으로써 임플란트용 크라운의 공정과정을 단축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측에는 상향소폭 경사진 상부결합체(15)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결합체(15)의 하부측에는 하향소폭 경사진 형태로 하부지지체(11)가 형성되는 어버트먼트(10); 상기 어버트먼트(10)의 하부측에 연장되어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픽스쳐(29); 상기 상부결합체(15)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부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며, 치아 형태로 형성되는 도재(50); 상기 도재(50)는 지르코니아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도재(50)의 수용부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어버트먼트(10)의 상부결합체(15)가 수용결합되도록 삽입홈부(19)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부(19)의 내주면이 상부결합체(15)에 외주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및 그 제조방법{Crowns for dental implants}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르코니아 재질로 된 크라운을 삽입홈부가 형성된 고정프레임의 외주면 상에 미리 제작해 둔 상태에서 어버트먼트의 상부체에 결합한 후 크라운을 가공토록 함으로써 임플란트용 크라운의 공정과정을 단축시키도록 하는 치과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의 임플란트란 상실된 치아가 있던 자리에 인공치아를 식립하여 건강한 구강을 가지게 하는 학문의 한 분야이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인공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어서 유착시킨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첨단기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의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위의 치아 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다양한 국내외의 임플란트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으며, 사용 중에 있다. 그리고 종래에 임플란트가 개발되기 전까지는, 치아가 상실된 자리를 회복하기 위해서 옆에 있는 다른 치아들을 깎아서 걸어주거나 아니면 틀니를 만들어야 했다.
이러한 고전적인 방법들은 상실된 치아의 옆에 있는 치아가 건장하여야 하고, 자주 이탈하는 등의 여러 가지 단점들이 있는데 임플란트는 그 모든 단점들을 단숨에 해결해주고 있다.
상기와 같이 뼈 속에 단단하게 심어진 임플란트는 옆에 있는 다른 치아들의 도움없이 독자적으로 치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정성껏 잘 관리만 해준다면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통상 뼛속에 고정된 픽스쳐의 상부에 어버트먼트(abutment)를 체결하고, 그 상부에 인공치아를 지지하는 캡을 설치한 다음 그 상부에 인공치아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 임플란트를 할 때 치과에서 본을 뜬 다음 이 본을 이용하여 기공소에서 석고와 레진 및 메탈로 프레임을 형성한다. 이를 PFM(Porcelain Fused Metal)이라 하는데, 금속으로 제작되는 얇은 구조물 위에 치아색과 잘 조화되는 세라믹 재질의 포세린을 올려서 만들어진 보철물을 말한다.
상기 PFM은 Wax 로 치아 형태를 만든 후 포세린이 올라갈 만큼의 일정한 두께로 wax를 깍아서 금속 구조물을 제작하고, 그 제작된 납형에 석고를 붓고 석고틀을 만들어 금속을 녹인 액체 금속을 부어서 금속구조물을 제작하며, 그 완성된 금속 구조물에 가루로된 포세린을 붓으로 축성하여 포세린 구조물을 형성하며, 포세린 구조물이 축성되면 오븐 같은 고온의 기계에 넣고 포세린을 구워냄으로써 완성시켜내나, 이러한 포세린을 통해 형성되는 종래의 PFM은 위 설명된 바처럼 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19-0069984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지르코니아 재질로 된 크라운을 삽입홈부가 형성된 고정프레임의 외주면 상에 미리 제작해 둔 상태에서 어버트먼트의 상부체에 결합한 후 크라운을 가공토록 함으로써 임플란트용 크라운의 공정과정을 단축시키도록 하는 치과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및 그 제조방법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측에는 상향소폭 경사진 상부결합체(15)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결합체(15)의 하부측에는 하향소폭 경사진 형태로 하부지지체(11)가 형성되는 어버트먼트(10); 상기 어버트먼트(10)의 하부측에 연장되어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픽스쳐(29); 상기 상부결합체(15)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부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며, 치아 형태로 형성되는 도재(50); 상기 도재(50)는 지르코니아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도재(50)의 수용부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어버트먼트(10)의 상부결합체(15)가 수용결합되도록 삽입홈부(19)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부(19)의 내주면이 상부결합체(15)에 외주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상부결합체(15)의 하단측 직경 보다 하부지지체(11)의 상단측 직경을 더 크게 형성하여 하부지지체(11)의 테두리측에 확장안착면(13)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고정프레임(30)의 하단부가 확장안착면(13)에 밀착 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30)의 하단부 테두리측에 6각테두리홈부(17)를 형성하고, 상기 확장안착면(13)에 6각돌출부(92)를 형성하여, 상기 6각돌출부(92)의 외측에 6각테두리홈부(17)가 밀착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30)의 외주면 상에는 지르코니아 재질로 된 도재(50)의 밀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평면마찰면(3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30)의 외주면 상에는 지르코니아 재질로 된 도재(50)의 밀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제조방법을 구현함에 있어서, 상부측에는 상향소폭 경사진 상부결합체(15)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결합체(15)의 하부측에는 하향소폭 경사진 형태로 하부지지체(11)가 형성되는 어버트먼트(10)을 준비하는 단계(S1); 상기 어버트먼트(10)의 하부측에 연장되어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픽스쳐(29)를 마련하는 단계(S2); 상기 상부결합체(15)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부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며, 치아 형태로 형성되는 도재(50)를 마련하는 단계(S3); 상기 도재(50)는 지르코니아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도재(50)의 수용부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어버트먼트(10)의 상부결합체(15)가 수용결합되도록 삽입홈부(19)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부(19)의 내주면이 상부결합체(15)에 외주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30)을 마련하고, 상기 상부결합체(15)의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 한 후, 상기 도재(50)의 내주면에 구비된 고정프레임(30) 내에 상부결합체(15)를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상부결합체(15)의 하단측 직경 보다 하부지지체(11)의 상단측 직경을 더 크게 형성하여 하부지지체(11)의 테두리측에 확장안착면(13)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고정프레임(30)의 하단부가 확장안착면(13)에 밀착 지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30)의 하단부 테두리측에 6각테두리홈부(17)를 형성하고, 상기 확장안착면(13)에 6각돌출부(92)를 형성하여, 상기 6각돌출부(92)의 외측에 6각테두리홈부(17)가 밀착지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30)의 외주면 상에는 지르코니아 재질로 된 도재(50)의 밀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평면마찰면(32)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30)의 외주면 상에는 지르코니아 재질로 된 도재(50)의 밀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르코니아 재질로 된 크라운을 삽입홈부가 형성된 고정프레임의 외주면 상에 미리 제작해 둔 상태에서 어버트먼트의 상부체에 결합한 후 크라운을 가공토록 함으로써 임플란트용 크라운의 공정과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의 고정프레임과 어버트먼트의 결합상태 실시 예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상태 실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이 씌워진 고정프레임과 어버트먼트의 결합상태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이 씌워진 고정프레임의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어버트먼트의 실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이 씌워진 고정프레임의 실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정프레임의 다른 실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지르코니아 재질로 된 크라운을 삽입홈부가 형성된 고정프레임의 외주면 상에 미리 제작해 둔 상태에서 어버트먼트의 상부체에 결합한 후 크라운을 가공토록 함으로써 임플란트용 크라운의 공정과정을 단축시키도록 하는 치과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보면 어버트먼트(10), 픽스쳐(29), 도재(50) 및 고정프레임(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상기 어버트먼트(10)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부측에는 상향소폭 경사진 상부결합체(15)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결합체(15)의 하부측에는 하향소폭 경사진 형태로 하부지지체(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결합체(15)의 하단측 직경 보다 하부지지체(11)의 상단측 직경을 더 크게 형성하여 하부지지체(11)의 테두리측에 확장안착면(13)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어버트먼트(10)의 하부측에는 잇몸에 고정된 지지물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픽스쳐(29)가 연장 구비된다. 이때 상기 픽스쳐(29)의 외주연에 수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물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버트먼트(10)의 상부결합체(15)에는 치아의 형태로 형성되어 치아를 대체하는 도재(50)가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도재(50)는 상부결합체(15)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부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 도재(50)는 지르코니아 재질로 형성되게 한다.
지르코니아(zirconia)는 산화 지르코늄(Ⅳ) ZrO2의 속칭으로 굴절률이 크고 녹는점이 높아서 내식성이 크고 물에 녹지 않으며, 요업용의 중요한 원료로 사용된다. 이러한 지르코니아를 도재(50)로 사용하게 되면 도재(50)의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이 확보될 뿐 아니라, 치아와 가장 흡사한 색을 띠고 있어 높은 심미성을 가지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도재(50)의 수용부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프레임(30)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프레임(30)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어버트먼트(10)의 상부결합체(15)가 수용결합되도록 삽입홈부(19)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부(19)의 내주면이 상부결합체(15)에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어버트먼트(10)의 상부결합체(15)에 고정프레임(30)이 고정되어지는데, 이때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지지체(11) 상에 형성된 확장안착면(13) 상에 고정프레임(30)의 하단부가 밀착지지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고정프레임(30)의 하단부 테두리측에 6각테두리홈부(17)를 형성하고, 상기 확장안착면(13)에 6각돌출부(92)를 형성하여, 상기 6각돌출부(92)의 외측에 6각테두리홈부(17)가 밀착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6각돌출부(92)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30)의 외주면 상에는 지르코니아 재질로 된 도재(50)의 밀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평면마찰면(32)을 형성할 수 있고,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고정프레임(30)의 외주면 상에는 지르코니아 재질로 된 도재(50)의 밀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의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먼저, 상부측에는 상향소폭 경사진 상부결합체(15)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결합체(15)의 하부측에는 하향소폭 경사진 형태로 하부지지체(11)가 형성되는 어버트먼트(10)을 준비하는 단계(S1); 상기 어버트먼트(10)의 하부측에 연장되어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픽스쳐(29)를 마련하는 단계(S2); 상기 상부결합체(15)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부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며, 치아 형태로 형성되는 도재(50)를 마련하는 단계(S3); 상기 도재(50)는 지르코니아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도재(50)의 수용부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어버트먼트(10)의 상부결합체(15)가 수용결합되도록 삽입홈부(19)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부(19)의 내주면이 상부결합체(15)에 외주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30)을 마련하고, 상기 상부결합체(15)의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 한 후, 상기 도재(50)의 내주면에 구비된 고정프레임(30) 내에 상부결합체(15)를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상기 상부결합체(15)의 하단측 직경 보다 하부지지체(11)의 상단측 직경을 더 크게 형성하여 하부지지체(11)의 테두리측에 확장안착면(13)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고정프레임(30)의 하단부가 확장안착면(13)에 밀착 지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30)의 하단부 테두리측에 6각테두리홈부(17)를 형성하고, 상기 확장안착면(13)에 6각돌출부(92)를 형성하여, 상기 6각돌출부(92)의 외측에 6각테두리홈부(17)가 밀착지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30)의 외주면 상에는 지르코니아 재질로 된 도재(50)의 밀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평면마찰면(32)을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30)의 외주면 상에는 지르코니아 재질로 된 도재(50)의 밀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지르코니아 재질로 된 크라운을 삽입홈부가 형성된 고정프레임의 외주면 상에 미리 제작해 둔 상태에서 어버트먼트의 상부체에 결합한 후 크라운을 가공토록 함으로써 임플란트용 크라운의 공정과정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어버트먼트 11 : 하부지지체
15 : 상부결합체 29 : 픽스쳐
30 : 고정프레임 50 : 도재

Claims (10)

  1.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측에는 상향소폭 경사진 상부결합체(15)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결합체(15)의 하부측에는 하향소폭 경사진 형태로 하부지지체(11)가 형성되는 어버트먼트(10);
    상기 어버트먼트(10)의 하부측에 연장되어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픽스쳐(29);
    상기 상부결합체(15)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부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며, 치아 형태로 형성되는 도재(50);
    상기 도재(50)는 지르코니아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도재(50)의 수용부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어버트먼트(10)의 상부결합체(15)가 수용결합되도록 삽입홈부(19)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부(19)의 내주면이 상부결합체(15)에 외주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30);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결합체(15)의 하단측 직경 보다 하부지지체(11)의 상단측 직경을 더 크게 형성하여 하부지지체(11)의 테두리측에 확장안착면(13)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고정프레임(30)의 하단부가 확장안착면(13)에 밀착 지지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고정프레임(30)의 하단부 테두리측에 6각테두리홈부(17)를 형성하고, 상기 확장안착면(13)에 6각돌출부(92)를 형성하여, 상기 6각돌출부(92)의 외측에 6각테두리홈부(17)가 밀착지지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고정프레임(30)의 외주면 상에는 지르코니아 재질로 된 도재(50)의 밀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평면마찰면(3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30)의 외주면 상에는 지르코니아 재질로 된 도재(50)의 밀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6.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제조방법을 구현함에 있어서,
    상부측에는 상향소폭 경사진 상부결합체(15)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결합체(15)의 하부측에는 하향소폭 경사진 형태로 하부지지체(11)가 형성되는 어버트먼트(10)을 준비하는 단계(S1);
    상기 어버트먼트(10)의 하부측에 연장되어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픽스쳐(29)를 마련하는 단계(S2);
    상기 상부결합체(15)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부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며, 치아 형태로 형성되는 도재(50)를 마련하는 단계(S3); 상기 도재(50)는 지르코니아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도재(50)의 수용부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어버트먼트(10)의 상부결합체(15)가 수용결합되도록 삽입홈부(19)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부(19)의 내주면이 상부결합체(15)에 외주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30)을 마련하고, 상기 상부결합체(15)의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 한 후, 상기 도재(50)의 내주면에 구비된 고정프레임(30) 내에 상부결합체(15)를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부결합체(15)의 하단측 직경 보다 하부지지체(11)의 상단측 직경을 더 크게 형성하여 하부지지체(11)의 테두리측에 확장안착면(13)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고정프레임(30)의 하단부가 확장안착면(13)에 밀착 지지되도록 하며,
    상기 고정프레임(30)의 하단부 테두리측에 6각테두리홈부(17)를 형성하고, 상기 확장안착면(13)에 6각돌출부(92)를 형성하여, 상기 6각돌출부(92)의 외측에 6각테두리홈부(17)가 밀착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프레임(30)의 외주면 상에는 지르코니아 재질로 된 도재(50)의 밀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평면마찰면(32)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30)의 외주면 상에는 지르코니아 재질로 된 도재(50)의 밀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제조방법.
KR1020190138542A 2019-11-01 2019-11-01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및 그 제조방법 KR102110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542A KR102110497B1 (ko) 2019-11-01 2019-11-01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542A KR102110497B1 (ko) 2019-11-01 2019-11-01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497B1 true KR102110497B1 (ko) 2020-05-13

Family

ID=70729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542A KR102110497B1 (ko) 2019-11-01 2019-11-01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4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900B1 (ko) * 2020-12-09 2021-02-10 이경택 내부면의 하중 흡수성이 좋은 크라운을 갖춘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68B1 (ko) * 2007-01-31 2008-01-30 박성원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
KR100831341B1 (ko) * 2006-12-01 2008-05-22 주식회사 덴티움 산화층이 형성된 어버트먼트의 제조방법
KR20120130882A (ko) * 2011-05-24 2012-12-04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브레이징 접합에 의한 메탈 강화 지르코니아 어버트먼트
KR101729247B1 (ko) * 2014-12-03 2017-04-21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코핑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KR20180078396A (ko) * 2016-12-29 2018-07-10 주식회사 이쎈코리아 치과 임플란트 유닛
KR20190069984A (ko) 2017-12-12 2019-06-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341B1 (ko) * 2006-12-01 2008-05-22 주식회사 덴티움 산화층이 형성된 어버트먼트의 제조방법
KR100799368B1 (ko) * 2007-01-31 2008-01-30 박성원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
KR20120130882A (ko) * 2011-05-24 2012-12-04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브레이징 접합에 의한 메탈 강화 지르코니아 어버트먼트
KR101729247B1 (ko) * 2014-12-03 2017-04-21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코핑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KR20180078396A (ko) * 2016-12-29 2018-07-10 주식회사 이쎈코리아 치과 임플란트 유닛
KR20190069984A (ko) 2017-12-12 2019-06-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900B1 (ko) * 2020-12-09 2021-02-10 이경택 내부면의 하중 흡수성이 좋은 크라운을 갖춘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34367B1 (en) Abutment
US6666684B1 (en) Impression and foundation system for implant-supported prosthesis
KR101445298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JP2012517861A (ja) インプラントと共に使用される構成要素、および関連する方法
KR101539089B1 (ko) 3d 프린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제조 방법
KR101669893B1 (ko) 임플란트의 2중 구조 어버트먼트
KR20120109846A (ko)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제작하는 방법
WO2008093994A1 (en) Dental implant apparatus
KR102516784B1 (ko) 치과 임플란트 및 치과 보철물
KR101781087B1 (ko)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고정체
KR100842318B1 (ko) 치과 임플란트용 슬리브 및 그를 구비한 치과 임플란트
KR101646168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조립체
WO2016004520A1 (en) Dental prostheses cemented onto implants and/or abutments having a reverse margin
KR102110497B1 (ko)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및 그 제조방법
KR101663623B1 (ko) 분리형 임플란트 구조체 가공 블록
CN110430837A (zh) 植入物模拟体
KR200426909Y1 (ko) 임플란트 및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US10285786B2 (en) Customized dental abutment formed of two customized parts
KR100988355B1 (ko) 인상 채득용 캡
KR101038068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KR20140118136A (ko) 치과 임플란트용 티타늄금속계 다용도 지대주
CN113693754A (zh) 一种数字化拆解嵌套式可摘局部义齿
KR101645357B1 (ko)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 보철
JP2016504078A (ja) 1つまたは複数の外側環状体を備えたマウントエレメントを有する単一部分または複数部分から成る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KR101265969B1 (ko) 최적의 어뎁테이션을 얻을 수 있는 정밀가공 맞춤형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