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357B1 -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 보철 - Google Patents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 보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357B1
KR101645357B1 KR1020150016259A KR20150016259A KR101645357B1 KR 101645357 B1 KR101645357 B1 KR 101645357B1 KR 1020150016259 A KR1020150016259 A KR 1020150016259A KR 20150016259 A KR20150016259 A KR 20150016259A KR 101645357 B1 KR101645357 B1 KR 101645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wn
abutment
lithium disilicate
implant
lith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상호
Original Assignee
엄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상호 filed Critical 엄상호
Priority to KR1020150016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3Porcelain or ceramic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9Composite teeth, e.g. front and back section; Multilayer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5/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기재로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작할 수 있는 리튬 디실리케이트를 이용한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지르코리아 재질의 임플란트는 투과도가 약해 심미성이 극히 떨어지며, 지르코니아의 외측에 투과도가 높은 장석계 도재를 입히는 방식은 강도를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일기재로 이루어진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홀의 하측 방향에서 레진에 의해 금속재의 지대주를 결합하며, 상기 지대주는 치조골의 내측에 삽입고정되는 임플란트 고정체의 상측에 안착결합되고, 상기 결합홀을 통해 지대주 고정나사가 삽입되어 지대주의 관통홀를 관통하여 임플란트 고정체에 나사결합하는 임플란트 보철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는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의 내측으로 밀착삽입되는 원통상 구조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의 저면이 안착되는 지지부와; 임플란트 고정체를 삽입하기 위해 치조골에 나사공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함몰부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일정 경사가 형성된 경사부와; 임플란트 고정체의 상단부에 밀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대주가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의 내측에서 회전하면서 결합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바디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홈을 이루는 회전방지부가 더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 보철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 보철은 지르코니아 재질의 임플란트에 비해 리튬 디실리케이트의 재질 특성상 투과도가 높아 심미감이 대폭으로 향상되며, 단일 기재로 이루어져 프레스열가압 또는 CAD/CAM 성형의 가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튬 디실리케이트에 형성된 관통홀의 하방 내측에서 지대주가 결합되고, 관통홀의 상방 내측으로 지대주 고정나사가 체결되는 방식으로 기공과정 중 레진작업을 마무리 하므로, 임플란트 임상시술 과정 중 레진이 흘러나오지 않아 임플란트 주위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며 잇몸 하방의 생체친화적인 세라믹 재질의 구성이 또한 임플란트 주위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 보철{Lithium Disilicate implant}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 보철은 일반적인 금속도재관(PFM)보철이나 지르코니아 보철에 비해 광 투과도가 높아 치과 보철 적용시 심미성이 대폭적으로 상승되며, 지르코니아 코핑(coping)이나 금속 코핑위에 장석계(feldspartic) 도재를 올려 만든 임플란트 보철에 비해 2.5 - 3배 이상 높은 강도를 나타내므로, 단일 기재로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작할 수 있는 리튬 디실리케이트를 이용한 임플란트 보철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은 자체 강도가 지르코니아나 금속 보다는 약해 강도 보완을 위해 보다 큰 재료의 두께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지대주의 직경을 최대한 줄여 충분한 보철물 두께를 확보하면서도 상측의 크라운 및 하측의 임플란트 고정체와의 견고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지대주를 개발하여 전체적인 임플란트 보철의 성능을 강화하였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아를 대신할 수 있는 인공치아의 식립을 통해 건강한 구강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흔히 사용하는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는 시간이 지나면 주위의 치아와 뼈를 상하게 하는 단점이 있으나, 치과용 임플란트는 주위의 치아 조직을 상하게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연 치아와 기능 및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치과용 임플란트 등 상실된 치아를 대체하기 위해 이용되는 재료는 일반 재료와는 달리 구강내의 특수한 환경으로 인하여 많은 제약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즉, 상대습도가 100%에 가까운 습윤한 환경, 저작 시에 발생되는 높은 교합압, 급격한 온도 변화, 생체 조직과의 긴밀한 접촉, 과민 반응과 같은 부작용의 빈발 및 무수한 세균 종의 구강 내 상주 등 다수의 인자를 고려하여 인공치아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가 선택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장기적으로 변색이 없고, 파절 및 파편이 없는 우수한 물성을 지닌 세라믹 소재들이 주로 이용되는데, 특히 심미성이 뛰어난 세라믹 재료에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유리침투 복합체, 캐드(computeraided design : CAD)/캠(computer-aided manufacturing : CAM) 지르코니아, 결정화유리 등을 이용하여 인공치아를 제조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중 1990년 초에 모만(Mormann)에 의해 고안된 세렉 시스템(CEREC system)은 고강도, 고인성인 지르코니아를 캐드/캠(CAD/CAM)으로 가공하여 코핑을 제작한 최초의 방식인데, 이때 사용되는 지르코니아는 장석계 도재보다 10배 강한 물성을 갖고 있어 저작시 발생되는 높은 교합압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어 많은 주목을 받았다.
이러한 지르코니아는 생체적합성이 뛰어나 주위 조직에 대한 양호한 생체 친화성을 보일 뿐만 아니라, 부식에 대한 저항이 크며, 생체에 대한 독성이 거의 없어 임플란트 픽스쳐와 같이 치과용 보철물로 이용하기 적합한 재료이다.
그러나, 이러한 지르코니아는 투과도가 10~30%로 낮아 단일 일체형 크라운(crown)으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지르코니아 코핑(coping)위에 장석계 도재를 올려 크라운을 제작하는 등의 보완책이 시도되었다.
즉, 지르코니아를 이용하여 종래에 제조되던 치과용 보철물은, 먼저 지르코니아(ZrO2)를 이용하여 코어(core)를 제작하고, 그 외면에 장석계 도재를 소성하여 심미성을 보완한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이처럼 1200MPa에 이르는 지르코니아 자체의 높은 물성에도 불구하고, 불투명감을 보완하기 위한 지르코니아 표면에 결합되는 소재들은 지르코니아와의 약한 결합이 가능한 일부 세라믹 소재에 국한될 수 밖에 없었는바, 치과용 보철물로 사용시 지르코니아 자체의 높은 물성적 특징을 십분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와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르코니아 재질로 이루어지며 치아 역할을 하는 치과용 크라운(crown)(6)과, 치조골(1)에 매입되어 치근 역할을 하는 임플란트용 고정체(3)로 이루어지며, 치과용 크라운(6)을 지탱하는 임플란트 지대주(5)가 더 구비되고, 임플란트용 고정체(4)와 임플란트 지대주(5)를 결합하는 고정나사(4)가 추가된다.
상기와 같은 크라운(6)은 백색을 갖는 지르코니아 소재를 사용하여 불투명성으로 인한 심미성은 떨어지나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갖으므로 크라운의 두께 'd'가 작아도 사용시 파손될 우려성이 적었으며, 상기 임플란트 지대주(5)와 임플란트용 고정체(4)는 견고한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티타늄합금 재질이 사용되었다.
상기 티타늄은 인체 내에서 유해한 작용이 없이 뼈와 결합하여 치근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됨으로써,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인공 치아의 소재는 주로 티타늄 금속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지대주(5)와 크라운(6)을 결합하기 위해 접착성질이 있는 레진을 사용하게 되는데, 임플란트 시공과정 또는 시공후에 레진이 흘러나와 잇몸(2)에 염증이 발생하는 경우 많았다.
또한, 이렇게 구비된 치과용 임플란트는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장시간 사용시 크라운이 손상되거나 변색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특허등록 제0539415호(치과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및 그 표면의 심미적 표면처리방법)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사항이 제안되었다.
또한, 음식물을 씹거나 외부의 힘이 작용하면 고정나사가 풀리는 경우 크라운 탈착후 다시 장착해야 하는데,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특허등록 제 1318017호(치과용 임플란트 크라운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에서는 고정나사를 관통결합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심미성, 임플란트 주위염, 보철 재료의 파절, 임플란트 착탈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일 기재로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을 형성하며, 직경이 작으면서도 상측의 크라운 및 하측의 임플란트 고정체와의 견고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는 지대주를 상기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의 결합홀의 하방에서 삽입결합하고, 다시 관통홀의 상측에서 지대주 고정나사를 삽입하여 지대주와 임플란트 고정체를 긴밀하게 체결하며, 관통홀의 내측으로 지피콘과 레진을 충진하여 마감처리하는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 보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 보철은 단일기재로 이루어진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홀의 하측 방향에서 레진에 의해 금속재의 지대주를 결합하며, 상기 지대주는 치조골의 내측에 삽입고정되는 임플란트 고정체의 상측에 안착결합되고, 상기 결합홀을 통해 지대주 고정나사가 삽입되어 지대주의 관통홀를 관통하여 임플란트 고정체에 나사결합하는 임플란트 보철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는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의 내측으로 밀착삽입되는 원통상 구조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의 저면이 안착되는 지지부와; 임플란트 고정체를 삽입하기 위해 치조골에 나사공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함몰부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일정 경사가 형성된 경사부와; 임플란트 고정체의 상단부에 밀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대주가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의 내측에서 회전하면서 결합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바디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홈을 이루는 회전방지부가 더 부가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 보철은 지르코니아 재질의 임플란트에 비해 리튬 디실리케이트의 재질 특성상 투과도가 높아 심미감이 대폭으로 향상되며, 단일 기재로 이루어져 프레스열가압 또는 CAD/CAM 성형의 가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튬 디실리케이트에 형성된 관통홀의 하방 내측에서 지대주가 결합되고, 관통홀의 상방 내측으로 지대주 고정나사가 체결되는 방식으로 기공과정 중 레진작업을 마무리 하므로, 임플란트 임상시술 과정 중 레진이 흘러나오지 않아 임플란트 주위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며 잇몸 하방의 생체친화적인 세라믹 재질의 구성이 또한 임플란트 주위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지르코니아 임플란트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 보철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대주 일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대주의 다른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난 일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지대주의 또 다른 일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 보철에 마감부재를 결합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 보철에 첨가수정부를 형성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 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강도가 약해서 어금니 등에 사용하지 못했던 리튬 디실리케이트(Lithium Disilicate, LS2) 재질의 임플란트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리튬 디실리케이트(LS2)는 1990년 초 이보크라 비바덴트(Ivoclar vivadent)(Schaan, Liechtenstein)사에서 결정화를 조절하여 백류석(KAlSi2O6) 강화 결정화유리를 개발한 것으로서, 이 결정화유리는 투과도가 높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강도가 낮아 구치부나 브릿지로의 사용은 어려웠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국내 회사인 하스(HAAS)의 특허등록 제1262121호(치아용 고강도 결정화유리의 제조방법)에서는, 리튬 디실리케이트 결정을 포함하는 결정화유리로서, 리튬 디실리케이트 결정 형성의 주성분으로 작용하는 Li2O 5∼30중량%와 SiO2 60∼75중량%, 핵 형성제 역할을 하는 P2O5 0.01∼5중량%, 유리전이온도와 연화점을 증가시키고 결정화유리의 화학적 내구성을 증진하기 위한 Al2O3 0.1∼10중량%, 리튬 디실리케이트 결정의 생성온도를 낮추고 생성되는 결정의 크기를 미세화하며 화학적 내구성을 증진하기 위한 ZnO 0.01∼10중량%, 유리 형성을 위한 용융 시에 점도를 감소시켜 리튬 디실리케이트 결정의 생성온도를 낮추고 상기 결정의 크기를 작게 하기 위한 B2O3 0.1∼6.5중량%, 및 유리 형성을 위한 용융 시에 용융성을 좋게 하기 위한 알칼리 산화물 0.1∼7중량%를 포함하는 치아용 고강도 결정화유리의 제조방법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 지르코니아에 비해 투과도가 높아 단일기재로 치아 적용이 가능한 리튬 디실리케이트의 성능이 점차 향상되고 있으나, 이를 큰 강도가 요구되는 어금니용 임플란트에 적용하기에는 신뢰도가 다소 떨어지는 어려움이 있어, 본원 출원인은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과 지대주의 구조를 대폭적으로 개선하는 새로운 시도를 제안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 보철은 리튬 디실리케이트 재질의 잉곳(20)으로 중앙에 결합홀(17)이 형성된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16)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홀(17)의 하측방향에서 레진(또는 레진 시멘트)(19)를 이용하여 기공실에서 지대주(15)를 결합하여 하며, 상기 지대주(15)는 진료실에서 치조골(1)의 내측에 삽입고정되는 임플란트 고정체(13)의 상측에 안착결합되고, 상기 결합홀(17)을 통해 지대주 고정나사(14)가 삽입되어 지대주(15)를 관통하여 임플란트 고정체(13)에 나사결합하며, 상기 결합홀(17)에는 지피콘(GP cone)(18)이 삽입된 후 레진(resin)(19)이 충진된다.
상기 지피콘(GP cone)(18)은 고체상태의 합성수지재 충전대체물로서, 임플란트 보수 또는 대체시 상측의 레진(19)을 긁어낸후, 지피콘(18)을 제거하여 지대주 고정나사(14)를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도록 사용된다.
한편, 상기 지대주(15)는 내측에 관통홀(15a)이 형성된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는 티타튬합금으로 제작된다.
상기 지대주(15)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16)과 하측의 임플란트 고정체(13)를 지지하는 역활을 수행하기 위해,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16)의 내측으로 밀착삽입되는 바디부(15b)와; 상기 바디부(15b)의 하측에 형성되며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16)의 저면이 안착되는 지지부(15c)와; 임플란트 고정체(13)를 삽입하기 위해 치조골(1)에 나사공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함몰부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일정 경사가 형성된 경사부(15d)와; 임플란트 고정체(13)의 상단부에 밀착되는 안착부(15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대주(1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16) 중앙에 형성된 결합홀(17)의 내측에 레진을 도포한 후 삽입하여 견고하게 결합된다. 물론, 지대주(15)의 바디부(15b)에 레진을 도포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지대주(15)의 바디부(15b)는 원통상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서로간에 회전하면서 결합력이 떨어질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바디부(15b)에는 길이 방향으로 홈을 이루는 회전방지부(15f)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16)의 결합홀(17) 내측 또는 지대주(15)의 바디부(15b)에 도포되는 레진의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회전방지부(15f)에 유입되어 경화되면, 축방향의 회전을 방지하는 턱을 형성하게 되어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16)과 지대주(15)의 회전을 방지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상기 회전방지부(15f)를 명확하게 표시하기 위해 지대주(15)의 사시도를 도 8에 도시하였다.
특히, 상기 지대주(15)는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16)에 적용하기 위해 종래 제품에 비해 현저한 구조의 변화를 통해 기술적 특이성이 강화되었다.
즉,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16)이 일정 이상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 두께 'D'가 두꺼워져야 하므로, 지대주(15)의 직경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원발명에서는 원통상 구조를 갖도록 바디부(15b)를 형성하였으며, 상기 바디부(15b)는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16)의 중앙부에 구비된 결합홀(17) 내측에 밀착삽입되며, 접착제(도면미표시)에 의해 고정결합된다.
이때,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16)의 저면은 지대주(15)의 하측에 구비된 지지부(15c)의 상측에 밀착되는데, 상기 지지부(15c)의 길이 A1, A2는 0.1 ∼ 2mm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대주(15)의 하측에 형성된 머리부위는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16)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치조골(1)에 결합되어 있는 임플란트 고정체(13)와 결합하게 되는데, 임플란트 고정체(13)의 상측 머리부분이 지대주의 내측 안쪽에 구비된 안착부 저면에 밀착된다.
또한, 시술과정에서 치조골(1)의 상측이 노출되지 않는 경우(도 5), 지조골(1)의 상측이 노출되는 경우(도 6)이 발생되는 바, 본 발명의 지대주(15) 두 경우 모두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경사부(15d)가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부(15d)의 각도 B1, B2는 10° ∼ 45°범위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홀(17) 상부는 레진(19)으로 충진되는데, 레진(19)과 결합홀(17)의 상측부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변색이 진행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홀(17)의 상측부는 레진(19) 충진후 리튬 디실리케이트로 이루어진 마감부재(30)로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치아는 사용하면서 밀려나가거나 밀려들어오는 등 위치변동이 발생되어 인접한 다른 치아와의 사이에 틈이 벌어지는 경우 발생되며, 이런 경우 치과에서는 틈을 레진으로 메꾸는 치과치료가 진행된다.
본원 발명과 같은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16)은 재질 특성상 지르코니아에 비해 외측 표면부에 레진이 비교적 잘 붙는 장점이 있으나 이를 보다 강화하기 위해 본원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16)의 일측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첨가수정부(40)를 형성하고, 상기 첨가수정부(40)에는 레진(19)를 미리 충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따라서, 치아에 틈이 발생되는 경우 첨가수정부(40)에 미리 충진된 레진(19)의 외측으로 다시 레진을 도포하여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와 인접치아(T) 사이의 틈을 용이하게 없앨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 보철은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제조된다.
먼저, 리튬 디실리케이트 재질의 잉곳(20)을 가공하여 중앙에 결합홀(17)이 형성된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16)을 제작하는 단계(S1)가 진행된다.
상기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16)을 제작하는 단계(S1)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의 형상이 구비된 금형(21)에 고온에서 가열되어 녹아진 잉곳(20)을 프레스가압하여 성형하거나 또는 3D 스캐닝(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획득한 가공데이타를 통해 잉곳(20)을 깍아서 성형하는 것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결합홀(17)의 하측방향에서 지대주(15)를 결합하는 단계(S2), 상기 지대주(15)를 임플란트 고정체(13)에 안착시키는 단계(S3), 상기 결합홀(17)을 통해 상측방향에서 지대주 고정나사(14)를 삽입하여 나사결합하는 단계(S4), 상기 결합홀(17)의 내측으로 지피콘(18)을 삽입하는 단계(S5), 상기 지피콘(18)의 상측으로 레진(19)을 충진하는 단계(S6)가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또한, 상기 레진(19)의 상측에는 결합홀(17) 상측 표면부에 변색부가 생기지 않도록 리튬 디실리케이트 재질의 마감부재(30)를 접착제로 밀착결합시켜 마감처리하는 단계(S7)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16)은 인접치아(T)에 밀착하는 부위를 에딩공정을 통해 일정부분 깍아내 첨가수정부(40)를 형성하고, 상기 첨가수정부(40)에 깍여진 형상만큼 레진(19)을 충진시키는 단계(S8)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 : 치조골 2 : 잇몸
3 : 고정체 4 : 고정나사
5 : 임플란트 지대주 6 : 크라운
13 : 임플란트 고정체 14 : 지대주 고정나사
15 : 지대주 15a: 관통홀
15b : 바디부 15c: 지지부
15d : 경사부 15e : 안착부
15f : 회전방지부
16 :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 17 : 결합홀
18 : 지피콘 19 : 레진
20 : 잉곳 21 : 금형
30 : 마감부재 31 : 변색부
40 : 첨가수정부

Claims (9)

  1. 단일기재로 이루어진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홀의 하측 방향에서 레진에 의해 금속재의 지대주를 결합하며, 상기 지대주는 치조골의 내측에 삽입고정되는 임플란트 고정체의 상측에 안착결합되고, 상기 결합홀을 통해 지대주 고정나사가 삽입되어 지대주의 관통홀를 관통하여 임플란트 고정체에 나사결합하는 임플란트 보철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15)는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16)의 내측으로 밀착삽입되는 원통상 구조의 바디부(15b)와; 상기 바디부(15b)의 하측에 형성되며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16)의 저면이 안착되는 지지부(15c)와; 임플란트 고정체(13)를 삽입하기 위해 치조골(1)에 나사공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함몰부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일정 경사가 형성된 경사부(15d)와; 임플란트 고정체(13)의 상단부에 밀착되는 안착부(15e)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대주(15)가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16)의 내측에서 회전하면서 결합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바디부(15b)에는 길이 방향으로 홈을 이루는 회전방지부(15f)가 더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 보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5c)의 길이 A1, A2는 0.1 ∼ 2mm 범위에서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15d)의 각도 B1, B2는 10° ∼ 45°범위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 보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17)의 상측부는 레진(19) 충진후 리튬 디실리케이트로 이루어진 마감부재(30)로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 보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16)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첨가수정부(40)가 형성되고, 상기 첨가수정부(40)에는 레진(19)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 보철.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0016259A 2015-02-02 2015-02-02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 보철 KR101645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259A KR101645357B1 (ko) 2015-02-02 2015-02-02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 보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259A KR101645357B1 (ko) 2015-02-02 2015-02-02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 보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357B1 true KR101645357B1 (ko) 2016-08-03

Family

ID=56708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259A KR101645357B1 (ko) 2015-02-02 2015-02-02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 보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3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632B1 (ko) * 2020-04-20 2021-04-30 조용문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조립체
KR102299033B1 (ko) * 2020-10-06 2021-09-07 엄상호 크라운과 임플란트 지대주의 결합력이 강화된 임플란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9656A (ja) * 2003-05-09 2004-11-25 Gc Corp ブリッジ用人工歯様補綴物
KR100537218B1 (ko) * 2003-03-13 2005-12-16 허영구 나사/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JP2007502178A (ja) * 2003-08-15 2007-02-08 ジャネット メルマン 歯科補助物を生産するための半完成品及び方法
KR20140103630A (ko) * 2013-02-19 2014-08-27 윤장훈 플러그 타입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218B1 (ko) * 2003-03-13 2005-12-16 허영구 나사/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JP2004329656A (ja) * 2003-05-09 2004-11-25 Gc Corp ブリッジ用人工歯様補綴物
JP2007502178A (ja) * 2003-08-15 2007-02-08 ジャネット メルマン 歯科補助物を生産するための半完成品及び方法
KR20140103630A (ko) * 2013-02-19 2014-08-27 윤장훈 플러그 타입 임플란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632B1 (ko) * 2020-04-20 2021-04-30 조용문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조립체
KR102299033B1 (ko) * 2020-10-06 2021-09-07 엄상호 크라운과 임플란트 지대주의 결합력이 강화된 임플란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5222B2 (en) Method of dental implant restoration
US9763753B2 (en) Method of dental implant restoration
US20180055608A1 (en) Integrated support device for providing temporary primary stability to dental implants and prosthesis, and related methods
Edelhoff et al. Metal-free implant-supported single-tooth restorations. Part II: Hybrid abutment crowns and material selection.
US10299888B2 (en) Pedodontic/veterinary dental crown system
McLaren et al. Feldspathic veneers: what are their indications
CA2793933C (en) A method of dental implant restoration
US20100028835A1 (en) Pedodontic/veterinary dental crown system
US4789649A (en) Micaceous-cordierite-glass ceramic
KR101781087B1 (ko)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고정체
Edelhoff et al. Metal-free implant-supported single-tooth restorations. Part I: Abutments and cemented crowns.
US20130209961A1 (en) Dental Implant Assembly, Implant, and Prosthesis to Replace a Nonfunctional Natural Tooth and Related Methods
WO2016055019A1 (zh) 一种牙科修复方法
JP2015504315A (ja) 多角度に製作されるコアクラウンの収容が可能であり、キャップを取り付けるとヒーリングアバットメントの機能を行うアバットメントと、それを用いたインプラント補綴物の製造方法及びインプラント手術方法
US20150216635A1 (en) Blank and process for producing a dental restoration by subtractive machining
KR101645357B1 (ko)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 보철
Liddelow et al. The restoration of traumatized teeth
US20150079408A1 (en) Modified porcelain veneer for bonding to bioceramics
EP3610824B1 (en) Dental prosthesis
US20150111173A1 (en) Method of making a dental restoration that inhibits tooth demineralization
KR101265969B1 (ko) 최적의 어뎁테이션을 얻을 수 있는 정밀가공 맞춤형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Newsome Use of ceramic materials in the restoration of posterior teeth
Kaur et al. Esthetic Restorations and Smile Designing: A Review
JPS62108750A (ja) 雲母・アイオライト系ガラスセラミツク材料
WO2013124260A2 (en) Dental implant assembly, implant, prosthesis to replace a nonfunctional natural tooth, integrated support device for providing temporary primary stability to dental implants and prosthesis, and relate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