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033B1 - 크라운과 임플란트 지대주의 결합력이 강화된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크라운과 임플란트 지대주의 결합력이 강화된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033B1
KR102299033B1 KR1020200128834A KR20200128834A KR102299033B1 KR 102299033 B1 KR102299033 B1 KR 102299033B1 KR 1020200128834 A KR1020200128834 A KR 1020200128834A KR 20200128834 A KR20200128834 A KR 20200128834A KR 102299033 B1 KR102299033 B1 KR 102299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abutment
crown
implant abutment
patter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상호
Original Assignee
엄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상호 filed Critical 엄상호
Priority to KR1020200128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033B1/ko
Priority to PCT/KR2021/000720 priority patent/WO202207553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25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9Consolidating prostheses or implants, e.g. by means of stabilising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3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with a surface layer,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having a cylindrical implant connect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술이 완료된 크라운과 임플란트 지대주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결합구조를 갖는 크라운과 임플란트 지대주의 결합력이 강화된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임플란트 지대주와 크라운은 단순히 접착 결합되어 장시간 반복사용시 양자가 서로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조골의 내측에는 임플란트 고정체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임플란트 고정체의 상측에는 임플란트 지대주가 안착결합되며, 상기 임플란트 고정체의 상측에 형성된 삽입홀에는 임플란트 지대주를 상측에서 관통한 지대주 고정나사가 임플란트 고정체와 임플란트 지대주를 나사 결합하고, 상기 임플란트 지대주의 상측에는 크라운이 임플란트 지대주 외측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임플란트에 있어서, 원통상 구조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지대주의 외측면에는 일정한 패턴을 갖는 단수 또는 복수의 제1패턴홈이 형성되고, 상기 크라운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측면에는 일정한 패턴을 갖는 단수 또는 복수의 제2패턴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패턴홈와 제2패턴홈은 임플란트 지대주와 크라운의 가공단계에서 수동절삭기 또는 컴퓨터에 의한 CNC 밀링 절삭 공정에 의해 서로 다른 높이에서 엇갈리는 구조를 이루거나 또는 동일 높이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패턴홈와 제2패턴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레진 또는 시멘트형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성분이 채워져 티타늄 재질의 임플란트 지대주와 지르코니아 재질의 크라운이 작업실에서 미리 고정결합되고, 시술후 임플란트를 보수할 경우 지대주 고정나사의 나사결합을 해체하여 크라운에 고정된 임플란트 지대주와 치조골에 설치된 임플란트 고정체를 분리하는 스크류 타입(screw type)의 임플란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과 임플란트 지대주의 결합력이 강화된 임플란트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한 크라운과 임플란트 지대주의 결합력이 강화된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지대주의 외측면에 제1패턴홈을 형성하고, 크라운의 관통홀 내측면에 제2패턴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1패턴홈와 제2패턴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레진 또는 시멘트형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성분이 채워져, 임플란트 지대주와 크라운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구조의 제1패턴홈과 제2패턴홈을 수동절삭기 또는 컴퓨터에 의한 CNC 밀링 가공에 의해 간단하게 구현하여, 크라운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결합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크라운과 임플란트 지대주의 결합력이 강화된 임플란트{Implant with enhanced cohesion between crown and implant abutmen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지대주의 외측면에 제1패턴홈을 형성하고, 크라운의 관통홀 내측면에 제2패턴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1패턴홈와 제2패턴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레진 또는 시멘트형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성분이 채워져, 임플란트 지대주와 크라운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크라운과 임플란트 지대주의 결합력이 강화된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아를 대신할 수 있는 인공치아의 식립을 통해 건강한 구강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흔히 사용하는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는 시간이 지나면 주위의 치아와 뼈를 상하게 하는 단점이 있으나, 치과용 임플란트는 주위의 치아 조직을 상하게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연 치아와 기능 및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결손된 자연치아를 대신할 인공치아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주로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 픽스츄어 상부에 형성되는 어버트먼트 및 어버트먼트 위에 연결되는 보철물을 포함한다.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치조골에 픽스츄어를 식립하고, 이 픽스츄어에 나사를 이용하여 어버트먼트를 고정되게 결합한후, 어버트먼트에 인공치아를 시멘트를 사용하여 고정되게 씌우는 것이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10-0054646호(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에서는 마찰력에 의해 임플란트용 고정체(픽스츄어)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위 선행기술1에서는 보철물과 결합되는 보철물결합부가 상부에 마련되고 이 보철물결합부과 하나로 이어지게 임플란트의 상부가 마찰 결합되는 임플란트결합부가 하부에 마련되는 구성과, 임플란트결합부가 하단에서 상단으로 좁아지게 테이퍼지고 테이퍼진 각은 중심축에 대해 1°~ 4°인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나, 임플란트결합부의 테이퍼각이 약 3°보다 작은 경우에 어버트먼트가 임플란트결합부에 깊게 결합될수록 마찰력이 급격히 커져 시술자가 꾹 누르는 힘만으로는 어버트먼트가 임플란트결합부에 제대로 결합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관련 도구를 사용하더라도 시술자가 원하는 깊이만큼 정확하게 임플란트결합부에 결합되기 어려웠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공개특허 제10-2012-0010343호(마찰력이 향상된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이하, '선행기술2'라 함)에서는 어버트먼트 또는 임플란트결합부의 내면에 다양한 형태의 마찰형성홈을 선택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임플란트결합부와의 마찰력이 결합할때 보다 분리할 때 훨씬 크게 발생되는 마찰력이 향상된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위 선행기술2는 임플란트 지대주(어버트먼트)와 임플란트 고정체(픽스쳐)의 결합성을 강화하기 위한 기술이므로, 실질적으로 음식물에 맞닫는 최 상부에 안착되는 크라운의 결합성의 향상에는 전혀 관련이 없는 기술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임플란트 지대주의 외측면에 제1패턴홈을 형성하고, 크라운의 관통홀 내측면에 제2패턴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1패턴홈와 제2패턴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레진 또는 시멘트형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성분이 채워져, 임플란트 지대주와 크라운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크라운과 임플란트 지대주의 결합력이 강화된 임플란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크라운과 임플란트 지대주의 결합력이 강화된 임플란트는 치조골의 내측에는 임플란트 고정체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임플란트 고정체의 상측에는 임플란트 지대주가 안착결합되며, 상기 임플란트 고정체의 상측에 형성된 삽입홀에는 임플란트 지대주를 상측에서 관통한 지대주 고정나사가 임플란트 고정체와 임플란트 지대주를 나사 결합하고, 상기 임플란트 지대주의 상측에는 크라운이 임플란트 지대주 외측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임플란트에 있어서, 원통상 구조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지대주의 외측면에는 일정한 패턴을 갖는 단수 또는 복수의 제1패턴홈이 형성되고, 상기 크라운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측면에는 일정한 패턴을 갖는 단수 또는 복수의 제2패턴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패턴홈와 제2패턴홈은 임플란트 지대주와 크라운의 가공단계에서 수동절삭기 또는 컴퓨터에 의한 CNC 밀링 절삭 공정에 의해 서로 다른 높이에서 엇갈리는 구조를 이루거나 또는 동일 높이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패턴홈와 제2패턴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레진 또는 시멘트형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성분이 채워져 티타늄 재질의 임플란트 지대주와 지르코니아 재질의 크라운이 작업실에서 미리 고정결합되고, 시술후 임플란트를 보수할 경우 지대주 고정나사의 나사결합을 해체하여 크라운에 고정된 임플란트 지대주와 치조골에 설치된 임플란트 고정체를 분리하는 스크류 타입(screw type)의 임플란트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크라운과 임플란트 지대주의 결합력이 강화된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지대주의 외측면에 제1패턴홈을 형성하고, 크라운의 관통홀 내측면에 제2패턴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1패턴홈와 제2패턴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레진 또는 시멘트형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성분이 채워져, 임플란트 지대주와 크라운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구조의 제1패턴홈과 제2패턴홈을 컴퓨터에 의한 CNC 밀링 가공에 의해 간단하게 구현하여, 크라운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결합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크라운과 임플란트 지대주의 결합력이 강화된 임플란트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a 내지 3d은 도 1의 제1패턴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제2패턴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2의 다른 실시예로서, 임플란트 고정체와 임플란트 지대주 사이에 하우징이 구비된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임플란트 고정체의 상측에 결합되는 임플란트 지대주와 상기 지대주의 상측에 결합되는 크라운에 각각 패턴홈을 형성하여, 임플란트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제안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크라운과 임플란트 지대주의 결합력이 강화된 임플란트는 치조골(1)의 내측에는 임플란트 고정체(10)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임플란트 고정체(10)의 상측에는 원통상 구조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지대주(30)가 안착결합되며, 상기 임플란트 고정체(10)의 상측에 형성된 삽입홀(11)에는 임플란트 지대주(30)를 상측에서 관통한 지대주 고정나사(40)가 임플란트 고정체(10)와 임플란트 지대주(30)를 나사 결합하고, 상기 임플란트 지대주(30)의 상측에는 크라운(50)이 임플란트 지대주(30) 외측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
특히, 스크류 타입(screw type)의 임플란트는 티타늄 재질의 임플란트 지대주(30)와 지르코니아 재질의 크라운(50)이 작업실에서 미리 고정되어 나가게 되며, 시술후 임플란트를 보수할 경우 고정나사(40)에 임플란트 고정체(10)와 분리될 뿐, 임플란트 지대주(30)와 크라운(50)을 분리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크라운(50)의 관통홀(51)에는 고체상태의 합성수지 충전물인 지피콘(GP cone)(110)이 삽입된 후 레진(120)이 충진되며, 임플란트 보수 또는 대체시 상측의 레진(120)을 긁어낸후, 지피콘(110)을 제거하여 지대주 고정나사(30)를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도록 사용된다.
최근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기술이 새롭게 개발됨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임플란트 고정체를 전문업체에서 공급받고, 치아에 식재되는 임플란트의 형상을 3D로 미리 구현할 수 있게 되었으며, 임플란트 고정체에 결합되는 임플란트 지대주와 크라운 역시 수동절삭기 또는 기공소에 구비된 컴퓨터 CNC 밀링머신에서 필요한 크기 및 다양한 구조로 가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수동절삭기 또는 기공소에 구비된 컴퓨터 CNC 밀링머신에 의해 임플란트 지대주(30)의 외면과 크라운(50)의 내면에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에 접착성분을 추가하여 유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구성을 제안한다.
즉, 장시간 반복 사용시에도 임플란트 지대주(30)와 크라운(50)의 견고한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원통상 구조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지대주(30)의 외측면에는 일정한 패턴을 갖는 단수 또는 복수의 제1패턴홈(100)이 형성되고, 상기 크라운(50)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51)의 내측면에는 일정한 패턴을 갖는 단수 또는 복수의 제2패턴홈(200)이 형성되며, 상기 제1패턴홈(100)와 제2패턴홈(2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레진(120) 또는 시멘트형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성분이 채워지는 것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제1패턴홈(100)와 제2패턴홈(200)은 임플란트 지대주(30)와 크라운(50)의 가공단계에서 수동절삭기 또는 컴퓨터에 의한 CNC 밀링 절삭 공정에 의해 임플란트 지대주의 외주면과, 크라운의 관통홀 내주면에 형성되며, 물론, 별도의 외부업체를 통해 원하는 구조를 형성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 제1패턴홈(100)과 제2패턴홈(200)는 동일 높이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구조를 이루거나, 또는 서로 다른 높이에서 엇갈리는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패턴홈(100)과 제2패턴홈(200)은 단면이 반원형, 직사각형, 좌측파형, 우측파형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패턴홈(100)은 임플란트 지대주(40)의 외주면을 따라 수직 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 골을 형성하고, 상기 제2패턴홈(200)은 크라운(50)의 내주면을 따라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 골을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
도 4는 크라운(50)의 제2패턴홈(200)이 단면이 반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한 것이고, 도 5는 크라운(50)의 제2패턴홈(200)이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골을 형성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며, 도 6은 크라운(50)의 제2패턴홈(200)이 수평방향으로 파형 패턴을 형성하면서 복수의 골을 형성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임플란트 고정체(10)의 상측 중앙부에는 단면이 다각형으로 이루는 삽입홀(1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11)에는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20)이 삽입되어 접착제에 의해 밀착결합되며, 상기 하우징(20)의 상측에는 임플란트 지대주(30)가 안착결합되며, 상기 하우징(20)의 상측에 형성된 결합홀(21)에는 임플란트 지대주(30)를 상측에서 관통한 지대주 고정나사(40)가 하우징(20)과 임플란트 지대주(30)를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20)은 임플란트 고정체(10)에 삽입후 유동 또는 회전되지 않도록 단면이 다각형 형상을 이루고, 하우징(20)과 임플란트 고정체(10)의 결합각도는 수직을 이루되, 상기 삽입홀(11)의 내측면에는 시멘트형 접착제가 도포된 후 하우징(20)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 치조골
10 : 임플란트 고정체 11: 삽입홀
12 : 안착부 20 : 하우징
21 : 결합홀 22: 안착돌기
30 : 임플란트 지대주 40 : 지대주 고정나사
50 : 크라운 51 : 관통홀
100: 제1패턴홈 110: 지피콘
120: 레진 200: 제2패턴홈

Claims (7)

  1. 치조골의 내측에는 임플란트 고정체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임플란트 고정체의 상측에는 임플란트 지대주가 안착결합되며, 상기 임플란트 고정체의 상측에 형성된 삽입홀에는 임플란트 지대주를 상측에서 관통한 지대주 고정나사가 임플란트 고정체와 임플란트 지대주를 나사 결합하고, 상기 임플란트 지대주의 상측에는 크라운이 임플란트 지대주 외측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임플란트에 있어서,
    원통상 구조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지대주(30)의 외측면에는 일정한 패턴을 갖는 단수 또는 복수의 제1패턴홈(100)이 형성되고, 상기 크라운(50)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51)의 내측면에는 일정한 패턴을 갖는 단수 또는 복수의 제2패턴홈(200)이 형성되며,
    상기 제1패턴홈(100)와 제2패턴홈(200)은 임플란트 지대주(30)와 크라운(50)의 가공단계에서 수동절삭기 또는 컴퓨터에 의한 CNC 밀링 절삭 공정에 의해 서로 다른 높이에서 엇갈리는 구조를 이루거나 또는 동일 높이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패턴홈(100)와 제2패턴홈(2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레진(120) 또는 시멘트형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성분이 채워져 티타늄 재질의 임플란트 지대주(30)와 지르코니아 재질의 크라운(50)이 작업실에서 미리 고정결합되고,
    시술후 임플란트를 보수할 경우 지대주 고정나사(40)의 나사결합을 해체하여 크라운(50)에 고정된 임플란트 지대주(30)와 치조골에 설치된 임플란트 고정체(10)를 분리하는 스크류 타입(screw type)의 임플란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과 임플란트 지대주의 결합력이 강화된 임플란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홈(100)과 제2패턴홈(200)은 단면이 반원형, 직사각형, 좌측파형, 우측파형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과 임플란트 지대주의 결합력이 강화된 임플란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홈(100)은 임플란트 지대주(30)의 외주면을 따라 수직 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 골을 형성하고, 상기 제2패턴홈(200)은 크라운(50)의 내주면을 따라 수직 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 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과 임플란트 지대주의 결합력이 강화된 임플란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고정체(10)의 상측 중앙부에는 단면이 다각형으로 이루는 삽입홀(1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11)에는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20)이 삽입되어 접착제에 의해 밀착결합되며,
    상기 하우징(20)의 상측에는 임플란트 지대주(30)가 안착결합되며, 상기 하우징(20)의 상측에 형성된 결합홀(21)에는 임플란트 지대주(30)를 상측에서 관통한 지대주 고정나사(40)가 하우징(20)과 임플란트 지대주(30)를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과 임플란트 지대주의 결합력이 강화된 임플란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50)의 관통홀(51)에는 고체상태의 합성수지 충전물인 지피콘(GP cone)(110)이 삽입된 후 레진(120)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과 임플란트 지대주의 결합력이 강화된 임플란트.
  6. 삭제
  7. 삭제
KR1020200128834A 2020-10-06 2020-10-06 크라운과 임플란트 지대주의 결합력이 강화된 임플란트 KR102299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834A KR102299033B1 (ko) 2020-10-06 2020-10-06 크라운과 임플란트 지대주의 결합력이 강화된 임플란트
PCT/KR2021/000720 WO2022075535A1 (ko) 2020-10-06 2021-01-19 크라운과 임플란트 지대주의 결합력이 강화된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834A KR102299033B1 (ko) 2020-10-06 2020-10-06 크라운과 임플란트 지대주의 결합력이 강화된 임플란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033B1 true KR102299033B1 (ko) 2021-09-07

Family

ID=77796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834A KR102299033B1 (ko) 2020-10-06 2020-10-06 크라운과 임플란트 지대주의 결합력이 강화된 임플란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9033B1 (ko)
WO (1) WO202207553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51976A1 (en) * 2005-09-16 2012-10-04 Mehrhof Juergen Two-part dental implant
KR20150089419A (ko) * 2014-01-28 2015-08-05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치과용 임플란트의 완충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KR101645357B1 (ko) * 2015-02-02 2016-08-03 엄상호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 보철
KR101781087B1 (ko) * 2015-12-10 2017-10-10 엄상호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고정체
KR20180002942U (ko) * 2017-04-04 2018-10-15 디자인치과기공소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271B1 (ko) * 2008-10-20 2009-08-17 주식회사 쎄타텍 크라운 일체형 지대주 및 그 제작방법
KR20200014645A (ko) * 2018-08-01 2020-02-11 (주)마이핏 구강내 스캐닝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보철물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51976A1 (en) * 2005-09-16 2012-10-04 Mehrhof Juergen Two-part dental implant
KR20150089419A (ko) * 2014-01-28 2015-08-05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치과용 임플란트의 완충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KR101645357B1 (ko) * 2015-02-02 2016-08-03 엄상호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 보철
KR101781087B1 (ko) * 2015-12-10 2017-10-10 엄상호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고정체
KR20180002942U (ko) * 2017-04-04 2018-10-15 디자인치과기공소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75535A1 (ko) 2022-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2353B1 (ko) 치아 임플란트
KR102302292B1 (ko) 맞춤형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임프레션 포스트 용 몰드
JP4364125B2 (ja) フィクスチャーの埋入のための装置
KR100537219B1 (ko) 나사/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 및 나사/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16012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EP1296611B1 (en) Final dental restoration with standoffs
US20060141418A1 (en) Method for treating a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abutment and implant for a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JP2008531095A (ja) 歯科インプラント及び歯科ドリル
KR101669893B1 (ko) 임플란트의 2중 구조 어버트먼트
JP2010207276A (ja) 歯科インプラントのアバットメント用ワックス模型台
JP2016507293A (ja) 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用のガイドステント
KR10130741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2299033B1 (ko) 크라운과 임플란트 지대주의 결합력이 강화된 임플란트
KR101025225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1707596B1 (ko) 치과 임플란트의 상호 호환용 어버트먼트
KR20200014558A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WO2004080327A1 (en) Method for treating a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and adjustment for a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KR101663623B1 (ko) 분리형 임플란트 구조체 가공 블록
JPH05503441A (ja) 歯科補綴用の装置及び方法
KR10120866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US5803735A (en) Food ingress shield for dental prosthodontic apparatus
KR100597392B1 (ko) 치과 임플란트, 임프레션 코핑 및 랩 아날로그
KR101592395B1 (ko) 맞춤형 지대주 제조방법
KR102599233B1 (ko) 임플란트 크라운 cad 전용 라이브러리 및 크라운 가공용 툴
KR102597277B1 (ko) 임플란트용 실린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