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8228A -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8228A
KR20130018228A KR1020127021208A KR20127021208A KR20130018228A KR 20130018228 A KR20130018228 A KR 20130018228A KR 1020127021208 A KR1020127021208 A KR 1020127021208A KR 20127021208 A KR20127021208 A KR 20127021208A KR 20130018228 A KR20130018228 A KR 20130018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ment
cosmetics
base makeup
pearl pigment
following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1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1795B1 (ko
Inventor
가즈히로 나카무라
히데야스 이시바시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18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7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1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ir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하기 식 (1) 및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관계식을 만족하고, 또한, 화장료의 색상각이 40°~ 80°의 범위인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이며, (C*45) 및 (∠h*45) 는 각각, 상기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를 도포하여 얻어진 도포층 표면을 수광면으로 하고, 그 수광면에 대해 -45°방향에서 광을 입사했을 때, 정반사 방향 (45°방향) 의 반사광의 채도 (C*45) 및 색상각 (∠h*45) 을 나타내고, (C*0) 및 (∠h*0) 은 각각, 그 수광면에 대해 -45°방향에서 광을 입사했을 때, 확산 반사 방향 (0°방향) 의 반사광의 채도 (C*0) 및 색상각 (∠h*0) 을 나타낸다.
식 (1) : (C*0) - (C*45) ≤ 2.0
식 (2) : |(∠h*0) - (∠h*45)| ≤ 1.5.

Description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및 그 제조 방법 {BASE MAKEUP COSMETIC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운데이션 등의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에는, 혈행 불량이나 색소의 침착에 의해 나이가 들어가면서 느껴지는 피부색의 칙칙함 (명도가 저하되어 황색의 채도가 상승한 상태) 을 커버하는 것과 함께, 마무리의 색조가 자연스러운 것에 대해서도 요구되고 있다.
맨살의 질감을 저해시키지 않고, 피부색의 칙칙함을 개선하는 것에 주목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청색 간섭 마이카를 파운데이션에 배합함으로써, 명도, 푸르스름함과 함께, 투명감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39929호 참조).
또, 높은 자외선 차폐능을 갖고, 가시광에 대한 투명성이 높고, 양호한 사용감을 얻기 위해서, 금속 산화물 플레이크를 사용한 복합 분체 및 그것을 사용한 화장료 등도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315859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71417 호 참조).
그러나, 종래의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에서는, 피부에 도포했을 때 나타나는 색조의 그라데이션이, 관찰하는 각도를 바꾸었을 경우나 얼굴의 올록볼록한 부분에 있어서, 급격하게 변화되는 경우가 있어, 보는 사람에게 부자연스러운 인상을 주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피부에 도포되었을 때에, 관찰 각도에 따른 그라데이션의 급격한 변화가 억제된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양태를 포함한다.
[1] 적어도, 색재 안료, 펄 안료, 및 유제를 혼합함으로써, 하기 식 (1) 및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관계식을 만족하고, 또한, 화장료의 색상각이 40°~ 80°의 범위가 되도록 조정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체질 안료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상기 체질 안료, 상기 펄 안료, 및 상기 유제를 사용하여 조제한 혼합물의 색상각이 50°~ 80°의 범위이며, 체질 안료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펄 안료, 및 상기 유제를 사용하여 조제한 혼합물의 색상각이 50°~ 80°의 범위이며, 또한,
상기 펄 안료의 함유량이 화장료의 전체 질량에 대해 7 질량% 이상인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의 제조 방법 :
식 (1) : (C*0) - (C*45) ≤ 2.0
식 (2) : |(∠h*0) - (∠h*45)| ≤ 1.5
(C*45) 및 (∠h*45) 는 각각, 상기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를 도포하여 얻어진 도포층 표면을 수광면으로 하고, 그 수광면에 대해 -45°방향에서 광을 입사했을 때, 정반사 방향 (45°방향) 의 반사광의 채도 (C*45) 및 색상각 (∠h*45) 을 나타내고, (C*0) 및 (∠h*0) 은 각각, 그 수광면에 대해 -45°방향에서 광을 입사했을 때, 확산 반사 방향 (0°방향) 의 반사광의 채도 (C*0) 및 색상각 (∠h*0) 을 나타낸다.
[2] 상기 펄 안료가 금색 펄 안료 및 적색 펄 안료의 혼합물인 [1] 에 기재된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의 제조 방법.
[3] 상기 체질 안료가 운모, 세리사이트, 및 탤크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체질 안료이고, 상기 색재 안료가 황색 산화철, 적색 산화철, 흑색 산화철, 및 산화 티탄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색재 안료이고, 상기 펄 안료가 산화 티탄 피복 운모, 산화 티탄 피복 유리 플레이크, 및 산화 티탄 피복 탤크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펄 안료인 [1] 또는 [2] 에 기재된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의 제조 방법.
[4] 상기 펄 안료의 배합량과 상기 색재 안료의 배합량을 조정하는 [1] ~ [3] 중 어느 1 항에 기재된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의 제조 방법.
[5] 하기 식 (1) 및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관계식을 만족하고, 또한, 화장료의 색상각이 40°~ 80°의 범위인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
식 (1) : (C*0) - (C*45) ≤ 2.0
식 (2) : |(∠h*0) - (∠h*45)| ≤ 1.5
(C*45) 및 (∠h*45) 는 각각, 상기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를 도포하여 얻어진 도포층 표면을 수광면으로 하고, 그 수광면에 대해 -45°방향에서 광을 입사했을 때, 정반사 방향 (45°방향) 의 반사광의 채도 (C*45) 및 색상각 (∠h*45) 을 나타내고, (C*0) 및 (∠h*0) 은 각각, 그 수광면에 대해 -45°방향에서 광을 입사했을 때, 확산 반사 방향 (0°방향) 의 반사광의 채도 (C*0) 및 색상각 (∠h*0) 을 나타낸다.
[6] 하기 식 (1') 및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관계식을 만족하는 [5] 에 기재된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식 (1') : (C*0) - (C*45) ≤ 1.5
식 (2') : |(∠h*0) - (∠h*45)| ≤ 1.5
[7] 하기 식 (1a) 및 하기 식 (2a) 로 나타내는 관계식을 만족하는 [5] 또는 [6] 에 기재된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식 (1a) : (C*0) - (C*45) ≤ 1.0
식 (2a) : |(∠h*0) - (∠h*45)| ≤ 1.0
[8] 하기 식 (1b) 로 나타내는 관계식을 만족하는 [5] ~ [7] 중 어느 1 항에 기재된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식 (1b) : -5≤(C*0) - (C*45) ≤ 0
[9] 하기 식 (1c) 로 나타내는 관계식을 만족하는 [5] ~ [8] 중 어느 1 항에 기재된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식 (1c) : |(C*0) - (C*45)| ≤ 1.5
[10] 하기 식 (3) 으로 나타내는 관계식을 만족하는 [5] ~ [9] 중 어느 1 항에 기재된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
식 (3) : (L*45) - (L*0) ≥ 5.0
(L*45) 및 (L*0) 은 각각, 상기 수광면에 대해, -45°방향에서 광을 입사했을 때, 정반사 방향 (45°방향) 의 반사광의 명도 (L*45) 및 확산 반사 방향 (0°방향) 의 반사광의 명도 (L*0) 을 나타낸다.
[11] 적어도, 색재 안료, 펄 안료, 및 유제를 함유하고,
체질 안료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상기 체질 안료, 상기 펄 안료, 및 상기 유제를 사용하여 조제한 혼합물의 색상각이 50°~ 80°의 범위이며, 체질 안료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펄 안료, 및 상기 유제를 사용하여 조제한 혼합물의 색상각이 50°~ 80°의 범위이며, 또한,
상기 펄 안료의 함유량이 화장료의 전체 질량에 대해 7 질량% 이상인 [5] ~ [10] 중 어느 1 항에 기재된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12] 상기 펄 안료가 금색 펄 안료 및 적색 펄 안료의 혼합물인 [11] 에 기재된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13] 상기 체질 안료가 운모, 세리사이트, 및 탤크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체질 안료이고, 상기 색재 안료가 황색 산화철, 적색 산화철, 흑색 산화철, 및 산화 티탄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색재 안료이고, 상기 펄 안료가 산화 티탄 피복 운모, 산화 티탄 피복 유리 플레이크, 및 산화 티탄 피복 탤크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펄 안료인 [11] 또는 [12] 에 기재된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14] 파우더 파운데이션, 리퀴드 파운데이션, 또는 크림 파운데이션인 [5] ~ [13] 중 어느 1 항에 기재된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에 도포되었을 때에, 관찰 각도에 따른 그라데이션의 급격한 변화가 억제된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본 발명의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이하, 적절히, 「화장료」라고 칭한다) 는 도포층 표면을 수광면으로 하고, 그 수광면에 대해 -45°방향에서 광을 입사했을 때, 정반사 방향 (45°방향) 의 반사광의 채도 (C*45) 및 색상각 (∠h*45) 과, 확산 반사 방향 (0°방향) 의 반사광의 채도 (C*0) 및 색상각 (∠h*0) 이 하기 식 (1) 및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관계식을 만족하고, 또한, 화장료의 색상각이 40°~ 80°의 범위인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이다.
식 (1) : (C*0) - (C*45) ≤ 2.0
식 (2) : |(∠h*0) - (∠h*45)| ≤ 1.5
본 발명에 있어서의 채도, 색상각, 및 명도는 1976년 CIE (국제 조명 위원회) 로 표준화되고, JIS Z 8729 로 규격화되어 있는 L*a*b* 표색계에 의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 있어서, 식 (1) 및 식 (2) 로 나타내는 관계식은, 각각, 수광 각도를 0°에서 45°로 변화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채도 및 색상각의 변화량을 규정한다. 그 변화량이 식 (1) 및 식 (2) 의 범위 내임으로써, 본 발명의 화장료가 피부에 도포되었을 때에, 관찰 각도에 따른 그라데이션의 급격한 변화가 억제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그 표면을 수광면으로 하는 도포층의 형성, 및, 채도, 색상각 및 명도의 측정값은 본 발명의 화장료를 사용하여 이하와 같이 형성한 도포층, 및, 그 도포층 표면을 수광면으로 하여 측정한 측정값을 사용한다.
-도포층 형성-
시판되는 수지제 피부색 시트 (바이오 스킨 플레이트, 뷰럭스 (주) 제조), 피부색 표준색 (색번 : BIO)) 상에, 측정 대상이 되는 화장료를, 3 ㎝×5 ㎝ 사방의 면적에 4.5 ㎎ (0.3 g/㎠) 의 도포량으로 균일하게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한 측정 시료를 제작한다.
-채도, 색상각, 명도의 측정-
제작한 측정 시료에 대해, 변각 분광 측색 시스템 GCMS-3B ((주)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 제조) 를 사용하여, -45°방향에서 광을 입사하고, -70°~ 70°까지, 5°간격으로, 390 ㎚ ~ 730 ㎚ 의 파장 영역에 대해 10 ㎚ 간격으로 반사율을 측정함으로써 측색하고, C 광원에서의 명도 L*, 채도 C*, 및 색상각 ∠h 를 얻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 있어서는, 상기 (C*45), (∠h*45), (C*0) 및 (∠h*0) 이 하기 식 (1') 및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1') : (C*0) - (C*45) ≤ 1.5
식 (2') : |(∠h*0) - (∠h*45)| ≤ 1.5
본 발명의 화장료에 있어서는, 상기 (C*45), (∠h*45), (C*0) 및 (∠h*0) 이 하기 식 (1a) 및 하기 식 (2a) 로 나타내는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1a) : (C*0) - (C*45) ≤ 1.0
식 (2a) : |(∠h*0) - (∠h*45)| ≤ 1.0
본 발명의 화장료가 나타내는 채도로는, 상기 (C*45) 및 상기 (C*0) 이 하기 식 (1b) 로 나타내는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기 식 (1c) 로 나타내는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1b) : -5 ≤ (C*0) - (C*45) ≤ 0
식 (1c) : |(C*0) - (C*45)| ≤ 1.5
또, 본 발명의 화장료로는, 상기 수광면에 대해, -45°방향에서 광을 입사했을 때, 정반사 방향 (45°방향) 의 반사광의 명도 (L*45) 와, 확산 반사 방향 (0°방향) 의 반사광의 명도 (L*0) 이 하기 식 (3) 으로 나타내는 관계식을 만족하는 양태도 바람직하다.
식 (3) : (L*45) - (L*0) ≥ 5.0
본 발명의 화장료는, 상기식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명도가 큰 범위에 있어서도, 관찰 각도에 따른 그라데이션의 급격한 변화가 억제된다. 또, 상기식 (3) 으로 나타내는 관계식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양호한 윤기가 발휘된다.
또, 본 발명의 화장료는, 그 전체에 있어서, 색상각이 40°~ 80°의 범위인 것을 요하고, 50°~ 70°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색상각의 범위가 40°~ 80°임으로써, 본 발명의 화장료에 따른 그라데이션의 급격한 변화의 억제 효과가 가장 단적으로 발휘된다. 여기서, 화장료 전체의 색상각의 범위 내란, 본 발명에 관련된 (∠h*45) 및 (∠h*0) 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측정한 값의 양방이 40°~ 80°의 범위 내인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 있어서, 상기 식 (1) 및 식 (2) 로 나타내는 관계식을 만족하고, 또한 화장료의 색상각이 40°~ 80°의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화장료가 함유하는 각종 안료 및 첨가물의 종류 및 함유량을 조정하면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안료로서 함유되는 색재 안료 및 펄 안료의 종류 및 함유량을 조정하는 양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파우더 파운데이션, 프레스트 파우더, 또는 루스 파우더 등의 분말상 또는 분말을 고형화한 화장료인 경우에는, 적어도, 체질 안료, 색재 안료, 10 질량% 이상의 펄 안료, 및 유제를 함유한다. 이 경우, 그 체질 안료, 펄 안료, 및 유제를 사용하여 조제한 혼합물의 색상각이 50°~ 80°의 범위인 것을 요하고, 60°~ 80°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화장료는, 리퀴드 파운데이션, 크림 파운데이션, 또는 화장 하지 (下地) 등의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의 화장료인 경우에는, 체질 안료는 필수 성분이 아니고, 적어도, 색재 안료, 7 질량% 이상의 펄 안료, 및 유제를 함유한다. 이 경우, 그 펄 안료, 및 유제를 사용하여 조제한 혼합물의 색상각이 50°~ 80°의 범위인 것을 요하고, 60°~ 80°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혼합물에 있어서, 색상각을 50°~ 80°의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혼합물이 함유하는 혼합물의 조제에 사용하는 각 성분의 종류 및 함유량을 조정하면 된다.
체질 안료, 펄 안료, 및 유제를 사용한 혼합물의 조제, 및, 색상각의 측정은 본 발명의 화장료에 함유되는 체질 안료, 펄 안료, 및 유제를 사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사용하여 색상각을 측정함으로써 실시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색상각의 측정값은 이하에 나타내는 혼합물의 조제, 및 색상각의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진 측정값이다.
-혼합물의 조제-
측정 대상으로 하는 화장료에 함유되는 종류 및 양으로, 펄 안료, 유제, 및 체질 안료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체질 안료를 칭량하고, 이들 성분을 헨쉘 믹서에서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하여, 혼합물을 조제한다.
-색상각의 측정 방법-
일방의 면 (표면) 에 시판되는 아크릴계 점착 시트 (편광판 첩합 (貼合) 용) 를 사용하여 형성된 투명한 점착층을 갖고, 타방의 면 (이면) 을 검은 잉크에 의해 완전하게 이면 반사가 없어질 때까지 빈틈없이 칠한 유리 기판 (3 ㎝×5 ㎝) 을 준비한다.
상기 유리판의 표면 상에, 얻어진 혼합물을, 도포량 4.5 ㎎ (0.3 g/㎠) 칭량 하고, 상기 사이즈의 직사각형으로 도려낸 투명 플라스틱 시트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의 내측에 라텍스 장갑을 착용한 집게 손가락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한다. 혼합물을 도포한 후의 유리판을, 분광 광도계 (UV-2550, (주) 시마즈 제작소 제조) 에 적분구 (ISR-2200, (주) 시마즈 제작소 제조) 를 부속시킨 장치를 사용하여, 확산 반사 측정 조건에서 파장 380 ㎚ ~ 780 ㎚ 까지의 분광 반사율을 1 ㎚ 간격으로 측정하여, C 광원을 가정했을 때의 반사광의 색상각 ∠h 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가 체질 안료와, 2 종 이상의 펄 안료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체질 안료와 2 종 이상의 펄 안료의 혼합물에 대해 측정한 상기 색상각이 50°~ 8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 있어서는, 펄 안료의 함유량과, 상기 혼합물이 나타내는 색상각을, 본 발명에 관련된 범위 내로 함으로써, 상기 식 (1) 및 식 (2) 로 나타내는 관계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가 함유할 수 있는 체질 안료, 색재 안료, 펄 안료, 및 유제에 대해, 추가로 설명한다.
<체질 안료>
본 발명의 화장료에 있어서 「체질 안료」란, 색상 조정에 실질적으로 기여하지 않는 안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가 파우더 파운데이션, 프레스트 파우더, 또는 루스 파우더 등의 분말상 또는 분말을 고형화한 화장료인 경우에는, 그 체질 안료는 화장료의 주성분으로서 함유된다.
체질 안료의 예로는, 운모, 합성 금운모, 탤크, 카올린, 마이카, 세리사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무수 규산, 산화 알루미늄, 황산 바륨 등을 들 수 있다.
체질 안료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SERICITE FSE (산신 광공 (주) 제조), TALK JA-46R (아사다 제분 (주) 제조), 합성 금운모 PDM 시리즈 (토피 공업 (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체질 안료의 입경으로는, 평균 1 차 입경이 1 ㎛ 이상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80 ㎛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안료의 입경은, 측정 대상이 되는 안료를 포함하는 소정 농도의 용매 분산물을 조제하고, 시판되는 레이저 광산란의 원리에 근거하는 여러 가지의 측정 기기 (예를 들어,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기 LMS-30 ((주) 세이신 기업 제조) 등) 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 있어서의 체질 안료의 함유량으로는, 화장료의 제형에 따라 상이할 수 있는 것으로, 화장료의 제형에 따라 최적량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파우더 파운데이션 등의 분말상 또는 분말을 고형화한 화장료의 경우에는, 그 전체 질량에 대해, 체질 안료의 함유량은 50 질량% 이상 9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 리퀴드 파운데이션 등의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의 화장료인 경우에는, 반드시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할 필요는 없고, 그 전체 질량에 대해, 체질 안료의 함유량은 0 이상 3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색재 안료>
본 발명의 화장료에 있어서 「색재 안료」란, 색상 조정에 기여하고, 또한 펄 안료 이외의 안료를 의미한다.
색재 안료의 예로는, 황색 산화철, 적색 산화철, 흑색 산화철, 산화 티탄, 벵갈라, 군청, 감청 등의 무기 안료, 적색 106 호, 적색 201 호, 적색 202 호, 적색 203 호, 적색 226 호, 황색 4 호, 황색 5 호, 황색 401 호 등의 법정 색소, 코치닐 색소, 및 그들의 칼슘레이크, 알루미늄레이크, 칼슘알루미늄레이크를 포함하는 유기 색소를 함유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 산화 티탄, 산화 아연 등의 백색 안료를 들 수 있다. 이들 백색 안료는 얼룩이나 주근깨 등의 은폐제, 자외선 방지제로서의 기능을 겸해도 된다.
이들 안료의 형상이나 입경은, 예를 들어, 백색 안료에서는 구형으로 수 ㎚ 이상 수백 ㎚ 이하, 산화철에서는 구상이나 침상으로 수 ㎚ 이상 수백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안료의 첨가량은 전체의 파운데이션으로서의 색조가 목적하는 것이 되도록 적절히 조정된다.
<펄 안료>
본 발명에 있어서 「펄 안료」란, 색상 조정에 기여하고, 또한 진주 광택을 갖는 안료를 의미한다.
펄 안료의 예로는, 산화 티탄 피복 운모 (운모 티탄), 산화 티탄 피복 유리 플레이크, 산화 티탄 피복 탤크 등을 들 수 있다. 또, 산화 티탄의 피복층이 복수층이거나, 또는 산화 실리콘 피복을 갖는 것 등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펄 안료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로나플레어 밸런스 골드, 트랜스 프리즈마 레드, 티미론 수퍼 실크 MP-1005 (이상, MERK 사 제조), 플라멩코 시리즈 (BASF 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 함유되는 펄 안료로는, 금색 펄 안료 및 적색 펄 안료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펄 안료의 입경으로는, 평균 1 차 입경이 0.5 ㎛ 이상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80 ㎛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펄 안료는 화장료의 전체 질량에 대해 7 질량% 이상인 것을 요하고, 1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3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4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8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가 함유하는 펄 안료는 1 종만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이어도 된다.
체질 안료, 색재 안료, 및 펄 안료의 조합은 상기 식 (1) 및 식 (2) 로 나타내는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결정된다.
이들 안료의 바람직한 조합의 예로는, 예를 들어, 체질 안료가 운모, 세리사이트, 및 탤크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안료이고, 색재 안료가 황색 산화철, 적색 산화철, 흑색 산화철, 및 산화 티탄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안료이고, 펄 안료가 산화 티탄 피복 운모 (운모 티탄), 산화 티탄 피복 유리 플레이크, 및 산화 티탄 피복 탤크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안료인 조합을 들 수 있다.
<유제>
유제로는, 예를 들어, 유동 파라핀, 바셀린, 파라핀 왁스, 스쿠알란, 밀랍, 카나우바납, 올리브유, 라놀린, 고급 알코올, 지방산,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유, 세레신,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 칸데릴라납, 디글리세라이드, 트리글리세라이드, 실리콘유,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데칼린, 퍼플루오로옥탄, 호호바유,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등의, 화장료에 범용되는 유분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한 체질 안료, 색재 안료, 펄 안료, 및 유제 이외에,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화장료에 배합되는 1 이상의 성분을 배합해도 되고, 그 예로서, 계면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상기한 각 안료 이외의 다른 분체, 보습제, 방부제, 약제, 자외선 흡수제, 색소, 무기염 또는 유기산염, 향료, 킬레이트제, pH 조정제, 물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 스테아르산나트륨, 팔미트산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지방산 비누로 대표되는 아니온성 계면활성제 ; 및 카티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의 화장료에 범용되는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트라가칸트검, 카리기난, 로커스트빈검, 덱스트린,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잔탄검, 젤라틴, 알긴산나트륨, 아라비아고무 등의 화장료에 범용되는 수용성 고분자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는, 예를 들어, 소르비톨, 자일리톨, 글리세린, 멀티톨,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1,4-부틸렌글리콜,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락트산, 락트산나트륨,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화장료에 범용되는 보습제를 들 수 있다.
방부제로는, 예를 들어, 파라옥시벤조산알킬에스테르, 벤조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등의 화장료에 범용되는 방부제를 들 수 있다.
약제로는, 예를 들어, 비타민류, 생약, 소염제, 살균제 등의 화장료에 범용되는 약제가 사용된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파라아미노벤조산계 자외선 흡수제, 안트라닐계 자외선 흡수제,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계피산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등의 화장료에 범용되는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다.
색소로는, 예를 들어, 적색 3 호, 적색 104 호, 적색 106 호, 적색 201 호, 적색 202 호, 적색 204 호, 적색 205 호, 적색 220 호, 적색 226 호, 적색 227 호, 적색 228 호, 적색 230 호, 적색 401 호, 적색 505 호, 황색 4 호, 황색 5 호, 황색 202 호, 황색 203 호, 황색 204 호, 황색 401 호, 청색 1 호, 청색 2 호, 청색 201 호, 청색 404 호, 녹색 3 호, 녹색 201 호, 녹색 204 호, 녹색 205 호, 등색 201 호, 등색 203 호, 등색 204 호, 등색 206 호, 등색 207 호 등의 타르 색소 ; 카민산, 락카인산, 브라질린, 크로신 등의 천연 색소 등의 화장료에 범용되는 색소를 들 수 있다.
무기염 또는 유기산염으로는, 염산, 황산, 질산 등의 무기산 ;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말산 등의 옥시카르복실산 ; 포름산, 아세트산, 소르브산 등의 카르복실산 ; 또는 살리실산, 벤조산 등의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금속염 또는 알루미늄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무기염 또는 유기산염의 구체예로는, 황산칼륨, 황산나트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알루미늄, 질산칼륨, 질산나트륨, 질산마그네슘, 질산알루미늄, 질산칼슘, 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염화알루미늄,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알루미늄, 아세트산칼륨, 아세트산나트륨, 아세트산칼슘, 아세트산마그네슘, 포름산나트륨, 포름산칼륨, 포름산마그네슘, 시트르산나트륨, 타르타르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소르브산나트륨, 살리실산나트륨, 벤조산칼륨, 벤조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황산칼륨, 황산마그네슘, 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염화알루미늄, 시트르산나트륨, 타르타르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살리실산나트륨 및 벤조산나트륨이 바람직하다.
이들 무기염 또는 유기산염은 염 상태로 본 발명의 화장료 중에 배합해도 되지만, 본 발명의 화장료의 제조시에, 대응하는 산물질 및 염기물질을, 염을 형성하는 데에 필요한 화학양론적량 첨가해도 된다. 또, 물은 임의의 양으로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적용 형태로는, 예를 들어, 파우더 파운데이션, 크림 파운데이션, 리퀴드 파운데이션, 컨실러 등의 파운데이션이나, 화장 하지, 페이스 파우더 등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의 제조 방법 (이하, 적절히,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이라고도 칭한다) 은, 적어도, 색재 안료, 펄 안료, 및 유제를 혼합함으로써, 상기 식 (1) 및 상기 식 (2) 로 나타내는 관계식을 만족하고, 또한, 화장료의 색상각이 40°~ 80°의 범위가 되도록 조정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체질 안료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체질 안료, 펄 안료, 및 유제를 사용하여 조제한 혼합물의 색상각이 50°~ 80°의 범위이며, 체질 안료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는, 펄 안료, 및 유제를 사용하여 조제한 혼합물의 색상각이 50°~ 80°의 범위이며, 또한, 상기 펄 안료의 함유량이 화장료의 전체 질량에 대해 7 질량% 이상인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 (1) 및 식 (2) 로 나타내는 관계식을 만족시키고, 또한 화장료의 색상각이 40°~ 80°의 범위가 되도록 조정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화장료가 함유하는 각종 안료 및 첨가물의 종류 및 배합료를 조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색재 안료 및 펄 안료의 종류 및 배합량을 조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혼합물의 색상각을 50°~ 80°의 범위로 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혼합물의 조제에 사용하는 안료 및 유제의 종류 및 함유량을 조정하면 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사용할 수 있는 체질 안료, 색재 안료, 펄 안료, 유제, 및 임의로 사용할 수 있는 1 이상의 추가 성분의 종류 및 함유량의 상세는 본 발명의 화장료의 설명에서 기재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각 성분의 혼합은 화장료에 함유되는 각 성분을, 헨쉘 믹서 등을 사용하여, 혼합물이 나타내는 색상이 균일해질 때까지 실시하면 된다.
각 성분의 혼합 양태로는, 체질 안료, 색재 안료, 펄 안료, 유제, 및 임의로 사용할 수 있는 1 이상의 추가 성분의 전부를 동시에 혼합하는 양태이어도 되고, 체질 안료, 색재 안료, 펄 안료, 유제 등의 성분을 혼합하고, 향료, 방부제, 미용 성분 등의 성분을 첨가하여 추가로 혼합하는 양태이어도 된다.
또한, 화장료를 구성하는 각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해머 밀 등을 사용하여 해쇄한 후, 프레스기로 접시에 타형함으로써, 파우더 파운데이션을 얻을 수 있다.
또, 리퀴드 파운데이션, 크림 파운데이션 등의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의 화장료의 경우이면, 혼합 후의 혼합물에 특별히 가공하지 않고 각 파운데이션으로서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것들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부」는 질량 기준이다.
[실시예 1 ~ 11, 비교예 1 ~ 6]
<파우더 파운데이션의 조제>
하기 표 1 에 기재된 A 상, B 상의 각 성분 (수치는 질량부) 을 별개로 칭량하고, 헨쉘 믹서로 색상이 균일해질 때까지 충분히 혼합하여, 실시예 1 ~ 11, 및 비교예 1 ~ 6 의 파우더 파운데이션을 조제하였다.
또한, 실시예 1 ~ 11 및 비교예 1 ~ 6 의 A 상 (相) 에 사용한 체질 안료 (세리사이트, 탤크), 펄 안료, 및 B 상에 사용한 2 종류의 유제를, 실시예 1 의 파우더 파운데이션의 조제와 동일하게 하여 혼합하고,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응하는 혼합물을 조제하였다.
일방의 면 (표면) 에 시판되는 아크릴계 점착 시트 (편광판 첩합용) 를 사용하여 형성된 투명한 점착층을 갖고, 타방의 면 (이면) 을 검은 잉크에 의해 완전하게 이면 반사가 없어질 때까지 빈틈없이 칠한 유리 기판 (3 ㎝×5 ㎝) 을 준비하였다.
상기 유리판의 표면 상에, 얻어진 각 혼합물을, 3 ㎝×5 ㎝ 사방의 면적에 4.5 ㎎ (0.3 ㎎/㎠) 의 도포량으로 균일하게 도포한 것을, 분광 광도계 (UV-2550, (주) 시마즈 제작소 제조) 에 적분구 (ISR-2200, (주) 시마즈 제작소 제조) 가 부속된 장치를 사용하여, 확산 반사 측정 조건에서 파장 380 ㎚ ~ 780 ㎚ 까지의 분광 반사율을 측정하고, C 광원을 가정했을 때의 반사광의 색상각 ∠h 를 산출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 에 병기한다.
Figure pct00001
※1 OTS-2 SERICITE FSE (다이토 화성 (주) 제조)
※2 OTS-2 TALK JA-46R (다이토 화성 (주) 제조)
※3 OTS-2 TiO2 CR-50 (다이토 화성 (주) 제조)
※4 OTS-2 YELLOW LLXLO (다이토 화성 (주) 제조)
※5 OTS-2 RED R-516L (다이토 화성 (주) 제조)
※6 OTS-2 BLACK BL-100 (다이토 화성 (주) 제조)
※7 로나플레어 밸런스 골드 (MERCK 사 제조)
※8 티미론 스프렌디드 레드 (MERCK 사 제조)
※9 티미론 수퍼 실크 MP-1005 (MERCK 사 제조)
※10 DC593 (도레·다우코닝 (주) 제조)
※11 SH200C-20CS (도레·다우코닝 (주) 제조)
<파운데이션 도포>
시판되는 수지제 피부색 시트 (바이오 스킨 플레이트, 뷰럭스 (주) 제조), 피부색 표준색 (색번 : BIO)) 상에, 실시예 1 ~ 11 및 비교예 1 ~ 6 의 각 파우더 파운데이션을, 3 ㎝×5 ㎝ 사방의 면적에 4.5 ㎎ (0.3 g/㎠) 의 도포량으로 균일하게 도포하여, 평가용 각 시료를 제작하였다.
<파운데이션 평가>
1. 측색
상기에 의해 제작한 각 시료를, 변각 분광 측색 시스템 GCMS-3B (주식회사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 제조) 로, -45°방향에서 광을 입사하고, -70°~ 70°까지, 5°간격으로, 390 ㎚ ~ 730 ㎚ 의 파장 영역에 대해 10 ㎚ 간격으로 반사율을 측정함으로써 측색하고, C 광원에서의 명도 L*, 채도 C*, 및 색상각 ∠h 를 얻었다.
평균적인 색을 대표하는 수치로서, 45°방향에서의 명도 L (L*45°), 채도 C* (C*45°), 및 색상각 (∠h45°) 를 표 2 에 나타냈다.
또한, 정면 (0°)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와, 경사 (45°)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의 채도 C*, 색상각 ∠h, 및 명도 L* 의 변화를, 각각의 차분으로서 (L*(0°- 45°)), (C*(0°- 45°)), (∠h*(0°- 45°)) 로 나타내고, 표 2 에 나타냈다.
(C*(0°- 45°)) 의 값은 0 에 가까울수록, 45°에서 0°사이에서의 관찰 각도에 따른 채도의 변화가 작은 것을 나타낸다. (C*(0°- 45°)) 의 값이 2.0 이하인 것은 식 (1) 로 나타내는 관계식이 만족되는 것을 의미한다.
(∠h(0°- 45°)) 는 0 에 가까울수록, 45°에서 0°사이에서의 관찰 각도에 따른 색상각의 변화가 작은 것을 나타낸다. (∠h(0°- 45°)) 의 절대값이 1.5 이하인 것은 식 (2) 로 나타내는 관계식이 만족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 (L*(45°- 0°)) 의 값은 윤기의 척도가 되고, 그 값이 클수록, 윤기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또, (C*(0°- 45°)) 에 관해서는, 값이 0 부근에서 약간 마이너스 방향이 될 때,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얼굴의 올록볼록에 따라 명도 L* 가 변화했을 때, 외형의 그라데이션의 변화가 양호해진다는 지견을 얻었다.
2. 관능 평가
실시예 1 ~ 11 및 비교예 1 ~ 6 의 파우더 파운데이션의 각각에 대해, 퍼프를 사용하여 동일 여성의 얼굴에 도포함으로써 화장을 실시하고, 화장 후의 얼굴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방법 및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평가 방법, 평가 기준-
천정에 조명으로서, 2 개의 평행한 형광등을 1 세트만 병렬로 배치한 방에서, 형광등 중심의 연직 방향으로부터 10°만큼 관찰자측에서 보아 안쪽으로, 화장한 여성의 얼굴이 오도록 하였다. 이 여성의 얼굴을, 정면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때, 얼굴의 밝은 곳으로부터 어두운 곳까지 (뺨으로부터 윤곽이나 눈 아래의 패임, 콧날에서 콧방울 등) 에 있어서의 그라데이션의 변화를 5 단계 (특히 양호, 양호, 보통, 약간 나쁜, 나쁘다) 로 평가하였다.
또한, 여성의 얼굴을, 정면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때의 얼굴의 윤기를 3 단계 (저, 중, 고) 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 (1) 및 식 (2) 의 관계식을 만족하고 있는, 실시예 1 ~ 11 의 파운데이션은 얼굴의 밝은 곳으로부터 어두운 곳까지의 그라데이션 변화가 양호 (매끄러움) 하고, 또한 윤기가 높은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식 (1') 및 식 (2') 로 나타내는 관계식을 만족하고 있는 실시예 1 ~ 9 의 파운데이션은 보다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고, 식 (1a) 및 식 (2a) 로 나타내는 관계식에 대해서도 만족하고 있는 실시예 2 ~ 4, 8, 9 의 파운데이션은 특히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일본 특허출원 2010-075550호 및 일본 특허출원 2010-207214호 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받아들여진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 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 규격이 참조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것이 구체적 또한 개개에 기록되었을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Claims (14)

  1. 적어도, 색재 안료, 펄 안료, 및 유제를 혼합함으로써, 하기 식 (1) 및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관계식을 만족하고, 또한, 화장료의 색상각이 40°~ 80°의 범위가 되도록 조정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체질 안료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상기 체질 안료, 상기 펄 안료, 및 상기 유제를 사용하여 조제한 혼합물의 색상각이 50°~ 80°의 범위이며, 체질 안료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펄 안료, 및 상기 유제를 사용하여 조제한 혼합물의 색상각이 50°~ 80°의 범위이며, 또한,
    상기 펄 안료의 함유량이 화장료의 전체 질량에 대해 7 질량% 이상인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의 제조 방법 :
    식 (1) : (C*0) - (C*45) ≤ 2.0
    식 (2) : |(∠h*0) - (∠h*45)| ≤ 1.5
    (C*45) 및 (∠h*45) 는 각각, 상기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를 도포하여 얻어진 도포층 표면을 수광면으로 하고, 그 수광면에 대해 -45°방향에서 광을 입사했을 때, 정반사 방향 (45°방향) 의 반사광의 채도 (C*45) 및 색상각 (∠h*45) 을 나타내고, (C*0) 및 (∠h*0) 은 각각, 그 수광면에 대해 -45°방향에서 광을 입사했을 때, 확산 반사 방향 (0°방향) 의 반사광의 채도 (C*0) 및 색상각 (∠h*0) 을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 안료가 금색 펄 안료 및 적색 펄 안료의 혼합물인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질 안료가 운모, 세리사이트, 및 탤크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체질 안료이고, 상기 색재 안료가 황색 산화철, 적색 산화철, 흑색 산화철, 및 산화 티탄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색재 안료이고, 상기 펄 안료가 산화 티탄 피복 운모, 산화 티탄 피복 유리 플레이크, 및 산화 티탄 피복 탤크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펄 안료인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펄 안료의 배합량과 상기 색재 안료의 배합량을 조정하는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의 제조 방법.
  5. 하기 식 (1) 및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관계식을 만족하고, 또한, 화장료의 색상각이 40°~ 80°의 범위인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
    식 (1) : (C*0) - (C*45) ≤ 2.0
    식 (2) : |(∠h*0) - (∠h*45)| ≤ 1.5
    (C*45) 및 (∠h*45) 는 각각, 상기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를 도포하여 얻어진 도포층 표면을 수광면으로 하고, 그 수광면에 대해 -45°방향에서 광을 입사했을 때, 정반사 방향 (45°방향) 의 반사광의 채도 (C*45) 및 색상각 (∠h*45) 을 나타내고, (C*0) 및 (∠h*0) 은 각각, 그 수광면에 대해 -45°방향에서 광을 입사했을 때, 확산 반사 방향 (0°방향) 의 반사광의 채도 (C*0) 및 색상각 (∠h*0) 을 나타낸다.
  6. 제 5 항에 있어서,
    하기 식 (1') 및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관계식을 만족하는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식 (1') : (C*0) - (C*45) ≤ 1.5
    식 (2') : |(∠h*0) - (∠h*45)| ≤ 1.5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하기 식 (1a) 및 하기 식 (2a) 로 나타내는 관계식을 만족하는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식 (1a) : (C*0) - (C*45) ≤ 1.0
    식 (2a) : |(∠h*0) - (∠h*45)| ≤ 1.0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식 (1b) 로 나타내는 관계식을 만족하는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식 (1b) : -5 ≤ (C*0) - (C*45) ≤ 0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식 (1c) 로 나타내는 관계식을 만족하는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식 (1c) : |(C*0) - (C*45)| ≤ 1.5
  10.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식 (3) 으로 나타내는 관계식을 만족하는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
    식 (3) : (L*45) - (L*0) ≥ 5.0
    (L*45) 및 (L*0) 은 각각, 상기 수광면에 대해, -45°방향에서 광을 입사했을 때, 정반사 방향 (45°방향) 의 반사광의 명도 (L*45) 및 확산 반사 방향 (0°방향) 의 반사광의 명도 (L*0) 을 나타낸다.
  11.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색재 안료, 펄 안료, 및 유제를 함유하고,
    체질 안료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상기 체질 안료, 상기 펄 안료, 및 상기 유제를 사용하여 조제한 혼합물의 색상각이 50°~ 80°의 범위이며, 체질 안료를 함유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펄 안료, 및 상기 유제를 사용하여 조제한 혼합물의 색상각이 50°~ 80°의 범위이며, 또한,
    상기 펄 안료의 함유량이 화장료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7 질량% 이상인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펄 안료가 금색 펄 안료 및 적색 펄 안료의 혼합물인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체질 안료가 운모, 세리사이트, 및 탤크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체질 안료이며, 상기 색재 안료가 황색 산화철, 적색 산화철, 흑색 산화철, 및 산화 티탄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색재 안료이며, 상기 펄 안료가 산화 티탄 피복 운모, 산화 티탄 피복 유리 플레이크, 및 산화 티탄 피복 탤크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펄 안료인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14. 제 5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우더 파운데이션, 리퀴드 파운데이션, 또는 크림 파운데이션인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KR1020127021208A 2010-03-29 2011-01-21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16617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75550 2010-03-29
JP2010075550 2010-03-29
JPJP-P-2010-207214 2010-09-15
JP2010207214A JP5653697B2 (ja) 2010-03-29 2010-09-15 ベースメイクアップ用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PCT/JP2011/051128 WO2011122077A1 (ja) 2010-03-29 2011-01-21 ベースメイクアップ用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228A true KR20130018228A (ko) 2013-02-20
KR101661795B1 KR101661795B1 (ko) 2016-09-30

Family

ID=44711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1208A KR101661795B1 (ko) 2010-03-29 2011-01-21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03162B2 (ko)
EP (1) EP2554156A4 (ko)
JP (1) JP5653697B2 (ko)
KR (1) KR101661795B1 (ko)
CN (1) CN102753138B (ko)
WO (1) WO20111220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78447B2 (ja) * 2012-09-12 2016-03-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ベースメイク化粧料
KR102074791B1 (ko) * 2015-06-30 2020-02-07 (주)아모레퍼시픽 다중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2017021145A (ja) * 2015-07-09 2017-01-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0186198A (ja) * 2019-05-14 2020-11-19 ジェイオーコスメティックス株式会社 粉体化粧料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8038A (ja) * 2000-03-31 2001-10-16 Shiseido Co Ltd 化粧料
JP2002241231A (ja) * 2001-02-20 2002-08-28 Nippon Shikizai Inc 化粧料及び肌質改善剤
JP2004067535A (ja) * 2002-08-02 2004-03-04 Milott:Kk 化粧料用粉体及び化粧料
US20070207099A1 (en) * 2003-12-10 2007-09-06 Christian Erker Cosmetic Preparations for the Generation of a Cosmetic Covering with a Metallic and Multi-Coloured Shimmering Appearance and Artifical Fingernail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1806B2 (ja) 1994-05-31 1999-02-24 日本板硝子株式会社 金属酸化物微粒子分散フレーク状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96278B2 (ja) * 1995-02-10 2006-07-12 株式会社資生堂 肌色調整用組成物
JPH0971417A (ja) 1995-09-07 1997-03-18 Nippon Sheet Glass Co Ltd フレーク状粉体及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3563578B2 (ja) 1997-11-12 2004-09-08 花王株式会社 くすみ肌色改善剤
JP4145496B2 (ja) * 2000-08-31 2008-09-03 三好化成株式会社 新規複合粉体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3745688B2 (ja) * 2002-01-22 2006-02-15 メルク株式会社 化粧用体質顔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682604B2 (en) 2002-03-07 2010-03-23 Shiseido Co., Ltd. Composite powder, cosmetics containing the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composite powder
JP3671013B2 (ja) * 2002-03-07 2005-07-13 株式会社資生堂 複合粉末、それを配合したメークアップ化粧料、及び複合粉末の製造方法
JP4213429B2 (ja) * 2002-08-12 2009-01-21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皮膚のくすみ解消に有効な無機粉体組成物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とその無機粉体組成物、およびその組成物を用いた化粧料
JP2010526905A (ja) * 2007-05-07 2010-08-05 ユーエス コスメティ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完全に拡げられた、着色バルク粉末、バルク分散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09155209A (ja) * 2007-12-25 2009-07-16 Pola Chem Ind Inc 水中油乳化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280528A (ja) * 2008-05-23 2009-12-03 Kao Corp 表面装飾固形粉末化粧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22166B2 (ja) 2008-09-26 2014-02-19 株式会社ニューギン 遊技機の演出装置
JP5695322B2 (ja) 2009-02-12 2015-04-01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酵母エキスを用いたビールテイスト飲料の香味改善方法および香味改善したビールテイスト飲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8038A (ja) * 2000-03-31 2001-10-16 Shiseido Co Ltd 化粧料
JP2002241231A (ja) * 2001-02-20 2002-08-28 Nippon Shikizai Inc 化粧料及び肌質改善剤
JP2004067535A (ja) * 2002-08-02 2004-03-04 Milott:Kk 化粧料用粉体及び化粧料
US20070207099A1 (en) * 2003-12-10 2007-09-06 Christian Erker Cosmetic Preparations for the Generation of a Cosmetic Covering with a Metallic and Multi-Coloured Shimmering Appearance and Artifical Fingerna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54156A1 (en) 2013-02-06
JP5653697B2 (ja) 2015-01-14
JP2011225511A (ja) 2011-11-10
US20120315314A1 (en) 2012-12-13
KR101661795B1 (ko) 2016-09-30
CN102753138B (zh) 2014-08-27
US8703162B2 (en) 2014-04-22
EP2554156A4 (en) 2016-02-10
CN102753138A (zh) 2012-10-24
WO2011122077A1 (ja)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2860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ly Iridescent Titanium Oxide Composition
US20020176833A1 (en) Cosmetic composition
CN1550525A (zh) 颜料混合物及其在化妆品、食品和药品方面的应用
US8758732B2 (en) Makeup composition comprising a black colour mixture of pigments
JP5878447B2 (ja) ベースメイク化粧料
KR101661795B1 (ko)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133493A (ko) 화장료
JP2001288038A (ja) 化粧料
JP2007269729A (ja) メイクアップ化粧料
US20130323192A1 (en) Base makeup cosmeti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9173606A (ja) 赤色の色相を呈する非干渉性のカラーフロップ粉体およびこれを配合してなる化粧料
CN103596547B (zh) 乳化型底妆化妆品及其制造方法
JP3892775B2 (ja) 化粧料
JP2004123681A (ja) 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6165797B2 (ja) リキッドファンデーション
JP2007176874A (ja) 印象制御剤
JP2011046695A (ja) 化粧料
JP2015199727A (ja) パウダーファンデーション
CN104970992A (zh) 粉底液
CN104970988A (zh) 粉质粉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