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7777A - 흔들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납식 관람석 - Google Patents

흔들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납식 관람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7777A
KR20130017777A KR1020110080414A KR20110080414A KR20130017777A KR 20130017777 A KR20130017777 A KR 20130017777A KR 1020110080414 A KR1020110080414 A KR 1020110080414A KR 20110080414 A KR20110080414 A KR 20110080414A KR 20130017777 A KR20130017777 A KR 20130017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grandstand
support
horizontal
lin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9377B1 (ko
Inventor
최점석
Original Assignee
최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점석 filed Critical 최점석
Priority to KR1020110080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377B1/ko
Publication of KR20130017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2Tribunes, grandstands or terraces for spectators
    • E04H3/123Telescopic grand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6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stowable in floor or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첩된 다단 구조로 배열되는 다수의 단위관람석을 구비하는 수납식 관람석에 관한 것으로서, 펼쳐진 상태에서 동일한 전후간격 및 좌우간격을 갖도록 배치되고 수납된 상태에서 좌우간격을 유지한 가운데 나란히 겹쳐지는 인접한 3개의 단위관람석에 구비되는 일측의 3개의 수직지지기둥을 이용하여 각각 설치되되, 직접적으로 후퇴하는 방향의 수평성분의 하중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링크와, 펼쳐지거나 수납되는 과정에서 수평지지링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수평지지링크의 수평지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속하는 잠금 링크, 및 수납 과정에서 잠금 링크에 의한 수평지지링크의 구속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해제판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좌우로 쌍을 이루는 한 쌍 이상의 흔들림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납식 관람석을 제공함으로써, 펼치는 작업과 수납 작업시 세팅 또는 세팅해제를 위한 별다른 부가적인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가운데, 수납식 관람석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중 후퇴하는 방향의 수평성분의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벽면에 인접한 높이가 높은 단위관람석들의 상부에 구비되는 좌석설치판이 전후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관람좌석을 이용하는 관람자들에게 편안한 관람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흔들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납식 관람석{RETRACTABLE SEATING SYSTEM HAVING SWAY PREVENTING FUNCTIONS}
본 발명은 중첩된 다단 구조로 배열되는 다수의 단위관람석을 구비하며 사용시 전방으로 펼쳐지고 비사용시 후방으로 수납되는 방식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수납식 관람석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개별 단위관람석 사이에 펼쳐지는 방향에 해당하는 인장방향의 하중이 작용할 때 뿐만 아니라 수납되는 방향에 해당하는 압축방향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어 이용자들에게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흔들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납식 관람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식 관람석이라 함은 펼쳐질 때 순차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는 여러 개의 단위관람석이 계단형으로 펼쳐지고 또 수납될 때 각 단위관람석이 직상부의 단위관람석 아래로 수납되는 형태로 제작되어, 체육관, 강당, 각종 공연장 및 행사장 등에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수납된 상태에서는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펼쳐진 상태에서는 많은 좌석의 수를 확보하여 많은 사람에게 좌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납식 관람석의 뼈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수납식 관람석을 펼쳐진 상태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수납식 관람석을 수납된 상태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수납식 관람석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수단(10)을 포함하는 최하단이자 최전방에 위치하는 능동 단위관람석(100)과, 벽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최상단이자 최후방의 최종 단위관람석(120), 및 순차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능동 단위관람석(100)과 최종 단위관람석(120) 사이에 배치되며 필요에 따라 그 수가 변화될 수 있는 복수의 피동 단위관람석(110)을 포함한다. 또한, 상판(135)과 수직기둥(137)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최종 단위관람석(120)의 후방에 위치하여 벽과 바닥 등 건물을 구성하는 구조물에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상판(135) 아래에 포개어진 상태의 단위관람석들(100, 110, 12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되도록 하는 수납 데크(140)를 더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단위관람석들(100, 110, 120)은 각각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되지만, 최하단의 능동 단위관람석(100)이 수납식 관람석을 전체적으로 펼치고 수납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10)을 더 구비하고, 최상단의 최종 단위관람석(120)이 벽 및 바닥 등과의 고정 또는 연결을 위한 구성요소(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면, 모두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상기한 바와 같이 수납 데크(140)가 구비되는 경우 최종 단위관람석(120) 역시 벽 및 바닥 등과의 고정 또는 연결을 위한 구성요소가 불필요하여 피동 단위관람석(110)과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할 것이다.
각 단위관람석(100, 110, 120)은 대략, 각각 하방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장착되는 복수의 바퀴(11)를 구비하는 좌우 한 쌍의 수평받침대(20)와, 이 한 쌍의 수평받침대(20) 각각의 후방 측 상면에서 수직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지지기둥(30)과, 이 한 쌍의 수직지지기둥(30) 상단에 그 후단부가 고정되고 그 상면에 등받이가 접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관람좌석(45)이 설치되는 좌석설치판(40), 및 각각 경사진 형태로 배치되어 좌석설치판(40)과 수직지지기둥(30)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좌석설치판(40)을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한 쌍의 경사보강프레임(50)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각 좌석설치판(40)은 상기한 바와 같이 그 후단부가 한 쌍의 수직지지기둥(30)에 의해 지지되며, 그 전단부는 직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각 단위관람석(100, 110)에 구비되는 좌석설치판(40)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지지프레임(47)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은 단위관람석들(100, 110, 1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하단의 능동 단위관람석(100)에서부터 최상단의 최종 단위관람석(120)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길이가 증가하는 수직지지기둥(30)을 각각 구비하여 각각의 좌석설치판(40)의 높이가 순차적으로 높아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또한 최하단의 능동 단위관람석(100)에서부터 최상단의 최종 단위관람석(120)으로 갈수록 각각에 구비되는 두 수평받침대(20) 사이의 간격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하여 어느 하나의 단위관람석(100, 110)의 두 수평받침대(20)가 직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단위관람석(110, 120)의 두 수평받침대(20) 사이에 차례로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시 인접한 단위관람석(100, 110, 120)에 구비되는 수직지지기둥들(30) 및 수평받침대들(20) 간의 형상적인 간섭없이 복수의 단위관람석(100, 110, 120)이 상하로 나란히 포개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수납식 관람석은, 능동 단위관람석(100)의 구동수단(10)을 가동함으로써 펼쳐지고 수납된다. 우선 펼치는 작업은, 구동수단(10)을 가동하여 능동 단위관람석(100)을 전방으로 인출시킴으로써 시작되어, 이 과정에서 능동 단위관람석(100)이 직상부의 제1 피동 단위관람석(110) 아래에서 완전히 인출됨과 동시에 제1 피동 단위관람석(110)을 전방으로 당겨 인출하기 시작하고, 이어서 제1 피동 단위관람석(110)이 직상부의 제2 피동 단위관람석(110) 아래에서 완전히 인출됨과 동시에 제2 피동 단위관람석(110)을 전방으로 당겨 인출하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2 피동 단위관람석(110) 상부에 위치하는 피동 단위관람석(110)들이 최종 단위관람석(120) 아래로부터 완전히 인출될 때까지 순차적으로 인출하고, 경우에 따라 최종 단위관람석(120) 또한 인출한도 범위 내에서 수납 데크(140) 아래에서 완전히 인출될 때까지 인출함으로써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놓여있는 관람좌석(45)의 등받이를 펼침으로써, 수납식 관람석이 사용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수납하는 작업은, 구동수단(10)을 가동하여 능동 단위관람석(100)을 후방으로 후퇴시킴으로써 시작되어, 이 과정에서 능동 단위관람석(100)이 직상부의 제1 피동 단위관람석(110) 아래에 완전히 포개어짐과 동시에 제1 피동 단위관람석(110)을 밀어 후방으로 후퇴시키기 시작하고, 이어서 포개어진 능동 단위관람석(100)과 제1 피동 단위관람석(110)이 함께 후퇴하여 직상부의 제2 피동 단위관람석(110) 아래에 완전히 포개어짐과 동시에 제2 피동 단위관람석(110)을 밀어 후방으로 후퇴시키기 시작하며,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더 포개어지는 방식으로 제2 피동 단위관람석(110) 상부에 위치하는 피동 단위관람석(110)들 또한 순차적으로 포개어지고 후퇴하여 최종 단위관람석(120) 아래에 완전히 포개어지며, 경우에 따라 최종 단위관람석(120)을 포함한 모든 단위관람석이 나란히 포개어진 상태에서 또한 상기한 인출한도에 대응하는 후퇴한도 범위까지 수납 데크(140) 아래로 더 후퇴함으로써 완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납식 관람석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중 인출되는 방향으로 수평성분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각 단위관람석(100, 110, 120)이 인출한도가 정해져 있어 더 이상 인출될 수 없음에 따라 상대적인 이동이 방지되어 불안정을 야기할 여지가 없지만, 후퇴하는 방향으로 수평성분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각 단위관람석(100, 110, 120)의 하부 쪽은 인접 단위관람석의 수평받침대들(20) 간의 형상적 구속에 의해 상대적인 이동이 제한된다 하더라도, 각 단위관람석의 상부 쪽은 어느 정도 상대적인 이동이 발생할 수밖에 없어 좌석설치판(40) 상부의 관람좌석(45)을 이용하는 관람자들에 불안감을 조성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즉, 후퇴하는 방향의 수평성분의 하중이 작용할 경우 각 단위관람석(100, 110, 120) 상부의 좌석설치판(40)이 전후방향으로 움직이게 됨에 따라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는 등 지지상태가 불량할 수밖에 없고, 따라서 관람좌석(45)을 이용하는 관람자들에게 불안감을 조성하여 편안한 관람을 방해할 수밖에 없게 된다. 특히, 흔들림은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전방의 능동 단위관람석(100) 및 능동 단위관람석(100)에 인접한 피동 단위관람석들(110)의 경우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을 수도 있으나,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최종 단위관람석(120) 및 최종 단위관람석(120)에 인접한 피동 단위관람석들(110)의 경우 점차 그 영향이 증대되어, 다시 말해 단위관람석의 높이가 높을수록 관람자들이 더 큰 불안감을 느낄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인접한 단위관람석들 간의 전후방향 상대적 이동을 완전히 차단하여, 사용중 후퇴하는 방향의 수평성분의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각 단위관람석 상부에 구비되는 좌석설치판이 전후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람좌석을 이용하는 관람자들에게 편안한 관람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흔들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납식 관람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최하단의 능동 단위관람석, 최상단의 최종 단위관람석, 및 순차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능동 단위관람석과 상기 최종 단위관람석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피동 단위관람석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관람석들은 각각, 최하단에서 최상단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간격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수평받침대와, 상기 한 쌍의 수평받침대 각각의 후방 측 상면에서 수직상방으로 연장되며 최하단에서 최상단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길이가 증가하는 한 쌍의 수직지지기둥, 및 상기 한 쌍의 수직지지기둥 상단에 그 후단부가 고정되는 좌석설치판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수납식 관람석에 있어서:
펼쳐진 상태에서 동일한 전후간격 및 좌우간격을 갖도록 배치되고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간격을 유지한 가운데 나란히 겹쳐지는 인접한 3개의 단위관람석에 구비되는 일측의 3개의 수직지지기둥을 이용하여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직접적으로 후퇴하는 방향의 수평성분의 하중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링크; 펼쳐지거나 수납되는 과정에서 상기 수평지지링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수평지지링크의 수평지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속하는 잠금 링크; 및 수납 과정에서 상기 잠금 링크에 의한 상기 수평지지링크의 구속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해제판;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좌우로 쌍을 이루는 한 쌍 이상의 흔들림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납식 관람석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지지링크는, 펼쳐진 상태에서의 상기 전후간격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길쭉한 평판형태의 외형을 구비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길쭉하게 타공된 가이드 슬롯을 구비하며, 펼쳐진 상태에서 최후방에 위치하는 제1 수직지지기둥의 내측 측면에 후단부가 선회가능하게 고정되고, 전단부 측 하변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절개된 잠금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가이드 슬롯 내에 위치하도록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수직지지기둥 전방에 위치하는 제2 수직지지기둥의 외측 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평지지링크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잠금 링크는, 상기 제2 수직지지기둥을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선회축부재와, 상기 선회축부재의 내측단에 결합되는 잠금해제 링크부재와, 상기 잠금해제 링크부재와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상기 선회축부재의 외측단에 결합되는 잠금 링크부재, 및 상기 잠금 링크부재의 선단부 외측 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잠금홈 내에 위치하는 잠금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돌기가 상기 잠금홈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잠금해제 링크부재의 선단부가 제2 수직지지기둥 전방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제1방향으로 상기 선회축부재를 중심으로 선회하는 힘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잠금해제판은, 상기 제2 수직지지기둥 전방에 위치하는 제3 수직지지기둥의 상기 잠금해제 링크부재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외측 측방으로 돌출하여, 수납시 상기 제3 수직지지기둥과 함께 후퇴하는 과정에서 상기 잠금해제 링크부재의 선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잠금 링크가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선회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잠금 돌기가 상기 잠금홈으로부터 이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최종 단위관람석과 상기 최종 단위관람석에 인접한 상기 피동 단위관람석에 각각 구비되는 일측의 2개의 수직지지기둥 및 벽면을 이용하여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직접적으로 후퇴하는 방향의 수평성분의 하중을 지지하는 벽면형 수평지지링크;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벽면형 수평지지링크의 수평지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떠받치는 받침 링크; 및 수납 과정에서 상기 받침 링크에 의한 벽면형 수평지지링크의 받침지지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해제판;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좌우로 쌍을 이루는 한 쌍의 벽면형 흔들림 방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벽면형 수평지지링크는, 상기 최종 단위관람석의 수직지지기둥의 후면에 그 전단부가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수평지지링크부재와, 대응하는 높이의 벽면에 그 후단부가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수평지지링크부재, 및 제1수평지지링크부재의 후단부와 제2수평지지링크부재의 전단부를 선회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핀부재를 포함하여, 펼쳐진 상태에서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 링크는, 상기 최종 단위관람석의 수직지지기둥을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선회축부재와, 상기 선회축부재의 내측단에 결합되는 받침해제 링크부재, 및 상기 받침해제 링크부재와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상기 선회축부재의 외측단에 결합되며 상기 벽면형 수평지지링크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그 선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받침부를 구비하는 받침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가 상기 벽면형 수평지지링크를 떠받쳐 수평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받침해제 링크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최종 단위관람석의 수직지지기둥 전방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제1방향으로 상기 선회축부재를 중심으로 선회하는 힘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받침해제판은, 최종 단위관람석 직전방의 피동 단위관람석에 구비되는 수직지지기둥의 상기 받침해제 링크부재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외측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수납시 상기 피동 단위관람석에 구비되는 수직지지기둥과 함께 후퇴하는 과정에서 상기 받침해제 링크부재의 선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받침 링크가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선회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받침부에 의한 벽면형 수평지지링크의 떠받침이 해제되도록 하며, 이후 상기 최종 단위관람석의 수직지지기둥이 후퇴하는 과정에서 상기 벽면형 수평지지링크를 이루는 제1수평지지링크부재와 제2수평지지링크부재가 자체 중량에 의해 상기 연결핀부재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흔들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납식 관람석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은 펼치는 작업과 수납 작업시 세팅을 위한 또는 세팅해제를 위한 별다른 부가적인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가운데, 수납식 관람석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중 후퇴하는 방향의 수평성분의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각 단위관람석, 특히 벽면에 인접한 높이가 높은 단위관람석들의 상부에 구비되는 좌석설치판이 전후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관람좌석을 이용하는 관람자들에게 편안한 관람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납식 관람석의 뼈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수납식 관람석을 펼쳐진 상태에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수납식 관람석을 수납된 상태에서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관람석을 펼쳐진 상태에서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흔들림 방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d는 도 5의 흔들림 방지 장치의 세팅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도 5의 흔들림 방지 장치의 세팅해제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형 흔들림 방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9a 내지 도 9c는 도 8의 벽면형 흔들림 방지 장치의 세팅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도 8의 벽면형 흔들림 방지 장치의 세팅해제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며, "펼쳐진 상태"라 함은 수납식 관람석이 사용을 위해 펼쳐진 상태를 의미하고, "수납된 상태"라 함은 수납식 관람석이 비사용시 전체적으로 상하로 나란하게 포개어진 상태를 의미함을 밝혀둔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관람석을 펼쳐진 상태에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흔들림 방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a 내지 도 6d는 도 5의 흔들림 방지 장치의 세팅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도 5의 흔들림 방지 장치의 세팅해제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관람석은,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구동수단(10)을 포함하는 최하단이자 최전방에 위치하는 능동 단위관람석(100)과, 벽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최상단이자 최후방의 최종 단위관람석(120), 및 순차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능동 단위관람석(100)과 최종 단위관람석(120) 사이에 배치되며 필요에 따라 그 수가 변화될 수 있는 복수의 피동 단위관람석(110)을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상판(135)과 수직기둥(137)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최종 단위관람석(120)의 후방에 위치하여 벽면과 바닥 등 건물을 구성하는 구조물에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상판(135) 아래에 포개어진 상태의 단위관람석들(100, 110, 12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되도록 하는 수납 데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지만, 만약 이와 같은 수납 데크(14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최종 단위관람석(120)이 직접적으로 벽면과 바닥 등 건물을 구성하는 구조물에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될 것이다.
각 단위관람석(100, 110, 120)은,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각각 하방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장착되는 복수의 바퀴(11)를 구비하며 최하단에서 최상단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간격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수평받침대(20)와, 이 한 쌍의 수평받침대(20) 각각의 후방 측 상면에서 수직상방으로 연장되며 최하단에서 최상단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길이가 증가하는 한 쌍의 수직지지기둥(30)과, 이 한 쌍의 수직지지기둥(30) 상단에 그 후단부가 고정되고 그 상면에 복수의 관람좌석(45)이 설치되는 좌석설치판(40), 및 좌석설치판(40)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직상부에 위치하게 각 단위관람석(110, 120)의 좌석설치판(40)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7)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직상부에 지지할 좌석설치판(40)이 존재하지 않는 최종 단위관람석(120)의 경우 지지프레임(47)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단위관람석들(100, 110, 120)은, 최하단의 능동 단위관람석(100)에서부터 최상단의 최종 단위관람석(120)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길이가 증가하는 수직지지기둥(30)을 각각 구비하여 각각의 좌석설치판(40)의 높이가 순차적으로 높아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또한 최하단의 능동 단위관람석(100)에서부터 최상단의 최종 단위관람석(120)으로 갈수록 각각에 구비되는 두 수평받침대(20) 사이의 간격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하여 어느 하나의 단위관람석(100, 110)의 두 수평받침대(20)가 직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단위관람석(110, 120)의 두 수평받침대(20) 사이에 차례로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수납시 인접한 단위관람석(100, 110, 120)에 구비되는 수직지지기둥들(30) 및 수평받침대들(20) 간의 형상적인 간섭없이 복수의 단위관람석(100, 110, 120)이 상하로 나란히 포개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관람석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단위관람석들 사이에서 후퇴하는 방향의 수평성분의 하중에 대한 수평방향 지지기능을 수행하는 흔들림 방지 장치(200) 및 벽면(301)과 최종 단위관람석(120) 사이에서 수평방향 지지기능을 수행하는 벽면형 흔들림 방지 장치(300)를 포함한다. 물론, 수납식 관람석이 수납 데크(140)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라면, 벽면형 흔들림 방지 장치(300)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한 흔들림 방지 장치(200)는 기본적으로 각 단위관람석(110, 120)을 기준으로 좌우로 쌍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모든 단위관람석들 사이사이에 전부 구비될 수도 있지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 수평방향 하중지지에 취약한 최종 단위관람석(120) 및 이와 인접한 수 개의 피동 단위관람석(110) 사이에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방지 장치(200)에 관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하나의 흔들림 방지 장치(200)가, 펼쳐진 상태에서 동일한 전후간격 및 좌우간격을 갖도록 배치되고,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한 좌우간격을 유지한 가운데 나란히 겹쳐지는 인접한 3개의 단위관람석에 구비되는 일측의 3개의 수직지지기둥을 이용하여 설치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단지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개별적인 흔들림 방지 장치와 관련되는 3개의 수직지지기둥 중 최후방의 것을 제1 수직지지기둥(30-1), 가운데의 것을 제2 수직지지기둥(30-2), 그리고 최전방의 것을 제3 수직지지기둥(30-3)과 같이 정의하고 구분가능한 참조부호를 부여했으며, 이들은 참조부호 "30"으로 지시되는 수직지지기둥과 동일한 수직지지기둥임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방지 장치(2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접적으로 후퇴하는 방향의 수평성분의 하중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링크(210)와, 펼쳐지거나 수납되는 과정에서 수평지지링크(2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230)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수평지지링크(210)의 수평지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속하는 잠금 링크(250), 및 수납 과정에서 잠금 링크(250)에 의한 수평지지링크(210)의 구속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해제판(270)을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평지지링크(210)는 펼쳐진 상태에서의 결정된 전후간격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길쭉한 평판형태의 외형을 구비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길쭉하게 타공된 가이드 슬롯(215)을 구비하며, 펼쳐진 상태에서 최후방에 위치하는 제1 수직지지기둥(30-1)의 내측 측면에 그 후단부가 선회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전단부 측 하변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절개된 잠금홈(225)을 구비한다.
그리고, 가이드 돌기(230)는, 수평지지링크(210)의 가이드 슬롯(215) 내에 위치하도록 펼쳐진 상태에서 제1 수직지지기둥(30-1) 전방에 위치하는 제2 수직지지기둥(30-2)의 외측 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세팅과정 또는 세팅해제과정에서 수평지지링크(210)의 후단부를 축으로 한 선회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가이드 돌기(230)의 끝단부에는, 가이드 슬롯(215)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수평지지링크(210)의 가이드 슬롯(215)이 가이드 돌기(23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235)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잠금 링크(250)는, 제2 수직지지기둥(30-2)을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선회축부재(255)와, 이 선회축부재(255)의 내측단에 결합되는 잠금해제 링크부재(253)와, 이 잠금해제 링크부재(253)와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선회축부재(255)의 외측단에 결합되는 잠금 링크부재(257), 및 잠금 링크부재(257)의 선단부 외측 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수평지지링크(210)의 잠금홈(225) 내에 위치하는 잠금 돌기(26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잠금 링크(250)는, 잠금 돌기(265)가 잠금홈(225) 내에 끼워진 상태에서 유지되도록 하고 잠금해제 링크부재(253)의 선단부가 제2 수직지지기둥(30-2) 전방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제1방향(A)으로 선회축부재(255)를 중심으로 선회하는 힘이 작용하도록 설치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잠금 링크(250)는, 잠금해제 링크부재(253)의 자체 중량에 의해 항상 제1방향(A)으로 선회하려는 힘이 작용하는 상태에 놓인다. 그러나, 이러한 제1방향(A)으로 선회하는 힘을 증대시키기 위해,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지만, 부가적으로 잠금해제 링크부재(253)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무게추(미도시)를 더 구비하거나, 잠금해제 링크부재(253)를 당기는 스프링부재(미도시) 또는 선회축부재(255)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토크를 작용시키는 토크스프링부재(미도시) 등과 같은 탄성복원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 잠금해제판(270)은, 제2 수직지지기둥(30-2) 전방에 위치하는 제3 수직지지기둥(30-3)의 상기한 잠금해제 링크부재(253)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외측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수납시 제3 수직지지기둥(30-3)과 함께 후퇴하는 과정에서 잠금해제 링크부재(253)의 선단부를 가압하여 잠금 링크(250)가 제1방향(A)과 반대인 제2방향(B)으로 선회하도록 함으로써, 잠금 돌기(265)가 잠금홈(225)으로부터 이탈하도록 한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흔들림 방지 장치의 세팅과정 및 세팅해제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방지 장치(200)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팅과정이 시작되기 이전 수납된 상태에서 놓여 있을 때, 제1 수직지지기둥(30-1), 제2 수직지지기둥(30-2) 및 제3 수직지지기둥(30-3)이 나란히 겹쳐진 상태에 위치하게 되고, 이때 수평지지링크(210)는 수직 상태에서 제1 수직지지기둥(30-1)과 제2 수직지지기둥(30-2) 사이의 틈에 위치하게 된다.
흔들림 방지 장치(200)의 세팅과정은 단위관람석들(100, 110, 120)을 펼치는 작업이 진행과는 과정에 병행되는 것으로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수직지지기둥(30-3)이 먼저 전진이동을 시작하게 되면, 1차적으로 이 과정에서 잠금해제 링크부재(253)가 잠금해제판(270)에 의한 가압상태에서 해방되어 잠금 링크(250)가 제1방향(A)으로 선회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그 다음,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수직지지기둥(30-3)의 전진이동이 완료되면 제2 수직지지기둥(30-2)이 전진하기 시작하고, 더불어 가이드 돌기(230)에 의해 가이드되는 가운데 수평지지링크(210)가 전방을 향해 제1방향(A)으로 선회이동하기 시작하며, 제1방향(A)으로 선회하는 힘이 항시 작용하는 잠금 링크(250) 또한 제1방향(A)으로 선회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은 선회이동 도중에 잠금 링크(250)에 구비되는 잠금 돌기(265)가 수평지지링크(210)의 하변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수직지지기둥(30-2)의 전진이동이 완료되면, 동시에 수평지지링크(210)의 선회이동이 완료되어 대략 수평으로 놓이게 됨과 더불어, 수평지지링크(210)의 하변에 접촉하고 있던 잠금 돌기(265)가 선회축부재(255)를 중심으로 한 잠금 링크(250)의 추가적인 선회와 더불어 수평지지링크(210)의 전단부 측 하변에 구비되는 잠금홈(225) 내부에 진입함으로써 잠금상태에 놓이게 되어, 세팅과정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세팅과정이 완료되면, 잠금 링크(250)에 항상 제1방향(A)으로 선회하는 힘이 작용하고 있음에 따라, 잠금 돌기(265)가 잠금홈(225) 내부에 위치하는 잠금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따라서 후퇴하는 방향의 수평성분의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제1 수직지지기둥(30-1)과 제2 수직지지기둥(30-2)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이 방지되어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역으로, 흔들림 방지 장치(200)의 세팅해제과정은 단위관람석들(100, 120, 120)을 수납하는 작업이 진행과는 과정에 병행되는 것으로서,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수직지지기둥(30-3)이 먼저 후진이동하는 과정에서 잠금해제판(270)이 잠금해제 링크부재(253)를 가압하기 시작한다.
그 다음,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수직지지기둥(30-3)과 제2 수직지지기둥(30-2)이 완전히 겹쳐지는 과정에서, 잠금해제판(270)이 잠금해제 링크부재(253)를 계속해서 가압함에 따라 선회축부재(255)를 중심으로 한 제2방향(B)으로 잠금 링크(250)가 선회하게 되고, 이와 같은 잠금 링크(250)의 선회로 인해 잠금 돌기(265)가 수평지지링크(210)의 잠금홈(225)으로부터 이탈하게 됨과 더불어 잠금해제 상태에 놓이게 된다.
계속해서,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히 겹쳐진 제2 수직지지기둥(30-2)과 제3 수직지지기둥(30-3)은 함께 후진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가이드 돌기(230)에 의해 가이드되는 가운데 수평지지링크(210)가 제2방향(B)으로 선회이동하게 되고,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께 후진하는 제2 수직지지기둥(30-2)과 제3 수직지지기둥(30-3)이 제1 수직지지기둥(30-1)과 완전히 겹쳐지게 됨과 동시에 수직지지링크(210)가 수직 상태에서 제1 수직지지기둥(30-1)과 제2 수직지지기둥(30-2) 사이의 틈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세팅해제과정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은 흔들림 방지 장치(200)는, 단위관람석의 전후간격에 상당하는 길이를 갖는 수평지지링크(210)가 세팅 전, 다시 말해 세팅해제과정이 완료된 때에 수직 상태에 놓이게 됨에 따라, 각 단위관람석(100, 110, 120)의 좌석설치판(40)으로부터 적어도 상기한 길이를 고려한 높이 만큼 낮춰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인접하는 흔들림 방지 장치들 간의 형상적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최종 단위관람석(120)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를 점진적으로 낮추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형 흔들림 방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a 내지 도 9c는 도 8의 벽면형 흔들림 방지 장치의 세팅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10a 및 도 10b는 도 8의 벽면형 흔들림 방지 장치의 세팅해제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형 흔들림 방지 장치(300)에 관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벽면형 흔들림 방지 장치(3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납 데크(140)를 포함하는 경우에, 즉 최종 단위관람석(120)이 벽면(301)과 바닥에 직접적으로 고정되지 않는 경우에, 최종 단위관람석(120)과 벽면(301) 간의 안정적인 수평방향 하중지지를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좌우로 쌍을 이루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각각 최종 단위관람석(120)과 최종 단위관람석(120)에 인접한 피동 단위관람석(110)에 각각 구비되는 일측의 2개의 수직지지기둥(30')(30") 및 인접한 벽면(301)을 이용하여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형 흔들림 방지 장치(3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접적으로 후퇴하는 방향의 수평성분의 하중을 지지하는 벽면형 수평지지링크(310)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벽면형 수평지지링크(310)의 수평지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떠받치는 받침 링크(350), 및 수납 과정에서 받침 링크(350)에 의한 벽면형 수평지지링크(310)의 받침지지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해제판(370)을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벽면형 수평지지링크(310)는, 최종 단위관람석(120)의 수직지지기둥(30')의 후면에 그 전단부가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수평지지링크부재(315)와, 대응하는 높이의 벽면(301)에 그 후단부가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수평지지링크부재(325), 및 제1수평지지링크부재(315)의 후단부와 제2수평지지링크부재(325)의 전단부를 선회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핀부재(335)를 포함하여, 펼쳐진 상태에서 수평으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받침 링크(350)는 최종 단위관람석(120)의 수직지지기둥(30')을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선회축부재(355)와, 이 선회축부재(355)의 내측단에 결합되는 받침해제 링크부재(353), 및 이 받침해제 링크부재(353)와 선회축부재(355)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선회축부재(355)의 외측단에 결합되며 벽면형 수평지지링크(3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그 선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받침부(365)를 구비하는 받침 링크부재(357)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받침 링크(350)는, 받침부(365)가 벽면형 수평지지링크(310)를 떠받쳐 수평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고 받침해제 링크부재(353)의 선단부가 최종 단위관람석(120)의 수직지지기둥(30') 전방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제1방향(A)으로 선회축부재(355)를 중심으로 선회하는 힘이 작용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받침해제판(370)은, 최종 단위관람석(120) 직전방의 피동 단위관람석(110)에 구비되는 수직지지기둥(30")의 받침해제 링크부재(353)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외측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수납시 피동 단위관람석(110)에 구비되는 수직지지기둥(30")과 함께 벽면(301)을 향해 후퇴하는 과정에서 받침해제 링크부재(353)의 선단부를 가압하여 받침 링크(350)가 제1방향(A)과 반대인 제2방향(B)으로 선회하도록 함으로써 받침부(365)에 의한 벽면형 수평지지링크(310)의 떠받침이 해제되도록 하며, 이후 최종 단위관람석(120)의 수직지지기둥(30')이 후퇴하는 과정에서 벽면형 수평지지링크(310)를 이루는 제1수평지지링크부재(315)와 제2수평지지링크부재(325)가 자체 중량에 의해 연결핀부재(335)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벽면형 흔들림 방지 장치의 세팅과정 및 세팅해제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형 흔들림 방지 장치(300)는,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팅과정이 시작되기 이전 수납된 상태에서 놓여 있을 때, 최종 단위관람석(120)의 수직지지기둥(30')과 인접한 피동 단위관람석(110)의 수직지지기둥(30")이 나란히 겹쳐진 상태에 위치하게 되고, 이때 벽면형 수평지지링크(310)는 제1수평지지링크부재(315)와 제2수평지지링크부재(325)가 연결핀부재(335)를 중심으로 접혀 하방으로 늘어져 있는 상태에 놓인다.
벽면형 흔들림 방지 장치(300)의 세팅과정 역시 단위관람석들(100, 110, 120)을 펼치는 작업이 진행되는 과정에 병행되는 것으로서, 최종 단위관람석(120)에 인접한 피동 단위관람석(110)이 전진이동을 시작함과 동시에 시작된다. 구체적으로,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동 단위관람석(110)의 수직지지기둥(30")이 전진이동을 시작하게 되면, 1차적으로 이 과정에서 받침해제 링크부재(353)가 받침해제판(370)에 의한 가압상태에서 해방되어 받침 링크(350)가 제1방향(A)으로 선회가능한 상태에 놓임과 더불어, 제1방향(A)으로 선회하는 힘이 항시 작용함에 따라 실제로 제1방향(A)으로 선회하기 시작한다.
그 다음,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동 단위관람석(110)의 수직지지기둥(30")의 전진이동이 완료되면 최종 단위관람석(120)의 수직지지기둥(30')이 전진하기 시작하고, 더불어 접혀있던 제1수평지지링크부재(315)와 제2수평지지링크부재(325)가 연결핀부재(335)를 중심으로 펴지기 시작한다. 최종 단위관람석(120)은 제1수평지지링크부재(315)와 제2수평지지링크부재(325)가 연결핀부재(335)를 중심으로 완전히 펴져 수평상태에 도달함으로써 전진이동을 완료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받침 링크(350)의 받침부(365)가 제1수평지지링크부재(315)와 제2수평지지링크부재(325)로 이루어진 벽면형 수평지지링크(310)를 아래에서 떠받쳐 수평지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세팅과정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세팅과정이 완료되면, 받침 링크(350)에 항상 제1방향(A)으로 선회하는 힘이 작용하고 있음에 따라, 받침부(365)에 의해 벽면형 수평지지링크(310)의 수평지지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따라서 후퇴하는 방향의 수평성분의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벽면(301)과 최종 단위관람석(120)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이 방지되어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역으로, 벽면형 흔들림 방지 장치(300)의 세팅해제과정은 단위관람석들(100, 110, 120)을 수납하는 작업이 진행과는 과정에 병행되는 것으로서,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피동 단위관람석(110)의 수직지지기둥(30")이 먼저 후진이동하는 과정에서 받침해제판(370)이 받침해제 링크부재(353)를 가압하기 시작한다.
그 다음,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동 단위관람석(110)의 수직지지기둥(30")과 최종 단위관람석(120)의 수직지지기둥(30')이 완전히 겹쳐지는 과정에서, 받침해제판(370)이 받침해제 링크부재(353)를 계속해서 가압함에 따라 선회축부재(355)를 중심으로 한 제2방향(B)으로 받침 링크(350)가 선회하게 되고, 이와 같은 받침 링크(350)의 선회로 인해 받침부(365)가 벽면형 수평지지링크(310)를 더 이상 떠받치지 않게 됨과 더불어 받침해제 상태에 놓이게 된다.
계속해서, 완전히 겹쳐진 피동 단위관람석(110)의 수직지지기둥(30")과 최종 단위관람석(120)의 수직지지기둥(30')이 함께 후퇴한도 범위 내에서 후진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벽면형 수평지지링크(310)를 이루는 제1수평지지링크부재(315)와 제2수평지지링크부재(325)가 연결핀부재(335)를 중심으로 접히게 됨으로써 세팅해제과정이 완료되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세팅 전 상태에 놓이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흔들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납식 관람석은 흔들림 방지 장치(200) 및 벽면형 흔들림 방지 장치(300)를 구비하며, 흔들림 방지 장치(200)는 수직지지기둥과 수직지지기둥 사이의 전후간격을 수평지지링크(210)에 의해 확고히 유지함으로써 관련된 두 단위관람석(110, 120)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방지하고, 또한 벽면형 흔들림 방지 장치(300)는 벽면(301)과 최종 단위관람석(120)의 수직지지기둥 사이의 전후간격을 벽면형 수평지지링크(310)에 의해 확고히 유지함으로써 최종 단위관람석(120)의 후퇴이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후퇴하는 방향의 수평성분의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수납식 관람석이 전체적으로 흔들림없이 안정적인 상태에 놓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흔들림 방지 장치(200)와 벽면형 흔들림 방지 장치(300)의 세팅 및 세팅해제 작업을 위해 별도의 수동적인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수납식 관람석의 펼치는 작업과 수납하는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즉, 수납식 관람석을 펼치는 과정에서 구비된 흔들림 방지 장치(200) 중 최하단이자 최전방에 위치하는 흔들림 방지 장치부터 순차적으로 세팅되어 마지막에 벽면형 흔들림 방지 장치(300)가 세팅되며, 수납식 관람석을 수납하는 과정에서도 최하단이자 최전방에 위치하는 흔들림 방지 장치(200)부터 순차적으로 세팅해제되어 마지막에 벽면형 흔들림 방지 장치(300)가 세팅해제된다.
10: 구동수단 11: 바퀴
20: 수평받침대
30, 30-1, 30-2, 30-3, 30', 30": 수직지지기둥
40: 좌석설치판 45: 관람좌석
47: 지지프레임 100: 능동 단위관람석
110: 피동 단위관람석 120: 최종 단위관람석
135: 상판 137: 수직기둥
140: 수납 데크 200: 흔들림 방지 장치
210: 수평지지링크 215: 가이드 슬롯
225: 잠금홈 230: 가이드 돌기
235: 이탈방지부재 250: 잠금 링크
253: 잠금해제 링크부재 255: 선회축부재
257: 잠금 링크부재 265: 잠금 돌기
270: 잠금해제판 300: 벽면형 흔들림 방지 장치
301: 벽면 310: 벽면형 수평지지링크
315: 제1수평지지링크부재 325: 제2수평지지링크부재
335: 연결핀부재 350: 받침 링크
353: 받침해제 링크부재 355: 선회축부재
357: 받침 링크부재 365: 받침부
370: 받침해제판 A: 제1방향
B: 제2방향

Claims (9)

  1. 최하단의 능동 단위관람석, 최상단의 최종 단위관람석, 및 순차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능동 단위관람석과 상기 최종 단위관람석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피동 단위관람석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관람석들은 각각, 최하단에서 최상단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간격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수평받침대와, 상기 한 쌍의 수평받침대 각각의 후방 측 상면에서 수직상방으로 연장되며 최하단에서 최상단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길이가 증가하는 한 쌍의 수직지지기둥, 및 상기 한 쌍의 수직지지기둥 상단에 그 후단부가 고정되는 좌석설치판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수납식 관람석에 있어서:
    펼쳐진 상태에서 동일한 전후간격 및 좌우간격을 갖도록 배치되고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간격을 유지한 가운데 나란히 겹쳐지는 인접한 3개의 단위관람석에 구비되는 일측의 3개의 수직지지기둥을 이용하여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직접적으로 후퇴하는 방향의 수평성분의 하중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링크; 펼쳐지거나 수납되는 과정에서 상기 수평지지링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수평지지링크의 수평지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속하는 잠금 링크; 및 수납 과정에서 상기 잠금 링크에 의한 상기 수평지지링크의 구속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해제판;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좌우로 쌍을 이루는 한 쌍 이상의 흔들림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납식 관람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링크는, 펼쳐진 상태에서의 상기 전후간격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길쭉한 평판형태의 외형을 구비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길쭉하게 타공된 가이드 슬롯을 구비하며, 펼쳐진 상태에서 최후방에 위치하는 제1 수직지지기둥의 내측 측면에 후단부가 선회가능하게 고정되고, 전단부 측 하변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절개된 잠금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납식 관람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가이드 슬롯 내에 위치하도록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수직지지기둥 전방에 위치하는 제2 수직지지기둥의 외측 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평지지링크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납식 관람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링크는, 상기 제2 수직지지기둥을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선회축부재와, 상기 선회축부재의 내측단에 결합되는 잠금해제 링크부재와, 상기 잠금해제 링크부재와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상기 선회축부재의 외측단에 결합되는 잠금 링크부재, 및 상기 잠금 링크부재의 선단부 외측 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잠금홈 내에 위치하는 잠금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돌기가 상기 잠금홈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잠금해제 링크부재의 선단부가 제2 수직지지기둥 전방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제1방향으로 상기 선회축부재를 중심으로 선회하는 힘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납식 관람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판은, 상기 제2 수직지지기둥 전방에 위치하는 제3 수직지지기둥의 상기 잠금해제 링크부재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외측 측방으로 돌출하여, 수납시 상기 제3 수직지지기둥과 함께 후퇴하는 과정에서 상기 잠금해제 링크부재의 선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잠금 링크가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선회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잠금 돌기가 상기 잠금홈으로부터 이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납식 관람석.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단위관람석과 상기 최종 단위관람석에 인접한 상기 피동 단위관람석에 각각 구비되는 일측의 2개의 수직지지기둥 및 벽면을 이용하여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직접적으로 후퇴하는 방향의 수평성분의 하중을 지지하는 벽면형 수평지지링크;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벽면형 수평지지링크의 수평지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떠받치는 받침 링크; 및 수납 과정에서 상기 받침 링크에 의한 벽면형 수평지지링크의 받침지지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해제판;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좌우로 쌍을 이루는 한 쌍의 벽면형 흔들림 방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납식 관람석.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형 수평지지링크는, 상기 최종 단위관람석의 수직지지기둥의 후면에 그 전단부가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수평지지링크부재와, 대응하는 높이의 벽면에 그 후단부가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수평지지링크부재, 및 제1수평지지링크부재의 후단부와 제2수평지지링크부재의 전단부를 선회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핀부재를 포함하여, 펼쳐진 상태에서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납식 관람석.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링크는, 상기 최종 단위관람석의 수직지지기둥을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선회축부재와, 상기 선회축부재의 내측단에 결합되는 받침해제 링크부재, 및 상기 받침해제 링크부재와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상기 선회축부재의 외측단에 결합되며 상기 벽면형 수평지지링크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그 선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받침부를 구비하는 받침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가 상기 벽면형 수평지지링크를 떠받쳐 수평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받침해제 링크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최종 단위관람석의 수직지지기둥 전방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제1방향으로 상기 선회축부재를 중심으로 선회하는 힘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납식 관람석.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해제판은, 최종 단위관람석 직전방의 피동 단위관람석에 구비되는 수직지지기둥의 상기 받침해제 링크부재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외측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수납시 상기 피동 단위관람석에 구비되는 수직지지기둥과 함께 후퇴하는 과정에서 상기 받침해제 링크부재의 선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받침 링크가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선회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받침부에 의한 벽면형 수평지지링크의 떠받침이 해제되도록 하며, 이후 상기 최종 단위관람석의 수직지지기둥이 후퇴하는 과정에서 상기 벽면형 수평지지링크를 이루는 제1수평지지링크부재와 제2수평지지링크부재가 자체 중량에 의해 상기 연결핀부재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납식 관람석.
KR1020110080414A 2011-08-12 2011-08-12 흔들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납식 관람석 KR101399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414A KR101399377B1 (ko) 2011-08-12 2011-08-12 흔들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납식 관람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414A KR101399377B1 (ko) 2011-08-12 2011-08-12 흔들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납식 관람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777A true KR20130017777A (ko) 2013-02-20
KR101399377B1 KR101399377B1 (ko) 2014-05-30

Family

ID=47896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414A KR101399377B1 (ko) 2011-08-12 2011-08-12 흔들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납식 관람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3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288B1 (ko) * 2020-03-09 2020-12-03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진동 저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다단 관람석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291Y2 (ko) * 1989-07-27 1993-02-02
KR100992556B1 (ko) 2010-04-02 2010-11-08 주식회사 아성이엔지 수납식 관람석의 흔들림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9377B1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377B1 (ko) 흔들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납식 관람석
JP3352089B2 (ja) 多重折畳みステージ
US4702043A (en) Apparatus for turning up and down seats for a telescopic seating system
JP2932074B2 (ja) 段差移動床集合体における個別床のフリーロケーションシステム
KR200447896Y1 (ko) 수납식 관람석의 가동 안내장치
JP6242482B2 (ja) 移動観覧席
WO2015155870A1 (ja) 移動観覧席
KR101892130B1 (ko) 수납식 관람석의 록킹장치
KR102299057B1 (ko) 가동형 관람석의 반자동 폴딩장치
KR102669204B1 (ko) 등받이 회전제어장치가 구비된 수납식 관람석 시스템
KR102669023B1 (ko) 수납식 관람석의 락킹 장치
WO2016139792A1 (ja) 移動観覧席
JPH0842169A (ja) 伸縮式階段状移動観覧席のサイドパネル構造
JP2567183Y2 (ja) 伸縮式階段状観覧席
JP3407216B2 (ja) 移動観覧席
JP2800751B2 (ja) 移動観覧席
JP3024502U (ja) 伸縮式移動観覧席
JPH035640Y2 (ko)
JPS6316778Y2 (ko)
WO2022059131A1 (ja) 移動観覧席
JP2609527B2 (ja) 移動観覧席の座席起立装置
JPH0421482Y2 (ko)
JPH0126843Y2 (ko)
JP3027063U (ja) 伸縮式移動観覧席のフロントステップ取付構造
JPH10331464A (ja) 多目的競技場設備における可動席ユニットの展開および 収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