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288B1 - 진동 저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다단 관람석 - Google Patents

진동 저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다단 관람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288B1
KR102186288B1 KR1020200028986A KR20200028986A KR102186288B1 KR 102186288 B1 KR102186288 B1 KR 102186288B1 KR 1020200028986 A KR1020200028986 A KR 1020200028986A KR 20200028986 A KR20200028986 A KR 20200028986A KR 102186288 B1 KR102186288 B1 KR 102186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dy
grandstand
support
body part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신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028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2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2Tribunes, grandstands or terraces for spectators
    • E04H3/123Telescopic grand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47C4/18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는, 다단 관람석단 - 상기 다단 관람석단은 관람객이 위치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상위 베이스부와 상기 상위 베이스부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위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상위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상위 관람석단 및 상기 상위 관람석단의 하위 단으로서 상기 상위 관람석단의 하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상위 관람석단의 하측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며, 관람객이 위치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하위 베이스부와 상기 하위 베이스부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하위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하위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하위 관람석단을 구비함. - 에 연결되어 상기 다단 관람석단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 저감 장치에 있어서, 결합부; 및 상기 상위 베이스부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결합부에 의해 일단부가 상기 상위 프레임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지면에 안착되거나 상기 하위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지지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 저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다단 관람석 {VIBRATION REDUCTION DEVICE AND MULTI-STAGE SEAT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진동 저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다단 관람석에 대한 것으로서, 관람객에 의해 다단 관람석단이 흔들리는 것을 저감시키는 진동 저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다단 관람석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단 관람석은 체육관, 강당, 각종 공연장 및 행사장 등에서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다수의 가동 관람석단이 순차적으로 펼쳐지고 접힐 수 있으며, 접힌 경우에는 접힌 공간만큼 공간이 확보되어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반면, 펼쳐 놓은 경우에는 수 많은 사람들이 다단으로 앉을 수 있는 공간과 좌석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다단 관람석단들이 펼쳐졌을 경우에는 다단 관람석단의 상측에는 사람들이 착석할 수 있지만, 착석을 위해 사람들이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다단 관람석단 상에서 관람객이 움직이는 것에 의해, 다단 관람석은 지면 상에서 흔들릴 수 있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하측의 프레임부들 간에 체결하는 진동 저감 장치(일본특허공조 제6271919호, 2018. 1. 12, 발행)가 개발되었으나, 다단 관란석단에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다단 관람석단에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진동 저감 장치 및 이를 구현하는 다단 관람석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는, 다단 관람석단 - 상기 다단 관람석단은 제1 관람석단 및 상기 제1 관람석단의 하위 단으로서 상기 제1 관람석단의 하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제1 관람석단의 하측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는 제2 관람석단을 포함함. - 이 사용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관람석단과 상기 제2 관람석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관람석단과 상기 제2 관람석단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 저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상단 연결부; 상기 제2 관람석단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하단 연결부; 및 상기 상단 연결부와 상기 하단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는 매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개부는, 결합 위치일 경우 상기 상단 연결부와 상기 하단 연결부에 연결되고, 해제 위치일 경우 상기 상단 연결부 또는 상기 하단 연결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 연결부는,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전단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단 연결부는, 상기 제2 관람석단의 후단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매개부는, 측면이 개구되어 내측에 제공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매개부가 결합 위치일 때 상기 상단 연결부가 위치되는 공간인 상측 공간부와 측면이 개구되어 내측에 제공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매개부가 결합 위치일 때 상기 하단 연결부가 위치되는 공간인 하측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부는 일 측면이 개구되어 내측에 상기 하측 공간부를 제공하고, 타 측면이 개구되어 내측에 상기 상측 공간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부가 상기 제2 관람석단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매개부와 상기 제2 관람석단에 연결되어 상기 매개부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개부는, 상기 회전부를 기준으로 상기 매개부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상측 공간부에 상기 상단 연결부가 배치되고 상기 하측 공간부에 상기 하단 연결부가 배치되어,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결합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부는, 상기 상측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측 매개본체부와 상기 하측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측 매개본체부를 구비하는 매개본체부 및 상기 매개본체부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하단 연결부와의 충돌에 의해 상기 상측 매개본체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측 매개본체부의 일단부에 연결되거나 상기 상단 연결부와의 충돌에 의해 상기 하측 매개본체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측 매개본체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충격흡수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상측 매개본체부 또는 상기 하측 매개본체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부는, 상기 상측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측 매개본체부와 상기 하측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측 매개본체부를 구비하는 매개본체부 및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회전부와 상기 상측 공간부 사이의 상기 매개본체부에 연결되는 그립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 연결부는,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전단부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단 연결부는, 상기 제2 관람석단의 후단부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은, 지면 상에서 직립되며 상측에 관람객이 위치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1 관람석단 및 상기 제1 관람석단의 하위 단으로서 상기 제1 관람석단의 하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제1 관람석단의 하측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는 제2 관람석단을 구비하는 다단 관람석단; 및 상기 제2 관람석단이 상기 제1 관람석단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상기 제1 관람석단과 상기 제2 관람석단에 연결되는 진동 저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저감 장치는,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상단 연결부, 상기 제2 관람석단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하단 연결부 및 상기 상단 연결부와 상기 하단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는 매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매개부는, 결합 위치일 경우 상기 상단 연결부와 상기 하단 연결부에 연결되고, 해제 위치일 경우 상기 상단 연결부 또는 상기 하단 연결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관람석단은, 지면 상에 직립되는 제2 프레임부, 상기 제2 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며 관람객이 위치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2 베이스부, 상기 제2 베이스부의 후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후방돌출부 및 상기 제2 후방돌출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이동제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이동제한부는, 상기 다단 관람석단이 사용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전단 내측에 저촉되어 전방 방향으로 상기 제2 관람석단이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매개부는,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전단 외측에 연결되는 상기 상단 연결부와 상기 제2 후방돌출부에 연결되는 상기 하단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는, 다단 관람석단 - 상기 다단 관람석단은 관람객이 위치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상위 베이스부와 상기 상위 베이스부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위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상위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상위 관람석단 및 상기 상위 관람석단의 하위 단으로서 상기 상위 관람석단의 하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상위 관람석단의 하측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며, 관람객이 위치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하위 베이스부와 상기 하위 베이스부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하위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하위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하위 관람석단을 구비함. - 에 연결되어 상기 다단 관람석단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 저감 장치에 있어서, 결합부; 및 상기 상위 베이스부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결합부에 의해 일단부가 상기 상위 프레임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지면에 안착되거나 상기 하위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지지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본체부는, 일단부가 최 상단인 상기 상위 관람석단의 상기 상위 프레임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지면에 안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본체부는, 상기 상위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일단 지지본체부, 지면에 안착되는 타단 지지본체부, 상기 일단 지지본체부와 상기 타단 지지본체부에 연결되는 중단 지지본체부 및 상기 타단 지지부가 지면 상에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중단 지지본체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마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본체부는, 상기 상위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일단 지지본체부, 지면에 안착되는 타단 지지본체부 및 상기 일단 지지본체부와 상기 타단 지지본체부에 연결되는 중단 지지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단 지지본체부는, 상기 지지본체부의 중량을 감소하기 위하여 상기 중단 지지본체부의 측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공간인 중량 감소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본체부의 일단부는, 상기 상위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본체부의 타단부는, 상기 지지본체부가 지지 상태일 경우 상기 하위 프레임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본체부가 자유 상태일 경우 상기 하위 프레임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본체부는, 상기 상위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일측 지지본체부와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하위 프레임부에 연결될 수 있는 타측 지지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타측 지지본체부는, 상기 지지본체부가 지지 상태에서 자유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와 나란하게 위치되거나,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 방향으로 기울어져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 지지본체부는,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에 연결되는 타측 주요본체부 및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와 상기 하위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타측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는, 상기 상위 관람석단에서 발생되는 외력이 상기 하위 프레임부로 전달되도록, 상기 지지본체부가 지지 상태일 경우, 상기 하위 프레임부의 후면에 연결되고, 상기 타측연결부는,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위 프레임부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하위 프레임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는, 일단부가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타측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위치되며, 상기 지지본체부가 지지 상태에서 자유 상태로 용이하게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의 타단부의 내측에 전방 방향의 외부와 연통되는 그립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위 관람석단은, 서로 높이가 상이한 제1 하위 관람석단 내지 제N 하위 관람석단(N은 2 이상의 자연수)을 구비하고, 상기 상기 지지본체부의 타단부는, 가장 낮은 높이의 관람석단인 제N 하위 관람석단의 하위 프레임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본체부는, 최 상단인 상기 상위 관람석단의 상기 상위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지지매개부 및 일단부가 상기 지지매개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측 방향으로 상기 상위 베이스부와 중첩되지 않는 지면에 안착되도록 배치되는 제1 지지본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본체부는, 상기 지지본체부가 지지 상태일 경우 적어도 상기 제1 지지본체부의 일부가 하측 방향으로 상기 상위 베이스부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본체부가 자유 상태일 경우 적어도 상기 제1 지지본체부의 일부가 하측 방향으로 상기 상위 베이스부와 중첩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매개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본체부는, 상기 지지본체부가 지지 상태일 경우, 상기 지지매개부와 상기 제1 지지본체부에 결합되는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매개부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지지본체부가 자유 상태일 경우, 상기 지지매개부와 상기 제1 지지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매개부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되지 않으며, 상기 지지매개부로부터 분리된 상기 체결 부재가 보관될 수 있는 보관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본체부는, 상기 체결 부재가 체결될 수 있는 소정의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위 프레임부는, 상기 상위 베이스부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위 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상위 높이프레임부, 지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상위 높이프레임부에 연결되어 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위 전방프레임부 및 지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상위 높이프레임부에 연결되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위 폭프레임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본체부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매개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상위 전방프레임부와 상기 상위 폭프레임부 사이의 지면에 안착되는 제2 지지본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본체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1 지지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상위 높이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일측 지지연결부, 일단부가 상기 제2 지지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상위 높이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타측 지지연결부 및 상기 일측 지지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타측 지지연결부의 회전 궤적에 위치되는 충격완화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 지지연결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1 지지본체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상위 높이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제1 일측 지지연결부 및 상기 제1 일측 지지연결부로부터 상기 제1 일측 지지연결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일측 지지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충격완화부는, 상기 제2 일측 지지연결부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본체부는, 상기 타측 지지연결부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이격유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은, 관람객이 위치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상위 베이스부와 상기 상위 베이스부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위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상위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상위 관람석단과 상기 상위 관람석단의 하위 단으로서 상기 상위 관람석단의 하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상위 관람석단의 하측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며, 관람객이 위치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하위 베이스부와 상기 하위 베이스부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하위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하위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하위 관람석단을 포함하는 다단 관람석단; 및 상기 다단 관람석단에 연결되어 상기 다단 관람석단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 저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저감 장치는, 결합부 및 상기 상위 베이스부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결합부에 의해 일단부가 상기 상위 프레임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지면에 안착되거나 상기 하위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지지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다단 관람석은 관람객들에게 안정적인 관람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낙상 사고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진동 저감 장치가 연결된 다단 관람석단이 사용 상태일 때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단의 전방에 연결되는 진동 저감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단의 전방에 연결되는 진동 저감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단의 전방에 연결되는 진동 저감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가 구비하는 충격 흡수부와 그립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단의 측부에 연결되는 진동 저감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단의 측부에 연결되는 진동 저감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a)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단의 측부에 연결되는 진동 저감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가 구비하는 지지매개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가 구비하는 일측 지지연결부와 타측연결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진동 저감 장치가 연결된 다단 관람석단이 사용 상태일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단 관람석단(10)은 제1 관람석단(11) 및 상기 제1 관람석단(11)의 하위 단으로서 상기 제1 관람석단(11)의 하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제1 관람석단(11)의 하측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는 제2 관람석단(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단 관람석단은 상기 제2 관람석단(12)의 하위 단으로서 상기 제2 관람석단(12)의 하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제2 관람석단(12)의 하측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는 제3 관람석단(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관람석단(11)은 상기 다단 관람석단의 최 상위 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관람석단(13)은 상기 다단 관람석단의 최 하위 단일 수 있다.
상기 제2 관람석단(12)은 복 수개의 단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관람석단(12)은 제2-1 관람석단, 제2-2 관람석단 내지 제2-N 관람석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N은 2보다 큰 자연수 일 수 있다.
N이 커질수록 점점 하위 단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관람석단(12)의 개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도 1을 참조하면, 제2 관람석단(12)은 제2-1 관람석단(12-1)과 제2-2 관람석단(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관람석단(11)은 관람객이 위치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인 제1 베이스부(11a) 및 상기 제1 베이스부(11a)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베이스부(11a)를 지지하는 제1 프레임부(11b)를 구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관람석단(12)도 관람객이 위치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인 제2 베이스부(12a) 및 상기 제2 베이스부(12a)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면 상에 직립되어 상기 제2 베이스부(12a)를 지지하는 제2 프레임부(12b)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관람석단(12)은 상기 제1 관람석단(11)과 다르게, 상기 제2 베이스부(12a)의 후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후방돌출부(12c) 및 상기 제2 후방돌출부(12c)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이동제한부(12d)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1 관람석단은 제2-1 베이스부, 제2-1 프레임부, 제2-1 후방돌출부, 제2-1 이동제한부를 구비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으며, 다른 제2 관람석단(12)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3 관람석단(13)은 관람객이 위치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인 제3 베이스부(13a) 및 상기 제3 베이스부(13a)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베이스부(13a)를 지지하는 제3 프레임부(13b)를 구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3 관람석단은 상기 제3 베이스부(13a)의 후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3 후방돌출부 및 상기 제3 후방돌출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3 이동제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다단 관람석단이 사용 상태일 경우, 제2 베이스부(12a)가 제1 베이스부(11a)의 하측으로부터 모두 인출되어 상기 제2 베이스부(12a)의 상면 전부가 상측 방향으로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 관람석단이 사용 상태일 경우, 상기 제3 베이스부(13a)가 상기 제2 베이스부(12a)의 하측으로부터 모두 인출되어 상기 제3 베이스부(13a)의 상면 전부가 상측 방향으로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단 관람석단이 보관 상태일 경우, 상기 제2 베이스부(12a)가 상기 제1 베이스부(11a)의 하측으로 적어도 일부 인입되어 상기 제2 베이스부(12a)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측 방향으로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다단 관람석단이 보관 상태일 경우, 상기 제3 베이스부(13a)가 상기 제2 베이스부(12a)의 하측으로 적어도 일부 인입되어 상기 제3 베이스부(13a)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측 방향으로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전방 방향(W10)은 다단 관람석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후방 방향(W20)은 다단 관람석의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서 상기 전방 방향의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상측 방향(W30)은 지면을 기준으로 상측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하측 방향(W40)은 상기 상측 방향과 반대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우측 방향(W50)은 다단 관람석의 우측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상기 전방 방향과 후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좌측 방향(W60)은 다단 관람석의 좌측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상기 전방 방향과 후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우측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웃되는 다단 관람석단에 각각 연결되는 진동 저감 장치와 다단 관람석단의 측부에 연결되어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 저감 장치 두 종류가 있을 수 있다.
이하, 다단 관람석단의 전방에 연결되는 진동 저감 장치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단의 전방에 연결되는 진동 저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100)는, 다단 관람석단이 사용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관람석단(11)과 상기 제2 관람석단(12)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관람석단(11)과 상기 제2 관람석단(12)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 저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람석단(11)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상단 연결부(110), 상기 제2 관람석단(12)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하단 연결부(120) 및 상기 상단 연결부(110)와 상기 하단 연결부(120)에 연결될 수 있는 매개부(131, 1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개부(131, 132)가 결합 위치일 경우, 상기 매개부(131, 132)는 상기 상단 연결부(110)와 상기 하단 연결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부(131, 132)가 해제 위치일 경우, 상기 매개부(131, 132)는 상기 상단 연결부(110) 또는 상기 하단 연결부(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매개부(131, 132)는 측면이 개구되어 내측에 제공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매개부(131, 132)가 결합 위치일 때 상기 상단 연결부(110)가 위치되는 공간인 상측 공간부(S131)와 측면이 개구되어 내측에 제공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매개부(131, 132)가 결합 위치일 때 상기 하단 연결부(120)가 위치되는 공간인 하측 공간부(S13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매개부(131, 132)는 상측 매개본체부(131)와 상기 상측 매개본체부(131)와 연결되는 하측 매개본체부(132)를 구비하는 매개본체부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매개부(131, 132)는 일 두께는 가지는 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상측 매개본체부(131)와 상기 하측 매개본체부(132)는 일체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상측 매개본체부(131)오 상기 하측 매개본체부(132)는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측 매개본체부(131)의 하단부와 상기 하측 매개본체부(132)의 상단부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매개부(131, 132)의 중심(G10)을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상기 매개부(131, 132)의 내측에 소정의 공간인 상측 공간부(S1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매개본체부(131)의 내측에 소정의 공간인 상측 공간부(S1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매개부(131, 132)(상측 매개부(131, 132))의 일 측면이 개구되어 상기 상측 공간부(S131)는 상기 매개부(131, 132)(상측 매개부(131, 132))의 일 측면 방향으로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부(131, 132)의 중심(G10)을 기준으로 타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상기 매개부(131, 132)의 내측에 소정의 공간인 하측 공간부(S1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 매개본체부(132)의 내측에 소정의 공간인 하측 공간부(S1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매개부(131, 132)(하측 매개부(131, 132))의 일 측면이 개구되어 상기 하측 공간부(S132)는 상기 매개부(131, 132)(하측 매개부(131, 132))의 일 측면 방향으로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단 연결부(110)는 상기 제1 관람석단(11)의 전단부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 연결부(110)는 각 관람석단의 베이스부의 전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단 연결부(110)는 제1 상단 본체부(111), 상기 제1 상단 본체부(111)보다 작은 너비(혹은 직경)의 제2 상단 본체부(112), 상기 제2 상단 본체부(112)보다 작은 너비(혹은 직경)의 제3 상단 본체부(113) 및 상기 제3 상단 본체부(113)에 체결되는 상단 너트부(114)를 구비할 수 있다.
일 방향으로 상기 제1 상단 본체부(111), 상기 제2 상단 본체부(112) 및 상기 제3 상단 본체부(113)가 차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상단 본체부(113)의 외면 일 부분만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관람석단의 베이스부의 전면에는 전후방 방향으로 형성된 소정의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3 상단 본체부(113)는 베이스부에 형성된 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상단 너트부(114)는 베이스부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위치되면서 상기 제3 상단 본체부(113)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단 너트부(114)는 베이스부의 전단의 후면을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상단 본체부(113)의 끝 단부부터 상기 제3 상단 본체부(113)에서 상기 제1 상단 본체부(111) 방향으로 상기 제3 상단 본체부(113)의 일부에만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상단 본체부(112)는 베이스부 전단의 정면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단 본체부(112)와 베이스부 전단의 이격 공간에 상기 상측 공간부(S131)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상측 매개본체부(131)는 상기 제2 상단 본체부(112)와 베이스부의 전단 사이에 삽입되어, 전 후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하단 연결부(120)는 상기 제2 관람석단(12)의 후단부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 연결부(120)는 각 관람석단의 베이스부의 후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하단 연결부(120)는 제1 하단 본체부(121), 상기 제1 하단 본체부(121)보다 작은 너비(혹은 직경)의 제2 하단 본체부(122), 상기 제2 하단 본체부(122)보다 작은 너비(혹은 직경)의 제3 하단 본체부(123) 및 상기 제3 하단 본체부(123)에 체결되는 하단 너트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일 방향으로 상기 제1 하단 본체부(121), 상기 제2 하단 본체부(122) 및 상기 제3 하단 본체부(123)가 차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하단 본체부(123)의 외면 일 부분만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관람석단의 후방돌출부에는 상기 제3 하단 본체부(123)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3 하단 본체부(123)가 후방돌출부에 형성된 홀에 삽입된 후 하단 너트부(미도시)가 상기 제3 하단 본체부(123)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단 너트부(미도시)는 상기 후방돌출부가 제공하는 내측 공간에 위치될 수도 있고, 상기 후방돌출부의 후면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는, 통상의 기술자가 설치 현장에 따라 의도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3 하단 본체부(123)는 상기 후방돌출부의 전면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하단 본체부(123)의 일부분에만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하단 본체부(122)는 상기 후방돌출부의 정면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단 본체부(122)와 상기 후방돌출부가 이격된 부분에 상기 하측 공간부(S132)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측 매개본체부(132)는 상기 제2 하단 본체부(122)와 상기 후방돌출부 사이에 삽입되어, 전 후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제한부(12d)는 상기 다단 관람석단이 사용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관람석단(11)의 전단 내측에 저촉되어 전방 방향으로 상기 제2 관람석단(12)이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이동제한부(12d)는 상기 제1 관람석단(11)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관람석단(12)의 전방 방향 위치 이동 가능 범위를 규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개부(131, 132)는 상기 제1 관람석단(11)의 전단 외측에 연결되는 상기 상단 연결부(110)와 상기 제2 후방돌출부(12c)에 연결되는 상기 하단 연결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제한부(12d)와 결합 위치의 상기 매개부(131, 132)의 적어도 일부가 전, 후방 방향으로 중첩되기 때문에, 상기 매개부(131, 132)에 인가되는 부하가 절감될 수 있다.
상기 제2 관람석단(12)이 상기 제1 관람석단(11)으로부터 인출되었을 경우, 상기 제2 관람석단(12)은 후방 방향의 외력보다는 전방 방향의 외력이 더 많이 받을 수 있다.
이는, 관람객들의 이용 행태 등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진동에 의한 관람석단의 이동 변위는 관람석단의 측단부로 갈수록 점점 커질 수 있다.
그로 인해, 이동제한부와 결합 위치의 상기 매개부(131, 132)의 적어도 일부가 전, 후방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다면, 한 쪽 부재에 대해서 더 많은 외력이 인가되어, 한 부재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매개부(131, 132)와 이동제한부 간의 상대적인 위치로 인해, 이러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매개부(131, 132)가 결합 위치일 경우, 상측 공간부(S131)에 상기 제3 상단 본체부(113)가 위치되게 되어 상기 상측 매개본체부(131)가 상단 연결부(1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하측 공간부(S132)에 상기 제3 하단 본체부(123)가 위치되게 되어 상기 하측 매개본체부(132)가 하단 연결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만일, 매개부(131, 132)가 제1 관람석단(11)과 제2 관람석단(12)에 연결될 경우, 제1 관람석단(11)을 기준으로 제2 관람석단(12)은 전, 후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불가할 수 있다.
매개부(131, 132)가 해제 위치일 경우, 상측 매개본체부(131)는 상기 상단 연결부(110)와 이격될 수 있으며, 하측 매개본체부(132)는 상기 하단 연결부(120)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매개부(131, 132)가 해제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관람석단(11)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관람석단(12)은 전, 후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매개부(131, 132)의 위치 이동은 상단 연결부(110)와 하단 연결부(120)에 대해서 매개부(131, 132)가 슬라이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진동 저감 장치는 관람석 단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진동 저감 장치는 각 관람석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진동 저감 장치는 제1 관람석단(11)과 제2-1 관람석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1 관람석단과 상기 제2-2 관람석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2 관람석단과 상기 제3 관람석단(13)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설치되는 곳은 관람석단의 개 수와 시공 현장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단의 전방에 연결되는 진동 저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1100)가 구비하는 매개부(131, 132)는 타 측면이 개구되어 내측에 상측 공간부(S1131)를 제공하고 일 측면이 개구되어 내측에 하측 공간부(S1132)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측 매개본체부(131)에 형성되는 상기 상측 공간부(S1131)가 측 방향으로 개구되는 방향과 하측 매개본체부(132)에 형성되는 상기 하측 공간부(S1132)가 측 방향으로 개구되는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상단 연결부(110)와 상기 하단 연결부(120)에 연결되는 매개부(131, 132)가 일 측 방향 혹은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단의 전방에 연결되는 진동 저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제3 실시예의 진동 저감 장치가 해제 위치인 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제3 실시예의 진동 저감 장치가 결합 위치인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2100)는 상기 매개부(131, 132)가 상기 제2 관람석단(12)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매개부(131, 132)와 상기 제2 관람석단(12)에 연결되어 상기 매개부(131, 132)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부(2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부(131, 132)는 상기 매개본체부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하단 연결부(120)와의 충돌에 의해 상기 상측 매개본체부(13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측 매개본체부(131)의 일단부에 연결되거나 상기 상단 연결부(110)와의 충돌에 의해 상기 하측 매개본체부(13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측 매개본체부(132)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충격흡수부(2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부(131, 132)는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회전부(2140)와 상기 상측 공간부(S1131) 사이의 상기 매개본체부에 연결되는 그립부(21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회전부(2140)는 상측 매개본체부(131)와 하측 매개본체부(132)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부(2140)는 매개본체부에 연결된 채로 후방돌출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매개본체부는 상기 회전부(214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면, 해제 위치에서의 매개부(131, 132)가 상기 회전부(2140)를 기준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상측 공간부(S1131)에 상기 상단 연결부(110)가 배치되고, 상기 하측 공간부(S1132)에 상기 하단 연결부(120)가 배치되면서, 상기 매개부(131, 132)가 결합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부(2150)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상측 매개본체부(131) 또는 상기 하측 매개본체부(132)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충격흡수부(2150)는 상기 상측 매개본체부(131)의 일단으로부터 매개본체부의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측 매개본체부(131)에 연결되는 충격흡수부(215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측 공간부(S1131)와 측 방향으로 서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부(2150)는 상기 하측 매개본체부(132)의 타단으로부터 매개본체부의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측 매개본체부(132)에 연결되는 충격흡수부(215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측 공간부(S1132)와 측 방향으로 서로 중첩될 수 있다.
그립부(2160)는 상기 매개본체부의 전방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그립부(2160)는 상측 매개본체부(131)의 일단 및 타측 매개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그립부(2160)는 상기 하측 공간부(S1132)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부(2160)는 하측 매개본체부(132)의 일단 및 타측 매개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그립부(2160)는 상기 상측 공간부(S1131)와 이격될 수 있다.
그립부(2160)와 충격흡수부(2150)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그립부(2160)와 상기 충격흡수부(2150)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립부(2160), 충격흡수부(2150) 및 매개본체부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모체가 제공되고, 모체가 절삭되고, 모체의 양 단부가 벤딩되어 그립부(2160), 충격흡수부(2150), 상측 공간부(S1131) 및 하측 공간부(S1132)가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그립부(2160), 충격흡수부(2150) 및 상측 매개본체부(131)와 하측 매개본체부(132)은 용접 등에 방법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가 구비하는 충격흡수부와 그립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매개부(131, 132)가 해제 위치인 상태에서, 매개부(131, 132)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측 매개본체부(131)에 연결된 충격흡수부(2150)가 하단 연결부(120)에 충돌될 수 있다.
또한, 매개부(131, 132)가 해제 위치인 상태에서, 매개부(131, 132)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하측 매개본체부(132)에 연결된 충격흡수부(2150)가 상단 연결부(110)에 충돌될 수 있다.
만일, 충격흡수부(2150)가 없다면 충격에 의해 상측 매개본체부(131)와 하측 매개본체부(132)가 파손될 수 있다.
상측 공간부(S1131)에 의해 상측 매개본체부(131)의 일부 폭이 다른 폭 보다 좁아, 상기 상측 매개본체부(131)의 내구성이 약해 파손이 용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측 공간부(S1132)에 의해 하측 매개본체부(132)의 일부 폭이 다른 폭 보다 좁아, 상기 하측 매개본체부(131)의 내구성이 약해 파손이 용이할 수 있다.
충격흡수부(2150)는 이러한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140)와 상기 상단 연결부(110)의 이격 거리는 상기 회전부(2140)와 상기 하단 연결부(120)의 이격 거리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회전부(2140)와 상기 상단 연결부(110)의 이격 거리는 상기 회전부(2140)와 상기 하단 연결부(120)의 이격 거리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매개부(131, 132)가 결합 위치인 상태에서, 매개부(131, 132)를 해제 위치로 위치 이동시키기 위해 매개부(131, 132)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려 할 수 있다.
여기서, 충격흡수부(2150)와 상단 연결부(110) 또는 하단 연결부(120)는 서로 근접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그립하기에는 다소 어려울 수 있다.
작업자는 그립부(2160)에 외력을 인가하여 매개부(131, 132)를 제2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 다단 관람석단의 측부에 연결되어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 저감 장치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단의 측부에 연결되는 진동 저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단 관람석단은 관람객이 위치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상위 베이스부(11a-1, 11a-2)와 상기 상위 베이스부(11a-1, 11a-2)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위 베이스부(11a-1, 11a-2)를 지지하는 상위 프레임부(11b)를 구비하는 상위 관람석단(11) 및 상기 상위 관람석단(11)의 하위 단으로서 상기 상위 관람석단(11)의 하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상위 관람석단(11)의 하측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며, 관람객이 위치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하위 베이스부(12a)와 상기 하위 베이스부(12a)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하위 베이스부(12a)를 지지하는 하위 프레임부(12b)를 구비하는 하위 관람석단(12)을 구비할 수 있다.
상위 관람석단(11)은 상술한 제1 관람석단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하위 관람석단(12)은 복 개의 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위 관람석단(12)은 상술한 제2 관람석단 및 제3 관람석단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하위 관람석단(12)은서로 높이가 상이한 제1 하위 관람석단(12) 내지 제N 하위 관람석단(1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
상기 상위 관람석단(11)의 상위 프레임부(11b)는 상기 상위 베이스부(11a-1, 11a-2)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위 베이스부(11a-1, 11a-2)에 연결되는 상위 높이프레임부(11b-1, 11b-2), 지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상위 높이프레임부(11b-1, 11b-2)에 연결되어 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위 전방프레임부(11b-3) 및 지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상위 높이프레임부(11b-1, 11b-2)에 연결되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위 폭프레임부(11b-4)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위 베이스부(11a-1, 11a-2)는 제1 상위 베이스부(11a-1)와 상기 제1 상위 베이스부(11a-1)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되는 제2 상위 베이스부(11a-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위 높이프레임부(11b-1, 11b-2)는 상기 제1 상위 베이스부(11a-1)에 연결되는 제1 상위 높이프레임부(11b-1)와 상기 제2 상위 베이스부(11a-2)에 연결되는 제2 상위 높이프레임부(11b-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위 폭프레임부(11b-4)는 상기 제1 상위 높이프레임부(11b-1)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상위 전방프레임부(11b-3)는 상기 제2 상위 높이프레임부(11b-2)와 연결될 수 있다.
상위 높이프레임부(11b-1, 11b-2)는 상기 상위 베이스부(11a-1, 11a-2)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위 관람석단(12)의 하위 프레임부(12b)는 상기 하위 베이스부(12a)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위 베이스부(12a)에 연결되는 하위 높이프레임부(12b-1), 상기 하위 높이프레임부(12b-1)에 연결되어 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위 전방프레임부(12b-2) 및 상기 하위 높이프레임부(12b-1)에 연결되며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위 보조프레임부(12b-3)를 구비할 수 있다.
하위 높이프레임부(12b-1)는 상기 하위 베이스부(12a)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하위 보조프레임부(12b-3)는 양측의 하위 높이프레임부(12b-1)에 연결되어, 하나의 하위 높이프레임부(12b-1)가 뒤로 이동되고 다른 하나의 하위 높이프레임부(12b-1)가 앞으로 이동됨으로써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200)는 결합부(210) 및 상기 상위 베이스부(11a-1, 11a-2)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결합부(210)에 의해 일단부가 상기 상위 프레임부(11b)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지면에 안착되거나 상기 하위 프레임부(12b)에 연결되는 지지본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부(220)의 일단부는 최 상단인 상기 상위 관람석단(11)의 상기 상위 프레임부(11b)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지지본체부(220)의 타단부는 지면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본체부(220)는 상기 상위 프레임부(11b)에 연결되는 일단 지지본체부(221), 지면에 안착되는 타단 지지본체부(222), 상기 일단 지지본체부(221)와 상기 타단 지지본체부(222)에 연결되는 중단 지지본체부(223) 및 상기 타단 지지부가 지면 상에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중단 지지본체부(223)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마찰부(224)를 구비할 수 있다.
일단 지지본체부(221)는 제2 상위 높이프레임부(11b-2)를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단 지지본체부(221)는 결합부(210)에 의해 제2 상위 높이프레임부(11b-2)에 연결될 수 잇다.
여기서, 결합부(210)는 볼트, 너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결합부(21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타단 지지본체부(222)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부재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타단 지지본체부(222)는 직육면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타단 지지본체부(222)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타단 지지본체부(222)는 지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2 상위 높이프레임부(11b-2)에 전달되는 외력을 지면에 전달할 수 있다.
중단 지지본체부(223)의 일단부는 상기 일단 지지본체부(221)에 연결되고 중단 지지본체부(223)의 타단부는 상기 타단 지지본체부(22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중단 지지본체부(223)는 제2 상위 높이프레임부(11b-2)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중단 지지본체부(223)는 다단 관람석단의 전방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중단 지지본체부(223)는 상기 지지본체부(220)의 중량을 감소하기 위하여 상기 중단 지지본체부(223)의 측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공간인 중량 감소부(S223)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지지본체부(220)는 다단 관람석단에 용이하게 탈 부착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마찰부(224)는 상기 타단 지지본체부(222)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타단 지지본체부(222)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부(224)는 상기 지지본체부(220)가 지면에 접촉되는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지지본체부(220)의 타단부가 지면 상에서 슬립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마찰부(224)에는 상, 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 수개의 홀(h224)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마찰부(224)에 형성된 홀에 체결 부재(I100)가 삽입, 연결되어, 마찰부(224)가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지지본체부(220)는 효과적으로 다단 관람석단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단의 측부에 연결되는 진동 저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8(a)는 제2 실시예의 진동 저감 장치의 지지본체부(220)가 지지 상태일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제2 실시예의 진동 저감 장치의 지지본체부(220)가 자유 상태일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1200)는 결합부(1210) 및 상기 상위 베이스부(11a-1, 11a-2)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결합부(1210)에 의해 일단부가 상기 상위 프레임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지면에 안착되거나 상기 하위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지지본체부(1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저감 장치는 지지본체부(1220)가 지지 상태일 때의 지지본체부(1220)의 위치를 고정하는 잠금부(1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본체부(1220)의 일단부는 상기 상위 프레임부(11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본체부(1220)가 지지 상태일 경우 상기 지지본체부(1220)의 타단부는 상기 하위 프레임부(12b)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본체부(1220)가 자유 상태일 경우 상기 지지 본체부의 타단부는 상기 하위 프레임부(12b)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부(1220)는 상기 상위 프레임부(11b)에 연결되는 일측 지지본체부(1221)와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12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하위 프레임부(12b)에 연결될 수 있는 타측 지지본체부(122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측 지지본체부(1222)는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1221)에 연결되는 타측 주요본체부(1222a) 및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1222a)와 상기 하위 프레임부(12b)에 연결되는 타측 연결부(1222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 지지본체부(1222)는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1222a)의 타단으로부터 방사 방향(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타측 연장부(1222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측 지지본체부(122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1221)는 결합부(1210)에 의해 제2 상위 높이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타측 주요본체부(1222a)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1222a)는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1221)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1222a)의 상단부와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1221)의 상단부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1222a)는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1221)를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1222a)의 일단부는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1221)에 연결되고,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1222a)의 타단부가 상기 타측 연결부(1222b)에 연결될 수 있다.
잠금부(1230)는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1221)와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1222a)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1221)와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1222a) 각 각에 연결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본체부(1220)가 지지 상태일 경우,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1221)와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1222a)는 길이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잠금부(1230)는 상기 지지본체부(1220)가 지지 상태일 때,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1222a)가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1221)를 기준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1221)를 기준으로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1222a)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본체부(1220)가 지지 상태에서 자유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타측 지지본체부(1222)는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1221)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1221)와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1221)와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1222a)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부(1220)가 자유 상태일 경우,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1221)는 중력에 의해 상, 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1222a)가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1221)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1222a)가 상, 하 방향으로 위치되거나,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1222a)가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1221) 방향으로 기울어져 위치될 수 있다.
도 9는 도 8(a)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본체부가 지지 상태일 경우, 상기 타측 지지본체부(1222)의 타단부는 하위 보조프레임부(12b-3)에 연결될 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타측 주요본체부(1222a)의 타단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위 관람석단(11)에서 발생되는 외력이 상기 하위 프레임부(12b)로 전달되도록, 상기 지지본체부(1220)가 지지 상태일 경우,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1222a)는 상기 하위 프레임부의 후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연결부(1222b)는 상기 하위 프레임부(12b)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하위 프레임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연결부(1222b)에는 복 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체결 부재(일례로 볼트, 너트)로서 상기 하위 보조프레임부(12b-3)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1222a)의 내부에는 중량 감소를 위해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1222a)의 타단면 일부가 개구되어 그립 공간(S1222)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1222a)의 타단면 중 밀폐되어있는 타단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타측 연장부(1222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연장부(1222c)는 상기 지지본체부와 상기 하위 보조프레임부(12b-3)와의 접촉 면적을 넓혀, 지지본체부에 의해 하위 보조프레임부(12b-3)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타측 연결부(1222b)는 소정의 각도(일례로, 직각)을 가지고 상기 타측 연장부(1222c)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부(1220)가 지지 상태에서 자유 상태로 용이하게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1222a)는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1222a)의 타단부의 내측에 전방 방향의 외부와 연통되는 그립 공간(S1222)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1222a)의 타단면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그립 공간(S122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 공간(S1222)은 상기 타측 연결부(1222b)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부(1220)의 타단부는 가장 낮은 높이의 관람석단인 제N 하위 관람석단(12)의 하위 프레임부(12b)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도 8을 참조하면, 다단 관란석단은 상위 관람석단(11), 제1 하위 관람석단(12), 상기 제1 하위 관람석단(12) 하위 단인 제2 하위 관람석단(12) 및 상기 제2 하위 관람석단(12) 하위 단인 제3 하위 관람석단(12)으로 이루어진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 타측 연결부(1222b)가 제3 하위 관람석단(12)의 제3 하위 보조프레임부(12b-3) 상면에 안착되면서 타측 주요본체부(1222a)의 타단면이 상기 제3 하위 보조프레임부(12b-3) 후측 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타측 연장부(1222c)도 상기 제3 하위 보조프레임부(12b-3) 후측 면에 접촉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타측 연결부(1222b)를 상기 제3 하위 보조프레임부(12b-3) 상면에 임시적으로 안착시킨 후, 체결 부재(U10)를 활용하여 상기 타측 연결부(1222b)를 상기 제3 하위 보조프레임부(12b-3)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잠금부(1230)를 잠금 상태로 하여 일측 지지본체부(1221)를 기준으로 타측 지지본체부(1222)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작업자가 지지 상태인 지지본체부(1220)를 자유 상태로 위치 이동시키기 위해, 체결 부재를 타측 연결부(1222b)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1230)를 잠금 해제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잠금부(1230)가 잠금 해제 상태일 경우, 일측 지지본체부(1221)를 기준으로 타측 지지본체부(1222)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체결 부재를 상기 타측 연결부(1222b)로부터 분리 시킨 후, 상기 그립 공간(S1222)에 파지 수단(공구 등)단을 인입하여, 상기 타측 지지본체부(1222)를 상측 방향으로 회전 시킬 수 있다.
상기 타측 지지본체부(1222)가 상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1221, 도 8 참조)는 자체의 자중으로 인해 하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타측 지지본체부(1222)를 상, 하 방향으로 정렬된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1221)와 나란하게 배치할 수 있다.
지지본체부가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위치는, 가장 많은 진동이 발생되는 상위 단을 가장 진동이 적은 하위 단과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진동 발생을 분산 시켜, 진동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단의 측부에 연결되는 진동 저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2000)는 결합부(2210)와 지지본체부(2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부(2220)는 최 상단인 상기 상위 관람석단(11)의 상기 상위 프레임부(11b)에 연결되는 지지매개부(2221) 및 일단부가 상기 지지매개부(222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측 방향으로 상기 상위 베이스부(11a-1, 11a-2)와 중첩되지 않는 지면에 안착되도록 배치되는 제1 지지본체부(222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본체부(2220)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매개부(222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상위 전방프레임부(11b-3)와 상기 상위 폭프레임부(11b-4) 사이의 지면에 안착되는 제2 지지본체부(22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본체부(2220)는 일단부가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상위 높이프레임부(11b-1, 11b-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일측 지지연결부(2224), 일단부가 상기 제2 지지본체부(222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상위 높이프레임부(11b-1, 11b-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타측 지지연결부(2225) 및 상기 일측 지지연결부(2224)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타측 지지연결부(2225)의 회전 궤적에 위치되는 충격완화부(222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지지본체부(2220)는 상기 타측 지지연결부(2225)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이격유지부(222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본체부(2220)는 상기 제1 상위 높이프레임부(11b-1)와 상기 제2 상위 높이프레임부(11b-2)를 서로 연결하는 보완부(222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a)는 지지본체부(2220)가 지지 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b)는 지지본체부(2220)가 자유 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경우이다.
지지본체부(2220)가 지지 상태일 경우, 지지본체부(2220)는 지면에 접촉되어, 다단 관람석단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본체부(2220)가 자유 상태일 경우, 지지본체부(2220)는 지면에 이격되고, 지지 상태일 경우보다 전, 후 방향의 너비가 좁게 되어, 보관이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매개부(2221)는 상기 결합부(1210)에 의해 상기 상위 프레임부인 제1 상위 높이프레임부(11b-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가장 진동이 많이 발생되는 부분의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함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가 구비하는 지지매개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1(a)는 지지본체부가 지지 상태일 때, 지지매개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b)는 지지본체부가 자유 상태일 때, 지지매개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지지매개부(2221)는 소정의 판으로 형성되어 결합부(2210)에 의해 상기 상위 프레임부(11b)에 연결되는 지지매개본체부(2221a), 상기 지지매개본체부(2221a)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매개본체부(2221a)와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를 매개하는 제1-1 매개체결부(p2221a-1), 상기 지지매개본체부(2221a)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지지본체부(2223)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매개본체부(2221a)와 상기 제2 지지본체부(2223)를 매개하는 제2-1 매개체결부(p2221b-1), 상기 지지본체부(2220)가 지지 상태일 때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가 상기 지지매개본체부(2221a)에 대해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매개본체부(2221a)와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에 연결되는 제1-2 매개체결부(p2221a-2) 및 상기 지지본체부(2220)가 지지 상태일 때 상기 제2 지지본체부(2223)가 상기 지지매개본체부(2221a)에 대해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매개본체부(2221a)와 상기 제2 지지본체부(2223)에 연결되는 제2-2 매개체결부(p2221b-2)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매개본체부(2221a)는 소정의 판 형상으로서, 두 개의 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상위 높이프레임부(11b-1)의 외측면과 내측면 각각에 결합부(2210)에 의해 연결,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매개본체부(2221a)에는 복 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매개체결부와 상기 제2 매개체결부가 체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매개본체부(2221a)의 양 측에는 상, 방 방향으로 복 수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매개본체부(2221a) 각 각에는 6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매개본체부(2221a)에는 상기 제1-1 매개체결부(p2221a-1)와 제2-1 매개체결부(p2221b-1)가 삽입되는 제1 매개홀(h2221-1)과 상기 제1-2 매개체결부(p2221a-2)와 제2-2 매개체결부(p2221b-2)가 삽입되는 제2 매개홀(h2221-2)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지지본체부(2220)에 형성되는 홀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각각의 지지매개본체부(2221a) 사이에는 제1 지지본체부(2222)의 일단부와 제2 지지본체부(2223)의 일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본체부(2222)는 로드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매개체결부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1-1 체결홀(h2222-1) 및 상기 제2 매개체결부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는 제1-2 체결홀(h2222-2)과 제1-3 체결홀(h2222-3)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에 대해서 순서대로 제1-1 체결홀(h2222-1), 제1-2 체결홀(h2222-2) 및 제1-3 체결홀(h222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본체부(2223)는 로드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2 지지본체부(2223)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2 지지본체부(2223)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매개체결부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는 제2-1 체결홀(h2223-1) 및 상기 제2 매개체결부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는 제2-2 체결홀(h2223-2)과 제2-3 체결홀(h2223-3)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지지본체부(2223)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에 대해서 순서대로 제2-1 체결홀(h2223-1), 제2-2 체결홀(h2223-2) 및 제2-3 체결홀(h222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는 상기 체결 부재가 체결될 수 있는 소정의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부(2220)가 지지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는 상기 지지매개부(2221)와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에 결합되는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매개부(2221)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부(2220)가 자유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는 상기 지지매개부(2221)와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로부터 분리되는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매개부(2221)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본체부(2220)가 지지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의 제1-1 체결홀(h2222-1)과 후방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매개홀(h2221-1)에 제1-1 매개체결부(p2221a-1)가 삽입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가 상기 제1-1 매개체결부(p2221a-1)에 의해 상기 지지매개본체부(2221a)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제1-2 매개체결부(p2221a-2)가 후방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매개홀(h2221-2)와 제1-2 체결홀(h2222-2)에 삽입,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지지본체부(2220)가 지지 상태일 경우, 상기 제2 지지본체부(2223)의 제2-1 체결홀(h2223-1)과 전방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매개홀(h2221-1)에 제2-1 매개체결부(p2221b-1)가 삽입,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지지본체부(2223)가 상기 제2-1 매개체결부(p2221b-1)에 의해 상기 지지매개본체부(2221a)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제2 지지본체부(2223)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제2-2 매개체결부(p2221b-2)가 전방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매개홀(h2221-2)과 제2-2 체결홀(h2223-2)에 삽입, 연결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본체부(2220)가 지지 상태에서 상기 지지본체부(2220)가 자유 상태로 변화될 경우,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와 상기 제2 지지본체부(2223)는 서로 이격 거리를 좁힐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를 위치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2 매개체결부(p2221a-2)를 상기 제2 매개홀(h2221-2)과 상기 제1-2 체결홀(h2222-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1-2 매개체결부(p2221a-2)가 상기 제2 매개홀(h2221-2)과 상기 제1-2 체결홀(h2222-2)로부터 분리되면, 자중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는 상, 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하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제1-2 매개체결부(p2221a-2)의 보관을 위해,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에 형성되어 있는 제1-3 체결홀(h2222-3)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는 상기 지지매개부(2221)로부터 분리된 상기 체결 부재(일례로, 제1-2 매개체결부(p2221a-2))가 보관될 수 있는 보관부(일례로, 제1-3 체결홀(h2222-3))를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지지본체부(2223)를 위치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2-2 매개체결부(p2221b-2)를 상기 제2 매개홀(h2221-2)과 상기 제2-2 체결홀(h2223-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2-2 매개체결부(p2221b-2)가 상기 제2 매개홀(h2221-2)과 상기 제2-2 체결홀(h2223-2)로부터 분리되면, 자중에 의해 상기 제2 지지본체부(2223)는 상, 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하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제2-2 매개체결부(p2221b-2)의 보관을 위해, 상기 제2 지지본체부(2223)에 형성되어 있는 제2-2 체결홀(h2223-2)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본체부(2223)는 상기 지지매개부(2221)로부터 분리된 상기 체결 부재(일례로, 상기 제2-2 매개체결부(p2221b-2))가 보관될 수 있는 보관부(일례로, 제2-3 체결홀(h2223-3))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도 10(a)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본체부(2220)가 지지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는 적어도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의 일부가 하측 방향으로 상기 상위 베이스부(11a-1, 11a-2)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위 베이스부(11a-1, 11a-2)(일례로, 제1 상위 베이스부(11a-1)에 대해서 하측 방향으로 지면에 대해서 정사영을 하였을 경우, 후방 방향으로 해당 정사영을 벗어나는 지면 상에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의 타단부가 안착될 수 있다.
이는, 상위 관람석단(11)의 무게 중심이 위치될 수 범위를 넓게 해주어, 다단 관람석단의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부(2220)가 지지 상태일 경우, 상기 제2 지지본체부(2223)의 타단부는 상기 상위 전방프레임부(11b-3)와 상기 상위 폭프레임부(11b-4) 사이의 지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상위 전방프레임부(11b-3)와 상기 상위 폭프레임부(11b-4)가 지지하지 못하는 대각선 방향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본체부(2220)가 자유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는 적어도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의 일부가 하측 방향으로 상기 상위 베이스부(11a-1, 11a-2)와 중첩되는 위치에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위 베이스부(11a-1, 11a-2)(일례로, 제1 상위 베이스부(11a-1)에 대해서 하측 방향으로 지면에 대해서 정사영을 하였을 경우, 해당 정사영 내에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 전부가 위치될 수 있다.
이는, 다단 관람석이 보관 중일 경우, 전, 후 방향으로의 길이를 최소화 하기 위함일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의 타단부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지지본체부(2223)의 타단부도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가 구비하는 일측 지지연결부(2224)와 타측 지지연결부(2225)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2(a)는 지지본체부가 지지 상태일 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b)는 지지본체부가 자유 상태일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측 지지연결부(2224)는 일단부가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상위 높이프레임부(11b-1, 11b-2)에 연결되는 제1 일측 지지연결부(2224-1) 및 상기 제1 일측 지지연결부(2224-1)로부터 상기 제1 일측 지지연결부(2224-1)의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일측 지지연결부(2224-2)를 구비할 수 있다.
일측 지지연결부(2224)는 복 수개 일 수 있다.
일례로, 도 12에서는 일측 지지연결부(2224)가 2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일측 지지연결부(2224)의 개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 일측지지연결부는 소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의 회전 반경을 규정할 수 있어,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와 상기 상위 높이프레임부(11b-1, 11b-2) 사이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일측지지연결부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 일측 지지연결부(2224-1)의 타단부는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의 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일측 지지연결부(2224-1)의 일단부는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상위 높이프레임부(11b-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일측 지지연결부(2224-2)는 상기 제1 일측지지연결부와 같은 높이로 소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일측 지지연결부(2224-1)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일측 지지연결부(2224-1)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일측 지지연결부(2224-2)의 적어도 일부는 좌, 우 방향으로 상기 타측 지지연결부(2225)와 중첩될 수 있다.
충격완화부(2226)는 상기 제1 일측 지지연결부(2224-1)와 상기 제2 일측 지지연결부(2224-2)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기 충격완화부(2226)는 제1 일측 지지연결부(2224-1)와 상기 제2 일측 지지연결부(2224-2)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충격완화부(2226)는 상기 제2 일측 지지연결부(2224-2)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지지연결부(2225)는 소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 지지본체부(2223)의 회전 반경을 규정할 수 있어, 상기 제2 지지본체부(2223)와 상기 상위 높이프레임부(11b-1, 11b-2) 사이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
타측 지지연결부(2225)의 일단부는 상기 제2 지지본체부(2223)의 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 지지연결부(2225)의 타단부는 상기 제1 상위 높이프레임부(11b-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는 상기 일측 지지연결부(2224)에 의해 상기 제1 상위 높이프레임부(11b-1)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 내 이상으로 회전될 수 없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상위 관람석단(11)이 과도하게 진동이 발생될 경우, 제조 공정상의 오차로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가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의 타단부에서 일단부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되려고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지지본체부(2220)가 고정 상태일 때의 상기 일측 지지연결부(2224)의 위치 보다 상기 일측 지지연결부(2224)는 상측 방향으로 더욱 회전되려고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충격완화부가 상기 타측 지지연결부(2225)와 저촉되어, 상기 일측 지지연결부(2224)가 상측 방향으로 회전되려고 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어,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가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관람석단이 과도하게 진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본체부(2220)가 지지 상태에서 자유 상태로 위치 변화되는 경우, 일측 지지연결부(2224)는 하측 방향으로 회전되고, 타측 지지연결부(2225)도 하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부(2220)가 자유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과 상기 제2 지지본체부(2223)는 제1 매개홀(h2221-1)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와 상기 제2 지지본체부(2223)는 상기 제1 상위 높이프레임부(11b-1)와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본체부(2220)가 자유 위치일 경우, 제1 지지본체부(2222)는 상기 제1-1 매개체결부(p2221a-1)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2 지지본체부(2223)는 제2-1 매개체결부(p2221b-1)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다단 관람석이 위치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와 상기 제2 지지본체부(2223)가 상기 제1 상위 높이프레임부(11b-1)에 충돌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본체부(2220)가 자유 위치인 상태에서의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 및/또는 상기 제2 지지본체부(2223)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와 상기 제2 지지본체부(2223)가 더욱 하측 방향으로 회전되려고 하는 경우, 상기 충격완화부(2226)와 상기 이격유지부(2227)는 서로 충돌, 저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지지본체부(2220)가 자유 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와 상기 제2 지지본체부(2223)는 하측 방향으로 더욱 회전될 수 없어, 상기 제1 지지본체부(2222) 및/또는 상기 제2 지지본체부(2223)가 상기 제1 상위 높이프레임부(11b-1)에 충돌되어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1 : 제1 관람석단 12 : 제2 관람석단
13 : 제3 관람석단 100 : 진동 저감 장치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관람객이 위치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상위 베이스부와 상기 상위 베이스부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위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상위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상위 관람석단과 상기 상위 관람석단의 하위 단으로서 상기 상위 관람석단의 하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상위 관람석단의 하측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며, 관람객이 위치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하위 베이스부와 상기 하위 베이스부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하위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하위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하위 관람석단을 포함하는 다단 관람석단; 및
    상기 다단 관람석단에 연결되어 상기 다단 관람석단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 저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저감 장치는,
    결합부 및 상기 상위 베이스부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결합부에 의해 일단부가 상기 상위 프레임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지면에 안착되거나 상기 하위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지지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본체부의 일단부는,
    상기 상위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본체부의 타단부는,
    상기 지지본체부가 지지 상태일 경우 상기 하위 프레임부에 연결되고, 상기지지본체부가 자유 상태일 경우 상기 하위 프레임부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지지본체부는,
    상기 상위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일측 지지본체부와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하위 프레임부에 연결될 수 있는 타측 지지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타측 지지본체부는,
    상기 지지본체부가 지지 상태에서 자유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와 나란하게 위치되거나,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 방향으로 기울어져 위치되는,
    다단 관람석.
  6. 다단 관람석단 - 상기 다단 관람석단은 관람객이 위치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상위 베이스부와 상기 상위 베이스부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위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상위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상위 관람석단 및 상기 상위 관람석단의 하위 단으로서 상기 상위 관람석단의 하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상위 관람석단의 하측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며, 관람객이 위치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하위 베이스부와 상기 하위 베이스부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하위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하위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하위 관람석단을 구비함. - 에 연결되어 상기 다단 관람석단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 저감 장치에 있어서,
    결합부; 및
    상기 상위 베이스부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결합부에 의해 일단부가 상기 상위 프레임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지면에 안착되거나 상기 하위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지지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본체부의 일단부는,
    상기 상위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본체부의 타단부는,
    상기 지지본체부가 지지 상태일 경우 상기 하위 프레임부에 연결되고, 상기지지본체부가 자유 상태일 경우 상기 하위 프레임부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지지본체부는,
    상기 상위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일측 지지본체부와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하위 프레임부에 연결될 수 있는 타측 지지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타측 지지본체부는,
    상기 지지본체부가 지지 상태에서 자유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와 나란하게 위치되거나,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 방향으로 기울어져 위치되는,
    진동 저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지지본체부는,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에 연결되는 타측 주요본체부 및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와 상기 하위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타측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는,
    상기 상위 관람석단에서 발생되는 외력이 상기 하위 프레임부로 전달되도록, 상기 지지본체부가 지지 상태일 경우, 상기 하위 프레임부의 후면에 연결되고,
    상기 타측연결부는,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위 프레임부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하위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진동 저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는,
    일단부가 상기 일측 지지본체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타측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위치되며,
    상기 지지본체부가 지지 상태에서 자유 상태로 용이하게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타측 주요본체부의 타단부의 내측에 전방 방향의 외부와 연통되는 그립 공간을 제공하는,
    진동 저감 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관람석단은,
    서로 높이가 상이한 제1 하위 관람석단 내지 제N 하위 관람석단(N은 2 이상의 자연수)을 구비하고,
    상기 상기 지지본체부의 타단부는,
    가장 낮은 높이의 관람석단인 제N 하위 관람석단의 하위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진동 저감 장치.
  10. 다단 관람석단 - 상기 다단 관람석단은 관람객이 위치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상위 베이스부와 상기 상위 베이스부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위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상위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상위 관람석단 및 상기 상위 관람석단의 하위 단으로서 상기 상위 관람석단의 하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상위 관람석단의 하측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며, 관람객이 위치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하위 베이스부와 상기 하위 베이스부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하위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하위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하위 관람석단을 구비함. - 에 연결되어 상기 다단 관람석단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 저감 장치에 있어서,
    결합부; 및
    상기 상위 베이스부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결합부에 의해 일단부가 상기 상위 프레임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지면에 안착되거나 상기 하위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지지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본체부는,
    상기 상위 관람석단의 상기 상위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지지매개부 및 일단부가 상기 지지매개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지면에 안착되도록 배치되는 제1 지지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본체부는,
    상기 지지매개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지지본체부가 지지 상태일 경우, 상기 지지매개부와 상기 제1 지지본체부에 결합되는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매개부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지지본체부가 자유 상태일 경우, 상기 지지매개부와 상기 제1 지지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매개부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되지 않으며,
    상기 지지매개부로부터 분리된 상기 체결 부재가 보관될 수 있는 보관부를 형성하는,
    진동 저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본체부는,
    상기 지지본체부가 지지 상태일 경우 적어도 상기 제1 지지본체부의 일부가 하측 방향으로 상기 상위 베이스부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본체부가 자유 상태일 경우 적어도 상기 제1 지지본체부의 일부가 하측 방향으로 상기 상위 베이스부와 중첩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는,
    진동 저감 장치.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본체부는,
    상기 체결 부재가 체결될 수 있는 소정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진동 저감 장치.
  14. 다단 관람석단 - 상기 다단 관람석단은 관람객이 위치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상위 베이스부와 상기 상위 베이스부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위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상위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상위 관람석단 및 상기 상위 관람석단의 하위 단으로서 상기 상위 관람석단의 하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상위 관람석단의 하측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며, 관람객이 위치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하위 베이스부와 상기 하위 베이스부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하위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하위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하위 관람석단을 구비함. - 에 연결되어 상기 다단 관람석단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 저감 장치에 있어서,
    결합부; 및
    상기 상위 베이스부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결합부에 의해 일단부가 상기 상위 프레임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지면에 안착되거나 상기 하위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지지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본체부는,
    상기 상위 관람석단의 상기 상위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지지매개부, 일단부가 상기 지지매개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지면에 안착되도록 배치되는 제1 지지본체부 및 일단부가 상기 지지매개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지면에 안착되며 상기 제1 지지본체부와 이격되는 제2 지지본체부를 구비하는,
    진동 저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프레임부는,
    상기 상위 베이스부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위 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상위 높이프레임부 및 지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상위 높이프레임부에 연결되어 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위 전방프레임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본체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1 지지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상위 높이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일측 지지연결부, 일단부가 상기 제2 지지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상위 높이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타측 지지연결부 및 상기 일측 지지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타측 지지연결부의 회전 궤적에 위치되는 충격완화부를 구비하는,
    진동 저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지지연결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1 지지본체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상위 높이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제1 일측 지지연결부 및 상기 제1 일측 지지연결부로부터 상기 제1 일측 지지연결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일측 지지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충격완화부는,
    상기 제2 일측 지지연결부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진동 저감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부는,
    상기 타측 지지연결부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이격유지부를 더 구비하는,
    진동 저감 장치.
  18. 관람객이 위치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상위 베이스부와 상기 상위 베이스부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위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상위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상위 관람석단과 상기 상위 관람석단의 하위 단으로서 상기 상위 관람석단의 하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상위 관람석단의 하측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며, 관람객이 위치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하위 베이스부와 상기 하위 베이스부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하위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하위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하위 관람석단을 포함하는 다단 관람석단; 및
    상기 다단 관람석단에 연결되어 상기 다단 관람석단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 저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저감 장치는,
    결합부 및 상기 상위 베이스부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결합부에 의해 일단부가 상기 상위 프레임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지면에 안착되거나 상기 하위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지지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본체부는,
    상기 상위 관람석단의 상기 상위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지지매개부 및 일단부가 상기 지지매개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지면에 안착되도록 배치되는 제1 지지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본체부는,
    상기 지지매개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지지본체부가 지지 상태일 경우, 상기 지지매개부와 상기 제1 지지본체부에 결합되는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매개부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지지본체부가 자유 상태일 경우, 상기 지지매개부와 상기 제1 지지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매개부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되지 않으며,
    상기 지지매개부로부터 분리된 상기 체결 부재가 보관될 수 있는 보관부를 형성하는,
    다단 관람석.
KR1020200028986A 2020-03-09 2020-03-09 진동 저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다단 관람석 KR102186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986A KR102186288B1 (ko) 2020-03-09 2020-03-09 진동 저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다단 관람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986A KR102186288B1 (ko) 2020-03-09 2020-03-09 진동 저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다단 관람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288B1 true KR102186288B1 (ko) 2020-12-03

Family

ID=73779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986A KR102186288B1 (ko) 2020-03-09 2020-03-09 진동 저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다단 관람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2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474Y1 (ko) * 2006-04-19 2006-07-04 유원빈 수평 알림 기능을 구비한 사다리
KR101176630B1 (ko) * 2012-02-13 2012-08-23 (주)가온시스템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및 수납 보조장치
KR101399377B1 (ko) * 2011-08-12 2014-05-30 장세영 흔들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납식 관람석
KR200479669Y1 (ko) * 2015-10-29 2016-02-23 전두성 사다리의 전도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474Y1 (ko) * 2006-04-19 2006-07-04 유원빈 수평 알림 기능을 구비한 사다리
KR101399377B1 (ko) * 2011-08-12 2014-05-30 장세영 흔들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납식 관람석
KR101176630B1 (ko) * 2012-02-13 2012-08-23 (주)가온시스템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및 수납 보조장치
KR200479669Y1 (ko) * 2015-10-29 2016-02-23 전두성 사다리의 전도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4009A (en) Shock-resistant floor-supporting strut unit which can bear a heavy load thereon
EP0381674B1 (en) Mobile folding choral riser
US3982734A (en) Impact barrier and restraint
JP6097877B1 (ja) 衝撃実験装置及び衝撃実験方法
KR102186288B1 (ko) 진동 저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다단 관람석
KR102186287B1 (ko) 진동 저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다단 관람석
KR20140103274A (ko) 차량 캐치 시스템 및 방법
US6925760B2 (en) Stackable modular arena seating
US8733838B2 (en) Floor track for seating system
JP4349649B2 (ja) 対象物設置機構
US20130019539A1 (en) Portable seating system
US20120102845A1 (en) Demountable seating and method for erecting a demountable seating
JPH0321775A (ja) 段差移動床集合体における個別床のフリーロケーションシステム
KR20200077921A (ko) 접철식 관람석
CN1361670A (zh) 便携式座椅以及用于该座椅的锁定装置
CN112144451B (zh) 一种道路防护支柱
CN101370996B (zh) 可拆卸看台及用于构造可拆卸看台的方法
JP2017227106A (ja) バリケード
KR20220010203A (ko) 무대 설치용 시스템 비계
KR102126438B1 (ko) 사변 및 수평 배치된 일체형 구조의 다단 관람석
KR102464767B1 (ko)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
JP3479786B2 (ja) 伸縮式階段状観覧席構造
KR200288950Y1 (ko) 수납식 관람석의 지지장치
CN217447104U (zh) 一种拼接式货架
CN218238587U (zh) 露天矿山爆破用分体式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