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5577A - 트롤리 락커 및 트롤리 락커 이동 장치 - Google Patents
트롤리 락커 및 트롤리 락커 이동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15577A KR20130015577A KR1020110077635A KR20110077635A KR20130015577A KR 20130015577 A KR20130015577 A KR 20130015577A KR 1020110077635 A KR1020110077635 A KR 1020110077635A KR 20110077635 A KR20110077635 A KR 20110077635A KR 20130015577 A KR20130015577 A KR 201300155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er
- trolley
- bar
- roller
- stopp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1/00—Cable cranes, i.e. comprising hoisting devices running on aerial cable-ways
- B66C21/08—Sag carriers or rope trolleys, suspended or not, e.g. fixed but offering clearance for travelling gea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0—Slideways with movably suspended cars, or with cars moving on rope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6—Rope, cable, or chain drives for trolleys; Combinations of such drives with hoisting gear
- B66C11/24—Rope, cable, or chain drives for trolleys; Combinations of such drives with hoisting gear with means for locating or sustaining the loads or trolleys in predetermined positions; Hay hoists
- B66C11/26—Abutments; Stop blocks; End 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롤리 락커 및 트롤리 락커 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를 따라 활강하는 트롤리에 체결됨으로써 활강 완료 지점에서 트롤리가 역방향으로 후퇴하지 않고 정지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트롤리 락커 및 트롤리가 체결된 트롤리 락커를 도착 지점으로 견인할 수 있는 트롤리 락커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트롤리 락커 및 트롤리 락커 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를 따라 활강하는 트롤리에 체결됨으로써 활강 완료 지점에서 트롤리가 역방향으로 후퇴하지 않고 정지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트롤리 락커 및 트롤리가 체결된 트롤리 락커를 도착 지점으로 견인할 수 있는 트롤리 락커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롤리(trolley)는 쇠줄 등으로 된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바퀴에 의하여 물체를 매달아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트롤리를 레저용으로 사용하여, 예컨대 산이나 바다 등의 경사진 2 곳에 와이어를 설치하고 트롤리의 하단부에 사람이 매달린 채로 와이어를 따라 활강하는 등의 용도로도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에 실용신안등록 출원된 '복수개의 와이어 및 트롤리를 이용한 이동 장치(공개번호:KR20-2011-0002301)'가 있다.
종래 기술은 "적어도 2 이상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트롤리를 이용한 이동 장치에 있어서, 막대형으로 연장되며, 중간부에 고리부가 형성된 지지 바; 상기 지지 바의 양단부와 각각 결합하며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2 이상의 와이어 위를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2 이상의 트롤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바의 고리부와 대상물 사이에는 제1 연결선이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트롤리와 대상물 사이에는 각각 제2 연결선이 연결되며, 상기 대상물은 상기 제1 및 제2 연결선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트롤리에 의해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를 이용한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은 적어도 2 이상의 와이어 및 트롤리를 이용하므로, 사람이 하나의 와이어와 하나의 트롤리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하강 중에 사람이 중심을 잘못 잡거나 흔들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산이나 바다 등의 경사진 2 곳에 와이어는 와이어 자체의 하중 및 탑승자의 하중에 의하여 처짐이 발생하고, 와이어의 처짐 크기는 탑승자의 하중이 크면 클수록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은 무거운 탑승자를 기준으로 도착 지점을 설계하면 가벼운 탑승자가 탑승한 트롤리는 도착 지점에 일정 속도 이상을 지니고 도착하므로 도착 지점에서 트롤리를 정지시켜 잡아 줄 수단이 필요하고, 가벼운 탑승자를 기준으로 설계하면 무거운 탑승자가 탑승한 트롤리는 도착 지점에 도착하지 못하므로 정지한 트롤리를 잡아서 도착 지점까지 견인할 수단이 필요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탑승자의 몸무게에 따라 트롤리가 와이어를 따라 활강할 수 있는 최대 지점 보다 약간 가까운 지점인 활강 완료 지점을 예측하고, 이에 따라 와이어 상의 예측된 활강 완료 지점에 설치되어 트롤리와 체결됨으로써, 트롤리가 예측된 활강 완료 지점 후방으로 되돌아 가는 문제점을 해결할 뿐 아니라, 설계된 도착 지점에 도착하지 못한 트롤리를 설계된 도착 지점으로 견인할 수 있는 트롤리 락커 및 트롤리 락커 이동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트롤리(100)가 이동하는 메인 와이어(210)에 끼워져 설치되는 락커 메인 프레임(310); 상기 메인 와이어(210)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락커 메인 프레임(310)의 후면 하측에 돌출되며, 상기 트롤리(100)에 체결되어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폐루프 형상의 하네스 연결 고리(4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일자 형태로 형성되는 락커 서브 프레임(360); 회전축(370)에 의하여 상기 락커 서브 프레임(36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측부가 수직선과 형성하는 일정 각도를 넘어서 상기 락커 메인 프레임(310)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측부가 수직선과 상기 일정 각도를 형성하는 경우 소정 부분이 상기 락커 서브 프레임(360)에 구속된 상태인 회전 한계 상태에서 상기 하네스 연결 고리(400)의 상측부에 밀리어 상측부가 상기 락커 메인 프레임(310)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하네스 연결 고리(400)가 상기 락커 서브 프레임(360)에 끼워진 경우 상기 회전 한계 상태로 회전하여 상측부가 상기 하네스 연결 고리(400)의 상측부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스토퍼(380); 상기 하네스 연결 고리(400)가 상기 락커 서브 프레임(360)에 끼워진 경우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스토퍼(380)가 상기 회전 한계 상태로 회전하도록 상기 스토퍼(380)에 연결되는 복원 스프링(39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락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원 스프링(390)은 일자 형태의 토션바(391), 상기 토션바(391)에 비틀림 모멘트를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토션바(391)의 일측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된 일자 형태의 제1 연결바(393-1), 상기 제1 연결바(393-1)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토션바(391)와 평행하게 절곡된 일자 형태의 제1 끼움바(395-1), 상기 토션바(391)에 비틀림 모멘트를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토션바(391)의 타측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된 일자 형태의 제2 연결바(393-2) 및 상기 제2 연결바(393-2)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토션바(391)와 평행하게 절곡된 일자 형태의 제2 끼움바(395-2)를 포함하되, 상기 토션바(391)는 상기 락커 서브 프레임(360)의 바닥판인 서브 프레임 바닥판(361)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끼움바(395-1) 및 제2 끼움바(395-2)는 상기 스토퍼(380)의 상호 마주보는 양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되, 상기 회전 한계 상태에서 상기 토션바(391)에 비틀림 모멘트가 인가되도록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바(393-1)는 상기 제2 연결바(393-2) 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끼움바(393-1) 및 제2 끼움바(393-2)는, 상기 스토퍼(380)가 상기 회전축(37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끼움바(393-1)가 형성하는 원호의 지름이 상기 제2 끼움바(393-2)가 형성하는 원호의 지름이 보다 크게 되는 지점에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80)는 상기 회전 한계 상태회전 한계 상태부가 상기 락커 메인 프레임(310)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억제되도록, 하측단이 상기 서브 프레임 바닥판(361)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락커 서브 프레임(360)은 상기 서브 프레임 바닥판(361)의 횡방향 일측단 및 타측단으로부터 각각 상방향으로 세워지는 서브 프레임 측판(363-1, 363-2)을 포함하되, 상기 서브 프레임 측판(363-1, 363-2) 각각은 후단부가 상기 서브 프레임 바닥판(361)의 후단부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어느 하나의 트롤리 락커(300); 일측이 출발 지점에 설치된 제1 지주(510)에 고정되고, 타측이 도착 지점에 설치된 제2 지주(520)에 고정되며 상기 메인 와이어(210)와 이격되며 상기 메인 와이어(210)의 상방향에 설치된 보조 와이어(220); 상기 제2 지주(520)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보조 와이어(220)에 고정 설치된 제1 롤러 브라켓(610) 및 상기 제1 롤러 브라켓(6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롤러(710); 상기 제2 지주(520)에 고정 설치된 제2 롤러 브라켓(620) 및 상기 제2 롤러 브라켓(6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롤러(720); 상기 메인 와이어(210)의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지주(520)에 설치되는 도착 보드(board)(820)에 고정 설치된 제3 롤러 브라켓(630) 및 상기 제3 롤러 브라켓(6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3 롤러(730); 상기 제2 롤러 브라켓(620)과 제3 롤러 브라켓(63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지주(520)에 고정 설치된 제4 롤러 브라켓(640) 및 상기 제4 롤러 브라켓(640)의 조작에 의하여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4 롤러 브라켓(640)에 설치된 제4 롤러(740); 일측단이 상기 트롤리 락커(300)의 상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롤러(710), 제2 롤러(720), 제3 롤러(730) 및 제4 롤러(740)에 순차적으로 안내되며, 타측단이 상기 트롤리 락커(300)의 하측에 고정되는 락커 이동 와이어(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락커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탑승자의 몸무게에 따라 트롤리가 와이어를 따라 활강할 수 있는 최대 지점 보다 약간 가까운 지점인 활강 완료 지점을 예측하고, 이에 따라 와이어 상의 예측된 활강 완료 지점에 트롤리 락커를 설치하여 트롤리가 트롤리 락커와 체결되게 함으로써, 트롤리가 예측된 활강 완료 지점 후방으로 되돌아 가는 문제점을 해결할 뿐 아니라, 설계된 도착 지점에 도착하지 못한 트롤리를 설계된 도착 지점으로 견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실시예1이 적용된 트롤리 활강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2는 트롤리에 체결된 하네스 연결 고리와 트롤리 락커의 체결 전의 상태도.
도3은 트롤리 락커의 스토퍼가 트롤리에 체결된 하네스 연결 고리에 밀리어 회전하는 경우의 상태도.
도4는 트롤리에 체결된 하네스 연결 고리와 트롤리 락커의 체결 후의 상태도.
도5는 하네스 연결 고리가 체결된 트롤리의 평면도 및 후면도.
도6은 트롤리 락커의 평면도, 후면도 및 정면도.
도7은 스토퍼에 장착된 복원 스프링의 작동도.
도8은 도7의 설명을 위한 복원 스프링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2는 트롤리에 체결된 하네스 연결 고리와 트롤리 락커의 체결 전의 상태도.
도3은 트롤리 락커의 스토퍼가 트롤리에 체결된 하네스 연결 고리에 밀리어 회전하는 경우의 상태도.
도4는 트롤리에 체결된 하네스 연결 고리와 트롤리 락커의 체결 후의 상태도.
도5는 하네스 연결 고리가 체결된 트롤리의 평면도 및 후면도.
도6은 트롤리 락커의 평면도, 후면도 및 정면도.
도7은 스토퍼에 장착된 복원 스프링의 작동도.
도8은 도7의 설명을 위한 복원 스프링의 평면도 및 측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실시예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락커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실시예1이 적용된 트롤리 활강 장치의 전체 구성도를, 도2는 트롤리에 체결된 하네스 연결 고리와 트롤리 락커의 체결 전의 상태도를, 도3은 트롤리 락커의 스토퍼가 트롤리에 체결된 하네스 연결 고리에 밀리어 회전하는 경우의 상태도를, 도4는 트롤리에 체결된 하네스 연결 고리와 트롤리 락커의 체결 후의 상태도를, 도5는 하네스 연결 고리가 체결된 트롤리의 평면도 및 후면도를, 도6은 트롤리 락커의 평면도, 후면도 및 정면도를, 도7은 스토퍼에 장착된 복원 스프링의 작동도를, 도8은 도7의 설명을 위한 복원 스프링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실시예1은 출발 지점에 설치된 제1 지주(510), 도착 지점에 설치된 제2 지주(520)를 포함한다.
도1을 참조하면 제1 지주(510)와 제2 지주(520) 사이에는 메인 와이어(210)가 설치된다. 메인 와이어(210)는 일측단이 제1 지주(510)에 고정되고, 타측단이 제2 지주(520)에 고정된다. 메인 와이어(210)의 타측단은 일정 무게 이하의 물체가 메인 와이어(210)를 따라 활강하는 경우 제2 지주(210) 근부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메인 와이어(210)의 일측단이 고정된 높이 보다 낮은 높이에 고정된다.
도1을 참조하면 제1 지주(510)와 제2 지주(520) 사이에는 보조 와이어(220)가 설치된다. 보조 와이어(220)는 메인 와이어(210)의 상방향에 위치하도록 일측단이 제1 지주(510)에 고정되고, 타측단이 제2 지주(520)에 고정된다.
도1을 참조하면 제1 지주(510)에는 출발 보드(board)(810)가 메인 와이어(210)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출발 보드(board)(810)는 메인 와이어(210)를 따라 활강하고자 하는 탑승자가 지상으로부터 올라와서 대기하는 장소이다. 한편, 제2 지주(520)에는 도착 보드(board)(820)가 메인 와이어(210)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도착 보드(board)(820)는 메인 와이어(210)를 따라 활강하여 이동을 완료한 탑승자가 메인 와이어(210)로부터 내리는 장소이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메인 와이어(210)에는 트롤리(100)가 안착된다.
도5를 참조하면 트롤리(100)는 2개의 트롤리 측판(111, 112)을 가진다. 트롤리 측판(111, 112) 사이에는 2개의 트롤리 롤러(121, 122)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트롤리 롤러(121, 122)가 메인 와이어(210)에 얹혀져 회전함에 따라 메인 와이어(210)를 따라 활강하게 된다.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면 2개의 트롤리 측판(111, 112)의 하측부에는 폐루프 형상의 하네스 연결 고리(400)가 끼워져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도면부호 미부여)은 트롤리(100)가 메인 와이어(210)에 안착된 경우 메인 와이어(210) 하방에 위치하도록 트롤리 롤러(121, 122)가 장착된 지점의 하방에 형성된다.
도5를 참조하면 하네스 연결 고리(400)는 탑승자가 착용한 하네스(harness)와 트롤리(100)를 연결하기 위한 고리로서,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이를테면 하네스 연결 고리(400)는 하네스(harness)에 직접 형성된 고리이거나, 하네스(harness)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연결줄의 일측에 형성된 고리일 수 있다.
도1 내지 도4을 참조하면 실시예1은 트롤리 락커(300)를 가진다.
도2 내지 도4 및 도6을 참조하면 트롤리 락커(300)는 메인 와이어(210)에 끼워져 설치되는 락커 메인 프레임(310)을 포함한다. 락커 메인 프레임(310)은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일자형의 공간이 형성되고, 외형은 사각통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락커 메인 프레임(310)은 상하 방향으로 이분된 것이 후술하는 락커 메인 프레임 롤러(311, 312, 313, 314)를 설치함에 따라 일체로 메인 와이어(210)에 끼워지며 사각통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도2 내지 도4 및 도6을 참조하면 락커 메인 프레임(310)의 내부에는 메인 와이어(210)에 접촉하며 회전하는 락커 메인 프레임 롤러(311, 312, 313, 314)가 설치될 수 있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락커 메인 프레임(310)의 후면 하측에는 메인 와이어(210)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락커 서브 프레임(360)이 돌출 형성된다. 락커 서브 프레임(360)은 하네스 연결 고리(4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일자 형태로 형성된다.
도6을 참조하면 락커 서브 프레임(360)은 바닥판인 서브 프레임 바닥판(361), 측판인 서브 프레임 측판(363-1, 363-2), 체결판인 서브 프레임 체결판(365-1, 365-2)을 포함한다. 서브 프레임 바닥판(361)은 상면이 평평한 일자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서브 프레임 측판(363-1, 363-2)은 평평한 판 형상으로서 서브 프레임 바닥판(361)의 횡방향 일측단 및 횡방향 타측단으로부터 각각 상방향으로 세워진다. 한편, 서브 프레임 측판(363-1, 363-2) 각각은 후단부가 서브 프레임 바닥판(361)의 후단부까지 연장 형성된다. 서브 프레임 체결판(365-1, 365-2) 각각은 서브 프레임 측판(363-1, 363-2)으로부터 각각 서브 프레임 바닥판(361)의 횡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각각의 서브 프레임 체결판(365-1, 365-2)은 락커 메인 프레임(310)의 후면 하측에 체결된다.
도7을 참조하면 서브 프레임 측판(363-1, 363-2)에는 회전축(370)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회전축(370)에 스토퍼(380)가 연결됨으로써 스토퍼(380)는 락커 서브 프레임(360)에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스토퍼(380)는 두께가 일정한 일자형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스토퍼(380)는 상측부가 수직선과 형성하는 일정 각도를 넘어서 락커 메인 프레임(310)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억제되도록, 상측부가 수직선과 상기 일정 각도를 형성하는 경우 소정 부분이 상기 락커 서브 프레임(360)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러한 상태를 회전 한계 상태라 한다. 스토퍼(380)는 회전 한계 상태에서 상측부가 상기 락커 메인 프레임(310)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측단이 서브 프레임 바닥판(361)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도2 내지 도4를 함께 참조하면 스토퍼(380)는 하네스 연결 고리(400)의 상측부에 밀리어 상측부가 락커 메인 프레임(310) 방향으로 회전하고, 하네스 연결 고리(400)가 상기 락커 서브 프레임(360)에 끼워진 경우 상기 회전 한계 상태로 회전하여 상측부가 하네스 연결 고리(400)의 상측부 후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스토퍼(380)에는 복원 스프링(390)이 연결된다. 복원 스프링(390)은 하네스 연결 고리(400)가 락커 서브 프레임(360)에 끼워진 경우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스토퍼(380)가 상기 회전 한계 상태로 회전하도록 스토퍼(380)에 연결된다.
도8의 (a1)은 도7의 (a) 상태에서의 복원 스프링의 측면도를, 도8의 (a2)는 도7의 (a) 상태에서의 복원 스프링의 평면도를, 도8의 (b1)은 도8의 (b) 상태에서의 복원 스프링의 측면도를, 도8의 (b2)는 도7의 (b) 상태에서의 복원 스프링의 평면도를, 도8의 (c1)은 토션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수평면에 세워진 복원 스프링의 측면도를, 도8의 (c2)는 도8의 (c1)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8의 (c1) 및 (c2)를 참조하면 복원 스프링(390)은 일자 형태의 토션바(391), 토션바(391)의 일측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된 일자 형태의 제1 연결바(393-1), 제1 연결바(393-1)로부터 내측으로 토션바(391)와 평행하게 절곡된 일자 형태의 제1 끼움바(395-1), 토션바(391)의 타측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된 일자 형태의 제2 연결바(393-2) 및 제2 연결바(393-2)로부터 내측으로 토션바(391)와 평행하게 절곡된 일자 형태의 제2 끼움바(395-2)를 포함한다. 제1 연결바(393-1) 및 제2 연결바(393-2)는 토션바(391)에 비틀림 모멘트를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복원 스프링(390)은 토션바(391)에 비틀림 모멘트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연결바(393-1) 및 제1 끼움바(395-1)가 위치하는 평면이 제2 연결바(393-2) 및 제2 끼움바(395-2)가 위치하는 평면과 서로 다른 평면이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연결바(393-1)는 제2 연결바(393-2) 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도7을 참조하면 복원 스프링(390)은 제1 끼움바(395-1) 및 제2 끼움바(395-2)가 스토퍼(380)의 상호 마주보는 양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토션바(391)가 락커 서브 프레임(360)의 바닥판인 서브 프레임 바닥판(361)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7의 (a), 도8의 (a1) 및 (a2)를 참조하면 제1 끼움바(395-1) 및 제2 끼움바(395-2)는 상기 회전 한계 상태에서 토션바(391)에 비틀림 모멘트가 인가됨으로써 스토퍼(380)의 상측부를 락커 메인 프레임(310)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회전 모멘트(M0)가 발생하도록 끼워진다. 예를 들면, 제1 끼움바(393-1) 및 제2 끼움바(393-2)는 스토퍼(380)가 회전축(37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끼움바(393-1)가 형성하는 원호가 위치하는 원(C1)의 지름이 제2 끼움바(393-2)가 형성하는 원호가 위치하는 원(C2)의 지름 보다 크게 되는 지점에 끼워질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회전 한계 상태에서 토션바(391), 제1 연결바(393-1), 제1 끼움바(395-1), 제2 연결바(393-2) 및 제2 끼움바(395-2)는 동일 평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끼움바(393-1) 및 제2 끼움바(393-2)는 스토퍼(380)가 회전축(37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끼움바(393-1)가 형성하는 원호가 위치하는 원(C1)의 지름이 제2 끼움바(393-2)가 형성하는 원호가 위치하는 원(C2)의 지름 보다 작게 되는 지점에 끼워질 수도 있다.
도7의 (a)를 참조하면 제1 연결바(393-1)에 의하여 스토퍼(380)에 인가되는 힘(F0)과 제2 연결바(393-2)에 의하여 스토퍼(380)에 인가되는 힘(F0)은 크기가 동일하다. 그러나, 제1 연결바(393-1)에 의하여 인가되는 힘(F0)이 회전축(370)에 대하여 형성하는 모멘트 팔의 길이가 제2 연결바(393-2)에 의하여 인가되는 힘(F0)이 회전축(370)에 대하여 형성하는 모멘트 팔의 길이 보다 크므로, 상기 회전 한계 상태에서 스토퍼(380)의 상측부를 락커 메인 프레임(310)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회전 모멘트(M0)가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 회전 한계 상태에서 스토퍼(380)의 하측단이 서브 프레임 바닥판(361)의 상면에 접촉하므로, 스토퍼(380)는 회전 모멘트(M0)에 의하여 상측부가 락커 메인 프레임(310)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도7의 (b), 도8의 (b1) 및 (b2)를 참조하면 스토퍼(380)가 락커 메인 프레임(380) 방향으로 회전 한 경우 제1 연결바(393-1)와 제2 연결바(393-2)의 상대 위치는 토션바(391)에 비틀림 모멘트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인 도8의 (c1) 상태와 반대가 된다. 따라서, 토션바(391)에 비틀림 모멘트가 인가되고 이에 따라 제1 연결바(393-1) 및 제2 연결바(393-2)에 의하여 스토퍼(380)에 회전 모멘트가 인가된다.
도7의 (b)를 참조하면 스토퍼(380)가 락커 메인 프레임(380) 방향으로 회전 한 경우 제1 연결바(393-1)에 의하여 스토퍼(380)에 인가되는 힘(F1)과 제2 연결바(393-2)에 의하여 스토퍼(380)에 인가되는 힘(F1)은 크기가 동일하다. 그러나, 제1 연결바(393-1)에 의하여 인가되는 힘(F1)이 회전축(370)에 대하여 형성하는 모멘트 팔의 길이가 제2 연결바(393-2)에 의하여 인가되는 힘(F1)이 회전축(370)에 대하여 형성하는 모멘트 팔의 길이 보다 크므로, 스토퍼(380)가 상기 회전 한계 상태에서 락커 메인 프레임(310)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스토퍼(380)의 상측부를 락커 메인 프레임(310)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회전 모멘트(M1)가 발생한다. 따라서, 도3 및 도4를 함께 참조하면 하네스 연결 고리(400)가 락커 서브 프레임(360)에 끼워진 경우 하네스 연결 고리(400)와 스토퍼(380)의 접촉이 해제되어 스토퍼(380)가 상기 회전 한계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힘(F1)은 힘(F0) 보다 크므로 회전 모멘트(M1)은 회전 모멘트(M0) 보다 크게 된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락커 메인 프레임(310)의 후면 상측부에는 충격 완화 패드(320)가 돌출 형성된다. 충격 완화 패드(320)는 트롤리(100)의 전단부와 접촉함으로써 트롤리(100)가 락커 메인 프레임(310)에 가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 트롤리(100) 및 락커 메인 프레임(31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므로, 충격 완화 패드(320)는 비금속 재질인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락커 메인 프레임(310)의 상측에는 상측 고리(331)가 형성되고, 락커 메인 프레임(310)의 하측에는 하측 고리(332)가 형성된다.
도1을 참조하면 보조 와이어(220)에는 제1 롤러 브라켓(610)이 고정 설치된다. 제1 롤러 브라켓(610)은 제2 지주(520)로부터 제1 지주(510) 방향으로 이격된 지점에 설치된다. 한편, 제1 롤러 브라켓(610)에는 제1 롤러(7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1을 참조하면 제2 지주(520)에는 제2 롤러 브라켓(620)이 고정 설치된다. 한편, 제2 롤러 브라켓(620)에는 제2 롤러(7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1을 참조하면 도착 보드(board)(820)에는 제3 롤러 브라켓(630)이 고정 설치된다. 제3 롤러 브라켓(630)에는 제3 롤러(7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1을 참조하면 제2 지주(520)에는 제4 롤러 브라켓(640)이 고정 설치된다. 제4 롤러 브라켓(640)은 제2 롤러 브라켓(620)과 제3 롤러 브라켓(6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제4 롤러 브라켓(640)에는 제4 롤러(74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4 롤러(740)는 제4 롤러 브라켓(640)의 조작에 의하여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1을 참조하면 제1 롤러(710), 제2 롤러(720), 제3 롤러(730) 및 제4 롤러(740)에는 락커 이동 와이어(230)가 순차적으로 안내되며 감겨진다. 락커 이동 와이어(230)는 일측단이 상측 고리(331)에 고정되고, 타측단이 하측 고리(332)에 고정된다. 락커 이동 와이어(230)는 일정 정도의 텐션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도1을 참조하면 제4 롤러 브라켓(640)을 조작하여 제4 롤러(740)가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에서 락커 이동 와이어(230)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락커 이동 와이어(230)에 고정된 락커(300)가 메인 와이어(210)를 따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활강할 수 있는 최대 지점 보다 약간 가까운 지점인 활강 완료 지점을 예측하여, 탑승자의 무게에 따라 락커(3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락커(300)가 상기 활강 완료 지점에 위치하게 되면 제4 롤러 브라켓(640)을 조작하여 락커(300)가 제1 지주(510) 방향으로 이송하지 못하게 한다.
도1 및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트롤리(100)에 탑승한 탑승자가 상기 활강 완료 지점까지 활강하게 되면 하네스 연결 고리(400)가 락커 서브 프레임(360)에 끼워진다. 이 경우 스토퍼(380)가 하네스 연결 고리(400)의 상측부 후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트롤리(100)의 전단부가 충격 완화 패드(320)와 충돌하여 제1 지주(510) 방향으로 후퇴하게 되면 하네스 연결 고리(400)가 스토퍼(380)에 걸리어 더 이상 후퇴하지 못하게 된다. 즉, 하네스 연결 고리(400)는 락커 서브 프레임(360)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토퍼(380)와 락커 메인 프레임(310) 사이에 구속된다. 한편, 이 상태에서 스토퍼(380)는 상측부가 제1 지주(510)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4 롤러 브라켓(640)을 조작하여 제4 롤러(740)가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고, 이어서 락커 이동 와이어(230)를 당기게 되면 락커(300) 및 트롤리(100)가 제2 지주(520) 근부로 이동하게 된다. 트롤리(100)가 도착 보드(board)(820)의 상방향에 위치하게 되면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제4 롤러 브라켓(640)을 조작하여 락커(300)가 제1 지주(510) 방향으로 이송하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탑승자는 하네스 연결 고리(400)를 트롤리(100)로부터 이탈시킨 뒤 도착 보드(board)(820)에 안전하게 내릴 수 있게 된다.
실시예1의 경우 복원 스프링(390)은 제1 연결바(393-1)는 제2 연결바(393-2) 와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복원 스프링(390)은 토션바(391)에 비틀림 모멘트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연결바(393-1) 및 제1 끼움바(395-1)가 위치하는 평면이 제2 연결바(393-2) 및 제2 끼움바(395-2)가 위치하는 평면과 동일한 평면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2
실시예2는 실시예1에서 설명한 트롤리 락커에 관한 것이다. 트롤리 락커에 대한 설명은 실시예1에서 설명한 바에 준한다.
100:트롤리
210:메인 와이어 220:보조 와이어
230:락커 이동 와이어
300:락커 310:락커 메인 프레임
360:락커 서브 프레임 361:서브 프레임 바닥판
363-1, 363-2:서브 프레임 측판 370:회전축
380:스토퍼 390:복원 스프링
391:토션바 393-1:제1 연결바
395-1:제1 끼움바 393-2:제2 연결바
395-2:제2 끼움바
400:하네스 연결 고리
510:제1 지주 520:제2 지주
610:제1 롤러 브라켓 620:제2 롤러 브라켓
630:제3 롤러 브라켓 640:제4 롤러 브라켓
710:제1 롤러 720:제2 롤러
730:제3 롤러 740:제4 롤러
820:도착 보드(board)
210:메인 와이어 220:보조 와이어
230:락커 이동 와이어
300:락커 310:락커 메인 프레임
360:락커 서브 프레임 361:서브 프레임 바닥판
363-1, 363-2:서브 프레임 측판 370:회전축
380:스토퍼 390:복원 스프링
391:토션바 393-1:제1 연결바
395-1:제1 끼움바 393-2:제2 연결바
395-2:제2 끼움바
400:하네스 연결 고리
510:제1 지주 520:제2 지주
610:제1 롤러 브라켓 620:제2 롤러 브라켓
630:제3 롤러 브라켓 640:제4 롤러 브라켓
710:제1 롤러 720:제2 롤러
730:제3 롤러 740:제4 롤러
820:도착 보드(board)
Claims (7)
- 트롤리(100)가 이동하는 메인 와이어(210)에 끼워져 설치되는 락커 메인 프레임(310);
상기 메인 와이어(210)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락커 메인 프레임(310)의 후면 하측에 돌출되며, 상기 트롤리(100)에 체결되어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폐루프 형상의 하네스 연결 고리(4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일자 형태로 형성되는 락커 서브 프레임(360);
회전축(370)에 의하여 상기 락커 서브 프레임(36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측부가 수직선과 형성하는 일정 각도를 넘어서 상기 락커 메인 프레임(310)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측부가 수직선과 상기 일정 각도를 형성하는 경우 소정 부분이 상기 락커 서브 프레임(360)에 구속된 상태인 회전 한계 상태에서 상기 하네스 연결 고리(400)의 상측부에 밀리어 상측부가 상기 락커 메인 프레임(310)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하네스 연결 고리(400)가 상기 락커 서브 프레임(360)에 끼워진 경우 상기 회전 한계 상태로 회전하여 상측부가 상기 하네스 연결 고리(400)의 상측부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스토퍼(380);
상기 하네스 연결 고리(400)가 상기 락커 서브 프레임(360)에 끼워진 경우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스토퍼(380)가 상기 회전 한계 상태로 회전하도록 상기 스토퍼(380)에 연결되는 복원 스프링(39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락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스프링(390)은 일자 형태의 토션바(391), 상기 토션바(391)에 비틀림 모멘트를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토션바(391)의 일측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된 일자 형태의 제1 연결바(393-1), 상기 제1 연결바(393-1)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토션바(391)와 평행하게 절곡된 일자 형태의 제1 끼움바(395-1), 상기 토션바(391)에 비틀림 모멘트를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토션바(391)의 타측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된 일자 형태의 제2 연결바(393-2) 및 상기 제2 연결바(393-2)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토션바(391)와 평행하게 절곡된 일자 형태의 제2 끼움바(395-2)를 포함하되,
상기 토션바(391)는 상기 락커 서브 프레임(360)의 바닥판인 서브 프레임 바닥판(361)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끼움바(395-1) 및 제2 끼움바(395-2)는 상기 스토퍼(380)의 상호 마주보는 양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되, 상기 회전 한계 상태에서 상기 토션바(391)에 비틀림 모멘트가 인가되도록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락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바(393-1)는 상기 제2 연결바(393-2) 보다 길이가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락커.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끼움바(393-1) 및 제2 끼움바(393-2)는, 상기 스토퍼(380)가 상기 회전축(37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끼움바(393-1)가 형성하는 원호의 지름이 상기 제2 끼움바(393-2)가 형성하는 원호의 지름 보다 크게 되는 지점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락커.
-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80)는 상기 회전 한계 상태회전 한계 상태부가 상기 락커 메인 프레임(310)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억제되도록, 하측단이 상기 서브 프레임 바닥판(361)의 상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락커.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 서브 프레임(360)은 상기 서브 프레임 바닥판(361)의 횡방향 일측단 및 타측단으로부터 각각 상방향으로 세워지는 서브 프레임 측판(363-1, 363-2)을 포함하되,
상기 서브 프레임 측판(363-1, 363-2) 각각은 후단부가 상기 서브 프레임 바닥판(361)의 후단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락커.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트롤리 락커(300);
일측이 출발 지점에 설치된 제1 지주(510)에 고정되고, 타측이 도착 지점에 설치된 제2 지주(520)에 고정되며 상기 메인 와이어(210)와 이격되며 상기 메인 와이어(210)의 상방향에 설치된 보조 와이어(220);
상기 제2 지주(520)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보조 와이어(220)에 고정 설치된 제1 롤러 브라켓(610) 및 상기 제1 롤러 브라켓(6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롤러(710);
상기 제2 지주(520)에 고정 설치된 제2 롤러 브라켓(620) 및 상기 제2 롤러 브라켓(6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롤러(720);
상기 메인 와이어(210)의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지주(520)에 설치되는 도착 보드(board)(820)에 고정 설치된 제3 롤러 브라켓(630) 및 상기 제3 롤러 브라켓(6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3 롤러(730);
상기 제2 롤러 브라켓(620)과 제3 롤러 브라켓(63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지주(520)에 고정 설치된 제4 롤러 브라켓(640) 및 상기 제4 롤러 브라켓(640)의 조작에 의하여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4 롤러 브라켓(640)에 설치된 제4 롤러(740);
일측단이 상기 트롤리 락커(300)의 상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롤러(710), 제2 롤러(720), 제3 롤러(730) 및 제4 롤러(740)에 순차적으로 안내되며, 타측단이 상기 트롤리 락커(300)의 하측에 고정되는 락커 이동 와이어(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락커 이동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7635A KR101300582B1 (ko) | 2011-08-04 | 2011-08-04 | 트롤리 락커 이동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7635A KR101300582B1 (ko) | 2011-08-04 | 2011-08-04 | 트롤리 락커 이동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5577A true KR20130015577A (ko) | 2013-02-14 |
KR101300582B1 KR101300582B1 (ko) | 2013-08-27 |
Family
ID=47895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7635A KR101300582B1 (ko) | 2011-08-04 | 2011-08-04 | 트롤리 락커 이동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0582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9694B1 (ko) * | 2013-03-21 | 2013-08-23 | 짚라인코리아 (주) | 와이어를 이용한 레저용 비행 시설물 |
KR101446650B1 (ko) * | 2014-03-10 | 2014-10-06 |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 짚라인에 사용되는 발사장치 및 브레이크 유닛 |
KR20210017129A (ko) * | 2019-08-07 | 2021-02-17 | 김미선 | 하강레포츠용 트롤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5730B1 (ko) * | 2015-03-12 | 2015-08-20 | (주)피아이디 | 공중 케이블 놀이기구 |
KR101710700B1 (ko) | 2016-08-31 | 2017-02-27 | 주식회사 짚핑코리아 |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 및 이 장치에 사용되는 주행트롤리 |
KR101879227B1 (ko) | 2018-03-23 | 2018-07-17 | 주식회사 짚핑코리아 | 짚라인용 주행 트롤리 견인 겸 브레이크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73059U (ja) * | 1993-03-29 | 1994-10-11 | 川崎製鉄株式会社 | フックのラッチ装置 |
US6699135B2 (en) * | 2000-11-10 | 2004-03-02 | Stat Cochron | Multidirectional amusement device |
KR200453067Y1 (ko) * | 2010-08-16 | 2011-04-05 | (주)공간예술 |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 |
-
2011
- 2011-08-04 KR KR1020110077635A patent/KR101300582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9694B1 (ko) * | 2013-03-21 | 2013-08-23 | 짚라인코리아 (주) | 와이어를 이용한 레저용 비행 시설물 |
KR101446650B1 (ko) * | 2014-03-10 | 2014-10-06 |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 짚라인에 사용되는 발사장치 및 브레이크 유닛 |
KR20210017129A (ko) * | 2019-08-07 | 2021-02-17 | 김미선 | 하강레포츠용 트롤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00582B1 (ko) | 2013-08-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0582B1 (ko) | 트롤리 락커 이동 장치 | |
US8683925B2 (en) | Zip line transport trolley system | |
CN105293317B (zh) | 稳定设备 | |
CN103476669B (zh) | 用于在船上操作漂浮单元的提升装置 | |
JP5018598B2 (ja) | 昇降式オーバーヘッドキャリア | |
KR200453067Y1 (ko) |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 | |
US9415780B2 (en) | Zip line attraction and methods | |
CN102145867B (zh) | 一种开关手车的升降平台 | |
KR101283056B1 (ko) | 연속 빌레이의 셔틀 | |
CN106660707B (zh) | 高架式带输送系统 | |
CN106857772A (zh) | 输送线和用于在该输送线中使用的用于禽肉的承载架 | |
JP6433794B2 (ja) | 高所作業用墜落防止装置 | |
KR101256530B1 (ko) | 하역기의 추돌방지장치 | |
JP5320963B2 (ja) | チルトハンガーを備えた搬送車 | |
JP2013144874A (ja) | 自転車駐輪装置 | |
JP6520591B2 (ja) | クレーンに備えられたキャブガード | |
JP2011177375A (ja) | 高所作業用墜落防止装置 | |
KR101026906B1 (ko) | 이동이 용이한 쉘터 | |
CN105329742B (zh) | 施工升降机用便捷式吊杆及其施工升降机 | |
CN209757301U (zh) | 一种客车备胎承载装置 | |
CN103253201A (zh) | 一种罐式车及其操作辅助装置 | |
KR20120107320A (ko) | 시스템 동바리 이동장치 | |
JP6066248B1 (ja) | ロール反転機構を備えた運搬車 | |
KR20190009306A (ko) | 오버헤드 케이블에 의해 당겨지도록 설계되는 수송 차량 및 상기 타입의 차량을 포함하는 장치 | |
KR101799116B1 (ko) | 로로선의 카데크 어셈블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