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067Y1 -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067Y1
KR200453067Y1 KR2020100008503U KR20100008503U KR200453067Y1 KR 200453067 Y1 KR200453067 Y1 KR 200453067Y1 KR 2020100008503 U KR2020100008503 U KR 2020100008503U KR 20100008503 U KR20100008503 U KR 20100008503U KR 200453067 Y1 KR200453067 Y1 KR 2004530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transfer
locking
mounting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5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욱
Original Assignee
(주)공간예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공간예술 filed Critical (주)공간예술
Priority to KR20201000085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0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0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0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0Slideways with movably suspended cars, or with cars moving on rop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9/00Brakes characterised by or modified for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railway systems or purposes
    • B61H9/02Brakes characterised by or modified for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railway systems or purposes for aerial, e.g. rope,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울기를 가지고 제1 지점과 제2 지점을 연결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레포츠 자가 탑승할 수 있는 이송부, 상기 제2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지점에 도달하는 상기 이송부의 이동 속도를 줄이는 제동 유닛, 그리고 상기 제2 지점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 속도가 줄어든 이송부가 후퇴하지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safety braking apparatus for Using wire leisure sports for downhill}
본 고안은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각종 공해와 과중한 업무로 인하여 많은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러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레포츠가 요구되고 있다.
레포츠에는, 번지점프, 산악자전거, 서바이벌, 스카이 다이빙, 패러글라이딩, 행글라이딩, 그리고 비탈진 곳을 내려오는 활강 레포츠 따위가 있다.
상기 활강 레포츠는 그 작동방식에 따라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궤도(rail)식, 원을 그리면서 돌아가는 회전식, 원호를 따라 스윙운동을 하는 스윙(swing)식 및 자유낙하 하는 드롭(drop)식이 있다. 이러한 활강 레포츠는 승객으로 하여금 스릴을 만끽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이다.
상기 드롭식은 일측 상부에서 타측 하부로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에는 레포츠 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 장치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탑승 장치는 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 가속력을 얻어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탑승 장치가 타측 하부에 도착 시 큰 충격이 발생하게 되었다. 충격에 의하여 탑승자가 상해를 입게 되었다. 또한, 상기 충격에 의해 탑승 장치가 소정 거리 후퇴하게 되었다. 상기 탑승 장치가 후퇴되면서 레포츠 자가 착지 지점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활강 레포츠 자가 착지 지점에 안전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며, 착지 지점에 도착 시 충격을 최소화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는, 기울기를 가지고 제1 지점과 제2 지점을 연결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레포츠 자가 탑승할 수 있는 이송부, 상기 제2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지점에 도달하는 상기 이송부의 이동 속도를 줄이는 제동 유닛, 그리고 상기 제2 지점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 속도가 줄어든 이송부가 후퇴하지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동 유닛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송부 결합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부에 고정될 수 있는 장착부 및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장착부 접촉으로 압축되어 이송부의 속도를 줄이는 적어도 하나의 제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에 걸리는 장착 몸체 및 상기 장착 몸체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이송부가 걸리는 걸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 부재는,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부의 일부분이 걸리는 걸림 공간을 갖는 걸림 몸체, 상기 걸림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개방된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이송부 접촉으로 젖혀진 후 세워질 수 있는 걸림 축, 상기 장착 몸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젖혀진 상기 걸림 축이 세워지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 그리고 상기 개방된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세워지는 걸림 축이 걸리는 걸림 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장착 고리가 위치하도록 일면이 개방되어 있는 고정 공간을 갖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개방된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장착 고리 접촉으로 젖혀진 후 세워질 수 있는 걸림 축, 상기 고정 몸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젖혀진 상기 걸림 축이 세워질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 그리고 상기 개방된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세워지는 걸림 축이 걸리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이송 몸체, 상기 이송 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걸림 축을 젖힌 후 상기 걸림 공간에 위치할 수 있는 이송 고리, 그리고 상기 이송 몸체와 연결되어 있고, 레포츠 자가 이송할 수 있는 탑승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부가 제동 유닛에 의해 속도가 줄어든 상태에서 고정부에 걸리게 되어 레포츠 자가 착지 영역에 정확히 도착할 수 있다.
또한, 이송부가 착지 영역에 도착하면 고정부에 고정되어 후퇴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레포츠 자를 착지 영역에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이송부가 제2 지점에 도달하면 제동 유닛에 의해 속도가 줄어들어 착지 영역에 도달 시 레포츠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최소화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III-III선을 따라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를 자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B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C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이송부가 장착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장착부가 고정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III-III선을 따라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1)는 가이드 부재(30), 이송부(40), 제동 유닛(50), 그리고 고정부(70)를 포함한다.
가이드 부재(30)는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서로 높이가 다른 제1 지점(10)과 제2 지점(20)을 경사지게 연결한다. 제1 지점(10)은 제2 지점(20)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며, 제1 지점(10)과 제2 지점(20)에는 가이드 부재(30)를 지지하기 위한 타워(10a, 20a)가 설치된다. 타워(10a, 20a)에는 가이드 부재(30)의 일측과 타측을 고정하는 지주(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지점(10)에 위치한 타워(10a)에는 탑승 영역(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제2 지점(20)에 위치한 타워(20a)에는 쿠션을 갖는 매트리스 따위의 발판(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된 착지 영역(도지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30)는 강철 와이어 또는 아이형강, 에이치형강 형태로 이루어진 레일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30)가 강철 와이어로 형성된 경우 제1 지점(10)과 제2 지점(20)을 느슨하게 연결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 부재(30)는 제1 지점(10)에서 소정 위치까지 급경사를 이루고, 소정 위치에서 제2 지점(20)까지는 완만한 경사를 갖는다. 그러나 가이드 부재(30)는 팽팽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송부(40)는 레포츠 자를 제1 지점(10)에서 제2 지점(20)으로 이송하는 것으로 이송 몸체(41), 이송 고리(41), 그리고 탑승 부재(43)를 포함한다.
이송 몸체(41)는 가이드 부재(30)에 활 차, 미끄럼베어링 따위로 연결되어 가이드 부재(30)의 경사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송 몸체(41)와 가이드 부재(30)의 연결은 다양한 실시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송 몸체(41)는 가이드 부재(30)의 경사에 의해 제1 지점(10)에서 제2 지점(20)으로 이동할 때 가속도가 발생할 수 있다. 즉, 급경사를 이루는 제1 지점(10)에서 소정 위치까지는 이송부(40)에 가속도가 붙게 되면서 급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완만한 경사를 갖는 소정 위치에서 제2 지점(20)까지는 그 속도가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 부재(30)는 팽팽하게 설치된 경우, 제1 지점(10)에서 제2 지점(20)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송 고리(41)는 이송 몸체(41)의 하부에 장착되어 이송 몸체(41)의 이동 방향을 향해 뻗어 있다. 그러나 이송 고리(41)는 이송 몸체(41)의 상부에 장착되어 이송 몸체(41) 이동 방향으로 뻗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이송 고리(41)는 제동 유닛(50)과 마주한다.
탑승 부재(43)는 레포츠 자가 탑승할 수 있는 것으로 이송 몸체(41) 하부에 위치하며, 로프, 봉 따위로 이송 몸체(41)와 연결되어 있다. 로프, 봉 따위는 완충력이 발생할 수 있다. 탑승 부재(43)는 패널, 하니스(narness), 밴드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탑승 부재(43)의 형상과 모양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탑승 부재(43), 또는 이송 몸체(41)에는 탑승 부재(43)에 탑승한 레포츠 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제동 유닛(50)은 제2 지점(20)에 도달하는 이송부(40)의 속도를 줄이는 것으로, 장착부(51) 및 제동 부재(52)를 포함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장착부(51)는 장착 몸체(511) 및 걸림 부재(513)를 포함한다.
장착 몸체(511)는 가이드 부재(30)에 활 차, 미끄럼베어링 따위로 연결되어 가이드 부재(3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장착 몸체(511)는 제2 지점(20)으로 이동하는 이송 몸체(41)의 접촉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장착 몸체(511)와 가이드 부재(30)의 결합은 다양한 실시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착 몸체(511)의 상부에는 고정부(70)를 향하여 장착 고리(512)가 장착되어 있고, 장착 몸체(511)의 하부에는 이송부(40)의 이송 고리(42)가 걸리는 걸림 부재(513)가 장착되어 있다. 장착 고리(512)와 걸림 부재(513)는 가이드 부재(30)와 평행하게 장착된다.
걸림 부재(513)는 걸림 몸체(514), 걸림 축(515), 탄성 부재(516), 그리고 걸림 턱(517)을 포함한다.
걸림 몸체(514)는 이송 고리(41)와 마주하는 일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이송 고리(41)가 걸리는 걸림 공간(514a)을 갖는다.
걸림 공간(514a)의 개방된 부분에는 걸림 축(515)의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다. 걸림 축(515)은 비틀림 스프링 따위의 탄성 부재(516) 탄성력에 의해 세워져 있다. 그러나 걸림 축(515)은 이송 고리(41) 가압으로 걸림 공간(514a)의 바닥면 방향으로 젖혀질 수 있다. 걸림 축(515)에 가압력이 해제되면 걸림 축(515)은 탄성 부재(516)의 탄성력에 의하여 세워질 수 있다.
세워지는 걸림 축(515)이 걸림 공간(514a)을 벗어나지 않도록 걸림 공간(514a)의 개방된 부분에는 걸림 축(515)의 끝이 걸리는 걸림턱(517)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걸림 축(515)이 세워지면 이송 고리(41)는 걸림 공간(514a)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하지 못하고 걸림 공간(514a)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나 장착부(51)는 생략될 수 있다.
제동 부재(52)는 제2 지점(20)의 지주와 장착부(51) 사이에 위치하며, 가이드 부재(3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동 부재(52)는 완충력이 있는 고무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제동 부재(52)는 스프링, 액추에이터 따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동 부재(52)는 장착부(51)의 접촉으로 가이드 부재(30)를 따라 이동한다. 한편, 장착부(51)가 생략된 상태에서는 제동 부재(52)에 이송부(40)가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접촉된 제동 부재(52)는 가이드 부재(30)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후단부가 제2 지점(20)의 지주에 밀착된다. 이때 제동 부재(52)는 장착부(51)의 가압하는 힘에 의하여 압축된다. 제동 부재(52)가 압축되면 이송부(40)의 속도는 줄어들 수 있다. 속도가 줄어들면서 장착부(51)의 장착 고리(512)가 고정부(70)에 걸리게 된다.
도 5를 참고하면, 고정부(70)는 제2 지점(20)의 지주에 고정되어 제2 지점(20)에 도달한 이송부(40)가 후퇴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으로, 고정 몸체(71), 걸림 축(72), 탄성 부재(73), 그리고 걸림 턱(74)을 포함한다.
고정 몸체(71)는 제2 지점(20)의 지주에 고정되어 착지 영역에 위치하며, 장착부(61)와 마주한다. 장착부(61)의 장착 고리(512)와 마주하는 고정 몸체(71)의 일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장착 고리(512)가 걸리는 고정 공간(71a)을 갖는다.
고정 공간(71a)의 개방된 부분에는 걸림 축(72)의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다. 걸림 축(72)은 비틀림 스프링 따위의 탄성 부재(73) 탄성력에 의해 세워져 있다. 그러나 걸림 축(72)은 장착 고리(512) 가압으로 고정 공간(71a)의 바닥면 방향으로 젖혀질 수 있다. 걸림 축(72)에 가압력이 해제되면 걸림 축(72)은 탄성 부재(73)의 탄성력에 의하여 세워질 수 있다.
세워지는 걸림 축(72)이 고정 공간(71a)을 벗어나지 않도록 고정 공간(71a)의 개방된 부분에는 걸림 턱(74)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 턱(74)에는 세워지는 걸림 축(72)의 끝이 걸리게 된다.
이렇게, 걸림 축(72)이 세워지면 장착 고리(512)는 고정 공간(71a)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하지 못하고 고정 공간(71a)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장착 고리(512)의 고정으로 이송부(40)는 제2 지점(20)의 착지 영역에 위치하게 되며 제1 지점(10)으로 후퇴하지 않는다.
다음은 도 6 및 도 7를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이송부가 장착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장착부가 고정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다.
먼저, 도 1을 참고하면, 레포츠 자는 제1 지점(10)의 타워에서 이송부(40)에 탑승하게 된다. 이때 레포츠 자가 탑승한 이송부(40)는 경사진 가이드 부재(30)를 따라 제1 지점(10)에서 제2 지점(20)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 부재(30)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이송부(40)는 가속도가 붙으면서 제1 지점(10)에서 제2 지점(20)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6을 참고하면, 제2 지점(20)에 근접된 이송부(40)는 제동 유닛(50)의 장착부(51)에 걸리게 된다. 즉, 이송 몸체(41)가 가이드 부재(30)를 따라 이동하면 이송 고리(41)의 선단부가 걸림 축(515)을 가압하게 된다. 가압 된 걸림 축(515)은 힌지를 기준으로 정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젖혀지게 된다. 걸림 축(515)의 젖혀짐으로 이송 고리(41) 선단부는 걸림 몸체(514)의 개방된 부분을 통과하여 걸림 공간(514a)에 위치하게 된다.
이송 고리(41)가 개방된 부분을 통과하면 걸림 축(515)의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탄성 부재(516)의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 축(515)은 다시 역방향으로 세워진다. 이때 걸림 축(515)의 끝이 걸림 턱(517)에 걸리면서 걸림 축(515)은 소정 각도로 세워져 있으며 회전 범위가 한정된다. 걸림 공간(514a)에 위치한 이송 고리(41)는 걸림 축(515)이 젖혀지지 않는 한 걸림 공간(514a)에서 벗어날 수 없다.
이송 고리(41)가 걸림 공간(514a)에 위치하면 이송 몸체(41)는 장착 몸체(511)를 가압하게 된다. 가압 된 장착 몸체(511)는 가이드 부재(30)를 따라 이동한다.
이동하는 장착 몸체(511)는 제동 부재(52)에 접촉되며, 제동 부재(52)는 가이드 부재(30)를 따라 이동한다. 한편, 장착부(51)가 생략된 상태에서 이송 몸체(41)가 제동 부재(52)에 접촉되어 제동 부재(5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하는 제동 부재(52)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끝이 제2 지점(20)의 지주에 접촉되면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한다. 이때 완충력을 가지는 제동 부재(52)는 압축된다. 제동 부재(52)가 압축되면서 이송부(40)의 이동 속도가 줄어들게 된다. 속도가 줄어들게 되면서 착지 영역에 도달한 레포츠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송부(40)가 착지 영역에 도달하면 이송부(40)가 걸려 있는 장착부(51)는 고정부(70)에 걸리게 된다. 즉, 장착 몸체(511)가 이송부(40)에 의해 가이드 부재(30)를 따라 이동하면 장착 고리(512)의 선단부가 걸림 축(72)을 가압하게 된다. 가압된 걸림 축(72)은 힌지를 기준으로 정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젖혀지게 된다. 걸림 축(72)의 젖혀짐으로 장착 고리(512) 선단부는 고정 몸체(71)의 개방된 부분을 통과하여 고정 공간(71a)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장착부(51)가 생략된 상태에서 이송 고리(41)가 걸림 축(72)을 가압하고, 고정 공간(71a)에 위치할 수 있다.
걸림 축(72)의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탄성 부재(73)의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 축(72)은 다시 역방향으로 세워진다. 이때 걸림 축(72)의 끝이 걸림 턱(74)에 걸리면서 걸림 축(72)은 소정 각도로 세워져 있으며 회전 범위가 한정된다. 고정 공간(71a)에 위치한 장착 고리(512)는 걸림 축(72)이 젖혀지지 않는 한 고정 공간(71a)에서 벗어날 수 없다. 장착 고리(512)가 고정 공간(71a)에 고정됨으로써, 착지 영역에 도달한 이송부(40)가 후퇴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이송부(40)는 제2 지점(20)의 착지 영역에 정확히 위치할 수 있으며, 장착부(51)에 의해 고정부(70)에 걸려 있어 반동에 의해 제1 지점(10) 방향으로 후퇴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활강 장치 10: 제1 지점 10a: 타워
20: 제2 지점 20a: 타워 30: 가이드 부재
40: 이송부 41: 이송 몸체
42: 이송 고리 43: 탑승 부재
50: 제동 유닛 51: 장착부
511: 장착 몸체 512: 장착 고리
513: 걸림 부재 514: 걸림 몸체
514a: 걸림 공간 515: 걸림 축
516: 탄성 부재 517: 걸림 턱
52: 제동 부재 70: 고정부
71: 고정 몸체 71a: 고정 공간
72: 걸림 축 73: 탄성 부재
74: 걸림 턱

Claims (6)

  1. 기울기를 가지고 제1 지점과 제2 지점을 연결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레포츠자가 탑승으로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으로 이동하는 이송부, 그리고
    상기 제2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지점에 도달하는 상기 이송부의 이동 속도를 줄이는 제동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제동 유닛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송부 연결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장착부 및
    상기 가이드 부재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부 접촉으로 제동력이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동 부재
    를 포함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2 지점에 설치되어 있고, 이동 속도가 줄어든 상기 이송부를 잡아주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에 걸리는 장착 몸체 및
    상기 장착 몸체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이송부가 걸리는 걸림 부재
    를 포함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걸림 부재는,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이송부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걸림 공간을 갖는 걸림 몸체,
    상기 걸림 몸체의 개방된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이송부 접촉으로 젖혀진 후 세워질 수 있는 걸림 축,
    상기 장착 몸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이송부의 접촉으로 젖혀진 상기 걸림 축을 세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 그리고
    상기 개방된 부분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세워지는 걸림 축의 회전 범위를 제안하는 걸림 턱
    을 포함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지점에 위치하고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걸림 몸체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고정 공간을 갖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의 개방된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장착 몸체 접촉으로 젖혀진 후 세워질 수 있는 걸림 축,
    상기 고정 몸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장착 몸체 접촉으로 젖혀진 상기 걸림 축이 세워질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 그리고
    상기 개방된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세워지는 걸림 축이 걸리는 걸림턱
    을 포함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이송 몸체,
    상기 이송 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걸림 축을 젖힌 후 상기 걸림 공간에 위치할 수 있는 이송 고리, 그리고
    상기 이송 몸체와 연결되어 있고, 레포츠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 부재
    를 포함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
KR2020100008503U 2010-08-16 2010-08-16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 KR2004530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503U KR200453067Y1 (ko) 2010-08-16 2010-08-16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503U KR200453067Y1 (ko) 2010-08-16 2010-08-16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067Y1 true KR200453067Y1 (ko) 2011-04-05

Family

ID=44245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503U KR200453067Y1 (ko) 2010-08-16 2010-08-16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067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72766A1 (de) * 2011-09-23 2013-03-27 Verl, Alexander Fahrgeschäft
KR101299694B1 (ko) * 2013-03-21 2013-08-23 짚라인코리아 (주) 와이어를 이용한 레저용 비행 시설물
KR101300582B1 (ko) * 2011-08-04 2013-08-27 고두정 트롤리 락커 이동 장치
KR20140093335A (ko) * 2013-01-15 2014-07-28 조대진 케이블을 이용한 수상스포츠 장치 시스템
KR101512174B1 (ko) 2013-06-27 2015-04-16 자나라인 주식회사 활강 시설용 터미널 브레이크
KR101579576B1 (ko) * 2014-06-17 2015-12-22 주식회사 위저드 스키 점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1844662B1 (ko) 2016-07-06 2018-04-02 조대진 스포츠용 견인 시스템
KR102270804B1 (ko) * 2020-10-21 2021-06-28 최진호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
KR102358956B1 (ko) * 2021-11-25 2022-02-08 (주)신흥이앤지 활강 놀이기구 출도착 자동연동 브레이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6773B1 (en) * 2003-03-10 2003-12-23 Michael Troy Richardson Downhill zip line thrill ride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6773B1 (en) * 2003-03-10 2003-12-23 Michael Troy Richardson Downhill zip line thrill ride system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582B1 (ko) * 2011-08-04 2013-08-27 고두정 트롤리 락커 이동 장치
EP2572766A1 (de) * 2011-09-23 2013-03-27 Verl, Alexander Fahrgeschäft
JP2013066722A (ja) * 2011-09-23 2013-04-18 Alexander Verl 娯楽用乗り物
US8920251B2 (en) 2011-09-23 2014-12-30 Alexander Verl Amusement ride
KR20140093335A (ko) * 2013-01-15 2014-07-28 조대진 케이블을 이용한 수상스포츠 장치 시스템
KR101299694B1 (ko) * 2013-03-21 2013-08-23 짚라인코리아 (주) 와이어를 이용한 레저용 비행 시설물
KR101512174B1 (ko) 2013-06-27 2015-04-16 자나라인 주식회사 활강 시설용 터미널 브레이크
KR101579576B1 (ko) * 2014-06-17 2015-12-22 주식회사 위저드 스키 점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1844662B1 (ko) 2016-07-06 2018-04-02 조대진 스포츠용 견인 시스템
KR102270804B1 (ko) * 2020-10-21 2021-06-28 최진호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
KR102358956B1 (ko) * 2021-11-25 2022-02-08 (주)신흥이앤지 활강 놀이기구 출도착 자동연동 브레이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3067Y1 (ko)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
US8683925B2 (en) Zip line transport trolley system
US8453576B2 (en) Rollercoaster amusement device
US9381926B2 (en) Rider controlled zip line trolley brake system
US8109523B2 (en) Skibob and method for riding a chairlift
US6394391B1 (en) Landing truck for an aircraft in a forced landing
EP3209395B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6440002B1 (en) Top loading swing type amusement ride
CN106994226B (zh) 飞翼式健身训练器
US10376798B2 (en) High angle tethered slide with freefall drop and variable radius swing
US6875118B1 (en) Pneumatically actuated swing ride
US20180085675A1 (en) Amusement ride for hang gliding simulation
US5803815A (en) Eccentric arm amusement ride
US7465235B2 (en) Combined human catapult and safety landing apparatus
CN103661410A (zh) 一种索道断绳捕捉装置
US3885788A (en) Jump-over amusement ride
NZ281407A (en) Swing comprising a support structure with a support line secured to it and to a rider, also included is a launch structure and a pendulum damper
KR101545730B1 (ko) 공중 케이블 놀이기구
KR101901570B1 (ko) 항공기의 조향장치 점검용 지지장치
WO2020032805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move an object through space
KR100985732B1 (ko) 보드의 제동장치
KR20230168451A (ko) 휠 패러 장치
CN105752212A (zh) 两轮车防倒安全保护装置
KR101626389B1 (ko) 구명정의 자세유지 및 감속장치
KR870002138B1 (ko) 유희승물(遊戱乘物)의 입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