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804B1 -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804B1
KR102270804B1 KR1020200136508A KR20200136508A KR102270804B1 KR 102270804 B1 KR102270804 B1 KR 102270804B1 KR 1020200136508 A KR1020200136508 A KR 1020200136508A KR 20200136508 A KR20200136508 A KR 20200136508A KR 102270804 B1 KR102270804 B1 KR 102270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ghtening
footrest
pin
wir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호
Original Assignee
최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1020200136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24Spring traps, e.g. jaw or like spring traps
    • A01M23/26Spring traps, e.g. jaw or like spring traps of the double-jaw or pincer ty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24Spring traps, e.g. jaw or like spring traps
    • A01M23/245Auxiliary devices for spring traps, e.g. attach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24Spring traps, e.g. jaw or like spring traps
    • A01M23/26Spring traps, e.g. jaw or like spring traps of the double-jaw or pincer type
    • A01M23/28Jaw trap setting-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멧돼지나 고라니 등의 유해동물의 예상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유해동물을 선별적으로 포획하여서, 멧돼지를 전염매개로 하는 아프리카 돼지 열병 등의 전염병의 확산이나, 유해동물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를 예방하는 멧돼지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System for capturing harmful animals}
본 발명은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멧돼지나 고라니 등의 유해동물의 예상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유해동물을 선별적으로 포획하여서, 멧돼지를 전염매개로 하는 아프리카 돼지 열병 등의 전염병의 확산이나, 유해동물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를 예방하는 멧돼지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멸종위기에 직면하였던 야생동물들의 개체수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야생동물은 먹잇감을 찾아 서식지에서 벗어나서 농촌마을이나 도시에 출몰하여 농작물을 섭취하거나 훼손하고, 아프리카 돼지 열병 등의 전염병을 옮기는 매개체가 되는 등 사람들에게 많은 피해를 주고 있다.
특히, 멧돼지의 잦은 출몰로 농작물 등이 훼손되는 피해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고속도로까지 멧돼지가 출몰하여 충돌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멧돼지를 포획 및 사살하고는 있으나, 멧돼지를 발견하기가 어렵고 멧돼지가 발견되어도 멧돼지의 민첩성으로 인해 사살하는데는 많은 어려움이 발생된다.
그리고, 멧돼지를 포획하기 위한 포획장치는 대부분 멧돼지를 가둘 수 있는 큰 우리 형태로 제작되므로 무게가 무거워 운반 및 설치가 힘들고, 멧돼지가 자주 출몰하는 장소에 숨겨서 설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운반을 위해 트럭과 지게차에 실어 운반하여야 하므로 운반 작업에도 어려움이 존재한다.
또한, 대형 포획틀의 경우 먹이를 넣어두고 포획틀을 열어놓은 상태에서 2주이상 적응기간을 거쳐 포획하므로 상당한 인적 및 시간적 비용이 소요된다.
뿐만 아니라, 멧돼지의 이동경로나 서식지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멧돼지에게 위치추적기를 장착하고자 할 경우, 멧돼지를 생포하기도 어려우며 산 채로 위치 추적기를 장착하기에는 많은 시간과 인력 및 장비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편,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 10-2085030호를 통해 지지부에 승강구조로 배치되어, 상기 이동경로를 통행하는 유해동물이 내딛은 발부위의 가압에 의해 하강하는 승강 발판부와; 상기 승강 발판부를 내딛은 유해동물의 발목부위에 결박되는 결박 밴드부; 및 상기 승강 발판부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결박 밴드부의 내경을 환형 지지하며, 승강 발판부에 연동되게 설치되어 승강 발판부가 하강되면 결박 밴드부의 환형 지지상태를 해제하여 승강 발판부를 내딛은 유해동물의 발목부위에 결박밴드부가 결박되도록 하는 환형 유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이러한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는 매설하여 설치되므로 숨기는 작업이 용이하고, 우리 형태가 아니므로 설치장소로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설치가 간편하다.
특히, 압착 조절유닛을 통해 특정 무게 이상의 동물을 포획하도록 구성된 관계로, 포획을 요하지 아니하는 무게가 가벼운 야생동물의 포획이 예방되고, 또 발목부를 단순히 결박하여 포획하는 관계로 유해동물에게 상해를 입히지 아니하면서 안전하게 포획할 수 있다.
또한, 유해동물의 포획시 GPS 모듈이 탑재된 외부 알림유닛을 통해 관리자가 소지한 스마트폰 등의 외부 알림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하므로, 유해동물의 포획 후 신속한 후속조치가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그런데, 본 발명자가 이러한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를 구현한 결과, 하기와 같은 몇몇 개선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상기 조임구를 통해 결박 밴드부에 형성된 결박 스프링을 압착하여 결박력을 생성함에 있어 조임구의 정형화된 고정상태가 형성되지 아니하는 관계로, 조임구를 가압한 상태에서 고정볼트를 조임함에 따른 작업상의 불편함이 야기된다.
예컨데, 압박시킨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힘을 제공하지 아니하면, 압축된 조임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작업자가 손부위 등을 다치는 현상이 야기되기도 하고, 강한 압박력을 제공하기 어려운 한계성을 갖는다.
둘째, 상기 승강 발판부를 조절볼트를 통해 설정된 압력으로 지지함에 있어, 장시간 외부 환경에 노출될 경우에 조절볼트의 풀림 등이 발생되어 승강 발판부를 설정된 압력으로 지지하기 어렵고, 결과적으로 포획을 요하는 유해동물 외, 포획을 요하지 아니하는 야생동물이 포획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KR 10-2012-0115730 A KR 10-2018-0123899 A KR 10-2010-0115337 A KR 20-2009-0009670 U JP 03183576 U JP 3207491 U9 JP 3219738 U9 JP 2002142649 A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유해동물 특히 멧돼지 등의 유해동물의 출몰이 빈번한 장소에 설치되어 유해동물을 포획함에 있어, 적은 힘으로도 조임 스프링을 간편하게 압축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설정된 압력으로 승강 발판부를 지지하는 구조를 개량함으로써, 설치에 따른 편리성과 함께 불필요한 야생동물의 포획이 예방되도록 한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은,
이동경로 등지에 형성된 설정깊이의 구덩이에 승강구조로 배치되어 통행하는 유해동물이 내딛은 발목부위의 가압에 의해 구덩이를 따라 하강하는 발판과, 상기 발판에 힌지 링크구조로 조립되어 환형 전개된 상태로 구덩이의 상부에 가장자리부를 견착하여 구덩이의 상부에 발판이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발판이 가압에 의해 하강하면 절첩되는 절첩 지지틀을 포함하는 승강 발판부와;
상기 환형 전개된 절첩 지지틀의 가장자리부에 탄성 압박된 와이어의 조임고리를 환형 견착하여, 절첩 지지틀이 절첩되면 발판을 내딛은 유해동물의 발목부위를 조임하여 포획하는 조임 밴드부; 및
상기 발판에 상향 돌출하여 형성되며 핀 고정공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핀 가이드와, 상기 각 핀 가이드의 핀 고정공에 관통되게 배치되어 일단은 핀 고정공에 관통 고정되어 고정단을 형성하고, 자유단을 형성한 타단은 하부에 배치된 절첩 지지틀을 견착 지지하는 중량 지지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중량 지지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핀 가이드에는 절첩 지지틀의 내벽을 탄력적으로 견착하는 탄성 걸림단이 형성되어, 상기 절첩 지지틀은 핀 가이드에 형성된 탄성 걸림단을 통해 탄력적으로 견착되어서 발판의 외측에 환형 전개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임 밴드부는 승강 발판부에 환형 견착되는 조임고리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 고정지물에 고정되는 지물 고정단이 형성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관통되게 배치하여 압축을 통해 승강 발판부에 환형 견착된 조임고리를 탄성 압박하여 조임력을 제공하는 조임 스프링; 및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안내로를 통해 상기 와이어에 관통하여 조임 스프링을 압축하는 조임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조임 스토퍼는, 와이어를 관통하는 안내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공의 조임부시와, 상기 조임부시에 고정되어, 조임부시를 관통한 와이어를 경사구조로 견착하여, 와이어를 따라 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조임 스프링을 압축한 조임부시의 역방향 이송을 방지하는 탄성 라쳇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임부시에 관통되게 체결되어 탄성 라쳇레버에 의해 탄성 견착된 와이어의 일지점을 조임부시에 압착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고유한 내하중값을 갖는 중량 지지핀을 이용한 중량 지지구조를 마련하여, 포획을 요하지 아니하는 야생동물의 포획을 예방하고 있다.
상기 중량 지지구조는 내하중값을 갖는 중량 지지핀의 선택적인 설치를 통해 요하는 유해동물의 포획범위의 간편한 설정이 가능하고, 또 장시간 외부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내하중값이 변경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탄성 라쳇레버를 포함하는 조임 스토퍼를 제안하여, 조임 스토퍼를 통해 조임 스프링을 압축하는 과정에 조임 스토퍼가 압축된 조임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예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임 스프링을 압축함에 있어, 과도한 힘을 지속적으로 유지함에 따른 작업자의 피로도가 높아지고, 또 조임 스프링이 압축한 다음 조임 스토퍼를 강하게 잡은 상태에서 고정볼트를 통해 조임 스토퍼를 와이어의 일지점에 고정함에 따른 어렵고 번거로운 문제가 해소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의 설치상태를 예시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을 통한 유해동물의 포획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용상태도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에 있어, 조임 밴드부에 마련된 조임 스토퍼의 세부구성과, 상기 조임 스토퍼를 통한 와이어의 견착, 및 견착 해제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의 설치상태를 예시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을 통한 유해동물의 포획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용상태도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에 있어, 조임 밴드부에 마련된 조임 스토퍼의 세부구성과, 상기 조임 스토퍼를 통한 와이어의 견착, 및 견착 해제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1)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해동물의 출몰이 예상되는 장소에 설치되어, 멧돼지와 같은 유해동물이 지나가면서 설치된 포획장치에 발부위를 내딛을 때 발목부위를 결박하여 포획하는 장치이다.
상기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1)은,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경로 등지에 형성된 설정깊이의 구덩이(H)에 승강구조로 배치되어 통행하는 유해동물이 내딛은 발목부위의 가압에 의해 구덩이(H)를 따라 하강하는 발판(110)과, 상기 발판(110)에 힌지 링크구조로 조립되어 환형 전개된 상태로 구덩이(H)의 상부에 가장자리부를 견착하여 구덩이(H)의 상부에 발판(110)이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발판(110)이 가압에 의해 하강하면 절첩되는 절첩 지지틀(120)을 포함하는 승강 발판부(100)와;
상기 환형 전개된 절첩 지지틀(120)의 가장자리부에 탄성 압박된 와이어(210)의 조임고리(211)를 환형 견착하여, 절첩 지지틀(120)이 절첩되면 발판(110)을 내딛은 유해동물의 발목부위를 조임하여 포획하는 조임 밴드부(2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되는 조임 밴드부(200)에 야생동물의 포획시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미도시)와, 상기 진동센서를 통해 진동이 감지되면 GPS 좌표 정보와 이를 무선으로 알림하는 포획 알림모듈(미도시)을 마련하여서, 관리자는 현장을 방문하지 아니하고도 해당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에 의한 야생동물의 포획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전파 음영을 해소하기 위해 중계기를 배치하여, 상기 포획 알림모듈을 중계기를 통해 스마트폰과 무선 접속하여서, 야생동물의 포획여부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첩 지지틀(120)은, 상기 발판(110)의 좌우 양편에 각각 힌지구조로 좌우 대칭하여 배치된 한쌍의 지지틀 부재(12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틀 부재(121)의 외경에 조임 밴드부(200)의 조임고리(211)를 견착하는 이탈 방지홈(121a)을 요입되게 형성하여, 상기 환형 전개된 절첩 지지틀(120)을 감싼 조임고리(211)가 절첩 지지틀(120)에서 이탈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절첩 지지틀(120)과 발판(110) 사이에 중량 지지핀(130)을 이용한 독특한 중량 지지구조를 형성하여, 토끼 등 설정 중량 이하의 야생동물들이 발판(110)을 내딛더라도 발판(110)은 구덩이(H)의 상부에 위치하여서 불필요한 야생동물의 포획이 예방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중량 지지구조는, 발판(110)에 상향 돌출하여 형성되며 핀 고정공(111a)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핀 가이드(111)와, 상기 각 핀 가이드(111)의 핀 고정공(111a)에 관통되게 배치되어, 일단은 핀 고정공(111a)에 관통 고정되어 고정단을 형성하고, 자유단을 형성한 타단은 하부에 배치된 절첩 지지틀(120)을 견착 지지하는 중량 지지핀(13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핀 가이드(111)에는 절첩 지지틀(120)의 내벽을 탄력적으로 견착하는 탄성 걸림단(111b)이 형성되어, 상기 절첩 지지틀(120)은 핀 가이드(111)에 형성된 탄성 걸림단(111b)을 통해 탄력적으로 견착되어서 발판(110)의 외측에 환형 전개된 상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중량 지지핀(130)은 도 4b와 같이 설정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굽힘되거나 절단되어 지지된 절첩 지지틀(120)의 지지상태를 해제하는 목재, 카본, 유리,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의 봉체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내하중값을 갖는 중량 지지핀(130)들을 제작하여, 포획을 요하는 유해동물의 예상 중량값에 따라 적절한 내하중값을 갖는 중량 지지핀(130)을 선택적으로 핀 가이드(111)에 설치하여서, 포획을 요하는 야생동물만이 포획되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량 지지핀(130)을 정원형이나 정사각으로 구성하지 아니하고,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 봉체로 구성하여서, 핀 고정공(111a)에 삽입되는 중량 지지핀(130)의 고정방향에 따라 내하중값이 변경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중량 지지핀(130)의 설치방향에 따라 각기 다른 내하중값을 갖도록 한다.
따라서, 도 4a와 같이 구덩이(H)의 상부에 환형 전개된 절첩 지지틀(120)은 중량 지지핀(130)을 통해 견착 지지되어 구덩이(H)의 상부에 환형 전개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환형 전개된 절첩 지지틀(120)에는 조임 밴드부(200)를 구성하는 와이어(210)의 조임고리(211)가 환형 견착된다.
그리하여, 도 4b와 같이 상기 설정 이상의 중량을 갖는 멧돼지 등의 유해동물이 승강 발판부(100)의 발판(110)을 내딛으면, 상기 유해동물의 중량에 의해 중량 지지핀(130)은 꺾임되면서 환형 전개된 절첩 지지틀(120)의 환형 전개상태는 해체된다.
상기 환형 절개상태가 해제되면 절첩 지지틀(120)의 외경에 환형 견착된 와이어(210)의 조임고리(211)는 압축된 조임 스프링(220)을 통해 제공되는 압축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조임되면서, 발판(110)을 내딛은 유해동물의 발목을 조임하여서 해당 유해동물을 포획한다.
물론, 상기 중량 지지핀(130)의 내하중값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중량의 야생동물이 발판(110)을 내딛으면 중량 지지핀(130)에 의한 절첩 지지틀(120)과 발판(110) 사이의 지지상태는 지속적으로 유지되므로, 상기 야생동물은 포획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발판(110)을 내딛은 유해동물의 발목을 조임하여 포획하는 조임 밴드부(200)는 승강 발판부(100)에 환형 견착되는 조임고리(211)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 나무나 돌, 말뚝 등의 고정지물에 고정되는 지물 고정단(212)이 형성된 와이어(210)와; 상기 와이어(210)에 관통되게 배치되어 압축을 통해 승강 발판부(100)에 환형 견착된 조임고리(211)를 탄성 압박하여 조임력을 제공하는 조임 스프링(220); 및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안내로(231a)를 통해 상기 와이어(210)에 관통하여 조임 스프링(220)을 압축하는 조임 스토퍼(23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환형 전개된 절첩 지지틀(120)의 외벽을 감싼 와이어(210)의 조임고리(211)는 조임 스토퍼(230)에 의해 압축된 조임 스프링(220)에 의해 탄성 조임력이 상시 제공된다.
상기 조임 스토퍼(230)는, 도 2 내지 도 6과 같이 와이어(210)를 관통하는 안내로(231a)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공의 조임부시(231)와, 상기 조임부시(231)에 체결되어 안내로(231a)를 관통한 와이어(210)의 일지점을 압착 고정하여 조임부시(231)를 와이어(210)의 일지점에 고정하는 고정볼트(23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조임 스토퍼(230)에 역이송 방지구조를 마련하여서, 작업자가 와이어(210)에 관통하여 설치된 조임 스토퍼(230)를 와이어(210)를 따라 정방향으로 밀어서 와이어(210)를 관통하여 설치된 조임 스프링(220)을 압축하는 과정에, 상기 와이어(210)를 따라 정방향으로 이동된 조임 스토퍼(230)가 압축된 조임 스프링(2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조임 스토퍼(230)의 역이송 방지구조는, 상기 조임부시(231)에, 조임부시(231)를 관통한 와이어(210)를 경사구조로 견착하여서, 와이어(210)를 따라 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조임 스프링(220)을 압축한 조임부시(231)의 역방향 이송을 방지하는 탄성 라쳇레버(23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라쳇레버(233)는, 적어도 일단은 조임부시(231)에 고정하여 고정단을 형성하고, 자유단을 형성한 타단에는 와이어(210)를 관통 견착한 견착공(233a)이 형성된 금속재질의 탄성 절곡편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단을 형성하는 탄성 라쳇레버(233)의 일단에는 와이어(210)가 관통하는 안내공(233b)을 형성하여서, 조임부시(231)의 일단에 용접을 통해 고정하여 안내공(233b)과 조임부시(231)의 안내로(231a)는 일렬로 동심 정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임부시(231)에 일단을 고정하여 자유단을 형성한 탄성 라쳇레버(233)의 타단에는, 관통하는 와이어(210)를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견착하는 견착날(233a-b)이 형성된 견착공(233a)을 형성한다.
이때, 도 6a와 같이 상기 탄성 라쳇레버(233)의 타단에 형성된 견착공(233a)은 외력에 의해 탄성 라쳇레버(233)가 탄성 변형되지 아니하면 조임부시(231)의 중공과 편심 정렬되고, 도 6b와 같이 작업자가 탄성 라쳇레버(233)를 가압하면 조임부시(231)의 중공과 일렬로 동심 정렬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조임부시(231)를 정방향으로 밀어서 조임 스프링(220)을 압축하면, 도 6a와 같이 상기 조임부시(231)는 편심 정렬된 탄성 라쳇레버(233)에 형성된 견착공(233a)과 와이어(210) 사이의 견착에 의해 역방향으로 임의로 이동하는 현상이 예방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고정볼트(232)에 의한 강한 압착 없이도 조임 스프링(220)의 압축상태가 해제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도 6b와 같이 탄성 라쳇레버(233)를 가압하여 견착공(233a)과 조임부시(231)의 안내로(231a)가 일렬로 동심 정렬하면, 견착공(233a)과 와이어(210) 사이의 견착상태는 해제되고, 이를 통해 조임 스토퍼(230)에 의한 조임 스프링(220)의 압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조임 스토퍼(230)를 일방향으로 밀어서 조임 스프링(220)을 압축함에 있어, 압축된 조임 스프링(2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조임 스토퍼(230)가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조임 스프링(220)의 압축상태가 해제되는 현상이 예방되고, 결과적으로 조임 스토퍼(230)를 통해 조임 스프링(220)을 압축함에 따른 간편성과 안정성 및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1.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
100. 승강 발판부 110. 발판
111. 핀 가이드 111a. 핀고정공
111b. 탄성 걸림단
120. 절첩 지지틀 121. 지지틀 부재
121a. 이탈 방지홈 122. 힌지
130. 중량 지지핀
200. 조임 밴드부 210. 와이어
211. 조임고리 212. 지물 고정단
220. 조임 스프링 230. 조임 스토퍼
231. 조임부시 231a. 안내로
232. 고정볼트 233. 탄성 라쳇레버
233a. 견착공 233a-b. 견착날
233b. 안내공

Claims (5)

  1. 이동경로 등지에 형성된 설정깊이의 구덩이에 승강구조로 배치되어 통행하는 유해동물이 내딛은 발목부위의 가압에 의해 구덩이를 따라 하강하는 발판과, 상기 발판에 힌지 링크구조로 조립되어 환형 전개된 상태로 구덩이의 상부에 가장자리부를 견착하여 구덩이의 상부에 발판이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발판이 가압에 의해 하강하면 절첩되는 절첩 지지틀을 포함하는 승강 발판부; 및
    상기 환형 전개된 절첩 지지틀의 가장자리부에 탄성 압박된 와이어의 조임고리를 환형 견착하여, 절첩 지지틀이 절첩되면 발판을 내딛은 유해동물의 발목부위를 조임하여 포획하는 조임 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 밴드부는 승강 발판부에 환형 견착되는 조임고리가 일단에 형성되고, 고정지물에 고정되는 지물 고정단이 타단에 형성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관통되게 배치하여 압축을 통해 승강 발판부에 환형 견착된 조임고리를 탄성 압박하여 조임력을 제공하는 조임 스프링; 및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안내로를 통해 상기 와이어에 관통하여 조임 스프링을 압축하는 조임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조임 스토퍼는, 와이어를 관통하는 안내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공의 조임부시와, 상기 조임부시에 고정되어, 조임부시를 관통한 와이어를 경사구조로 견착하여, 와이어를 따라 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조임 스프링을 압축한 조임부시의 역방향 이송을 방지하는 탄성 라쳇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에 상향 돌출하여 형성되며 핀 고정공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핀 가이드와, 상기 각 핀 가이드의 핀 고정공에 관통되게 배치되어 일단은 핀 고정공에 관통 고정되어 고정단을 형성하고, 자유단을 형성한 타단은 하부에 배치된 절첩 지지틀을 견착 지지하는 중량 지지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각 핀 가이드에는 절첩 지지틀의 내벽을 탄력적으로 견착하는 탄성 걸림단이 형성되어, 상기 절첩 지지틀은 핀 가이드에 형성된 탄성 걸림단을 통해 탄력적으로 견착되어서 발판의 외측에 환형 전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시에 관통되게 체결되어 탄성 라쳇레버에 의해 탄성 견착된 와이어의 일지점을 조임부시에 압착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에 상향 돌출하여 형성되며 핀 고정공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핀 가이드와, 상기 각 핀 가이드의 핀 고정공에 관통되게 배치되어 일단은 핀 고정공에 관통 고정되어 고정단을 형성하고, 자유단을 형성한 타단은 하부에 배치된 절첩 지지틀을 견착 지지하는 중량 지지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중량 지지구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
KR1020200136508A 2020-10-21 2020-10-21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 KR102270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508A KR102270804B1 (ko) 2020-10-21 2020-10-21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508A KR102270804B1 (ko) 2020-10-21 2020-10-21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0804B1 true KR102270804B1 (ko) 2021-06-28

Family

ID=76607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508A KR102270804B1 (ko) 2020-10-21 2020-10-21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804B1 (ko)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3576A (ja) 1989-12-13 1991-08-09 Alps Electric Co Ltd マイクロプリンタ
JP2002142649A (ja) 2000-11-08 2002-05-21 Kazunari Toyoda 独立重量調整式足くくり捕獲罠
KR20090009670U (ko) 2008-03-21 2009-09-24 김진우 동물 포획용 올무
JP3154195U (ja) * 2009-07-22 2009-10-08 有限会社信英精密 動物捕獲用罠
KR20100115337A (ko) 2010-10-06 2010-10-27 남진호 동물의 포획장치
KR200453067Y1 (ko) * 2010-08-16 2011-04-05 (주)공간예술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
JP3177399U (ja) * 2012-05-21 2012-08-02 有限会社信英精密 動物捕獲用罠
KR20120115730A (ko) 2011-04-11 2012-10-19 박진용 멧돼지 포획장치
JP3207491U (ja) 2016-09-02 2016-11-10 作人 櫻井 動物捕獲装置
JP2017143762A (ja) * 2016-02-16 2017-08-24 株式会社九州自然環境研究所 獣類の捕獲罠装置
KR20180123899A (ko) 2017-05-10 2018-11-20 왕항종 야생동물 포획장치
JP3219738U (ja) 2018-04-18 2019-01-24 瀬尾 小百合 獣類捕獲機上下伸縮装置長円筒踏下脚括り罠
KR102085030B1 (ko) * 2019-05-31 2020-03-05 최진호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3576A (ja) 1989-12-13 1991-08-09 Alps Electric Co Ltd マイクロプリンタ
JP2002142649A (ja) 2000-11-08 2002-05-21 Kazunari Toyoda 独立重量調整式足くくり捕獲罠
KR20090009670U (ko) 2008-03-21 2009-09-24 김진우 동물 포획용 올무
JP3154195U (ja) * 2009-07-22 2009-10-08 有限会社信英精密 動物捕獲用罠
KR200453067Y1 (ko) * 2010-08-16 2011-04-05 (주)공간예술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
KR20100115337A (ko) 2010-10-06 2010-10-27 남진호 동물의 포획장치
KR20120115730A (ko) 2011-04-11 2012-10-19 박진용 멧돼지 포획장치
JP3177399U (ja) * 2012-05-21 2012-08-02 有限会社信英精密 動物捕獲用罠
JP2017143762A (ja) * 2016-02-16 2017-08-24 株式会社九州自然環境研究所 獣類の捕獲罠装置
JP3207491U (ja) 2016-09-02 2016-11-10 作人 櫻井 動物捕獲装置
KR20180123899A (ko) 2017-05-10 2018-11-20 왕항종 야생동물 포획장치
JP3219738U (ja) 2018-04-18 2019-01-24 瀬尾 小百合 獣類捕獲機上下伸縮装置長円筒踏下脚括り罠
KR102085030B1 (ko) * 2019-05-31 2020-03-05 최진호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54195 UR
JP03207491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0804B1 (ko)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
JP6355663B2 (ja) 獣類の捕獲罠装置
US6732471B2 (en) Trap
JP3219738U (ja) 獣類捕獲機上下伸縮装置長円筒踏下脚括り罠
KR102085030B1 (ko)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
JP2023105015A (ja) 有害動物のくくり罠
US20020144452A1 (en) More efficient and environmentally-desirable means of detecting insects entering lure-baited traps or attractive areas
GB2300557A (en) Spring activated animal snare
KR102234304B1 (ko) 유해동물 포획장치
JP6792216B2 (ja) 括り罠用トリガー装置
JP6246409B1 (ja) 獣の足を二重に結束可能とした罠
JP6239801B1 (ja) 動物捕獲用罠
JP3229311U (ja) 獣類捕獲装置
KR102295254B1 (ko)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
JP4109180B2 (ja) 括り罠用空作動防止器具
KR102429314B1 (ko) 개량된 압축 조임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
JP2006055158A (ja) 獣捕獲罠
JP2004057174A (ja) 獣くくりわな装置
KR102362419B1 (ko) 유해동물 포획을 위한 안전 트랩
KR102165053B1 (ko) 동물 포획장치
JP2020089294A (ja) 動物捕獲用括り罠装置
JP2020080846A (ja) 動物用罠
JP6168499B2 (ja) 踏み板直動括り罠
JP3170042U (ja) 括り罠
NZ522009A (en) Tr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